KR20140081781A -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용융 성형체 - Google Patents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용융 성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1781A
KR20140081781A KR1020147000473A KR20147000473A KR20140081781A KR 20140081781 A KR20140081781 A KR 20140081781A KR 1020147000473 A KR1020147000473 A KR 1020147000473A KR 20147000473 A KR20147000473 A KR 20147000473A KR 20140081781 A KR20140081781 A KR 20140081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resin
resin composition
phosphorus
flame retar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0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0071B1 (ko
Inventor
다카시 마츠오
겐지 시가
Original Assignee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81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0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68Polyester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C08G63/692Polyester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containing phosphorus
    • C08G63/6924Polyester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containing phosphoru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692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13Phosphinic compounds, e.g. R2=P(:O)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6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난연성이 우수하고, 블리드아웃이 적고, 열가소성 수지 본래의 상태에 가까운 높은 투명성을 발휘하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열가소성 수지(A),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인함유 성분이 공중합되어 있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B) 및 하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인함유 화합물(C)를 함유하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
Figure pct00006

(화학식(1) 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4의 알킬기 등의 치환기이다.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4의 정수이다. B는 에스테르 형성성 작용기이다.)
Figure pct00007

(화학식(2) 중, R1∼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6의 알킬기 등의 치환기이다. X1∼X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6의 알킬기 등의 치환기이다.)

Description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용융 성형체{FLAME-RETARDANT RESIN COMPOSITION AND MELT-MOLDED BODY}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와 특정한 인함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특정한 인함유 화합물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특정한 인함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특정한 인함유 화합물이 배합되어 있는 것에 의해, 투명한 외관을 가지며, 게다가 난연성이다.
최근, 자동차 부품이나 가전 제품 등에 열가소성 수지가 범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수지는 가연성이지만, 사용 부위나 사용 조건에 따라서는 난연성이 요구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 그래서 종래에는, 열가소성 수지에 난연제를 배합하여 난연성을 부여하는 방책이 채택되어 왔다. 이러한 용도에 유효한 난연제는 여러가지 알려져 있지만, 그 중에서도 인함유 화합물은 대표적인 것이다(특허문헌 1∼3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5-331179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36204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94759호 공보
그러나,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이러한 난연제를 열가소성 수지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이용한 경우, 고도의 난연성을 얻기 위해서는 고배합 비율로 난연제를 배합할 필요가 있고, 그 결과, 난연제의 블리드아웃이 생기고, 열가소성 수지 본래의 기계 특성에 비해 배합물의 강도나 투명도 등의 물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것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난연성이 우수하고, 블리드아웃이 적고, 열가소성 수지 본래의 상태에 가까운 높은 투명성을 발휘하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하여, 이하의 발명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1) 열가소성 수지(A), 후술하는 화학식(1)로 표시되는 인함유 성분이 공중합되어 있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B) 및 후술하는 화학식(2)로 표시되는 인함유 화합물(C)를 함유하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
(2) 50∼90 중량%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A), 1∼40 중량%의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B) 및 1∼20 중량%의 상기 인함유 화합물(C)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난연성 수지 조성물.
(3) 상기 열가소성 수지(A)가, (B) 성분 이외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및 ABS 수지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난연성 수지 조성물.
(4) 상기 인함유 화합물(C)가 상기 화학식(2)에 있어서 R1∼R5 및 X1∼X3이 모두 수소 원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난연성 수지 조성물.
(5)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용융 성형체.
(6)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시트.
(7) (6)에 기재된 시트를 구성 부재로서 갖는 적층체.
본 발명의 난연성 수지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에 특정한 인함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특정한 인함유 화합물을 배합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 본래의 상태에 가까운 높은 투명성을 발휘하면서, 열가소성 수지에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고, 더구나, 난연제의 블리드아웃이 생기기 어렵다. 또, 본원의 난연성 수지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로 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압출 성형, 사출 성형 등의 용융 성형 기술에 의해 여러가지 형상으로 부형할 수 있어, 난연성을 갖추면서 투명도가 높고 블리드아웃이 생기지 않는 미관이 우수한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난연성 수지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A),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인함유 성분이 공중합되어 있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B) 및 하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인함유 화합물(C)를 함유하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이며, 열가소성 수지(A) 본래의 상태에 가까운 높은 투명성을 발휘하면서, 열가소성 수지(A)에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고, 게다가, 난연제의 블리드아웃이 생기기 어렵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Figure pct00001
(화학식(1) 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4의 알킬기, 아릴기, 시클로알킬기, 아랄킬기, 알콕실기, 아릴옥시기, 시클로알킬옥시기, 아랄킬옥시기, 카르복실기, 카르복실산에스테르기, 카르복실산염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다.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4의 정수이다. B는 에스테르 형성성 작용기를 갖는 1가의 유기기이다.)
Figure pct00002
(화학식(2) 중, R1∼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6의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랄킬기, 아릴기 또는 히드록실기이다. X1∼X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6의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또는 아랄킬기이다.)
<열가소성 수지(A)>
본 발명에서의 열가소성 수지(A)는, 용융 성형법에 의해 부형 가능한 열가소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특징인 열가소성 수지의 투명성을 손상하기 어려운 점을 최대한 발휘하는 의미에서는, 투명성이 높은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열가소성 수지(A)의 예로는, (B) 성분 이외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및 ABS 수지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 (B) 성분 이외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A)의 용융 점도는, 성형체의 부형에 적절한 용융 점도인 것을 선택하면 된다. 단, 용융 성형시의 용융 점도가 낮은 수지를 이용할수록, 난연화한 재료의 투명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열가소성 수지(A)의 용융 성형시의 용융 점도가, 바람직하게는, ISO 1133에 규정되어 있는 멜트인덱스(이하, MI로 약기함. 측정 온도 300℃. 하중 1200 g. 단위 : g/10분.)가 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MI가 3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MI가 60 이상인 경우가, 특히 유효하다.
<인함유 성분이 공중합되어 있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B)>
본 발명에서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B)는, 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인함유 성분이 공중합되어 있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이다.
상기 화학식(1)에 있어서, 입수의 용이성에서, m 및 n이 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1)에 있어서, B는 에스테르 형성성 작용기를 갖는 1가의 유기기이다. 바람직한 에스테르 형성성 작용기로는, 수산기, 카르복실기 및 카르복실산알킬에스테르기를 들 수 있다. B가 갖는 에스테르 형성성 작용기가 2개이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B)의 주쇄 중에 화학식(1)로 표시되는 인함유 성분을 공중합할 수 있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B)가 함유하는 인의 농도를 높게 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 때문에, 화학식(1)의 인함유 성분은, B가 갖는 에스테르 형성성 작용기가 2개인 인함유 성분으로 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소량이면, B가 갖는 에스테르 형성성 작용기가 1개 또는 3개 이상인 인함유 성분을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B)의 인함유율은, 난연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5000 mg/kg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0 mg/kg, 더욱 바람직하게는 60,000 mg/kg이다.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B)는, 예컨대 일본 특허 제393413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B)를 구성하는 화학식(1)로 표시되는 인함유 성분 이외의 성분은, 주로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글리콜 성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소량의 3작용 이상의 다염기산 및/또는 3작용 이상의 다가 알콜 화합물이 공중합되어 있어도 좋다.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지환족 디카르복실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을 이용할 수 있다.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예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을 들 수 있다. 지환족 디카르복실산의 예로는,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을 들 수 있다.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예로는, 아디프산, 세바신산을 들 수 있다. 글리콜 성분으로는, 직쇄의 또는 분기를 갖는 알킬렌글리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의 지환 구조를 갖는 글리콜, 비스페놀 A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등의 방향환 구조를 갖는 글리콜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난연성 조성물의 투명성을 높게 하기 위해서는, 열가소성 수지(A)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B)의 굴절율의 차가 작거나, 혹은, 양자가 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성분의 굴절율 및 (A) 성분에 대한 상용성은, (B) 성분을 구성하는 산성분 및 알콜 성분으로서 어떠한 성분을 어떠한 비율로 이용할지에 따라서 제어할 수 있다.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B)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평균 분자량 5,000∼30,000이면, 블리드아웃 억제 효과가 특히 높고, 게다가 열가소성 수지(A)의 물성의 저하도 적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인함유 화합물(C)>
본 발명에서의 인함유 화합물(C)는, 상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인함유 화합물이다.
화학식(2) 중, R1∼R5, X1∼X3의 전부가 수소 원자인 경우, 특히 난연성, 블리드아웃성 및 투명성의 밸런스가 양호하여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인화합물은, 예컨대, 산코 주식회사에서 시판되고 있다.
<난연성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난연성 조성물은, 50∼90 중량%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A), 1∼40 중량%의 상기 인함유 성분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B), 및, 1∼20 중량%의 상기 인함유 화합물(C)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B)의 배합 비율을 늘림으로써, 물성 저하를 억제하면서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투명성이 손상되어 가는 경향이 있다. 인함유 화합물(C)의 배합 비율을 늘림으로써, 투명성을 동등하게 유지하면서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물성 저하, 특히 내열성 저하가 현저한 경향이 있다. 한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B) 및 인함유 화합물(C)의 배합 비율이 지나치게 높아지고, 열가소성 수지(A)의 배합 비율이 지나치게 낮아지면, 열가소성 수지(A)가 본래 갖는 물성을 발휘시키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들 3성분을 균형있게 배합함으로써, 물성을 유지하면서,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블리드아웃도 생기기 어려운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상기 (A) (B) (C)의 3성분 외에, 각종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첨가제로는, 예를 들면, 본 발명의 (B) (C) 성분 이외의 난연제, 난연 조제, 적하 방지제, 충전제, 산화 방지제, 안정제, 대전 방지제, 활제, 연화제, 안료, 염료,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보강재 등을 들 수 있다.
(B) (C) 성분 이외의 난연제로는,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크레질포스페이트, 비스페놀 A 비스(디페닐포스페이트), 올리고머 타입의 유기 인계 난연제,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인산멜라민, 멜라민시아누레이트, 폴리인산암모늄, 멜라민, 열경화성 수지 피복 적인, 실리콘 수지, 실리콘 고무, 실리콘계 난연제 등을 들 수 있다. 난연 조제로는, 흑연, 활성탄, 저융점 유리, 카본 블랙 등의 탄소 분말 등을 들 수 있다. 적하 방지제로는, 공지의 불소계 수지로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폴리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충전제로는, 유리 섬유, 탄소 섬유, 금속 섬유, 세라믹스 섬유, 운모, 실리카, 탈크, 탄산칼슘, 알루미나, 유리 박편 등의, 가루형, 알갱이형, 판형의 무기 충전제, 및, 목분 등의 유기 충전제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 밖의 첨가제로는, 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 유도체 등의 인계, 힌더드 페놀 유도체 등의 페놀계, 아민계 및 황계 등의 산화 방지제 및/또는 안정제, 양이온계 계면 활성제,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등의 대전 방지제, 왁스계 등의 활제, 산화티탄, 프탈로시아닌계 등의 안료, 벤조트리아졸계 및 아크릴니트릴계 등의 자외선 흡수제 및/또는 광안정제, 유리 섬유, 금속 섬유 및 위스커 등의 보강재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난연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각 성분의 배합 순서, 혼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A) (B) (C) 성분 및 필요에 따라서 상기 각종 첨가제를, 공지의 방법으로 혼합하여 용융 혼련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혼합 및 용융 혼련에는, 단축 압출기, 벤트가 부착된 이축 압출기와 같은 이축 압출기, 헨셸 믹서, 벤버리 믹서, 니이더 믹서 및 롤 등의 범용의 장치를 단독 또는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용융 성형체>
본 발명의 용융 성형체는, 본 발명의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용융 성형법으로 성형한 것이다. 용융 성형법의 예로는, 사출 성형법, 압출 성형법, 블로우 성형법, T 다이 압출 성형 등을 들 수 있다. 성형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막대 형, 판형, 시트형, 필름형 등의 단순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이형 압출 성형이나 주형 성형에 의한 복잡한 형태의 성형체를 얻을 수도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 실시예, 비교예를 들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각 예 중의 「부」 및 「%」는 모두 중량 기준이다. 또 각 평가치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한 값이다.
<분석ㆍ평가 방법>
(1) 인농도 : 원자 흡광 분석에 의해 측정했다. 단위는 mg/kg으로 했다.
(2) 투명성 : 두께 2 mm의 10 cm 사방의 평판을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하여, 헤이즈미터(니혼덴쇼쿠공업(주) 제조, MODEL NDH2000)에 의해 헤이즈를 측정했다. 또한, 헤이즈가 10%를 넘는 시료에 관해서는, 「불투명」하다고 판정했다.
(3) 난연성
시험 방법 : UL-94에 준거(5 검체의 평균 소염 시간)
시험편 두께 : 1.6 mm, 3.2 mm
평가 : 규정에 의한 랭크 V-0, V-1, V-2
(4) 블리드아웃 시험 : 두께 2 mm의 10 cm 사방의 평판을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하고, 23℃ 50% RH하에서 3000시간 정치한 후의 샘플 표면을 육안으로 및 촉진에 의해 확인하여, 분말형의 블리드아웃물의 유무를 판정했다.
(5) 멜트인덱스(MI) : ISO 1133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측정 온도 : 300℃, 하중 1200 g)
(6) 극한 점도 : 페놀/1,1,2,2-테트라클로로에탄 혼합 용액(중량비(3/2), 30℃로 측정했다.
실시예 1
열가소성 수지(A)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미쓰비시엔지니어링플라스틱공업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유피론 H-3000) 80 중량부에 대하여, 인함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B)(도요방적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바이론 GH-230, 인농도 30,000 mg/kg, 극한 점도 0.66 dL/g) 10 중량부, 인함유 화합물(C)(산코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BCA, 인농도 101,000 mg/kg) 10 중량부를 헨셸형 믹서로 혼합하고, 벤트가 부착된 이축 압출기로 용융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 1의 팰릿을 얻었다. 얻어진 팰릿을 사출 성형기로 성형하고, 난연성 시험용 시험편(두께 1.6 mm, 3.2 mm) 및 두께 2 mm의 10 cm 사방의 평판을 각각 제작하여, 전술한 분석ㆍ평가 방법에 기초하여 물성을 측정했다.
실시예 2∼5, 비교예 1∼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고, 단 배합비를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하여, 수지 조성물 2∼8을 제조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3
H-3000 :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미쓰비시엔지니어링플라스틱공업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유피론 H-3000
RE-530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도요방적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RE-530, 극한 점도 0.53 dL/g
GH230 : 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인함유 성분이 공중합되어 있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B), 도요방적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바이론 GH-230, 인농도 30,000 mg/kg, 극한 점도 0.66 dL/g
BCA : 상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인함유 화합물(C), 산코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BCA, 인농도 101,000 mg/kg.
OP-930 : 인산금속염계 난연제, 클라리언트재팬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OP-930. OP-930은 본 발명의 인함유 화합물(C)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실시예 1∼5에서, 본 발명의 난연성 수지 조성물이 투명성과 난연성이 우수하고, 게다가, 블리드아웃 없음을 실현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 2와 같이, 상이한 인계 난연제를 사용하면, 난연성은 UL-94 규격의 V-0을 만족하지만, 투명성을 상실한다. 또, 비교예 3과 같이, 인함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B)를 배합하지 않아도, 인함유 화합물(C) 농도가 높은 재료를 대량 첨가하면, 난연성과 투명성을 양립시킬 수 있는 경우가 있지만, 인함유 화합물(C)의 블리드아웃이 발생하는 점에서, 본 발명보다 떨어진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난연성이 우수하고, 베이스 수지가 갖는 투명성을 크게 손상하지 않고, 게다가, 블리드아웃과 같은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투명성을 살린 의장성이 우수한 일용품이나 각종 기기의 케이스나 부품, 또 창판이나 렌즈 등의 광학 부품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유용하다.

Claims (7)

  1. 열가소성 수지(A),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인함유 성분이 공중합되어 있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B) 및 하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인함유 화합물(C)를 함유하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
    Figure pct00004

    (화학식(1) 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4의 알킬기, 아릴기, 시클로알킬기, 아랄킬기, 알콕실기, 아릴옥시기, 시클로알킬옥시기, 아랄킬옥시기, 카르복실기, 카르복실산에스테르기, 카르복실산염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다.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4의 정수이다. B는 에스테르 형성성 작용기이다.)
    Figure pct00005

    (화학식(2) 중, R1∼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6의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랄킬기, 아릴기 또는 히드록실기이다. X1∼X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6의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또는 아랄킬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50∼90 중량%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A), 1∼40 중량%의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B), 및, 1∼20 중량%의 상기 인함유 화합물(C)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A)가, (B) 성분 이외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및 ABS 수지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함유 화합물(C)가 상기 화학식(2)에 있어서 R1∼R5 및 X1∼X3이 모두 수소 원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용융 성형체.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시트.
  7. 제6항에 기재된 시트를 구성 부재로서 갖는 적층체.
KR1020147000473A 2011-10-21 2012-07-24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용융 성형체 KR1018000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31359 2011-10-21
JP2011231359 2011-10-21
PCT/JP2012/068662 WO2013057994A1 (ja) 2011-10-21 2012-07-24 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溶融成形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781A true KR20140081781A (ko) 2014-07-01
KR101800071B1 KR101800071B1 (ko) 2017-11-21

Family

ID=48140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0473A KR101800071B1 (ko) 2011-10-21 2012-07-24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용융 성형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40329942A1 (ko)
EP (1) EP2770027B1 (ko)
JP (1) JP5218710B1 (ko)
KR (1) KR101800071B1 (ko)
CN (1) CN103827223B (ko)
TW (1) TWI516577B (ko)
WO (1) WO20130579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299B1 (ko) * 2015-09-11 2017-02-28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비 할로겐 폴리에스터 난연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53215B (zh) * 2013-10-16 2017-05-24 北京化工大学 透明阻燃隔热防紫外高分子复合贴膜及其制备方法和用途
WO2016170468A1 (en) * 2015-04-21 2016-10-27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Polycarbonate blends with improved heat resistance
CN113493607B (zh) * 2021-07-26 2022-04-08 洪湖市一泰科技有限公司 尼龙阻燃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6657A (ja) * 1984-10-30 1986-05-24 Nippon Ester Co Ltd 耐炎性ポリエステル成形物の製造法
JPS62169848A (ja) * 1986-01-21 1987-07-27 Nippon Ester Co Ltd ポリアリレ−ト含有組成物
JPH0631276B2 (ja) 1992-09-11 1994-04-27 三光化学株式会社 有機環状りん化合物及びその製造法
JP3633163B2 (ja) * 1995-12-27 2005-03-30 東レ株式会社 難燃性樹脂組成物
GB9722874D0 (en) * 1997-10-29 1997-12-24 Process Plastics Limited Building panel
JP2000336204A (ja) 1999-05-26 2000-12-05 Sanko Chem Co Ltd 安定性難燃性合成樹脂組成物
JP2001294759A (ja) * 2000-04-10 2001-10-23 Sanko Kk 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7411013B2 (en) * 2002-12-27 2008-08-12 Polyplastics Co., Ltd. Flame-retardant resin composition
JP3934133B2 (ja) 2003-12-09 2007-06-20 東洋紡績株式会社 マスターバッチ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273033A (ja) * 2004-03-23 2005-10-06 Kaneka Corp ポリエステル系人工毛髪用繊維
US20090088503A1 (en) * 2005-09-30 2009-04-02 Kaneka Corporation Flame-Retardant Polyester Resin Composition
WO2008151893A1 (de) * 2007-06-13 2008-12-18 Tesa Se Compound und wickelband aus einer tpu-folie
CN101376691B (zh) * 2007-08-30 2011-06-15 中国石化上海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制造工业丝用的阻燃聚酯的制备方法
WO2009079494A1 (en) * 2007-12-18 2009-06-25 Shell Oil Company Flame retardant polyester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DE102008012806A1 (de) * 2008-03-06 2009-09-10 Schill + Seilacher Ag Halogenfreie Flammschutzmittel
JP2010037375A (ja) * 2008-08-01 2010-02-18 Toray Ind Inc 難燃性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JP2010077349A (ja) * 2008-09-29 2010-04-08 Toray Ind Inc 樹脂組成物ならびにそれからなる成形品
JP5369766B2 (ja) * 2009-03-03 2013-12-18 東レ株式会社 難燃性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JP5471386B2 (ja) * 2009-12-09 2014-04-16 東洋紡株式会社 変性ポリエステル樹脂、変性ポリエステル樹脂の製造方法、光硬化性・熱硬化性樹脂組成物、光硬化性・熱硬化性層、インキ、接着剤、及び、プリント回路基板
JP5596457B2 (ja) * 2010-07-29 2014-09-24 三菱樹脂株式会社 難燃性ポリエステル系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てなる成形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299B1 (ko) * 2015-09-11 2017-02-28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비 할로겐 폴리에스터 난연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27223A (zh) 2014-05-28
EP2770027A1 (en) 2014-08-27
KR101800071B1 (ko) 2017-11-21
WO2013057994A1 (ja) 2013-04-25
CN103827223B (zh) 2016-08-17
JPWO2013057994A1 (ja) 2015-04-02
TW201319229A (zh) 2013-05-16
EP2770027B1 (en) 2016-04-27
TWI516577B (zh) 2016-01-11
EP2770027A4 (en) 2015-07-15
US20140329942A1 (en) 2014-11-06
JP5218710B1 (ja)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588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07037450A9 (ja) 難燃性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
KR101800071B1 (ko)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용융 성형체
CN110418819B (zh) 热塑性聚酯树脂组合物及成型品
JP2013520554A (ja)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KR101632571B1 (ko)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비할로겐 난연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20180078908A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1256262B1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WO2012056800A1 (ja) 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成形して得られるフィルム、プレート、及び射出成形品
WO2014069489A1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
JP2006057037A (ja) 難燃性ポリエステル系樹脂組成物
KR102398728B1 (ko)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JP2012082385A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体
KR10174979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161115B1 (ko) 난연성 및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KR100583064B1 (ko) 향상된 충격강도와 내화학성을 가지는 투명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JP6857966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US20230105770A1 (en)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flame retardancy and hydrolysis resistance and molded article produced therefrom
JP6085466B2 (ja) 難燃性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WO2023214485A1 (ja) 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JP2024507473A (ja) 優れた衝撃強さ及び高い熱負荷能力を有するポリカーボネートポリエステル組成物、成形コンパウンド及び成形体
KR20210111318A (ko)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JP2023165392A (ja) 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KR20190072881A (ko)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2009256429A (ja) 難燃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