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0675A - 터치 입력 기능을 가지는 표시 패널 장치와 이 표시 패널 장치를 위한 광학 유니트,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입력 기능을 가지는 표시 패널 장치와 이 표시 패널 장치를 위한 광학 유니트,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0675A
KR20140070675A KR1020147014121A KR20147014121A KR20140070675A KR 20140070675 A KR20140070675 A KR 20140070675A KR 1020147014121 A KR1020147014121 A KR 1020147014121A KR 20147014121 A KR20147014121 A KR 20147014121A KR 20140070675 A KR20140070675 A KR 20140070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
layer
adhesive layer
touch panel
optic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4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1237B1 (ko
Inventor
토모타케 나시키
다이스케 가지하라
히데오 스가와라
츠요시 치바
히로아키 기시오카
토모히데 반바
마사히로 오오우라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70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0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62Prior to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정전 용량형 터치 입력을 위한 구성을, 제조가 용이하고 실용적인 것으로 하는 것과 동시에, 터치 입력 기능을 위한 적층체를 가지는 유니트를, 표시 패널판과의 조합을 위한 다음 공정에 이송하는 것이 용이하고, 종래의 장치보다도 간단하고 박형화된 층 구성으로 한다. 정전 용량형 터치 입력 기능을 갖춘 표시 패널 장치를 위한 광학 유니트를 제공한다. 광학 유니트에 있어서, 터치 패널 적층체는, 투명한 접착제층의 한편의 면에 적층된 광학적으로 투명한 제 1의 기재층과, 이 접착제층과는 반대 측의 제 1의 기재층의 면에 제 1의 언더코트층을 개입시켜 적층된 제 1의 투명 도전성층과, 이 접착제층의 다른 한편의 면에 적층된 광학적으로 투명한 제 2의 기재층과, 이 접착제층과는 반대 측의 제 2의 기재층의 면에 제 2의 언더코트층을 개입시켜 적층된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을 갖춘다. 편광 기능 적층체는, 원편광소자를 포함하는 층을 갖추고 있고, 터치 패널 적층체의 제 1 및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의 한편을 가지는 면에 투명한 접착제층을 개입시켜 적층된다. 게다가, 터치 패널 적층체에는, 제 1 및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의 다른 한편을 가지는 면에 투명한 접착제층을 개입시켜 박리 라이너가 박리 가능하게 접합된다. 박리 라이너를 터치 패널 적층체에 접합하는 접착제층은, 이 박리 라이너를 박리 했을 때에 터치 패널 적층체 측에 층상으로 잔존하도록 약한 접착력으로 상기 박리 라이너에 부착된다.

Description

터치 입력 기능을 가지는 표시 패널 장치와 이 표시 패널 장치를 위한 광학 유니트, 및 그 제조 방법{Display panel device with touch input function, optical unit for said display panel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for same}
본 발명은, 터치 입력 기능을 가지는 표시 패널 장치 및 이 표시 패널 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터치 입력 기능부를 포함한 광학 유니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입력기능을 갖춘, 표시 패널 장치 및 광학 유니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 입력을 위한 터치 패널을 갖춘 표시 패널 장치는, 많은 문헌에 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개 2002-40243호 공보(특허 문헌 1), 특개 2002-55780호 공보(특허 문헌 2), 특개 2002-156920호 공보(특허 문헌 3)에는, 표시 패널판의 위쪽에 터치 입력용의 터치 패널이 배치된 표시 패널 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특허 문헌에 기재된 터치 패널은, 모두 저항막방식의 것이며, 2개의 투명 전극이 간격을 가지고 대향 배치되고, 표시 패널 장치의 시인 측에 배치된 한편의 투명 전극을 눌러 다른 한편의 투명 전극에 접촉시키는 것으로,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이러한 특허 문헌에 있서서, 2개의 전극 간에 공기 간격이 존재하기 때문에, 전극면에 있어서의 반사광이 표시 패널 장치의 시인 측까지 투과해 표시 품질을 저하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특허 문헌에서는, 이 내부 반사의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터치 패널보다 시인 측에, 원편광소자를 배치하는 것을 교시하고 있다. 상세하게 말하면, 이러한 특허 문헌에서는, 표시 패널의 시인 측으로부터 차례대로, 직선 편광층과, 1/4λ 위상차층을 배치하고, 그 아래에 터치 패널을 배치하는 것을 제창하고 있다. 특허 문헌 1은,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에 터치 패널을 조합한 구성을 나타내고, 특허 문헌 2는, 액정표시장치 및 유기 EL표시장치의 어느 것에도 적용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특허 문헌 3은, 유기 EL표시장치의 예를 나타낸다.
특개 2010-198103호 공보(특허 문헌 4)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입력장치를 개시한다. 이 특허 문헌 4에 기재된 터치 센서는, 단일체로서 구성되는 기재 필름의 양측에 패턴화된 도전체층을 가진다. 동일한 적층 구성의 터치 센서는, 특개 2009-76432호 공보(특허 문헌 5)의 도 5에도 기재되어 있다. 게다가, 특허 문헌 5는, 필름기재의 한편의 면에 언더코트층을 개입시켜 투명 전극층을 형성하고, 필름기재의 타방의 면을 제 2의 필름기재에 점착제층을 개입시켜 접합하고, 한편, 이 제 2의 필름기재에 제 2의 언더코트층을 개입시켜 제 2의 투명 전극층을 형성한 양면 전극형 터치 센서를 도 7에 기재하고 있다. 또, 터치 센서에 사용되는 투명 전극의 패턴 형성은, 국제 공개 WO2006/126604호 공보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특개 2002-40243호 공보 특허 문헌 2: 특개 2002-55780호 공보 특허 문헌 3: 특개 2002-156920호 공보 특허 문헌 4: 특개 2010-198103호 공보 특허 문헌 5: 특개 2009-76432호 공보 특허 문헌 6: WO2006/126604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의 어느 것에도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종래의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표시 윈도우의 이면에는, 그 테두리(edge)에 따라서, 소정의 폭의 가선 두름 인쇄(edge print)가 실시되어 진다. 그리고, 윈도우의 하층에 위치하는 부재는, 이 가선 두름 인쇄의 뒤편을 따라서, 접착제층에 의해 이 윈도우에 접합 된다. 종래의 표시장치에서는, 이러한 구성이기 위해, 윈도우와 이 하층의 부재와의 사이에 공기 간격이 존재하게 되고, 이 공기 간격 때문에 내부 반사를 일으켜, 특허 문헌 1~3에 기재한 것처럼 원편광소자를 시인 측에 접근해 배치했을 경우에서도, 내부 반사광이 윈도우를 투과해 표시 품질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 특허 문헌 4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터치 패널 센서의 한편의 도전체층이 윈도우인 보호 커버에 근접한 위치에 있으므로, 이 도전체층에 있어서의 내부 반사가 표시부에 나타나고, 표시 품질을 저하시킨다. 특허 문헌 5에서는, 내부 반사의 문제에 어떻게 대처하는지, 라고 하는 점에 대해서, 아무것도 교시 내지는 시사가 없다.
본 발명은, 정전 용량형 터치 입력 기능 가지는 표시 패널 장치에 있어서, 빛의 내부 반사에 의해 표시 품질이 저하하는 것을 적극 방지하는 것을 제 1의 과제로 한다.
게다가 특허 문헌 4 및 특허 문헌 5의 도 5에 기재된 터치 패널의 구성은, 제조가 용이하지 않고, 또, 특허 문헌 5의 도 7에 기재한 구성에서도, 제조상의 곤란성은 해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정전 용량형 터치 입력을 위한 구성을, 제조가 용이하고 실용적인 것으로 하는 것을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한층 더 다른 과제는, 터치 입력 기능을 위한 적층체를 가지는 유니트를, 표시 패널판과의 조합을 위한 다음 공정에 이송하는 것이 용이하고, 한편, 종래의 장치보다 간단하고 박형화된 층 구성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그 한 형태에 있어서, 정전 용량형 터치 입력 기능을 갖춘 표시 패널 장치를 위한, 터치 패널 적층체와 편광 기능 적층체와의 조합으로 되는 광학 유니트를 제공한다. 이 광학 유니트에 있어서의 터치 패널 적층체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의 한편의 면에 적층된 광학적으로 투명한 제 1의 기재층과, 이 접착제층과는 반대 측의 제 1의 기재층의 면에 제 1의 언더코트층을 개입시켜 적층된 제 1의 투명 도전성층과, 이 접착제층의 다른 한편의 면에 적층된 광학적으로 투명한 제 2의 기재층과, 이 접착제층과는 반대 측의 제 2의 기재층의 면에 제 2의 언더코트층을 개입시켜 적층된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을 갖춘다. 이것들 제 1 및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은, 소정의 패턴으로 패턴 형성된다. 또, 편광 기능 적층체는, 적어도 원편광소자를 포함하는 층을 갖추고 있고, 터치 패널 적층체의 제 1 및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의 한편을 가지는 면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을 개입시켜 적층된다. 게다가, 터치 패널 적층체에는, 제 1 및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의 다른 한편을 가지는 면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을 개입시켜 박리 라이너가 박리 가능하게 접합된다. 박리 라이너를 터치 패널 적층체에 접합하는 접착제층은, 이 박리 라이너를 박리 했을 때에 터치 패널 적층체측에 층상으로 잔존하도록 약한 접착력으로 상기 박리 라이너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이 형태에 의한 구성에서는, 제 1 및 제 2의 기재층과 그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제층으로 되는 유전체층의 양측에, 제 1 및 제 2의 언더코트층을 개입시키고, 각각 제 1 및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이 형성되고, 일체적인 터치 입력 센서 유니트가 구성된다. 그리고, 이 일체적인 터치 입력 센서 유니트의 한편의 면에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을 개입시키고, 편광 기능 적층체가 적층 된다. 즉, 편광 기능 적층체는, 그 전면에 걸쳐, 접착제층에 의해 터치 입력 센서 유니트에 접합 된다. 게다가, 터치 입력 센서 유니트의 다른 한편의 면에는, 박리 라이너가 접착제층을 개입시켜 접합 되므로, 광학 유니트는, 종래의 터치 입력 센서에 있어서와 같이 외 측에 거듭 기재 필름과 하드 코트층을 설치하는 일 없이, 다음 공정에 이송하는데 충분한 강성을 가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 장치로서 조립할 수 있었던 상태에 있어서의 전체적으로의 층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장치의 박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 기재 필름의 양면에 투명 도전성층을 설치하는 구성의 경우에는, 양면에 도전체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종래의 장치와는 다른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전성층을 스패터링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는, 양면에 스패터링을 행하기 위한 특별의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이 형태에 의한 광학 유니트에서는, 제 1의 투명 도전성층을 제 1의 기재층 위에 형성하고,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을 제 2의 기재층 위에 형성한 후, 이 제 1 및 제 2의 기재층을 접착제층에 의해 접합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스패터링 장치를 이용하고, 종래와 같은 공정에 의해 도전성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광학 유니트에 있어서의 상기 구성의 터치 입력 센서 유니트는, 더욱 제조상의 이점을 가져온다. 상술하면, 제 1 및 제 2의 기재층 위에, 제 1 및 제 2의 언더코트층을 개입시켜 제 1 및 제 2의 도전성층을 각각 형성하는 경우에는, 이것들 기재층은, 원재료의 공급 업자에 의해 규격화된 두께의 것밖에 입수할 수 없다. 또, 기재층을 구성하는 기재 필름 위에 언더코트층을 개입시켜 도전성층을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는, 기재 필름이 얇을 만큼 생산 효율이 높게 되며, 게다가, 품질이 안정된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형태에 의한 광학 유니트에서는, 기재 필름으로서 원재료 공급 업자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규격 두께의 재료 필름으로부터 얇은 것을 선택하고, 터치 입력 센서에 필요한 유전율은, 접착제층의 재료 및 두께를 적당 선택하는 것으로써 유연성이 있는 수법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형태에 의한 광학 유니트의 일부를 구성하는 터치 입력 센서 유니트는,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즉, 먼저, 층상으로 형성된 접착제의 양측의 면에 박리 필름을 박리 가능하게 접합한 접착제 시트를 준비하고, 제 1의 기재의 한편의 면에 제 1의 언더코트층을 적층하고, 이 제 1의 언더코트층 위에 제 1의 투명 도전성층을 부착 형성하고, 제 2의 기재의 한편의 면에 제 2의 언더코트층을 적층하고, 이 제 2의 언더코트층 위에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을 부착 형성하고, 이 접착제의 층의 한편의 측의 면으로부터 박리 필름을 벗기면서, 이 박리 필름을 벗기는 것에 의해서 노출된 접착제의 층을, 제 1의 기재의 다른 한편의 면에 순차로 접합하고, 이 접착제의 층의 다른 한편의 측의 면으로부터 박리 필름을 벗기면서, 이 박리 필름을 벗기는 것에 의해서 노출된 접착제의 층을, 제 2의 기재의 다른 한편의 면에 순차로 접합하는 단계로 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혹은, 박리 필름의 한편을 연속적으로 보내면서 이 한편의 박리 필름의 한쪽 편의 면에 상기 접착제의 용액을 도포하는 것에 의해서 층상으로 형성된 접착제가 박리 필름의 한쪽 편의 면에 박리 가능하게 접합한 접착제 시트를 형성하고, 제 1의 기재의 한편의 면에 제 1의 언더코트층을 적층하고, 이 제 1의 언더코트층 위에 제 1의 투명 도전성층을 부착 형성한 제 1의 적층체를, 연속적으로 보내지는 상기 접착제 시트의 상기 접착제의 층에 연속적으로 첩합시키고, 제 2의 기재의 한편의 면에 제 2의 언더코트층을 적층하고, 이 제 2의 언더코트층 위에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을 부착 형성한 제 2의 적층체를, 접착제의 층으로부터 박리 필름을 벗기면서, 이 박리 필름을 벗기는 것에 의해서 노출된 접착제의 층에 순차로 접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방법에 따를 수도 있다.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폴리에스텔계 접착제, 고무계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해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알킬기의 탄소수가 1~18인 (메타)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메타) 아크릴산 C1-18 알킬 에스테르]를 주 모노머 성분으로 하는 아크릴계 폴리머를 주성분 또는 베이스 폴리머로서 함유 하고 있는 아크릴계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메타) 아크릴산 C1-18 알킬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 아크릴산 메틸, (메타) 아크릴산 에틸, (메타) 아크릴산 프로필, (메타) 아크릴산 이소프로필, (메타) 아크릴산 부틸, (메타) 아크릴산 이소 부틸, (메타) 아크릴산 s-부틸, (메타) 아크릴산 t-부틸, (메타) 아크릴산 펜틸, (메타) 아크릴산 헥실, (메타) 아크릴산 헵틸, (메타) 아크릴산 옥틸, (메타) 아크릴산 이소 옥틸, (메타) 아크릴산 2-에틸 헥실, (메타) 아크릴산 노닐, (메타) 아크릴산 이소 노닐, (메타) 아크릴산 데실, (메타) 아크릴산 도데실 등의 (메타) 아크릴산 C1-18 알킬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메타) 아크릴산 C1-18 알킬 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해 사용할 수 있다.
또, 아크릴계 폴리머에 있어서, (메타) 아크릴산 C1-18 알킬 에스테르에 대해서 공중합성을 가지고 있는 단량체 성분(공중합성 모노머)이 이용되고 있어도 괜찮다. 특히, 아크릴계 폴리머를 가교 시킬 때는, 공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제의 개질용 모노머가 이용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개질용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제의 개질용 모노머로서 알려진 각종 모노머의 모두 사용 가능하다. 공중합성 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공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초산(酢酸)비닐 등의 비닐 에스테르류; (메타) 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아노기 함유 공중합성 모노머; (메타) 아크릴 아미드, N, N-디메틸(메타) 아크릴 아미드 등의 아미드기 함유 공중합성 모노머; 2-히드록시 에틸(메타) 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 프로필(메타) 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 부틸(메타) 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 헥실(메타) 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실기 함유 공중합성 모노머; 글리시딜(메타) 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성 모노머; N, N-디메틸 아미노 에틸(메타)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등의 아미노기 함유 공중합성 모노머; (메타) 아크릴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마레인산, 무수 마레인산, 프말산 등의 카르보키실기 함유 공중합성 모노머 등의 각종의 관능기(특히 극성기)를 가지고 있는 공중합성 모노머(관능기 함유 공중합성 모노머) 외, 스틸렌 등의 스틸렌계 모노머;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α-올레핀계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개질용 모노머로서는, 상기 관능기 함유 공중합성 모노머를 이용할 수 있어, 이러한 것 중에서도 히드록실기 함유 공중합성 모노머, 카르보키실기 함유 공중합성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특히 아크릴산이 매우 적합하다. 덧붙여, 개질용 모노머에 유래하는 관능기(특히 극성기)를 이용해 아크릴계 폴리머를 가교 할 수 있다. 아크릴계 폴리머를 얻기 위한 중합 방법으로서는, 아조계 화합물이나 과산화물 등의 중합 개시제를 이용해 실시하는 용액 중합 방법, 에멀젼 중합 방법이나 괴상 중합 방법, 광개시제를 이용해 빛이나 방사선을 조사해 실시하는 중합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가교제로서는, 특히, 다관능성 멜라민 화합물, 다관능성 엑폭시 화합물,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가교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해 사용할 수 있다. 다관능성 멜라민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화 트리 메틸올 멜라민, 부틸화 헥사 메틸올 멜라민 등을 들 수 있다. 또, 다관능성 엑폭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디글리시딜아닐린, 를리세린 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다관능성 멜라민 화합물 및/또는 다관능성 엑폭시 화합물의 사용량은, 상기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서, 예를 들면 0.001~10 중량부, 매우 적합하게는 0.01~5 중량부의 범위이다. 또,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폴리페닐 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중체, 트리메틸롤프로판과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와의 반응 생성물, 트리메틸롤프로판과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의 반응 생성물, 폴리 에테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에스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사용량은, 상기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서, 예를 들면 0.01~20 중량부, 매우 적합하게는 0.05~15 중량부의 범위이다.
박리 라이너로서는, 표면이 평활한 플라스틱 필름(특히 PET 필름)의 표면이 박리 처리된 박리 라이너를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박리 라이너의 박리력은 0.05~1.00 N/50mm가 바람직하다.
<박리 라이너의 박리력 측정>
제작한 폭 50mm, 길이 100mm의 사이즈로 컷 한 박리 라이너 첨부 광학 부재를, 만능 인장 시험기에서 인장 속도 300mm/분(박리 각도 180°)으로 박리했을 때의 박리 라이너의 박리력을 측정했다. 측정은 23℃×50%RH의 환경 하에서 행했다.
접착제층은, 높은 투명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가시광선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전광선 투과율(JIS K 7136에 준한다)이 85%이상(바람직하게는 87%이상,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90%이상)인 투명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양면 점착 시트 1의 헤이즈(JIS K 7136에 준한다)로서는, 예를 들면, 2.0%이하(바람직하게는 1.0%이하,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0.5%이하)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의 기재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다른 재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언더코트층은, 내부 반사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재료 및 반사 방지의 기능은, 특허 문헌 5에 상술 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도, 특허 문헌 5에 기재된 재료를 언더코트층에 사용할 수 있다.
편광 기능 적층체는, 적어도 원편광소자를 포함한다. 상세하게 말하면, 편광 기능 적층체는, 직선 편광을 생성하는 편광자의 층과 1/4λ위상차 소자를, 광학 유니트가 짜 넣어지는 표시장치의 시인측으로 보고, 이 순서로 포개진 구성이다. 이 1/4λ위상차 소자에, 거듭 1/2λ위상차 소자를 부가하면, 충실도가 높은 원편광을 얻을 수 있다. 원편광소자의 구성 및 작용은, 특허 문헌 3에 상술 되고 있다.
본 발명의 광학 유니트가, 표시 패널 장치에 짜 넣어지는 경우에는,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는, 박리 라이너를 벗긴다. 이때, 박리 라이너는, 투명한 접착제층을 터치 패널 적층체 측에 층상으로 남겨 벗겨진다. 다음에, 층상으로 남겨진 접착제층에 의해 윈도우를 터치 패널 적층체에 접합한다. 윈도우에는, 테두리를 따라서 가선 두름 인쇄가 시행되지만, 이 가선 두름 인쇄에 의한 단차는, 접착제층에 의해 묻힌다. 따라서, 윈도우 측에는 공기 간격이 남김없이, 이 위치에서의 내부 반사가 억제된다. 이 태양에 있어서는, 편광 기능 적층체에 표시 패널판이 접합된다. 표시 패널판은, 액정 표시 패널판 또는 유기 EL소자판으로 할 수 있다.
다른 태양에 있어서는, 박리 라이너를 벗기는 것에 의해서 터치 패널 적층체 측에 층상으로 남겨진 접착제층에 표시 패널판이 접합 된다. 이 경우에는, 편광 기능 적층체 측이 시인 측이 된다. 편광 기능 적층체의 외측 표면에는, 임의이지만,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을 개입시켜 윈도우를 접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광학 유니트가 긴 것으로 형성되고, 롤 모양으로 감겨진 상태로 표시 패널 장치의 제조에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광학 유니트의 롤을 사용해 표시 패널을 제조하는 표시 패널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는, 광학적 표시 소자를 포함한 표시 패널판을 순차적으로 첩합 위치에 송출하고, 광학 유니트를 롤로부터 조출하고, 광학 유니트를 이 표시 패널판의 보내는 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보내는 방향 길이 치수로 절단하여 광학 유니트의 시트를 형성하고, 첩합 위치에 있어서 광학 유니트의 시트에 있어서의 편광 기능 적층체가 표시 패널판에 겹쳐지도록, 광학 유니트의 시트를 보내고, 이 광학 유니트의 시트를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를 개입시켜 표시 패널판에 첩합하는 단계로 된다.
또, 다른 태양에 의한 방법은, 광학적 표시 소자를 포함한 표시 패널판을 순차적으로 첩합 위치에 송출하고, 광학 유니트를 롤로부터 조출하고, 이 광학 유니트의 박리 라이너를 제외한 부분을 표시 패널판의 보내는 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보내는 방향 길이 치수로 절단해 광학 유니트의 시트를 형성하고, 첩합 위치에 있어서 광학 유니트의 박리 라이너로부터 광학 유니트의 시트를 박리하고, 이 광학 유니트의 시트에 있어서의 편광 기능 적층체와 반대 측의 면이 표시 패널판에 겹쳐지도록, 이 광학 유니트의 시트를 보내고, 이 광학 유니트의 시트를, 박리 라이너를 접착하고 있던 광학적으로 투명한 층상의 접착제에 의해 표시 패널판에 첩합하는 단계로 된다.
본 발명의 이 형태에 의한 길이가 긴 광학 유니트를 사용하는 방법을 이용하면, 광학 유니트를 롤로부터 직접, 표시 패널판에 연속적으로 붙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제조의 공정이 효율화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정전 용량형 터치 입력 기능을 갖춘 표시 패널 장치를 위한, 터치 패널 적층체와 편광 기능 적층체와의 조합으로 되는 광학 유니트에서는, 터치 패널 적층체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의 한편의 면에 적층된 광학적으로 투명한 제 1의 기재층과, 상기 접착제층과는 반대 측의 상기 제 1의 기재층의 면에 제 1의 언더코트층을 개입시켜 적층된 제 1의 투명 도전성층과, 상기 접착제층의 다른 한편의 면에 적층된 광학적으로 투명한 제 2의 기재층과, 상기 접착제층과는 반대 측의 상기 제 2의 기재층의 면에 제 2의 언더코트층을 개입시켜 적층된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을 갖춘다. 이 제 1 및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은, 소정의 패턴으로 패턴 형성된다. 또, 편광 기능 적층체는, 적어도 원편광소자를 포함하는 층을 갖추고 있고, 터치 패널 적층체의 제 1 및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의 한편을 가지는 면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을 개입시켜 적층 된다. 터치 패널 적층체에는, 제 1 및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의 다른 한편을 가지는 면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을 개입시켜 투명한 윈도우가 첩합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정전 용량형 터치 입력 기능을 갖춘 표시 패널 장치를 위한, 터치 패널 적층체와 편광 기능 적층체와의 조합으로 되는 광학 유니트에서는, 터치 패널 적층체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의 한편의 면에 적층된 광학적으로 투명한 제 1의 기재층과, 이 접착제층과는 반대 측의 제 1의 기재층의 면에 제 1의 언더코트층을 개입시켜 적층된 제 1의 투명 도전성층과, 이 접착제층의 다른 한편의 면에 적층된 광학적으로 투명한 제 2의 기재층과, 이 접착제층과는 반대 측의 제 2의 기재층의 면에 제 2의 언더코트층을 개입시켜 적층된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을 갖춘다. 그리고, 이 제 1 및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은, 소정의 패턴으로 패턴 형성된다. 또, 편광 기능 적층체는, 적어도 원편광소자를 포함하는 층을 갖추고 있고, 터치 패널 적층체의 제 1 및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의 한편을 가지는 면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을 개입시켜 적층 된다.
본 발명의 더욱 다른 형태에 의하면, 정전 용량형 터치 입력 기능을 갖춘 표시 패널 장치를 위한, 터치 패널 적층체와 편광 기능 적층체와의 조합으로 되는 광학 유니트에 있어서, 터치 패널 적층체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의 한편의 면에 적층된 광학적으로 투명한 제 1의 기재층과, 이 접착제층과는 반대 측의 제 1의 기재층의 면에 제 1의 언더코트층을 개입시켜 적층된 제 1의 투명 도전성층과, 이 접착제층의 다른 한편의 면에 적층된 광학적으로 투명한 제 2의 기재층과, 이 접착제층과는 반대 측의 제 2의 기재층의 면에 제 2의 언더코트층을 개입시켜 적층된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을 갖추고, 제 1 및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은, 소정의 패턴으로 패턴 형성된다. 편광 기능 적층체는, 적어도 원편광소자를 포함하는 층을 갖추고 있고, 터치 패널 적층체의 제 1 및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의 한편을 가지는 면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을 개입시켜 적층 된다. 터치 패널 적층체에는, 제 1 및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의 다른 한편을 가지는 면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을 개입시켜 제 1의 박리 라이너가 박리 가능하게 접합 된다. 또한, 편광 기능 적층체에는, 터치 패널 적층체와는 반대 측의 면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을 개입시켜 제 2의 박리 라이너가 박리 가능하게 접합 되고, 제 1 및 제 2의 박리 라이너를 접합하는 접착제층은, 이 박리 라이너를 박리했을 때에 편광 기능 적층체 측 및 상기 터치 패널 적층체 측에 층상으로 잔존하도록 약한 접착력으로 이 제 1 및 제 2의 박리 라이너에 부착된다.
더욱 다른 형태에 의한, 정전 용량형 터치 입력 기능을 갖춘 표시 패널 장치를 위한, 터치 패널 적층체와 편광 기능 적층체와의 조합으로 되는 본 발명의 광학 유니트에 있어서는, 터치 패널 적층체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의 한편의 면에 적층된 광학적으로 투명한 제 1의 기재층과, 이 접착제층과는 반대 측의 제 1의 기재층의 면에 제 1의 언더코트층을 개입시켜 적층된 제 1의 투명 도전성층과, 이 접착제층의 다른 한편의 면에 적층된 광학적으로 투명한 제 2의 기재층과, 이 접착제층과는 반대 측의 제 2의 기재층의 면에 제 2의 언더코트층을 개입시켜 적층된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을 갖추고, 이것들 제 1 및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은, 소정의 패턴으로 패턴 형성된다. 또, 편광 기능 적층체는, 적어도 원편광소자를 포함하는 층을 갖추고, 터치 패널 적층체의 제 1 및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의 한편을 가지는 면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을 개입시켜 적층된다. 터치 패널 적층체에는, 제 1 및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의 다른 한편을 가지는 면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을 개입시켜 하드 코트 필름이 접합 된다. 그리고, 편광 기능 적층체에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을 개입시켜 박리 라이너가 박리 가능하게 접합 되고, 이 박리 라이너를 편광 기능 적층체에 접합하는 접착제층은, 이 박리 라이너를 박리했을 때에 편광 기능 적층체 측에 층상으로 잔존하도록 약한 접착력으로 이 박리 라이너에 부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로서, 터치 패널 적층체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의 한편의 면에 적층된 광학적으로 투명한 제 1의 기재층과, 이 접착제층과는 반대 측의 상기 제 1의 기재층의 면에 제 1의 언더코트층을 개입시켜 적층된 제 1의 투명 도전성층과, 이 접착제층의 다른 한편의 면에 적층된 광학적으로 투명한 제 2의 기재층과, 이 접착제층과는 반대 측의 제 2의 기재층의 면에 제 2의 언더코트층을 개입시켜 적층된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을 갖추고, 제 1 및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은, 소정의 패턴으로 패턴 형성되고 있고, 편광 기능 적층체는, 적어도 원편광소자를 포함하는 층을 갖추고 있고, 터치 패널 적층체의 상기 제 1 및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의 한편을 가지는 면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을 개입시켜 적층된 광학 유니트에 있어서, 편광 기능 적층체에는, 제 1 및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의 다른 한편을 가지는 면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을 개입시켜 투명한 윈도우를 첩합하고, 터치 패널 적층체에는, 편광 기능 적층체와는 반대 측의 면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을 개입시켜 하드 코트 필름을 접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더욱, 정전 용량형 터치 입력을 위한 터치 패널 적층체와 편광 기능 적층체와의 조합으로 되는 광학 유니트를 포함한 표시 패널 장치를 제공한다. 이 표시 패널 장치에서는, 광학 유니트의 터치 패널 적층체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의 한편의 면에 적층된 광학적으로 투명한 제 1의 기재층과, 이 접착제층과는 반대 측의 제 1의 기재층의 면에 제 1의 언더코트층을 개입시켜 적층된 제 1의 투명 도전성층과, 상기 접착제층의 다른 한편의 면에 적층된 광학적으로 투명한 제 2의 기재층과, 상기 접착제층과는 반대 측의 상기 제 2의 기재층의 면에 제 2의 언더코트층을 개입시켜 적층된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을 갖추고, 이 제 1 및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은, 소정의 패턴으로 패턴 형성되고 있고, 편광 기능 적층체는, 적어도 원편광소자를 포함하는 층을 갖추고 있고, 터치 패널 적층체의 상기 제 1 및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의 한편을 가지는 면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을 개입시켜 적층 되고 있다. 또, 터치 패널 적층체에는, 이 제 1 및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의 다른 한편을 가지는 면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을 개입시켜 투명한 윈도우가 첩합되고, 편광 기능 적층체에는, 터치 패널 적층체와는 반대 측의 면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을 개입시켜 표시 패널판이 접합 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정전 용량형 터치 입력 기능 가지는 표시 패널 장치에 있어서, 빛의 내부 반사에 의해 표시 품질이 저하하는 것을 극력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가 용이하고 실용적인 정전 용량형 터치 입력을 위한 구성을 얻을 수 있다. 또, 터치 입력 기능을 위한 적층체를 가지는 유니트를, 표시 패널판과의 조합을 위한 다음 공정에 이송하는 것이 용이하고, 게다가, 종래의 장치보다도 간단하고 박형화된 층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의한 광학 유니트를 윈도우 및 표시 패널판과의 관계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광학 유니트를 나타내는 도 1과 같은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 1과 같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 2와 같은 단면도이다.
도 5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을 포함한 시트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공정을 위한 도공 및 첩합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장치 전체의 개략도, (b)는 첩합 후의 접착제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편광자 적층체 제조를 위한 공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장치 전체의 개략도, (b)는 얻을 수 있는 편광자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편광 기능 적층체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공정 전체의 블럭도, (b)는 얻을 수 있는 적층체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는, 터치 패널 적층체의 구성 재료가 되는 기재에 언더코트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그 공정의 개략 블럭도, (b)는 언더코트층이 도공된 기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언더코트층을 가지는 기재에 도전성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공정의 블럭도, (b)는 얻을 수 있는 도전성 적층체의 단면도, (c)는 도전성 적층체에 접착제층을 적층해 얻을 수 있는 접착제층 부착 도전성 적층체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a)는 도전성 적층체를 형성하는 공정의 개략도, (b)는 도전성 적층체에 접착제층 부착 도전성 적층체를 적층 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도, (c)는 얻을 수 있는 터치 패널 적층체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광학 유니트를 형성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터치 패널 적층체에 접착제층을 부착시키는 공정의 개략도, (b)는 편광 기능 적층체를 첩합 공정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광학 유니트에 표시 패널판을 접합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b)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광학 유니트를 표시 패널판에 접합하는 연속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의한 광학 유니트(1)는, 터치 패널 적층체(3)와, 편광 기능 적층체(5)를 갖춘다. 터치 패널 적층체(3)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31)의 양측의 면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제 1 및 제 2의 올리고머 방지층(32, 33)을 각각 개입시켜 접착된 광학적으로 투명한 제 1 및 제 2의 기재층(34, 35)을 갖춘다. 올리고머 방지층(32)과는 반대 측의 제 1의 기재층(34)의 면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언더코트층(36)이 접합되고 있고, 이 언더코트층(36) 위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제 1의 도전성층(37)이 예를 들면 스패터링에 의해 부착 형성된다. 이와 같이, 올리고머 방지층(33)과는 반대 측의 제 2의 기재층(35)의 면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언더코트층(38)이 접합 되고 있고, 이 언더코트층(38) 위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제 2의 도전성층(39)이 예를 들면 스패터링에 의해 부착 형성된다. 이 터치 패널 적층체(3)는, 터치 입력 센서 유니트를 구성한다. 이 기술 분야에 있어서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의 도전성층(37, 38)은, 소망의 패턴으로 패턴화된다.
터치 입력 센서 유니트를 구성하는 터치 패널 적층체(3)의 한편의 면, 즉 제 2의 도전성층(39)을 가지는 면에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7)을 개입시켜 상술의 편광 기능 적층체(5)가 접합 된다. 이 편광 기능 적층체(5)는, 접착제층(7)에 접하는 측에 위치하는 편광자 필름(51)과, 이 편광자 필름(51)에 첩합된 1/4λ위상차 필름(52)으로 구성되어, 원편광소자를 형성한다. 이 1/4λ위상차 필름(52)에 더하여, 특허 문헌 3에 교시되고 있듯이, 1/2λ위상차 필름(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해도 좋다.
터치 패널 적층체(3)의 다른 한편의 면, 즉 제 1의 도전성층(37)을 가지는 면에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9)을 개입시켜 박리 라이너(11)가 접합 된다. 박리 라이너(11)의 접착제층(9)에 대한 접착력은, 이 박리 라이너(11)를 벗겼을 때, 접착제층(9)이 패턴화 된 제 1의 도전성층(37) 및 이 제 1의 도전성층(37)의 패턴의 사이로부터 노출하는 제 1의 언더코트층(36) 위에 층상으로 남는 정도의 것으로 한다.
이 도 1에 나타내는 광학 유니트(1)의 층 배치에서는, 편광 기능 적층체(5)에, 표시 패널판(13)이, 도시하지 않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을 개입시켜 접합된다. 도시 예에서는, 표시 패널판(13)은, 유기 EL소자를 포함한 구성이지만, 액정 표시 패널판 이어도 괜찮다.
또, 박리 라이너(11)를 벗기고, 접착제층(9)에 의해, 투명한 윈도우(15)를 터치 패널 적층체(3)에 접합한다. 즉, 윈도우(15)는, 그 전면에 걸쳐, 접착제층(9)에 의해 터치 패널 적층체(3)에 접합 된다. 도 1에 나타냈듯이, 윈도우(15)에는, 그 내면의 테두리를 따라서, 가선 두름 인쇄(17)가 시행되어지고 있고, 이 가선 두름 인쇄(17)는, 도로부터 알 수 있듯이 단부를 형성한다. 그러나, 도 1의 구성에 의하면, 윈도우(15)는 접착제층(9)을 개입시켜 전면이 터치 패널 적층체(3)에 접합되므로, 가선 두름 인쇄(17)에 의한 단부는 접착제층(9)의 접착제에 의해 묻히게 된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의하면, 윈도우(15)와 터치 패널 적층체(3)와의 사이에 공기 간격을 일으키는 것이 없고, 공기 간격에 기인하는 내부 반사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1의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도 1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어 나타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 한다. 도 2의 구성은, 도 1의 구성을 상하 반전시킨 것이지만, 편광 기능 적층체(5)는, 편광자 필름(51)이 외측에 배치되고, 1/4λ위상차 필름(52)이 접착제층(7)에 접합된다. 따라서, 편광 기능 적층체(5)의 측이 시인 측이 된다. 이 광학 유니트(1)에 있어서는, 편광 기능 적층체(5)의 편광자 필름(51)이,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도시하지 않음)을 개입시켜 윈도우(15)에 접합된다. 박리 라이너(11)를 벗기는 것에 의해서 노출되는 접착제층(9)에는, 표시 패널판(13)이 접합 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에 의한 광학 유니트(1)의 변형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 1과 같은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는, 편광 기능 적층체(5)의 외측의 면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21)을 개입시켜 광학적으로 투명한 박리 라이너(23)가 접합된다. 이 광학 유니트(1)의 구성에 있어서도, 박리 라이너(23)의 접착제층(21)에 대한 접착력은, 이 박리 라이너(23)를 벗겼을 때, 접착제층(21)이 편광 기능 적층체(5) 위에 층상으로 남는 정도의 것으로 한다. 윈도우(15)의 첩부는, 도 1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와 같다. 도 3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표시 패널판은, 박리 라이너(23)를 벗기고, 접착제층(21)에 의해 편광 기능 적층체(5)에 접합 된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대응하는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2와 같은 단면도이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편광 기능 적층체(5)의 편광자 필름(51)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21)을 개입시켜 박리 라이너(23)가 접합된다. 박리 라이너(23)의 접착제층(21)에 대한 접착력은, 도 3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한다. 편광 기능 적층체(5)와는 반대 측의 터치 패널 적층체(3)의 면에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25)을 개입시켜 하드 코트층(27)이 접합 된다. 윈도우(15)는, 박리 라이너(23)를 벗겨 노출된 접착제층(21)에 의해, 광학 유니트(1)에 접합된다. 하드 코트층(27)은, 도시하지 않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을 개입시켜 표시 패널판(13)에 접합 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광학 유니트의 제조에 사용되는 각 층에 있어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의 형성)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먼저 접착제의 기본 구성 재료가 되는 모노머와 중합 개시제를, 용제와 함께 혼합 교반했다. 모노머 성분으로서는, 아크릴산 2-메톡시 에틸 70 중량부와 아크릴산 2-에틸 헥실 29 중량부, 아크릴산 4-히드록시 부틸 1 중량부로 되는 혼합물을 이용했다. 중합 개시제로서는, 2, 2'-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 0.2 중량부를 이용해, 중합 용매로서 초산에틸 100 중량부를 이용했다. 이러한 재료를 세파라블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1시간 교반했다(S5-1). 이와 같이 하고, 중합계내의 산소를 제거한 후, 63℃로 온도상승 하고, 10시간 반응시키고(S5-2), 톨루엔을 더해, 고형분 농도 25 중량%의 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을 얻었다(S5-3). 이 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은, 「아크릴계 폴리머 용액 A」라고 불리는 일이 있다. 또, 이 아크릴계 폴리머 용액 A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폴리머는, 아크릴계 폴리머 A로 불리는 일이 있고, 그 중량 평균 분자량 Mw는, 150만이었다. 중량 평균 분자량 Mw는, 겔 퍼미에이션크로마토그래프(GPC) 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GPC 측정 장치로서, 도소 주식회사(東ソ株式社) 제조의 상품명「HLC-8120 GPC」를 사용해, 폴리스티렌 환산치에 의해, 다음의 GPC 측정 조건으로 측정해 중량 평균 분자량 Mw를 구할 수 있다.
GPC 측정 조건
샘플 농도:0.2 중량%(테트라 히드로 푸란 용액)
샘플 주입량:10㎕
용리액:테트라 히드로 푸란(THF)
유량(유속):0.6㎖/분
컬럼 온도(측정 온도):40℃
컬럼:상품명 「TSKgelSuperHM-H/H4000/H3000/H2000(도소 주식회사)
검출기:시차굴절계(RI)
중합 후의 아크릴계 폴리머에, 가교제와 첨가제를 배합해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S5-4). 가교제로서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일본 폴리우레탄 공업 주식회사제의 상품명 「콜로네이트 L」)을, 아크릴계 폴리머 용액 A 100 중량부(아크릴계 폴리머 A 100 중량부)에 대해서 0.3 중량부 더하고, 용액상의 접착제 조성물을 조정했다. 이와 같이 해 얻을 수 있던 접착제 조성물을, 박리 라이너에 도공했다(S5-5). 도 6(a)은, 이 도공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박리 라이너(60)는, 롤 형태(60a)로 준비되고, 안내 롤(61)을 거쳐 건조기(62)에 보내진다. 롤(60a)로부터 조출된 박리 라이너(60)에는, 안내 롤(61)에 이르는 도중에 도공 장치(63)에 의해, 상술의 공정으로 조정된 접착제 용액이 층상으로 도포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박리 라이너(60)로서, 표면을 리형(離型)처리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의 두께 38μm의 필름을 사용했다. 접착제 용액은, 박리 라이너(60)의 리형처리 표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25μm가 되도록 도포했다. 접착제 용액이 도포된 박리 라이너(60)는 건조기(62)에 통과되고, 접착제 용액의 용제가 증발 된다. 건조기(62)를 나온 박리 라이너(60)는, 한 쌍의 니프롤(64a, 64b)에 통과된다. 게다가, 이 니프롤(64a, 64b)에는, 제 2의 롤(66)로부터 조출된 제 2의 박리 라이너(65)가, 제 1의 박리 라이너(60)에 형성된 층상의 접착제에 겹쳐지도록 보내지고, 니프롤(64a, 64b)에 의해 접착제층에 압부(押付)되어 접합된다. 제 2의 박리 라이너(65)는, 제 1의 박리 라이너(60)와 같은 필름에 의해 구성되지만, 접착제층에 대한 박리력이, 제 1의 박리 라이너(60)에 있어서의 것보다도 가벼워지도록, 접착제층에 접착되는 면에, 리형처리를 행한다.
제 1의 니프롤(64a, 64b)을 나온 적층체는,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접착제층(67)의 양측으로 제 1 및 제 2의 박리 라이너(60, 63)가 첩합된 구조를 가지며, 롤(68)로서 권취된다. 도 5에는, 건조 공정이 스텝(S5-6)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제 2의 박리 라이너 (65)의 첩합 공정이 스텝(S5-7)로 나타나고 있다. 제조된 접착제 적층체(69)는, 제품 검사(S5-8)를 거쳐서 출하 된다(S5-9).
(편광자 필름의 형성)
도 7에 편광자 필름의 제조 공정을 개략도로 나타낸다. 원재료가 되는 필름(71)은, 폴리비닐 알코올(PVA)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고분자 재료로 되고, 롤(72)의 형태로 준비된다. 롤(72)로부터 조출된 PVA 필름(71)은, 수조(73)에서 물에 침지되어, 물에 의해 팽윤 된다. 그 다음에, 물에 의해 팽윤 한 PVA 필름(71)은, 옥소를 포함한 염색액을 가지는 염색조(74)로 통과되고, 이 염색조(74)에서 옥소가 함침하게 된다. 옥소가 함침된 PVA 필름(71)은, 다음에, 제 1 및 제 2의 가교조(75, 76)로 통과된다. 가교조(75, 76)에는 옥화 칼륨 및 붕산을 포함한 가교 욕이 형성되고 있고, 여기서 가교 처리는 진행한다. 이 가교 처리의 과정에서, PVA 필름(71)에는 연신이 시행된다. 이 연신은, 가교조(75, 76)를 통해 PVA 필름(71)을 보내는 롤의 구동 속도를, 입구 측보다 출구 측이 높아지도록 정하는 것으로 행해진다. 연신 공정을 거친 PVA 필름(71)은, 수세조(77)에서 수세 되고, 양면에 보호 필름(78a, 78b)이 첩합되어, 도 7b에 나타내는 적층체(79)가 된다.
(위상차 필름의 형성)
위상차 필름은, 수지 필름의 연신 배율과 연신 온도를 제어하는 것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연신 배율은, 소망의 위상차, 위상차 필름의 광학 보상에 필요한 필름의 두께, 사용되는 수지의 종류, 사용되는 필름의 두께, 연신 온도 등에 따라 적당하게 정할 수 있다. 이러한 위상차 필름의 제조는, 주지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1/4λ위상차 필름은, 이 주지의 방법을 이용하고, 1/4λ위상 분의 위상차가 생기도록 조정된다.
(편광 기능 적층체의 형성)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되는 1/4λ위상차 필름을, 도 7(b)에 나타내는 편광자 적층체(79)에 첩합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편광 기능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도 8(a)는, 편광자 적층체(79)와 1/4λ위상차 필름과의 첩합 공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먼저, 편광자 필름의 기재가 되는 PVA 필름이, 옥소에 의한 염색을 실시하는 염색공정(S8-1), 연신 공정(S8-2)을 거쳐 도 7에 나타내는 편광자 필름(71)이 되고, 보호 필름(78a, 78b)과 첩합하기 위한 첩합 공정(S8-3)에 보내진다. 첩합 공정(S8-3)에서는, 편광자 필름(71)의 양면에 보호 필름(78a, 78b)가 첩합된다. 그 다음에, 편광자 필름(71)의 한편의 면에 접착제가 도공 된다(S8-4). 접착제가 도공된 편광자 필름(71)은, 필요에 따라서, 이 편광자 필름이 사용되는 광학 유니트의 치수에 대응하는 치수로, 예를 들면 펀칭에 의해 재단된다(S8-5). 광학 유니트가 길이가 긴 롤 모양의 형태로, 표시 패널판과의 연속적 첩합 공정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 재단 공정은 생략된다.
1/4λ위상차 필름은, 접착제 도공(S8-6)을 실시한 후, 광학 유니트의 치수에 대응하는 치수로 재단된다(S8-7). 편광자 필름 적층체(79)의 경우와 같게, 광학 유니트가 길이가 긴 롤 모양의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 재단 공정은 생략 된다. 필요에 따라서 재단된 위상차 필름은, 접착제 도공 되어 있지 않은 면이, 편광자 필름 적층체(79) 위의 접착제층에 의해 이 적층체(79)에 접합 된다(S8-8). 얻을 수 있던 제품은, 테두리의 성형 등, 필요한 마무리 처리를 실시하여(S8-9), 제품 검사를 거치고(S8-10), 다음 공정에 보내진다. 도 8(b)는, 얻을 수 있던 편광 기능 적층체(81)를 나타내는 것으로, 편광자 필름 적층체(79)는 접착제층(79a)를 개입시켜 1/4λ위상차 필름(80)에 접합된다. 1/4λ위상차 필름(80)의 외 측면에는 접착제층(80a)이 존재한다. 필요에 따라서, 이 1/4λ위상차 필름(80)의 외 측면의 접착제층(80a)에는, 박리 라이너(도시하지 않음)가 첩합 된다. 이 편광 기능 적층체(81)는, 편광자 필름 적층체(79)와 1/4λ위상차 필름(80)이 시인측에서 봐 이 순서로 조합되는 것으로, 원편광 기능을 가지는 것이 된다.
(터치 패널 적층체의 형성)
터치 패널 적층체(3)의 기본적 구성층은, 투명기재층과 언더코트층, 접착제층, 및 투명 도전성층이다. 기재층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투명성을 가지는 각종의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재층 재료로서, 예를 들면, 폴리에스텔계 수지, 아세테이트계 수지, 폴리에텔술폰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오레핀계 수지, (메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 염화 비닐리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 특히 바람직한 재료는, 폴리에스텔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오레핀계 수지이다. 기재층 재료에 대해서는, 특허 문헌 5에 상세한 기재에, 여기에 기재된 재료의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시판의 PET 필름으로서는, 미츠비시 폴리에스텔 주식회사제의 필름이 있어, 1085mm폭으로, 두께 23μm의 것과 50μm의 것을 입수할 수 있다. 적층 공정 중에 받는 열에 의해 발생하는 올리고머를 방지하기 위한 올리고머 방지층을 부여한 PET 필름을 입수 가능하다. 시인측에서 봐 편광 기능 적층체 보다 내측에 터치 패널 적층체가 배치되는 구성에서는, 기재층은, PET가 아니고, 폴리카보네이트, 노르보르넨계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언더코트층은, 특허 문헌 5에 기재된 방법의 어느 것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다. 도 9(a)에 언더코트층의 도공 공정을 나타낸다. 언더코트층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멜라민 수지와 알키드 수지 및 유기 시란 축합물을, 중량비 2:2:1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한다. 이 혼합물은, 고형 분의 중량비가 30%이며, 모멘티브·퍼포먼스·마테리얼즈사로부터, 상품명 SHC900로서 입수할 수 있다. 이 언더코트 원재료 혼합물에, 희석용 액상 혼합 용제를 더하고, 희석 교반한다(S9-1). 이 용제는, 예를 들면, 시크로펜타논과 톨루엔과 메틸 에틸 케톤을 중량비 4:3:3의 비율로 혼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용제의 혼합 비율은, 언더코트 원재료 혼합물의 고형분이 1.5 중량%가 되도록 정한다. 희석된 언더코트 원재료 혼합물은, 한 면에 올리고머 방지층이 미리 형성된 PET 필름의 올리고머 방지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에 도포된다(S9-2). 이 공정에 의해, 도 9(b)에 나타냈듯이, PET 필름(91)의 한편의 면에 올리고머 방지층(92)이, 다른 한편의 면에 언더코트층(93)이 형성된 언더코트 적층체(90)가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서, 언더코트층(93) 위에 제 2의 언더코트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9(b)에는, 2층으로 구성되는 언더코트층을 나타내기 위해서, 부호 93a, 93b를 괄호 내에 나타낸다.
이와 같이 해 형성된 언더코트 적층체(90)에 대해서, 도전성층을 형성하기 위한 스패터링 공정을 행한다. 도 10(a)은, 이 스패터링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a)의 공정에 의해 형성된 언더코트 적층체(90)의 외 측의 언더코트층(93b)의 면에 대해서, 진공 분위기 하에서, 산화 인듐 90 중량%, 산화 주석 10 중량%로 되는 스패터링의 타겟 재료가, 아르곤 98 체적% 및 산소 2 체적%로 되는 도입 가스에 의해서 플라스마화 된 상태로 스패터링 된다(S10-1). 이와 같이 하여, 도 10(b)에 나타내는 도전성층(101)이 외 측의 언더코트층(93b) 위에 형성된 도전성 적층체(100)를 얻을 수 있다. 이 도전성 적층체(100)에 대해서, 접착제층에 의해 박리 라이너가 첩합된다(S10-2). 도 10(c)에, 이 공정에 의해 얻을 수 있던 접착제층 부착 도전성층 적층체(104)를 나타낸다. 도 10(c)에 나타냈듯이, 접착제층 부착 도전성층 적층체(104)는, 기재층(91)의 한편의 면에, 제 1의 언더코트층(93a)과 제 2의 언더코트층(93b)이 이 순서로 형성되고, 게다가 제 2의 언더코트층(93b) 위에 도전성층(101)이 형성되어, 기재층(91)의 언더코트층(93a)과는 반대 측의 면에 접착제층(102)을 개입시켜 박리 라이너(103)가 접합된 적층 구조이다.
도 11(a)은, 도 10에 있어서의 접착제층(102)의 첩합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에 있어서, 도전성 적층체(100)와 도 6에 나타내는 공정으로 형성된 접착제 적층체(69)가, 각각의 롤로부터 조출되고, 한 쌍의 니프롤(110a, 110b)의 사이로 통과된다. 도전성 적층체(100)는, 올리고머 방지층(92)이 접착제 적층체(69)에 접하는 상태가 되도록, 롤로부터 공급된다. 접착제 적층체(69)도 이와 같이 롤 형태로 준비되고, 한편의 측에 설치된 박리 라이너(60)를 박리 롤(111)에 의해 벗기면서, 노출된 접착제층(67)이 도전성 적층체(100)에 접하는 상태가 되도록, 니프롤(110a, 110b) 사이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10(c)에 나타낸 접착제층 부착 도전성층 적층체(104)를 얻을 수 있다. 이 접착제층 부착 도전성 적층체(104)는, 도 11(a)에 나타냈듯이 롤 모양으로 감겨진다. 이 접착제 첨부 적층체(104)에 대해서, 도 10(b)에 나타내는 도전성 적층체(100)를 첩합하고, 터치 패널 적층체(3)를 형성한다. 도 11(b)는, 그 첩합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b)에 있어서, 도전성 적층체(100)는 롤 형태로 준비된다. 도전성 적층체(100)는, 롤로부터 조출되어지고, 기재층(91) 위의 올리고머 방지층(92)이 하측이 되는 상태로, 한 쌍의 니프롤(112a, 112b) 사이에 보내진다. 접착제 첨부 도전성 적층체(104)는, 박리 라이너(103)가 상측이 되는 상태로, 롤로부터 조출되어, 박리 롤(113)에 의해 박리 라이너(103)를 벗기고, 노출된 접착제층(102)이 도전성 적층체(100)에 접하는 상태로, 니프롤(112a, 112b)의 사이에 보내진다. 적층체(100, 104)는 니프롤(112a, 112b)에 의해 서로 압부돼 접합 되어, 터치 패널 적층체가 된다. 터치 패널 적층체의 양면의 도전성층(101)은, 건조 오븐에 통과하는 것 등의 방법에 의해 가열되어 결정화된 후, 주지의 에칭 공정에 의해 소망한 패턴으로 패턴 형성된다. 패턴 형성의 공정은 주지이며, 예를 들면, 특허 문헌 6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전성층에 패턴 형성하는 것으로써, 도 1~도 4에 나타내는 광학 유니트에 사용되는 터치 패널 적층체(3)를 얻을 수 있다. 이 터치 패널 적층체의 단면을 도 11(c)에 나타낸다.
(광학 유니트의 형성)
도 12(a)(b)에, 터치 패널 적층체(3)에 편광 기능 적층체(5)를 첩합해 도 2의 광학 유니트(1)을 형성하는 일실시 형태에 의한 공정을 나타낸다. 도 12(a)에 나타내는 공정에서는, 터치 패널 적층체(3)는, 롤(121)의 형태로 준비되고, 이 롤(121)로부터 조출되어 한 쌍의 니프롤(122a, 122b)의 니프에 이송된다. 도 6에 나타내는 접착제 적층체(69)는, 롤(123)의 형태로 준비되고, 이 롤(123)로부터 조출되고, 박리 롤(124)에 의해 한편의 박리 라이너(60)가 벗겨진 후, 박리 라이너(60)를 벗기는 것으로 노출된 접착제층(67)이 터치 패널 적층체(3)에 접하는 상태로, 니프롤(122a, 122b) 사이의 니프에 이송된다. 접착제층(67)은, 도 2의 구성에 있어서의 접착제층(9)을 구성하고, 벗겨지지 않고 남는 박리 라이너(63)가 도 2의 구성에 있어서의 박리 라이너(11)가 된다. 터치 패널 적층체(3)와 접착제 적층체(67)는, 니프롤(122a, 122b) 사이에서 서로 압접되어 접착되어, 적층체(125)가 형성된다. 이 적층체(125)는, 롤(126)의 형태로 권취된다. 다음에, 적층체(125)는, 롤 (126)로부터 조출되고, 도전성층이 노출된 측을 위로 하고, 한 쌍의 니프롤(127a, 127b) 사이의 니프에 이송된다.
도 8(b)에 나타내는 편광 기능 적층체(81)는, 접착제층(80a)에 박리 라이너(81a)가 첩합된 예이며, 롤(128)의 형태로 준비된다. 편광 기능 적층체(81)는, 적층체(125)에 접착제층(80a)이 적층체(125)에 접하는 상태로, 박리 롤(129)에 의해 박리 라이너(81)를 벗기면서, 한 쌍의 니프롤(127a, 127b) 사이의 니프에 이송된다. 적층체(125)와 편광 기능 적층체(81)는, 니프롤(127a, 127b)에 의해 서로 압접되어 접합되고, 도 2에 나타내는 광학 유니트(1)가 된다. 여기서, 적층체(81)에 있어서의 접착제층(80a)이 도 2의 구조에 있어서의 광학 유니트(1)의 접착제층(7)이 되고, 편광 기능 적층체(81)가 도 2의 구조에 있어서의 편광 기능 적층체(5)가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광학 유니트(1)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편광자 필름 적층체(79)의 측에도 1의 구조에 있어서의 접착제층(7)에 대응하는 접착제층을 형성하고, 이 접착제층을 개입시켜 편광 기능 적층체를 터치 패널 적층체(3)에 접합한다.
(윈도우 또는 표시 패널판의 첩합)
도 12의 공정에 의해 형성된 광학 유니트(1)는, 도 2에 나타내는 층 구성이며, 이 광학 유니트(1)의 접착제층(9)에 표시 패널판(13)이 접착된다. 도 13(a)(b)는, 그 공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광학 유니트(1)는, 표시 패널판(13)에 대응하는 소정의 치수로 절단된 상태의 광학 유니트(1)의 시트로서 첩합 위치에 순차로 보내진다. 표시 패널판(13)은, 광학 유니트(1)의 시트에 동기하고, 첩합 위치에 보내진다. 첩합 위치의 직전에 있어서, 광학 유니트(1)로부터 박리 라이너(11)가 벗겨져, 표시 패널판(13)에 접합된다. 도 13(b)에 나타냈듯이, 광학 유니트(1)는, 접착제층(7)이 표시 패널판(13)에 접하는 상태로 진공 흡착 테이블(131)에 의해 흡착 보관 유지되고, 표시 패널판(13)에 겹쳐진 상태로, 한 쌍의 니프롤(132a, 132b) 사이의 니프에 이송된다. 광학 유니트(1)와 표시 패널판(13)은, 롤(132a, 132b) 사이의 니프를 통과하는 것으로 서로 접착제층(7)에 의해 접합된다. 같은 공정에 의해, 윈도우(15)를, 도시하지 않는 접착제층을 개입시키고, 그 전면에 걸쳐 편광 기능 적층체(5)에 접합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구성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표시 패널 장치는, 편광 기능 적층체(5)가 윈도우(15)의 바로 하방에 배치되므로, 이 편광 기능 적층체(5)보다 내방의 층간계면에 있어서의 반사광이 윈도우(15)로부터 외부로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광학 유니트(1)도, 같은 공정으로 표시 패널판(13) 및 윈도우(15)에 첩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편광 기능 적층체(5)는, 도시하지 않는 접착제층을 개입시키고, 그 전면에 걸쳐 표시 패널판(13)에 접합된다. 편광 기능 적층체(5)는, 표시 패널판(13)의 면에 있어서의 반사광이 윈도우(15)의 외부로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도 14는, 연속 공정에 의해 광학 유니트(1)를 표시 패널판(13)에 첩합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 예에서는, 광학 유니트(1)는, 길이가 긴 연속체로서 형성되고, 롤(141)의 형태로 준비된다. 롤(141)로부터 조출된 광학 유니트(1)는, 한 쌍의 송달 롤(142a, 142b)에 의해 구동 송달되어, 안내 롤(143), 소정의 장력으로 하방에 부세(付勢)된 상하 움직임이 가능한 댄서 롤(144) 및 안내 롤(145)을 통하여, 절입형성 위치(146)를 거치고, 안내 롤(147), 댄서 롤(148) 및 안내 롤(149)을 거쳐 첩합 위치(150)에 보내진다. 절입형성 위치(146)에서는, 광학 유니트(1)의 송달이 일시적으로 정지되어, 절입도(146a)에 의해 유니트(1)의 폭 방향으로 슬릿(1a)이, 표시 패널판(13)의 길이 또는 폭 방향 치수로 대응하는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다. 절입형성 위치에서 유니트(1)의 송달이 정지되고 있는 동안에도 롤(142a, 142b)에 의한 송달은 계속되어, 그 사이에는, 댄서 롤(144)이 하방으로 이동하고, 유니트(1)에 느슨함이 생기지 않도록 자동적으로 조정을 실시한다. 또, 첩합 위치(150)에서도 송달은 계속되지만, 여기에서는, 댄서 롤(148)이 조정 기능을 완수한다.
절입형성 위치에 있어서의 절입자국은, 도 2에 나타내는 광학 유니트(1)의 구성에 있어서, 편광 기능 적층체(5)의 측으로부터 행해져, 접착제층(7)에 이르는 깊이까지로 한다. 즉, 박리 라이너(11)는 절단 되지 않고 남겨진다. 이것에 의해, 광학 유니트(1)의 박리 라이너(11)를 제외한 부분이, 표시 패널판(13)의 치수에 대응하는 길이로 절단된 시트위의 광학 유니트가 된다. 슬릿(1a)이 형성된 단계에서는, 광학 유니트(1)의 시트는 박리 라이너(11)에 부착해 이 박리 라이너(11)와 함께 보내진다. 이러한 절입형성을, 여기에서는 「하프 컷」이라고 칭한다. 슬릿(1a)가 형성된 광학 유니트(1)는, 첩합 위치(150)에 있어서, 설형상의 박리 브레이드(151)에 의해 박리 라이너(11)를 예각적으로 되풀이하는 것으로, 이 박리 라이너(11)로부터 벗겨진다. 여기서, 광학 유니트(1)의 접착제층(7)이 노출된 상태가 된다.
벗겨진 박리 라이너(11)를 권취하기 위해서, 송달 롤(152a, 152b)이 설치되어 박리 라이너(11)는 롤(153)로서 권취 된다. 박리 라이너(11)로부터 벗겨진 광학 유니트(1)의 시트는, 한 쌍의 첩합 롤(154a, 154b)에 의해 첩합 위치(150)에 있어서 보내는 방향으로 보내진다. 첩합 위치(150)에는, 표시 패널판(13)이 광학 유니트(1)의 시트의 송달과 동기 해 보내져, 이 광학 유니트(1)의 시트에 겹쳐질 수 있어 첩합 롤(154a, 154b)의 니프에 통해진다. 이것에 의해, 광학 유니트(1)의 시트가 표시 패널판(13)에 접합된 표시 패널 장치가 형성된다.
이상,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시해,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도시한 실시 형태의 세부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범위에 의해서 정해지는 것이다.
1:광학 유니트 3:터치 패널 적층체
5:편광 기능 적층체
7, 9, 31:접착제층 11, 13:박리 라이너
13:표시 패널판 15:윈도우
17:가선 두름 인쇄 32, 33:올리고머 방지층
34, 35:투명기재층 36, 38:언더코트층
37, 39:투명 도전성층 51:편광자 필름
52:1/4λ위상차 필름

Claims (7)

  1. 정전 용량형 터치 입력 기능을 갖춘 표시 패널 장치를 연속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 터치 패널 적층체와 편광 기능 적층체와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장척의 연속체로서 형성되어 롤에 감겨진 광학 유니트의 롤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 적층체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의 한편의 면에 적층된 광학적으로 투명한 제 1의 기재층과, 상기 접착제층과는 반대측의 상기 제 1의 기재층의 면에 제 1의 언더코트층을 개입시켜 적층된 제 1의 투명 도전성층과, 상기 접착제층의 다른 한편의 면에 적층된 광학적으로 투명한 제 2의 기재층과, 상기 접착제층과는 반대측의 상기 제 2의 기재층의 면에 제 2의 언더코트층을 개입시켜 적층된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을 구비하는 장척의 연속체로서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은, 소정의 패턴으로 패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편광 기능 적층체는,
    적어도 원편광 소자를 포함하는 층을 구비하는 장척의 연속체이며, 상기 터치 패널 적층체의 상기 제 1 및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의 한편을 가지는 면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을 개입시켜 접합되어 있으며,
    서로 접합된 상기 터치 패널 적층체와 상기 편광기능 적층체에 의해 구성되는 장척의 연속체의 상기 광학 유니트가 롤에 감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니트의 롤.
  2. 정전 용량형 터치 입력 기능을 구비한 표시 패널 장치를 연속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터치 패널 적층체와 편광 기능 적층체와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장척의 연속체로서 형성되어 롤에 감겨진 광학 유니트의 롤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 적층체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의 한편의 면에 적층된 광학적으로 투명한 제 1의 기재층과, 상기 접착제층과는 반대측의 상기 제 1의 기재층의 면에 제 1의 언더코트층을 개입시켜 적층된 제 1의 투명 도전성층과, 상기 접착제층의 다른 한편의 면에 적층된 광학적으로 투명한 제 2의 기재층과, 상기 접착제층과는 반대측의 상기 제 2의 기재층의 면에 제 2의 언더코트층을 개입시켜 적층된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을 구비하는 장척의 연속체로서 형성되며, 상기 제 1및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은, 소정의 패턴으로 패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편광 기능 적층체는,
    적어도 원편광 소자를 포함하는 층을 구비하는 장척의 연속체이며, 상기 터치 패널 적층체의 상기 제 1 및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의 한편을 가지는 면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을 개입시켜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터치 패널 적층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의 다른 한편을 가지는 면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을 개입시켜 박리 라이너가 박리가능하게 접합되며,
    상기 박리 라이너를 상기 터치 패널 적층체에 접합하는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박리 라이너를 박리했을 때에 상기 터치 패널 적층체 측면에 층상으로 잔존하도록 약한 박리력으로 상기 박리 라이너에 부착되어 있으며,
    서로 접합된 상기 터치 패널 적층체와 편광 기능 적층체와 상기 박리 라이너에 의해 구성되는 장척의 연속체의 상기 광학 유니트가 롤에 감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니트의 롤.
  3. 정전 용량형 터치 입력 기능을 구비한 표시 패널 장치를 연속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터치 패널 적층체와 편광 기능 적층체와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장척의 연속체로서 형성되어 롤에 감겨진 광학 유니트의 롤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 적층체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의 한편의 면에 적층된 광학적으로 투명한 제 1의 기재층과, 상기 접착제층과는 반대측의 상기 제 1의 기재층의 면에 제 1의 언더코트층을 개입시켜 적층된 제 1의 투명 도전성층과, 상기 접착제층의 다른 한편의 면에 적층된 광학적으로 투명한 제 2의 기재층과, 상기 접착제층과는 반대측의 상기 제 2의 기재층의 면에 제 2의 언더코트층을 개입시켜 적층된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을 구비하는 장척의 연속체로서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2의 투명 도전성층은, 소정의 패턴으로 패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편광 기능 적층체는,
    적어도 원편광 소자를 포함하는 층을 구비하는 장척의 연속체이며, 상기 터치 패널 적층체의 상기 제 1 및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의 한편을 가지는 면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을 개입시켜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터치 패널 적층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의 다른 한편을 가지는 면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을 개입시켜 하드 코트 필름이 접합되며,
    상기 편광 기능 적층체에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을 개입시켜 박리 라이너가 박리 가능하게 접합되며,
    상기 박리 라이너를 상기 편광 기능 적층체에 접합하는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박리 라이너를 박리했을 때에 상기 편광 기능 적층체 측면에 층상으로 잔존하도록 약한 접착력으로 상기 박리 라이너에 부착되어 있으며,
    서로 접합된 상기 터치 패널 적층체와 편광 기능 적층체와 상기 하드 코트 필름과 상기 박리 라이너에 의해 구성되는 장척의 연속체의 상기 광학 유니트가 롤에 감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니트의 롤.
  4. 정전 용량형 터치 입력 기능을 구비한 표시 패널 장치를 연속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터치 패널 적층체와 편광 기능 적층체와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장척의 연속체로서 형성되어 롤에 감겨진 광학 유니트의 롤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 적층체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의 한편의 면에 적층된 광학적으로 투명한 제 1의 기재층과, 상기 접착제층과는 반대측의 상기 제 1의 기재층의 면에 제 1의 언더코트층을 개입시켜 적층된 제 1의 투명 도전성층과, 상기 접착제층의 다른 한편의 면에 적층된 광학적으로 투명한 제 2의 기재층과, 상기 접착제층과는 반대측의 상기 제 2의 기재층의 면에 제 2의 언더코트층을 개입시켜 적층된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을 구비하는 장척의 연속체로서 형성되며, 상기 제 1및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은, 소정의 패턴으로 패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편광 기능 적층체는,
    적어도 원편광 소자를 포함하는 층을 구비하는 장척의 연속체이며, 상기 터치 패널 적층체의 상기 제 1 및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의 한편을 가지는 면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을 개입시켜 접합되며,
    상기 터치 패널 적층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투명 도전성층의 다른 한편을 가지는 면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을 개입시켜 제 1의 박리 라이너가 박리 가능하게 접합되며,
    상기 편광 기능 적층체에는,
    상기 터치 패널 적층체과는 반대측의 면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을 개입시켜 제 2의 박리 라이너가 박리 가능하게 접합되며,
    상기 제 1 및 제 2의 박리 라이너를 접합하는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박리 라이너를 박리했을 때에 상기 편광 기능 적층체 측면 및 상기 터치 패널 적층체의 측면에 층상으로 잔존하도록 약한 접착력으로 상기 제 1 및 제 2의 박리 라이너에 부착되어 있으며,
    서로 접합된 상기 터치 패널 적층체와 편광 기능 적층체와 상기 제 1 및 제 2의 박리 라이너에 의해 구성되는 장척의 연속체의 상기 광학 유니트가 롤에 감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니트의 롤.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기능 적층체는, 직선 편광 소자층과 1/4λ 위상차이 소자층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니트의 롤.
  6. 청구항 2, 4 및 5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광학 유니트의 롤을 사용하여 표시 패널 장치를 제조하는 표시 패널 장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광학적 표시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판을 차례차례로 첩합 위치로 송출하고,
    상기 광학 유니트를 롤로부터 조출하고,
    상기 광학 유니트의 상기 터치 패널 적층체에 접합된 상기 박리 라이너를 제외한 부분을 상기 표시 패널판의 전송 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전송 방향 길이 치수로 절단하고, 상기 터치 패널 적층체에 접합된 상기 박리 라이너상에 연속 형태로 지지를 받은 복수의 광학 유니트의 시트를 형성하고,
    상기 첩합 위치에 있어서, 상기 광학 유니트의 상기 터치 패널 적층체에 접합된 상기 박리 라이너로부터 상기 광학 유니트의 시트를 박리하고, 상기 광학 유니트의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편광 기능 적층체와 반대측의 면이 상기 표시 패널판과 겹쳐지도록, 상기 광학 유니트의 시트를 전송하고,
    상기 광학 유니트의 시트를, 박리된 상기 박리 라이너를 접착하고 있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에 의해 상기 표시 패널판에 첩합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제조 방법.
  7. 청구항 3, 4 및 5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광학 유니트의 롤을 사용하여 표시 패널 장치를 제조하는 표시 패널 장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광학적 표시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판을 차례차례로 첩합 위치로 송출하고,
    상기 광학 유니트를 롤로부터 조출하고,
    상기 광학 유니트의 상기 터치 패널 적층체에 접합된 상기 박리 라이너를 제외한 부분을 상기 표시 패널판의 전송 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전송 방향 길이 치수로 절단하고, 상기 터치 패널 적층체에 접합된 상기 박리 라이너상에 연속 형태로 지지를 받은 복수의 광학 유니트의 시트를 형성하고,
    상기 첩합 위치에 있어서, 상기 광학 유니트의 상기 터치 패널 적층체에 접합된 상기 박리 라이너로부터 상기 광학 유니트의 시트를 박리하고, 상기 광학 유니트의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편광 기능 적층체 측의 면이 상기 표시 패널판과 겹쳐지도록, 상기 광학 유니트의 시트를 전송하고,
    상기 광학 유니트의 시트를, 박리된 상기 박리 라이너를 접착하고 있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에 의해 상기 표시 패널판에 첩합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제조 방법.
KR1020147014121A 2010-10-27 2011-10-27 터치 입력 기능을 가지는 표시 패널 장치와 이 표시 패널 장치를 위한 광학 유니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15612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41160 2010-10-27
JP2010241160A JP2012093985A (ja) 2010-10-27 2010-10-27 タッチ入力機能を有する表示パネル装置と該表示パネル装置のための光学ユニット、並びにその製造方法
PCT/JP2011/074756 WO2012057244A1 (ja) 2010-10-27 2011-10-27 タッチ入力機能を有する表示パネル装置と該表示パネル装置のための光学ユニット、並びにその製造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2591A Division KR20130080052A (ko) 2010-10-27 2011-10-27 터치 입력 기능을 가지는 표시 패널 장치와 이 표시 패널 장치를 위한 광학 유니트, 및 그 제조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2777A Division KR101677166B1 (ko) 2010-10-27 2011-10-27 터치 입력 기능을 가지는 표시 패널 장치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675A true KR20140070675A (ko) 2014-06-10
KR101561237B1 KR101561237B1 (ko) 2015-10-19

Family

ID=4599394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4121A KR101561237B1 (ko) 2010-10-27 2011-10-27 터치 입력 기능을 가지는 표시 패널 장치와 이 표시 패널 장치를 위한 광학 유니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47032777A KR101677166B1 (ko) 2010-10-27 2011-10-27 터치 입력 기능을 가지는 표시 패널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37012591A KR20130080052A (ko) 2010-10-27 2011-10-27 터치 입력 기능을 가지는 표시 패널 장치와 이 표시 패널 장치를 위한 광학 유니트,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2777A KR101677166B1 (ko) 2010-10-27 2011-10-27 터치 입력 기능을 가지는 표시 패널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37012591A KR20130080052A (ko) 2010-10-27 2011-10-27 터치 입력 기능을 가지는 표시 패널 장치와 이 표시 패널 장치를 위한 광학 유니트,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23165B2 (ko)
EP (1) EP2634675A4 (ko)
JP (1) JP2012093985A (ko)
KR (3) KR101561237B1 (ko)
CN (1) CN103282862A (ko)
TW (1) TWI540481B (ko)
WO (1) WO20120572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46650A (ja) * 2012-05-25 2013-12-09 Fujitsu Component Ltd タッチ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250900A (ja) 2012-06-01 2013-12-1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6117620B2 (ja) * 2012-06-07 2017-04-19 日東電工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40049892A1 (en) * 2012-08-15 2014-02-20 Wintek Corporation Touch panel and touch display panel
CN103631455A (zh) * 2012-08-24 2014-03-12 深圳欧菲光科技股份有限公司 薄膜感应器、包含该感应器的电容触摸屏及其制作方法和终端产品
KR20140037643A (ko) * 2012-09-19 2014-03-27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KR102116469B1 (ko) * 2012-11-20 2020-05-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표시 장치
TW201426103A (zh) * 2012-12-19 2014-07-01 Chih-Chung Lin 偏光板結構
CN104981760B (zh) * 2013-02-01 2018-01-02 三井化学株式会社 显示装置及叠层光学膜
US20140293143A1 (en) * 2013-03-27 2014-10-02 Htc Corporation Touch panel and electronic device
JP5851443B2 (ja) * 2013-04-11 2016-02-03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013397B2 (ja) * 2013-05-10 2016-10-25 サムソン エレクトロ−メカニック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タッチセンサ
KR102080904B1 (ko) * 2013-08-23 2020-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E102013017627B4 (de) * 2013-10-23 2020-03-12 e.solutions GmbH Polarisierender Mehrschichtenfil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en Film umfassenden Vorrichtung
KR20150059376A (ko) * 2013-11-22 2015-06-01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센서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2187253B1 (ko) * 2013-11-28 2020-1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점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3682157A (zh) * 2013-12-10 2014-03-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显示器件、其制作方法及显示装置
KR102111384B1 (ko) * 2013-12-16 2020-05-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 제조방법, 디스플레이패널 제조방법, 및 디스플레이패널
CN106030479B (zh) 2014-02-21 2019-04-19 株式会社Lg化学 电子板
CN105511658A (zh) * 2014-10-09 2016-04-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屏及终端
CN104391598A (zh) * 2014-10-31 2015-03-04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JP2016103071A (ja) * 2014-11-27 2016-06-0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位置座標検出基材及び表示装置
JP6561474B2 (ja) * 2015-01-20 2019-08-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な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1865686B1 (ko) * 2015-03-24 2018-06-0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필름 터치 센서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JP5885868B1 (ja) * 2015-03-24 2016-03-16 日東電工株式会社 パネル部材への連続貼りに用いる光学フィルム積層体
KR20160124372A (ko) * 2015-04-17 2016-10-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JP6095745B1 (ja) * 2015-09-18 2017-03-15 日東電工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サセルに対して光学フィルムを貼り付ける方法
CN105425455A (zh) * 2015-12-31 2016-03-23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内嵌式触控显示面板及其制备工艺
EP3417360B1 (en) * 2016-02-16 2019-09-18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Barrier film laminate, method of manufacture, and displays comprising the barrier film laminate
KR102534273B1 (ko) * 2016-03-25 2023-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US20180090720A1 (en) * 2016-09-27 2018-03-29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Flexible OLED Display Module
KR20180047473A (ko) * 2016-10-31 2018-05-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CN106354341B (zh) * 2016-11-11 2019-07-09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面板
KR102620962B1 (ko) * 2016-12-07 2024-01-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60850B1 (ko) * 2017-06-30 2022-0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19009175A1 (ja) * 2017-07-07 2019-01-10 東レ・ダウコーニング株式会社 感圧接着層形成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
KR102342822B1 (ko) * 2017-07-14 2021-1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9656419B (zh) * 2019-02-15 2021-01-26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的滚压制作方法
KR20200102778A (ko) * 2019-02-22 2020-09-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패널의 위치 정렬 장치
CN113970981A (zh) * 2021-09-26 2022-01-25 深圳市三利谱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偏光片及加工工艺和光学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6996A (ja) * 1997-08-12 1999-03-09 Nissha Printing Co Ltd 印刷表示部を有する透明タッチパネル
KR100467674B1 (ko) 1997-11-24 2005-03-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의제조방법
JP2001030409A (ja) * 1999-07-16 2001-02-06 Teijin Ltd 透明導電積層体の製造方法
JP3862924B2 (ja) 2000-03-27 2006-12-27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積層体
JP2002040243A (ja) 2000-07-19 2002-02-06 Fuji Photo Film Co Ltd 円偏光板、タッチパネルおよび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2002055780A (ja) 2000-08-11 2002-02-20 Teijin Ltd タッチパネル及びタッチパネル付表示装置
JP2002148592A (ja) * 2000-08-31 2002-05-22 Sumitomo Chem Co Ltd 液晶表示装置
JP2002156920A (ja) * 2000-09-05 2002-05-31 Nitto Denko Corp タッチパネル付el表示装置
KR100630475B1 (ko) * 2001-09-06 2006-10-02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표시장치,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구동방법
US7248235B2 (en) 2001-09-14 2007-07-24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8068186B2 (en) * 2003-10-15 2011-11-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atterned conductor touch screen having improved optics
JP2005179481A (ja) * 2003-12-18 2005-07-07 Nitto Denko Corp 積層シート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7272259A (ja) * 2004-04-08 2007-10-18 Gunze Ltd 透明タッチスイッチ
KR101143281B1 (ko) * 2004-08-20 2012-05-08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투명 도전성 적층체 및 투명 터치 패널
KR101226502B1 (ko) * 2004-09-10 2013-02-07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용 필름재료의 제조방법
EP1892609A4 (en) 2005-05-26 2013-03-27 Gunze Kk TRANSPARENT PLANAR BODY AND TRANSPARENT TOUCH SWITCH
PL2093041T3 (pl) 2006-10-17 2013-08-30 Nitto Denko Corp Sposób przyklejania elementu optycznego i urządzenie wykorzystujące ten sposób
US9710095B2 (en) 2007-01-05 2017-07-18 Apple Inc. Touch screen stack-ups
JP4667471B2 (ja) 2007-01-18 2011-04-13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備えたタッチパネル
US20090194344A1 (en) * 2008-01-31 2009-08-06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Single Layer Mutual Capacitance Sensing Systems, Device, Components and Methods
WO2009128115A1 (ja) * 2008-04-15 2009-10-22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積層体ロール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4800363B2 (ja) * 2008-09-26 2011-10-26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部材貼り合わせ用粘着シート
WO2010074116A1 (ja) * 2008-12-25 2010-07-01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押圧検出機能を有するタッチパネル及び当該タッチパネル用感圧センサ
KR100921709B1 (ko) * 2009-02-23 2009-10-15 (주)이엔에이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
JP4775722B2 (ja) 2009-02-23 2011-09-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センサ、タッチパネルセンサを作製するための積層体、および、タッチパネルセンサの製造方法
JP5302060B2 (ja) * 2009-03-18 2013-10-0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40481B (zh) 2016-07-01
US20140071353A1 (en) 2014-03-13
WO2012057244A1 (ja) 2012-05-03
KR101677166B1 (ko) 2016-11-17
TW201234246A (en) 2012-08-16
JP2012093985A (ja) 2012-05-17
EP2634675A1 (en) 2013-09-04
EP2634675A4 (en) 2017-07-26
US9223165B2 (en) 2015-12-29
CN103282862A (zh) 2013-09-04
KR101561237B1 (ko) 2015-10-19
KR20150002875A (ko) 2015-01-07
KR20130080052A (ko) 201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7166B1 (ko) 터치 입력 기능을 가지는 표시 패널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640169B1 (ko)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용 점착제층,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및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
KR102506476B1 (ko)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용 점착제층,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및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
KR101924232B1 (ko)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 이를 포함한 액정 디스플레이 및 입력 장치
KR102362343B1 (ko)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CN108885298B (zh) 光学薄膜、剥离方法以及光学显示面板的制造方法
CN105936810B (zh) 附有粘着剂层的光学膜
KR101738741B1 (ko) 점착제가 부착된 광학 부재의 제조 방법
KR20120028276A (ko) 양면 감압 접착 시트
KR20210125514A (ko)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그 용도
WO2010074194A1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装置
CN111867833B (zh) 可折叠背板膜和用于制造可折叠背板膜的方法
CN113631363A (zh) 层叠体和显示装置
KR101862877B1 (ko) 액정 표시 소자의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소자의 제조 시스템
JP6444793B2 (ja) 粘着剤、粘着シートおよび粘着剤層付き光学フィルム
JP6495067B2 (ja) 粘着剤層付き光学フィルム
JP5711833B2 (ja) タッチ入力機能を有する表示パネル装置と該表示パネル装置のための光学ユニット、並びにその製造方法
EP3170660B1 (en) Uniaxially stretched multilayer laminate film, and optical member comprising same
TW201930933A (zh) 偏光板組及液晶顯示面板
KR102287915B1 (ko)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편광판, 및 표시 장치
WO2020195699A1 (ja) 積層体及び表示装置
CN113613880A (zh) 层叠体和显示装置
KR20210126637A (ko) 화상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