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3405A - 키 스위치 - Google Patents

키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3405A
KR20140063405A KR1020130123926A KR20130123926A KR20140063405A KR 20140063405 A KR20140063405 A KR 20140063405A KR 1020130123926 A KR1020130123926 A KR 1020130123926A KR 20130123926 A KR20130123926 A KR 20130123926A KR 20140063405 A KR20140063405 A KR 20140063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member
back side
lock
door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3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4539B1 (ko
Inventor
?스케 카노
마사후미 코다니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63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3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65Operating modes; Transformable to different operating modes
    • E05B63/0069Override systems, e.g. allowing opening from inside without the key, even when locked from out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1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 E05B65/1086Locks with panic function, e.g. allowing opening from the inside without a ley even when locked from the out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PSAFETY DEVICES IN GENERAL; SAFETY DEVICES FOR PRESSES
    • F16P3/00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 F16P3/08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in connection with the locking of doors, covers, guards, or like members giving access to moving machin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20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wherein an auxiliary movement thereof, or of an attachment thereto, is necessary before the main movement is possible or effective, e.g. for unlatching, for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트랩 키 타입의 키 스위치에 있어서, 위험 지역에 갇힌 작업자가 안쪽에서 락을 해제할 수 있는 키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전자(電磁) 솔레노이드(25)의 구동에 의해 이동하는 제1 슬라이드 부재(47A), 제1 슬라이드 부재의 일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이동이 불가능하게 되고, 타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이동이 가능해지는 제2 슬라이드 부재(48A), 제2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에 연동되어 락 위치와 언락 위치로 이동하는 락 부재(49), 그리고 도어의 바깥쪽에서 조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제2 슬라이드 부재를 락 위치와 언락 위치로 이동시키는 락 언락 조작 수단들(4, 50)을 갖는 키 스위치(1A)에 있어서, 도어의 안쪽에서 조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조작 제1 단계에 의해 제1 슬라이드 부재를 언락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동시에 조작 제2 단계에 의해 제2 슬라이드 부재를 언락 위치로 이동시키는 배면 락 해제 부재(51A)를 설치한다.

Description

키 스위치{KEY SWITCH}
본 발명은 안전 펜스로 둘러싸여 도어의 안쪽에서 작업 로봇 등이 가동되고 있는 위험 지역의 출입구 도어에 설치되는 키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작업자가 작업 로봇의 점검 등을 위해 위험 지역에 들어갈 경우, 작업자가 로봇 등의 기계에 말려들어 부상을 입는 것을 피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키 스위치가 위험 지역의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았을 때에 로봇 등의 기계를 정지시킨다.
이러한 종류의 키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작업자가 위험 지역에 들어가 있는데 작업자가 없다고 판단하여 바깥쪽에서 도어가 잠긴 것과 같은 경우, 작업자가 위험 지역의 내부에 갇히는 것을 방지하는 여러 종류의 키 스위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키 스위치에는 배면 릴리즈 버튼 타입과 트랩 키(trapped key) 타입이 있다.
배면 릴리즈 버튼 타입은, 특허 문헌 3 및 특허 문헌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키 스위치의 배면에 위험 지역의 안쪽에서 조작이 가능한 배면 릴리즈 버튼이 마련되어, 키 스위치가 락 상태에 있더라도 위험 지역의 안쪽에서 배면 릴리즈 버튼을 누름으로써, 키 스위치를 언락(unlock) 상태로 해서 도어를 개방하여 바깥쪽으로 탈출할 수 있다.
트랩 키(trapped key) 타입으로서는, 특허 문헌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구동부에 의해 작동체가 언락(unlock) 위치에 있을 때에, 전환부를 락 및 언락 위치로 회전 운동시키는 조작체(트랩 키)를 설치하는 것이나, 특허 문헌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에 의해 연결 피스가 언락 위치에 있을 때에, 슬라이드 부재를 피스 락 부재를 통해 락 및 언락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트랩 키를 설치하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타입의 키 스위치로는 트랩 키로 언락 조작하여 트랩 키를 가지고 위험 지역으로 들어간 후, 잘못하여 도어가 닫혔다고 하더라도, 트랩 키가 꽂혀 있지 않으면 락 상태로 되지 않아 도어를 열 수 있어 위험 지역에 갇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6-76675호
특허 문헌 2: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10-334772호
특허 문헌 3: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10-302580호
특허 문헌 4:국제 특허 공개 공보 제2007-066803호
특허 문헌 5: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0-207979호
특허 문헌 6: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6-228616호
그러나 트랩 키 타입에서는, 복수의 작업자가 위험 지역에 들어가 그 중 트랩 키를 소지하고 있던 작업자가 위험 지역 밖에 나와 전원이 밖으로 나갔다고 오인하여 도어를 락 했을 경우, 위험 지역에 남은 작업자는 위험 지역에 갇혀버리는 일이 있다. 이로 인하여, 위험 지역에 갇힌 작업자가 안쪽에서 락을 해제할 수 있는 것과 같은 키 스위치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트랩 키 타입에 있어서도, 배면 릴리즈 버튼 타입과 같이 키 스위치의 배면에 위험 지역의 안쪽에서 조작이 가능한 레버나 버튼을 설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트랩 키 타입에서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는 부재와 트랩 키에 의해 조작되는 부재, 이들 두 부재들을 가지며, 이들의 이동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배면 릴리즈 버튼을 설치하여 이들 두 부재들을 동시에 이동시키는 것이 곤란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트랩 키 타입의 키 스위치에 있어서 위험 지역에 갇힌 작업자가 안쪽에서 락을 해제할 수 있는 키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 폐쇄 시에 도어에 설치된 도어 개폐 부재를 리시브하고, 도어 개방 시에 상기 도어 개폐 부재를 해방하는 래치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도어의 개폐를 검출하는 제1 스위치와,
도어 열림 신호 또는 도어 닫힘 신호에 근거하여 구동되는 구동 수단에 의한 락(lock) 및 언락(unlock)을 검출하는 제2 스위치와,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에 의해 이동하는 제1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의 일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이동이 불가능하게 되고, 타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이동이 가능해지는 제2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락 위치와 언락 위치로 이동하는 락 부재와,
도어의 바깥쪽에서 조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를 락 위치와 언락 위치로 이동시키는 락 언락 조작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키 스위치로서,
도어의 안쪽에서 조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조작 제1 단계에 의해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를 언락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동시에 조작 제2 단계에 의해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를 언락 위치로 이동시키는 배면 락 해제 부재를 설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에 의해 제1 축을 따라 제1 방향과 해당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축에 수직하는 제2 축을 따라 제3 방향과 해당 제3 방향과 반대인 제4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3 방향 및 상기 제4 방향으로의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락 부재는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이동하는 데에 연동되어, 상기 래치 기구가 상기 도어 개폐 부재를 리시브한 상태로 상기 래치 기구를 락 하는 락 위치와,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제4 방향으로 이동하는 데에 연동되어, 상기 래치 기구가 상기 도어 개폐 부재를 해방이 가능한 상태로 하는 언락 위치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락 언락 조작 수단은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를 상기 제3 방향 및 상기 제4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는 조작 제1 단계에 의해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동시에 조작 제2 단계에 의해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를 제3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작업자가 도어의 안쪽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어가 락 되었을 경우, 작업자가 배면 락 해제 부재를 도어의 안쪽에서 조작하면, 조작 제1 단계에 의해 제1 슬라이드 부재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조작 제2 단계에 의해 제2 슬라이드 부재가 제3 방향으로 이동한 결과, 락 부재가 언락 위치로 이동하여 언락 상태가 되므로 작업자는 도어를 개방하여 바깥쪽으로 탈출할 수 있다.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는 푸쉬 조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 또는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 중에서 적어도 어느 것에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의 조작 제1 단계에 의해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경사면을 설치하고,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 또는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 중에서 적어도 어느 것에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의 조작 제2 단계에 의해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를 제3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경사면을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작업자가 배면 락 해제 부재를 도어의 안쪽에서 조작하면, 조작 제1 단계에 의해 배면 락 해제 부재와 제1 슬라이드 부재 중에서 적어도 어느 것에 설치된 제1 경사면 위를 다른 쪽 부재가 슬라이드되어 제1 슬라이드 부재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어서 조작 제2 단계에 의해, 배면 락 해제 부재와 제1 슬라이드 부재 중에서 적어도 어느 것에 설치된 제2 경사면 위를 다른 쪽 부재가 슬라이드되어 제2 슬라이드 부재가 제3 방향으로 이동한 결과, 락 부재가 언락 위치로 이동하여 언락 상태가 되므로 작업자는 도어를 개방하여 바깥쪽으로 탈출할 수 있다.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는 회전 조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에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의 조작 제1 단계에 의해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를 가압하여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가압부를 설치하고,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에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의 조작 제2 단계에 의해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를 가압하여 제3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가압부를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작업자가 배면 락 해제 부재를 도어의 안쪽에서 조작하면, 조작 제1 단계에 의해, 배면 락 해제 부재에 설치한 제1 가압부가 제1 슬라이드 부재를 가압하여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계속해서 조작 제2 단계에 의해, 배면 락 해제 부재에 설치한 제2 가압부가 제2 슬라이드 부재를 가압하여 제2 슬라이드 부재가 제3 방향으로 이동한 결과, 락 부재가 언락 위치로 이동하여 언락 상태가 되므로, 작업자는 도어를 개방해서 바깥쪽으로 탈출할 수 있다.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를 조작하는 조작 레버를 설치해도 좋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갇힌 작업자는 조작 레버로 배면 락 해제 부재의 조작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키 스위치에 의하면, 트랩 키 타입의 키 스위치에 있어서, 작업자가 도어의 안쪽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어가 락 되었을 경우, 작업자가 배면 락 해제 부재를 도어의 안쪽에서 조작하면, 조작 제1 단계, 제2 단계 등에 의해 제1 슬라이드 부재와 제2 슬라이드 부재가 이동한 결과, 언락 상태가 되므로 위험 지역에 갇힌 작업자가 안쪽에서 락을 해제하여 도어를 개방하여 바깥쪽으로 탈출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키 스위치의 정면 상부에서 비스듬히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키 스위치의 배면 상부에서 비스듬히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키 스위치 락 언락 조작 키, 커버, 안커버 및 헤드 커버를 벗겨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키 스위치 정면도이다.
도 5는 래치 기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락 언락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제1 슬라이드 부재의 일 방향 및 타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들이다.
도 8a 및 도 8b는 제2 슬라이드 부재의 일 방향 및 타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들이다.
도 9a 및 도 9b는 락 부재의 일 방향 및 타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들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락 언락 조작 레버의 사시도들이다.
도 11은 배면 락 해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2a, 도 12b 및 도 12c는 락 언락 조작 레버에 의한 락 언락 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정면도들이다.
도 13a, 도 13b 및 도 13c는 배면 락 해제 부재에 의한 락 언락 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정면도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키 스위치의 배면 상부에서 비스듬히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키 스위치의 락 언락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제1 슬라이드 부재의 사시도들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제2 슬라이드 부재의 사시도들이다.
도 18은 배면 락 해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9a, 도 19b 및 도 19c는 배면 락 해제 부재에 의한 락 언락 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정면도들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키 스위치의 배면 상부에서 비스듬히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키 스위치 조작 레버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키 스위치(1A)의 외관을 나타낸다. 키 스위치(1A)는 생산 공장에서 안전 펜스에 둘러싸여 작업 로봇 등이 배치된 위험 지역의 출입구에 설치된다. 키 스위치(1A)는 스위치 케이스(2), 도어 개폐 부재(3), 그리고 락 언락 조작 수단의 일부인 락 언락 조작 키(4)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락 언락 조작 키(4)가 장착되는 면을 전면(前面)으로 하고, 이러한 전면에 대하여 상하, 좌우 및 뒤쪽 각 측의 면들을, 상면, 저면, 좌측면, 우측면 및 배면이라고 하며, 전면에서 배면을 향하는 방향을 X 방향이라 하고, 좌측면에서 우측면을 향하는 방향을 Y 방향이라 하며, 저면에서 상면을 향하는 방향을 Z방향으로 하여, 이들 방향들에 X축, Y축 및 Z축을 설정한다.
스위치 케이스(2)는 도어의 가동 단부에 인접하는 안전 펜스의 바깥쪽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스위치 케이스(2)는 케이스 본체(5), 커버(6) 및 헤드 커버(7)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5)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에 개구부(8)를 갖는 상자 형상이다. 케이스 본체(5)의 배면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형 홀(9)이 형성되며, 이러한 원형 홀(9)에 후술하는 배면 락 해제 부재(51A)가 설치되는 슬리브(1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6)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5)의 개구부(8)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커버(6)의 거의 중앙에는 락 언락 조작 키(4)가 착탈 가능한 키 홀더(11)가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키 홀더(11)는 너트(20)에 의해 커버(6)에 고정되어 있다. 헤드 커버(7)는 저면 및 좌측면이 개구되어, 케이스 본체(5)의 상방 우측 모서리부를 덮는 상자 형상이다. 헤드 커버(7)의 전면 및 상면에는 도어 개폐 부재(3)가 삽입되는 삽입구들(12a, 12b)이 형성되어 있다. 도어 개폐 부재(3)의 설치 방향에 따라 삽입구들(12a, 12b)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어 개폐 부재(3)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전 펜스 도어에 설치되는 설치부(13) 및 이러한 설치부(13)에 대하여 90˚ 굴곡되어 헤드 커버(7)의 삽입구들(12a, 12b)에 삽입되는 삽입부(14)를 갖는다. 삽입부(14)에는 후술하는 래치 기구(24)의 래치부(37)와 래치되는 직사각형의 래치 홀(15)이 형성되어 있다.
락 언락 조작 키(4)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에 래치 돌기(16)를 갖는 원통 형상의 키 본체(17) 및 후단에 마련된 그립(18)으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키이다.
스위치 케이스(2)의 안쪽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6)에 중첩되도록 안커버(19)가 케이스 본체(5)에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5)의 안쪽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스위치(21), 제2 스위치(22), 터미널 기판(23), 래치 기구(24), 구동 수단으로서의 전자(電磁) 솔레노이드(25), 락 언락 기구(26) 등이 설치되어 있다.
제1 스위치(21)는 케이스 본체(5)의 정면에서 보면 하부 우측에 설치되며, 상방으로 돌출된 조작체(27)가 하방으로 눌리면 내부의 접점이 닫히거나 또는 열리고, 조작체(27)의 가압이 해제되면 복귀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방으로 복귀하여 접점이 열리거나 또는 닫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스위치(21)는 3쌍의 접점들을 가지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2쌍의 접점들이 사용되고 있지만, 용도에 따라 이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접점이 사용된다.
제2 스위치(22)는 케이스 본체(5)의 정면에서 보면 하부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스위치(22)는 제1 스위치(21)와 동일하게 상방으로 돌출된 조작체(28)가 하방으로 눌리면 내부의 접점이 닫히거나 또는 열리고, 조작체의 가압이 해제되면 복귀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방으로 복귀하여 접점이 열리거나 또는 닫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스위치(22)는 3쌍의 접점들을 갖지만, 용도에 따라 적어도 이들 중에서 어느 접점이 사용된다. 제2 스위치(22)의 접점은 버스 바들(29a, 29b)에 의해 제1 스위치(21)의 접점과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터미널 기판(23)은 케이스 본체의 정면에서 보면 상부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터미널 기판(23)은 도시하지 않은 표시등, 전자 솔레노이드(25)로의 통전 단자들(30a 내지 30d) 등을 구비하고 있다.
래치 기구(24)는 케이스 본체(5)의 상부 우측에 설치되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커버(7)에 의해 덮여 있다. 래치 기구(24)는 대략 베이스 부재(31), 캠체(32) 및 플런저(33)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31)는 양측에 돌출부(34)를 가지며, 케이스 본체(5)의 정면에서 보면 U자 형상이 되도록 케이스 본체(5)에 설치되어 있다. 양측 돌출부(34) 사이에는 샤프트(35)가 Y 방향으로 걸쳐져 있다.
캠체(32)는 베이스 부재(31)의 돌출부(34) 사이에 위치하도록 샤프트(35)에 설치되며, Y축 둘레로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캠체(32)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반 부분의 가장자리에 헤드 커버(7)의 삽입구(12a)로부터 삽입되는 도어 개폐 부재(3)의 삽입부(14)가 삽입되는 2개의 오목부(36)와 이러한 오목부(36)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도어 개폐 부재(3)의 래치 홀(15)에 래치되는 2개의 래치부(37)들이 형성되고, 하반 부분에는 샤프트(35)를 둘러싸도록 거의 U자 형상의 캠 홈(38)이 형성되며, 캠 홈(38)의 바닥벽이 캠 면으로 되어 있다. 캠 홈(38)의 양측 벽에는 캠 면을 따라 거의 U자 형상의 가이드 홀(39)이 형성되어 있다.
플런저(33)는 상반 부분에 대경부(大徑部)(40) 및 하반 부분에 소경부(小徑部)(41)를 가진다. 플런저(33)의 상단, 다시 말해 대경부(40)의 상단은 캠체(32)의 캠 면에 활접(滑接)하는 활접부(42) 및 캠체(32)의 가이드 홀(39)에 래치되는 슬라이드 핀(43)을 갖는다. 플런저(33)의 하단, 다시 말해 소경부(41)의 하단은 제1 스위치(21)의 조작체(27)에 래치되는 래치부(44)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 수단으로서의 전자 솔레노이드(25)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5)의 상부 좌측에 설치되어 있다. 전자 솔레노이드(25)는 Z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플런저(45)를 가진다. 플런저(45)의 하단에는 래치부(46)가 형성되어 있다.
락 언락 기구(26)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 부재(47A), 제2 슬라이드 부재(48A) 및 락 부재(49)로 구성되며, 또한 락 언락 조작 수단으로서의 락 언락 조작 레버(50)와 배면 락 해제 부재(51A)를 가진다.
제1 슬라이드 부재(47A)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솔레노이드(25)와 제2 스위치(22)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 부재(47A)의 상단에는 전자 솔레노이드(25)의 플런저(45)의 래치부(46)가 래치되는 플런저 래치 홈(52)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제2 스위치(22)의 조작체(28)에 래치되는 스위치 래치 홈(53)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슬라이드 부재(47A)의 배면에는 래치 돌기(54)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슬라이드 부재(47A)의 우측면 하부에는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5)가 형성되며, 이와 같은 연장부(55)의 배면에는 Y축에 평행한 상측 모서리부에서 비스듬히 하방으로 45˚ 경사지는 경사면(56)이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이러한 경사면(56)은 Y축에 평행하고 X축 및 Z축에 대하여 45˚를 이룬다. 제1 슬라이드 부재(47A)는 전자 솔레노이드(25)의 구동에 의해 Y 방향 및 Y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슬라이드 부재(48A)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 부재(47A)의 배후에서 제1 슬라이드 부재(47A)와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슬라이드 부재(48A)는 전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에 슬라이드 홀(57)이 형성되고, 우측에 핀 삽입 홀(58)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홀(57)은 정면에서 보면 L자 형상으로, Z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슬라이드부(57a) 및 Y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슬라이드부(57b)로 이루어져 있다. 제2 슬라이드 부재(48A)의 전면의 중간에는 X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59)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돌출부(59)의 정면에는 래치 오목부(6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59)의 우측면 하부에서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61)가 형성되며, 이러한 연장부(61)의 하면에 Z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래치 돌출부(62)가 형성되어 있다. 래치 돌출부(62)의 배면에는 Z축에 평행한 우측 모서리부에서 비스듬히 후방으로 45˚로 경사지는 경사면(63)이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이러한 경사면(63)은 Z축에 평행하고 X축 및 Y축에 대하여 45˚를 이룬다.
락 부재(49)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치 기구(24)와 제1 스위치(21)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락 부재(49)는 우측 단부에 노치부(64)가 형성되고, 좌측 단부에는 Y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굴곡되어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 부(65)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부(64)는 래치 기구(24)의 플런저(33)의 대경부(40)가 래치되는 대노치부(64a)와 이 대노치부(64a)에 연속하여 래치 기구(24)의 플런저(33)의 소경부(41)가 래치되는 소노치부(64b)로 이루어져 있다. 암 부(65)의 선단에는 X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 슬라이드 부재(48A)의 핀 삽입 홀(58)에 삽입되는 래치 핀(66)이 형성되어 있다.
언락 조작 수단으로서의 락 언락 조작 레버(50)는,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 홀더(11)에 삽입되어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지지축(67) 및 이러한 지지축(67)의 선단에 나사(68)에 의해 고정된 회전 운동 플레이트(69)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축(67)은 락 언락 조작 키(4)의 래치 돌기(16)에 래치되는 래치 오목부(70)를 가진다. 회전 운동 플레이트(69)는 지지축(67)의 축 방향, 다시 말하면 X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손가락부(71)를 가지며, 이와 같은 손가락부(71)의 선단에는 제2 슬라이드 부재(48A)의 래치 오목부(60)에 래치되는 래치부(72)가 형성되어 있다.
배면 락 해제 부재(51A)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형 단면의 봉 형상의 본체부(73)를 가진다. 배면 락 해제 부재(51A)는 X 방향의 선단에 사람이 눌러서 조작이 가능한 버튼부(74)와 키(75)가 형성되며, X 방향과 반대 방향의 선단부에 제1 가압부(76)와 제2 가압부(77)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가압부(76)는 본체부(73)의 상하 부분을 노치 작업하여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가압부(77)는 제1 가압부(76)보다 X 방향 후측의 본체부(73)의 둘레 4분의 1 부분을 노치 작업하여 형성되어 있다. 배면 락 해제 부재(51A)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5)의 배면에 형성된 슬리브(10)에 X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면서, 또한 키(75)에 의해 X축 둘레로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배면 락 해제 부재(51A)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부재에 의해 X방향으로 부세(附勢)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배면 락 해제 부재(51A)의 제1 가압부(76)는 X축과 반대 방향의 선단이 제1 슬라이드 부재(47A)의 경사면(56)을 가압하도록 형성되며, 제2 가압부(77)는 Z축에 평행한 모서리부가 제2 슬라이드 부재(48A)의 경사면(63)을 가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키 스위치(1A)의 동작을 설명한다.
현재, 안전 펜스 도어가 닫혀 락 언락 조작 키(4)에 의해 락 언락 조작 레버(50)가 락 위치로 이동하여, 전자 솔레노이드(25)가 구동하지 않는 락 상태에 있다고 상정한다.
안전 펜스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 5에 있어서, 도어 개폐 부재(3)가 래치 기구(24)의 캠체(32)의 오목부(36)에 삽입되어 캠체(32)가 샤프트(35)의 둘레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고, 래치부(37)가 도어 개폐 부재(3)의 래치 홀(15)에 래치되는 한편, 플런저(33)의 슬라이드 핀(43)이 가이드 홀(39)을 따라 이동한 결과, 플런저(33)가 Z방향으로 끌려올라가 대경부(40)와 소경부(41) 사이의 단부(40a)가 락 부재(49)보다 상방에 위치하여, 락 부재(49)의 소노치부(64b)와 래치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플런저(33)가 Z 방향으로 끌려올라감에 의해 제1 스위치(21)의 조작체(27)가 끌려올라가서 제1 스위치(21)는 닫히게 된다.
락 언락 조작 키(4)에 의해 락 언락 조작 레버(5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되어 락 위치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제2 슬라이드 부재(48A)는 Y 방향(도 12a, 도 12b 및 도 12c에 있어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에 따른 락 부재(49)도 Y 방향(도 12a, 도 12b 및 도 12c에 있어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소노치부(64b)가 플런저(33)의 소경부(41)에 래치된다. 또한, 제1 슬라이드 부재(47A)는 그 래치 돌기(54)가 제2 슬라이드 부재(48A)의 세로 슬라이드부(57a)에 위치하여, Z 방향 및 이와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스위치(22)는 그 조작체(28)가 복귀 스프링에 의한 부세력으로 밀려올라가서 닫힌다. 또한, 제2 스위치(22)의 조작체(28)가 밀려올라감으로써, 제1 슬라이드 부재(47A)는 Z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슬라이드 부재(48A)의 세로 슬라이드부(57a)의 상단에 위치한다. 그 결과, 제2 슬라이드 부재(48A)는 Y 방향 및 이와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또한, 래치 기구(24)의 플런저(33)는 Z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고, 이에 따른 래치 기구(24)의 캠체(32)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이 저지된다. 그 결과, 도어 개폐 부재(3)는 뽑을 수가 없게 되어 락 상태가 된다. 또한, 제1 스위치(21)와 제2 스위치(22)가 닫힘으로써, 로봇 등의 전원 회로가 온 되어 안전 펜스 내에 배치된 로봇 등이 구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안전 펜스 내에서 로봇 등이 구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점검 등을 위해 도어를 열 경우, 외부로부터의 도어 열림 신호 또는 기계 정지 신호에 근거하여 전자 솔레노이드(25)가 통전된다. 전자 솔레노이드(25)로의 통전에 의해 도 12a에 있어서의 플런저(45)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제1 슬라이드 부재(47A)를 Z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내려누른다. 이에 의해,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 부재(47A)의 래치 돌기(54)가 제2 슬라이드 부재(48A)의 슬라이드 홀(57)의 세로 슬라이드부(57a)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제2 슬라이드 부재(48A)는 가로 슬라이드부(57b) 내를 Y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제1 슬라이드 부재(47A)의 하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제2 스위치(22)의 조작체(28)가 눌려져 제2 스위치(22)가 열린다. 그 결과, 전원 회로가 오프되어 로봇 등이 정지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락 언락 조작 키(4)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켜 락 언락 조작 레버(50)를 언락 위치로 회전 운동시키면, 도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슬라이드 부재(48A)의 래치 오목부(60)에 래치되어 있는 락 언락 조작 레버(50)의 래치부(72)가 제2 슬라이드 부재(48A)를 Y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른 락 부재(49)도 Y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져, 락 부재(49)의 소노치부(64b)가 래치 기구(24)의 플런저(33)의 소경부(41)에서 이탈되어 플런저(33)가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되어 언락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락 언락 조작 키(4)를 키 스위치(1A)에서 뽑아서 소지하고 도어를 열면, 도어 개폐 부재(3)의 래치 홀(15)의 가장자리가 캠체(32)의 래치부(37)를 눌러서 도어 개폐 부재(3)가 래치 기구(24)의 캠체(32)의 오목부(36)로부터 이탈하고 캠체(32)가 샤프트(35)의 둘레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는 한편, 플런저(33)의 슬라이드 핀(43)이 가이드 홀(39)을 따라 이동한 결과, 플런저(33)가 Z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내려눌리게 되어 대경부(40)와 소경부(41) 사이의 단부(40a)가 락 부재(49)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락 부재(49)의 대노치부(64a)와 래치된다. 또한, 플런저(33)의 Z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내려눌림에 의해, 제1 스위치(21)의 조작체(27)가 내려눌리게 되어 제1 스위치(21)는 열린다. 한편, 도어 개폐 부재(3)가 오목부(36)로부터 완전히 이탈하면, 캠체(32)는 도시하지 않은 복귀 스프링에 의해 도 5의 상태가 유지된다.
락 언락 조작 키(4)가 언락 상태에서 뽑혀 있는 한, 도어가 닫히더라고 제2 슬라이드 부재(48A)는 언락 위치 그대로이다. 따라서 안전 펜스의 위험 지역에 들어간 작업자는 락 언락 조작 키(4)를 소지하고 있으면 로봇 등의 기계가 구동되는 일은 없으며 위험 지역에 갇히는 일도 없다.
그러나 복수의 작업자들이 위험 지역으로 들어가고, 그들 중에서 락 언락 조작 키(4)를 소지한 1명의 작업자가 용무를 마친 후 위험 지역에서 나오고, 다른 작업자가 아직 위험 지역에 남아있는 것을 확인하지 않거나, 혹은 전원 모두 밖으로 나왔다고 착각하여 락 언락 조작 키(4)를 키 스위치(1A)에 꽂아 넣어서 락 위치로 조작했을 경우, 다른 작업자는 위험 지역에 갇힌다. 또한, 계속해서 도어 폐쇄 신호가 발생하여 전자 솔레노이드(25)가 오프되어 버리면, 전원 회로가 온 되어 안전 펜스 내에 배치된 로봇 등이 구동되어 작업자가 지극히 위험한 상태에 노출된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서는 키 스위치(1A)에 배면 락 해제 부재(51A)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간단히 위험 지역에서 탈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배면 락 해제 부재(51A)의 동작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슬라이드 부재(48A)가 락 위치에 있으며, 제1 슬라이드 부재(47A)도 락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위험 지역의 내부에 남겨진 작업자가 키 스위치(1A)의 배면에 있는 배면 락 해제 부재(51A)를 누르면 배면 락 해제 부재(51A)는 X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배면 락 해제 부재(51A)의 누름 조작 제1 단계에서는, 배면 락 해제 부재(51A)의 제1 가압부(76)가 제1 슬라이드 부재(47A)의 경사면(56)을 가압하기 때문에,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 부재(47A)는 내려눌리게 되어 Z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언락 위치로 이동한다.
이어서, 배면 락 해제 부재(51A)의 누름 조작 제2 단계에서는, 배면 락 해제 부재(51A)의 제2 가압부(77)가 제2 슬라이드 부재(48A)의 경사면(63)을 가압하기 때문에, 도 1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 부재(47A)는 밀려서 Y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언락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락 부재(49)도 Y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언락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락 부재(49)의 소노치부(64b)가 래치 기구(24)의 플런저(33)의 소경부(41)에서 이탈되어 플런저(33)는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위험 지역에 갇힌 작업자는 안쪽에서 도어를 개방하여 탈출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키 스위치(1B)의 배면에서 바라본 외관을 나타낸다. 이러한 키 스위치(1B)는 제1 실시 형태의 배면 락 해제 부재(51A)가 누름 버튼형인 것에 비하여, 회전 노브형의 배면 락 해제 부재(51B)로 하여 이에 따라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 부재(47B)와 제2 슬라이드 부재(48B)의 형상을 변경한 것 외에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첨부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제1 슬라이드 부재(47B)에는, 도 16a 및 도 1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장부(55)의 배면에 제1 실시 형태의 제1 슬라이드 부재(47A)에 있는 것과 같은 경사면(56)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제2 슬라이드 부재(48B)에는, 도 17a 및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62)에 제1 실시 형태의 제2 슬라이드 부재(48A)에 있는 것과 같은 경사면(63)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배면 락 해제 부재(51B)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형 단면의 봉 형상의 본체부(78)를 가진다. 배면 락 해제 부재(51B)는, X 방향의 선단에 사람이 회전 운동 조작할 수 있는 노브부(79)와 스토퍼(80)가 형성되고, X 방향과 반대 방향의 선단부에 제1 가압부(81)와 제2 가압부(82)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가압부(81)는 본체부(78)의 도 18에 있어서 상반 부분을 노치 작업하여 반원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가압부(82)는 제1 가압부(81)보다 X 방향 후측의 본체부(78)의 도 18에 있어서 하반 부분을 노치 작업하여 반원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면 락 해제 부재(51B)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 케이스(2)의 배면에 형성된 슬리브(10)에 삽입되어 슬리브(10)의 내면에 설치한 단부(도시되지 않음)에 스토퍼(80)가 래치됨으로써, X축 둘레로 180˚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배면 락 해제 부재(51B)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부재에 의해 X축 둘레로 일 방향으로 부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배면 락 해제 부재(51B)의 제1 가압부(81)는 반원주의 일측 단부 및 둘레면이 제1 슬라이드 부재(47B)의 연장부(55)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형성되며, 제2 가압부(82)는 반원주의 일측 단부 및 둘레면이 제2 슬라이드 부재(48B)의 래치 돌출부(62)를 가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키 스위치(1B)의 배면 락 해제 부재(51B)에 의해 위험 지역에 남겨진 작업자는 간단히 위험 지역에서 탈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배면 락 해제 부재(51B)의 동작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슬라이드 부재(48B)가 락 위치에 있고 제1 슬라이드 부재(47B)도 락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위험 지역 내부에 남겨진 작업자가 키 스위치(1B)의 배면에 있는 배면 락 해제 부재(51B)를 회전 운동시키면, 배면 락 해제 부재(51B)는 X축 둘레로 회전 운동한다.
배면 락 해제 부재(51B)의 회전 운동 조작 제1 단계에서는, 배면 락 해제 부재(51B)의 제1 가압부(81)가 제1 슬라이드 부재(47B)의 연장부(55)의 상면을 가압하기 때문에, 도 1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 부재(47B)는 내려눌리기 때문에 Z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언락 위치로 이동한다.
이어서, 배면 락 해제부재(51B)의 회전 운동 조작 제2 단계에서는, 배면 락 해제 부재(51B)의 제2 가압부(82)가 제2 슬라이드 부재(48B)의 래치 돌출부(62)의 측면을 가압하기 때문에, 도 1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슬라이드 부재(48B)는 밀려서 Y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언락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락 부재(49)도 Y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언락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락 부재(49)의 소노치부(64b)가 래치 기구(24)의 플런저(33)의 소경부(41)로부터 이탈되어 플런저(33)는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위험 지역에 갇힌 작업자는 안쪽에서 도어를 개방하여 탈출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키 스위치(1C)의 배면에서 바라본 외관을 나타낸다. 이러한 키 스위치(1C)는 제1 실시 형태의 배면 락 해제 부재(51A)에 조작 레버(83)를 설치한 것 외에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참조 부호를 첨부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조작 레버(83)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 케이스(2)의 슬리브(10)의 선단에 설치된 케이스(84), 이러한 케이스(84)의 내부에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양단이 케이스(84)의 양 측벽에 지지된 작동 축(85), 그리고 이와 같은 작동 축(85)의 케이스(84)에서 돌출되는 일단에 설치된 핸들(86)로 구성되어 있다. 작동 축(85)의 중앙에는 둘레의 반이 노치된 반원주 형상의 압동부(押動部)(87)가 형성되어 있다. 핸들(86)은 90˚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반원주 형상의 압동부(87)의 평면부(87a)가 배면 락 해제 부재(51A)의 선단에 맞닿는 초기 위치와 반원주 형상의 압동부(87)의 둘레면부(87b)의 일단이 배면 락 해제 부재(51A)의 선단에 맞닿는 락 해제 위치로 회전 운동이 가능하며,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초기 위치로 부세된다.
위험 지역에 남겨진 작업자가 조작 레버(83)를 초기 위치에서 락 해제 위치로 내려누르면, 작동 축(85)의 압동부(87)가 회전 운동하여 배면 락 해제 부재(51A)의 선단이 압동(押動)된다. 이에 의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락 언락 기구(26)가 작동되어 안쪽에서 도어를 개방하여 탈출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의 조작 레버(83)는 제2 실시 형태의 배면 락 해제 부재(51B)에도 적용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 조작 레버(83)는 제2 실시 형태의 배면 락 해제 부재(51B)를 X축 둘레로 회전 운동할 수 있게 배면 락 해제 부재(51B)에 X축 둘레로 회전 운동하도록 설치하면 좋다.
1A, 1B, 1C:키 스위치 2:스위치 케이스
3:도어 개폐 부재 4:락 언락 조작 키
21:제1 스위치 22:제2 스위치
25:전자 솔레노이드 47A, 47B:제1 슬라이드 부재
48A, 48B:제2 슬라이드 부재 49:락 부재
50:락 언락 조작 레버 51A, 51B:배면 락 해제 부재
56:경사면 63:경사면
76:제1 가압부 77:제2 가압부
81:제1 가압부 82:제2 가압부
83:조작 레버

Claims (7)

  1. 도어 폐쇄 시에 도어에 설치된 도어 개폐 부재를 리시브하고, 도어 개방 시에 상기 도어 개폐 부재를 해방하는 래치 기구의 동작에 연동하여 도어의 개폐를 검출하는 제1 스위치;
    도어 열림 신호 또는 도어 닫힘 신호에 근거하여 구동되는 구동 수단에 의한 락(lock) 및 언락(unlock)을 검출하는 제2 스위치;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에 의해 이동하는 제1 슬라이드 부재;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의 일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이동이 불가능하게 되고, 타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이동이 가능해지는 제2 슬라이드 부재;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락 위치와 언락 위치로 이동하는 락 부재; 및
    상기 도어의 바깥쪽에서 조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를 락 위치와 언락 위치로 이동시키는 락 언락 조작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키 스위치로서,
    상기 도어의 안쪽에서 조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조작 제1 단계에 의해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를 언락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동시에 조작 제2 단계에 의해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를 언락 위치로 이동시키는 배면 락 해제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에 의해 제1 축을 따라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축에 수직한 제2 축을 따라 제3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과 반대인 제4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3 방향 및 상기 제4 방향으로의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락 부재는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이동하는 데에 연동되어, 상기 래치 기구가 상기 도어 개폐 부재를 리시브한 상태로 상기 래치 기구를 락 하는 락 위치와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제4 방향으로 이동하는 데에 연동되어, 상기 래치 기구가 상기 도어 개폐 부재를 해방이 가능한 상태로 하는 언락 위치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락 언락 조작 수단은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를 상기 제3 방향 및 상기 제4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는 상기 조작 제1 단계에 의해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조작 제2 단계에 의해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를 상기 제3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는 푸쉬 조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 또는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 중에서 적어도 어느 것에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의 조작 제1 단계에 의해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경사면을 마련하고,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 또는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 중에서 적어도 어느 것에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의 조작 제2 단계에 의해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를 제3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경사면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는 회전 조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에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의 조작 제1 단계에 의해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가압부를 설치하고,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에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의 조작 제2 단계에 의해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제3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가압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락 해제 부재를 조작하는 조작 레버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KR1020130123926A 2012-11-15 2013-10-17 키 스위치 KR101524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51087 2012-11-15
JP2012251087A JP5974845B2 (ja) 2012-11-15 2012-11-15 キー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405A true KR20140063405A (ko) 2014-05-27
KR101524539B1 KR101524539B1 (ko) 2015-06-01

Family

ID=50756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3926A KR101524539B1 (ko) 2012-11-15 2013-10-17 키 스위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974845B2 (ko)
KR (1) KR101524539B1 (ko)
CN (2) CN20376945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323B1 (ko) * 2022-11-01 2023-11-23 주식회사 세펙트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 및 그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의 키 검출 플레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74845B2 (ja) * 2012-11-15 2016-08-23 オムロン株式会社 キースイッチ
JP6791907B2 (ja) * 2018-06-08 2020-11-25 Idec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ユニットおよび安全スイッチ
KR102148676B1 (ko) 2019-01-02 2020-08-27 엘에스일렉트릭(주) 인터록 모듈이 포함된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1622B2 (ja) * 1992-08-31 1998-03-04 和泉電気株式会社 安全用スイッチ装置
JPH10302580A (ja) * 1997-04-30 1998-11-13 Idec Izumi Corp 安全スイッチ
JPH10334772A (ja) * 1997-03-31 1998-12-18 Idec Izumi Corp 安全スイッチ
JP4047994B2 (ja) * 1999-01-14 2008-02-13 Idec株式会社 安全スイッチ
JP4003390B2 (ja) * 2000-11-17 2007-11-07 オムロン株式会社 キースイッチ
JP4396542B2 (ja) * 2005-02-18 2010-01-13 オムロン株式会社 キースイッチ
WO2007066803A1 (ja) * 2005-12-09 2007-06-14 Idec Corporation 安全スイッチ
JP4710648B2 (ja) * 2006-02-23 2011-06-29 オムロン株式会社 安全スイッチ
JP2008277291A (ja) * 2007-04-06 2008-11-13 Idec Corp 安全スイッチ
JP2009016060A (ja) * 2007-06-29 2009-01-22 Sunx Ltd 安全スイッチ
US8017880B2 (en) * 2008-06-26 2011-09-1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afety switch
JP5974845B2 (ja) * 2012-11-15 2016-08-23 オムロン株式会社 キースイッ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323B1 (ko) * 2022-11-01 2023-11-23 주식회사 세펙트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 및 그 인터락 스위치 조립체의 키 검출 플레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4539B1 (ko) 2015-06-01
CN103821411B (zh) 2016-09-28
JP5974845B2 (ja) 2016-08-23
CN103821411A (zh) 2014-05-28
JP2014099350A (ja) 2014-05-29
CN203769454U (zh) 2014-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1061B1 (ko) 세탁기용 도어 로크 장치
US7456368B2 (en) Safety switch
JP4923907B2 (ja) 回路遮断器の外部操作ハンドル装置
KR101524539B1 (ko) 키 스위치
JP6618861B2 (ja) ドアロック装置
WO2007066803A1 (ja) 安全スイッチ
JP2010102898A (ja) 回路遮断器の外部操作ハンドル装置
JP4823874B2 (ja) 電気錠
KR200438979Y1 (ko) 디지털식 도어록
JP5616118B2 (ja) 電気錠に於けるモード変換機構
JP2020051138A (ja) 施解錠装置
KR101520856B1 (ko) 셀렉터 스위치
WO2019235339A1 (ja) アクチュエータユニットおよび安全スイッチ
JP5479217B2 (ja) 物品収納什器における開閉体の施解錠装置
JP3781383B2 (ja) リッドロック装置
JP2009242076A (ja) エレベータの開閉式操作盤
JP7459374B2 (ja) ドアラッチ装置
JP4823871B2 (ja) 電気錠
JPH047534Y2 (ko)
JP2012085777A (ja) 洗濯機
JP4805805B2 (ja) スイッチ装置
JPS6321663Y2 (ko)
JP6112674B2 (ja)
KR101123180B1 (ko) 도어록 개폐장치
JPH0736039Y2 (ja) 押ボタン作動式扉用ラ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