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0856B1 - 셀렉터 스위치 - Google Patents

셀렉터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0856B1
KR101520856B1 KR1020130125102A KR20130125102A KR101520856B1 KR 101520856 B1 KR101520856 B1 KR 101520856B1 KR 1020130125102 A KR1020130125102 A KR 1020130125102A KR 20130125102 A KR20130125102 A KR 20130125102A KR 101520856 B1 KR101520856 B1 KR 101520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rotary
switch
rotation
move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5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0357A (ko
Inventor
유스케 센다
마사후미 코다니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70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0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85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7/00Switches operated by a removable member, e.g. key, plug or plate; Switches operated by setting members according to a single predetermined combination out of several possible settings
    • H01H27/06Key inserted and then turned to effect operation of the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3Means for limiting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operat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7/00Switches operated by a removable member, e.g. key, plug or plate; Switches operated by setting members according to a single predetermined combination out of several possible settings
    • H01H27/002Switches operated by a removable member, e.g. key, plug or plate; Switches operated by setting members according to a single predetermined combination out of several possible settings wherein one single insertion movement of a key comprises an unlocking stroke and a switch actuating stroke, e.g. security switch for safety guards
    • H01H2027/005Switches operated by a removable member, e.g. key, plug or plate; Switches operated by setting members according to a single predetermined combination out of several possible settings wherein one single insertion movement of a key comprises an unlocking stroke and a switch actuating stroke, e.g. security switch for safety guards the key receiving part having multiple openings to allow keys from different directions to operate the switch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Manipulator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키나 조작 링의 조작을 락하여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셀렉터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회전 운동 조작이 가능한 조작부(7), 조작부(7)에 의한 회전 운동 조작에 의해 회전 운동하는 회전 운동 부재(12), 회전 운동 부재(12)의 회전 운동에 의해 회전 운동 부재(12)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캠 부재(13), 그리고 캠 부재(13)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접점을 전환하는 스위치(5)를 구비한다. 회전 운동 부재(12)의 회전 운동 또는 캠 부재(13)의 이동을 저지하는 동작 위치 및 회전 운동 부재(12)의 회전 운동 또는 캠 부재(13)의 이동을 허용하는 비동작 위치로 이동이 가능한 회전 운동 저지 부재들(6, 18)을 설치한다.

Description

셀렉터 스위치{SELECTOR SWITCH}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로봇 등을 사용하는 생산 설비에 있어서, 가동 모드와 점검 모드를 전환하기 위해 회전 운동 조작에 의해 접점의 전환을 수행하는 셀렉터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특허 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링을 회전 운동 조작하는 것에 의해 누름 버튼을 이동시켜, 스위치 회로를 선택할 수 있는 셀렉터 누름 버튼 스위치는 공지된 기술이다. 또한, 조작 링 대신에 키의 회전 운동 조작에 의해 누름 버튼을 이동시켜 스위치 회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있다.
이러한 조작 링을 사용한 누름 버튼 스위치는 언제든지 조작 링을 돌려서 스위치 회로를 전환할 수 있으며, 키를 사용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에서는 키가 장착되어 있는 한 언제든지 키 조작해서 스위치 회로를 전환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안전 펜스에서 둘러싸인 로봇 작업장 등에서 안전 펜스 안으로 사람이 들어가 있는데도 인식하지 못하고, 조작 링이나 키가 오조작되어 언락(unlock) 상태가 되면 안전펜스 내부에 있는 사람이 위험에 노출되게 된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일본 특허 공개 공보 소(昭)60-195821호
본 발명은 키나 조작 링의 조작을 락(lock)하여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셀렉터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전 운동 조작이 가능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 의한 회전 운동 조작에 의해 회전 운동하는 회전 운동 부재와,
상기 회전 운동 부재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회전 운동 부재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캠 부재와,
상기 캠 부재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가압되어 접점이 전환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셀렉터 스위치로서,
상기 회전 운동 부재의 회전 운동 또는 상기 캠 부재의 이동을 저지하는 동작 위치 및 상기 회전 운동 부재의 회전 운동 또는 상기 캠 부재의 이동을 허용하는 비동작 위치로 이동이 가능한 회전 운동 저지 부재를 설치한 것이다.
상술한 구성에서는, 상기 회전 운동 저지 부재가 동작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회전 운동 부재의 회전 운동 또는 상기 캠 부재의 이동이 저지되므로 상기 스위치의 접점은 전환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회전 운동 저지 부재가 비동작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회전 운동 부재의 회전 운동 또는 상기 캠 부재의 이동이 허용되므로 상기 스위치의 접점이 전환된다.
상기 회전 운동 저지 부재는 전자(電磁)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솔레노이드의 플런저 작동에 의해 상기 동작 위치와 상기 비동작 위치로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전자 솔레노이드의 전기적 제어에 의해 상기 회전 운동 부재의 동작을 저지 또는 허용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운동 부재는 상기 회전 운동 저지 부재가 래치되는 래치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래치부는 상기 회전 운동 부재의 외주부(外周部)에서 돌출되는 래치 돌기이며, 상기 회전 운동 저지 부재는 상기 회전 운동 부재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래치 돌기에 래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래치부는 상기 회전 운동 부재에 형성된 래치 홀이며, 상기 회전 운동 저지 부재는 상기 회전 운동 부재의 반지름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래치 홀에 래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회전 운동 부재에 상기 래치 돌기나 상기 래치 홀만을 마련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상기 회전 운동 부재의 동작을 저지 또는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 운동 부재의 회전 운동 또는 캠 부재의 이동을 저지하는 동작 위치 및 회전 운동 부재의 회전 운동 또는 캠 부재의 이동을 허용하는 비동작 위치로 이동이 가능한 회전 운동 저지 부재를 설치하므로, 이러한 회전 운동 저지 부재를 동작 위치와 비동작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접점을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 운동 저지 부재에 의해 동작 위치로 해 두면, 키나 조작 링의 조작을 락할 수 있어 제3 자가 키나 조작 링을 조작하려고 해도 조작할 수 없으므로, 안전 펜스로 둘러싸인 로봇 작업장 등에 사람이 들어가 있는 경우라도 안전 펜스의 내부에 있는 사람이 위험에 노출될 일은 없으므로 안전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셀렉터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연결부의 연결 하우징을 절단한 도 1의 셀렉터 스위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셀렉터 스위치의 연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전자 솔레노이드가 비동작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1의 셀렉터 스위치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전자 솔레노이드가 동작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1의 셀렉터 스위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키 조작과 솔레노이드의 동작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셀렉터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연결부의 연결 하우징을 절단한 도 6의 셀렉터 스위치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셀렉터 스위치의 연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a는 전자 솔레노이드가 동작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6의 셀렉터 스위치 수직 단면도이다.
도 9b는 전자 솔레노이드가 비동작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6의 셀렉터 스위치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10은 회전 운동 저지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을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셀렉터 스위치(1)를 나타낸다. 셀렉터 스위치(1)는, 예를 들면, 생산 공장에서 안전펜스에 둘러싸여 작업 로봇 등이 배치된 위험 지역 내의 제어판에 설치된다. 셀렉터 스위치(1)는 설비의 가동 모드와 점검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실시 형태의 셀렉터 스위치(1)는 대략 조작 키(2)가 장착되며 본 발명의 조작부로서 기능하는 키 본체부(3), 연결부(4), 스위치(5), 그리고 본 발명의 회전 운동 저지 부재로서의 전자 솔레노이드(6)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셀렉터 스위치(1)의 조작 키(2)가 장착되는 면을 상면이라 하고, 이러한 상면을 위로 하여 전자 솔레노이드(6)가 우측에 위치하도록 해서 바라본 면을 정면이라 하며, 상기 정면에 대하여 좌우의 면들을 좌측면 및 우측면이라 하고, 각 구성 부재의 상면에 대하여 반대측의 면을 하면이라 한다.
조작 키(2)는 선단에 래치 돌기를 갖는 원통 형상의 키 본체부(7)와 후단에 설치된 그립(8)으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키이다.
키 본체부(3)는, 조작 키(2)가 착탈이 가능하며 조작 키(2)의 회전 운동 조작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키 샤프트를 회전 운동시키는 키 실린더(9)와 키 실린더(9)를 수용하는 케이스(10)로 이루어져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 실린더(9)의 하단에는 도시하지 않은 키 샤프트와 일체로 회전 운동하는 조작 도그(11)가 마련되어 있다.
연결부(4)는 키 본체부(3)의 하단에 연결되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요소인 회전 부재로서의 회전 운동 도그(12),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 요소인 캠 부재로서의 캠 플런저(13), 가압 부재(14), 그리고 이들을 수용하는 연결 하우징(15)으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 운동 도그(12)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에 플랜지(16)를 가진다. 회전 운동 도그(12)의 상부는 키 본체부(7)의 조작 도그(11)와 일체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래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 운동 도그(12)의 상단에는 고정 부재(17)에 의해 락 플레이트(18)가 마련되어 있다. 락 플레이트(18)는 중심 홀(19)을 갖는 폭이 좁고 긴 판 형상이다. 락 플레이트(18)의 일단은 타단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전자 솔레노이드(6)의 플런저(43)와 래치되는 래치 돌기(18a)로 이루어져 있다. 회전 운동 도그(12)의 하부 외주면의 180˚ 이격된 위치에는 후술하는 캠 플런저(13)의 경사 캠 면(2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래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돌출부들(20)이 형성되어 있다.
캠 플런저(13)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부의 대경부(大徑部)(21)와 하부의 소경부(小徑部)(22)로 이루어져 있다. 대경부(21)의 상단에는 원주 방향으로 180˚ 이격된 위치에 경사 캠 면(23)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 캠 면(23)의 상방 종단(終端)에 이어지는 평탄부(24)에는 회전 운동 도그(12)의 슬라이드 돌출부(20)의 선단이 래치되는 오목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소경부(22)의 원주 방향으로 180˚ 이격된 위치에는, 하단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2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홈(26)로부터 90˚ 이격된 위치에는 래치 홀(27)이 형성되어 있다.
가압 부재(14)는 캠 플런저(13)의 소경부(22)의 하단에 장착되어, 후술하는 스위치(5)의 조작체(41)를 가압하는 것이다. 가압 부재(14)는 평판부(28) 및 평판부(28)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암 부들(29)로 이루어져 있다. 평판부(28)에는 외주(外周)로 180˚ 이격된 위치에 한 쌍의 래치 오목부들(30)이 형성되며, 이러한 한 쌍의 래치 오목부들(30)로부터 90˚ 이격되어 대치하는 한 쌍의 래치 돌기들(31)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래치 오목부들(30)과 래치 돌기들(31)은 각기 케이스(10)의 내면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볼록부 및 돌기와 래치되는 것으로서, 가압 부재(14) 및 가압 부재(14)와 연결되는 캠 플런저(13)가 케이스(10) 내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암 부(29)의 외면에는, 캠 플런저(13)의 래치 홀(27)에 래치되는 돌기(3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압 부재(14)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상방으로 부세(附勢)되어, 항상 경사 캠 면(23)이 회전 운동 도그(12)의 슬라이드 돌출부(20)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결 하우징(15)은 회전 운동 도그(12), 캠 플런저(13) 등을 수용하는 것이다. 연결 하우징(15)은 상방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인 사각형부(33)와 하방의 원통부(34)로 이루어져 있다. 사각형부(33)는 키 본체부(7)의 조작 도그(11)의 하단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사각형부(33)는 상판(33a)과 하판(33b)으로 이루어지고, 상판(33a)과 하판(33b) 사이에는 조립 시에 키 본체부(3)의 케이스(10)와 연결부(4)의 연결 하우징(15)을 연결 고정하는 고정 레버가 삽입되는 틈(35)이 형성되어 있다. 사각형부(33)의 하방에 있는 원통부(34)의 상부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80˚ 이격된 위치에 락 플레이트(18)가 삽입 통과되는 한 쌍의 슬릿들(36)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 하우징(15) 내면의 상부에는 회전 운동 도그(12)의 플랜지(16)가 재치(載置)되는 단차부(37)가 형성되고, 내면의 하부에는 캠 플런저(13)의 가이드 홈(26)에 감입(嵌入)되는 가이드 돌기(38)가 하단에서 상방으로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 하우징(15) 하단의 외면에는 180˚ 이격된 위치에 한 쌍의 설치 받침들(39)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 하우징(15)의 우측면에는 후술하는 전자 솔레노이드(6)를 설치하기 위한 역 L자 형상의 브래킷(40)이 형성되어 있다.
스위치(5)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조작체(41)가 하방으로 눌리면 내부의 접점이 닫히거나 또는 열리며, 조작체(41)의 가압이 해제되면 복귀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방으로 복귀되어 접점이 열리거나 또는 닫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5)는 상시 닫힘 접점을 가지며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이행하는 제1 스위치(5a)와 상시 열림 접점을 가지며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이행하는 제2 스위치(5b)로 구성되어 스냅 액션 동작을 실행한다. 다시 말하면, 제1 스위치(5a)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과 제2 스위치(5b)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이 같아 동작의 불완전 영역이 없다. 스위치(5)의 외측에는 연결 하우징(15)의 설치 받침(39)을 지지하는 지지대(42)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운동 저지 부재로서의 전자 솔레노이드(6)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하우징(15)의 브래킷(40)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플런저(43)를 가진다. 플런저(43)는 전자 솔레노이드(6)의 여자(勵磁)에 의해 상방으로 돌출하는 동작 위치와 하방으로 후퇴하는 비동작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브래킷(40)에는 전자 솔레노이드(6)에 전원을 공급하는 터미널 박스(44)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셀렉터 스위치(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키(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되어 가동 모드로 조작되고 있을 때, 회전 운동 도그(12)에 설치되었던 락 플레이트(18)는,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솔레노이드(6)의 플런저(43)와 대향한 위치에 있다. 또한, 회전 운동 도그(12)의 슬라이드 돌출부(20)는 캠 플런저(13)의 경사 캠 면(23)의 하방 종단에 위치하고 있어, 캠 플런저(13)의 하단 가압 부재(14)는 스위치(5)를 가압하지 않는다. 그 결과, 상시 닫힘 접점을 갖는 제1 스위치(5a)는 온 상태가 되고, 상시 열림 접점을 갖는 제2 스위치(5b)는 오프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설비는 가동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락 플레이트(18)는 락 해제 상태이며 조작 키(2)를 가동 모드에서 점검 모드로 돌리는 것이 가능하다.
설비의 점검 등을 위하여 설비를 정지할 경우,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키(2)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켜서 가동 모드에서 점검 모드로 조작한다. 이에 따라, 회전 운동 도그(12)에 설치되어 있던 락 플레이트(18)는,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솔레노이드(6)의 플런저(43)와 대향하지 않는 위치로 회전 운동한다. 또한, 회전 운동 도그(12)의 슬라이드 돌출부(20)는 캠 플런저(43)의 경사 캠 면(23) 위를 상방 종단까지 슬라이드 시키고 오목부(25)에 래치시켜, 캠 플런저(43)의 하단 가압 부재(14)는 스위치(5)를 가압한다. 그 결과, 상시 닫힘 접점을 갖는 제1 스위치(5a)는 오프 상태가 되고, 상시 열림 접점을 갖는 제2 스위치(5b)는 온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설비는 정지 상태가 되고 작업자는 설비 점검을 실행할 수 있다.
전술한 상태에서는, 전자 솔레노이드(6)는 아직 여자(勵磁)되지 않고 있으므로 락 플레이트(18)는 락 해제 상태 그대로이며, 조작 키(2)를 점검 모드에서 가동 모드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설비의 점검이 실시되고 있다는 것을 모르는 제3 자가 조작 키(2)를 가동 모드로 되돌렸을 경우, 설비가 가동되어 점검을 하고 있는 작업자는 위험하게 노출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키(2)가 점검 모드에 있을 때에 전자 솔레노이드(6)를 여자하여 온 한다. 이에 의해, 전자 솔레노이드(6)의 플런저(43)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락 플레이트(18)의 측방에 위치한다. 그 결과, 락 플레이트(18)는 락 상태가 되고 조작 키(2)를 가동 모드로 되돌릴 수 없게 되므로, 점검을 하고 있는 작업자는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다.
작업자가 점검을 마치고, 설비에서 멀어진 것이 확인되면,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솔레노이드(6)를 소자(消磁)하여 오프한다. 이에 따라, 전자 솔레노이드(6)의 플런저(43)가 하방으로 후퇴한다. 그 결과, 락 플레이트(18)는 락 해제 상태가 되고, 조작 키(2)를 가동 모드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조작 키(2)를 도 5의 D에 나타내는 점검 모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서,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모드로 되돌리면, 회전 운동 도그(12)에 설치된 락 플레이트(18)는,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솔레노이드(6)의 플런저(43)와 대향하는 위치로 회전 운동한다. 또한, 회전 운동 도그(12)의 슬라이드 돌출부(20)는 캠 플런저(43)의 오목부(25)에서 이탈하여 경사 캠 면(23) 위를 상방 종단에서 하방 종단까지 슬라이드되고, 캠 플런저(43)의 하단 가압 부재(14)는 스위치(5)의 가압을 해제한다. 그 결과, 상시 닫힘 접점을 갖는 제1 스위치(5a)는 온 상태가 되고, 상시 열림 접점을 갖는 제2 스위치(5b)는 오프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설비는 가동 상태로 돌아간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셀렉터 스위치(50)를 나타낸다. 이 셀렉터 스위치(50)는 본 발명의 회전 운동 저지 부재인 전자 솔레노이드(6)의 설치 위치가 다르다는 것 외에는, 제1 실시 형태의 셀렉터 스위치(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대응하는 부분들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들을 첨부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전자 솔레노이드(6)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런저(43)의 축이 수평하게 배치되어, 연결 하우징(15)에 설치된 관통 홀(51)을 통해 내부로 돌입(突入)하도록 브래킷(40)에 설치되어 있다. 회전 운동 도그(12)의 외주면에는 전자 솔레노이드(6)의 플런저(43)가 감입(嵌入)되어 래치되는 래치 홀(5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락 플레이트(18)는 설치되지 않고 래치 홀(52)이 그 역할을 한다.
제2 실시 형태의 셀렉터 스위치(50)의 동작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조작 키(2)가 점검 모드에 있을 때에, 전자 솔레노이드(6)를 여자하여 온 하면, 전자 솔레노이드(6)의 플런저(43)가 측방으로 돌출되어 연결 하우징(15)의 관통 홀(51)을 통해 회전 운동 도그(12)의 래치 홀(52)에 래치된다. 그 결과, 회전 운동 도그(12)는 락 상태가 되고 조작 키(2)를 가동 모드로 되돌릴 수 없게 되므로, 점검을 하고 있는 작업자는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들은, 여러 변형들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운동 저지 부재인 전자 솔레노이드(6)의 플런저(43)가 락 플레이트(18)의 측방으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지만, 락 플레이트(18)에 플런저(43)가 래치되는 노치나 래치 홀을 설치해도 좋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운동 저지 부재인 전자 솔레노이드(6)의 플런저(43)가 회전 운동 도그(12)의 래치 홀(52)에 직접 래치되도록 되어 있지만,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운동 도그(12)의 래치 홀(52)에 래치되는 핀(53)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하여, 전자 솔레노이드(6)의 플런저(43)의 이동을 링크 기구(54)를 통해 핀(53)에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회전 운동 도그(12)를 래치하기 위하여, 래치 홀(52) 외에 노치부나 단차를 마련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키(2)를 사용하지만, 조작 링을 회전 운동 조작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운동 저지 부재인 전자 솔레노이드(6)에 의해 회전 운동 도그(12)의 회전 운동을 저지하도록 하지만, 캠 플런저(13)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해도 좋다.
1:셀렉터 스위치 2:조작 키
3:키 본체부 5:스위치
6:전자 솔레노이드 7:키 본체부(조작부)
12:회전 운동 도구(회전 운동 부재) 13:캠 플런저(캠 부재)
18:락 플레이트 18a:래치 돌기
43:플런저 50:셀렉터 스위치
52:래치 홀

Claims (5)

  1. 회전 운동 조작이 가능한 조작부;
    상기 조작부에 의한 회전 운동 조작에 의해 회전 운동하는 회전 운동 부재;
    상기 회전 운동 부재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회전 운동 부재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캠 부재; 및
    상기 캠 부재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가압되어 접점이 전환되는 스위치를 구비한 셀렉터 스위치로서,
    상기 회전 운동 부재의 회전 운동 또는 상기 캠 부재의 이동을 저지하는 동작 위치 및 상기 회전 운동 부재의 회전 운동 또는 상기 캠 부재의 이동을 허용하는 비동작 위치로 이동 가능한 회전 운동 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운동 부재는 상기 회전 운동 저지 부재가 래치되는 래치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렉터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운동 저지 부재는 전자(電磁)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솔레노이드의 플런저 작동에 의해 상기 동작 위치와 상기 비동작 위치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렉터 스위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상기 회전 운동 부재의 외주부(外周部)에서 돌출되는 래치 돌기이며, 상기 회전 운동 저지 부재는 상기 회전 운동 부재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래치 돌기에 래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렉터 스위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상기 회전 운동 부재에 형성된 래치 홀이며, 상기 회전 운동 저지 부재는 상기 회전 운동 부재의 반지름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래치 홀에 래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렉터 스위치.
KR1020130125102A 2012-11-30 2013-10-21 셀렉터 스위치 Active KR1015208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63331A JP6251952B2 (ja) 2012-11-30 2012-11-30 セレクタスイッチ
JPJP-P-2012-263331 2012-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357A KR20140070357A (ko) 2014-06-10
KR101520856B1 true KR101520856B1 (ko) 2015-05-15

Family

ID=50862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5102A Active KR101520856B1 (ko) 2012-11-30 2013-10-21 셀렉터 스위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251952B2 (ko)
KR (1) KR101520856B1 (ko)
CN (2) CN1038549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51952B2 (ja) * 2012-11-30 2017-12-27 オムロン株式会社 セレクタスイッチ
CN113675015B (zh) * 2021-07-16 2023-11-21 上海宝临防爆电器有限公司 开关手柄
KR102727350B1 (ko) 2023-04-17 2024-11-07 (주)엠피스 모드변환 스위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7979A (ja) * 1999-01-14 2000-07-28 Idec Izumi Corp 安全スイッチ
JP2003045294A (ja) 2001-07-31 2003-02-14 Omron Corp 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9333Y2 (ko) * 1975-04-02 1978-07-22
US4175221A (en) * 1977-12-07 1979-11-20 Westinghouse Electric Corp. Convertible selector switch
JPS59165630U (ja) * 1983-04-20 1984-11-06 富士電機株式会社 セレクタスイツチ
JPS6051842U (ja) * 1983-09-17 1985-04-11 株式会社東芝 切換スイツチ
JPS60195821A (ja) * 1984-03-16 1985-10-04 和泉電気株式会社 セレクタ押ボタンスイツチ
CH666765A5 (de) * 1985-02-08 1988-08-15 Sprecher & Schuh Ag Mit einer drehbaren handhabe versehene betaetigungsvorrichtung fuer tastschalter.
JP3577731B2 (ja) * 1993-04-12 2004-10-13 オムロン株式会社 キースイッチ
JPH11154445A (ja) * 1997-11-19 1999-06-08 Omron Corp 操作式スイッチ
JP2004355923A (ja) * 2003-05-28 2004-12-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スイッチ
JP2005100856A (ja) * 2003-09-25 2005-04-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スイッチ
JP4358609B2 (ja) * 2003-11-26 2009-11-0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の操作装置
JP6251952B2 (ja) * 2012-11-30 2017-12-27 オムロン株式会社 セレクタ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7979A (ja) * 1999-01-14 2000-07-28 Idec Izumi Corp 安全スイッチ
JP2003045294A (ja) 2001-07-31 2003-02-14 Omron Corp 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54909A (zh) 2014-06-11
JP6251952B2 (ja) 2017-12-27
CN203787327U (zh) 2014-08-20
JP2014110126A (ja) 2014-06-12
CN103854909B (zh) 2016-05-18
KR20140070357A (ko) 201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7837B2 (en) Electro-mechanical lock assembly
JP4620598B2 (ja) 非常停止用押ボタンスイッチ
KR101520856B1 (ko) 셀렉터 스위치
JP2007180017A (ja) 可動防護扉用の安全スイッチ
JP3730662B2 (ja) 安全スイッチアッセンブリ
US20080121499A1 (en) Safety Switch
CA2606336A1 (en) Electromechanical lock device
US10724271B2 (en) Independent RX spring cartridge for a mortise lock
US20090321226A1 (en) Safety switch
KR20140063405A (ko) 키 스위치
EP3273460B1 (en) Electronic switching device
EP3690909B1 (en) Safety switch
JP4763696B2 (ja) 保護機構の状態を監視するための装置
CN102034636B (zh) 开关装置
CA2618246C (en) Electric lock that can be operated electrically or manually
JPH0676675A (ja) 安全用スイッチ装置
JP2006309950A (ja) 安全スイッチ
JP2764689B2 (ja) ペンダントスイッチにおける非常停止用スイッチ
CN117116687B (zh) 一体化开关操控装置和开关柜
US2716039A (en) Door latch
JP2008226604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KR20180105971A (ko) 기중차단기의 키 록 장치
JP2024110145A (ja) 箱錠及び錠装置
JP2006092965A (ja) 防爆形操作ボックス
JP3362289B2 (ja) 安全装置及び安全装置用操作キ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5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5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