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979Y1 - 디지털식 도어록 - Google Patents

디지털식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979Y1
KR200438979Y1 KR2020070003260U KR20070003260U KR200438979Y1 KR 200438979 Y1 KR200438979 Y1 KR 200438979Y1 KR 2020070003260 U KR2020070003260 U KR 2020070003260U KR 20070003260 U KR20070003260 U KR 20070003260U KR 200438979 Y1 KR200438979 Y1 KR 2004389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dead bolt
release
holder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32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20200700032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9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9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9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65Operating modes; Transformable to different operating modes
    • E05B63/0069Override systems, e.g. allowing opening from inside without the key, even when locked from out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4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for alternative use on the right-hand or left-hand side of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05Y2201/626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지털식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도어록은, 내측본체와, 내측핸들과, 모티스(Mortise) 및, 모티스 내측의 해제위치로부터 외측의 록킹위치로 운동하면서 도어프레임에 록킹되는 데드볼트(Dead Bolt)와, 데드볼트를 해제위치에서 록킹위치로 또는 록킹위치에서 해제위치로 밀어서 운동시키는 회전레버와, 록킹위치로 운동한 데드볼트를 강제로 고정시키는 강제 잠금장치를 구비하는 디지털식 도어록에 있어서, 강제 잠금장치는, 실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방위치와 홀딩위치 사이에서 운동하며, 홀딩위치에서, 데드볼트를 록킹위치로 운동시킨 회전레버를 홀딩하여 데드볼트를 록킹위치에서 고정시키는 홀더와; 홀딩위치로 운동한 홀더를 록킹시키는 록킹수단과; 실내 사용자가 내측핸들을 회전 조작함에 따라 홀딩위치의 홀더를 록킹 해제하는 록킹해제수단과; 록킹해제된 홀더가 해방위치로 복귀하면서 데드볼트를 록킹위치에서 해제시킬 수 있도록 홀더를 해방위치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디지털식 도어록{DIGITAL DOOR LOCK}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을 나타내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식 도어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도어록을 구성하는 홀더 록킹수단과 홀더 록킹해제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실내의 사용자가 내부 강제잠금 해제수단을 조작하여 데드볼트를 강제 잠금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와 도 7은 실내의 사용자가 내측핸들을 회전 조작하여 강제 잠금된 데드볼트를 해정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타나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도어록이 좌수(左手)형 도어에 대응하여 구성된 사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식 도어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식 도어록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외측본체 20: 내측본체
30: 모티스(Mortise) 32: 데드볼트(Dead Bolt)
34: 래치볼트(Latch Bolt) 35: 회전레버
36: 회전중심축부 40: 외측핸들
50: 내측핸들 52: 회전축부
100: 강제 잠금장치 110: 홀딩부
112: 평면부 120: 홀더
122: 홀딩핑거 124: 스프링
130: 내부 강제잠금 해제수단 132: 가이드 플레이트
134: 제 1경사면 135: 제 2경사면
140: 록킹돌기 142: 록킹레버
144: 후크부 144a: 가이드면
150: 푸시편 200: 내부 강제잠금 해제수단
210: 작동플레이트 212: 스프링
220: 감지수단 230: 제어부
본 고안은 디지털식 도어록(Door Lock)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핸들을 한번만 조작하고서도 데드볼트의 강제 잠금을 동시에 해정시킬 수 있는 디지털식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식 도어록은, 도어의 외부에 마련된 키입력버튼을 눌러서 조작하거나 또는 반도체 칩이 내장된 안전키를 이용하여 조작하도록 구성된다.
도 1과 도 2에는 디지털식 도어록(이하, "도어록"이라 약칭함)을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어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본체(10)와, 도어(D)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본체(20), 그리고 도어(D)에 내장되며 데드볼트(32)와 래치볼트(34)를 갖는 모티스(30)를 구비한다.
외측본체(10)는 다수의 버튼(12)과, 안전키(도시하지 않음)를 접촉시킬 수 있는 접촉부(14)를 갖추고 있다. 내측본체(20)는 콘트롤러(22)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외측본체(10)에는 외측핸들(40)이 설치되며, 내측본체(20)에는 내측핸들(50)이 설치되어 있다. 외측핸들(40)과 내측핸들(50)은 모티스(30)의 래치볼트(34)와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실내 또는 실외의 사용자가 이들 핸들(40, 50)을 조작하면, 래치볼트(34)를 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내측핸들(50)은, 모티스(30)의 데드볼트(32)와 래치볼트(34)를 동시에 연동시킬 수 있는 패닉(Panic)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실내의 사용자가 조작하면, 모티스(30)의 데드볼트(32)와 래치볼트(34)를 동시에 조작할 수 있게 한다.
모티스(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a)을 구비하며, 하우징(30a)의 내부에는 작동실(31)이 형성되어 있다. 작동실(31)에는 데드볼트(32)와, 데드볼트(32)를 밀어서 운동시키는 회전레버(35)가 설치된다.
데드볼트(32)는, 하우징(30a) 외측의 록킹위치(A)와 내측의 해제위치(B) 사 이에서 운동가능하며, 록킹위치(A)에서 도어프레임(D1)에 록킹되고, 해제위치(B)에서 도어프레임(D1)으로부터 해제된다.
회전레버(35)는, 회전중심축부(36)와, 회전중심축부(36)로부터 뻗어서 데드볼트(32)와 연결되는 레버부(37)로 구성되며, 구동모터(35a)의 구동에 따라 정,역 회동운동하면서 상기 데드볼트(32)를 록킹위치(A)와 해제위치(B) 사이에서 운동시킨다.
한편, 도어록은, 데드볼트(32)를 록킹위치(A)에서 강제로 고정시키는 강제 잠금장치(70)를 구비한다.
강제 잠금장치(70)는, 데드볼트(32)에 형성된 록킹홈(72)과, 록킹위치(A)로 운동한 데드볼트(32)의 록킹홈(72)에 끼워져 록킹될 수 있도록 하우징(30a)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록커(74)와, 록커(74)를 수동조작할 수 있도록 내측본체(20)(도 1참조)에 설치되는 조작노브(75)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도어록에 의하면, 도어(D)의 외측에서 버튼(12)을 조작하거나 또는 안전키를 외측본체(10)의 접촉부(14)에 접촉시켜 신호를 입력시킨다. 그러면, 내측본체(20)의 콘트롤러(22)는 입력된 신호가 인증된 신호인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인증된 신호이면, 콘트롤러(22)는 구동모터(35a)를 작동시키고, 구동모터(35a)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35a)의 구동력이 회전레버(35)에 전달된다. 그리고 동력이 전달된 회전레버(35)는 정,역 회전운동하면서 데드볼트(32)를 록킹위치(A)와 해제위치(B) 사이에서 운동시킨다. 따라서, 도어(D)를 도어프레임(D1)에 록킹시키거나 해정시킨다.
한편, 록킹된 도어(D)를 강제로 고정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어(D)의 내측에서 수동으로 조작노브(75)를 상승시킨다. 그러면, 이와 연결된 록커(74)가 상부로 상승하면서 록킹위치(A)에 배치된 데드볼트(32)의 록킹홈(72)에 끼워진다. 따라서, 데드볼트(32)는 록킹위치(A)에 배치된 상태에서 운동이 제한되며, 이에 따라, 도어(D)는 강제적으로 잠금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도어록은, 데드볼트(32)를 강제로 잠금시킨 상태에서 도어(D) 내측의 실내에서 도어(D)를 열고자 할 경우에는, 조작노브(75)를 조작하여 데드볼트(32)의 강제 잠금을 해정시킨 다음, 다시 내측핸들(50)을 조작하여 데드볼트(32)와 래치볼트(34)를 해정해야 하므로, 도어(D)를 열기 위해서는, 반드시 조작노브(75)를 조작한 다음, 내측핸들(50)을 다시 조작해야하며, 이에 따라, "이중 조작"을 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이러한 번거로움은, 화재 등과 같은 비상 사태 발생시, 신속한 도어의 개방을 어렵게 하는 원인이 되며, 이러한 원인은 화재 발생시, 인명사고를 일으키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도어 내측의 실내에서 도어를 열고자 할 경우, 내측핸들을 한번만 조작하고서도 강제 잠금된 데드볼트를 해정시킬 수 있고 동시에 데드볼트와 래치볼트를 도어 프레임으로부터 해정시킬 수 있는 디지털식 도어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하기가 매우 간편함은 물론, 비상시 강제 잠금된 도어를 신속하고도 간편하게 개방시킬 수 있는 디지털식 도어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특징은, 외측본체와, 내측본체와, 내측핸들과, 모티스(Mortise) 및, 상기 모티스 내측의 해제위치로부터 외측의 록킹위치로 운동하면서 도어프레임에 록킹되는 데드볼트(Dead Bolt)와, 상기 데드볼트를 해제위치에서 록킹위치로 또는 록킹위치에서 해제위치로 밀어서 운동시키는 회전레버와, 록킹위치로 운동한 상기 데드볼트를 강제로 고정시키는 강제 잠금장치를 구비하는 디지털식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강제 잠금장치는, 실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방위치와 홀딩위치 사이에서 운동하며, 홀딩위치에서, 상기 데드볼트를 록킹위치로 운동시킨 상기 회전레버를 홀딩하여 상기 데드볼트를 록킹위치에서 고정시키는 홀더와; 홀딩위치로 운동한 상기 홀더를 록킹시키는 록킹수단과; 실내 사용자가 상기 내측핸들을 회전 조작함에 따라 상기 홀딩위치의 홀더를 록킹 해제하는 록킹해제수단과; 록킹해제된 상기 홀더가 해방위치로 복귀하면서 상기 데드볼트를 록킹위치에서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홀더를 해방위치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록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외측본체와, 내측본체와, 내측핸들과, 모티스(Mortise) 및, 상기 모티스 내측의 해제위치로부터 외측의 록킹위치로 운동하면서 도어프레임에 록킹되는 데드볼트(Dead Bolt)와, 상기 데드볼트를 해제위치에서 록킹위치로 또는 록킹위치에서 해제위치로 밀어서 운동시키는 회전레버와, 록킹위치로 운동한 상기 데드볼트를 강제로 고정시키는 강제 잠금장치를 구비하는 디지털식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강제 잠금장치는, 실내의 사용자가 상기 데드볼트를 강제 잠금하고자 내부 강제잠금 해제수단을 조작함에 따라 제 1작동위치에서 제 2작동위치로 운동하는 작동플레이트와; 제 2작동위치로 운동한 상기 작동플레이트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에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현재 실내의 사용자가 내부 강제잠금 해제수단을 조작하여 데드볼트를 강제잠금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외측본체를 회로적으로 강제잠금시키는 제어부와; 제 2작동위치로 운동한 상기 작동플레이트를 록킹시키는 록킹수단과; 실내 사용자가 상기 내측핸들을 회전 조작함에 따라 상기 제 2작동위치의 작동플레이트를 록킹 해제하는 록킹해제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식 도어록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식 도어록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식 도어록의 특징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1과 도 3을 참조하여 디지털식 도어록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본다.
도어록은, 외측본체(10)와 내측본체(20), 그리고 데드볼트(32)와 래치볼트(34)를 갖는 모티스(30)를 구비한다.
외측본체(10)는 다수의 버튼(12)과, 안전키(도시하지 않음)를 접촉시킬 수 있는 접촉부(14)를 갖추고 있다. 내측본체(20)는 콘트롤러(22)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외측본체(10)에는 외측핸들(40)이 설치되며, 내측본체(20)에는 내측핸들(50)이 설치되어 있다. 외측핸들(40)과 내측핸들(50)은 모티스(30)의 래치볼트(34)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며, 실내 또는 실외의 사용자가 이들 핸들(40, 50)을 조작하면, 래치볼트(34)를 운동시킬 수 있다.
내측핸들(50)은, 모티스(30)의 데드볼트(32)와 래치볼트(34)를 동시에 연동시킬 수 있는 패닉(Panic)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실내의 사용자가 상기 내측핸들(50)을 복원위치(C)에서 회전위치(D)로 회전 조작하면, 모티스(30)의 데드볼트(32)와 래치볼트(34)를 동시에 조작할 수 있다.
모티스(30)는, 하우징(30a)을 구비하며, 하우징(30a)에는 데드볼트(32)와, 데드볼트(32)를 밀어서 운동시키는 회전레버(35)가 설치된다.
데드볼트(32)는, 하우징(30a) 외측의 록킹위치(A)와 내측의 해제위치(B) 사이에서 운동가능하며, 록킹위치(A)에서 도어프레임(D1)에 록킹되고, 해제위치(B)에서 도어프레임(D1)으로부터 해제된다.
회전레버(35)는, 회전중심축부(36)와, 회전중심축부(36)로부터 뻗어서 데드볼트(32)를 밀어서 운동시키는 레버부(37)로 구성된다. 이러한 회전레버(35)는 구동모터(35a)의 구동에 따라 정,역 회동운동하면서 상기 데드볼트(32)를 밀어서 운동시킨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특징부를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도어록은, 록킹위치(A)로 운동한 데드볼트(32)를 강제로 고정시키기 위한 강제 잠금장치(100)를 구비한다.
강제 잠금장치(100)는, 데드볼트(32)와 연결되는 회전레버(35)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회전레버(35)를 홀딩(Holding)하는 홀딩수단을 포함한다.
홀딩수단은, 회전레버(35)에 형성되어 있는 홀딩부(110)와, 상기 홀딩부(110)를 홀딩(Holding)할 수 있도록 내측본체(20)(도 1참조)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더(120)를 구비한다.
홀딩부(110)는, 회전레버(35)의 회전중심축부(36)에 형성되는 양쪽의 평면부(112)를 구비하며, 이들 양쪽의 평면부(112)는 회전중심축부(36)의 외주면에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홀더(120)는, 회전레버(35)의 홀딩부(110)를 홀딩하기 위한 한 쌍의 홀딩핑거(122)를 가지며, 홀딩위치(E)와 해방위치(F)사이에서 상,하 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홀딩위치(E)에서 홀딩부(110)를 홀딩하고, 해방위치(F)에서 홀딩부(110)를 해방시킨다.
이러한 홀더(120)는, 홀딩위치(E)에서 회전레버(35)를 홀딩하므로 회전레버(35)의 회전을 제한한다. 따라서, 회전레버(35)와 연동되는 데드볼트(32)를 록킹위치(A)에서 강제 고정시킨다. 그리고 해방위치(F)에서 회전레버(35)를 해제하므로 회전레버(35)의 회전을 허용한다. 따라서, 회전레버(35)와 연동되는 데드볼트(32)의 운동을 허용한다.
여기서, 회전레버(35)는, 데드볼트(32)를 록킹위치(A)와 해제위치(B)사이에서 운동시키되, 록킹위치(A)로 운동한 데드볼트(32)의 후측을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따라서, 록킹위치(A)의 데드볼트(32)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홀더(120)에 의 해 회전이 제한되면, 록킹위치(A)에서 해제위치(B)로 후진하는 데드볼트(32)를 저지하며, 이에 따라, 상기 데드볼트(32)를 록킹위치(A)에서 강제로 고정시킨다.
한편, 홀더(120)는, 양쪽에 설치되는 스프링(124)에 의해 해방위치(F)방향으로 탄성가압된다. 따라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회전레버(35)의 홀딩부(110)에서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에 따라, 회전레버(35)와 연동되는 데드볼트(32)의 운동을 자유롭게 허용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강제 잠금장치(100)는, 홀더(120)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수단을 구비한다.
조작수단은, 내측본체(20)(도 1참조)에 좌,우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내부 강제잠금 해제수단(130)과, 내부 강제잠금 해제수단(130)의 좌,우 운동을 상,하 운동으로 전환하여 홀더(120)에 전달하는 운동전달수단을 포함한다.
내부 강제잠금 해제수단(130)은, 내측본체(20)의 외면으로 돌출되는 노브로서, 실내의 사용자가 조작함에 따라 좌,우로 수평운동한다. 여기서, 내측본체(20)에는 내부 강제잠금 해제수단(130)의 좌,우 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플레이트(132)가 설치되어 있다.
운동전달수단은, 내부 강제잠금 해제수단(130)이 우측으로 운동함에 따라 하방으로 눌려질 수 있도록 홀더(120)에 형성되는 제 1경사면(134)과, 내부 강제잠금 해제수단(130)이 좌측으로 운동함에 따라 상방으로 눌려질 수 있도록 홀더(120)에 형성되는 제 2경사면(135)을 구비한다.
이러한 운동전달수단은, 실내의 사용자가 내부 강제잠금 해제수단(130)을 우 측으로 조작하면, 제 1경사면(134)이 눌려지면서 하방으로 운동하며, 따라서, 제 1경사면(134)이 형성된 홀더(120)도 해방위치(F)에서 홀딩위치(E)로 운동하면서 회전레버(35)를 홀딩한다.
그리고 실내의 사용자가 내부 강제잠금 해제수단(130)을 좌측으로 조작하면, 제 2경사면(135)이 눌려지면서 상방으로 운동하며, 따라서, 제 2경사면(135)이 형성된 홀더(120)도 홀딩위치(E)에서 해방위치(F)로 운동하면서 회전레버(35)를 해방시킨다.
결과적으로, 조작수단은, 실내의 사용자가 조작함에 따라 홀더(120)의 위치를 홀딩위치(E)와 해방위치(F)사이에서 조작할 수 있게 하고, 홀더(120)의 위치를 조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회전레버(35)를 홀딩할 수 있게 하며, 회전레버(35)를 홀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데드볼트(32)를 록킹위치(A)에서 강제 잠금시킬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도어록은, 홀딩위치(E)로 운동한 홀더(120)를 록킹시키는 록킹수단을 구비한다.
록킹수단은, 홀더(120)에 돌출되어 있는 록킹돌기(140)와, 홀딩위치(E)로 운동한 홀더(120)의 록킹돌기(140)를 록킹시키는 록킹레버(142)로 구성된다. 특히, 록킹레버(142)는 제 1위치(X)와 제 2위치(Y) 사이에서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에는 록킹돌기(140)를 걸어서 록킹시키는 후크부(14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록킹레버(142)는 내측본체(20)에 설치된다.
이러한 록킹레버(142)는, 제 1위치(X)에서 록킹돌기(140)를 걸어서 고정시킨 다. 따라서 홀딩위치(E)에 배치된 홀더(120)를 록킹시킨다. 그리고 제 2위치(Y)에서 록킹된 록킹돌기(140)를 해방시킨다. 따라서 홀딩위치(E)의 홀더(30)가 해방위치(F)로 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여기서, 록킹레버(142)는 스프링(145)에 의해 제 1위치(X) 방향으로 탄성가압된다. 따라서 록킹레버(142)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항상 제 1위치(X)에 배치된다. 그리고 록킹레버(142)의 후크부(144)의 상면에는 가이드면(144a)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면(144a)은 록킹돌기(140)의 진입을 자연스럽게 허용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록킹수단에 의하면, 실내의 사용자가 내부 강제잠금 해제수단(130)을 이용하여 홀더(120)를 홀딩위치(E)로 운동시켰을 경우, 홀딩위치(E)로 운동한 홀더(120)를 록킹하고, 록킹한 홀더(120)를 홀딩위치(E)에서 위치 유지시킨다. 따라서, 홀더(120)에 홀딩된 회전레버(35) 및 이와 연결된 데드볼트(32)의 강제 잠금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도어록은, 내측핸들(50)을 복원위치(C)에서 회전위치(D)로 조작함에 따라 홀딩위치(E)의 홀더(120)를 록킹 해제시키는 록킹해제수단을 구비한다.
록킹해제수단은, 내측핸들(50)의 회전중심축(52)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푸시편(150)을 구비한다.
푸시편(150)은 회전중심축(52)으로부터 록킹레버(142)를 향해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핸들(50)을 복원위치(C)에서 회전위치(D)로 조작하면, 상기 내측핸들(50)의 회전중심축(52)과 함께 회전하면서 록킹레버(142)의 일측부분(142a)을 제 2위치(Y)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러한 록킹해제수단은, 내측핸들(50)을 조작함에 따라 록킹레버(142)를 제 2위치(Y)로 가압하므로, 록킹레버(142)에 의해 록킹된 홀더(120)를 해방시키고, 홀더(120)를 해방시킴으로써, 홀딩위치(E)의 홀더(120)가 해방위치(F)로 복귀하면서 회전레버(35)의 홀딩을 해제한다. 따라서, 회전레버(35)와 연결된 데드볼트(32)를 해제하며, 이에 따라, 강제 잠금된 데드볼트(32)를 완전히 해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록킹해제수단에 의하면, 내측핸들(50)만 조작하면, 데드볼트(32)의 강제 잠금을 완전히 해정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강제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내부 강제잠금 해제수단(130)을 조작하지 않아도 되며, 따라서 사용하기가 매우 간편하다.
또한, 내측핸들(50)의 조작으로 데드볼트(32)와 래치볼트(34)를 동시에 연동시킬 수 있는 패닉(Panic)기능도 갖추고 있으므로, 내측핸들(50)을 한번만 조작하면, 데드볼트(32)의 강제 잠금의 해정 뿐만 아니라, 데드볼트(32)와 래치볼트(34)도 동시에 해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극대화됨은 물론, 비상 사태 발생시, 신속한 도어의 개방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록킹해제수단의 푸시편(150)은 내측핸들(50)의 반대측 부분에도 설치된다. 반대측 부분의 푸시편(15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핸들(50)의 위치를 반대방향으로 조립하였을 경우라도 록킹레버(142)를 제 2위치(Y)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며, 이는 본 고안의 도어록이 좌수(左手)형 도어와 우수(右手)형 도어 중 어느 도어에 설치되더라도, 이에 대응되게 호환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록킹레버(142)에는 반대측 부분의 푸시편(150)과 간섭될 수 있는 간섭돌기(142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간섭돌기(142b)는 반대측 부분의 푸시편(150)에 가압되면서 제 2위치(Y)방향으로 운동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동예를 도 3과 도 5와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D) 내측의 실내에서 데드볼트(32)를 강제 잠금시킬 경우,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드볼트(32)를 록킹위치(A)로 운동시킨 다음, 도어(D) 내측의 사용자가 내부 강제잠금 해제수단(130)을 조작하여 홀더(120)를 홀딩위치(E)로 운동시킨다.
그러면, 홀딩위치(E)로 운동한 홀더(120)는 회전레버(35)의 홀딩부(110)를 홀딩하고, 홀딩된 회전레버(35)는 회전이 제한되며, 회전이 제한된 회전레버(35)는 데드볼트(32)의 후측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데드볼트(32)를 강제 잠금시킨다.
한편, 홀더(120)가 홀딩위치(E)로 운동하는 과정에서, 홀더(120)의 록킹돌기(140)는 록킹레버(142)의 가이드면(144a)을 가압하게 되는데, 이렇게 가압된 록킹레버(142)는 제 2위치(Y)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록킹돌기(140)의 진입을 허용한다. 그리고 록킹돌기(140)의 진입이 완료되면, 다시 제 1위치(X)로 복귀하면서 록킹돌기(140)를 록킹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록킹레버(142)는 홀딩위치(E)로 운동한 홀더(120)를 록킹하고, 록킹된 홀더(120)는 홀딩위치(E)를 유지하면서 회전레버(35)를 계속적으로 홀딩하며, 회전레버(35)를 홀딩함에 따라 회전레버(35)가 지지하는 데드볼트(32)를 록킹위치(A) 상태에서 강제 잠금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어(D) 내측의 실내에서 데드볼트(32)의 강제 잠금을 해정시킬 경우를 살펴본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 내측의 사용자가 내측핸들(50)을 복원위치(C)에서 회전위치(D)로 회전 조작한다.
그러면, 내측핸들(50)의 푸시편(150)이 록킹레버(142)의 일측부분(142a)을 가압하여 제 2위치(Y) 방향으로 운동시키고, 제 2위치(Y)로 운동한 록킹레버(142)는 홀더(120)를 해방시키며, 해방된 홀더(120)는 홀딩위치(E)에서 해방위치(F)로 운동하면서 회전레버(35)를 해제한다. 따라서, 회전레버(35)와 연결된 데드볼트(32)의 강제 잠금은 해정된다.
한편, 본 고안은 패닉기능을 갖추고 있으므로, 도 7에서와 같이, 내측핸들(50)을 더 회전조작하면, 데드볼트(32)의 강제 잠금이 해정됨과 동시에 데드볼트(32)와 래치볼트(34)도 동시에 연동운동한다. 따라서, 데드볼트(32)와 래치볼트(34)는 모티스(30)의 내측으로 운동하면서 도어(D)를 완전히 개방한다.
다음으로, 도 9와 도 10에는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식 도어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의 디지털식 도어록은, 데드볼트(32)를 강제 잠금하기 위한 강제잠금장치(100)를 갖되, 상기 강제잠금장치(100)는, 실내의 사용자가 강제 잠금을 선택 또는 해제할 수 있는 내부 강제잠금 해제수단(200)을 구비한다.
내부 강제잠금 해제수단(200)은, 실내로 돌출되는 노브로서, 실내의 사용자 가 조작함에 따라 좌,우로 운동한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의 디지털식 도어록은, 내부 강제잠금 해제수단(200)과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작동플레이트(210)를 구비한다.
작동플레이트(210)는, 내부 강제잠금 해제수단(200)을 조작함에 따라 제 1작동위치(Q)와 제 2작동위치(R)사이에서 상,하 운동한다. 특히, 데드볼트(32)를 강제잠금하고자 내부 강제잠금 해제수단(200)을 우측으로 조작하면, 제 1작동위치(Q)에서 제 2작동위치(R)로 운동하고, 강제잠금을 해제하고자 내부 강제잠금 해제수단(200)을 좌측으로 조작하면, 제 2작동위치(R)에서 제 1작동위치(Q)로 복귀한다.
여기서, 작동플레이트(210)는, 양쪽에 설치되는 스프링(212)에 의해 제 1작동위치(Q)방향으로 탄성가압된다. 아울러 작동플레이트(210)는, 운동전달수단에 의해 내부 강제잠금 해제수단(200)과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운동전달수단은, 내부 강제잠금 해제수단(200)이 우측으로 운동함에 따라 하방으로 눌려질 수 있도록 작동플레이트(210)에 형성되는 제 1경사면(214)과, 내부 강제잠금 해제수단(200)이 좌측으로 운동함에 따라 상방으로 눌려질 수 있도록 작동플레이트(210)에 형성되는 제 2경사면(215)을 구비한다.
다시,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도어록은, 작동플레이트(210)가 제 2작동위치(R)로 운동하였음을 감지하는 감지수단(220)을 구비한다.
감지수단(220)은, 근접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로 구성되며, 제 2작동위치(R)로 운동한 작동플레이트(210)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후술하는 제어부(230)에 입력시킨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의 도어록은, 제어부(230)를 갖는다. 제어부(23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갖춘 것으로, 감지수단(220)으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현재 실내의 사용자가 내부 강제잠금 해제수단(200)을 조작하여 데드볼트(32)를 강제잠금한 것으로 판단하여, 실외측의 외측본체(10)(도 1참조)를 회로적으로 강제잠금시킨다.
특히, 실외측의 외측본체(10)를 회로적으로 강제잠금시킴으로써, 실외측에서 외측본체(10)의 버튼(12)을 조작하거나 또는 안전키를 사용하여 신호를 입력시키더라도 입력된 신호를 차단한다. 따라서, 데드볼트(32)를 강제적으로 잠금시키며, 이에 따라, 도어(D)의 해정을 강제적으로 차단한다.
다시,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도어록은, 제 2작동위치(R)로 운동한 작동플레이트(210)를 록킹시키는 록킹수단을 구비한다.
록킹수단은, 작동플레이트(210)에 돌출되어 있는 록킹돌기(140)와, 제 2작동위치(R)로 운동한 작동플레이트(210)의 록킹돌기(140)를 록킹시키는 록킹레버(142)로 구성된다.
록킹돌기(140)와 록킹레버(142)는, 상술한 일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며, 그에 대한 작동예도 동일하다. 따라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록킹수단에 의하면, 제 2작동위치(R)로 운동한 작동플레이트(210)를 록킹시킴으로써, 상기 작동플레이트(210)를 제 2작동위치(R)에서 위치 유지시킨다. 따라서, 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220)이 계속적으로 감지신호를 출력하게 하고, 출력된 감지신호가 계속적으로 제어부(230)에 입력되게 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230)가 데드볼트(32)의 강제 잠금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도어록은, 내측핸들(50)을 복원위치(C)에서 회전위치(D)로 조작함에 따라 제 2작동위치(R)의 작동플레이트(210)를 록킹 해제시키는 록킹해제수단을 구비한다.
록킹해제수단은, 내측핸들(50)의 회전중심축(52)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푸시편(150)을 구비한다.
푸시편(150)은, 상기 내측핸들(50)을 복원위치(C)에서 회전위치(D)로 조작하면, 록킹레버(142)의 일측부분(142a)을 제 2위치(Y)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상술한 일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고, 그에 대한 작동예도 동일하다. 따라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록킹해제수단은, 내측핸들(50)을 조작함에 따라 록킹레버(142)를 제 2위치(Y)로 가압하므로, 록킹레버(142)에 의해 록킹된 작동플레이트(210)를 해방시키고, 작동플레이트(210)를 해방시킴으로써, 이를 감지하는 감지수단(220)의 감지신호가 소거(消去)될 수 있게 하며, 감지수단(220)의 감지신호가 소거(消去)되게 함에 따라 상기 제어부(230)가 데드볼트(32)의 강제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한다.
결과적으로, 실내의 사용자가 내측핸들(50)만 조작하면, 데드볼트(32)의 강제 잠금을 완전히 해정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록킹해제수단의 푸시편(150)은 내측핸들(50)의 반대측 부분에도 설치됨은 물론이며, 이러한 반대측 부분의 푸시편(150)은, 내측핸들(50)의 위치를 좌 수(左手)형 도어에 맞춰 설치되더라도, 이에 대응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식 도어록은, 내측핸들만 조작하면, 데드볼트의 강제 잠금을 완전히 해정시킬 수 있으므로, 강제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별도의 조작이 필요 없으며, 따라서, 사용하기가 매우 간편하다.
또한, 패닉기능과 연계하여 설치되므로, 내측핸들만 조작하면, 강제 잠금된 데드볼트의 해정은 물론 데드볼트와 래치볼트도 동시에 해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비상시 강제 잠금된 도어를 신속하고도 간편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외측본체(10)와, 내측본체(20)와, 내측핸들(50)과, 모티스(Mortise)(30) 및, 상기 모티스(30) 내측의 해제위치(B)로부터 외측의 록킹위치(A)로 운동하면서 도어프레임(D1)에 록킹되는 데드볼트(Dead Bolt)(32)와, 상기 데드볼트(32)를 해제위치(B)에서 록킹위치(A)로 또는 록킹위치(A)에서 해제위치(B)로 밀어서 운동시키는 회전레버(35)와, 록킹위치(A)로 운동한 상기 데드볼트(32)를 강제로 고정시키는 강제 잠금장치(100)를 구비하는 디지털식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강제 잠금장치(100)는,
    실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방위치(F)와 홀딩위치(E) 사이에서 운동하며, 홀딩위치(E)에서, 상기 데드볼트(32)를 록킹위치(A)로 운동시킨 상기 회전레버(35)를 홀딩하여 상기 데드볼트(32)를 록킹위치(A)에서 고정시키는 홀더(120)와;
    홀딩위치(E)로 운동한 상기 홀더(120)를 록킹시키는 록킹수단과;
    실내 사용자가 상기 내측핸들(50)을 회전 조작함에 따라 상기 홀딩위치(E)의 홀더(120)를 록킹 해제하는 록킹해제수단과;
    록킹해제된 상기 홀더(120)가 해방위치(F)로 복귀하면서 상기 데드볼트(32)를 록킹위치(A)에서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홀더(120)를 해방위치(F)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1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식 도어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내측본체(20)에 제 1위치(X)와 제 2위치(Y) 사이에서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1위치(X)에서 홀딩위치(E)의 홀더(120)를 록킹시키고, 제 2위치(Y)에서 상기 홀더(120)를 해방시키는 록킹레버(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식 도어록.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해제수단은,
    상기 내측핸들(50)을 조작함에 따라 상기 록킹레버(142)를 제 2위치(Y)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내측핸들(50)의 회전중심축(52)에 형성되어 있는 푸시편(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식 도어록.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편(150)은,
    상기 내측핸들(50)이 좌수(左手)형 도어 또는 우수(右手)형 도어에 설치하더라도, 상기 록킹레버(142)에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중심축(52)의 양쪽에 한 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식 도어록.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120)는 한 쌍의 홀딩핑거(12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회전레 버(35)의 회전중심축부(36) 외주면에는 상기 홀딩핑거(122)가 홀딩할 수 있는 양쪽의 평면부(112)가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식 도어록.
  6. 외측본체(10)와, 내측본체(20)와, 내측핸들(50)과, 모티스(Mortise)(30) 및, 상기 모티스(30) 내측의 해제위치(B)로부터 외측의 록킹위치(A)로 운동하면서 도어프레임(D1)에 록킹되는 데드볼트(Dead Bolt)(32)와, 상기 데드볼트(32)를 해제위치(B)에서 록킹위치(A)로 또는 록킹위치(A)에서 해제위치(B)로 밀어서 운동시키는 회전레버(35)와, 록킹위치(A)로 운동한 상기 데드볼트(32)를 강제로 고정시키는 강제 잠금장치(100)를 구비하는 디지털식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강제 잠금장치(100)는,
    실내의 사용자가 상기 데드볼트(32)를 강제 잠금하고자 내부 강제잠금 해제수단(200)을 조작함에 따라 제 1작동위치(Q)에서 제 2작동위치(R)로 운동하는 작동플레이트(210)와;
    제 2작동위치(R)로 운동한 상기 작동플레이트(210)를 감지하는 감지수단(220)과;
    상기 감지수단(220)에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현재 실내의 사용자가 내부 강제잠금 해제수단(200)을 조작하여 데드볼트(32)를 강제잠금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외측본체(10)를 회로적으로 강제잠금시키는 제어부(230)와;
    제 2작동위치(R)로 운동한 상기 작동플레이트(210)를 록킹시키는 록킹수단과;
    실내 사용자가 상기 내측핸들(50)을 회전 조작함에 따라 상기 제 2작동위치(R)의 작동플레이트(210)를 록킹 해제하는 록킹해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식 도어록.
  7. 제 6항에 있어서,
    록킹해제된 상기 작동플레이트(210)가 제 1작동위치(Q)로 복귀할 수 있도록 상기 작동플레이트(210)를 제 1작동위치(Q)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2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식 도어록.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내측본체(20)에 제 1위치(X)와 제 2위치(Y) 사이에서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1위치(X)에서 상기 제 2작동위치(R)의 작동플레이트(210)를 록킹시키고, 제 2위치(Y)에서 상기 작동플레이트(210)를 해방시키는 록킹레버(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식 도어록.
  9. 제 6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해제수단은,
    상기 내측핸들(50)을 조작함에 따라 상기 록킹레버(142)를 제 2위치(Y)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내측핸들(50)의 회전중심축(52)에 형성되어 있는 푸시편(1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식 도어록.
KR2020070003260U 2007-02-26 2007-02-26 디지털식 도어록 KR2004389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260U KR200438979Y1 (ko) 2007-02-26 2007-02-26 디지털식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260U KR200438979Y1 (ko) 2007-02-26 2007-02-26 디지털식 도어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979Y1 true KR200438979Y1 (ko) 2008-03-14

Family

ID=41626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3260U KR200438979Y1 (ko) 2007-02-26 2007-02-26 디지털식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97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241B1 (ko) * 2008-04-25 2008-08-29 주식회사알에프윈도우 통합 데드볼트를 구비한 무전원 모티스 장치
KR100957167B1 (ko) 2008-03-27 2010-05-13 (주)메이즈텍 도어락 모티스
KR100981479B1 (ko) 2008-08-04 2010-09-10 정기범 도어 잠금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049153B1 (ko) 2010-05-19 2011-07-14 이종안 잠금장치를 구비한 도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167B1 (ko) 2008-03-27 2010-05-13 (주)메이즈텍 도어락 모티스
KR100855241B1 (ko) * 2008-04-25 2008-08-29 주식회사알에프윈도우 통합 데드볼트를 구비한 무전원 모티스 장치
KR100981479B1 (ko) 2008-08-04 2010-09-10 정기범 도어 잠금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049153B1 (ko) 2010-05-19 2011-07-14 이종안 잠금장치를 구비한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3040B1 (ko) 래치볼트의 인입을 제한하는 서브 래치를 구비한 모티스
KR200438623Y1 (ko) 디지털식 도어록의 구동모터 소손 방지 장치
KR200438979Y1 (ko) 디지털식 도어록
KR101142425B1 (ko) 도어록 해정장치
JP3788968B2 (ja) 電気錠
KR101598958B1 (ko) 래치볼트 방향 설정 자동 변환 기능을 갖는 모티스락
KR100961878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도어록
JPH0726496B2 (ja) 安全装置の内設されたドア・ロック
KR200402198Y1 (ko) 디지털식 도어록의 데드볼트 제어장치
JP5879058B2 (ja) 什器
JP5974845B2 (ja) キースイッチ
KR101383289B1 (ko)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KR200444840Y1 (ko) 디지털 도어록
KR200444841Y1 (ko) 디지털 도어록
KR20090090025A (ko) 이중잠금 핸들을 구비한 축소형 디지털 도어록
KR200410778Y1 (ko) 실린더형 지문인식 도어록
KR20110130545A (ko) 도어록 장치의 실내측 핸들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록 장치
KR101008980B1 (ko) 디지털 도어록의 모티스 록
KR200393226Y1 (ko) 모티스 록 장치
KR200438624Y1 (ko) 디지털식 도어록의 데드볼트 제어장치
KR101695847B1 (ko) 일시 열림 조작 기능을 겸한 트리거 레버를 이용한 래치볼트의 좌, 우수 전환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락용 모티스
KR200418866Y1 (ko) 디지털식 도어록의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 제어장치
KR200378846Y1 (ko) 도어록의 모티스
JP6853672B2 (ja) ラッ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ドア装置
KR20200099948A (ko) 래치볼트 자동 인입형 도어락 모티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