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1437A - 약제 카세트 및 약제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카세트 및 약제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1437A
KR20140061437A KR1020147006030A KR20147006030A KR20140061437A KR 20140061437 A KR20140061437 A KR 20140061437A KR 1020147006030 A KR1020147006030 A KR 1020147006030A KR 20147006030 A KR20147006030 A KR 20147006030A KR 20140061437 A KR20140061437 A KR 20140061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medicine
tubular
guide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6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2750B1 (ko
Inventor
히로유키 유야마
나오키 고이케
미츠히로 미타니
마사오 후카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40061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1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06Separating single articles from loose masses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6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rotary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83Containers comprising an internal rotating wing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4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movement of the bottom or a part of the wall of the container
    • B65G47/1457Rotating movement in the plane of the rotating par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24Rotary or oscillatory memb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2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inclined
    • G07F11/3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inclined two or magazines having a common delivery chut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4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in bul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약제 공급 장치는, 통형상체(8)와, 제1 회전체(9)와, 제2 회전체(10)를 구비한다. 제1 회전체(9)는, 통형상체(8)의 내측에 배치되고, 통형상체(8)와 함께 약제를 수용할 수 있는 약제 수용부(42)를 구성한다. 또한, 제1 회전체(9)는, 통형상체(8)의 축심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고,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2 회전체(10)는, 통형상체(8)의 개구부 외주에 배치되고,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대량의 약제를 수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용되는 약제의 잔량에 따라 원활하게 자동 불출이 가능한 기능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약제 카세트 및 약제 공급 장치{MEDICINE CASSETTE AND MEDICINE SUPPLY DEVICE}
본 발명은, 약제 카세트 및 약제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작은 물(물품)을 정렬하여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컨대 제1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원판형의 제1 회전체와, 제2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원환형의 제2 회전체를 구비한 것이 공지이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상기 종래의 장치에는, 제1 회전체와 제2 회전체의 위치 관계가 고정되어 있고, 수용 가능한 물품의 수량이 제한되어 있다. 수용하는 물품이 약제인 경우, 충전 작업을 빈번히 행하지 않아도 되도록, 수용 수를 가능한 한 많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구성의 제1 회전체와 제2 회전체로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고 평1-51403호 공보
본 발명은, 대량의 약제를 수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용되는 약제의 잔량에 따라 원활하게 자동 불출(拂出)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약제 카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약제 카세트를,
통형상체와,
상기 통형상체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통형상체와 함께 약제를 수용할 수 있는 약제 수용부를 구성하며, 상기 통형상체의 축심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고,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는 제1 회전체와,
상기 통형상체의 개구부 외주에 배치되고,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는 제2 회전체
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약제를 충전하는 경우에는, 제1 회전체를 통형상체의 일단측으로 이동시켜, 약제 수용부를 확대할 수 있다. 그리고, 약제 수용부로부터 약제를 불출하는 경우에는, 제1 회전체를 서서히 타단측으로 이동시켜, 제2 회전체로의 이송을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체는, 상기 통형상체의 축심에 대하여 상면이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약제 수용부 내의 약제를, 제1 회전체의 전체 둘레가 아니라, 그 일부로부터 제2 회전체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회전체 상으로 이동하는 약제량을 제한하면서 원활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2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외주측으로 이동하는 약제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하도록 하면 좋다.
상기 통형상체는 둘레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내주면에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회전체는 상기 가이드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지지부에 의한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 상태는, 상기 통형상체에 대하여 상기 제1 회전체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 불가능하고 상기 축심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 즉 가이드부를 가이드 지지부로 가이드하는 구성에 의해, 제1 회전체의 축심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통형상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회전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체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제2 축 부재를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회전체를 상기 통형상체의 축심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하는 링크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제1 회전체에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링크와, 제1 링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링크와, 회전에 의해 제2 링크와의 접촉 위치를 축심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경사부를 갖는 원통 캠 부재를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해, 원통 캠 부재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제2 링크를 통해 링크 기구를 구동시켜 제1 회전체를 통형상체의 축심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링크 기구는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되는 2개 1조로 하는 2개의 링크조로 구성되고, 각 링크조는 링크의 중간부를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며, 링크의 일단부를 상기 제1 회전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하여 신축 가능하게 되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해, 제1 회전체의 축심 방향으로의 왕복 이동을 한층 더 안정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나선홈이 형성된 제1 축 부재와,
상기 나선홈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핀을 가지며, 상기 제1 회전체를 지지하는 축받이 부재를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해, 제1 축 부재를 정역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제1 회전체를 축심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체는 내주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축 부재는 외주면에 상기 내주 기어에 맞물리는 세로 기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제2 축 부재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제1 회전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체는, 상기 통형상체 내를 자신의 중량에 의해 축심 방향의 한쪽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특별한 구동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제1 회전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전면에 형성된 파지부와,
상기 통형상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력을 상기 통형상체에 전달하는 전달부와,
상기 제1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력을 상기 제1 회전체에 전달하는 전달부와,
상기 제2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력을 상기 제2 회전체에 전달하는 전달부를 구비하고,
상기 3개의 전달부가 배면에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파지부를 파지하여 간단히 장착 대상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각 전달부를 통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상태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체 상에서 반송되는 약제가 통과할 수 있는 폭 치수를 제한하는 폭 규제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형상체는, 상기 폭 규제부에 의해 폭 치수를 규제한 영역에서, 제2 회전체의 내주 가장자리로부터 서서히 하방측을 향해 내경측으로 돌출하는 팽출 영역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폭 규제부에 의해 규제되어 제2 회전체 상으로부터 내측으로 낙하하는 약제를 원활하게 제1 회전체 상으로 복귀시킬 수 있어, 약제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약제 공급 장치를,
상기 어느 하나의 구성의 약제 카세트와,
상기 약제 카세트를 장착할 수 있는 카세트 장착부
를 구비하고,
상기 카세트 장착부는, 상기 통형상체, 상기 제1 회전체, 및 상기 제2 회전체를 구동시키는 구동 부재를 각각 가지며,
상기 구동 부재에 의한 구동력 전달 위치는 모두, 카세트 장착부 측의 동일면 측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구조를 간략화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약제 공급 장치를,
상기 어느 하나의 구성의 약제 카세트와,
상기 약제 카세트로부터 불출하는 약제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불출 상황이 악화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악화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회전체를 통형상체의 축심 방향의 제2 회전체측으로 이동시키는 제어 장치
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약제 공급 장치를,
상기 제2 회전체 상에 약제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와,
상기 센서로 상기 제2 회전체 상에 약제가 없는 것이 검지되면, 상기 제1 회전체를 통형상체의 축심 방향의 제2 회전체 측으로 이동시키는 제어 장치
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들의 구성에 의해, 수용한 약제의 잔량에 따라 자동적으로 제1 회전체를 이동시켜, 제2 회전체 상에 약제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형상체 내에서, 제1 회전체를 왕복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했기 때문에, 제1 회전체를 통형상체의 일단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약제 수용부의 용적을 증대시켜 대량의 약제를 충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회전체를 서서히 통형상체의 타단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약제의 잔량에 따라 원활하게 자동 불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공급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공급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약제 공급 장치에 채용할 수 있는 약제 피더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약제 카세트에서, 제1 회전체를 가장 높은 위치에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카세트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약제 카세트를 하방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카세트 본체의 본체부와 베이스부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의 약제 카세트로부터 카세트 본체의 커버부를 제거하고, 제1 회전체를 가장 낮은 위치에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의 약제 카세트에서, 주로 통형상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4의 제1 회전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의 (a)는 도 10의 제1 회전체를 하방측에서 본 상태로서, 가장 낮은 위치에 이동시킨 경우의 사시도이며, (b)는 가장 높은 위치에 이동시킨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3의 카세트 장착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공급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공급 장치에서의 약제의 불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피더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약제 카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카세트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제2 회전체 및 동력 전달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6의 축 부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6의 통형상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6의 제1 회전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을 하방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폐쇄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16에 도시하는 약제 카세트에서, 제1 회전체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15의 카세트 장착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제1 회전체를 승강시키기 위한 기구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7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제1 회전체와 제1 통형상체의 개략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을 따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특정 방향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예컨대 「상」, 「하」,「측」,「단」을 포함하는 용어)를 이용하지만, 이들 용어의 사용은 도면을 참조한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며, 이들 용어의 의미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다.
(제1 실시형태)
도 1 및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공급 장치의 2개의 예를 도시한다. 이 약제 공급 장치에서는, 장치 본체(1)에 설치한 선반(2)에 복수의 약제 피더(3)를 설치한 것으로, 약제 피더(3)의 각 구동 부품은 제어 장치(4)(도 13 참조)에 의해 구동 제어되도록 된다.
약제 피더(3)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제 카세트(5)와, 이 약제 카세트(5)를 착탈할 수 있는 카세트 장착부(6)로 구성된다.
약제 카세트(5)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세트 본체(7) 내에 통형상체(8)를 수용하고, 이 통형상체(8) 내에 제1 회전체(9)를 수용하며, 추가로 통형상체(8)의 상단 개구부 외주에 제2 회전체(10)를 배치한 것이다.
카세트 본체(7)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11)의 위쪽에 커버부(12)를 고정하고, 본체부(11)의 아래쪽에 베이스부(13)를 고정한 것이다.
본체부(11)는, 대략 통형상으로, 전면 중앙부에는 손잡이(14)(하단 부분을 제외)가 형성된다. 또한, 본체부(11)의 배면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받이부(15)가 설치되고, 거기에는 기어 부재(16)(전달부)가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다. 기어 부재(16)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면에 기어를 형성한 제1 기어부(16a)와, 이 제1 기어부(16a)의 중심으로부터 연장되는 축의 선단에 기어를 형성한 제2 기어부(16b)를 구비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기어부(16a)는 제1 통형상부(35)의 종동 기어(37a)에 맞물리고, 제2 기어부(16b)는 카세트 장착부(6)의 구동 기어(62a)에 맞물린다. 또한 본체부(11)의 한쪽 측면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형상 부분과는 분리된 측벽부(17)가 형성된다. 측벽부(17)는 후술하는 카세트 장착부(6)의 제1 가이드 레일부(54)에 의해 가이드된다.
본체부(11)의 상면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둘레벽(18)에 의해 둘러싸이고,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내측 3지점에는 대략 균등하게 제1 가이드 롤러(19)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1 가이드 롤러(19)는 후술하는 제2 회전체(10)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이 제2 회전체(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본체부(11)의 상면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제2 통형상부(36)와 링 부재(20)가 각각 나사 고정된다. 링 부재(20)에는, 둘레 방향으로 대략 3등분으로, 외경 방향으로 향하는 설편(21: tung portion)이 연장된다. 각 설편(21)은, 본체부(11)에 나사 고정되는 것 외에 제2 가이드 롤러(22)가 각각 부착된다. 각 제2 가이드 롤러(22)는 설편(21)의 하방측으로 돌출하고, 외주면에 형성된 2지점의 돌출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홈형상부를 갖는다. 각 제2 가이드 롤러(22)의 홈형상부는, 제1 통형상부(35)의 환형 플랜지부(37)의 외주면을 가이드한다. 즉, 링 부재(20)는, 제1 통형상부(35)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한다.
커버부(12)의 상면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형 가이드부(23)가 형성된다. 원통형 가이드부(23)는, 원통형상 부분의 절반을 초과하는 부분을 차지하는 가이드 벽(24)과, 원통형상 부분의 나머지를 차지하며, 커버부(12)에 나사 고정되는 가이드 부재(25)로 구성된다. 가이드 벽(24)의 내주면을 따라, 후술하는 제2 회전체(10)의 외주 가장자리가 위치한다. 가이드 부재(25)에는, 2지점에 긴 구멍(25a)이 형성되고, 이 긴 구멍(25a)을 이용하여 커버부(12)에 대하여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부착된다. 가이드 부재(25)는, 그 내면이 가이드 벽(24)의 내주면의 위치로부터 서서히 중심측으로 나오고, 그 후, 외주측으로 넓어지도록 부착된다. 이로 인해, 가이드 부재(25)에 의해 제2 회전체(10)가 반송할 수 있는 약제의 사이즈(폭 치수)가 제한되어, 약제가 하나만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즉, 가이드 부재(25)는, 제2 회전체(10)에 의해 반송할 수 있는 약제를 최종적으로 하나만으로 하는 폭 치수를 규제하기 위한 폭 규제부로서 기능한다.
커버부(12)에 부착된 가이드 부재(25)의 일단부(약제의 반송 방향 상류측의 단부)에는, 높이 규제 부재(26)가 부착된다. 높이 규제 부재(26)는, 커버부(12)의 가이드 벽(24)의 외주측에 형성된 공동부 내에 배치되고,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정 나사(27)에 의해 나사 고정되는 고정부(26a)와, 이 고정부(26a)로부터 연장되는 가이드편부(26b)로 구성된다. 가이드편부(26b)는, 가이드 벽(24)의 내측에서, 제2 회전체(10)의 회전 방향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돌출한다. 그리고, 가이드편부(26b)는, 제2 회전체(10)의 상면과의 사이에, 통과할 수 있는 약제의 높이 치수를 제한하는 높이 규제부를 구성한다. 또한 가이드편부(26b)에 의해 제한하는 높이 치수는, 상기 조정 나사(27)에 의해 조정 가능하게 된다.
또한, 커버부(12)에 부착된 가이드 부재(25)의 타단측(약제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는, 배출부(28)가 설치된다. 배출부(28)는,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상인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배출부(28)의 위쪽 부분에는, 제2 회전체(10)에 의해 반송되는 약제를 수용할 수 있는 절결부(29)가 형성되어, 한쪽 측벽[제1 측벽(30)]의 선단 부분에는 배출 가이드편(31)이 부착되고, 다른쪽 측벽[제2 측벽(32)]의 선단은 가이드 부재(25)의 단부면에 접촉해 있다. 배출 가이드편(31)은, 단면이 직사각형 통형상으로 형성된 제1 측벽(30)에 감합되는 부착부와, 제1 측벽(30)을 따라 돌출하는 가이드부로 구성된다. 가이드부는, 제2 회전체(10)의 회전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그 선단에는, 선단을 향함에 따라 가이드 부재(25)의 내면과의 거리를 크게 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다.
베이스부(13)의 바닥면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차식 오목부(33)가 형성되고, 거기에는 후술하는 원통 캠 부재(49)의 종동 기어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33a)가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부(13)의 전면측에는 손잡이(14)의 하단부를 일체화한 전면 커버(34)(도 5 참조)가 부착된다.
통형상체(8)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통형상부(35)와, 그 상방측에 배치되는 제2 통형상부(36)로 구성된다.
제1 통형상부(35)의 상방측 외주면에는 환형 플랜지부(37)가 형성된다. 환형 플랜지부(37)의 하면에는 종동 기어(37a)가 형성된다. 종동 기어(37a)에는, 본체부(11)의 축받이부(15)에 유지되는 기어 부재(16)의 제1 기어(16a)가 맞물려 있다. 제1 통형상부(35)의 내주면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둘레 방향으로 4지점에 등간격으로, 축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돌출 라인부(38)(가이드부)가 각각 형성된다. 각 제1 돌출 라인부(38)에는, 후술하는 제1 회전체(9)의 가이드 롤러(43)가 각각 가이드되면서 롤링하여, 제1 통형상부(35) 내를 제1 회전체(9)가 축심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제1 통형상부(35)는, 선반(2)의 카세트 장착부(6)에 약제 카세트(5)가 부착된 상태로, 수직 방향에 대하여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도록 부착된다.
제2 통형상부(36)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통형상부(35)의 상방측에 연속되지만, 그 상단 개구부는 축심과의 직교면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수평면 내에 위치한다. 제2 통형상부(36)의 내주면은, 제1 통형상부(35)에 접근한 위치(최접근 위치)로부터, 배출부(28)가 배치되는 위치의 근방 부분[약제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배출부(28)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최접근 위치와 대칭인 위치: 최고 돌출 위치]을 향해 서서히 내경측으로 팽출하도록 형성된다. 자세히는, 제2 통형상부(36)의 내주면은, 평면에서 봤을 때 시계 회전 방향으로, 최접근 위치로부터 최고 돌출 위치를 향하는 도중에서 서서히 내측으로 팽출하고, 최고 돌출 위치에서 가장 팽출 치수가 커지도록 형성된다[이하, 이 영역을 제1 팽출 영역(36A)으로 함]. 제1 팽출 영역(36A)은, 상측 개구 내면이 만곡면(36a)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1 팽출 영역(36A)은, 폭 규제부로서 기능하는 가이드 부재(25)를 설치한 범위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로 인해, 가이드 부재(25)에 의해 폭을 규제하여 제2 회전체(10)상으로부터 내측으로 낙하하는 약제가 만곡면(36a)을 흘러내리기 때문에, 그만큼 충격을 받지 않고 원활하게 제1 회전체(9)상에 회수된다. 또한 최고 돌출 위치로부터 앞쪽의 제2 팽출 영역(36B)은, 외경측을 향해 만곡하여, 상방측에는 만곡면(36b)과, 상기 배출 가이드편(31)이 위치하는 평탄부(39)가 형성된다.
제1 회전체(9)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반형의 베이스 플레이트(40)의 상면에, 동일 형상의 커버 플레이트(41)를 일체화한 것이다. 그리고, 제1 통형상부(35), 제2 통형상부(36) 및 제1 회전체(9)에 의해 약제를 수용하기 위한 약제 수용부(42)(도 8 참조)가 구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40)의 바닥면 외주부의 4지점에는 등간격으로 가이드 롤러(43)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각 가이드 롤러(43)는, 외주부에 홈형상부가 형성된다. 홈형상부에는, 상기 제1 통형상부(35)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 돌출 라인부(38)가 위치함으로써, 가이드 롤러(43)가 제1 돌출 라인부(38)를 따라 롤링한다. 이로 인해, 베이스 플레이트(40)는, 제1 통형상부(35)의 축심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통형상부(35)가 축심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돌출 라인부(38)가 가이드 롤러(43)의 홈형상부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1 통형상부(35)와 함께 베이스 플레이트(40)가 그 축심(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베이스 플레이트(40)의 중앙부 하면에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44)가 부착된다. 축부(44)는, 베어링(45)을 통해 지지 블록(4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지지 블록(46)에는,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제1 링크(47)의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제1 링크(47)의 타단부에는, 일단부를 카세트 본체(7)의 베이스부(1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제2 링크(48)의 타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2 링크(48)는, 카세트 본체(7)의 베이스부(13)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원통 캠 부재(49)에 의해 회동된다. 원통 캠 부재(49)는, 통형상으로, 하단 개구부의 외주면에 종동 기어(49a)를 형성하고, 상단 개구부가 비스듬하게 커트되어 경사부(50)를 구성한다. 원통 캠 부재(49)는, 카세트 본체(7)의 베이스부(13)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종동 기어(49a)에, 베이스부(13)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후술하는 구동 기어(57a)가 맞물려, 동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종동 기어(49a)(전달부)는, 약제 카세트(5)의 배면에서 노출된다.
커버 플레이트(41)의 중심부에는 캡(51)이 장착되고, 이 캡(5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방향과는 반대측을 향해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 라인(41a)이 형성된다. 이들 돌출 라인(41a)은, 제1 회전체(9)가 회전했을 때, 약제 카세트(5) 내에 수용되는 약제(M)와의 마찰 저항을 증대시킨다. 이로 인해, 약제는 제1 회전체(9)의 회전력을 받고, 돌출 라인(41a)의 나선 형상의 영향을 받아, 회전 방향 및 외경 방향으로 반송된다.
상기 구성의 제1 회전체(9)는, 제1 통형상부(35)의 회전에 의해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원통 캠 부재(49)를 정역회전시킴으로써, 제1 링크(47) 및 제2 링크(48)를 통해 제1 통형상부(35)에서 축심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원통 캠 부재(49)의 상단 개구부의 가장 높은 위치가 제2 링크(48)에 접촉한 상태에서, 제1 회전체(9)는 가장 위쪽으로 이동하여, 제1 회전체(9)의 일부가 제2 회전체(10)와 대략 동일한 높이가 된다. 또한, 원통 캠 부재(49)의 상단 개구부의 가장 낮은 위치가 제2 링크(48)에 접촉한 상태에서, 제1 회전체(9)는 가장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약제 수용부(42)에서의 약제 수용 용적은 최대가 된다.
또한, 약제 카세트(5)를 카세트 장착부(6)로부터 제거한 상태에서는, 제1 회전체(9)는, 주로 그 자신의 중량에 의해 제1 링크(47) 및 제2 링크(48)를 회동시키고 원통 캠 부재(49)를 회전시켜, 제1 통형상부(35)의 하방측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약제 카세트(5) 내에는, 약제를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별도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얻어진다.
제2 회전체(10)는, 정해진 폭으로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통형상부(36)의 상단 개구부의 대략 주위에 배치된다. 제2 회전체(10)의 외주면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형 홈(10a)과, 그 하방측에 위치하는 종동 기어(10b)가 각각 형성된다. 환형 홈(10a)에는, 카세트 본체(7)의 본체부(11)에 부착한 제1 가이드 롤러(19)가 롤링 가능하게 위치하고, 제2 회전체(1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종동 기어(10b)(전달부)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제 카세트(5)의 배면에서 노출되고, 노출되는 부분에서, 후술하는 카세트 장착부(6)에 설치한 구동 기어(58a)가 맞물리며, 제2 회전체(10)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심(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구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2 회전체(10)는 상기 제1 회전체(9)보다 고속 회전하도록 설정하여도 좋다. 이로 인해, 제1 회전체(9)로부터 제2 회전체(10)에 이송되는 각 약제의 간격을 넓힐 수 있어, 약제의 불출 수를 오검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카세트 장착부(6)는, 약제 공급 장치의 선반(2)에,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된다. 카세트 장착부(6)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치부(52)와 배면부(53)로 구성된다.
배치부(52)는 양측면 및 그 상단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상면으로 구성된다. 상면의 양측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 레일부(54) 및 제2 가이드 레일부(55)가 각각 형성된다.
제1 가이드 레일부(54)는, 상기 약제 카세트(5)의 카세트 본체(7)의 일부를 구성하는 본체부(11)에 형성된 측벽부(17)의 하단부가 가이드되는 홈부를 구비한다.
제2 가이드 레일부(55)는, 레일부(56)와, 이것에 연속되는 제1 수용부(57) 및 제2 수용부(58)로 구성된다.
제1 수용부(57)에는, 원통 캠 부재(49)의 종동 기어(49a)에 맞물리는 구동 기어(57a)가, 그 일부를 노출시킨 상태로 수용된다. 또한, 제1 수용부(57)에는, 구동 기어(57a)에 맞물리는 중간 기어(57b)와, 이 중간 기어(57b)에 맞물리는 웜 기어(57c)가 수용된다. 웜 기어(57c)의 회전축은, 제1 모터(59)의 회전축에 연결된다. 이로 인해, 제1 모터(59)를 구동하면, 원통 캠 부재(49)에 동력이 전달되어, 원통 캠 부재(49)가 정역회전한다.
제2 수용부(58)에는, 제1 통형상부(35)의 종동 기어(37a)에 맞물리는 구동 기어(58a)가, 그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수용된다. 구동 기어(58a)의 회전축에는 웜 기어(도시 생략)가 고정되고, 이 웜 기어에, 제2 모터(60)의 회전축에 연결된 축부(44)에 설치한 다른 웜 기어(도시 생략)가 맞물려 있다. 그리고, 제2 모터(60)를 구동하면, 제2 회전체(10)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배면부(53)의 한쪽 측부에는, 개구부(53a)가 형성되고, 거기에는 상기 약제 카세트(5)에 설치한 배출부(28)에 연속되는 배출관(61)이 부착된다. 또한, 배면부(53)의 다른쪽 측부에는, 상기 제1 모터(59) 및 상기 제2 모터(60) 외에, 제3 모터(62)가 부착된다. 제1 모터(59) 및 제2 모터(60)의 역할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제3 모터(62)는, 회전축에 연결된 축 부재에 구동 기어(62a)가 일체화되고, 이 구동 기어가 배면부(53)로부터 돌출하여 약제 카세트(5)의 제2 기어부(16b)에 맞물림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제3 모터(62)를 구동하면, 구동 기어(62a)가 회전하고, 이것에 맞물리는 제2 기어부(16b)를 통해 기어 부재(16)가 회전하며, 그의 제1 기어부(16a) 및 이것에 맞물리는 종동 기어(37a)를 통해 약제 카세트(5) 내의 제1 회전체(9)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약제 카세트(5)를 구동하는 구동 부재[제1 모터(59), 제2 모터(60), 제3 모터(62)]를 모두 배면부(53)에 설치하여 동일면 측[배면부(53)의 전면측]에서 약제 카세트(5) 측의 부재[제1 회전체(9), 제2 회전체(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 장치(4)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는 서버 등으로부터의 처방 데이터 등이나 각종 센서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각 모터(59, 60, 61)를 구동 제어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약제 공급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도 14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시하지 않는 서버 등으로부터 처방 데이터를 수신하고(단계 S1), 그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약제가 수용된 약제 카세트(5)를 특정한다(단계 S2). 이 때, 도시하지 않지만, 로봇 아암 등의 반송 수단에 의해, 특정된 약제 카세트(5)에 환자용기를 이동시킨다.
특정된 약제 카세트(5)에서는, 제2 모터(60)를 구동하여 제2 회전체(10)의 회전을 시작하고(단계 S3), 제3 모터(62)를 구동하여 제1 회전체(9)의 회전을 시작한다(단계 S4). 이로 인해, 약제 카세트(5) 내에 수용된 약제는, 제1 회전체(9)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외주측으로 이동한다. 제1 통형상부(35) 및 제2 통형상부(36)는 수직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배치되고, 약제 수용부(42)에 수용된 약제는, 제2 통형상부(36)의 최접근 위치에서, 가장 제2 회전체(10)에 접근해 있다. 이 때문에, 외주측으로 이동한 약제는, 주로 제2 통형상부(36)의 최접근 위치의 근방에서, 순차로 제2 회전체(10) 상으로 이동한다.
제2 회전체(10) 상으로 이동한 약제는, 제2 회전체(10)의 회전에 의해 반송되어, 우선 높이 규제 부재(26)에 의해 쌓인 약제 등이 약제 수용부(42)에 복귀된다. 계속해서, 제2 회전체(10) 상의 남은 약제는, 가이드 부재(25)에 의해 제2 회전체(10)의 노출 부분이 서서히 협폭이 되기 때문에, 하나씩 밖에 통과할 수 없게 되고, 나머지는 제2 통형상부(36)에 형성된 만곡면을 따라 원활하게 약제 수용부(42)에 복귀된다. 그리고, 통과한 약제는, 가이드 부재(25)와 배출 가이드편(31)에 의해 안내되어 배출부(28)로부터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반송 수단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는 센서에 의해 약제를 검출하고, 불출 수를 카운트한다(단계 S5).
이와 같이 하여 약제 수용부(42) 내의 약제를 순차 불출해가지만, 약제의 불출 상황에 따라 제1 회전체(9)의 위치를 위쪽으로 이동시킨다. 즉, 도시하지 않는 센서에 의해 제2 회전체(10) 상에 약제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약제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 또는 불출 수를 카운트하는 센서에 의해 배출부(28)로부터 배출되는 약제가 검출되는 간격이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등에 의해, 약제의 불출 상황이 악화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단계 S6), 악화되어 있으면 제1 모터(59)를 구동하고(단계 S7), 각종 기어를 통해 원통 캠 부재(49)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원통 캠 부재(49)의 경사부(50)를,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제2 링크(48)를 미끄럼 이동시켜, 제2 링크(48)를 회동시킨다. 이로 인해, 제1 링크(47)를 통해 제1 회전체(9)가 제1 통형상부(35) 내에서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약제 수용부(42) 내의 약제를, 불출 상황에 따라 원활하게 제2 회전체(10) 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회전체(9)가 가장 높은 위치까지 이동하거나, 거기에 이르기 전의 정해진 위치까지 이동하면(단계 S8), 약제를 충전해야 하는 취지를 통지한다(단계 S9).
또한, 제2 회전체(10) 상에 약제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로서는, 전술한 로봇 아암 등의 반송 수단에 설치한 광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광 센서를 사용하면, 장치 본체(1)의 선반에 설치한 각 약제 카세트(3)에 센서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반송 수단에 설치된 광 센서로부터 제2 회전체(101) 상으로 광을 전달하기 위해, 원통형 가이드부(23)에, 외주측 표면으로부터 내주측 표면에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여도 좋다. 구멍이 없으면 광 센서의 광이 원통형 가이드부(23)에 차단되지 않도록 광 센서를 반송 수단에 설치해야 하지만,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광 센서를 설치하는 데 있어서 이러한 문제는 없다. 또한, 구멍 대신에, 원통형 가이드부(23)의 일부를 투명으로 하여도 좋다.
약제 수용부(42) 내에 약제를 충전하는 취지가 통지되면, 카세트 장착부(6)로부터 약제 카세트(5)를 제거하여 충전하면 좋다. 이 경우, 원통 캠 부재(49)는, 카세트 장착부(6) 측의 구동 기어(62a)와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결과, 제1 회전체(9)는, 그 자신의 중량에 의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별도 동력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최하 위치로 이동하고, 약제 수용부(42)의 용적을 최대로 하여 약제를 충전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15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피더(3)를 도시한다. 이 약제 피더(3)는, 약제 카세트(101)와, 이 약제 카세트(101)를 착탈할 수 있는 카세트 장착부(102)로 구성된다.
약제 카세트(101)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세트 본체(103) 내에 통형상체(104)를 수용하고, 이 통형상체(104) 내에 제1 회전체(105)를 수용하며, 추가로 통형상체(104)의 상단 개구부 외주에 제2 회전체(106)를 배치한 것이다.
카세트 본체(103)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107)의 위쪽에 커버부(108)를 고정한 것이다.
본체부(107)는, 바닥을 갖는 통형상부(109)와, 그 상단 개구부에 형성된 플랜지부(110)와, 플랜지부(110)로부터 바닥을 갖는 통형상부(109)를 따라 연장된 양측의 측벽부(111a, 111b)로 구성된다. 바닥을 갖는 통형상부(109)의 전면 중앙부에는 손잡이(112)(도 16 참조)가 형성된다. 바닥을 갖는 통형상부(109)의 바닥면에는, 동력 전달 기구가 배치된다.
동력 전달 기구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대(113)에, 제1 종동 기어(114), 제2 종동 기어(115), 및 축 부재(116)를 부착한 것이다.
부착대(113)는, 제1 부착 플레이트(117)에 제2 부착 플레이트(118)를 일체화한 것이다. 제1 종동 기어(114)는, 제1 부착 플레이트(117)와 제2 부착 플레이트(118)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축 부재(121)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2 종동 기어(115)는, 제2 부착 플레이트(118)의 상면에 배치되어, 가이드 플레이트(119) 사이에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축 부재 유닛(116)은, 제2 부착 플레이트(118)와, 후술하는 보강빔(134) 사이에 부착되는 축 가이드(120)를 구비한다. 축 가이드(120)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측에 홈부(120a)(한쪽은 도시 생략)가 각각 형성된다. 각 홈부에는, 제1 축 부재(121)와, 제2 축 부재(122)가 각각 배치된다. 제1 축 부재(121)는, 상기 제1 종동 기어(114)의 제1 지지축(114a)에 연결되어 위쪽으로 연장되고, 외주면에는, 하단측으로부터 상단측을 향해 나선홈(121a)이 형성된다. 제2 축 부재(122)는,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기어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축 부재(122)의 세로 기어에는, 제2 종속 기어(115)와, 후술하는 제1 회전체(105)의 내주 기어(157)가 각각 맞물려 있다.
또한, 바닥을 갖는 통형상부(109)의 바닥면에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개구(123a)를 갖는 제1 오목부(123)와, 제2 개구(124a)를 갖는 제2 오목부(124)가 각각 형성된다. 제1 개구(123a)로부터는 제1 종동 기어(114)가 노출되고, 제2 개구로부터는 제2 종동 기어(115)가 노출된다. 제1 오목부(123)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카세트 장착부(102)의 제1 지지부가 위치하고, 제1 종동 기어(114)에는 제1 구동 기어(167)가 맞물려 있다. 제2 오목부(124)에는, 카세트 장착부(102)의 제2 지지부가 위치하고, 제2 종동 기어(115)에는 제2 구동 기어(168)가 맞물려 있다.
플랜지부(110)의 둘레 가장자리는 둘레벽(125)으로 구성되고, 그 일부에는 오목부(126)가 형성된다. 오목부(126)는 배출부(135)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플랜지부(110)에는, 후술하는 통형상체(104)의 플랜지부(141)가 배치되어 나사 고정된다. 양측벽부(111a, 111b)는, 후술하는 카세트 장착부(102)의 각 가이드 레일부(165, 166)에 유지된다.
커버부(108)는, 환형체의 일부에 절결부(127)를 형성하고, 이 절결부(127)와 상기 본체부(107)의 오목부(126)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배출부(135)를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 커버부(108)의 상면 외측 가장자리에는 둘레벽(128)이 형성되고, 그 내측에는 원통형 가이드부(129)가 설치된다. 원통형 가이드부(129)는, 원통 형상 부분의 절반을 초과하는 부분을 차지하는 가이드 벽(130)과, 원통형상 부분의 나머지를 차지하며, 커버부(108)에 나사 고정되는 가이드 부재(131)로 구성된다. 가이드 벽(130)의 내주면을 따라, 후술하는 제2 회전체(106)의 외주 가장자리가 위치해 있다. 가이드 부재(131)에는, 2지점에 긴 구멍이 형성되고, 이 긴 구멍을 이용하여 커버부(108)에 대하여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부착된다. 가이드 부재(131)는, 그 내면이 가이드 벽(130)의 내주면의 위치로부터 서서히 중심측으로 나오고, 그 후 외주측으로 넓어지도록 부착된다. 이로 인해, 가이드 부재(131)에 의해 제2 회전체(106)의 노출 부분이 서서히 좁아지고, 반송할 수 있는 약제의 사이즈(폭 치수)가 제한되어, 약제가 하나씩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커버부(108)에 부착된 가이드 부재(131)의 일단부(약제의 반송 방향 상류측의 단부)에는, 높이 규제 부재(132)가 부착된다. 높이 규제 부재(132)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둘레벽(125)에 형성된 긴 구멍(125a)을 통해 조정 나사(도시 생략)에 의해 나사 고정되는 고정부(도시 생략)와, 이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가이드편부(132a)로 구성된다. 가이드편부(132a)는, 가이드 벽(130)의 내측에서, 제2 회전체(106)의 회전 방향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돌출한다. 그리고, 가이드편부(132a)는, 제2 회전체(106)의 상면과의 사이에, 통과할 수 있는 약제의 높이 치수를 제한하는 높이 규제부를 구성한다. 또한 가이드편부(132a)에 의해 제한하는 높이 치수는, 상기 긴 구멍(125a)에서의 조정 나사의 나사 결합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조정 가능하게 된다.
또한, 높이 규제 부재(132)의 고정부의 근방 위치와, 제2 축 부재(122)를 중심으로 하는 대칭 위치에는 보강빔(134)이 걸쳐져 있다. 보강빔(134)의 중앙부에는, 상기 축 가이드(120)의 상단부가 고정된다. 또한 보강빔(134)은, 축 가이드 등의 강도가 충분하면,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니다.
또한, 커버부(108)에 부착된 가이드 부재(131)의 타단측(약제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는, 배출부(135)가 형성된다. 배출부(135)는,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상의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배출부(135)의 위쪽 부분에는 제2 회전체(106)에 의해 반송되는 약제를 수용할 수 있는 절결부(136)가 형성되며, 한쪽 측벽[제1 측벽(137)]의 선단 부분에는 배출 가이드편(138)이 부착되고, 다른쪽 측벽[제2 측벽(139)]의 선단은 가이드 부재(131)의 단부면에 접촉한다. 배출 가이드편(138)은, 단면이 직사각형 통형상으로 형성된 제1 측벽(137)에 감합되는 부착부와, 제1 측벽(137)을 따라 돌출하는 가이드부로 구성된다. 가이드부의 선단에는, 선단을 향함에 따라 가이드 부재(131)의 내면과의 거리를 크게 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다.
통형상체(104)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형상부(140)와, 그 상방측 외주면에 형성된 플랜지부(141)로 구성된다. 통형상부(140)는, 상단 개구부의 내주면의 대략 절반이, 내측으로 팽출하는 팽출부(142)로 구성된다. 팽출부(142)는, 상단 개구부의 내주면이, 도 20중, 좌측으로부터 시계 회전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즉 배출부(135)를 향함에 따라 서서히 내측으로 팽출하는 만곡면으로 구성되는 제1 팽출 영역(143)과, 이 제1 팽출 영역(143)보다 약간 외경측으로부터, 시계 회전 방향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외경측으로 넓어지는 제2 팽출 영역(144)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팽출부(142)의 상단 개구 내면이 만곡면으로 구성된다. 단, 제2 팽출 영역(144)의 상단면의 일부는 통형상부(140)의 상단 개구단과 동일면이 되어, 후술하는 배출 가이드편(138)이 배치되는 평탄부(145)로 된다. 플랜지부(110)의 상면에는, 3지점의 대략 균등한 위치에 가이드 롤러(146)가 부착된다. 가이드 롤러(146)는, 후술하는 제2 회전체(10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1 회전체(105)는,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받이 부재(14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원반 기어 베이스(149)와, 원반 기어 베이스(149)에 장착되는 원반 플레이트(150)를 구비한다. 축받이 부재(147)는, 환형이며, 하단 개구부를 원형상의 폐쇄판(148)으로 덮고 있다. 그리고, 제1 회전체(105)와, 통형상체(104)로, 바닥을 갖는 통형상의 약제 수용부(133)가 형성된다.
축받이 부재(147)의 내주면에는 원환형의 베어링(151)이 배치되어(도 21에서는 절반만 도시), 원반 기어 베이스(149)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2 환형 벽(159)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축받이 부재(147)는, 통형상체(104)의 축심(제2 회전축)과의 직교면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폐쇄판(148)에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심부에 축 부재 유닛(116)이 삽입 관통할 수 있는 삽입 관통 구멍(152)이 형성된다. 삽입 관통 구멍(152)은, 대략 직사각형상이며, 한쪽의 긴 변 중앙부에는 원호형의 오목부(152a)가 형성되고, 다른쪽의 긴 변으로부터는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설편(153)이 형성된다. 설편(153)은, 양측부가 돌출하고, 상면 중앙부(절결되어 우묵한 곳)에는 돌기(153a)가 형성된다. 설편(153)의 상면에는,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블록(154)이 고정된다. 가이드 블록(154)은, 설편(153)에 나사 고정되는 것 외에 상기 돌기에 의해 부착 상태를 보강한다. 그리고, 가이드 블록(154)은, 축 부재 유닛(116)의 축 가이드(120)의 일부를 가이드하여, 제1 회전체(105)가 축 부재 유닛(116)을 따라 미끄럼 이동할 때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한다. 또한, 가이드 블록(154)에는, 가이드 핀(155)이 부착된다. 가이드 핀(155)은, 제1 축 부재(121)의 나선홈(121a)에 위치하고, 제1 축 부재(121)가 회전함으로써 나선홈(121a)을 따라 이동한다. 이로 인해, 가이드 블록(154)을 통해 제1 회전체(105)가 승강한다.
원반 기어 베이스(149)의 외주면에는, 위쪽으로 산형이 된 외주 기어(156)가 형성된다. 원반 기어 베이스(149)의 중심 구멍의 내주면에는, 아래쪽으로 향함에 따라 서서히 내측으로 나오는 원뿔형의 내주 기어(157)가 형성된다. 내주 기어(157)에는, 상기 축 부재 유닛(116)의 제2 축 부재(122)의 외주면에 형성된 세로 기어가 맞물린다. 원반 기어 베이스(149)의 상면에는, 중심 구멍의 외경측에 제1 환형 벽(158)이 형성된다. 또한, 원반 기어 베이스(149)의 하면에는, 중심 구멍의 외경측에 제2 환형 벽(159)이 형성된다. 제2 환형 벽(159)의 하단면에는 환형 플레이트(160)가 나사 고정된다.
원반 플레이트(150)의 중심에는, 개구부(150a)가 형성된다. 개구부(150a) 주위는 다른 부분보다 위쪽으로 돌출된다. 개구부에는, 통형상 커버(161a)가 장착된다. 통형상 커버(161a) 내에는,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적으로 외경 치수가 작아지는 2개의 커버체[중커버(161b), 소커버(161c)]가 배치된다. 소커버(161c)는 중커버(161b) 내에 수용 가능하고, 중커버(161b)는 통형상 커버(161a) 내에 수용 가능하다. 이로 인해, 통형상 커버(161a) 및 커버체(161b, 161c)에 의해 축 부재 유닛(116)을 피복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 회전체(105)가 축 부재 유닛(116)을 따라 승강 가능해진다.
원반 플레이트(150)의 상면에는,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주 기어(157)측으로부터 회전 방향의 하류측으로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 라인(150a)이 형성된다. 이들 돌출 라인(150a)은, 원반 플레이트(150)가 회전했을 때, 약제를 원활하게 둘레 방향 및 외경 방향으로 반송하는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원반 플레이트(150)의 외주측 하면에는,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칭인 위치 2지점에 계지 갈고리(162)가 형성된다. 계지 갈고리(162)는, 원반 플레이트(150)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원반 기어 베이스(149)의 외주부에 계지하여, 원반 플레이트(150)와 원반 기어 베이스(149)를 일체화한다. 각 계지 갈고리(162)와 90도 회전한 2지점의 위치에는, 상기 외주 기어(156)에 맞물리는 산형의 기어부(163)가 각각 형성된다.
제2 회전체(106)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해진 폭으로 환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환형 돌기부(106a)와, 그 하방측에 위치하는 종동 기어(106b)가 각각 형성된다. 환형 돌기부(106a)에는, 카세트 본체(103)에 장착한 통형상체(104)에 부착한 가이드 롤러(146)가 롤링 가능하게 위치하여, 제2 회전체(106)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종동 기어(106b)에는, 후술하는 카세트 장착부(102)에 설치한 제3 구동 기어(169)가 맞물려, 제2 회전체(106)가 회전 구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2 회전체(106)는, 상기 제1 회전체(105)보다 고속 회전하도록 설정되어도 좋다. 이로 인해, 제1 회전체(105)로부터 제2 회전체(106)에 이송되는 각 약제의 간격을 넓힐 수 있어, 약제의 불출 수를 오검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카세트 장착부(102)는, 도 1과 마찬가지로, 약제 공급 장치의 선반(2)에,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된다. 카세트 장착부(102)의 배면부(164)로부터는,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해진 간격으로 제1 가이드 레일부(165) 및 제2 가이드 레일부(166)가 전방으로 돌출된다. 또한, 배면부(164)에는 직사각형상의 개구부(164a)가 형성되고, 거기에는 상기 배출부(135)에 연통하는 배출관(173)이 부착된다.
제1 가이드 레일부(165)는, 상기 약제 카세트(101)의 카세트 본체(103)의 일부를 구성하는 본체부(107)에 형성한 제1 측벽부(111a)의 하단부를 가이드하는 홈부(165a)를 구비한다.
제2 가이드 레일부(166)는, 카세트 본체(103)의 일부를 구성하는 본체부(107)에 형성한 제2 측벽부(111b)의 하단부를 가이드하는 홈부(166a)가 형성되고, 3지점에 구동 기어[제1 구동 기어(167), 제2 구동 기어(168) 및 제3 구동 기어(169)]가 노출되는 개구부가 각각 형성된다. 제1 구동 기어(167)에는, 동축상에 설치한 기어에 중간 기어를 통해 제1 모터(170)의 회전축에 연결한 기어가 맞물려 있다. 또한, 제1 구동 기어(167)에는, 카세트 장착부(102)에 장착되는 약제 카세트(101)측의 제1 종동 기어(114)가 맞물려, 제1 축 부재(121)에 제1 모터(170)의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제2 구동 기어(168)에는, 동축상에 설치한 기어에 제2 모터(171)의 회전축에 연결한 기어가 맞물려 있다. 또한, 제2 구동 기어(168)에는, 카세트 장착부(102)에 장착되는 약제 카세트(101)측의 제2 종동 기어(115)가 맞물려, 제2 축 부재(122)에 제2 모터(171)의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제3 구동 기어(169)에는, 동축상에 설치한 기어에 제3 모터(172)의 회전축에 연결한 기어가 맞물려 있다. 또한, 제3 구동 기어(169)에는, 카세트 장착부(102)에 장착되는 약제 카세트(101)측의 제2 회전체(106)에 형성한 종동 기어(106b)가 맞물려, 제2 회전체(106)에 제3 모터(172)의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제어 장치(4)는, 도시하지 않는 서버 등으로부터의 처방 데이터 등이나, 각종 센서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각 모터를 구동 제어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약제 공급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제어의 내용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형태(도 14의 흐름도)와 마찬가지이다.
우선, 도시하지 않는 서버 등으로부터 처방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약제가 수용된 약제 카세트(101)를 특정한다. 그리고, 특정된 약제 카세트(101)에서, 제2 모터(171)를 구동하여 제1 회전체(105)의 회전을 시작하고, 제3 모터(172)를 구동하여 제2 회전체(106)의 회전을 시작한다. 이로 인해, 약제 카세트(101) 내에 수용된 약제는, 제1 회전체(105)의 회전에 의해 회전 방향 및 외경 방향으로 이동한다. 통형상부(140)는 수직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배치되고, 약제 수용부(133)에 수용된 약제는, 통형상부(140)의 최접근 위치에서, 가장 제2 회전체(106)에 접근해 있다. 이 때문에 외경 방향으로 이동한 약제는, 통형상부(140)의 최접근 위치의 근방에서, 순차로 제2 회전체 상으로 이동한다.
제2 회전체(106)상에 이동한 약제는, 제2 회전체(106)의 회전에 의해 반송되어, 우선 높이 규제 부재(132)에 의해 쌓인 약제 등이 약제 수용부(133)로 복귀된다. 계속해서, 제2 회전체(106)상의 남은 약제는, 가이드 부재(131)에 의해 제2 회전체(106)의 노출 부분이 서서히 협폭이 되기 때문에, 하나씩 밖에 통과할 수 없게 되고, 나머지는 통형상부(140)에 형성된 만곡면을 따라 원활하게 약제 수용부(133)에 복귀된다. 그리고, 통과한 약제는, 가이드 부재(131)와 배출 가이드편(138)에 의해 안내되어 배출부(135)로부터 배출된다. 이 때, 도시하지 않는 센서에 의해 약제가 검출되어, 불출 수가 카운트된다.
이와 같이 하여 약제 수용부(133) 내의 약제를 순차 불출해가지만, 약제의 불출 상황에 따라 제1 회전체(105)의 위치를 위쪽으로 이동시킨다. 즉, 도시하지 않는 센서에 의해 제2 회전체(106) 상에 약제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약제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 또는 불출 수를 카운트하는 센서에 의해 배출부(135)로부터 배출되는 약제가 검출되는 간격이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등에 의해, 약제 불출 상황이 악화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악화되어 있으면, 제1 모터(170)를 구동하여 도시하지 않는 복수의 기어를 통해 제1 종동 기어(114)를 회전시키고, 이 제1 종동 기어(114)에 맞물린 축 부재 유닛(116)의 제1 축 부재(121)를 회전시킨다. 제1 축 부재(121)의 나선홈(121a)에는, 가이드 핀(155)이 위치한다. 이로 인해, 제1 축 부재(121)의 회전에 수반하여 가이드 핀(155)이 부착된 제1 회전체(105)가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약제 수용부(133) 내의 약제를, 불출 상황에 따라 원활하게 제2 회전체(106) 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약제 수용부(133) 내의 약제 수가 감소하면, 카세트 장착부(102)로부터 약제 카세트(101)를 제거하여 충전하면 좋다. 이 경우, 약제 카세트(101)를 제거하기 전에, 제1 모터(170)를 역회전 구동함으로써, 강제적으로 제1 회전체(105)의 위치를 최하 위치까지 내려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기재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1 회전체의 승강을 중앙부에 설치한 제1 링크(47) 및 제2 링크(48)를 통해 행하도록 했지만, 도 26에 도시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즉, 상부 플레이트(173A)[제1 회전체(9)측]와, 하부 플레이트(173B)[카세트 본체(7)측] 사이에, 서로 교차하는 한 쌍의 링크(174)를 2조 설치하고, 각 플레이트(173A, 173B)에 회동 및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속하도록 하면 좋다. 도 26의 (a)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축받이 부재(175A, 175B)가 슬라이드 레일(176A, 176B)의 일단부[플레이트(173A, 173B)의 외경측의 단부]에 위치하고, 하부 플레이트(173B)에 대하여 상부 플레이트(173A)가 가장 낮은 위치로 이동한다. 도 2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플레이트(173B)에서, 축받이 부재(175B)를, 도시하지 않는 구동 수단에 의해, 서서히 슬라이드 레일(176B)의 타단측으로 이동시키면, 상부 플레이트(173A)에서도 축받이 부재(175A)가 서서히 슬라이드 레일(176A)의 타단측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하부 플레이트(173B)에 대하여 상부 플레이트(173A)가 서서히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부 플레이트(173A)가 합계 4개의 링크(174)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승강 동작을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1 회전체(9)에, 가이드 지지부로서 가이드 롤러(43)(외주부의 홈형상부)를 설치하도록 했지만,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회전체(9)에, 가이드 지지부로서, 돌기(177)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1 회전체(9)의 돌기(177)는, 제1 통형상부(35)가 도 26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통형상체(35)의 돌기(38)에 의해 밀려, 제1 통형상부(35)의 둘레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제1 통형상부(35)가 회전하면, 제1 회전체(9)가 회전한다.
1: 장치 본체, 2: 선반, 3: 약제 피더, 4: 제어 장치, 5: 약제 카세트, 6: 카세트 장착부, 7: 카세트 본체, 8: 통형상체, 9: 제1 회전체, 10: 제2 회전체, 11: 본체부, 12: 커버부, 13: 베이스부, 14: 손잡이, 15: 축받이부, 16: 기어 부재, 17: 측벽부, 18: 둘레벽, 19: 제1 가이드 롤러, 20: 링 부재, 21: 설편, 22: 제2 가이드 롤러, 23: 원통형 가이드부, 24: 가이드 벽, 25: 가이드 부재, 26: 높이 규제 부재, 27: 조정 나사, 28: 배출부, 29: 절결부, 30: 제1 측벽, 31: 배출 가이드편, 32: 제2 측벽, 33: 단차식 오목부, 34: 전면 커버, 35: 제1 통형상부, 36: 제2 통형상부, 37: 환형 플랜지부, 38: 제1 돌출 라인부(가이드부), 39: 오목부, 40: 베이스 플레이트, 41: 커버 플레이트, 42: 약제 수용부, 43: 가이드 롤러(가이드 지지부), 44: 축부, 45: 베어링, 46: 지지 블록, 47: 제1 링크, 48: 제2 링크, 49: 원통 캠 부재, 50: 경사부, 51: 캡, 52: 배치부, 53: 배면부, 54: 제1 가이드 레일부, 55: 제2 가이드 레일부, 56: 레일부, 57: 제1 수용부, 58: 제2 수용부, 59: 제1 모터, 60: 제2 모터, 61: 배출관, 62: 제3 모터, 101: 약제 카세트, 102: 카세트 장착부, 103: 카세트 본체, 104: 통형상체, 105: 제1 회전체, 106: 제2 회전체, 107: 본체부, 108: 커버부, 109: 바닥을 갖는 통형상부, 110: 플랜지부, 111: 측벽부, 112: 손잡이, 113: 부착대, 114: 제1 종동 기어, 115: 제2 종동 기어, 116: 축 부재 유닛, 117: 제1 부착 플레이트, 118: 제2 부착 플레이트, 119: 가이드 플레이트, 120: 축 가이드, 121: 제1 축 부재, 122: 제2 축 부재, 123: 제1 오목부, 124: 제2 오목부, 125: 둘레벽, 126: 오목부, 127: 절결부, 128: 둘레벽, 129: 원통형 가이드부, 130: 가이드 벽, 131: 가이드 부재, 132: 높이 규제 부재, 133: 약제 수용부, 134: 보강빔, 135: 배출부, 136: 절결부, 137: 제1 측벽, 138: 배출 가이드편, 139: 제2 측벽, 140: 통형상부, 141: 플랜지부, 142: 팽출부, 143: 제1 팽출 영역, 144: 제2 팽출 영역, 145: 평탄부, 146: 가이드 롤러, 147: 축받이 부재, 148: 폐쇄판, 149: 원반 기어 베이스, 150: 원반 플레이트, 151: 베어링, 152: 삽입 관통 구멍, 153: 설편, 154: 가이드 블록, 155: 가이드 핀, 156: 외주 기어, 157: 내주 기어, 158: 제1 환형벽, 159: 제2 환형벽, 160: 환형 플레이트, 161: 통형상 커버, 162: 계지 갈고리, 163: 기어부, 164: 배면부, 165: 제1 가이드 레일부, 166: 제2 가이드 레일부, 167: 제1 구동 기어, 168: 제2 구동 기어, 169: 제3 구동 기어, 170: 제1 모터, 171: 제2 모터, 172: 제3 모터, 173A: 상부 플레이트, 173B: 하부 플레이트, 174: 링크, 175A, 175B: 축받이 부재, 176A, 176B: 슬라이드 레일, 177: 돌기

Claims (16)

  1. 통형상체와,
    상기 통형상체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통형상체와 함께 약제를 수용할 수 있는 약제 수용부를 구성하며, 상기 통형상체의 축심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고,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는 제1 회전체와,
    상기 통형상체의 개구부 외주에 배치되고,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는 제2 회전체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카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체는, 상기 통형상체의 축심에 대하여 상면이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카세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외주측으로 이동하는 약제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카세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체는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내주면에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회전체는 상기 가이드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지지부에 의한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 상태는, 상기 통형상체에 대하여 상기 제1 회전체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 불가능하고 상기 축심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카세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체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제2 축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카세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체를 상기 통형상체의 축심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하는 링크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카세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제1 회전체에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링크와, 제1 링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링크와, 회전에 의해 제2 링크와의 접촉 위치를 축심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경사부를 갖는 원통 캠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카세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구는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되는 2개 1조로 하는 2개의 링크조로 구성되고, 각 링크조는 링크의 중간부를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며, 링크의 일단부를 상기 제1 회전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하여 신축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카세트.
  9. 제5항에 있어서,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나선홈이 형성된 제1 축 부재와,
    상기 나선홈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핀을 가지며, 상기 제1 회전체를 지지하는 축받이 부재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카세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체는 내주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축 부재는 외주면에 상기 내주 기어에 맞물리는 세로 기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카세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체는, 상기 통형상체 내를 자신의 중량에 의해 축심 방향의 한쪽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카세트.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면에 형성된 파지부와,
    상기 통형상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력을 상기 통형상체에 전달하는 전달부와,
    상기 제1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력을 상기 제1 회전체에 전달하는 전달부와,
    상기 제2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력을 상기 제2 회전체에 전달하는 전달부를 구비하고,
    상기 3개의 전달부가 배면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카세트.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체 상에서 반송되는 약제가 통과할 수 있는 폭 치수를 제한하는 폭 규제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형상체는, 상기 폭 규제부에 의해 폭 치수를 규제한 영역에서, 제2 회전체의 내주 가장자리로부터 서서히 하방측을 향해 내경측으로 돌출하는 팽출 영역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카세트.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약제 카세트와,
    상기 약제 카세트를 장착할 수 있는 카세트 장착부
    를 구비하고,
    상기 카세트 장착부는, 상기 통형상체, 상기 제1 회전체, 및 상기 제2 회전체를 구동시키는 구동 부재를 각각 가지며,
    상기 구동 부재에 의한 구동력 전달 위치는 모두, 카세트 장착부 측의 동일면 측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공급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약제 카세트와,
    상기 약제 카세트로부터 불출하는 약제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불출 상황이 악화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악화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회전체를 통형상체의 축심 방향의 제2 회전체측으로 이동시키는 제어 장치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공급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약제 카세트와,
    상기 제2 회전체 상에 약제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와,
    상기 센서로 상기 제2 회전체 상에 약제가 없는 것이 검지되면, 상기 제1 회전체를 통형상체의 축심 방향의 제2 회전체 측으로 이동시키는 제어 장치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공급 장치.
KR1020147006030A 2011-09-06 2012-09-04 약제 카세트 및 약제 공급 장치 KR1019227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94276 2011-09-06
JP2011194276 2011-09-06
PCT/JP2012/072457 WO2013035692A1 (ja) 2011-09-06 2012-09-04 薬剤カセット及び薬剤供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437A true KR20140061437A (ko) 2014-05-21
KR101922750B1 KR101922750B1 (ko) 2018-11-27

Family

ID=47832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6030A KR101922750B1 (ko) 2011-09-06 2012-09-04 약제 카세트 및 약제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242785B2 (ko)
EP (1) EP2754627A4 (ko)
JP (1) JP5975035B2 (ko)
KR (1) KR101922750B1 (ko)
CN (1) CN103857608B (ko)
TW (1) TWI609829B (ko)
WO (1) WO201303569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9094A1 (ko) * 2014-12-15 2016-06-23 (주)크레템 약제포장장치
WO2016099110A1 (ko) * 2014-12-15 2016-06-23 (주)크레템 약제 포장용 카세트
KR20170034383A (ko) * 2014-07-23 2017-03-28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카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5692A1 (ja) * 2011-09-06 2013-03-14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カセット及び薬剤供給装置
CN104144857B (zh) 2012-02-10 2016-11-02 株式会社汤山制作所 药剂盒
WO2015041220A1 (ja) * 2013-09-18 2015-03-2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カセット及び薬剤包装装置
KR20160072725A (ko) * 2014-12-15 2016-06-23 (주)크레템 약제포장유닛 및 이의 약제 이송 방법
KR102543406B1 (ko) * 2015-04-11 2023-06-14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불출 카세트
US10490016B2 (en) * 2015-05-13 2019-11-26 Carefusion Germany 326 Gmbh Device for packaging medication portions
CN108366909B (zh) * 2015-11-30 2021-06-11 株式会社汤山制作所 药剂盒、药剂配给装置和药剂包装装置
TWI724134B (zh) * 2016-03-25 2021-04-11 日商湯山製作所有限公司 片劑盒用轉子以及片劑盒
WO2018018155A1 (en) * 2016-07-29 2018-02-01 9754741 Canada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ingulating particles in a stream
CN106379570B (zh) * 2016-10-10 2018-11-02 宁翰 一种应用于颗粒剂分药设备的驱动部件
CN106697342B (zh) * 2017-01-09 2023-09-26 成都宇亨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多层下药机
US10380824B2 (en) 2017-02-03 2019-08-13 Becton Dickinson Rowa Germany Gmbh Storage and dispensing station for blister packaging machine
US10392853B2 (en) * 2017-10-26 2019-08-27 Nio Usa, Inc. Powered accessory port closure lid
WO2019172173A1 (ja) * 2018-03-05 2019-09-12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品払出装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DE102018109474A1 (de) * 2018-04-20 2019-10-2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Ladedosendeckel für ein elektrisch betriebenes Kraftfahrzeug
US10988324B2 (en) * 2018-04-20 2021-04-27 Greg Schombert Food grade feeder device and system for rolls, sandwiches, odd shaped edibles and foodstuff
KR20210043486A (ko) 2018-08-28 2021-04-21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충전 장치 및 약제 회수 방법
CN110884777B (zh) * 2019-10-18 2021-08-27 福建师范大学 一种可简便分药的药瓶
US11759396B2 (en) * 2020-01-29 2023-09-19 Tosho, Inc. Medicine feeder
CN114194482A (zh) * 2022-01-12 2022-03-18 江苏神龙药业有限公司 一种银杏酮酯分散片分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13A (ja) 1981-06-25 1983-01-07 F I T:Kk 供給機
DE3310535A1 (de) 1983-03-21 1984-10-04 Horst Dipl.-Ing. 3000 Hannover Hilgenböcker Vorrichtung zur abgabe einer aufeinanderfolge von gleich orientierten gegenstaenden
JPS6112509A (ja) 1984-06-26 1986-01-20 F I T:Kk 整列供給機
WO1989005273A1 (fr) 1987-12-02 1989-06-15 Cosmonor S.A. Machine centrifugeuse pour la separation de pieces
IL106222A (en) * 1992-07-07 1996-08-04 Sala Jaime Marti A machine for automatic display and the alignment of its capacity as plastic bottles
JP2000203525A (ja) * 1999-01-11 2000-07-25 Dainippon Printing Co Ltd 錠剤供給ホッパ―
JP2001058718A (ja) * 1999-08-23 2001-03-06 Ntn Corp 部品供給機
JP4346173B2 (ja) * 1999-10-06 2009-10-21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フィーダ
JP3673484B2 (ja) * 2001-05-16 2005-07-20 株式会社エフアイテイ 回転式整列供給機
ATE503502T1 (de) * 2003-12-25 2011-04-15 Fumakilla Ltd Chemische patrone mit chemisch impregniertem körper für einen apparat zum verteilen einer chemischen substanz vom typ mit gebläse
JP4638793B2 (ja) * 2005-09-20 2011-02-23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供給装置及び錠剤供給方法
CN103501752B (zh) 2011-01-20 2015-11-25 株式会社汤山制作所 药剂供给装置及使用药剂供给装置的药剂计数装置
WO2013035692A1 (ja) * 2011-09-06 2013-03-14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カセット及び薬剤供給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4383A (ko) * 2014-07-23 2017-03-28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카세트
WO2016099094A1 (ko) * 2014-12-15 2016-06-23 (주)크레템 약제포장장치
WO2016099110A1 (ko) * 2014-12-15 2016-06-23 (주)크레템 약제 포장용 카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75035B2 (ja) 2016-08-23
EP2754627A1 (en) 2014-07-16
US20140246451A1 (en) 2014-09-04
US20160151245A1 (en) 2016-06-02
CN103857608A (zh) 2014-06-11
JPWO2013035692A1 (ja) 2015-03-23
WO2013035692A1 (ja) 2013-03-14
CN103857608B (zh) 2016-08-17
KR101922750B1 (ko) 2018-11-27
TWI609829B (zh) 2018-01-01
US9242785B2 (en) 2016-01-26
US20170273869A9 (en) 2017-09-28
US9792756B2 (en) 2017-10-17
EP2754627A4 (en) 2015-08-05
TW201331108A (zh) 201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2750B1 (ko) 약제 카세트 및 약제 공급 장치
JP7260038B2 (ja) 薬剤供給装置
KR101968373B1 (ko) 약제 카세트
US8666543B2 (en) Intelligent dispenser
US10722429B2 (en) Liquid medication dispensing machine
US7510099B2 (en) Cassette for dispensing pills
JP5924397B2 (ja) 薬剤払出装置
US20190328617A1 (en) Drug feeder
JP5349362B2 (ja) 薬品類カセット
EP4303840A2 (en) Beverage dispensing machine with cup dispenser
CN218839839U (zh) 称重灌装装置及中药颗粒调剂系统
US20180186482A1 (en) Storage container for drug portion storage and dispensing
JP2022100541A (ja) 薬剤フィーダ
JP2005018111A (ja) 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