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3486A - 약제 충전 장치 및 약제 회수 방법 - Google Patents

약제 충전 장치 및 약제 회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3486A
KR20210043486A KR1020207028637A KR20207028637A KR20210043486A KR 20210043486 A KR20210043486 A KR 20210043486A KR 1020207028637 A KR1020207028637 A KR 1020207028637A KR 20207028637 A KR20207028637 A KR 20207028637A KR 20210043486 A KR20210043486 A KR 20210043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information
image
cassette
fill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8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유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10043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4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07Marking tabl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6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ills, lozenges or drag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7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61J7/0084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for multiple medic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8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causing operation of audible or visible alarm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712Fixed beam scanning
    • G06K7/10722Photodetector array or CCD sc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31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55Detecting or recognising potential candidate objects based on visual cues, e.g. sha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06V10/75Organisation of the matching processes, e.g. simultaneous or sequential comparisons of image or video features; Coarse-fine approaches, e.g. multi-scale approaches; using context analysis; Selection of dictiona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6Trinkets, e.g. shirt buttons or jewellery ite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5/0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5/0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 A61J2205/10Bar c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5/0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 A61J2205/5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using icons or symbolic figures, e.g. by a graphical representation symbolising the type of pathology or the organ by an i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36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tablets, pills, or like smal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처방전 정보에 기초하여, 잘못된 약제의 충전을 방지할 수 있는 약제 충전 장치를 제공한다. 약제 충전 장치는, 본체와, 약제 불출 카세트와, 약제 감별 수단을 갖고 있다. 약제 불출 카세트에는, 개폐 가능한 덮개와, 덮개의 시정을 행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약제 감별 수단이 검출한 약제의 종류와, 약제 불출 카세트에 수용되는 약제의 종류가 일치하는 경우에, 로크 기구는 해제된다.

Description

약제 충전 장치 및 약제 회수 방법
본 발명은, 처방전 정보에 기초하여 약제를 충전하는 약제 충전 장치, 및 약제 회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처방전에 기초하여 처방된 약제를, 자동으로 불출하는 약제 불출 장치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본원 특허 출원인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약제 불출 장치를 개발하여 있고, 이 약제 불출 장치는 호평을 받아, 조제 종사자로부터 조제 작업이 효율화되었다는 높은 평가를 얻고 있다.
종래의 약제 불출 장치에서는, 불출되는 각종 약제는, 복수의 카세트에 보존되어 있다. 약제를 불출하고, 카세트 내의 약제가 비어 있는 경우, 조제 종사자는, 장치로부터 카세트를 취출하여, 자신의 손으로, 약제를 감별하여 약제 카세트에 보충할 필요가 있다.
한편, 처방된 약제의 양과 복용할 양은, 환자의 치료 내용에 따라서, 필요한 양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반적으로, 환자가 복용을 잊거나 진료 내용의 변경 등에 의해, 미사용 약제 및 기한 임박 약제가 있는 경우도 자주 본다. 연간 미사용 약제 및 기한 임박 약제는 일반적으로 방대한 양이 되기 때문에, 이들 미사용 또는 기한 임박 약제를 그대로 폐기하면, 다대한 낭비가 되므로, 이들 약제를 적절하게 회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미사용 약제 또는 기한 임박 약제의 포장이나 식별 정보가 파손되는 경우, 예를 들어 약이 다 벗겨진 채로 반입되는 경우도 자주 있다. 그 경우, 조제 종사자가 그 약의 외관에만 의해 약제의 종류를 자신의 눈으로 감별할 수밖에 없고, 그때, 카세트에, 잘못된 약제를 보충해 버린다고 하는 오류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약제 불출 카세트에, 잘못된 약제가 보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국제 공개 제2010/110360호
본 발명은, 처방전 정보에 기초하여, 잘못된 약제의 충전을 방지할 수 있는 약제 충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처방전 정보에 기초하여 약제를 충전하는 약제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약제 충전 장치는, 본체와, 약제 불출 카세트와, 약제 감별 수단을 갖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약제 불출 카세트는, 본체에 설치된다. 개폐 가능한 덮개는, 약제 불출 카세트에 설치된다. 그리고 덮개의 시정을 행하는 로크 기구는, 약제 불출 카세트에 설치된다. 약제 감별 수단이 검출한 약제의 종류와, 약제 불출 카세트에 수용되는 약제의 종류가 일치하는 경우에, 로크 기구는 해제된다.
약제 감별 수단은, 약제 불출 카세트, 혹은 상기 덮개 중 어느 것에 마련된 카세트 정보와, 약제에 마련된 약제 정보를 판독하는 약제 정보 취득부와, 약제 정보 취득부와 접속되는 정보 처리부를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 처리부는, 바람직하게는 약제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약제의 정보에 기초하여, 약제의 종류를 감별한다.
약제 정보 취득부는, 감별 대상의 약제의 정보가 표시된 화상을 취득하는 촬영 장치와, 감별 대상의 약제의 정보가 표시된 코드를 읽어들일 수 있는 제1 읽기 장치와, 감별 대상의 약제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읽어들일 수 있는 제2 읽기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별 대상의 약제가 표시된 화상은 당해 약제의 각인 또는 인쇄의 화상이고, 감별 대상의 약제가 표시된 코드는 당해 약제의 약제 정보를 나타내는 바코드, 2차원 코드 또는 3차원 코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로크 기구는, 또한 로크를 해제시키는 트리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트리거는, 로크 기구를 해제한 후, 로크 기구를 다시 로크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트리거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카세트가 약제 충전 장치로부터 제거됨과 함께, 트리거를 로크 해제시키는 상태로부터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킨다. 또한, 트리거는, 카세트가 충전 작업 완료 후, 트리거를 로크 해제시키는 상태로부터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지시를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트리거는, 또한 타이머부를 갖고, 이 타이머부에 의해, 로크 기구를 해제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트리거를 로크 해제시키는 상태로부터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제 충전 장치는, 소정의 약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약제 감별 수단이 검출한 약제의 정보를, 또한 기억하는 것이 가능한 기억부를 더 갖고, 그 기억부는, 약제의 화상, 정확한 가능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 혹은 순위, 및 상기 약제의 각인 혹은 인쇄 코드를 기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제 충전 장치는, 저장된 약제의 정보에 기초하여, 템플릿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 약제의 각인 및/또는 인쇄의 화상 데이터와 상기 템플릿 화상 데이터가 합치되어 있는 정도의 지표가 되는 스코어를 산출하는 패턴 매칭을 행함으로써, 약제의 감별을 행하는 제어부를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제 충전 장치는, 또한 디스플레이를 갖고, 이 디스플레이는, 약제 감별 수단이 검출한 약제의 정보와, 기억부에 저장된 약제의 정보를 비교한 결과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제 충전 장치는, 약제 감별 수단이 검출한 약제의 종류와, 약제 불출 카세트에 수용되는 약제의 종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작업자에 대해 경고를 하는 경고부를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처방전 정보에 기초하여 약제의 회수를 행하는 약제 회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약제 회수 방법은, 감별 대상이 되는 약제의 종류를 나타내는 약제 정보를 취득하는 공정과, 약제 정보와 약제 불출 카세트에 수용되는 약제의 종류를 나타내는 카세트 정보를 비교하는 공정과, 약제 정보와 상기 카세트 정보가 일치하는지를 판정하는 공정과, 약제 정보와 상기 카세트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약제 불출 카세트에 마련된 로크 기구를 해제하는 공정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잘못된 약제가 약제 보유 지지 수단에 충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약제 충전 지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약제 충전 장치는, 본체와, 본체에 적어도 하나 격납된 약제 보유 지지 수단과, 약제 보유 지지 수단에 설치된 개폐부와, 개폐부의 시정을 행하는 로크 기구와, 약제의 종류를 감별하는 감별 수단을 갖고 있다. 감별 수단이 감별한 약제의 종류와, 약제 보유 지지 수단에 수용되는 약제의 종류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로크 기구는 해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제 불출 카세트에, 잘못된 약제가 보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약제 불출 장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약제 불출 장치가 구비하는 약제 불출 카세트의 사시도이다. 또한, 동 도면은, 약제 불출 카세트를 정면 우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약제 불출 카세트의 사시도이다. 또한, 동 도면은, 약제 불출 카세트를 배면 우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9는, 주로 약제 불출 카세트가 구비하는 로크 기구의 설명에 사용된다.
도 4는 약제 불출 카세트의 저면도이다.
도 5의 (a)는 약제 불출 카세트가 구비하는 덮개의 사시도이다. 또한, 동 도면은, 덮개를 하방 배면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5의 (b)는 덮개의 단면 배면도이다. 또한, 동 도면은, 덮개를 배면측으로부터 정면측을 향해 본 도면이다.
도 6은 약제 불출 카세트 본체를 구성하는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7은 약제 불출 카세트 본체가 구비하는 로크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약제 불출 카세트 내의 로크 기구 근방의 단면 배면도이다. 또한, 동 도면은, 로크 기구를 약제 불출 카세트의 배면측으로부터 정면측을 향해 본 도면이다.
도 9는 로크 기구가 덮개를 로크/언로크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0 내지 도 16은, 주로 약제 촬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0은 약제 촬영 장치의 실시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약제 촬영 장치의 프론트 커버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나타내는 약제 촬영 장치의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는, 주로, 프레임 및 프레임에 설치된 부재가 나타나 있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약제 촬영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4의 (a)는 지지 부재의 전체 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의 (b)는 제1 광원, 제2 광원, 및 약제 적재용 아이템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의 (a)는 약제 촬영 장치에 세트되는 트레이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의 (b)는 동 트레이의 상면도이다. 도 15의 (c)는 동 트레이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내는 트레이에 설치되는 샤알레의 사시도이다.
도 17 내지 도 21은, 약제의 자동 감별을 행할 때의 처리 수순을 나타낸다.
도 17은 감별의 상류 부분에서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약제 개별 감별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정제 감별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0은 캡슐 감별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1의 (a)는 카메라의 캘리브레이션에 사용되는 캘리브레이션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21의 (b)는 캘리브레이션 시트의 평면도이다.
§1 약제 충전 장치의 개요
도 1은, 약제 불출 장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약제 불출 장치(100)는, 입력된 처방전 정보에 기초하여, 처방된 약제를, 바이알병에 불출할 수 있다. 이 약제 불출 장치(100)는, 바이알병 공급 장치(110)와, 라벨 첨부 장치(120)와, 바이알병 운반 장치(130)와, 배출구(140)를 갖고 있다. 게다가, 약제 불출 장치(100)는, 측면에, 카세트 배치부(150)를 갖고 있다. 추가로, 약제 불출 장치(100)는, 정면에,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160)와, 스캐너(170)와, 약제 보충부(180)를 갖고 있다. 또한, 약제 불출 장치(100)는, 내부에 제어 장치(190)를 갖고 있다. 또한, 약제 감별 수단이 검출한 약제의 종류와, 약제 불출 카세트에 수용되는 약제의 종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에 대해 경고를 발하는 경고부(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있다.
이 약제 불출 장치(100)의 상세는, 국제 공개 공보 제2010/110360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카세트 배치부(150)에 설치된 카세트가 약제를 불출하는 기구의 상세는, 국제 공개 공보 제2013/035692호에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약제 불출 장치(100)의 개요는, 간결하게 설명하는 것에 그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이알병 공급 장치(110)는, 약제 불출 장치(100)의 내부 하방, 배면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 바이알병 공급 장치(110)는, 복수의 바이알병을 보존하는 기능을 병유하고 있다. 라벨 첨부 장치(120)는, 약제 불출 장치(100)의 내부 하방, 정면측에 마련되어 있다. 카세트 배치부(150)는, 약제 불출 장치(100)의 상측의 양측면에 마련되어 있다. 이 카세트 배치부(150)에는, 복수의 약제 불출 카세트(용기라고도 불림)(200)가, 행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약제 불출 장치(100)가 불출하는 약제는, 이들 약제 불출 카세트(200)에 저류되어 있다. 바이알병 운반 장치(130)는, 카세트 배치부(150)와 카세트 배치부(150)의 사이, 즉, 약제 불출 장치(100)의 내부 상측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배출구(140)는, 약제 불출 장치(100)의 정면에 복수 개(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3개)가 마련되어 있다.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160)는, 표시 장치로서의 기능과 입력 장치로서의 기능을 겸비하고 있다. 또한, 약제 감별 수단이 검출한 약제의 정보와, 기억부에 저장된 약제의 정보를 비교한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스캐너(170)는, 약제의 정보가 표시되는 화상, 바코드, 2차원 코드, RF 신호 등의, 스캐너 판독용 심볼을 판독할 수 있다. 제어 장치(190)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160), 스캐너(170) 등으로부터의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약제 불출 장치(100)가 구비하는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약제 불출 장치(100)가 약제를 불출할 때에는, 먼저, 스캐너(170)가 처방전에 부여된 심볼을 스캔하여, 그 처방전 정보를 취득한다. 약제 불출 장치(100)가, 처방전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고, 또한 조제 종사자로부터 약제 불출 지시의 입력을 접수하면, 먼저, 바이알병 공급 장치(110)가, 바이알병을, 라벨 첨부 장치(120)에 공급한다. 이어서, 라벨 첨부 장치(120)는, 입력된 처방전 정보에 기초하여 라벨을 인쇄하고, 이 라벨을, 바이알병에 첩부한다. 그 후, 바이알병 운반 장치(130)가, 라벨이 첩부된 바이알병을, 처방된 약제가 수납된 약제 불출 카세트(200)의 근방으로 반송한다. 그리고 약제 불출 카세트(200)는, 처방된 약제를, 처방 수, 바이알병에 불출한다. 바이알병에 처방된 약제가 충전되면, 바이알병 운반 장치(130)는, 바이알병을, 배출구(140)로 반송한다. 그리고 배출구(140)로 나온 바이알병을, 약사, 테크니션 등의 조제 종사자가 취출한다.
약제 불출 장치(100)가 약제를 불출하면, 그 중, 약제 불출 카세트(200) 중 하나가 비게 된다. 그 경우, 조제 종사자는, 이 약제 불출 카세트(200)에, 새로운 약제를 보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약제 불출 카세트(200)에서는, 카세트의 덮개(310)가 로크되어 있어, 통상 시는, 덮개(310)를 개방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약제 보충 시에는, 조제 종사자는, 덮개(310)의 로크를 해제하는 정해진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다.
먼저, 조제 종사자는, 보충을 행하고자 하는 약제 불출 카세트(200)를 약제 보충부(180)에 놓는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약제 불출 카세트(200)의 본체(210)에는, 약제 불출 카세트(200)를 식별하는 식별 표지로서, RF 태그(211)가 마련되어 있다. 도 1로 돌아가, 약제 불출 장치(100)는, 약제 보충부(180)에, RF 태그 판독 장치(181)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약제 불출 카세트(200)가 약제 보충부(180)에 놓이면, 약제 불출 장치(100)는, RF 태그 판독 장치(181)를 통해, 약제 보충부(180)에 놓인 약제 불출 카세트(200)를 특정할 수 있다. 그리고 약제 불출 장치(100)는, 각 약제 불출 카세트(200) 내에 수납되어 있는 약제의 정보를, 내부에 보유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 정보를 기초로, 약제 불출 장치(100)는, 약제 보충부(180)에 놓인 약제 불출 카세트(200)에 보충해야 할 약제를 특정할 수 있다.
약제를 보충할 때에는, 조제 종사자는, 창고 또는 환자로부터 회수된 보충하려고 하는 약제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해, 조제 종사자는, 이 약제를, 스캐너(170)에 판독시킨다. 이에 의해, 약제 불출 장치(100)는, 보충하려고 하는 약제를 특정할 수 있다. 약제 불출 장치(100)는, 약제 보충부(180)에, 약제 불출 카세트(200)의 덮개(310)의 로크를 해제하는 로크 해제 장치(182)를 갖고 있다. 약제의 종류를 특정한 약제가 약제 불출 카세트(200)에 보충될 약제로서 정확한 경우만, 약제 불출 장치(100)는, 로크 해제 장치(182)를 구동하여, 약제 불출 카세트(200)의 덮개(310)의 로크를 해제한다. 이에 의해, 조제 종사자는, 덮개(310)를 개방하여, 약제 불출 카세트(200) 내에 새로운 약제를 보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약제 불출 카세트(200)는, 덮개(310)를 로크하는 로크 기구에 특징 중 하나를 갖는다. 이하, 이 로크 기구를 포함하여, 약제 불출 카세트(2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2 약제 불출 카세트(200)의 개요
도 2 및 도 3은, 약제 불출 카세트(200)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약제 불출 카세트(200)를 정면 우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3은, 약제 불출 카세트(200)를 배면 우측에서 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약제 불출 카세트(200)를 약제 불출 장치(100)에 세트한 경우에, 약제 불출 장치(100)의 외측을 향하는 면을 「정면」이라고 칭하고, 약제 불출 장치(100)의 내측을 향하는 면을 「배면」이라고 칭한다. 또한, 약제 불출 카세트(200)를 정면측에서 본 경우에 오른쪽에 위치하는 부분을 「우측」, 왼쪽에 위치하는 부분을 「좌측」이라고 칭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약제 불출 카세트(200)에서는, 본체(210)의 상면에 덮개(310)가 설치되어 있다. 덮개(310)는, 그 좌측단에서, 힌지(311)에 의해, 본체(210)에 힌지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덮개(310)의 로크가 해제되면, 덮개(310)는, 힌지(311)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방된다. 바꾸어 말하면, 덮개(310)의 로크가 해제되면, 덮개(310)는, 그 우측단이 위로 올라가도록 하여, 개방된다.
약제 불출 카세트(200)는, 내부에, 덮개(310)를 로크하는 로크 기구(800)를 갖고 있다. 도 4는, 약제 불출 카세트(200)의 저면도이다. 즉, 도 4는, 약제 불출 카세트(200)를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본 도면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210)의 저면에는, 구멍(212)이 마련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구멍(212)은, 본체(210)의 저면의 우측, 또한 배면 근방에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약제 불출 장치(100)의 로크 해제 장치(182)(도 1 참조)는, 로드(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이 로드는, 구멍(212)에 삽입 관통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 해제 장치(182)는, 이 로드에 의해 로크 기구(800)를 조작하여, 덮개(310)의 로크를 해제한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구멍(212)을 본체(210)의 저면에 마련하면, 로크 해제 장치(182)의 구성이 용이해진다. 또한, 사용자가 로크 기구(800)의 로크를 간단하게 해제할 수 없게 된다.
§2.1 덮개(310)의 구조
도 5의 (a)는, 덮개(310)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 도 5의 (b)는, 덮개(310)의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5의 (b)는, 덮개(310)를, 배면측으로부터 정면측을 향해 보고 있음에 주의 바란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310)의 우측 단부 근방, 즉 힌지(311)와는 반대측의 단부 근방에는, 걸림 결합부(320)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걸림 결합부(320)는, 로크 기구(800)와 걸림 결합된다. 걸림 결합부(320)는, 덮개(310)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321)와, 돌출부(321)에 형성된 슬릿(322)으로 구성된다. 이 슬릿(322)은, 정면-배면 방향으로 뻗어 있고, 개구는, 배면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양단의 사이에는, 복수 개의 리브(323)가 서로 평행하게 마련되어 있다.
§2.2 로크 기구(800)의 구조
도 6은, 본체(210)의 내부를,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본 도면이다. 엄밀하게 말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체(21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부재(500), 제1 서브 부재(300), 및 제3 서브 부재(600)로 구성되고, 도 6은, 제1 서브 부재(300)의 저부 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 제1 서브 부재(300)를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본 도면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210)의 내부에는, 로크 기구(800)가 설치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로크 기구(800)는, 본체(210)의 상부, 또한 우측 측면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
로크 기구(800)는, 또한 로크를 해제시키는 트리거를 갖고, 이 트리거에 의해, 로크 기구(800)를 해제한 후, 다시 로크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카세트가 약제 충전 장치로부터 제거됨과 함께, 트리거를 로크 해제시키는 상태로부터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 또한 카세트가 충전 작업 완료 후, 트리거를 로크 해제시키는 상태로부터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지시를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의해, 로크 상태로 복귀시킨다. 나아가, 로크 기구를 해제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함으로써, 트리거를 로크를 해제시키는 상태로부터,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다.
도 7은, 로크 기구(8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기구(800)는, 경사 부분(810)과, 샤프트(820)와, 걸림 결합 부재(840)를 갖고, 또한 트리거의 일례로서, 가압 부재(830)를 갖고 있다. 걸림 결합 부재(840)는, 샤프트(820)의 정면측 단부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경사 부분(810), 샤프트(820)와, 가압 부재(830), 및 걸림 결합 부재(840)는, 하나의 재료(예를 들어 수지, 플라스틱, 금속, 고무)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로크 기구(800)의 제조 및 약제 불출 카세트(200)의 조립이 용이해진다. 가압 부재(830)는, 샤프트(830)의 배면측 단부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프트(820)는, 본체(210)의 우측 내벽(213)의 근방에, 정면-배면 방향을 향하도록, 또한 부호 310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샤프트(820)는, 구멍(212)(도 4 참조)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 결합 부재(840)는, 초기 상태(조작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걸림 결합 부재(840)의 선단부에는, 갈고리(841)가, 본체(210)의 우측 내벽(213)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압 부재(830)는, 샤프트(820)의 중앙 부분에 있어서 세 갈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세 갈래 부분은 리브와의 사이의 저항력에 의해, 샤프트(820)를 정면으로의 방향으로 가압시킨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830)의 양단은, 대략 V 또는 U자 형상의 판상의 재료, 이른바 세 갈래와 같은 형상의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압 부재(830)는, 기단부(831)와, 만곡부(832)와, 선단부(833)를 갖고 있다. 기단부(841)는, 샤프트(830)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 부재(830)는, 만곡부(832)에서, 예각으로 만곡되어 있다. 그 때문에, 선단부(833)는, 비스듬히 양단에 곧게 뻗어 있다. 그리고 선단부(833)는, 덮개(310)의 리브(322)와 맞닿아 있다.
경사 부분(810)의 경사면은, 돌출된 바 부분과 닿도록 구성되어 있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멍(212)의 연직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경사 부분(810)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서는, 구멍(212)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 있다.
도 9는, 로크 기구(800)가 덮개(310)를 로크/언로크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서는, 가압 부재(830)의 가압력에 의해, 걸림 결합 부재(840)는 정면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돌출된 걸림 결합 부재(840)는, 덮개(310)에 형성된 슬릿(322)(도 5 참조)에 끼워져, 걸림 결합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약제 불출 장치(100)의 로크 해제 장치(182)는, 구멍(212)(도 4 참조)을 통해, 경사 부분(810)을 압박하여, 샤프트(820) 전체를 배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도 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프트(820)는, 가압 부재(83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배면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도 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 결합 부재(840)는, 슬릿(322)으로부터 이격된다. 그 결과, 덮개(310)의 로크가 해제되어, 사용자는, 덮개(310)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샤프트(820)는, 가압 부재(830)에 의해, 정면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샤프트(820)가 배면 방향에 대해 이동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만곡부(832)의 만곡 각도는 작아진다. 이 상태의 만곡부(832)에서는, 만곡 각도가 커지는 탄성력이 발생하고 있다. 이 때문에, 로크 해제 장치(182)가 경사 부분(810)과 이격되면, 로크 기구(800)는, 도 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태로 복귀된다. 구체적으로는, 로크 해제 장치(182)가 경사 부분(810)과 이격되면, 가압 부재(830)의 가압력에 의해, 돌출된 걸림 결합 부재(840)는, 덮개(310)에 형성된 슬릿(322)에 끼워져 걸림 결합된다. 도 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310)가 폐쇄되어 있는 경우에는, 걸림 결합 부재(840)의 돌출에 의해, 슬릿(322)에 끼워진다. 그 결과, 덮개(310)는 로크되어, 사용자는, 덮개(310)를 개방할 수 없게 된다. 이에 의해, 카세트가 약제 충전 장치로부터 제거됨과 함께, 트리거로 하는 가압 부재(830)를 로크 해제시키는 상태로부터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2.3 약제 불출 카세트(200)의 이점
약제 불출 카세트(200)에서는, 약제 불출 장치(100)는, 덮개(310)의 로크를 해제할 수 있지만, 사용자는, 로크를 간단하게 해제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따라서, 약제 불출 카세트(200)를 약제 불출 장치(100)에 사용하면, 빈 약제 불출 카세트(200)에 약제를 보충할 때, 잘못된 약제가 보충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은, 약제 불출 장치(100)가, 보충될 약제가 들어있는 병의 라벨에 부여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병에 들어있는 약제가 보충될 약제로서 정확한 경우에만, 덮개(310)의 로크를 해제하기 때문이다. 이에 의해, 상기 실시 형태의 약제 불출 장치(100)는, 그 사양을, 클로즈드 루프 사양으로 할 수 있다.
클로즈드 루프란, 약제의 안전 사용을 도모하고, 다른 약제의 오인을 방지하기 위해, 식별 장치를 사용하여, 약제를 더 정확하게 특정한 후, 또한 약제가 들어있는 용기에 라벨 등이 붙여짐으로써, 약제의 관리를 향상시키는 사양이다. 특히 약제 회수의 경우에, 약제의 클로즈드 루프 회수에 의해, 회수 약제를 안전하게 재이용할 수 있다. 통상, 회수되는 약제의 소스는 주로 약국으로부터의 반환과, 병원 내에서의 미투여 약제와, 외래의 통원자로부터의 반환을 포함하는 세 공급원이며, 각각의 곳으로부터 회수된 약제의 유통 경로나 약제의 상태는, 일반적으로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병원 내에서의 미투여 약제는, 거의 미개봉 상태로 회수되는 경우가 많은 한편, 외래의 통원자로부터의 반환 약제는 개봉되어, 약제가 파손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회수의 경로가 복수인 경우는, 약제를 회수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곤란해진다. 본 발명의 클로즈드 루프 사양에서는, 약제의 감별을 행한 후에, 약제 불출 장치(100)에, 감별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회수 처리를 행할 수 있으므로, 조제 종사자의 오류를 방지하여, 노동력을 경감할 수 있다.
§3 약제 회수 방법
상술한 약제 충전 장치에 의한, 처방전 정보에 기초하여 약제 회수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감별 대상이 되는 약제의 종류를 나타내는 약제 정보를 취득하는 공정과, 약제 정보와 약제 불출 카세트에 수용되는 약제의 종류를 나타내는 카세트 정보를 비교하는 공정과, 약제 정보와 카세트 정보가 일치하는지를 판정하는 공정과, 약제 정보와 상기 카세트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약제 불출 카세트에 마련된 로크 기구를 해제하는 공정을 갖고 있다.
약제 감별 수단은, 약제 정보 취득부와 이 약제 정보 취득부와 접속되는 정보 처리부를 더 갖는다. 약제 감별 수단은, 약제 불출 카세트, 혹은 덮개 중 어느 것에 마련된 카세트 정보와, 약제에 마련된 약제 정보를 판독하여, 이 취득한 약제의 정보에 기초하여 약제의 종류를 감별한다. 또한, 약제 정보 취득부는, 감별 대상의 약제의 정보가 표시된 화상을 취득하는 촬영 장치와, 감별 대상의 약제의 정보가 표시된 코드를 읽어들일 수 있는 제1 읽기 장치와 감별 대상의 약제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읽어들일 수 있는 제2 읽기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다. 이하, 약제 촬영 장치를 약제 정보 취득부의 예로서, 촬영한 화상 내의 각 약제에 대해, 어떻게 감별을 행하는지, 상세하게 설명한다.
§3.1 약제 촬영 장치
도 10은, 약제 촬영 장치(9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는, 케이스(910)에 의해 내부는 보이지 않지만, 약제 촬영 장치(900)의 내부의 대략 중앙부에는, 약제를 적재하는 적재부(920)가 마련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약제는, 도 15에 나타내는 트레이(930)에 넣어지고, 이 트레이(400)가, 적재부(920)에 세트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약제 촬영 장치(900) 중, 적재부(920)보다 상측을 상부(901), 하측을 하부(902)라고 칭한다.
§3.1.1 약제 촬영 장치의 외부 구성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약제 촬영 장치(900)에서는, 외측으로부터는, 하측 케이스(911), 절결부(912), 트레이 지지 부재(921), 가이드 부재(930), 상측 케이스(913), 및 커버(914)가 보인다.
하측 케이스(911)는, 약제 촬영 장치(900)의 하부(902)를 커버하고 있다. 하측 케이스(911)의 상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절결부(9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912)는, 약제 촬영 장치(900)의 좌우 방향 및 정면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 절결부(912)를 통해, 사용자는, 긴 형상의 분포지를, 약제 촬영 장치(900) 내에 삽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분포지를 수평 방향으로 펼쳐, 정면측으로부터 절결부(912)에 삽입한다. 그리고 분포지를 약제 촬영 장치(900)의 중앙부 부근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분포지를 자르지 않고, 분포지 내부에 봉입된 약제를, 약제 촬영 장치(900)의 내장 카메라가 촬영할 수 있다. 절결부(912)에 의해, 약제 촬영 장치(900)의 내부 공간이 좌우 방향의 외부 공간에 연통되어 있으므로, 분포지가 약제 촬영 장치(900)의 폭보다 긴 경우라도, 사용자는, 분포지를 되감은 상태로, 분포지를 약제 촬영 장치(900)의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절결부(912)의 바로 위에는, 약제를 수납하는 부재를 지지하는 트레이 지지 부재(921)가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트레이 지지 부재(921)에는, 트레이(400)가 적재된다. 이 트레이 지지 부재(921)는, 도 1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의 판상의 부재이고, 그 중앙부에는, 원형의 구멍(922)이 형성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이(400)에는, 샤알레(410)가 끼움 삽입되어 있다. 트레이(400)가 트레이 지지 부재(921)에 세트될 때에는, 샤알레(410)가 구멍(922) 내에 삽입 관통된다. 또한 도 14의 (a)로 돌아가, 적재 부재(921)의 상면에는, 트레이(400)의 평면 형상에 대응하는 평면 형상을 갖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에 의해, 트레이(400)가 끼워 맞추어지는 끼워 맞춤부(923)가 형성되어 있다. 트레이(400)는, 이 끼워 맞춤부(923)에 놓인다. 그리고 트레이(400)가 끼워 맞춤부(923)에 끼워짐으로써, 트레이(400)는, 트레이 지지 부재(921)에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약제 촬영 장치(900)의 상면, 및 전방면의 상부(901)는, 커버(914)에 의해 덮여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914)는, 상측 방향으로 개방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커버(914)는, 상측 케이스(913)의 배면 상단부에서 힌지(957)(도 12 참조)에 의해 힌지 고정되어 있고, 커버(914)는, 이 힌지(957)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다.
도 11은, 약제 촬영 장치(900)의 커버(914)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914)를 개방하면, 약제 촬영 장치(900)의 내부 공간의 상부(901)인 상측 내부 공간(940)이, 약제 촬영 장치(900)의 전방의 공간으로 개방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이 상측 내부 공간(940)을 통해, 트레이(400)를, 적재부(920)의 끼워 맞춤부(923)에 세트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케이스(913)의 정면측 외면은, 대략 역U자형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정면측 외면은 경사져 있고, 이에 의해 경사부(915)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경사부(915)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감에 따라서 약제 촬영 장치(900)의 배면과의 거리가 작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트레이(400)를 상측 내부 공간(940) 내에 넣기 쉬워진다. 사용자는, 트레이(400)를 비스듬히 상측 방향으로부터 비스듬히 하측 방향으로 움직여, 트레이(400)를 상측 내부 공간(940) 내에 삽입하는 일이 많다. 그때, 상방으로 감에 따라서 안쪽을 향하도록 경사부(915)가 기울어져 있으면, 경사부(915)의 상부 전방에 보다 큰 공간이 확보되어, 트레이(400)가 상측 케이스(913)에 충돌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커버(914)의 전방면은, 이 경사부(915)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커버(914)를 닫으면, 그 전방면은, 경사부(915)의 근방에 위치하고, 또한 경사부(915)와 평행이 된다. 이와 같이, 상측 케이스(913)의 상면과 경사부(915)가 둔각을 이루고 있는 것에 대응하여, 커버(914)의 상면과 전방면도 둔각을 이루고 있다.
경사부(915)의 하단은, 가이드 부재(930) 및 하측 케이스(911)의 외측 전방면보다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즉, 약제 촬영 장치(900)의 배면으로부터 경사부(915)의 하단까지의 거리는, 약제 촬영 장치(900)의 배면으로부터 가이드 부재(930)의 외측 전방면 및 하측 케이스(911)의 외측 전방면까지의 거리보다 작다. 이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트레이(400)를, 상측 내부 공간(940) 내에 더 넣기 쉬워진다.
또한, 상측 케이스(913)의 정면측 외면에는, 경사부(915)와는 다른 경사면(916)이 마련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경사면(916)은, 대략 역U자형의 경사부(915)의 U자형 내부에 마련되어 있다. 이 경사면(916)은, 후술하는 제1 카메라(710)(도 12 참조)의 전방면에 마련되고, 제1 카메라(710)를 보호하고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트레이(400)를 상측 내부 공간(940) 내에 삽입할 때, 트레이(400)가 제1 카메라(710)에 충돌하여 제1 카메라(710)의 위치나 방향이 어긋나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면(916)은, 대략 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약제 촬영 장치(900)의 좌우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감에 따라서, 약제 촬영 장치(900)의 배면으로부터 경사면(916)까지의 거리는, 점감하고 있다. 즉, 경사면(916)의 상단의 수평 위치는, 경사면(916)의 하단의 수평 위치보다, 약제 촬영 장치(900)의 배면에 가깝다. 이에 의해, 삽입 시, 트레이(400)가 경사면(916)에 충돌하기 어려워져, 사용자는, 트레이(400)를 상측 내부 공간(940)의 안쪽으로 넣기 쉬워진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케이스(913)와 적재부(920) 사이에는, 한 쌍의 가이드 부재(930)가 마련되어 있다. 이 가이드 부재(930)의 외측 측면은, 수직 방향으로 신장되어, 상측 케이스(913)의 외측 측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비해,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930)의 내측 측면은, 수직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고, 이에 의해, 경사면(9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931)은, 대략 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고, 약제 촬영 장치(900)의 전후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또한, 경사면(931)은, 상측 내부 공간(940)에 면하고 있다. 그리고 경사면(931) 중 하나는, 적재부(920)의 우측 상방에 위치하고, 또 하나는, 적재부(920)의 좌측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경사면(931)은,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감에 따라서, 약제 촬영 장치(900)의 중심축에 근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평면으로 본 경우, 경사면(931)의 하단의 수평 위치는, 상단의 수평 위치보다 적재부(920)에 가깝다. 게다가, 2개의 경사면(931)의 하단 사이의 거리는, 트레이 지지 부재(921)의 끼워 맞춤부(923)(도 14의 (a) 참조)의 폭과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큰 것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경사면(931)의 하단 사이의 거리는, 끼워 맞춤부(923)의 폭의 1 내지 1.2배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약제 촬영 장치(900)를 평면으로 본 경우, 경사면(931)의 하단의 일부는, 트레이 지지 부재(921)의 구멍(922)의 주위부에 거의 접하는 장소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사용자는, 트레이(400)를 트레이 지지 부재(921)의 끼워 맞춤부(923)에 적재하기 쉬워진다.
§3.1.2 약제 촬영 장치의 내부 구성
도 12 및 도 13은, 약제 촬영 장치(900)의 케이스류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즉 약제 촬영 장치(900)의 내부의 주요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12는, 약제 촬영 장치(900)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정면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약제 촬영 장치(900)의 배면측에는, 프레임(950)이 마련되어 있다. 약제 촬영 장치(900)의 주요 부재의 대부분은, 이 프레임(95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프레임(950)은, 제1 기둥(951), 제2 기둥(952), 제3 기둥(953), 제1 보(954), 제2 보(955), 제3 보(956) 및 힌지(957)로 구성되어 있다. 정면으로 본 경우, 제1 기둥(951)은 약제 촬영 장치(900)의 배면 좌측에, 제2 기둥(952)은 배면 중앙부에, 제3 기둥(953)은 배면 우측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제1 기둥(951), 제2 기둥(952) 및 제3 기둥(953)은, 제1 보(954), 제2 보(955) 및 제3 보(95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게다가, 프레임(950)의 정상부에 위치하는 제3 보(256)에는, 커버(914)(도 3 참조)를 회동시키는 힌지(957)가 설치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약제 촬영 장치(900)는, 제1 카메라(710), 제2 카메라(720), 제1 광원(730), 제2 광원(740), 제3 광원(750), 제4 광원(760), 트레이 지지 부재(921), 및 가이드 부재(930)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중, 트레이 지지 부재(921) 및 가이드 부재(930)는, 프레임(950)에 직접 설치되어 있는, 제1 카메라(710), 제2 카메라(720), 제3 광원(750), 및 제4 광원(760)은, 지지 부재를 통해 프레임(950)에 설치되어 있다. 제1 광원(730)은, 트레이 지지 부재(921) 내에 수납되고, 트레이 지지 부재(92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제2 광원(940)은, 지지 부재를 통해 하측 케이스(911)(도 10 참조)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약제 촬영 장치(900)의 내부의 주요 부재는, 케이스(910)가 아닌 프레임(950)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케이스(910)의 분리가 용이해져, 내부 주요 부재의 메인터넌스 작업이 용이해진다.
트레이 지지 부재(921)는, 약제 촬영 장치(900)의 중앙부 부근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트레이 지지 부재(921)의 최근 상방에는, 가이드 부재(930)가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930)의 상방에는, 제3 광원(750)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3 광원(750)보다 높은 위치, 즉 약제 촬영 장치(900)의 상면 근방에는, 제1 카메라(710)가 마련되어 있다. 트레이 지지 부재(921)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하방에는, 제2 광원(740)이 마련되어 있다. 제2 광원(740)보다 낮은 위치이며, 약제 촬영 장치(900)의 측면 부근에는, 제4 광원(760)이 마련되어 있다. 제4 광원(760)보다 낮은 위치, 즉 약제 촬영 장치(900)의 저면 근방에는, 제2 카메라(720)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약제 촬영 장치(900)에서는, 제1 광원(730)과 제3 광원(750)으로 상부 광원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약제 촬영 장치(900)에서는, 제2 광원(740)과 제4 광원(760)으로 하부 광원이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 지지 부재(921)는, 약제 촬영 장치(900)의 중앙부 부근이며, 또한 절결부(912)용 스페이스(917)의 상방에 마련되어 있다. 도 1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트레이 지지 부재(921)의 상면에는, 끼워 맞춤부(923)가 형성되고, 트레이(400)(도 15 참조)는, 사용 시에는, 이 끼워 맞춤부(923) 상에 적재된다. 또한, 트레이 지지 부재(921)의 저부에는, 제1 광원(730)이 설치되어 있다. 제1 광원(730)은, 제1 링 조명(731)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1 링 조명(731)은, 원환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LED는, 트레이 지지 부재(921)의 구멍(922)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또한 구멍(922)에 면하고 있다.
도 1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 맞춤부(923)에 트레이(400)를 적재하면, 샤알레(410)는 구멍(922)을 빠져나가 트레이 지지 부재(921)의 하방으로 돌출된다. 이 때문에, 샤알레(410)의 저부(411)는, 트레이 지지 부재(921)의 하면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바꾸어 말하면, 끼워 맞춤부(923)에 트레이(400)를 적재하면, 샤알레(410)는, 제1 링 조명(731)의 링의 내측에 삽입되고, 또한 샤알레(410)의 저부(411)는, 제1 링 조명(731)보다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즉, 끼워 맞춤부(923)에 트레이(400)를 적재하면, 제1 링 조명(731)은, 샤알레(410)의 저부(411)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고, 또한 트레이(400)의 상면 혹은 상단(트레이(400)의 가장 높은 곳)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게 된다. 트레이 지지 부재(921)의 적어도 저면 및 구멍(922)에 면하고 있는 측면은, 투명한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제1 링 조명(731)이 발광하면, 그 발광 광은, 구멍(922)의 중앙 방향 및 하방을 향한다. 그 결과, 샤알레(410)의 저부(411)에 투입된 약제는, 제1 링 조명(731)의 발광 광에 의해, 360°의 전방위 또한 비스듬히 상방으로부터 직접 조사되게 된다. 즉, 제1 광원(730)은, 약제를 직접 비추는 직접 광원으로서 기능한다.
도 1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이 지지 부재(921)의 하방에는, 절결용 스페이스(917)를 통해 제2 광원(740)이 설치되어 있다. 제2 광원(740)은, 제1 링 조명(731)과 동종의 제2 링 조명(741)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2 링 조명(741)은, 하측 지지판(742) 및 상측 지지판(743)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들 하측 지지판(742) 및 상측 지지판(743)은, 하측 케이스(911)(도 10 참조)의 내측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측 지지판(743)은, 투명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 지지판(743)은, 대략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고, 또한 트레이 지지 부재(921)와는 달리, 그 중앙부(구멍(922)의 하방)에 구멍을 갖고 있지 않다. 이에 의해, 적재부(920) 내에서 사용자가 실수로 약제를 떨어뜨렸다고 해도, 떨어진 약제가 제2 카메라(720)에 충돌하는 것이 방지된다. 하측 지지판(742)은, 제2 링 조명(741)의 평면 형상에 대응한 평면 형상을 갖고 있고, 그 중앙부에는, 제2 링 조명(741)의 링에 대응하는 형상의 구멍을 갖고 있다. 제2 링 조명(741)은, 샤알레(410)의 저부(411)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또한, 제2 링 조명(741)의 평면 위치는, 제1 링 조명(731)의 평면 위치와 합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링 조명(741)이 발광하면, 그 발광 광은, 구멍(922)의 중앙 방향 및 상방을 향한다. 그 결과, 샤알레(410)의 저부(411)에 투입된 약제는, 제2 링 조명(741)의 발광 광에 의해, 360°의 전방위 또한 비스듬히 하방으로부터 직접 조사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제1 광원(730) 및 제2 광원(740)은, 주로 약제, 주로 정제의 표면에 부여된 각인의 촬영에 사용된다. 더 상세하게는, 제1 광원(730)은, 약제의 상면에 위치하는 각인의 촬영에 사용되고, 제2 광원(740)은 약제의 하면에 위치하는 각인의 촬영에 사용된다. 본 발명자는, 제1 광원(730) 및 제2 광원(740)을 상술한 구성으로 하면, 정제의 표면에 부여된 각인을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930)의 상방에는, 제3 광원(750)이 마련되어 있다. 이 제3 광원(750)은, 복수의 바 조명, 구체적으로는 제1 바 조명(751)과 제2 바 조명(752)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바 조명(751)은, 지지 부재(1053)를 통해 제3 기둥(953)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바 조명(752)은, 지지 부재(1054)를 통해, 제1 기둥(951)에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이들 제1 바 조명(751) 및 제2 바 조명(752)은, 약제 촬영 장치(900)의 측방, 구체적으로는 적재부(920)보다 측방에 마련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바 조명(751) 및 제2 바 조명(752)은, 약제 촬영 장치(900)의 전후 방향과 평행인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제1 바 조명(751) 및 제2 바 조명(752)의 발광면은, 비스듬히 하방, 더 구체적으로는 적재부(920)를 향하고 있다. 또한, 제1 바 조명(751) 및 제2 바 조명(752)으로부터 적재부(920)의 약제가 적재되는 장소까지의 거리는, 제1 링 조명(731)으로부터 적재부(920)의 약제가 적재되는 장소까지의 거리보다 크다. 게다가, 제1 바 조명(751) 및 제2 바 조명(752)은, 가이드 부재(930)의 경사면(931)의 하단, 및 트레이 지지 부재(921)의 구멍(922)의 외주보다 약제 촬영 장치(900)의 측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3 광원(750)의 이러한 배치에 의해, 상측 내부 공간(940)에 더 큰 공간이 확보되어, 사용자는, 트레이(400)를 적재부(920)에 놓기 쉬워진다.
제1 바 조명(751) 및 제2 바 조명(752)은, 편광 필터를 구비하고 있고, 이 편광 필터를 통해, 확산된 광이 약제에 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바 조명(751) 및 제2 바 조명(752)으로부터의 직접 광은 편광 필터에 의해 커트되고, 편광 필터에 의해 확산된 광이, 트레이 지지 부재(921)의 구멍(922), 즉 제1 링 조명(731)의 링 내를 통해, 약제에 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3 광원(750)은, 확산 광원, 혹은 간접 광원으로서 기능한다. 이에 의해, 약제의 상측이, 적합하게 조명된다. 본 발명자는, 제3 광원(750)을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약제의 표면에 부여된 인쇄를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게다가, 약제가 정제든 캡슐이든, 인쇄를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광원(740)의 하방에는, 제3 광원(750)과 동종의 제4 광원(760)이 마련되어 있다. 이 제4 광원(760)은, 복수의 바 조명, 구체적으로는 제3 바 조명(761)과 제4 바 조명(762)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3 바 조명(761)은, 지지 부재(1063)를 통해 제3 기둥(953)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4 바 조명(762)은, 지지 부재(1064)를 통해 제1 기둥(951)에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이들 제3 바 조명(761) 및 제4 바 조명(762)은, 제1 바 조명(751) 및 제2 바 조명(752)과 마찬가지로, 약제 촬영 장치(900)의 측방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3 바 조명(761) 및 제4 바 조명(762)은, 제1 바 조명(751) 및 제2 바 조명(752)과 마찬가지로, 약제 촬영 장치(900)의 전후 방향과 평행인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3 바 조명(761) 및 제4 바 조명(762)의 발광면은, 비스듬히 상방, 더 구체적으로는 적재부(920)를 향해 있다. 제3 광원(750)과 제1 광원(730)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제3 바 조명(761) 및 제4 바 조명(762)으로부터 적재부(920)까지의 거리는, 제2 링 조명(741)으로부터 적재부(920)까지의 거리보다 크다. 제3 바 조명(761) 및 제4 바 조명(762)도, 제1 바 조명(751) 및 제2 바 조명(752)과 마찬가지로, 편광 필터를 구비하고 있고, 이 편광 필터를 통해 확산된 광이 약제에 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3 바 조명(761) 및 제4 바 조명(762)으로부터의 확산 광은, 제2 링 조명(741)의 링 내를 통해, 약제에 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약제의 하측이, 인쇄가 명료해지도록 조명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3 광원(750) 및 제4 광원(760)은, 각각 2개의 바 조명으로 구성하였지만,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바 조명은, 4개 마련해도 된다. 이 경우, 4개의 바 조명이 사각형을 이루도록, 또한 적재부(920)를 둘러싸도록, 바 조명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바 조명(751) 및 제2 바 조명(752)의 상방에는, 제1 카메라(7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카메라(710)는, 설치 부재(1011)를 통해, 제2 기둥(952)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설치 부재(1011)에 의해, 제1 카메라(710)는 적재부(920)의 연직 상방에 위치하고, 또한 적재부(920)를 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약제 촬영 장치(900)를 상방에서 평면으로 본 경우, 제1 카메라(710)의 촬영 영역은, 트레이 지지 부재(921)의 구멍(922) 및 제1 링 조명(731)의 링의 내측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1 카메라(710)는, 적재부(920)에 놓인 약제의 상면, 즉 약제를 바로 위에서 본 화상을, 적합하게 촬영할 수 있다.
제3 바 조명(761) 및 제4 바 조명(762)의 하방에는, 제2 카메라(7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카메라(720)는, 설치 부재(1021)를 통해 제2 기둥(952)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설치 부재(1021)에 의해, 제2 카메라(720)는 적재부(920)의 연직 하방에 위치하고, 또한 적재부(920)를 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약제 촬영 장치(900)를 하방에서 평면으로 본 경우, 제2 카메라(720)의 촬영 영역은, 제2 링 조명(741)의 링의 내측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2 카메라(720)는, 적재부(920)에 놓인 약제의 하면, 즉 약제를 바로 아래에서 본 화상을, 적합하게 촬영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1 카메라(710) 및 제2 카메라(720)는, 모두 컬러 화상을 촬영 가능하다.
§3.1.3 적재용 아이템의 구성
약제 촬영 장치(900)에는, 약제를 놓기 위한 적재용 아이템으로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트레이(400)가 사용된다. 트레이(400)는, 사각형 평판상의 본체(420)에 구멍(421)이 형성되고, 이 구멍(421)에 투명한 통(422)이 끼움 삽입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통(422) 내에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샤알레(410)가 설치된다.
도 16은, 샤알레(410)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샤알레(410)의 저면(411) 및 측면(412)은 투명하게 되어 있다. 저면(411)의 외연부에는, 불투명하고 평탄한 링(413)이 설치되어 있다. 약제가 샤알레(410)의 내벽 부근으로 굴러 가면, 조명광이 이 약제에 난반사되어, 근방의 약제의 촬영에 악영향을 미친다. 링(413)은, 약제가 내벽 부근으로 굴러 가는 것을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링(413)은, 샤알레(410)의 저면(411)과 내벽의 경계 부근에서 일어나는 바람직하지 않은 조명광의 반사를 저감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이 링(413)은, 흑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링(413)의 폭은, 샤알레(310)의 저면(311)의 반경의 1/20 내지 1/2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샤알레(410)의 저면(411)에는, 바람직하게는 흑색의 불투명 재료로 구성된 캡슐 적재용 부재(414)가 설치되어 있다. 샤알레(410)의 저면(411)의 약 절반은, 캡슐 적재용 부재(414)가 차지하고 있고, 나머지 약 절반에는, 저면(411)을 구성하는 투명한 재료가 노출되어 있다. 저면(411) 중, 이 투명한 재료가 노출되어 있는 부분을, 투명한 부분(415)이라고 칭한다. 정제는, 이 투명한 부분(415)에 놓는 것이 권장된다. 한편, 캡슐, 소프트 캡슐 등의 캡슐류는, 원칙적으로 캡슐 적재용 부재(414)에 놓는 것이 권장된다. 캡슐 적재용 부재(414)는, 사다리꼴에 가까운 평면 형상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캡슐 적재용 부재(414)는, 길이 방향으로 긴 변과 짧은 변을 갖고 있고, 횡단 방향으로 길이가 거의 동일한 빗변을 2개 갖고 있다. 빗변 사이의 거리는, 긴 변으로부터 짧은 변으로 감에 따라서 작아진다. 캡슐 적재용 부재(414)의 평면 형상을 이러한 형상으로 하면, 단위 면적당 캡슐류를 더 많이 놓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캡슐 적재용 부재(414)는, 옆에서 보면, 상면이 파형의 형상으로 되어 있는 부분을 갖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캡슐 적재용 부재(414)는, 상면에 홈 형상의 오목부(416 및 417)를 갖고 있다. 오목부(416)의 폭 및 깊이는, 오목부(417)의 폭 및 깊이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416)의 길이는, 오목부(417)의 길이보다 크다. 이에 의해, 비교적 큰 캡슐류는, 오목부(416)에 놓기 쉬워지고, 비교적 작은 캡슐류는, 오목부(417)에 놓기 쉬워진다. 캡슐류는, 인자가 상방을 보도록, 오목부(416 또는 417)에 놓인다. 오목부(416 또는 417)에 의해, 캡슐류가 굴러가는 것이 방지되므로, 제1 카메라(710)는 캡슐의 인자를 적확하게 촬영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400)는, 트레이 지지 부재(921)(도 14 참조) 상에 놓인다. 도 1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이(400)가 트레이 지지 부재(921)에 놓이면, 제1 링 조명(731)은, 통(422)의 상부 근방에 위치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1 링 조명(731)은, 샤알레(410)의 저면(411)의 비스듬히 상방 근방, 즉 저면(411)의 근방에서 측방 또한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위치에 제1 링 조명(731)을 설치하면, 정제의 각인을 더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약제를 조명할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링 조명(741)으로부터 샤알레(410)의 저면(411)까지의 고저 차는, 제1 링 조명(731)으로부터 샤알레(410)의 저면(411)까지의 고저 차와 거의 동일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제2 링 조명(741)으로부터 샤알레(410)의 저면(411)까지의 고저 차는, 제1 링 조명(731)으로부터 샤알레(410)의 저면(411)까지의 고저 차의 0.5 내지 2배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3.2 약제 감별
도 17은, 약제 감별을 행하는 데 있어서의 상류의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사용자가 약제 감별을 개시한다는 취지의 입력으로서, 약제를 투입하면(스텝 110), 약제 촬영 장치는, 약제의 화상을 복수 촬영한다(스텝 120). 이어서, 컴퓨터(정보 처리부)는, 촬영된 화상의 보정을 행한다(스텝 130). 이어서, 컴퓨터는, 보정된 화상으로부터, 각 약제가 존재하는 영역을 추출한다(스텝 140). 그리고 추출한 각 약제의 영역에 대해, 개별로 감별을 행한다(스텝 200).
<스텝 110> 약제 투입
사용자는, 감별을 행하고자 하는 약제를 먼저 약제 감별 수단의 트레이의 샤알레에 넣는다. 예를 들어, 정제는, 샤알레의 저면의 투명한 부분에 직접 놓고, 캡슐은, 캡슐 적재용 부재 상에 놓는 것이 권장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이 트레이를, 약제 촬영 장치의 적재부에 설치한다.
<스텝 120> 약제 화상 취득
컴퓨터는, 사용자로부터 약제의 촬영을 행하는 입력을 접수하면, 약제 촬영 장치를 구동하여, 샤알레의 화상을 촬영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컴퓨터는, 하기 [화상 1] 내지 [화상 4]의 4매의 화상을 취득한다. 또한, 이때, 컴퓨터는, 후술하는 「카메라의 초점 조정」 및 「밝기 및 색의 캘리브레이션」에서 얻어진 설정값(예를 들어, 카메라의 초점, 노출 시간 및 RGB의 각 게인)에 기초하여,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설정한다. 이에 의해, 화질의 재현성이 향상된다.
[화상 1] 제1 광원에 의한 조명하에서, 샤알레를 상방에서 촬영한 화상. 이 화상은, 제1 링 조명을 온으로 하고, 제1 카메라로 촬영을 행함으로써 취득할 수 있다.
[화상 2] 제2 광원에 의한 조명하에서, 샤알레를 하방에서 촬영한 화상. 이 화상은, 제2 링 조명을 온으로 하고, 제2 카메라로 촬영을 행함으로써 취득할 수 있다.
[화상 3] 제3 광원에 의한 조명하에서, 샤알레를 상방에서 촬영한 화상. 이 화상은, 제1 바 조명 및 제2 바 조명을 온으로 하고, 제1 카메라로 촬영을 행함으로써 취득할 수 있다.
[화상 4] 제4 광원에 의한 조명하에서, 샤알레를 하방에서 촬영한 화상. 이 화상은, 제3 바 조명 및 제4 바 조명을 온으로 하고, 제2 카메라로 촬영을 행함으로써 취득할 수 있다.
<스텝 130> 화상 보정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약제 감별 수단에서는, 사전에 캘리브레이션이 행해져 있고, 컴퓨터는, 이 캘리브레이션에 의한 교정 정보를 데이터로서 보유하고 있다. 컴퓨터는, 이 교정 정보를 기초로, 촬영한 화상의 보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교정 정보에 기초하여, 촬영한 화상의 좌표의 보정을 행한다. 이에 의해, 제1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의 좌표축과 제2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의 좌표축이 일치한다.
<스텝 140> 약제 영역 추출
화상 보정 후, 화상 내에서 각 약제가 점유하는 영역을 추출한다. 이것에는, 배경과 약제의 명암이 크게 나뉘는 경향이 큰 [화상 1] 및 [화상 2]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영역 추출은, 각 화소의 밝기를, 역치로 2치화하여(역치 미만=배경, 역치 이상=약제), 역치 이상의 영역을 분리함으로써 행해진다.
도 19는, 약제 개별 감별 처리 200의 플로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의 처리는, 각 약제에 대해 개별로 행해진다. 먼저, 컴퓨터는, 상방에서의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하나의 약제의 점유 영역과 하방에서의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이 약제의 점유 영역을 대응시킨다(스텝 210). 이어서, 컴퓨터는, 이 약제가 정제인지 캡슐인지를 판정한다(스텝 220). 정제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컴퓨터는, 정제 감별 처리를 행하고(스텝 300), 캡슐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캡슐 감별 처리를 행한다(스텝 400).
<스텝 210> 상하 화상 중의 약제의 대응시키기
샤알레의 투명한 부분에 직접 놓인 약제는, 상방에서 촬영한 화상([화상 1] 및 [화상 3])과 하방에서 촬영한 화상([화상 2] 및 [화상 4])의 양쪽에 찍혀 있다. 본 스텝에 의해, 상방에서 촬영한 화상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약제가 점유하는 영역 및 하방에서 촬영한 화상에 있어서 이 약제가 점유하는 영역을 대응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스텝 130에서 보정된 [화상 1] 및 [화상 2] 중 한쪽의 화상을 좌우 또는 상하 반전시키면, 한쪽의 화상 내에서 약제가 점유하는 영역은, 다른 쪽의 화상 내에서 동일한 약제가 점유하는 영역과 거의 합치한다. 이 합치한 영역이, 2개의 화상에 있어서 하나의 약제가 각각 점유하는 영역이다. 즉, 반전되어 있지 않은 화상의 하나의 영역과, 반전 화상에서 이것과 겹쳐진 영역이 반전 해제에 의해 복귀된 영역이, 하나의 약제에 각각 대응한 영역이 된다. 이때, 2개의 화상이 반전되어 겹쳐지는 중복 영역을 대응 영역으로 할 수도 있다.
<스텝 220> 정제·캡슐 판정
약제 영역의 대응시키기 처리를 실행하면, 컴퓨터는, 그 약제가 정제인지 캡슐인지를 판정한다. 정제는, 샤알레의 투명한 부분에 놓이므로, 상방에서 촬영한 화상에는 그 상면이, 하방에서 촬영한 화상에는 그 하면이 찍혀 있다. 즉, 2개의 화상([화상 1] 및 [화상 2])을 대비하면, 약제가 정제인 경우, 상방에서 촬영한 화상과 하방에서 촬영한 화상에서, 당해 약제에 대응하는 영역이, 각각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스텝 210에서 2개의 화상에 대해 하나의 영역이 대응된 경우, 즉, 상방에서 촬영한 화상에 있어서 인식된 약제의 점유 영역이, 하방에서 촬영한 화상에 있어서 인식된 약제의 점유 영역과 대응된 경우에는, 당해 약제는 정제라고 판정된다.
한편, 캡슐은, 불투명한 캡슐 적재용 부재 상에 놓인다. 이 때문에, 상방에서 촬영한 화상에는 그 상면이 찍혀 있지만, 하방에서 촬영한 화상에는 캡슐은 찍혀 있지 않다. 즉, 2개의 화상([화상 1] 및 [화상 2])을 대비하면, 약제가 캡슐인 경우, 상방에서 촬영한 화상에는, 약제가 점유하는 영역이 존재하지만, 하방에서 촬영한 화상에는, 당해 약제가 점유하는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스텝 210에서 2개의 화상에 대해 하나의 영역을 대응시킬 수 없었던 경우, 즉, 상방에서 촬영한 화상에 있어서 인식된 약제의 점유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이, 하방에서 촬영한 화상에 있어서 인식되지 않은 경우에는, 당해 약제는 캡슐이라고 판정된다.
<스텝 300> 정제 감별
컴퓨터에 의해 선택된 1개의 약제가 정제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처리는, 정제 감별 처리 300으로 진행한다. 도 20은, 정제 감별 처리 300의 각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컴퓨터는, 약제가 원형인지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스텝 310). 이어서, 컴퓨터는, 약제의 표면에 부여된 각인의 추출 처리를 행한다(스텝 320). 이어서, 컴퓨터는, 약제의 표면에 부여된 인쇄의 추출 처리를 행한다(스텝 330). 이어서, 컴퓨터는, 약제의 표면에 부여된 정보가 각인인지 인쇄인지의 판정을 행한다(스텝 340). 이어서, 컴퓨터는, 약제의 표면에 부여된 할선을 추출한다(스텝 350). 이어서, 컴퓨터는, 약제의 대표색을 추출한다(스텝 360). 그 후, 컴퓨터는, 당해 약제에 관한 압축 정보를 기초로, 후보가 되는 약제의 압축을 행한다(스텝 370). 마지막으로, 컴퓨터는, 약제의 화상으로부터 추출한 각인 및/또는 인쇄 정보를 기초로, 템플릿 매칭을 행하여, 최종 검색을 행한다(스텝 380).
<스텝 310> 원 판정
컴퓨터는, 약제가 점유하는 영역의 원형도를 구한다. 원형도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컴퓨터는, 약제가 원형이라고 판정한다. 또한, 원형도가 소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컴퓨터는, 약제가 비원형이라고 판정한다. 약제가 원형이라고 판정된 경우, 컴퓨터는, 원의 중심 위치와 반경을 산출한다. 약제가 비원형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컴퓨터는, 약제가 점유하는 영역의 긴 축이 X축과 평행이 되도록, 또한 짧은 축이 Y축과 평행이 되도록, 약제가 점유하는 영역을 회전시킨다. 게다가, 컴퓨터는, 약제의 긴 축과 짧은 축의 길이, 및 긴 축과 짧은 축의 길이의 비를 산출한다.
<스텝 320> 각인 추출
컴퓨터는, [화상 1] 및 [화상 2], 즉 제1 광원 및 제2 광원에 의한 조명하에서 촬영된 화상에 대해 각인의 추출 처리를 행한다. 본 발명자는, 제1 광원 및 제2 광원에 의한 조명하에서 약제를 촬영하면, 각인이 강조된 약제의 화상을 촬영할 수 있음을 알아냈다.
<스텝 330> 인쇄 추출
컴퓨터는, [화상 3] 및 [화상 4], 즉 제3 광원 및 제4 광원에 의한 조명하에서 촬영된 화상에 대해 인쇄의 추출 처리를 행한다. 본 발명자는, 제3 광원 및 제4 광원에 의한 조명하에서 약제를 촬영하면, 인쇄가 강조된 약제의 화상을 촬영할 수 있음을 알아냈다.
<스텝 340> 각인·인쇄 판정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링 조명 및 제2 링 조명의 조명하에서 촬영한 화상에 대해 각인 추출 처리(스텝 320)를 행하면, 약제의 표면에 부여된 각인이 적합하게 추출된 화상이 얻어진다. 또한, 제1 바 조명, 제2 바 조명, 제3 바 조명 및 제4 바 조명의 조명하에서 촬영한 화상에 대해 인쇄 추출 처리(스텝 330)를 행하면, 약제의 표면에 부여된 인쇄가 적합하게 추출된 화상이 얻어진다(상기 수1 참조). 컴퓨터는, 이들 각인 추출 화상 및 인쇄 추출 화상을 기초로, 약제의 표면에 부여된 정보가 각인인지 인쇄인지, 즉, 약제의 표면에 각인 및 인쇄가 부여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
약제에 각인이 부여되어 있는지의 판정을 행하려면, 먼저, 컴퓨터는, 스텝 320에서 얻어진 각인 추출 화상에 대해, 소정의 역치를 기준으로 하여, 2치화를 행한다. 이어서, 컴퓨터는, 이 2치화 화상을 마스크로 하여, 각인 추출 화상의 값과의 평균값을 취한다. 컴퓨터는, 평균값이 역치 이상인 경우에는, 각인 있음이라고 판정하고, 역치 미만인 경우에는, 각인 없음이라고 판정한다. 마찬가지로, 약제에 인쇄가 부여되어 있는지의 판정을 행하려면, 먼저, 컴퓨터는, 스텝 330에서 얻어진 인쇄 추출 화상에 대해 소정의 역치를 기준으로 하여, 2치화를 행한다. 이어서, 컴퓨터는, 이 2치화 화상을 마스크로 하여, 인쇄 추출 화상의 값과의 평균값을 취한다. 컴퓨터는, 평균값이 역치 이상인 경우에는, 인쇄 있음이라고 판정하고, 역치 미만인 경우에는, 인쇄 없음이라고 판정한다.
<스텝 350> 할선 영역 추출
컴퓨터는, 스텝 320에서 얻어진 각인 추출 화상에 대해, 할선 영역 추출 처리를 행한다. 상세하게는, 컴퓨터는, 약제에 할선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 약제를, 할선이 존재하는 영역과 그 이외의 영역으로 분리한다.
<스텝 360> 대표색 추출
다음으로, 컴퓨터는, 약제의 대표색을, 각인 또는 인쇄가 부여된 영역과, 그 이외의 영역으로 나누어, 제각기 추출한다. 대표색의 추출은, 화소를 구성하는 색에 대해 클러스터링을 행함으로써 적합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대표색을 추출하는 대신에, 약제의 화상, 혹은 각인 또는 인쇄가 부여된 영역과 그 이외의 영역에 대해 「백색」, 「연한 색」 「진한 색」의 색의 농도의 판정을 행한다. 이것은, 영역 내의 색이 제1 역치 미만이면, 「진한 색」, 제1 역치 이상 제2 역치 미만이면 「연한 색」, 제2 역치 이상이면, 「백색」이라고 판정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스텝 370> 압축
컴퓨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한다. 그리고 이상의 스텝에서 얻어진 데이터에 기초하여, 후보가 되는 약제의 검색을 행한다. 우선은, 최초의 단계로서, 검색할 대상의 약제의 압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컴퓨터는, 약제의 종류(정제인지 그 이외의 약제인지), 약제의 형상(원형인지 비원형인지, 비원형인 경우 긴 축과 짧은 축의 길이의 비), 약제의 사이즈(원형인 경우 약제의 직경, 비원형인 경우 약제의 긴 축의 길이 및 짧은 축의 길이), 각인의 유무, 인쇄의 유무, 할선의 유무, 약제의 대표색(각인이 부여된 영역의 대표색, 인쇄가 부여된 영역의 대표색, 및 그 이외의 영역의 대표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검색할 대상의 약제를 압축한다. 또한, 컴퓨터가 당해 환자의 처방 이력(예를 들어, 약 수첩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는 경우에는, 컴퓨터는, 검색할 대상의 약제를, 처방 이력에 포함되는 약제에 한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스마트폰에 보존된 약 수첩 데이터에 컴퓨터를 액세스할 수 있는 경우에는, 컴퓨터는, 당해 약 수첩 데이터에 액세스하여, 당해 환자에게 처방된 약제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종이에 인쇄된 약 수첩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약 수첩을 스캔하여,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에 의해 텍스트화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검색 대상의 약제를 압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약제 검색의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스텝 380> 템플릿 매칭
그 후, 전술한 스텝에서 얻어진 각인 추출 화상 및/또는 인쇄 추출 화상과, 데이터베이스에 보존된 각 약제의 각인 템플릿 화상 및/또는 인쇄 템플릿 화상 사이에서 템플릿 매칭(패턴 매칭이라고도 함)을 행하여, 감별 대칭의 약제가 해당될 가능성이 높은 약제를 픽업한다. 또한, 정제가 원형인 경우에는, 템플릿 매칭에 앞서, 원의 중심이 화상의 중심이 되도록, 약제가 점유하는 화상의 영역을 이동·보정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각인 및/또는 인쇄의 무게 중심이 화상의 중심이 되도록, 추출 화상 및 템플릿 화상을 보정해도 된다. 또한, 정제가 원형인 경우에는, 템플릿 매칭의 결과가 최대가 되도록, 추출 화상 및/또는 템플릿 화상을 회전시킨다. 그 후, 양 화상에 대해 템플릿 매칭을 행하여, 스코어를 산출한다. 이 스코어는, 양 화상이 합치되어 있는 정도를 수치로서 나타내고 있다. 템플릿 매칭의 스코어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 혹은 최상위로부터 소정 순위 이내인 경우에는, 컴퓨터는, 템플릿 화상이 속하는 약제를, 후보약으로서 픽업한다. 또한, 정제가 할선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할선이 존재하는 상태에서의 템플릿 매칭과, 할선을 제거한 상태에서의 템플릿 매칭의 양쪽을 행해도 된다. 또한, 인쇄 또는 각인이 단어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컴퓨터는, 각 단어를 1단위로 하여 템플릿 매칭을 행해도 되고, 단어를 문자·숫자·기호로 분할하여, 각 문자·숫자·기호에 대해 템플릿 매칭을 행해도 된다. 게다가, 컴퓨터는, 각인 또는 인쇄 화상으로부터 OCR에 의해 텍스트 정보를 추출하여, 이 텍스트 정보를 기초로 템플릿 매칭을 행해도 된다.
<스텝 400> 캡슐 감별
도 19의 스텝 220로 돌아가, 컴퓨터에 의해 선택된 1개의 약제가 캡슐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처리는, 캡슐 감별 처리 400으로 진행한다. 도 20은, 캡슐 감별 처리 400의 각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컴퓨터는, 캡슐을, 두 영역으로 분할한다(스텝 410). 이어서, 컴퓨터는, 각각 두 영역으로부터, 대표색을 추출한다(스텝 420). 이어서, 컴퓨터는, 각각 두 영역으로부터, 약제의 표면에 부여된 인쇄의 추출 처리를 행한다(스텝 430). 이어서, 컴퓨터는, 약제의 표면에 인쇄가 부여되어 있는지의 판정을 행한다(스텝 440). 그 후, 컴퓨터는, 당해 약제에 관한 압축 정보를 기초로, 후보가 되는 약제의 압축을 행한다(스텝 450). 마지막으로, 컴퓨터는, 약제의 화상으로부터 추출한 인쇄 정보를 기초로, 템플릿 매칭을 행하여, 최종 검색을 행한다(스텝 460).
<스텝 410> 영역 분할
먼저, 컴퓨터는, 약제를 두 영역으로 분할한다. 구체적으로는, 약제의 화상의 색 정보, 구체적으로는 화소의 색을 클러스터링한다. 이어서, 클러스터링한 색 정보를 그룹화하고, 이 색 그룹이 속하는 영역을, 하나의 영역으로 한다. 이에 의해, 우측 절반과 좌측 절반이 다른 색으로 구성된 캡슐은, 두 영역으로 적합하게 분할된다.
<스텝 420> 대표색 추출
다음으로, 컴퓨터는, 약제의 각 영역의 대표색을 추출한다. 이것은, 영역을 구성하는 화소의 색 정보를 클러스터링함으로써 적합하게 행할 수 있다.
<스텝 430> 인쇄 추출
컴퓨터는, 스텝 410에서 분할된 각 영역에 대해, 스텝 330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각 영역으로부터 인쇄 추출을 행한다. 본 발명자는, 캡슐의 화상을 두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영역에 대해 제각기 인쇄 화상의 추출 처리를 행하면, 캡슐로부터 더 적합하게 인쇄를 추출할 수 있음을 알아냈다.
<스텝 440> 인쇄 판정
컴퓨터는, 분할된 약제의 각 영역에 대해 스텝 340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하여, 각 영역에 인쇄가 부여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
<스텝 450> 압축
컴퓨터는, 스텝 360과 마찬가지로 하여, 후보가 되는 약제의 압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컴퓨터는, 약제의 종류(캡슐인지 그 이외의 약제인지), 약제의 형상(약제의 긴 축과 짧은 축의 길이의 비), 약제의 사이즈(약제의 긴 축의 길이 및 짧은 축의 길이), 대표색, 각 대표색이 속하는 영역에 있어서의 인쇄의 유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검색할 대상의 약제를 압축한다.
<스텝 460> 템플릿 매칭
컴퓨터는, 스텝 430에서 얻어진 인쇄 추출 화상(입력 화상)으로부터, 인쇄 부분을 잘라낸다. 이어서, 인쇄 추출 화상에 대해 스텝 370과 마찬가지로 하여, 스텝 410에서 분할된 영역마다 템플릿 매칭을 행하여, 후보 약을 픽업한다.
§4 약제 감별 소프트웨어의 추가 처리
§4.1 <스텝 370>에서의 추가 처리
전술한 스텝 370에서는, 컴퓨터가 액세스하는 데이터베이스는, 각인 추출 화상 및/또는 인쇄 추출 화상에 대응하는 템플릿 화상이 보존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약제의 단순한 사진만이 보존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이 화상 데이터로부터 약제의 영역을 취득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인쇄 추출 및 각인 추출을 행하고, 얻어진 인쇄 추출 화상 및 각인 추출 화상을 템플릿 화상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이 방법에 의해, 데이터베이스 내에 보존되는 템플릿 화상을 작성할 수도 있다. 또한, 화상 데이터로부터 약제의 영역은, 다음과 같이 하여 취득할 수 있다. 먼저, 배경의 색을 취득하고, 배경색과 문자 이외의 부분을, 약제가 점유하는 영역으로 판정한다. 또한, 영역이 1개소 또는 3개소 이상 발견된 경우는, 에러로 한다. 이어서, 각 영역의 무게 중심의 위치를 구하고, 이 무게 중심의 위치로부터 약제의 좌우를 판정한다.
§4.2 카메라의 캘리브레이션
상기 실시 형태를 적합하게 실시하기 위해서는,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의 초점이 맞을 필요가 있다. 또한, 제1 카메라의 촬영 영역 및 제2 카메라의 촬영 영역을 합치시킬 필요가 있다. 게다가, 촬영 화상의 밝기 및 색도, 소정값의 범위 내에 들어갈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약제 감별 시스템의 공장 출하 전, 혹은 약제 감별 시스템의 납품처에서의 셋업 시에, 이하에 설명하는 캘리브레이션을 행한다. 또한, 이 캘리브레이션은, 한 번 행하면, 통상은, 다시 행할 필요는 없다.
§4.2.1 카메라의 위치 정렬
본 캘리브레이션에서는, 우선은 카메라의 위치 정렬을 행한다. 먼저, 샤알레가 세트된 트레이를, 약제 촬영 장치(200)의 적재부(220)에 세트한다. 이어서, 샤알레를 제1 카메라로 촬영하고, 이 촬영 화상을 컴퓨터의 표시 장치에 표시시킨다. 이때, 샤알레의 화상에, 소정의 위치에 십자형을 갖는 가상 화상을 겹쳐 표시한다. 그리고 이 십자형이 샤알레의 내부에 들어가도록, 제1 카메라의 위치와 각도를 미세 조정한다. 마찬가지의 조작을, 제2 카메라에 대해서도 행한다.
§4.2.2 카메라의 초점 조정
다음으로, 카메라의 초점 조정을 행한다. 우선은, 소정의 문자, 기호 또는 도면의 표기가 된 템플릿을, 약제 촬영 장치의 적재부에 세트하고, 낮은 배율로, 이 템플릿을 촬영한다. 그리고 촬영 화상에 있어서 템플릿의 표기가 가장 선명해지도록, 카메라의 초점을 대략 조정한다. 이것이 완료되면, 배율을 높여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초점의 미세 조정을 행한다.
§4.2.3 촬영 영역의 캘리브레이션
본 캘리브레이션에 의해, 상하의 카메라의 촬영 영역의 좌표를 합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카메라의 해상도를 취득할 수도 있다. 우선은,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캘리브레이션용 툴인 캘리브레이션 시트(910)를 준비한다. 이 캘리브레이션 시트(9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혹은 시트의 양면에, 소정의 사이즈의 흑색의 원이, 소정 간격으로 m×n개(도 2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3×4개), 행렬상으로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흑색의 원의 위치 및 크기는, 캘리브레이션 시트(910)의 표면과 이면에서, 동일하게 되어 있다. 캘리브레이션 시에는, 이 캘리브레이션 시트(910)를, 약제 촬영 장치의 적재부에 세트하고,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로, 캘리브레이션 시트(910)의 촬영을 행한다. 이어서, 화상 중의 흑색의 원이 지정 좌표에 위치하고, 또한 지정 사이즈가 되는 변환 행렬을 구한다. 이것은, 캘리브레이션 시트(910)를 상방에서 촬영한 화상, 및 하방에서 촬영한 화상의 양쪽에 행한다. 전술한 스텝 130에서는, 이 변환 행렬에 기초하여, 샤알레를 촬영한 화상의 보정을 행한다. 이에 의해, 샤알레를 상방에서 촬영한 화상 및 하방에서 촬영한 화상의 촬영 영역의 좌표 위치가 일치하게 된다. 또한, 변환 행렬로부터, 화상의 해상도(DPI), 즉 단위 길이를 구성하는 화소 수도 얻어진다.
§4.2.4 밝기 및 색의 캘리브레이션
본 캘리브레이션에 의해, 촬영 화상의 색의 재현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캘리브레이션 시트(910)가 적재부에 놓인 상태에서, 다음 (a) ~ (b)를 반복하여 행한다.
(a) 노출의 조정: 제1 광원이 온인 상태에서, 소정의 노출 시간으로, 제1 카메라에 의한 촬영을 행한다. 또한, 제2 광원이 온인 상태에서, 소정의 노출 시간으로, 제2 카메라에 의한 촬영을 행한다. 이어서, 촬영된 화상의 소정의 각 점의 밝기를 산출한다. 이 밝기가 목표값보다 높은 경우에는, 카메라의 노출 시간을 줄인다. 목표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카메라의 노출 시간을 늘린다.
(b) 색(화이트 밸런스)의 조정: 촬영된 화상의 소정의 각 점의 RGB값을 산출한다. B(청색)가 R(적색)보다 큰 경우에는, R의 게인을 올린다. B가 R보다 작은 경우에는, R의 게인을 내린다. 또한, B가 G(녹색)보다 큰 경우에는, G의 게인을 올린다. B가 G보다 작은 경우에는, G의 게인을 내린다. 각 값이 목표값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a) ~ (b)를 반복하여 행한다. 이에 의해, 촬영 시의 카메라의 설정값이 얻어진다. 또한, 마찬가지의 조작을, 제3 광원 및 제1 카메라를 사용하여, 또한 제4 광원 및 제2 카메라를 사용하여 행한다.
100: 약제 불출 장치
110: 바이알병 공급 장치
120: 라벨 첨부 장치
130: 바이알병 운반 장치
140: 배출구
150: 카세트 배치부
160: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170: 광학식 스캐너
180: 약제 보충부
181: RF 태그 판독 장치
182: 로크 해제 장치
190: 제어 장치
200: 약제 불출 카세트
210: 본체
211: RF 태그
212: 구멍
213: 우측 내벽
220: 제1 회전체
230: 원통 부재
300: 제1 서브 부재
310: 덮개
311: 힌지
320: 걸림 결합부
321: 돌출부
322: 슬릿
323: 리브
400: 트레이
410: 샤알레
411: 저부
412: 측면
413: 링
414: 캡슐 적재용 부재
415: 투명한 부분
416: 오목부
417: 오목부
420: 본체
421: 구멍
422: 통
500: 메인 부재
600: 제3 서브 부재
710: 제1 카메라
720: 제2 카메라
730: 제1 광원
731: 제1 링 조명
740: 제2 광원
741: 제2 링 조명
742: 하측 지지판
743: 상측 지지판
750: 제3 광원
751: 제1 바 조명
752: 제2 바 조명
760: 제4 광원
761: 제3 바 조명
762: 제4 바 조명
800: 로크 기구
810: 경사 부분
820: 샤프트
830: 가압 부재
831: 기단부
832: 만곡부
833: 선단부
840: 걸림 결합 부재
900: 약제 촬영 장치
910: 케이스
911: 하측 케이스
912: 절결부
913: 상측 케이스
914: 커버
915: 경사부
916: 경사면
917: 절결용 스페이스
920: 적재부
921: 트레이 지지 부재
922: 구멍
923: 끼워 맞춤부
930: 가이드 부재
931: 경사면
940: 상측 내부 공간
950: 프레임

Claims (14)

  1. 처방전 정보에 기초하여 약제를 충전하는 약제 충전 장치이며, 본체와, 상기 본체에 적어도 하나 설치된, 약제 불출 카세트와, 약제의 종류를 검출하는 약제 감별 수단을 갖고, 상기 약제 불출 카세트에는, 개폐 가능한 덮개와, 상기 덮개의 시정을 행하는 로크 기구가 있고, 상기 약제 감별 수단이 검출한 약제의 종류와, 상기 약제 불출 카세트에 수용되는 약제의 종류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로크 기구는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감별 수단은, 상기 약제 불출 카세트, 혹은 상기 덮개 중 어느 것에 마련된 카세트 정보와, 상기 약제에 마련된 약제 정보를 판독하는 약제 정보 취득부와, 상기 약제 정보 취득부와 접속되는 정보 처리부를 더 갖고, 상기 정보 처리부는 약제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약제의 정보에 기초하여, 약제의 종류를 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충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정보 취득부는, 감별 대상의 약제의 정보가 표시된 화상을 취득하는 촬영 장치와, 감별 대상의 약제의 정보가 표시된 코드를 읽어들일 수 있는 제1 읽기 장치와 감별 대상의 약제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읽어들일 수 있는 제2 읽기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충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별 대상의 약제가 표시된 화상은 당해 약제의 각인 또는 인쇄의 화상이고, 상기 감별 대상의 약제가 표시된 코드는 당해 약제의 약제 정보를 나타내는 바코드, 2차원 코드 또는 3차원 코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충전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기구는, 또한 로크를 해제시키는 트리거를 구비하고, 상기 트리거는, 상기 로크 기구를 해제한 후, 상기 로크 기구를 다시 로크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충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상기 카세트가 약제 충전 장치로부터 제거됨과 함께, 트리거를 로크 해제시키는 상태로부터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충전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상기 카세트가 충전 작업 완료 후, 트리거를 로크 해제시키는 상태로부터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지시를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충전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또한 타이머부를 구비하고, 상기 타이머부에 의해, 상기 로크 기구를 해제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트리거를 로크 해제시키는 상태로부터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충전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충전 장치는, 소정의 약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약제 감별 수단이 검출한 약제의 정보를, 또한 기억하는 것이 가능한 기억부를 더 갖고, 당해 기억부는, 당해 약제의 화상, 정확한 가능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 혹은 순위, 및 상기 약제의 각인 혹은 인쇄 코드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충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충전 장치는, 저장된 약제의 정보에 기초하여, 템플릿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 약제의 각인 및/또는 인쇄의 화상 데이터와 상기 템플릿 화상 데이터가 합치되어 있는 정도의 지표가 되는 스코어를 산출하는 패턴 매칭을 행함으로써, 약제의 감별을 행하는 제어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충전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충전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더 갖고, 당해 디스플레이는, 상기 약제 감별 수단이 검출한 약제의 정보와, 기억부에 저장된 약제의 정보를 비교한 결과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충전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충전 장치는, 상기 약제 감별 수단이 검출한 약제의 종류와, 상기 약제 불출 카세트에 수용되는 약제의 종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작업자에 대해 경고를 하는 경고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충전 장치.
  13. 처방전 정보에 기초하여 약제의 회수를 행하는 약제 회수 방법이며, 감별 대상이 되는 약제의 종류를 나타내는 약제 정보를 취득하는 공정과, 상기 약제 정보와 약제 불출 카세트에 수용되는 약제의 종류를 나타내는 카세트 정보를 비교하는 공정과, 상기 약제 정보와 상기 카세트 정보가 일치하는지를 판정하는 공정과, 상기 약제 정보와 상기 카세트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약제 불출 카세트에 마련된 로크 기구를 해제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회수 방법.
  14. 잘못된 약제가 약제 보유 지지 수단에 충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약제 충전 지원 장치이며, 당해 약제 충전 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적어도 하나 격납된 약제 보유 지지 수단과, 상기 약제 보유 지지 수단에 설치된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의 시정을 행하는 로크 기구와, 상기 약제의 종류를 감별하는 감별 수단을 갖고, 당해 감별 수단이 감별한 약제의 종류와, 상기 약제 보유 지지 수단에 수용되는 약제의 종류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로크 기구는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충전 장치.
KR1020207028637A 2018-08-28 2019-08-20 약제 충전 장치 및 약제 회수 방법 KR202100434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59036 2018-08-28
JP2018159036 2018-08-28
PCT/JP2019/032465 WO2020045169A1 (ja) 2018-08-28 2019-08-20 薬剤充填装置及び薬剤回収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486A true KR20210043486A (ko) 2021-04-21

Family

ID=69644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637A KR20210043486A (ko) 2018-08-28 2019-08-20 약제 충전 장치 및 약제 회수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10166799A1 (ko)
EP (1) EP3845214A4 (ko)
JP (1) JPWO2020045169A1 (ko)
KR (1) KR20210043486A (ko)
CN (1) CN112087995A (ko)
AU (1) AU2019326991A1 (ko)
CA (1) CA3097103A1 (ko)
WO (1) WO20200451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05259B2 (en) 2020-03-25 2023-03-14 Parata Systems, Llc Drug product packaging system including locking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drug product cells
US20230320936A1 (en) * 2020-09-03 2023-10-12 Yuyama Mfg. Co., Ltd. Drug imaging device and drug packaging device
IT202100009971A1 (it) * 2021-04-20 2022-10-20 Bucci Automations S P A Apparato di alimentazione per prodotti farmaceutici e contenitore di vibro-alimentatore per detto apparato
CN113477291B (zh) * 2021-05-21 2022-07-01 遵义医科大学 一种带标尺和摄像功能的新型实验托盘
IT202200002900A1 (it) * 2022-02-16 2023-08-16 Bucci Automations S P A Apparato di alimentazione per prodotti farmaceutici e contenitore di vibro-alimentazione per detto apparat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0360A1 (ja) 2009-03-26 2010-09-30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充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6461A (en) * 1998-05-29 2000-09-12 Pyxi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ispensing of drugs
US9355218B2 (en) * 2007-10-30 2016-05-31 Carefusion 303, Inc. Secure medication transport and administration system
JP4886915B1 (ja) * 2011-09-06 2012-02-29 株式会社Windy 分包薬剤検査システム
CN103857608B (zh) 2011-09-06 2016-08-17 株式会社汤山制作所 药剂匣和药剂供给装置
JP5472360B2 (ja) * 2012-04-06 2014-04-1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装置
US10969218B2 (en) * 2014-03-31 2021-04-06 Yuyama Mfg. Co., Ltd. Medicine photographing device
WO2016067929A1 (ja) * 2014-10-31 2016-05-0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い出し装置
JP5904388B1 (ja) * 2014-10-31 2016-04-13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い出し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0360A1 (ja) 2009-03-26 2010-09-30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充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45214A4 (en) 2021-11-10
CN112087995A (zh) 2020-12-15
JPWO2020045169A1 (ja) 2021-08-10
CA3097103A1 (en) 2020-03-05
AU2019326991A1 (en) 2020-11-05
WO2020045169A1 (ja) 2020-03-05
EP3845214A1 (en) 2021-07-07
US20210166799A1 (en)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43486A (ko) 약제 충전 장치 및 약제 회수 방법
JP7238942B2 (ja) 薬剤判別ソフトウェア
JP7319286B2 (ja) 医薬品のための自動包装機及びその操作方法
US10565545B2 (en) Drug inspection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CN115668248A (zh) 基于光学感测的库存控制系统和方法
JP7381954B2 (ja) 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装置
CN105307622A (zh) 分包药剂检查装置及方法
JP7502703B2 (ja) 薬剤向き登録装置、プログラム、及び、薬剤搬送装置
JP5306093B2 (ja) 薬品管理システム
US20220142869A1 (en) Drug sorting device, sorting container, and drug return method
JP2017158743A (ja) 薬剤認識装置
JP6988965B2 (ja) 薬剤認識装置
US20230196800A1 (en) Dispensing cabinet incorporating vision based counting systems and methods
JP2024000962A (ja) 薬剤仕分装置および種類判別装置
WO2023114036A1 (en) Dispensing cabinet incorporating vision based counting system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