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4918A - 커넥터의 잠금 구조 - Google Patents

커넥터의 잠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4918A
KR20140044918A KR1020147004876A KR20147004876A KR20140044918A KR 20140044918 A KR20140044918 A KR 20140044918A KR 1020147004876 A KR1020147004876 A KR 1020147004876A KR 20147004876 A KR20147004876 A KR 20147004876A KR 20140044918 A KR20140044918 A KR 20140044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ock
connector housing
arm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4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요시 하마이
히로마사 쿠보타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44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49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Abstract

커넥터의 잠금 구조는 가요성 잠금 암, 잠금 결합부, 및 해제 레버부를 포함하며, 가요성 잠금 암은 기단부에서 제2커넥터 하우징의 벽부에 고정되고, 커넥터의 감합 방향으로 연장되고, 잠금 결합부는 가요성 잠금 암의 선단부에 배치되고 제1커넥터 하우징에 배치되는 잠금부와 잠금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해제 레버부는 잠금 결합부에 연결되는 한편 가요성 잠금 암을 따라서 연장되며, 잠금 결합을 해제하는 동안 이동 가능한 피벗축을 중심으로 잠금 결합부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가요성 잠금 암의 두께는 기단부로부터 잠금 결합부로 진행하면서 점차 감소된다.

Description

커넥터의 잠금 구조{LOCK STRUCTURE OF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의 잠금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잠금 구조와 같은 종래 커넥터의 잠금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1 참조). 도 5는 잠금부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6은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에서의 잠금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01)에서의 잠금부(105)의 양측면은 감합 방향으로 뻗는 화살촉을 절반으로 잘라놓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해제 레버부(107)가 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해제 레버부(107)의 전방 단부(도 5를 기준으로 앞쪽의 단부)에는 측방향 전체폭에 걸쳐 연장되는 형태로 전방 에지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 에지부(111)로부터 판형의 2개의 잠금 암(109)이 실질적으로 후방을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잠금 암(109)의 각 후방 단부(도 5에서 깊은 측에 있음)는 하향으로 굴곡되고,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01)의 수평벽부(101a)에 접속되어 고정 단부(109a)로 형성된다.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2개의 잠금 암(109) 사이에는 전방 에지부(111)의 중간부가 위치하고, 이 중간부는 메일 커넥터 하우징(미도시)의 잠금 상대부를 잠금 결합하기 위한 래치부(잠금결합부)(111a)로서 형성된다.
한편, 잠금 암(109)의 후방 단부에서의 고정단(109a)과 감합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는 해제 레버부(107)의 하단부가 위치하고, 이 하단부는 잠금 해제 동작을 할 때 해제 레버부(107)의 회전 피벗축으로서 기능하는 지지부(107a)를 구성한다.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01) 자체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이 지지부(107a)와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01)의 수평벽부(101a)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한다(도 6 참조).
전체 폭에 걸쳐 지지부(107a) 보다 더 후방으로 뻗어 있는 해제 레버부(107)의 평탄면부는 핑거 후크부(117)를 구성한다.
상기 설명한 잠금 구조에 따르면, 지레 작용을 이용하여, 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01) 사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레버부(107)가 잠금 암(109)의 래치부(111a)로부터 연속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잠금 암(109)의 래치부(111a)가 소정의 양만큼 변형될 때, 잠금 암(109)의 고정단(109a)에 부여되는 과잉 응력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로, 잠금 암(109)이 파괴될 수 있다.
JP-A-2001-250636
커넥터의 소형화의 경향으로, 커넥터의 잠금 구조 역시 소형화가 요구된다. 이러한 소형화의 목적을 위해, 잠금 암(109)의 길이를 보다 짧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잠금 암(109)을 단순히 짧게 구성할 경우, 잠금 암(109)의 강도(경직도)가 커지고 잠금 암(109)이 만곡 변형되기 어렵다.
래치부(111a)를 상향으로 변위하기 위한 힘이 잠금 암(109)에 부여될 때, 잠금 결합 또는 잠금 해제를 할 경우, 고정단(109a)에 응력이 집중될 가능성이 있어 잠금 암(109)의 파손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점으로서의 일 양태는 잠금 암의 길이를 짧게 구성한 경우에도 잠금 암의 가요성이 유지될 수 있고, 한편으로 커넥터의 소형화의 요구에 따라서 잠금 구조 자체를 소형화할 수 있는 커넥터의 잠금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서 상호 결합되는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2커넥터 하우징이 해제가능하게 잠금 결합되는 커넥터의 잠금 구조를 제공하며, 상기 잠금 구조는:
가요성 잠금 암의 기단부에서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의 벽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에 감합되는 감합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잠금 암;
상기 가요성 잠금 암의 선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에 배치되는 잠금부와 잠금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잠금 결합부; 및
해제 레버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잠금 결합부에 연결되고, 상기 가요성 잠금 암을 따라서 연장되며, 잠금 결합을 해제하는 동안 이동가능한 피벗축을 중심으로 상기 잠금 결합부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해제 레버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잠금 암의 두께는 상기 기단부로부터 상기 잠금 결합부로 진행하면서 점차 감소된다.
상기 설명한 구조를 가진 커넥터의 잠금 구조에 따르면,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2커넥터 하우징이 상호 결합할 때, 잠금 결합부의 변위 억제 부재는 외팔보형 잠금 암뿐이다. 또한, 잠금 암은 그 교차 단면의 두께가 기단부로부터 잠금 결합부로 진행하면서 점차 감소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잠금 암의 전체 길이가 짧게 구성되는 경우에도, 잠금 암의 선단측이 만곡 변형될 수 있고 기단부에 부여되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잠금 암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잠금 해제 동작 시에, 피벗축을 중심으로 해제 레버와 함께 잠금 결합부를 회전시켜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이 경우, 회전 피벗축의 위치가 변위될 수 있기 때문에, 저항 없이 잠금 결합부가 회전하게 되고, 변형되는 잠금 암이 과도한 하중을 받지 않는다. 그 결과, 강도의 부족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잠금 구조에 의하면, 잠금 암의 길이를 짧게 구성한 경우에도 잠금 암의 가요성을 유지할 수 있고, 잠금 구조 자체를 커넥터의 소형화 요구에 따라서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커넥터의 잠금 구조에서 잠금부 전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제2커넥터 하우징을 도시한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제2커넥터 하우징의 잠금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잠금부가 잠금 상대부에 잠금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2커넥터 하우징의 동작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잠금부가 잠금 상대부에 잠금 결합된 상태에서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2커넥터 하우징의 동작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 잠금부의 전체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에서의 종래 장금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잠금 구조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제2커넥터 하우징)(1)에서 그 잠금부(5)의 양측면은 감합 방향(잠금부(5)의 종방향)으로 뻗는 화살촉을 절반으로 분할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들 측면으로 해제 레버부(7)가 형성된다. 해제 레버부(7)의 일측단이 되는 전방 단부(도 1에서 앞쪽으로 위치하는 단부)에는 측방향으로 전체 폭에 걸쳐 뻗는 전방 에지부(11)가 형성된다.
판형상의 2개의 잠금 암(9)이 전방 에지부(11)로부터 실질적 수평으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잠금 암(9)의 각 후방 단부(도 1에서 깊은 측에 위치함)가 하향 굴곡되어 기단부(9a)로 형성되고, 이 기단부(9a)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의 수평벽부(벽부)(1a)에 연결된다.
측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잠금 암(9)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는 전방 에지부(11)에는 잠금 결합부(20)가 배치되며, 이 잠금 결합부(20)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에 대향하는 면(도 3에서 하부면)으로부터 돌출하여 메일 커넥터 하우징(제1커넥터 하우징)(3)(도 4 참조)의 잠금부(13)에 잠금 결합된다.
각 잠금 암(9)은 잠금 결합부(20) 부근에서 교차 단면의 두께(H2)가 기단부(20)의 교차 단면의 두께(H1)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잠금 암(9)의 교차 단면 두께는 기단부(9a)로부터 잠금 결합부(20)로 진행하면서 점차 감소한다.
기호 f는 기단부(9a)로부터 잠금 결합부(20)에 이르기까지 잠금 암(9)이 다리처럼 떠서 걸쳐 있는 범위, 즉 오버행 간격(overhanging amount)을 나타낸다(도 3 참조). 도 3에서 참조 부호 15는 밀봉 부재를 나타낸다.
한편, 해제 레버부(7)의 하단부는 잠금 암(9)의 후방 단부 측에서 기단부(9a)와 감합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있으며, 잠금 해제 동작 시에, 해제 레버부(7)의 회전 피벗축으로서 기능하는 지지부(7a)를 구성하며, 이 부분에 대해서는 이후에 설명한다.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 자체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지지부(7a)와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의 수평벽부(1a) 사이에는 간극(d)이 존재한다(도 3 참조).
전체 폭에 걸쳐 지지부(7a)보다 후방으로 펼쳐 있는 해제 레버부(7)의 평탄면은 잠금 해제 동작을 위한 핑거 후크부(17)를 구성한다. 기호 g는 지지부(7a)로부터 핑거 후크부(17)의 후방 단부까지의 거리를 나타내고, 기호 h는 지지부(7a)로부터 잠금 결합부(20)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그리고, 2개의 커넥터 하우징(1, 3)이 결합, 분리될 때(잠금 해제 동작 시에) 잠금부(5)의 동작을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메일 커넥터 하우징(3)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이 상호 결합은 되었지만 잠금이 이루어지기 직전 상태를 도시한다. 2개의 하우징(1, 3) 간의 결합이 진행될 때, 메일 커넥터 하우징(3)의 잠금부(13)는 잠금 암(9)의 잠금 결합부(20)와 접촉하고 잠금 결합부(20)를 상향 가압한다. 이 경우, 잠금 암(9)은 후방측에서 기단부(9a)를 중심으로 하는 상향 굴곡 모멘트를 받는다. 상향 가압력의 작용 반경은 오버행 간격(f)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잠금 암(9)은 기단부(9a)로부터 잠금 결합부(20)로 진행하면서 교차 단면의 두께가 점차 감소한다. 두께가 규정된 교차 단면은 잠금 암(9)이 변형되는 평면이다. 따라서, 암의 전체 길이가 작게 구성되는 경우에도, 잠금 암(9)의 선단측이 만곡 변형되고, 잠금 결합부(20)가 상향 가압될 때 잠금 암(9)의 기단부(a) 부근의 휘어짐 각도를 보다 작게 구성할 수 있다. 그 결과 기단부(9a)에 부여되는 응력을 분산시켜 잠금 암(9)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잠금 암(9)이 변형 및 굴곡됨에 따라서, 전방 에지부(11)(잠금 결합부(20))로부터 연속하는 해제 레버부(7)의 지지부(7a)가 하향으로 이동하고,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의 수평벽부(1a)와 접촉하여 간극(d)을 0으로 만든다. 잠금 상대부(13)가 잠금 결합부(20)를 통과하면, 잠금 결합부(20)에 의해 상향 가압되어 변형된 잠금 암(9)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며, 그에 따라서 메일 커넥터 하우징(3)이 잠금 결합된다. 이 잠금 상태에서, 지지부(7a)의 간극(d)이 복원된다. 잠금 상태가 달성된 동안 해제 레버부(7)의 자세가 변화하여도, 이러한 자세의 변화가 다른 부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실행된다.
도 4b는 2개의 커넥터 하우징(1, 3) 간의 잠금이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해제 레버부(7)의 후방 단부에 위치하는 핑거 후크부(17)를 하향 가압한다. 하향 가압 동작과 함께, 해제 레버부(7)의 지지부(7a)가 하향으로 이동하여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의 수평벽부(1a)와 접촉한다. 접촉 이후 핑거 후크부(17)가 더욱 하향 가압된 경우에도, 잠금 결합부(20)에 부여되는 상승 모멘트는 지레 작용으로 인해 지지부(7a)를 중심으로 핑거 후크부(17)를 하향 가압하는 모멘트와 동등하다. 지지부(7a)를 중심으로 하는 잠금 결합부(20)의 회전 반경(h)이 하향 가압 동작 측에서의 회전 반경(g)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잠금 결합부(20)를 상승시키는 힘은 핑거 후크부(17)를 하향 가압하는 힘보다 작다. 따라서, 잠금 암(9)의 강도가 부족하게 될 염려가 없다.
잠금 암(9)의 두께를 규정하는 교차 단면은 가압에 의해 핑거 후크부(17)가 하향 이동하는 면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 기술과는 달리, 지레 작용을 이용하여 메일 커넥터 하우징(3)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 간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레버부(7)가 잠금 암(9)의 잠금 결합부(20)로부터 연속으로 설치되고, 교차 단면에서의 잠금 암(9)의 두께가 기단부(9a)로부터 잠금 결합부(20)로 진행하면서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잠금 암의 전체 길이가 작게 구성되는 경우에도, 잠금 암(9)의 선단측이 만곡 변형될 수 있고, 기단부(9a)에 부여되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잠금 암(9)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실시예의 잠금부(5)에서, 전방 에지부(1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잠금 암(9)의 선단측 상부에 R부분(22)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서, 선단측의 교차단면에서 그 잠금 암(9)의 두께는 잠금 결합부(20) 부근에서 교차 단면의 두께(H2)보다 크다. 그러나, 교차 단면에서의 잠금 암(9)의 두께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기단부(9a)로부터 잠금 결합부(20)로 진행하면서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되며, 따라서, 잠금 암(9)의 선단측이 충분히 만곡 변형될 수 있다.
선단측에서 잠금 암(9)의 형상을 적절히 변형하여 교차 단면에서의 잠금 암(9)의 두께를 기단부(9a)로부터 잠금 결합부(20)로 진행하면서 점차 감소시키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잠금 구조는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하게 여러 가지 변형, 개량 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의 재료, 형상, 치수, 개수는 본 발명을 달성할 수 있으면 제한 없이 선택할 수 있다.
본 출원은 2011. 09. 07. 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1-195370호에 기초한 것으로서, 그 내용은 여기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잠금 구조에 의하면, 잠금 암의 길이를 짧게 구성한 경우에도 잠금 암의 가요성을 유지할 수 있고, 잠금 구조 자체를 커넥터의 소형화의 요구에 따라서 소형화할 수 있다.
1.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제2커넥터 하우징)
1a. 수평벽부(벽부)
3. 메일 커넥터 하우징(제1커넥터 하우징)
5. 잠금부
7. 해제 레버부
7a. 지지부(피벗축)
9. 잠금 암
9a. 기단부
11. 전방 에지부
13. 잠금 상대부
17. 핑거 후크부(해제 동작부)
20. 잠금 결합부

Claims (1)

  1. 상호 결합되는 제1커넥터 하우징과 제2커넥터 하우징이 해제가능하게 잠금 결합되는 커넥터의 잠금 구조로서, 상기 잠금 구조는:
    가요성 잠금 암의 기단부에서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의 벽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에 감합되는 감합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잠금 암;
    상기 가요성 잠금 암의 선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커넥터 하우징에 배치되는 잠금부와 잠금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잠금 결합부; 및
    해제 레버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잠금 결합부에 연결되고, 상기 가요성 잠금 암을 따라서 연장되며, 잠금 결합을 해제하는 동안 이동가능한 피벗축을 중심으로 상기 잠금 결합부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해제 레버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잠금 암의 두께는 상기 기단부로부터 상기 잠금 결합부로 진행하면서 점차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잠금 구조.
KR1020147004876A 2011-09-07 2012-09-06 커넥터의 잠금 구조 KR201400449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95370A JP5985164B2 (ja) 2011-09-07 2011-09-07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JPJP-P-2011-195370 2011-09-07
PCT/JP2012/073385 WO2013035886A1 (en) 2011-09-07 2012-09-06 Lock structure of conn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918A true KR20140044918A (ko) 2014-04-15

Family

ID=47074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4876A KR20140044918A (ko) 2011-09-07 2012-09-06 커넥터의 잠금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03190B2 (ko)
JP (1) JP5985164B2 (ko)
KR (1) KR20140044918A (ko)
CN (1) CN103782455B (ko)
DE (1) DE112012003723T5 (ko)
WO (1) WO201303588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4696A (ko) 2016-02-11 2017-08-21 주식회사 기가레인 잠금 커넥터 및 잠금 커넥터 어셈블리
KR20190002295A (ko) * 2017-05-18 2019-01-08 몰렉스 엘엘씨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02327B2 (ja) * 2014-03-31 2018-03-2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633824B2 (ja) * 2014-03-31 2020-01-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65462B1 (ja) * 2014-04-25 2015-08-19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16091819A (ja) * 2014-11-05 2016-05-2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6105353A (ja) * 2014-12-01 2016-06-0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DE102015224164A1 (de) * 2014-12-03 2016-06-09 Hirschmann Automotive Gmbh Steckverbindung mit verbessertem Verriegelungselement
JP2016110851A (ja) * 2014-12-08 2016-06-2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335805B2 (ja) * 2015-01-14 2018-05-3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JP5920504B1 (ja) * 2015-02-19 2016-05-18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249998B2 (ja) * 2015-07-06 2017-12-2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18101B2 (ja) * 2015-08-07 2018-11-0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嵌合検知機能を有する電気接続装置
JP6653232B2 (ja) 2016-09-12 2020-02-2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786568B2 (ja) * 2018-10-26 2020-11-18 矢崎総業株式会社 嵌合コネクタ
JP7088873B2 (ja) * 2019-04-08 2022-06-2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7343302B2 (ja) * 2019-05-23 2023-09-12 矢崎総業株式会社 ハウジング
US10826233B1 (en) * 2019-05-23 2020-11-03 Te Connectivity Corporation Resilient latch with low stress concentrations
JP7111770B2 (ja) * 2020-05-29 2022-08-0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43268A1 (de) 1992-12-19 1994-06-23 Bosch Gmbh Robert Lösbare Steckverbindung
DE69911081T2 (de) * 1998-02-03 2004-07-15 The Whitaker Corp., Wilmington Steckverbinder
EP0933835B1 (en) * 1998-02-03 2003-09-10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JP2001250636A (ja) * 2000-03-03 2001-09-14 Yazaki Corp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JP3903338B2 (ja) 2001-11-08 2007-04-1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Fpc用コネクタ
JP4359414B2 (ja) * 2002-04-16 2009-11-0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JP4184881B2 (ja) 2003-07-10 2008-11-1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479474B2 (ja) 2004-11-12 2010-06-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1195370A (ja) 2010-03-18 2011-10-06 Ohara Inc 光学ガラス、光学素子及びプリフォーム
US8882528B2 (en) * 2010-12-15 2014-11-11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JP2013077440A (ja) * 2011-09-30 2013-04-25 Jst Mfg Co Ltd ロック機構付き電気コネク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4696A (ko) 2016-02-11 2017-08-21 주식회사 기가레인 잠금 커넥터 및 잠금 커넥터 어셈블리
KR20190002295A (ko) * 2017-05-18 2019-01-08 몰렉스 엘엘씨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US10418752B2 (en) 2017-05-18 2019-09-17 Molex, Llc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82455A (zh) 2014-05-07
US20140179146A1 (en) 2014-06-26
JP5985164B2 (ja) 2016-09-06
DE112012003723T5 (de) 2014-06-12
WO2013035886A1 (en) 2013-03-14
CN103782455B (zh) 2016-04-06
US9203190B2 (en) 2015-12-01
JP2013058358A (ja) 201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4918A (ko) 커넥터의 잠금 구조
JP2001250636A (ja)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JP5251819B2 (ja) 雌端子金具
JP4483601B2 (ja) 雌端子金具
KR101196554B1 (ko) 커넥터
JP4792518B2 (ja) コネクタ
TWI436532B (zh) 電連接器
JP2008282551A (ja) 雌端子金具
JP5746953B2 (ja) コネクタ
JP2009176617A (ja) 端子および端子の接続構造
JP6598734B2 (ja) コネクタ
JP2011023236A (ja) コネクタ
US10622763B2 (en) Connector
JP5434786B2 (ja) コネクタ
JP5141315B2 (ja) 端子支持構造
JP4661664B2 (ja) 雌端子金具
US20230130951A1 (en) Terminal fitting and connector
JP4651501B2 (ja)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JP6299628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4828362B2 (ja) 差込側コネクタ
JP2013218969A (ja) コネクタ装置
JP2006100008A (ja) コネクタ抜き取り工具
JP2007173066A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用シェル
US7052318B2 (en) Connector
JP5779004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