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3031A - 방열 도료 조성물 및 방열 구조체 - Google Patents

방열 도료 조성물 및 방열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3031A
KR20140043031A KR1020130112882A KR20130112882A KR20140043031A KR 20140043031 A KR20140043031 A KR 20140043031A KR 1020130112882 A KR1020130112882 A KR 1020130112882A KR 20130112882 A KR20130112882 A KR 20130112882A KR 20140043031 A KR20140043031 A KR 20140043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heat dissipation
carbon
solvent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3589B1 (ko
Inventor
전성윤
도승회
이진서
Original Assignee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43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09D7/62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modified by treatment with othe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8Materials not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10Liquid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제품에 우수한 방열성과 함께, 뛰어난 내염수성, 막 강도, 부착성 또는 내스크래치성 등을 갖는 방열층의 형성을 가능케 하는 방열 도료 조성물 및 방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열 도료 조성물은 에폭시 수지; 경화제; 아민기, 아미드기, 카르복실기 및 히드록시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 관능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계 필러; 및 용매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방열 도료 조성물 및 방열 구조체 {Heat Radiant Paint Composition and Heat Radiant Structure}
본 발명은 방열 도료 조성물 및 방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다양한 제품에 우수한 방열성과 함께, 뛰어난 내염수성, 막 강도, 부착성 또는 내스크래치성 등을 갖는 방열층의 형성을 가능케 하는 방열 도료 조성물 및 방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자동차 등에 LED 헤드램프의 적용이 증가함에 따라 램프의 온도를 낮추고자 하는 기술적 노력이 선행되고 있다. 특히, LED 소자는 온도에 대하여 매우 민감한 반도체 소자로서, 구동시 온도 상승으로 인한 수명, 오작동의 문제가 심각하게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로 인해, 상기 LED 헤드램프 등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여 수명을 연장시키고, 오작동을 억제하는 것이 더욱 요구된다.
현재까지는 이러한 LED 헤드램프 등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램프와 브래킷 사이의 팬을 통해 방열 특성을 구현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열 구조에서는, 램프의 수명에 비하여 팬의 수명이 짧고, 소음, 먼지 발생 등의 문제와 잦은 고장의 원인이 되어, 고가의 LED 헤드램프를 교체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팬 등의 기계적 구조물을 사용하지 않고, LED 헤드램프 등의 주위에서 발생하는 열을 적절히 방출시켜 그 온도 상승을 억제함으로서, 램프의 수명을 보다 길게 하는 기술의 개발이 계속적으로 요구되어 왔다.
최근에는, 상기 LED 헤드램프 등의 주위에 방열 도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방열층 등을 방열 구조체를 형성함으로서, 상술한 효과를 얻고자 시도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를 바람직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우수한 방열성과 함께, 뛰어난 내염수성, 막 강도, 부착성 또는 내스크래치성 등을 갖는 방열층의 형성을 가능케 하는 방열 도료 조성물은 아직까지 제대로 구현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LED 헤드램프 등 다양한 제품에 우수한 방열성과 함께, 뛰어난 내염수성, 막 강도, 부착성 또는 내스크래치성 등을 갖는 방열층의 형성을 가능케 하는 방열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열 도료 조성물로부터 형성되어, 우수한 방열성과 함께, 뛰어난 내염수성, 막 강도, 부착성 또는 내스크래치성 등을 갖는 방열층 등 방열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에폭시 수지; 경화제; 아민기, 아미드기, 카르복실기 및 히드록시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 관능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계 필러; 및 용매를 포함하는 방열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에폭시기가 개환되어 가교 구조를 이루고 있는 에폭시 수지의 경화물; 및 아민기, 아미드기, 카르복실기 및 히드록시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 관능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계 필러를 포함하는 방열 구조체를 제공한다.
이하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방열 도료 조성물 및 방열 구조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에폭시 수지; 경화제; 아민기, 아미드기, 카르복실기 및 히드록시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 관능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계 필러; 및 용매를 포함하는 방열 도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열 도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말단 등에 하나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에폭시 수지 및 경화제와 함께, 수소 결합 가능한 특정 관능기가 표면 결합되어 있는 탄소계 필러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열 도료 조성물을 LED 헤드램프 등 방열이 필요한 제품 주위에 도포하고, 경화를 진행하면, 하기 반응식 1과 같이 에폭시 수지 중의 에폭시기가 개환되어 경화제와의 상호 작용으로 에폭시기끼리 가교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에폭시 수지의 경화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방열층 등 방열 구조체가 형성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at00001
특히, 이러한 방열 구조체의 에폭시 수지 경화물 내에는, 상기 특정 관능기가 표면 결합되어 있는 탄소계 필러가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는데, 이러한 탄소계 필러의 특정 관능기와, 상기 가교 구조를 이루고 있는 에폭시기 유래 산소가 수소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예측된다. 이렇게 수소 결합을 형성한 결합 형태의 개략적인 화학 구조는 하기 반응식 2에 나타난 바와 같다:
[반응식 2]
Figure pat00002
이러한 수소 결합의 형성 등 탄소계 필러와, 에폭시 수지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상기 방열층 등 방열 구조체 내에서, 상기 탄소계 필러는 에폭시 수지 및 이의 경화물과 보다 우수한 혼화성을 나타낼 수 있고, 이러한 탄소계 필러가 보다 균일하게 방열 구조체 내에 분산되어 이에 따른 보다 우수하고도 균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일 구현예의 방열 도료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방열 구조체는 상기 열전도성 및 방열성 소재인 탄소계 필러 등에 의한 보다 우수한 효과가 발현되어 뛰어난 방열 특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러한 방열층 등 방열 구조체는 에폭시 수지와, 탄소계 필러 간의 우수한 혼화성 등으로 인해 우수한 내염수성, 막 강도, 기재 부착성, 내스크래치성 및 경도 등의 향상된 제반 물성을 나타낼 수 있다.
결국, 일 구현예의 방열 도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LED 헤드램프의 주위에 팬 등의 기계적 방열 구조물을 형성하지 않고도, 이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켜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LED 헤드램프의 수명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일 구현예의 방열 도료 조성물은 응축기, 증발기, 엔진, 히터, 보일러배관, 통신장비, 모터, 배터리, 하우징재료, 전극재료, 반도체, 게임기, OLED 소자 등의 디스플레이, 핸드폰, 가전제품, 자동차, 건축, 의료기기, 선박, 비행기, 우주항공기기, 군사시설 및 장비 또는 열교환기 등의 주위에 우수한 방열 특성 기타 제반 물성을 나타내는 방열층 등의 방열 구조체의 형성을 가능케 한다.
한편, 상술한 일 구현예의 방열 도료 조성물에서, 경화제로는 에폭시 수지를 경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경화제 성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미다졸계 경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 도료 조성물에서, 상기 탄소계 필러는 방열성 및 열 전도성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임의의 탄소계 필러, 예를 들어,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이중벽 탄소나노튜브,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그라펜, 그라펜 옥사이드, 그라펜 나노 플레이트, 그라파이트, 카본블랙 또는 탄소-금속 복합체 등으로 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탄소계 필러에 결합된 관능기는 아민기, 아미드기, 카르복실기 또는 히드록시기를 구조 중에 포함하는 임의의 관능기로 될 수 있는데, 이러한 관능기는 탄소계 필러의 표면에 직접 결합되어 있거나,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 등의 링커를 매개로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관능기가 결합된 탄소계 필러는,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학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상기 탄소계 필러에 하나 이상 결합된 관능기로서,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R2-NHR3, -R2-C(=O)-NHR3, -R2-C(=O)-OH, -R2-OH 및 -R2-NH-C(=O)R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단일 결합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이고,
R3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이다.
상기 탄소계 필러가 이러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일 구현예의 방열 도료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방열 구조체가 보다 우수한 방열 특성 및 혼화성을 나타내어, 그 물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 구현예의 방열 도료 조성물에서, 상기 용매로는 각 성분의 적절한 용해를 가능케 하는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물 등의 수계 용매, 알코올계 용매, 케톤계 용매, 아민계 용매, 아민계 용매, 에스테르계 용매, 아미드계 용매, 할로겐화 탄화수소계 용매, 에테르계 용매 및 퓨란계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방열 도료 조성물은 에폭시 수지의 5 내지 50 중량%; 경화제의 0.1 내지 20 중량%; 아민기, 아미드기, 카르복실기 및 히드록시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 관능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계 필러의 0.05 내지 5 중량%; 및 잔량의 용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함량 범위에 의해 상기 조성물의 도포성, 에폭시 수지와 탄소계 필러 간의 혼화성 및 탄소계 필러에 의한 방열 특성 등이 최적화되어, 상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방열 구조체가 더욱 우수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부가하여, 일 구현예의 조성물은 상술한 각 구성 성분 외에도, 통상적인 첨가제, 예를 들어, 분산제, 레벨링제, 분산안정제, pH 조절제, 침강 방지제, 계면 활성제, 습윤제 및 증점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 중 분산제로는 이전부터 탄소계 필러 등을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 또는 수지 조성물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임의의 분산제를 별다른 제한 없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분산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변성 아크릴레이트계 분산제; 변성 폴리우레탄 아크릴 코폴리머 분산제; 폴리아세탈계 분산제; 아크릴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알킬(C1~C10)아크릴레이트, 비닐 아크릴레이트, 또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분산제; 폴리카보네이트계 분산제; 스티렌 또는 알파메틸스티렌 등의 스티렌계 분산제; 폴리에스테르계 분산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분산제; 폴리올레핀계 분산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분산제; 폴리아릴레이트계 분산제; 폴리아미드 계 분산제; 폴리아미드이미드계 분산제; 폴리아릴설폰계 분산제; 폴리에테르이미드계 분산제; 폴리에테르설폰계 분산제; 폴리페닐렌 설피드계 분산제; 폴리이미드계 분산제; 폴리에테르케톤계 분산제; 폴리벤족사졸계 분산제; 폴리옥사디아졸계 분산제; 폴리벤조티아졸계 분산제; 폴리벤즈이미다졸계 분산제; 폴리피리딘계 분산제; 폴리트리아졸계 분산제; 폴리피롤리딘계 분산제; 폴리디벤조퓨란계 분산제; 폴리설폰계 분산제; 폴리우레아계 분산제; 폴리우레탄계 분산제; 또는 폴리포스파젠계 분산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 선택된 2종 이상의 혼합물 또는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레벨링제로는 제품명 BYK 계열 등으로 알려진 첨가제를 대표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기타 다양한 레벨링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산 안정제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습윤제 또는 젖음성 향상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기타 수지 조성물 또는 도료 조성물 중의 탄소계 필러 등의 분산성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임의의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각 첨가제로는 당업계에서 알려지거나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것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일 구현예의 조성물은 Al heat sink 등의 금속 기재나 플라스틱 기재 또는 섬유 기재 등 임의의 기재에 부착성 높게 적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LED 헤드램프 등의 소자에 뿐만 아니라, 응축기, 증발기, 엔진, 히터, 보일러배관, 통신장비, 모터, 배터리, 하우징재료, 전극재료, 반도체, 게임기, OLED 소자 등의 디스플레이, 핸드폰, 가전제품, 자동차, 건축, 의료기기, 선박, 비행기, 우주항공기기, 군사시설 및 장비 또는 열교환기 등의 주위에 우수한 방열 특성 기타 제반 물성을 나타내는 방열층 등의 방열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 상술한 방열 도료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방열 구조체가 제공된다. 이러한 방열 구조체는 에폭시기가 개환되어 가교 구조를 이루고 있는 에폭시 수지의 경화물; 및 아민기, 아미드기, 카르복실기 및 히드록시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 관능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계 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열 구조체에서, 상기 탄소계 필러는 상기 에폭시 수지의 경화물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을 수 있으며, 특히, 에폭시 수지와의 경화물과의 우수한 혼화성으로 인해, 보다 균일하게 분산되어 우수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열 구조체는 뛰어난 방열 특성뿐 아니라, 우수한 혼화성 등으로 인해 우수한 내염수성, 막 강도, 기재 부착성, 내스크래치성 및 경도 등의 향상된 제반 물성을 나타낼 수 있음은 이미 상술한 바와 같다. 이러한 뛰어난 특성은 상기 탄소계 필러에 결합된 관능기가, 상기 에폭시 수지의 경화물 중의 에폭시기 유래 산소와 수소 결합 등을 통해 상호 작용하고 있기 때문으로 예측될 수 있다.
이러한 방열 구조체는 상술한 LED 헤드램프 등의 소자에 뿐만 아니라, 응축기, 증발기, 엔진, 히터, 보일러배관, 통신장비, 모터, 배터리, 하우징재료, 전극재료, 반도체, 게임기, OLED 소자 등의 디스플레이, 핸드폰, 가전제품, 자동차, 건축, 의료기기, 선박, 비행기, 우주항공기기, 군사시설 및 장비 또는 열교환기 등의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수 있고, 우수한 방열 특성 기타 제반 물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상술한 일 구현예의 도료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방열층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뛰어난 방열 특성과 함께, 우수한 내염수성, 막 강도, 기재 부착성, 내스크래치성 및 경도 등의 향상된 제반 물성을 나타내는 방열 구조체의 제공을 가능케 하는 방열 도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따라서, 이러한 방열 도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LED 헤드램프의 주위에 팬 등의 기계적 방열 구조물을 형성하지 않고도, 이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켜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LED 헤드램프의 수명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열 도료 조성물은 응축기, 증발기, 엔진, 히터, 보일러배관, 통신장비, 모터, 배터리, 하우징재료, 전극재료, 반도체, 게임기, OLED 소자 등의 디스플레이, 핸드폰, 가전제품, 자동차, 건축, 의료기기, 선박, 비행기, 우주항공기기, 군사시설 및 장비 또는 열교환기 등의 주위에 우수한 방열 특성 기타 제반 물성을 나타내는 방열층 등의 방열 구조체의 형성을 가능케 한다.
도 1은 실시예에서 방열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1 및 2의 방열 도료 조성물로 코팅된 Al 플레이트와, 코팅되지 않은 비교예 1의 Al 플레이트에서 방열 특성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비교예 2의 방열 도료 조성물로 코팅할 경우, 도막 상태가 불량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방열 도료 조성물 코팅시, 도막의 표면 특성 및 내염수성 평가 결과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 2, 비교예 3 및 4의 방열 도료 조성물 코팅시, 도막의 표면 특성 및 내염수성 평가 결과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 2의 방열 도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다양한 히트싱크 구조에서 방열성능 확인시, 실제 적용한 히트싱크 구조(다양한 핀의 두께 및 피치 적용)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도 6의 방열 성능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 는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다중벽 CNT 10g을 증류수 990g과 혼합하여 CNT용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CNT용액을 30g/min유속으로 예열조에 투입하기 전, 이와 함께 245atm 내지 252atm으로 압축된 기상상태의 산소는 0.8g/min의 유속으로 CNT용액과 혼합되어 상기 혼합액은 200 내지 260℃로 예열된 예열조에 투입되었다.
상기 예열된 혼합액은 350℃의 온도 및 230atm 내지 250atm의 아임계수 상태의 표면처리반응기에 주입되어 표면처리되었다. 표면처리반응 중에 표면 처리 반응기의 입구를 기준으로 4/5 지점에서 230 내지 250atm의 압력과 300 내지 350℃의 온도로 암모니아수가 0.20g/min의 유속으로 고압주입되었다. 상기 표면처리된 생성물은 다시 200℃로 1차 냉각 후, 다시 약 25℃의 온도로 냉각한 후 연속적으로 표면처리된 9.8g의 생성물을 얻었다.
[제조예 2]
상기의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관능화된 CNT 30g과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계 분산제 90g과 MEK(Methyl Ethyl Ketone)과 1-프로판올의 혼합 액 880g을 교반기를 통하여 혼합 및 분산하여 CNT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에폭시 수지(제조사: 국도화학, 제품명: YD 128) 46g과, 레벨링제 0.2g, MEK 11.6g, 1-프로판올 14.6g을 혼합한 후 10분간 혼합하였다. 혼합액에 제조예 2 의 CNT 분산액을 23g을 혼합하여 믹싱하였다. 이 후 2-ethyl-4-methylimidazole을 4.6g 혼합 후 다시 10분간 믹싱하여 방열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방열 도료 조성물의 최종 조성은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았다.
제조예 3(실시예 1)의 조성(g)
고분자 수지 Bisphenol-A 형 에폭시 수지 46
분산액 아민화된 CNT 분산액(분산액 중 CNT 3 중량%) 23
경화제 아민계(이미다졸계) 열경화제 4.6
레벨링제 BYK346 0.2
용매 알코올 26.2
[실시예 1]
제조예 3의 방열 도료 조성물을 실시예 1의 조성물로 사용하고, 이를 가로*세로*두께 70*70*1의 두께를 갖는 표면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알루미늄 시편에 두께 10um로 스프레이 코팅하였다. 경화조건으로는 130℃, 30분간 오븐에서 진행하였다.
또한, CNT 방열 도료 조성물이 코팅된 알루미늄 시편을 이용하여 방열효과 측정을 위한 장치에 장착하였다. 이러한 장치의 개략화된 도면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thermocouple을 LED PCB에 부착하여 온도 측정을 하였다. 전력(Watt)은 20W를 입력하고 온도 변화를 관찰 하였다.
[실시예 2]
상기의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분산액을 제조하되 분산보조제로서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계 분산제 대신 변성 폴리우레탄계 분산제 90g을 추가하고, 제조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2의 방열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실시예 2의 방열 도료 조성물에 대해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온도 변화를 관찰하여 상기 방열 도료 조성물의 방열효과를 평가하였다.
[비교예 1]
코팅을 하지 않은 bare 알루미늄 시편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온도 변화를 측정하여 방열 효과를 평가하였다.
[비교예 2]
에폭시 46g과 레벨링제 0.2g, MEK 12.6g, 1-프로판올 15.9g을 혼합 후 10분간 교반하였다. 혼합액에 관능화 되어 있지 않은 CNT 분산액 23g을 혼합하여 믹싱 한 후 2-ethyl-4-methylimidazole을 2.3g 추가하여 다시 10분간 혼합하였다. 이 후 제조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2의 방열 도료 조성물을 제조 하였다.
제조된 비교예 2의 방열 도료 조성물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온도 변화를 측정하여 방열 도료 조성물의 방열 효과를 평가하였다.
[비교예 3]
상기의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관능화된 CNT 30g에,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계 분산제 90g 및 분산안정제로써 비이온성불소계첨가제인 2,5,8,11 테트라메틸-6-도데신-5,8-디올이토실레이트(2,5,8,11-Tetramethyl-6-dodecyn-5,8-Diol Ethoxylate) 4g을 추가하여 증류수 876g과 혼합 후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CNT 분산액 50.0g과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계(3-Aminopropyltriethoxysilane) 바인더 2.0g, 실란계 레벨링제 13.3g과 증류수 34.7g을 혼합하여 비교예 3의 방열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비교예 3의 방열 도료 조성물에 대해,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온도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방열 도료 조성물의 방열효과를 평가하였다.
[비교예 4]
상기 비교예 3의 CNT 분산액과 동일하게 제조 후 CNT 분산액 66g과 수계 변성 아크릴 우레탄계 바인더와 공중합 우레탄 바인더 혼합액 24g과 실리콘계 바인더 8g, 실란계 레벨링제 0.1g, 이소프로필 알코올 1.9g을 혼합하여 비교예 4의 방열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비교예 3의 방열 도료 조성물에 대해,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온도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방열 도료 조성물의 방열효과를 평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에서 측정된 방열 특성에 관한 그래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를 통해, 실시예의 방열 도료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방열층을 부가하면, 우수한 방열 특성이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비교예 2는 도막 상태가 불량하고 스프레이 코팅 시 노즐이 막히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였으므로 방열특성 평가 실시가 불가하였다. 도 3를 통해, 이러한 현상을 확인 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 1, 2, 비교예 1 및 2에서 얻어진 시편에서, 도막의 도료 안정성 및 표면 특성, 방열층의 부착성(JIS D0202; <M2.5), 내염수성 (240hr, 약 30℃, 5% 염수농도; ASTM B117), 연필 경도 및 내스크래치성(ASTM D 3363-92a)을 각각 평가하였다. 도 4에는 실시예 1, 2 및 비교예 2의 도막 표면 특성 및 내염수성 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내었으며, 각 물성의 측정 결과는 하기 표 2 및 3에 함께 나타내었다.
하기 표 2 및 3에서, 표면 특성, 부착성 및 내염수성은 다음의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나타내었다.
* 평가 기준:
표면 특성: 육안 평가 (도 4와 같은 사진으로 육안 평가하여 판별함).
부착성: ASTM D 3359에 따라, 부착성이 우수한 경우인 5B에서 부착성이 열악한 0B로 6단계로 나뉘며 정량적으로 판단 및 표 2 등에 표시함.
내염수성: ASTM 규격에 따라, 특정 시간에서 코팅표면이 염화되는 정도를 육안으로 평가 및 판단함 (도 4와 같은 사진으로 육안 평가하여 판별함.
비교평가항목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Natural Al plate]
비교예2
도료안정성 1 day 1 month - 불량
(분산성 불량)
표면특성 우수 우수 - 불량
연필경도 2H 2H - HB
부착성 5B 5B - 1B
내염수성 240hr 240hr 1hr 6hr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Tmax.[℃]
(최고온도)
87.4 87.3 105.5 -
△T[℃]
(Natural Al plate - CNT 코팅 방열도료)
18.1 18.2 0 -
상기 표 2 및 3과, 도 4를 참고하면, 실시예의 시편에서는, 방열층의 우수한 경도, 내염수성, 부착성 및 표면 특성 등이 구현됨이 확인되었으며 도료의 분산안정성 역시 더욱 우수 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한편, 실시예 2와 비교예 3 및 4에서 측정된 방열 특성에 관한 비교는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또, 도료 안정성 및 표면 특성, 방열층의 부착성(JIS D0202; <M2.5), 내염수성 (240hr, 약 30℃, 5% 염수농도; ASTM B117), 연필 경도 및 내스크래치성(ASTM D 3363-92a) 등에 대해서도 서로 비교하여 하기 표 4에 함께 나타내었으며, 도 5에는 실시예 2와, 비교예 3 및 4의 도막 표면 특성 및 내염수성 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실시예 2와 비교예 3 및 4는 비슷한 방열효과를 나타내지만 실시예 2만이 내염수성이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비교 평가 항목 실시예 2 비교예 4 비교예 5
△T[℃]
(Natural Al plate - CNT 코팅 방열도료)
18.2 17.2 17.0
도료안정성 1 month 1 day 1 month
표면특성 우수 우수 우수
연필경도 2H B HB
부착성 5B 1B 5B
내염수성 240hr 2hr 4hr
마지막으로, 실시예 2의 방열도료 조성물을 다양한 히트싱크 구조에 적용하여 방열성능을 확인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히트싱크 구조에서, 핀의 두께 및 피치를 다양하게 변경하면서 방열성능을 확인하였고, 그 확인 및 평가 결과는 하기 표 5 및 도 7에 정리하였다. 표 5 및 도 7을 참고하면, 실시예의 방열 도료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다양한 히트싱크 구조에서 우수한 방열 효과가 구현될 수 있고, 최적 설계로는 핀의 두께 1mm, 피치 6mm에서 가장 우수한 방열효과가 구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있었다.
핀의두께
[mm]
피치
(Pitch: 핀의 간격)
[mm]
Area [㎡] Tmax(Al) [℃] Tmax(CNT) [℃] 방열효과
△T [℃]
1 0.5 3 697.5 111.7 102.3 9.4
2 0.5 6 443.7 108.8 99.5 9.3
3 0.5 9 359.1 107.8 97 10.8
4 1 3 702 111.7 103.5 8.2
5 1 6 446.4 109.3 96.6 12.7
6 1 9 361.2 108.7 101.2 7.5
7 1.5 3 706.5 121 103.1 17.9
8 1.5 6 449.1 108.7 98 10.7
9 1.5 9 363.3 107.1 100.3 6.8

Claims (13)

  1. 에폭시 수지;
    경화제;
    아민기, 아미드기, 카르복실기 및 히드록시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 관능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계 필러;
    용매를 포함하는 방열 도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탄소계 필러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이중벽 탄소나노튜브,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그라펜, 그라펜 옥사이드, 그라펜 나노 플레이트, 그라파이트, 카본블랙 및 탄소-금속 복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방열 도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탄소계 필러의 표면에, 상기 관능기가 직접 결합되어 있거나,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을 매개로 상기 관능기가 결합되어 있는 방열 도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탄소계 필러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방열 도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상기 탄소계 필러에 하나 이상 결합된 관능기로서,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R2-NHR3, -R2-C(=O)-NHR3, -R2-C(=O)-OH, -R2-OH 및 -R2-NH-C(=O)R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단일 결합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이고,
    R3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이다.
  5. 제 1 항에 있어서, 용매는 물, 알코올계 용매, 케톤계 용매, 아민계 용매, 아민계 용매, 에스테르계 용매, 아미드계 용매, 할로겐화 탄화수소계 용매, 에테르계 용매 및 퓨란계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방열 도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에폭시 수지의 5 내지 50 중량%;
    경화제의 0.1 내지 20 중량%;
    아민기, 아미드기, 카르복실기 및 히드록시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 관능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계 필러의 0.05 내지 5 중량%; 및
    잔량의 용매를 포함하는 방열 도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분산제, 레벨링제, 분산 보조제, pH 조절제, 침강 방지제, 계면 활성제, 습윤제 및 증점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방열 도료 조성물.
  8. 에폭시기가 개환되어 가교 구조를 이루고 있는 에폭시 수지의 경화물; 및
    아민기, 아미드기, 카르복실기 및 히드록시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 관능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계 필러를 포함하는 방열 구조체.
  9. 제 1 항에 있어서, 경화제는 폴리아마이드 및 아미드 아민, 변성 지방족 아민, 변성 지환족 아민 경화제, 변성 방향족 아민 형태의 이미다졸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방열 도료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계 필러는 상기 에폭시 수지의 경화물 내에 분산되어 있는 방열 구조체.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계 필러에 결합된 관능기는 상기 에폭시기 유래 산소와 수소 결합을 형성하고 있는 방열 구조체.
  12. 제 9 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기재, 금속 기재 또는 섬유 기재 상에 형성되어 있는 방열 구조체.
  13. 제 9 항에 있어서, LED 램프, 응축기, 증발기, 엔진, 히터, 보일러배관, 통신장비, 모터, 배터리, 하우징재료, 전극재료, 반도체, 게임기, 디스플레이, 핸드폰, 가전제품, 자동차, 건축, 의료기기, 선박, 비행기, 우주항공기기, 군사시설 및 장비 또는 열교환기에 있어 방열층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열 구조체.


KR1020130112882A 2012-09-28 2013-09-23 방열 도료 조성물 및 방열 구조체 KR1017735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09475 2012-09-28
KR1020120109475 2012-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031A true KR20140043031A (ko) 2014-04-08
KR101773589B1 KR101773589B1 (ko) 2017-08-31

Family

ID=50388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882A KR101773589B1 (ko) 2012-09-28 2013-09-23 방열 도료 조성물 및 방열 구조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275061A1 (ko)
EP (1) EP2902459B1 (ko)
JP (1) JP6039085B2 (ko)
KR (1) KR101773589B1 (ko)
CN (1) CN104769057A (ko)
WO (1) WO2014051295A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743B1 (ko) * 2015-04-08 2016-08-0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열전도성 복합재료 코팅용액,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열전도 및 방열 코팅막
KR101648484B1 (ko) 2015-09-11 2016-08-16 주식회사 한국화이어텍 탄소동소체를 이용한 방열 세라믹 하이브리드 방열코팅재
WO2016163830A1 (ko) * 2015-04-08 2016-10-13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방열 코팅조성물 및 이를 통해 형성된 방열유닛
KR20160125560A (ko) * 2015-04-21 2016-11-01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방열 점착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31955A (ko) * 2015-05-06 2016-11-16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디스플레이 장치용 방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6190521A1 (ko) * 2015-05-26 2016-12-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방사 도료 코팅층을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WO2016200231A1 (ko) * 2015-06-12 2016-1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KR20170046033A (ko) * 2015-10-20 2017-04-2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그라파이트 복합재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제어 어셈블리
KR20170137392A (ko) * 2016-06-03 2017-12-13 전자부품연구원 방열기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56665B1 (ko) * 2018-02-05 2018-05-10 현상우 방열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128368A1 (ko) * 2017-01-03 2018-07-12 주식회사 아모센스 절연성 방열 코팅조성물 및 이를 통해 구현된 절연성 방열 물품
KR20190091780A (ko) * 2018-01-29 2019-08-0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고분산성 탄소재 기반 방열 코팅제의 제조방법
US11104108B2 (en) 2015-04-08 2021-08-31 Amogreentech Co., Ltd. Heat dissipating coating composition and heat dissipating unit formed using same
KR20220072916A (ko) * 2020-11-25 2022-06-03 승진전자산업(주) 전기자동차 및 수소자동차용 시즈 히터
US11874471B2 (en) 2020-11-23 2024-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eat radiating memb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72259A (zh) * 2015-08-11 2015-12-23 深圳长宝覆铜板科技有限公司 高散热金属铝基覆铜板制作方法
CN105086688B (zh) * 2015-08-25 2017-11-21 济宁利特纳米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氧化石墨烯绝缘散热涂层及制备方法
CN105419421B (zh) * 2015-11-19 2018-08-24 中山宝立得高分子材料有限公司 一种水性碳纳米管散热涂料及其制备方法
US20190111763A1 (en) * 2016-03-30 2019-04-18 AMOSENSE Co.,Ltd Ptc unit for vehicle heater, ptc heater including the same, and air 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
CN105838227A (zh) * 2016-04-29 2016-08-10 李强 一种抑菌环保聚氨酯涂料及其制备方法
JP6753465B2 (ja) * 2016-05-19 2020-09-0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池、電池パック、電子機器、電動車両、蓄電装置および電力システム
CN105927950A (zh) * 2016-06-01 2016-09-07 山东晶泰星光电科技有限公司 带热辐射材料的led灯丝及led灯丝球泡
CN106015989A (zh) * 2016-07-20 2016-10-12 山东晶泰星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热辐射材料的led充气球泡灯
CN106658948A (zh) * 2017-01-06 2017-05-10 安徽鹏展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散热的柔性线路板及其表面涂料
US20190062569A1 (en) * 2017-08-22 2019-02-28 Rohr, Inc. Laminar flow coating for aerodynamic surfaces
CN107502073A (zh) * 2017-10-18 2017-12-22 温州市赢创新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led灯用石墨烯粉末涂料及其制备方法
CN108299966A (zh) * 2017-10-18 2018-07-20 温州市赢创新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石墨烯散热涂料及其制备方法
CN108003725A (zh) * 2017-12-14 2018-05-08 深圳市国创珈伟石墨烯科技有限公司 石墨烯的散热涂料、散热器涂层及制备方法
CN108129957A (zh) * 2018-02-06 2018-06-08 合肥东恒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功率器件用散热涂料及其制备方法
CN108329736A (zh) * 2018-03-21 2018-07-27 合肥东恒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计算机外壳的散热涂料及其制备方法
CN110938346A (zh) * 2018-09-21 2020-03-31 青岛海尔特种电冰柜有限公司 一种冷藏装置用碳纳米管涂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370414B (zh) * 2018-10-25 2020-07-31 厦门海洋南方特种光电材料有限公司 一种石墨烯散热涂料及其制备方法
CN110746854B (zh) * 2019-11-08 2021-11-30 核工业理化工程研究院 固化物为高红外辐射涂层的室温快速固化涂料及其制备方法
CN112063266A (zh) * 2020-08-31 2020-12-11 广东墨睿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6061铝合金板材的环氧树脂石墨烯复合散热涂料及制备方法
KR102374200B1 (ko) * 2020-09-23 2022-03-15 주식회사 대신테크젠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디스플레이용 방열패드
CN113088235A (zh) * 2021-03-09 2021-07-09 北京旭碳新材料科技有限公司 石墨烯散热灌封胶组合物以及利用该组合物制得的灌封胶和散热模块
CN115160908B (zh) * 2022-07-06 2023-07-07 海利得新材料研究(上海)有限公司 无溶剂uv哑光涂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16378A (en) * 1994-12-15 2003-05-29 Cabot Corp Non-aqueous coating or ink composition with improved optical properties containing modified carbon product and method of preparation of the composition
US6136944A (en) * 1998-09-21 2000-10-24 Shell Oil Company Adhesive of epoxy resin, amine-terminated polyamide and polyamine
JP2000303021A (ja) * 1999-04-16 2000-10-31 Yokohama Rubber Co Ltd:The 樹脂組成物
US6248204B1 (en) * 1999-05-14 2001-06-19 Loctite Corporation Two part, reinforced, room temperature curable thermosetting epoxy resin compositions with improved adhesive strength and fracture toughness
DE10022075A1 (de) * 2000-05-06 2001-11-08 Henkel Kgaa Leitfähige, organische Beschichtungen
JP3905691B2 (ja) * 2000-06-05 2007-04-18 東海カーボン株式会社 黒体塗料用カーボンブラックおよび黒体塗料
JP2002166492A (ja) * 2000-09-20 2002-06-11 Sekisui Chem Co Ltd コンクリート爆裂防止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US7250147B2 (en) * 2001-01-29 2007-07-31 Tour James M Process for derivatizing carbon nanotubes with diazonium species
EP1577352A4 (en) * 2002-12-25 2010-06-16 Fuji Xerox Co Ltd LIQUID MIXTURE, CONSTRUC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NSTRUCTION
KR100947702B1 (ko) * 2003-02-26 2010-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경화성 작용기로 표면수식된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패턴박막 형성방법 및 고분자 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0795876B1 (ko) * 2003-09-02 2008-01-21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도전성 폴리머,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JP4593123B2 (ja) * 2004-02-13 2010-12-08 ハリマ化成株式会社 導電性接着剤
US8048940B2 (en) * 2004-07-09 2011-11-01 Vanderbilt University Reactive graphitic carbon nanofiber reinforced polymeric composites showing enhanced flexural strength
JP4817772B2 (ja) * 2004-09-14 2011-11-16 昭和電工株式会社 導電性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JP2006082427A (ja) * 2004-09-16 2006-03-30 Sekisui Chem Co Ltd 蓄熱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蓄熱成形体
US20070292622A1 (en) * 2005-08-04 2007-12-20 Rowley Lawrence A Solvent containing carbon nanotube aqueous dispersions
CN101292003B (zh) * 2005-10-20 2011-07-20 中国涂料株式会社 含防锈颜料的多官能性环氧树脂类涂料组合物、其涂膜、被其涂膜覆盖的基材以及抗蚀方法
JP5122755B2 (ja) * 2006-03-29 2013-01-16 アイカ工業株式会社 水系導電性プライマー組成物
WO2008100333A2 (en) * 2006-08-10 2008-08-21 William Marsh Rice University Polymer composites mechanically reinforced with alkyl and urea functionalized nanotubes
KR100804934B1 (ko) * 2006-12-27 2008-02-20 주식회사 포스코 방열특성이 우수한 방열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강판처리방법 및 이에 따라 처리된 강판
JP2008303263A (ja) * 2007-06-06 2008-12-18 Teijin Ltd 熱伝導性塗料
WO2009142036A1 (ja) * 2008-05-21 2009-11-26 ニホンハンダ株式会社 放熱性硬化塗膜、塗料組成物、放熱性硬化塗膜の製造方法及び放熱性硬化塗膜を有する電子機器
US9067794B1 (en) * 2008-08-06 2015-06-3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stration Highly thermal conductive nanocomposites
KR20100032811A (ko) * 2008-09-18 2010-03-26 (주)클라스타 기능성 작용기가 도입된 탄소나노튜브-그라프트-실록산 중합체를 이용한 열방사용 코팅 조성물 및 코팅된 방열 구조체
JP5764732B2 (ja) * 2008-10-03 2015-08-19 島根県 耐熱性高熱伝導性接着剤
EP2239290A1 (de) * 2009-04-09 2010-10-13 Bayer MaterialScience AG Hydroxygruppen umfassende Kohlenstoffnanoröhre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iese Kohlenstoffnanoröhren umfassende Polyurethanpolymere
US20110077337A1 (en) * 2009-09-25 2011-03-31 Yeh Yun-Chao Method for prepar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low dissipation factor adhesive varnish for build-up additional insulation layers
CN101717604B (zh) * 2009-11-03 2012-07-04 上海大学 环氧树脂固体润滑涂层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142269B1 (ko) * 2009-12-23 2012-05-07 주식회사 현대엘이디 엘이디 방열체용 흑색 방열 전착도료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형성된 방열체용 전착 도막
KR101270932B1 (ko) * 2010-08-05 2013-06-11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탄소소재를 이용한 고효율 방열도료 조성물
KR101287991B1 (ko) * 2010-11-17 2013-07-24 피켐스 주식회사 방열성 분체도료
US8796361B2 (en) * 2010-11-19 2014-08-05 Ppg Industries Ohio, Inc. Adhesive compositions containing graphenic carbon particles
KR101045276B1 (ko) * 2011-02-01 2011-06-29 주식회사 엘아이테크 방열성능이 우수한 방열도료 조성물
CN102544343B (zh) * 2012-03-02 2014-03-05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提高led基板散热性能的方法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04108B2 (en) 2015-04-08 2021-08-31 Amogreentech Co., Ltd. Heat dissipating coating composition and heat dissipating unit formed using same
WO2016163830A1 (ko) * 2015-04-08 2016-10-13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방열 코팅조성물 및 이를 통해 형성된 방열유닛
KR101644743B1 (ko) * 2015-04-08 2016-08-0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열전도성 복합재료 코팅용액,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열전도 및 방열 코팅막
KR20160125560A (ko) * 2015-04-21 2016-11-01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방열 점착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31955A (ko) * 2015-05-06 2016-11-16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디스플레이 장치용 방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7112602B (zh) * 2015-05-26 2019-04-23 株式会社Lg 化学 包括热辐射涂料涂层的电池模块
WO2016190521A1 (ko) * 2015-05-26 2016-12-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방사 도료 코팅층을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US10587018B2 (en) 2015-05-26 2020-03-10 Lg Chem, Ltd. Battery module including heat radiation paint coating layer
CN107112602A (zh) * 2015-05-26 2017-08-29 株式会社Lg 化学 包括热辐射涂料涂层的电池模块
US11038223B2 (en) 2015-06-12 2021-06-15 Lg Chem, Ltd. Battery module
WO2016200231A1 (ko) * 2015-06-12 2016-1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US11424495B2 (en) 2015-06-12 2022-08-23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KR101648484B1 (ko) 2015-09-11 2016-08-16 주식회사 한국화이어텍 탄소동소체를 이용한 방열 세라믹 하이브리드 방열코팅재
KR20170046033A (ko) * 2015-10-20 2017-04-2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그라파이트 복합재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제어 어셈블리
KR20170137392A (ko) * 2016-06-03 2017-12-13 전자부품연구원 방열기판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8128368A1 (ko) * 2017-01-03 2018-07-12 주식회사 아모센스 절연성 방열 코팅조성물 및 이를 통해 구현된 절연성 방열 물품
KR20190091780A (ko) * 2018-01-29 2019-08-0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고분산성 탄소재 기반 방열 코팅제의 제조방법
KR101856665B1 (ko) * 2018-02-05 2018-05-10 현상우 방열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11874471B2 (en) 2020-11-23 2024-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eat radiating member
KR20220072916A (ko) * 2020-11-25 2022-06-03 승진전자산업(주) 전기자동차 및 수소자동차용 시즈 히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39085B2 (ja) 2016-12-07
EP2902459A1 (en) 2015-08-05
KR101773589B1 (ko) 2017-08-31
EP2902459A4 (en) 2016-05-25
JP2015537063A (ja) 2015-12-24
EP2902459B1 (en) 2019-07-10
WO2014051295A1 (ko) 2014-04-03
US20150275061A1 (en) 2015-10-01
CN104769057A (zh)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3031A (ko) 방열 도료 조성물 및 방열 구조체
JP6712402B2 (ja) 被覆粒子
WO2014185496A1 (ja) ホウ素を含む薄片状黒鉛、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8221662A1 (ja) 熱伝導性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組成物
CN104364290A (zh) 固化性树脂组合物、树脂组合物、树脂片、及这些组合物和树脂片的固化物
TW201829301A (zh) 六方晶氮化硼粉末、其製造方法、樹脂組成物及樹脂薄片
JP2012144638A (ja) 絶縁性放熱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TW201940589A (zh) 樹脂組合物、預浸料、層壓板、覆金屬箔層壓板以及印刷電路板
WO2013069271A1 (ja) 高分子構造体
JP7275469B2 (ja) 被覆粒子
CN113555145B (zh) 一种柔性耐高温导电浆料
Anoop et al. Enhanced mechanical, thermal and adhesion properties of polysilsesquioxane spheres reinforced epoxy nanocomposite adhesives
TWI475080B (zh) 導熱性糊
WO2019194131A1 (ja) 熱伝導性複合フィラーとこれを含む放熱性樹脂組成物、該放熱性樹脂組成物からなる放熱性グリース及び放熱部材
JP6361352B2 (ja) ポリアミド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体
JP2018184525A (ja) 低温硬化型液状エポキシ樹脂組成物
KR102284425B1 (ko) 수지-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의 복합체
JP6331500B2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および硬化物
JP2014159494A (ja) 熱伝導体
WO2019189182A1 (ja) 熱伝導性複合フィラーとこれを含む放熱性樹脂組成物、該放熱性樹脂組成物からなる放熱性グリース及び放熱部材
JP2018021156A (ja) 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硬化成形物、接着シート、並びに基板
KR102111071B1 (ko) 열방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열방사 시트 제조방법, 열방사 시트 및 상기 열방사 시트를 포함하는디바이스
JP6508508B2 (ja) 樹脂組成物、熱伝導性接着剤及び積層体
Musayeva et al. Properties of modified epoxy resins
JP4011458B2 (ja) 硬化性エポキシ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454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803

Effective date: 201701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