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4425B1 - 수지-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의 복합체 - Google Patents

수지-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의 복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4425B1
KR102284425B1 KR1020167026197A KR20167026197A KR102284425B1 KR 102284425 B1 KR102284425 B1 KR 102284425B1 KR 1020167026197 A KR1020167026197 A KR 1020167026197A KR 20167026197 A KR20167026197 A KR 20167026197A KR 102284425 B1 KR102284425 B1 KR 102284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ric acid
resin
group
fluorinated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6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4696A (ko
Inventor
타케시 후쿠시마
카츠유키 사토
히데오 사와다
Original Assignee
유니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고쿠리츠다이가쿠호징 히로사키다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고쿠리츠다이가쿠호징 히로사키다이가쿠 filed Critical 유니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34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4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09D5/160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characterised by the anti-fouling agent
    • C09D5/1612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D5/1625Non-macromolecular compound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00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materials of composite character
    • C03C17/008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materials of composite character comprising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C03C17/02, C03C17/06, C03C17/22 and C03C17/28
    • C03C17/009Mixtures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e.g. ormosils and ormoc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5Bor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09D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D159/00 - C09D18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09D5/165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characterised by the film-forming substance
    • C09D5/1662Synthetic film-forming substance
    • C09D5/1668Vinyl-typ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09D5/1681Antifouling coatings characterised by surface structure, e.g. for roughness effect giving superhydrophobic coatings or Lotus effec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7/00Coatings on glass
    • C03C2217/70Properties of coatings
    • C03C2217/76Hydrophobic and oleophobic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8/00Methods for coating glass
    • C03C2218/10Deposition methods
    • C03C2218/11Deposition methods from solutions or suspensions
    • C03C2218/111Deposition methods from solutions or suspensions by dipping, immers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수지에, 일반식
RF-A-OH
(여기에서, RF는 탄소수 6 이하의 퍼플루오로알킬기이고, 또는 그 불소 원자의 일부가 수소 원자로 치환되고, 탄소수 6 이하의 말단 퍼플루오로알킬기 및 탄소수 6 이하의 퍼플루오로알킬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폴리플루오로알킬기이며, A는 탄소수 1∼6의 알킬렌기임)로 표시되는 함불소 알코올 또는 함불소 알코올과 이것에 대해 몰비 1.0 이하인 알콕시실레인의 양자 및 붕산의 축합체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수지-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의 복합체. 이들 수지-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의 복합체는 무기질 기재 등에 대하여 양호한 밀착성을 갖는다.

Description

수지-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의 복합체{COMPOSITE MATERIAL OF RESIN-FLUORINE-CONTAINING BORIC ACID COMPOSITE PARTICLES}
본 발명은 수지-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의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표면처리 특성을 개선시킨 수지-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의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무기 재료 표면을 각종 화합물이나 폴리머로 코팅함으로써, 여러 표면 특성을 발현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불소계 화합물을 표면처리에 사용한 경우에는, 불소 원자가 갖는 특성 때문에, 발수성뿐만 아니라 발유성의 점에서도 표면 개질할 수 있으므로, 여러 기재에의 코팅에 이용되고 있다.
특히, C8의 퍼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표면처리제를 기질에 도포함으로써 높은 발수발유성을 나타내는 코팅이 가능하지만, 최근 C7 이상의 퍼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화합물이, 세포주를 사용한 시험관내 시험에 있어서, 발암 인자로 여겨지고 있는 세포간 커뮤니케이션 저해를 일으키는 것, 또한 이 저해는 작용기가 아니라, 불소화된 탄소쇄 길이에 의존하고, 탄소쇄가 긴 것일수록 저해력이 높은 것이 보고되어 있어, 불소화된 탄소수가 긴 화합물을 사용한 모노머의 제조가 제한되어 가고 있다.
또한 탄소수가 6 이하의 퍼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함불소 알코올에서는, 유리, 금속, 석재 등의 무기질 기재에의 밀착성이 결여된다고 하는 문제도 보인다.
특허문헌 1∼2에는, 함불소 알코올, 알콕시실레인(및 중합성 작용기 함유 알코올)을 축합반응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지만, 얻어진 알콕시실레인 유도체는 광산 발생제 또는 광염기 발생제를 첨가한 경화성 조성물, 혹은 무기 도전도료 조성물의 조제에 사용되고 있다.
일본 특개 2004-285111호 공보 일본 특개 평5-186719호 공보 일본 특허 제4674604호 공보 WO 2007/080949 A1 일본 특개 2008-38015호 공보 미국 특허 제3,574,770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환경 중에 방출되어도 퍼플루오로옥탄산 등을 생성시키지 않고, 게다가 단쇄의 화합물로 분해되기 쉬운 유닛을 갖는 함불소 알코올을 사용하여, 무기질 기재 등에 대한 밀착성을 갖는 수지-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의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수지에, 일반식
RF-A-OH [I]
(여기에서, RF는 탄소수 6 이하의 퍼플루오로알킬기이고, 또는 퍼플루오로알킬기의 불소 원자의 일부가 수소 원자로 치환되고, 탄소수 6 이하의 말단 퍼플루오로알킬기 및 탄소수 6 이하의 퍼플루오로알킬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폴리플루오로알킬기이며, A는 탄소수 1∼6의 알킬렌기임)로 표시되는 함불소 알코올과 붕산의 축합체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수지-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의 복합체가 제공된다. 수지-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의 복합체는 함불소 알코올 [I]과 함불소 알코올에 대해 몰비 1.0 이하인 알콕시실레인의 양자 및 붕산의 축합체를 사용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수지에, 일반식
RF'-A-OH [Ia]
또는 일반식
HO-A-RF"-A-OH [Ib]
(여기에서, RF'은 탄소수 6 이하의 말단 퍼플루오로알킬기 및 탄소수 6 이하의 퍼플루오로알킬렌기를 갖는 O, S 또는 N 원자를 함유하는 직쇄상 또는 분지상 퍼플루오로알킬기이고, RF"은 탄소수 6 이하의 퍼플루오로알킬렌기를 갖는 O, S 또는 N 원자를 함유하는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퍼플루오로알킬렌기이며, A는 탄소수 1∼6의 알킬렌기임)로 표시되는 함불소 알코올과 붕산의 축합체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수지-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의 복합체가 제공된다. 수지-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의 복합체는 함불소 알코올 [Ia] 또는 [Ib]와 이들 함불소 알코올에 대하여 몰비 1.0 이하인 알콕시실레인의 양자 및 붕산의 축합체를 사용한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함불소 알코올은 말단 퍼플루오로알킬기나 폴리플루오로알킬기 중의 퍼플루오로알킬렌쇄의 탄소수가 6 이하의 것이며, 단쇄의 함불소 화합물로 분해되기 쉬운 유닛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환경오염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또한 얻어진 수지-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의 복합체는 기재 표면에 양호한 발수발유성, 방오기능성을 나타내는 박막을 형성시키고, 이 박막은 수지 성분을 가지고 있으므로, 무기질 기재 등에 대한 밀착성도 우수하다.
함불소 알코올 [I]로서는, 예를 들면, 일반식
CnF2n+1(CH2)jOH [II]
n: 1∼6, 바람직하게는 4∼6
j: 1∼6, 바람직하게는 1∼3, 특히 바람직하게는 2
로 표시되는 폴리플루오로알킬알코올 등이 사용된다.
알킬렌기 A로서는 -CH2-기, -CH2CH2-기 등을 들 수 있고, 이러한 알킬렌기를 갖는 퍼플루오로알킬알킬알코올로서는 2,2,2-트라이플루오로에탄올(CF3CH2OH), 3,3,3-트라이플루오로프로판올(CF3CH2CH2OH), 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판올(CF3CF2CH2OH), 3,3,4,4,4-펜타플루오로뷰탄올(CF3CF2CH2CH2OH), 2,2,3,3,4,4,5,5,5-노나플루오로펜탄올(CF3CF2CF2CF2CH2OH), 3,3,4,4,5,5,6,6,6-노나플루오로헥산올(CF3CF2CF2CF2CH2CH2OH), 3,3,4,4,5,5,6,6,7,7,8,8,8-트라이데카플루오로옥탄올(CF3CF2CF2CF2CF2CF2CH2CH2OH) 등이 예시된다.
또한 폴리플루오로알킬기는 퍼플루오로알킬기의 말단 -CF3기가, 예를 들면, -CF2H기 등에 치환된 혹은 중간 -CF2-기가 -CFH-기 또는 -CH2-기로 치환된 기를 나타내고 있고, 이러한 치환기를 갖는 함불소 알코올 [I]로서는, 예를 들면,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올(HCF2CF2CH2OH), 2,2,3,4,4,4-헥사플루오로뷰탄올(CF3CHFCF2CH2OH), 2,2,3,3,4,4,5,5-옥타플루오로펜탄올(HCF2CF2CF2CF2CH2OH)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 [II]로 표시되는 폴리플루오로알킬알코올은, 예를 들면, 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일련의 공정을 거쳐 합성된다.
우선, 일반식
CnF2n+1(CF2CF2)b(CH2CH2)cI
로 표시되는 폴리플루오로알킬아이오다이드, 예를 들면,
Figure 112016091952120-pct00001
Figure 112016091952120-pct00002
를 N-메틸폼아마이드 HCONH(CH3)와 반응시켜, 폴리플루오로알킬알코올과 그 폼산 에스터의 혼합물로 한 후, 산 촉매의 존재하에서 그것을 가수분해 반응시켜, 폴리플루오로알킬알코올
CnF2n+1(CF2CF2)b(CH2CH2)cOH
를 형성시킨다. 단, n+2b의 값은 6 이하이다.
함불소 알코올 [I]로서는 또한 RF기가 퍼플루오로알킬기의 불소 원자의 일부가 수소 원자로 치환되고, 탄소수 6 이하의 말단 퍼플루오로알킬기 및 탄소수 6 이하의 퍼플루오로알킬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폴리플루오로알킬기이며, 구체적으로는 탄소수 3∼20, 바람직하게는 6∼10의 폴리플루오로알킬기이고, A가 탄소수 2∼6, 바람직하게는 2의 알킬렌기인 함불소 알코올, 예를 들면, 일반식
CnF2n+1(CH2CF2)a(CF2CF2)b(CH2CH2)cOH [III]
n: 1∼6, 바람직하게는 2∼4
a: 1∼4, 바람직하게는 1
b: 0∼2, 바람직하게는 1∼2
c: 1∼3, 바람직하게는 1
으로 표시되는 폴리플루오로알킬알코올 등이 사용된다.
일반식 [III]으로 표시되는 폴리플루오로알킬알코올은 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일련의 공정을 거쳐 합성된다.
우선, 일반식
CnF2n+1(CH2CF2)a(CF2CF2)b(CH2CH2)cI
로 표시되는 폴리플루오로알킬아이오다이드, 예를 들면
Figure 112016091952120-pct00003
Figure 112016091952120-pct00004
를 N-메틸폼아마이드 HCONH(CH3)와 반응시키고, 폴리플루오로알킬알코올과 그 폼산 에스터의 혼합물로 한 후, 산 촉매의 존재하에서 그것을 가수분해 반응시켜, 폴리플루오로알킬알코올
CnF2n+1(CH2CF2)a(CF2CF2)b(CH2CH2)cOH
를 형성시킨다.
함불소 알코올 [Ia]로서는 RF'기가 탄소수 6 이하의 말단 퍼플루오로알킬기 및 탄소수 6 이하의 퍼플루오로알킬렌기를 갖는 O, S 또는 N 원자를 함유하는 직쇄상 또는 분지상 퍼플루오로알킬기이며, 구체적으로는 탄소수 3∼305, 바람직하게는 8∼35의 O, S 또는 N 함유 퍼플루오로알킬기이며, A가 탄소수 1∼3, 바람직하게는 1의 알킬렌기인 함불소 알코올, 예를 들면, 일반식
CmF2m+1O[CF(CF3)CF2O]dCF(CF3)(CH2)eOH [IIa]
m: 1∼3, 바람직하게는 1
d: 0∼100, 바람직하게는 2∼50
e: 1∼6, 바람직하게는 2
로 표시되는 헥사플루오로프로펜옥사이드 올리고머 알코올 등이 사용된다.
또한 함불소 알코올 [Ib]로서는 RF"기가 탄소수 6 이하의 퍼플루오로알킬렌기를 갖고, 구체적으로는 탄소수 5∼160의 O, S 또는 N 함유 퍼플루오로알킬렌기이며, A가 탄소수 1∼3, 바람직하게는 1의 알킬렌기인 함불소 알코올, 예를 들면, 일반식
HO(CH2)fCF(CF3)[OCF2CF(CF3)]gO(CF2)hO[CF(CF3)CF2O]iCF(CF3)(CH2)fOH [IIb]
f: 1∼3, 바람직하게는 1
g+i: 0∼50, 바람직하게는 2∼50
h: 1∼6, 바람직하게는 2
로 표시되는 퍼플루오로알킬렌에터다이올 등이 사용된다.
일반식 [IIa]로 표시되는 헥사플루오로프로펜옥사이드 올리고머 알코올에 있어서, m=1, e=1의 화합물은 특허문헌 4에 기재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공정을 거쳐 합성된다.
일반식 CF3O[CF(CF3)CF2O]nCF(CF3)COOR(R: 알킬기, n: 0∼12의 정수)로 표시되는 함불소 에터카복실산알킬에스터를 수소화붕소소듐 등의 환원제를 사용하여 환원 반응시킨다.
또한, 일반식 [IIb]로 표시되는 퍼플루오로알킬렌에터다이올에 있어서, f=1은 특허문헌 5∼6에 기재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일련의 공정을 거쳐 합성된다.
FOCRfCOF → H3COOCRfCOOCH3 → HOCH2RfCH2OH
Rf: -CF(CF3)[OCF2C(CF3)]aO(CF2)cO[CF(CF3)CF2O]bCF(CF3)-
알콕시실레인은 일반식
(R1O)pSi(OR2)q(R3)r [IV]
R1, R3: H, C1∼C6의 알킬기 또는 아릴기
R2: C1∼C6의 알킬기 또는 아릴기
단, R1, R2, R3이 모두 아릴기인 것은 아님
p+q+r: 4 단, q는 0이 아님
로 표시되고, 예를 들면, 트라이메톡시실레인, 트라이에톡시실레인, 트라이메톡시메틸실레인, 트라이에톡시메틸실레인, 트라이메톡시페닐실레인, 트라이에톡시페닐실레인, 테트라메톡시실레인, 테트라에톡시실레인 등이 사용된다.
이들 각 성분은, 함불소 알코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붕산이 약 0.1∼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10∼20중량부의 비율이며, 또한 알콕시실레인이 함불소 알코올에 대해 약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0.05∼0.50의 몰비로 사용된다. 붕산의 사용비율이 이것보다도 적으면 발수발유성이 낮아지고, 한편 이것보다도 많은 비율로 사용되면 용매에의 분산성이 나빠진다. 또한 알콕시실레인의 사용 비율이 이것보다도 많은 비율로 사용되면 발수발유성이 낮아진다.
얻어진 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 중의 함불소 알코올량은 약 25∼98몰%, 바람직하게는 약 40∼80몰%, 복합 입자 직경(동적 광산란법에 의해 측정)은 약 10∼600nm, 바람직하게는 약 15∼350nm이다.
반응생성물인 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는 붕산 입자의 수산기에 함불소 알코올이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붕산의 화학적, 열적 안정성과 불소의 우수한 발수발유성, 방오성 등이 유효하게 발휘되고 있고, 실제로 유리 표면을 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로 처리한 것은 양호한 발수발유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의 입경 및 그 편차도 작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는 함불소 알코올과 알콕시실레인의 양자 및 붕산 입자의 반응생성물로서도 형성되지만,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한 다른 성분의 혼재도 허용된다.
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는 수지에 첨가되어 복합체를 형성시킨다. 수지로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ABS 수지, 폴리아마이드, 폴리에스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등의 열가소성 수지, 에폭시 수지, 유레테인 수지,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가 사용된다.
복합물 성분인 함불소 알코올은 폴리머 결합하고 있지 않으므로, 세정 등에 대한 내구성과 내열성이 뒤떨어지며, 그것을 붕산 복합물화 함으로써 내구성이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무기질 기재에 대한 밀착성은 충분하지 않고, 그럼에도 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를 수지와 복합함으로써, 무기질 기재에 대한 밀착성을 충분히 개선할 수 있다.
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의 첨가 비율은 임의이며, 예를 들면, 수지 성분의 개질을 위해, 그것에 대해 1중량% 정도이어도 유효할 수 있다. 또한 그것의 첨가 방법도 첨가 비율에 따라 여러 방법을 취할 수 있고, 첨가제의 1성분으로서 첨가될 뿐만 아니라, 수지의 유기 용매 용액을 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에 코팅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붕산 복합물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분산액을 조제한 후, 그 분산액을 교반하면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용액을 적하하고, 최후에 농도 조정을 행하기 위해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첨가함으로써 행해진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참고예 1
CF3(CF2)5(CH2)2OH [FA-6] 1100mg(3.02밀리 몰), 붕산 200mg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 [THF] 2ml를 용량 30ml의 반응용기에 장입하고, 실온 조건하에서 1일 교반했다. 그 후,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 767mg(수율 59%)을 얻었다. 얻어진 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에 대해, 다음 각 항목의 측정을 행했다.
입자직경 및 그 편차:
25℃에서 고형분 농도 1g/L 메탄올 분산액에 대하여, 동적 광산란(DLS) 측정법에 의해 측정
참고예 2∼6
참고예 1에 있어서, FA-6량이 적당히 변경되고, 또한 테트라에톡시실레인 [TEOS; 밀도 0.94g/cm3]도 적당히 사용되었다.
참고예 7∼16
참고예 1에 있어서, FA-6 대신에 여러 함불소 알코올이 사용되고, 또한 테트라에톡시실레인도 적당히 사용되었다. THF량은 참고예 11∼13에서는 4ml 사용되었다.
Figure 112016091952120-pct00005
Figure 112016091952120-pct00006
실시예 1∼8
상기 각 참고예에서 얻어진 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 10mg을 다시 20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분산시킨 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990mg을 가하여 폴리머 복합물 용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유리 기재에 코팅하여, 얻어진 수지-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의 복합체의 표면 특성의 분석을 했다.
액적의 접촉각(단위:°):
얻어진 수지-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의 복합체의 박막 표면에 n-도데케인 또는 물의 액적 4μl를 조용히 접촉시키고, 부착된 액적의 접촉각을 θ/2법에 의해 접촉각계(쿄와카이멘카가쿠제 Drop Master 300)로 측정했다. 또한, 물에 대해서는 경시적인 측정이 행해졌다.
Figure 112016091952120-pct00007
상기 결과는, 물에 대한 경과시간 20∼30분을 제외하고, 모두 발수발유성이 개선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비교예 1
코팅되지 않은 유리 기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표면 특성의 분석이 행해졌다.
비교예 2
붕산을 사용하여 코팅된 유리 기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표면 특성의 분석이 행해졌다.
비교예 3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여 코팅된 유리 기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표면 특성의 분석이 행해졌다.
비교예 4∼8
실시예 1에 있어서, 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 대신에 동량(10mg)의 하기 시료를 사용하고, 이것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990mg을 가한 용액을 사용하여 코팅된 유리 기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표면특성의 분석이 행해졌다.
비교예 4: 붕산/TEOS
비교예 5: FA-6
비교예 6: FA-6/TEOS
비교예 7: OXF3PO
비교예 8: OXF14PO
단, 비교예 4에서는, 실시예 1에서 FA-6이 사용되지 않고, 붕산 50mg(0.81밀리 몰), TEOS 0.10ml(0.45밀리 몰)가 사용되었고, 생성물의 수득량은 130mg, 수율은 90%이었다. 또한 비교예 6에서는, 실시예 1에서 붕산이 사용되지 않고, FA-6 1100mg(3.02밀리 몰), TEOS 0.10ml(0.45밀리 몰)가 사용되었고, 생성물의 수득량은 763mg, 수율은 68%이었다.
이상의 각 비교예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의 표 3에 표시된다.
Figure 112016091952120-pct00008

Claims (10)

  1. 수지에, 일반식
    RF-A-OH [I]
    (여기에서, RF는 탄소수 6 이하의 퍼플루오로알킬기이고, 또는 퍼플루오로알킬기의 불소 원자의 일부가 수소 원자로 치환되고, 탄소수 6 이하의 말단 퍼플루오로알킬기 및 탄소수 6 이하의 퍼플루오로알킬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폴리플루오로알킬기이며, A는 탄소수 1∼6의 알킬렌기임)로 표시되는 함불소 알코올과 이것에 대해 몰비 1.0 이하인 알콕시실레인 및 붕산의 축합체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수지-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의 복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일반식 [I]로 표시되는 함불소 알코올로서, 일반식
    CnF2n+1(CH2)jOH [II]
    (여기에서, n은 1∼6, j는 1∼6의 정수임)로 표시되는 폴리플루오로알킬알코올이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의 복합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일반식 [I]로 표시되는 함불소 알코올로서, 일반식
    CnF2n+1(CH2CF2)a(CF2CF2)b(CH2CH2)cOH [III]
    (여기에서, n은 1∼6, a는 1∼4, b는 0∼2, c는 1∼3의 정수임)으로 표시되는 폴리플루오로알킬알코올이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의 복합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알콕시실레인이, 일반식
    (R1O)pSi(OR2)q(R3)r [IV]
    (여기에서, R1, R3은 각각 수소 원자, 탄소수 1∼6의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고, R2는 탄소수 1∼6의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며, 단 R1, R2, R3은 모두 아릴기인 것은 아니고, p+q+r은 4이며, 단 q는 0이 아님)로 표시되는 실레인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의 복합체.
  5. 제 1 항에 있어서,
    함불소 알코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붕산이 0.1∼50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의 복합체.
  6. 수지에, 일반식
    RF'-A-OH [Ia]
    또는 일반식
    HO-A-RF"-A-OH [Ib]
    (여기에서, RF'은 탄소수 6 이하의 말단 퍼플루오로알킬기 및 탄소수 6 이하의 퍼플루오로알킬렌기를 갖는 O, S 또는 N 원자를 함유하는 직쇄상 또는 분지상 퍼플루오로알킬기이고, RF"은 탄소수 6 이하의 퍼플루오로알킬렌기를 갖는 O, S 또는 N 원자를 함유하는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퍼플루오로알킬렌기이며, A는 탄소수 1∼6의 알킬렌기임)로 표시되는 함불소 알코올과 이것에 대해 몰비 1.0 이하의 알콕시실레인 및 붕산의 축합체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수지-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의 복합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일반식 [Ib]로 표시되는 함불소 알코올로서, 일반식
    HO(CH2)fCF(CF3)[OCF2CF(CF3)]gO(CF2)hO[CF(CF3)CF2O]i
    CF(CF3)(CH2)fOH [IIb]
    (여기에서, f는 1∼3, g+i는 0∼50, h는 1∼6의 정수임)로 표시되는 퍼플루오로알킬렌에터다이올이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의 복합체.
  8. 제 6 항에 있어서,
    알콕시실레인이, 일반식
    (R1O)pSi(OR2)q(R3)r [IV]
    (여기에서, R1, R3은 각각 수소 원자, 탄소수 1∼6의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고, R2는 탄소수 1∼6의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며, 단 R1, R2, R3은 모두 아릴기인 것은 아니고, p+q+r은 4이며, 단 q는 0이 아님)로 표시되는 실레인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의 복합체.
  9. 제 6 항에 있어서,
    함불소 알코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붕산이 0.1∼50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의 복합체.
  10.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기재된 수지-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의 복합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표면처리제.
KR1020167026197A 2014-03-11 2015-03-10 수지-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의 복합체 KR1022844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47314 2014-03-11
JP2014047314 2014-03-11
PCT/JP2015/057023 WO2015137344A1 (ja) 2014-03-11 2015-03-10 樹脂-含フッ素ホウ酸コンポジット粒子複合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696A KR20160134696A (ko) 2016-11-23
KR102284425B1 true KR102284425B1 (ko) 2021-08-03

Family

ID=54071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6197A KR102284425B1 (ko) 2014-03-11 2015-03-10 수지-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의 복합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93812B2 (ko)
EP (1) EP3118263B1 (ko)
JP (1) JP6038327B2 (ko)
KR (1) KR102284425B1 (ko)
CN (1) CN106459593B (ko)
WO (1) WO20151373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14604B (zh) 2015-03-10 2019-02-01 优迈特株式会社 含氟硼酸pvb复合物
JP2019052195A (ja) * 2016-01-15 2019-04-04 株式会社Moresco 滑水性コート材料
JP6853136B2 (ja) * 2017-08-01 2021-03-31 ユニマテック株式会社 ポリフルオロアルキルアルコールおよびそのカルボン酸エステルの製造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1871A (en) * 1959-07-21 1960-09-06 Olin Mathieson Polyfluoroalkyl borate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4770A (en) 1968-10-24 1971-04-13 Nasa Hydroxy terminated perfluoro ethers
JPH05186719A (ja) 1991-05-31 1993-07-27 Hitachi Chem Co Ltd 無機導電塗料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導電塗膜の製造法
US6709504B2 (en) 2000-05-19 2004-03-2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mulsion and water-repellent composition
EP1285032B1 (en) * 2000-05-19 2005-08-31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mulsion and water-repellent composition
JP3829918B2 (ja) * 2001-05-29 2006-10-04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防菌・防黴・防蟻性木材用水系撥水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3728752B2 (ja) 2003-03-19 2005-12-21 荒川化学工業株式会社 硬化性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
US20050003216A1 (en) * 2003-06-30 2005-01-06 Jean-Marc Frances Microparticle containing silicone release coatings having improved anti-block and release properties
JP2007186454A (ja) 2006-01-13 2007-07-26 Yunimatekku Kk 含フッ素エーテルアルコールおよびその製造法
EP2228356B1 (en) * 2006-03-10 2016-06-22 Unimatec Co., Ltd. Polyfluoroalkyl iodid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5292680B2 (ja) 2006-08-07 2013-09-18 ユニマテック株式会社 含フッ素ポリエーテル(メタ)アクリレートおよびその製造法
US8946486B2 (en) * 2007-12-03 2015-02-03 Tyco Fire & Security Gmbh Method of forming alkoxylated fluoroalcohols
JP5812369B2 (ja) * 2013-03-06 2015-11-11 ユニマテック株式会社 含フッ素ナノコンポジット粒子の製造法
CN105246948A (zh) * 2013-03-06 2016-01-13 优迈特株式会社 含氟纳米复合物粒子及其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1871A (en) * 1959-07-21 1960-09-06 Olin Mathieson Polyfluoroalkyl bor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93812B2 (en) 2018-10-09
CN106459593A (zh) 2017-02-22
US20170015840A1 (en) 2017-01-19
EP3118263A1 (en) 2017-01-18
EP3118263B1 (en) 2018-07-25
JPWO2015137344A1 (ja) 2017-04-06
KR20160134696A (ko) 2016-11-23
EP3118263A4 (en) 2017-11-15
JP6038327B2 (ja) 2016-12-07
WO2015137344A1 (ja) 2015-09-17
CN106459593B (zh) 2019-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51383B (zh) 含氟醚化合物、组合物及物品
KR102284425B1 (ko) 수지-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의 복합체
US9475826B2 (en) Fluorine-containing nano composite particle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10138156A (ja) ナノ物質、ナノコンポジット、ナノ分散液、その製造方法及び該分散液からなる各種剤
KR102336869B1 (ko) 함불소 산화 타이타늄-나노 실리카 복합 입자 및 그 제조법
KR102036164B1 (ko) 함불소 붕산 복합 입자
JP5812367B2 (ja) 含フッ素ナノシリカコンポジット粒子およびその製造法
EP3269772B1 (en) Fluorine-containing boric acid/pvb composite
KR102059458B1 (ko) 함불소 붕산 복합물 캡슐 입자
JP5812368B2 (ja) 含フッ素ナノコンポジット粒子の製造法
JP6573278B2 (ja) 含フッ素セルロースエーテルコンポジット
TW201229055A (en) Liquid addition curable metallosiloxane
Chi et al.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polyamido-amine dendrimer/polyurushiol composite coatings by stepwise electrophoresis deposition
JP2021134169A (ja) 含フッ素セルロースジルコニウムコンポジ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