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8785A - 버섯 수확장치 - Google Patents

버섯 수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8785A
KR20140018785A KR1020130068075A KR20130068075A KR20140018785A KR 20140018785 A KR20140018785 A KR 20140018785A KR 1020130068075 A KR1020130068075 A KR 1020130068075A KR 20130068075 A KR20130068075 A KR 20130068075A KR 20140018785 A KR20140018785 A KR 20140018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container
conveying
holding
clu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8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우
곽재문
후지사와 히로카즈
Original Assignee
(주)가야테크
(주)삼우엔지니어링
히토미 서포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가야테크, (주)삼우엔지니어링, 히토미 서포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주)가야테크
Publication of KR20140018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87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70Harves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9Handling or transporting of soil blocks or seedl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버섯 송이를 동시에 배지에서 분리하여 수확하는 버섯 수확장치를 제공한다. 버섯 재배용의 피반송용기(2)를, 간헐적으로 반송하는 반송장치부(10)와, 피반송용기(2)가 이동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한 쌍의 유지편장치브(15,15)와, 버섯 송이(1)의 뿌리부분으로 삽입되어 버섯 송이를 파지하도록 한 쌍을 이루는 파지부재(21)를 복수개 구비하는 파지부재 열(22)이 배치되는 파지장치부(20)와, 파지장치부(20)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이동기구(30) 및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동기구(40)를 구비하고, 복수 개의 버섯 송이(1)를, 파지장치부(20)에서 파지하여 승강이동기구(30)에 의하여 상승하는 것으로 뽑아내고, 수평이동기구(40)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파지장치부의 이동구동장치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버섯 수확장치{Apparatus for harvesting mushrooms}
본 발명은 인공 배양된 복수의 버섯의 송이를 동시에 수확하는 버섯 수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버섯의 인공 재배에 있어서는, 버섯의 송이를 버섯 재배 용기인 재배병에서 하나씩 유지하면서 수확하고 있어서 작업 효율이 좋지 않다. 이것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복수의 버섯을 절단하여 수확하고, 작용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발명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발명에 의하면, 재배병의 병입구에서 나와 있는 버섯을 절단부분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각 재배병을 컨테이너 다이에 재치하는 것과 같이, 컨테이너 다이를 병누름 기구측으로 이동하여 컨테이터 내부의 각 배양병을 병누름 기구의 병누름 바아에 의하여 고정하는 것, 및 컨테이너 내부에 있는 각 배양병의 버섯을 하방의 것에서 상방의 것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절단하면서 수확하기 위하여, 병누름 기구의 하위에서 대기하고 있는 커터와 커터 하부의 회수용 슈트를 좌우로 왕복이동시키면서 상승시켜서, 각 재배병의 버섯을 그 재배병의 입구 근처에서 커터로 절단하고, 더욱이 절단된 버섯을 회수용 슈트를 통하여 수납용 컨테이너 내부로 낙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버섯을 동시에 수확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절단에 의하여 버섯의 송이가 분리되어 흩어지고 말기 때문에, 후에 묶음 작업 등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런데 본 발명자에 의하면, 종래의 버섯 재배병을 컨테이너로 수확한 형태와는 전혀 다른 버섯 재배용 용기가 제안되었다. 이에 의하면, 버섯의 균상(菌狀) 재배에 이용되는 배지(培地)가 수용되는 버섯 재배용 용기로써, 상하로 분할 가능하게 상부용기와 하부용기로 구성되고, 버섯의 자실체가 복수 개소에서 생장 가능하도록 상부용기의 상면부에 자실체 생장용 입구가 복수 개 설치되어 있다(특허 문헌 2 및 도 4 참조).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고성5-42889호 공보(제1항)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10-35549호 공보(제1항)
버섯의 수확장치에 관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복수 개의 버섯의 송이를 동시에 흩어짐 없는 상태로 배지에서 분리하여 수확하는 버섯 수확장치가 제안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의 버섯의 송이를 동시에 흩어짐 없는 상태로 배지에서 분리하여 수확하는 버섯 수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버섯 수확장치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버섯 재배용 배지가 실질적으로 수용되는 용기형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형상부의 상면에 종횡으로 정열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생장 입구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생장된 복수 개의 버섯 송이와 동반하여 반송되는 버섯 재배용 피반송용기를, 간헐적으로 반송하는 반송장치부와, 상기 반송장치부의 피반송용기용 반송 라인 상의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피반송용기가 이동하지 않도록 피반송용기용 반송라인의 양 사이드에서 유지되는 한 쌍의 유지편장치부와, 상기 한 쌍의 유지편장치부에 의하여 유지되는 피반송용기에서 복수 개의 버섯 송이를 동시에 수확하기 위하여 각 버섯의 송이의 뿌리부분으로 수평으로 삽입되어 버섯의 송이를 파지하도록 한 쌍을 이루는 파지부재를 복수 개 구비하는 파지부재 열이, 상기 피반송용기용 반송라인의 가로측 방향으로 배치된 파지장치부와, 상기 파지장치부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이동기구 및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이동기구를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버섯 송이를, 복수의 파지장치부에 동시에 끼워서 상기 승강이동기구에 의하여 상승하는 것으로 뽑아내고 뽑혀진 버섯의 송이를 반송하는 버섯 송이용 반송라인 상으로 상기 수평이동기구에 의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버섯 송이를 파지장치부에 의하여 파지를 해제시키는 것으로 낙하시킨 후, 다시 한 쌍의 유지편 장치부에 의하여 유지되는 피반송용기의 위치로 돌아가고 상기 버섯 송이를 수확하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구성된 파지장치부의 이동구동장치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버섯 수확장치의 실시예에 의하면, 버섯 송이를 피반송용기에서 뽑아내는 경우 뽑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파지한 버섯의 송이의 뿌리을 피반송용기의 반송방향과 상기 반송방향의 역방향으로 왕복하여 경사시키는 파지장치부의 경사이동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버섯 수확장치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피반송용기용 반송 라인상에 있어서, 2개소에서 버섯의 송이를 수확 가능하도록 한 쌍의 유지편 장치부와, 상기 파지장치부 및 이동구동 장치부를 2개소에 구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버섯 수확장치의 실시예에 의하면, 한 쌍의 유지편 장치부가 상기 파지부재의 삽입방향에 대하여 피반송용기의 측면을 경사로 받아서 유지하도록 경사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버섯 수확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파지장치부의 경사이동기구가, 버섯 송이를 파지장치부에 의한 파지를 해제시켜서 버섯의 송이용 반송라인 상으로 낙하시키는 경우, 뽑혀진 버섯 송이를 횡방향으로 누인 상태 낙하시키도록 파지장치부가 실질적으로 90도 반송 방향으로 경사 이동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버섯 수확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버섯 송이를 흩어짐 없이 주의 상태로 동시에 수확하는 수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잇점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버섯 수확장치의 일례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수확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수확장치의 우측면도.
도 4는 버섯 송이의 피반송용기의 형태를 보인 예시 정면도.
도 5는 파지부재가 버섯의 송이의 뿌리에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확대 정면도.
도 6은 파지장치부의 평면도.
도 7은 파지장치부가 버섯 사실체주를 뽑아낼때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버섯 수확장치를 2개소에 구비한 예를 보인 정면도.
다음에는 본 발명에 의한 버섯 수확장치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서, 도면 부호 1은 버섯의 송이이고, 2는 복수의 버섯 송이를 같이 반송하는 버섯 재배용의 피반송용기이다. 3은 버섯 재배용의 배지가 실질적으로 수용되는 용기형상부이다. 4는 상기 용기형상부(4)의 상면에 종횡으로 정열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생장 입구부이다. 버섯 송이(1)는 생장입구부(4)에서 각각 상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생장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피반송용기(2)로서는, 도 4에 도시한 상하로 분할 가능하도록 상부용기(3a)와 하부용기(3b)로 구성되는 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종래부터 사용하고 있는 팽이 버섯 등의 버섯 재배병을 복수개 수납한 대바구니 형상의 컨테이너를 버섯 재배용의 피반송용기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도면 부호 10은 피반송용기(1)를 간헐적으로 반송하는 반송장치부이다. 15는 상기 피반송장치부(10)의 피반송 용기용 반송 라인(11) 상의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피반송용기(2)가 이동하지 않도록 피반송용기용 반송라인(11)의 양측에서 유지하는 한 쌍의 유지편장치부이다.
반송장치부(10)는, 롤러 컨베어 또는 벨트 컨베어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는 롤러 컨베어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반송장치에는, 피반송용기(2)를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하여, 피반송용기(2)에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스토퍼기구(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롤러 컨베어는, 한 쌍의 유지편장치부(15)의 위치에서 피반송용기(2)가 정지하는 경우에 센서 등의 감지수단(도시 생략)에 의하여 정지하도록 제어된다.
한 쌍의 유지편 장치부(15)는, 피반송용기용 반송라인(11) 상에 있는 피반송용기(2)를 유지하기 위하여, 피반송용기용 반송라인(11)의 양 사이드에 설치된다. 한 쌍의 유지편장치부(15)는, 각각의 유지편(15)의 본체 내부에서 동시에 신축 아암(16,16)을 피반송용기(2)를 향하여 수평으로 압출되고, 피반송용기(1)의 용기형상부(3)의 측면에 접촉하여 양 사이드에서 압압하여 피반송용기(2)를 유지한다. 이러한 신축아암(16,16)의 압출 기구는, 에어실린더, 유압실린더, 전동실린더 등의 액츄에이터를 채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유지편장치부(15)에서 피반송용기(1)를 유지하는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파지장치부(20)가 피반송용기(1)에 대하여 파지부재(21)의 삽입방향(도 1에 있어서는 우 방향)에서 삽입되기 때문에 반송방향과 역 방향으로 힘이 걸린다. 따라서 이러한 힘에 의하여 피반송용기(2)가 움직이지 않도록 파지부재(21)의 삽입방향에 대하여 피반송용기(2)의 측면을 경사로 받아들어 유지하도록, 경사방향으로 설치되어, 그 경사방향으로 신축아암(16)이 늘어나도록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45도의 각도로 신축아암(16)을 밀어내도록 설치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 부호 20은, 한 쌍의 유지편 장치부(15)에 의하여 유지되는 피반송용기(2)에서 복수의 버섯 송이(1)를 동시에 수확하기 위하여, 각 버섯 송이(1)의 뿌리부분에 수평으로 삽입시켜서 버섯 송이(2)를 파지하도록, 한 쌍을 이루는 파지부재(21)를 복수 개 구비하는 파지부재 열(22)이, 피반송용기용 반송라인(11)에 대한 직각 방향(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파지장치부이다. 파지장치부(20)는 후술하는 승강이동기구(30)에 의하여 가로 방향의 양단부에서 축지지되어 있다.
상기 파지부재(21)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손톱 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지고, 버섯 송이(1)를 파지하는 측이 오목한 만곡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버섯 송이(1)의 뿌리를 잡기 쉽게 되어 있다. 파지부재(2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반송용기용 반송라인(11)의 가로 방향으로 일렬로 나란하게 배열된 복수개의 버섯 송이(1)의 뿌리로 수평으로 삽입된다. 파지부재(21)는, 버섯의 송이(1)의 생장입구부(4)의 주연 부분에서 위에서 더욱이 가능한 한 뿌리에 가까운 낮은 위치로 삽입된다.
이러한 파지부재(21)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한 곡면이 일방을 향하는 일방의 파지부재(21)와, 타방을 향하는 타방의 파지부재(21)가 교호로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일방의 파지부재(21)는, 그 뿌리부분에서 일방의 연결체(23)에 고정되고, 복수 개의 타측의 파지부재(21)는, 뿌리측에서 타방의 연결체(24)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양방향으로 신축되는 로드를 구비하는 실린더장치(25)의 일측의 신축 로드에 일측의 연결체(24)가 고정되어 있다. 도 6의 상태에서, 실린더장치(25)를 동작시켜 신축로드를 수축시키는 것으로, 복수의 쌍을 이루는 파지부재(21)에 의하여, 복수 개의 버섯 송이를 동시에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하여, 한 쌍을 이루는 파지부재(21) 마다 파지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동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고, 제조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파지부재(21)의 파지 동작에 관련된 구동기구로서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고, 다른 구동장치 등을 적절하게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파지장치부(20)에 의하여 파지되는 버섯 송이(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지장치부(20)를 승강이동시키는 승강이동기구(30)와, 상기 승강이동기구(30)를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동기구(40)를 구비하는 파지장치부의 이동구동장치부(50)에 의하여 반송된다.
승강이동기구(30)는, 파지장치부(20)에서 동시에 파지한 복수 개의 버섯 송이(1)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뽑아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승강이동기구(30)는 승강이동 직선가이드(31) 상을 파지장치부(20)와 일체로 되어 있는 승강이동체(32)가 이동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승강이동장치(32)를 구동시키는 장치로는, 볼나사, 타이밍벨트 또는 체인, 랙과 피니언, 서보모터 등을 구비하는 기존의 구동장치를 적절하게 선택적으로 채용하면 가능하다. 승강이동 직선가이드(31)의 상방에서의 정지위치는, 파지장치부(20)에 의하여 파지된 버섯 송이(1)가 후술하는 버섯 송이용 반송 라인(60) 상에서 재치한 높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파지장이부(20)가 버섯 송이용 반송라인(60) 상으로 이동하고, 파지를 해제하여 버섯 송이(1)를 횡방향으로 눕혀서 낙하시키기에 적합한 높이 위치라고 할 수 있다.
승강이동기구(30)가, 버섯 송이(1)를 피반송용기(2)에서 뽑을 경우, 파지한 버섯 송이(1)의 뿌리부분을 피반송용기(2)의 반송 방향과 그 반송방향의 역방향으로 왕복하여 경사시키는 파지장치부(20)의 경사이동기구(26)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에 의하여 버섯 송이(1)가 배지와 분리되고 뽑기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경사이동기구(26)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지장치부(20)의 가로 방향의 양측에 고정되어 경사이동 각도를 산출하는 경사이동 액츄에이터(28)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거의 5도의 경사각도로 파지장치부(20)을 다른 방향으로 경사시킨다. 구체적으로는 경사이동기구(26)는, 우선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섯 송이(1)의 뿌리 부분으로 삽입되어 그 뿌리부분을 파지한 파지장치부(20)를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반송용기(1)의 반송 방향으로 경사시키고, 다음에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반송 방향의 역방향으로 경사시킨다. 이러한 동작에 의하여, 버섯 송이(1)의 뿌리부분이 배지에서 분리되어 흩어지지 않고 ?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경사이동 방향은 역순의 왕복이동으로도 좋고 복수회의 왕복이동을 하여도 좋다. 그 후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이동기구(30)가 버섯 송이(1)를 파지하여 상승시킨다. 이러한 뽑기 작업은 현재까지 수작업으로 수행되어 왔던 것이고, 이러한 동작을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자동화하여 구행하는 것이 가능한 뽑기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하고 있다.
수평이동기구(40)는, 뽑혀진 버섯 송이(1)를 반송하는 버섯 송이용 반송라인(60)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수평이동기구(4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이동 직선 가이드(41)와 상기 수평이동 가이드(41)를 수평 주행하는 수평이동체(42)를 구비하고 있다. 수평이동체(42)는, 파지장치부(20)의 승강위치와 버섯 송이용 반송라인(60) 사이를 왕복한다. 이러한 수평이동체를 구동시키는 장치로서는, 볼나사, 타이밍벨트, 체인, 랙과 피니언, 서보모터 등을 구비하는 기존의 구동장치를 적절하게 선택하면 충분하다.
파지장치부의 이동구동장치부(5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뽑혀진 버섯 송이(1)를 반송하는 버섯 송이용 반송라인(60) 상에서 수평이동기구(40)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버섯송이(1)의 파지장치부(20)에 의한 파지를 해제하는 것으로 낙하시킨 후, 다시 상기 한 쌍의 유지편장치부(15,15)에 의하여 유지되는 피반송용기(2)의 위치로 돌아가고, 버섯 송이(1)를 수확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일렬의 버섯 송이(1)가 뽑혀질 때 마나 파지장치부(20)는 반송방향과 역 방향으로 일렬 마다 안쪽으로 이동하여 삽입된다. 이들 동작은 명백히 제어장치(도시 생략)에 의한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된다.
버섯 송이용 운반 라인(60)은, 피반송용기(2)의 반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버섯 송이(1)가 이송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버섯 송이용 반송라인(60)은 벨트 컨베어로 구성된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반송용기용 반송라인(11) 상에 있어서, 2개소에 버섯 송이(1)를 수확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유지편 장치부(15), 파지장치부(20) 및 그 이동구동장치부(50)를 2개소에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에 의하여, 하나의 피반송용기(2)의 복수의 생장입구부에서 상방으로 생장한 복수 개의 버섯 송이(1)를 2개소에서 분담하여 수획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더욱이 도 1 및 도 8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파지장치부(20)의 경사이동기구(26)은, 버섯 송이(1)를 파지장치부(20)에 의한 파지를 해제시켜서 버섯 송이용 반송라인(60) 상으로 낙하시키는 경우, 뽑혀진 버섯 송이(1)를 횡방향으로 눕혀서 낙하시키도록 파지장치부(20)를 실질적으로 90도 반송 방향으로 경사이동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경사이동 액츄에이터(28)에 의하여 회전 구동된다. 이들에 의하여 버섯 송이(1)를 상처 없이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수확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생장한 복수 개의 버섯 송이(1)와 같이 반송되는 버섯 재배용 반송용기(2)가, 반송장치부(10)에 의하여 간헐적으로 반송된다(도 1). 피반송용기(2)는 승강이동기구(30)의 승강위치의 바로 앞에서 정지되고, 한 쌍의 유지편 장치부(15)에 의하여 유지된다(도 1 및 도 2). 이때 승강이동기구(30)에 의하면, 파지부재(21)가 생장입구부(4)의 상부 주연보다 근소하게 높은 위치에 있는 버섯송이(1)의 뿌리부분이 파지되는 위치까지 낙하하여 있다(도 1, 도 3 및 도 7).
그리고 수평이동기구(40)에 의하여, 버섯 송이(1)의 뿌리부분으로, 파지부재(21)가 수평으로 삽입된다(도 5). 그리고 파지장치부(20)(도 6)가 동작하여, 한 쌍을 이루는 파지부재(21)의 간격을 좁혀서 버섯 송이(1)의 뿌리부분을 파지한다. 다음에 경사이동기구(26)가 버섯 송이(1)의 뿌리부분을 피반송용기(2)의 반송방향과 그 반송방향의 역방향으로 왕복하여 경사시킨다(도 7). 이러한 경사이동 동작에 의하여 배지에서 분리된 버섯 송이(1)는 승강이동기구(30)에 의하여 상승한 후, 상승을 정지한다.
그 후 수평이동기구(40)는 버섯의 송이용 반송라인(60) 상에서 버섯 송이(1)를 이동시키고(도 1 및 도 8), 파지장치부(20)를 90도 반송 방향으로 경사시키며, 그 후 파지를 해제시켜서, 버섯 송이(1)를 황빙향으로 눕혀서 버섯 송이용 반송 라인(60) 상으로 낙하시킨다(도 1 및 도 8).
버섯 송이(1)는, 동시에 복수 개의 버섯 송이용 반송라인(60) 상으로 낙하되고, 피반송용기용 반송라인(11)의 가로 방향으로 이동되며, 그 후 하나씩 피반송용기용 반송라인(11)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버섯 송이용 반송라인을 이동되어 간다(도 8). 그리고 반송방향의 말단부에서 버섯 송이(1)의 묶음 작업, 상자 작업 등의 작업이 수행된다. 그리고 버섯 송이(1)가 전부 뽑혀진 피반송용기(2)는, 피반송용기용 반송라인(11)의 말단부에서 모여지거나, 반송개시부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도 8).
여기서 복수 개의 버것 재배병이 수납되어 있는 컨테이너를 피반송용기(2)로하여 반송시키면서 버섯 송이(1)를 수확하는 경우에는, 파지부재(21)의 동작에 의하여 버섯 재배병이 전도되거나 흔들거리지 않도록 그 버섯 재배병을 유지하는 기구를 추가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갈퀴 형상이나 격자 형상으로 설치되어, 버섯 재배병의 어께 부분으로 상방에서 접촉하여 누르는 유지기구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적절한 실시예를 예로 들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고,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당연한 것이다.
1 ..... 버섯 송이
2 ..... 피반송용기
3 ..... 용기형상부
4 ..... 생장입구부
10 ..... 반송장치
11 ..... 피반송용기용 반송라인
15 ..... 한 쌍의 유지편 장치부
16 ..... 신축아암
20 ..... 파지장치부
21 ..... 파지부재
22 ..... 파지부재 열
23 ..... 일방의 연결체
24 .... 타방의 연결체
25 ..... 실린더장치
26 .... 경사이동기구
28 ..... 경사이동액츄에이터
30 ,.... 승강이동기구
31 ..... 승강이동 직선가이드
32 ..... 승강이동체
40 ..... 수평이동기구
41 ..... 수평이동 직선가이드
42 ..... 수평이동체
50 ..... 파지장치부의 이동구동장치부
60 ..... 버섯 송이용 반송라인

Claims (5)

  1. 버섯 재배용 배지가 실질적으로 수용되는 용기형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형상부의 상면에 종횡으로 정렬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생장입구부에서 상방으로 생장한 복수 개의 버섯 송이와 같이 반송되는 버섯재배용의 피반송용기를, 간헐적으로 반송하는 반송장치부와;
    상기 반송장치부의 피반송용기용 반송라인 상의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피반송용기가 이동하지 않도록 피반송용기용 반송라인의 양 사이드에서 유지하는 한 상의 유지편장치부와;
    상기 한 쌍의 유지편장치부에 의하여 유지되는 피반송용기에서 복수 개의 버섯 송이를 동시에 수확하기 위하여, 각 버섯 송이의 뿌리부분으로 수평으로 삽입되어 버섯 송이를 파지하도록 한 쌍을 이루는 파지부재를 복수개 구비하는 파지부재 열이, 상기 피반송용기용 반송라인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파지장치부와;
    상기 파지장치부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이동기구 및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동기구를 구비하고, 복수의 버섯 송이를, 상기 파지장치부에서 동시에 파지하여 승강이동기구에 이하여 상승하는 것으로 뽑아내고, 뽑혀진 버섯 송이를 반송하는 버섯 송이용 반송라인 상으로 상기 수평이동기구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버섯 송이를 파지장치부에 의한 파지를 해제시키는 것으로 낙하시킨 후, 다시 한 쌍의 유지편장치부에 의하여 유지되는 피반송용기의 위치로 돌아가고, 버섯 송이를 수확하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구성되는 파지장치부의 이동구동장치부를 구비하는 버섯 수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 송이를 피반송용기에서 뽑는 경우, 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파지한 버섯 송이의 뿌리부분을 피반송용기의 반송방향과 반송방향의 역방향으로 왕복하여 경사시키는 파지장치부의 경사이동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수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반송용기용 반송라인에서 2개소에 버섯 송이를 수확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유지편장치부와, 파지장치부 및 이동구동장치부를 2개소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수확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유지편 장치부는, 파지부재의 삽입방향에 대하여 피반송용기의 측면을 경사지게 받아 유지하도록, 경사진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수확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장치부의 경사이동기구가, 버섯 송이를 상기 파지장치부에 의한 파지를 해제시켜서 버섯 송이용 반송라인 상으로 낙하시키는 경우, 뽑혀진 버섯의 송이를 횡방향으로 눕혀서 낙하시키도록 파지장치부를 실질적으로 90도 반송방향으로 경사이동 시키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수확장치.



KR1020130068075A 2012-07-11 2013-06-14 버섯 수확장치 KR201400187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55381 2012-07-11
JP2012155381A JP2014014340A (ja) 2012-07-11 2012-07-11 きのこの収穫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785A true KR20140018785A (ko) 2014-02-13

Family

ID=49959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8075A KR20140018785A (ko) 2012-07-11 2013-06-14 버섯 수확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4014340A (ko)
KR (1) KR20140018785A (ko)
CN (1) CN10353515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69491B2 (ja) * 2016-03-03 2018-08-08 有限会社新潟システム制御 茸選別装置
CN105766207B (zh) * 2016-04-22 2018-09-25 湖北未来家园高科技农业有限公司 一种适应虫草菌自动化生产的采收装置
CN106612922A (zh) * 2016-11-30 2017-05-10 苏州市经纬农产品有限公司 一种袋栽菌菇采收剪
CN106688433A (zh) * 2016-11-30 2017-05-24 苏州市经纬农产品有限公司 一种全自动菌菇采收机
CN106472000A (zh) * 2016-11-30 2017-03-08 苏州市经纬农产品有限公司 一种菌菇采收装置
CN106973626A (zh) * 2017-04-28 2017-07-25 苏州市经纬农产品有限公司 一种菌菇采收装置
CN106954464A (zh) * 2017-04-28 2017-07-18 苏州市经纬农产品有限公司 一种全自动循环式菌菇栽培架
BE1025212B1 (nl) * 2017-05-08 2018-12-10 Delfort Comm. V. Inrichting voor het transporteren van paddenstoelen
CN108450245B (zh) * 2018-02-09 2023-12-22 烟台拓伟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蘑菇自动加工系统
CN108307936A (zh) * 2018-02-09 2018-07-24 烟台拓伟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蘑菇自动采摘系统
CN108770600A (zh) * 2018-05-22 2018-11-09 河北机电职业技术学院 金针菇采摘装置
CN108901640B (zh) * 2018-07-23 2020-08-18 黑龙江省乐丰科技有限公司 木耳流水线自动化采摘装置
CN108834769A (zh) * 2018-09-11 2018-11-20 吉林大学 一种蘑菇自动采集装置
CN109220576A (zh) * 2018-09-30 2019-01-18 山东省农业科学院农业资源与环境研究所 金针菇大批量采收设备及方法
CN108934792B (zh) * 2018-09-30 2023-08-01 济宁利马菌业有限公司 一种金针菇工厂化瓶栽的采收及废料回收系统
CN109618822B (zh) * 2018-12-12 2023-03-28 遵义溯源科技有限公司 姬菇采收装置
NL2027518B1 (en) * 2021-02-08 2022-09-09 Alexander Jozef Lemmen Jacobus Device for discharging mushrooms from a conveyor
CN115191288A (zh) * 2021-04-08 2022-10-18 临沂瑞泽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双孢菇生产方法及采摘装置
CN113615480A (zh) * 2021-08-11 2021-11-09 杜捷 一种绣球菌栽培基及其制备方法
CN115462282B (zh) * 2021-09-16 2024-05-03 山东农业大学 双孢菇工厂化生产的采摘机器人及采收方法
CN115462279B (zh) * 2021-09-16 2024-04-19 山东农业大学 菌菇疏蕾机器人末端执行器及疏蕾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1847U (ko) * 1989-10-23 1991-06-18
JP2000083473A (ja) * 1998-09-14 2000-03-28 Erumu:Kk 人工栽培茸取り出し装置
JP3236888B2 (ja) * 1998-12-14 2001-12-10 ホクト産業株式会社 キノコの自動収穫装置
JP3049288B1 (ja) * 1998-12-14 2000-06-05 ホクト産業株式会社 キノコの自動収穫装置
JP4518628B2 (ja) * 2000-06-13 2010-08-04 有限会社新潟システム制御 栽培茸採取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3235349A (ja) * 2002-02-22 2003-08-26 Niigata System Seigyo:Kk 栽培茸採取方法及びその装置
JP5302757B2 (ja) * 2008-07-07 2013-10-02 ユーロ 株式会社 きのこ栽培用容器及びきのこ栽培用の子実体ガイド
KR101029338B1 (ko) * 2008-12-29 2011-04-13 경기도농업기술원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
KR100930868B1 (ko) * 2009-03-06 2009-12-10 (주)삼우엔지니어링 배양 트레이에 식재된 배양물을 자동 채취하는 장치
JP5481734B2 (ja) * 2010-01-20 2014-04-23 克則 柄澤 キノコの収穫方法、キノコの収穫装置及びキノコの収穫用リング
CN201947691U (zh) * 2010-12-02 2011-08-31 上海高榕食品有限公司 金针菇自动采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14340A (ja) 2014-01-30
CN103535155A (zh) 201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8785A (ko) 버섯 수확장치
EP355247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cing plant bulbs
KR101238176B1 (ko)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
KR101029338B1 (ko)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
JP5000135B2 (ja) 自動化プランター
CN110831430A (zh) 用于输送蘑菇的设备
JP2020048548A (ja) 収穫装置
KR100930868B1 (ko) 배양 트레이에 식재된 배양물을 자동 채취하는 장치
JP3236888B2 (ja) キノコの自動収穫装置
EP1621061B1 (en) Harvesting device
JP3049288B1 (ja) キノコの自動収穫装置
JPH08140478A (ja) 収穫装置
WO2006068518A1 (en) Seedling transplanting head
CN113348976B (zh) 一种丛生食用菌采摘装置及使用方法
EP3788867A1 (en) A system for automatically arranging flower bouquets
JP3047041B1 (ja) キノコの自動収穫装置
KR200249894Y1 (ko) 포트재배용 자동 이식기
CN218417362U (zh) 根茎作物采收装置
JP4117833B2 (ja) 植物収穫方法および装置
CN113348977B (zh) 一种香菇夹取机构、采摘装置及使用方法
CN214930928U (zh) 一种适用于草莓采摘机的装盒装置和采摘机
CN220654254U (zh) 瓶栽食用菌自动采收削根机
CN214709260U (zh) 食用菌采摘装置
AU2003304392B2 (en) Automated planter
JPH08205684A (ja) 仮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