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9338B1 -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 - Google Patents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9338B1
KR101029338B1 KR1020080135954A KR20080135954A KR101029338B1 KR 101029338 B1 KR101029338 B1 KR 101029338B1 KR 1020080135954 A KR1020080135954 A KR 1020080135954A KR 20080135954 A KR20080135954 A KR 20080135954A KR 101029338 B1 KR101029338 B1 KR 101029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ushroom
cylinder
plate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5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7881A (ko
Inventor
하태문
주영철
장형근
Original Assignee
경기도농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도농업기술원 filed Critical 경기도농업기술원
Priority to KR1020080135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9338B1/ko
Publication of KR20100077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7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70Harves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80Accessories for use after harvesting, e.g. scrapers

Abstract

본원 발명은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섯의 불필요한 뿌리 부분을 절단하여 상품가치를 증대시킴은 물론, 신속하게 버섯의 뿌리 부분을 절단할 수 있음으로 수확노동력 절감 및 생산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원 발명은, 가이드 판의 가이드 홀 상면에 놓여 있는 재배용 상자를 전방으로 이동하게 밀어주는 이동바가 구비된 이송용 실린더와 상기 이송용 실린더의 상면 둘레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판의 스토퍼 홀로 이동하면서 재배용 상자를 정지하도록 하는 스토퍼바가 구비된 스토퍼 실린더와 상기 재배용 상자가 초기 위치에서 종료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설정하여 주는 이송대기 위치센서로 구비된 정지수단과, 상기 가이드 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된 수직홀과 상기 수직홀의 하면에 상응되어 커팅된 버섯을 수확하는 버섯수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면에 좌, 우 방향으로 이동하며 용기 둘레를 고정한 상태에서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용기압착 실린더 후진센서가 구비된 용기압착 실린더와 상기 용기압착 실린더에서 입, 출입되는 로드 끝단에 구비되고 용기 둘레를 밀착하게 집을 수 있는 제1용기집게 모듈이 구비된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의 상면에 구비되고 용기에 안착된 버섯이 커팅된 상태에서 위쪽으로 들어 올리는 분리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 상기 이송부와 고정부 둘레에 수직 으로 구비되는 가이드 축과 상기 가이드 축 둘레에 구비된 제1이송판과 상기 제1이송판의 하면에 구비된 제2이송판과, 상기 제1이송판과 제2이송판을 승, 하강시키는 수확모듈구동모터와 상기 수확모듈구동모터의 타측 중앙에서 아래 방향으로 설치되는 위치 조절바와 상기 위치 조절바가 하강할 때 설정한 위치까지 조절하는 수확모듈 다운센서와 상기 위치 조절바가 하강이 끝단 후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수확모듈 업센서가 구비된 위치 조절센서로 이루어지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이 하강하면서 용기에 있는 버섯의 뿌리 부분을 절단하는 커팅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커팅부; 및 상기 이송부, 고정부 및 커팅부에 온/오프(ON/OFF) 신호를 전송하여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송부, 고정부, 커팅부, 제어부

Description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AUTOMATIC DEVICE FOR HARVESTING MUSHROOM IN A BOTTLE}
본원 발명은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섯의 불필요한 뿌리 부분을 절단하여 상품가치를 증대시킴은 물론, 신속하게 버섯의 뿌리 부분을 절단할 수 있음으로 수확노동력 절감 및 생산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버섯과 같은 작물은 인공으로 재배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균상을 이용한 균상재배, 상자재배, 봉지재배법과 병재배 법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병재배 법은 다른 재배법과 달리 재배사의 냉난방 시설을 완벽하게 외기의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년 중 계획적인 생산 재배가 가능하며, 기계화하여 품질이 균일하고, 또한 주요 재배작업을 자동화로 처리할 수 있어서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고 작업환경도 깨끗이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재배농가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병재배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배지재료로 톱밥, 비트펄프, 면실 박, 미강 등을 혼합하고 수분을 조절한 다음 이를 배양병에 입병하고 마개로 막는다. 그 다음 버섯균만 잘 자라도록 배지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미생물을 살균기에서 살균하고, 종균접종실에서 재배하고자 하는 버섯균을 접종한다. 그리고 배양실에서 균사를 적당한 정도로 배양하고, 종균배양이 완료되면 병뚜껑을 열고 배지표면을 긁어내어 자실체 발생을 촉진시킨다. 이와 같이 균긁기 작업이 완료된 병배지를 뚜껑을 열어둔 상태로 재배사에 배치하여 원하는 버섯을 생육시키게 된다.
위와 같은 병재배 과정에서 대부분의 과정이 자동화 되어 있어나 수확작업만 인력에 의존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병재배 농가에서 일일 수확 평균작업량은 5,000(병/1인)이며, 인력에 의한 버섯수확 작업은 작업자의 손목, 어깨 등 신체부위의 피로도 증가 및 손상을 유발하기도 하며,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인력에 의한 버섯수확 작업시 버섯의 갓이 부서져 품질이 나빠지며 수확 후 자투리가 약 3∼5% 정도가 남아 수율이 낮아진다.
본원 발명은, 병버섯의 자실체와 배지가 연결된 부분을 절단하여 자동으로 수확하여 상품가치를 높임은 물론, 작업자의 피로도를 경감시키고 작업시간 단축 및 생산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한다.
본원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송부, 고정부, 커팅부 및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로 구성됨으로써, 용기에서 자란 버섯 등을 자동으로 수확함으로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를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구동모터, 제1하우징, 칼날 및 칼날 안배부로 이루어지는 커팅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써, 제1구동모터 하부에 연결된 스핀들이 회전됨과 동시에 칼날이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어 버섯의 뿌리 부분을 절단할 수 있는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를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실린더, 제1,2,3지지대 및 제1실린더 하강센서로 이루어지는 버섯수확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써, 고정대가 승강하여 절단된 버섯에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제1실린더의 피스톤 헤드가 하강한 후 수확상자에 일정한 간격으로 버섯을 안착할 수 있는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를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 플레이트, 용기압착 실린더 및 제1용기집게 모듈을 포함하는 고정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써, 용기압착 실린더에 구비된 제1용기집게 모듈의 작동에 의해 재배용 상자 내에 놓여 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기 둘레를 흔들리지 않게 고정할 수 있는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를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잡기/뽑기 모듈용 실린더, 케이스 및 버섯잡기 실린더를 포함하는 분리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써, 커팅수단에 의해 절단된 버섯의 뿌리와 대응되는 부분을 제2용기집게 모듈이 밀착한 초기 위치에서 종료 위치까지 승강시켜 버섯과 배지를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 초기 설정된 위치까지 복귀할 수 있는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를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확모듈구동모터, 위치 조절바 및 위치 조절센서로 이루어지는 이송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써, 수확모듈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위치 조절바가 승, 하강하는 것을 위치 조절센서가 감지함에 따라 버섯을 커팅 하거나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를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송용 실린더, 스토퍼 실린더 및 이송대기 위치센서를 포함하는 정지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써, 이송대기 위치센서의 감지에 의해 가이드 판에 놓인 재배용 상자를 이동바가 이동하여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스토퍼바가 승강하여 재배용 상자를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원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과제 해결 수단과 관련하여,
본원 발명은, 가이드 판의 가이드 홀 상면에 놓여 있는 재배용 상자를 전방으로 이동하게 밀어주는 이동바가 구비된 이송용 실린더와 상기 이송용 실린더의 상면 둘레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판의 스토퍼 홀로 이동하면서 재배용 상자를 정지하도록 하는 스토퍼바가 구비된 스토퍼 실린더와 상기 재배용 상자가 초기 위치에서 종료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설정하여 주는 이송대기 위치센서로 구비된 정지수단과, 상기 가이드 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된 수직홀과 상기 수직홀의 하면에 상응되어 커팅된 버섯을 수확하는 버섯수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면에 좌, 우 방향으로 이동하며 용기 둘레를 고정한 상태에서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용기압착 실린더 후진센서가 구비된 용기압착 실린더와 상기 용기압착 실린더에서 입, 출입되는 로드 끝단에 구비되고 용기 둘레를 밀착하게 집을 수 있는 제1용기집게 모듈이 구비된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의 상면에 구비되고 용기에 안착된 버섯이 커팅된 상태에서 위쪽으로 들어 올리는 분리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 상기 이송부와 고정부 둘레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가이드 축과 상기 가이드 축 둘레에 구비된 제1이송판과 상기 제1이송판의 하면에 구비된 제2이송판과, 상기 제1이송판과 제2이송판을 승, 하강시키는 수확모듈구동모터와 상기 수확모듈구동모터의 타측 중앙에서 아래 방향으로 설치되는 위치 조절바와 상기 위치 조절바가 하강할 때 설정한 위치까지 조절하는 수확모듈 다운센서와 상기 위치 조절바가 하강이 끝단 후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수확모듈 업센서가 구비된 위치 조절센서로 이루어지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이 하강하면서 용기에 있는 버섯의 뿌리 부분을 절단하는 커팅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커팅부; 및 상기 이송부, 고정부 및 커팅부에 온/오프(ON/OFF) 신호를 전송하여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원 발명의 다른 발명은, 상기 커팅수단은, 상기 제1이송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스핀들이 구비된 제1구동모터; 상기 제1구동모터의 스핀들 하단 둘레 부분에 삽입되도록 제2이송판에 형성된 회전홀로 이루어지는 제1하우징; 및 상기 회전홀에 삽입되어 스핀들의 둘레를 감싸는 종동 하우징과 상기 스핀들 하단에 고정되어 칼날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칼날 안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발명은, 상기 버섯수확수단은, 피스톤 헤드가 형성된 제1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의 상면에 수평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는 제1지지대; 상기 제1지지대의 상면과 피스톤 헤드의 끝단에 수평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는 제2지지대; 상기 제2지지대에 수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대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대의 둘레를 고정하도록 제2하우징이 구비되는 제3지지대; 및 상기 고정대 둘레에 고정된 버섯을 하강하면서 수확상자에 안착할 수 있도록 설정하여 주는 제1실린더 하강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발명은,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용기압착 실린더의 상면에 구비되고, 칼날에 의해 잘린 버섯을 잡거나 뽑기 위한 잡기/뽑기 모듈용 실린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면에 밀착되며, 상기 잡기/뽑기 모듈용 실린더의 로드에 의해 좌, 우로 이동되는 이동 플레이트;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상면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이동축을 따라 승, 하강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모터가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버섯의 목 부분을 잡아 주도록 쐐기 턱 형상의 집계부가 구비된 제2용기집게 모듈을 이동하게 하는 버섯잡기 실린더; 및 상기 제2용기집게 모듈이 작동에 의해 용기 둘레를 고정한 상태에서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버섯 뽑기 후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원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수확 가능한 버섯의 불필요한 뿌리 부분을 절단하여 상품가치를 증대시킴은 물론, 신속하게 버섯의 뿌리 부분을 절단할 수 있음으로 작업시간 단축 및 생산능률을 증대시킬 수 있는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두 번째, 이송부, 고정부, 커팅부 및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로 구성됨으로써, 용기에서 자란 버섯 등을 자동으로 수확함으로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세 번째, 제1구동모터, 제1하우징, 칼날 및 칼날 안배부로 이루어지는 커팅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써, 제1구동모터 하부에 연결된 스핀들이 회전됨과 동시에 칼날이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어 버섯의 뿌리 부분을 절단할 수 있는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네 번째, 제1실린더, 제1,2,3지지대 및 제1실린더 하강센서로 이루어지는 버섯수확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써, 고정대가 승강하여 절단된 버섯에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제1실린더의 피스톤 헤드가 하강하여 수확상자에 균일한 간격으로 버섯을 안착할 수 있는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다섯 번째, 고정 플레이트, 용기압착 실린더 및 제1용기집게 모듈을 포함하는 고정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써, 용기압착 실린더에 구비된 제1용기집게 모듈의 작동에 의해 재배용 상자 내에 놓여 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기 둘레를 흔들리지 않게 고정할 수 있는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여섯 번째, 잡기/뽑기 모듈용 실린더, 케이스 및 버섯잡기 실린더를 포함하는 분리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써, 커팅수단에 의해 절단된 버섯의 뿌리와 대응되는 부분을 제2용기집게 모듈이 밀착한 초기 위치에서 종료 위치까지 승강시켜 버섯과 배지를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 초기 설정된 위치까지 복귀할 수 있는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일곱 번째, 수확모듈구동모터, 위치 조절바 및 위치 조절센서로 이루어지는 이송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써, 수확모듈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위치 조절바가 승, 하강하는 것을 위치 조절센서가 감지함에 따라 버섯을 커팅하거나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여덟 번째, 이송용 실린더, 스토퍼 실린더 및 이송대기 위치센서를 포함하는 정지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써, 이송대기 위치센서의 감지에 의해 가이드 판에 놓인 재배용 상자를 이동바가 이동하여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스토퍼바가 승강하여 재배용 상자를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림이고, 도 2는 본원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원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원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의 구성 중 커팅수단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a는 커팅수단의 칼날이 초기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커팅수단의 칼날이 외부로 배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커팅수단을 각 구성을 분리한 도면이고, 도 6은 본원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의 구성 중 버섯수확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버섯수확수단의 작동에 의해 버섯을 수확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원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의 구성 중 고정수단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고정수단의 일측 용기압착 실린더가 작동하여 용기를 밀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고정수 단의 타측 용기압착 실린더가 작동하여 용기를 밀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8의 제1병집게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원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의 구성 중 분리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도 10의 분리수단의 작동에 의해 커팅된 버섯을 뽑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커팅된 버섯 사이에 제2용기집게 모듈이 삽입된 도면이고, (b)는 버섯을 올리는 과정이며, (c)는 커팅된 버섯을 뽑아 완전히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0의 제2용기집게 모듈을 도면으로서, (a)는 제2용기집게 모듈이 버섯을 잡기 전 초기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제2용기집게 모듈이 버섯에 밀착된 종료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원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 구성 중 이동수단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3a는 위치 조절바가 하강되기 전 초기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b는 위치 조절바가 하강되어 종료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는 본원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 구성 중 정지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원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를 이용하여 버섯을 재배하는 과정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원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는 가이드 판(110)의 가이드 홀(112) 상면에 놓여 있는 재배용 상자(500)를 전방으로 이동하게 밀어주는 이동바(142)가 구비된 이송용 실린더(141)와 상기 이송용 실린더(141)의 상면 둘레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판(110)의 스토퍼 홀(113)로 이동하면서 재배용 상자(500)를 정지하도록 하는 스토퍼바(144)가 구비된 스토퍼 실린더(143)와 상기 재배용 상자(500)가 초기 위치에서 종료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설정 하여 주는 이송대기 위치센서(145)로 구비된 정지수단(140)과, 상기 가이드 판(1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된 수직홀(111)과 상기 수직홀(111)의 하면에 상응되어 커팅된 버섯을 수확하는 버섯수확수단(180)으로 이루어지는 이송부(100)와, 상기 이송부(100)의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211)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211)의 상면에 좌, 우 방향으로 이동하며 용기(600) 둘레를 고정한 상태에서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용기압착 실린더 후진센서(213)가 구비된 용기압착 실린더(212)와 상기 용기압착 실린더(212)에서 입, 출입되는 로드 끝단에 구비되고 용기(600) 둘레를 밀착하게 집을 수 있는 제1용기집게 모듈(214)이 구비된 고정수단(210)과, 상기 고정수단(210)의 상면에 구비되고 용기(600)에 안착된 버섯이 커팅된 상태에서 위쪽으로 들어 올리는 분리수단(250)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200)와, 상기 이송부(100)와 고정부(200) 둘레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가이드 축(310)과 상기 가이드 축(310) 둘레에 구비된 제1이송판(311)과 상기 제1이송판(311)의 하면에 구비된 제2이송판(312)과, 상기 제1이송판(311)과 제2이송판(312)을 승, 하강시키는 수확모듈구동모터(341)와 상기 수확모듈구동모터(341)의 타측 중앙에서 아래 방향으로 설치되는 위치 조절바(342)와 상기 위치 조절바(342)가 하강할 때 설정한 위치까지 조절하는 수확모듈 다운센서(344)와 상기 위치 조절바(342)가 하강이 끝단 후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수확모듈 업센서(345)가 구비된 위치 조절센서(343)로 이루어지는 이동수단(340)과, 상기 이동수단(340)이 하강하면서 용기(600)에 있는 버섯의 뿌리 부분을 절단하는 커팅수단(380)으로 이루어지는 커팅부(300)와, 상기 이송부(100), 고 정부(200) 및 커팅부(300)에 온/오프(ON/OFF) 신호를 전송하여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송부(100)는'
Figure 112008090070907-pat00001
'형상의 가이드 판(110)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판(1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수직홀(111) 내측 둘레에 버섯수확수단(180)의 고정대(186)가 승, 하강되면서 뿌리가 절단된 버섯을 위쪽에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여 수확상자(900)에 안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100)의 가이드 판(110)은 재배용 상자(500)를 전면으로 밀수 있도록 가이드 홀(112))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홀(112)과 대응되는 부분에 재배용 상자(500)를 멈춤 수 있는 스토퍼 홀(113)이 더 구비됨으로써, 재배용 상자(500)에 놓인 버섯의 뿌리 부분과 배지 부분을 커팅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부(200)는 이송부(100)의 양측 상부와 제어부(400)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판(110)에 놓인 재배용 상자(50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기(600) 둘레를 고정수단(210)의 제1용기집게 모듈(214)이 밀착하여 용기(60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1용기집게 모듈(214)이 고정한 상태에서 커팅수단(380)의 작동에 의해 뿌리 부분과 배지 부분이 커팅된 버섯을 분리수단(250)의 제2용기집게 모듈(257)로 밀착하여 분리한다.
상기 커팅부(300)는 이송부(100)와 고정부(200) 둘레에 수직으로 가이드 축(310)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축(310) 둘레에 제1이송판(311)과 상기 제1이송 판(311)의 하면에 상응되는 위치에 제2이송판(31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이송판(311)과 제2이송판(312)을 승, 하강시키는 이동수단(340)이 구비되며, 상기 이동수단(340)이 하강하면서 용기(600)에 있는 버섯의 뿌리 부분과 배지 부분을 절단하는 커팅수단(380)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이동수단(340)과 커팅수단(380)이 하강하면서 재배용 상자(500)의 용기(600)에 있는 버섯의 뿌리 부분과 배지 부분을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이송부(100)의 일측 또는 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송부(100), 고정부(200) 및 커팅부(300)의 각 구성으로 온/오프(ON/OFF) 신호를 전송하여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에는 버섯을 커팅 할 때 수동모드 및 자동모드를 작업자가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원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의 구성 중 상기 커팅수단(380)은, 상기 제1이송판(311)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스핀들(382)이 구비된 제1구동모터(381)와, 상기 제1구동모터(381)의 스핀들(382) 하단 둘레 부분에 삽입되도록 제2이송판(312)에 형성된 회전홀(384)로 이루어지는 제1하우징(383)과, 상기 회전홀(384)에 삽입되어 스핀들(382)의 둘레를 감싸는 종동 하우징(385)과 상기 스핀들(382) 하단에 고정되어 칼날(387)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388)가 형성된 칼날 안내부(38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팅수단(380)은 가이드 판(110)에 재배용 상자(500)가 놓여 있는 상태에서, 제1이송판(311)과 제2이송판(312)이 초기 위치에서 가이드 축(310)을 따라 하강한다. 그리고, 상기 제2이송판(312)이 멈춘 과정에서 제1이송판(311)이 아래 방향으로 하강한다. 그런 후, 상기 제1구동모터(381)에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스핀들(382)이 회전되고, 회전되는 스핀들(382)에 설치된 칼날(387)이 칼날 안내부(386)의 배출구(38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용기(600)에 있는 버섯의 뿌리 부분과 배지 부분을 절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커팅수단(380)은 칼날(387)이 버섯의 뿌리 부분과 배지 부분을 커팅하도록 제어하는 칼날 취출센서(389)와, 상기 칼날(387)이 버섯의 뿌리 부분과 배지 부분을 커팅한 후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제어하는 칼날 회수센서(3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칼날 취출센서(389)가 상기 종동 하우징(385)이 버섯의 뿌리 부분에 밀착되면서 버섯을 커팅하고, 버섯의 커팅이 끝난 후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칼날 회수센서(390)에서 신호를 제1구동모터(381)에 전송하여 칼날(387)이 배출구(388) 안으로 복귀할 수 있다.
또, 상기 칼날(387)은 제1구동모터(381)의 구동에 의해 배출구(38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버섯의 뿌리 부분과 배지 부분을 커팅하도록 플렉시블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제1구동모터(381), 제1하우징(383), 칼날(387) 및 칼날 안내부(386)로 이루어지는 커팅수단(380)을 더 구비함으로써, 제1구동모터(381) 하부에 연결된 스핀들(382)이 회전됨과 동시에 칼날(387)이 배출구(388)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어 버섯의 뿌리 부분과 배지 부분을 절단함에 따라 생산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과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원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의 구성 중 상기 버섯수확수단(180)은, 피스톤 헤드(182)가 형성된 제1실린더(181)와, 상기 제1실린더(181)의 상면에 수평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는 제1지지대(183)와, 상기 제1지지대(183)의 상면과 피스톤 헤드(182)의 끝단에 수평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는 제2지지대(184)와, 상기 제2지지대(184)에 수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대(186)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대(186)의 둘레를 고정하도록 제2하우징(187)이 구비되는 제3지지대(185)와, 상기 고정대(186) 둘레에 고정된 버섯을 하강하면서 수확상자(900)에 안착할 수 있도록 설정하여 주는 제1실린더 하강센서(18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섯수확수단(180)은, 제1실린더(181)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압으로 피스톤 헤드(182)가 승강하면서 제2지지대(184)도 승강한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대(184)에 구비된 고정대(186)가 승강하면서 가이드 판(110)의 수직홀(111)의 내측 둘레를 따라 버섯의 아래 부분에 형성된 홀(커팅수단(380)의 스핀들(382)의 회전에 의해 버섯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구멍)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런 후, 상기 제1실린더 하강센서(188)에서 제1실린더(181)에 신호를 보내면 피스톤 헤드(182)가 하강됨과 동시에 제2지지대(184)와 고정대(186)가 아래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수확상자(900)에 버섯이 일정한 간격으로 안착되도록 한다.
즉, 버섯수확수단(180)은 제1실린더(181), 제1,2,3지지대(183,184,185), 고정대(186) 및 제1실린더 하강센서(188)로 구비된 것으로서, 고정대(186)가 승강하여 절단된 버섯에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제1실린더(181)의 피스톤 헤드(182)가 하 강하여 수확상자(900)에 균일한 간격으로 안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 과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원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의 구성 중 상기 고정수단(210)은, 상기 이송부(100)의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211)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211)의 상면에 좌, 우 방향으로 이동하며, 용기(600) 둘레를 고정한 상태에서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용기압착 실린더 후진센서(213)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용기압착 실린더(212)와, 상기 용기압착 실린더(212)에서 입, 출입되는 로드 끝단에 구비되고, 용기(600) 둘레를 밀착하게 집을 수 있는 제1용기집게 모듈(2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수단(210)은 이송부(100)의 양측에 고정 플레이트(211)에 장착되고, 상기 용기압착 실린더(212)의 로드 끝단에 구비된 제1용기집게 모듈(214)이 좌, 우로 이동되면서 용기(600) 둘레를 고정한 후, 용기압착 실린더(212)에 장착된 용기압착 실린더 후진센서(213)의 감지로 인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용기집게 모듈(214)의 형상은 용기(600) 둘레를 고정할 수 있도록 민자'ㅡ'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고정수단(210)은 고정 플레이트(211), 용기압착 실린더(212), 제1용기집게 모듈(214) 및 용기압착 실린더 후진센서(213)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용기압착 실린더(212)에 구비된 제1용기집게 모듈(214)의 작동에 의해 재배용 상자(500) 내에 놓여 진 용기(600) 둘레를 흔들리지 않게 고정할 수 있음에 따라 작 업 효율을 증대시킴은 물론, 작업이 끝난 후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 과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원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의 구성 중 상기 분리수단(250)은, 상기 용기압착 실린더(212)의 상면에 구비되고, 칼날(387)에 의해 잘린 버섯을 잡거나 뽑기 위한 잡기/뽑기 모듈용 실린더(251)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211)의 상면에 밀착되며, 상기 잡기/뽑기 모듈용 실린더(251)의 로드에 의해 좌, 우로 이동되는 이동 플레이트(252)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252)의 상면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이동축(255)을 따라 승, 하강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모터(254)가 구비된 케이스(253)와, 상기 케이스(253)에 구비되어 버섯의 목 부분을 잡아 주도록 쐐기 턱(259) 형상의 집계부(258)가 구비된 제2용기집게 모듈(257)을 이동하게 하는 버섯잡기 실린더(256)와, 상기 제2용기집게 모듈(257)이 작동에 의해 용기(600) 둘레를 고정한 상태에서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버섯 뽑기 후진센서(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리수단(250)은 잡기/뽑기 모듈용 실린더(251)의 로드와 이동 플레이트(252)가 이송되면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252) 상면의 케이스(253)에 장착된 제2구동모터(254)가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2구동모터(254)의 회전에 의해 버섯잡기 실린더(256)의 제2용기집게 모듈(257)이 승강하면서 커팅된 버섯을 상승시킨다. 그런 후, 가이드 판(110)에 수확상자(900)를 놓고, 버섯 뽑기 후진센서(260)가 감지하여 용기(600) 둘레를 잡은 상태에서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용기집게 모듈(257)은 용기(600) 둘레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쐐기 턱(259)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분리수단(250)은 잡기/뽑기 모듈용 실린더(251), 케이스(253), 버섯잡기 실린더(256), 제2용기집게 모듈(257) 및 버섯 뽑기 후진센서(260)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커팅수단(380)에 의해 절단된 버섯의 뿌리와 대응되는 부분을 제2용기집게 모듈(257)이 밀착한 초기 위치에서 종료 위치까지 승강시켜 버섯의 뿌리 부분과 배지 부분을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 초기 설정된 위치까지 복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3 과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원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의 구성 중 상기 이동수단(340)은, 수확모듈구동모터(341)와, 상기 수확모듈구동모터(341)의 타측 중앙에서 아래 방향으로 설치되는 위치 조절바(342)와, 상기 위치 조절바(342)가 하강할 때 설정한 위치까지 조절하는 수확모듈 다운센서(344)와, 상기 위치 조절바(342)가 하강이 끝난 후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수확모듈 업센서(345)로 이루어지는 위치 조절센서(3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수단(340)은 상기 수확모듈구동모터(341)의 정회전에 의해 위치 조절바(342)가 상기 수확모듈 다운센서(344)에 설정된 위치까지 하강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 조절바(342)가 하강되면서 고정부(200)와 커팅부(300)도 동시에 하강된다. 그런 후, 상기 커팅수단(380)의 작동에 의해 버섯을 커팅하고 나면 상기 수확모듈 업센서(345)에서 신호를 인가하여 수확모듈구동모터(341)의 역회전에 의해 위치 조절바(342)가 승강함과 동시에 고정부(200)와 커팅부(300)도 승강한다.
즉, 상기 이동수단(340)은 수확모듈구동모터(341), 위치 조절바(342) 및 위 치 조절센서(343)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수확모듈구동모터(341)의 구동에 의하여 위치 조절바(342)가 승, 하강하는 것을 위치 조절센서(343)가 감지함에 따라 버섯을 커팅하거나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원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의 구성 중 상기 정지수단(140)은, 상기 가이드 판(110)의 가이드 홀(112)에 놓여 있는 재배용 상자(500)를 전방으로 이동하게 밀어주는 이동바(142)로 구비된 이송용 실린더(141)와, 상기 이송용 실린더(141)의 상면 둘레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판(110)의 스토퍼 홀(113)로 이동하면서 재배용 상자(500)를 정지하도록 하는 스토퍼바(144)로 구비된 스토퍼 실린더(143)와, 상기 재배용 상자(500)가 초기 위치에서 종료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설정하여 주는 이송대기 위치센서(1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정지수단(140)은 이송용 실린더(141), 스토퍼 실린더(143) 및 이송대기 위치센서(145)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이송대기 위치센서(145)의 감지에 의해 가이드 판(110)에 놓인 재배용 상자(500)를 이동바(142)가 이동하여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스토퍼바(144)가 승강하여 재배용 상자(500)를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판(110)의 일측에 장착되며, 버섯 유무를 확인하는 버섯 확인센서(700)와, 상기 용기(600) 내에 버섯이 안착되어 있는 재배용 상자(500)의 유무를 확인하는 재배용 상자 확인센서(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버섯 확인센서(700)는 용기(600) 내에 버섯의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고, 상기 재배용 상자 확인센서(800)는 재배용 상자(500)가 있는지 혹은 없는 것을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에 의해 버섯을 수확하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원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는 가이드 판(110) 내에 재배용 상자(500)를 놓으면, 상기 가이드 판(110) 하면에 장착된 이송대기 위치센서(145)에서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판(110)의 가이드 홀(112)에 돌출되는 이동바(142)가 재배용 상자(500)의 후면을 밀어주고, 상기 가이드 판(110)의 스토퍼 홀(113)에서 재배용 상자(500)를 멈추도록 스토퍼바(144)가 돌출된다.
그런 후, 상기 고정수단(210)의 용기압착 실린더(212)에 장착된 제1용기집게 모듈(214)이 용기(600) 둘레를 고정하고, 상기 분리수단(250)의 버섯잡기 실린더(256)에 구비된 제2용기집게 모듈(257)이 용기(600)에 있는 버섯 뿌리 부분을 고정한다.
그런 다음, 상기 수확모듈구동모터(341)에 전원을 인가하여 위치 조절바(342)가 하강하면서, 동시에 상기 가이드 축(310)에 설치된 제1이송판(311)과 제2이송판(312)이 하강한다.
그리고, 제2이송판(312)은 현 위치를 유지하면서 제1이송판(311)이 하강함과 동시에, 커팅수단(380)의 제1구동모터(381)에 전원을 인가한 후, 인가된 전원에 의 해 스핀들(382)이 회전된다.
다음, 상기 스핀들(382)에 설치된 칼날(387)이 칼날 안내부(386)의 배출구(38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버섯 뿌리 부분과 배지 부분을 커팅한다.
그런 다음, 커팅된 버섯을 제2용기집게 모듈(257)이 집고난 후, 가이드 판(110) 하면에 장착된 버섯수확수단(180)의 고정대(186)가 가이드 판(110)의 수직홀(111) 내측 둘레를 따라 승강하여 스핀들(382)에 의해 형성된 버섯의 홀 부분에 삽입된다.
그런 후, 상기 고정수단(210)의 용기압착 실린더(212)에 구비된 제1용기집게 모듈(214)은 초기 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재배용 상자(500)를 외부로 배출하고 새로운 수확상자(900)를 가이드 판(110)에 놓는다.
다음, 상기 버섯수확수단(180)에 구비된 제1실린더 하강센서(188)에서 신호를 전송하여 제1실린더(181)의 피스톤 헤드(182)와 고정대(186)가 하강되면서 버섯을 수확상자(900)에 안착하게 한다.
그러므로, 본원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는 수확 가능한 버섯의 불필요한 뿌리 부분을 절단하여 상품가치를 증대시킴은 물론, 신속하게 버섯의 뿌리 부분을 절단할 수 있음으로 작업시간 단축 및 생산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원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원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림.
도 2는 본원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원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원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의 구성 중 커팅수단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a는 커팅수단의 칼날이 초기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커팅수단의 칼날이 외부로 배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커팅수단을 각 구성을 분리한 도면.
도 6은 본원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의 구성 중 버섯수확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버섯수확수단의 작동에 의해 버섯을 수확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원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의 구성 중 고정수단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고정수단의 일측 용기압착 실린더가 작동하여 용기를 밀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고정수단의 타측 용기압착 실린더가 작동하여 용기를 밀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의 제1병집게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원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의 구성 중 분리수단을 도시 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분리수단의 작동에 의해 커팅된 버섯을 뽑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커팅된 버섯 사이에 제2용기집게 모듈이 삽입된 도면이고, (b)는 버섯을 올리는 과정이며, (c)는 커팅된 버섯을 뽑아 완전히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0의 제2용기집게 모듈을 도면으로서, (a)는 제2용기집게 모듈이 버섯을 잡기 전 초기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제2용기집게 모듈이 버섯에 밀착된 종료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원 발명에 따른 작물 재배 자동 수확장치 구성 중 이동수단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3a는 위치 조절바가 하강되기 전 초기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b는 위치 조절바가 하강되어 종료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원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 구성 중 정지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원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를 이용하여 버섯을 재배하는 과정을 나타낸 그림.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이송부
110 : 가이드 판 111 : 수직홀
112 : 가이드 홀 113 : 스토퍼 홀
140 : 정지수단
141 : 이송용 실린더 142 : 이동바
143 : 스토퍼 실린더 144 : 스토퍼바
145 : 이송대기 위치센서
180 : 버섯수확수단
181 : 제1실린더 182 : 피스톤 헤드
183 : 제1지지대 184 : 제2지지대
185 : 제3지지대 186 : 고정대
187 : 제2하우징 188 : 제1실린더 하강센서
200 : 고정부
210 : 고정수단
211 : 고정 플레이트 212 : 용기압착 실린더
213 : 용기압착 실린더 후진센서
214 : 제1용기집게 모듈
250 : 분리수단
251 : 잡기/뽑기 모듈용 실린더 252 : 이동 플레이트
253 : 케이스 254 : 제2구동모터
255 : 이동축 256 : 버섯잡기 실린더
257 : 제2용기집게 모듈 258 : 집계부
259 : 쐐기 턱 260 : 버섯 뽑기 후진센서
300 : 커팅부
310 : 가이드 축 311 : 제1이송판
312 : 제2이송판
340 : 이동수단
341 : 수확모듈구동모터 342 : 위치 조절바
343 : 위치 조절센서
344 : 수확모듈 다운센서 345 : 수확모듈 업센서
380 : 커팅수단
381 : 제1구동모터 382 : 스핀들
383 : 제1하우징 384 : 회전홀
385 : 종동 하우징 386 : 칼날 안내부
387 : 칼날 388 : 배출구
389 : 칼날 취출센서 390 : 칼날 회수센서
400 : 제어부 500 : 재배용 상자
600 : 용기 700 : 버섯 확인센서
800 : 재배용 상자 확인센서 900 : 수확상자

Claims (4)

  1. 가이드 판의 가이드 홀 상면에 놓여 있는 재배용 상자를 전방으로 이동하게 밀어주는 이동바가 구비된 이송용 실린더와 상기 이송용 실린더의 상면 둘레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판의 스토퍼 홀로 이동하면서 재배용 상자를 정지하도록 하는 스토퍼바가 구비된 스토퍼 실린더와 상기 재배용 상자가 초기 위치에서 종료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설정하여 주는 이송대기 위치센서로 구비된 정지수단과, 상기 가이드 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된 수직홀과 상기 수직홀의 하면에 상응되어 커팅된 버섯을 수확하는 버섯수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면에 좌, 우 방향으로 이동하며 용기 둘레를 고정한 상태에서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용기압착 실린더 후진센서가 구비된 용기압착 실린더와 상기 용기압착 실린더에서 입, 출입되는 로드 끝단에 구비되고 용기 둘레를 밀착하게 집을 수 있는 제1용기집게 모듈이 구비된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의 상면에 구비되고 용기에 안착된 버섯이 커팅된 상태에서 위쪽으로 들어 올리는 분리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
    상기 이송부와 고정부 둘레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가이드 축과 상기 가이드 축 둘레에 구비된 제1이송판과 상기 제1이송판의 하면에 구비된 제2이송판과, 상기 제1이송판과 제2이송판을 승, 하강시키는 수확모듈구동모터와 상기 수확모듈구동모 터의 타측 중앙에서 아래 방향으로 설치되는 위치 조절바와 상기 위치 조절바가 하강할 때 설정한 위치까지 조절하는 수확모듈 다운센서와 상기 위치 조절바가 하강이 끝단 후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수확모듈 업센서가 구비된 위치 조절센서로 이루어지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이 하강하면서 용기에 있는 버섯의 뿌리 부분을 절단하는 커팅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커팅부; 및
    상기 이송부, 고정부 및 커팅부에 온/오프(ON/OFF) 신호를 전송하여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수단은,
    상기 제1이송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스핀들이 구비된 제1구동모터;
    상기 제1구동모터의 스핀들 하단 둘레 부분에 삽입되도록 제2이송판에 형성된 회전홀로 이루어지는 제1하우징; 및
    상기 회전홀에 삽입되어 스핀들의 둘레를 감싸는 종동 하우징과 상기 스핀들 하단에 고정되어 칼날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칼날 안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수확수단은,
    피스톤 헤드가 형성된 제1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의 상면에 수평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는 제1지지대;
    상기 제1지지대의 상면과 피스톤 헤드의 끝단에 수평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는 제2지지대;
    상기 제2지지대에 수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대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대의 둘레를 고정하도록 제2하우징이 구비되는 제3지지대; 및
    상기 고정대 둘레에 고정된 버섯을 하강하면서 수확상자에 안착할 수 있도록 설정하여 주는 제1실린더 하강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용기압착 실린더의 상면에 구비되고, 칼날에 의해 잘린 버섯을 잡거나 뽑기 위한 잡기/뽑기 모듈용 실린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면에 밀착되며, 상기 잡기/뽑기 모듈용 실린더의 로드에 의해 좌, 우로 이동되는 이동 플레이트;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상면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이동축을 따라 승, 하강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모터가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버섯의 목 부분을 잡아 주도록 쐐기 턱 형상의 집계부가 구비된 제2용기집게 모듈을 이동하게 하는 버섯잡기 실린더; 및
    상기 제2용기집게 모듈이 작동에 의해 용기 둘레를 고정한 상태에서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버섯 뽑기 후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
KR1020080135954A 2008-12-29 2008-12-29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 KR101029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954A KR101029338B1 (ko) 2008-12-29 2008-12-29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954A KR101029338B1 (ko) 2008-12-29 2008-12-29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881A KR20100077881A (ko) 2010-07-08
KR101029338B1 true KR101029338B1 (ko) 2011-04-13

Family

ID=42639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5954A KR101029338B1 (ko) 2008-12-29 2008-12-29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93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176B1 (ko) 2011-06-22 2013-02-28 경기도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
KR101351761B1 (ko) 2012-12-27 2014-01-14 김영애 버섯 절단 장치
WO2024077381A1 (en) * 2022-10-12 2024-04-18 Mycionics Inc. Box transfer apparatus and stem gripper for automated harvesting system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4340A (ja) * 2012-07-11 2014-01-30 Hitomi Support Co Ltd きのこの収穫装置
KR101586809B1 (ko) * 2014-01-06 2016-01-19 안병대 병버섯 수확장치용 버섯분리구
CN105165406B (zh) * 2015-10-14 2017-11-14 漳州市兴宝机械有限公司 食用菌液体接种插棒机
CN105210674B (zh) * 2015-10-14 2017-08-29 漳州市兴宝机械有限公司 食用菌接种机插棒装置
CN105684638B (zh) * 2016-04-07 2018-06-26 湖北未来家园高科技农业有限公司 一种适应虫草菌自动化生产的采收线
CN105766207B (zh) * 2016-04-22 2018-09-25 湖北未来家园高科技农业有限公司 一种适应虫草菌自动化生产的采收装置
CN108307936A (zh) * 2018-02-09 2018-07-24 烟台拓伟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蘑菇自动采摘系统
CN108450245B (zh) * 2018-02-09 2023-12-22 烟台拓伟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蘑菇自动加工系统
CN108834769A (zh) * 2018-09-11 2018-11-20 吉林大学 一种蘑菇自动采集装置
KR102542589B1 (ko) 2020-11-20 2023-06-12 에스피에프에이 주식회사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6716A (ja) * 1989-06-07 1991-10-22 Lock Buraito:Kk 茸切断装置
JP2001103839A (ja) 1999-10-09 2001-04-17 Tadao Ota 瓶栽培の茸の収穫と包装装置
JP2004208523A (ja) 2002-12-27 2004-07-29 Omori Mach Co Ltd ボトル栽培植物の刈り取り装置
JP2005185155A (ja) 2003-12-25 2005-07-14 Circle Iron Work Co Ltd 容器栽培茸の収穫装置と収穫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6716A (ja) * 1989-06-07 1991-10-22 Lock Buraito:Kk 茸切断装置
JP2001103839A (ja) 1999-10-09 2001-04-17 Tadao Ota 瓶栽培の茸の収穫と包装装置
JP2004208523A (ja) 2002-12-27 2004-07-29 Omori Mach Co Ltd ボトル栽培植物の刈り取り装置
JP2005185155A (ja) 2003-12-25 2005-07-14 Circle Iron Work Co Ltd 容器栽培茸の収穫装置と収穫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176B1 (ko) 2011-06-22 2013-02-28 경기도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
KR101351761B1 (ko) 2012-12-27 2014-01-14 김영애 버섯 절단 장치
WO2024077381A1 (en) * 2022-10-12 2024-04-18 Mycionics Inc. Box transfer apparatus and stem gripper for automated harvesting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881A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9338B1 (ko)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
KR20140018785A (ko) 버섯 수확장치
CN108934793A (zh) 一种能够保证金针菇品质的金针菇采收装置及方法
CN103782723B (zh) 一种气吸梳刷式冬枣采摘清选收获机
CN208836710U (zh) 金针菇大批量采收装置
KR102208758B1 (ko) 해조류 채취기
CN111642329A (zh) 一种适用于袋栽菌包的自动搔菌机与自动搔菌方法
KR101068818B1 (ko) 버섯재배용 자동 회전식 작업장치
CN108739070B (zh) 一种食用菌袋料栽培系统及方法
CN106472000A (zh) 一种菌菇采收装置
EP3709796B1 (en) Device and method to remove rejected eggs in hatcheries
CN106688433A (zh) 一种全自动菌菇采收机
JP2009038972A (ja) きのこの根切り装置
KR101586809B1 (ko) 병버섯 수확장치용 버섯분리구
CN112273059B (zh) 一种水培植物的采收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026910B1 (ko) 직선식 버섯배지의 입병장치
JP3236888B2 (ja) キノコの自動収穫装置
JP4598101B2 (ja) きのこ種菌接種装置
CN108739072B (zh) 一种食用菌袋料栽培的发菌培养线及发菌培养方法
CN110667962A (zh) 蔬果自动化拆袋设备
CN109220576A (zh) 金针菇大批量采收设备及方法
CN210882952U (zh) 蔬果自动化拆袋设备
CN210076048U (zh) 一种菠萝自动采摘设备
CN211931744U (zh) 金针菇栽培瓶的搔菌机
CN215912748U (zh) 一种液体栽培种生产用自动搔菌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