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6852A - 골프 클럽 헤드 - Google Patents

골프 클럽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6852A
KR20140016852A KR1020130090792A KR20130090792A KR20140016852A KR 20140016852 A KR20140016852 A KR 20140016852A KR 1020130090792 A KR1020130090792 A KR 1020130090792A KR 20130090792 A KR20130090792 A KR 20130090792A KR 20140016852 A KR20140016852 A KR 20140016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head
golf club
center
degr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6595B1 (ko
Inventor
히로시 아베
Original Assignee
던롭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던롭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던롭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6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66Heads wood-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33Heads with special sole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58Heads with non-uniform thickness of the impact face plat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52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with sli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08Heads characterised by specific dimensions, e.g.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37Heads with special crown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58Heads with non-uniform thickness of the impact face plate
    • A63B53/0462Heads with non-uniform thickness of the impact face plate characterised by tapering thickness of the impact face pl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중공 골프 클럽 헤드는, 페이스와 이 페이스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페이스 주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페이스 주변부에는 오목부 또는 슬릿으로 이루어진 토우측 강성 저감부 및 힐측 강성 저감부가 마련되며, 표준 상태에서, 토우측 부분은 페이스 도심보다 토우측에 있어서 상위에 위치해 있는 길이의 중심점 P1을 갖고, 페이스 도심과 중심점 P1을 지나는 제1 직선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가 20도 내지 60도의 범위이며, 힐측 부분은 페이스 도심보다 힐측에 있어서 하위에 위치해 있는 길이의 중심점 P2를 갖고, 페이스 도심과 중심점 P2를 지나는 제2 직선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가 10도 내지 70도의 범위인 것이다.

Description

골프 클럽 헤드{GOLF CLUB HEAD}
본 발명은 내구성의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복원 탄력 성능을 유효하게 향상시킨 골프 클럽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9-56060호에는, 솔과 페이스를 구비하고, 페이스의 하측에 있어서 페이스와 솔부 사이의 코너를 포함하는 영역에는 박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중공 골프 클럽 헤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출원에서는 박육부가 마련되는 영역을 토우-힐 방향으로는 충분히 검토하지 않았다. 따라서, 전술한 헤드는 현저히 저하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52099호에는, 페이스와, 이 페이스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고 헤드의 내부에 이르는 굴곡부가 마련된 헤드 본체를 구비하는 골프 클럽 헤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출원에서도 굴곡부가 마련되는 영역을 토우-힐 방향으로는 충분히 검토하지 않았다. 따라서, 전술한 헤드도 또한 현저히 저하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210621호에는, 페이스와, 이 페이스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슬릿이 크라운측 및 솔측에 있어서 페이스 둘레에 마련된 본체를 포함하는 골프 클럽 헤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출원에서도 슬릿이 마련되는 영역을 토우-힐 방향으로는 충분히 검토하지 않았다. 따라서, 전술한 헤드는 현저히 저하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210627호에는, 페이스와, 크라운부 또는 솔부에 있어서 페이스의 측방에 박육부가 마련된 본체를 포함하는 골프 클럽 헤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출원에서도 박육부가 마련되는 영역을 토우-힐 방향으로는 충분히 검토하지 않았다. 따라서, 전술한 헤드는 현저히 저하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현 실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내구성의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복원 탄력 성능을 유효하게 향상시킨 골프 클럽 헤드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공 골프 클럽 헤드로서, 외주와 페이스 도심(圖心)을 갖는 타구용 페이스와, 페이스의 외주로부터 헤드의 후방으로 연장되며 복수의 강성 저감부가 마련된 페이스 주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강성 저감부는 페이스의 외주를 따라 각각 연장되는 오목부 또는 슬릿으로 이루어지며, 헤드의 샤프트 축의 중심선이 수직면 내에서 헤드의 라이각으로 경사져 있고 페이스가 헤드의 로프트각으로 유지되어 있도록, 헤드가 수평면 상에 놓여 있는 표준 상태에서, 상기 강성 저감부는 페이스 도심보다 토우측에 마련된 토우측 강성 저감부와, 페이스 도심보다 힐측에 마련된 힐측 강성 저감부로 구성되며, 표준 상태의 헤드를 페이스 도심의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토우측 강성 저감부는 그 길이의 중심점 P1이 페이스 도심보다 토우측에 있어서 상위에 위치해 있고, 상기 토우측 강성 저감부의 중심점 P1과 상기 페이스 도심을 연결하는 제1 직선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 θt가 20도 내지 60도의 범위이며, 상기 힐측 강성 저감부는 그 길이의 중심점 P2가 페이스 도심보다 힐측에 있어서 하위에 위치해 있고, 상기 힐측 강성 저감부의 중심점 P2와 상기 페이스 도심을 연결하는 제2 직선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 θh가 10도 내지 70도의 범위인 것인 중공 골프 클럽 헤드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드는, 페이스 및 이 페이스의 외주로부터 헤드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페이스 주변부를 이루는 플랜지부를 갖는 컵형 페이스 부재와, 이 페이스 부재의 후측에 고정된 헤드 본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각 강성 저감부는 길이방향의 길이가 5 ㎜ 내지 60 ㎜의 범위이고, 그 길이방향에 수직한 폭이 0.2 ㎜ 내지 3.0 ㎜이다.
바람직하게는, 강성 저감부는, 헤드의 내강(內腔)의 측방에 마련되며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의 깊이가 0.2 ㎜ 내지 1.0 ㎜인 적어도 하나의 상기 오목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강성 저감부는, 헤드의 내강의 측방에 마련되며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완만한 곡선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오목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강성 저감부는,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페이스 주변부와 페이스 사이에 형성된 코너를 포함하도록 헤드의 내강의 측방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오목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강성 저감부는, 페이스 주변부를 관통하며 길이방향에 수직한 폭이 0.5 ㎜ 내지 1.5 ㎜인 적어도 하나의 상기 슬릿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페이스 주변부는 페이스의 외주로부터 헤드의 후방으로 10 ㎜ 내의 영역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직선의 각도 θt는 30도 내지 45도이고, 상기 제2 직선의 각도 θh는 30도 내지 50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표준 상태의 골프 클럽 헤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골프 클럽 헤드의 정면도이다.
도 3a는 골프 클럽 헤드의 정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선 E1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골프 클럽 헤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1에 도시된 골프 클럽 헤드에서의 페이스 부재의 배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a의 선 B-B를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페이스 도심의 법선 방향에서 본 도 1의 골프 클럽 헤드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애버리지 골퍼의 타격 위치를 보여주는 도 7의 골프 클럽 헤드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5a의 선 B-B를 따라 취한 위치에 해당되는 강성 저감부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5a의 선 B-B를 따라 취한 위치에 해당되는 강성 저감부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예와 참조예의 페이스부의 두께 분포를 보여주는 헤드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페이스 도심의 법선 방향에서 본 참조예 5의 골프 클럽 헤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이하에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표준 상태의 실시형태의 골프 클럽 헤드(이하에서는 간단히 "헤드" 또는 "클럽 헤드"라고도 함)(1)를 보여준다.
여기서, 헤드(1)의 표준 상태는, 헤드의 샤프트 축의 중심선(CL)이 수직면(VP) 내에서 헤드의 라이각(α)으로 경사져 있고 페이스(2)가 헤드의 로프트각으로 유지(페이스각이 제로로 세팅됨)되어 있도록, 헤드가 수평면(HP) 상에 놓여 있는 상태이다. 달리 언급이 없으면, 클럽 헤드(1)는 표준 상태에 있는 것이다. 로프트각은 0도 이상의 각도로 주어진다는 점을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페이스(2)가 수직면 롤(vertical face roll)을 갖는 경우, 로프트각은 페이스의 스윗 스팟(SS)을 지나는 접선의 각도로서 측정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의 전후 방향이, 표준 상태의 평면도에서, 헤드의 무게 중심(G)으로부터 연장되며, 페이스(2)의 법선(N)에 평행한 방향 "TH"로서 정해진다. 헤드의 토우-힐 방향은, 전술한 평면도에서 법선(N)에 직각을 이루는 방향 "TK"로서 정해진다. 법선(N)과 페이스(2)의 교차 지점이 스윗 스팟(SS)으로서 정해진다.
헤드(1)는 페이스부(3), 크라운부(4), 솔부(5), 사이드부(6) 및 호젤부(7)를 포함한다. 페이스부(3)는, 볼을 타격하기 위한 페이스(2)를 갖는다.
크라운부(4)는, 헤드의 상단면을 구성하도록 페이스(2)의 상측 가장자리(2a)에 연결되어 있다. 솔부(5)는, 헤드의 바닥면을 구성하도록 페이스(2)의 하측 가장자리(2b)에 연결되어 있다. 사이드부(6)는, 크라운부(4)와 솔부(5) 사이를 연결하고, 페이스(2)의 토우측 가장자리(2c)로부터 페이스(2)의 힐측 가장자리(2c)까지 헤드의 후방에 걸쳐 연장된다. 호젤부(7)는 크라운부(4)의 힐측에 마련되어 있다. 호젤부(7)는, 골프 클럽 샤프트(도시 생략)의 단부가 삽입되는 샤프트 삽입 구멍(7a)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골프 클럽은, 호젤부(7)의 샤프트 삽입 구멍(7a)에 골프 클럽 샤프트를 부착함으로써 구성된다(전체적인 모습은 도시 생략됨). 샤프트가 클럽 헤드(1)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 샤프트 삽입 구멍(7a)의 중심선이 샤프트 축의 중심선(CL)으로서 여겨진다.
페이스(2)는, 상측 가장자리(2a), 토우측 가장자리(2c), 하측 가장자리(2b) 및 힐측 가장자리(2d)로 구성된 외주(2A)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으로서 정해진다. 외관상 식별 가능한 외주 가장자리가 헤드에 존재하는 경우, 페이스(2)의 외주(2A)는 가장자리로서 정해진다. 식별 가능한 외주 가장자리가 헤드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페이스(2)의 외주(2A)는 다음과 같이 정해진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해 보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윗 스팟(SS)과 헤드의 무게 중심(G) 사이에서 연장되는 법선(N)을 포함하는 각 절단면(E1, E2, E3)에 있어서, 스윗 스팟(SS)에서부터 클럽 페이스의 외주(2A)에까지 이르는 도중에, 페이스(2)의 윤곽선(Lf)의 곡률 반경(r)이 200 ㎜ 미만이 되는 점 Pe를 결정한다. 이후에, 가상의 가장자리 선을 점 Pe의 궤적으로서 정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헤드(1)는, 내강(i)(도 4에 도시)이 그 안에 마련된 우드 타입으로서 구성된다. 우드 타입 골프 클럽의 개념은, 적어도 드라이버(#1), 브라시(#2), 스푼(#3), 배피(#4) 및 클리크(#5)를 포함하고, 번수 또는 명칭은 다르지만 거의 유사한 형상을 갖는 헤드도 포함하는 것이다.
헤드(1)의 체적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한계 범위가 설정되어 있지는 않지만, 드라이버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350 ㎤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420 ㎤ 이상의 범위로 설정된다. 또한, #2 또는 더 높은 번수를 갖는 페어웨이 우드의 경우, 헤드(1)의 체적은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20 ㎤ 이상의 범위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체적이 큰 헤드는, 관성 모멘트를 보다 크게 하고 헤드의 무게 중심을 보다 깊게 위치시키는 데 기여한다. 헤드(1)의 체적이 지나치게 크면, 헤드 중량 증가, 스윙 밸런스 부족 및 골프 규정 위반 등의 문제를 초래하므로, 헤드(1)의 체적은 바람직하게는 460 ㎤ 이하의 범위이다.
헤드(1)의 중량이 너무 작으면, 헤드의 운동 에너지가 작아 비거리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는 경향이 있다. 이와는 반대로, 헤드의 중량이 너무 크면, 스윙하기가 어려워지고, 타구의 방향 안정성 또는 비거리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드라이버의 경우, 헤드(1)의 중량은 바람직하게는 160 g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70 g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20 g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210 g 이하인 범위이다. 페어웨이 우드의 경우, 헤드(1)의 중량은 바람직하게는 180 g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90 g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50 g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260 g 이하인 범위로 설정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헤드(1)는, 페이스부(3)의 적어도 일부분(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체)을 포함하는 페이스 부재(1A)와, 페이스 부재(1A)의 후측에 고정된 헤드 본체(1B)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의 페이스 부재(1A)는, 페이스(2)와 페이스(2)의 외주(2A)로부터 헤드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8)를 포함하는 컵 형상을 갖는다. 페이스 부재(1A)는, 그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해 금속 재료로 제조된다. 이 금속 재료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제한이 설정되어 있지는 않지만, 특히 큰 비(比)강도를 갖는 스테인리스강, 마레이징강, 티탄, 티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또는 알루미늄 합금이 바람직하다.
헤드 본체(1B)는, 클럽 헤드(1)에서 페이스 부재(1A)를 제외한 부분이며, 즉 크라운 후방부(4a), 솔 후방부(5a), 사이드 후방부(6a) 및 호젤부(7)이다. 크라운 후방부(4a)는 크라운부(4)의 뒷부분을 형성한다. 솔 후방부(5a)는 솔부(5)의 뒷부분을 형성한다. 사이드 후방부(6a)는 사이드부(6)의 뒷부분을 형성한다. 헤드 본체(1B)는 또한 그 전방에 페이스 부재(1A)를 부착하기 위한 개구(O)를 갖는다.
헤드 본체(1B)의 재료로서는, 예컨대 스테인리스강, 마레이징강, 티탄 합금, 알루미늄 합금, 또는 마그네슘 합금 등의 금속 재료가 바람직하다. 헤드 본체(1B)는 부분적으로는, 비중(比重)이 작은 섬유 보강 수지 등의 비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비중이 큰 중량 부재 등이 헤드 본체(1B)에 고정될 수 있다(도시 생략).
본 실시형태에서, 헤드 본체(1B)와 페이스 부재(1A)는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용접 위치는 페이스(2)의 외주(2A)로부터 후방으로 떨어져 있기 때문에, 헤드(1)의 내강(i) 상에 남는 용접 비드가 페이스부(3)의 강성을 과도하게 증가시키지 않으므로, 복원 탄력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a는 페이스 부재(1A)의 배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스부(3)는, 실질적으로 페이스(2)의 중심에 마련된 중앙 후육부(11)와, 중앙 후육부(11)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주변 박육부(12)를 갖는다.
페이스부(3)의 중앙 후육부(11)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메인부(11a)와, 그 두께가 주변 박육부를 향해감에 따라 점차 줄어들도록 메인부(11a)와 주변 박육부(12)의 사이를 연결하는 이행부(11b)를 포함한다.
중앙 후육부(11)의 메인부(11a)는 페이스부(3)에서의 최대 두께 t1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메인부(11a)는 페이스(2)의 스윗 스팟(SS)을 포함한다. 이로써, 페이스(2)의 주 타격 위치인 스윗 스팟(SS)의 강도가 향상된다. 메인부(11a)의 두께 t1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제한이 설정되어 있지 않지만, 두께 t1이 작은 경우에는 내구성이 쉽게 저하되고, 두께 t1이 큰 경우에는 복원 탄력 성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메인부(11a)의 두께 t1은 바람직하게는 2.8 ㎜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4.0 ㎜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3.8 ㎜ 이하인 범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페이스부(3)의 주변 박육부(12)는, 페이스부(3)에 있어서 가장 작고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 t2를 갖는다. 주변 박육부(12)는 페이스(2)를 유연해지게 하고, 복원 탄력 성능을 증대시키며, 타구의 비거리를 향상시킨다. 주변 박육부(12)의 두께 t2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제한이 설정되어 있지 않지만, 두께 t2가 작은 경우에는 내구성이 쉽게 저하되고, 두께 t2가 큰 경우에는 복원 탄력 성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박육부(12)의 두께 t2는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7 ㎜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5 ㎜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2.3 ㎜ 이하인 범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스 부재(1A)의 플랜지부(8)는 크라운부(4)의 전방측을 형성하는 크라운측 플랜지부(8a)와, 솔부(5)의 전방측을 형성하는 솔측 플랜지부(8b)와, 사이드부(6)의 토우측을 형성하는 토우측 플랜지부(8c), 그리고 사이드부(6)의 힐측을 형성하는 힐측 플랜지부(8d)를 포함한다. 각 플랜지부(8a~8d)는 페이스(2) 둘레에 고리 모양으로 연속해 있다. 플랜지부(8)는, 페이스(2)의 외주(2A)로부터 헤드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페이스 주변부(F)를 구성한다.
도 1, 도 2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스(2)의 외주(2A)를 따라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강성 저감부(9)가 페이스 주변부(F)에 마련되어 있다. 도 6은 도 5a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해 보면, 본 실시형태의 각 강성 저감부(9)는, 헤드의 내강부(i)의 측부에 마련되어 있고, 페이스(2)의 외주(2A)를 따라 연장되는 홈형 오목부로 이루어진다. 강성 저감부(9)를 갖는 페이스 주변부(F)는 휨강성이 작으므로, 타구시의 충격으로 인해 크게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헤드(1)는, 큰 변형의 복원력을 볼에 전달하는 스프링 효과를 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1)는 향상된 복원 탄력 성능을 갖는다.
강성 저감부(9)가 "페이스(2)의 외주(2A)를 따라 연장된다"는 것은, 강성 저감부(9)의 길이방향이 페이스(2)의 외주(2A)를 따르는 방향일 수 있고, 강성 저감부(9)가 반드시 페이스(2)의 외주(2A)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도 7은 페이스(2)의 페이스 도심(Zc)을 통과하는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표준 상태의 헤드(1)를 보여준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강성 저감부(9)는 토우측 강성 저감부(9A)와 힐측 강성 저감부(9B)로 이루어진다. 토우측 강성 저감부(9A)는 전체적으로 페이스(2)의 페이스 도심(Zc)보다는 토우측에 마련된다. 힐측 강성 저감부(9B)는 전체적으로 페이스(2)의 페이스 도심(Zc)보다는 힐측에 마련된다. 강성 저감부(9A 및 9B)는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게 마련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페이스 주변부(F)에 전술한 단 2개의 강성 저감부(9A 및 9B)만이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토우측 강성 저감부(9A) 및 힐측 강성 저감부(9B)의 각각의 위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정 범위로 결정된다. 이로써, 내구성의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복원 탄력 성능을 유효하게 향상시킨 헤드(1)가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발명자의 실험을 통해 얻은 애버리지 골퍼의 주 타격 지점을 흑색 점을 사용하여 보여주는 클럽 헤드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8은 페이스 도심(Zc)을 통과하는 법선의 방향에서 본 헤드(1)를 보여주는데, 여기서 법선은 수평면(HP)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애버리지 골퍼의 타격 지점이 분산되어 있지만, 이들 타격 지점은 페이스(2)의 토우-크라운측으로부터 힐-솔측에 이르기까지 우하방으로 경사져 있는 영역에 거의 집중되어 있다.
도 8에서는, 페이스 도심(Zc)보다도 토우측에 위치한 타격 지점과, 페이스(2)의 페이스 도심(Zc)보다도 힐측에 위치한 타격 지점에 대하여, 각각 페이스 도심(Zc)을 통과하는 근사 직선(f1 및 f2)이 도시되어 있다. 수평선에 대한 근사 직선(f1 및 f2)의 각도(θ1 및 θ2)는 각각 대략 40도이다. 이 근사 직선(f1 및 f2)은 토우측 및 힐측의 각 타격 지점으로부터 각각 최단 거리를 가지며, 애버리지 골퍼의 주 타격 지점을 대표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또한, 페이스(2)의 페이스 도심(Zc)보다 토우측에 위치한 타격 지점은, 근사 직선(f1)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약 20도의 범위로 분포되어 있다. 한편, 페이스(2)의 페이스 도심(Zc)보다 힐측에 위치한 타격 지점은, 근사 직선(f2)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약 30도의 범위로 분포되어 있다.
이러한 애버리지 골퍼의 타격 지점의 분포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강성 저감부(9)는, 타구시에 가장 유효한 휨을 헤드(1)에 제공하는 영역에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우측 강성 저감부(9A)는 그 길이(La)의 중심점 P1이 페이스 도심(Zc)보다 토우측에 있어서 상위에 위치해 있고, 상기 토우측 강성 저감부(9A)의 중심점 P1과 페이스 도심(Zc)을 연결하는 제1 직선(m1)의 수평면(HP)에 대한 각도 θt가 20도 내지 60도의 범위이다. 토우측에 복수의 강성 저감부(9)가 있는 경우, 이들 모두가 상기 각도 θt의 조건을 충족한다. 이러한 헤드(1)에 있어서, 페이스 도심(Zc)보다 토우측에 있는 제1 직선(m1) 상에서 볼이 타격되면, 토우측 강성 저감부(9A)가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헤드(1)가 크게 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7에서, 힐측 강성 저감부(9B)는 그 길이(La)의 중심점 P2가 페이스 도심(Zc)보다 힐측에 있어서 하위에 위치해 있고, 상기 힐측 강성 저감부(9B)의 중심점 P2와 페이스 도심(Zc)을 연결하는 제2 직선(m2)의 수평면(HP)에 대한 각도 θh가 10도 내지 70도의 범위이다. 힐측에 복수의 강성 저감부(9)가 있는 경우, 이들 모두가 상기 각도 θh의 조건을 충족한다. 이러한 헤드(1)에 있어서, 페이스 도심(Zc)보다 힐측에 있는 제2 직선(m2) 상에서 볼이 타격되면, 힐측 강성 저감부(9B)가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헤드(1)도 또한 크게 휠 수 있다.
게다가, 제1 직선(m1)과 제2 직선(m2)은 애버리지 골퍼의 주 타격 지점으로 고려되므로, 본 발명의 클럽 헤드(1)에서는 페이스(2) 또는 헤드(1)가 유효하게 휘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볼이 토우측 영역 또는 힐측 영역에서 타격되더라도 복원 탄력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강성 저감부(9)는, 애버리지 골퍼가 매우 빈번히 타격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페이스 주변부(F)에서의 토우-크라운 영역 및 힐-솔 영역의 강성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클럽 헤드(1)는 내구성의 저하를 최소화하고, 고빈도 타격 지점에서 헤드가 크게 휘어지게 하며, 이에 따라 복원 탄력 성능을 유효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장점을 보다 효과적으로 가져오기 위해, 수평면(HP)에 대한 제1 직선(m1)의 각도 θt는 30도 내지 45도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수평면(HP)에 대한 제2 직선(m2)의 각도 θh는 30도 내지 50도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힐측에서의 타격 지점의 분포 범위가 토우측에서의 타격 지점의 분포 범위보다 크다는 점에 대응하도록, 10도 내지 70도인 제2 직선(m2)의 각도 θh의 범위가 20도 내지 60도인 제1 직선(m1)의 각도 θt의 범위보다 크게 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헤드(1)의 내구성의 저하를 더 방지하기 위해, 토우측 강성 저감부(9A)는 크라운측 플랜지부(8a)에만 형성되고, 토우측 플랜지부(8c)에는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라운측 플랜지부(8a)와 토우측 플랜지부(8c) 사이의 경계는, 표준 상태의 헤드(1)를 평면도에서 보았을 때 토우측에 나타나는 헤드 윤곽(PL)에 의해 정해진다는 점을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로, 힐측 강성 저감부(9B)는 힐측 플랜지부(8d) 또는 솔측 플랜지부(8b)에 마련되고 크라운측 플랜지부(8a)까지 연장되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라운측 플랜지부(8a)와 힐측 플랜지부(8d) 사이의 경계도 또한, 표준 상태의 헤드(1)를 평면도에서 보았을 때 힐측에 나타나는 헤드 윤곽(PL)에 의해 정해진다는 점을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토우측 강성 저감부(9A) 또는 힐측 강성 저감부(9B)의 각 길이(La)는 바람직하게는 5 ㎜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60 ㎜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40 ㎜ 이하인 범위로 설정된다. 강성 저감부(9A 또는 9B)의 길이(La)가 5 ㎜ 미만인 경우, 페이스(2)의 복원 탄력 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충분하게 얻어질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이와는 반대로, 강성 저감부(9A 또는 9B)의 길이(La)가 60 ㎜를 초과하는 경우, 헤드(1)의 내구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강성 저감부(9A 또는 9B)의 각 길이(La)는 페이스(2)의 페이스 도심(Zc)을 통과하는 법선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평면에 투영된 길이로서 정해진다는 점을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에 수직한 강성 저감부(9A 또는 9B)의 각 폭(Wa)은 바람직하게는 0.2 ㎜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인 범위이다. 강성 저감부(9A 또는 9B)의 폭(Wa)이 0.2 ㎜ 미만인 경우, 복원 탄력 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충분하게 얻어질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이와는 반대로, 강성 저감부(9A 또는 9B)의 폭(Wa)이 3.0 ㎜를 초과하는 경우, 헤드(1)의 내구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강성 저감부(9)의 폭(Wa)은, 강성 저감부(9)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에 있어서 오목부의 양단부(9e 및 9e)를 연결한 직선(K)의 길이이다.
강성 저감부(9A 또는 9B)의 깊이(D)는 바람직하게는 0.2 ㎜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9 ㎜ 이하인 범위이다. 강성 저감부(9A 또는 9B)의 깊이(D)가 크면, 그 바닥부에 응력이 쉽게 집중되고, 이에 따라 내구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깊이(D)가 작으면, 바닥부에서 시작되는 헤드(1)의 변형이 작고, 이에 따라 복원 탄력 성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 깊이(D)는, 직선(K)에 수직한 방향에서 측정한 직선(K)으로부터 오목부까지의 최대 치수로서 측정된다는 점을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 저감부(9A 또는 9B)의 경우, 단면의 윤곽이 완만한 곡선으로 형성된다. 완만한 곡선으로는 원형 곡선 또는 U자형 곡선 등이 있고, 곡선이 뾰족한 코너를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강성 저감부(9A 또는 9B)는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오목부로 이루어진 강성 저감부(9)는, 오목부 내의 특정 부재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헤드의 내구성의 저하를 최소화한다.
바람직하게는, 강성 저감부(9)는 페이스(2)의 외주(2A)로부터 헤드의 후방으로 10 ㎜ 내의 영역(Y)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모든 강성 저감부(9)는 페이스(2)의 외주(2A)로부터 헤드의 후방으로 10 ㎜ 내의 영역(Y)에 들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성 저감부(9)가 페이스(2)의 외주(2A)로부터 헤드의 후방으로 멀리 떨어져 있으면, 쉽게 헤드(1)가 크게 휠 수 없고 복원 탄력 성능이 나빠질 가능성이 있다.
도 6은 플랜지부(8)에 형성된 강성 저감부(9)를 보여준다. 그러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 저감부(9)는 오목부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에 있어서 페이스 주변부(F)와 페이스(2)의 사이에 형성되는 코너를 포함하도록 오목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강성 저감부(9)는 페이스부(3)의 강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므로, 타구시에 페이스부(3)의 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복원 탄성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형태는 홈형 오목부에 의해 형성된 강성 저감부(9)를 갖는 헤드를 보여준다. 그러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 저감부(9)는 페이스 부재(1A)의 플랜지부(8)를 관통하고 페이스(2)의 외주(2A)를 따라 연장되는 슬릿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슬릿의 폭이 동일하다면, 슬릿이 갖는 강성 저감 효과가 오목부보다 크다. 따라서, 강성 저감부(9)가 슬릿으로 구성된다면, 슬릿의 길이방향 길이 및 폭의 치수가 오목부의 치수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강성 저감부(9)가 슬릿으로 형성된 경우, 그 길이(La)는 10 ㎜ 이상 30 ㎜ 이하인 범위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슬릿의 폭(Wa)은 바람직하게는 0.2 ㎜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인 범위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특정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른 양태로 변경될 수도 있다.
비교 시험:
본 발명의 유익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도 1, 도 2, 도 4, 도 5a, 도 5b, 도 6,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구성을 전제로 하여, 표 1과 표 2의 사양에 기초한 우드 타입 골프 클럽 헤드(드라이버)를 제조하였다. 각 실시예 및 참조예에서는, 강성 저감부를 페이스의 외주로부터 헤드의 후방으로 5 ㎜의 영역(Y)(도 6 참조) 내에 들어가도록 형성하였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강성 저감부 "a" 및 "b"는 참조예 5의 헤드에만 부가하였다(참조예 5는 총 4개의 강성 저감부를 갖는다). 부가된 2개의 강성 저감부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강성 저감부 a의 사양:
각도 θs: 15.0도
폭 Wa: 1.0 ㎜
길이 La: 35.0 ㎜
깊이 D: 0.5 ㎜
강성 저감부 b의 사양:
각도 θc: 20.0도
폭 Wa: 1.0 ㎜
길이 La: 10.0 ㎜
깊이 D: 0.5 ㎜
던롭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에서 제조한 카본 샤프트(SV-3020J, Flex S)를 각 시험 대상 헤드에 부착하여 45인치 우드 타입 클럽을 만들었다. 그리고, 각 클럽에 대해 복원 탄력 성능 및 내구성의 시험을 행하였다.
전술한 각 헤드는, Ti-6Al-4V의 로스트 왁스 정밀 주조로 이루어진 헤드 본체와, Ti-6Al-4V의 가압 성형으로 이루어진 컵 형상의 페이스 부재를 레이저 용접에 의해 고정한 투피스 구조를 갖는다. 각 헤드는 표 1에 나타내어진 파라미터를 제외하고는 모두 동일한 사양을 갖는다. 각 헤드의 주 공통 사양은 이하와 같다.
라이각: 58.0도
로프트각: 10.5도
헤드 체적: 455 ㎤
헤드 중량: 190 g
페이스부의 두께: 페이스부는 도 11에 나타내어진 두께 분포를 갖는다.
영역 A: 3.4 ㎜
영역 B: 2.1 ㎜
영역 C: 2.0 ㎜
빗금친 부분에서는 그 두께가 그 양측에 연결된 영역의 두께로 완만하게 변화된다.
시험 방법은 이하와 같다:
내구성 시험:
전술한 각 시험 대상 클럽을 Miyamae Co., Ltd.에서 제조한 스윙 로봇에 장착하고, 3-피스 골프공(던롭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에서 제조한 "XXIO XD")을 페이스 도심에서 반복 타격하였다. 헤드 속도는 54 ㎧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100회의 타구마다 육안으로 헤드를 관찰하여 헤드에 손상이 있는지를 보고, 손상을 야기한 타구의 총수를 조사하였다. 이 조사 결과는 손상이 발견되기까지의 타격의 횟수인데, 이는 수치값이 클수록 내구성이 좋다는 것을 보여준다. 타격 횟수가 4,500회에 이르기까지 손상이 발견되지 않은 클럽은 실제 사용에 있어서 충분한 내구성을 갖는다고 말할 수 있다.
복원 탄성 성능 시험:
전술한 드라이버를 이용시 헤드 속도가 35 ㎧ 내지 45 ㎧인 10명의 애버리지 골퍼가, 각 시험 대상 클럽으로 전술한 각 볼을 10개씩 타격하였다. 그리고, 타격 직전의 헤드 속도 "H.S"와 타구의 초기 속도 "B.S"를 측정하고, 속도비(B.S/H.S)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는 10회의 타격에 대한 속도비의 평균값을 보여주는데, 이 수치값이 클수록 복원 탄성 성능이 좋다.
표 1은 오목부로 이루어진 강성 저감부를 갖는 헤드의 시험 결과 등을 보여준다. 표 2는 슬릿으로 이루어진 강성 저감부를 갖는 헤드의 시험 결과 등을 보여준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이러한 시험의 결과, 본 실시형태의 헤드는 비교예의 헤드에 비해 내구성의 저하를 방지하면서 현저히 향상된 복원 탄력 성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9)

  1. 중공 골프 클럽 헤드로서,
    외주와 페이스 도심(圖心)을 갖는 타구용 페이스와,
    페이스의 외주로부터 헤드의 후방으로 연장되며 복수의 강성 저감부가 마련된 페이스 주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강성 저감부는 페이스의 외주를 따라 각각 연장되는 오목부 또는 슬릿으로 이루어지며,
    헤드의 샤프트 축의 중심선이 수직면 내에서 헤드의 라이각으로 경사져 있고 페이스가 헤드의 로프트각으로 유지되어 있도록, 헤드가 수평면 상에 놓여 있는 표준 상태에서,
    상기 강성 저감부는 페이스 도심보다 토우측에 마련된 토우측 강성 저감부와, 페이스 도심보다 힐측에 마련된 힐측 강성 저감부를 포함하며,
    표준 상태의 헤드를 페이스 도심의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토우측 강성 저감부는 그 길이의 중심점 P1이 페이스 도심보다 토우측에 있어서 상위에 위치해 있고, 상기 토우측 강성 저감부의 중심점 P1과 상기 페이스 도심을 연결하는 제1 직선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 θt가 20도 내지 60도의 범위이며,
    상기 힐측 강성 저감부는 그 길이의 중심점 P2가 페이스 도심보다 힐측에 있어서 하위에 위치해 있고, 상기 힐측 강성 저감부의 중심점 P2와 상기 페이스 도심을 연결하는 제2 직선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 θh가 10도 내지 70도의 범위인 것인 중공 골프 클럽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페이스 및 이 페이스의 외주로부터 헤드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페이스 주변부를 이루는 플랜지부를 갖는 컵 형상의 페이스 부재와,
    이 페이스 부재의 후측에 고정된 헤드 본체를 포함하는 것인 중공 골프 클럽 헤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강성 저감부는 길이방향의 길이가 5 ㎜ 내지 60 ㎜의 범위이고, 그 길이방향에 수직한 폭이 0.2 ㎜ 내지 3.0 ㎜인 것인 중공 골프 클럽 헤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저감부는, 헤드의 내강(內腔)의 측방에 마련되며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의 깊이가 0.2 ㎜ 내지 1.0 ㎜인 적어도 하나의 상기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인 중공 골프 클럽 헤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저감부는, 헤드의 내강의 측방에 마련되며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완만한 곡선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인 중공 골프 클럽 헤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저감부는,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페이스 주변부와 페이스 사이에 형성된 코너를 포함하도록 헤드의 내강의 측방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인 중공 골프 클럽 헤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저감부는, 페이스 주변부를 관통하며 길이방향에 수직한 폭이 0.5 ㎜ 내지 1.5 ㎜인 적어도 하나의 상기 슬릿을 포함하는 것인 중공 골프 클럽 헤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 주변부는 페이스의 외주로부터 헤드의 후방으로 10 ㎜ 내의 영역인 것인 중공 골프 클럽 헤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선의 각도 θt는 30도 내지 45도이고, 상기 제2 직선의 각도 θh는 30도 내지 50도인 것인 중공 골프 클럽 헤드.
KR1020130090792A 2012-07-31 2013-07-31 골프 클럽 헤드 KR102026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69145A JP5947653B2 (ja) 2012-07-31 2012-07-31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JP-P-2012-169145 2012-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852A true KR20140016852A (ko) 2014-02-10
KR102026595B1 KR102026595B1 (ko) 2019-09-30

Family

ID=50026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792A KR102026595B1 (ko) 2012-07-31 2013-07-31 골프 클럽 헤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17187B2 (ko)
JP (1) JP5947653B2 (ko)
KR (1) KR102026595B1 (ko)
CN (1) CN1035665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21433B2 (en) * 2012-09-14 2016-08-23 Acushnet Company Golf club head with flexure
JP5592982B1 (ja) * 2013-08-08 2014-09-17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5576972B1 (ja) * 2013-08-08 2014-08-20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11697050B2 (en) * 2014-08-26 2023-07-11 Parsons Xtreme Golf, LLC Golf club heads and methods to manufacture golf club heads
JPWO2016056624A1 (ja) * 2014-10-08 2017-04-27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用シャフト
US11130025B2 (en) * 2014-10-24 2021-09-28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 heads with energy storage features
GB2565187B (en) * 2015-01-23 2019-07-24 Karsten Mfg Corp Golf club head with internal radius transition
JP6339510B2 (ja) * 2015-02-27 2018-06-0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およびゴルフクラブ
JP5848839B1 (ja) * 2015-06-03 2016-01-27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5848840B1 (ja) * 2015-06-05 2016-01-27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749132B2 (ja) * 2016-04-20 2020-09-02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815097B2 (ja) * 2016-05-19 2021-01-20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303156B1 (ja) * 2016-12-28 2018-04-0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WO2019126775A1 (en) * 2017-12-22 2019-06-27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 head with variable face thickness
JP6394826B1 (ja) * 2018-05-14 2018-09-26 株式会社プロギア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およびゴルフクラブセット
JP7331461B2 (ja) * 2019-05-24 2023-08-2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7472542B2 (ja) * 2020-02-28 2024-04-2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11033785B1 (en) 2020-03-24 2021-06-15 Acushnet Company Golf club head with improved variable thickness striking face
JP2023084540A (ja) * 2021-12-07 2023-06-1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2486A (en) * 1997-11-04 2000-03-28 Gallagher; Kenny A. Golf club head with damping slot and opening to a central cavity behind a floating club face
US6348013B1 (en) * 1999-12-30 2002-02-19 Callaway Golf Company Complaint face golf club
US20070049415A1 (en) * 2005-08-31 2007-03-01 Acushnet Company Metal wood club
JP2010279847A (ja) * 2010-09-30 2010-12-16 Sri Sports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20110218053A1 (en) * 2010-03-05 2011-09-08 Callaway Golf Company Golf club head
US20120142447A1 (en) * 2010-11-30 2012-06-07 Nike, Inc. Golf Club Heads or Other Ball Striking Devices Having Distributed Impact Respons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8963U (ja) * 1983-11-24 1985-06-18 ヤマハ株式会社 ゴルフ用クラブヘツド
JP2002052099A (ja) 2000-08-04 2002-02-19 Daiwa Seiko Inc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3210627A (ja) 2002-01-22 2003-07-29 Maruman Kk フェース部近傍に薄肉部を有する高反発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4046511B2 (ja) 2002-01-23 2008-02-13 横浜ゴム株式会社 中空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4945376B2 (ja) 2007-08-31 2012-06-0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中空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8062150B2 (en) * 2007-09-13 2011-11-22 Acushnet Company Iron-type golf club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2486A (en) * 1997-11-04 2000-03-28 Gallagher; Kenny A. Golf club head with damping slot and opening to a central cavity behind a floating club face
US6348013B1 (en) * 1999-12-30 2002-02-19 Callaway Golf Company Complaint face golf club
JP2003524487A (ja) * 1999-12-30 2003-08-19 キャラウェイ・ゴルフ・カンパニ 変形するフェースを持つゴルフクラブ
US20070049415A1 (en) * 2005-08-31 2007-03-01 Acushnet Company Metal wood club
US20110218053A1 (en) * 2010-03-05 2011-09-08 Callaway Golf Company Golf club head
JP2010279847A (ja) * 2010-09-30 2010-12-16 Sri Sports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20120142447A1 (en) * 2010-11-30 2012-06-07 Nike, Inc. Golf Club Heads or Other Ball Striking Devices Having Distributed Impact Respon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66551B (zh) 2017-05-10
JP2014027973A (ja) 2014-02-13
JP5947653B2 (ja) 2016-07-06
KR102026595B1 (ko) 2019-09-30
CN103566551A (zh) 2014-02-12
US20140038745A1 (en) 2014-02-06
US9017187B2 (en) 2015-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6595B1 (ko) 골프 클럽 헤드
JP4365871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4674866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5174129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5451187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KR101881170B1 (ko) 골프 클럽 세트
JP5185992B2 (ja) ゴルフクラブ
US9192825B2 (en) Golf club head
JP2009279145A (ja) 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5583827B1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5756305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それを用いたゴルフクラブ
US8038546B2 (en) Wood-type golf club head
JP5074841B2 (ja) 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5823121B2 (ja) ゴルフクラブ
JP2004195005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11235208B2 (en) Golf club head
US20120322577A1 (en) Golf club head
JP5715520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その評価方法
CN101204618B (zh) 高尔夫球棒头
JP2007215714A (ja) パター用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ゴルフパター
JP2006087928A (ja) 局部溝及び補強部材を備えた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5447914B2 (ja) 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および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
KR102239411B1 (ko) 골프 클럽 헤드
JP2020179067A (ja) アイアンヘッド
JP2020179030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