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6379A - 레버식 커넥터 - Google Patents

레버식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6379A
KR20140016379A KR1020137033224A KR20137033224A KR20140016379A KR 20140016379 A KR20140016379 A KR 20140016379A KR 1020137033224 A KR1020137033224 A KR 1020137033224A KR 20137033224 A KR20137033224 A KR 20137033224A KR 20140016379 A KR20140016379 A KR 20140016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ever
deformation
fitted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3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모히코 시미즈
아키노리 타시로
아키히로 츠루타
카즈야 테라오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6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3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1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 H01R13/74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레버식 커넥터(1)는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21)와, 회동에 의해 커넥터끼리(11, 21)를 끼워맞추어지게 하는 레버(31)를 구비한다. 제 1 커넥터(11)는 패널(51)의 부착 구멍(52)에 부착될 때에 내측면측으로 휨 변형하여 부착 구멍(52)에 삽입통과되는 걸음 로킹부(14)를 갖는다. 레버(31)는 레버(31)의 회동 중에 제 1 커넥터(11)의 내측면측에 위치하는 암부(32)를 갖는다. 암부 (32)는 걸음 로킹부(14)의 내측면측에 위치할 때에 휨 변형을 저지하는 변형 저지부(36)와, 걸음 로킹부(14)의 내측면측에 위치할 때에 휨 변형을 허용하는 변형 허용부(37)를 갖는다.

Description

레버식 커넥터{LEVER­TYPE CONNECTOR}
본 발명은 패널에 부착되는 레버식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레버식 커넥터는 제 1 커넥터와, 이 제 1 커넥터와 끼워맞춤 가능한 제 2 커넥터와, 제 1 커넥터에 설치되고 회동에 의해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를 끼워맞추어지게 하는 레버를 구비하고,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가 끼워맞춤 상태에서 패널의 부착 구멍에 부착된다(일본 특개 2002-359037호 공보).
이 레버식 커넥터에서는, 커넥터끼리가 반끼워맞춤 상태인 채로 패널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레버로부터 연장되어 간섭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간섭부는 커넥터끼리 완전끼워맞춤 상태일 때에는 패널의 부착 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와는 비간섭이며, 커넥터끼리가 반끼워맞춤 상태일 때에는 부착 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와 간섭한다.
이 때문에, 양쪽 커넥터를 패널의 부착 구멍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간섭부가 부착 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와 간섭하는지 아닌지에 의해,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일본 특개 2002-359037호 공보
(발명의 개요)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상기와 같은 레버식 커넥터에서는, 레버의 회동 각도에 따라 커넥터끼리 반끼워맞춤 상태로부터 완전끼워맞춤 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레버의 회동 각도가, 커넥터끼리 완전끼워맞춤 상태에 가까운 각도인 경우, 간섭부와 부착 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와의 간섭이 작아져, 커넥터끼리 반끼워맞춤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부착 구멍에 끼워 넣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커넥터끼리 반끼워맞춤 상태인 것을 검지하는 것이 곤란했다.
그래서, 간섭부를 레버로부터 보다 길게 연장시킴으로써 레버의 회동 각도가 완전끼워맞춤 상태에 가까운 각도인 경우이더라도 간섭부와 부착 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와의 간섭을 크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레버식 커넥터가 대형화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커넥터끼리 반끼워맞춤 상태인 채로 패널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고 하는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면서, 또한,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는 레버식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레버식 커넥터는 제 1 커넥터와, 이 제 1 커넥터와 끼워맞춤 가능한 제 2 커넥터와,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 중 어느 일방의 커넥터에 설치되고 회동에 의해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를 끼워맞추어지게 하는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가 끼워맞춤 상태에서 패널의 부착 구멍에 부착되는 것이며, 상기 일방의 커넥터는 상기 부착 구멍에 부착될 때에 내측면측으로 휨 변형하여 상기 부착 구멍에 삽입통과되는 걸음 로킹부를 갖고, 상기 레버는, 이 레버의 회동중에 상기 일방의 커넥터의 내측면측에 위치하는 암부를 갖고, 상기 암부는, 상기 걸음 로킹부의 내측면측에 위치할 때에 휨 변형을 저지하는 변형 저지부와, 상기 걸음 로킹부의 내측면측에 위치할 때에 휨 변형을 허용하는 변형 허용부를 갖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가 반끼워맞춤 상태가 되는 회동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걸음 로킹부의 내측면측에 상기 변형 저지부가 위치하고,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가 완전끼워맞춤 상태가 되는 회동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걸음 로킹부의 내측면측에 상기 변형 허용부가 위치하는 것이다.
상기 레버식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변형 허용부는 상기 암부의 표면에 형성한 오목 홈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 홈 이외의 상기 암부의 표면에 의해 상기 변형 저지부가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레버식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이 레버를 회동 조작하는 조작부를 더 갖고, 상기 레버는 상기 조작부의 회동 조작에 의해 회동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레버식 커넥터에 의하면, 커넥터끼리 완전끼워맞춤 상태인 경우, 걸음 로킹부의 내측면측에 변형 허용부가 위치하기 때문에, 걸음 로킹부의 휨 변형이 허용되어 레버식 커넥터가 패널의 부착 구멍에 부착된다.
그러나, 커넥터끼리 반끼워맞춤 상태인 경우, 걸음 로킹부의 내측면측에 변형 저지부가 위치하기 때문에, 걸음 로킹부의 휨 변형이 저지되어 레버식 커넥터는 패널의 부착 구멍에 부착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커넥터끼리 반끼워맞춤 상태인 채로 패널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널의 부착 구멍에 레버식 커넥터가 부착 가능한지 아닌지에 의해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상태를 검지하기 위한 간섭부를 레버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레버식 커넥터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끼리 반끼워맞춤 상태인 채로 패널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는 레버식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 허용부는, 암부의 표면에 형성한 오목 홈으로 구성되고, 오목 홈 이외의 암부의 표면에 의해 변형 저지부가 구성된 경우, 간단한 구조로 걸음 로킹부의 휨 변형을 저지 또는 허용할 수 있다.
또한 레버는, 조작부를 회동 조작함으로써 회동하기 때문에, 레버를 손으로 회동 조작하여 커넥터끼리를 완전끼워맞춤 상태로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끼리를 완전끼워맞춤 상태로 된 것을 확인하고나서 패널에 부착함으로써, 커넥터끼리가 반끼워맞춤 상태인 채로 패널에 부착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레버식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레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끼리 반끼워맞춤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끼리 반끼워맞춤 상태인 경우의 걸음 로킹부와 암부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와 레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끼리 반끼워맞춤 상태인 경우의 변형 저지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끼리 완전끼워맞춤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끼리 완전끼워맞춤 상태인 경우의 걸음 돌기부와 암부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와 레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끼리 완전끼워맞춤 상태인 경우의 변형 허용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처음에,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레버식 커넥터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레버식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레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레버식 커넥터는 복수의 단자 금구를 갖는 암/수의 커넥터(후술하는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를 저삽입력(Low Insertion Force)으로 끼워맞추어지게 하는 LIF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레버식 커넥터(1)는 제 1 커넥터(11)와, 이 제 1 커넥터(11)와 끼워맞춤 가능한 제 2 커넥터(21)와, 제 1 커넥터(11)에 설치되고 회동에 의해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21)를 끼워맞추어지게 하는 레버(31)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레버식 커넥터(1)는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21)가 끼워맞춤 상태에서 패널(51)에 형성된 부착 구멍(52)에 부착된다(후술하는 도 6 및 도 7 참조).
제 1 커넥터(11)(암형 커넥터)는 전선 단말에 설치된 암형 단자 금구(도시 생략)를 수용하는 이너 하우징(12)과, 내부에 이너 하우징(12)을 수용하는 프레임(13)을 가지고 있다.
이너 하우징(12)은 2개의 케이싱 부재를 상하로 2단 포갠 구조로 되어 있고, 내부에 복수의 암형 단자 금구(도시 생략)가 수용되어 있다. 이 이너 하우징(12)은 프레임(13) 내에 수용된다.
프레임(13)은 휨 변형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4개소)의 걸음 로킹부(lock portion)(14)와, 프레임(13)의 외주에 형성된 플랜지부(15)와, 후술하는 레버(31)의 회전축 핀(34)(도 2 참조)이 삽입되는 한 쌍(한쪽 생략)의 회전축 구멍(16)을 가지고 있다.
복수의 걸음 로킹부(14)는 제 1 커넥터(11)의 외측(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4 (a)의 화살표(X) 방향)으로 돌출한 걸음 돌출부(lock projecting part)(17)와, 제 1 커넥터(11)의 내측(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4(a)의 화살표(Y) 방향)에 설치되어 레버(31)와 맞닿음 가능한 걸음 맞닿음부(18)를 가지고 있다(후술하는 도 5 참조).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복수의 걸음 로킹부(14)는 패널(51)의 부착 구멍(52)에 부착될 때, 제 1 커넥터(11)의 내측면측(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4(a)의 화살표(Y) 방향)으로 휨 변형하여 부착 구멍(52)으로 삽입통과된다(후술하는 도 7 참조).
걸음 돌출부(17)는 완전끼워맞춤 상태인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21)를 패널(51)의 표면측(도 1 및 도 4 (a)의 화살표(Z)측)으로 누르면, 패널(51)의 이면측(54)(도 1 참조)으로부터 맞닿아 커넥터끼리(11, 21) 패널(51)에 고정된다.
걸음 맞닿음부(18)는 후술하는 레버(31)의 변형 저지부(36)(도 2 참조)와 맞닿음으로써 걸음 로킹부(14)의 휨 변형을 저지한다. 또한 걸음 맞닿음부(18)는 후술하는 레버(31)의 변형 허용부(37)(도 2 참조)에 의해 레버(31)와 비맞닿음의 상태로 됨으로써 걸음 로킹부(14)의 휨 변형을 허용한다(후술하는 도 5 및 도 8 참조).
플랜지부(15)는,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21)가 끼워맞춤 상태에서 패널(51)의 부착 구멍(52)에 부착되면, 패널(51)의 표면측(도 1 및 도 4(a)의 화살표(Z)측)으로부터 부착 구멍(52)의 구멍 가장자리에 맞닿는다.
한 쌍의 회전축 구멍(16)은 후술하는 레버(31)에 설치된 한 쌍의 회전축 핀(34)(도 2 참조)이 제 1 커넥터(11)의 내측으로부터 각각 삽입된다. 이 회전축 구멍(16)에 회전축 핀(34)이 삽입됨으로써, 레버(31)가 제 1 커넥터(11)(프레임(13))에 대하여 회전 자유롭게 부착된다.
제 2 커넥터(21)는 이너 하우징(21)보다도 큰 2개의 케이싱 부재를 상하에 2단 포갠 구조로 되어 있고, 내부에 복수의 수형 단자 금구(도시 생략)가 수용되어 있다. 이 수형 단자 금구는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21)가 완전끼워맞춤 상태가 되면, 이너 하우징(12)의 내부에 수용된 암형 단자 금구(도시생략)와 접속된다.
또한 제 2 커넥터(21)의 양측면에는, 후술하는 레버(31)의 캠 홈(35)(도 2 참조)에 삽입하는 캠 종동자(cam follower)(22)가 각각 돌출 설치되어 있다(편측 생략). 이 캠 종동자(22)를 캠 홈(35)에 삽입하고 레버(31)를 회동함으로써, 제 2 커넥터(21)가 제 1 커넥터(11)측으로 끌려 들어간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31)는 회동 중에 제 1 커넥터(11)(도 1 참조)의 내측면측(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4(a)의 화살표(X) 방향)에 위치하는 한 쌍의 암부(32)와, 이 한 쌍의 암부(32)를 연결하는 연결부(33)를 가지고 있다.
한 쌍의 암부(32)는 프레임(13)의 회전축 구멍(16)(도 1 참조)에 삽입되는 한 쌍의 회전축 핀(34)(한 쪽생략)과, 제 2 커넥터(21)의 캠 종동자(22)(도 1 참조)가 삽입되는 한 쌍의 캠 홈(35)과, 프레임(13)의 걸음 로킹부(14)의 휨 변형을 저지하는 변형 저지부(36)와, 걸음 로킹부(14)의 휨 변형을 허용하는 변형 허용부(37)를 가지고 있다.
한 쌍의 회전축 핀(34)은 제 1 커넥터(11)의 내측으로부터 회전축 구멍(16)(도 1 참조)에 삽입함으로써, 레버(31)가 제 1 커넥터(11)(프레임(13))에 대하여 회전 자유롭게 부착된다.
캠 홈(35)은 한 쌍의 암부(32)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캠 종동자(22)(도 1 참조)가 삽입된 상태에서 레버(31)를 회전하면, 캠 종동자(22)와 회전축 핀(34)과의 거리가 가변되어, 제 2 커넥터(21)가 제 1 커넥터(11)측(도 1 참조)으로 이동한다.
변형 저지부(36)는 암부(32)의 표면에 형성한 오목 홈(변형 허용부(37)) 이외의 표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변형 저지부(36)는 레버(31)가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21)가 반끼워맞춤 상태가 되는 회동 위치에 있을 때에 걸음 로킹부(14)의 내측면측(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4(a)의 화살표(Y) 방향측)에 위치하여, 걸음 로킹부(14)의 휨 변형을 저지한다(후술하는 도 4(a) 및 도 5 참조).
즉, 변형 저지부(36)는 걸음 로킹부(14)의 내측면측(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4(a)의 화살표(Y) 방향측)에 위치함으로써, 걸음 로킹부(14)의 걸음 맞닿음부(18)와 맞닿아, 걸음 로킹부(14)의 휨 변형을 저지한다.
변형 허용부(37)는 암부(32)의 표면에 형성한 오목 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변형 허용부(37)는 레버(31)가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21)가 완전끼워맞춤 상태가 되는 회동 위치에 있을 때에 걸음 로킹부(14)의 내측면측에 위치하여, 걸음 로킹부(14)의 휨 변형을 허용한다(후술하는 도 7(a) 및 도 8 참조).
즉, 변형 허용부(37)는 걸음 로킹부(14)의 내측면측(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7(a)의 화살표(Y) 방향측)에 위치함으로써, 걸음 로킹부(14)의 걸음 맞닿음부(18)와 레버(31)의 암부(32)가 비맞닿음의 상태로 되어, 걸음 로킹부(14)의 휨 변형을 허용한다.
이와 같이, 변형 허용부(37)는 암부(32)의 표면에 형성한 오목 홈으로 구성되고, 오목 홈 이외의 암부(32)의 표면에 의해 변형 저지부(36)가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간단한 구조로 걸음 로킹부(14)의 휨 변형을 저지 또는 허용할 수 있다.
상기한 암부(32)는 레버(31)가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21)가 반끼워맞춤 상태가 되는 회동 위치(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레버(31)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걸음 로킹부(14)의 내측면측(예를 들면, 도 4(a)의 화살표(Y) 방향측)에 변형 저지부(36)가 위치하도록 레버(31)의 회동에 대응하여 변위한다(도 4(a) 및 도 4(b) 참조).
또한 암부(32)는 레버(31)가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21)가 완전끼워맞춤 상태가 되는 회동 위치(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레버(31)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걸음 로킹부(14)의 내측면측(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4(a)의 화살표(Y) 방향측)에 변형 허용부(37)가 위치하도록 레버(31)의 회동에 대응하여 변위한다(도 7(a) 및 도 7(b) 참조).
그리고, 레버(31)의 회동 위치에 의해, 걸음 로킹부(14)의 내측면측(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4(a)의 화살표(Y) 방향측)에 변형 저지부(36) 또는 변형 허용부(37)가 위치하도록, 암부(32)에는, 레버(31)의 회동 각도에 대응하여 변형 저지부(36) 및 변형 허용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33)는 레버(31)를 회동할 때에 회동 조작되는 조작부(38)를 가지고 있다. 이 조작부(38)를 도 2에 도시하는 화살표(A) 방향으로 조작하여 레버(31)를 회전하면, 연결부(33)가 회전축 핀(34)(회동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 형상으로 변위한다.
이와 같이 하여, 레버(31)는 조작부(38)를 회동 조작함으로써 회동하기 때문에, 레버(31)를 손으로 회동 조작하여 커넥터끼리(11, 21) 완전끼워맞춤 상태로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레버식 커넥터(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끼리(11, 21) 완전끼워맞춤 상태가 된 것을 확인하고나서 패널(51)에 부착하는 수순을 행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끼리(11, 21) 반끼워맞춤 상태인 채로 패널(51)에 부착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21)는 끼워맞춤 상태에서 패널(51)에 부착된다. 이 패널(51)은 세로로 긴 장원형이며 걸음 로킹부(14)가 삽입통과 가능한 부착 구멍(52)과, 돌기부(17)가 맞닿음 가능한 이면측(54)을 가지고 있다(도 1 참조).
다음에 도 3으로부터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레버식 커넥터의 끼워맞춤 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끼리 반끼워맞춤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끼리 반끼워맞춤 상태인 경우의 걸음 로킹부와 암부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레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끼리 반끼워맞춤 상태인 경우의 변형 저지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끼리 완전끼워맞춤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끼리 완전끼워맞춤 상태인 경우의 걸음 로킹부와 암부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레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끼리 완전끼워맞춤 상태인 경우의 변형 허용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제 1 커넥터(11)에 제 2 커넥터(21)를 끼워맞출 때, 처음에, 레버(31)의 회전축 핀(34)을 프레임(13)의 회전축 구멍(16)에 삽입통과시킴으로써, 레버(31)를 제 1 커넥터(11)(프레임(13))에 대하여 회전 자유롭게 부착한다(예를 들면, 도 3 및 도 4(a) 참조).
레버(31)를 제 1 커넥터(11)에 부착하면, 레버(31)를 초기 위치(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위치)에 유지한 상태에서 프레임(13)에 제 2 커넥터(21)를 얕게 끼워 넣어지게 하고, 캠 종동자(22)를 캠 홈(35)에 삽입시킨다.
캠 종동자(22)를 캠 홈(35)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레버(31)의 조작부(38)를 회동 조작하면, 캠 종동자(22)와 회전축 핀(34)과의 거리가 짧아져, 제 2 커넥터(21)가 제 1 커넥터(11)측으로 끌려 들어간다.
그리고, 레버(31)의 회동에 의해,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21)가 반끼워맞춤 상태가 되는 위치(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레버(31)의 위치)로부터 완전끼워맞춤 상태(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레버(31)의 위치)로 되어, 암형 단자 금구(도시 생략)와 수형 단자 금구(도시 생략)가 도통 가능하게 접속된다.
이와 같이, 완전끼워맞춤 상태로 된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21)는 패널(51)의 표면측(도 1 및 도 4(a)의 화살표(Z)측)으로 누르면, 패널(51)에 형성된 부착 구멍(52)에 부착된다.
여기에서, 레버(31)가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21)가 반끼워맞춤 상태로 되는 회동 위치(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레버(31)의 위치)에 있을 때,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음 로킹부(14)의 내측면측(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4의 화살표(Y) 방향측)에는 변형 저지부(36)가 위치한다.
이 때문에,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음 로킹부(14)의 걸음 맞닿음부(18)가 변형 저지부(36)와 맞닿아, 걸음 로킹부(14)는 변형 저지부(36)에 의해 휨 변형이 저지된다.
이와 같이, 레버(31)가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21)가 반끼워맞춤 상태로 되는 회동 위치(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레버(31)의 위치)에서는, 걸음 로킹부(14)는 변형 저지부(36)에 의해 휨 변형이 저지되어, 부착 구멍(52)을 삽입통과할 수 없다.
따라서, 걸음 로킹부(14)가 부착 구멍(52)을 삽입통과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21)가 반끼워맞춤 상태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21)가 반끼워맞춤 상태인 경우에는, 걸음 로킹부(14)가 부착 구멍(52)을 삽입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커넥터끼리(11, 21) 반끼워맞춤 상태인 채로 패널(51)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레버(31)가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21)가 완전끼워맞춤 상태로 되는 회동 위치(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레버(31)의 위치)에 있을 때,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음 로킹부(14)의 내측면측(예를 들면, 도 7(a)의 화살표(Y) 방향측)에는 변형 허용부(37)가 위치한다.
이 때문에,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음 로킹부(14)의 걸음 맞닿음부(18)는 레버(31)의 암부(32)와 비맞닿음의 상태로 되어, 걸음 로킹부(14)는 변형 허용부(37)에 의해 휨 변형이 허용된다.
그리고, 걸음 로킹부(14)의 휨 변형이 허용되어 있기 때문에, 완전끼워맞춤 상태의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21)를 패널(51)의 부착 구멍(52)에 끼워 넣을 때, 커넥터끼리(11, 21)를 패널(51)의 표면측(도 1 및 도 4(a)의 화살표(Z)측)으로 누르는 힘에 의해 걸음 로킹부(14)가 제 1 커넥터(11)의 내측면측(예를 들면, 도 7의 화살표(Y) 방향측)으로 휨 변형하여 부착 구멍(52)에 삽입통과된다.
걸음 로킹부(14)가 부착 구멍(52)을 삽입통과한 후, 휨 변형되어 있던 걸음 로킹부(14)가 복원되어, 걸음 돌출부(17)가 패널(51)의 이면측(54)으로부터 맞닿는다. 또한 플랜지부(15)가 패널(51)의 표면측(도 1 및 도 4(a)의 화살표(Z)측)으로부터 구멍 가장자리(도시 생략)에 맞닿음으로써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21)가 패널(51)에 고정된다.
이렇게 하여, 커넥터끼리(11, 21) 완전끼워맞춤 상태인 경우, 걸음 로킹부(14)의 내측면측에 변형 허용부(37)가 위치하기 때문에, 걸음 로킹부(14)의 휨 변형이 허용되어 레버식 커넥터(1)가 패널(51)의 부착 구멍(52)에 부착된다.
그러나, 커넥터끼리(11, 21) 반끼워맞춤 상태인 경우, 걸음 로킹부(14)의 내측면측에 변형 저지부(36)가 위치하기 때문에, 걸음 로킹부(14)의 휨 변형이 저지되어 레버식 커넥터(1)는 패널(51)의 부착 구멍(52)에 부착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커넥터끼리(11, 21) 반끼워맞춤 상태인 채로 패널(51)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널(51)의 부착 구멍(52)에 레버식 커넥터(1)가 부착 가능한지 아닌지에 따라 커넥터끼리(11, 21)의 끼워맞춤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끼리(11, 21)의 끼워맞춤 상태를 검지하기 위한 간섭부를 레버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레버식 커넥터(1)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레버식 커넥터(1)는 제 1 커넥터(11)와, 이 제 1 커넥터(11)와 끼워맞춤 가능한 제 2 커넥터(21)와,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21) 중 어느 일방의 커넥터(11)에 설치되어 회동에 의해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21)를 끼워맞추어지게 하는 레버(31)를 구비한다.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21)가 끼워맞춤 상태에서 패널(51)의 부착 구멍(52)에 부착된다. 일방의 커넥터(11)는 부착 구멍(52)에 부착될 때에 내측면측으로 휨 변형하여 부착 구멍(52)에 삽입통과되는 걸음 로킹부(14)를 갖는다. 레버(31)는 레버(31)의 회동중에 일방의 커넥터(11)의 내측면측에 위치하는 암부(32)를 갖는다. 암부(32)는 걸음 로킹부(14)의 내측면측에 위치할 때에 휨 변형을 저지하는 변형 저지부(36)와, 걸음 로킹부(14)의 내측면측에 위치할 때에 휨 변형을 허용하는 변형 허용부(37)를 갖는다. 레버(31)가,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21)가 반끼워맞춤 상태로 되는 회동 위치에 있을 때에, 걸음 로킹부(14)의 내측면측에 변형 저지부(36)가 위치한다.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21)가 완전끼워맞춤 상태로 되는 회동 위치에 있을 때에, 걸음 로킹부(14)의 내측면측에 변형 허용부(37)가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레버식 커넥터(1)는, 변형 허용부(37)는 암부(32)의 표면에 형성한 오목 홈으로 구성되어 있고, 오목 홈 이외의 암부(32)의 표면에 의해 변형 저지부(36)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레버식 커넥터(1)는, 레버(31)는 레버(31)를 회동 조작하는 조작부(38)를 더 갖고, 레버(31)는 조작부(38)의 회동 조작에 의해 회동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레버식 커넥터(1)에 의하면, 커넥터끼리(11, 21) 완전끼워맞춤 상태인 경우, 걸음 로킹부(14)의 내측면측에 변형 허용부(37)가 위치하기 때문에, 걸음 로킹부(14)의 휨 변형이 허용되어 레버식 커넥터(1)가 패널(51)의 부착 구멍(52)에 부착된다.
그러나, 커넥터끼리(11, 21) 반끼워맞춤 상태인 경우, 걸음 로킹부(14)의 내측면측에 변형 저지부(36)가 위치하기 때문에, 걸음 로킹부(14)의 휨 변형이 저지되어 레버식 커넥터(1)는 패널(51)의 부착 구멍(52)에 부착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커넥터끼리(11, 21) 반끼워맞춤 상태인 채로 패널(51)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널(51)의 부착 구멍(52)에 레버식 커넥터(1)가 부착 가능한지 아닌지에 따라 커넥터끼리(11, 21)의 끼워맞춤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끼리(11, 21)의 끼워맞춤 상태를 검지하기 위한 간섭부를 레버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레버식 커넥터(1)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끼리(11, 21) 반끼워맞춤 상태인 채로 패널(51)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는 레버식 커넥터(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레버식 커넥터(1)에 의하면, 변형 허용부(37)는 암부(32)의 표면에 형성한 오목 홈으로 구성되고, 오목 홈 이외의 암부(32)의 표면에 의해 변형 저지부(36)가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간단한 구조로 걸음 로킹부(14)의 휨 변형을 저지 또는 허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레버식 커넥터(1)에 의하면, 레버(31)는 조작부(38)를 회동 조작함으로써 회동하기 때문에, 레버(31)를 손으로 회동 조작하여 커넥터끼리(11, 21)를 완전끼워맞춤 상태로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끼리(11, 21)를 완전끼워맞춤 상태로 된 것을 확인하고나서 패널(51)에 부착함으로써, 커넥터끼리(11, 21) 반끼워맞춤 상태인 채로 패널(51)에 부착할 수 있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레버식 커넥터를 도시의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부의 구성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임의의 구성의 것으로 치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걸음 로킹부(14)는 프레임(13)에 4개소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걸음 로킹부(14)의 수는 적당히 변경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걸음 로킹부(14)는 커넥터끼리(11, 21) 반끼워맞춤 상태인 경우에 내측면측에 변형 저지부(36)가 위치하고, 커넥터끼리(11, 21) 완전끼워맞춤 상태인 경우에 내측면측에 변형 허용부(37)가 위치하는 장소에 설치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레버식 커넥터(1)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레버식 커넥터의 커넥터끼리 반끼워맞춤 상태인 채로 패널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또한, 레버식 커넥터의 대형화를 억제하는 점에서 대단히 유용하다.

Claims (4)

  1. 레버식 커넥터로서,
    제 1 커넥터와,
    이 제 1 커넥터와 끼워맞춤 가능한 제 2 커넥터와,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 중 어느 일방의 커넥터에 설치되어 회동에 의해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를 끼워맞추어지게 하는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가 끼워맞춤 상태에서 패널의 부착 구멍에 부착되는 것이며,
    상기 일방의 커넥터는 상기 부착 구멍에 부착될 때에 내측면측으로 휨 변형하여 상기 부착 구멍에 삽입통과되는 걸음 로킹부(lock portion)를 갖고,
    상기 레버는 이 레버의 회동 중에 상기 일방의 커넥터의 내측면측에 위치하는 암부를 갖고,
    상기 암부는 상기 걸음 로킹부의 내측면측에 위치할 때에 휨 변형을 저지하는 변형 저지부와, 상기 걸음 로킹부의 내측면측에 위치할 때에 휨 변형을 허용하는 변형 허용부를 갖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가 반끼워맞춤 상태로 되는 회동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걸음 로킹부의 내측면측에 상기 변형 저지부가 위치하고,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가 완전끼워맞춤 상태로 되는 회동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걸음 로킹부의 내측면측에 상기 변형 허용부가 위치하는 레버식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허용부는 상기 암부의 표면에 형성한 오목 홈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 홈 이외의 상기 암부의 표면에 의해 상기 변형 저지부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이 레버를 회동 조작하는 조작부를 더 갖고,
    상기 레버는 상기 조작부의 회동 조작에 의해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커넥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이 레버를 회동 조작하는 조작부를 더 갖고,
    상기 레버는 상기 조작부의 회동 조작에 의해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커넥터.
KR1020137033224A 2011-07-01 2012-06-26 레버식 커넥터 KR201400163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47257 2011-07-01
JP2011147257A JP5707256B2 (ja) 2011-07-01 2011-07-01 レバー式コネクタ
PCT/JP2012/066250 WO2013005606A1 (ja) 2011-07-01 2012-06-26 レバー式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379A true KR20140016379A (ko) 2014-02-07

Family

ID=47436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3224A KR20140016379A (ko) 2011-07-01 2012-06-26 레버식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53908B2 (ko)
JP (1) JP5707256B2 (ko)
KR (1) KR20140016379A (ko)
CN (1) CN103828136B (ko)
DE (1) DE112012002778T5 (ko)
WO (1) WO20130056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59558B (zh) * 2015-05-15 2018-09-07 矢崎总业株式会社 连接器的连接构造
JP6883407B2 (ja) * 2016-11-17 2021-06-09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DE102017003296B3 (de) * 2017-04-04 2018-05-30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Steckverbind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teckverbindu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9037A (ja) * 2001-05-30 2002-12-13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3644408B2 (ja) * 2001-05-30 2005-04-2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119788B2 (ja) * 2007-08-01 2013-01-1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080313B2 (ja) * 2007-11-09 2012-11-21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16306A (ja) 2013-01-24
CN103828136A (zh) 2014-05-28
WO2013005606A1 (ja) 2013-01-10
DE112012002778T5 (de) 2014-03-20
US20140113469A1 (en) 2014-04-24
US9153908B2 (en) 2015-10-06
JP5707256B2 (ja) 2015-04-22
CN103828136B (zh)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1136B1 (ko) 직접 정합 및 정합해제를 위한 cpa 장치
JP5707257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10109954B2 (en) Lever-type connector
JP5781846B2 (ja) コネクタ装置
JP2018195488A (ja) 接続端子
US20170288342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otary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JP2008147008A (ja) 電気コネクタ
US10320118B2 (en) Connector with a latching assembly
JP2020027783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KR20140016379A (ko) 레버식 커넥터
KR101887834B1 (ko) 전기 커넥터
WO2013005658A1 (ja) レバー式コネクタ
CN106058577B (zh) 连接器组件
EP1995828A1 (en) A lever-type connector and an assembling method therefor
WO2020036152A1 (ja) レバー式コネクタ
KR20230138757A (ko) 레버 타입 커넥터
JP6861464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WO2013005663A1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5833432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KR20230013402A (ko) 레버 및 이를 가진 레버타입 커넥터
JP2012074191A (ja) コネクタ
KR20160099855A (ko) 커넥터용 미결합방지장치
JP2013239247A (ja) 電子制御ユニットのコネクタ装置
JP2004079485A (ja) 嵌合検知機構付き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