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9855A - 커넥터용 미결합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용 미결합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9855A
KR20160099855A KR1020150022063A KR20150022063A KR20160099855A KR 20160099855 A KR20160099855 A KR 20160099855A KR 1020150022063 A KR1020150022063 A KR 1020150022063A KR 20150022063 A KR20150022063 A KR 20150022063A KR 20160099855 A KR20160099855 A KR 20160099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upling
insertion space
interlocking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2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2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9855A/ko
Publication of KR20160099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98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용 미결합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커넥터(50)가 상대커넥터(12)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미결합상태를 작업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커넥터(50)와 상대커넥터(12)가 완전결합되지 않았을 때는 결합구(20)가 탄성부재(40)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대커넥터(12)에서 멀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구(20)는 상기 커넥터(50)가 상기 상대커넥터(12)의 삽입공간(16)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커넥터(50)에 의해 연동레버(34)가 눌러져서 연동된다. 따라서, 커넥터(50)가 상기 상대커넥터(12)에 삽입되는 과정과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구(20)가 상기 커넥터(50)에 의해 동작되므로 미결합방지장치를 작업자가 별도로 조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자는 커넥터(50)를 상대커넥터(12)에 결합하고 분리하는 작업만을 진행하면 되어 작업자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용 미결합방지장치{Uncoupling prevention apparatus for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용 미결합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가 상대물과 미결합상태인 것을 작업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용 미결합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어 전기적인 연결을 수행한다. 커넥터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부에는 터미널이 구비되어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하지만, 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경우에는 터미널끼리의 전기적 연결이 되지 않아 해당 전장부품의 동작이 제대로 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제대로 된 것을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예를 들면, 아래의 선행기술문헌과 같은 미결합방지장치가 사용된다. 미결합방지장치는 커넥터가 상대물에 제대로 결합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커넥터나 상대물에 결합되지 않게 되어 작업자가 쉽게 커넥터가 상대물과 제대로 결합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서는 먼저 커넥터가 상대물에 결합되도록 한 후에 미결합방지장치를 동작시켜 미결합방지장치가 커넥터나 상대물에 결합되도록 하여야 하므로 작업자의 조작횟수가 많아져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일본특허공개 2001-076816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를 상대물에 결합과 분리하는 동작에 의해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지는 미결합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대커넥터의 삽입공간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커넥터가 상대커넥터에 미결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넥터용 미결합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커넥터가 삽입공간에 삽입, 분리되는 과정에서 연동되는 연동레버를 구비하여 상기 상대커넥터에 상기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대커넥터의 하우징부의 외면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커넥터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하우징부의 외면에서 이동되어 위치되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가 상기 하우징부의 외면에서 이동된 위치에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구는 결합구몸체와, 상기 결합구몸체의 일측에서 한쌍이 나란히 연장되고 선단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대커넥터 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핀을 구비하는 핀레그와, 상기 결합구몸체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선단이 상기 삽입공간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연동레버를 포함한다.
상기 연동레버는 상기 결합구몸체에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와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연장되어 선단이 상기 삽입공간에서 상기 탄성부재에 지지되는 연동부로 구성된다.
상기 연동레버의 연동부 선단에는 상기 커넥터의 선단에 접촉되는 연동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동돌기의 반대쪽으로는 상기 탄성부재를 관통하는 탄성부재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구몸체에는 상기 상대커넥터의 하우징부 외면과 마주보는 몸체판과 상기 몸체판의 양단에 직교하게 구비되어 상기 몸체판과 마주보는 하우징부 외면과 직교하는 하우징부 외면과 마주보는 측판과 상기 몸체판 및 측판과 동시에 직교하며 선단에 간섭방지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의 후단 일부를 차폐하는 커버판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구는 상기 상대커넥터의 하우징부 외면에 인접한 설치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동레버는 상기 설치공간과 상기 삽입공간을 연통시키도록 상기 하우징부에 형성된 연통부를 통해 상기 삽입공간의 내부로 연장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용 미결합방지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미결합방지장치에서는 결합구에 구비되는 연동레버가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커넥터에 의해 동작되어 결합구가 결합위치로 이동하도록 하고, 커넥터가 분리되는 과정에서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연동레버가 밀리면서 결합구가 해제위치로 이동하도록 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별도로 결합구를 조작하지 않아도 되어 커넥터용 미결합방지장치가 별도의 조작없이 사용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용 미결합방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채용된 자동차용 블럭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와 커넥터의 구성을 분리해서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커넥터가 상대커넥터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결합구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커넥터가 상대커넥터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결합구의 동작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커넥터가 상대커넥터에서 분리되는 과정에서 결합구의 동작을 보인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미결합방지장치가 자동차용 블럭에 일체로 형성된 상대커넥터에 커넥터가 결합되는 것에서 미결합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해 적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을 커넥터끼리의 결합에서 미결합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블럭몸체(10)의 일측에 상대커넥터(12)가 형성된다. 상기 상대커넥터(1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넥터(50)가 결합되어 사용된다. 상기 상대커넥터(12)의 외관을 하우징부(14)가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부(14)는 상기 블럭몸체(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삽입공간(16)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16)은 상기 하우징부(14)의 외부로 개방되어 있는데, 상기 삽입공간(16)이 내부에 아래에서 설명될 커넥터(50)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참고로 상기 삽입공간(16)에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의 선단이 위치된다. 도면부호 17은 아래에서 설명될 커넥터(50)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17)이다.
상기 하우징부(14)의 외면에 인접한 블럭몸체(10)에는 설치공간(18)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공간(18)은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구(20)의 일부가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설치공간(18)은 상기 블럭몸체(10)의 표면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설치공간(18)의 내면 양측에는 서로 마주보게 핀공(18')이 형성된다. 상기 핀공(1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구(20)의 회전핀(33)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설치공간(18)과 상기 삽입공간(16)은 연통부(19)에 의해 서로 연통된다. 상기 연통부(19)는 상기 설치공간(18)의 내면에 해당되는 상기 하우징부(14)의 일부가 제거되어 만들어진다. 상기 연통부(19)를 통해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구(20)의 연동레버(34)가 관통한다.
결합구(20)는 커넥터(50)가 상대커넥터(12)에 결합되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커넥터(50)의 결합과 분리동작에 따라 동작된다. 상기 결합구(20)의 골격을 결합구몸체(22)가 형성한다. 상기 결합구몸체(22)에는 몸체판(24)이 있다. 상기 몸체판(24)은 상기 하우징부(12)의 일측면을 덮도록 치수가 설계된다. 상기 몸체판(24)의 양측에는 측판(26)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측판(26)은 상기 몸체판(24)에 직교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판(26)은 상기 하우징부(12)에서 상기 몸체판(24)과 마주보는 측면에 직교하는 측면들과 마주보게 된다. 상기 몸체판(24)과 상기 측판(26)에 동시에 직교하게 커버판(28)이 있다. 상기 커버판(28)은 상기 상대커넥터(12)에 커넥터(50)가 결합되었을 때, 커넥터(50)의 후단 일측을 차폐하게 된다. 상기 커버판(28)에는 커넥터(5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간섭방지경사면(30)이 형성된다. 상기 간섭방지경사면(30)은 상기 커버판(28)의 선단 내면에 형성되어 결합구(20)의 동작시에 커넥터(50)의 하우징(52)과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 결합구몸체(22)에는 핀레그(32)가 한 쌍이 있다. 상기 핀레그(32)의 선단에는 회전핀(33)이 있다. 상기 회전핀(33)은 상기 결합구몸체(22)의 회전중심이 된다. 상기 회전핀(33)은 양측의 핀레그(32)의 것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돌출된다. 상기 회전핀(33)은 상기 설치공간(18)의 핀공(18')에 삽입되어 회전된다.
상기 결합구몸체(22)에는 연동레버(34)가 있다. 상기 연동레버(34)는 상기 몸체판(24)에서 연장되는 연장부(36)와 상기 연장부(36)의 선단에서 직교하게 연장되는 연동부(38)로 구성된다. 상기 연동부(38)는 상기 연통부(19)를 통해 선단이 상기 하우징부(14)의 삽입공간(16) 내에 있어서, 커넥터(50)가 삽입공간(16)으로 삽입될 때 눌러져서 결합구(20)가 상기 회전핀(33)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한다. 상기 연동레버(34)에서 상기 연장부(36)와 연동부(38)가 반드시 직교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만나도록 연결되면 된다.
그리고,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연동레버(34)가 하나가 있으나,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연동레버(34)가 복수개 있을 수도 있다. 이는 커넥터(50)의 크기 등 설계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연동레버(34)의 연동부(38) 선단에는 연동돌기(38')가 있다. 상기 연동돌기(38')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넥터(50)의 일측에 접촉되어 커넥터(50)의 동작에 따라 결합구(20)가 동작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동돌기(38')의 돌출정도는 커넥터(50)와 결합구(20)의 연동에 필요한 치수만큼으로 된다.
상기 연동레버(34)에는 상기 연동돌기(38')가 돌출된 반대쪽에 탄성부재돌기(39)가 돌출된다. 상기 탄성부재돌기(39)는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부재(40)가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탄성부재돌기(39)에 아래의 탄성부재(40)가 설치되어 상기 결합구(20)의 몸체판(24)이 상기 하우징부(14)의 외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발휘한다.
탄성부재(40)는 상기 결합구(20)가 분리상태, 즉 상기 상대커넥터(12)의 하우징부(14)에서 떨어진 상태가 되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40)는 상기 삽입공간(16)의 내부 일측에 있는 탄성부재안착부(42)에 위치된다. 상기 탄성부재(40)는 상기 연동레버(34)의 탄성부재돌기(39)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안착부(42) 내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안착부(42) 내에는 안내핀(43)이 있어 상기 탄성부재(40)의 일측 단부를 안내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40)는 본 실시례에서는 원통코일스프링이 사용된다.
한편, 상기 상대커넥터(12)에 결합되는 커넥터(50)의 구성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커넥터(50)의 외관을 하우징(52)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52)은 절연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52)의 내부에는 터미널안착공간(도면부호 부여않음)이 전후로 관통되어 형성되는데, 터미널안착공간에는 터미널이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52)의 외면 일측에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체결레버(54)가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체결레버(54)는 외팔보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체결레버(54)의 일측 외면에는 체결돌기(56)가 있다. 상기 체결돌기(56)는 상기 체결공(17)에 걸어짐에 의해 커넥터(50)가 상기 상대커넥터(12)에 체결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용 미결합방지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
도 5의 (a)에 도시된 상태는 커넥터(50)가 상기 상대커넥터(12)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결합구(20)는 상기 탄성부재(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대커넥터(12)의 하우징부(14)의 외면에서 멀어져 있는 상태이다. 즉, 상기 회전핀(33)을 중심으로 상기 결합구(20)가 도면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탄성부재(40)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판(28)이 상기 삽입공간(16)을 가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공간(16)으로 커넥터(50)를 삽입하는 것이 방해되지 않게 된다. 상기 커넥터(50)를 상기 상대커넥터(12)의 삽입공간(16)으로 삽입하는 과정이 도 5의 (b)에 있다. 하지만, 상기 커넥터(50)가 상기 삽입공간(16)으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았으므로, 상기 결합구(20)는 회전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는 상기 커넥터(50)의 선단이 상기 결합구(20)의 연동레버(34)에 닿지 않았기 때문이다.
상기 연동레버(34) 또는 상기 연동레버(34)의 연동돌기(38')에 상기 커넥터(50)의 선단이 닿게 되면 상기 결합구(20)는 상기 탄성부재(4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결합구(20)는 상기 커넥터(50)의 삽입에 의해 도면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5의 (b)에서 도 5의 (c)상태로 된다.
즉, 상기 커넥터(50)가 상기 상대커넥터(12)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연동레버(34)가 커넥터(50)에 의해 눌러지면서 상기 결합구(20)가 회전하여 상기 결합구(20)의 커버판(28)이 상기 커넥터(50)의 후단 일부를 덮은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작업자는 상기 커넥터(50)가 상기 상대커넥터(12)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물론, 이 상태에서는 상기 체결레버(54)의 체결돌기(56)가 상기 하우징부(12)의 체결공(17)에 걸어진 상태가 된다.
만약, 상기 커넥터(50)가 상기 상대커넥터(12)의 삽입공간(16)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게 되면, 상기 체결돌기(56)가 상기 체결공(17)에 걸어지지 않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커넥터(50)에 제공하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탄성부재(40)의 복원력에 의해 결합구(20)가 회전하면서 상기 커넥터(50)도 상기 삽입공간(16)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작업자는 커넥터(50)가 상기 상대커넥터(12)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확실하게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커넥터(50)가 상기 상대커넥터(12)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 있다가 분리되는 것을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6의 (a)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상기 커넥터(50)의 선단에 의해 상기 연동레버(34) 또는 연동레버(34)의 연동돌기(38')가 눌러져서 상기 탄성부재돌기(39)에 설치된 탄성부재(40)가 탄성변형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커넥터(50)의 체결레버(54)를 조작하여 상기 체결돌기(56)가 상기 하우징부(14)의 체결공(17)에서 분리되면, 상기 커넥터(50)가 상기 상대커넥터(12)에서 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커넥터(50)가 상기 상대커넥터(12)의 삽입공간(16)에서 빠져나오면 상기 탄성부재(4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연동레버(34)가 밀리면서 상기 결합구(20)가 상기 회전핀(3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결합구(20)의 회전은 상기 커넥터(50)가 상기 상대커넥터(12)에서 분리되도록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커넥터(50)의 후단을 차폐하던 상기 커버판(28)이 이동되므로 커넥터(50)의 하우징(52)의 후단이 상기 커버판(28)의 방해를 받지 않고 상대커넥터(12)의 삽입공간(16)에서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도 6의 (b)에는 상기 결합구(20)가 약간 회전되어 상기 커넥터(50)가 상대커넥터(12)에서 빠져나오기 시작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의 (c)에는 상기 커넥터(50)가 상기 상대커넥터(12)에서 완전히 빠져나오고 상기 결합구(20)도 상기 상대커넥터(12)의 하우징부(14)의 외면에서 멀어진 상태가 되도록 회전되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로, 상기 결합구(20)에서 상기 측판(26)과 커버판(28)은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측판(26)과 커버판(28)이 없더라도 상기 결합구(20)의 기능은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커버판(28)은 커넥터(50)의 후단 일부를 차폐하므로 상부에서 작업자가 결합구(20)의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결합구(20)는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하나만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상대커넥터(12)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2개가 사용될 수도 있다.
10: 블럭몸체 12: 상대커넥터
14: 하우징부 16: 삽입공간
18: 설치공간 18': 핀공
19: 연통부 20: 결합구
22: 결합구몸체 24: 몸체판
26: 측판 28: 커버판
30: 간섭방지경사면 32: 핀레그
33: 회전핀 34: 연동레버
36: 연장부 38: 연동부
38': 연동돌기 39: 탄성부재돌기
40: 탄성부재 42: 탄성부재안착부
43: 안내핀 50: 커넥터
52: 하우징 54: 체결레버
56: 체결돌기

Claims (6)

  1. 상대커넥터의 삽입공간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커넥터가 상대커넥터에 미결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넥터용 미결합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커넥터가 삽입공간에 삽입, 분리되는 과정에서 연동되는 연동레버를 구비하여 상기 상대커넥터에 상기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대커넥터의 하우징부의 외면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커넥터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하우징부의 외면에서 이동되어 위치되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가 상기 하우징부의 외면에서 이동된 위치에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용 미결합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결합구몸체와, 상기 결합구몸체의 일측에서 한쌍이 나란히 연장되고 선단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대커넥터 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핀을 구비하는 핀레그와, 상기 결합구몸체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선단이 상기 삽입공간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연동레버를 포함하는 커넥터용 미결합방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레버는 상기 결합구몸체에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와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연장되어 선단이 상기 삽입공간에서 상기 탄성부재에 지지되는 연동부로 구성되는 커넥터용 미결합방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레버의 연동부 선단에는 상기 커넥터의 선단에 접촉되는 연동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동돌기의 반대쪽으로는 상기 탄성부재를 관통하는 탄성부재돌기가 형성되는 커넥터용 미결합방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몸체에는 상기 상대커넥터의 하우징부 외면과 마주보는 몸체판과 상기 몸체판의 양단에 직교하게 구비되어 상기 몸체판과 마주보는 하우징부 외면과 직교하는 하우징부 외면과 마주보는 측판과 상기 몸체판 및 측판과 동시에 직교하며 선단에 간섭방지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의 후단 일부를 차폐하는 커버판을 포함하는 커넥터용 미결합방지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상기 상대커넥터의 하우징부 외면에 인접한 설치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동레버는 상기 설치공간과 상기 삽입공간을 연통시키도록 상기 하우징부에 형성된 연통부를 통해 상기 삽입공간의 내부로 연장되는 커넥터용 미결합방지장치.
KR1020150022063A 2015-02-13 2015-02-13 커넥터용 미결합방지장치 KR201600998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063A KR20160099855A (ko) 2015-02-13 2015-02-13 커넥터용 미결합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063A KR20160099855A (ko) 2015-02-13 2015-02-13 커넥터용 미결합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855A true KR20160099855A (ko) 2016-08-23

Family

ID=56875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2063A KR20160099855A (ko) 2015-02-13 2015-02-13 커넥터용 미결합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985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6816A (ja) 1999-09-07 2001-03-23 Yazaki Corp コネクタの半嵌合防止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6816A (ja) 1999-09-07 2001-03-23 Yazaki Corp コネクタの半嵌合防止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62498B1 (en) Male and female connectors and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KR101998077B1 (ko)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
US9130306B2 (en) Connector assembly for an electrical plug-in connector, electrical plug-in connector and manufactured electric cable
JP6288125B2 (ja) コネクタ
KR102011385B1 (ko) 자동 이차 로크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JP6500112B2 (ja) Cpa受容部材を含む中間ハウジングおよびそのようなハウジングを備えるプラグ型コネクタシステム
JP6307755B2 (ja) プラグ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20120064751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9985380B2 (en) Connector and position assurance member received therein
US8403696B2 (en) Connector with a conductive shell with a flange with an integral locking portion for engagement with a mating connector
US7731519B1 (en) Adaptable universal electrical connector system particularly adapted for use in repair or replace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such as relays, solenoids and the like
JP2006510169A (ja) 端子位置維持(assurance)システム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KR101530431B1 (ko) 커넥터 장치
KR102454220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140019244A (ko) 박형 와이어 투 보드 커넥터용 래칭 장치
KR102591645B1 (ko) 커넥터 어셈블리
US7578709B2 (en) Contact locking device for an electric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or containing said device
US11283209B2 (en) Connector housing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10608375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a slider
US7862368B1 (en) Socket assembly
CN106058577B (zh) 连接器组件
KR20160099855A (ko) 커넥터용 미결합방지장치
US20180062305A1 (en) Sealed plug-in connector
KR101632708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160007320A (ko) 커넥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