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1136B1 - 직접 정합 및 정합해제를 위한 cpa 장치 - Google Patents

직접 정합 및 정합해제를 위한 cpa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1136B1
KR102431136B1 KR1020150148548A KR20150148548A KR102431136B1 KR 102431136 B1 KR102431136 B1 KR 102431136B1 KR 1020150148548 A KR1020150148548 A KR 1020150148548A KR 20150148548 A KR20150148548 A KR 20150148548A KR 102431136 B1 KR102431136 B1 KR 102431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device
connector
secondary locking
closed position
open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9491A (ko
Inventor
라이너 슈미트
클라우스 뮬러
Original Assignee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49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Sealing between contact members and housing, e.g. sealing inse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플러그 커넥터는 가요성 레그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한다.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가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와 정합되지 않을 때 가요성 레그와 봉쇄 접촉되는 가요성 아암과 끼움 부분을 갖는 2차 잠금 장치를 더 포함한다. 플러그 커넥터는 이에 따라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와의 직접적인 정합을 가능케 하며, 이에 의해 2차 잠금 장치는 커넥터 위치 보장 기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직접 정합 및 정합해제를 위한 CPA 장치{CPA DEVICE FOR DIRECT MATING AND UNMATING}
본 발명은 2차 잠금 장치를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대응하는 상대(counter) 커넥터에의 플러그 커넥터의 직접적인 정합 및 정합해제를 가능케 한다.
커넥터의 안전한 연결은 많은 용례에 대해 중요성이 높다. 예를 들어, 요즘의 승용차는 다양한 상이한 전기 연결부를 포함한다.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와 정합되는 커넥터는 의도적이지 않게 느슨해질 수 없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와의 사이의 안전한 기계적인 연결을 확보하기 위한 2차 잠금 부재가 본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다.
또한, "과실 방지식(fool proof)" 조립을 허용하기 위해 조립 절차 동안 플러그 커넥터가 완전히 그리고 적절하게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와 정합된 것을 시각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나타내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적절히 정합된 커넥터와 연관되는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이른바 커넥터 위치 보장(CPA) 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CPA 장치는 플러그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 안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대개 상이한 색상으로 제공되는 별도의 요소이다. 커넥터가 적절하게 또는 완전히 그것의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에 연결되지 않는 경우, CPA 장치는 커넥터 하우징 안으로 완전히 삽입될 수 없다. 따라서, CPA 장치는 커넥터로부터 돌출하고, 이는 완전한 정합이 아직 달성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상대 커넥터와의 커넥터의 완전하고 적절한 정합 시에만, CPA 장치를 커넥터 하우징 안으로 완전히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플러그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와 적절하게 그리고 정확하게 정합되었는지의 여부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게 한다. 대개, CPA 및 2차 잠금 장치의 기능은 하나의 부품으로 통합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합 절차는 수개의 단계를 요구한다.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와 정합되어야 하고 또한 거기에 잠겨야 한다. 또한, 2차 잠금장치는 폐쇄되어야 하고 그리고/또는 CPA 장치는 적절한 정합을 보장하도록 삽입되어야 한다. 그러나, 요즘의 제조 현장에서는, 플러그 커넥터가 신속하고 확실한 방식으로 상대 커넥터와 정합되는 것이 대개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요는 다른 것들 중에서도 인체공학적인 이유로부터 발생한다. 그러므로, 정합 절차는 최소한의 수의 단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대 커넥터와의 플러그 커넥터의 신속하고 확실한 정합을 가능케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상대 커넥터로부터의 커넥터의 원치 않는 분리의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용이한 정합해제 절차를 가능케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분명해지는 이러한 그리고 다른 목적은 독립 청구항의 주제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가 제공된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는 1차 잠금 수단이 제공된 가요성 레그(즉, 하나 이상)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한다. 1차 잠금 수단은 플러그 커넥터가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와 정합될 때 1차 잠금 기능을 제공하도록 적응된다. 1차 잠금 수단은 커넥터 하우징의 가요성 레그가 구부러질 때 1차 잠금 기능이 설정해제 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플러그 커넥터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와의 사이에서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2차 잠금 장치(이하에서는 "SLD"라 약칭함)를 더 포함한다. 개방 위치에서, SLD는 상대 커넥터와의 플러그 커넥터의 정합을 허용하고, 폐쇄 위치에서 SLD은 플러그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와의 사이에서 추가적인(2차) 잠금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SLD는 가요성 아암 및 적어도 하나의 끼움(jamming) 부분을 포함한다. 끼움 부분은 SLD의 가요성 아암의 일부일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끼움 부분은 가요성 아암과 별개인 요소이다. 이는, 끼움 부분을 높은 강성으로 설계하고 가요성 아암을 낮은 강성, 즉 증가된 가요성으로 설계하는 것을 가능케 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커넥터 하우징의 가요성 레그 및 SLD의 가요성 아암은 2차 잠금 장치의 가요성 아암이 구부러지지 않을 때 봉쇄 접촉되도록 적응된다. 즉, 가요성 아암이 압력을 받지 않거나 결합되지 않는 구성인 아이들 상태에서, SLD는 바람직하게는 정합 방향인 봉쇄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이러한 봉쇄 접촉은 특히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의 SLD의 이동을 억제한다. 즉, SLD의 가요성 아암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SLD 를 이동시키기 위해 구부러질 필요가 있다. 이는, 조작자가 예를 들어 SLD 자체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를 2차 잠금 장치를 통해 정합 위치로 가압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에 따라, 이른바 관성 잠금 기능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SLD의 가요성 아암은 플러그 커넥터가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와 정합될 때 구부러지도록 적응된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와 정합될 때, 가요성 아암은 2차 잠금 장치가 폐쇄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부러진다. 바람직하게는, 아암은 예를 들어 (직접적인 또는 간접적인) 상대 커넥터의 일부와의 접촉에 의해 자동적으로 구부러진다. 이는, 완전 정합 시에, SLD가 그에 따라 자동적으로 분리되고 그 잠금 위치에 가압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SLD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SLD의 끼움 부분은 커넥터 하우징의 가요성 레그의 구부러짐을 방지하도록 적응된다. 즉, 커넥터 하우징의 가요성 레그의 1차 잠금 기능은 2차 잠금 장치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는 설정해제 될 수 없는데, 이는 끼움 부분이 상기 가요성 레그의 구부러짐을 막기 때문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1차 잠금 기능을 설정해제 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2차 잠금이 커넥터 시스템에 제공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설계는 수월한 정합 처리를 가능케 한다. SLD는 그것을 정합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분리되기 때문에, SLD는 플러그 커넥터를 상대 커넥터와 정합시킬 때 하나의 단일 작업 단계로 자동적으로 폐쇄될 수 있다. 조작자가 상당한 힘으로 SLD 를 통해 플러그 커넥터를 밀 때 정합 처리에 수반되는 관성은, 적용된 힘이 정합을 위해 충분할 경우 SLD가 조작자에 의해 자동적으로 폐쇄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특징을 "관성 잠금"이라고 나타내기도 한다. 커넥터 하우징과의 2차 잠금 장치의 상호작용은 이에 따라 추가로 커넥터 위치 보장(CPA) 기능을 제공하고, 성공적이고 완전한 정합의 직접적인 확인을 가능케 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대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에 연결되도록 적응되는 임의의 종류의 커넥터를 나타낸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가요성 레그" 및 "가요성 아암"은 특정 모습 또는 구조로 제한되지 않지만, 양 요소 모두 강직성, 즉 강성적 이여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가요성 레그는 플레이트-유사 요소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지만, 가요성 아암은 대신에 링-유사 구조의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레그 및 가요성 아암은 정합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봉-유사 또는 바-유사 형태이다.
상기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의 2차 잠금 장치의 이동 방향은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의 정합 방향과 동일 또는 대략 동일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커넥터는 관성 잠금에 의해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에 완전히 연결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관성 잠금이 전체 연결 절차가 하나의 단계로 실행되며 조작자는 중간 연결 상태에서 정지할 수 없음을 암시한다는 것을 이해한다. 즉, 연결 절차를 시작하고 소정의 힘에 의해 제1 장벽을 극복할 때, 연결 절차는 플러그 커넥터가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에 완전히 연결될 때까지 관성으로 인해 지속된다. 용어 "완전히 연결된다"는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가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와 정합되고 2차 잠금 장치가 폐쇄 위치에 있음으로써 CPA 기능이 제공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설계로 인해, 플러그 커넥터 및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를 조작자의 단일 작용만을 요구하는 간단하고 수월한 방식으로 정합 및 정합해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2차 잠금 장치의 가요성 아암은 T-형상 또는 L-형상 부분을 포함하고, 커넥터 하우징의 가요성 레그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커넥터가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와 정합되지 않을 대, 정합 방향으로 2차 잠금 장치에 작용하는 임의의 힘은 구부러지지 않은 가요성 아암을 따라 종방향으로 T-형상 또는 L-형상 부분과 돌출부와의 사이의 봉쇄 접촉을 통해 커넥터 하우징에 전달된다. 따라서, T-형상 또는 L-형상 부분과 커넥터 하우징의 돌출부와의 사이의 상호작용은 플러그 커넥터가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와 정합되지 않을 때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의 2차 잠금 장치의 이동을 억제한다. 힘은 가요성 아암을 따라 종방향으로 전달되기 대문에, 상기 가요성 아암은 변형되거나 파괴되지 않는 상태로 비교적 높은 힘을 견딜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2차 잠금 장치는 2차 잠금 장치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될 때 커넥터 하우징의 가요성 레그를 구부리도록 적응되는 분리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가요성 레그의 구부러짐에 의해, 1차 잠금 기능은 설정해제되고 플러그 커넥터는 정합해제 되고 대응하는 상태 커넥터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커넥터 하우징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와의 사이에서 2차 자금 장치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안내 수단은 2차 잠금 장치가 정합 방향에 수직인 축 주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오목부 또는 간극을 포함한다. 이러한 회전에 의해, 2차 잠금 장치는 가요성 레그가 구부러지고 1차 잠금 기능이 설정해제되도록 커넥터 하우징의 가요성 레그와 상호작용한다. 따라서, 2차 잠금 장치를 회전시킴으로서, 조작자는 최소의 노력으로 1차 잠금 기능을 설정해제 하고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로부터 플러그 커넥터를 정합해제 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완전히 분해된 상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에 다른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 2는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의 도 1의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분적으로 조립된 플러그 커넥터의 부분 절취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2차 잠금 장치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2의 플러그 커넥터의 부분 절취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와 정합된 도 2의 플러그 커넥터의 부분 절취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에 완전히 연결된 도 6의 플러그 커넥터의 부분 절취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다른 구성에 있어서의 도 6의 조립체의 부분 절취도를 도시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부분 절취 측면도를 옆에서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구성요소, 즉 커넥터 하우징(10), 2차 잠금 장치(20), 말단 위치 보장(TPA) 부재(30) 및 실링 부재(40)를 나타낸다. 도 2는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의 도 1의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TPA 부재(30) 및 실링 부재(40)가 플러그 커넥터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선택적인 구성요소라는 것을 이해한다.
도 3은 TPA 부재(30) 및 실링 부재(40)가 부착된 커넥터 하우징(10)을 도시한다. 커넥터 하우징(10)은 1차 잠금 부재(13)를 지지하는 2개의 레그(11a, 11b)를 포함하며, 1차 잠금 부재는 결국 래치(latch)의 형태로 존재한다. 상기 래치는 커넥터 하우징(10)을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에 잠그기 위해서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와 상호작용하도록 적응된다. 레그(11a, 11b)는 2개의 돌출부(12a, 12b) 및 끼움 표면(14a, 14b)을 더 포함한다. 돌출부 및 끼움 표면은 모두 가요성 레그(11a, 11b)의 동일한 상측에 제공된다. 끼움 표면(14a)의 반대측에는 잠금해제 부분(15a)이 제공된다. 볼 수는 없지만, 도시된 커넥터 하우징(10)[및 또한 2차 잠금 장치(20)]은 거울 대칭이기 때문에, 통상의 기술자는 유사한 잠금해제 부분이 가요성 레그(11b)에 제공되는 끼움 표면(14b)의 반대측에 제공된다는 것을 이해한다.
도 4는 가요성 아암(21)을 특징부로 하고, 가요성 아암은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와 상호작용하도록 적응되는 일단부에 있는 2차 잠금 수단을 특징부로 하는 2차 잠금 장치(20)를 도시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2차 잠금 장치 및 또한 커넥터 하우징이 임의의 수의 가요성 아암 및 가요성 레그를 각각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가요성 아암(21)은 가요성 아암(21)으로부터 멀어지는 측방향 연장부를 갖는 T-형상 부분(22a, 22b)을 특징부로 한다. 대안적으로, 아암(21)에는 또한 L-형상 부분이 제공될 수 있지만, T-형상은 그 대칭적인 설계로 인해 더 균일한 힘의 전달을 가능케 한다. 또한, 2차 잠금 장치(20)는 두 개의 끼움 부분을 포함하며, 시각으로 인해 이들 중 하나의 끼움 부분(24b)만을 도 4에서 볼 수 있다. 또한, 2차 잠금 장치(2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10)의 잠금해제 부분(15a, 15b)과 상호작용하도록 적응되는 두 개의 분리 부분(25a, 25b)을 특징부로 한다.
2차 잠금 장치(20)에는 간단한 동작을 가능케 하는 비교적 큰 작동 표면(29)이 제공된다. 또한, 2차 잠금 장치(20)는 예를 들어 스크류 드라이버를 삽입하고 2차 잠금 장치(20)를 그와 함께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케 하는 작동 부분(28)을 특징부로 한다.
도 4에서 추가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2차 잠금 장치(20)는 2차 잠금 장치(20)가 커넥터 하우징(10)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될 수 없도록 커넥터 하우징(10)에 쐐기의 형태로 제공되는 보유 수단(16b)[언급된 바와 같이, SLD는 대칭적이며, 따라서 대칭적인 보유 수단이 보유 수단(16b) 맞은 편에 있다]과 같은 보유 수단과 상호작용하도록 적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6a)를 특징부로 한다. 2차 잠금 장치가 의도적이지 않게 느슨해질 수 없도록 2차 잠금 장치(20)의 이동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와의 사이에서 억제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또한, 2차 잠금 장치(20)는, 2차 잠금 장치(20)의 일부가 편향되고 후속하여 끌어당겨져서 정합 처리가 성공했음을 나타내는 청각적인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도록, 커넥터 하우징(10)에 제공되는 각각의 보유 수단(16a)[시각으로 인해 도 4에서 볼 수 없지만, 보유 수단(16b)과 유사함]을 지나가는 피드백 부분(27a)을 특징부로 한다.
도 5는 도 4의 2차 잠금 장치(20)가 부착되어 2차 잠금 장치(20)가 그 개방 위치에 있는 도 3의 조립체를 도시한다. 여기서 커넥터 하우징(10)의 안내 수단(17b)은 전체 플러그 커넥터의 정합 방향과 대략 동일하도록 2차 잠금 장치(20)의 이동 방향을 제한한다.
도 5의 구성에서는, 커넥터 하우징(10)의 끼움 표면(14a, 14b)은 2차 잠금 장치(20)의 끼움 부분에 의해 덮이지 않는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10)의 돌출부(12a, 12b)와의 T-형상 부분(22a, 22b)의 봉쇄 접촉은 2차 잠금 장치가 커넥터 하우징(10) 안으로 더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작동 표면(29)을 밀 때, 결과적인 힘은 2차 잠금 장치(20)의 가요성 아암(21)을 통해 상기 아암의 종방향으로 T-형상 부분에 전달되고 마지막으로 커넥터 하우징(10)에 전달된다. T-형상 부분(21a, 21b)의 대칭적인 결합 및 가요성 레그(21)의 배향으로 인해, 힘은 2차 잠금 장치(20)에 손상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도 6은 커넥터 하우징(10)이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50)와 정합되어 있는 도 5의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다. 정합 절차 동안, 바람직하게는 돌출부 형태인 상대 커넥터(50)에 제공된 상대 잠금 수단(51)은 커넥터 하우징(10)의 1차 잠금 수단(13)이 상대 잠금 수단(51)의 다른 측(뒤쪽)에 위치될 수 있도록 커넥터 하우징(10)의 가요성 레그(11a, 11b)를 구부러트린다. 동일한 상대 잠금 수단(51)은 가요성 아암(21)이 (도 6의 배향에서) 상방으로 구부러지고 T-형상 부분(22a, 22b)과 돌출부(12a, 12b)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봉쇄 접촉이 중지되도록 2차 잠금 장치(20)의 2차 잠금 수단(23)과 상호작용하도록 적응되며, 그래서 2차 잠금 장치(20)는 이제 예를 들어 작동 표면(29)을 정합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커넥터 하우징(10) 안으로 더 삽입될 수 있다.
도 7은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50)에 완전히 연결된 도 6의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T-형상 부분(22a, 22b)은 이제 정합 방향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10)의 돌출부(12a, 12b) 뒤쪽에 위치된다. 또한, 끼움 부분(24b)은 이제 그것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넥터 하우징(10)의 가요성 레그(11b)의 끼움 표면(14b)을 덮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끼움 부분(24b)이 강성 요소이기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10)의 가요성 레그(11b)는 구부러질 수 없다. 그러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10) 안으로의 2차 잠금 장치(20)의 완전한 삽입은 조작자에게 (i) 커넥터 하우징(10)이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50)와 정합되고, (ii) 커넥터 하우징(10)의 1차 잠금 수단(13)이 1차 잠금 기능을 제공하도록 상태 커넥터(50)의 상대 잠금 수단(51)에 대해 적절하게 위치되고, (iii) 2차 잠금 수단(23)이 2차 잠금 기능을 지지하도록 위치되며, (iv) 끼움 부분(24b)이 커넥터 하우징의 1차 잠금 기능이 설정해제 될 수 없도록 배치되어 있음을 알려준다. 또한, 단차부(201)가 2차 잠금 장치(20)의 안내 벽에 제공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단차부(201)는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장치(2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한다.
도 8은 2차 잠금 장치(20)가 개방 또는 초기 위치에 있는 것을 제외하고 상대 커넥터(50)와 정합되어 있는 도 7의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끼움 부분(24b)은 더 이상 커넥터 하우징(10)의 가요성 레그(11b)의 끼움 표면(14b)을 덮고 있지 않다. 또한, T-형상 부분(22a, 22b)은 다시 돌출부(12a, 12b)의 외측에 있고 2차 잠금 기능은 설정해제 되어 있다. 또한, 분리 부분(25a)은 이제 커넥터 하우징(10)의 가요성 레그(11b)에 제공되는 잠금해제 부분(15a)과 접촉하고 있다. 2차 잠금 장치(20)가 또한 커넥터 하우징(10)으로부터 제거될 때, 분리 부분(25a)은 커넥터 하우징(10)의 가요성 레그(11a, 11b)가 구부러지도록 잠금해제 부분(15a)과 상호작용한다. 끼움 부분(24b)은 더 이상 끼움 표면(14a, 14b)을 덮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구부러짐은 봉쇄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분리 부분(25a) 및/또는 잠금해제 부분(15a)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ramp)의 형태로 제공되어, 양 부분은 서로 압력 끼워맞춤된 접촉 상태에 있을 수 있어 큰 힘을 가할 필요 없이 가요성 레그(11a, 11b)의 구부러짐을 가능케 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10)의 안내 수단(17b)은 오목부 또는 간극(18b)을 포함하고, 대응하는 장치(20)의 벽은 단차부(201)를 포함한다. 오목부 또는 간극은 2차 잠금 장치(20)가 폐쇄 위치에 있지 않을 때 오목부 또는 간극(18b)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2차 잠금 장치(20)를 수용하도록 2차 잠금 장치가 회전될 수 있게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단차부(201)는 장치(20)가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초기 또는 개방 위치로부터 멀어지게 외측으로 더 당겨져 있는 도 9 및 도 10의 위치로 장치(20)가 당겨질 때만 회전을 허용한다. 이러한 회전 또는 각 운동에 의해, 그리고 분리 부분(25a)과의 잠금해제 부분(15a)의 동시 접촉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10)의 가요성 레그(11a, 11b)는 도 10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2차 잠금 장치(20)의 외측 단부를 가압함으로써 구부러질 수 있다. 이러한 이동은 특히 사용자에 대해 인체공학적이다. 2차 잠금 장치는 따라서 정합해제 처리를 용이하게 하는 레버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구부러짐 운동에 의해, 1차 잠금 수단은 플러그 커넥터가 최소한의 노력으로 상대 커넥터(50)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상대 커넥터(50)에 제공되는 각각의 상대 잠금 수단(51)으로부터 분리된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2차 잠금 장치(20)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부 또는 간극(18b)의 깊이는 0.1 내지 2.5 m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2.0 mm의 범위, 더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5 mm의 범위,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0.6 mm의 범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커넥터 하우징(10)은 2차 잠금 장치(20)가 커넥터 하우징(10)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될 수 없도록 2차 잠금 장치와 상호작용하도록 적응되는 하나 이상의 후크(hook)(19)를 포함할 수 있다.
10 커넥터 하우징
11a, 11b 가요성 레그
12a, 12b 돌출부
13 1차 잠금 수단
14a, 14b 끼움 표면
15a 잠금해제 부분
16b 보유 수단
17b 안내 수단
18b 오목부 또는 간극
19 후크
20 2차 잠금 장치
21 가요성 아암
22a, 22b T-형상 부분
23 2차 잠금 수단
24b 끼움 부분
25a, 25b 분리 부분
26a 돌출부
27a 피드백 부분
28 작동 부분
29 작동 표면
30 말단 위치 보장 부재
40 실링 부재
50 상대 커넥터
51 상대 잠금 수단
201 단차부

Claims (12)

  1. 전기 커넥터 조립체이며,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고,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가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50)와 정합될 때 1차 잠금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1차 잠금 수단(13)을 갖는 가요성 레그(11a, 11b)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10)으로서, 1차 잠금 기능은 상기 가요성 레그(11a, 11b)가 구부러질 때 설정해제 될 수 있는, 커넥터 하우징(10), 및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와의 사이에서 커넥터 하우징(10)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2차 잠금 장치(20)로서, 상기 장치(20)는 가요성 아암(21) 및 끼움 부분(24b)을 갖는, 2차 잠금 장치(20)를 포함하고,
    커넥터 하우징(10)의 가요성 레그(11a, 11b) 및 2차 잠금 장치(20)의 가요성 아암(21)은 상기 가요성 아암(21)이 구부러지지 않을 때 봉쇄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의 2차 잠금 장치(20)의 이동을 억제하고,
    2차 잠금 장치(20)의 가요성 아암(21)은 플러그 커넥터가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50)와 정합될 때 구부러지도록 구성되어, 2차 잠금 장치(20)는 폐쇄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2차 잠금 장치(2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2차 잠금 장치(20)의 끼움 부분(24b)은 상기 가요성 레그(11a, 11b)의 구부러짐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커넥터 하우징(10)은 2차 잠금 장치(20)의 이동 방향이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50)에의 플러그 커넥터의 정합 방향과 동일하도록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와의 사이에서 2차 잠금 장치(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수단(17b)을 포함하고,
    안내 수단(17b)은 오목부 또는 간극(18b)을 포함하고, 2차 잠금 장치(20)의 대응하는 벽이 단차부(201)를 포함하여, 2차 잠금 장치(20)가 회전될 때 커넥터 하우징(10)의 가요성 레그(11a, 11b)가 구부러지도록 2차 잠금 장치(20)가 정합 방향에 수직인 축 주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단차부(201)는 2차 잠금 장치(20)가 개방 위치로부터 멀어지게 외측으로 더 당겨져 있는 때에만 회전을 허용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2차 잠금 장치(20)의 끼움 부분(24b)은 가요성 아암(21)과 별개의 요소인, 전기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2차 잠금 장치(20)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2차 잠금 장치(20)의 끼움 부분(24b)은 커넥터 하우징(10)의 가요성 레그(11a, 11b)와 결합되지 않고, 2차 잠금 장치(20)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끼움 부분(24b)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넥터 하우징(10)의 가요성 레그(11a, 11b)에 결합되어, 상기 가요성 레그(11a, 11b)의 구부러짐을 방지하는, 전기 커넥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의 2차 잠금 장치(20)의 이동 방향은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50)에의 플러그 커넥터의 정합 방향과 동일한, 전기 커넥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는 관성 잠금에 의해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50)에 완전히 연결될 수 있는, 전기 커넥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2차 잠금 장치(20)의 가요성 아암(21)은 T-형상 또는 L-형상 부분(22a, 22b)을 포함하고, 커넥터 하우징(10)의 가요성 레그(11a, 11b)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2a, 12b)를 포함하고, 상기 T-형상 또는 L-형상 부분(22a, 22b) 및 상기 돌출부(12a, 12b)는 상기 가요성 아암(21)이 구부러지지 않을 때 봉쇄 접촉되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의 2차 잠금 장치(20)의 이동을 억제하는, 전기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가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50)와 정합되지 않을 때, 2차 잠금 장치(20)의 가요성 아암(21)은 2차 정합 방향으로 잠금 장치(20)에 작용하는 힘을 상기 가요성 아암(21)의 종방향으로 가요성 아암을 따라 그리고 T-형상 또는 L-형상 부분(22a, 22b)을 통해 커넥터 하우징(10)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의 2차 잠금 장치(20)의 이동을 억제하는, 전기 커넥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2차 잠금 장치(2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2차 잠금 장치(20)는 회전될 수 없는, 전기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오목부 또는 간극(18b)은 2차 잠금 장치(20)가 회전될 때 2차 잠금 장치(20)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오목부 또는 간극(18b)은 0.3 내지 2.0 mm의 범위의 깊이를 갖는, 전기 커넥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커넥터 하우징(10)은 2차 잠금 장치(20)의 이동을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와의 사이로 억제하도록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에서 2차 잠금 장치(20)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보유 수단(16b)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2차 잠금 장치(20)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에서 커넥터 하우징(10)의 보유 수단(16b)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6a, 27a)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150148548A 2014-10-27 2015-10-26 직접 정합 및 정합해제를 위한 cpa 장치 KR1024311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90516.6A EP3016213B1 (en) 2014-10-27 2014-10-27 CPA device for direct mating and unmating
EP14190516.6 2014-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491A KR20160049491A (ko) 2016-05-09
KR102431136B1 true KR102431136B1 (ko) 2022-08-11

Family

ID=51862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548A KR102431136B1 (ko) 2014-10-27 2015-10-26 직접 정합 및 정합해제를 위한 cpa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25534B2 (ko)
EP (1) EP3016213B1 (ko)
JP (1) JP6816945B2 (ko)
KR (1) KR102431136B1 (ko)
CN (1) CN1055526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5542B2 (en) * 2015-09-02 2020-04-07 J.S.T. Corporatio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locking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locking mechanism
US11031719B2 (en) * 2015-10-29 2021-06-08 Molex, Llc Power connector
US9893467B2 (en) * 2015-12-11 2018-02-13 J.S.T. Corporatio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a connector apparatus having male and female connector assemblies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s and the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a male connector assembly, a female connector assembly, and a method for assembling the connector apparatus
JP6288125B2 (ja) * 2016-03-03 2018-03-07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
EP3252880B1 (en) * 2016-06-02 2020-05-20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locking device
JP6417369B2 (ja) * 2016-07-29 2018-11-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17370B2 (ja) * 2016-07-29 2018-11-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8022628A (ja) * 2016-08-04 2018-02-0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部材及びコネクタ
JP2018022630A (ja) * 2016-08-04 2018-02-0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部材及びコネクタ
EP3288122B1 (en) * 2016-08-22 2020-07-22 J.S.T. Corporation 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locking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locking mechanism
US9882317B1 (en) * 2016-09-15 2018-01-30 Te Connectivity Corporation Connector system with hybrid electrical connectors
US9865968B1 (en) * 2017-01-25 2018-01-09 Delphi Technologies, Inc. Connector housing with an integral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US9935389B1 (en) * 2017-02-23 2018-04-03 Sumitomo Wiring Systems, Ltd. Inline connector housing assemblies with removable TPA
US10116090B2 (en) * 2017-03-17 2018-10-30 Hosiden Corporation Female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of female connector and male connector
TR201705300A2 (ko) * 2017-04-10 2018-10-22 Nova Elektrik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US10855025B2 (en) 2017-05-01 2020-12-01 J.S.T. Corporatio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connector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connector system
JP2019008970A (ja) * 2017-06-23 2019-01-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038269B1 (en) * 2017-06-29 2018-07-31 Cisco Technology, Inc. Self-locking electrical cable retainer
DE112018004649T5 (de) * 2017-08-31 2020-06-04 Yazaki Corporation Stecker und steckereinheit
JP6981844B2 (ja) * 2017-10-23 2021-12-17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組立体
US10135172B1 (en) * 2018-03-23 2018-11-20 Te Connectivity Corporatio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US10707622B2 (en) * 2018-04-27 2020-07-0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nnector and connector terminal to be used in the connector
US11183793B2 (en) * 2018-10-08 2021-11-23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system with a terminal retaining device having a reverse hinged lock feature
DE102018124876A1 (de) * 2018-10-09 2020-04-09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ekundärsicherung,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nd elektrische Steckverbindung
JP7313185B2 (ja) * 2019-04-30 2023-07-2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2021005447A (ja) * 2019-06-25 2021-01-1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嵌合位置保証部材及びワイヤハーネス
FR3098028A1 (fr) 2019-06-28 2021-01-01 Aptiv Technologies Limited Ensemble de connecteurs avec dispositif de verrouillage
US20240136764A1 (en) * 2021-02-17 2024-04-25 Emicol Eletro Eletrônica S.A. Electrical Connector With Dual Lock
CN114678720B (zh) * 2022-03-21 2023-09-26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连接器
CN117937172A (zh) 2022-10-26 2024-04-26 李尔公司 用于电连接器的连接器位置保证装置
CN117937144A (zh) 2022-10-26 2024-04-26 李尔公司 改进的电连接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60590A1 (en) * 2012-03-28 2013-10-0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WO2014060229A1 (en) * 2012-10-16 2014-04-24 Tyco Electronics Amp Italia S.R.L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2277B1 (en) * 1999-01-27 2001-11-06 Cardell Corporatio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for a connector
US6435895B1 (en) * 2001-04-27 2002-08-20 Delphi Technologies, Inc.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US7175451B2 (en) * 2005-03-15 2007-02-1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Lever mated connector assembly with a position assurance device
US7255593B2 (en) * 2006-01-09 2007-08-14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CPA) member
US7384285B2 (en) * 2006-02-21 2008-06-1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Lever mated connector assembly with a latching and overstress mechanism
US7794262B2 (en) * 2008-08-08 2010-09-1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with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contacts
TWI378611B (en) * 2008-10-31 2012-12-01 Ibm An electrical adapter for a connector having a retention latch
US8016606B1 (en) * 2011-01-10 2011-09-13 J.S.T. Corporation Unstressed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and connector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60590A1 (en) * 2012-03-28 2013-10-0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WO2014060229A1 (en) * 2012-10-16 2014-04-24 Tyco Electronics Amp Italia S.R.L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25534B2 (en) 2016-08-23
JP6816945B2 (ja) 2021-01-20
EP3016213A1 (en) 2016-05-04
KR20160049491A (ko) 2016-05-09
CN105552642B (zh) 2018-03-20
CN105552642A (zh) 2016-05-04
US20160118741A1 (en) 2016-04-28
JP2016085979A (ja) 2016-05-19
EP3016213B1 (en) 201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1136B1 (ko) 직접 정합 및 정합해제를 위한 cpa 장치
KR102366487B1 (ko) 개선된 체결 장치를 가지는 전기 연결기 조립체
US949057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element
EP2930796B1 (en) Connector with vibratory connection feedback
US9281614B1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locking members
EP2311151B1 (en) Checkable plug-in connection and method for checking the connection state of a plug-in connection
US9653845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integrated lever locking system
US20060211286A1 (en) Lever mated connector assembly with a position assurance device
EP1571734A1 (en) Connector apparatus with a mating detecting member called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US1026336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otary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WO2009047744A3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JP5783468B2 (ja) コネクタ
KR101568816B1 (ko) 커넥터 장치
EP3477787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osition assurance device
KR20140031993A (ko) 레버식 커넥터
EP3764480B1 (en) Lever-type connector
CN114245956B (zh) 电插接连接件、电插接连接器以及用于电插接连接件的固定元件
US6623286B2 (en) Lever-type connector
US9837763B2 (en) Electrical connector
US10418752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WO2016060131A1 (ja) コネクタ
US9048576B2 (en) Multiple-stage interlocking electrical connector with locking assurance mechanism
JP4646123B2 (ja) プラグ型コネクタ
WO2013005606A1 (ja) レバー式コネクタ
EP3734770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osition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