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6487B1 - 개선된 체결 장치를 가지는 전기 연결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개선된 체결 장치를 가지는 전기 연결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6487B1
KR102366487B1 KR1020170066572A KR20170066572A KR102366487B1 KR 102366487 B1 KR102366487 B1 KR 102366487B1 KR 1020170066572 A KR1020170066572 A KR 1020170066572A KR 20170066572 A KR20170066572 A KR 20170066572A KR 102366487 B1 KR102366487 B1 KR 102366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fastening device
connector
guide
flexibl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6991A (ko
Inventor
사티쉬쿠마르 벤카테산
툴라시라만 샨무감
아눕 좁 세바스티안
Original Assignee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36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연결기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고, 상기 전기 연결기 조립체는,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80)와 교합되도록 구성되는 플러그 연결기를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 연결기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수단을 가지는 연결기 하우징(20) 및 그러한 연결기 하우징(20)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는 체결 장치(10)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아암(12)을 가지며, 체결 장치(10)가 체결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플러그 연결기와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80)의 교합 중에 가요성 아암(12)이 휘어지도록 구성되며, 안내 수단 및 안내 부재는 체결 장치(10)를 제1 위치로부터 체결 위치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며, 그에 따라, 체결 장치(10)가 체결 위치에 있을 때 가요성 아암(12)이 역으로 휘어진다.

Description

개선된 체결 장치를 가지는 전기 연결기 조립체{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체결 장치를 가지는 전기 연결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체결 장치는 연결기의 안전 결합을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아암을 더 포함하며, 그러한 가요성 아암은 이차적인 체결 장치의 제1 위치 및 체결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변형(strain)되지 않는다.
연결기의 안전 결합은 많은 적용예에서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현대적인 승용차는 다양한 상이한 전기 연결부들을 포함한다.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와 교합된 연결기가 비의도적으로 느슨해질 수 없게 보장하기 위해서, 연결기와 반대쪽 연결기 사이의 안전한 기계적 결합을 보장하기 위한 부가적인 체결 장치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체결 장치는 종종 이차적인 체결 장치로 지칭되고 별개의 요소로서 제공된다.
또한, "실수 방지(fool proof)" 조립을 위해서 조립 과정 중에 플러그 연결기가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와 완전히 그리고 적절하게 교합되었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부적절하게 교합된 연결기들과 연관된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 소위 연결기 위치 보장(CPA) 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한 CPA 장치는 플러그 연결기의 연결기 하우징 내로 삽입될 수 있는 별개의 요소이다. 연결기가 그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에 적절하게 또는 완전하게 결합되지 않았을 때, CPA 장치는 연결기 하우징 내로 완전히 삽입될 수 없다. 따라서, CPA 장치가 연결기로부터 돌출하여, 완전한 교합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연결기와 반대쪽 연결기의 완전하고 적절한 교합시에만, CPA 장치를 연결기 하우징 내로 완전히 삽입할 수 있다. 이는 플러그 연결기가 적절하게 그리고 정확하게 반대쪽 연결기와 교합되었는지의 여부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게 한다. 종종, CPA 장치 및 이차적인 체결 장치의 기능이 하나의 부품 내에 통합된다.
그러나, 특히 작은 연결기 설계에서, CPA 장치 및/또는 체결 장치의 통합은 어려운 문제이다. 이는 제한된 구축 공간 때문이다. 그에 따라, CPA 장치 및/또는 체결 장치는 매우 작아야 하고, 결과적으로, 체결 아암과 같은 가느다란 체결 수단을 초래한다. 그러나, 가느다란 체결 수단은 손상되기 쉽다.
이전의 설계는, 보다 강성인 짧고 가느다른 체결 수단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였다. 그러나, 체결 수단이 통상적인 스냅 또는 걸쇠 체결 연결부(snap or latch locking connection)에서 이용될 때, 보다 강성인 체결 수단을 제공하는 것은 변형 증가를 유도할 것이다. 그에 따라, 짧고 가느다란 체결 수단은 손상되기 쉽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견고한 CPA 및/또는 체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현대적인 제조 장소에서, 플러그 연결기가 빠르고 확실한 방식으로 반대쪽 연결기와 교합되는 것이 종종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는 특히 경제적인 이유에서 발생된다. 그에 따라, 교합 과정이 최소 수의 단계로 달성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플러그 연결기와 반대쪽 연결기의 신속하고 확실한 교합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 연결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지는 이러한 그리고 다른 목적은, 독립항의 청구 대상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항에 따른 전기 연결기 조립체 및 제15항에 따른 전기 연결기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특히, 그러한 목적은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와 교합되도록 구성된 플러그 연결기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기 조립체에 의해서 달성된다. 플러그 연결기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수단을 가지는 연결기 하우징, 및 연결기 하우징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는 체결 장치를 포함하고, 그러한 체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아암을 포함한다. 가요성 아암은, 체결 장치가 체결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플러그 연결기를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와 교합시키는 중에 휘어지도록 구성된다. 체결 장치가 체결 위치에 있을 때, 가요성 아암이 역으로 휘어지도록(reflexed), 안내 수단 및 안내 부재는 체결 장치를 제1 위치로부터 체결 위치로 안내하게 구성된다.
체결 장치는 연결기가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와 정확하게 교합되게 그리고 비의도적으로 느슨해질 수 없게 보장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체결 장치는 플러그 연결기가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와 교합되기 전에, 연결기 하우징과 미리-조립된다. 그에 따라, 체결 장치는 연결기 하우징 내로 부분적으로 삽입되거나 연결기 하우징과 전반적으로 결합된다. 대안적으로, 플러그 연결기가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와 교합될 수 있고, 체결 장치가 교합 프로세스 이후에 연결기 하우징 내로 삽입된다.
어쨌든, 체결 장치는 안내 수단 및 안내 부재에 의해서 제1 위치로부터 체결 위치로 안내된다. 체결 위치에서, 체결 장치는 연결기와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 사이의 교합을 개선한다. 또한, 체결 장치가 체결 위치에 있을 때 가요성 아암이 역으로 휘어지도록 체결 장치를 안내하는 것에 의해서, 휘어짐 중에 가요성 아암에 인가된 변형이 다시 해제된다. 결과적으로, 통상적인 체결 장치 및/또는 통상적인 CPA 장치에 대비하여, 체결 위치에서 가요성 아암 상에 변형이 없거나 적어도 변형이 감소된다. 그에 따라, 체결 장치는 손상될 가능성이 낮고 더 긴 수명을 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플러그 연결기는 교합 방향을 따라서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와 교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체결 장치가 체결 위치에 있을 때 가요성 아암을 역으로 휘기 위해서, 체결 장치가 교합 방향 및 교합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을 따라서 안내 수단에 의해서 안내되도록, 안내 수단이 바람직하게 계단형 안내 수단이다.
특히, 체결 장치가 교합 방향 및 그러한 교합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따라서 제1 위치로부터 체결 위치로 이동될 때, 계단형 안내 수단이 체결 장치를 안내한다. 제2 방향을 따른 안내는 계단형 안내 수단 내에 제공된 단차부에 의해서 달성된다. 특히, 계단형 안내 수단은, 제2 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된 적어도 2개의 표면 부분을 구비한다. 안내 부재가, 예를 들어 표면 부분들을 따라서 활주되는 것에 의해서, 표면 부분들을 따라서 안내될 수 있도록, 그러한 표면 부분들이 연결 표면에 의해서 연결된다.
예를 들어, 가요성 아암이 특정 편향 만큼 제2 방향으로 휘어질 때, 체결 장치는 그러한 편향을 보상하는 양만큼 제2 방향으로 안내된다. 그에 따라, 체결 장치가 체결 위치에 있을 때, 가요성 아암이 역으로 휘어진다. 그러한 편향은 바람직하게 0.1 mm 내지 2.5 mm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 0.5 mm 내지 2.2 mm 범위, 및 가장 바람직하게 0.6 mm 내지 1.0 mm 범위이다.
또한, 바람직하게, 안내 수단이 각도형 안내 수단(angled guiding means)이고, 제1 표면 부분이 교합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교합 방향을 따른 안내를 제공한다. 제2 각도형 표면 부분은 제1 표면 부분에 대해서 각을 이루고 제2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제2 방향을 따른 안내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체결 장치는 가요성 아암의 편향을 보상하는 양 만큼 제2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체결 장치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안내 수단은 안내 부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한다. 안내 수단 내에 안내 부재가 수용된 상태에서, 체결 장치가 제1 위치에서 미리-조립될 수 있다. 이는 연결기와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의 교합 프로세스 및 체결 위치 로의 체결 장치의 후속 이동을 도울 것이다. 수용된 안내 부재에 의해서, 체결 장치가 연결기 하우징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체결 장치의 체결 위치 내로의 이동의 시작점이 규정된다.
바람직하게, 안내 수단은 안내 함몰부 및/또는 안내 간극을 포함하고, 체결 장치는 안내 아암을 포함하며, 그러한 안내 아암은 바람직하게 가요성 아암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안내 아암은 함몰부 및/또는 간극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체결 장치가 연결기 하우징 내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동안에, 가요성 아암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안내 아암이 가요성 아암을 보호할 것이다.
또한, 연결기 하우징의 안내 함몰부 및/또는 안내 간극 내로 삽입된 안내 아암은 체결 장치를 제1 위치로부터 체결 위치로 안내할 것이고, 그에 의해서 이동을 지지하고 도울 것이다. 주로, 안내 아암은 계단형 안내 수단과 함께 안내를 돕는 계단형 안내 아암이다. 특히, 체결 장치의 특징인 하나의 특별한 안내 아암 만이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 수단의 안내 함몰부 및/또는 안내 간극이 설계된다. 그에 따라, 부정확한 체결 수단의 비의도적인 조립이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안내 수단은 체결 함몰부 및/또는 체결 간극을 포함하고, 체결 함몰부 및/또는 체결 간극이 체결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체결 장치는 바람직하게 안내 아암 상에 배열되는, 체결 돌출부를 포함하고, 그러한 체결 돌출부는 체결 함몰부 및/또는 체결 간극 내로 삽입되도록 그리고 체결 장치가 체결 위치에 있을 때 체결 부분과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체결 장치가 체결 위치에 있을 때 체결 돌출부와 체결 부분 사이의 체결은 체결 장치가 체결 위치로부터 비의도적으로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체결 부분과 체결 돌출부 사이의 체결은 걸쇠형 체결, 베이요넷 체결(bayonet locking), 및/또는 기타일 수 있다.
체결 함몰부 및/또는 체결 간극뿐만 아니라 안내 수단의 안내 함몰부 및/또는 안내 간극은 바람직하게 하우징의 벽 내에 제공된다. 이들은 관통 개구부 또는 특정 깊이를 가지는 홈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홈의 깊이는 바람직하게 0.1 mm 내지 2.5 mm 범위, 보다 더 바람직하게 0.5 mm 내지 2 mm 범위, 및 가장 바람직하게 0.7 mm 내지 1.5 mm 범위이다.
바람직하게, 연결기 하우징은, 바람직하게 체결 함몰부 및/또는 체결 간극 내에 제공되는 유지 부분을 포함하고, 그러한 유지 부분은, 체결 장치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교합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을 따른 체결 장치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해서, 체결 장치와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바람직하게 체결 돌출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유지 부분은 체결 장치와 연결기 하우징의 예비-조립을 돕는데, 이는 체결 장치가 제1 위치에서 연결기 하우징 내에서 유지되기 때문이다. 그에 따라, 체결 장치는 연결기 하우징으로부터 비의도적으로 제거될 수 없다. 따라서, 플러그 연결기의 교합 프로세스 이전에 및/또는 도중에 체결 장치가 정확하게 배치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체결 함몰부 내에 유지 부분을 제공하는 것으로, 체결 장치의 체결 돌출부는 체결 장치를 연결기 하우징 내에서 고정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체결 장치의 설계에 도움이 되며; 다시 말해서 부가적인 유지 돌출부 또는 기타가 제공되어야 할 필요가 없다.
바람직하게, 안내 수단은 연결기 하우징의 외부 표면 상에 제공되는 안내 표면을 포함하고, 체결 장치는 바람직하게 안내 아암 상에 배열된 안내 돌출부를 포함하고, 그러한 안내 돌출부는 제1 위치 및 체결 위치에서 안내 표면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연결기 하우징의 외부 표면 상에 안내 표면을 제공하는 것으로, 안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연결기 하우징의 벽 내에 함몰부 또는 간극을 제공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에 따라, 연결기 하우징은 안내 함몰부 또는 간극에 의해서 취약화되지 않는다. 이는 매우 작은 연결기 하우징이 제공되어야 할 때, 특히 유리하다. 안내 함몰부 또는 안내 간극뿐만 아니라 체결 함몰부 또는 체결 간극 그리고 안내 표면이 단일 안내 수단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대안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안내 수단 및/또는 복수의 상이한 안내 수단들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상이한 안내 수단들을 제공하는 것은 연결기 하우징 내의 체결 장치의 안내를 개선하고, 그에 따라 체결 장치의 제1 위치로부터 체결 위치로의 이동이 촉진된다. 예를 들어, 체결 장치가 제1 위치로부터 체결 위치로 이동될 때, 그러한 체결 장치가 걸리거나 차단될 가능성이 낮다.
바람직하게, 제1 위치는 체결-전 위치이고, 체결 장치가 체결-전 위치에 배열되는 경우에, 가요성 아암 및 연결기 하우징이 차단 접촉(blocking contact)되도록 구성되어, 체결-전 위치로부터 체결 위치로의 체결 장치의 이동을 방지하며, 가요성 아암은 바람직하게 체결-전 위치에서 휘어지지 않는다.
체결-전 위치로부터 체결 위치로의 체결 장치의 이동을 방지하는 것은, 연결기가 반대쪽 연결기와 정확하게 교합되기 전에 체결 장치가 체결 위치로 이동되지 않게 보장한다. 그에 따라, 체결 장치는 연결기 위치 보장 장치(CPA 장치)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차단 접촉이 해제되도록 그리고 체결-전 위치로부터 체결 위치로의 체결 장치의 이동이 더 이상 방지되지 않도록 가요성 아암이 휘어지는 경우에, 체결 장치가 체결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체결 장치는 차단 돌출부를 포함하고 연결기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상응하는 차단 돌부를 포함하며, 그러한 차단 돌출부 및 차단 돌부는 가요성 아암과 연결기 하우징 사이의 차단 접촉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가요성 아암은 교합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가요성 아암을 따라서 그 길이 방향으로 체결 장치 상으로, 그리고 연결기 하우징 내에 제공된 차단 돌부 및 차단 돌출부를 통해서 연결기 하우징 상으로, 전달하고, 그에 따라 이차적인 체결 장치의 체결-전 위치로부터 체결 위치로의 이동을 방지한다. 차단 돌부 및 상응하는 차단 돌출부를 제공하는 것은 힘 인가 지점을 규정할 수 있게 하고, 그에 따라 가요성 아암 및/또는 연결기 하우징은 그러한 힘 인가 지점과 관련하여 최적화된 변형으로 설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연결기 하우징 및/또는 체결 장치의 전체적인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체결 장치의 가요성 아암은 반대쪽 연결기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해제 돌출부를 포함하고, 그에 의해서, 플러그 연결기와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의 교합 중에 가요성 아암이 휘어지고, 그에 따라 체결 장치가 체결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반대쪽 연결기와 결합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가요성 아암을 휘게 할 수 있는 해제 돌출부를 제공하는 것은 가요성 아암을 연결기 하우징과의 차단 접촉으로부터 해제시켜 체결 장치가 차단 위치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체결 장치가 CPA 장치로서 이용되어, 연결기와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의 정확한 결합을 나타낼 수 있다. 가요성 아암이 휘어지게 하기 위해서, 해제 돌출부는 반대쪽 연결기의 일부를 따라서 활주될 수 있는 경사 표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결기 하우징은, 플러그 연결기가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와 교합될 때 일차적인 체결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일차적인 체결 수단을 가지는 가요성 레버를 포함하고, 일차적인 체결 기능은, 가요성 레버가 휘어질 때, 바람직하게 체결풀림될(unlocked) 수 있다. 일차적인 체결 수단을 가지는 가요성 레버를 제공하는 것은, 체결 장치의 존재와 독립적으로, 연결기 하우징을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에 체결할 수 있게 한다. 그에 따라, 예를 들어, 플러그 연결기가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와 교합되고 체결될 수 있으며, 체결 장치가 그 이후에 삽입될 수 있다. 체결풀림-기능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서, 플러그 연결기는 어떠한 손상도 없이,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만약 체결풀림-기능이 제공되지 않는다면, 플러그 연결기가 반대쪽 연결기에 영구적으로 체결될 수 있고, 이는 특정 적용예에서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체결 장치는 가요성 아암 상에 제공된 일차적인 걸림 부분(primary jamming portion)을 포함하고, 일차적인 걸림 부분은, 체결 장치가 체결 위치에 있을 때, 일차적인 체결 수단의 체결풀림 이동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일차적인 체결 수단의 체결풀림 이동을 차단하는 걸림 부분을 제공하는 것은 플러그 연결기와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 사이의 일차적인 체결을 확보하고 유지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체결 장치가 그 체결 위치에 있는 동안, 플러그 연결기와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 사이의 체결이 비의도적으로 느슨해질 위험이 감소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체결 장치는 이차적인 걸림 부분을 포함하고, 이차적인 걸림 부분은 바람직하게 가요성 아암으로부터 분리된 요소이다. 체결 장치가 제1 및/또는 체결-전 위치에 있을 때, 이차적인 걸림 부분은 연결기 하우징의 가요성 레버와 결합되지 않는다. 체결 장치가 제1 및/또는 체결-전 위치로부터 체결 위치로 이동될 때, 이차적인 걸림 부분은 연결기 하우징의 가요성 레버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가요성 레버의 휘어짐을 방지한다.
이차적인 걸림 부분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차적인 체결 수단의 체결풀림 이동의 차단이 개선될 수 있다. 일차적인 체결 수단의 체결풀림 이동이 가요성 레버의 휘어짐을 요구하기 때문에, 가요성 레버의 휘어짐을 차단하는 것이 또한 일차적인 체결 수단의 체결풀림 이동을 방지한다. 그에 따라, 플러그 연결기와 반대쪽 연결기의 일차적인 체결이 부가적으로 확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일차적인 걸림 부분 및 이차적인 걸림 부분이 여분의 부분(redundant portion)으로서 제공된다. 이는 이차적인 걸림 부분을 가요성 아암과 분리된 요소로 제공하는 것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체결풀림 이동의 차단이 효과적으로 보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플러그 연결기를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에 교합시키는 것은, 교합 방향으로 체결 장치 상으로 가압력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서 달성되고, 체결 장치는 그러한 가압력을 추가적으로 인가하는 것에 의해서 제1 위치로부터 체결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체결 장치 상으로 가압력을 인가하는 것 그리고 후속하여 또는 동시에 가압력을 추가적으로 인가하는 것에 의해서 체결 장치를 제1 위치로부터 체결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플러그 연결기와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가 교합될 수 있게 하는 것은, 하나의 조립 단계에서 플러그 연결기와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가 교합될 수 있게 하고 체결 장치가 체결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그에 따라, 조립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산업적인 또는 자동차 조립 라인과 같은, 산업적인 적용예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전기 연결기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에 의해서 추가적으로 달성되며, 그러한 방법은
ㆍ 적어도 하나의 안내 수단을 포함하는 연결기 하우징을 제공하는 단계;
ㆍ 적어도 하나의 안내 부재 및 가요성 아암을 포함하는 체결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ㆍ 플러그 연결기를 형성하기 위해서 체결 장치를 제1 위치에 배열하는 단계로서, 안내 수단은 안내 부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배열 단계;
ㆍ 플러그 연결기와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를 교합시키고, 그에 의해서, 체결 장치가 체결 위치 내로 이동될 수 있도록 체결 장치의 가요성 아암이 휘어지게 하는 단계;
ㆍ 체결 장치를 체결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로서, 안내 수단이 체결 장치를 제1 위치로부터 체결 위치로 안내하고, 그에 따라 체결 장치가 체결 위치에 있을 때 가요성 아암이 역으로 휘어지는, 이동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방법은 플러그 연결기와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를 고정하기 위한 부가적인 체결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하고, 체결 장치가 CPA 장치로서 이용될 수 있게 하여, 플러그 연결기와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의 정확한 결합을 나타내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플러그 연결기를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에 교합시키는 것은, 교합 방향으로 체결 장치 상으로 가압력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서 달성되고, 체결 장치는 그러한 가압력을 추가적으로 인가하는 것에 의해서 제1 위치로부터 체결 위치로 이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 연결기를 교합시키기 위한 그리고 체결 장치를 체결 위치 내로 이동시키기 위한 가압력을 인가하는 것은 조립을 촉진할 수 있고 조립 시간 단축 및 그에 따라 비용 절감에 도움을 준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청구 대상이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1은 전기 연결기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2는 체결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체결 장치가 제거된, 플러그 연결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조립 전의 제1 위치에 있는 체결 장치와 함께 플러그 연결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절개도이다.
도 5a는 체결-전 위치에 있는 체결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b는 체결-전 위치에 있는 체결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c는 체결-전 위치에 있는 체결 장치와 함께 플러그 연결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절개도이다.
도 5d는 도 5c의 플러그 연결기의 추가적인 절개도이다.
도 6a는 플러그 연결기 및 반대쪽 연결기의 개략적인 절개도이다.
도 6b는 플러그 연결기 및 반대쪽 연결기의 개략적인 절개도이다.
도 6c는 일차적인 걸림 부분의 개략적인 상세 절개도이다.
도 7a는 플러그 연결기 및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b는 플러그 연결기 및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c는 플러그 연결기 및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이차적인 걸림 부분의 상세 절개도이다.
특히, 도 1은 예시적인 플러그 연결기의 분해도를 도시하고, 플러그 연결기는 체결 장치(10), 연결기 하우징(20), 단자 수집기(30), 제1 밀봉 장치(40), 내부 하우징(50), 제2 밀봉 장치(60), 및 단자 위치 보장 장치(TPA)(70)를 포함한다. 구성요소(10, 20, 30, 40, 50, 60, 70)가 조립되어 플러그 연결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한 플러그 연결기는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80)와 교합될 수 있다. 내부 하우징(50)은 플러그 연결기의 단일형 전기 단자들 또는 전기 핀들(미도시)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모든 단자 및/또는 핀이 단자 수집기(30) 내에서 정확하게 수집되고 설치되는 경우에만, TPA 장치(70)가 내부 하우징(5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단자 수집기(30)는 제1 밀봉 장치(40)가 단자 수집기(30) 내에 수용될 때 제1 밀봉 장치(40)에 대한 보호를 제공한다.
도 2는 체결 장치(1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체결 장치(10)는 교합 방향으로 연장되고 2개의 안내 아암들(11a, 11b) 사이에 배열되는 가요성 아암(12)을 포함한다. 안내 아암은 체결 장치(10)의 안내 부재로서 이용되는 계단형 안내 아암이다. 또한, 각각의 안내 아암(11a, 11b)의 측면 표면 상에, 체결 돌출부(13a, 13b)가 배열된다. 이러한 체결 돌출부(13a, 13b)는 안내 부재로서 이용되고, 본원에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응하는 체결 함몰부 또는 상응하는 체결 간극과 결합될 때, 체결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계단형 안내 돌출부(15a, 15b)가 상응하는 안내 아암(11a, 11b)의 측면 표면 상에 제공된다. 이러한 계단형 안내 돌출부(15a, 15b)는 안내 부재로서 이용되고, 그에 따라, 체결 장치(10)를 제1 위치로부터 체결 위치로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가요성 아암(12)은 가요성 아암(12)과 연결기 하우징(20) 사이의 차단 접촉을 제공하기 위한 차단 돌출부(17)를 포함한다. 가요성 아암(12)은 차단 돌출부(17)와 연결기 하우징(20) 사이의 차단 접촉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 돌출부(19)를 더 포함한다. 해제 돌출부(19)는 경사진 표면을 포함한다. 일차적인 걸림 부분(16)이 가요성 아암(12)의 원위 단부에 제공되고 연결기 하우징(20)의 일차적인 체결 수단의 체결풀림 이동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플러그 연결기의 부분적인 절개도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연결기 하우징(20)의 상단부 커버는 도시되지 않았다. 또한, 체결 장치는 도 3에 도시되지 않았다. 연결기 하우징(20)은 일차적인 체결 수단(29)을 가지는 가요성 레버(26)를 포함한다. 일차적인 체결 수단(29)은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 상에 제공된 일차적인 체결 돌부와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가요성 레버(26)는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의 일차적인 체결 돌부와 결합하기 위해서 휘어질 수 있다. 또한, 내부 하우징(50) 및 제2 밀봉 장치(60)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플러그 연결기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여기에서 체결 장치(10)는 연결기 하우징(20)으로부터 제거되었다. 연결기 하우징(20)은 가요성 레버(26)를 포함한다. 또한 연결기 하우징(20)은 다양한 상이한 안내 수단을 포함한다. 첫 번째로, 2개의 안내 함몰부(21a, 21b)가 제공된다. 이러한 안내 함몰부는 체결 장치(10)의 안내 아암(11a, 11b)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두 번째로, 2개의 체결 간극(23a, 23b)이 제공된다. 체결 간극(23b)은 연결기 하우징의 벽 내에 제공되고 관통 개구부로서 형성된다. 그러한 체결 간극(23b)은 유지 부분(28b) 및 체결 부분(24b)을 구비한다. 체결 간극(23b)은 체결 돌출부(13b)를 수용하고 그러한 체결 돌출부를 체결 장치의 체결-전 위치로부터 체결 위치로 안내한다. 체결-전 위치에서, 체결 돌출부(13b)가 유지 부분(28b)과 결합되어, 체결 장치(10)가 연결기 하우징(20)으로부터 제거되지 않게 한다. 체결 장치의 체결 위치에서, 체결 돌출부(13b)가 체결 부분(24b)과 결합되어 부가적인 체결을 제공한다. 세 번째로, 연결기 하우징은 연결기 하우징(20)의 외부 표면 상에 제공되는 안내 표면(25a, 25b)을 구비한다. 안내 표면(25a, 25b)이 안내 돌출부(15a, 15b)와 결합되어 체결 장치를 제1 위치로부터 체결 위치로 안내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에서, 체결 장치의 체결-전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요소와 관련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장치(10)는 체결-전 위치에서 연결기 하우징(20)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그에 따라, 안내 아암(11a, 11b)이 안내 함몰부(21a, 21b)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또한, 안내 돌출부(15a, 15b)가 상응하는 안내 표면(25a, 25b)과 결합된다. 도 5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돌출부(13b)가 유지 부분(28b)과 결합되어, 체결 장치(10)가 연결기 하우징(20)으로부터 비의도적으로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체결 간극(23b)은 체결 위치에서 체결 장치(10)와 연결기 하우징(20) 사이의 걸쇠 체결을 제공하기 위한 걸쇠 돌출부로서 형성된 체결 부분(24b)을 포함한다.
도 5c는 플러그 연결기의 절개도이고, 여기에서 체결 장치(10)의 가요성 아암(12)은 그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절개된다. 가요성 아암(12)의 차단 돌출부(17)는 연결기 하우징(20)의 차단 돌부(27)와 차단 접촉되고, 그에 따라 체결 장치(10)가 체결-전 위치로부터 체결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가요성 아암(12)은 그 원위 단부에서, 일차적인 걸림 부분(16) 및 해제 돌출부(19)를 구비한다. 또한, 체결 장치(10)는 이차적인 걸림 부분(18)을 포함한다. 체결 장치(10)가 체결 위치에 있는 경우에, 이차적인 걸림 부분(18)은 연결기 하우징(20)의 가요성 레버(26)의 휘어짐을 방지한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체결-전 위치에서, 일차적인 체결 수단과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의 일차적인 체결 돌부 사이의 일차적인 체결이 체결풀림될 수 있도록, 가요성 레버(26)가 휘어질 수 있다. 도 5d는 플러그 연결기를 추가적인 절개도로 도시한다. 안내 아암(11a, 11b)이 안내 함몰부(21a, 21b)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체결 장치(10)의 제1 위치 또는 체결-전 위치(도 6a)로부터 체결 위치(도 6c)로의 이동을 도시한다. 도 6a에서, 플러그 연결기는, 도 5a 내지 도 5d에 대해서 더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체결-전 위치에 있다. 차단 돌출부(17) 및 체결 돌부(27)가 차단 접촉되어, 체결 장치(10)가 체결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플러그 연결기는 체결 장치(10), 연결기 하우징(20), 단자 수집기(30), 제1 및 제2 밀봉 장치(40, 60), TPA 장치(70) 및 내부 하우징(50)을 포함한다. 특히, 플러그 연결기는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80)와 교합되려 한다.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는 일차적인 체결 돌부(89)를 포함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연결기가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80)와 정확하게 교합되었을 때, 체결 장치(10)의 가요성 아암(12)의 해제 돌출부(19)가 반대쪽 연결기(80)와 결합되고, 그에 따라 가요성 아암(12)이 교합 방향(x)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즉, 제2 방향(z)으로 휘어진다. 교합 방향(x)으로 체결 장치(10) 상으로 힘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서, 가요성 아암(12)이 휘어질 수 있고, 차단 돌출부(17)와 차단 돌부(27) 사이의 체결 접촉이 해제되며, 그에 따라 체결 장치(10)가 체결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 6b에서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요성 레버(26)의 일차적인 체결 수단(29)이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80)의 일차적인 체결 돌부(89)와 결합된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장치(10)가 체결 위치에 있을 때, 가요성 아암(12)의 일차적인 걸림 부분(16)이 일차적인 체결 수단(29)의 체결풀림 이동을 차단한다. 그에 따라, 플러그 연결기와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 사이의 체결이 확보된다.
도 7a 내지 도 7c는 체결 장치(10)의 제1 위치 및/또는 체결-전 위치로부터 체결 위치로의 이동을 도시한다. 도 7a에서, 체결 장치(10)가 체결-전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다. 체결 돌출부(13b)가 체결 간극(23b) 내에 수용되고, 체결 돌출부(13b)는 유지 부분(28b)과 결합된다. 그에 따라, 체결 장치(10)가 연결기 하우징(20)으로부터 비의도적으로 제거되는 것이 방지된다. 만약 플러그 연결기가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80)와 정확하게 교합된다면, 체결 장치(10)가 체결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합 방향(x)으로 힘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서, 체결 장치(10)가 안내 수단(23b, 25b), 즉 체결 간극(23b) 및 안내 표면(25b)에 의해서 교합 방향(x), 및 그러한 교합 방향(x)과 상이하고, 특히 그에 수직인 제2 방향(z)을 따라서 안내된다. 그에 따라, 체결 장치(10)가 체결 위치에 있는 경우에, 체결 장치(10)(미도시)의 가요성 아암(12)이 역으로 휘어지고, 가요성 아암(12)에는 변형이 인가되지 않거나 적어도 감소된 변형이 인가된다.
도 7c는 체결 위치의 체결 장치(10)를 도시한다. 체결 돌출부(13b)는 체결 간극(23b)의 체결 부분(24b)와 결합되고, 그에 의해서 체결 장치(10)를 체결 위치에서 고정한다.
가요성 레버(26)의 일차적인 체결 수단(29)의 체결풀림-이동을 차단하는 것 외에도, 가요성 레버(26)의 휘어짐이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체결 장치(10) 상에 제공된 이차적인 걸림 부분(18)의 상세한 절개도를 도시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적인 걸림 부분(18)은 일차적인 체결 수단(29)에 대향되어 가요성 레버(26) 아래에 제공된다. 그에 의해서, 일차적인 체결 수단(29)의 체결풀림 이동을 초래할 수 있는 가요성 레버(26)의 휘어짐이 방지된다. 또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레버(26)의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그리고 일차적인 체결 수단(29)의 체결풀림-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체결 장치(10)가 체결 위치에 있을 때, 가요성 아암(12)의 측방향 부분이 또한 가요성 레버(26)와 또한 결합된다.
1 전기 연결기 조립체
10 체결 장치
12 가요성 아암
11a, 11b 안내 아암
13a, 13b 체결 돌출부
15a, 15b 안내 돌출부
16 일차적인 걸림 부분
17 차단 돌출부
18 이차적인 걸림 부분
19 해제 돌출부
20 연결기 하우징
21a, 21b 안내 함몰부/안내 간극
23a, 23b 체결 함몰부/체결 간극
25a, 25b 안내 표면
26 가요성 레버
29 일차적인 체결 수단
30 단자 수집기
40 제1 밀봉 장치
50 내부 하우징
60 제2 밀봉 장치
70 TPA
80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
89 일차적인 체결 돌부
x 교합 방향
z 제2 방향

Claims (16)

  1.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80)와 교합되도록 구성된 플러그 연결기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기 조립체(1)이며, 상기 플러그 연결기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수단(21a, 21b; 23a, 23b; 25a, 25b)을 가지는 연결기 하우징(20); 및
    상기 연결기 하우징(20)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는 체결 장치(10)로서, 상기 체결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부재(11a, 11b; 13a, 13b; 15a, 15b) 및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아암(12)을 포함하는, 체결 장치(10)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아암(12)은, 상기 체결 장치(10)가 체결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플러그 연결기를 상기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80)와 교합시키는 중에 휘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체결 장치(10)가 체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요성 아암(12)이 역으로 휘어지도록, 상기 안내 수단(21a, 21b; 23a, 23b; 25a, 25b) 및 상기 안내 부재(11a, 11b; 13a, 13b; 15a, 15b)가 상기 체결 장치(10)를 제1 위치로부터 체결 위치로 안내하게 구성되고,
    상기 안내 수단(21a, 21b)이 안내 함몰부(21a, 21b)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장치는 상기 가요성 아암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안내 아암(11a, 11b)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 아암은 상기 안내 함몰부(21a, 21b)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내 수단(23a, 23b)은 체결 함몰부(23a, 23b)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함몰부(23a, 23b)가 체결 부분(24a, 24b)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장치(10)는, 상기 안내 아암(11a, 11b) 상에 배열되는, 체결 돌출부(13a, 13b)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돌출부(13a, 13b)는 상기 체결 함몰부(23a, 23b) 내로 삽입되도록 그리고 상기 체결 장치(10)가 체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체결 부분(24a, 24b)과 체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기 하우징(20)은, 상기 체결 함몰부(23a, 23b) 내에 제공되는 유지 부분(28a, 28b)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 부분(28a, 28b)은, 상기 체결 장치(1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교합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을 따른 상기 체결 장치(10)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해서, 상기 체결 장치(10)와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체결 돌출부(13a, 13b)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전기 연결기 조립체(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연결기는 교합 방향을 따라서 상기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80)와 교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내 수단은 계단형 안내 수단이며, 그에 따라, 상기 체결 장치(10)가 체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요성 아암(12)이 역으로 휘어지게 하기 위해서, 상기 체결 장치(10)가 상기 안내 수단(21a, 21b; 23a, 23b; 25a, 25b)에 의해서 상기 교합 방향을 따라서 그리고 상기 교합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안내되는, 전기 연결기 조립체(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장치(10)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안내 수단(21a, 21b; 23a, 23b; 25a, 25b)은 상기 안내 부재(11a, 11b; 13a, 13b; 15a, 15b)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전기 연결기 조립체(1).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수단(25a, 25b)은 상기 연결기 하우징(20)의 외부 표면 상에 제공되는 안내 표면(25a, 25b)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장치(10)는 상기 안내 아암(11a, 11b) 상에 배열되는 안내 돌출부(15a, 15b)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 돌출부(15a, 15b)는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체결 위치에서 상기 안내 표면(25a, 25b)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전기 연결기 조립체(1).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는 체결-전 위치이고, 체결 장치(10)가 체결-전 위치에 배열되는 경우에, 상기 가요성 아암(12) 및 상기 연결기 하우징(20)이 차단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체결-전 위치로부터 상기 체결 위치로의 상기 체결 장치(10)의 이동을 방지하며, 상기 가요성 아암(12)은 상기 체결-전 위치에서 휘어지지 않는, 전기 연결기 조립체(1).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장치(10)는 차단 돌출부(17)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기 하우징(20)은 적어도 하나의 상응하는 차단 돌부(27)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 돌출부(17) 및 차단 돌부(27)는 상기 가요성 아암(12)과 상기 연결기 하우징(20) 사이의 차단 접촉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연결기 조립체(1).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장치(10)의 가요성 아암(12)은 상기 반대쪽 연결기(80)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해제 돌출부(19)를 포함하고, 그에 의해서, 상기 플러그 연결기와 상기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80)의 교합 중에 상기 가요성 아암(12)이 휘어지고, 그에 따라 상기 체결 장치(10)가 체결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전기 연결기 조립체(1).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 하우징(20)은, 상기 플러그 연결기가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80)와 교합될 때 일차적인 체결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일차적인 체결 수단(29)을 가지는 가요성 레버(26)를 포함하고, 상기 일차적인 체결 기능은, 상기 가요성 레버(26)가 휘어질 때, 체결풀림될 수 있는, 전기 연결기 조립체(1).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장치(10)는 상기 가요성 아암(12) 상에 제공된 일차적인 걸림 부분(16)을 포함하고, 상기 일차적인 걸림 부분(16)은, 상기 체결 장치(10)가 체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일차적인 체결 수단의 체결풀림 이동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연결기 조립체(1).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장치(10)는 이차적인 걸림 부분(18)을 포함하고,
    상기 이차적인 걸림 부분(18)은 상기 가요성 아암(12)과 별개인 요소이고, 상기 체결 장치(1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이차적인 걸림 부분(18)은 상기 연결기 하우징(20)의 가요성 레버(26)와 결합되지 않고, 상기 체결 장치(10)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체결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이차적인 걸림 부분(18)이 상기 연결기 하우징(20)의 가요성 레버(26)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가요성 레버(26)의 휘어짐을 방지하는, 전기 연결기 조립체(1).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연결기를 상기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80)에 교합시키는 것은, 상기 교합 방향으로 상기 체결 장치(10) 상으로 가압력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서 달성되고, 상기 체결 장치(10)는 가압력을 추가적으로 인가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체결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전기 연결기 조립체(1).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전기 연결기 조립체(1)를 조립하는 방법이며:
    적어도 하나의 안내 수단(21a, 21b; 23a, 23b; 25a, 25b)을 포함하는 연결기 하우징(20)을 제공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안내 부재(11a, 11b; 13a, 13b; 15a, 15b) 및 가요성 아암(12)을 포함하는 체결 장치(10)를 제공하는 단계;
    플러그 연결기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체결 장치(10)를 제1 위치에 배열하는 단계로서, 상기 안내 수단(21a, 21b; 23a, 23b; 25a, 25b)은 상기 안내 부재(11a, 11b; 13a, 13b; 15a, 15b)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배열 단계;
    상기 플러그 연결기를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80)와 교합시키고, 그에 의해서, 상기 체결 장치(10)가 체결 위치 내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 장치(10)의 가요성 아암(12)이 휘어지게 하는 단계;
    상기 체결 장치(10)를 체결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안내 수단(21a, 21b; 23a, 23b; 25a, 25b)이 상기 체결 장치(10)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체결 위치로 안내하고, 그에 따라 상기 체결 장치(10)가 상기 체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요성 아암(12)이 역으로 휘어지는, 이동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연결기를 상기 상응하는 반대쪽 연결기(80)에 교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교합 방향으로 상기 체결 장치(10) 상으로 가압력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서 달성되고, 상기 체결 장치(10)는 가압력을 추가적으로 인가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체결 위치로 이동되는, 방법.
KR1020170066572A 2016-06-02 2017-05-30 개선된 체결 장치를 가지는 전기 연결기 조립체 KR1023664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72635.1 2016-06-02
EP16172635.1A EP3252880B1 (en) 2016-06-02 2016-06-02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lock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991A KR20170136991A (ko) 2017-12-12
KR102366487B1 true KR102366487B1 (ko) 2022-02-23

Family

ID=56097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572A KR102366487B1 (ko) 2016-06-02 2017-05-30 개선된 체결 장치를 가지는 전기 연결기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79131B2 (ko)
EP (1) EP3252880B1 (ko)
KR (1) KR102366487B1 (ko)
CN (1) CN1074650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40988B (zh) * 2015-10-29 2020-06-05 莫列斯有限公司 电源连接器
CN207320479U (zh) * 2017-10-17 2018-05-04 安费诺精密连接器(深圳)有限公司 一种高压连接器
TW201941505A (zh) * 2018-03-16 2019-10-16 美商Fci美國有限責任公司 高密度電連接器
US10404012B1 (en) * 2018-04-20 2019-09-03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element
US10454199B1 (en) * 2018-06-22 2019-10-22 Te Connectivity Brasil Industria De Electronicos Ltda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CN109273908B (zh) * 2018-09-05 2020-07-28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组合
JP6865725B2 (ja) * 2018-10-31 2021-04-2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FR3088491B1 (fr) * 2018-11-12 2021-12-03 Raydiall Boitier de connecteur equipe d'un dispositif d'assurance de position de terminal de cable (tpa) ameliore
USD866446S1 (en) * 2019-01-10 2019-11-12 Zhejiang Shijia Import and Export Co., Ltd Connector for automobile
US10826233B1 (en) * 2019-05-23 2020-11-03 Te Connectivity Corporation Resilient latch with low stress concentrations
JP2021005447A (ja) * 2019-06-25 2021-01-1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嵌合位置保証部材及びワイヤハーネス
FR3098028A1 (fr) 2019-06-28 2021-01-01 Aptiv Technologies Limited Ensemble de connecteurs avec dispositif de verrouillage
JP7251398B2 (ja) * 2019-08-07 2023-04-0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CN211789791U (zh) * 2020-01-08 2020-10-27 东莞富强电子有限公司 插头电连接器
JP2022136022A (ja) * 2021-03-05 2022-09-15 ジェーエスティ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コネクタ位置保証付きコネク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52642A (zh) 2014-10-27 2016-05-04 德尔福国际业务卢森堡公司 用于直接配合和分离的连接器位置保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7302B2 (ja) * 1990-03-01 1996-09-25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のロック確認装置
EP0757411A3 (en) * 1995-08-03 1997-10-15 Sumitomo Wiring Systems Connector
JP3235478B2 (ja) * 1996-07-23 2001-12-0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6077101A (en) * 1997-11-18 2000-06-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onic connector with CPA device
JP3800312B2 (ja) * 2000-10-31 2006-07-2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2164125A (ja) * 2000-11-27 2002-06-07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6435895B1 (en) * 2001-04-27 2002-08-20 Delphi Technologies, Inc.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US6780045B2 (en) * 2002-03-06 2004-08-2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US7326074B1 (en) * 2006-12-06 2008-02-05 J.S.T. Corporatio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and a connector assembly incorporating the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US7892012B1 (en) * 2009-08-24 2011-02-22 Archtech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locking device
US8016606B1 (en) * 2011-01-10 2011-09-13 J.S.T. Corporation Unstressed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and connector assembly
CN202487849U (zh) * 2011-11-25 2012-10-10 德尔福派克电气系统有限公司 一种密封块固定器二次锁结构的连接器
JP5751196B2 (ja) * 2012-03-09 2015-07-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810980B2 (ja) * 2012-03-09 2015-11-1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8920187B2 (en) * 2012-03-09 2014-12-3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8678846B2 (en) * 2012-03-28 2014-03-2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JP5768802B2 (ja) * 2012-11-14 2015-08-2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52642A (zh) 2014-10-27 2016-05-04 德尔福国际业务卢森堡公司 用于直接配合和分离的连接器位置保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52880B1 (en) 2020-05-20
KR20170136991A (ko) 2017-12-12
CN107465030B (zh) 2019-06-07
US9979131B2 (en) 2018-05-22
EP3252880A1 (en) 2017-12-06
CN107465030A (zh) 2017-12-12
US20170352985A1 (en) 201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6487B1 (ko) 개선된 체결 장치를 가지는 전기 연결기 조립체
US9160089B2 (en) Wire-to-board connector
EP3955394A1 (en) Connector
CN109390784B (zh) 连接器
EP2866309B1 (en) Connector structure
CN112020801A (zh) 连接器位置保证构件
JP6914232B2 (ja) コネクタ構造
US20200295505A1 (en) Connector with cover
TWI464972B (zh) Assembly of electrical connector and cover, mounting of electrical connector, and mounting method of electrical connector
EP3687004A1 (en) Connector device equipped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EP3646412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alignment plate and secondary lock detection
CN112005446A (zh) 连接器位置保证构件
CN110571568B (zh) 连接器
CN113228427A (zh) 连接器
JP2007305484A (ja) コネクタ
EP3716413A1 (en) Connector
CN111834788A (zh) 带有端子锁的电端子壳体
CN111146613B (zh) 端子,将电线连接到端子的方法,以及夹具
CN110729579A (zh) 端子
JP7435373B2 (ja) コネクタ
JP7453087B2 (ja) コネクタ
CN112563833B (zh) 连接器
CN114830458B (zh) 连接器
EP1257007B1 (en) Electric connector
JP2008108711A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