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8757A - 레버 타입 커넥터 - Google Patents

레버 타입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8757A
KR20230138757A KR1020220036775A KR20220036775A KR20230138757A KR 20230138757 A KR20230138757 A KR 20230138757A KR 1020220036775 A KR1020220036775 A KR 1020220036775A KR 20220036775 A KR20220036775 A KR 20220036775A KR 20230138757 A KR20230138757 A KR 20230138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ever
marker
cov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6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상호
박영일
이동훈
윤영주
Original Assignee
케이유엠 유한책임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유엠 유한책임회사 filed Critical 케이유엠 유한책임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6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8757A/ko
Publication of KR20230138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87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77Pivoting levers actuating linearly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465Identification means, e.g. labels, tags, mark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금 식별을 위한 구성이 단순한 레버 타입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제1 커넥터; 상기 제1 커넥터의 일측에 결합하고, 외측면에 결합핀이 형성된 제2 커넥터; 상기 제1 커넥터의 타측에 결합하고, 외측면에 힌지핀이 형성된 커버; 및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결합핀이 삽입 가능한 캠홈을 구비한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제1 마커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제2 마커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결합이 완료될 때, 상기 제1 마커와 상기 제2 마커는 형상맞춤될 수 있다.

Description

레버 타입 커넥터 {Lever type connector}
본 발명은, 잠금 식별을 위한 구성이 단순한 레버 타입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기기의 내부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기구이다. 이러한 커넥터는, 서로 결합 가능한 한 쌍, 즉 수(male)커넥터와 암(female)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다. 수커넥터와 암커넥터의 내부에는 전류 및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가 마련된다.
기기의 성능이 향상되고 기능이 늘어남에 따라 커넥터를 통해 전달되는 전류 및 신호가 증가하였고, 다량의 전류 및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커넥터에 마련된 단자들의 수도 함께 증가하였다. 또한, 단자들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커넥터를 결합시키는데 필요한 체결력이 상승하였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레버 타입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레버 타입 커넥터는, 레버를 조작하여 수커넥터와 암커넥터를 결합할 때, 이들 커넥터 간 완전한 잠금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식별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잠금 식별을 위한 별도의 부품을 추가함으로써, 부품수 및 공정이 증가하고, 이에 수반하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US 9748693 B1
본 발명은, 잠금 식별을 위한 구성이 단순한 레버 타입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는, 제1 커넥터; 상기 제1 커넥터의 일측에 결합하고, 외측면에 결합핀이 형성된 제2 커넥터; 상기 제1 커넥터의 타측에 결합하고, 외측면에 힌지핀이 형성된 커버; 및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결합핀이 삽입 가능한 캠홈을 구비한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제1 마커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제2 마커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결합이 완료될 때, 상기 제1 마커와 상기 제2 마커는 형상맞춤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잠금 식별을 위한 마커가 단순하게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부품을 추가할 필요가 없어, 부품수 및 공정을 감소시키고, 이에 수반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레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마커와 제2 마커가 형상맞춤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레버의 회전에 의해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는, 제1 커넥터(10), 제2 커넥터(20), 커버(30), 및 레버(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10)는 복수의 단자(미도시)가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커넥터의 내부에는 단자를 설치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 수용홀(11)이 마련된다. 또한, 제1 커넥터는 제2 커넥터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수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넥터(20)는 제1 커넥터(10)의 일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제2 커넥터는 제1 커넥터의 복수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단자(21)가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넥터(10)는 소켓 단자와 같은 복수의 암단자를 포함하고, 제2 커넥터(20)는 핀 단자와 같은 복수의 수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의 결합시 제1 커넥터의 단자들의 일측으로 제2 커넥터의 단자(21)들이 접속하여 이들 커넥터 간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커넥터(10)의 단자들의 타측에는 케이블이 연결 및 고정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2 커넥터(20)의 단자(21)들에도 케이블이 연결 및 고정될 수 있다. 도면들에는 편의상,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에 연결되는 케이블들이 생략되어 있다.
제2 커넥터(20)의 외측면에는 결합핀(25)이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핀은 레버(40)의 회전시 레버에 형성된 캠홈(45)을 따라 이동하여, 제2 커넥터(20)를 제1 커넥터(10)에 결합시키거나 제1 커넥터로부터 분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커버(30)는 제1 커넥터(10)의 타측, 즉 제1 커넥터에서 제2 커넥터(20)가 삽입되는 일측의 반대쪽에 결합되어, 제1 커넥터를 부분적으로 덮어씌울 수 있다.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의 결합시, 제1 커넥터의 일측은 제2 커넥터에 의해 차폐될 수 있는 반면에, 제1 커넥터의 타측은 외부에 노출되게 된다. 이러한 노출 부위에 커버(30)가 장착됨으로써, 미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커넥터와 케이블의 연결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커버(30)는 양쪽 측벽(31)과, 이들 측벽을 연결하는 중간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부는, 중간부의 적어도 일부가 평탄하게 형성된 평탄면(33)을 포함하고, 평탄면에는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의 결합이 완료될 때 레버(40)의 연결부(42)가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중간부(32)에는 평탄면(33)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잠금돌기(34)가 구비될 수 있다. 잠금돌기는 중간부의 일부가 절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잠금돌기(34)는,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의 결합이 완료될 때 레버(40)의 연결부(42)가 안착된 후 연결부가 평탄면(33)으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못하게 연결부와 간섭되어 레버가 동작 또는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다.
즉, 잠금돌기(34)는,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의 결합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외력이 인가될 경우에 탄력적으로 변형되어 레버(40)의 회전이 허용될 수 있게 한다.
커버(30)의 측벽(31)에는 레버(40)의 회전중심이 되는 힌지핀(35)이 측벽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힌지핀은, 커버의 측벽에서 커버가 제1 커넥터(10)에 결합되는 쪽 선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쌍의 힌지핀(35)이 커버(30)의 일측 측벽(31)의 결합 선단과 타측 측벽(31)의 결합 선단에 인접하여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힌지핀(35)의 외주면에는 돌기(36)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돌기는 레버(40)의 회전각도를 안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돌기는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레버(40)의 회전각도와,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레버(40)의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이며, 제1 방향은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를 결합시키기 위한 레버(40)의 회전방향이다. 예를 들어, 제1 방향은 도면에서 시계 반대방향으로 될 수 있다.
도 3은 레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레버(40)는 힌지핀(3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커버(30)에 장착될 수 있다. 레버는, 힌지핀이 삽입되는 삽입홀(43)이 형성된 한 쌍의 회전판(41)과, 이들 회전판을 연결하는 연결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회전판과 연결부는 일체로 성형되어 레버를 구성할 수 있다.
한 쌍의 회전판(41)은, 힌지핀(35)에 조립될 때 커버(30)의 일측 측벽(31)과 타측 측벽(31)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회전판(41)에서, 삽입홀(43) 주변에는 가이드홈(44)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은 힌지핀(35)의 돌기(36)의 이동을 안내하고 그 이동을 저지하여, 회전판의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홈(44)에 의해, 레버(40)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될 때의 정지위치 및 레버(40)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될 때의 정지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회전판(41)에는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의 결합을 위해 제2 커넥터의 결합핀(25)과 연동되는 캠홈(45)이 형성될 수 있다. 캠홈은 회전판의 삽입홀(43) 근처에서 회전판의 가장자리까지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판의 가장자리에서 캠홈의 일단은 제2 커넥터의 결합핀이 진입 가능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제2 커넥터(20)의 결합핀(25)이 레버(40)의 캠홈(45)에 진입한 상태에서, 레버, 즉 회전판(41)이 제1 방향으로 회전될 때, 결합핀은 캠홈의 궤적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커넥터가, 커버(30)와 결합된 제1 커넥터(10) 쪽으로 당겨지면서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결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레버(40)가 힌지핀(35)을 중심으로 하여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는 결합될 수 있다. 반면에, 레버가 힌지핀을 중심으로 하여 제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연결부(42)는 한 쌍의 회전판(4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는 레버(40)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완료될 때, 커버(30)의 중간부(32)에 있는 평탄면(33)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레버(40)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가 결합된 이후, 연결부(42)는 커버(30)의 잠금돌기(34)에 간섭되게 됨으로써, 레버가 의도치 않게 제2 방향으로 동작 또는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레버(40)의 연결부(42)와 커버(30)의 잠금돌기(34)는, 레버가 제2 방향으로 의도치 않게 회전되어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마커와 제2 마커가 형상맞춤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통상, 레버 타입 커넥터에서는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가 결합된 후 커넥터들 간 완전한 잠금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식별 수단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에서, 커버(30)는 소정 위치에 제1 마커(37)를 포함하고, 레버(40)는 소정 위치에 제2 마커(4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커(37)는, 커버(30)의 측벽(31)에서 힌지핀(35)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레버(40)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마커는, 적어도 커버와 제1 커넥터(10)가 결합될 때 커버 중 제1 커넥터의 밖으로 노출되고 회전하는 레버와 간섭되지 않게 벗어난 위치에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커버의 측벽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마커(37)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0)의 측벽(31)에서 평탄면(33) 근처의 측벽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마커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형상으로 형성되어 레버(40)의 회전방향을 표시하도록 방위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제1 마커(37)의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삼각형, 마름모 등의 다각형, 반원 또는 반타원 등과 같은 임의의 다른 도형이나 기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마커(37)는 커버(30)에 일체로 성형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마커(47)는, 커버(30)의 힌지핀(35)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레버(40)의 일측 선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마커는, 적어도 커버와 제1 커넥터(10)가 결합될 때 레버 중 제1 커넥터의 밖으로 노출되는 위치에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레버의 일측 선단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마커(47)는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40)의 회전판(41)과 연결부(4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마커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마커(37)의 형상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오목홈으로 형성되어, 제1 마커의 일부분을 수용하고 형상맞춤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는, 레버(40)의 회전에 의해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의 결합이 완료될 때, 제1 마커(37)와 제2 마커(47)가 서로 위치정렬뿐 아니라 형상맞춤됨으로써,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결합된 후 이들 커넥터 간 완전한 잠금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레버의 회전에 의해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가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커버(30)가 제1 커넥터(10)의 타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커넥터의 일측으로 제2 커넥터(20)를 제1 커넥터의 수용부 내로 삽입시킨다(도 5의 (a) 참조). 이때, 제2 커넥터의 결합핀(25)이 레버(40)의 캠홈(45)에 진입할 수 있다.
레버(40)가 작업자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회전되면, 즉 회전판(41)이 제1 방향으로 회전되며, 결합핀(25)은 캠홈(45)의 궤적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도 5의 (b) 참조).
이에 따라, 제2 커넥터(20)가, 커버(30)와 결합된 제1 커넥터(10) 쪽으로 당겨지면서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큰 힘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레버(40)의 연결부(42)는 레버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완료될 때 커버(30)의 중간부(32)에 있는 평탄면(33) 상에 안착될 수 있다(도 5의 (c) 참조).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가 결합된 이후, 레버를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이 레버에 인가되기 전까지 연결부가 평탄면 위에 위치된 상태는 유지될 수 있다.
또, 레버(40)의 연결부(42)는 커버(30)의 잠금돌기(34)에 간섭되게 됨으로써, 레버가 의도치 않게 제2 방향으로 동작 또는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더불어, 레버(40)의 회전에 의해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의 결합이 완료될 때, 커버(30)의 제1 마커(37)와 레버(40)의 제2 마커(47)가 서로 형상맞춤됨으로써,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결합된 후 작업자는 이들 커넥터 간 완전한 잠금을 육안으로 명확히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커버(30)의 중간부(32)에 있는 잠금돌기(34)를 눌러 탄력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레버(40)의 회전이 허용될 수 있게 한다.
이어서, 레버(40)가 작업자에 의해 제2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의 결합은 해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에 의하면, 잠금 식별을 위한 마커가 단순하게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부품을 추가할 필요가 없어, 부품수 및 공정을 감소시키고, 이에 수반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제1 커넥터 11: 단자 수용홀
20: 제2 커넥터 21: 단자
25: 결합핀 30: 커버
31: 측벽 32: 중간부
33: 평탄면 34: 잠금돌기
35: 힌지핀 36: 돌기
37: 제1 마커 40: 레버
41: 회전판 42: 연결부
43: 삽입홀 44: 가이드홈
45: 캠홈 47: 제2 마커

Claims (5)

  1. 제1 커넥터;
    상기 제1 커넥터의 일측에 결합하고, 외측면에 결합핀이 형성된 제2 커넥터;
    상기 제1 커넥터의 타측에 결합하고, 외측면에 힌지핀이 형성된 커버; 및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결합핀이 삽입 가능한 캠홈을 구비한 레버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제1 마커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제2 마커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결합이 완료될 때, 상기 제1 마커와 상기 제2 마커는 형상맞춤되는 레버 타입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커는, 상기 커버의 측벽에서 측벽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마커는, 상기 레버의 일측 선단에서 오목홈으로 형성된 레버 타입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은 상기 제1 마커의 형상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레버 타입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커는, 상기 커버에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레버의 회전방향을 표시하도록 방위를 가진 레버 타입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양쪽 측벽과, 상기 양쪽 측벽을 연결하는 중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부에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잠금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잠금돌기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결합이 완료될 때 상기 레버와 간섭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을 방지하는 레버 타입 커넥터.
KR1020220036775A 2022-03-24 2022-03-24 레버 타입 커넥터 KR202301387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775A KR20230138757A (ko) 2022-03-24 2022-03-24 레버 타입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775A KR20230138757A (ko) 2022-03-24 2022-03-24 레버 타입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8757A true KR20230138757A (ko) 2023-10-05

Family

ID=88294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6775A KR20230138757A (ko) 2022-03-24 2022-03-24 레버 타입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87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3186B2 (en) Lever-type connector, wire cover
JP7333286B2 (ja) コネクタ
US11482810B2 (en) Secondary securing means, electrical plug connector and electrical plug connection
KR101632557B1 (ko) 레버 타입 커넥터
KR20160030136A (ko) 삽입형 커넥터
US11942715B2 (en)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and corresponding connector assembly
KR20140019244A (ko) 박형 와이어 투 보드 커넥터용 래칭 장치
KR20230138757A (ko) 레버 타입 커넥터
US10608375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a slider
US7862368B1 (en) Socket assembly
WO2013005606A1 (ja) レバー式コネクタ
CN106058577B (zh) 连接器组件
US20220200193A1 (en) Battery connector for electric bicycle
KR20160003183U (ko)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 및 커넥터 조립체
KR20220111026A (ko) Emi차폐 기능을 갖는 전기 커넥터
KR100922149B1 (ko) 조인트커넥터 어셈블리
KR20240034337A (ko) 레버 타입 커넥터
JP3241887U (ja) Lvds型コネクタタ
US11916336B2 (en) Bi-directional header for multi-direction connector mating
KR200496183Y1 (ko) 자기 잠금식 커넥터
WO2023053971A1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20240039212A1 (en) Connector Arrangement
US20220302646A1 (en) Rotary device for plug connectors
KR20090002261U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090022965A (ko) 커넥터 어셈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