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183U -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 및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 및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183U
KR20160003183U KR2020160001304U KR20160001304U KR20160003183U KR 20160003183 U KR20160003183 U KR 20160003183U KR 2020160001304 U KR2020160001304 U KR 2020160001304U KR 20160001304 U KR20160001304 U KR 20160001304U KR 20160003183 U KR20160003183 U KR 201600031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ble
plate
open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3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유키 사와베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600031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18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1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crew or scre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computer periph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커넥터를 구비하는 케이블 조립체는 전방 측부 상에 제공된 정합 커넥터 대면 부분과 케이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후방 측부 상에 제공된 케이블 부분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정합 커넥터 대면 부분 상에제공되고 대응 커넥터의 접촉자와 체결될 수 있는 전도성 접촉자와, 케이블 개구를 통해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접촉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과, 하우징의 후방 측부 상에서 케이블 부분 상에 배치되고 케이블 개구와 정렬되는 후면판과, 하우징의 전방 측부 상에서 정합 커넥터 대면 부분 상에 배치되고 하우징 전면 부분을 둘러싸는 전면판을 포함하고, 하우징은 후면판과 전면판 사이에 개재되며, 전면판은 하우징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에 의해 후면판에 고정된다.

Description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 및 커넥터 조립체{CABLE ASSEMBLY WITH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본 고안의 일 양태는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 및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서, 커넥터를 구비하는 케이블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하우징과, 대응 커넥터의 접촉자에 체결될 수 있는 하우징의 전면 측부에 제공된 전도성 접촉자와, 하우징의 후면 측부에 제공되면서 접촉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구비한다. 대응하는 정합 측부의 커넥터에 대한 결합을 위해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의 하우징의 양 측에 나사 부재가 제공된다.
일본 미심사 특허 출원 공개 제2006-202679호
상술한 바와 같은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에서, 하우징의 원주 방향에 대한 전자기 파의 누설은 하우징으로 덮는 것에 의해 억제될 수 있다. 한편, 접촉자가 제공되는 하우징의 전면 측부으로부터 전자기 파가 누설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하우징으로부터의 전자기 파의 누설에 대한 더 확실한 억제가 요구되어 왔다.
본 고안의 일 양태에 따른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는 전방 측부 상에 제공된 정합 커넥터 대면 부분과 케이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후방 측부 상에 제공된 케이블 부분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정합 커넥터 대면 부분 상에 제공되고 대응 커넥터의 접촉자와 체결될 수 있는 전도성 접촉자와, 케이블 개구를 통해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접촉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과, 하우징의 후방 측부 상에서 케이블 부분 상에 배치되고 케이블 개구와 정렬되는 후면판과, 하우징의 전방 측부 상에서 정합 커넥터 대면 부분 상에 배치되고 하우징 전면 부분을 둘러싸는 전면판을 포함하고, 하우징은 후면판과 전면판 사이에 개재되고, 전면판은 하우징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에 의해 후면판에 고정된다.
이러한 양태에서, 전면판은 하우징의 전방 측부의 정합 커넥터 대면 부분 상에 배치되고, 하우징의 전방 측부를 둘러싼다. 또한, 하우징은 후면판과 전면판 사이에 개재되고, 후면판은 하우징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에 의해 전면판에 고정된다. 따라서, 하우징 내에서, 접촉자가 제공되어 있는 정합 커넥터 대면 부분 측부는 전면판에 의해 완전히 덮여질 수 있다. 또한, 전면판은 후면판과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하우징으로부터의 전자기 파의 누설이 더 신뢰성있게 억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양태에 따라서, 하우징으로부터의 전자기 파의 누설이 더 신뢰성있게 억제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와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와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와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와 커넥터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와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에 연결되는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조립체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전면판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변형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 및 커넥터 조립체의 후면판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후술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거나 대등한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될 것이며, 중복 설명은 생략된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용어 [X 축 방향], [Y 축 방향] 및 [Z 축 방향]은 예시된 방향에 기초하며, 편의성을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100)는 하우징(2), 접촉자(3), 케이블(4), 후면판(6), 전면판(7) 및 나사 부재(고정 부재)(8)를 구비한다. 이들 중에서, 커넥터 조립체(10)는 하우징(2), 접촉자(3), 후면판(6), 전면판(7) 및 나사 부재(8)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100)는 대응 정합 측부의 커넥터 조립체(200)(도 5 참조)의 다른 커넥터 조립체와의 체결에 의해 유사 케이블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100)의 용도는 특별히 제한되어 있지는 않지만, 이는 예로서, 기판 검사 장치의 카메라를 연산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에 적용될 수 있다.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100)는 고주파수 파 신호를 취급하는 장치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본 명세서의 설명은 케이블(4)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고, 하우징(2)의 하나의 주 면(2a)이 상부 측에 배열되며, 다른 주 면(2b)이 하부 측에 배열되는 표준을 제공한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도 1에 예시된 상태). 그러나,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100)의 사용시, 배향은 제한되어있지 않다. 또한,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XYZ 좌표계가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100)에 대하여 정립될 것이다. "X 축 방향" 및 "Y 축 방향"은 수평 방향으로 직각으로 서로 교차하는 평면으로서 규정되고, "Z 축 방향"은 X 축 방향 및 Y 축 방향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평면으로서 규정된다. 청구범위에서, "전후 방향"은 Y 축 방향에 대응하고, "전방 측부"는 Y 축 방향 양의 측부에 대응하며, "후방 측부"는 Y 축 방향 음의 측부에 대응한다. 또한, 청구범위에서, "측방향 측부"는 X 축 방향 양의 측부 또는 X 축 방향 음의 측부에 대응한다. 하우징(2)의 주 면(2a, 2b)이 대면하는 방향은 Z 축 방향이며, 주 면(2a)이 배치되는 측부는 Z 축 방향 양의 측부이고, 주 면(2b)이 배치되는 측부는 Z 축 방향 음의 측부이다. 또한, 어떠한 언급도 없다면, 이하의 설명은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100)의 조립된 상태(즉, 도 1의 상태)에 기초한다.
하우징(2)은 접촉자(3)와 케이블(4)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수용되는 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부재이다. 하우징(2)은 평탄한 입방체의 형상을 가지고, 서로 반대쪽의 Z 축 방향을 향하는 주 면(2a, 2b)과, 서로 반대쪽의 Y 축 방향을 향하는 하우징 전면 부분(2c) 및 하우징 후면 부분(2d)과, 서로 반대쪽의 X 축 방향을 향하는 측면(2e, 2f)을 갖는다. 하우징 전면 부분(2c)은 하우징(2)의 전방 측부(Y 축 방향 양의 측부) 상에 형성되고, 하우징 후면 부분(2d)은 하우징의 후방 측부(Y 축 방향 음의 측부) 상에 형성된다. 측면(2e)은 하나의 측방향 측부(X 축 방향 양의 측부) 상에 형성되고, 측면(2f)은 다른 측방향 측부(X 축 방향 음의 측부) 상에 형성된다. 하우징(2)은 전방 측부 상에 제공된 정합 커넥터 대면 부분(11)과, 후방 측부 상에 제공된 케이블 부분(12)과, 측방향 측부 상에 제공된 측방향 측부 부분(13, 14)을 구비한다. 또한, 접촉자(3)와 케이블(4)의 연결 부분은 하우징(2)의 내부에 수납된다.
정합 커넥터 대면 부분(11)은 하우징(2)의 하우징 전면 부분(2c) 측부 상에 형성되고, 다른 정합 커넥터 대면 부분과의 상호 체결을 위한 부분이다. 정합 커넥터 대면 부분(11)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하우징(2) 내부에 배열된 접촉자(3)가 외부로 돌출할 수 있게 한다. 개구는 하우징 전면 부분(2c)의 실질적으로 중앙 위치에 형성된다. 케이블 부분(12)은 하우징(2)의 하우징 후면 부분(2d) 상에 형성되고, 케이블(4)의 선단부 부분과의 결합을 위한 부분이다. 케이블 개구(12a)(도 3 참조)는 내부 공간에 배치된 케이블(4)을 외측으로 인출하기 위해 케이블 부분(12) 상에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 개구(12a)는 하우징 후면 부분(2d)의 실질적 중앙 위치에 형성된다. 측방향 측부 부분(13, 14)은 하우징(2)의 측면(2e, 2f) 상에 형성되고, 나사 부재(8)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부분이다. 측방향 측부 개구(13a, 14a)는 나사 부재(8)가 삽입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측방향 측부(13, 14) 상에 형성된다. 측방향 측부 개구(13a, 14a)는 하우징(2)의 하우징 전면 부분(2c)과 하우징 후면 부분(2d) 사이에서의 전후 방향으로의 통과를 위한 원통 형상 관통 구멍이다. 측방향 측부 개구(13a, 14a)가 하우징 전면 부분(2c)과 하우징 후면 부분(2d) 사이에서 통과하기만 한다면, 관통 구멍이 요구되지는 않으며, 측면(2e, 2f)으로 개방된 홈 부분 등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접촉자(3)가 하우징(2)의 정합 커넥터 대면 부분(11) 상에 제공되며, 이는 대응 정합 측부의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200)의 접촉자(53)(도 5 참조)에 체결될 수 있는 전도성 부재이다. 접촉자(3)는 케이블(4)의 복수의 개별 절연된 와이어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 부분(22)(도 4 참조)과 대응 정합 측부 상의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200)와 체결되는 체결 부분(21)을 구비한다. 체결 부분(21)은 하우징(2) 상의 개구를 통해 하우징(2)의 정합 커넥터 대면 부분(11)으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돌출한다. 체결 부분(21)은 대응하는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200)의 접촉자(53)의 체결 부분과 체결된다. 케이블(4)은 하우징(2)의 내부 부분으로부터 케이블 개구(12a)를 통해 케이블 부분(12) 외측으로 인출된다. 접촉자(3)의 복수의 단자 부분(22)은 각각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200) 상의 대응 접촉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의해, 케이블(4)의 개별 절연된 와이어 각각은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200)의 케이블(54)의 개별 절연된 와이어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2)은 오버 몰드에 의해 형성된다. 달리 말하면, 하우징(2)은 전기적으로 함께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4)과 접촉자(3)를 격납하는 수지 몰딩에 의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케이블(4)과 접촉자(3)가 연결된 이후, 그후, 1차 몰딩이 수지로 수행된다. 그후, 주 본체의 전체 주변이 1차 몰딩체의 전면 및 후면을 제외하고 전도성 테이프 내에 감싸여진다. 그후, 전도성 테이프로 감싸는 방식으로 하우징(2)이 형성된다(2차 몰딩). 이러한 방식의 오버 몰드에 의해 형성될 때, 이는 하우징(2)을 위한 수지로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산토프렌,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등 같은 열가소성 수지에 적합하다.
하우징(2)의 하우징 후면 부분(2d) 상의 케이블 부분(12) 상에 배치되는 후면판(6)은 하우징 후면 부분(2d) 및 케이블 개구(12a)의 형상을 정렬하기 위한 부재이다. 후면판(6)은 X 축 방향으로 중앙 위치에 형성되는 중앙 부분(6A), 중앙 부분(6A)으로부터 X 축 방향 양의 측부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측방향 측부 부분(6B) 및 X 축 방향 음의 측부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측방향 측부 부분(6C)을 구비한다. 또한, 중앙 개구(6a)의 측방향 측부 양쪽 모두에 각각 형성되는 측방향 측부 개구(6b, 6c) 및 케이블 개구(12a)와 정렬되는 중앙 개구(6a)가 후면판(6) 상에 형성된다. 중앙 개구(6a)는 케이블(4)이 통과할 수 있게 하도록 케이블 개구(12a)와 연통하는 중앙 부분(6A)에 형성된 관통 구멍이다. 측방향 측부 개구(6b, 6c)는 나사 부재(8)가 통과할 수 있게 하도록 하우징(2) 상의 측방향 측부 개구(13a, 14a)와 각각 연통하는 측방향 측부 부분(6B, 6C) 상에 형성된 관통 구멍이다. 조립 동안, 후면판(6)은 하우징(2) 상의 하우징 후면 부분(2d)과 접촉한다. 중앙 개구(6a) 및 측방향 측부 개구(6b, 6c)는 관통 구멍이 아닐 수 있으며, 후면판(6)의 외부 에지 부분에 절결부를 제공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전면판(7)은 하우징(2)의 하우징 전면 부분(2c)의 정합 커넥터 대면 부분(11) 상에 배치되고, 이는 하우징 전면 부분(2c)을 둘러싸기 위한 부재이다. 전면판(7)의 외부 형태는 Y 축 방향으로부터 볼 때, 하우징 전면 부분(2c)의 외부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이다. 그러나, 전면판(7)의 외부적 형태는 하우징 전면 부분(2c)의 외부 형태와 다른 형상 또는 크기일 수 있다. 중앙 개구(7a)의 측방향 측부 양자 모두 상에 각각 형성되는 측방향 측부 개구(7b, 7c) 및 접촉자(3)와 정렬되는 중앙 개구(7a)가 전면판(7) 상에 형성된다. 중앙 개구(7a)는 접촉자(3)의 체결 부분(21)을 둘러싸고 체결 부분(21)이 통과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측방향 측부 개구(7b, 7c)는 하우징(2)의 측방향 측부 개구(13a, 14a)에 대한 각각의 연통이 나사 부재가 각각 통과할 수 있게 하도록 중앙 개구(7a)의 측방향 측부의 에지 부분을 절결함으로써 형성되는 관통 부분이다. 측방향 측부 개구(7b, 7c)의 형상은 나사 부재(8)의 구조와 함께 이후에 설명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조립 동안, 전면판(7)은 하우징(2)의 하우징 전면 부분(2c)과 접촉한다. 중앙 개구(7a) 및 측방향 측부 개구(7b, 7c)는 관통 구멍이 아닐 수 있으며, 전면판(7)의 외부 에지 부분에 절결부를 제공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그러나, 하우징 전면 부분(2c) 측부 상의 전자기 파를 차폐하기 위해서 전면판(7)의 전체 주변이 간극 없이 하우징 전면 부분(2c)을 완전히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전면판(7)이 하우징 전면 부분(2c)을 완전히 덮는 것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부분적으로 덮여지지 않은 부분을 가질 수도 있다.
하우징(2)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나사 부재(8)는 전면판(7)을 후면판(6)에 고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나사 부재(8)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의 순서로 캡 부분(8A), 회전 정지부(8D), 훅업 부분(8C) 및 후방 단부 부분(8B)을 구비한다.
캡 부분(8A)은 나사 부재(8)의 전방 단부 측부 상에 제공되며, 내부 주변 표면 상에 형성되는 암형 나사 부분(8a)을 구비하는 원통 형상 부재이다. 캡 부분(8A)은 전방 단부 측부에서 개방되어 있고, 대응 정합 측부의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200)의 나사 부재(58)의 수형 나사 부분(58a)을 수용할 수 있다(도 5 참조). 캡 부분(8A) 및 암형 나사 부분(8a)은 하우징(2) 외부에 있으며, 전면판(7)으로부터 전방 측부로 돌출한다.
후방 단부 부분(8B)은 나사 부재(8)의 후방 단부 측부에 제공되며, 외부 주변 표면 상에 형성된 암형 나사 부분(8c)을 구비한 부분이다. 후방 단부 부분(8B)은 하우징(2) 외부에 있으며, 후면판(6)으로부터 후방 측부로 돌출한다. 너트(16)는 후방 단부 부분(8B)의 수형 나사 부분(8c)에 체결된다. 너트(16)는 두 개가 체결되며(이중 너트라 알려짐) 이에 의해, 나사 부재(8)의 풀림이 방지된다.
회전 정지부(8D)는 캡 부분(8A)의 후방 단부 부분 상에 형성된다. 회전 정지부(8D)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전면판(7)의 측방향 측부 개구(7b, 7c)의 내측에 배치된다. 회전 정지부(8D)는 측방향 측부 개구(7b, 7c)의 Z 축 방향으로 양 측부상의 에지 부분에 대치되며, 접촉을 통해 나사 부재(8)의 회전을 방지하는 수용 면(8b)을 구비한다. 수용 면(8b)은 원통체의 주변 표면의 일부를 평면형으로 절결함으로써 형성된다. 수용 면(8b)은 서로 평행하게 Z 축 방향으로 양의 측부와 음의 측부에 형성된다.
훅업 부분(8C)은 수형 나사 부분(8c)을 구비하는 후방 단부 부분(8B)과 암형 나사 부분(8a)을 구비하는 캡 부분(8A)을 결합시키는 부분이다. 회전 정지부(8D)는 훅업 부분(8C)과 캡 부분(8A) 사이에 배치된다. 훅업 부분(8C)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2)의 내부 부분 상에, 달리 말하면, 측방향 측부 개구(13a, 14a) 내에 배치된다.
나사 부재(8)의 각 부분과 측방향 측부 개구(7b) 사이의 치수 관계는 도 6을 참조로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다. 나사 부재(8)의 각 부분과 측방향 측부 개구(7c) 사이의 치수 관계가 측방향 측부 개구(7b)의 것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중앙 개구(7a)는 Z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에지 부분(37)과 X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에지 부분(34, 36)을 구비한다. 측방향 측부 개구(7b)는 중앙 개구(7a)의 에지 부분(37)으로부터 X 축 방향 양의 측부를 향해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측방향 측부 개구(7b)는 Z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에지 부분(33)과 X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에지 부분(31, 32)을 구비한다. 측방향 측부 개구(7b)의 에지 부분(31)은 중앙 개구(7a)의 에지 부분(34)보다 더 많이 Z 축 방향 음의 측부에 배치된다. 측방향 측부 개구(7b)의 에지 부분(32)은 중앙 개구(7a)의 에지 부분(36)보다 더 많이 Z 축 방향 양의 측부에 배치된다. 측방향 측부 개구(7b)의 에지 부분(33)은 중앙 개구(7a)의 에지 부분(37)보다 더 많이 X 축 방향 양의 측부에 배치된다.
측방향 측부 개구(7b)의 에지 부분(31)과 에지 부분(32) 사이의 Z 축 방향으로의 치수(L1)는 후방 단부 부분(8B)과 훅업 부분(8c)의 직경보다 크다. 이에 의해, 측방향 측부 개구(7b)는 훅업 부분(8c)과 나사 부재(8)의 후방 단부 부분(8b)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치수(L1)는 회전 정지부(8D)의 수용 면(8b) 사이의 Z 축 방향으로의 치수보다 크다. 다른 한편, 치수(L1)는 회전 정지부(8D)의 수용 면(8b) 이외의 원호형 표면(8d)의 직경보다 작다. 따라서, 측방향 측부 개구(7b)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동안 회전 정지부(8D)를 회전시키려는 시도가 존재할 때, 수용 면(8b)은 에지 부분(31, 32)과 간섭하고 따라서 나사 부재(8)의 회전을 방지한다. 치수(L1)는 캡 부분(8A)의 직경보다 작다. 따라서, 캡 부분(8A)은 에지 부분(31, 32)과 후방 단부 면 사이의 접촉에 기인하여 측방향 측부 개구(7b)를 통과할 수 없다. 이에 의해, 캡 부분(8A)은 후방 측부로부터 하우징(2)에 관하여 전면판(7)의 측방향 측부 부분(7b)의 부근을 억제할 수 있다. 에지 부분(37)과 에지 부분(33) 사이의 X 축 방향으로의 치수(L2)는 나사 부재(8)의 후방 단부 부분(8B), 훅업 부분(8C) 및 회전 정지부(8D)와 간섭하지 않는 범위의 크기로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측방향 측부 개구(7b)는 중앙 개구(7a)에 결합되고, 통합된 관통 구멍으로서 형성되지만, 측방향 측부 개구(7b)와 중앙 개구(7a)는 서로 독립적인 관통 구멍일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달리 말하면, 측방향 측부 개구(7b) 및 중앙 개구(7a)는 에지 부분(37)의 일부로서 위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하우징(2)은 후면판(6)과 전면판(7) 사이에 개재된다. 한 쌍의 나사 부재(8)가 전면판(7)의 대응 위치에 형성된 측방향 측부 개구(7b, 7c)를 통과하고, 하우징(2) 내에서 대응 위치(측방향 측부(13, 14))에 형성된 측방향 측부 개구(13a, 14a)를 통과하고, 후면판(6)의 대응 위치(측방향 측부(6B, 6C)에 형성된 측방향 측부 개구(6b, 6c)를 통과한다. 캡 부분(8A)은 전면판(7)보다 더 전방 측부에 배치되고, 회전 정지부(8D)의 적어도 일부가 측방향 측부 개구(7b, 7c)의 내부에 배치되며, 훅업 부분(8C)의 적어도 일부가 측방향 측부 개구(13a, 14a)의 내측에 배치되고, 후방 단부 부분(8B)의 적어도 일부가 후면판(6)보다 더 후방 측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후방 단부 부분(8B)의 수형 나사 부분(8c)이 너트(16)(이중 너트)에 의해 고정된다. 이에 의해, 전면판(7)은 하우징(2)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나사 부재(8)를 통해 후면판(6)에 고정된다. 또한, 나사 부재(8)의 캡 부분(8A)은 전면판(7)이 하우징(2)에 대해 가압하는 상태가 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면판(7), 하우징(2), 후면판(6) 및 나사 부재(8)는 모두 서로 충분한 강도로 고정된다. 나사 부재(8)의 회전은 측방향 측부 개구(7b, 7c) 내에 배치된 회전 정지부(8D)에 의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양태에 따른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는 전방 측부 상에 제공된 정합 커넥터 대면 부분과 케이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후방 측부 상에 제공된 케이블 부분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정합 커넥터 대면 부분 상에 제공되고 대응 커넥터의 접촉자와 체결될 수 있는 전도성 접촉자와, 케이블 개구를 통해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접촉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과, 하우징의 후방 측부 상에서 케이블 부분 상에 배치되고 케이블 개구와 정렬되는 후면판과, 하우징의 전방 측부 상에서 정합 커넥터 대면 부분 상에 배치되고 하우징 전면 부분을 둘러싸는 전면판을 포함하고, 하우징은 후면판과 전면판 사이에 개재되며, 전면판은 하우징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에 의해 후면판에 고정된다.
이러한 양태에서, 전면판은 하우징의 전방 측부의 정합 커넥터 대면 부분 상에 배치되고, 하우징의 전방 측부를 둘러싼다. 또한, 하우징은 후면판과 전면판 사이에 개재되고, 후면판은 하우징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에 의해 전면판에 고정된다. 따라서, 하우징에서, 접촉자가 제공되는 정합 커넥터 대면 부분은 전면판에 의해 완전히 덮여질 수 있다. 또한, 전면판은 고정 부재와 후면판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2)의 2차 몰딩 이전에, 전도성 테이프가 1차 몰딩체의 후면과 전면을 제외한, 주 본체의 전체 주변 둘레에 감싸여진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하우징으로부터의 전자기 파의 누설이 더욱 신뢰성있게 억제된다.
또한, 다른 양태에 따른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에서, 고정 부재는 하우징의 양 측방향 측부 상에 배치된 한 쌍의 나사 부재로 구성되고, 나사 부재는 하우징의 외측에서 후방 단부 측부 상에 형성되어 후면판으로부터 후방 측부로 돌출하는 수형 나사 부분과, 하우징의 외부측에서 전방 단부 측부에 형성되어 전면판으로부터 전방 측부로 돌출하는 암형 나사 부분 및 수형 나사 부분과 암형 나사 부분을 결합하면서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의 내부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훅업 부분을 구비하고, 나사 부재는 대응 위치에 형성된 측방향 측부 구멍을 통해 후면판으로 통과하고, 대응 위치에서 형성된 측방향 측부 구멍을 통해 전면판으로 통과한다. 따라서, 나사 부재의 후방 단부 측부의 수형 나사 부분 상에 너트 등을 체결하는 것에 의해, 전면판은 나사 부재와 후면판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대응 정합 측부의 커넥터의 나사 부재의 수형 나사 부분이 나사 부재의 전방 단부 측부의 암형 나사 부분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양태에 따른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에서, 후면판 및 전면판의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측부 개구와 나사 부재는 전면판과 후면판에 대한 나사 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대응 정합 측부 커넥터의 수형 나사 부분이 회전될 때, 전면판 및 후면판에 대한 나사 부재의 동시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유사한 커넥터의 결합의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양태에 따른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에서, 중앙 개구의 양 측방향 측부 상에 각각 형성된 측방향 측부 개구 및 케이블 개구와 정렬되는 중앙 개구가 후면판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정 부재(나사 부재)는 각각 측방향 측부 개구 양자 모두를 통해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후면판이 하나의 단일 판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양태에 따른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에서, 하우징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 케이블과 접촉자를 포함하는 수지 몰딩에 의해 형성된다. 하우징이 동작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수지 몰딩에 의해 형성될 때, 연성 수지가 사용될 때가 있다. 따라서, 예로서, 나사 부재를 하우징 자체에 고정하고자 할 때, 회전력에 의해 하우징이 변형될 가능성이 있다. 다른 한편, 후방 판과 전방 판 사이에 하우징을 개재하여 하우징에 대한 반발력을 얻는 구성에서, 섭입(subduction)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후면판의 후방 측부에서, 너트와 나사 부재의 수형 나사 부분을 체결함으로서, 하우징에 작용하는 힘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이 연성 수지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나사 부재에 충분한 양의 토크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제조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재가공을 위한 취급이 간단히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양태에 다른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는 전방 측부 상에 제공된 정합 커넥터 대면 부분과, 케이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후방 측부 상에 제공된 케이블 부분을 구비하는 하우징, 하우징의 정합 커넥터 대면 부분 상에 제공되며 대응 커넥터의 접촉자와 체결될 수 있는 전도성 접촉자, 케이블 개구를 통해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접촉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 하우징의 후방 측부 상에서 케이블 부분 상에 배치되고 케이블 개구와 정렬되는 후면판, 하우징의 전방 측부 상에서 정합 커넥터 대면 부분 상에 배치되고 하우징 전면 부분을 둘러싸는 전면판, 및 하우징의 양 측방향 측부들 상에 배치된 나사 부재를 포함하고, 나사 부재는 후면판의 대응 위치에 형성된 측방향 측부 개구를 통해 통과하고, 전면판의 대응 위치의 측방향 측부 개구를 통해 통과하며, 나사 부재는 전면판을 가압하면서 암형 나사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전방 단부 측부 상의 캡 부분과 너트를 고정하도록 수형 나사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후방 단부 측부를 포함하며, 하우징은 후면판과 전면판 사이에 개재된다.
이러한 양태에서, 전면판은 하우징의 전방 측부의 정합 커넥터 대면 부분 상에 배치되고, 하우징의 전방 측부를 둘러싼다. 또한, 하우징은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에 개재되고, 전면판은 나사 부재에 의해 후면판에 고정된다. 따라서, 하우징에서, 접촉자가 제공된 정합 커넥터 대면 부분 측부는 전면판에 의해 덮여질 수 있다. 또한, 전면판은 나사 부재와 후방 판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하우징으로부터의 전자기 파의 누설이 더 신뢰성있게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나사 부재의 전방 단부 측부의 캡 부분이 암형 나사 부분을 갖기 때문에, 대응 정합 측부의 커넥터의 나사 부재의 수형 나사 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후방 단부 부분의 수형 나사 부분은 너트에 의해 고정되고, 전방 단부 측부의 캡 부분이 전면판을 밀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은 후면판과 전면판 사이에 충분히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정합 측부의 커넥터의 나사 부재의 수형 나사 부분이 캡 부분에 체결될 때에도 하우징, 전면판, 후면판 및 나사 부재가 서로 적절하게 고정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나사 부재가 함께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양태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전방 측부 상에 제공되는 정합 커넥터 대면 부분과 케이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후방 측부 상에 제공되는 케이블 부분을 구비하는 하우징, 하우징의 정합 커넥터 대면 부분 측부 상에 제공되고 대응 커넥터의 접촉자와 체결될 수 있는 전도성 접촉자, 하우징의 후방 측부 상에서 케이블 부분 상에 배치되고 케이블 개구와 정렬되는 후면판, 및 하우징의 전방 측부 상에서 정합 커넥터 대면 부분 상에 배치되고 하우징 전면 부분을 둘러싸는 전면판을 포함하고, 하우징은 후면판과 전면판 사이에 개재되고, 전면판은 하우징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에 의해 후면판에 고정된다.
이러한 양태에서, 상술한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와 동일한 방식으로, 하우징으로부터의 전자기 파의 누설이 더욱 신뢰성있게 억제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로서, 상술한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오버 몰드에 의해 형성되지만, 하우징은 외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케이블을 접촉자에 연결한 이후, 분할된 외피 형상부와 개재하고 덮는 것에 의해 하우징이 구성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전면판(7)의 측방향 측부 개구(7b, 7c)의 서로 평행한 에지 부분(31, 32) 및 나사 부재(8)의 회전 정지부(8D)의 서로 평행한 수용 면(8b, 8b)에 의해, 회전 정지 구조가 구성된다. 그러나, 회전 정지 구조의 특정 형상은 특정하게 제한되지 않으며, 회전 정지부(8D)가 회전을 시도할 때, 전면판(7)의 측방향 측부 개구(7b, 7c)와의 간섭에 의해 회전 정지를 방지하는 형상이라면 임의의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측방향 개구(7b, 7c)와 회전 정지부(8D)는 삼각형 같은 다각형 형상일 수 있거나, 키이 홈 같은 형상도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회전 정지 구조는 전면판에만 형성되지만, 후면판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전면판 및 후면판 양자 모두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회전 정지 구조가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2)의 측방향 측부 개구(13a, 14a)의 형상의 회전을 정지하기 위한 형상일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후면 판에서, 중앙 개구 및 측방향 측부 개구는 각각 중앙 개구의 각 측방향 측부 상에 형성된다. 이에 추가로,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후면판은 케이블 개구의 양 측방향 측부 상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측방향 측부 판(66B, 66C)을 구비하며, 측방향 측부 개구(66b, 66c)는 각각 측방향 측부 판(66B, 66C)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로 분리된 측방향 측부 판(66B, 66C)이 상술한 후방 판(6)의 측방향 측부 부분(6B, 6C)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른 양태에 따른 커넥터를 갖는 케이블 조립체에서, 후방 판은 케이블 개구의 양 측방향 측부 각각에 배치된 한 쌍의 측방향 판을 구비하고, 각각의 측방향 측부 개구가 측방향 측부 판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후방 판을 한 쌍의 측방향 측부 판으로 나누는 것에 의해, 단일 판 마다의 형상이 단순화될 수 있다.
2: 하우징, 3: 커넥터
4: 케이블, 6: 후면판
7: 전면판, 8: 나사 부재(고정 부재)
8A: 캡 부분, 8B: 후방 단부 부분
10: 커넥터 조립체, 11: 정합 커넥터 대면 부분
12: 케이블 부분, 100: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

Claims (8)

  1.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이며,
    전방 측부 상에 제공된 정합 커넥터 대면 부분과 케이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후방 측부 상에 제공된 케이블 부분을 구비하는 하우징,
    하우징의 정합 커넥터 대면 부분 측부에 제공되며 대응 커넥터의 접촉자와 체결될 수 있는 전도성 접촉자,
    케이블 개구를 통해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접촉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
    하우징의 후방 측부 상에서 케이블 부분 상에 배치되며 케이블 개구와 정렬되는 후면판, 및
    하우징의 전방 측부 상에서 정합 커넥터 대면 부분 상에 배치되고 하우징 전면 부분을 둘러싸는 전면판을 포함하고,
    하우징은 후면판과 전면판 사이에 개재되고,
    전면판은 하우징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에 의해 후면판에 고정되는,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 부재는 하우징의 양 측방향 측부 상에 배치된 한 쌍의 나사 부재로 구성되고,
    나사 부재는
    하우징 외부의 후방 단부 측부 상에 형성되어 후면판으로부터 후방 측부로 돌출하는 수형 나사 부분과,
    하우징의 외부의 전방 단부 측부 상에 형성되어 전면판으로부터 전방 측부로 돌출하는 암형 나사 부분과,
    수형 나사 부분과 암형 나사 부분을 결합하면서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의 내부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훅업 부분을 포함하며,
    나사 부재는 대응 위치에서 형성되어 있는 측방향 측부 구멍을 통해 후면판으로 통과하고, 대응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측방향 측부 구멍을 통해 전면판으로 통과하는,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후면판의 측방향 측부 개구와 전면판의 측방향 측부 개구 중 적어도 하나와 나사 부재는 후면판 및 전면판에 대해 나사 부재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개구와 정렬되는 중앙 개구 위치 및 중앙 개구의 양 측방향 측부 상에 각각 형성되는 측방향 측부 개구가 후면판 상에 형성되는,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면판이 케이블 개구의 양 측방향 측부 상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측방향 측부 판을 구비하고,
    각각의 측방향 측부 개구가 측방향 측부 판 상에 형성되는,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케이블과 접촉자를 포함하는 수지 몰딩에 의해 형성되는,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
  7.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이며,
    전방 측부 상에 제공된 정합 커넥터 대면 부분과, 케이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후방 측부 상에 제공된 케이블 부분을 구비하는 하우징,
    하우징의 정합 커넥터 대면 부분 상에 제공되며 대응 커넥터의 접촉자와 체결될 수 있는 전도성 접촉자,
    케이블 개구를 통해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접촉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
    하우징의 후방 측부 상에서 케이블 부분 상에 배치되고 케이블 개구와 정렬되는 후면판,
    하우징의 전방 측부 상에서 정합 커넥터 대면 부분 상에 배치되고 하우징 전면 부분을 둘러싸는 전면판, 및
    하우징의 양 측방향 측부들 상에 배치된 나사 부재를 포함하고,
    나사 부재는
    후면판의 대응 위치에 형성된 측방향 측부 개구를 통해 통과하고, 전면판의 대응 위치의 측방향 측부 개구를 통해 통과하며,
    전면판을 가압하면서 암형 나사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전방 단부 측부 상의 캡 부분, 및
    너트를 고정하도록 수형 나사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후방 단부 측부를 포함하며,
    하우징은 후면판과 전면판 사이에 개재되는,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
  8. 커넥터 조립체이며,
    전방 측부 상에 제공되는 정합 커넥터 대면 부분과 케이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후방 측부 상에 제공되는 케이블 부분을 구비하는 하우징,
    하우징의 정합 커넥터 대면 부분 측부 상에 제공되고 대응 커넥터의 접촉자와 체결될 수 있는 전도성 접촉자,
    하우징의 후방 측부 상에서 케이블 부분 상에 배치되고 케이블 개구와 정렬되는 후면판, 및
    하우징의 전방 측부 상에서 정합 커넥터 대면 부분 상에 배치되고 하우징 전면 부분을 둘러싸는 전면판을 포함하고,
    하우징은 후면판과 전면판 사이에 개재되고,
    전면판은 하우징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에 의해 후면판에 고정되는, 커넥터 조립체.
KR2020160001304U 2015-03-13 2016-03-11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 및 커넥터 조립체 KR20160003183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50966 2015-03-13
JP2015050966A JP6727756B2 (ja) 2015-03-13 2015-03-13 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アセンブリ、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183U true KR20160003183U (ko) 2016-09-21

Family

ID=56888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304U KR20160003183U (ko) 2015-03-13 2016-03-11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 및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11888B2 (ko)
JP (1) JP6727756B2 (ko)
KR (1) KR20160003183U (ko)
CN (1) CN205846358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67297B2 (en) * 2014-07-09 2019-07-30 Te Connectivity Corporation Integrated securing guide pin for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107509353A (zh) * 2016-06-14 2017-12-22 伊姆西公司 用于机架的杆以及与机架配合使用的固定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2679A (ja) 2005-01-24 2006-08-03 Honda Tsushin Kogyo Co Ltd シールド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0230A (en) * 1979-02-23 1984-07-17 Trw Inc. Connector hood constructions
ES256161Y (es) * 1981-01-23 1982-10-16 Dispositivo de fijacion para cajas de conexion electrica
US4577919A (en) * 1985-02-19 1986-03-25 Amp Incorporated Boot and shielded cable connector
US4634203A (en) * 1985-06-27 1987-01-06 Honeywell Information Systems Inc. Universal internal latch and lock D shell connector
JPH02108277U (ko) * 1989-02-15 1990-08-28
US5092774A (en) * 1991-01-09 1992-03-03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echanically compliant high 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US5088935A (en) * 1991-04-05 1992-02-18 Penn Engineering & Manufacturing Corp. Electrical connector panel
US5158481A (en) * 1991-09-27 1992-10-27 Amp Incorporated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with torsioned shield interconnect
DE9113082U1 (ko) * 1991-10-21 1993-02-18 Siemens Ag, 8000 Muenchen, De
US5340329A (en) * 1992-02-28 1994-08-23 Honda Tsushin Kogyo Kabushiki Kaisha Connector combination
US5288244A (en) * 1993-04-19 1994-02-22 Maxconn Incorporated Connector assembly having fixed unitary fasteners for mounting to a panel
JPH06310087A (ja) 1993-04-27 1994-11-04 Hitachi Ltd 中継コネクタ
JP3057546B2 (ja) * 1995-02-23 2000-06-2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ガイド機構付きコネクタ組立
US5859766A (en) * 1997-02-28 1999-01-12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housing for circuit board assembly
US5820412A (en) * 1997-03-18 1998-10-13 The Whitaker Corporation Connector shield with cable crimp support
US6135807A (en) * 1997-11-26 2000-10-2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Strain relief device for electrical cable connector assembly
JPH11345658A (ja) 1998-06-01 1999-12-14 Nec Corp 同軸コネクタ
US6017245A (en) * 1998-08-19 2000-01-25 Amphenol Corporation Stamped backshell assembly with integral front shield and rear cable clamp
TW506638U (en) * 1998-12-28 2002-10-11 Hon Hai Prec Ind Co Ltd Cable connector
US6312294B1 (en) * 1999-12-27 2001-11-0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s
JP3417378B2 (ja) * 2000-03-24 2003-06-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装置、そのコネクタ装置を用いたインターフェイスモジュール、及びコネクタ芯数変換アダプタ
US20020001989A1 (en) * 2000-06-30 2002-01-03 Silicon Graphics, Inc. Backshell assembly
TW461634U (en) * 2000-09-29 2001-10-21 Hon Hai Prec Ind Co Ltd Adapting connector
US6435903B1 (en) * 2000-10-19 2002-08-20 Eric L. Nelson Electrical outlet fixture recessible in a housing
JP2002170645A (ja) * 2000-11-23 2002-06-14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コネクタの金属ケース及びその製造方法
US6592387B2 (en) * 2000-12-22 2003-07-1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pring-loaded connector setup for blind mating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DE60232947D1 (de) * 2001-01-29 2009-08-27 Tyco Electronics Corp Rbinder hoher dichte
JP2002252062A (ja) * 2001-02-22 2002-09-06 Funai Electric Co Ltd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および電子装置
US6625016B2 (en) * 2001-03-20 2003-09-23 Paravant Computer Systems, Inc. Removable cartridge for PCMCIA card ancillary storage drive
US6964578B2 (en) * 2002-07-11 2005-11-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able connector retaining assembly,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US7485003B2 (en) * 2002-09-05 2009-02-03 Silicon Graphics, Inc.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cable backshell assembly for high-density interconnect
US6776665B2 (en) * 2002-11-25 2004-08-17 George Ying-Liang Huang Electrical connector with a transparent insulating jacket
US6821140B2 (en) * 2002-11-27 2004-11-2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able connector assembly
US7033202B2 (en) * 2003-03-12 2006-04-2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end connector having locking mechanism
US6736667B1 (en) * 2003-04-14 2004-05-1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connector assembly having pull tab
US6866533B2 (en) * 2003-04-22 2005-03-1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connector assembly having pull tab
US6860751B1 (en) * 2003-08-06 2005-03-01 George Ying-Liang Huang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929501B2 (en) * 2003-09-30 2005-08-16 George Ying-Liang Huang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sleeve units that prevent relative movement between two electrical connectors in a transverse direction of contact pins
US7037131B1 (en) * 2004-12-17 2006-05-02 Liang Tai Co., Ltd. Adjustable locking device
TWI278151B (en) * 2005-04-29 2007-04-01 Hon Hai Prec Ind Co Ltd Cable connector assembly
CN2802767Y (zh) * 2005-06-29 2006-08-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连接器插头
US7083462B1 (en) * 2005-11-03 2006-08-01 Liang Tei Co., Ltd. Adjustable buckling structure for connectors
CN2850039Y (zh) * 2005-11-14 2006-12-2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7614903B1 (en) * 2008-07-11 2009-11-10 Kui-Hsien Huang Socket for a quick connector
US7744399B1 (en) * 2008-12-09 2010-06-29 Unisys Corporation Cable end retention clip
CN201498744U (zh) * 2009-08-10 2010-06-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CN201774070U (zh) * 2009-12-15 2011-03-2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JP5727839B2 (ja) * 2011-03-31 2015-06-03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2679A (ja) 2005-01-24 2006-08-03 Honda Tsushin Kogyo Co Ltd シールド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71022A (ja) 2016-09-23
JP6727756B2 (ja) 2020-07-22
US9711888B2 (en) 2017-07-18
US20160268720A1 (en) 2016-09-15
CN205846358U (zh) 201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7373B2 (en) Electric connector
WO2017122779A1 (ja) コネクタ
US20150099385A1 (en) Connector joining structure
JP5764023B2 (ja) コネクタ
WO2015005436A1 (ja) コネクタ
KR101068316B1 (ko)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US10756493B2 (en) Connector and electric wire with connector
JP2008235189A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
US8403696B2 (en) Connector with a conductive shell with a flange with an integral locking portion for engagement with a mating connector
KR100800790B1 (ko) 하우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실드커넥터
CN112688109B (zh) 嵌合连接器
KR100882047B1 (ko) 접속이 용이한 하우징 조립체, 이를 구비하는 실드커넥터,및 실드커넥터 세트
CN112636058A (zh) 连接端子及带端子的电线
US20190190183A1 (en)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or
CN108352650B (zh) 弹性密封部件和连接器
US7955142B1 (en) Rotatable secondary lock for electrical connector
KR20160003183U (ko)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조립체 및 커넥터 조립체
US9147978B2 (en) Shield connector
KR102463691B1 (ko) 커넥터
EP2866305B1 (en) Connector
US20190190188A1 (en) Waterproof structure for connector
US20140113469A1 (en) Lever-type connector
KR20220111026A (ko) Emi차폐 기능을 갖는 전기 커넥터
JP2014154255A (ja) コネクタ、ワイヤハーネス、及び保持部材
JP2019079621A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