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261U -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261U
KR20090002261U KR2020070014633U KR20070014633U KR20090002261U KR 20090002261 U KR20090002261 U KR 20090002261U KR 2020070014633 U KR2020070014633 U KR 2020070014633U KR 20070014633 U KR20070014633 U KR 20070014633U KR 20090002261 U KR20090002261 U KR 200900022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ever
guide
fix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46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진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46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2261U/ko
Publication of KR200900022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26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5Pivoting lever comprising supplementary/additional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커넥터(10)의 외관 및 골격은 하우징(1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의 양측면에는 고정부(19)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에는 레버(20)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레버(20)의 일측에는 고정가이드(24)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가이드(24)에는 결합공(24')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레버(20)의 외면에는 가이드슬릿(23)이 소정량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커넥터(10)에는 제 2 커넥터(30)가 결합된다. 상기 제 2 커넥터(30)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커넥터(10)가 설치되는 내부공간(31')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31')의 내면에 상기 가이드슬릿(23)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결합보스(33)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고정가이드(24)의 결합공(24')에 상기 고정부(19)가 삽입되어 상기 레버(20)가 가고정되므로, 상기 제 1 커넥터(10)를 상기 제 2 커넥터(30)에 삽입할 때, 상기 가이드슬릿(23)에 상기 결합보스(33)가 자연스럽게 삽입되므로, 제품의 조립작업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커넥터 어셈블리, 고정가이드, 고정부, 결합공

Description

커넥터 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
본 고안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대커넥터와의 결합에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레버를 사용하는 레버타입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상대커넥터와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하우징의 내부에 다수개의 터미널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최근에 많은 수의 터미널이 하우징에 설치되면서 커넥터 사이의 결합을 위해 큰 결합력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레버를 사용하여 커넥터 사이의 결합을 수행하는 레버타입 커넥터가 제공되었다.
일반적으로 레버타입 커넥터에서는 하우징의 외부에 레버가 일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레버의 일측이 상대커넥터에 걸어져 상대커넥터를 잡아당겨줌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 레버에는 곡선형상의 가이드슬릿이 요입되게 형성되고, 상대커넥터에는 결합보스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릿에 상기 결합보스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가 회전하면, 상기 결합보스가 상기 가이드슬릿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커넥터와 상대커넥터가 가까워지도록 잡아당겨져 서로 결합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결합보스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커넥터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슬릿에 정확히 삽입되어야 한다. 하지만, 상기 레버는 상기 커넥터에 고정되지 않고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커넥터를 상기 상대커넥터에 삽입할 때, 상기 결합보스가 상기 레버의 가이드슬릿에 정확히 삽입되도록 상기 레버를 조절하여야 한다. 따라서 제품의 조립과정이 용이하지 않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레버가 커넥터와 상대커넥터의 조립전에 임시로 고정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고, 양측면에 회전축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1 커넥터와 결합되고, 그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며, 그 외측면에 고정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 2 커넥터와; 상기 제 1 커넥터의 회전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그 일측에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관통되게 형성된 고정가이드가 구비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를 결합시키는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버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 2 커넥터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결합보스에 걸어져 안내되는 가이드슬릿이 요입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위치는 상기 고정가이드의 결합공에 상기 고정부가 걸어져 상기 레버가 가고정되었을 때, 상기 가이드슬릿의 입구가 상기 결합보스를 향하도록 설정된다.
상기 제 2 커넥터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커넥터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간의 바닥면에는 해제편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가 상기 설치공간에 삽입될 때, 상기 레버의 고정가이드가 상기 해제편과 접하여 상기 결합공에서 상기 고정부가 분리되도록 탄성변형되어 상기 레버의 가고정상태가 해제된다.
상기 해제편의 선단에는 상기 해제편이 상기 제 1 커넥터의 외면과 상기 레버가이드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챔퍼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고정가이드의 결합공에 커넥터의 고정부가 삽입되어 레버가 가고정되므로,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를 결합시킬 때, 레버의 가이드슬릿에 제 2 커넥터의 결합보스가 정확하게 삽입되고, 결합보스가 가이드슬릿에 삽입됨과 동시에 고정가이드가 해제편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고정가이드의 결합공에서 고정부가 빠져나와 가고정 상태가 해제되므로 커넥터의 조립작업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레버 가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넥터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레버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따르면, 제 1 커넥터(10)의 외관 및 골격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1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은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되는 다수개의 터미널공(11')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의 양측면에는 회전축(13)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13)은 원기둥형상으로 되어 소정량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13)은 후술할 레버(20)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회전축(13)의 외주면 선단에는 고정돌기(13')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13')는 상기 회전축(13)에서 레버(2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11)의 일측면에는 스페이서홀(15)이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홀(15)은 상기 터미널공(1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홀(15)은 후술할 스페이서(17)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스페이서홀(15)에 설치되는 스페이서(17)는 상기 터미널공(11')으로 삽입된 터미널의 일측을 걸어 상기 터미널이 상기 터미널공(11')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11)의 양측면에는 고정부(19)가 소정량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19)는 후술할 레버(20)의 고정가이드(24), 정확하게는 고정가이드(24)의 결합공(24')에 삽입되어 레버(20)를 가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부(19)의 위치는 레버(20)가 가고정되었을 때, 후술할 레버(20)의 가이드슬릿(23)의 입구(23')가 후술할 결합보스(33)를 향하도록 설정된다.
상기 하우징(11)의 회전축(13)에는 레버(20)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레버(20)는 상기 제 1 커넥터(10)와 후술할 제 2 커넥터(30)를 견고하게 고정시 키기 위한 지렛대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레버(20)는 크게 한쌍의 플레이트(21)와 상기 플레이트(21)를 연결하는 연결바아(25)로 구성된다. 상기 플레이트(21)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중앙에는 축공(21a)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21)는 상기 축공(21a)을 상기 회전축(13)이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11)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도록 각각 결합된다.
상기 축공(21a)의 일단에는 삽입홈(21b)이 소정량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21b)을 상기 회전축(13)의 고정돌기(13')가 통과하여 상기 회전축(13)이 상기 축공(21a)에 삽입된다.
상기 플레이트(21)의 외면에는 가이드슬릿(23)이 소정량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릿(23)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후술할 제 2 커넥터(30)의 결합보스(33)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슬릿(23)에 결합보스(33)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20)가 회전하면, 상기 제 1 커넥터(10) 및 제 2 커넥터(30)가 서로 가까워지면서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슬릿(23)의 일측에는 입구(23')가 형성된다. 상기 입구(23')는 상기 가이드슬릿(23)에서 상기 플레이트(21)의 가장자리를 향해 개구된 부분이다.
상기 플레이트(21)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고정가이드(24)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가이드(24)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선단에는 결합공(24')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가이드(24)는 상기 고정부(19)에 걸어져 상기 레버(20)를 가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가고정이란, 상기 고정가이 드(24)의 결합공(24')에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어 상기 레버(20)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를 말한다. 상기 레버(20)가 가고정되면 상기 가이드슬릿(23)의 입구(23')는 결합보스(33)를 향하게 되고, 상기 제 1 커넥터(10)가 제 2 커넥터(30)의 설치공간(31')에 삽입될 때, 상기 가이드슬릿(23)으로 결합보스(33)가 정확히 삽입된다.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21)는 연결바아(25)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바아(25)는 사각기둥형상으로 되어 상기 플레이트(21)의 일단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연결바아(25)는 상기 플레이트(21)를 연결시키고, 상기 레버(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이 전달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 1 커넥터(10)는 제 2 커넥터(30)와 결합된다. 상기 제 2 커넥터(30)의 외관과 골격은 몸체(3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몸체(31)는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31)의 내부에는 상기 레버(20)가 장착된 상태의 상기 제 1 커넥터(10)가 삽입되는 내부공간(31')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31)의 저면에는 터미널이 삽입되는 터미널공(31")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공(31")의 내부에는 랜스 등과 같이 터미널을 고정시키는 고정구조(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내부공간(31')의 내면에는 대략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보스(33)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보스(33)는 상기 제 1 커넥터(10)가 상기 제 2 커넥터(30)에 삽입될 때 상기 레버(20)의 가이드슬릿(23)에 삽입될 수 있도록 그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결합보스(33)는 상기 가이드슬릿(23)에 삽입되어 상기 레버(20)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슬릿(23)을 안내한다.
상기 내부공간(31')의 저면 일측에는 해제편(34)이 구비된다. 상기 해제편(34)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바아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해제편(34)은 상기 제 1 커넥터(10)가 상기 제 2 커넥터(30)로 삽입될 때, 상기 제 1 커넥터(10)의 외면과 상기 레버(20)의 고정가이드(24)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가이드(24)를 탄성변형시켜, 상기 고정부(19)가 상기 고정가이드(24)의 결합공(24')에서 분리되도록 하여 상기 레버(20)의 가고정을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해제편(34)의 선단에는 챔퍼(34')가 형성된다. 상기 챔퍼(34')는 상기 해제편(34)이 상기 고정가이드(24)와 상기 제 1 커넥터(10)의 외면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되게 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몸체(31)의 일측면에는 상기 터미널공(3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스페이서홀(35)이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홀(35)에는 스페이서(37)가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공(31")에 설치된 터미널의 일측을 걸어 상기 터미널을 상기 터미널공(31")에 고정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조립과정을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가이드가 해제편에 의해 탄성변형된 모습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우선 작업자는 제 1 커넥터(10)의 터미널공(11')에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을 설치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 커넥터(10)에 설치된 레버(20)를 회전시켜, 상기 레버(20)의 고정가이드(24)에 형성된 결합공(24')에 상기 제 1 커넥터(10)의 고정부(19)가 삽입되도록 잘 맞추어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가 상기 레버(20)가 가고정된 상태이다.(도 1 참조)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제 1 커넥터(10)를 제 2 커넥터(30)에 결합시킨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커넥터(10)를 상기 제 2 커넥터(30)의 내부공간(31')에 삽입한다. 상기 제 1 커넥터(10)가 상기 내부공간(31')에 삽입되면, 상기 제 2 커넥터(30)의 결합보스(33)가 상기 레버(20)의 가이드슬릿(23)에 삽입된다. 상기 레버(20)가 가고정된 상태에는 상기 가이드슬릿(23)의 입구(23')가 상기 결합보스(33)를 향하게 되므로, 상기 제 1 커넥터(10)가 상기 내부공간(31')에 삽입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결합보스(33)가 상기 입구(23')를 통해 상기 가이드슬릿(23)으로 삽입된다.
한편, 상기 제 1 커넥터(10)가 상기 제 2 커넥터(30)에 삽입되면, 상기 제 2 커넥터(30)의 해제편(34)은 상기 고정가이드(24)와 상기 제 1 커넥터(10)의 외면사이로 삽입된다. 상기 해제편(34)에는 챔퍼(34')가 형성되므로, 상기 해제편(34)이 원활하게 삽입된다. 상기 고정가이드(24)는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므로, 상기 해제편(34)에 의해 상기 고정가이드(24)가 탄성변형되고, 동시에 상기 고정가이드(24)의 결합공(24')에서 상기 고정부(19)가 빠져나오게 되어 상기 레버(20)의 가고정상태가 해제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레버(20)를 회전시킨다. 상기 레버(20)가 회전하면, 상기 가이드슬릿(23)에 위치한 결합보스(33)가 상기 가이드슬릿(23)을 따라 안 내되어, 상기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30)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되어 서로 결합된다.
상기 레버(20)의 고정가이드(24)와 상기 제 1 커넥터(10)의 고정부(19)에 의해 상기 레버(20)가 가고정되고 상기 제 1 커넥터(10)가 상기 제 2 커넥터(30)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해제편(34)에 의해 상기 레버(20)의 가고정 상태가 해제되므로, 상기 제 1 커넥터(10)와 상기 제 2 커넥터(30)의 조립작업이 용이해진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가이드(24)와 상기 고정부(19)의 위치는 경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레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가이드가 해제편에 의해 탄성변형된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 1 커넥터 11 : 하우징
11': 터미널공 13 : 회전축
13': 고정돌기 15 : 스페이서홀
17 : 스페이서 19 : 고정부
20 : 레버 21 : 플레이트
21a: 축공 21b: 삽입홈
23 : 가이드슬릿 23': 입구
24 : 고정가이드 24': 결합공
25 : 연결바아 30 : 제 2 커넥터
31 : 몸체 31': 내부공간
31": 터미널공 33 : 결합보스
34 : 해제편 34': 챔퍼
35 : 스페이서홀 37 : 스페이서

Claims (4)

  1.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고, 양측면에 회전축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1 커넥터와 결합되고, 그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며, 그 외측면에 고정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 2 커넥터와;
    상기 제 1 커넥터의 회전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그 일측에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관통되게 형성된 고정가이드가 구비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를 결합시키는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 2 커넥터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결합보스에 걸어져 안내되는 가이드슬릿이 요입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위치는 상기 고정가이드의 결합공에 상기 고정부가 걸어져 상기 레버가 가고정되었을 때, 상기 가이드슬릿의 입구가 상기 결합보스를 향하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커넥터가 설치되 는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간의 바닥면에는 해제편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가 상기 설치공간에 삽입될 때, 상기 레버의 고정가이드가 상기 해제편과 접하여 상기 결합공에서 상기 고정부가 분리되도록 탄성변형되어 상기 레버의 가고정상태가 해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편의 선단에는 상기 해제편이 상기 제 1 커넥터의 외면과 상기 레버가이드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챔퍼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2020070014633U 2007-08-31 2007-08-31 커넥터 어셈블리 KR2009000226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633U KR20090002261U (ko) 2007-08-31 2007-08-31 커넥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633U KR20090002261U (ko) 2007-08-31 2007-08-31 커넥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261U true KR20090002261U (ko) 2009-03-04

Family

ID=41503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4633U KR20090002261U (ko) 2007-08-31 2007-08-31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226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130B1 (ko) * 2011-07-21 2013-01-0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케이블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130B1 (ko) * 2011-07-21 2013-01-0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케이블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4874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ワイヤカバー
JP2010526404A (ja)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用コネクタ
JP2015179591A (ja) コネクタ
KR101304942B1 (ko)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KR101530431B1 (ko) 커넥터 장치
KR100944009B1 (ko) 레버타입커넥터 및 레버타입커넥터의 결합방법
KR20090002261U (ko) 커넥터 어셈블리
US11133610B2 (en) Base of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thereof
KR200466962Y1 (ko)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KR101788126B1 (ko) 레버 타입 커넥터
KR100814936B1 (ko) 레버타입 커넥터
KR100965507B1 (ko) 레버타입 커넥터어셈블리
JP2008059755A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KR20090022965A (ko) 커넥터 어셈블리
JP2011228143A (ja) コネクタ
KR100922149B1 (ko) 조인트커넥터 어셈블리
KR20090066033A (ko) 커넥터용 회전소켓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어셈블리
KR200450640Y1 (ko)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KR20230138757A (ko) 레버 타입 커넥터
KR200472716Y1 (ko) 레버 타입 커넥터조립체
KR20240034337A (ko) 레버 타입 커넥터
KR20090000071U (ko) 레버타입 커넥터
JP2021125403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KR100858730B1 (ko) 레버타입 커넥터
KR20230013402A (ko) 레버 및 이를 가진 레버타입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