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126B1 - 레버 타입 커넥터 - Google Patents

레버 타입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8126B1
KR101788126B1 KR1020160074016A KR20160074016A KR101788126B1 KR 101788126 B1 KR101788126 B1 KR 101788126B1 KR 1020160074016 A KR1020160074016 A KR 1020160074016A KR 20160074016 A KR20160074016 A KR 20160074016A KR 101788126 B1 KR101788126 B1 KR 101788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ever
flange
coupling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원
배상호
백두희
전주성
Original Assignee
케이유엠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유엠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케이유엠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4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81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버가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하고, 하우징이 분리된 상태에서 레버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레버 타입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제1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하우징과의 체결 및 분리를 담당하는 레버를 포함한다. 상기 제1하우징의 일면에 원기둥 형상의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타면에 원기둥 형상의 제2결합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돌기의 단부에는 제1플랜지가 돌출되고 상기 제2결합돌기의 단부에는 제2플랜지가 돌출되되, 상기 제1플랜지는 상기 제1결합돌기의 단부 둘레를 따라 이격된 한 쌍의 사각형 판재이고, 상기 제2플랜지는 상기 제2결합돌기의 단부 둘레를 따라 돌출된 부채꼴 판재이다. 상기 레버의 일단에는 상기 제1플랜지가 마련된 상기 제1결합돌기가 관통되는 제1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의 타단에는 상기 제2플랜지가 마련된 상기 제2결합돌기가 관통되는 제2결합공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레버 타입 커넥터{LEVER TYPE CONNECTOR}
본 발명은 레버 타입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레버를 이용하여 커넥터를 조립 또는 분리하는 레버 타입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기기의 내부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기구이다. 이러한 커넥터는 서로 결합 가능한 한 쌍, 즉 메일(male) 커넥터와 피메일(female) 커넥터로 구성된다.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의 내부에는 전류 및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터미널이 마련된다.
한편, 기기의 성능이 향상되고 기능이 늘어남에 따라 커넥터를 통해 전달되는 전류 및 신호가 증가하였고, 다량의 전류 및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커넥터에 마련된 터미널의 수도 함께 증가하였다. 또한, 터미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커넥터를 결합시키는데 필요한 체결력이 상승하였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레버 타입 커넥터가 개발되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6-0026778호에는 레버식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레버식 커넥터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대하여 초기 위치와 체결 위치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레버(6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터미널의 설치를 위한 구멍(11)이 마련되고, 하우징(10)의 양 측벽(13)에는 터미널에 접속된 전선이 도출되는 전선 도출부(12)가 마련된다. 또한, 하우징(10)의 상면과 하면에는 한 쌍의 지지축(14)이 돌출되며, 지지축(14)은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레버(6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그런데 종래의 레버식 커넥터는 하우징(10)의 상면과 하면에 돌출된 지지축(14)이 동일한 형상(원기둥 형상)을 가지므로, 하우징(10)에 레버(6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레버(14)의 방향이 잘못될 우려가 있다. 즉, 레버(14)를 연결하는 연결부(61)가 좌측에 위치되어야 하는데, 레버(14)를 잘못된 방향으로 조립할 경우 연결부(61)가 우측에 위치되어 재조립을 거쳐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레버(14)의 연결부(61)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상대 커넥터의 일측에만 마련된 경우 커넥터의 체결 자체가 불가능해진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6-0026778(2016.03.09.)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버가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하고, 하우징이 분리된 상태에서 레버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레버 타입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레버 타입 커넥터는, 제1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하우징과의 체결 및 분리를 담당하는 레버를 포함한다. 상기 제1하우징의 일면에 원기둥 형상의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타면에 원기둥 형상의 제2결합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돌기의 단부에는 제1플랜지가 돌출되고 상기 제2결합돌기의 단부에는 제2플랜지가 돌출되되, 상기 제1플랜지는 상기 제1결합돌기의 단부 둘레를 따라 이격된 한 쌍의 사각형 판재이고, 상기 제2플랜지는 상기 제2결합돌기의 단부 둘레를 따라 돌출된 부채꼴 판재이다. 상기 레버의 일단에는 상기 제1플랜지가 마련된 상기 제1결합돌기가 관통되는 제1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의 타단에는 상기 제2플랜지가 마련된 상기 제2결합돌기가 관통되는 제2결합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공은, 상기 제1결합돌기가 관통되는 제1관통공과, 상기 제1관통공의 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제1플랜지가 관통되는 제1관통홈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결합공은, 상기 제2결합돌기가 관통되는 제2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의 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제2플랜지가 관통되는 제2관통홈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관통홈과 상기 제2관통홈에는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하우징의 적어도 일면에는 플레이트가 마련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레버의 회전을 제한하는 멈춤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멈춤돌기의 일측에는 제1누름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제2하우징의 내벽에는 제2누름돌기가 마련된다. 즉,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체결 시 상기 제1누름돌기와 상기 제2누름돌기가 접촉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멈춤돌기에 의해 제한된 상기 레버의 회전이 허용된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하우징에서 돌출된 외팔보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의 단부에는 지지부재가 U자 형상으로 벤딩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탄성을 부여한다.
또는, 상기 제1하우징에 상기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의 입구에는 상기 플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의 내부에는 상기 플레이트를 탄성 지지하는 돔 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레버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1결합돌기와 레버의 타단이 결합되는 제2결합돌기에는 서로 다른 형상(사각형 판재, 부채꼴 판재)의 플랜지가 형성되어 레버가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제1하우징에는 레버의 회전을 허용 또는 제한하는 구성, 즉 플레이트, 멈춤돌기, 제1누름돌기가 마련되고, 제2하우징에는 멈춤돌기가 마련된 플레이트를 변형 또는 이동시키는 제2누름돌기가 마련되어, 하우징이 분리된 상태에서 레버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 중 제1하우징과 레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 중 제1하우징의 평면도와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 중 제1하우징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 중 제1하우징의 멈춤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 중 제1하우징의 멈춤수단의 단면도.
도 8과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 중 제1하우징의 멈춤수단의 변형례들을 도시한 도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는, 제1하우징(100)과, 제1하우징(100)에 대응되는 제2하우징(200)과, 제1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레버(300)를 포함한다. 레버(300)는 하우징(100,200)을 체결 또는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 하우징(100,200)을 체결시키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시 하우징(100,200)을 분리시킨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제1하우징(100)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제1하우징(100)은 길이나 높이에 비해 폭이 넓은 직육면체이다. 제1하우징(100)의 내부에는 터미널(미도시)을 설치하기 위한 다수의 단자공(110)이 형성된다. 제1하우징(100)의 외부에는 체결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122) 및 방향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24)가 형성된다. 또한, 제1하우징(100)에는 레버(30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130,140)가 형성된다.
결합돌기(130,140)는, 제1하우징(100)의 상면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130)와, 제1하우징(100)의 하면에 형성된 제2결합돌기(140)로 이루어진다. 제1결합돌기(130)와 제2결합돌기(140)는 레버(30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되며, 레버(300)가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결합돌기(130)는, 상향으로 돌출된 원기둥 형상의 제1몸체(132)와, 제1몸체(132)의 상단에 형성된 제1플랜지(134)로 이루어진다. 제1플랜지(134)는 제1몸체(132)의 둘레를 따라 돌출된 한 쌍으로 구성된다. 한 쌍의 제1플랜지(150)는 제1하우징(100)을 상부에서 보았을 때 제1몸체(132)를 중심으로 2사분면(좌상)에 위치되고, 약 90도의 간격으로 이격된다. 제1플랜지(134)는 사각형 판재(또는 블록) 형상이며, 제1하우징(100)의 상면에서 이격된다.
제2결합돌기(140)는, 하향으로 돌출된 원기둥 형상의 제2몸체(142)와, 제2몸체(142)의 상단에 형성된 제2플랜지(144)로 이루어진다. 제2플랜지(144)는 제2몸체(142)의 둘레를 따라 돌출된 부채꼴 판재 형상이다. 제2플랜지(144)의 중심각은 약 90도를 이루며, 제1하우징(100)을 상부에서 보았을 때 제1플랜지(134)와 동일한 위치, 즉 제2몸체(142)를 중심으로 2사분면(좌상)에 위치된다. 제2플랜지(144)는 제1하우징(100)의 하면에서 이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플랜지(134)와 제2플랜지(144)가 서로 다른 형상(사각형과 부채꼴)을 가지므로, 레버(300)를 조립할 때 육안으로 직접 확인을 하지 않더라도 레버(300)의 상하가 바뀌어 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레버(300)가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134,144)는 제1하우징(100)을 상부에서 보았을 때 동일한 위치, 즉 결합돌기(130,140)를 중심으로 2사분면(좌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레버(300)를 시계방향으로 완전히 회전시킬 경우 레버(300)의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다.
한편, 제1플랜지(134)와 제2플랜지(144)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될 경우 레버(30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1플랜지(134)를 2사분(좌상) 상에 위치시키고 제2플랜지(144)를 1사분면(우상) 상에 위치시키면, 레버(300)를 시계방향으로 완전히 회전시켰을 때에는 제1플랜지(134)만 분리 가능하고, 레버(300)를 반시계방향으로 완전히 회전시켰을 때에는 제2플랜지(144)만 분리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레버(30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레버(300)는 제1하우징(100)과 제2하우징(200)을 체결 또는 분리하기 위한 장치이다. 그 구조를 살펴보면, 제1하우징(100)의 상면에 평행한 제1캠판(310)과, 제1하우징(100)의 하면에 평행한 제2캠판(320)과, 제1캠판(310) 및 제2캠판(320)을 연결하는 연결판(330)으로 이루어진다. 즉, 레버(300)는 제1하우징(100)의 상면, 측면, 하면을 감싸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캠판(310)의 일단에는 제1결합돌기(130)가 관통되는 제1결합공(340)이 형성되고, 제2캠판(320)의 일단에는 제2결합돌기(140)가 관통되는 제2결합공(350)이 형성된다. 제1결합공(340)과 제2결합공(350)의 둘레에는 제2하우징(도 1의 200)의 캠(230)이 삽입되는 캠홈(360)이 형성된다.
제1결합공(340)은, 제1몸체(132)가 관통되는 제1관통공(342)과, 제1플랜지(134)가 관통되는 제1관통홈(344)으로 이루어진다. 제1관통공(342)은 제1몸체(132)와 대응되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제1관통홈(344)은 한 쌍의 제1플랜지(134)와 대응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즉, 제1관통홈(344)은 레버(300)를 상부에서 보았을 제1관통공(344)을 중심으로 2사분면(좌상)에 위치되며 약 90도의 간격으로 이격된다. 한 쌍의 제1관통홈(344) 사이, 제1관통홈(244)의 일측에는 제1플랜지(13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346)이 형성된다.
제2결합공(350)은, 제2몸체(142)가 관통되는 제2관통공(352)과, 제2플랜지(144)가 관통되는 제2관통홈(354)으로 이루어진다. 제2관통공(352)은 제2몸체(142)와 대응되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제2관통홈(354)은 제2플랜지(144)와 대응되는 부채꼴로 형성된다. 제2관통홈(354)의 적어도 일측에는 제2플랜지(14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356)이 형성된다.
캠홈(360)은 결합공(340,350)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캠판(310,320)의 일단 측으로 개방된다. 레버(3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캠(230)이 캠홈(360)을 따라 삽입되며 하우징(100,200)을 체결시키고, 레버(3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캠(230)이 캠홈(360)을 따라 인출되며 하우징(100,200)을 분리시킨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하우징(100)에는 레버(300)의 회전을 허용 또는 제한하는 멈춤수단(150)이 마련된다.
멈춤수단(150)은 제1하우징(100)의 상면(및 하면)에 마련된 플레이트(152)를 포함한다. 플레이트(152)는 외력이 인가될 경우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제1하우징(100)의 상면(및 하면)에 외팔보 형태로 돌출된다.
플레이트(152)의 상면에는 멈춤돌기(154)와 제1누름돌기(156)가 형성된다. 멈춤돌기(154)는 레버(300)의 회전을 제한하는 돌기로서, 소정의 높이를 가진 사각형 블록 형상을 가진다. 멈춤돌기(154)의 전면(154a)은 하우징(100,200)의 체결 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멈춤돌기(154)의 측면(154b)은 레버(3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할 때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멈춤돌기(154)의 후면(154c)은 플레이트(152)와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제1하우징(100)이 분리된 상태에서 레버(300)가 임의로 회전(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1누름돌기(156)는 하우징(100,200)의 체결 시 플레이트(152)를 탄성 변형시키기 위한 것으로, 플레이트(152)를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레버(3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누름돌기(156)는 삼각형 블록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제1누름돌기(156)의 전면(156a)과 후면(156b)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00,200)을 체결할 때 플레이트(152)가 탄성 변형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누름돌기(156)의 전면(156a)은 약 33도의 기울기로 형성되고 후면(156b)은 약 37도의 기울기로 형성된다.
상술한 멈춤수단(150)의 구조에 따르면, 제1하우징(100)과 제2하우징(200)의 체결 시 제1누름돌기(156)에 의해 플레이트(152)가 탄성 변형되면 멈춤돌기(154)가 제1하우징(100)의 상면과 수평을 이루므로 레버(300)의 회전을 허용한다. 반면, 제1하우징(100)과 제2하우징(200)이 분리된 상태에서는 플레이트(152)가 변형되지 않으므로 멈춤돌기(154)가 제1하우징(100)의 상면보다 더 돌출되어 레버(300)의 회전을 제한한다.
도 8과 도 9는 멈춤수단의 변형례들을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멈춤수단(160)은 플레이트(162)의 단부에 U자 형상으로 벤딩된 지지부재(164)가 추가된 구조이다. 이때, 지지부재(164)는 탄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162)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멈춤수단(160)은 U자 형상으로 벤딩된 지지부재(164)에 의한 탄성력이 부가되므로 장시간 사용에도 플레이트(162)가 변형될 우려가 없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멈춤수단(170)은 플레이트(172)가 분리된 형태이다. 즉, 제1하우징(100)에는 플레이트(172)가 삽입되는 장착홈(174)이 형성되며, 장착홈(174)의 입구에는 플레이트(174)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176)이 형성된다. 그리고 장착홈(174)의 내부에는 플레이트(172)를 탄성 지지하는 돔 스프링(178)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의 멈춤수단(170)은 플레이트(174)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2하우징(200)에는 제1하우징(100)이 삽입되는 수용부(210)가 형성되고, 수용부(210)의 후방에는 터미널의 설치를 위한 다수의 단자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수용부(210)의 내벽에는 제1하우징(100)의 가이드(122) 및 표시부(124)에 대응되는 홈(220)이 형성된다. 또한, 수용부(210)의 천장과 바닥에는 캠홈(360)에 삽입되는 캠(230)과, 제1누름돌기(156)와 접촉되는 제2누름돌기(240)가 형성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1하우징 130: 제1결합돌기
140: 제2결합돌기 150: 멈춤수단
200: 제2하우징 300: 레버
340: 제1결합공 350: 제2결합공
360: 캠홈

Claims (7)

  1. 제1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하우징과의 체결 및 분리를 담당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레버 타입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일면에 원기둥 형상의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타면에 원기둥 형상의 제2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돌기의 단부에는 제1플랜지가 돌출되고, 상기 제2결합돌기의 단부에는 제2플랜지가 돌출되며,
    상기 제1플랜지는 상기 제1결합돌기의 단부 둘레를 따라 이격된 한 쌍의 사각형 판재이고, 상기 제2플랜지는 상기 제2결합돌기의 단부 둘레를 따라 돌출된 부채꼴 판재이며,
    상기 레버의 일단에는 상기 제1플랜지가 마련된 상기 제1결합돌기가 관통되는 제1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의 타단에는 상기 제2플랜지가 마련된 상기 제2결합돌기가 관통되는 제2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하우징의 적어도 일면에 마련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을 제한하는 멈춤돌기와, 상기 멈춤돌기의 일측에 마련된 제1누름돌기와, 상기 제2하우징의 내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1누름돌기와 접촉되는 제2누름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체결 시 상기 제1누름돌기와 상기 제2누름돌기가 접촉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멈춤돌기에 의해 제한된 상기 레버의 회전이 허용되며,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하우징에서 외팔보 형태로 돌출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단부에는 지지부재가 U자 형상으로 벤딩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탄성을 부여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플레이트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타입 커넥터.
  2. 제1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하우징과의 체결 및 분리를 담당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레버 타입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일면에 원기둥 형상의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타면에 원기둥 형상의 제2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돌기의 단부에는 제1플랜지가 돌출되고, 상기 제2결합돌기의 단부에는 제2플랜지가 돌출되며,
    상기 제1플랜지는 상기 제1결합돌기의 단부 둘레를 따라 이격된 한 쌍의 사각형 판재이고, 상기 제2플랜지는 상기 제2결합돌기의 단부 둘레를 따라 돌출된 부채꼴 판재이며,
    상기 레버의 일단에는 상기 제1플랜지가 마련된 상기 제1결합돌기가 관통되는 제1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의 타단에는 상기 제2플랜지가 마련된 상기 제2결합돌기가 관통되는 제2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하우징의 적어도 일면에 마련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을 제한하는 멈춤돌기와, 상기 멈춤돌기의 일측에 마련된 제1누름돌기와, 상기 제2하우징의 내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1누름돌기와 접촉되는 제2누름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체결 시 상기 제1누름돌기와 상기 제2누름돌기가 접촉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멈춤돌기에 의해 제한된 상기 레버의 회전이 허용되며,
    상기 제1하우징에는 상기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의 입구에는 상기 플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의 내부에는 상기 플레이트를 탄성 지지하는 돔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타입 커넥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공은, 상기 제1결합돌기가 관통되는 제1관통공과, 상기 제1관통공의 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제1플랜지가 관통되는 제1관통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결합공은, 상기 제2결합돌기가 관통되는 제2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의 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제2플랜지가 관통되는 제2관통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타입 커넥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홈과 상기 제2관통홈에는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타입 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레버의 일단과 타단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타입 커넥터.
  6. 삭제
  7. 삭제
KR1020160074016A 2016-06-14 2016-06-14 레버 타입 커넥터 KR101788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016A KR101788126B1 (ko) 2016-06-14 2016-06-14 레버 타입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016A KR101788126B1 (ko) 2016-06-14 2016-06-14 레버 타입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8126B1 true KR101788126B1 (ko) 2017-10-20

Family

ID=60299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016A KR101788126B1 (ko) 2016-06-14 2016-06-14 레버 타입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81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365A (ko) 2018-05-23 2019-12-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조립체
EP4369528A1 (en) * 2022-11-14 2024-05-15 Aptiv Technologies AG Connector with a coupling element having two protuberanc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78121A1 (en) 2011-07-25 2014-06-26 Yazaki Corporation Lever-type connector
KR101581893B1 (ko) * 2014-09-23 2016-01-04 케이유엠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78121A1 (en) 2011-07-25 2014-06-26 Yazaki Corporation Lever-type connector
KR101581893B1 (ko) * 2014-09-23 2016-01-04 케이유엠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365A (ko) 2018-05-23 2019-12-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조립체
EP4369528A1 (en) * 2022-11-14 2024-05-15 Aptiv Technologies AG Connector with a coupling element having two protuberances
FR3142049A1 (fr) * 2022-11-14 2024-05-17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eur avec un élément de couplage ayant deux protubéran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7498B2 (ja) 操作スイッチ
US8608503B2 (en) Connector guide member and electrical connector device having the same
US9960538B2 (en) Connector Assembly
US8662906B2 (en) Plug-and-socket connector with a blocking element
JP4989502B2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2013157272A5 (ko)
JP2014509051A (ja)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システム
JP6500112B2 (ja) Cpa受容部材を含む中間ハウジングおよびそのようなハウジングを備えるプラグ型コネクタシステム
JP6539634B2 (ja) コネクタ
US6992248B1 (en) Junction box assembly with connectivity assurance
KR20150040964A (ko) 차폐된 가요성 회로 커넥터
KR101862851B1 (ko) 플레이트 타입 커넥터
KR101788126B1 (ko) 레버 타입 커넥터
US9128410B2 (en) Waterproof connector
KR101304942B1 (ko)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KR101530431B1 (ko) 커넥터 장치
US4678256A (en) Connector
JPH0511671Y2 (ko)
US10971858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2751880B1 (en) Waterproof connector
JP2019526917A (ja) 電気プラグ型コネクタの装置、ならびにコンタクトハウジング、外側ハウジング、および固定要素を有するプラグ型コネクタ
JPWO2004063785A1 (ja) 光リセプタクル
JP2023524857A (ja) 安定化機構を備える電気コネクタヘッダ
US20220006236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osition holder
JP6172760B2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