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6033A - 커넥터용 회전소켓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커넥터용 회전소켓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6033A
KR20090066033A KR1020070133625A KR20070133625A KR20090066033A KR 20090066033 A KR20090066033 A KR 20090066033A KR 1020070133625 A KR1020070133625 A KR 1020070133625A KR 20070133625 A KR20070133625 A KR 20070133625A KR 20090066033 A KR20090066033 A KR 20090066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upling
connectors
cam slot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3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3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6033A/ko
Publication of KR20090066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60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용 회전소켓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면에 제1 및 제2가이드돌기(13,23)가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제1 및 제2커넥터(10,20)와,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10,20)의 서로 마주보는 외면 일부와 대응되는 내면을 갖는 결합공간(31)이 양측으로 개구되고,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돌기(13,23)가 안내되는 제1 및 제2캠슬롯(33,34)이 그 선단(33'',34'')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10,20)를 결합시키는 회전소켓(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원통 형상의 회전소켓(30)의 회전을 통해 제1 및 제2커넥터(10,20)가 결합되므로, 차량의 내부와 같은 협소한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커넥터를 조립 및 분리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커넥터 어셈블리, 회전소켓, 판넬

Description

커넥터용 회전소켓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어셈블리{Rotating socket for connecot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is}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커넥터를 결합시키기 위한 소켓과 이를 이용하여 결합 및 분리되는 커넥터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 어셈블리는 한 쌍의 커넥터가 서로 결합하여 각각의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이다. 커넥터에 설치되는 터미널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커넥터간의 결합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힘의 크기도 역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다수개의 터미널이 설치되는 커넥터에는 레버를 이용하여 커넥터들이 지렛대의 원리로 결합되는 레버타입 커넥터가 사용되었다.
도 1에는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편의상 레버(3)가 설치되는 커넥터를 제 1 커넥터(2), 상기 제 1 커넥터(2)에 결합되는 커넥터를 제 2 커넥터(5)라 칭하도록 한다.
상기 제 1 커넥터(2)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된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레버(3)는 상기 제 1 커넥터(2)의 회전축(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레버(3)에는 회전공(3a)이 형성 되어 상기 회전공(3a)이 상기 회전축(2')에 의해 관통된다.
상기 레버(3)의 외측면에는 결합슬릿(3')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슬릿(3')은 후술할 제 2 커넥터(5)의 결합보스(5")를 안내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2,5)의 결합을 안내한다.
상기 제 2 커넥터(5)에는 상기 제 1 커넥터(2)의 터미널과 결합되는 상대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제 2 커넥터(5)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커넥터(2)가 설치되는 삽입공간(5')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5')의 내면에는 상기 결합슬릿(3')에 의해 안내되는 결합보스(5")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2,5)의 결합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작업자가 상기 제 1 커넥터(2)를 상기 제 2 커넥터(5)의 삽입공간(5')에 밀어넣으면, 상기 레버(3)의 결합슬릿(3')에 상기 제 2 커넥터(5)의 결합보스(5")가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레버(3)를 회전시키면, 상기 결합슬릿(3')에 의해 상기 결합보스(5")가 안내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2,5)가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레버타입 커넥터어셈블리는 상기 레버(3)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커넥터(2,5) 간의 결합을 수행하기 때문에 레버(3)의 회전반경을 고려해서 커넥터 어셈블리의 장착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한다. 그러나 차량의 도어측과 같이 협소한 공간에서는 상기 레버(3)의 회전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커넥터(2,5)의 결합 및 분리 작업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레버(3)에는 상기 제 1 커넥터(2)의 회전축(2')과 결합되는 회전공(3a) 및 상기 결합보스(5'')와 결합되는 결합슬릿(3')이 형성되는 등 그 형상이 비교적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고장의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협소한 공간에서도 커넥터어셈블리가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넥터어셈블리를 결합 및 분리하기 위한 구조가 단순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고 내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결합공간이 양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면에 상기 결합공간이 연장된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1캠슬롯과, 상기 제1캠슬롯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기 몸체의 외면에 그 선단이 상기 제1캠슬롯의 일단과 점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2캠슬롯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캠슬롯은 상기 몸체의 반대측에 각각 쌍을 이루어 형성된다.
상기 몸체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잡이부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몸체의 상기 제1 또는 제2캠슬롯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에는 상기 몸체의 외면과 단차를 이루면서 삽입가이드부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고, 외면에는 제1가이드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 와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터미널과 연결되는 상대터미널이 설치되며, 외면에는 제2가이드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제2커넥터와,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의 서로 마주보는 외면 일부와 대응되는 내면을 갖는 결합공간이 양측으로 개구되고,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제1 및 제2캠슬롯이 그 선단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를 결합시키는 회전소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캠슬롯은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의 결합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캠슬롯은 상기 제1캠슬롯과 이격되고 그 선단이 상기 제1캠슬롯의 일단과 점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커넥터 또는 제2커넥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면에는 상기 회전소켓의 삽입 정도를 규제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와 상기 회전소켓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체결돌기와 체결홈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소켓이 회전하여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가 서로 결합되면 상기 체결홈이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된다.
상기 제1 및 제2캠슬롯은 각각 상기 회전소켓의 외면의 반대편에 쌍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돌기 및 제2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 및 제2캠슬롯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의 외면에 두 개씩 형성된다.
상기 제1커넥터의 선단에는 결합리브가 상기 제2커넥터와의 결합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커넥터에는 상기 결합리브와 대응되는 결합홈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커넥터의 외면에는 판넬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스토퍼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체결턱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원통형상의 회전소켓에 제1 및 제2커넥터의 선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소켓의 회전을 통해 제1 및 제2커넥터가 결합되므로, 레버와 같이 회전반경이 확보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차량의 내부와 같은 협소한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커넥터를 조립 및 분리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회전소켓은 속인 빈 원통형상으로 그 외면에 제1 및 제2캠슬롯이 형성되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그 제조가 용이하고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회전소켓의 내면이 제1 및 제2커넥터의 선단 외면을 둘러 결합되므로, 서로 접하는 면적이 넓어져 두 커넥터 사이가 안정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용 회전소켓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용 회전소켓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회전소켓(30)을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회전소켓(30)의 외관 및 골격은 몸체(31)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31)는 대략 속이 빈 원통형상으로 서, 그 내부에는 양측으로 개구되는 결합공간(31)이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공간(31)은 대략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공간으로, 그 내부로 후술할 제1 및 제2커넥터(10,20)의 선단 일부가 삽입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결합공간(31)의 내면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제1 및 제2커넥터(10,20)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소켓(30)이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31)의 외면에는 제1캠슬롯(33)이 형성된다. 상기 제1캠슬롯(33)은 상기 몸체(31)의 외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공간(31)이 연장된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캠슬롯(33)은 제1 및 제2커넥터(10,20)의 결합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그 선단(33')으로부터 말단(33'')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캠슬롯(33)의 폭은 후술할 제1커넥터(10)의 제1가이드돌기(13)의 폭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캠슬롯(33)은 상기 몸체(31)의 외면을 관통하거나 혹은 요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31)의 외면에는 상기 제1캠슬롯(33)과 소정의 거리 만큼 이격되어 제2캠슬롯(34)이 형성된다. 상기 제2캠슬롯(34)은 상기 제1캠슬롯(33)과 마찬가지로 상기 몸체(31)의 외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그 선단(34')으로부터 말단(34'')으로 갈수록 상기 제1캠슬롯(33)의 일단과 점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캠슬롯(34)은 상기 몸체(31)의 외면을 관통하거나 혹은 요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캠슬롯(33)의 선단(33')과 제2캠슬롯(34)의 선단(33') 사이의 거리(H1)와, 제1캠슬롯(33)의 말단(33'')과 제2캠슬롯(34)의 말단(34'') 사이의 거리(H2)의 차이(H1-H2)는 상기 회전소켓(30)에 의해 제1 및 제2커넥터(10,20)가 결합되는 거리를 의미한다. 이는 상기 회전소켓(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캠슬롯(34)을 따라 제2커넥터(20)가 이동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1캠슬롯(33) 또는 제2캠슬롯(34)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에는 삽입가이드부(33a,34a)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가이드부(33a,34a)는 상기 제1캠슬롯(33) 또는 제2캠슬롯(34)의 일단이 상기 몸체(31)의 외면과 단차를 이루도록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는 상기 삽입가이드부(33a,34a)를 통해 제1 및 제2커넥터(10,20)의 가이드돌기(13,23)가 용이하게 제1 및 제2캠슬롯(33,34)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및 제2캠슬롯(33,34)은 상기 회전소켓(30)의 서로 반대측에 각각 쌍을 이루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캠슬롯(33,34)은 각각 2개가 형성되어 제1 및 제2커넥터(10,20)의 결합을 보다 확실하게 안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회전소켓(30)에는 손잡이부(38)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부(38)는 상기 몸체(3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작업자를 이를 파지하고 회전소켓(3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손잡이부(38)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두 개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31)의 외면에는 체결홈(39)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39)은 후술할 제1커넥터(10)의 체결돌기(16')와 대응되는 것으로, 회전소켓(30) 이 결합방향(도 3b의 화살표 방향 참조)으로 완전히 회전되면 체결돌기(16')와 결합되어 회전소켓(30)의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홈(39)은 상기 손잡이부(38)의 제1커넥터(10)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1커넥터(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커넥터(10)의 외관 및 골격은 제1하우징(11)이 형성한다. 상기 제1하우징(1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속이 빈 원통형상으로, 그 내부에는 터미널이 장착되는 조립공간(11')이 형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11)의 선단에는 결합리브(12)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리브(12)는 상기 제1하우징(11)의 선단으로부터 제2커넥터(20)와의 결합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할 제2하우징(21)의 결합홈(22)에 삽입된다.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면에는 제1가이드돌기(13)가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돌기(13)는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회전소켓(30)의 제1캠슬롯(33)을 따라 이동된다. 즉, 상기 제1가이드돌기(13)는 상기 제1하우징(11)과 회전소켓(30) 사이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소켓(30)의 회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면에는 제1스토퍼(15)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스토퍼(15)는 상기 회전소켓(30)의 삽입 정도를 규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면으로부터 더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스토퍼(15)에는 체결돌기(1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돌기(16')는 상기 회전소켓(30)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회전소켓(30)의 체결홈(39)에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체결돌기(16')는 상기 회전소켓(30)과 마주보는 상기 제1스토퍼(15)의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돌기(16')는 상기 제1스토퍼(15)로부터 더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턱(16)에 형성된다.(도 3c 참조)
다음으로, 제2커넥터(20)를 설명하면, 상기 제2커넥터(20)는 상기 제1커넥터(10)와 결합되는 것으로, 그 외관 및 골격은 제2하우징(21)이 형성한다. 상기 제2하우징(21)은 상기 제1하우징(11)과 마찬가지로 속이 빈 원통형상으로서, 그 내부에는 상대터미널이 삽입되는 삽입공간(21')이 형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21)에는 결합홈(2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22)은 상기 제2하우징(21)이 삽입공간(21') 내부에 요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하우징(11)의 결합리브(12)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홈(22)은 상기 삽입공간(21')의 내면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21)에는 제2가이드돌기(23)가 형성된다. 상기 제2가이드돌기(23)는 상기 제2하우징(2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회전소켓(30)의 제2캠슬롯(34)을 따라 이동된다. 즉, 상기 제2가이드돌기(23)는 상기 제2하우징(21)과 회전소켓(30) 사이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소켓(30)의 회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하우징(21)의 외면에는 제2스토퍼(25)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스토퍼(25)는 상기 회전소켓(30)의 삽입 정도를 규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제2하우징(21)의 외면으로부터 더 돌출되어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2스토퍼(25)는 상기 제2커넥터(20)가 후술할 판넬(50)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일종의 플랜지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제2하우징(21)의 외면에는 체결턱(26)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턱(26)은 상기 제2스토퍼(25)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그 사이에 후술할 판넬(50)이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체결턱(26)은 상기 제2커넥터(20)가 판넬(5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제2커넥터(20)가 판넬(50)에 고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체결턱(26)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20)는 판넬(50)에 결합된다. 상기 판넬(50)은 차량의 내부와 같이 상기 커넥터어셈블리가 장착될 부분에 구비되는 것으로 그 중앙에는 관통공(5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51)은 상기 제2커넥터(20)의 선단 일부가 관통하는 부분으로, 제2하우징(21)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내주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용 회전소켓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회전소켓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커넥터가 서로 결합되는 과정이 작업상태도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커넥터어셈블리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작업자는 우선 제1커넥터(10)를 회전소켓(30)과 결합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커넥터(10)에 형성된 제1가이드돌기(13)가 상기 회전소켓(30)의 제1캠슬롯(33)에 삽입되도록 하면서 제1커넥터(10)와 회전소켓(30)을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제1커넥터(10)에 형성된 삽입가이드부(33a)를 통해 상기 제1가이드돌기(13)는 용이하게 상기 제1캠슬 롯(33)의 선단(33')으로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작업자는 제2커넥터(20)를 판넬(50)에 고정시킨다. 즉, 상기 제2커넥터(20)를 판넬(50)의 관통공(51)을 통해 삽입하여, 제2커넥터(20)의 체결턱(26)과 스토퍼 사이에 판넬(50)이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3a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상기 제1커넥터(10) 및 회전소켓(30) 조립체를 상기 제2커넥터(20) 방향(도 3a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2커넥터(20)의 제2가이드돌기(23)가 상기 회전소켓(30)의 제2캠슬롯(34)의 선단(34')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1가이드돌기(13)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가이드돌기(23)는 상기 회전소켓(30)에 형성된 삽입가이드부(34a)를 통해 용이하게 상기 제2캠슬롯(34)의 선단(34')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상기 회전소켓(30)을 도 3b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보다 정확하게는 작업자는 상기 회전소켓(30)의 손잡이부(38)를 파지하고 이를 도 3b의 화살표 방향, 즉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돌기(13,23)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캠슬롯(33,34)의 선단(33',34')으로부터 말단(33'',34'')으로 이동하도록 회전소켓(30)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10,20)는 점점 서로 가까워지면서 결합되고, 그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 및 상대터미널이 서로 연결된다. 이는 상기 제1 및 제2캠슬롯(33,34)의 말단(33'',34'')의 폭(H2)이 제1 및 제2캠슬롯(33,34)의 선 단(33',34')의 폭(H1)보다 좁게 형성되므로 제1 및 제2커넥터(10,20)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대이동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소켓(30)의 회전경로는 상기 제1 및 제2캠슬롯(33,34)에 의해 정해진다. 즉, 상기 제1 및 제2캠슬롯(33,34)이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돌기(13,23)와 결합되므로, 제1 및 제2가이드돌기(13,23)가 제1 및 제2캠슬롯(33,34)의 말단(33'',34'')에 위치하면 상기 회전소켓(30)이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도 3c에서 보듯이, 상기 제1커넥터(10)의 결합리브(12)는 상기 제2커넥터(20)의 결합홈(22)에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커넥터(10)에 형성된 체결돌기(16')는 상기 회전소켓(30)의 체결홈(39)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회전소켓(30)이 완전히 삽입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고, 회전소켓(30)이 상기 결합방향(도 3b의 화살표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10,20)를 분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작업자는 상기 회전소켓(30)의 손잡이부(38)를 파지하고, 결합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회전소켓(30)을 회전시킨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돌기(13,23)는 각각 제1 및 제2캠슬롯(33,34)의 말단(33'',34'')으로부터 선단(33',34')으로 이동하면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된다. 이는 상기 제1 및 제2캠슬롯(33,34)의 말단(33'',34'')으로부터 선단(33',34')으로 갈수록 둘 사이가 멀어지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10,20)는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작업자는 제1커넥터(10)를 파지하여 제2커넥터(20)로부터 완전히 분리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용 회전소켓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회전소켓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커넥터가 서로 결합되는 과정을 보인 작업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1커넥터 11: 제1하우징
11': 조립공간 12: 결합리브
13: 제1가이드돌기 15: 제1스토퍼
16: 결합턱 16': 체결돌기
20: 제1커넥터 21: 제2하우징
21': 삽입공간 22: 결합홈
23: 제2가이드돌기 25: 제2스토퍼
26: 체결턱 30: 회전소켓
31: 몸체 31': 결합공간
33: 제1캠슬롯 34: 제2캠슬롯
38: 손잡이부 39: 체결홈
50: 판넬 51: 관통공

Claims (12)

  1.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고 내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결합공간이 양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면에 형성되고 그 선단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및 제2캠슬롯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넥터용 회전소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캠슬롯은 상기 몸체의 외면에 상기 결합공간이 연장된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캠슬롯은 상기 제1캠슬롯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기 몸체의 외면에 그 선단이 상기 제1캠슬롯의 일단과 점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회전소켓.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캠슬롯은 상기 몸체의 반대측에 각각 쌍을 이루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회전소켓.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잡이부가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회전소켓.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기 제1 또는 제2캠슬롯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에는 상기 몸체의 외면과 단차를 이루면서 삽입가이드부가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회전소켓.
  6.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고, 외면에는 제1가이드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터미널과 연결되는 상대터미널이 설치되며, 외면에는 제2가이드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제2커넥터와,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의 서로 마주보는 외면 일부와 대응되는 내면을 갖는 결합공간이 양측으로 개구되고,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돌기가 안내되는 제1 및 제2캠슬롯이 그 선단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를 결합시키는 회전소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캠슬롯은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의 결합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캠슬롯은 상기 제1캠슬롯과 이격되고 그 선단이 상기 제1캠슬롯의 일단과 점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 또는 제2커넥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면에는 상기 회전소켓의 삽입 정도를 규제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와 상기 회전소켓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체결돌기와 체결홈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소켓이 회전하여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가 서로 결합되면 상기 체결홈이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캠슬롯은 각각 상기 회전소켓의 외면의 반대편에 쌍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돌기 및 제2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 및 제2캠슬롯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의 외면에 두 개씩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11.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제1커넥터의 선단에는 결합리브가 상기 제2커넥터와의 결합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커넥터에는 상기 결합리브와 대응되는 결합홈이 요입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12.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제2커넥터의 외면에는 판넬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스토퍼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체결턱이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070133625A 2007-12-18 2007-12-18 커넥터용 회전소켓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어셈블리 KR200900660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625A KR20090066033A (ko) 2007-12-18 2007-12-18 커넥터용 회전소켓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625A KR20090066033A (ko) 2007-12-18 2007-12-18 커넥터용 회전소켓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033A true KR20090066033A (ko) 2009-06-23

Family

ID=40994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3625A KR20090066033A (ko) 2007-12-18 2007-12-18 커넥터용 회전소켓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603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5820A (ko) * 2010-08-13 2012-02-22 (주)브이이엔에스 고전압용 커넥터
KR20140077970A (ko) * 2011-10-18 2014-06-24 하르팅 에렉트로닉스 게엠베하 플러그 커넥터
WO2018194364A1 (ko) * 2017-04-21 2018-10-25 박찬주 정션박스용 케이블 커넥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5820A (ko) * 2010-08-13 2012-02-22 (주)브이이엔에스 고전압용 커넥터
KR20140077970A (ko) * 2011-10-18 2014-06-24 하르팅 에렉트로닉스 게엠베하 플러그 커넥터
US9466928B2 (en) 2011-10-18 2016-10-11 HARTING Electronics GmbH Plug-in connector
WO2018194364A1 (ko) * 2017-04-21 2018-10-25 박찬주 정션박스용 케이블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70614B2 (ja) 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の取付方法
CN101013785B (zh) 杠杆型连接器
US8025513B2 (en) Lever-type connector with a housing with plurality of projections for engaging a retaining portion of a lever
US6709165B2 (en) Plug portion for an optical plug connection
KR200467962Y1 (ko)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US10320118B2 (en) Connector with a latching assembly
JP2009158151A (ja) コネクタ
KR20090066033A (ko) 커넥터용 회전소켓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어셈블리
US10439324B2 (en) Lever-type connector
JP2000058191A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WO2018084217A1 (ja) 車両のインサイドハンドル装置
KR20090022963A (ko) 레버타입커넥터 및 레버타입커넥터의 결합방법
EP3764481B1 (en) Lever-type connector
CN108306151B (zh) 连接器
KR20100070832A (ko) 레버타입 커넥터
KR100965507B1 (ko) 레버타입 커넥터어셈블리
JP5020726B2 (ja) 二部材間の係止構造
KR100814936B1 (ko) 레버타입 커넥터
JP4878535B2 (ja) コネクタ
EP3905454B1 (en) Electrical connector
CN112688105B (zh) 连接器
KR20090022965A (ko) 커넥터 어셈블리
JP2021125403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11799233B2 (en) Connector
JP2010062077A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