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834B1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834B1
KR101887834B1 KR1020177002087A KR20177002087A KR101887834B1 KR 101887834 B1 KR101887834 B1 KR 101887834B1 KR 1020177002087 A KR1020177002087 A KR 1020177002087A KR 20177002087 A KR20177002087 A KR 20177002087A KR 101887834 B1 KR101887834 B1 KR 101887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lever
camshaft
rotating shaft
outer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2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0515A (ko
Inventor
신스케 시바타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70020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0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77Pivoting levers actuating linearly camming mea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커넥터는 하우징의 외부 쉘 부분의 외부측에 제공되는 회전 샤프트 부분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는 레버가 구비된 실시형태를 포함하고, 레버에는 외부 쉘에 형성된 윈도우를 통해 슬라이더에 형성된 캠 홈 안으로 삽입된 캠 샤프트 부분이 구비된다. 레버는 베이스 부분 및 후크 부분을 갖는 캠 샤프트 부분을 포함하고, 후크 부분은 윈도우의 에지를 넘어 연장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14년 6월 27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No. 2014-132722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그 전체가 참조로써 본원에 통합된다.
발명의 분야
본 개시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커넥터에 통합된 잠금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레버 타입의 전기 커넥터는 제 1 커넥터 또는 하우징 및 제 2 커넥터 또는 헤더의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커넥터를 함께 결합(mate)하기 위해, 어셈블리는, 제 1 및 제 2 커넥터가 결합해제된 구성과 충분히 결합된 구성 사이에서 시프트하게 하는 레버의 피봇함과 함께, 제 1 커넥터 상에서 피봇하기 위해 탑재된 작동 또는 보조 레버를 갖는다. 이를 위해, 작동 레버 및 제 2 커넥터는 레버의 피봇에 응답하여 제 1 커넥터와의 결합 조건으로 제 2 커넥터를 견인하기 위해 캠 홈 및 캠 종동부 배열체를 통상적으로 갖는다. 이러한 커넥터는 자동차 산업에 보통 사용되지만, 다른 용도도 또한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보다 효율적인 기계적 이점을 발생시키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용 레버 액추에이터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하는데, 이는 레버에의 큰 입력 액추에이터 힘을 요구하지 않고도 레버 액추에이터가 큰 출력 힘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을 요구하는 대형 전기 커넥터에서 특히 그러하다. 추가하여, 피봇된 대로 변형되지 않는 레버 액추에이터가 바람직할 것이다.
종래 기술의 커넥터에서, 인터로킹 부재, 레버 및 하우징은 내부측에서 외부측을 향해 연장되는 방향으로 순차적인 순서로 배치되며, 레버는 하우징에 형성된 홈을 수용하는 레버 내부측에 수용된다. 하지만, 이 구조에서, 레버에 대한 이동 범위는 제한되며, 이에 따라 본 개시의 목적은 레버에 대한 이동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개시물은: 단자를 홀딩하는 홀딩 부분이 반대 하우징 안으로 삽입되는 방향이 제 1 방향인 경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홀딩 부분에 대면하는 외부 쉘 부분을 포함하는 하우징;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에 직교하는 제 3 방향으로 홀딩 부분과 외부 쉘 부분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홀딩되는 슬라이더로서, 슬라이더의 위치에 응답하여 반대 하우징에 제공된 계합 돌출부의 계합과 계합해제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계합 부분을 갖는, 상기 슬라이더; 및 제 2 방향에서 외부 쉘 부분의 외부측에 제공되는 회전 샤프트 부분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는 레버로서, 외부 쉘 부분에 형성된 윈도우를 통해 슬라이더에 형성된 캠 홈 안으로 삽입된 캠 샤프트 부분을 갖는, 상기 레버를 포함하는, 커넥터이다.
본 개시의 하나의 양태에서, 캠 샤프트 부분은 제 2 방향으로 외부 쉘 부분의 내부측의 외부 쉘 부분에서 윈도우의 에지를 후크하는 후크 부분을 가질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태에서, 후크 부분은 윈도우가 통과하는 베이스 부분에 대해 회전 샤프트 부분으로부터 먼 측을 향해 돌출할 수도 있고, 그리고 외부 쉘 부분의 회전 샤프트 부분으로부터 윈도우의 먼 측까지의 거리는 레버의 회전 샤프트 부분으로부터 후크 부분의 먼 단부까지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지만 레버의 회전 샤프트 부분으로부터 베이스 부분의 먼 단부까지의 거리보다 클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태에서, 레버의 캠 샤프트 부분은 외부 쉘 부분의 윈도우를 통해 삽입될 수도 있고, 외부 셀 부분의 회전 샤프트 부분은 레버가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동안 레버의 회전 샤프트 홀 안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태에서, 외부 쉘 부분의 회전 샤프트 부분으로부터 윈도우의 먼 에지까지의 거리는 전체 먼 에지를 따라 레버의 회전 샤프트 부분으로부터 후크 부분의 먼 단부까지의 거리보다 작을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태에서, 회전 샤프트 부분 가까이의 윈도우의 에지는, 먼 에지로부터의 거리가 후크 부분을 포함하는 캠 샤프트 부분의 가까운 단부로부터 먼 단부까지의 거리보다 큰 부분, 및 거리가 작은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태에서, 후크 부분은 먼 단부가 접근함에 따라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태에서, 회전 샤프트 부분은 캠 샤프트 부분의 후크 부분과의 반대 측에서 돌출되는 후크 부분을 가질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레버는 외부 쉘 부분의 외부측에 배치되고, 이것은 레버에 대한 이동 범위를 확장한다.
본 출원은 예시로써 예시되며, 유사 도면 부호가 유사 엘리먼트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서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커넥터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5는 하우징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슬라이더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슬라이더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슬라이더의 좌측면도이다.
도 9는 레버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레버의 우측면도이다.
도 11은 레버가 부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레버가 부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우측면도이다.
도 13a는 레버가 부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면도이다.
도 13b는 레버가 부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면도이다.
도 13c는 레버가 부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면도이다.
하기는 도면을 참조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설명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커넥터(1)의 사시도,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1에서는, 슬라이더(3)의 도시가 생략되었다. 도 4 및 도 5는 하우징(2)의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슬라이더(3)를 수용하는 하우징(2)을 도시한다. 도 6, 도 7 및 도 8은 각각 슬라이더(3)의 사시도,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8에서, 반대 하우징(9)과의 계합은 2점 쇄선을 이용해 설명 목적으로 도시된다. 도 9 및 도 10은 레버(4)의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11, 도 12 및 도 13a 내지 도 13c는 각각 레버(4)가 부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면도, 우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3a는 도 12에서의 라인 A-A로부터의 단면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레버(4)가 스테이지에서 부착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명세서 및 도면에서, 제 1 방향은 커넥터(1)가 삽입 및 제거되는 방향이다. 제 1 방향에서, 반대 하우징(9)(도 8 참조)에 대해 가까운 측이 아래이고, 먼 측이 상부이다. 제 2 방향은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고, 하우징(2)의 긴 패널 부분(23)의 정상적인 방향이다. 제 2 방향에서, 슬라이더(3)가 긴 패널 부분(23)에 대해 위치되는 측이 내부측이고, 레버(4)가 위치하는 측이 외부측이다. 제 3 방향은 제 1 및 제 2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고, 하우징(2)에 수용된 슬라이더(3)가 이동하는 방향이다. 도 1에 도시된 제 3 방향에서, 레버(4)의 리딩 단부가 위치하는 측이 계합해제된 측이고, 하우징(2)의 돌출 부분이 위치하는 측이 계합된 측이다.
도 3의 단일 점 쇄선의 양 말단에서의 화살표는 회전 샤프트 부분(231)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을 나타내고, 레버(4)가 회전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실선의 양 말단에서의 화살표 F 및 N은, 회전 샤프트 부분(231)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상 방향에서 회전 샤프트 부분(231)으로부터 먼 측과 회전 샤프트 부분(231)의 가까운 측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는 하우징(2), 하우징(2)에 미끄러지게 수용되는 슬라이더(3), 및 슬라이더(3)를 이동시키는, 하우징(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4)를 포함한다. 모든 이 컴포넌트는 합성 수지로 제조된다.
하우징(2)은, 축 방향이 제 1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는 직사각형 프로파일을 갖는 케이스인, 외부 쉘 부분(21)을 포함한다. 외부 쉘(21)은 제 2 방향에서 서로 대면하는 한쌍의 긴 패널 부분(23), 및 제 3 방향에서 서로 대면하는 한쌍의 쇼트 패널 부분(25)을 포함한다. 긴 패널 부분(23)은 각각 상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부분(27)을 갖는다.
단자를 홀딩하기 위한 홀딩 부분(29)(도 13a 내지 도 13c 참조)은 외부 쉘(21)의 내부측에 배치된다. 홀딩 부분(29)은 외부 쉘 부분(21)과 통합되거나 또는 별도의 컴포넌트일 수도 있다. 하우징(2)이 반대 하우징(9) 안으로 피팅되는 경우(도 8 참조), 홀딩 부분(29)이 반대 하우징(9) 안으로 삽입되고, 외부 쉘 부분(21)은 반대 하우징(9)을 둘러싼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방향에서 외부측으로 돌출되는 회전 샤프트 부분(231)은 제 3 방향에서 긴 패널 부분(23)의 중심 부분에 및 제 1 방향에서 하부 부분에 제공된다. 회전 샤프트 부분(231)은 컬럼 형상의 베이스 부분(233) 및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방사상 방향으로 베이스 부분(233)으로부터 돌출되는 후크 부분(235)을 포함한다.
제 2 방향으로 관통되는 아크 형상의 윈도우(23a)는 제 3 방향의 긴 패널 부분(23)의 중심 부분에서 및 제 1 방향의 중심 부분에서 형성된다. 윈도우(23a)는 회전 샤프트 부분(231)의 중심에 아크 형상을 갖는다. 이하에서 윈도우(23a)의 형상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슬라이더(3)를 수용하기 위한 삽입 홀(25a)이 긴 패널 부분(23)에 형성되고, 그리고 삽입 홀(25a)을 위한 개구가 제 3 방향으로 계합해제된 측의 쇼트 패널 부분(25)에 형성된다. 제 3 방향에서 슬라이더(3)를 이동가능하게 홀딩하기 위한 레일 홈(251, 252)은 삽입 홀(25a) 상하부에 형성된다(도 13a 내지 도 13c 참조).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는 직사각형 패널이다.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캠 홈(3a)은 제 2 방향으로 슬라이더(3)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다. 슬라이더(3)가 하우징(2)에 수용되는 경우, 캠 홈(3a)의 부분은 긴 패널 부분(23)에 형성된 윈도우(23a)에서 보인다(도 3 및 도 5 참조).
계합 홈(3b)은 제 2 방향으로 슬라이더(3)의 내부 표면에 형성된다. 계합 홈(3b)은 제 3 방향으로 계합해제된 측을 향해 연장되고 제 1 방향으로 상향으로 연장된다. 하우징(2)이 반대 하우징(9) 안으로 피팅되는 경우, 반대 하우징(9)의 계합 돌출부(91)가 슬라이더(3)에 형성된 계합 홈(3b) 안으로 삽입된다.
슬라이더(3)가 회전 레버(4)에 의해 제 3 방향으로 계합측을 향해 이동되는 경우, 계합 홈(3b)은 계합 돌출부(91)에 계합하고, 캠의 작동은 하우징(2)을 제 1 방향에서 하향으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 하우징(2) 및 반대 하우징(9)의 계합이 완료되고, 하우징(2)이 제 1 방향에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4)는 서로 대면하는 한쌍의 패널 형상의 아암 부분(41)을 포함한다. 키홀 형상의 회전 샤프트 홀(41a)은, 하우징(2) 상의 삽입된 회전 샤프트 부분(231)을 수용하기 위해 각 아암 부분(41)의 연장 방향으로 일 단부에서 형성된다. 브릿지 부분(43)은 아암 부분(41)의 연장 방향에서 다른 단부 부분에 걸쳐 이어진다.
캠 샤프트 부분(411)은, 회전 샤프트 홀(41a)과 브릿지 부분(43) 사이의 중간 지점보다 회전 샤프트 홀(41a)과 더 가까운 측(N)의 위치에서 아암 부분(41)의 반대 내부 표면에 제공된다. 각각의 캠 샤프트 부분(411)은 컬럼 형상의 베이스 부분(413) 및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방사상 방향으로 베이스 부분(413)으로부터 돌출되는 후크 부분(415)을 포함한다. 각각의 후크 부분(415)은 회전 샤프트 홀(41a)로부터 멀리 먼 측(F)을 향해 연장된다.
캠 샤프트 부분(411)은 외부 쉘 부분(21)에 형성된 윈도우(23a)를 통해 통과되고 슬라이더(3)에 형성된 캠 홈(3a) 안으로 삽입된다(도 3 및 도 13a 내지 도 13c 참조). 이하 레버(4)의 부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레버(4)가 회전 샤프트 부분(231) 둘레에서 회전되는 경우, 캠 홈(3a) 안으로 삽입된 캠 샤프트 부분(411)은 주로 제 3 방향으로 슬라이더(3)를 푸시하고, 이것은 레일 홈(251, 252)을 따라 제 3 방향으로 슬라이더(3)를 이동시킨다. 슬라이더(3)가 이동하는 방향은 제 3 방향(3)을 포함하지만 제 3 방향 단독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된 실시형태에서, 레버(4)는 하우징(2) 외부측에 배치되어, 레버(4)에 대한 이동 범위가 확대되게 하고 커넥터(1)를 위한 설계 자유도를 증가시킨다.
하지만, 레버(4)가 하우징(2) 외부측에 배치되는 경우, 한쌍의 아암 부분(41)을 벌리기 위해 요구되는 힘이 보다 쉽게 발생되고, 그리고 캠 샤프트 부분(411)은 캠 홈(3a)으로부터 보다 쉽게 분리되게 된다. 이 힘은, 레버(4)가 회전 중인 경우 회전 샤프트 홀(41a)의 에지가 방사상 방향으로 회전 샤프트 부분(231)을 푸시하고 그리고 회전 샤프트 부분(231)이 변형되기 때문에 발생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형태에서, 도 3 및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캠 샤프트 부분(411) 상의 후크 부분(415)은 제 2 방향에서 긴 패널 부분(23)의 내부측의 회전 샤프트 부분(231)으로부터 윈도우(23a)의 먼 측(F)의 에지(237)에서 후크되며, 이것은 캠 샤프트 부분(411)이 캠 홈(3a)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샤프트 부분(231)(또는 회전 샤프트 홀(41a))으로부터 윈도우(23a)의 먼 측(F)의 에지(237)까지의 거리(Lr)는 회전 샤프트 홀(41a)(또는 회전 샤프트 부분(231))로부터 후크 부분(415)의 먼 측(F)의 단부까지의 거리(Ln)보다 작지만, 회전 샤프트 홀(41a)(또는 회전 샤프트 부분(231))로부터 베이스 부분(413)의 먼 측(F)의 단부까지의 거리(Lb)보다 크다. 이들 거리(Lr, Ln, Lb)는 모두 방사상 방향으로 회전 샤프트 부분(231)의 중심에 있다.
도 5 및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샤프트 부분(231)으로부터 윈도우(23a)의 먼 측(F)의 에지(237)까지의 거리(Lr)는 전체 에지(237)를 따라 회전 샤프트 부분(231)으로부터 후크 부분(415)의 먼 측(F)의 단부까지의 거리(Ln)보다 작다. 이것은, 회전 레버(4)에 의해 이동되는 캠 샤프트 부분(411)이 윈도우(23a)의 어느 곳에 위치하든 간에, 캠 샤프트 부분(411)이 캠 홈(3a)으로부터 분리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회전 샤프트 부분(231)에 대한 윈도우(23a)의 가까운 측(N)의 에지(238)는, 먼 측(F)의 에지(237)와의 간격(Lwa)이 캠 샤프트 부분(411)의 최대 직경(Lc)보다 작은 섹션(238a), 및 먼 측(F)의 에지(237)와의 간격(Lwb)이 캠 샤프트 부분(411)의 최대 직경(Lc)보다 큰 에지(238)를 포함한다. 가까운 측(N)의 에지(238)를 따라, 간격(Lwb)을 갖는 섹션(238b)은 제 3 방향에서 계합해제된 측에 배치된다. 캠 샤프트 부분(411)의 최대 직경(Lc)은 후크 부분(415)을 포함하는 캠 샤프트 부분(411)의 가까운 측(N)의 단부로부터 먼 측(F)의 단부까지의 거리이다.
이것은, 캠 샤프트 부분(411)이 간격(Lwb)의 섹션(238b)에서 윈도우(23a)를 통과하게 하고, 후크 부분(415)이 이후 먼 측(F)에서 에지(237)를 계합하게 하며, 이로써 캠 샤프트 부분(411)이 윈도우(23a) 및 캠 홈(3a)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캠 샤프트 부분(411)이 간격(Lwa)을 갖는 섹션(238a)에 있는 경우, 간격(Lwa)은 먼 측(F)의 에지(237)를 계합하는 후크 부분(415)을 갖는 캠 샤프트 부분(411)의 최대 직경(Lc)보다 작으며, 이로써 캠 샤프트 부분(411)이 캠 홈(3a)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추가하여, 도 3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샤프트 부분(411)의 후크 부분(415)은, 먼 측(F)이 접근됨에 따라 폭이 좁아지고 단부가 회전 샤프트 부분(231)으로부터 테이퍼링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로써, 회전 레버(4)가 캠 샤프트 부분(411)을 이동시키는 경우, 후크 부분(415)이 캠 홈(3a)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게 되는 것으로부터 방지되고, 베이스 부분(413)이 캠 홈(3a)의 내부 표면에 대해 푸시할 수 있다.
하기는 레버(4)가 부착되는 방법의 설명이다.
먼저, 도 11, 도 12 및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4)는, 레버(4) 상의 한쌍의 아암 부분(41)이 제 2 방향에서 슬라이더(3)를 수용하는 하우징(2)을 샌드위칭하도록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레버(4)는, 레버(4)의 캠 샤프트 부분(411)이 제 3 방향에서 윈도우(23a)의 계합해제된 측으로 피팅되도록 배치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회전 샤프트 부분(231)에 대한 윈도우(23a)의 가까운 측(N)의 에지(238)는 먼 측(F)의 에지(237)와의 간격(Lwb)이 캠 샤프트 부분(411)의 최대 직경(Lc)보다 큰 섹션(238b)을 가지기 때문에, 캠 샤프트 부분(411)은 섹션(238b)에서 윈도우(23a)를 통과시킬 수 있다.
하지만,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회전 샤프트 부분(231)으로부터 윈도우(23a)의 먼 측(F)의 에지(237)까지의 거리(Lr)가 회전 샤프트 홀(41a)로부터 먼 측(F)의 후크 부분(415)의 단부까지의 거리(Ln)보다 작기 때문에, 아암 부분(41)이 직선으로 남아있는 한, 캠 샤프트 부분(411)은 윈도우(23a) 안으로 삽입될 수 없고 회전 샤프트 부분(231)은 회전 샤프트 홀(41a) 안으로 삽입될 수 없다.
따라서,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아암 부분(41)의 캠 샤프트 부분(411)의 이면측은 손가락을 이용하여 제 2 방향에서 내부측으로 푸시된다.
이 방식으로, 캠 샤프트 부분(411)과 회전 샤프트 홀(41a) 사이의 각 아암 부분(41)의 부분은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그리고 캠 샤프트 부분(411)은 캠 홈(3a) 안으로 푸시된다. 이때, 후크 부분(415)이 윈도우(23a)를 통과하여 캠 홈(3a)에 도달하는 경우, 아암 부분(41)은 후크 부분(415)의 돌출 길이만큼만 회전 샤프트 부분(231)으로부터 먼 측(F)으로 이동하고, 그리고 회전 샤프트 부분(231)은 회전 샤프트 홀(41a)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 결과,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샤프트 부분(411)은 윈도우(23a) 안으로 삽입될 수 있고, 회전 샤프트 부분(231)은 회전 샤프트 홀(41a)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 부분(231)의 후크 부분(235)은 캠 샤프트 부분(411)의 후크 부분(415)과 반대측에 돌출된다. 회전 샤프트 홀(41a)은 또한 반대측으로 연장된다. 이로써, 아암 부분(41)이 후크 부분(415)의 돌출 길이만큼 회전 샤프트 부분(231)로부터 먼 측(F)으로 이동하고 회전 샤프트 부분(231)이 회전 샤프트 홀(41a) 안으로 삽입되는 경우, 후크 부분(235)에 의한 삽입이 억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가 상술되었지만, 본 개시는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많은 다른 실시형태가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해야 한다.

Claims (8)

  1. 복수의 단자들을 홀딩하는 홀딩 부분이 반대 하우징 안으로 삽입되는 방향이 제 1 방향인 경우,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상기 홀딩 부분에 대면하고 내부측 표면 및 외부측 표면을 갖는 외부 쉘 부분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에 직교하는 제 3 방향으로 상기 홀딩 부분과 상기 외부 쉘 부분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홀딩되는 슬라이더로서,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반대 하우징에 제공되는 계합 돌출부를 계합 및 계합해제하도록 구성된 캠 홈을 갖는,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외부 쉘 부분의 외부측 표면에 제공되는 회전 샤프트 부분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 샤프트 홀을 포함하는 레버로서, 상기 외부 쉘 부분에 형성된 윈도우를 통해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된 상기 캠 홈 안으로 삽입된 캠 샤프트 부분을 갖는, 상기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캠 샤프트 부분은 베이스 부분 및 상기 베이스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외부 쉘 부분의 상기 내부측 표면에 상기 윈도우의 에지를 후크하는 후크 부분을 갖고,
    상기 윈도우는 아크 형상이고 가까운 에지 및 먼 에지에 의해 정의된 폭을 포함하고, 상기 가까운 에지는 상기 먼 에지보다 상기 회전 샤프트 부분에 더 가깝고 상기 후크 부분은 상기 윈도우의 상기 먼 에지를 넘어 연장되는,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상기 캠 샤프트 부분은 상기 외부 쉘 부분의 상기 윈도우를 통해 삽입되고, 상기 외부 쉘 부분의 상기 회전 샤프트 부분은 상기 레버의 상기 회전 샤프트 홀 안으로 삽입되는, 커넥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크 부분은 상기 레버의 이동시 상기 윈도우의 전체의 먼 에지에 걸쳐 상기 윈도우의 상기 먼 에지를 넘어 연장되는, 커넥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캠 샤프트 부분의 상기 베이스 부분 및 후크 부분이 통과되도록 허용하는 폭을 갖는 부분, 및 상기 캠 샤프트 부분의 상기 베이스 부분 및 후크 부분이 상기 윈도우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폭을 갖는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커넥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폭을 갖는 상기 후크 부분 및 상기 폭은 상기 윈도우의 상기 가까운 에지로부터 상기 윈도우의 상기 먼 에지까지 정의된 방향을 따라 감소하는, 커넥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샤프트 부분은 상기 캠 샤프트 부분의 상기 후크 부분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후크 부분을 갖는, 커넥터.
KR1020177002087A 2014-06-27 2015-06-22 전기 커넥터 KR1018878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32722A JP6339873B2 (ja) 2014-06-27 2014-06-27 コネクタ
JPJP-P-2014-132722 2014-06-27
PCT/US2015/036875 WO2015200160A1 (en) 2014-06-27 2015-06-22 Electrical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515A KR20170020515A (ko) 2017-02-22
KR101887834B1 true KR101887834B1 (ko) 2018-08-10

Family

ID=54938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087A KR101887834B1 (ko) 2014-06-27 2015-06-22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837763B2 (ko)
JP (1) JP6339873B2 (ko)
KR (1) KR101887834B1 (ko)
CN (1) CN106663897B (ko)
DE (1) DE112015002985B4 (ko)
TW (1) TWM519830U (ko)
WO (1) WO20152001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50970B2 (en) 2018-04-04 2021-03-16 Commscope Technologies Llc Ganged coaxial connector assembly
US11527846B2 (en) 2016-02-12 2022-12-13 Commscope Technologies Llc Ganged coaxial connector assembly
WO2019195504A1 (en) 2018-04-04 2019-10-10 Commscope Technologies Llc Ganged coaxial connector assembly
DE102021116357A1 (de) 2020-06-29 2021-12-30 Tyco Electronics Amp Korea Co., Ltd. Steckeranordn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0780A (ja) * 2001-03-06 2002-09-1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コネクタ組立体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22203B1 (en) 1995-01-16 2003-04-16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camming system
DE19651436A1 (de) 1996-12-11 1998-06-18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Verbinden von elektrischen Kontakten
JP3345566B2 (ja) 1997-07-01 2002-11-18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H11329583A (ja) * 1998-03-09 1999-11-30 Yazaki Corp 低挿入力コネクタ
IT1303186B1 (it) * 1998-11-27 2000-10-30 Framatome Connectors Italia Connettore elettrico.
US6217354B1 (en) * 2000-03-20 2001-04-17 Molek Incorporated Lever type electrical connector
JP3492309B2 (ja) * 2000-11-02 2004-02-03 エフシーアイジャパン株式会社 コネクタ
US6666697B2 (en) 2001-10-29 2003-12-23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assembly
US6824406B1 (en) * 2003-06-26 2004-11-30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4615956B2 (ja) * 2004-10-14 2011-01-19 スリオジャパン株式会社 コネクタ
ITTO20050089A1 (it) * 2005-02-16 2006-08-17 Fci Italia S P A Connettore elettrico
US7361036B2 (en) * 2005-10-06 2008-04-22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lever and latch
JP4468465B2 (ja) * 2008-03-28 2010-05-26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4523987B1 (ja) * 2009-02-27 2010-08-1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スライドカム付きコネクタ
JP6352676B2 (ja) 2014-05-13 2018-07-0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0780A (ja) * 2001-03-06 2002-09-1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コネクタ組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515A (ko) 2017-02-22
TWM519830U (zh) 2016-04-01
CN106663897B (zh) 2019-07-19
JP2016012439A (ja) 2016-01-21
CN106663897A (zh) 2017-05-10
DE112015002985T5 (de) 2017-03-09
DE112015002985B4 (de) 2019-04-04
US9837763B2 (en) 2017-12-05
WO2015200160A1 (en) 2015-12-30
US20170125941A1 (en) 2017-05-04
JP6339873B2 (ja) 2018-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16213B1 (en) CPA device for direct mating and unmating
KR101887834B1 (ko) 전기 커넥터
JP6692818B2 (ja) バスバーを収容するための改良された構造を有する火工式回路遮断器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6381904B2 (ja) レバー式電気コネクタ
KR101112644B1 (ko) 잠금 기구
US9577378B2 (en) Connector having a plurality of first housings mating with a second housing actuated by a lever
EP3705736B1 (en) Fixation structure
JP2010114057A (ja) コネクタ
JP5935750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WO2013005658A1 (ja) レバー式コネクタ
KR20140022100A (ko) 레버식 커넥터
WO2013005606A1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9252429A (ja) Lifコネクタ
JP2013045608A (ja) コネクタ取付構造
EP1995828A1 (en) A lever-type connector and an assembling method therefor
KR20160049674A (ko) 변속케이블 고정 장치
EP2816673B1 (en)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6521653B2 (ja) コネクタ
JP2009123530A (ja) コネクタ
JP6132205B2 (ja) コネクタ
JP5836744B2 (ja) 制御装置
JP5384304B2 (ja) 車両室内照明灯
CN108119572B (zh) 同步器滑块及同步器系统
JP6881026B2 (ja) コネクタ
US7214082B2 (en) Connector allowing locking of connected state or non-connected st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