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6299A - 발유성이 부여된 통기 필터 - Google Patents

발유성이 부여된 통기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6299A
KR20140016299A KR1020137025230A KR20137025230A KR20140016299A KR 20140016299 A KR20140016299 A KR 20140016299A KR 1020137025230 A KR1020137025230 A KR 1020137025230A KR 20137025230 A KR20137025230 A KR 20137025230A KR 20140016299 A KR20140016299 A KR 20140016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orous membrane
filter
group
ventilation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5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9069B1 (ko
Inventor
요시키 이케야마
노부아키 마루오카
나오후미 고사카
아스카 오노하라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675765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01629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6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0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92Other shaped material, e.g. perforated or porou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23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inducing porosity into non porous precursor membranes
    • B01D67/0025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inducing porosity into non porous precursor membranes by mechanical treatment, e.g. pore-stretching
    • B01D67/0027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inducing porosity into non porous precursor membranes by mechanical treatment, e.g. pore-stretching by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88Phys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e.g. swelling, coating or impreg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2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6Flat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30Polyalkenyl halides
    • B01D71/32Polyalkenyl halides containing fluorine atoms
    • B01D71/36Polytetrafluoro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08F20/22Esters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8Forming gas barrier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6After-treatment
    • C08J9/365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tetrafluoro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8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for application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ice, mist or water thereto; Thawing or antifreeze materials for application to surfa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94Gas-pervious part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14Surface modifiers, e.g. comprising ion exchange groups
    • B01D2239/0421Rendering the filter material hydrophi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71Surface coating material
    • B01D2239/0478Surface coating material on a layer of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219Specific solvent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4Characteristic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20Specific permeability or cut-off r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327/1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J23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tetrafluoroeth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433/1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J2433/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ato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제공되는 통기 필터는 발유제에 의해 피복된 표면을 갖는 다공질막을 구비하고, 발유제에 포함되는 직쇄상 불소 함유 탄화수소기가 1) -R1C5F10CH2C4F9, 또는 2) -R2C6F13으로 표시되고, 다공질막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연신 다공질막인, 발유성이 부여된 통기 필터로 한다. 여기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가 1 내지 12인 알킬렌기 또는 페닐렌기이다. 이 통기 필터는 통기성이 크게 저하되지 않고 발유성이 부여된 것으로 된다.

Description

발유성이 부여된 통기 필터{OIL-REPELLANT VENTILATION FILTER}
본 발명은 발유성이 부여된 통기 필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헤드 램프, 리어 램프, 포그 램프, 턴 램프, 모터, 각종 압력 센서, 압력 스위치 등의 자동차용 전장 부품, 카메라, 비디오, 휴대 전화 등의 정보 단말기, 전기 면도기, 전동 칫솔 및 옥외 용도의 램프 등, 각종 기기 하우징에는 통기 구멍이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통기 구멍을 형성하는 주된 목적은 기기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킴으로써, 기기의 작동에 의한 기기 하우징 내의 온도 상승에 수반하는 내부 압력의 과도한 상승을 피하는 데 있다. 또한, 배터리 케이스에는 전지 작동 시에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기기 하우징에 형성된 통기 구멍으로부터 물,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통기 구멍에는 통기 필터가 배치되는 경우가 있다. 통기 필터로서는,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불소 수지의 다공질막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하, 「PTFE」라고 함)을 연신하여 미다공 구조를 형성한 다공질막은 발수성이 우수한 통기 필터로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통기 필터에는 피지, 계면 활성제, 오일 등도 접촉한다. 발수성이 우수한 PTFE 연신 다공질막을 통기 필터로서 사용했다고 하더라도, 표면 장력이 낮은 액체의 침입을 충분히 방지할 수는 없다. 이로 인해, 통기 필터에는 그 용도에 따라서 불소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처리제를 사용한 발유 처리가 행하여지고 있다.
탄소수가 8 이상인 직쇄상 퍼플루오로알킬기(이하, 「직쇄상 퍼플루오로알킬기」를 「Rf기」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있음)를 갖는 불소 함유 중합체가 발유성의 부여에 적합한 것은 주지이다. 탄소수가 8 이상인 Rf기의 결정성은 탄소수가 적은 (예를 들어 6 이하인) Rf기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높고, 이 결정성의 높이가 우수한 발유성의 발현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결정성의 높이에 유래하여, 탄소수가 8 이상인 Rf기를 갖는 처리제로부터는 높은 후퇴 접촉각(전진 접촉각과 함께 동적 접촉각임)이 얻어지는 것도 알려져 있다. 이 후퇴 접촉각은 결정성의 향상에 따라서, 탄소수가 6에서 8에 걸쳐서 급격하게 증가한다. 이러한 사정으로부터, 통기 필터에 발유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탄소수가 8 이상인 Rf기를 갖는 불소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처리제를 사용하는 것이 통례로 되어 있다.
상기 처리제와 함께 그 밖의 처리제를 사용하여 통기 필터에 발유성을 부여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7-126428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Rf기를 갖는 불소 함유 중합체와 함께, 주쇄에 불소 함유 지방족 환 구조를 갖는 불소 수지를 포함하는 처리제에 의해 통기 필터를 처리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청구항 1 등). 불소 함유 지방족 환 구조를 갖는 불소 수지는 조막성이 우수하며, 예를 들어 퍼플루오로(2,2-디메틸-1,3-디옥솔)를 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단락 0009, 0011). 또한, 특허문헌 1에는 퍼플루오로알킬기의 탄소수는 4 내지 16, 특히 6 내지 12가 바람직하다고 기재되어 있다(단락 0023). 그러나, 실시예의 란에는 전술한 통례에 따라서, 탄소수가 평균 9인 퍼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불소 함유 중합체가 사용되고 있다 (단락 0049, 0050; 각 실시예).
일본 특허 공개 평 7-126428호 공보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높은 발유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탄소수가 8 이상인 Rf기의 높은 결정성을 이용하는 것이 필수로 생각되어 왔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의 실시예의 란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불소 함유 지방족 환 구조를 갖는 불소 수지만을 사용해도, 통기 필터에 충분한 발유성을 부여할 수는 없다(각 비교예). 실용 상에서도, 특허문헌 1에서의 발유 시험에서 사용되고 있는 톨루엔 또는 IPA(이소프로판올)가 접촉해서 「순시에 젖는」 정도의 특성은 발유성으로서 충분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통기 필터에 실용 상에서 충분한 발유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탄소수가 8 이상인 Rf기가 이용되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그러나, 탄소수가 8 이상인 Rf기를 갖는 불소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처리제를 사용해서 발유 처리를 행하면, 통기 필터의 통기성이 크게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이 통기성의 저하의 정도는 통기 필터가 갖는 다공 구조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나일론 등의 부직포에 대해서는, 통상 발유 처리에 의한 통기성의 저하는 한정된 것으로 된다. 한편, 피브릴 및 노드에 의해 구성된 특징적인 미 다공 구조를 갖는 PTFE 연신 다공질막에 대해서는, 상기 처리제에 의한 발유 처리에 수반하는 통기성의 저하가 현저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상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PTFE 연신 다공질막에 통기성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고 발유성을 부여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발유제에 의해 피복된 표면을 갖는 다공질막을 구비한 통기 필터이며, 발유제에 포함되는 직쇄상 불소 함유 탄화수소기가,
1) -R1C5F10CH2C4F9, 또는 2) -R2C6F13
으로 표시되고, 다공질막이 PTFE 연신 다공질막인, 발유성이 부여된 통기 필터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가 1 내지 12인 알킬렌기 또는 페닐렌기이다.
직쇄상 불소 함유 탄화수소기가 상기 1) 또는 2)에 나타낸 것인 발유제는 PTFE 연신 다공질막의 통기성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고, 실용상의 요구에 따를 수 있는 정도의 발유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PTFE 연신 다공질막에 통기성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고 발유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한 통기 필터는 발유제에 의해 피복된 표면을 갖는 PTFE 연신 다공질막을 구비하고 있다. PTFE 연신 다공질막은 시판품을 사용하면 되지만, 이하에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해 둔다.
우선, PTFE 파인 파우더에 액상 윤활제를 첨가한 페이스트 상태의 혼화물을 예비 성형한다. 액상 윤활제는 PTFE 파인 파우더의 표면을 적실 수 있고, 추출이나 건조에 의해 제거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유동 파라핀, 나프타, 화이트 오일 등의 탄화수소를 사용할 수 있다. 액상 윤활제의 첨가량은 PTFE 파인 파우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0중량부 정도가 적당하다. 예비 성형은 액상 윤활제가 짜내어지지 않을 정도의 압력으로 행하면 된다.
이어서, 예비 성형체를 페이스트 압출 또는 압연에 의해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고, 이 PTFE 성형체를 1축 또는 2축 방향으로 연신하여 PTFE 연신 다공질막을 얻는다. 또한, PTFE 성형체의 연신은 액상 윤활제를 제거하고 나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관용에 따라서, 시트 형상의 PTFE 성형체를 연신함으로써 미다공 구조를 형성한 PTFE의 다공질막을 「PTFE 연신 다공질막」이라고 칭한다. PTFE 연신 다공질막은 전형적으로는 피브릴 및 노드로 구성된 특징적인 미다공 구조를 갖고 있으며, 그 자체가 우수한 발수성을 나타낸다.
또한, PTFE 연신 다공질막은 PTFE의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소성한 소성품이어도, 이 소성을 실시하지 않은 미소성품이어도 상관없다.
PTFE 연신 다공질막의 평균 구멍 직경은 0.005 내지 10㎛가 바람직하고, 0.01 내지 5㎛가 보다 바람직하며, 0.1 내지 3㎛가 특히 바람직하다. 평균 구멍 직경이 너무 작으면 통기 필터의 통기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평균 구멍 직경이 너무 크면 이물의 누설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PTFE 연신 다공질막의 두께는 5 내지 5000㎛가 바람직하고, 10 내지 1000㎛가 보다 바람직하며, 10 내지 500㎛가 특히 바람직하다. 막 두께가 너무 작으면 막의 강도가 부족하거나, 통기 하우징의 내외의 차압에 의해 통기 필터의 변형이 과대해지거나 할 우려가 있다. 막 두께가 너무 크면 통기 필터의 통기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통기 필터는 발유제에 의해 피복된 표면을 갖는 PTEF 연신 다공질막과, 이 막을 보강하기 위한 통기성 지지체의 적층체이어도 좋다. 통기성 지지체를 사용하면, 차압에 의한 통기 필터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통기성 지지체는 단층이어도 좋고, 2 이상의 층의 적층체이어도 좋다. 단, 발유성의 발현을 위해서, 통기 필터 중 적어도 한쪽 주면은 발유제에 의해 피복된 PTFE 연신 다공질막의 표면에 의해 구성해야 한다.
통기성 지지체로서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다공질막, 부직포, 직포, 네트, 메쉬, 스펀지, 폼, 금속 다공질막, 금속 메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강도, 탄성, 통기성, 작업성 및 용기에 대한 용착성 등의 관점에서, 통기성 지지체로서는 부직포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다공질막이 바람직하다.
PTFE 연신 다공질막과 통기성 지지체는 단지 단순히 중첩하기만 해도 좋고, 접착제, 핫 멜트 수지 등을 사용하여 접착해도 좋고, 가열 용착, 초음파 용착, 진동 용착 등에 의해 용착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직쇄상 불소 함유 탄화수소기로서,
1) -R1C5F10CH2C4F9, 또는
2) -R2C6F13
을 갖는 발유제가 사용된다. 여기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가 1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인 알킬렌기, 혹은 페닐렌기이다. 상기 1) 또는 2)로 나타내어지는 불소 함유 탄화수소기는 R1 또는 R2가 알킬렌기일 때에는 직쇄상 플루오로알킬기로 된다. 또한, 상기 「직쇄상」이란, 불소 함유 탄화수소기의 탄소 골격이 분기한 2 이상의 말단을 갖지 않는 것을 명확히 하는 취지이며, R1 또는 R2로서 페닐렌기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는 의미는 아니다.
직쇄상 퍼플루오로알킬기(Rf기)는 낮은 표면 자유 에너지를 발현하는 CF3기를 갖고, 피복 표면에 발수 발유성을 부여하는 관능기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탄소수가 8 이상인 Rf기는 결정성이 높기 때문에, 우수한 발유성을 발현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탄소수가 8 이상인 Rf기를 갖는 불소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처리제는 피혁, 종이, 수지 등의 기재에 대한 발수 발유성의 부여에는 적합하다. 그러나, 이 처리제는 PTFE 연신 다공질막과 같은 미다공 구조를 갖는 통기 필터에 적용하면, 통기성의 대폭적인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 처리제에 의해 부여되는 발수 발유성은 높은 동적 접촉각을 필요로 하는 용도에서는 특히 유용하다. 그러나, 통기 필터에서는 일반적으로 톨루엔, 데칸 등의 탄화수소 및 IPA로 대표되는 저급 알코올이 침투하지 않을 정도의 발유성을 부여할 수 있으면 좋다. 직쇄상 불소 함유 탄화수소기로서 상기 1) 또는 2)를 갖는 발유제는 PTFE 연신 다공질막의 표면을 피복하여도, 통기도를 크게 저하시키지 않고, 실용상 충분한 발유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 발유제는 바람직하게는 직쇄상 불소 함유 탄화수소기를 측쇄로서 갖는 불소 함유 중합체이다. 이 불소 함유 중합체에서 직쇄상 불소 함유 탄화수소기는 예를 들어 에스테르기, 에테르기 등의 관능기를 개재하거나, 혹은 직접 주쇄에 결합되어 있다.
직쇄상 불소 함유 탄화수소기로서 상기 1) 또는 2)를 갖는 불소 함유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a) CH2=CR3COOR1C5F10CH2C4F9, 또는
b) CH2=CR4COOR2C6F13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단량체의 적어도 일부로 하는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 R1 및 R2는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단, 높은 발유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a)으로 표시되거나, 혹은 상기 b)에서 R4가 메틸기인 화합물을 단량체로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a) CH2=CR3COOR1C5F10CH2C4F9, 또는
b') CH2=C(CH3)COOR2C6F13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단량체로 하는 중합체가 사용된다. 여기에서도 R1, R2 및 R3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 불소 함유 중합체는 상기 a) 및/또는 b)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만을 단량체로서 중합시킨 것이어도 좋지만, 상기 화합물과 그 밖의 단량체를 공중합시킨 것이어도 좋다. 공중합시키는 경우의 단량체로서는 각종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를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각종 단량체를 사용해도 좋다. 공중합체는 랜덤 공중합체이어도 블록 공중합체이어도 좋다. 단, 공중합체로 하는 경우에는, 발유성의 부여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전체 단량체에 차지하는 상기 a) 또는 b)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비율을 60몰% 이상, 특히 90몰%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합물의 중합 방법은 아크릴계 단량체의 중합 방법으로서 공지된 방법을 따르면 되고, 용액 중합 또는 유화 중합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불소 함유 중합체의 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수 평균 분자량에 의해 표시하며, 예를 들어 1000 내지 500000 정도이다.
PTFE 연신 다공질막의 표면을 발유제에 의해 피복하는 방법으로서는, 발유제를 용제에 용해한 용액에 통기 필터를 침지하는 방법, 상기 용액을 통기 필터에 도포하거나, 또는 분무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발유제에 의한 피복 시에는, PTFE 연신 다공질막의 수축을 방지하기 위해서, 프레임 등을 사용하여 PTFE 연신 다공질막의 단부를 고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액에서의 발유제의 적절한 농도는 피복 방법 등에 의해 상이하지만, 용액에 통기 필터를 침지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0.1 내지 10중량% 정도이다.
발유 처리한 후의 통기 필터의 통기도가 너무 낮으면, 통기 하우징의 내외의 압력차를 신속히 해소할 수 없게 된다. 이 통기도는 걸리 수(Gurley number)에 의해 표시하며, 35초/100ml 이하가 바람직하다(걸리 수가 낮을수록 통기도는 높다). 이하의 실시예에 개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걸리 수가 35초/100ml 이하인 통기성을 갖고, 실용적인 발유성을 갖는 표면을 구비한 통기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 표면은 n-데칸 또는 메탄올인 유기 용매의 직경 5mm의 액적을 적하했을 때에, 적하 후 30초 이내에 액적이 표면에 침투하지 않는 발유성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기 필터로서 요구되는 강도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PTFE 연신 다공질막의 두께가 5㎛ 이상, 나아가 10㎛ 이상이면서도, 상기 정도로 낮은 걸리 수를 갖고, 실용적인 발유성을 갖는 표면을 구비한 통기 필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PTFE 연신 다공질막으로서, 닛토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TEMISH(등록 상표)NTF1131」(크기 15cm×15cm; 두께 0.1mm; 평균 구멍 직경 1㎛)을 준비하였다. 또한, 신에츠 가가쿠사 제조의 발수 발유제 「X-70-041」을 3.0중량%의 농도로 되도록 희석제(신에츠 가가쿠사 제조 「FS 시너」)로 희석하여 발유 처리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X-70-041」은 이하의 식 (a-1)으로 표시되는, 직쇄상 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화합물을 단량체로서 포함하는 중합체를 발유 성분으로 하는 발수 발유제이다.
CH2=CHCOOCH2CH2C5F10CH2C4F9 (a-1)
막이 수축하지 않도록 그 주위를 한 변이 20cm인 프레임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PTFE 연신 다공질막을 20℃로 유지된 상기 발유 처리액 중에 약 3초간 침지하고, 계속해서 상온에서 약 1시간 방치하여 건조시켜서 발유성의 통기 필터를 얻었다.
(실시예 2)
발유제로서 이하의 식 (a-2)으로 표시되는, 직쇄상 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화합물을 단량체로 하는 중합체를 발유 성분으로 하는 신에츠 가가쿠사 제조의 발수 발유제 「X-70-042」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통기 필터를 얻었다.
CH2=C(CH3)COOCH2CH2C5F10CH2C4F9 (a-2)
(실시예 3)
이하의 식 (b-1)으로 표시되는, 직쇄상 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화합물 100g, 중합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g, 용매(신에츠 가가쿠사 제조 「FS 시너」) 300g을 질소 도입관, 온도계, 교반기를 장착한 플라스크 중에 투입하고, 질소 가스를 도입해서 70℃에서 교반하면서 16시간 부가 중합을 행하여, 불소 함유 중합체 80g을 얻었다. 이 중합체의 수 평균 분자량은 100000이었다. 이 불소 함유 중합체를 농도가 3.0중량%로 되도록 희석제(신에츠 가가쿠사 제조 「FS 시너」)로 희석하여 발유 처리액을 제조하였다.
CH2=CHCOOCH2CH2C6F13 (b-1)
상기 발유 처리액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통기 필터를 얻었다.
(실시예 4)
이하의 식 (b-2)으로 표시되는 직쇄상 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화합물 100g, 중합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g, 용매(신에츠 가가쿠사 제조 「FS 시너」) 300g을 질소 도입관, 온도계, 교반기를 장착한 플라스크 중에 투입하고, 질소 가스를 도입해서 70℃에서 교반하면서 16시간 부가 중합을 행하여, 불소 함유 중합체 80g을 얻었다. 이 중합체의 수 평균 분자량은 100000이었다. 이 불소 함유 중합체를 농도가 3.0중량%로 되도록 희석제(신에츠 가가쿠사 제조 「FS시너」)로 희석하여 발유 처리액을 제조하였다.
CH2=C(CH3)COOCH2CH2C6F13 (b-2)
상기 발유 처리액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통기 필터를 얻었다.
(비교예 1)
이하의 식 (c)으로 표시되는 직쇄상 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화합물 100g, 중합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g, 용매(신에츠 가가쿠사 제조 「FS 시너」) 300g을 질소 도입관, 온도계, 교반기를 장착한 플라스크 중에 투입하고, 질소 가스를 도입해서 70℃에서 교반하면서 16시간 부가 중합을 행하여, 불소 함유 중합체 80g을 얻었다. 이 중합체의 수 평균 분자량은 100000이었다. 이 불소 함유 중합체를 농도가 3.0중량%로 되도록 희석제(신에츠 가가쿠사 제조 「FS시너」)로 희석하여 발유 처리액을 제조하였다.
CH2=C(CH3)COOCH2CH2C8F17 (c)
상기 발유 처리액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통기 필터를 얻었다.
이상으로부터 얻은 발유 처리 완료된 통기 필터 및 미처리의 상기 PTFE 연신 다공질막(미처리품)에 대하여, 통기 시험 및 발유 시험을 실시하였다. 통기 시험은 JIS P8117에 규정되어 있는 걸리 시험법에 의해 실시하였다. 또한, 발유 시험은 ISO14419에 규정되어 있는 「직물-발유성- 탄화수소 내성 시험」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통기 필터의 표면에 피펫을 사용하여 유기 용매를 직경 약 5mm의 액적으로서 적하하고, 적하 후 30초 후의 액적의 침투의 유무를 육안에 의해 확인하였다. 유기 용매로서는 n-데칸, 메탄올 및 n-헥산을 사용하였다. 또한, 액적의 침투는 액적이 다공질막에 흡수되는, 혹은 액적의 침투에 의해 다공질막의 색조가 변화된 경우에 「침투한다」고 판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비교예 1에서는 미처리품과 비교하여, 걸리 수가 5배 이상으로 상승하였다. 탄소수 8 이상의 직쇄상 퍼플루오로알킬기(Rf기)가 높은 결정성을 갖는 것은 발유성의 발현에는 유리하지만 PTFE 연신 다공질막이 갖는 미다공 구조의 통기성을 유지하는 면에서는 장애가 된다. 이에 반해, 실시예 1 내지 4에서는 걸리 수의 상승의 정도는 미처리품과 비교하여 1.6 내지 2.5배 정도에 그쳤다.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를 대비하면, 걸리 수에는 2배 정도 이상의 차이가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4에서는 n-데칸(표면 장력 23.83dyn·cm-1) 및 메탄올(표면 장력 22.45dyn·cm-1)을 침투시키지 않는 정도로 발유성을 갖는 표면이 얻어졌다. 이들의 유기 용매를 침투시키지 않는 정도의 표면이면, 통기 필터로서의 용도로는 실용 상의 요구 특성은 만족시키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탄소수가 8 이상인 직쇄상 퍼플루오로알킬기를 갖지 않는 발유제로서 불소 함유 지방족 환 구조를 갖는 불소 수지를 사용하여 PTFE 연신 다공질막을 처리한 예가 개시되어 있다(비교예 3, 4). 특허문헌 1의 이들 예에서 처리된 표면은 n-데칸보다도 표면 장력이 높은 톨루엔(표면 장력 28.52dyn·cm-1) 및 메탄올과 동일 정도의 표면 장력을 갖는 이소프로판올(IPA; 표면 장력 21.32dyn·cm-1)에 대하여 「순시에 젖는」 정도의 발유성에 그치고 있다. 이들 예와 대비하면, 직쇄상 불소 함유 탄화수소기로서, 1) -R1C5F10CH2C4F9 또는 2) -R2C6F13을 갖는 발유제가 PTFE 연신 다공질막의 통기성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고 발유성을 부여하는 발유제로서 현저히 우수한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실시예 1, 2, 4에서는 표면 장력이 20dyn·cm-1을 하회하는 n-헥산(표면 장력 18.40dyn·cm-1)을 침투시키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발유제를 구성하는 단량체로서, a) CH2=CR3COOR1C5F10CH2C4F9 또는 b') CH2=C(CH3)COOR2C6F13이 특히 우수한 것을 이해할 수 있다.

Claims (6)

  1. 발유제에 의해 피복된 표면을 갖는 다공질막을 구비한 통기 필터이며,
    상기 발유제에 포함되는 직쇄상 불소 함유 탄화수소기가
    -R1C5F10CH2C4F9 또는 -R2C6F13
    (여기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가 1 내지 12인 알킬렌기 또는 페닐렌기임)으로 표시되고,
    상기 다공질막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연신 다공질막인, 발유성이 부여된 통기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걸리 수(Gurley number)가 35초/100ml 이하인 통기성을 갖고,
    상기 표면에 n-데칸 또는 메탄올인 유기 용매의 직경 5mm의 액적을 적하했을 때에 적하 후 30초 이내에 상기 액적이 상기 표면에 침투하지 않는 통기 필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연신 다공질막의 두께가 5㎛ 이상인 통기 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유제가,
    CH2=CR3COOR1C5F10CH2C4F9, 또는
    CH2=CR4COOR2C6F13
    (여기에서,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임)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단량체의 적어도 일부로 하는 중합체인 통기 필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유제가
    CH2=CR3COOR1C5F10CH2C4F9, 또는
    CH2=C(CH3)COOR2C6F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단량체로 하는 중합체인 통기 필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에 n-헥산인 유기 용매의 직경 5mm의 액적을 적하했을 때에 적하 후 30초 이내에 상기 액적이 상기 표면에 침투하지 않는 통기 필터.
KR1020137025230A 2011-02-28 2012-02-24 발유성이 부여된 통기 필터 KR1019290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42794 2011-02-28
JP2011042794 2011-02-28
JPJP-P-2011-097649 2011-04-25
JP2011097649 2011-04-25
PCT/JP2012/001289 WO2012117709A1 (ja) 2011-02-28 2012-02-24 撥油性が付与された通気フィルタ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842A Division KR102010203B1 (ko) 2011-02-28 2012-02-24 발유성이 부여된 통기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299A true KR20140016299A (ko) 2014-02-07
KR101929069B1 KR101929069B1 (ko) 2018-12-13

Family

ID=4675765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5230A KR101929069B1 (ko) 2011-02-28 2012-02-24 발유성이 부여된 통기 필터
KR1020187017842A KR102010203B1 (ko) 2011-02-28 2012-02-24 발유성이 부여된 통기 필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842A KR102010203B1 (ko) 2011-02-28 2012-02-24 발유성이 부여된 통기 필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508971B2 (ko)
EP (2) EP3363529A1 (ko)
JP (1) JP5866228B2 (ko)
KR (2) KR101929069B1 (ko)
CN (1) CN103402615B (ko)
BR (1) BR112013021797B1 (ko)
TW (1) TW201302283A (ko)
WO (1) WO20121177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63529A1 (en) 2011-02-28 2018-08-22 Nitto Denko Corporation Oil-repellant ventilation filter
JP6148058B2 (ja) * 2012-04-06 2017-06-14 日東電工株式会社 撥油性が付与された通気シート
JP6037643B2 (ja) * 2012-04-06 2016-12-07 日東電工株式会社 撥油性が付与された通気フィルム
EP2835164B1 (en) * 2012-04-06 2018-05-16 Nitto Denko Corporation Ventilation filter equipped with adhesive layer endowed with oil repellent properties
JP5947655B2 (ja) * 2012-08-02 2016-07-06 日東電工株式会社 ポリ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多孔質膜、並びに、それを用いた通気膜および通気部材
JP2014042878A (ja) * 2012-08-27 2014-03-13 Nitto Denko Corp 撥油性が付与された通気フィルタ
CN106165040B (zh) * 2014-04-04 2019-01-22 东洋纺株式会社 驻极体
US10940415B2 (en) * 2015-10-02 2021-03-09 Toyobo Co., Ltd. Electret and electret filter
KR101864866B1 (ko) * 2016-08-31 2018-06-05 주식회사 다스 가이드 부쉬
JPWO2018116513A1 (ja) * 2016-12-22 2019-10-24 住友電工ファインポリマー株式会社 多孔質材料、ガスセンサ及び多孔質材料の製造方法
JP6933984B2 (ja) * 2018-01-11 2021-09-0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撥油性シート材の製造方法及びガスセンサ
KR102103184B1 (ko) * 2018-09-06 2020-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CN114130122A (zh) * 2021-11-04 2022-03-04 安徽世倾环保科技有限公司 具有疏水拒油功能性聚四氟乙烯覆膜滤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6780A (en) * 1989-07-24 1992-10-20 Gelman Sciences Inc. process for treating a porous substrate to achieve improved water and oil repellency
JPH0673229A (ja) * 1992-01-16 1994-03-15 Mitsubishi Rayon Co Ltd 撥水性多孔質膜及びその製法
JPH06104754B2 (ja) * 1989-07-24 1994-12-21 ジェルマン サイエンシズ テクノロ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改良された撥水性及び撥油性を得るための多孔質基材の処理方法
US20090281239A1 (en) * 2007-01-17 2009-11-12 Asahi Glass Company Limited Oil repellent copolymer, method for its production and oil repellent treatment solution
KR20090117998A (ko) * 2008-05-12 2009-11-1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다공질막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여과재

Family Cites Families (7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56230A (en) 1961-05-03 1966-06-14 Du Pont Polymeric water and oil repellents
US3256231A (en) 1961-05-03 1966-06-14 Du Pont Polymeric water and oil repellents
US3236672A (en) 1962-02-12 1966-02-22 Arkansas Company Inc Durable water and oil repellency
US3823171A (en) 1964-09-21 1974-07-09 Us Agriculture Fluorinated esters
US3384628A (en) 1964-09-21 1968-05-21 Agriculture Usa Fluorinated ester compounds and use thereof
US3524760A (en) 1967-11-24 1970-08-18 Du Pont Process for imparting oil and water repellency to leathers
US3585169A (en) 1968-12-13 1971-06-15 Nalco Chemical Co Fluorocarbon esters and polymers
US3637791A (en) 1969-05-21 1972-01-25 Us Agriculture Fluorinated esters and preparation thereof
EP0247489B1 (en) 1986-05-28 1993-08-25 Daikin Industries, Limited Fluorine containing water and oil repellent composition
DE3769581D1 (de) 1986-09-22 1991-05-29 Mitsubishi Rayon Co Kunststoffmultifilamentfaser als optische faser.
DE69332402T2 (de) 1992-01-27 2003-06-26 Daikin Ind Ltd Verwendung eines behandlungsmittels für faserprodukte, verfahren zum behandeln von faserprodukten und die dadurch behandelten faserprodukte
JP2660312B2 (ja) 1992-05-29 1997-10-08 ヘキスト合成株式会社 含フッ素系水性撥水撥油組成物
DE4308369C2 (de) 1993-03-16 2001-02-01 Gore & Ass Oleophob modifizierte mikroporöse Polymere
JPH0768136A (ja) 1993-09-02 1995-03-14 Tsuchiya Mfg Co Ltd 中空糸膜型分離モジュ−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854223B2 (ja) 1993-09-08 1999-02-03 ジャパンゴアテックス株式会社 撥油防水性通気フィルター
US5879794A (en) 1994-08-25 1999-03-09 W. L. Gore & Associates, Inc. Adhesive-filler film composite
US6083628A (en) 1994-11-04 2000-07-04 Sigma Laboratories Of Arizona, Inc. Hybrid polymer film
JP3668283B2 (ja) 1995-05-16 2005-07-06 三菱樹脂株式会社 多孔質複層プラスチック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3727687B2 (ja) 1995-07-06 2005-12-14 日東電工株式会社 吸着固定用シート
JPH09103662A (ja) 1995-10-10 1997-04-22 Sumitomo Electric Ind Ltd 撥油・撥水性フィルタ
JP3499993B2 (ja) 1995-11-09 2004-02-23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多孔質膜の製造方法及び多孔質膜
JP2000225328A (ja) * 1998-11-30 2000-08-15 Nitto Denko Corp フィルタ用ろ材
US6228477B1 (en) 1999-02-12 2001-05-08 Bha Technologies, Inc. Porous membrane structure and method
US20030106161A1 (en) 2000-01-25 2003-06-12 Takashi Enomoto Treatment of textile product for imparting water and oil repellency
JP2001279578A (ja) 2000-03-30 2001-10-10 Daikin Ind Ltd 繊維製品への撥水撥油処理
JP2001347686A (ja) 2000-04-05 2001-12-18 Nitto Denko Corp インク容器用通気フィル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インク容器
JP2002004177A (ja) 2000-04-20 2002-01-09 Daikin Ind Ltd 繊維製品の撥水撥油処理
KR100575113B1 (ko) 2000-06-21 2006-05-03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다공질 중공 섬유막 및 이의 제조방법
JP4213488B2 (ja) 2002-05-15 2009-01-21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これを用いた通気筐体、通気部材の抜け防止具および通気構造形成キット
US20040122464A1 (en) 2002-12-18 2004-06-24 Edwin Wang Balloon catheter having a microporous distal tip
JP4315366B2 (ja) 2003-02-03 2009-08-19 日東電工株式会社 チップ用フィルター及びチップ
US7678155B2 (en) 2003-04-08 2010-03-16 Daikin Industries, Ltd. Water- and oil-repellent treatment of textile
JP4219739B2 (ja) 2003-06-09 2009-02-04 日東電工株式会社 弾性加圧用シート及び液晶表示板の製造方法
EP1709089B1 (en) 2003-12-31 2008-03-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ater-and oil-repellent fluoroacrylates
US20050175811A1 (en) 2004-02-06 2005-08-11 Daikin Industries, Ltd. Treatment comprising water-and oil-repellent agent
JP2005253711A (ja) 2004-03-12 2005-09-22 Nitto Denko Corp 掃除機用エアフィルタ濾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掃除機用エアフィルタユニット
US20090143262A1 (en) 2005-03-30 2009-06-04 Fujifilm Corporation Lubricant Composition
US20080081772A1 (en) 2006-09-29 2008-04-03 Fujifilm Corporation Mechanical Element
WO2008041750A1 (fr) 2006-10-05 2008-04-10 Asahi Glass Company, Limited Polymère fluoré, son procédé de production et composition hydrofuge et oléofuge
WO2008050780A1 (en) 2006-10-20 2008-05-02 Daikin Industries, Ltd. Treatment comprising water- and oil-repellent agent
JP5241504B2 (ja) 2006-10-31 2013-07-17 株式会社ニコン・エシロール 眼鏡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US7956020B2 (en) 2007-03-29 2011-06-07 Fujifilm Corporation Lubricant composition, mechanical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triazine derivatives
US8079574B2 (en) 2007-05-16 2011-12-20 ZenPure Corp. Membrane based contactor module for mass and heat transfer
JP4693813B2 (ja) 2007-06-12 2011-06-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ノズルプレートの製造方法
JP2009086530A (ja) 2007-10-02 2009-04-23 Fuji Xerox Co Ltd ガイド部材、無端ベルト、無端ベルトの製造方法、無端ベルト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5439743B2 (ja) 2007-10-11 2014-03-12 ユニマテック株式会社 撥水撥油剤
KR100926504B1 (ko) 2007-12-31 2009-11-17 제일모직주식회사 하드코트층을 구비한 플라스틱 시트 및 하드코팅 조성물
US10092881B2 (en) 2008-01-25 2018-10-09 Bha Altair, Llc Permanent hydrophilic porous coatings and methods of making them
US10077327B2 (en) 2008-03-28 2018-09-18 Daikin Industries, Ltd. Fluorine-containing copolymer and water- and oil-repellent agent
US20110021099A1 (en) 2008-03-28 2011-01-27 Hisako Nakamura Fluorine-containing polymer and water-and oil-repellent agent
CN102317420A (zh) 2008-03-28 2012-01-11 富士胶片株式会社 形成涂膜的组合物和方法
US20110020591A1 (en) 2008-03-28 2011-01-27 Daikin Indussries, Ltd. Treatment comprising water- and oil-repellent agent
JP2009242679A (ja) * 2008-03-31 2009-10-22 Daikin Ind Ltd 高純度の含フッ素モノマー組成物およびその重合体からなる表面処理剤
JP2010000464A (ja) 2008-06-20 2010-01-07 Japan Gore Tex Inc 通気フィル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EP2314633B1 (en) 2008-08-12 2013-02-20 Mitsubishi Rayon Co., Ltd. Process for continuously producing acrylic resin sheet
JP2012097125A (ja) 2009-03-04 2012-05-24 Unimatec Co Ltd 含フッ素重合体を有効成分とする表面改質剤
EP2473673B1 (en) 2009-09-01 2016-12-21 Daikin Industries, Ltd. Water and oil resistant agent for paper, treatment process and paper
JP5662177B2 (ja) 2010-01-25 2015-01-28 日東電工株式会社 吸着ユニットへの作業対象物の吸着方法ならびに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5526055B2 (ja) 2010-02-10 2014-06-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ガス分離膜、ガス分離膜の製造方法、ガス混合物の分離方法、ガス分離膜モジュール及び気体分離装置
US8992733B2 (en) 2010-02-15 2015-03-31 Daikin Industries, Ltd. Water and oil resistant agent for paper and paper treatment process
JP5526067B2 (ja) 2010-03-29 2014-06-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ガス分離膜、ガス分離膜の製造方法、それらを用いたガス混合物の分離方法、ガス分離膜モジュール、気体分離装置
CN102985153B (zh) 2010-06-16 2015-02-11 日东电工株式会社 防水透气过滤器及其用途
EP2583734B1 (en) 2010-06-16 2020-12-23 Nitto Denko Corporation Waterproof air-permeable filter and uses thereof
JP2012130885A (ja) * 2010-12-22 2012-07-12 Asahi Glass Co Ltd 撥油防水性通気フィル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363529A1 (en) 2011-02-28 2018-08-22 Nitto Denko Corporation Oil-repellant ventilation filter
JP5872276B2 (ja) 2011-03-03 2016-03-01 日東電工株式会社 防水通音膜および電気製品
US20120285645A1 (en) 2011-03-29 2012-11-15 Daikin Industries, Ltd. Water- and oil-resistant agent having a decreased content of vinyl pyrrolidone monomer
JP2013032483A (ja) 2011-06-28 2013-02-14 Nitto Denko Corp 光学用両面粘着シート、光学部材、タッチパネル、画像表示装置、及び剥離方法
JP2013111507A (ja) 2011-11-25 2013-06-10 Fujifilm Corp ガス分離膜、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ガス分離膜モジュール
JP2013185127A (ja) 2012-03-09 2013-09-19 Nitto Denko Corp 油水分離方法、含油水の処理方法、ビチェーメンの生産方法およびそれらのシステム
ES2786126T3 (es) 2012-03-16 2020-10-08 Daikin Ind Ltd Agente resistente al agua/resistente al aceite para papel
JP6148058B2 (ja) 2012-04-06 2017-06-14 日東電工株式会社 撥油性が付与された通気シート
JP6037643B2 (ja) 2012-04-06 2016-12-07 日東電工株式会社 撥油性が付与された通気フィルム
JP5854948B2 (ja) 2012-08-02 2016-02-09 日東電工株式会社 ポリ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黒色多孔質膜、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通気膜および通気部材
JP2014102970A (ja) 2012-11-20 2014-06-05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6780A (en) * 1989-07-24 1992-10-20 Gelman Sciences Inc. process for treating a porous substrate to achieve improved water and oil repellency
JPH06104754B2 (ja) * 1989-07-24 1994-12-21 ジェルマン サイエンシズ テクノロ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改良された撥水性及び撥油性を得るための多孔質基材の処理方法
JPH0673229A (ja) * 1992-01-16 1994-03-15 Mitsubishi Rayon Co Ltd 撥水性多孔質膜及びその製法
US20090281239A1 (en) * 2007-01-17 2009-11-12 Asahi Glass Company Limited Oil repellent copolymer, method for its production and oil repellent treatment solution
KR20090117998A (ko) * 2008-05-12 2009-11-1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다공질막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여과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08971B2 (en) 2016-11-29
BR112013021797A2 (pt) 2016-10-25
KR101929069B1 (ko) 2018-12-13
EP3363529A1 (en) 2018-08-22
CN103402615A (zh) 2013-11-20
JP2012236188A (ja) 2012-12-06
BR112013021797B1 (pt) 2020-12-29
US20140023895A1 (en) 2014-01-23
WO2012117709A1 (ja) 2012-09-07
EP2682178A1 (en) 2014-01-08
TW201302283A (zh) 2013-01-16
EP2682178B1 (en) 2021-01-27
KR20180077289A (ko) 2018-07-06
CN103402615B (zh) 2015-12-09
KR102010203B1 (ko) 2019-08-12
JP5866228B2 (ja) 2016-02-17
EP2682178A4 (en) 201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0203B1 (ko) 발유성이 부여된 통기 필터
US6676993B2 (en) Porous membrane structure and method
US8088445B2 (en) Process to increase the oleophobicity of PTFE, and resulting oleophobic articles
US6884375B2 (en) Hydrophobic membrane materials for filter venting applications
US9254467B2 (en) Oil repellency-imparted air-permeable filter with adhesive layer
EP1381443A2 (en) Oleophobic membrane materials by oligomer polymerization for filter venting applications
TW201236741A (en) Oil-repellent waterproof air-permeable filt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6037643B2 (ja) 撥油性が付与された通気フィルム
JP7180830B2 (ja) 多孔性フッ素系樹脂複合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4042878A (ja) 撥油性が付与された通気フィルタ
JP6880467B2 (ja) フッ素系樹脂多孔性膜、その製造方法及び自動車用ベントフィルター
WO2017017948A1 (ja) 撥油性が付与された通気フィルタ
US20070077407A1 (en) Composite article having oleophobic propertie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230311070A1 (en) Surface-treated porous materials having filtration properties and methods of preparing th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