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329A - 배선 장치용 부착판 및 배선 장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배선 장치용 부착판 및 배선 장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329A
KR20140003329A KR1020130066445A KR20130066445A KR20140003329A KR 20140003329 A KR20140003329 A KR 20140003329A KR 1020130066445 A KR1020130066445 A KR 1020130066445A KR 20130066445 A KR20130066445 A KR 20130066445A KR 20140003329 A KR20140003329 A KR 20140003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late
wiring device
attachmen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6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1212B1 (ko
Inventor
이종호
이병훈
강호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03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6Assembled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0Wall-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4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02G3/085Inlets including knock-out or tear-out s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배선 장치용 부착판은, 적어도 배선 장치를 유지하고 건물의 설치 표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배선 장치의 전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를 가지는, 배선 장치용 월 플레이트가 부착판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착판은,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배선 장치가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레임; 및 합성 수지로 만들어지고, 상기 프레임과는 별개로 형성되며 상기 월 플레이트에 제공된 결합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결합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연결 부분(joined part)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선 장치용 부착판 및 배선 장치 어셈블리{ATTACHMENT PLATE FOR WIRING DEVICE AND WIRING DEVICE ASSEMBLY WITH SAM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적어도 배선 장치를, 건물 벽과 같은 설치 표면의 홀 컷(hole cut)에 설치하기 위한 배선 장치용 부착판, 및 배선 장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일본특허공보 No.2010-193553(이하 "문헌 1"이라 함)에는 배선 장치용 판(plate) 및 배선 장치 어셈블리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판을 이하 "월 플레이트(wall plate)"라고 칭한다. 문헌 1에서, 스위치나 콘센트 같은 배선 장치를 건물 벽과 같은 설치 표면의 홀 컷에 설치할 때, 매립 박스(스위치 박스)가 구멍에 설치되고 배선 장치가 부착되는 부착판이 매립 박스에 나사로 고정된다. 그런 다음 부착판을 매립 박스 등에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의 머리가 부착판으로 감추어지도록 월 플레이트가 부착판의 전면에 부착되고, 이에 의해 외관이 개선된다.
문헌 1에 개시된 월 플레이트는 합성 수지 몰딩이고, 월 플레이트의 배면에 있는 돌출편(projection pieces)은 금속제의 부착판에 제공된 결합 구멍의 내주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 네일(nail)과 결합하며, 이에 의해 월 플레이트가 부착판에 부착된다.
월 플레이트를 부착판에 여러 번 붙였다 떼었다 하면, 돌출편이 마모되어, 월 플레이트의 돌출편과 부착판의 네일 간의 결합력이 약해진다. 이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돌출편이 금속제의 네일과 결합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월 플레이트를 부착판에 여러 번 붙였다 떼었다 하더라도, 배선 장치용 월 플레이트와 배선 장치용 부착판 간의 결합력이 약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배선 장치용 부착판(2)은, 적어도 배선 장치(100)를 유지하고 건물의 설치 표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배선 장치(100)의 전면을 노출시키는 개구(62)를 가지는, 배선 장치용 월 플레이트가 부착판(2)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착판(2)은,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배선 장치(100)가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레임(20); 및 합성 수지로 만들어지고, 상기 프레임(20)과는 별개로 형성되며 상기 월 플레이트(5)에 제공된 결합부(64a)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결합 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 부재(30)는 상기 프레임(20)의 전면(front side)으로부터 상기 프레임(20)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2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연결 부분(joined part)(32)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 부재(30)는, 상기 프레임(20)의 전면에서, 상기 월 플레이트(5)로 덮이는 영역에 부착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 부재(30)는, 상기 프레임(2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 부분(32)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 부재(30)는, 상기 프레임(20)의 전면을 따라 배치되는 프론트 베이스(31)로서, 상기 프론트 베이스(31)의 단부가 상기 프레임(20)의 전면을 따르는 방향(D2)으로 상기 결합부(64a)에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기 프론트 베이스(31); 및 상기 프론트 베이스(3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각각 구성되어 있는 다리부(32 및 32)를 포함한다. 상기 다리부(32 및 32)는 각각의 다리부(32)가 상기 프레임(20)에 제공된 대응하는 결합 구멍(28)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다리부(32)의 선단(34)은 대응하는 결합 구멍(28)의 내부 주변 가장자리와 결합한다. 각각의 다리부(32 및 32)는 상기 연결부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배선 장치 어셈블리(1)는, 배선 장치(100); 상기 배선 장치(100)를 유지하고 건물의 설치 표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술한 배선 장치용 부착판 중 임의의 하나의 부착판(2); 및 상기 부착판(2)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기 배선 장치용 월 플레이트(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선 장치용 부착판 및 배선 장치 어셈블리에서,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배선 장치용 월 플레이트는 월 플레이트에 제공된 결합부를 부착판에 고정된 결합 부재와 결합시킴으로써 금속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에 고정된다. 결합 부재는 부착판과는 별도로 합성 수지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월 플레이트가 부착판에 여러 번 붙였다 떼었다 하는 경우,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월 플레이트의 연결부가 마모되어 부착판과 월 플레이트 간의 결합이 느슨하게 될 우려가 있다. 결합 부재는 프레임의 전면으로부터 프레임에 부착되므로, 월 플레이트가 프레임의 전면에 부착될 때 월 플레이트는 결합 부재에 대한 압착대(presser) 역할을 하고, 이에 의해 결합 부재가 빠지지 않게 된다. 부착판과 월 플레이트가 건물의 설치 표면에 고정되어 있을 때에도, 결합 부재는 부착판에서 월 플레이트를 떼어내기만 함으로써 쉽게 교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하게 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부착판의 주요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b는 실시예의 배선 장치 어셈블리의 주요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c는 부착판의 주요부에 대한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2a는 부착판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2b는 결합 부재를 뒤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a는 부착판의 정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A-A 라인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c는 부착판의 배면도이다.
도 3d는 도 3b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a는 실시예의 플레이트 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C-C 라인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c는 플레이트 본체의 배면도이다.
도 4d는 플레이트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5a는 배선 장치와 함께 장착되는 부착판의 정면도이다.
도 5b는 부착판의 우측면도이다.
도 5c는 부착판의 배면도이다.
도 5d는 부착의 하부 측면도이다.
도 6은 배선 장치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배선 장치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예의 배선 장치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부착판과 플레이트 본체 간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의 배선 장치 어셈블리(1)는 (적어도) 매립형 배선 장치(100), 상기 배선 장치(100)용 부착판(이하, "부착판"으로 약칭함)(2) 및 상기 배선 장치용 월 플레이트(이하 "월 플레이트"로 약칭함)(5)로 형성된다. 월 플레이트(5), 부착판(2) 및 배선 장치(100)는 건물의 벽과 같은 설치 표면의 수직에 대응하는 제1 방향(예를 들어, 깊이 방향) D1에서 제1 측면으로부터 제2 측면으로의 순서로 배치된다. 실시예에서, 배선 장치(100) 및 배선 장치의 구성요소와 관련해서 제1 방향 D1에서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은 각각의 요소의 "전면(front side)" 및 "배면(back side)"을 각각 나타낸다.
부착판(2)은 적어도 배선 장치(100)를 유지하고 건물의 설치 표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금속으로 이루어진 프레임(20), 및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결합 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20)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20)은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고(주물), 제1 방향 D1에 수직인 제2 방향(예를 들어, 높이 방향) D2로 연장하는 사각형 프레임의 형상이다. 도 6의 예에서, 프레임(20)은 제2 방향 D2에서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예를 들어,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위치하는 2개의 부착편(attachment piece)(21(21A) 및 21(21B)), 상기 2개의 부착편(21(21A) 및 21(21B))의 제1 단부(예를 들어, 좌단부) 간의 유지편(retaining piece)(22(22A)), 및 상기 2개의 부착편(21(21A) 및 21(21B))의 제2 단부(예를 들어, 우단부) 간의 유지편(22(22B))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즉, 부착편(21 및 21)과 유지편(22 및 22)으로 에워싸이는 사각형 개구(23)가 형성되고, 배선 장치(100)에 포함되어 있는 스위치 본체(101)의 전면 부분(제1 방향 D1에서의 제1 측면의 일부)이 개구(23)에 삽입된다.
유지편(22 및 22) 각각은 개구(23)를 에워싸는 내부 가장자리가 후방으로 연장되는 L자형 단면을 가지며, 그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유지 구멍(24)을, 적어도 배선 장치(100)를 유지하기 위한 부착 부분으로서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부착편(21)은 프레임(20)을 건물의 벽과 같은 설치 표면의 홀 컷(hloe cut)에 설치된 매립 박스(도시되지 않음)에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나사 삽입용 구멍(25); 및 프레임(20)을 설치 표면의 벽 재료에 직접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나사 삽입용 구멍(26 및 26)을 구비한다. 각각의 구멍(25, 26)은 깊이 방향 D1로 관통하고 있다. 각각의 구멍(25)은 제2 방향 D2(및 제1 방향 D1)에 수직인 제3 방향(예를 들어, 폭 방향) D3로 더 길며, 매립 박스(도시되지 않음)의 나사니 구멍(threaded hole)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한다. 프레임(20)을 매립 박스에 고정할 때, 작업자는 마운팅 나사를 구멍(25 및 25)을 통해 매립 박스의 나사산 구멍에 꽂으며, 이에 의해 프레임(20)이 매립 박스에 고정된다. 프레임(20)을 설치 표면의 벽 재료에 나사를 이용해서 직접 고정시킬 때는, 작업자는 우드 나사를 구멍(26)을 통해 벽 재료에 직접 꽂으며, 이에 의해 프레임(20)이 벽 재료에 직접 고정된다.
도 6 및 도 9a-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부착편(21)은 (예를 들어, 2개의) 직사각형 결합 구멍(27 및 27)을 구비하는데, 이 결합 구멍은 깊이 방향 D1로 관통되도록 부착편(21)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이 결합 구멍을 통해 월 플레이트(5)의 대응하는 돌출편(64 및 64)이 삽입된다.
도 3a-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은 (예를 들어, 4개의) 사각형 요부(concave portion)(29)를 구비하는데, 이 요부 각각은 높이 방향 D2의 중심 측에서 (예를 들어, 4개의) 결합 구멍(27)에 인접해서 배치된다. 각각의 요부(29)는 예를 들어 높이 방향 D2에서 나란하게 그 바닥에 2개의 결합 구멍(28 및 28)을 구비하여, 깊이 방향 D1으로 프레임(20)을 통해 관통한다. 각각의 결합 부재(30)의 2개의 다리부(32 및 32)를 대응하는 요부(29)의 2개의 결합 구멍(28 및 28)에 삽입함으로써 결합 부재(30) 각각이 요부(29)에 놓이게 되어, 프레임(20)에 (예를 들어, 4개의) 결합 부재(30)가 고정된다. 도 1a-1c 및 도 2a-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결합 부재(30)는 2개의 네일(nail)(34 및 34)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외부면 상에 2개의 다리부(32 및 32)를 포함한다. 프레임(20)은 결합 구멍(28)의 내부 주변 표면상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테이퍼형 표면(28a)을 포함하여, 전면(제1 방향 D1의 제1 측면)에 위치하게 되며, 이러한 테이퍼형 표면은, 결합 부재(30)가 대응하는 요부(29)에 놓일 때, 결합 부재(30)의 대응하는 다리부(32)와 접촉하여 네일(34)을 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다리부(32)가 구부려진다. 프레임(20)은 또한 배면(제1 방향 D1의 제2 측면)에 위치하게 되도록, 결합 구멍(28)의 내부 주변 표면상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recess)(28b)를 포함하며, 오목부 각각은 대응하는 결합 구멍(28)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다리부(32)의 네일(34)과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결합 부재(30)는 전기 절연을 가지는 합성 수지 몰딩이다. 도 1a-1c 및 도 2a-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결합 부재(30)는 프론트 베이스(31) 및 2개의 다리부(32 및 32)를 일체로 포함하며, 옆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 부재(30)는 프론트 베이스(31)의 전면 표면이 요부(29)에 배치될 때 프레임(20)의 전면 표면과 동일 평면이 되도록 형성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부재(30)의 2개의 다리부(32 및 32)는 프론트 베이스(31)의 후면(도면에서 하부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며 요부(29)의 바닥에서의 결합 구멍(28 및 28)에 삽입된다. 높이 방향 D2에서의 프론트 베이스(31)의 제1 단부(인접하는 결합 구멍(27)의 한 쪽에 있는 단부)는 결합 부재(30)가 프레임(20)에 부착되는 결합 구멍(27)으로 돌출하고, 옆에서 보는 바와 같이 쇄기형(wedge-shaped) 네일(33)이 제1 단부의 선단에 제공된다. 네일(33)을 구비하는 프론트 베이스(31)의 제1 단부 측면은 프론트 베이스(31)의 제2 단부 측면보다 큰 두께를 가지고 있어서 네일(33)의 강도를 확실하게 한다. 결합 부재(30)의 2개의 다리부(32 및 32) 각각은 다리부(32 및 32)의 선단의 외부 표면(즉, 다리부(32 및 32)의 마주하는 표면의 반대 표면) 상에 형성된 네일(34 및 34)을 포함한다.
결합 부재(30)는 다음과 같이 프레임(20)에 부착된다. 작업자는 결합 부재(30)의 네일(33) 측을 요부(29)에 인접하는 결합 구멍(28) 쪽으로 향하게 한 다음, 결합 부재(30)가 전면으로부터 요부(29)를 누르도록, 결합 부재(30)의 다리부(32 및 32)를 요부(29)의 결합 구멍(28 및 28)과 정렬시킨다. 이때, 다리부(32 및 32)의 선단에 있는 네일(34 및 34)은 전면에서 결합 구멍(28 및 28)의 내부 주변 표면에 제공된 테이퍼형 표면(28a 및 28a)과 접촉하여 이 테이퍼형 표면(28a 및 28a)에 의해 밀리게 되고, 이에 의해 다리부(32 및 32)가 접근 방향으로 구부려진다. 작업자가 결합 부재(30)를 후방으로 더 밀면, 네일(34 및 34)은 테이퍼형 표면(28a 및 28a)을 넘어가서 결합 구멍(28 및 28)을 통해 프레임(20)의 뒤로 돌출하게 되고, 그런 다음 결합 구멍(28 및 28)의 배면(back side)의 주변 가장자리에 제공된 오목부(28b 및 28b)와 결합한다. 그 결과, 결합 부재(30)는 프레임(20)에 고정된다. 도 1a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베이스(31)가 요부(29)에 놓이고 프론트 베이스(31)의 네일(33)이 결합 구멍(27)으로 돌출한다.
부착판(2)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월 플레이트(5)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 플레이트(5)는 합성 수지로 만들어지고 직사각형 프레임 형태로 형성된 플레이트 본체(6); 및 합성 수지보다 단단한 재료로 만들어지고 플레이트 본체(6)의 전면에 붙여지는 월 플레이트 덮개(7)를 포함한다.
도 4a -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본체(6)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등과 같이, 탄성이 있는 합성 수지 재료로 만들어진 수지 몰딩이고, 직사각형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고 그 중심부에 직사각형 개구(62)를 가지는 프론트 플레이트(60); 및 프론트 플레이트(60)의 주변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단부 벽(61)을 일체로 포함한다. 개구(62)의 크기는 부착판(2)의 개구(23)보다 약간 크게 설정된다. 플레이트 본체(6)의 높이(높이 방향 D2로의 크기) 및 깊이(깊이 방향 D3으로의 크기)는 부착판(2)의 높이(높이 방향으로의 크기) 및 깊이(깊이 방향으로의 크기)보다 각각 크게 설정된다.
프론트 플레이트(60)는 자신의 좌측에 형성되고 전진 돌출 마운트(mount protruding forward)형으로 형성된 돌출부(63)를 구비한다. 돌출부(63)는 직사각형 플레이트의 긴 방향이 플레이트 본체(6)의 긴 방향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프론트 플레이트(60)는, 자신의 후면에 형성되고 프레임(20)의 네 모서리에 위치하는 결합 구멍(27)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각각 돌출하여 대응하는 결합 구멍(27)으로 삽입되는 4개의 돌출편(64)을 구비한다. 각각의 돌출편(64)은 (폭 방향 D3에서의) 폭 및 이 폭보다 얇은 (높이 방향 D2에서의) 두께를 가지며, 돌출편의 선단 측은 높이 방향 D2로 자유롭게 구부려진다. 도 1a -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돌출편(64)은 돌출편(64)의 정점 부분(apical part)(후단부)에 결합니(engagement teeth)(결합부)(64a)를 구비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돌출편(64)의 결합니(64a)는 대응하는 결합 부재(30)에 마주하는 결합니(64a)의 돌출편(64)의 한 쪽에 형성되고(상위 2개의 돌출편(64 및 64)의 각각의 아래쪽 및 하위 2개의 돌출편(64 및 64)의 각각의 위쪽), 대응하는 결합 부재(30)의 네일(33)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돌출편(64)이 각각 결합 구멍(27)에 삽입되고 각각의 돌출편(64)의 결합니(64a)가 대응하는 결합 부재(30)의 네일(33)과 결합하고, 그런 다음 플레이트 본체(6)가 프레임(20)에 부착된다. 각각의 돌출편(64)의 결합니(64a)는 3개의 삼각형 홈이 깊이 방향 D1로 배치되는 형상(이를 톱니 형상이라 칭함)으로 되어 있어서, 깊이 방향 D1에서의 복수의 부착 위치(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부착 위치) 중 임의의 위치에서 대응하는 결합 부재(30)의 네일(33)과 결합한다.
도 4a -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플레이트(60)는 대응하는 돌출편(64) 주위부에 깊이 방향 D1으로 프론트 플레이트(60)를 관통하는 U자형 슬릿(6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슬릿(65)은 대응하는 돌출편(64)의 인접하는 결합 부재(30)(즉, 상위 돌출편(64 및 64)의 아래쪽 및 하위 돌출편(64 및 64)의 위쪽) 및 폭 방향 D3으로 돌출편(64)의 양쪽을 에워싸도록 형성된다. 그 결과, 각각의 돌출편(64)의 선단측(후단부측)이 대응하는 결합 부재(30)에 반대 방향으로 쉽게 구부려진다.
작업자가 플레이트 본체(6)(월 플레이트(5))를 부착판(2)에 부착할 때 또는 플레이트 본체(6)를 부착판(2)에서 분리시키려 할 때, 돌출편(64)은 결합 부재(30)의 네일(33)에 의해 각각 밀리고 각각의 돌출편(64)은 대응하는 네일(33)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네일(33) 각각이 돌출편(64)을 가하는 힘은 플레이트 본체(6) 내의 돌출편(64)의 근관 단부(root end)에도 가해지지만, 접착력(6)과 월 플레이트 덮개(7) 간의 접착력이 돌출편(64) 주변에 제공된 슬릿(65)에 의해 감소되고, 이에 따라 돌출편(64)의 근관 단부가 쉽게 구부려진다. 그러므로 돌출편(64) 각각이 결합 부재(30)의 네일(33)에 의해 밀릴 때, 플레이트 본체(6) 내의 돌출편(64)의 근관 단부도 돌출편(64)과 함께 구부려지고 이에 의해 돌출편(64)은 결합 부재(30)와 결합하거나, 또는 각각의 돌출편(64)에 가해지는 응력이 감소하면서 돌출편(64)이 결합 부재(30)에서 떼어진다.
월 플레이트 덮개(7)는 단단한 판 재료를 처리함으로써 U자형으로 형성되어, 돌출 부분(63)을 제외한 플레이트 본체(6)의 전체 프론트 플레이트(60)를 거의 덮는다. 월 플레이트 덮개(7)는 접착제가 발라져 있는 양 측면 상의 U자형 접착 시트를 통해 플레이트 본체(6)의 전면에 붙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월 플레이트 덮개(7) 및 플레이트 본체(6)는 접착 시트(8)를 통해 함께 붙지만, 접착제(일례로, 젤라틴 접착제)와 같은 접착 재료가 접착 시트(8) 대신 사용될 수도 있다. 접착 시트(8)는 플레이트 본체(6)와 월 플레이트 덮개(7) 간에 개입하지만, 도 1b 및 도 9a - 도 9b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다음에는 부착판(2)에 부착되는 배선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 - 도 5d, 도 6 및 도 7의 예에서, 배선 장치(100)는 접촉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스위치 기구를 케이스(103)가 하우징하는 스위치 본체(101), 및 상기 스위치 본체(101)에 의해 지지되고 폭 방향 D3으로 조작 핸들(102)의 어느 한쪽을 중심으로, 지렛점으로 해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조작 핸들(102)을 포함한다. 스위치 본체(101)는 푸시 버튼(104)을 구비하는데, 이 푸시 버튼은 스위치 본체(101)의 전면에 위치하고 케이스(103)에 대해 후방으로 눌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103)는 푸시 버튼(104)이 눌려질 때마다 접촉부 간의 ON 및 OFF를 전환하는 스위치 기구를 하우징한다. 케이스(103)는 앞에서 볼 때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2개의 부착 네일(105 및 105)이 긴 방향(폭 방향 D3)으로 케이스(103)의 각각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03)는 신축편(flexible piece)(106)을 포함하는데, 이 신축편은 2개의 부착 네일(105 및 105)을 구비하고 케이스(103)의 한 쪽(본 실시예에서는 오른쪽)에 위치하여 케이스(103)의 측면에 수직인 방향(D3)으로 자유롭게 구부려진다. 신축편(106)을 케이스(103) 쪽의 방향으로 누르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 신축편(106) 상의 부착 네일(105 및 105)이 케이스(103) 쪽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케이스(103)는 2개의 보스(boss)(107 및 107)를 포함하는데, 이 보스는 케이스(103)의 전면에 위치하고 케이스(103)의 긴 방향(폭 방향 D3)으로 제1 측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다. 보스(107 및 107)는 원통형 부분을 각각 포함하는데, 이 원통형 부분은 보스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고 원통형 부분의 축 방향은 높이 방향 D2와 평행하다. 보스(107 및 107)의 선단에 있는 원통형 부분은 조작 핸들(102)의 후면에 제공된 홈(도시되지 않음)과 결합하고, 이에 의해 조작 핸들(102)은 스위치 본체(101)에 의해 지지받으면서 스위치 본체(101)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케이스(103)는 홈(108 및 108)을 구비하는데, 이 홈은 케이스(103)의 전면에 위치하고 긴 방향(폭 방향 D3)으로 케이스(103)의 제2 측면(본 실시예에서는 우측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조작 핸들(102)은 돌출편(109 및 109)을 포함하는데, 이 돌출편은 조작 핸들(102)의 후면에 형성되어 홈(108 및 108)에 삽입하도록 되어 있으며, 돌출편(109 및 109)의 선단에는 네일(109a 및 109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네일(109a 및 109a) 각각은 홈(108 및 108)의 개구 가장자리에 갈고리로 걸리도록 되어 있어서, 스위치 본체(101)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조작 핸들(102)의 단부가 뜨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스위치 본체(101)를 프레임(20)에 부착할 때, 작업자는 먼저, 신축편(106)을 구비하지 않는, 스위치 본체(101)의 제1 측면(본 실시예에서는 좌측면) 상의 부착 네일(105 및 105)을 대응하는 유지 구멍(24 및 24)에 삽입한다. 좌측면 상의 부착 네일(105 및 105)이 유지 구멍(24 및 24)과 결합할 때, 작업자가, 신축편(106)을 구비하지 않는, 스위치 본체(101)의 제2 측면(본 실시예에서는 우측면) 상의 부착 네일(105 및 105)을 대응하는 유지 구멍(24 및 24)에 삽입하면, 신축편(106)이 구부려지고 우측면 상의 부착 네일(105 및 105)은 대응하는 유지 구멍(24 및 24)과 결합한다. 그러므로 좌우측면 상의 부착 네일(105)은 각각 유지 구멍(24)과 결합하고, 이에 따라 스위치 본체(101)가 프레임(20)(부착판(2))에 부착된다. 프레임(20)에서 스위치 본체(101)를 떼어낼 때는, 작업자는 신축편(106)을 케이스(103) 쪽 방향으로 눌러 유지 구멍(24 및 24)에서 우측면 상의 부착 네일(105 및 105)을 분리시킨다. 그런 다음 작업자가 스위치 본체(101)를 부착 네일(105 및 105)과 유지 구멍(24 및 24) 간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프레임(20)의 후면 측으로 누르면, 스위치 본체(101)가 프레임(20)으로부터 분리된다.
도면에 도시된 배선 장치(100)의 스위치 본체(101)는 한 세트의 부착 부분(예를 들어, 4개의 유지 구멍(24))을 통해 부착판(2)에 부착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한 세트를 "부착 세트"라 칭한다. 스위치 본체(101)의 전면의 높이(높이 방향 D2의 크기)는 개구(23)의 높이(높이 방향 D2의 크기)의 약 1/3이다. 부착판(2)은 3개의 부착 세트를 가지고 있어서 스위치 본체(101)는 하나의 부착판(2)에 부착될 수 있고 3개의 부착판에까지 부착될 수 있다. 스위치 본체(101)의 치수가 배선 장치용 단위 치수로서 정해져 있는 경우, 단위 치수를 가지는 단지 하나의 스위치 본체(101)만이 부착판(2)에 부착될 때, 스위치 본체(101)는 높이 방향 D2로 부착판(2)의 중심 부착 세트에 부착된다. 단위 치수를 각각 가지는 2개의 스위치 본체(101)가 부착판(2)에 부착될 때, 스위치 본체(101)가 높이 방향 D2로 부착판(2)의 상위 부착 세트 및 하위 부착 세트에 부착된다. 단위 치수를 각각 가지는 3개의 스위치 본체(101)가 부착판(2)에 부착될 때, 스위치 본체(101) 각각이 3개의 부착 세트 모두에 부착된다. 단지 하나의 스위치 본체(101)가 부착판(2)에 부착될 때는, 개구(23) 전체를 거의 덮을 수 있는 영역을 가지는 조작 핸들(102)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2개의 스위치 본체(101)가 부착판(2)에 부착될 때는, 높이 방향 D2로 조작 핸들(102)의 반과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각각 가지는 2개의 조작 핸들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3개의 스위치 본체(101)가 부착판(2)에 부착될 때는, 단지 하나의 스위치 본체(101)가 부착될 때 사용되는, 조작 핸들(102)의 1/3과 높이 방향 D2로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각각 가지는 3개의 조작 핸들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통상적으로 집과 같은 건물의 내벽에 벽지(천)를 먼지 붙인다. 장치의 배면 부분이 벽에 매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매립형 배선 장치를 벽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장치를 매립하기 위한 영역 주변의 벽지를 제거하고 그 영역에 구멍을 내야 한다. 이러한 사전 작업에 있어서, 구멍에 붙여져 있는 벽지를 깔끔하게 제거하지 못해서 벽지가 그 구멍에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가 구멍의 주변으로부터 돌출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도급업자는 통상적으로 벽지의 돌출 부분을 부착판(2)과 벽 사이에 삽입한다. 이러한 설치함으로써, 월 플레이트(5)가 성공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그렇지만, 편의상 부착판(2)을 벽에 설치될 매립 박스에 부착한 다음 도배하는 경우에는, 벽지의 돌출 부분이 부착판(2)과 벽 사이에 삽입될 수 없으며, 결과적으로 월 플레이트(5)와 벽 사이에 삽입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벽지가 월 플레이트(5)와 벽 사이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플레이트 본체(6)가 벽지의 두께만큼 앞으로 떠 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성요소의 각각의 치수는, 플레이트 본체(6)의 배면(즉, 단부 벽(61)의 배면)과 부착판(2)의 배면(즉, 벽) 사이에 미리 정해진 레벨 차가 제공되도록 설정되고, 이러한 상황에서, 플레이트 본체(6) 내의 각각의 돌출편(64)의 결합니(64a)가 대응하는 결합 부재(30)의 네일(33)과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플레이트 본체(6)가 부착판(2)에 부착될 때, 벽지의 돌출 부분이 플레이트 본체(6)의 배면과 벽 사이의 틈(gap)에 삽입된다. 그 결과, 플레이트 본체(6)가 벽에서 떠 있는 상태에서 플레이트 본체(6)를 부착판(2)에 부착할 수 있다.
두께가 다른 다양한 벽지에서, 두께가 0.5 내지 1.0mm인 벽지를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그러므로 실시예는, 플레이트 본체(6)(즉, 단부 벽(61)의 배면)와 부착판(2)의 배면(2)(즉, 벽) 간의 레벨 차를 약 0.6mm, 약 1.2mm 및 약 1.8mm의 3단계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니(64a)가 깊이 방향 D1로 배치되는 3개의 삼각형 홈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각각의 홈은 대응하는 결합 부재(30)의 네일(33)과 결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네일(33)과 결합하고 있는 결합니(64a)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부착판(2)에 대한 월 플레이트(5)의 부착 위치를 깊이 방향 D1에서 3단계로 조정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일(33)이 결합니(64a)의 3개의 삼각형 홈 중 앞쪽 삼각형 홈에 결합할 때, 부착판(2)에 대한 월 플레이트(5)의 부착 위치는 가장 안쪽에 위치한다. 그 결과, 월 플레이트(5)의 후단부와 벽 간의 틈이 최소로 된다(약 0.6mm).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일(33)이 결합니(64a)의 3개의 삼각형 홈 중 뒤쪽 삼각형 홈에 결합할 때, 부착판(2)에 대한 월 플레이트(5)의 부착 위치는 전면에 위치한다. 그 결과, 월 플레이트(5)의 후단부와 벽 간의 틈이 최대로 된다(약 1.8mm).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일(33)이 결합니(64a)의 3개의 삼각형 홈 중 가운데 삼각형 홈에 결합할 때, 부착판(2)에 대한 월 플레이트(5)의 부착 위치는 전술한 부착 위치 중 중간 위치에 위치한다. 그 결과, 월 플레이트(5)의 후단부와 벽 간의 틈이 약 1.2mm로 된다.
대응하는 결합 부재(30)의 네일(33)과 결합하고 있는 각각의 돌출편(64)의 결합니(64a)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월 플레이트(5)의 후단부와 벽 간의 틈을 3단계로 조정할 수 있다. 대응하는 결합 부재(30)의 네일(33)과 결합하고 있는 각각의 돌출편(64)의 결합니(64a)의 위치를 변경하여, 벽지의 두께에 대응해서 틈을 최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부착판(2)(배선 장치용 부착판)은 배선 장치(100)를 유지하고 건물의 설치 표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배선 장치(100)의 전면에 개구(62)가 노출되어 있는 월 플레이트(5)(배선 장치용 월 플레이트)가 부착판(2)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착판(2)은: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고, 배선 장치(200)가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레임(20); 및 합성 수지로 만들어지고, 프레임(20)과는 별개로 형성되며 월 플레이트에 제공된 결합니(64a)(결합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결합 부재(30)를 포함한다. 결합 부재(30)는 프레임(20)의 전면(front side)으로부터 프레임(20)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프레임(2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연결 부분(joined part)(다리부(32 및 32)로 이루어져 있고, 다리부(32) 각각의 선단에는 네일(34)이 형성되어 있음)을 포함한다.
월 플레이트(5)에 제공된 결합부(연결니(64a)를 각각 구비함)를 부착판(2)에 고정된 결합 부재(30)와 결합시킴으로써,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월 플레이트(5)가 금속으로 이루어진 프레임(20)에 고정된다. 각각의 결합 부재(30)는 부착판(2)과는 별도로 형성되고 합성 수지로 만들어지며, 이에 따라 월 플레이트(5)를 부착판(2)에 여러 번 붙였다 떼었다 하더라도, 합성 수지로 각각 만들어진 결합 부분(64a)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 결과, 부착판(2)에 연결된 월 플레이트(5)가 분리될 우려가 없는 부착판(2)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결합 부재(3)는 프레임(20)의 전면으로부터 프레임(20)에 부착되며, 이에 따라 월 플레이트(5)가 프레임(20)의 전면에 부착될 때 월 플레이트(5)는 각각의 결합 부재(30)에 대한 압착대(presser) 역할을 하고, 이에 의해 결합 부재(30)가 빠지지 않게 된다. 부착판(2)과 월 플레이트(5)가 건물의 설치 표면에 고정되어 있을 때에도, 각각의 결합 부재(30)는 부착판(2)에서 월 플레이트를 떼어내기만 함으로써 쉽게 교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30)는 프레임(20)의 전면에서, 월 플레이트(5)를 덮고 있는 영역에 각각 부착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월 플레이트(5)가 부착판(2)에 부착될 때, 결합 부재(30)가 월 플레이트(5)에 덮이며, 이에 의해 설치된 배선 장치 어셈블리(1)의 외관이 개선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결합 부재(30)는 프레임(2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복수(예를 들어, 2개)의 연결 부분(예를 들어, 다리부(32 및 32), 이 다리부의 선단에는 네일(34)이 형성되어 있다)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각각 결합 부재(30)의 복수 군데에서 프레임(20)에 연결되며, 이에 따라 월 플레이트(5)의 결합부가 결합 부재(30)에 결합될 때나 결합 부재(30)에서 분리될 때, 각각의 결합 부재(30)는 프레임(2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어렵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결합 부재(30)는: 프레임(20)의 전면을 따라 배치되는 프론트 베이스(31)로서, 상기 프론트 베이스(31)의 단부(33)가 프레임(20)의 전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대응하는 결합부(64a)에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기 프론트 베이스(31); 및 상기 프론트 베이스(3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각각 구성되어 있는 다리부(32 및 32)를 포함한다. 상기 다리부(32 및 32)는 각각의 다리부(32)가 프레임(20)에 제공된 대응하는 결합 구멍(28)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다리부(32)의 선단(34)은 대응하는 결합 구멍(28)의 내부 주변 가장자리와 결합한다. 각각의 다리부(32 및 32)는 연결 부분에 상응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각각의 결합 부재(30)의 다리부(32 및 32)가 프레임(20)에 연결되고, 이에 따라 월 플레이트(5)의 결합부가 결합 부재(30)에 연결될 때나 결합 부재(30)에서 분리될 때, 각각의 결합 부재(30)는 프레임(2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어렵다.
본 실시예에서, 배선 장치 어셈블리(1)는: 배선 장치(100); 상기 배선 장치(100)를 유지하고 건물의 설치 표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술한 부착판(2); 및 상기 부착판(2)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기 배선 장치용 월 플레이트(5)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월 플레이트(5)에 제공된 결합부(연결니(64a)를 각각 구비함)를 부착판(2)에 고정된 결합 부재(30)와 결합시킴으로써,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월 플레이트(5)가 금속으로 이루어진 프레임(20)에 고정된다. 각각의 결합 부재(30)는 부착판(2)과는 별도로 형성되고 합성 수지로 만들어지며, 이에 따라 월 플레이트(5)를 부착판(2)에 여러 번 붙였다 떼었다 하더라도, 합성 수지로 각각 만들어진 결합 부분(64a)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 결과, 부착판(2)에 연결된 월 플레이트(5)가 부착판(2)으로부터 분리될 우려가 없는 배선 장치 어셈블리(1)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결합 부재(3)는 프레임(20)의 전면으로부터 프레임(20)에 부착되며, 이에 따라 월 플레이트(5)가 프레임(20)의 전면에 부착될 때 월 플레이트(5)는 각각의 결합 부재(30)에 대한 압착대 역할을 하고, 이에 의해 결합 부재(30)가 빠지지 않게 된다. 부착판(2)과 월 플레이트(5)가 건물의 설치 표면에 고정되어 있을 때에도, 각각의 결합 부재(30)는 부착판(2)에서 월 플레이트를 떼어내기만 함으로써 쉽게 교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선 장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면에 전원 플러그용 슬롯이 있는 콘센트(receptacle)(200)일 수 있거나, 또는 다양한 배선 장치가 이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5)

  1. 적어도 배선 장치를 유지하고 건물의 설치 표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배선 장치용 부착판에 있어서,
    상기 배선 장치용 부착판에는, 배선 장치의 전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를 가지는 배선 장치용 월 플레이트(wall plate)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배선 장치용 부착판은,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배선 장치가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레임; 및
    합성 수지로 만들어지고, 상기 프레임과는 별개로 형성되며 상기 월 플레이트에 제공된 결합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결합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전면(front side)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연결 부분(joined part)을 포함하는, 배선 장치용 부착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전면(front)에서, 상기 월 플레이트로 덮이는 영역에 부착되는, 배선 장치용 부착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 부분을 포함하는, 배선 장치용 부착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전면을 따라 배치되는 프론트 베이스로서, 상기 프론트 베이스의 단부가 상기 프레임의 전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상기 결합부에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기 프론트 베이스(front base); 및
    상기 프론트 베이스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각각 구성되어 있는 다리부(leg)
    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부는 각각의 다리부가 상기 프레임에 제공된 대응하는 결합 구멍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다리부의 선단은 대응하는 결합 구멍의 내부 주변 가장자리와 결합하며,
    각각의 다리부는 상기 연결 부분에 상응하는, 배선 장치용 부착판.
  5. 배선 장치 어셈블리에 있어서,
    배선 장치;
    상기 배선 장치를 유지하고 건물의 설치 표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배선 장치용 부착판; 및
    상기 부착판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배선 장치용 월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배선 장치 어셈블리.
KR1020130066445A 2012-06-28 2013-06-11 배선 장치용 부착판 및 배선 장치 어셈블리 KR1014512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45890 2012-06-28
JP2012145890A JP5841501B2 (ja) 2012-06-28 2012-06-28 配線器具用取付枠及びそれを用いた配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329A true KR20140003329A (ko) 2014-01-09
KR101451212B1 KR101451212B1 (ko) 2014-10-16

Family

ID=49897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6445A KR101451212B1 (ko) 2012-06-28 2013-06-11 배선 장치용 부착판 및 배선 장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41501B2 (ko)
KR (1) KR101451212B1 (ko)
CN (1) CN103515124B (ko)
PH (1) PH120130001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360B1 (ko) * 2015-04-29 2016-08-25 차우-런 창 고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8337A (ja) * 1992-07-20 1994-02-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器具
JPH06315215A (ja) * 1993-04-27 1994-11-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器具用簡易耐火装置
JPH0917495A (ja) * 1995-06-30 1997-01-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ンセント装置
JP2000322927A (ja) * 1999-05-14 2000-11-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装置
JP2003164031A (ja) 2001-11-27 2003-06-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器具用プレート
JP5086825B2 (ja) * 2008-01-28 2012-11-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取付枠およびそれを用いた配線装置
JP5237852B2 (ja) * 2009-02-16 2013-07-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配線器具用プレート及び配線装置
US8497424B2 (en) * 2010-05-25 2013-07-30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Universal box system
JP5608029B2 (ja) * 2010-09-27 2014-10-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配線器具用取付枠
JP5874046B2 (ja) * 2010-10-25 2016-03-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化粧プレート及びそれを用いるプレート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360B1 (ko) * 2015-04-29 2016-08-25 차우-런 창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2013000193B1 (en) 2015-01-21
KR101451212B1 (ko) 2014-10-16
JP2014011847A (ja) 2014-01-20
PH12013000193A1 (en) 2015-01-21
CN103515124A (zh) 2014-01-15
CN103515124B (zh) 2015-08-26
JP5841501B2 (ja) 2016-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9166B1 (ko) 배선 기구용 플레이트 및 배선 장치
KR101451212B1 (ko) 배선 장치용 부착판 및 배선 장치 어셈블리
JP4853351B2 (ja) 埋込形配線器具の取付装置
JPH08131632A (ja) パチンコ機の制御基板収納ボックス
JP2005012877A (ja) 配線用ボックスおよび配線用ボックスカバー、並びに、配線用ボックスまたは配線用ボックスカバーに用いられる係合体
JP7122668B2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及び配線器具システム
JP4135509B2 (ja) テーブルタップ
JP3861670B2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
JP3690302B2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
CN108122697B (zh) 配线器具用板件和配线器具组合体
TWI673916B (zh) 配線器具用板及配線器具系統
JP3127972U (ja) 壁紙貼り替え用ガイド体
JP2003163062A (ja) コンセント
JP2007080685A (ja) 速結端子装置
JP2004095272A (ja) 防塵機能付きタップ
JPH1116435A (ja) 配線器具用のプレート
JP6561277B2 (ja) アッパーキャビネット
JP4456976B2 (ja) 電子機器
JP3550089B2 (ja) 配線器具取付枠
JP2001319547A (ja) 押釦スイッチ
TW201539506A (zh) 配線器具用安裝框、操作把手、及開關裝置
JP2004146349A (ja) 防塵機能付きタップ
JP2000322927A (ja) 配線装置
JP2002075103A (ja) 配線器具用のフラッシュプレート
JP2005253238A (ja) ボックス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