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360B1 -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360B1
KR101651360B1 KR1020150060602A KR20150060602A KR101651360B1 KR 101651360 B1 KR101651360 B1 KR 101651360B1 KR 1020150060602 A KR1020150060602 A KR 1020150060602A KR 20150060602 A KR20150060602 A KR 20150060602A KR 101651360 B1 KR101651360 B1 KR 101651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rod
wall
holding
leg
b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0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우-런 창
Original Assignee
차우-런 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우-런 창 filed Critical 차우-런 창
Priority to KR1020150060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3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Holders for articles of personal use in general, e.g.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Abstract

일종의 고정 장치로서, 베이스 본체, 연결 유닛 및 고정 유닛을 포함하며, 베이스 본체는 서로 간격이 있는 홀딩 벽 및 커넥팅 벽을 포함한다. 커넥팅 벽에는 커넥팅 구멍이 있고, 그 주변은 밖으로 복수의 치형 그루브가 확장된다. 홀딩 벽의 한쪽에 있는 홀딩 요소는 제 1 외부 물체를 홀딩시킨다. 연결 유닛은 커넥팅 로드 및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며, 커텍팅 로드 위에 설치된다. 맞물림 부재는 어퍼 암, 로어 암 및 커넥팅 암을 포함하며, 어퍼 암이 커넥팅 암을 상대하는 일단은 최소 한개의 제 1 인게이지 레그를 가지며, 로어 암이 커넥팅 을 상대하는 일단은 복수의 제 2 인게이지 레그를 갖는다. 제 1 인게이지 레그 및 복수의 제 2 인게이지 레그는 밖으로 그 커넥팅 로드를 노출하며, 커넥팅 로드와 간격을 유지하고, 또 제 1 인게이지 레그 및 복수의 제 2 인게이지 레그는 각각 상응하는 복수의 치형 그루브를 관통하여 커넥팅 벽 및 홀딩 벽 사이에 연결되어서 그 커넥팅 로드를 커넥팅 구멍을 축심으로 피벗 회전시킨다. 고정 유닛은 커넥팅 로드의 또 다른 일단에 있으며, 고정체는 제 2 외부 물체를 고정시킨다.

Description

고정 장치{Fixing device}
일종의 고정 장치로서, 특히 일종의 분해와 조립이 쉬우며, 일단이 외부 물체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또 다른 일단이 모바일 장치를 홀딩할 수 있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모바일 장치의 발전과 광범위한 응용을 따라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휴대용 모바일 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모바일 장치는 스마트 휴대폰, 태블릿 피시 또는 디지털 카메라 등이다. 그러나 어떤 상황이나 장소에서는 사용자가 맨손으로 휴대용 모바일 장치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도 있는데, 이 때 고정 장치로 모바일 장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모바일 장치를 고정시키는 전통적인 고정 장치는 일반적으로 휴대형이고 상대적인 양단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 일단은 모바일 장치를 고정시키는 홀딩 엔드이며, 또 다른 일단은 크로스바나 테이블 가장자리에 고정시키거나 또는 손잡이 부위로 사용하여 외부 물체를 고정시키는 포지셔닝 엔드이다. 홀딩 엔드가 모바일 장치를 홀딩시키는 방법은 대략 3가지 모양으로 나눌 수 있다. 첫번째인 지지축 타입 클램핑 척 홀딩은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클램핑 척을 이용해 모바일 장치를 고정시킨다. 두번째인 트랙 타입 클램핑 부재 홀딩은 상하로 이동하는 클램핑 부재를 사용해 모바일 장치를 홀딩시킨다. 세번째는 백 프레임 홀딩으로서, 즉 고정 사이즈의 백 프레임을 이용해 크기가 부합되는 모바일 장치를 홀딩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클램핑 척이나 클램핑 부재식 홀딩의 구성 요소가 매우 많아서 제조 원가 통제가 어렵고 또 부품 교체가 쉽지 않으며, 홀딩 조작 방식도 복잡하다. 백 프레임 방식은 모바일 장치를 삽입해야 하기 때문에 단일 방향으로만 홀딩시킬 수 있으며, 일단 방향을 돌리면 모바일 장치가 떨어지기 쉽다.
이러한 관점에서 전통적 고정 장치의 단점을 해결하고 필요한 부품을 간소화시켜서 조작이 편리하고 여러 방향의 다양한 각도가 가능한 일종의 고정 장치의 개발은 현재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일종의 분해와 조립이 가능하고, 접착 방식으로 외부 물체 및 모바일 장치를 홀딩시킬 수 있는 고정 장치이다.
일종의 고정 장치로서, 신속하게 조립이나 분해할 수 있고, 방향 전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고정 장치는 베이스 본체를 포함하며, 베이스 본체는 서로 간격이 있는 홀딩 벽 및 커넥팅 벽을 포함하고, 그 커넥팅 벽에는 커넥팅 구멍이 있으며, 그 주변은 밖으로 복수의 치형 그루브가 확장되고, 그 홀딩 벽이 그 커넥팅 벽을 상대하는 한쪽에 있는 홀딩 요소는 제 1 외부 물체를 홀딩시킨다. 연결 유닛은 커넥팅 로드와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며, 그 커넥팅 로드의 일단은 밖으로 개방되고, 그 내부는 중공부이다. 그 맞물림 부재는 그 중공부에 있고, 상호 분리된 최소 한개의 제 1 인게이지 레그 및 최소 한개의 제 2 인게이지 레그를 포함하며, 그 최소 한개의 제 1 인게이지 레그 및 그 최소 한개의 제 2 인게이지 레그는 그 커넥팅 로드를 밖으로 노출시키고, 그 커넥팅 로드와 간격을 유지하여 그 커넥팅 구멍에 상응하는 복수의 치형 그루브를 관통하고, 또 그 커넥팅 벽 및 그 홀딩 벽 사이에 연결되어서 그 베이스 본체가 그 맞물림 부재에 따라 피벗 회전되게 한다. 및 고정 유닛은 그 커넥팅 로드의 또 다른 일단에 있으며, 그 고정 유닛의 한쪽에는 제 2 외부 물체를 고정시키는 고정체가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에 따라, 그 맞물림 부재는 어퍼 암, 로어 암 및 그 어퍼 암과 로어 암을 연결시키는 커넥팅 암을 포함하며, 그 어퍼 암이 그 커넥팅 암을 상대하는 일단에는 최소 한개의 제 1 인게이지 레그가 있고, 그 로어 암이 그 커넥팅 암을 상대하는 일단에는 최소 한개의 제 2 인게이지 레그가 있으며, 그 어퍼 암과 그 로어 암은 그 커넥팅 암의 중앙을 축심으로 서로 분리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 따라, 그 제 1 인게이지 레그는 그 어퍼 암의 그 엔드에서 대략 90도 상향으로 굽어져 확장되며, 그 로어 암의 그 엔드가 가지는 복수의 그 제 2 인게이지 레그는 각각 그 로어 암의 그 엔드에서 대략 90도 하향으로 굽어져 확장된다. 그 복수의 치형 그루브는 제 1 치형 그루브 및 복수의 제 2 치형 그루브를 포함하며, 그 중 그 맞물림 부재가 그 커넥팅 구멍에 연결되면, 그 제 1 인게이지 레그는 그 제 1 치형 그루브에서 대응 걸려서 그 어퍼 암을 아래로 누르며, 그 복수의 제 2 인게이지 레그는 그 복수의 제 2 치형 그루브에서 대응 걸려서 그 로어 암을 위로 누름으로써, 그 제 1 인게이지 레그 및 그 복수의 제 2 인게이지 레그를 각각 그 커넥팅 구멍에 관통시키고 그 커넥팅 벽 및 그 홀딩 벽 사이에 연결시킨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 따라, 그 어퍼 암 및 그 로어 암 사이에는 또 최소 한개의 강화 요소가 연결되며, 그 강화 요소의 2개의 엔드는 각각 그 제 1 인게이지 레그 및 그 복수의 제 2 인게이지 레그에 연결되고, 그 강화 요소는 또 최소 한개의 벤딩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 따라, 그 고정 장치가 또 포함하는 포지셔닝 프레임의 한쪽에는 포지셔닝 그루브가 있으며, 그 베이스 본체의 홀딩 효소는 그 홀딩 벽을 뻗어나가 아래로 굽어져 그 포지셔닝 그루브가 삽입될 수 있는 포지셔닝 암을 형성하여 그 베이스 본체 및 그 포지셔닝 프레임을 결합시키고, 그 포지셔닝 프레임이 그 포지셔닝부를 상대하는 한 표면에 그 제 1 외부 물체를 부착한다.
본 발명의 고정 장치는 서로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맞물림 부재와 베이스 본체를 이용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또 신속하고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는 방식을 제공하며, 양면 접착제의 홀딩 요소와 고정체가 모바일 장치를 고정시킴으로써, 전통적인 모바일 장치를 끼우려면 반드시 손으로 잡아야 하는 단점을 효율적으로 해결하여 손으로 잡을 필요가 없다. 또한, 맞물림 부재의 방향 회전을 통해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를 사용하는 각도를 직접 조정할 수 있어서 다양한 사용 형태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정 장치의 입체 조립 결선도,
도는 제 1 도의 입체 분해 결선도,
도 3은 본 발명의 맞물림 부재의 입체 결선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 장치의 일부 조립 결선도,
도 5는 본 발명의 연결 유닛과 베이스 본체가 연결되어 작동되는 단면 결선도,
도 6은 도 5의 연결 유닛과 베이스 본체가 연결되어 포지셔닝된 단면 결선도,
도 7은 본 발명의 고정 장치의 실시 상태 결선도,
도 8은 본 발명의 고정 장치의 또 하나의 실시 상태 결선도,
도 9는 본 발명의 고정 장치의 분리 결선도,
도 10은 그 맞물림 부재가 커넥팅 로드에서 빠진 작동 결선도,
도 11은 그 맞물림 부재가 커넥팅 로드에서 빠진 결선도,
도 12는 본 발명 고정 장치의 또 하나 실시예의 입체 조립도,
도 13은 도 12의 고정 장치의 입체 분해 결선도,
도 14는 도 13의 베이스 본체의 입체 결선도,
도 15는 도 13의 고정 장치의 일부 조립 결선도,
도 16은 도 15의 그 베이스 본체와 포지셔닝 프레임이 연결된 결선도,
도 17은 도 12의 고정 장치의 구체적 실시 결선도,
도 18은 그 커넥팅 로드의 또 하나의 실시예 결선도이다.
도 1에서 도 8은 본 발명의 고정 장치의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의 하나로서, 본 발명의 고정 장치 (1)은 베이스 본체 (2), 연결 유닛 (3) 및 고정 유닛 (5)를 포함한다. 베이스 본체 (2)는 서로 간격이 있는 홀딩 벽 (21) 및 커넥팅 벽 (22)를 포함하며, 홀딩 벽 (21) 및 커넥팅 벽 (22)의 주위는 서로 연결된다. 커넥팅 벽 (22)가 중앙 약간 아래에 위치한 곳에는 커넥팅 구멍 (23)이 있으며, 그 주변은 방사선 모양으로 밖으로 복수의 치형 그루브 (24)가 펼쳐지고, 복수의 치형 그루브 (24)는 상호 간격을 두고 제 1 치형 그루브 (241) 및 두개의 제 2 치형 그루브 (242)를 포함하며, 그 중 제 1 치형 그루브 (241)은 커넥팅 구멍 (23)의 윗쪽에 있고, 복수의 치형 그루브 (242)는 커넥팅 구멍 (23)의 아래쪽에 있다. 제 1 치형 그루브 (241) 및 모든 제 2 치형 그루브 (242)의 내치 가장자리가 각각 가지는 경사진 가이드 면은(도면 미표시) 연결 유닛 (3)이 연결될 때의 작동을 더욱 원활하게 촉진시킨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치형 그루브 (241) 및 두개의 제 2 치형 그루브 (242)는 대략 삼각형과 유사하고 양측이 호형인 테두리의 커넥팅 구멍 (23)을 공동으로 형성한다. 홀딩 벽 (21)이 커넥팅 벽 (22)를 상대하는 한쪽에는 홀딩 요소 (4)가 있으며, 비교적 우수한 실시중에서 홀딩 요소 (4)는 양면 접착제로서, 그 한쪽이 홀딩 벽 (21)에 부착되고, 다른 한쪽은 휴대폰이나 태블릿 피시 같은 제 1 외부 물체 (8)에 부착된다.
연결 유닛 (3)은 커넥팅 로드 (31) 및 맞물림 부재 (32)를 포함하며, 커넥팅 로드 (31)의 일단은 외부로 개방되고, 그 내부는 중공부 (310)이며, 커넥팅 로드 (31)의 길이는 실제 필요에 따라 결정된다. 맞물림 부재 (32)는 분리식으로 중공부 (310)에 설치되며, 어퍼 암 (33), 로어 암 (34) 및 어퍼 암 (33)과 로어 암 (34)를 연결시키는 커넥팅 암 (35)를 포함한다. 커넥팅 암 (35)는 커넥팅 로드 (32)의 후단에 있고, 커넥팅 암 (35)를 단면으로 그 중간 축심이 2개의 180도로 나누어지며, 각각 180도로 어퍼 암 (33)과 로어 암 (34)로 상호 분리된다. 어퍼 암 (33)이 커넥팅 암 (35)를 상대하는 일단에는 제 1 인게이지 레그 (321)이 있고, 로어 암 (34)이 커넥팅 암 (35)를 상대하는 일단에는 두개의 제 2 인게이지 레그 (322)가 있다. 제 1 인게이지 레그 (321) 및 그 두개의 제 2 인게이지 레그 (322)는 커넥팅 로드 (31)을 외부로 노출시키고, 커넥팅 로드 (31)과 간격 t를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 1 인게이지 레그 (321)은 어퍼 암 (33)의 그 엔드에서 상향으로 대략 90도 굽어져 확장되며, 그 두개의 제 2 인게이지 레그 (322)는 각각 로어 암 (34)의 그 엔드에서 하향으로 대략 90도 굽어져 확장된다. 이 실시예 중에서 간격 t의 너비는 커넥팅 벽 (22)의 두께보다 크지만, 커넥팅 벽 (22)의 두께와 제 1 인게이지 레그 (321)의 두께 합보다는 작다. 또한, 커넥팅 로드 (31)의 저부가 복수의 제 2 인게이지 레그 (322)에 근접한 위치에 있는 패스닝 슬롯 (311)은 커넥팅 로드 (31)의 그 저부를 관통하여 중공부 (310)에 연결된다. 로어 암 (34)가 패스닝 슬롯 (311)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릴리스 요소 (341)은 패스닝 슬롯 (311)에 걸려서 맞물림 부재 (32)를 커넥팅 로드 (31)내에 고정시킨다. 릴리스 요소 (341)은 패스닝 슬롯 (311)에서 중공부 (310)안쪽으로 그 로어 암 (34)가 패스닝 슬롯 (311)에서 빠지도록 지속적으로 눌러주며, 나아가 커넥팅 로드내 (31)의 맞물림 부재 (32)가 커넥팅 로드 (31)에서 빠지게 한다 (도 10 및 도 11 참조). 이렇게 맞물림 부재 (32)가 손상되면 교환을 할 수 있다. 그밖에 릴리스 요소 (341)이 가지는 상향으로 경사진 경사면 (342)는 릴리스 요소 (341)을 커넥팅 로드 (31)의 개구에서 중공부 (310)으로 삽입되게 촉진시킨다. 또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에서, 맞물림 부재 (32)는 역시 커넥팅 로드 (31)의 중공부 (310)에서 일체형일 수 있어서 (도면 미표시), 제조 및 조립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특별한 점은 어퍼 암 (33) 및 로어 암 (34) 사이에 연결된 강화 요소 (37)은 상대되는 두개의 엔드를 가지며, 각각 제 1 인게이지 레그 (321) 및 그 두개의 제 2 인게이지 레그 (322)와 연결되고, 또 강화 요소 (37)이 가지는 최소 한개의 벤딩부 (371)은 강화 요소 (37)을 거꾸로 된 V형으로 형성시킨다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그 강화 요소 (37)은 어퍼 암 (33) 및 로어 암 (34)가 형성하는 캔틸레버 구조가 압축될 때의 구조 강도를 강화시키고, 동시에 어퍼 암 (33) 및 로어 암 (34)가 반복되는 압력으로 인해 변형되는 자재의 피로감을 예방하며, 어퍼 암과 로어 암의 유연성을 적당하게 강화시킨다.
상술한 구조에 따라서, 맞물림 부재 (32)가 커넥팅 구멍 (23)에 연결되면 커넥팅 로드 (31)은 제 1 인게이지 레그 (321) 아래로 향하고, 제 1 인게이지 레그 (321)을 벗어나는 일단은 위로 향하는 경사 모양으로 제 1 인게이지 레그 (321)을 제 1 치형 그루브 (241)에서 걸려서 어퍼 암 (33)을 아래로 누른다. 그 두개의 제 2 인게이지 레그 (322)는 복수의 제 2 치형 그루브 (242)에 걸려서 로어 암 (34)를 위로 누르고, 제 1 인게이지 레그 (321) 및 그 두개의 제 2 인게이지 레그 (322)을 각각 커넥팅 구멍 (23)에 관통시켜서 커넥팅 벽 (22) 및 홀딩 벽 (21) 사이에 연결시킨다. 따라서 커넥팅 로드 (31)은 베이스 본체 (2)에 단단하게 연결된다. 이 때, 홀딩 벽 (21)의 한쪽 홀딩 요소 (4)는(즉, 양면 접착제) 이형지를 떼어낸 후 제 1 외부 물체 (8)(즉, 휴대폰) 표면에 부착시키며, 고정 유닛 (5)의 한쪽에 있는 고정체 (51)도 마찬가지로 양면 접착제로서 벽면이나 고정면과 같은 제 2 외부 물체 (7)을 부착시킨다 (도 7 참조). 이렇게 사용자가 그 제 1 외부 물체 (8)을 손으로 잡지 않아도 휴대폰을 사용하거나 그 디스플레이 화면을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커넥팅 로드 (31)을 제거할 때는 커넥팅 로드 (31)을 위로 밀어서 맞물림 부재 (32)의 어퍼 암 (33)에 약간 압력을 가하면, 커넥팅 로드 (31)을 경사각으로 제 1 맞물림 부재 (321) 및 복수의 제 2 맞물림 부재 (322)에서 빼서 커넥팅 로드 (31)을 풀 수 있다. 또는 커넥팅 로드 (31)을 아래로 밀어서 맞물림 부재 (32)의 로어 암 (34)에 압력을 가한 후에 다시 동일한 방식으로 빼도 역시 풀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예 중에서, 커넥팅 구멍 (23)이 있는 복수의 치형 그루브 (24)의 그 가이드 면 설계에서는 제 1 맞물림 부재 (321) 및 복수의 제 2 맞물림 부재 (322)는 대응되는 리드각 구조가 있다(도면 미표시). 즉 맞물림 부재 (32) 역시 수평 방향으로 직접 커넥팅 구멍 (23)에 연결될 수 있고, 동시에 어퍼 암 (33) 및 로어 암 (34)가 중공부 (310)을 향해 버텨서 커넥팅 구멍 (23)을 관통하여 연결되게 한다. 또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 중에서, 추가 물체에 릴리스 장치 (341)을 밀음으로써, 로어 암 (34)를 누르게 만들어 어퍼 암 (33) 및 로어 암 (34) 사이의 공간을 줄이고, 나아가 잠금을 풀 수 있다.
상기 양면 접착제는 구체적 실시예의 홀딩 요소 (4) 및 고정체 (51)이며, 기타 응용 중에서, 홀딩 요소 (4) 및 고정체 (51) 역시 각각 접착 부재(즉,벨크로), 나사, 자석 또는 흡판이며(도 12 참조), 또는 임의의 홀딩 요소 (4) 및 고정체 (51)이 접착 부재 또는 흡판일 수 있다. 이렇게 마찬가지로 외부 물체에 부착시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양면 접착제를 구체적으로 실시한 홀딩 벽 (21) 및 고정 유닛 (5)는 각각 보드 모양으로 일반적인 제 1 외부 물체 (8) 및 제 2 외부 물체 (7)의 표면에 부착시킬 수 있으며, 그 중 홀딩 요소 (4 )및 고정체 (51)은 완전하게 평면인 보드 모양이거나, 또는 홀딩 요소 (4) 및 고정 유닛 (5)에 각각 단일 또는 약간의 스루홀을 만들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재료의 사용량을 감소하고 제작 원가를 낮출 수 있으며, 홀딩 요소 (4) 및 고정체 (51)의 접착 능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8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 중에서 홀딩 요소 (4)는 제 2 외부 물체 (7)(즉, 벽면)을 부착 고정시키며, 고정 유닛 (5)의 고정체 (51)은 제 1 외부 물체(즉, 휴대폰)를 부착 고정시킨다. 이렇게 하면 마찬가지로 휴대폰을 손으로 들 필요가 없으며, 고정 유닛 (5)가 커넥팅 구멍 (23)을 축심으로 피벗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설명과 같이, 커넥팅 로드 (31)이 베이스 본체 (2)에 연결되면 제 1 인게이지 레그 (321) 및 복수의 제 2 인게이지 레그 (322)가 커넥팅 로드 (31)과 그 간격 t를 유지하고, 베이스 본체 (2)는 커넥팅 구멍 (23)을 통해 맞물림 부재 (32)에 상대하여 피벗 회전하거나, 또는 커넥팅 로드 (31)이 커넥팅 구멍 (23)을 축심으로 피벗 회전하며, 내부의 맞물림 부재 (32)를 연동 회전시킨다. 특별한 점은 제 1 인게이지 레그 (321) 또는 복수의 제 2 인게이지 레그 (322)가 커넥팅 로드 (31)을 마주하는 한측면에 있는 간섭부 (320)은 커넥팅 로드 (31)의 방향으로 돌출되고, 커넥팅 벽 (22)가 홀딩 벽 (21)을 마주하는 표면에 있는 복수의 감합부 (220)는 각각 안으로 요축되며, 그 간섭부 (320)은 베이스 본체 (2) 또는 커넥팅 로드 (31)의 회전을 따라 임의의 복수의 감합부 (220)에 위치하고, 나아가 위치 회전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감합부 (220)과 간섭부 (320)의 위치가 결정되면 사용자는 위치 결정되는 손의 감촉과 소리를 느낄 수 있다. 또한 고정 유닛 (5)는 커넥팅 로드 (31)에 일체형인 일단이며, 보드 모양으로 커넥팅 로드 (31)의 회전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는 고정 유닛 (5) 또는 베이스 본체 (2)를 임의로 회전시키며 필요한 위치로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제 1 외부 물체 (8)을 사용할 수 있다. 특별한 점은 본 발명의 커넥팅 구멍 (23)의 테두리 외형은 도 4로 국한되지 않으며, 기타 불규칙적인 테두리 외형도 맞물림 부재 (32)의 연결 작용을 제공할 수 있어 마찬가지로 실제 응용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로드 (31)의 위치 회전은 회전 기능 이외에도 커넥팅 로드 (31이 유일한 각도에서만 풀리도록 한정된다. 자세하게 말하면, 맞물림 부재 (32)가 커넥팅 로드 (31)의 회전을 따라 커넥팅 구멍 (23) 내에서 피벗 회전하며, 베이스 본체 (2)가 제 1 치형 그루브 (241)에 대응하는 상방 위치에는 제 1 풀림 마크 (221)이 있고 (도 4 참조), 커넥팅 로드 (31)의 외표면에는 제 2 풀림 마크 (312)가 있다. 커넥팅 로드 (31)이 제 1 풀림 마크 (221)과 제 2 풀림 마크 (312)가 세로 방향 평면으로 서로 대응할 때까지 회전하면 커넥팅 로드 (31)이 베이스 본체 2의 커넥팅 구멍 (23)에서 풀어진다 (도 6 참조).
도 12에서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이다. 이 구체적 실시예 중에서, 고정 장치 (1)은 최소 3가지 구성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 포지셔닝 슬롯 (61)을 가진 포지셔닝 프레임 (6)을 포함한다. 베이스 본체 (2)의 홀딩 요소 (4)는 홀딩 벽 (21)을 뻗어나가 하향으로 굽어져 포지셔닝 바 (41)을 형성함으로써 베이스 본체 (2) 및 포지셔닝 프레임 (6)을 결합시키는 포지셔닝 슬롯 (61)에 삽입되며, 그 중 포지셔닝 프레임 (6)이 포지셔닝부를 상대하는 표면에 제 1 외부 물체 (8)이나 제 2 외부 물체 (7)이 부착된다. 기타 구성품도 모두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더이상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이 실시예 중에서, 베이스 본체 (2)는 후크 방식으로 포지셔닝 프레임 (6)에 고정되고 다양한 형태로의 응용이 가능하며, 또 전체 연결 유닛 (3) 및 베이스 본체 (2)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떼어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포지셔닝 프레임 (6)은 고정 유닛 (5)의 한쪽면에 있고 (도면 미표시), 포지셔닝 슬롯 (61)이 있다. 또한 커넥팅 로드 (31)이 고정 유닛 (5)를 마주하는 일단에 있는 그 포지셔닝 바 (41)이(도면 미표시) 그 커넥팅 로드 (31)의 그 엔드에서 확장되고 굽어져 커넥팅 로드 (61)을 후크 방식으로 고정 유닛 (5)의 한측면의 포지셔닝 슬롯 (61)에 삽입시킨다. 그 중 고정 유닛 (5)의 또 다른 측면은 제 2 외부 물체 (7)(즉, 벽면)에 부착 고정되고, 베이스 본체 (2)는 제 1 외부 물체(즉, 모바일 장치)에 부착 고정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커넥팅 로드 (31)의 상대하는 양측에 또 각각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트랙 장치 (38)은 통로 (381) 및 제한부 (382)를 포함한다. 통로 (381)의 양단은 외부로 개방되고, 제한부 (382)는 커넥팅 로드 (31)을 이어서 굽어진다. 트랙 장치 (38)은 연결 유닛 (3)에게 맞물림 부재 (32) 이외에 베이스 본체 (2)와의 또 다른 연결 방식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베이스 본체 (2)에는 트랙 장치 (38)에 대응하는 메이팅 유닛(도면 미표시)이 있고, 통로 (381)은 그 메이팅 유닛에 슬라이딩 설치되어 제한부 (382)에 의해 걸려서 연결되는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내용을 종합하면, 본 발명의 고정 장치 (1)은 상호 연결되고 분리될 수 있는 맞물림 부재 (32)와 베이스 본체 (2)를 이용하여 간단한 구조와 신속하고도 편리한 조립 방식을 제공하며, 양면 접착제인 홀딩 요소 (4)와 고정체 (51)이 제 1 외부 물체 (8) 및 제 2 외부 물체 (7)을 손을 사용할 필요없이 고정시킴으로써, 손으로 모바일 장치를 잡아야 하는 전통적인 단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였다. 또한 맞물림 부재 (32)의 위치 회전을 통해 제 1 외부 물체 (8)의 사용 각도를 직접 조정할 수 있음으로써 다양한 사용 형태를 제공한다.
1: 고정 장치 2: 베이스 본체 21: 홀딩 벽
22: 커넥팅 벽 220: 감합부 221: 제 1 풀림 마크
23: 커넥팅 구멍 24: 치형 그루브 241: 제 1 치형 그루브
242: 제 2 치형 그루브 3: 연결 유닛 31: 커넥팅 로드
310: 중공부 311: 패스닝 슬롯 312: 제 2 풀림 마크
32: 맞물림 부재 320: 간섭부 321: 제 1 인게이지 레그
322: 제 2 인게이지 레그 33: 어퍼 암 34: 로어 암
341: 릴리스 요소 342: 경사면 35: 커넥팅 암
37: 강화 요소 371: 벤딩부 38: 트랙 장치
381: 통로 382: 제한부 4: 홀딩 요소
41: 포지셔닝 바 5: 고정 유닛 51: 고정체
6: 포지셔닝 프레임 61: 포지셔닝 슬롯 7: 제 2 외부 물체
8: 제 1 외부 물체 t: 간격

Claims (2)

  1. 베이스 본체, 연결 유닛, 및 고정 유닛을 포함하며,
    베이스 본체는 상호 간격이 있는 홀딩 벽 및 커넥팅 벽을 포함하며, 커넥팅 벽에는 커넥팅 구멍이 있고, 주변에는 밖으로 복수의 치형 그루브가 확장되며, 홀딩 벽이 커넥팅 벽을 상대하는 한쪽에 있는 홀딩 요소는 제 1 외부 물체를 고정시키며,
    연결 유닛은 커넥팅 로드 및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며, 커넥팅 로드의 일단은 외부로 개방되고, 내부는 중공부이며, 맞물림 부재는 중공부에 있고, 상호 분리된 최소 한개의 제 1 인게이지 레그 및 최소 한개의 제 2 인게이지 레그를 포함하며, 최소 한개의 제 1 인게이지 레그 및 최소 한개의 제 2 인게이지 레그는 커넥팅 로드를 밖으로 노출시키고, 커넥팅 로드와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커넥팅 구멍이 대응하는 복수의 치형 그루브를 관통하고, 커넥팅 벽 및 홀딩 벽 사이에 연결됨으로써, 베이스 본체를 맞물림 부재에 따라 피벗 회전시키며,
    고정 유닛은 커넥팅 로드의 또 다른 일단에 있으며, 고정 유닛의 한측에는 고정체가 있어서 제 2 외부 물체를 고정시키는 고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맞물림 부재는 어퍼 암, 로어 암 및 어퍼 암 및 로어 암을 연결시키는 커넥팅 암을 포함하며, 어퍼 암이 커넥팅 암을 상대하는 일단에는 최소 한개의 제 1 인게이지 레그가 있고, 로어 암이 커넥팅 암을 상대하는 일단에는 최소 한 개의 제 2 인게이지 레그가 있으며, 어퍼 암과 로어 암은 커넥팅 암의 중앙을 축심으로 상호 분리되며, 제 1 인게이지 레그는 어퍼 암의 엔드에서 대략 90도 상향으로 굽어져 확장되며, 로어 암의 엔드에 있는 복수의 제 2 인게이지 레그는 각각 로어 암의 엔드에서 대략 90도 하향으로 굽어져 확장되고,
    복수의 치형 그루브는 한 개의 제 1 치형 그루브 및 복수의 제 2 치형 그루브를 포함하며, 맞물림 부재가 커넥팅 구멍에 연결되면, 제 1 인게이지 레그가 제 1 치형 그루브에 대응 걸려서 어퍼 암을 아래로 누르고 복수의 제 2 인게이지 레그는 복수의 제 2 치형 그루브에 대응 걸려서 로어 암을 위로 누름으로써, 제 1 인게이지 레그 및 복수의 제 2 인게이지 레그가 각각 커넥팅 구멍을 관통하여 커넥팅 벽 및 홀딩 벽 사이에 연결되게 하며,
    맞물림 부재는 베이스 본체의 커넥팅 구멍 내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베이스 본체가 제 1 치형 그루브에 대응하는 상단 지점에는 제 1 풀림 마크가 있고, 커넥팅 로드의 외표면에는 제 2 풀림 마크가 있으며, 제 1 풀림 마크와 제 2 풀림 마크가 세로 방향 평면에서 서로 대응하면, 맞물림 부재가 베이스 본체의 커넥팅 구멍에서 풀릴 수 있으며,
    어퍼 암 및 로어 암 사이에 연결되는 최소 한 개의 강화 요소는 상대하는 양단을 가지며, 각각 최소 한 개의 제 1 인게이지 레그 및 최소 한 개의 제 2 인게이지 레그로 연결되고, 강화 요소는 최소 한 개의 벤딩부를 가지며, 맞물림 부재는 커넥팅 로드의 중공부에 분리식으로 설치되고, 커넥팅 로드에 있는 최소 한 개의 패스닝 슬롯은 커넥팅 로드를 관통하여 중공부에 연결되며, 맞물림 부재가 최소 한 개의 패스닝 슬롯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릴리스 요소가 돌출되어 있어서 패스닝 슬롯을 상쇄하고, 릴리스 요소는 패스닝 슬롯에서 중공부내를 향해 누름으로써 맞물림 부재의 한쪽을 눌러서 맞물림 부재가 패스닝 슬롯의 상쇄를 벗어나게 하고, 커넥팅 로드에서 빠지게 하며,
    홀딩 요소 및 고정 유닛의 고정체는 각각 양면 접착제로서, 홀딩 요소의 한쪽은 홀딩벽에 부착되고, 또 다른 한쪽은 제 1 외부 물체에 부착되며, 고정체의 한쪽은 고정 유닛에 부착되고, 또 다른 한쪽은 제 2 외부 물체에 부착되며, 홀딩 요소 및 고정 유닛의 고정체는 각각 접착 부재와 흡판이며, 또는 임의의 홀딩 요소 및 고정체는 접착 부재나 흡판이며,
    제 1 인게이지 레그나 제 2 인게이지 레그가 커넥팅 로드를 마주하는 한측면에는 간섭부가 있고, 커넥팅 벽이 홀딩 벽을 마주하는 표면에는 복수의 감합부가 있으며, 간섭부는 베이스 본체의 회전을 따라 임의의 감합부에 끼워지며, 포지셔닝 프레임의 한쪽에는 포지셔닝 슬롯이 있으며, 베이스 본체의 홀딩 요소는 홀딩벽을 뻗어나가 하향으로 굽어져서 포지셔닝 바를 형성하여 베이스 본체 및 포지셔닝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포지셔닝 슬롯에 삽입되고, 포지셔닝 프레임이 포지셔닝부를 상대하는 표면에는 제 1 외부 물체를 부착시킬 수 있는 고정 장치.
KR1020150060602A 2015-04-29 2015-04-29 고정 장치 KR101651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602A KR101651360B1 (ko) 2015-04-29 2015-04-29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602A KR101651360B1 (ko) 2015-04-29 2015-04-29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1360B1 true KR101651360B1 (ko) 2016-08-25

Family

ID=56884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602A KR101651360B1 (ko) 2015-04-29 2015-04-29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3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1220A (zh) * 2018-12-26 2019-03-08 金华职业技术学院 一种旋转式储物夹
KR20230120524A (ko) 2022-02-09 2023-08-17 (주)태승정보통신 전기용품 커버 착탈용 체결부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1877A (ja) * 2006-05-31 2007-12-13 Press Kogyo Co Ltd ホース端末金具の固定用ブラケット及びその成形法
WO2012148052A1 (ko) * 2011-04-27 2012-11-01 Choi Dong-Il 휴대폰 장착기구
KR20140003329A (ko) * 2012-06-28 2014-01-09 파나소닉 주식회사 배선 장치용 부착판 및 배선 장치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1877A (ja) * 2006-05-31 2007-12-13 Press Kogyo Co Ltd ホース端末金具の固定用ブラケット及びその成形法
WO2012148052A1 (ko) * 2011-04-27 2012-11-01 Choi Dong-Il 휴대폰 장착기구
KR20140003329A (ko) * 2012-06-28 2014-01-09 파나소닉 주식회사 배선 장치용 부착판 및 배선 장치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1220A (zh) * 2018-12-26 2019-03-08 金华职业技术学院 一种旋转式储物夹
KR20230120524A (ko) 2022-02-09 2023-08-17 (주)태승정보통신 전기용품 커버 착탈용 체결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6363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JP2014503160A (ja) 携帯端末用のフィンガーリングおよびこれを備える携帯端末ケース
EP2927556A1 (en) Holder mechanism
KR101316210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1651360B1 (ko) 고정 장치
WO2018132954A1 (zh) 可拆卸旋转的手机通用固定装置
US10042389B2 (en) Carrying structure for carrying electronic device
KR200483647Y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1755249B1 (ko) 스마트폰용 삼각대
TWI555945B (zh) Holding device
CN205304915U (zh) 滑动式指环手机支架
US9625086B2 (en) Fixing device
KR20120068296A (ko) 카메라 삼각대
JP2005150666A (ja) ケース上蓋着脱装置
TWI328664B (ko)
JP2014083465A (ja) 玩具体における連結機構、玩具体および人形体
TWM439830U (en) Monitor having quick release function
CN203445169U (zh) 一种投影机及其外置电池、外置电池外壳
EP3091269A1 (en) Fixing device
JP3152491U (ja) 脚の挿入孔を複数設けた雲台
CN214197836U (zh) 便携支架及电子产品支撑组件
CN210716865U (zh) 一种电子设备支架的拨动式分离结构
KR101595186B1 (ko) 장식품 거치장치
KR20140005798U (ko) 휴대단말기용 홀더
JP5477986B1 (ja) 玩具体における連結機構、玩具体および人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