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0524A - 전기용품 커버 착탈용 체결부재 - Google Patents

전기용품 커버 착탈용 체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0524A
KR20230120524A KR1020220017219A KR20220017219A KR20230120524A KR 20230120524 A KR20230120524 A KR 20230120524A KR 1020220017219 A KR1020220017219 A KR 1020220017219A KR 20220017219 A KR20220017219 A KR 20220017219A KR 20230120524 A KR20230120524 A KR 20230120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male member
wing
cover
male member
electrical appli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유진
조한대
Original Assignee
(주)태승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승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태승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220017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0524A/ko
Publication of KR20230120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524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7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73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the socket having a resilient part on its in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용품의 커버를 착탈하기 위한 체결부재에 있어서: 일단에서 헤드부(21)에 의해 확장되면서 측면에서 날개부(25)에 의해 외경의 변동이 가능한 암형부재(20); 및 상기 암형부재(20)에 동심으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고, 설정된 결합 위치에서 날개부(25)의 외경 변동을 유발하는 숫형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스위치 박스와 같은 전기용품에 탑재된 커버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경박단소한 구조로 적용하기 적합하고 별도의 공구 없이도 착탈이 가능하여 편의성과 더불어 실질적인 활용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용품 커버 착탈용 체결부재 {Fastening member for attaching and detaching electric appliances cover}
본 발명은 전기용품의 체결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 박스와 같은 전기용품의 커버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전기용품 커버 착탈용 체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각종 설비, 장비, 기구, 건물에서 설치되는 전기배선에는 전원을 단속하기 위한 스위치 박스가 포함된다. 통상 스위치 박스는 전선 상호간 접속 시 접속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다양한 커버를 갖춘다. 커버는 복수의 나사나 볼트/너트로 체결되므로 수동ㆍ전동 드라이버로 개폐가 가능하다. 하지만 스위치 박스가 다소 협소한 공간이나 천장에 설치되는 경우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 수지재의 스냅핀 방식을 사용하려면 경박단소하면서 편리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340739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651360호(선행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은 헤드, 헤드와 일체를 이루는 섕크 및, 섕크 상에 위치하며 개구의 각 측면에 스냅결합되는 탄성 맞물림 수단으로 구성되며; 탄성 맞물림 수단은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섕크는 탄성 맞물림 수단 앞에서 축방향으로 돌출한 끝단 부속물로 구성된다. 이에, 대좌나 구멍내로 섕크를 삽입할 때 자동적으로 방향이 조절되는 효과를 기대한다.
선행문헌2는 베이스 본체, 연결 유닛, 고정 유닛 등을 포함하며, 베이스 본체는 서로 간격이 있는 홀딩벽 및 커넥팅 벽을 포함하고, 연결 유닛은 커넥팅 로드 및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며, 맞물림 부재는 어퍼 암, 로어 암 및 커넥팅 암을 포함한다. 이에, 필요한 부품을 간소화시켜서 조작이 편리하고 여러 방향으로 다양한 각도가 가능한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선행문헌 1은 차량의 마감재에 적용되고 선행문헌 2는 전자 모바일 장치에 적용되므로 스위치 박스와 같은 전기용품에 적용하기 미흡하여 개선의 여지를 보이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340739호 "차량용 패널 파스너" (공개일자 : 1996.06.17.)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651360호 "고정 장치" (공개일자 : 2016.08.25.)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위치 박스와 같은 전기용품에 탑재된 커버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경박단소한 구조로 적용하기 적합하고 별도의 공구 없이도 착탈이 가능한 전기용품 커버 착탈용 체결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용품의 커버를 착탈하기 위한 체결부재에 있어서: 일단에서 헤드부에 의해 확장되면서 측면에서 날개부에 의해 외경의 변동이 가능한 암형부재; 및 상기 암형부재에 동심으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고, 설정된 결합 위치에서 날개부의 외경 변동을 유발하는 숫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암형부재와 상기 숫형부재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손으로 탈거하기 용이한 파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암형부재는 날개부의 내면으로 돌출되는 융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숫형부재는 날개부의 외경 변동을 위한 단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암형부재와 상기 숫형부재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보조부재를 더 구비하고, 보조부재는 양자의 결합 위치를 유지하는 요철부, 암형부재에 날개부를 연결하는 지지부, 날개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톱니부, 날개부의 내부에 인서트되는 보강부를 선택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위치 박스와 같은 전기용품에 탑재된 커버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경박단소한 구조로 적용하기 적합하고 별도의 공구 없이도 착탈이 가능하여 편의성과 더불어 실질적인 활용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를 사용 상태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의 변형예를 나타태는 모식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스위치 박스와 같은 전기용품의 커버를 착탈하기 위한 체결부재에 관하여 제안한다. 각종 설비, 장비, 기구, 건물 등에 설치되는 전원 단속용 스위치 박스를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의 착탈은 스위치 박스의 개폐 또는 체결부재의 로킹/언로킹을 의미한다.
일예로 스위치 박스(10)는 노출용, 매입용에 적용 가능하고, 둥근형 박스, 4각 박스, 진벽용에 적용 가능하며, 4각 콘크리트 박스, 8각 콘크리트 박스, 4각 박스 아우트렛 박스 등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스위치 박스(10)를 구성하는 바디(11), 브라켓(12), 커버(15), 체결공(16)이 나타난다. 바디(11)는 전원 단속용 기능품을 절연 상태로 수용하는 상자형 구조이다. 커버(15)는 바디(11)의 일면에 형성된 개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바디(11)와 커버(15) 사이에는 다수의 체결공(16)이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바디(11)는 별도의 브라켓(12) 상에 체결공(16)을 갖출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암형부재(20)가 일단에서 헤드부(21)에 의해 확장되면서 측면에서 날개부(25)에 의해 외경의 변동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암형부재(20)를 구성하는 헤드부(21)와 날개부(25)가 나타난다. 암형부재(20)는 체결공(16)을 통과하는 외경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일단에 체결공(16)보다 충분하게 큰 직경의 헤드부(21)를 갖춘다. 날개부(25)는 암형부재(20)의 외면에 복수로 형성되고 체결공(16)보다 큰 직경으로 벌어질 수 있다. 날개부(25)는 암형부재(20)의 사출성형 과정에서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별도로 형성하여 암형부재(20)에 긴밀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도 2의 (a)(b)(c)에 예시하듯이 암형부재(20)는 스위치 박스(10)의 설치 자세에 따라 도립, 정립, 수평 상태로 결합되고 후술하듯이 날개부(25)의 벌어짐에 의해 결합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암형부재(20)에 동심으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숫형부재(30)가 설정된 결합 위치에서 날개부(25)의 외경 변동을 유발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숫형부재(30)가 암형부재(20)와 맞물림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다. 숫형부재(30)는 원통형 암형부재(20)의 중공부에 긴밀하게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되며, 맞물림 공차는 작업자가 손으로 탈거하기 충분한 범위로 유지한다. 숫형부재(30)의 일단에도 체결공(16)보다 충분하게 큰 직경의 헤드부(31)를 형성한다. 숫형부재(30)가 암형부재(20)에 끼워지는 동안 날개부(25)의 벌어짐이 유발되어 커버(15)의 체결공(16)에 대한 결합력을 증대한다.
이때, 암형부재(20)와 숫형부재(30)는 일정 부분의 치수를 조절하여 접촉에 의한 가압력을 발생시켜 날개부(25)의 탄성변형을 유발한다. 암형부재(20)는 숫형부재(30)보다 탄성이 높은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암형부재(20)와 상기 숫형부재(30)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손으로 탈거하기 용이한 파지부(23)(3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서, 암형부재(20)와 숫형부재(30)에 형성되는 다양한 파지부(23)(33)가 나타난다. 도 2(a) 내지 도 2(c)를 통하여 파지부(23)(33)를 구분하여 나타내지만 이에 각각 한정되지 않고 선택적으로 혼용할 수 있다. 물론 암형부재(20)는 체결공(16)보다 충분이 크거나 도립된 상태라면 별도의 파지부를 구성하지 않아도 탈거하기 용이하다. 한편 파지부(23)(33)는 손으로 탈거하는 용도이지만 단순한 드라이버 등의 공구(도구) 사용을 배제하지 않는다.
도 2(a)는 커버(15)에 밀착된 암형부재(20)의 헤드부(21)에서 숫형부재(30)의 헤드부(31)가 이격된 상태로 결합된다. 이 경우 숫형부재(30)는 헤드부(31)를 포함하여 인접된 영역에 파지부(33)를 갖춘다. 파지부(33)는 헤드부(21)(31)를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구성과 더불어 손가락과의 접촉 면적 및 미끄럼 마찰저항을 높이는 구성을 포함한다.
도 2(b)는 커버(15)에 밀착된 암형부재(20)의 헤드부(21)에서 숫형부재(30)의 헤드부(31)가 약간의 틈새를 두거나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헤드부(21)(31)가 상호 맞물리는 상태로 결합된다. 헤드부(21)(31)는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하고 외면에 각각의 파지부(23)(33)를 형성한다. 암형부재(20)의 헤드부(21)는 다수의 절개홈과 외면으로 돌출된 파지부(23)를 갖춘다. 숫형부재(30)의 헤드부(31)는 암형부재(20)의 절개홈으로 돌출되는 파지부(33)를 갖춘다.
도 2(c)는 커버(15)에 암형부재(20)의 헤드부(21)와 숫형부재(30)의 헤드부(31)가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결합된다. 반면 암형부재(20)의 헤드부(21)보다 숫형부재(30)의 헤드부(31)가 충분히 크기 때문에 단턱의 형태가 파지부(33)의 역할을 한다. 물론 이 경우 파지부(33)는 손가락과의 접촉 면적 및 미끄럼 마찰저항을 높이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암형부재(20)는 날개부(25)의 내면으로 돌출되는 융기부(27)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a)는 암형부재(20)와 숫형부재(30)의 결합전 상태이고, 도 3(b)는 암형부재(20)와 숫형부재(30)의 결합후 상태이다. 도 3(a)처럼 날개부(25)는 암형부재(20)의 4개소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b)에서 암형부재(20)의 날개부(25)에 형성되는 융기부(27)가 나타난다. 암형부재(20)를 스위치 박스(10)의 체결공(16)에 먼저 끼운 상태에서 암형부재(20)에 숫형부재(30)를 끼우면 융기부(27)에서 가압되면서 날개부(25)가 벌어지므로 체결공(16)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융기부(27)는 날개부(25)의 상단에 인접하여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한다. 반대로 파지부(33)를 이용하여 숫형부재(30)를 탈거하면 날개부(25)가 원위치로 복귀하므로 암형부재(20)를 탈거하고 바디(11)에서 커버(15)를 개방하기 쉽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숫형부재(30)는 날개부(25)의 외경 변동을 위한 단턱부(3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b)에서, 숫형부재(30)의 일정한 높이에 직경을 달리 적용하는 단턱부(35)가 형성된다. 숫형부재(30)가 암형부재(20) 상에서 일정 깊이로 체결되기 전에는 날개부(25)의 변형이 없고 단턱부(35)가 융기부(27)를 통과하면서 날개부(25)가 신속하게 벌어지고 체결이 완료된다. 스위치 박스(10)의 브라켓(12)과 커버(15)가 두꺼워질수록 날개부(25)의 점진적 벌어짐은 숫형부재(30)의 압입에 많은 힘을 소요한다. 숫형부재(30)에 단턱부(35)을 적용하면 설정된 깊이에서 날개부(25)가 벌어지므로 체결부재의 착탈과 커버(15)의 개폐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암형부재(20)와 상기 숫형부재(30)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보조부재를 더 구비하고, 보조부재는 양자의 결합 위치를 유지하는 요철부(41), 암형부재(20)에 날개부(25)를 연결하는 지지부(43), 날개부(25)의 외면에 형성되는 톱니부(45), 날개부(25)의 내부에 인서트되는 보강부(47)를 선택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보조부재를 구성하는 요철부(41), 지지부(43), 톱니부(45), 보강부(47)가 모두 나타나지만 스위치 박스(10)의 조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요철부(41)는 암형부재(20)와 숫형부재(30)가 체결이 완료되는 위치에 요부와 철부 구조로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암형부재(20)와 숫형부재(30)가 도 2의 상태로 체결되어도 진동과 같은 외부의 요인으로 풀어질 수 있다. 요철부(41)는 암형부재(20)와 숫형부재(30)를 체결 완료된 위치로 유지한다.
지지부(43)는 날개부(25)가 별개로 형성되어 암형부재(20)에 부착되는 경우에 유용하다. 지지부(43)는 수지재나 금속재로 망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외면으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날개부(25)의 탄성변형을 허용한다.
톱니부(45)는 날개부(25)가 벌어진 상태에서 체결공(16)과 긴밀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맞물린다. 도 1과 같은 상태를 기준으로 하면 톱니부(45)는 브라켓(12)의 체결공(16)의 하단에 맞물린다. 톱니부(45)는 요철부(41)와 기능적으로 유사하므로 병용할 수도 있다.
보강부(47)는 날개부(25)의 강도, 탄성, 내마모성 등의 물성을 보강하도록 형성된다. 보강부(47)는 암형부재(20) 또는 날개부(25)의 사출성형 과정에서 인서트하여 일체로 구성한다. 보강부(47)는 지지부(43)와 기능적으로 일부 유사하므로 병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스위치 박스 11: 바디
12: 브라켓 15: 커버
16: 체결공 20: 암형부재
21: 헤드부 23: 파지부
25: 날개부 27: 융기부
30: 숫형부재 31: 헤드부
33: 파지부 35: 단턱부
41: 요철부 43: 지지부
45: 톱니부 47: 보강부

Claims (5)

  1. 전기용품의 커버를 착탈하기 위한 체결부재에 있어서:
    일단에서 헤드부(21)에 의해 확장되면서 측면에서 날개부(25)에 의해 외경의 변동이 가능한 암형부재(20); 및
    상기 암형부재(20)에 동심으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고, 설정된 결합 위치에서 날개부(25)의 외경 변동을 유발하는 숫형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용품 커버 착탈용 체결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형부재(20)와 상기 숫형부재(30)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손으로 탈거하기 용이한 파지부(23)(3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용품 커버 착탈용 체결부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형부재(20)는 날개부(25)의 내면으로 돌출되는 융기부(27)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용품 커버 착탈용 체결부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숫형부재(30)는 날개부(25)의 외경 변동을 위한 단턱부(3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용품 커버 착탈용 체결부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형부재(20)와 상기 숫형부재(30)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보조부재를 더 구비하고, 보조부재는 양자의 결합 위치를 유지하는 요철부(41), 암형부재(20)에 날개부(25)를 연결하는 지지부(43), 날개부(25)의 외면에 형성되는 톱니부(45), 날개부(25)의 내부에 인서트되는 보강부(47)를 선택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용품 커버 착탈용 체결부재.
KR1020220017219A 2022-02-09 2022-02-09 전기용품 커버 착탈용 체결부재 KR202301205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219A KR20230120524A (ko) 2022-02-09 2022-02-09 전기용품 커버 착탈용 체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219A KR20230120524A (ko) 2022-02-09 2022-02-09 전기용품 커버 착탈용 체결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524A true KR20230120524A (ko) 2023-08-17

Family

ID=87800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219A KR20230120524A (ko) 2022-02-09 2022-02-09 전기용품 커버 착탈용 체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052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739B1 (ko) 1994-11-25 2002-11-02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차량용패널파스너
KR101651360B1 (ko) 2015-04-29 2016-08-25 차우-런 창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739B1 (ko) 1994-11-25 2002-11-02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차량용패널파스너
KR101651360B1 (ko) 2015-04-29 2016-08-25 차우-런 창 고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3673A (en) Modular electrical outlet assembly
ATE555266T1 (de) Klipsbefestigung für die montage von beschlageinrichtungen, wie verschlüsse, scharnierteile, griffe in durchbrüchen in einer dünnen wand
JP7051911B2 (ja) アンカーアセンブリ
JP6439547B2 (ja) 環状部材の固定構造及び電子キー
JP6102411B2 (ja) 電気機器および電気機器用取付具
CZ361096A3 (en) Cover arrangement
KR20230120524A (ko) 전기용품 커버 착탈용 체결부재
JP6953879B2 (ja) 車両用ドアトリム構造
JP4224750B2 (ja) 調整蝶番
KR20090132974A (ko) 박스의 커버결합장치
JP4259702B2 (ja) 車内部品の取付構造
KR100776652B1 (ko) 탈 장착 힌지를 구비한 커버
KR200169453Y1 (ko) 전선 배관용 덕트
EP3790135A1 (en) A wall mount for an electrical device
JPS587943Y2 (ja) スイツチボツクス
JP3711295B2 (ja) 床用遮蔽蓋の把手装置
JP2010126907A (ja) パネル材の見切り縁材取り付け構造
JP4032869B2 (ja) ケーブル収納体
WO2010005388A1 (en) Cover
JPH03155196A (ja) リモコンの取付装置
EP1100162B1 (en) Arrangement for fastening a plug, and a plug
KR101892175B1 (ko) 자동차용 로드 플로어 매트의 스트랩 고정용 고정 브래킷
JP3811860B2 (ja) 竪樋支持具
KR200260379Y1 (ko) 탈부착이 간편한 도어고정구,
JP2024076414A (ja) 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