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0843A -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 Google Patents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0843A
KR20130130843A KR1020137025313A KR20137025313A KR20130130843A KR 20130130843 A KR20130130843 A KR 20130130843A KR 1020137025313 A KR1020137025313 A KR 1020137025313A KR 20137025313 A KR20137025313 A KR 20137025313A KR 20130130843 A KR20130130843 A KR 20130130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ification
area
vehicle
detected
rea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5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2659B1 (ko
Inventor
데츠야 고모구치
도모야 가와사키
요시히코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30130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0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6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istinguishing direction of trav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2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parking purposes, e.g. for warning the driver that his vehicle has contacted or is about to contact an obstacle
    • B60Q9/004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parking purposes, e.g. for warning the driver that his vehicle has contacted or is about to contact an obstacle using wave sensors
    • B60Q9/006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parking purposes, e.g. for warning the driver that his vehicle has contacted or is about to contact an obstacle using wave sensors using a distance sen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6Anti-collision systems for active traffic, e.g. moving vehicles, pedestrians, bi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7Driving aids for lane monitoring, lane changing, e.g. blind spot det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01S2013/9315Monitoring blind spo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01S2013/9327Sensor installation details
    • G01S2013/93272Sensor installation details in the back of the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01S2013/9327Sensor installation details
    • G01S2013/93274Sensor installation details on the side of the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01S2013/9327Sensor installation details
    • G01S2013/93275Sensor installation details in the bumper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자차량의 바로 뒤의 영역에 있어서의 대상물 (타차량 등) 의 존재는 알릴 수 없다는 것을 드라이버에게 이해시킬 수 있는,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를 제공한다.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는, 자차량의 후측방의 대상물의 존재를 검지하는 대상물 검지부와, 대상물 검지부가 대상물의 존재를 검지할 수 있는 검지 영역 내의 소정 영역으로, 대상물이 진입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이동 판정부와, 이동 판정부에 의해서, 대상물이 소정 영역으로 진입했다고 판정되었을 때, 알림을 정지하는 알림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REAR CROSS TRAFFIC ALERT DEVICE}
본 발명은 자동차 등의 차량에 탑재되고, 자차량의 후측방의 대상물 (타차량 등) 을 검지하여 드라이버에게 알리는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특정적으로는 타차량이 자차량의 바로 뒤의 영역으로 진입한 경우의 상기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의 알림 제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차량에는, 자차량의 좌우 후측방 영역으로서 드라이버의 사각이 되는 영역 (알림 영역) 내의 타차량 등의 존재를 드라이버에게 알리는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리어 크로스 트래픽 얼럿 장치) 가 장비되어 있는 것이 많다. 당해 리어 크로스 트래픽 얼럿 장치에 따르면, 자차량의 좌우 후측방의 알림 영역으로 접근하는 타차량이 밀리파 레이더 등에 의해서 검지되고, 당해 타차량이 알림 영역 내로 진입하면, 당해 타차량의 존재가 드라이버에게 알려진다 (경보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또,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리어 크로스 트래픽 얼럿 장치에 의하면, 당해 리어 크로스 트래픽 얼럿 장치를 구비한 차량이 주차할 때에는, 주차시의 주차 스페이스에 대한 자차량의 진입 각도에 맞추어 자차량의 후측방의 알림 영역 (알림 대상으로 하는 검지 각도) 을 변경함으로써, 불필요한 영역 내에서의 알림을 실시하지 않고, 또한 필요한 영역 내의 알림을 실시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 US2010/0271237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리어 크로스 트래픽 얼럿 장치는, 타차량이 알림 영역을 나온 후에 알림이 종료되거나, 혹은, 일정 시간 알림이 계속된 후에 알림이 종료되는 것이었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타차량이 자차량의 좌후측방으로부터 자차량의 우후측방으로 통과하는 경우, 자차량에 설치된 리어 크로스 트래픽 얼럿 장치는, 자차량의 좌후측방의 알림 영역으로 진입한 타차량의 존재를 알린 후, 타차량이 당해 알림 영역을 나올 때까지 알림을 계속한다. 따라서, 타차량이 좌후측방의 알림 영역을 나오기 직전에는, 타차량은 이미 자차량의 바로 뒤의 영역으로 진입해 있지만, 알림이 실시되고 있다고 하는 상황이 발생된다. 이 때문에, 드라이버는, 리어 크로스 트래픽 얼럿 장치는 자차량의 바로 뒤에 있는 타차량의 존재도 검지하여 알려 주는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리어 크로스 트래픽 얼럿 장치는, 자차량의 후측방이고, 자차량으로부터는 사각이 되기 쉬운 블라인드 스폿에서의 타차량의 존재를 알리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본래, 자차량의 바로 뒤의 영역에 있는 타차량의 존재를 검지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자차량의 바로 뒤로부터 자차량을 향해서 진행해 오는 타차량의 존재는 알릴 수 없다. 그러나, 이와 같은 리어 크로스 트래픽 얼럿 장치의 본래의 구조에 대해서 드라이버가 숙지하고 있다고 할 수도 없어, 상기한 바와 같이 리어 크로스 트래픽 얼럿 장치는, 자차량의 바로 뒤에 있는 타차량의 존재까지도 검지하여 알려 주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드라이버는, 경보가 실시되고 있지 않는 상황에서는, 자차량의 바로 뒤에는 타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믿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드라이버가, 예를 들어 주차 전후의 자차량 조작시에, 자차량을 후진시킬 때에, 리어 크로스 트래픽 얼럿 장치가 알리지 않음으로써 바로 뒤에 타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여 후방 확인을 태만히 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차량의 바로 뒤의 영역에 있어서의 대상물 (타차량 등) 의 존재는 알릴 수 없다는 것을 드라이버에게 이해시킬 수 있는,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리어 크로스 트래픽 얼럿 장치) 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채용하였다. 즉, 제 1 국면은, 자차량의 후측방으로 접근하는 대상물의 존재를 알리는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로서, 자차량의 후측방의 대상물의 존재를 검지하는 대상물 검지부와, 대상물 검지부가 대상물의 존재를 검지할 수 있는 검지 영역 내의 소정 영역에, 대상물이 진입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이동 판정부와, 이동 판정부에 의해서, 대상물이 소정 영역으로 진입했다고 판정되었을 때, 알림을 정지하는 알림 제어부를 구비한다.
제 2 국면은, 제 1 국면에 있어서, 소정 영역으로서의 알림 정지 영역과, 당해 알림 정지 영역과는 중복되지 않는 알림 대상 영역을 검지 영역 내에 설정하는 대상 영역 설정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이동 판정부는, 대상물이 알림 대상 영역으로부터 알림 정지 영역으로 진입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알림 제어부는, 이동 판정부에 의해서 대상물이 알림 대상 영역으로부터 알림 정지 영역으로 진입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알림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국면은, 제 2 국면에 있어서, 대상 영역 설정부는, 알림 정지 영역을, 자차량의 후방이고, 대상물 검지부가 대상물의 존재를 검지할 수 없는 후방 비검지 영역과, 자차량의 차폭 방향에 인접하는 영역에 설정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국면은, 제 2 국면에 있어서, 이동 판정부는, 알림 대상 영역 내에서 검지되고, 또한 알림 정지 영역 내에서 검지되어 있지 않았던 알림 대상물이, 적어도 알림 정지 영역 내에서 검지되었을 때, 대상물이 알림 대상 영역으로부터 알림 정지역으로 진입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 국면은, 제 2 국면에 있어서, 이동 판정부는, 대상물이 알림 정지 영역을 나와 알림 대상 영역으로 완전히 이동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알림 제어부는, 이동 판정부에 의해서, 대상물이 알림 정지 영역을 나와 알림 대상 영역으로 완전히 이동했다고 판정되었을 때 알림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 국면은, 제 5 국면에 있어서, 이동 판정부는, 적어도 알림 정지 영역 내에서 검지되어 있던 대상물이 알림 대상 영역 내에서 검지되고, 또한 알림 정지 영역 내에서 검지되지 않을 때, 대상물이 알림 정지 영역을 나와 알림 대상 영역으로 완전히 이동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 국면은, 제 2 국면에 있어서, 이동 판정부는, 대상물 검지부에 의해서 상이한 복수의 대상물이 검지된 경우, 대상물별로 당해 대상물이 알림 대상 영역 내에서 검지되고, 또한 알림 정지 영역 내에서 검지되지 않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알림 제어부는, 이동 판정부에 의해서, 복수의 대상물 중의 적어도 1 개가 알림 대상 영역 내에서 검지되고, 또한 알림 정지 영역 내에서 검지되지 않았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알림을 정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 국면은, 제 3 국면에 있어서, 대상 영역 설정부는, 알림 정지 영역을, 알림 대상 영역과 후방 비검지 영역 사이이고, 양 영역과 자차량의 차폭 방향에 인접하는 영역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의 각 구성이 실시하는 각각의 처리는, 일련의 처리 순서를 부여하는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도 인지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일련의 처리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형식으로 제공된다. 이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형태로 컴퓨터에 도입되어도 된다.
제 1 국면에 의하면, 자차량의 후측방으로 접근하는 대상물 (예를 들어 타차량) 이, 자차량의 후측방의 검지 영역 내에서 소정 영역으로 진입하면, 후측방 접근 장치에 의한 알림이 정지된다. 이 때문에, 그 후, 타차량이 자차량의 후방 비검지 영역으로 더욱 이동해도 알림이 실행되는 경우는 없다. 이 때문에, 드라이버는, 자차량의 후방 비검지 영역 내에서 타차량의 존재가 알려진다고 인식하는 경우는 없고, 후측방 접근 장치는, 자차량의 바로 뒤의 영역 (후방 비검지 영역) 에 있어서의 타차량의 존재를 알릴 수 없다고 인식할 수 있다.
제 2 국면에 의하면, 예를 들어 타차량이, 자차량의 후측방의 검지 영역 내에서 알림 대상 영역으로부터 알림 정지 영역으로 이동했을 때, 후측방 접근 장치에 의한 알림이 정지된다. 즉, 타차량이 자차량의 후측방의 알림 정지 영역으로 이동해 있으면 알림이 정지되므로, 그 후, 타차량이 자차량의 후방 비검지 영역으로 더욱 이동해도 알림이 실행되는 경우는 없다. 이 때문에, 드라이버는, 자차량의 후방 비검지 영역 내에서 타차량의 존재가 알려진다고 인식하는 경우는 없고, 후측방 접근 장치는, 자차량의 바로 뒤의 영역 (후방 비검지 영역) 에 있어서의 타차량의 존재를 알릴 수 없다고 인식할 수 있다.
제 3 국면에 의하면, 알림 정지 영역은, 검지 영역 내이고, 자차량의 후방의 후방 비검지 영역과, 자차량의 차폭 방향에 인접하는 영역에 설정된다. 이로써, 타차량은, 자차량의 검지 영역으로부터 후방 비검지 영역을 통과하기 전후에는 반드시 자차량의 알림 정지 영역을 통과하게 된다. 이 때문에, 타차량이 자차량의 후방 비검지 영역을 통과하기 전후에는, 후측방 접근 장치에 의한 알림이 실행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드라이버는 자차량의 후방 비검지 영역에서는 알림이 실행되지 않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제 4 국면에 의하면, 타차량이, 자차량의 알림 대상 영역 내에서 검지되어 있다고 해도, 적어도 자차량의 알림 정지 영역 내에서도 검지된 경우에 알림이 정지된다. 따라서, 타차량의 일부라도 알림 정지 영역 내로 진입해 있으면, 타차량의 그 밖의 부분이 알림 대상 영역 내에 남아 있었다고 해도 알림이 실행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타차량의 일부가 후방 비검지 영역 내에 있어도, 그 밖의 부분이 알림 대상 영역에 남아 있음으로써 알림이 계속된다는 경우가 없다. 이 때문에, 드라이버는, 타차량이 자차량의 후방 비검지 영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알림은 실행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제 5 국면에 의하면, 자차량의 후측방으로 접근하는 타차량이 자차량의 후측방의 검지 영역 내에서 알림 정지 영역으로부터 알림 대상 영역으로 이동했을 때, 후측방 접근 장치에 의한 알림이 개시된다. 이로써, 타차량이 자차량의 후측방의 알림 정지 영역 내에 있음으로써 정지되어 있던 알림이, 알림 대상 영역 내로 이동함으로써 알림이 다시 개시된다. 따라서, 드라이버는, 타차량이 자차량의 후측방의 알림 대상 영역에 있으면 타차량의 존재가 알려지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제 6 국면에 의하면, 타차량이 자차량의 알림 대상 영역 내에서 검지되고, 또한 알림 정지 영역 내에서 검지되지 않게 된 경우에 알림이 개시된다. 따라서, 타차량의 일부라도 알림 정지 영역 내에 남아 있으면, 타차량의 그 밖의 부분이 알림 대상 영역 내로 진입해 있었다고 해도 알림이 실행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타차량의 일부가 알림 대상 영역으로 진입함으로써, 타차량의 그 밖의 부분이 후방 비검지 영역 내에 있어도 알림이 개시된다는 경우가 없다. 이 때문에, 드라이버는, 타차량이 자차량의 후방 비검지 영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알림은 실행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제 7 국면에 의하면, 대상물이 복수 있는 경우, 1 개의 대상물이 알림을 정지해야 할 영역 (알림 정지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 에 있었다고 해도, 다른 대상물이 알림을 개시해야 할 영역 (알림 대상 영역을 포함하고, 알림 정지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영역) 에 있으면 알림은 계속된다. 따라서, 대상물이 복수 있는 경우에는, 알림을 개시해야 할 영역에 대상물이 존재하는 것이 우선되어 알림이 계속되기 때문에, 드라이버에게는 적절히 타차량의 존재가 알려진다.
제 8 국면에 의하면, 타차량이 자차량의 후측방의 알림 대상 영역으로부터 자차량의 후방의 비검지 영역으로 진입할 때에는, 타차량은 알림 대상 영역으로부터 알림 정지 영역을 통과하여 후방 비검지 영역으로 진입한다. 이 때문에, 타차량이 자차량의 후방 비검지 영역으로 진입할 때에는, 실행되고 있던 알림이 알림 정지 영역을 통과함으로써 정지하고, 자차량의 후방 비검지 영역 내로 진입했을 때에는, 알림이 실행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에 의하면, 자차량의 바로 뒤의 영역 (후방 비검지 영역) 에 있어서의 대상물 (타차량 등) 의 존재는 알릴 수 없다는 것을 드라이버에게 이해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1) 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는, 밀리파 레이더 (10) 가 검지하는 검지 영역 (200) 과, 알림 대상 영역 (210) 및 알림 정지 영역 (220) 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ECU (20) 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 는,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1) 가 실행하는, 타차량 (300) 이 자차량 (100) 의 후방을 횡단하는 경우의 알림 제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1) 가 실행하는, 타차량 (300) 이 자차량 (100) 의 후방을 횡단하는 경우의 알림 제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1) 가 실행하는, 타차량 (300) 이 자차량 (100) 의 측방을 통과하는 경우의 알림 제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1) 가 실행하는 알림 제어 처리의 상세함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의 일례이다.
도 8 은, 종래의 알림 제어의 모습을 나타낸 종래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는, 자차량에 탑재되고, 자차량의 좌우 후측방 영역의 대상물 (타차량 등) 을 검지하여 알림 영역 내의 대상물의 존재를 알리는 장치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1) 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을 참조하여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1) 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1) 는, 밀리파 레이더 (10), ECU (Electronic Control Unit)(20), 외부 인터페이스 (30), 알림기 (40) 로 구성된다.
밀리파 레이더 (10) 는 자차량 (100) 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예를 들어, 자차량 (100) 의 좌우 사이드 미러, 펜더 보디, 혹은 리어 범퍼 내에 장착되어) 자차량 (100) 의 좌우 후측방에 있는 대상물을 검지한다. 밀리파 레이더 (10) 는, 자차량 (100) 의 측방을 향하여 밀리파 (전자파) 를 조사하고, 당해 밀리파 레이더 (10) 의 검지 범위 내 (전자파의 조사 범위 내) 에 존재하는 대상물 (타차량, 자전거, 가드 레일, 교통 표지 등) 을 검지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리파 레이더 (10) 는 안테나부 (11), 밀리파 송수신기 (12), 아날로그 회로부 (13), 디지털 신호 처리부 (14), 외부 인터페이스 (15) 를 구비하고 있다.
안테나부 (11) 는, 예를 들어 평면 안테나이고, 안테나부 (11) 에는 밀리파 송수신기 (12) 가 접속되어 있다. 밀리파 송수신기 (12) 는 주파수 체배기, 믹서, 증폭 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안테나부 (11) 및 밀리파 송수신기 (12) 는 예를 들어 24 ㎓ ∼ 25 ㎓ 의 밀리파를 레이더파로서 송수신한다.
아날로그 회로부 (13) 는, 밀리파 송수신기 (12) 가 수신한 신호에 대해서 소정 아날로그 신호 처리를 실행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 (14) 에 신호 처리된 신호를 출력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 (14) 는, 입력된 레이더의 비트 신호를 AD 변환하고, DSP 회로에서 주파수 분석을 실시하고, 자차량을 기준으로 하는 대상물의 거리, 상대 속도, 각도 정보 등을 연산함으로써 대상물의 위치를 검지하고, 대상물의 위치 정보를 외부 인터페이스 (15) 를 통하여 ECU (20) 에 출력한다.
또한, 밀리파 레이더 (10) 는, 검지한 대상물별로 그 검지 정보를 출력한다. 따라서, 밀리파 레이더 (10) 가 복수의 대상물을 검지하고 있는 경우, 당해 밀리파 레이더 (10) 는, 대상물을 검지한 정보 (위치 정보) 를 대상물별로 각각 ECU (20) 에 출력한다.
ECU (20) 는, 밀리파 레이더 (10) 로부터 입력된 대상물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알림의 개시 및 정지를 제어하는 알림 제어를 실행한다. ECU (20) 는, 외부 인터페이스 (30) 를 통하여 알림의 실행 지시 및 정지 지시를 알림기 (40) 에 출력한다. 또한, 이 알림 제어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알림기 (40) 는, 드라이버에게 대상물의 존재를 시각적, 혹은 청각적으로 알린다. 알림기 (40) 는, 예를 들어 경고등 등의 표시 장치나, 경보 버저 등의 경보 장치이다. 예를 들어, ECU (20) 로부터의 알림의 실행 지시에 기초하여 경고등이 점등되고, 경보 버저의 경고음이 출력되고, 알림의 정지 지시에 기초하여 경고등이 소등되고, 경보 버저의 경고음이 정지한다.
다음으로, 도 2 를 참조하여, 밀리파 레이더 (10) 가 대상물을 검지할 수 있는 검지 영역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 는, 밀리파 레이더 (10) 의 검지 영역과, 알림 대상 영역 및 알림 정지 영역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밀리파 레이더 (10) 는, 자차량 (100) 의 좌우 후측방의 리어 범퍼 내에 매립되어 있다 (우측의 밀리파 레이더를 우측 밀리파 레이더 (10R), 좌측의 밀리파 레이더를 좌측 밀리파 레이더 (10L) 라고 칭한다). 밀리파 레이더 (10) 는, 자차량 (100) 의 좌우 후측방에 있는 대상물을 검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자차량 (100) 의 리어 사이드 멤버에 탑재하고, 자차량 (100) 의 측방을 향해서 밀리파를 조사한다. 이 때문에, 좌측 밀리파 레이더 (10L) 가 대상물을 검지할 수 있는 영역 (밀리파를 조사할 수 있는 영역) 은, 예를 들어 자차량 (100) 의 후방으로부터 자차량 (100) 의 좌전방에 걸치는 검지폭 (검지 각도 범위;예를 들어 150°) 으로 나타내는 좌측 검지 영역 (200L)(도 2 에 나타내는 사선부) 이 되고, 마찬가지로, 우측 밀리파 레이더 (10R) 가 대상물을 검지할 수 있는 영역은, 예를 들어 자차량 (100) 의 후방으로부터 자차량 (100) 의 우전방에 걸치는 검지폭 (검지 각도 범위;예를 들어 150°) 으로 나타내는 우측 검지 영역 (200R)(도 2 에 나타내는 사선부) 이 된다. 즉, 밀리파 레이더 (10) 는 자차량 (100) 의 바로 뒤의 영역을 검지할 수 없다.
또,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ECU (20) 에 의해서, 상기 좌측 검지 영역 (200L) 내에 좌측 알림 대상 영역 (210L) 및 좌측 알림 정지 영역 (220L) 이 설정되고, 상기 우측 검지 영역 (200R) 내에 우측 알림 대상 영역 (210R) 및 우측 알림 정지 영역 (220R) 이 설정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검지 영역 (200) 으로 칭하는 경우에는, 좌측 검지 영역 (200L) 과 우측 검지 영역 (200R) 의 양자를 가리키는 것으로 하고, 알림 대상 영역 (210) 으로 칭하는 경우에는, 좌측 알림 대상 영역 (210L) 과 우측 알림 대상 영역 (210R) 의 양자를 가리키는 것으로 하고, 알림 정지 영역 (220) 으로 칭하는 경우에는, 좌측 알림 정지 영역 (220L) 과 우측 알림 정지 영역 (220R) 의 양자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대상물이 밀리파 레이더 (10) 에 의해서 알림 대상 영역 (210) 내에서 검지되고, 알림 정지 영역 (220) 내에서 검지되지 않을 때, 알림기 (40) 에 의해서 당해 대상물의 존재가 알려지고, 밀리파 레이더 (10) 에 의해서 알림 대상 영역 (210) 내에서 검지되었을 때, 알림기 (40) 에 의한 당해 알림이 정지된다.
다음으로, 도 3 을 참조하여 ECU (20) 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 은 ECU (20) 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ECU (20) 는, 예를 들어 CPU, ROM, RAM 등을 갖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그 기능 구성으로서 대상 영역 설정부 (21), 존재 판정부 (22), 알림 제어부 (23) 를 구비하고 있다.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1) 의 ECU (20) 는, 예를 들어 상기한 ROM 에 미리 격납된 제어 프로그램을 CPU 에 실행하게 함으로써, 대상 영역 설정부 (21), 존재 판정부 (22), 알림 제어부 (23) 로서 동작한다.
대상 영역 설정부 (21) 는, 도 2 를 사용하여 설명한 알림 대상 영역 (210) 과 알림 정지 영역 (220) 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대상 영역 설정부 (21) 는, 자차량 (100) 의 좌우 후측방 영역이고, 밀리파 레이더 (10) 가 검지하는 검지 영역 (200) 중 드라이버로부터는 사각이 되기 쉬운 위치에 알림 대상 영역 (210) 을 설정한다. 이 알림 대상 영역 (210) 에는, 예를 들어 자차량 (100) 의 필러에 의해서 사각이 되기 쉬운 영역, 또는 육안으로 보기 곤란한 영역이 설정되지만, 차량에 따라서 필라의 위치나 육안으로 보기 곤란한 영역은 상이하기 때문에 차량의 특성에 따라서 알림 대상 영역 (210) 이 설정된다. 또, 대상 영역 설정부 (21) 는, 자차량 (100) 의 후방이고, 밀리파 레이더 (10) 가 대상물을 검지할 수 없는 영역 (이하, 후방 비검지 영역이라고 칭한다) 과 알림 대상 영역 (210) 사이이고, 양 영역과 자차량의 차폭 방향에 인접하는 위치에 알림 정지 영역 (220) 을 설정한다 (도 2 참조). 그리고, 대상 영역 설정부 (21) 는, 설정한 알림 대상 영역 (210) 과 알림 정지 영역 (220) 을 나타내는 정보를 존재 판정부 (22) 에 출력한다.
존재 판정부 (22) 는, 외부 인터페이스 (15) 를 통하여 입력된 대상물의 위치 정보와, 대상 영역 설정부 (21) 가 출력한 알림 대상 영역 (210) 및 알림 정지 영역 (220) 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물 (의 일부) 이 알림 대상 영역 (210) 및/또는 알림 정지 영역 (220)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존재 판정부 (22) 는, 그 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알림 제어부 (23) 에 출력한다. 또한, 존재 판정부 (22) 는 본 발명의 이동 판정부로서도 기능한다.
알림 제어부 (23) 는, 그 기능 구성으로서, 알림 개시 제어부 (23a) 와 알림 정지 제어부 (23b) 를 구비하고 있다.
알림 개시 제어부 (23a) 는, 존재 판정부 (22) 가 출력한 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알림의 개시를 지시하는 정보를 외부 인터페이스 (30) 를 통하여 알림기 (40) 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존재 판정부 (22) 에 의해서, 대상물이 알림 대상 영역 (210) 내에 있고, 알림 정지 영역 (220) 내에 없다고 판정되었을 때 알림기 (40) 에 대해서 알림의 개시를 지시한다.
알림 정지 제어부 (23b) 는, 존재 판정부 (22) 가 출력한 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알림의 정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외부 인터페이스 (30) 를 통하여 알림기 (40) 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존재 판정부 (22) 에 의해서, 알림 대상 영역 (210) 내에 있고, 알림 정지 영역 (220) 내에 없다고 판정된 대상물이, 알림 대상 영역 (210) 및 알림 정지 영역 (220) 의 양자의 영역 내에 존재한다고 판정되었을 때 (즉, 대상물이 알림 대상 영역 (210) 으로부터 알림 정지 영역 (220) 으로 진입했다고 판정되었을 때), 또는, 알림 대상 영역 (210) 내에 있고, 알림 정지 영역 (220) 내에 없다고 판정된 대상물이, 알림 대상 영역 (210) 및 알림 정지 영역 (220) 이외의 영역 내에 존재한다고 판정되었을 때 (즉, 대상물이 알림 대상 영역 (210) 을 완전히 나왔다고 판정되었을 때), 알림기 (40) 에 대해서 알림의 정지를 지시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1) 의 알림 제어에 대해서 설명하기 전에, 도 8 을 참조하여, 종래 행해지고 있던 알림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 은, 타차량이 자차량의 좌후측방으로부터 우후측방으로 통과하는 경우의 종래의 알림 제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알림 제어에 의하면, 타차량이 자차량의 좌후측방으로부터 자차량의 우후측방으로 통과하는 경우, 타차량이 좌후측방의 알림 대상 영역으로 진입해 오면, 자차량에 구비된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가 타차량의 존재를 알린다 (도 8(1) 참조). 그리고, 타차량이 자차량의 알림 대상 영역을 나올 때까지 알림이 실행된다. 그 때문에, 타차량이 알림 대상 영역을 나오기 직전에는, 타차량은 자차량의 바로 뒤에까지 진행하고 있는데, 알림이 계속된다는 상황이 발생된다 (도 8(2) 참조). 이 때문에, 드라이버는,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가 자차량의 바로 뒤에 있는 타차량의 존재도 검지하여 알려 주는 것으로 인식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다음으로, 도 4 ∼ 도 7 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1) 의 알림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 도 5 는, 타차량 (300) 이 자차량 (100) 의 좌후측방으로부터 우후측방으로 통과하는 경우 (자차량 (100) 의 후방을 횡단하는 경우) 의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1) 가 실행하는 알림 제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타차량 (300) 이 자차량 (100) 의 좌측방을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통과하는 경우의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1) 가 실행하는 알림 제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차량 (300) 이 자차량 (100) 의 좌후측방으로부터 자차량의 우후측방으로 통과하는 경우, 먼저, 타차량이 좌후측방의 좌측 알림 대상 영역 (210L) 으로 진입해 오면,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1) 가 타차량 (300) 의 존재를 알린다 (도 4(1) 참조). 다음으로, 타차량 (300) 이, 좌측 알림 대상 영역 (210L) 으로부터, 이것과 자차량 (100) 의 차폭 방향에 인접하는 좌측 알림 정지 영역 (220L) 으로 진입해 오면,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1) 는 타차량 (300) 의 존재의 알림을 정지한다 (도 4(2) 참조). 그리고, 이대로 타차량 (300) 이 진행하여, 자차량 (100) 의 바로 뒤의 후방 비검지 영역에 이르렀을 때에는 알림은 실행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타차량 (300) 은, 후방 비검지 영역으로부터, 먼저 우측 알림 정지 영역 (220R) 으로 진입하고, 그리고, 우측 알림 대상 영역 (210R) 으로 진입한다 (도 5(1) 참조). 이 때, 도 5(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차량 (300) 은 우측 알림 정지 영역 (220R) 을 완전히 통과할 때까지,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1) 는 타차량 (300) 의 존재의 알림을 개시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타차량 (300) 이 우측 알림 정지 영역 (220R) 을 완전히 통과하여, 우측 알림 대상 영역 (210R) 에서만 검지되게 되면,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1) 는 타차량 (300) 의 존재의 알림을 개시한다 (도 5(2) 참조).
이상과 같이, 타차량 (300) 이, 자차량 (100) 의 좌후측방으로부터 자차량의 우후측방으로 통과하는 경우, 타차량 (300) 이 알림 정지 영역 (220) 을 통과하고 있는 때에는 알림이 실행되지 않고, 알림 정지 영역 (220) 을 통과하고 있지 않을 때에만 알림이 실행된다. 그리고, 알림 정지 영역 (220) 은, 후방 비검지 영역과 자차량 (100) 의 차폭 방향에 인접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타차량 (300) 이 후방 비검지 영역의 근방에 있을 때에는 알림이 실행되지 않는다. 또, 상기와 같이, 타차량 (300) 이 자차량 (100) 의 좌후측방으로부터 자차량의 우후측방으로 통과하는 경우에는, 타차량 (300) 이 자차량 (100) 의 바로 뒤에 도달했을 때에는, 지금까지 행해지고 있던 알림이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드라이버는, 타차량 (300) 이 자차량의 바로 뒤 (후방 비검지 영역) 에 있을 때에는 알림이 실행되지 않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을 참조하여, 타차량 (300) 이, 자차량 (100) 의 좌측방을,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통과하는 경우의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1) 가 실행하는 알림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타차량 (300) 은 먼저 좌후측방의 좌측 알림 대상 영역 (210L) 을 후방으로부터 진입한다 (도 6(1) 참조). 이 때,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1) 는 타차량 (300) 의 존재의 알림을 개시한다. 다음으로, 타차량 (300) 은 전방으로 진행함으로써, 좌측 알림 대상 영역 (210L) 을 전방으로 빠진다. 여기서, 타차량 (300) 이 좌측 알림 대상 영역 (210L) 을 전방으로 빠지기 직전에는 알림은 계속 중이다 (도 6(2) 참조). 이 때문에, 예를 들어 타차량 (300) 이 자차량 (100) 의 측방을 통과해 가는 경우와 같이, 자차량 (100) 의 블라인드 스폿을 통과하는 타차량 (300) 의 존재는 종래대로 적절히 알려진다. 또한, 알림 대상 영역 (210) 및 알림 정지 영역 (220) 의 위치, 크기는 이와 같이 자차량 (100) 의 측방을 통과하는 타차량 (300) 이 정확하게 알려지도록 설정된다.
이하에, 도 7 을 참조하여, 상기한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1) 가 실행하는 알림 제어 처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 은,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1) 의 각 기능부가 실행하는 처리의 상세한 것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의 일례이다.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1) 는, 예를 들어 자차량 (100) 의 IG 전원이 온 상태로 설정된 경우에 도 7 의 플로우 차트의 처리를 개시한다.
먼저, 단계 S1 에 있어서,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1) 의 ECU (20) 는, 대상물 (타차량 등) 이 검지 영역 (200) 내에서 검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1) 의 밀리파 레이더 (10) 는, 검지 영역 (200) 내에 있는 대상물을 검지하여 검지 정보 (검지한 위치 정보, 및 검지하고 있지 않다는 정보) 를 외부 인터페이스 (15) 를 통하여 ECU (20) 에 출력한다. 그리고, ECU (20) 의 존재 판정부 (22) 가 상기 검지 정보를 취득하고, 검지 정보에 검지한 대상물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 처리는 단계 S2 로 이행하고, 아니오인 경우 처리는 단계 S1 로 복귀한다. 즉, 검지 영역 (200) 내에 대상물이 검지될 때까지 단계 S1 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 S2 에 있어서, ECU (20) 는, 검지된 대상물이 알림 대상 영역 (210) 내에서 검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ECU (20) 의 존재 판정부 (22) 는 대상 영역 설정부 (21) 가 설정한 알림 대상 영역 (210) 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이 정보와, 검지된 대상물의 검지 위치를 비교하여, 대상물이 알림 대상 영역 (210)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 처리는 단계 S3 으로 이행하고, 아니오인 경우 처리는 단계 S1 로 복귀하고, 다시 다음에 밀리파 레이더 (10) 에 의해서 취득되는 검지 정보를 기초로, 대상물이 검지 영역 (200) 내에서 검지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즉, 단계 S2 에 있어서, 검지 영역 (200) 내에서 검지된 대상물이 알림 대상 영역 (210) 내에 없을 때에는 알림은 실행되지 않기 때문에, 대상물이 알림 대상 영역 (210) 내로 진입할 때까지 대상물의 검지 처리 (단계 S1) 가 반복된다. 한편, 대상물이 알림 대상 영역 (210) 내에 있을 때는 알림 처리가 개시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처리는 후속 단계 S3 으로 이행한다.
단계 S3 에 있어서, ECU (20) 는, 검지된 대상물이 알림 정지 영역 (220) 내에서도 검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ECU (20) 의 존재 판정부 (22) 는 대상 영역 설정부 (21) 가 설정한 알림 정지 영역 (220) 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이 정보와, 검지된 대상물의 검지 위치를 비교하여, 대상물이 알림 정지 영역 (220)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 처리는 단계 S4 로 이행하고, 예인 경우 처리는 단계 S1 로 복귀하고, 다시 다음으로 밀리파 레이더 (10) 에 의해서 취득되는 검지 정보를 기초로, 대상물이 검지 영역 (200) 내에서 검지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즉, 단계 S3 에 있어서, 검지 영역 (200) 내에서 검지된 대상물이 알림 대상 영역 (210) 과, 알림 정지 영역 (220) 의 양 영역 내에서 검지되었을 때에는, 알림은 실행되지 않기 때문에, 대상물이 알림 정지 영역 (220) 을 나와 알림 대상 영역 (210) 내에 위치할 때까지 대상물의 검지 처리 (단계 S1 ∼ S3) 가 반복된다. 이것은 도 5(1) 를 사용하여 설명한 상황에 의해서 이해된다. 즉, 타차량 (300) 이 자차량 (100) 의 우측 알림 정지 영역 (220R) 을 통과하여 우측 알림 대상 영역 (210R) 으로 진입한 경우, 타차량 (300) 은 알림 대상 영역 (210) 과 알림 정지 영역 (220) 의 양 영역 내에서 검지된다. 이 때,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1) 에 의한 알림은, 타차량 (300) 이 우측 알림 정지 영역 (220R) 을 나올 때까지 실행되지 않는다 (도 5(2) 참조). 한편, 대상물이 알림 대상 영역 (210) 내에 있고, 알림 정지 영역 (220) 내에 없을 때에는 알림 처리가 개시되므로, 처리는 후속 단계 S4 로 이행한다. 이것은, 도 4(1) 을 사용하여 설명한 상황에 의해서 이해된다. 즉, 타차량 (300) 이 자차량 (100) 의 좌측 알림 대상 영역 (210L) 내로 진입하고, 좌측 알림 정지 영역 (220L) 에는 위치하고 있지 않을 때,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1) 에 의해서 알림이 실행된다.
단계 S4 에 있어서, ECU (20) 는 알림 처리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ECU (20) 의 알림 개시 제어부 (23a) 는, 존재 판정부 (22) 가 출력한 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 (대상물이 알림 대상 영역 (210) 내에 있고, 알림 정지 영역 (220) 내에는 없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 에 기초하여, 알림의 개시를 지시하는 정보를 외부 인터페이스 (30) 를 통하여 알림기 (40) 에 출력한다. 이로써, 알림기 (40) 의 예를 들어 경고음의 출력이 개시된다. 그 후, 처리는 단계 S5 로 이행한다. 또한, 단계 S5 이후의 처리는, 개시된 알림 처리를 정지하는 처리가 된다.
단계 S5 에 있어서, ECU (20) 는 대상물이 검지 영역 (200) 내에서 검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1) 의 밀리파 레이더 (10) 는, 검지 영역 (200) 내에 있는 대상물을 검지하고, 검지 정보 (검지한 위치 정보, 및 검지하고 있지 않다는 정보) 를 외부 인터페이스 (15) 를 통하여 ECU (20) 에 출력한다. 그리고, ECU (20) 의 존재 판정부 (22) 가 상기 검지 정보를 취득하고, 검지 정보에 검지한 대상물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 처리는 단계 S6 으로 이행하고, 아니오인 경우 처리는 단계 S8 로 이행한다. 즉, 알림 대상 영역 (210) 내에서 검지되어 있던 대상물이 검지 영역 (200) 내에서 검지되지 않게 되었다는 것은, 대상물이 알림 대상 영역 (210) 을 완전히 나갔다는 것이 되기 때문에, 처리는 알림 처리가 정지되는 후속 단계 S8 로 이행한다.
단계 S6 에 있어서, ECU (20) 는, 검지된 대상물이 알림 대상 영역 (210) 내에서 검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ECU (20) 의 존재 판정부 (22) 는 대상 영역 설정부 (21) 가 설정한 알림 대상 영역 (210) 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이 정보와, 검지된 대상물의 검지 위치를 비교하여, 대상물이 알림 대상 영역 (210)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 처리는 단계 S7 로 이행하고, 아니오인 경우 처리는 단계 S8 로 이행한다.
즉, 단계 S6 에 있어서는, 알림 대상 영역 (210) 내에서 검지되고 있던 대상물이, 여전히 알림 대상 영역 (210) 내에서 검지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알림 대상 영역 (210) 내에서 검지된 대상물이 이미 알림 대상 영역 (210) 내에 없을 때에는 알림은 실행되지 않기 때문에, 알림 처리가 정지되는 후속 단계 S8 로 이행한다. 한편, 대상물이 또한, 알림 대상 영역 (210) 내에 있을 때에는 알림 처리는 계속 (알림 처리가 정지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처리는 후속 단계 S7 로 이행한다.
단계 S7 에 있어서, ECU (20) 는, 검지된 대상물이 알림 정지 영역 (220) 내에서도 검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ECU (20) 의 존재 판정부 (22) 는 대상 영역 설정부 (21) 가 설정한 알림 정지 영역 (220) 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이 정보와, 검지된 대상물의 검지 위치를 비교하여, 대상물이 알림 정지 영역 (220)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 결과가 예인 경우 처리는 단계 S8 로 이행하고, 아니오인 경우 처리는 단계 S5 로 복귀하고, 다시 다음으로 밀리파 레이더 (10) 에 의해서 취득되는 검지 정보를 기초로, 대상물이 검지 영역 (200) 내에서 검지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즉, 단계 S7 에 있어서는, 알림 대상 영역 (210) 내에서 검지되어 있던 대상물이, 알림 대상 영역 (210) 과, 알림 정지 영역 (220) 의 양 영역 내에서 검지되는 움직임을 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이 판정 결과가 긍정일 때, 알림 처리가 정지되는 후속 단계 S8 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것은, 도 4(2) 를 사용하여 설명한 상황에 의해서 이해된다. 즉, 타차량 (300) 이 자차량 (100) 의 좌측 알림 대상 영역 (210L) 을 통과하고 있을 때에는 알림이 계속되지만, 타차량 (300) 이 좌측 알림 정지 영역 (220L) 으로 진입한 경우, 타차량 (300) 은 알림 대상 영역 (210) 과 알림 정지 영역 (220) 의 양 영역 내에서 검지된다. 이 때,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1) 에 의한 알림은 정지된다. 한편, 판정 결과가 부정일 때에는, 알림 대상 영역 (210) 내에서 검지된 대상물이, 또한 알림 대상 영역 (210) 내에서만 검지되어 있게 되므로 알림 처리는 계속된다.
단계 S8 에 있어서, ECU (20) 는 알림 처리를 정지한다. 구체적으로는, ECU (20) 의 알림 정지 제어부 (23b) 는, 존재 판정부 (22) 가 출력한 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 (대상물이 검지 영역 (200) 에 없거나, 대상물이 알림 대상 영역 (210) 내에 없거나, 또는, 대상물이 적어도 알림 정지 영역 (220) 내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 에 기초하여, 알림의 정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외부 인터페이스 (30) 를 통하여 알림기 (40) 에 출력한다. 이로써, 알림기 (40) 의 예를 들어 경고음의 출력이 정지된다. 그 후, 처리는 다시 알림 제어 처리의 최초의 단계 (단계 S1) 로 복귀한다.
또한, 상기한 알림 제어 처리는 상이한 대상물별로 실행된다. 따라서, 1 개의 대상물에 있어서는 알림 처리의 개시가 지시되고, 다른 대상물에 있어서는 알림 처리의 정지가 지시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전체의 알림 제어 처리로서는, 알림 처리의 개시에 대해서는, 적어도 1 개의 대상물에 대해서 알림 처리의 개시 지시가 있으면 알림 처리가 개시되는 것으로 하고, 알림 처리의 정지에 대해서는, 모든 대상물에 대해서 알림 처리의 정지 지시가 있으면 알림 처리가 정지되는 것으로 하면 된다. 이로써, 1 개의 대상물이 알림 정지 영역 (220) 내에 있어도, 다른 대상물이 알림 대상 영역 (210) 내에 있는 경우에는 적절히 알림이 실행되게 된다.
이상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1) 에 의하면, 자차량 (100) 의 측방을 통과하는 타차량 (300) 의 존재를 확실하게 알리면서도, 타차량 (300) 이 자차량 (100) 의 후방 비검지 영역 내로 진입할 때에는 알림이 정지된다. 이로써, 드라이버는,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1) 가 자차량 (100) 의 후측방 영역 내에 있는 대상물을 검지 (알림) 할 수 있지만, 후방 비검지 영역 내에 있는 대상물은 검지 (알림) 할 수 없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 결과, 예를 들어 자차량을 후진시킬 때, 후방 확인을 태만히 하는 드라이버가 감소할 것이 기대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대상물이 검지 영역 (200) 밖으로 나온 경우 (도 7 의 단계 S5 에서 아니오) 나, 알림 대상 영역 (210) 내에서 검지되지 않게 되었을 경우 (도 7 의 단계 S6 에서 아니오) 에는, 곧바로 알림 처리가 정지되는 것으로 하였다 (도 7 의 단계 S8). 그러나, 이들 두 가지의 경우에는, 소정 시간 알림이 계속된 후에 알림 처리가 정지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예를 들어 타차량 (300) 이 자차량 (100) 의 측방을 추월하는 경우 등에는 (도 6 참조), 타차량이 자차량 (100) 의 알림 대상 영역 (210) 을 나와도 곧바로 알림이 정지되지 않기 때문에, 드라이버에게 타차량의 존재에 의한 불안감을 주는 것이 보다 적어지게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검지 영역 (200) 내의 알림 대상 영역 (210) 및 알림 정지 영역 (220) 의 크기는, 장방형의 형상으로서 도 2 등에 예시했지만, 이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도 2 등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알림 대상 영역 (210) 과 알림 정지 영역 (220) 은, 자차량 (100) 의 차폭 방향에 인접하는 것으로 했지만, 반드시 인접되어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알림 정지 영역 (220) 이 자차량 (100) 의 후방 비검지 영역과, 자차량 (100) 의 차폭 방향에 인접해 있으면, 타차량 (300) 이 검지 영역 (200) 으로부터 후방 비검지 영역으로 진입하기 전에는, 타차량 (300) 이 알림 정지 영역 (220) 내로 진입하게 되므로 알림이 정지되고, 타차량 (300) 이 후방 비검지 영역 내로 진입할 때에는 알림은 실행되지 않는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타차량 (300) 의 검지에는 밀리파 레이더 (10) 가 사용되는 것으로 했지만, 타차량 (300) 을 검지하는 방법은 밀리파 레이더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자차량 (100) 에 탑재되는 카메라에 의해서 자차량 (100) 의 후측방 주변의 화상을 촬상하고, 당해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타차량 (300) 의 검지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실행되는 알림 제어 처리의 처리 순서, 판정에 사용되는 값 등은 단순한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으면 다른 순서나 값이어도 본 발명을 실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1) 에 있어서 실행되는 각종 처리의 프로그램은, 불휘발성 메모리 등의 기억 매체를 통해서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1) 에 공급될 뿐만 아니라,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회선을 통해서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1) 에 공급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정보 기억 매체로는 불휘발성 메모리 외에, CD-ROM, DVD, 혹은 그것들에 비견되는 광학식 디스크형 기억 매체,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자기 테이프 등이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해 왔으나, 상기 서술한 설명은 모든 점에 있어서 본 발명의 예시에 지나지 않고, 그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하게 개량하거나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관련된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는, 드라이버에 있어 사각이 되는 영역 (블라인드 스폿) 에 있어서의 타차량의 존재를 알리는 장치 등으로서 유용하다.
1 :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10 : 밀리파 레이더
11 : 안테나부
12 : 밀리파 송수신기
13 : 아날로그 회로부
14 : 디지털 신호 처리부
15 : 외부 인터페이스
20 : ECU
21 : 대상 영역 설정부
22 : 존재 판정부
23 : 알림 제어부
23a : 알림 개시 제어부
23b : 알림 정지 제어부
30 : 외부 인터페이스
40 : 알림기
100 : 자차량
200 : 검지 영역
210 : 알림 대상 영역
220 : 알림 정지 영역
300 : 타차량

Claims (9)

  1. 자차량의 후측방으로 접근하는 대상물의 존재를 알리는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로서,
    상기 자차량의 후측방의 상기 대상물의 존재를 검지하는 대상물 검지부와,
    상기 대상물 검지부가 상기 대상물의 존재를 검지할 수 있는 검지 영역 내의 소정 영역에, 상기 대상물이 진입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이동 판정부와,
    상기 이동 판정부에 의해서, 상기 대상물이, 상기 소정 영역으로 진입했다고 판정되었을 때, 알림을 정지하는 알림 제어부를 구비하는,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영역으로서의 알림 정지 영역과, 당해 알림 정지 영역과는 중복되지 않는 알림 대상 영역을 상기 검지 영역 내에 설정하는 대상 영역 설정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이동 판정부는, 상기 대상물이 상기 알림 대상 영역으로부터 상기 알림 정지 영역으로 진입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알림 제어부는, 상기 이동 판정부에 의해서, 상기 대상물이 상기 알림 대상 영역으로부터 상기 알림 정지 영역으로 진입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알림을 정지하는,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영역 설정부는, 상기 알림 정지 영역을, 상기 자차량의 후방으로서 상기 대상물 검지부가 상기 대상물의 존재를 검지할 수 없는 후방 비검지 영역과, 상기 자차량의 차폭 방향에 인접하는 영역에 설정하는,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판정부는, 상기 알림 대상 영역 내에서 검지되고, 또한 상기 알림 정지 영역 내에서 검지되지 않았던 상기 알림 대상물이, 적어도 상기 알림 정지 영역 내에서 검지되었을 때, 상기 대상물이 상기 알림 대상 영역으로부터 상기 알림 정지역으로 진입했다고 판정하는,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판정부는, 상기 대상물이 상기 알림 정지 영역을 나와 상기 알림 대상 영역으로 완전히 이동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알림 제어부는, 상기 이동 판정부에 의해서, 상기 대상물이 상기 알림 정지 영역을 나와 상기 알림 대상 영역으로 완전히 이동했다고 판정되었을 때, 알림을 개시하는, 알림 제어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판정부는, 적어도 상기 알림 정지 영역 내에서 검지되어 있던 상기 대상물이, 상기 알림 대상 영역 내에서 검지되고, 또한 상기 알림 정지 영역 내에서 검지되지 않을 때, 상기 대상물이 상기 알림 정지 영역을 나와 상기 알림 대상 영역으로 완전히 이동했다고 판정하는,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판정부는, 상기 대상물 검지부에 의해서 상이한 복수의 대상물이 검지된 경우, 대상물별로 당해 대상물이 상기 알림 대상 영역 내에서 검지되고, 또한 상기 알림 정지 영역 내에서 검지되지 않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알림 제어부는, 상기 이동 판정부에 의해서, 상기 복수의 대상물 중의 적어도 1 개가 상기 알림 대상 영역 내에서 검지되고, 또한 상기 알림 정지 영역 내에서 검지되지 않았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알림을 정지하지 않는,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영역 설정부는, 상기 알림 정지 영역을, 상기 알림 대상 영역과 상기 후방 비검지 영역 사이에서, 양 영역과 상기 자차량의 차폭 방향에 인접하는 영역에 설정하는,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9. 자차량의 후측방으로 접근하는 대상물의 존재를 알리는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에 있어서의 알림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자차량의 후측방의 상기 대상물의 존재를 검지하는 대상물 검지 단계와,
    상기 대상물 검지 단계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의 존재를 검지할 수 있는 검지 영역 내의 소정 영역에, 상기 대상물이 진입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이동 판정 단계와,
    상기 이동 판정 단계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이, 상기 소정 영역으로 진입했다고 판정되었을 때, 알림을 정지하는 알림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알림 제어 방법.
KR1020137025313A 2011-09-26 2011-09-26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KR1015126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05389 WO2013046246A1 (ja) 2011-09-26 2011-09-26 後側方接近警報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843A true KR20130130843A (ko) 2013-12-02
KR101512659B1 KR101512659B1 (ko) 2015-04-16

Family

ID=47994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5313A KR101512659B1 (ko) 2011-09-26 2011-09-26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64408B2 (ko)
EP (1) EP2763123B1 (ko)
JP (1) JP5637506B2 (ko)
KR (1) KR101512659B1 (ko)
CN (1) CN103999138B (ko)
WO (1) WO201304624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95552A1 (en) 2021-05-27 2022-11-30 Hyundai Mobi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surrounding environment of vehicle
EP4123336A1 (en) 2021-07-21 2023-01-25 Hyundai Mobi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surrounding environment of vehicle
EP4123338A2 (en) 2021-07-21 2023-01-25 Hyundai Mobi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surrounding environment of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59538A1 (en) * 2012-08-22 2014-02-27 V3 Systems, Inc. Virtual machine state tracking using object based storage
US9613533B2 (en) * 2012-12-12 2017-04-04 Honda Motor Co., Ltd. Parking space detector
JP6165251B2 (ja) * 2013-08-01 2017-07-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周辺監視装置
JP6318864B2 (ja) 2014-05-29 2018-05-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運転支援装置
DE102014212780A1 (de) * 2014-07-02 2016-01-07 Robert Bosch Gmbh Fahrzeugteil mit integriertem Sensor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WO2016109829A1 (en) 2014-12-31 2016-07-07 Robert Bosch Gmbh Autonomous maneuver notification for autonomous vehicles
GB2536201B (en) * 2015-03-02 2021-08-18 Advanced Risc Mach Ltd Handling address translation requests
DE102015214894A1 (de) 2015-08-05 2017-02-0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Freigabe einer Rückmeldungsfunktion eines Umfelderkennungssystems eines Fortbewegungsmittels
US9650026B2 (en) 2015-08-31 2017-05-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ar cross traffic avoidance
WO2017082370A1 (ja) 2015-11-10 2017-05-1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監視装置および監視方法
WO2017170979A1 (ja) * 2016-03-31 2017-10-0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監視装置および監視方法
US9813973B2 (en) * 2016-04-03 2017-11-07 Siklu Communication ltd. Embedded millimeter-wave components
US9889798B1 (en) * 2016-08-31 2018-02-13 Autoliv Asp, Inc. Detection of a target object utilizing automotive radar
IT201600094858A1 (it) 2016-09-21 2018-03-21 St Microelectronics Srl Procedimento per un cross traffic alert avanzato a basso costo, corrispondente sistema di elaborazione, sistema per cross traffic alert e veicolo
JP6673191B2 (ja) * 2016-12-27 2020-03-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警報出力装置
JP2018116516A (ja) * 2017-01-19 2018-07-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注意喚起装置
US11127297B2 (en) 2017-07-17 2021-09-21 Veoneer Us, Inc. Traffic environment adaptive thresholds
JP7193234B2 (ja) * 2018-02-06 2022-12-20 京セラ株式会社 物体検出装置、物体検出システム
WO2020049648A1 (ja) * 2018-09-05 2020-03-12 株式会社ソシオネクスト センシング方法及びセンシング装置
KR102653169B1 (ko) * 2018-12-12 2024-04-03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후측방 경보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00076247A (ko) 2018-12-19 2020-06-29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주)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JP7192600B2 (ja) * 2019-03-20 2022-12-20 株式会社デンソー 警報装置
JP7125239B2 (ja) * 2019-07-31 2022-08-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注意喚起装置
DE102019216584A1 (de) * 2019-10-28 2021-04-29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elbstfahrende Landmaschine und Verfahren zur Unterstützung eines Fahrers einer selbstfahrenden Landmaschine beim Führen der Land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9722B2 (ja) * 1991-03-11 2001-04-23 道弘 観音寺 車間距離報知装置
JP2887039B2 (ja) * 1993-03-26 1999-04-26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周辺監視装置
JP3324421B2 (ja) 1996-12-09 2002-09-1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後側方警報装置
CN1347820A (zh) * 2000-10-10 2002-05-08 仁宝电脑工业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防撞警示系统
DE10303578B4 (de) 2003-01-30 2015-08-13 SMR Patents S.à.r.l. Gefahrenerkennungssystem für Fahrzeuge mit mindestens einer seitlichen und rückwärtigen Umgebungserfassung
DE102004004492A1 (de) * 2004-01-29 2005-08-18 Robert Bosch Gmbh Radarsystem für Kraftfahrzeuge
JP4298577B2 (ja) * 2004-05-06 2009-07-22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警報装置
DE102005008266A1 (de) 2005-02-22 2006-08-24 Daimlerchrysler Ag Dynamische Routenplanung unter Beachtung von Objekten im Seitenraum von Fahrzeugen
DE102005027653A1 (de) 2005-06-15 2006-12-21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r Ortung von Objekten im Toten Winkel eines Fahrzeugs
US7477137B2 (en) * 2005-06-23 2009-01-13 Mazda Motor Corporation Blind-spot detection system for vehicle
US8013758B2 (en) * 2006-09-29 2011-09-06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Warning device and method for vehicle
DE102006047636A1 (de) 2006-10-09 2008-04-10 Robert Bosch Gmbh Verfahren für die Steuerung eines Fahrerassistenzsystems
DE102006047634A1 (de) * 2006-10-09 2008-04-10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Erfassen eines Umfelds eines Fahrzeugs
JP2008129974A (ja) 2006-11-24 2008-06-05 Alpine Electronics Inc 周辺監視装置
JP4930315B2 (ja) * 2007-01-19 2012-05-1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内情報表示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光照射装置
US7830243B2 (en) * 2007-02-02 2010-11-09 Chrysler Group Llc Dual mode vehicle blind spot system
JP2008262401A (ja) * 2007-04-12 2008-10-30 Fujitsu Ten Ltd 後続車両監視装置および後続車両監視方法
JP2009149249A (ja) 2007-12-21 2009-07-09 Aisin Aw Co Ltd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並びに画像表示装置を用いた運転支援装置
JP2010073134A (ja) * 2008-09-22 2010-04-02 Aisin Seiki Co Ltd 車両周辺認知支援システム
JP2010079724A (ja) * 2008-09-26 2010-04-08 Mazda Motor Corp 車両用運転支援装置
US7978096B2 (en) 2009-04-28 2011-07-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arking angle determination and cross traffic alert
JP2013073363A (ja) 2011-09-27 2013-04-22 Toyota Motor Corp 後側方接近警報装置
TWI458653B (zh) * 2011-10-25 2014-11-01 Altek Autotronics Corp 盲區偵測系統及其盲區偵測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95552A1 (en) 2021-05-27 2022-11-30 Hyundai Mobi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surrounding environment of vehicle
EP4123336A1 (en) 2021-07-21 2023-01-25 Hyundai Mobi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surrounding environment of vehicle
EP4123338A2 (en) 2021-07-21 2023-01-25 Hyundai Mobi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surrounding environment of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63123B1 (en) 2016-03-23
EP2763123A4 (en) 2015-03-18
EP2763123A1 (en) 2014-08-06
CN103999138B (zh) 2015-06-17
JPWO2013046246A1 (ja) 2015-03-26
US9064408B2 (en) 2015-06-23
US20140015693A1 (en) 2014-01-16
JP5637506B2 (ja) 2014-12-10
KR101512659B1 (ko) 2015-04-16
CN103999138A (zh) 2014-08-20
WO2013046246A1 (ja) 201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0843A (ko) 후측방 접근 경보 장치
WO2012147166A1 (ja) 運転支援装置
JP5172366B2 (ja) 車両運転支援装置
JP4151407B2 (ja) 駐車支援装置付き車両,駐車支援装置,及び駐車支援装置の制御装置
JP5904280B2 (ja) 車両の警報装置
JP2010049383A (ja) 車両の警報装置
JP6090396B2 (ja) 運転支援装置
JP2021020497A (ja) 衝突回避支援装置
JP6079724B2 (ja) 運転支援装置
EP3342620B1 (en) Warning output device
JP2008056136A (ja) 車両用注意喚起システム、車両の注意喚起方法
JP2014191632A (ja) 車線変更支援装置
JP2011164760A (ja) 車両用注意喚起装置
JP2009140145A (ja) 車両の走行支援装置
JP2008129974A (ja) 周辺監視装置
JP6583166B2 (ja) 運転支援装置
JP6074930B2 (ja) 警報装置
JP2017054441A (ja) 警報制御装置
JP2013073363A (ja) 後側方接近警報装置
JP2005132170A (ja) 駐車支援装置
JP5896062B2 (ja) 運転支援装置
JP2009282929A (ja) 車両周辺監視装置および車両周辺監視方法
JP2007048102A (ja) 車室内の音警報システム
JP5754420B2 (ja) 車両の警報装置
JP2007004500A (ja) 車両周辺物体探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