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2700A - 유리판 절단방법 및 유리판 절단기 - Google Patents

유리판 절단방법 및 유리판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2700A
KR20130122700A KR1020137028113A KR20137028113A KR20130122700A KR 20130122700 A KR20130122700 A KR 20130122700A KR 1020137028113 A KR1020137028113 A KR 1020137028113A KR 20137028113 A KR20137028113 A KR 20137028113A KR 20130122700 A KR20130122700 A KR 20130122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cutting
elastic pressing
cutting blade
press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8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8850B1 (ko
Inventor
가즈아키 반도
Original Assignee
반도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도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반도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2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 B28D1/225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for scoring or breaking, e.g. t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27Scoring tool holders; Driving mechanis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Glass cutting tables; Apparatus for transporting or handling sheet glass during the cutting or breaking ope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7Controlling or reg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4Cutting or splitting in curves, especially for making spectacle len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25/00Severing by tearing or breaking
    • Y10T225/10Methods
    • Y10T225/12With preliminary weake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25/00Severing by tearing or breaking
    • Y10T225/10Methods
    • Y10T225/14Longitudinally of direction of fe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25/00Severing by tearing or breaking
    • Y10T225/10Methods
    • Y10T225/16Transversely of continuously fed 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25/00Severing by tearing or breaking
    • Y10T225/30Breaking or tearing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2Other than completely through work thickness
    • Y10T83/0333Sco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2Other than completely through work thickness
    • Y10T83/0333Scoring
    • Y10T83/0341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2Other than completely through work thickness
    • Y10T83/0333Scoring
    • Y10T83/0348Active means to control depth of sco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869Means to drive or to guide tool
    • Y10T83/8821With simple rectilinear reciprocating motion only
    • Y10T83/8858Fluid pressure actu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유리판 절단기(1)는, 유리판(2)에 절단선(3)을 형성하는 커터 휠(4)과, 커터 휠(4)을 유리판에 대해 미리 설정된 형성해야 할 절단선(3a)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5)과, 커터 휠(4)을 유리판(2)에 대해 탄성적으로 누름가압하는 탄성 누름가압장치(6)와, 이동수단(5)에 의한 커터 휠(4)의 이동시에 상기 커터 휠(4)의 유리판(2)에 대한 탄성 누름가압력의 강약을 교대로 절환하도록 탄성 누름가압장치(6)를 제어하는 제어장치(7)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유리판 절단방법 및 유리판 절단기{Glass plate cutting method and glass plate cutte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유리창용 유리판, 빌딩, 일반주택 등 건축용 유리판, 또한 주방용 유리판으로서의 결정화 유리판 등을 절단하는 유리판 절단방법 및 유리판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특허문헌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리판을 절단하기 위해 유리판에 절단선을 형성하는 유리판 절단기는, 이동장치에 의해 절단날로서의 커터 휠을 유리판에 대해 이동시킴과 아울러 에어 실린더 장치에 의해 커터 휠을 유리판에 대해 누름가압(pressing)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주방용 유리판(IH유리)은 결정화 유리판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결정화 유리는 재질적으로 딱딱하여 보통의 유리 절단법으로 직선부를 절단(절단선 형성)해도 커팅홈(균열 진행)이 충분하고 깨끗하게 형성되기 어렵다. 또한, 특히 자동차용 유리창, 주방용 유리판(IH유리)은 R(원호형상)형상으로 된 코너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R형상의 코너를 구비한 유리판을 절단 생산할 때, 코너의 R형상부의 절단선부에는 커팅홈 균열이 충분히 깨끗하고 확실하게 형성되지 않아 그 진행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다. 유리 두께가 5mm, 6mm로 두꺼워질수록, 또한 R의 직경이 작아질수록 충분한 커팅홈의 형성은 어렵다. 이 대처로서 종래의 절단기는, 코너의 R부를 절단(절단선 형성)할 때, 직선부에서 코너부에 이르면 커터를 유리판에 누르는 누름가압력을 강하게 하면서, 커터의 이동 스피드를 극단적으로 떨어뜨려 절단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너부의 절단선에 충분히 깊게하여 깨끗한 커팅홈이 형성되지 않아 꺾어 쪼개었을 때, 그 단면은 우툴두툴한 거친 면이 되어 양질의 깨끗한 면을 얻기 어렵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02-274875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여러가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결정화 유리판 등에서도, 직선부는 물론 코너의 R형상에서도, 커팅홈 형성이 깊고 깨끗하게 진행된 절단선을 유리판에 형성할 수 있는 유리판 절단방법 및 유리판 절단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유리판 절단방법은, 절단날을 유리판에 대해 미리 설정된 형성해야 할 절단선을 따라 이동시키고, 이 이동 중에서 절단날의 유리판에 대한 탄성 누름가압력을 강약으로 교대로 절환하면서 상기 절단날을 유리판에 대해 탄성적으로 누름가압하여 유리판에 절단선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유리판 절단방법에 의하면, 특히 절단날의 유리판에 대한 탄성 누름가압력를 강약으로 교대로 절환하기 때문에, 커팅홈(균열) 형성이 보다 깊고 깨끗하게 진행된 절단선을 유리판에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판 절단방법의 바람직한 예에서는, 절단날의 이동시에 상기 절단날의 유리판에 대한 탄성 누름가압력의 강약을,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고 교대로 절환한다.
본 발명의 유리판 절단방법의 바람직한 예에서는, 공기압에 의해 절단날을 유리판에 대해 탄성적으로 누름가압한다.
본 발명의 유리판 절단방법의 바람직한 예에서는, 절단날의 유리판에 대한 탄성 누름가압력의 강약을 30ms 내지 70ms의 시간간격을 두고 교대로 절환한다.
본 발명의 유리판 절단방법은, 절단날의 유리판에 대한 탄성 누름가압력의 강약을,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고 교대로 절환하면서, 코너부, 첨단부 등의 R부를 따라 절단날을 이동시키는 이동속도는 직선부를 따라 절단날을 이동시키는 이동속도보다도 저속도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판 절단방법의 예에서는, 코너부, 첨단부 등의 R부를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속도는 상기 R부의 곡률에 따라 속도 조정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유리판 절단기는, 유리판에 절단선을 형성하는 절단날, 이 절단날을 유리판에 대해 미리 설정된 형성해야 할 절단선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이 절단날을 유리판에 대해 탄성적으로 누름가압하는 탄성 누름가압장치, 이동수단에 의한 절단날의 이동시에 상기 절단날의 유리판에 대한 탄성 누름가압력의 강약을 교대로 절환하도록 탄성 누름가압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유리판 절단기에 의하면, 특히 이동수단에 의한 절단날의 이동시에 상기 절단날의 유리판에 대한 탄성 누름가압력의 강약을 교대로 절환하도록 탄성 누름가압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커팅홈(균열) 형성이 깊고 깨끗하게 진행된 절단선을 유리판에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판 절단기의 바람직한 예에서는, 제어장치는, 절단날의 이동시에 상기 절단날의 유리판에 대한 탄성 누름가압력의 강약을,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고 교대로 절환하도록 탄성 누름가압장치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유리판 절단기의 바람직한 예에서는, 탄성 누름가압장치는, 공기압에 의해 절단날을 유리판에 대해 탄성적으로 누름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유리판 절단기의 바람직한 예에서는, 제어장치는, 절단날의 유리판에 대한 탄성 누름가압력의 강약을 30ms 내지 70ms의 시간간격을 두고 교대로 절환하도록 탄성 누름가압장치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유리판 절단기의 예에서는, 제어장치는, 코너부, 첨단부 등의 R부에서의 절단날의 유리판에 대한 탄성 누름가압력의 강약을 교대로 절환하는 시간간격을 직선부에서의 절단날의 유리판에 대한 탄성 누름가압력의 강약을 교대로 절환하는 시간간격보다도 짧아지도록 탄성 누름가압장치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유리판 절단기의 예에서는, 제어장치는, 절단날의 유리판에 대한 탄성 누름가압력의 강약을,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고 교대로 절환하도록 탄성 누름가압장치를 제어하게 되고, 또한, 이동수단에 의해 절단날을 코너부, 첨단부의 R부를 이동시키는 이동속도는, 이동수단에 의해 절단날을 직선부를 이동시키는 이동속도보다도 저속도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판 절단기의 예에서는, 이동수단에 의해 절단날을 미리 설정된 형성해야 할 절단선의 R부를 이동시키는 이동속도는, 상기 R부의 곡률에 따라 속도 조정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용 유리창의 형상과 같이 첨단부 혹은 코너부의 R반경이 작은 유리판, 또한 주방 유리(IH유리)와 같이 결정화 유리로 하여 R형상을 한 코너를 구비하는 유리판 등에서, 직선 형상부는 물론 첨단부 혹은 코너부 R형상에 있어서 충분히 깊고 깨끗한 커팅홈 형성이 진행된 절단선을 형성할 수 있는 유리판 절단방법 및 유리판 절단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예의 평면 설명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예의 정면 설명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예의 개념 설명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예의 일부 확대 설명도,
도 5의 (a) 및 (b)는 도 1에 나타내는 예의 주로 커터 휠에 관한 설명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예를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들 예로 한정되는 것이 전혀 아니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본 예의 유리판 절단기(1)는, 유리판(2)에 절단선(3)을 형성하는 절단날, 본 예에서는 유리판(2) 상을 구름운동하는 커터 팁으로서의 커터 휠(4)과, 커터 휠(4)을 유리판(2)에 대해 미리 설정된 형성해야 할 도 5의 (a) 및 (b)에 나타내는 절단선(3a)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5)과, 커터 휠(4)을 유리판(2)에 대해 탄성적으로 누름가압하는 탄성 누름가압장치(6)와, 이동수단(5)에 의한 커터 휠(4)의 이동시에 상기 커터 휠(4)의 유리판(2)에 대한 탄성 누름가압력의 강약을 교대로 절환하도록 탄성 누름가압장치(6)를 제어하는 제어장치(7)와, 절단선(3)이 형성되어야 할 유리판(2)을 지지하는 지지대(8)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대(8)는, 베이스(1O) 상에 설치된 지지대 본체(11)와, 지지대 본체(11)의 상면에 장착되어 있는 손상방지 시트(12)를 구비하고, 유리판(2)이 손상방지 시트(12)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유리판(2)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동수단(5)은, 커터 휠(4)을 지지대(8)에 안착된 유리판(2)에 대해 X-Y평면좌표 이동시키는 X-Y방향 이동장치(21)와, 커터 휠(4)을 유리판(2)에 대해 R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장치(각도 제어장치)(22)를 구비하고 있다.
X-Y방향 이동장치(21)는, 커터 휠(4)을 유리판(2)에 대해 X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방향 이동장치(25)와, 커터 휠(4)을 유리판(2)에 대해 X방향에 직교하는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방향 이동장치(26)를 구비하고 있다.
X방향 이동장치(25)는, 지지대 본체(11)의 양측에서 X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병설한 안내 레일(33 및 34)과, 안내 레일(33 및 34)에 X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각각 끼워맞춤되어 있는 슬라이드 블록(35 및 36)을 각각 가진 X방향 가동체(37 및 38)와, 지지대(8)보다도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X방향 가동체(37 및 38)에 가설(架設)된 Y방향으로 연장된 가동 프레임(39)과, X방향 가동체(37)에 스테이 등(40)을 개재하여 고착된 X축 서보 모터(41)와, X방향 가동체(3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X축 서보 모터(41)에 풀리, 벨트 등(42)을 개재하여 연결된 피니언(43)과, Y방향으로 연장되어 X방향 가동체(37 및 3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일단에서 X축 서보 모터(41)에 연결되어 있는 Y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44)과, X방향 가동체(3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회전축(44)의 타단에 풀리, 벨트 등(45)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는 피니언(46)과, 피니언(43 및 46)에 각각 맞물림되어 있는 동시에 지지대 본체(11)의 양 가장자리부(31 및 32)이며 상기 지지대 본체(11)의 하면(47)에 각각 고착된 X방향으로 연장된 랙 치(48 및 49)를 구비하고 있다. 가동 프레임(39)에는, Y방향 이동장치(26) 등을 개재하여 커터 휠(4)이 장착되어 있다. 커터 휠(4)과, 탄성 누름가압장치(6)와, 회동장치(22) 등을 가진 커터 헤드는, 가동 프레임(39) 상을 Y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장치된다.
X방향 이동장치(25)는, X축 서보 모터(41)의 작동에 의해 풀리, 벨트 등(42)을 개재하여 피니언(43)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회전축(44) 및 풀리, 벨트 등(45)을 개재하여 피니언(46)을 회전시키고, 피니언(43 및 46)의 회전에 의해 랙 치(48 및 49)를 따라 X방향 가동체(37 및 38)와 가동 프레임(39)을 X방향으로 이동시켜, 커터 휠(4)을 X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있다. 가동 프레임(39)의 X방향의 이동시에는, X방향 가동체(37 및 38)는 안내 레일(33 및 34)에 의해 X방향으로 안내된다. 피니언(43 및 46)은, 라인 샤프트(44)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X축 서보 모터(41)의 작동에 의해 서로 기계적으로 동기하여 회전된다. 이러한 X방향 이동장치(25)는, 커터 휠(4)을 X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시키게 되어 있다.
Y방향 이동장치(26)는, 가동 프레임(39)에 고착된 Y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안내 레일(51 및 52)과, 안내 레일(51)에 Y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맞춤되어 있는 슬라이드 블록(53 및 54)을 가진 Y방향 가동체(55)과, Y방향 가동체에 고착된 Y축 서보 모터(56)와, Y축 서보 모터(56)에 장착된 피니언(57)과, 안내 레일(51)을 개재하여 가동 프레임(39)에 고착된 Y방향으로 연장된 랙 치(58)를 구비하고 있다. 도 4에서 대략 L자 형상으로 나타나는 Y방향 가동체(55)에는 커터 헤드가 장착되고, 이 커터 헤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 누름가압장치(6) 및 회동장치(각도 제어장치)(22)와, 커터 휠(4)을 가지고 있다.
Y방향 이동장치(26)는, Y축 서보 모터(56)의 작동에 의해 피니언(57)을 회전시키고, 이 회전에 의해 랙 치(58)를 따라 Y방향 가동체(55)를 Y방향으로 이동시켜, 커터 휠(4)을 Y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있다. Y방향 가동체(55)는, 피니언(57)이 회전되었을 때에 안내 레일(51 및 52)에 의해 Y방향으로 안내된다. 이러한 Y방향 이동장치(26)는 커터 휠(4)을 Y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시키게 되어 있다.
회동장치(각도 제어장치)(22)는, Y방향 가동체(55)에 고착된 각도 제어 모터(61)와, 각도 제어 모터(61)에 장착되어 있는 동시에 각도 제어 모터(61)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기어(62)와, 기어(62)에 맞물려 있는 회전 기어(63)와, 회전 기어(63)가 고착되어 있는 동시에 내주면(66a)에서 볼 스플라인 기구(64) 및 X 및 Y방향에 직교하는 Z방향으로 연장된 로드(65) 등을 개재하여 커터 휠(4)에 연결되어 있는 회전통체(66)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통체(66)는, 본 예에서는, 하단에 플랜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내주면(66a)에서 볼 스플라인 기구(64) 및 로드(65)가 배치되는 삽입통과 홀을 규정하고 있는 통형상 본체(67)와, 환상의 상면에서 통형상 본체(67)의 플랜지부에 고착되어 있는 동시에 환상의 하면에 회전 기어(63)가 고착되어 있는 원환상의 환상 판(68)과, 통형상 본체(67)의 외주면(67b)에 장착되어 있는 플랜지 붙이 부쉬(69)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회전통체(66)는, Y방향 가동체(55)에 고착되어 있는 지지체(70)에 베어링(71)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통형상 본체(67)는 지지체(70)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상기 지지체(70)에 지지되어 있다.
볼 스플라인 기구(64)는, 로드(65)의 축심(O)을 중심으로 한 회전통체(66)의 R방향의 회전을 로드(65)에 전달함과 동시에 로드(65)가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로드(65) 자체의 Z방향의 상하이동을 허용하고 있다.
회동장치(각도 제어장치)(22)는, 각도 제어 모터(61)의 작동에 의해 회전 기어(62 및 63)를 개재하여 통형상 본체(67)를 R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 회전을 볼 스플라인 기구(64)와, 로드(65) 등을 개재하여 커터 휠(4)에 전달하여, 커터 휠(4)을 R방향에서 각도 제어시키게 되어 있다. 커터 휠(4)의 날끝은, 회동장치(각도 제어장치)(22)에 의해 각도 제어됨으로써 절단선 형성방향으로 배향된다.
탄성 누름가압장치(6)는, 커터 휠(4)을 하강시키기 위한 전기-공기압 레귤레이터(81) 및 밸브 장치(82)와, 전기-공기압 레귤레이터(81) 및 밸브 장치(82)에 의해 커터 휠(4)을 하강시키기 위한 공기압보다도 높은 공기압으로 커터 휠(4)을 하강시키기 위한 전기-공기압 레귤레이터(83) 및 밸브 장치(84)와, 커터 휠(4)을 상승시키기 위한 전기-공기압 레귤레이터(85) 및 밸브 장치(86)와, 밸브 장치(82, 84 및 86)에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Y방향 가동체(55)에 고착된 에어 실린더 장치(87)와, 상단에서 에어 실린더 장치(87)의 피스톤 로드(88)의 외부 선단에 보유지지체(89)를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동시에, 하단에 커터 블록(90)을 개재하여 커터 휠(4)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로드(65)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장치(7)에 각각 접속된 전기-공기압 레귤레이터(81, 83) 및 보통 레귤레이터(85)는, 제어장치(7)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는 소정의 공기압을 밸브 장치(82, 84 및 86)에 부여하고 있다. 전기-공기압 레귤레이터(81, 83) 및 보통 레귤레이터(85)는, NO형의 3포트 밸브 장치(82, 84 및 86)를 각각 개재하여 에어 실린더 장치(87)에 접속되어 있다. 전기-공기압 레귤레이터(81, 83) 및 레귤레이터(85)는 물론 컴프레서(도시생략)에 각각 접속되어 있고, 전기-공기압 레귤레이터(81 및 83)는 제어장치(7)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레귤레이터(85)는 수동으로 컴프레서로부터의 공기압을 소정의 공기압으로 조정하여 밸브 장치(82, 84 및 86)의 각각에 부여하고 있다. 전기-공기압 레귤레이터(81)는 밸브 장치(82)에 대해 약압(弱壓)을 부여하고 있고, 전기-공기압 레귤레이터(83)는 밸브 장치(84)에 대해 밸브 장치(82)에 부여되는 공기압보다도 높은 강압을 부여하고 있다. 레귤레이터(85)는, 에어 실린더 장치(87)에 보유지지체(89)와, 로드(65)와, 커터 블록(90)을 개재하여 커터 휠(4)을 상승시키는 데에 필요로 하는 공기압을 밸브 장치(86)에 부여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밸브 장치(84)는 OFF(비통전)에서 공기실(97)에 접속되어 있고, 밸브 장치(82)는 ON(통전)에서 밸브 장치(84)를 개재하여 공기실(97)에 접속되어 있다. 밸브 장치(86)는 OFF에서 공기실(98)에 접속되어 있다. 밸브 장치(82, 84 및 86)는, 제어장치(7)로부터의 신호전압을 받아 작동함으로써, 공기실(97) 및/또는 공기실(98)에 대한 공기압의 부여 및/또는 해제를 각각 행하도록 되어 있다.
보유지지체(89)는, 피스톤 로드(88)의 외부 선단이 고착된 보유지지체 본체(101)와, 보유지지체 본체(101)에 장착된 베어링(102)과, 베어링(102)을 개재하여 보유지지체 본체(101)에 회전 가능하게 보유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로드(65)의 상단이 장착되어 있는 회전체(103)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체(103)와, 로드(65) 및 커터 블록(90)에는, 커터 휠(4)에 의한 유리판(2)에 대한 절단선 형성시에 커터 휠(4)과 유리판(2)의 접촉부에 커터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홀(104)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 누름가압장치(6)에 의해 커터 휠(4)의 유리판(2)에 대한 탄성 누름가압력의 강약 중에서 약한 탄성 누름가압력으로 상기 커터 휠(4)을 유리판(2)에 탄성적으로 누름가압시키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 밸브 장치(82)에 의해, 전기-공기압 레귤레이터(81)로부터의 공기압이 상기 밸브 장치(82)를 개재하여 OFF상태에 있는 밸브 장치(84)에 부여되고, 이 OFF상태(비통전 상태)에 있는 밸브 장치(84)를 개재하여 전기-공기압 레귤레이터(81)의 약압이 에어 실린더 장치(87)의 공기실(97)에 부여되며, 이 약압으로 보유지지체(89)와, 로드(65) 등을 개재하여 커터 휠(4)을 유리판(2)에 누름가압한다. 한편, 전기-공기압 레귤레이터(83)의 강압은 OFF상태에 있는 밸브 장치(84)에 부여되어 있는데, 이 밸브 장치(84)에 의해 폐지(閉止)되어 있다. 또, 커터 휠(4)을 상승시키는 곳의 레귤레이터(85)로부터의 공기압은 OFF상태에 있는 밸브 장치(86)에 부여되어 있는데, 이 밸브 장치(86)에 의해 폐지되어 에어 실린더 장치(87)의 공기실(98)로 통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커터 휠(4)은 약압으로 유리판(2)을 누름가압하고 있다. 초기, 탄성 누름가압장치(6)에 의해 커터 휠(4)을 유리판(2)에 접촉시키기 위해 하강시키는 동작도 상기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약한 탄성 누름가압력은, 종래 직선부를 절단(절단선을 형성)할 때의 누름가압력에 상당하는 누름가압력이다.
탄성 누름가압장치(6)에 의해 커터 휠(4)의 유리판(2)에 대한 탄성 누름가압력의 강약 중에서 강한 탄성 누름가압력으로 상기 커터 휠(4)을 유리판(2)에 탄성적으로 누름가압시키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 밸브 장치(82)는 ON상태 그대로이며, 밸브 장치(84)가 ON상태로 변하고, 밸브 장치(82)로부터의 약압은 이 밸브 장치(84)에서 폐지되며, 그 대신에 전기-공기압 레귤레이터(83)로부터의 강압이 이 밸브 장치(84)를 통과하여 에어 실린더 장치(87)의 공기실(97)에 부여되어, 커터 휠(4)은 유리판(2)에 강한 탄성 누름가압력으로 누름가압된다. 이때도, 물론 밸브 장치(86)는 OFF상태에 있고, 레귤레이터(85)로부터 공기압은 중지되어 에어 실린더 장치(87)의 공기실(98)로 통하지 않는다. 상기 강한 탄성 누름가압력은, 종래 작은 R부를 절단할 때의 누름가압력에 상당하는 누름가압력이다.
절단 중에서의 탄성 누름가압력의 강약의 절환은, 밸브 장치(84)의 ON, OFF의 절환에 의해 행한다. 물론, 밸브 장치(84)의 ON, OFF의 절환은 제어장치(7)로부터 일정한 시간간격(30ms~70ms)을 두고 신호전압에 의해 행한다. 밸브 장치(84)를 OFF상태로 되돌리고, 전기-공기압 레귤레이터(83)에서 에어 실린더 장치(87)로 통하는 강압회로를 이 밸브 장치(84) 내에서 닫으며, 그 대신에 이 밸브 장치(84)를 개재하여 에어 실린더 장치(87)의 공기실(97)과 밸브 장치(82)를 통하게 하여 이 밸브 장치(82)를 OFF상태로 하고, 에어 실린더 장치(87)의 공기실(97)의 공기실을 대기중으로 배출한다. 동시에, 전기-공기압 레귤레이터(81)로부터의 약압을 이 밸브 장치(82)로 폐지한다. 동시에, 밸브 장치(86)를 ON장치로 하고 레귤레이터(85)로부터의 실린더 상승용의 공기압을 이 밸브 장치(86) 내에서 개통시켜 에어 실린더 장치(87)의 공기실(98)에 부여한다. 그러면, 이 레귤레이터(85)로부터의 공기압으로 보유지지체(89)와, 로드(65)를 개재하여 커터 휠(4)이 상승하여 유리판(2)으로부터 떨어진다.
제어장치(7)는, 조작반(111)이 조작됨으로써 절단선(3a), 탄성 누름가압장치(6)에 의한 탄성 누름가압력의 강약의 절환, 이동수단(5)에 의한 커터 휠(4)의 이동 등에 관하여 여러가지 설정되고, 이러한 설정에 기초하여 탄성 누름가압장치(6) 및 이동수단(5)에 제어에 관한 전기적인 신호를 부여하는 컴퓨터(112)에 의해 구체화된다. 제어장치(7)는, 탄성 누름가압장치(6) 및 이동수단(5)을 CNC제어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제어장치(7)는 상술 및 후술하는 동작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예의 유리판 절단기(1)에 의한 유리판(2)에 대한 절단선(3)의 형성에 관한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손상방지 시트(12) 상에 절단선(3)을 형성하기 위해 유리판(2)을 안착시킴으로써 지지대(8)에 상기 유리판(2)을 지지시킨다. 다음에, X-Y방향 이동장치(21)에 의해, 지지대(8)에 지지된 유리판(2)에 대해 미리 설정된 절단선 형성 개시위치의 상방까지 커터 휠(4)을 X-Y평면 좌표 이동시킴과 동시에, 회동장치(각도 제어장치)(22)에 의해 커터 휠(4)을 절단선 형성방향으로 배향하고, 탄성 누름가압장치(6)에 의해 절단선 형성 개시위치의 상방까지 이동되고 절단선 형성방향으로 배향된 커터 휠(4)에, 전기-공기압 레귤레이터(81)로부터의 공기압을 공기실(97)에 부여함으로써, 유리판(2)으로 향하여 하방으로 향하는 약한 탄성 누름가압력(직선 절단용)을 부여하고, 커터 휠(4)을 Z방향에서 하강시켜 유리판(2)의 상면(2a)에 접촉시키며, 상기 탄성 누름가압력으로 유리판(2)을 탄성적으로 누름가압한다. 절단선 형성 개시위치는, 본 예에서는 유리판(2)에 대해 미리 설정된 형성해야 할 절단선(3a) 중의 직선부(15)로 한다.
절단선 형성 개시위치에 있어서 유리판(2)을 탄성적으로 누름가압하는 커터 휠(4)은,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Y방향 이동장치(21)에 의해 X-Y평면 좌표 이동되고, 직선부(15)를 따라 이동된다. 이와 같이 이동되는 커터 휠(4)은, 유리판(2) 상을 구름운동한다. 이러한 커터 휠(4)의 이동시에, 밸브 장치(84)가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고 「ON」, 「OFF」의 반복을 하여, 전기-공기압 레귤레이터(81)의 약압과 전기-공기압 레귤레이터(83)의 강압이 탄성 누름가압장치(6)로서의 에어 실린더 장치(87)의 공기실(97)에 교대로 부여되어, 탄성 누름가압력의 강약으로서 교대로 절환하면서 커터 휠(4)를 누름가압한다. 탄성 누름가압장치(6)에 의한 탄성 누름가압력의 강약을 절환하는 일정한 시간간격은 30ms 내지 70ms의 범위에서 설정되어도 되고, 예를 들어 50ms이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커터 휠(4)은 이동수단(5) 및 탄성 누름가압장치(6)에 의해 유리판(2)에 대해 맥동 형태로 눌러짐으로써 직선부(15)를 따라 유리판(2)에 커팅홈(균열)을 깊고 깨끗하게 진행시키면서 절단선(3)을 형성한다.
커터 휠(4)에 의해 절단선(3a) 중의 R부(16)를 따라 유리판(2)에 절단선(3)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Y방향 이동장치(21) 및 회동장치(22)에 의해 커터 휠(4)을 X-Y평면 좌표 이동 및 회동시키면서 R부(16)를 따라 이동시키고, 또한, 탄성 누름가압장치(6)에 의해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고 간헐적으로 탄성 누름가압력의 강약을 교대로 절환하면서 커터 휠(4)을 탄성적으로 누름가압한다. 여기서, X-Y방향 이동장치(21)에 의해 커터 휠(4)을 유리판(2)의 코너부(17)의 R부(16)를 따라 이동시킬 때의 이동속도는, X-Y방향 이동장치(21)에 의해 커터 휠(4)을 직선부(15)를 따라 이동시킬 때의 이동속도보다도 저속도이고, 이 때문에, R부에서는 커터 휠(4)의 이동거리에 대해 누름가압력의 강약의 절환이 잦아져서 강압의 누름가압력의 비율이 많아진 상태에서 절단선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R부에서의 커팅홈을 보다 깊고 깨끗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단선(3)이 형성된 유리판(2)을 절단선(3)을 따라 꺾어 쪼개면, 그 꺾어 쪼갠 면은 우툴두툴함이 없는 깨끗한 면이 된다.
본 예의 유리판 절단기(1)에 의하면, 유리판(2)에 절단선(3)을 형성하는 커터 휠(4)과, 커터 휠(4)을 유리판(2)에 대해 미리 설정된 형성해야 할 절단선(3a)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5)과, 커터 휠(4)을 유리판(2)에 대해 탄성적으로 누름가압하는 탄성 누름가압장치(6)와, 이동수단(5)에 의한 커터 휠(4)의 이동시에 상기 커터 휠(4)의 유리판(2)에 대한 탄성 누름가압력의 강약을 교대로 절환하도록 탄성 누름가압장치(6)를 제어하는 제어장치(7)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커팅홈(균열) 형성이 보다 깊고 균일하게 깨끗이 진행된 절단선(3)을 유리판(2)에 형성할 수 있다.
1...유리판 절단기 2...유리판
3...절단선 4...커터 휠
5...이동수단 6...누름가압장치
7...제어장치

Claims (8)

  1. 절단날을 유리판에 대해 미리 설정된 형성해야 할 절단선을 따라 이동시키고, 이 이동 중에서 절단날의 유리판에 대한 탄성 누름가압력을 강약으로 교대로 절환하면서 상기 절단날을 유리판에 대해 탄성적으로 누름가압하여 유리판에 절단선을 형성하는 유리판 절단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절단날의 이동시에 상기 절단날의 유리판에 대한 탄성 누름가압력의 강약을,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고 교대로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절단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공기압에 의해 절단날을 유리판에 대해 탄성적으로 누름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절단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단날의 유리판에 대한 탄성 누름가압력의 강약을 30ms 내지 70ms의 시간간격을 두고 교대로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절단방법.
  5. 유리판에 절단선을 형성하는 절단날과, 이 절단날을 유리판에 대해 미리 설정된 형성해야 할 절단선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이 절단날을 유리판에 대해 탄성적으로 누름가압하는 탄성 누름가압장치와, 이동수단에 의한 절단날의 이동시에 상기 절단날의 유리판에 대한 탄성 누름가압력의 강약을 교대로 절환하도록 탄성 누름가압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유리판 절단기.
  6. 제5항에 있어서,
    제어장치는, 절단날의 이동시에 상기 절단날의 유리판에 대한 탄성 누름가압력의 강약을,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고 교대로 절환하도록 탄성 누름가압장치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절단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탄성 누름가압장치는, 공기압에 의해 절단날을 유리판에 대해 탄성적으로 누름가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절단기.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장치는, 절단날의 유리판에 대한 탄성 누름가압력의 강약을 30ms 내지 70ms의 시간간격을 두고 교대로 절환하도록 탄성 누름가압장치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절단기.
KR1020137028113A 2006-04-28 2006-06-21 유리판 절단기 KR1013788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26995A JP5023547B2 (ja) 2006-04-28 2006-04-28 ガラス板切断方法及びガラス板切断機
JPJP-P-2006-126995 2006-04-28
PCT/JP2006/312453 WO2007125610A1 (ja) 2006-04-28 2006-06-21 ガラス板切断方法及びガラス板切断機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303A Division KR20120102818A (ko) 2006-04-28 2006-06-21 유리판 절단방법 및 유리판 절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700A true KR20130122700A (ko) 2013-11-07
KR101378850B1 KR101378850B1 (ko) 2014-03-27

Family

ID=38655155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303A KR20120102818A (ko) 2006-04-28 2006-06-21 유리판 절단방법 및 유리판 절단기
KR1020127013740A KR101352896B1 (ko) 2006-04-28 2006-06-21 유리판 절단방법 및 유리판 절단기
KR1020087026281A KR20080113265A (ko) 2006-04-28 2006-06-21 유리판 절단방법 및 유리판 절단기
KR1020117007020A KR101246311B1 (ko) 2006-04-28 2006-06-21 유리판 절단방법 및 유리판 절단기
KR1020137028113A KR101378850B1 (ko) 2006-04-28 2006-06-21 유리판 절단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303A KR20120102818A (ko) 2006-04-28 2006-06-21 유리판 절단방법 및 유리판 절단기
KR1020127013740A KR101352896B1 (ko) 2006-04-28 2006-06-21 유리판 절단방법 및 유리판 절단기
KR1020087026281A KR20080113265A (ko) 2006-04-28 2006-06-21 유리판 절단방법 및 유리판 절단기
KR1020117007020A KR101246311B1 (ko) 2006-04-28 2006-06-21 유리판 절단방법 및 유리판 절단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393256B2 (ko)
EP (2) EP3339260A1 (ko)
JP (1) JP5023547B2 (ko)
KR (5) KR20120102818A (ko)
CN (3) CN102417293B (ko)
WO (1) WO20071256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23547B2 (ja) 2006-04-28 2012-09-12 坂東機工株式会社 ガラス板切断方法及びガラス板切断機
US8402870B1 (en) * 2008-11-13 2013-03-26 Michael S. Marquette Multi-function flying notching and shearing machine
ES2882850T3 (es) * 2009-04-10 2021-12-02 Bando Kiko Co Método de trazado de placas de vidrio y dispositivo de trazado
JP5399768B2 (ja) * 2009-05-01 2014-01-29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スクライブヘッド及び該スクライブヘッドを用いたスクライブ装置
JP5777849B2 (ja) * 2009-05-29 2015-09-09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ブレイク装置及びブレイク方法
JP5012923B2 (ja) * 2010-01-04 2012-08-29 旭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の切線加工装置及び切線加工方法
FI20105012A0 (fi) * 2010-01-08 2010-01-08 Pekka Salmi Leikkuri laattojen tai vastaavien katkaisemiseksi
JP5067457B2 (ja) * 2010-07-29 2012-11-07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スクライビングホイール、スクライブ装置、およびスクライブ方法
JP5331078B2 (ja) * 2010-09-28 2013-10-30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脆性材料基板のスクライブ方法
CN103228588A (zh) * 2010-11-22 2013-07-31 旭硝子株式会社 平板玻璃的切割线加工装置、平板玻璃的切割线加工方法及平板玻璃的制造方法
KR20150021575A (ko) * 2011-01-07 2015-03-02 반도키코 가부시키가이샤 탄화 규소판의 스크라이브 방법 및 스크라이브 장치
CN102635682A (zh) * 2011-02-14 2012-08-15 张意立 一种纯扭矩传力机构
EP2502716B1 (de) * 2011-03-21 2013-11-06 TRUMPF Werkzeugmaschinen GmbH + Co. KG Werkzeug für eine Blechbearbeitungsmaschine und Verfahren zum Trennen einer Folie
TWI468354B (zh) * 2012-05-23 2015-01-11 Taiwan Mitsuboshi Diamond Ind Co Ltd 用於一玻璃基板之切割方法及切割設備
JP5996376B2 (ja) * 2012-10-31 2016-09-21 株式会社尼崎工作所 硬質脆性板の割断装置
JP6344787B2 (ja) * 2012-11-30 2018-06-20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セラミックス基板の分断方法及びスクライブ装置
CN103847029B (zh) * 2012-12-07 2016-01-27 英莱新能(上海)有限公司 薄膜太阳能电池镀膜基片切割装置
DE102012025091B4 (de) * 2012-12-20 2016-09-29 Grenzebach Maschinenbau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zeugen einer sicheren Bruchlinie für das industrielle Ablängen von Glasscheiben sowie Computerprogramm und maschinenlesbarer Träger mit einem Programmcode
CN103130408B (zh) * 2013-03-15 2015-06-03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切割机刀具的夹持装置
JP2015027933A (ja) * 2013-06-27 2015-02-1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強化ガラス板のスクライブ方法
JP6119550B2 (ja) * 2013-10-16 2017-04-26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エキスパンダ、破断装置及び分断方法
CN103662948B (zh) * 2013-12-14 2016-05-04 蚌埠中建材信息显示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超薄平板玻璃横切的输送装置
CN103737100B (zh) * 2013-12-19 2017-01-04 上海通彩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浮动切割机构
KR101512115B1 (ko) 2014-12-10 2015-04-14 인포지씨 주식회사 에칭시트지 부착방법
CN104926095B (zh) * 2015-01-08 2022-11-11 浙江冠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珠切割设备
KR101648010B1 (ko) * 2015-03-03 2016-08-17 한국미쯔보시다이아몬드공업(주)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 방법
KR20160003944U (ko) 2015-05-08 2016-11-16 김대근 재단기
CN105481238B (zh) * 2016-01-04 2018-02-06 重庆福海玻璃加工有限公司 一种玻璃切割刀
DE102016101766A1 (de) * 2016-02-02 2017-10-19 Schott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srichten von Ritznadeln und Ritzen von Glassubstraten
CN105502907B (zh) * 2016-02-23 2017-12-05 董怡君 一种多功能玻璃切割设备
JP2018154512A (ja) * 2017-03-16 2018-10-04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スクライブ装置
CN106986532A (zh) * 2017-05-05 2017-07-28 泉州泉港润美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切割圆形工件的玻璃切割机
CN107500521B (zh) * 2017-09-26 2020-08-21 黄石瑞视光电技术股份有限公司 异形触摸屏切割工艺方法
US20190105800A1 (en) * 2017-10-06 2019-04-11 Alex Xie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marbelized engineered stone
CN107640886A (zh) * 2017-11-06 2018-01-30 高峰 一种玻璃印花切割模具
CN107962687A (zh) * 2017-12-26 2018-04-27 佛山市神创机电有限公司 一种加工中心和切磨加工中心设备
CN108863034B (zh) * 2018-08-29 2021-03-05 台玻安徽玻璃有限公司 一种低辐射镀膜节能浮法玻璃生产用自动切割装置
CN110510861A (zh) * 2019-07-24 2019-11-29 东莞泰升玻璃有限公司 一种玻璃板材的钻孔加工装置
CN110497547A (zh) * 2019-08-28 2019-11-26 大同新成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半导体材料切割装置及其方法
CN111847859A (zh) * 2020-07-10 2020-10-30 蚌埠朝阳玻璃机械有限公司 一种多功能玻璃切割机
CN114311328A (zh) * 2020-09-29 2022-04-12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切割装置
CN112428452B (zh) * 2020-10-22 2022-08-30 彩虹(合肥)液晶玻璃有限公司 一种基板玻璃切割研磨装置
CN113213744B (zh) * 2021-05-11 2023-08-18 中天久业膜建筑技术(广东)有限公司 一种建筑幕墙制造用定尺寸分切设备及其分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87611A (en) * 1937-02-01 1938-06-23 Augustus Theodore Jordan An improved machine for cutting spectacle lenses, watch glasses and like pieces of glass in accordance with a pattern or former
US2556757A (en) * 1944-04-13 1951-06-12 Bernard L Zangwill Glass-cutting apparatus
US2618857A (en) * 1947-11-14 1952-11-25 Libbey Owens Ford Glass Co Apparatus for cutting glass
US3577636A (en) * 1969-01-07 1971-05-04 Ppg Industries Inc Resilient cutter
DE3002071A1 (de) * 1980-01-21 1981-07-23 Vereinigte Glaswerke Gmbh, 5100 Aachen Schneidkopf fuer glasschneidemaschinen
AU4381593A (en) * 1992-05-18 1993-12-13 Lockformer Company, The Glass scoring mechanism
JPH07106923B2 (ja) * 1993-05-26 1995-11-15 株式会社シギヤ精機製作所 板ガラスの折割り方法とその関連装置
JP3116743B2 (ja) * 1994-09-09 2000-12-11 ヤマハ株式会社 ホイールカッター方式切断装置
US6470782B1 (en) * 1997-09-25 2002-10-29 Beldex Corporation Scribe device
JP2004292312A (ja) * 1997-09-25 2004-10-21 Beldex Corp スクライブ装置
JP2954566B2 (ja) * 1997-09-25 1999-09-27 株式会社ベルデックス スクライブ装置および方法
US6418824B1 (en) * 2000-03-03 2002-07-16 Pcps Limited Partnership Two stage punch press actuator with output drive shaft position sensing
JP4705713B2 (ja) * 2000-09-08 2011-06-22 中村留精密工業株式会社 硬質脆性板のスクライブ装置
JP5065551B2 (ja) 2001-01-12 2012-11-07 坂東機工株式会社 ガラス板切断ヘッド及びこれを具備しているガラス板加工装置
JP2003002675A (ja) * 2001-06-21 2003-01-08 Nakamura Tome Precision Ind Co Ltd ガラス板の割断方法及び装置
DE10237478B4 (de) * 2002-08-16 2005-06-09 Schott Ag Verfahren zum Schneiden eines fortlaufenden Glasbandes bei der Herstellung von Flachglas
JP4142458B2 (ja) * 2003-01-20 2008-09-03 中村留精密工業株式会社 硬質脆性板の振動スクライブ方法及び装置
CN101585655B (zh) * 2003-01-29 2013-04-24 三星宝石工业株式会社 基板切割设备和基板切割方法
JP4987266B2 (ja) * 2005-08-08 2012-07-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ガラス切断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5023547B2 (ja) 2006-04-28 2012-09-12 坂東機工株式会社 ガラス板切断方法及びガラス板切断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297244A (ja) 2007-11-15
US20120325070A1 (en) 2012-12-27
EP2014623B1 (en) 2018-02-21
KR20080113265A (ko) 2008-12-29
EP2014623A4 (en) 2013-06-26
JP5023547B2 (ja) 2012-09-12
CN104261664B (zh) 2019-02-15
CN102417293A (zh) 2012-04-18
CN102417293B (zh) 2015-08-12
KR101246311B1 (ko) 2013-03-22
EP3339260A1 (en) 2018-06-27
KR20110049888A (ko) 2011-05-12
KR20120102818A (ko) 2012-09-18
US8393256B2 (en) 2013-03-12
US8844420B2 (en) 2014-09-30
KR101378850B1 (ko) 2014-03-27
CN101426741B (zh) 2015-11-25
CN101426741A (zh) 2009-05-06
KR101352896B1 (ko) 2014-01-17
US20090120988A1 (en) 2009-05-14
WO2007125610A1 (ja) 2007-11-08
KR20120073364A (ko) 2012-07-04
EP2014623A1 (en) 2009-01-14
CN104261664A (zh) 2015-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8850B1 (ko) 유리판 절단기
KR101651557B1 (ko) 유리판 선긋기 장치
CN100522471C (zh) 玻璃板加工设备
WO2012093422A1 (ja) 炭化珪素板のスクライブ方法及びスクライブ装置
KR102335671B1 (ko) 반도체 배관용 커팅장치
EP3009226B1 (en) Clamp device for clamping a plate on a work surface of a processing apparatus, particularly for processing plates of small dimensions, in particular glass or stone plates and wood plates
KR101401026B1 (ko) 변압기 개스킷 가공장치
CN110746101B (zh) 一种超薄液晶玻璃划线切割装置
KR101095654B1 (ko) 링형상의 플레이트 가스절단장치
KR20020067023A (ko) 금속판재 가공장치
JPH0640733A (ja) ガラス板のカッタ装置
KR20020074676A (ko) 타이어 금형의 에어벤트홀 천공장치
KR200345720Y1 (ko) 작업다이 높낮이 조절장치
WO2016059794A1 (ja) スクライブ方法及びスクライブ装置
JPH0748326Y2 (ja) 刃先径可変切削装置
JP2016079062A (ja) スクライブ方法及びスクライブ装置
JPH0748327Y2 (ja) 刃先径可変切削装置
JPH07276292A (ja) 裁断装置
JP2016104571A (ja) 炭化珪素板のスクライブ方法及びスクライブ装置
JP2016079077A (ja) スクライブ方法及びスクライ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