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8817A -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8817A
KR20130118817A KR1020130043470A KR20130043470A KR20130118817A KR 20130118817 A KR20130118817 A KR 20130118817A KR 1020130043470 A KR1020130043470 A KR 1020130043470A KR 20130043470 A KR20130043470 A KR 20130043470A KR 20130118817 A KR20130118817 A KR 20130118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group
lens
front lens
lens element
im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3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노무라
토시키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8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88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5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 G02B13/006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having a beam-folding prism or mirr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9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having zoom fun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43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three groups only
    • G02B15/1435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three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negative
    • G02B15/143507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three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negative arranged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7Bodies with reflectors arranged in beam forming the photographic image, e.g. for reducing dimensions of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2Lateral adjustment of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6Swinging lens about normal to the optical ax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15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displac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normal to the optical axis

Abstract

촬상 장치는 촬상 광학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하고, 광축 방향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제공되는 전방 렌즈 그룹으로서, 전방 렌즈 요소와, 상기 전방 렌즈 요소로부터 출사된 광속을 반사시키는 반사 소자를 구비하고 있는 전방 렌즈 그룹; 상기 전방 렌즈 그룹보다 상면측에 더 가깝게 제공되어, 광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가동 렌즈 그룹; 상기 반사 소자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 상기 전방 렌즈 요소를 지지하고, 상기 전방 렌즈 요소의 광축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가동 프레임; 및 상흔들림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촬상 광학 시스템에 가해지는 흔들림에 따라 상기 평면 내에서 상기 가동 프레임을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촬상 장치{IMAGING APPARATUS}
본 발명은 흔들림 방지(상흔들림 보정/상 안정화) 시스템을 구비한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디지털 카메라(스틸 비디오 카메라)와 디지털 캠코더(모션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주로 정지 화상/동영상을 촬영을 목적으로 한 모바일 전자 기기와,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와 카메라를 구비한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DA)와 같이 보조적인 기능으로 촬영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된 다른 모바일 전자 기기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런 종류의 모바일 전자 기기에 있어서는, 촬상 유닛의 중공의 하우징 내에 촬상 센서(촬상 소자)와 피사체(물체)로부터 나오는 광(피사체광)을 촬상 센서로 보내기 위한 촬상 광학 시스템이 수납되도록 구성된 촬상 유닛을 내장시킨 모바일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근래, 모바일 전자 기기의 박형화가 진행되어 있기 때문에, 촬상 유닛을 박형화하려는 요구가 강해지고 있다. 촬상 유닛을 박형화하기 위해, 프리즘이나 미러와 같은 반사 소자의 반사면을 이용하여 광속을 반사(굴곡)시키는 굴곡 광학 시스템을 촬상 유닛에 제공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촬상 유닛에는, 손흔들림과 같은 진동에 기인하는 상면 상에서의 상흔들림을 경감시키기 위해 설계된 이른바 흔들림 방지(상흔들림 보정/상 안정화) 시스템이 탑재되는 경향이 있다. 흔들림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굴곡 광학 시스템을 사용하는 촬상 유닛으로서, 다음의 4가지 상이한 타입의 촬상 유닛이 알려져 있다. 촬상 센서를 상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흔들림을 감소시키는 제1 타입(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9-86319호 및 제2008-268700호), 반사면을 보유한 반사 소자의 후방(상면측)에 배치된 렌즈를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흔들림을 감소시키는 제2 타입(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0-128384호 및 일본 특허공보 제4789655호), 반사 소자(반사면)의 각도나 반사 소자에 인접한 렌즈의 각도를 변화시켜 상흔들림을 감소시키는 제3 타입(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7-228005호, 제2010-204341호, 제2006-330439호 및 일본 특허공보 제4717529호), 및 촬상 유닛 전체를 경동(傾動)시켜 상흔들림을 감소시키는 제4 타입(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6-166202호 및 제2006-259247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9-86319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8-268700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0-128384호 일본 특허공보 제4789655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7-228005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0-204341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6-330439호 일본 특허공보 제4717529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6-166202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6-259247호
제1 타입의 흔들림 방지 시스템은, 촬상 센서에 접속된 회로 기판이 촬상 센서의 이동을 추종하여 이동되기 때문에, 촬상 센서뿐만 아니라 주위의 전기 부품들도 가동 부품이 되어야할 필요가 있어, 구성이 복잡하고 고비용이 되기 쉽다. 또한, 촬상 센서의 촬상면 주위는 방진 구조일 것이 요구되지만, 휴대 전화기나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 내로의 편입을 의도한 소형의 촬상 유닛에서는, 촬상 센서의 방진 구조를 유지하면서 촬상 센서가 흔들림 방지(상흔들림 보정/상 안정화) 동작을 행하게 해줄 만큼 충분한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어렵다.
제2 타입의 흔들림 방지 시스템은, 흔들림 방지 동작 시의 반사 소자의 후방에 배치된 렌즈 그룹의 이동 방향이 촬상 유닛의 두께 방향(즉, 피사체쪽 방향을 촬상 유닛의 전방이라고 할 경우의 촬상 유닛의 전후 방향)에 상당하기 때문에, 박형의 촬상 유닛 내에 그와 같은 흔들림 방지 구조를 내장할 만큼의 충분한 스페이스를 제공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환언하면, 이 타입의 흔들림 방지 시스템을 이용하면 촬상 유닛의 박형화가 제약된다. 렌즈 그룹 대신에 촬상 센서를 촬상 유닛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타입의 흔들림 방지 시스템에서도 동일한 문제가 있다.
제3 타입의 흔들림 방지 시스템은, 반사 소자나 렌즈 그룹이 경사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큰 스페이스가 필요하고, 따라서, 촬상 유닛이 대형화되기 쉽다. 제4 타입의 흔들림 방지 시스템은 상흔들림을 감소시키기 위해 촬상 유닛 전체가 경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큰 스페이스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촬상 유닛의 소형화, 특히 두께의 감소를 달성하면서, 상흔들림 보정(상 안정화)을 행할 수 있는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따라,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의 촬상 광학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하고, 광축 방향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제공되는 전방 렌즈 그룹으로서,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적어도 1개의 전방 렌즈 요소와, 상기 전방 렌즈 요소로부터 출사된 광속을 반사시키는 반사 소자를 구비하고 있는 전방 렌즈 그룹; 상기 촬상 광학 시스템의 또 다른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전방 렌즈 그룹보다 상면측에 더 가깝게 제공되어, 광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가동 렌즈 그룹; 적어도 상기 전방 렌즈 그룹의 상기 반사 소자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 상기 전방 렌즈 그룹의 상기 전방 렌즈 요소를 지지하고, 상기 전방 렌즈 요소의 광축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가동 프레임; 및 상기 상면 상에서의 상흔들림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촬상 광학 시스템에 가해지는 흔들림에 따라 상기 평면 내에서 상기 가동 프레임을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촬상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전방 렌즈 그룹은 상기 반사 소자에 의해 반사된 광속이 입사되는 적어도 1개의 후방 렌즈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 렌즈 그룹의 상기 전방 렌즈 요소가 임의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지만, 상기 전방 렌즈 그룹의 상기 전방 렌즈 요소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촬상 광학 시스템은 상기 가동 렌즈 그룹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초점 거리를 변화시키는 줌 렌즈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 렌즈 그룹은 부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가동 렌즈 그룹은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 렌즈 그룹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 렌즈 그룹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 렌즈 그룹의 상기 반사 소자는 프리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의 조건 (1)이 충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D/S1<10 ... (1),
여기서, D는 상기 전방 렌즈 요소와 상기 반사 소자 사이의 광축 방향의 거리를 지시하며, S1은 흔들림 보정각이 0.5도일 때의 상기 전방 렌즈 요소의 이동량을 지시한다.
상기 조건 (1)을 충족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전방 렌즈 요소와 상기 반사 소자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는 적당한(적절한) 간격을 상기 전방 렌즈 요소와 상기 반사 소자 사이에 제공하면서, 상기 촬상 장치의 소형화를 성취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가동 렌즈 그룹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방식으로 상기 가동 렌즈 그룹을 지지하는 박스 형상을 가진 프레임 보디; 및 상기 반사 소자를 고정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프레임 보디에 고정되고, 상기 가동 프레임이 상기 전방 렌즈 요소의 광축에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방식으로 상기 가동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가동 렌즈 그룹과 상기 상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 렌즈 그룹으로부터 출사된 광속을 상기 상면을 향해 반사시키는 제2 반사 소자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상면 위에 위치하는 촬상 센서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의 조건 (2)가 충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S/Y|<0.2 ... (2),
여기서, S는 상기 전방 렌즈 요소의 광축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른 최대 이동량을 지시하며, Y는 상기 촬상 센서의 유효 수광 영역의 대각선 방향 상 높이를 지시한다.
상기 조건 (2)를 충족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촬상 장치가 쉽게 열화되지 않게 해주고, 상기 촬상 장치가 대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방 렌즈 그룹에 있어서의 반사 소자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렌즈 요소를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흔들림 보정 동작이 행해지고, 그에 따라, 촬상 장치가 흔들림 방지 시스템을 내장하고 있더라도 촬상 장치의 소형화, 특히 전후 방향의 박형화가 성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형태의 촬상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촬상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촬상 유닛의 제1 렌즈 그룹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촬상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전방 커버와 기판 모듈이 제거된 촬상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VI-VI 선에 따른 촬상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VII-VII 선에 따른 촬상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와이드단, 중간 초점 거리, 텔레단에서의 촬상 광학 시스템의 여러 가지 상태를 나타낸, 촬상 유닛의 촬상 광학 시스템의 측단면도이다.
도 9는 촬상 광학 시스템에 앞서의 실시형태의 촬상 유닛이 가지고 있던 제2 프리즘이 구비되지 않은 또 다른 실시형태의 촬상 유닛을 보여주는, 도 6과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앞서의 각각의 실시형태의 촬상 유닛에서 제1 광축을 따라 배열되어, 촬상 광학 시스템의 요소로서 기능하는 제1 렌즈 요소 및 제1 프리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수광면 측에서 본 도 2, 도 4,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촬상 센서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제1 렌즈 프레임이 이동가능하게 해주도록 제1 렌즈 요소용 제1 렌즈 프레임을 지지하는 기구가 앞서의 각각의 실시형태의 촬상 유닛에서 구비되었던 것과 다른 촬상 유닛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도 2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촬상 유닛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제1 렌즈 그룹 유닛을 보여주는, 도 3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14는 제2 광축을 따라 취해진 도 12에 도시된 촬상 유닛의 도 6 및 도 9와 유사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형태의 촬상 유닛(촬상 장치)(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방향, 좌우 방향, 상하 방향은 도면에 표시한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피사체측이 전방으로 된다. 도 1 및 도 4에 촬상 유닛의 외관 형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유닛(10)은 전후 방향으로 얇고 좌우 방향으로 긴 가로길이 형상을 하고 있다.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유닛(10)은 제1 렌즈 그룹(전방 렌즈 그룹)(G1), 제2 렌즈 그룹(가동 렌즈 그룹)(G2), 및 제3 렌즈 그룹(가동 렌즈 그룹)(G3)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렌즈 그룹(G1)은 제1 프리즘(반사 소자)(L11)을 구비하고 있고, 촬상 유닛(10)은 제3 렌즈 그룹(G3)의 우측에 제2 프리즘(제2 반사 소자)(L12)를 구비하고 있으며, 촬상 유닛(10)은 각각의 제1 프리즘(L11)과 제2 프리즘(L12)에서 대략 직각으로 광속을 반사(굴곡)시키는 굴곡 광학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제1 렌즈 그룹(G1)은 제1 렌즈 요소(전방 렌즈 요소)(L1), 제1 프리즘(L11), 제2 렌즈 요소(후방 렌즈 요소)(L2), 및 제3 렌즈 요소(후방 렌즈 요소)(L3)로 구성된다. 제1 렌즈 요소(L1)는 제1 프리즘(L11)의 입사면(L11-a)의 전방(피사체측)에 위치되는 한편, 제2 렌즈 요소(L2)와 제3 렌즈 요소(L3)는 제1 프리즘(L11)의 출사면(L11-b)의 우측(상면측)에 위치된다. 제1 렌즈 요소(L1)는 제1 프리즘(L11)과 대면하는 출사면이 오목면으로 형성된 부 렌즈 요소(negative lens element)(평 오목 렌즈 요소)이고, 제2 렌즈 요소(L2)는 입사면과 출사면 각각이 오목면으로 형성된 부 렌즈 요소(양 오목 렌즈 요소)이고, 제3 렌즈 요소(L3)는 입사면이 볼록면으로 형성된 정 렌즈 요소(positive lens element)(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며, 제1 렌즈 그룹(G1)은 전체로서 부의 굴절력을 갖고 있다. 제2 렌즈 그룹(G2)은 제4 렌즈 요소(L4)와 제5 렌즈 요소(L5)로 구성되어 있다. 제4 렌즈 요소(L4)는 입사면과 출사면 각각이 볼록면으로 형성된 정 렌즈 요소(양 볼록 렌즈 요소)이고, 제5 렌즈 요소(L5)는 입사면과 출사면이 각각 볼록면과 오목면으로 형성된 부 렌즈 요소(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며, 제2 렌즈 그룹(G2)은 전체로서 정의 굴절력을 갖고 있다. 제3 렌즈 그룹(G3)은 출사면이 볼록면으로 형성된 정 렌즈 요소(평 볼록 렌즈)인 제6 렌즈 요소(L6)로 구성되어 있다. 제3 렌즈 그룹(G3)은 정의 굴절력을 갖고 있다.
후방을 향한 방향으로 제1 광축(O1)을 따라 제1 렌즈 요소(L1)에 입사되는 피사체로부터의 광속은 제1 프리즘(L11)의 반사면(L11-c)에 의해 제2 광축(O2)을 따른 방향(우측을 향한 방향)으로 반사되어, 제2 광축(O2) 상에 위치하는 제2 내지 제6 렌즈 요소(L2, L3, L4, L5, L6)의 각각을 통과한다. 그런 연후에, 제6 렌즈 요소(L6)로부터 출사된 광속은 제2 프리즘(L12)의 반사면(L12-c)에 의해 제3 광축(O3)을 따른 방향(전방을 향한 방향)으로 반사되어, 촬상 센서(IS)의 촬상면에 결상된다. 제1 광축(O1)과 제3 광축(O3)은 대략 평행하고, 제2 광축(O2)과 함께 동일한 평면(도 4,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가상 평면(P)) 상에 위치한다. 촬상 유닛(10)의 촬상 광학 시스템은 줌 렌즈 시스템이고, 제2 렌즈 그룹(G2)과 제3 렌즈 그룹(G3)을 제2 광축(O2)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주밍(변배) 동작이 행해진다. 또한, 제3 렌즈 그룹(G3)을 제2 광축(O2)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포커싱 동작이 행해진다. 따라서, 촬상 유닛(10)의 촬상 광학 시스템은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부, 정,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3 렌즈 그룹으로 구성된 줌 렌즈 시스템이고, 또한, 주밍 시에 제1 렌즈 그룹(G1)의 광축 방향의 위치는 고정되는 한편, 제2 렌즈 그룹(G2)과 제3 렌즈 그룹(G3)은 주밍 시에 제2 광축(O2)을 따라 이동하는 가동 렌즈 그룹이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유닛(10)은 본체 모듈(11), 제1 렌즈 그룹 유닛(12), 기판 모듈(13), 전방 커버(14), 후방 커버(15)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모듈(11)은 합성 수지제의 하우징(지지 부재/프레임 보디)(16)을 구비하고 있고, 촬상 광학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2 렌즈 그룹(G2), 제3 렌즈 그룹(G3), 및 제2 프리즘(L12)이 하우징(16) 내에 유지되어 있다. 하우징(16)은 좌우 방향으로 길고 전후 방향의 두께가 얇은 박스형 부재이다. 하우징(16)은 좌단부에 장착용 오목부(17)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6)은 장착용 오목부(17)의 우측에 위치된 영역 전방측에 단면 형상 대략 직사각형의 수납 오목부(18)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6)은 장착용 오목부(17)와 수납 오목부(18)의 사이에 칸막이벽(19)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6)은 칸막이벽(19)의 중앙부에 장착용 오목부(17)와 수납 오목부(18)를 서로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관통 구멍)(20)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6)은 수납 오목부(18)의 우측에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 위치 결정 오목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위치 결정 오목부(22)는 수납 오목부(18)의 기준면에 대해 전방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 오목부(22) 내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된 패킹(23)이 위치되어 지지되어 있다. 패킹(23)은 위치 결정 오목부(22)에 끼워맞춤되는 직사각형 프레임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패킹(23)은 바닥부(베이스)에 관통 구멍(24)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6)은 위치 결정 오목부(22)의 내부에 전방면 및 좌측면이 개구된 프리즘 장착용 오목부(25)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6)은 수납 오목부(18)의 내주면의 전방 에지에 하우징(16)의 최전방 단부에 비해 후방에 위치되어 전후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 내에 놓여지는 기판 지지면(27)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6)은 또한 기판 지지면(27)의 2개의 상이한 위치에, 기판 지지면(27)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 잠금 돌기(28)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6)은 상측면과 하측면에 걸어맞춤 오목부(29A, 29B, 29C)와 2개의 걸어맞춤 돌기(30, 31)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6)은 또한 우측면에 상하 한 쌍의 걸어맞춤 돌기(32)(도 5)와 1개의 걸어맞춤 돌기(33)(도 6)를 구비하고 있다.
프리즘 장착용 오목부(25)에 제2 프리즘(L12)이 끼워맞춤 고정되어 있다. 제2 프리즘(L12)은 입사면(L12-a), 출사면(L12-b), 및 반사면(L12-c)을 구비하고 있다. 입사면(L12-a)은 제2 광축(O2) 상에 위치하여 좌측을 향하고 있고, 출사면(L12-b)은 제3 광축(O3) 상에 위치하여 전방을 향하고 있고, 반사면(L12-c)은 입사면(L12-a)과 출사면(L12-b)에 대해 대략 45도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제2 프리즘(L12)이 프리즘 장착용 오목부(25)에 고정된 상태에서, 패킹(23)의 관통 구멍(24)을 통해 출사면(L12-b)이 전방으로 노출된다.
제2 렌즈 그룹(G2)과 제3 렌즈 그룹(G3)은 제2 프리즘(L12)의 입사면(L12-a)의 좌측의 제2 광축(O2) 상에 위치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본체 모듈(11)은 각각이 금속제로 이루어져 좌우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뻗어 있는 제1 로드(36) 및 제2 로드(37)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로드(36) 및 제2 로드(37)는 상하로 나란히 정렬되도록 각각의 양단부가 하우징(16)의 우측벽의 내면과 칸막이벽(19)에 고정되어 있다. 제1 로드(36)에는 합성 수지제의 제2 렌즈 그룹 프레임(34)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이 끼워맞춤되어 있는 한편, 제2 로드(37)에는 제2 렌즈 그룹 프레임(34)의 하단부에 형성된 회전 정지 홈이 걸어맞춤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 정지 홈의 제2 로드(37)와의 걸어맞춤이 제2 렌즈 그룹 프레임(34)이 제1 로드(36) 둘레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기 때문에, 제2 렌즈 그룹 프레임(34)은 제1 로드(36) 및 제2 로드(37)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제2 렌즈 그룹 프레임(34)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렌즈 유지 구멍에는, 제2 렌즈 그룹(G2)을 구성하는 제4 렌즈 요소(L4)와 제5 렌즈 요소(L5)가 끼워맞춤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2 렌즈 그룹 프레임(34)의 상단부에는 너트 유지부(34a)(도 5)가 형성되어 있고, 너트 유지부(34a)에는, 축선이 좌우 방향으로 뻗어 있는 암나사 구멍을 가진 드리븐 너트(driven nut)(38)(도 5)가 끼워맞춤 고정되어 있다(너트 유지부(34a)의 일부가 드리븐 너트(38)의 회전 정지부를 구성하고 있다). 너트 유지부(34a)와 드리븐 너트(38)는 토션 스프링(130)에 의해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본체 모듈(11)은 하우징(16)의 프리즘 장착용 오목부(25)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1 모터(M1)(도 5)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모터(M1)(도 5)는 스테핑 모터이다. 제1 모터(M1)는 좌측을 향해 직선적으로 뻗어 있는 회전 구동축(M1a)을 구비하고 있고, 회전 구동축(M1a)에 형성된 수나사가 드리븐 너트(38)의 암나사 구멍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모터(M1)의 회전 구동축(M1a)을 정역 회전시키면, 제2 렌즈 그룹 프레임(34)(제2 렌즈 그룹(G2))이 제1 로드(36)와 제2 로드(37)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제2 렌즈 그룹 프레임(34)의 우측에 위치되는 합성 수지제의 제3 렌즈 그룹 프레임(35)의 하부를 관통해 형성된 관통 구멍이 제2 로드(37)에 끼워맞춤되어 있는 한편, 제3 렌즈 그룹 프레임(35)의 상단부에 형성된 회전 정지 홈이 제1 로드(36)에 걸어맞춤되어 있어, 제3 렌즈 그룹 프레임(35)은 제1 로드(36) 및 제2 로드(37)를 따라(제2 로드(37) 둘레의 회전은 규제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제3 렌즈 그룹 프레임(35)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한 렌즈 유지 구멍에는 제3 렌즈 그룹(G3)을 구성하는 제6 렌즈 요소(L6)가 끼워맞춤 고정되어 있고, 제3 렌즈 그룹 프레임(35)의 하단부에는 너트 유지부(35a)(도 5)가 형성되어 있고, 축선이 좌우 방향으로 뻗어 있는 암나사 구멍을 가진 드리븐 너트(39)(도 5)가 회전하지 않도록 너트 유지부(35a)에 끼워맞춤되어 있다(너트 유지부(35a)의 일부가 드리븐 너트(39)의 회전 정지부를 구성하고 있다). 너트 유지부(35a)와 드리븐 너트(39)는 토션 스프링(131)에 의해 서로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본체 모듈(11)은 하우징(16)의 프리즘 장착용 오목부(25)의 하부에 고정되는 제2 모터(M2)(도 5)를 구비하고 있다. 제2 모터(M2)는 제1 모터(M1)와 동일 사양의 스테핑 모터이다. 제2 모터(M2)는 좌측을 향해 직선적으로 뻗어 있는 회전 구동축(M2a)(회전 구동축(M1a)과 동일 사양)을 구비하고 있고, 회전 구동축(M2a) 상에 형성된 수나사가 드리븐 너트(39)의 암나사 구멍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모터(M2)의 회전 구동축(M2a)을 정역 회전시키면, 제3 렌즈 그룹 프레임(35)(제3 렌즈 그룹(G3))이 제1 로드(36)와 제2 로드(37)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본체 모듈(11)은 제1 로드(36)와 제2 로드(37)에 의해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차광 프레임(120)과 차광 프레임(121)을 구비하고 있다. 차광 프레임(120)과 차광 프레임(121)은 제3 렌즈 그룹 프레임(35)(제3 렌즈 그룹(G3))과 프리즘 장착용 오목부(25)(제2 프리즘(L12)) 사이에 위치되고, 본체 모듈(11)은 차광 프레임(120)과 제2 렌즈 그룹 프레임(34) 사이에, 차광 프레임(120)이 슬라이드 방향의 적절한 위치에 유지되게 해주는 압축 코일 스프링(122)을 구비하고 있고, 본체 모듈(11)은 차광 프레임(121)과 제3 렌즈 그룹 프레임(35)의 사이에 차광 프레임(121)이 슬라이드 방향의 적절한 위치에 유지되게 해주는 압축 코일 스프링(123)을 구비하고 있다. 차광 프레임(120)과 차광 프레임(121)은 각각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직사각형의 개구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이 직사각형 개구를 둘러싸는 프레임부를 구비하고 있다. 차광 프레임(120)과 차광 프레임(121)의 직사각형 개구는 제3 렌즈 그룹(G3)(제6 렌즈 요소(L6))으로부터 제2 프리즘(L12)으로 진행하는 광속이 차광 프레임(120)과 차광 프레임(121)을 통과하게 해주지만, 차광 프레임(120)과 차광 프레임(121)의 프레임부가 불필요한 광을 차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 그룹 유닛(12)은 제1 렌즈 요소(L1)를 유지하는 제1 렌즈 프레임(가동 프레임)(40)과, 제1 프리즘(L11), 제2 렌즈 요소(L2), 및 제3 렌즈 요소(L3)를 유지하는 베이스 프레임(지지 부재/지지 프레임)(41)을 구비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41)은 전방 좌측에 개구된 프리즘 장착용 오목부(42)를 구비하고 있고, 이 프리즘 장착용 오목부(42)에 제1 프리즘(L11)이 끼워맞춤 고정되어 있다. 제1 프리즘(L1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입사면(L11-a), 출사면(L11-b), 및 반사면(L11-c)을 구비하고 있다. 입사면(L11-a)은 제1 광축(O1) 상에 위치하여 전방을 향하고 있고, 출사면(L11-b)은 제2 광축(O2) 상에 위치하여 우측 방향을 향하고 있고, 반사면(L11-c)은 입사면(L11-a)과 출사면(L11-b)에 대해 대략 45도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베이스 프레임(41)은 또한 프리즘 장착용 오목부(42)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베이스 프레임(41)을 관통하는 렌즈 유지부(43)를 구비하고 있고, 이 렌즈 유지부(43) 내로 제2 렌즈 요소(L2)와 제3 렌즈 요소(L3)가 끼워맞춤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41)은 각각 상하 방향으로 돌출한 한 쌍의 플랜지(44)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플랜지(4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 L자(역L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하 방향으로 뻗어 있는 각각의 플랜지(44)의 벽(수직벽)을 통해 좌우 방향으로 나사 관통 구멍(45)이 뻗어 있다. 좌우 방향으로 뻗어 있는 각각의 플랜지(44)의 벽(수평벽)의 외면에는 걸어맞춤 돌기(46)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나사 관통 구멍(45)이 개구된 플랜지(44)의 플랜지(44)의 수직벽의 우측면은 평면형 스페이서 유지면(47)으로 형성되어 있고, 스페이서 유지면(47)의 반대측인 플랜지(44)의 수직벽의 좌측면에는 나사 관통 구멍(45)을 둘러싸는 나사 시트(48)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41)은 좌측 단부에 상하 한 쌍의 외벽(49)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41)은 상하 한 쌍의 외벽(49)의 부근에 상하 한 쌍의 흔들림 방지 센서 지지부(55, 56)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도 3 및 도 7). 각각의 흔들림 방지 센서 지지부(55, 56)는 베이스 프레임(41)의 후면측을 향하는 대략 직사각형 오목부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41)에 있어서의 한 쌍의 플랜지(44) 우측 부분은 장착용 오목부(17)에 끼워맞춤되게 해주는 형상을 갖고 있다. 하우징(16)의 칸막이벽(19)으로부터 제1 로드(36)와 제2 로드(37)의 좌단부가 좌측으로 돌출하고 있다(도 2에 제1 로드(36)의 좌단부가 칸막이벽(19)으로부터 좌측으로 돌출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41)이 장착용 오목부(17)에 끼워맞춤되면, 칸막이벽(19)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제1 로드(36)와 제2 로드(37)의 좌단부가 베이스 프레임(41)에 형성된 위치 결정 구멍(도시 생략) 내로 삽입되어, 베이스 프레임(41)의 전후 방향과 상하 방향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41)의 렌즈 유지부(43)가 하우징(16)의 칸막이벽(19)의 연통 구멍(20) 내로 끼워맞춤되고, 제1 렌즈 그룹(G1)의 하나의 요소를 구성하는 제3 렌즈 요소(L3)의 출사면이 제2 렌즈 그룹(G2)의 하나의 요소를 구성하는 제4 렌즈 요소(L4)의 입사면에 대향한다.
하우징(16)의 장착용 오목부(17)의 상하 위치에 한 쌍의 플랜지 지지 시트(50)가 각각 형성되고, 각각의 플랜지 지지 시트(50)에는 나사 구멍(51)이 좌우 방향으로 축선이 뻗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플랜지 지지 시트(50)는 베이스 프레임(41)의 한 쌍의 플랜지(44)의 스페이서 유지면(47)에 대향하고 있고, 이 스페이서 유지면(47)과 플랜지 지지 시트(50) 사이의 거리에 의해 하우징(16)에 대한 베이스 프레임(41)의 좌우 방향 위치가 결정된다. 한 쌍의 플랜지(44)(스페이서 유지면(47))와 한 쌍의 플랜지 지지 시트(50) 사이에 상기 거리 조정용의 한 쌍의 스페이서(52)가 설치되어 유지된다. 각각의 스페이서(52)는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되어 있고, 한쪽 측면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형성된(홈 형성된) 나사 삽입 홈(53)을 구비하고 있다. 상이한 두께를 가진 다양한 종류의 스페이서(52)가 미리 준비되고, 이 다양한 종류의 스페이서(52) 중에서 적절한 두께를 가진 한 쌍의 스페이서(52)가 선택되어 한 쌍의 플랜지(44)의 스페이서 유지면(47)과 한 쌍의 플랜지 지지 시트(50) 사이에 삽입된다. 그 후, 2개의 고정 나사(54)의 나사 축이 한 쌍의 플랜지(44)의 나사 삽입 구멍(45)과 한 쌍의 스페이서(52)의 나사 삽입 홈(53)을 통과하여 한 쌍의 플랜지 지지 시트(50)의 나사 구멍(51) 내로 각각 나사결합되고, 2개의 고정 나사(54)의 헤드가 2개의 나사 시트(48)와 접촉될 때까지 고정 나사(54)가 조여진다. 이것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41)을 하우징(16)에 대해 고정한다. 각각의 스페이서(52)의 두께를 변경시키는 것에 의해(다른 두께를 가진 또 다른 스페이서(52)로 각각의 스페이서(52)를 교체하는 것에 의해), 제2 광축(O2)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렌즈 그룹(G1)과 제2 렌즈 그룹(G2) 사이의 상대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3 렌즈 요소(L3)와 제4 렌즈 요소(L4) 사이의 거리가 변경된다. 소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1 렌즈 그룹(G1)의 광축 방향의 위치의 변화에 의해, 전체 촬상 광학 시스템의 플랜지 백 조정의 효과가 얻어진다.
촬상 유닛(10)은 손흔들림 등의 진동을 원인으로 하는 상면 상에서의 상흔들림을 감소시키는 흔들림 방지(상흔들림 보정/상 안정화)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이 흔들림 방지 시스템은 제1 렌즈 그룹(G1)의 제1 렌즈 요소(L1)를 제1 광축(O1)에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구동시키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흔들림 방지 시스템은 상기 평면 내에서 베이스 프레임(41)에 대해 제1 렌즈 프레임(40)을 구동시킨다. 베이스 프레임(41)은 프리즘 장착용 오목부(42) 주위에 전방으로 돌출하는 2개의 이동 제한 돌기(60)와 전방을 향해 개구된 바닥이 있는 구멍인 3개의 볼 지지 구멍(61)을 구비하고 있다. 3개의 볼 지지 구멍(61)은 제1 광축(O1)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41)은 또한 3개의 스프링 후크 돌기(6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렌즈 프레임(40)은 원통형 렌즈 유지부(63)와, 원통형 렌즈 유지부(63) 주위의 상이한 위치에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3개의 플랜지(64)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플랜지(64)의 후면에는 3개의 볼 접촉면(66)(도 6 및 도 7)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볼 접촉면(66)과 볼 지지 구멍(61)의 바닥면 사이에 3개의 가이드 볼(67)이 각각 유지되어 있다. 볼 접촉면(66)은 제1 광축(O1)에 대략 직교하는 평탄한 평면이다. 가이드 볼(67)은 각각 볼 지지 구멍(61) 내로 헐겁게 끼워맞춤된다. 대응하는 볼 지지 구멍(61)의 중앙 부근에 위치되었을 때, 각각의 가이드 볼(67)은 대응하는 볼 지지 구멍(61)의 내벽과 접촉하지 않는다.
제1 렌즈 프레임(40)은 외주부에 원주 방향으로 위치를 다르게 하여 3개의 스프링 후크 돌기(68)를 구비하고 있고, 각 스프링 후크 돌기(68)와 베이스 프레임(41)에 형성된 후크 돌기(62) 사이에 3개의 인장 스프링(69)이 설치되어 있다. 제1 렌즈 프레임(40)은 인장 스프링(69)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41)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즉, 후방으로 탄성 가압되어), 볼 접촉면(66)이 가이드 볼(67)을 누르도록 만들어, 제1 렌즈 프레임(40)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이 상태에서, 볼 접촉면(66)이 각각 가이드 볼(67)과 점접촉하고 있고, 볼 접촉면(66)을 가이드 볼(67)과 슬라이드 접촉시킴으로써(혹은, 가이드 볼(67)이 볼 지지 구멍(61)의 내벽과 접촉하고 있지 않을 때는 가이드 볼(67)을 구름운동시킴으로써), 제1 렌즈 프레임(40)은 제1 광축(O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41)의 프리즘 장착용 오목부(42), 플랜지(44) 및 외벽(49)은 제1 렌즈 프레임(4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렌즈 프레임(40)은 또한 베이스 프레임(41)의 이동 제한 돌기(60)가 각각 삽입되는 2개의 이동 제한 구멍(70)을 구비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이동 제한 구멍(70)은 제1 광축(O1)에 대략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직사각형, 대략 정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있다. 이후의 설명에서, 제1 광축(O1)에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각 이동 제한 구멍(70)의 내벽을 가로지르는 2개의 대각선 중의 하나의 방향을 X축 방향이라 하고, 다른 하나의 대각선의 방향을 Y축 방향이라 한다. X축 방향은 대략 촬상 유닛(10)의 상하 방향과 일치하고, Y축 방향은 대략 촬상 유닛(10)의 좌우 방향과 일치한다. 제1 렌즈 프레임(40)은 이동 제한 돌기(60)가 이동 제한 구멍(70)의 내벽과 접촉하게 될 때까지의 범위에서 제1 광축(O1)에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베이스 프레임(41)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제1 렌즈 프레임(40)은 전자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된다. 전자 액추에이터는 제1 렌즈 프레임(40)에 지지되는 2개의 영구 자석(구동 장치의 요소)(71, 72)과, 기판 모듈(13)의 회로 기판(73)에 지지되는 2개의 코일(구동 장치의 요소)(74, 75)을 구비하고 있다. 영구 자석(71, 72)은 각각 제1 렌즈 프레임(40)에 구비된 자석 유지부(76, 77)에 고정되어 있다. 자석 유지부(76, 77)의 후면은, 제1 렌즈 프레임(40)과 베이스 프레임(41)이 결합된 상태에서, 베이스 프레임(41)의 흔들림 방지 센서 지지부(55, 56)의 전면과 겹쳐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도 7). 영구 자석(71, 72)의 형상 및 크기는 대략 동일하다. 영구 자석(71, 72) 각각은 좁은 직사각형 판형상을 하고 있다. 영구 자석(71, 72)은 제1 광축(O1), 제2 광축(O2), 및 제3 광축(O3)을 포함하는 가상 평면(P)(도 4, 도 5, 도 7)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구 자석(71)의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고 영구 자석(71)의 폭에 대해 영구 자석(71)의 대략 중앙을 통과하는 자극 경계선(Q1)(도 5)의 양쪽이 N극과 S극으로 자화되는 한편, 영구 자석(72)의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고 영구 자석(72)의 폭에 대해 영구 자석(72)의 대략 중앙을 통과하는 자극 경계선(Q2)(도 5)의 양쪽이 N극과 S극으로 자화된다. 다시 말해, 자극 경계선(Q1)이 영구 자석(71)의 N극과 S극 사이의 경계를 형성하는 한편, 자극 경계선(Q2)이 영구 자석(72)의 N극과 S극 사이의 경계를 형성하고 있다. 영구 자석(71)의 자극 경계선(Q1)과 영구 자석(72)의 자극 경계선(Q2)은 그들 사이의 거리(즉, 가상 평면(P)으로부터의 거리)가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방향으로 점차 증가하도록 서로에 대해 경사져 있다. 가상 평면(P)에 대한 영구 자석(71, 72)의 자극 경계선(Q1, Q2)의 경사각은 각각 대략 ±45도로 설정되어 있다. 즉, 영구 자석(71, 72)의 길이 방향(자극 경계선(Q1, Q2))은 서로에 대해 대략 직교한다. 베이스 프레임(41)을 하우징(16)에 대해 고정시키는 고정 나사(54)가 영구 자석(71, 72)의 부근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전자 액추에이터의 흔들림 방지 구동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각각의 고정 나사(54)는 수지 등의 비금속 또는 비자성(자기 끌림이 없는) 금속으로 되어 있다.
기판 모듈(13)은 정면 형상이 하우징(16)의 수납 오목부(18)와 제1 렌즈 그룹 유닛(12)이 결합된 전면 형상에 대응하는 평판으로 된 회로 기판(73)을 구비하고 있다. 회로 기판(73)은 전후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 내에 위치한다. 프린트 회로가 회로 기판(73)의 후면에 형성되어, 회로 기판(73)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뻗어 있는 플렉시블 배선판(FL)에 접속되어 있다. 회로 기판(73)의 후면의 우단부 부근 위치에는 촬상 센서(IS)가 고정되어 있고, 촬상 센서(IS)에 구비된 복수의 단자(도시 생략)가 프린트 회로에 납땜에 의해 고정 접속되어 있다. 촬상 센서(IS)의 후방을 향한 면이 촬상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촬상면 전체가 커버 글라스로 덮여 있다. 도 6에서는, 촬상 센서(IS)와 커버 글라스가 일체로 도시되어 있다. 회로 기판(73)은 2개의 대각선 코너 부근에 2개의 원형 구멍(80)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회로 기판(73)은 좌단부 부근에 전후 방향으로 회로 기판(73)을 관통해 형성된 촬영 개구(81)를 구비하고 있다.
전자 액추에이터의 요소를 구성하는 코일(74, 75)은 회로 기판(73)의 후면의 좌단부 부근에 고정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74, 75)은 각각 대략 평행한 한 쌍의 길이부와 한 쌍의 길이부의 각각의 단부들을 접속하는 한 쌍의 만곡부(U자)를 포함한 공심 코일이다. 코일(74, 75)은 그 형상 및 크기가 대략 동일하다. 회로 기판(73)은 또한 좌단부에 2개의 센서 지지 암(82, 83)을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센서 지지 암(82, 83)은 처음에는 후방으로 돌출하고 그 후에 회로 기판(73)이 놓이는 평면과 대략 평행하도록 구부러져 있다. 흔들림 방지 센서(84)는 센서 지지 암(82)의 전면에 의해 지지되어, 코일(74)의 후방에 대향하고 있다. 흔들림 방지 센서(85)는 센서 지지 암(83)의 전면에 의해 지지되어, 코일(75)의 후방에 대향하고 있다.
제1 렌즈 그룹 유닛(12)이 장착된 본체 모듈(11)(하우징(16))에 기판 모듈(13)이 장착된다. 기판 모듈(13)이 본체 모듈(11)에 장착될 때, 회로 기판(73)의 원형 구멍(80)을 하우징(16)의 잠금 돌기(28)에 각각 끼워맞춤시키면서, 수납 오목부(18)의 전면 개구를 폐쇄시켜, 회로 기판(73)의 후면의 외주부를 기판 지지면(27)에 접촉시킨다(회로 기판(73)의 전면과 하우징(16)의 전면은 대략 동일 평면에 위치한다). 그 결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센서(IS)(커버 글라스)가 패킹(23)과 접촉하게 되고, 패킹(23)에 의해 촬상 센서(IS)의 촬상면의 주변이 밀봉된다. 제2 프리즘(L12)의 출사면(L12-b)과 촬상 센서(IS) 사이의 광로는 패킹(23)의 관통 구멍(24)에 의해 확보된다. 회로 기판(73)의 촬영 개구(81)를 통해 제1 렌즈 요소(L1)가 전면측으로 노출되고, 촬영 개구(81) 주변의 회로 기판(73)의 판면에 의해 제1 렌즈 프레임(40)이 전방으로 탈락하는 것이 규제된다.
이상의 기판 모듈(13)이 본체 모듈(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코일(74)의 길이 방향은 영구 자석(71)의 자극 경계선(Q1)과 대략 평행이 되고, 코일(75)의 길이 방향이 영구 자석(72)의 자극 경계선(Q2)과 대략 평행이 된다. 코일(74, 75)은 회로 기판(73) 후면 상에 형성된 프린트 회로에 접속된다. 제어 회로(도시 생략)에 의해 코일(74, 75)에 인가되는 전력 제어가 행해진다. 코일(74)에 통전되면, 제1 광축(O1)에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영구 자석(71)의 자극 경계선(Q1)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즉, 코일(74)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동력이 발생된다. 이 구동력의 작용 방향이 도 4 및 도 5에 화살표(F1)로 도시되어 있다. 한편으로, 코일(75)에 통전되면, 제1 광축(O1)에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영구 자석(72)의 자극 경계선(Q2)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즉, 코일(75)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동력이 발생된다. 이 구동력의 작용 방향이 도 4 및 도 5에 화살표(F2)로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2개의 구동력의 각각의 작용 방향(F1, F2) 각각은 X축과 Y축 모두에 대해 대략 45도의 각도로 교차하여, 각각의 코일(74, 75)을 통한 통전 제어에 의해, 제1 렌즈 프레임(40)이 베이스 프레임(41)(및 베이스 프레임(41)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본체 모듈(11) 및 기판 모듈(13))에 대해 제1 광축(O1)에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임의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렌즈 프레임(40)의 이동 범위는 이동 제한 구멍(70)의 내벽과 이동 제한 돌기(60)의 접촉에 의해 규제된다.
2개의 흔들림 방지 센서(84, 85)는 자기 센서(홀 센서)이고, 회로 기판(73) 후면 상에 형성된 전술한 프린트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모듈(13)이 본체 모듈(11)과 제1 렌즈 그룹 유닛(12)에 대해 장착되면, 흔들림 방지 센서(84)가 베이스 프레임(41)의 흔들림 방지 센서 지지부(55) 내로 후방으로부터 진입하여 영구 자석(71)의 후방에 위치되는 동시에, 흔들림 방지 센서(85)가 베이스 프레임(41)의 흔들림 방지 센서 지지부(56) 내로 후방으로부터 진입하여 영구 자석(72)의 후방에 위치된다. 전자 액추에이터에 의해 야기되는 제1 렌즈 프레임(40)의 이동에 따른 영구 자석(71)의 위치 변화가 흔들림 방지 센서(84)의 출력이 변화하게 만드는 동시에, 전자 액추에이터에 의해 야기되는 제1 렌즈 프레임(40)의 이동에 따른 영구 자석(72)의 위치 변화가 흔들림 방지 센서(85)의 출력이 변화하게 만들고, 2개의 흔들림 방지 센서(84, 85)의 출력 변화로부터 제1 렌즈 프레임(40)의 위치가 검출될 수 있다.
이상의 본체 모듈(11), 제1 렌즈 그룹 유닛(12) 및 기판 모듈(13)의 결합체에 대해 전방 커버(14)와 후방 커버(15)를 고정하는 것에 의해 촬상 유닛(10)의 조립이 완성된다. 전방 커버(14)는 프레스 성형 금속판 제품으로, 베이스(90), 상하 한 쌍의 걸어맞춤 러그(91), 상하 한 쌍의 걸어맞춤 러그(92), 및 상하 한 쌍의 측부 걸어맞춤 러그(93)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90)는 전후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 부재이다. 상부 걸어맞춤 러그(91)와 상부 걸어맞춤 러그(92)는 베이스(90)의 상부 에지로부터 후방으로 뻗어 있고, 하부 걸어맞춤 러그(91)와 하부 걸어맞춤 러그(92)는 베이스(90)의 하부 에지로부터 후방으로 뻗어 있다. 한 쌍의 측부 걸어맞춤 러그(93)는 베이스(90)의 우측 에지로부터 후방으로 뻗어 있다. 직사각형 걸어맞춤 구멍(91a), 걸어맞춤 구멍(92a) 및 걸어맞춤 구멍(93a)이 각각의 걸어맞춤 러그(91), 각각의 걸어맞춤 러그(92) 및 각각의 측부 걸어맞춤 러그(93)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90)는 우단부에 각각이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3개의 압력 리프(94)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압력 리프(94)는 자유 상태에서는 베이스(90)의 다른 부분과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각각의 압력 리프(94)의 자유 단부 부근에 후방으로 돌출하는 압력 돌기(94a)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90)는 좌단부 부근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촬영 개구(95)를 구비하고 있다.
후방 커버(15)는 프레스 성형 금속판 제품으로, 베이스(100), 상하 한 쌍의 걸어맞춤 러그(101), 상하 한 쌍의 걸어맞춤 러그(102), 측부 걸어맞춤 러그(103) 및 지지 러그(104)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100)는 전후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 부재이다. 상부 걸어맞춤 러그(101)와 상부 걸어맞춤 러그(102)는 베이스(100)의 상부 에지로부터 전방으로 뻗어 있고, 하부 걸어맞춤 러그(101)와 하부 걸어맞춤 러그(102)는 베이스(100)의 상부 에지로부터 전방으로 뻗어 있다. 측부 걸어맞춤 러그(103)는 베이스(100)의 우측 에지로부터 전방으로 뻗어 있고, 지지 러그(104)는 베이스(100)의 좌측 단부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직사각형 걸어맞춤 구멍(101a)이 각각의 상하 걸어맞춤 러그(101)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직사각형 걸어맞춤 구멍(103a)이 측부 걸어맞춤 러그(103)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러그(104)는 베이스부(105), 한 쌍의 직립벽(106), 및 한 쌍의 센서 지지벽(107)을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부(105)는 베이스(100)에 연속하여 베이스(100)로부터 좌측으로 돌출하고, 한 쌍의 직립벽(106)은 베이스부(105)의 상하 단부로부터 각각 전방으로 돌출하고, 한 쌍의 센서 지지벽(107)은 한 쌍의 직립벽(106)의 전방 에지로부터 각각 서로 멀어지는 반대 방향으로 상하로 뻗어 있다. 각각의 직립벽(106)을 관통하여 걸어맞춤 구멍(106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렌즈 그룹 유닛(12)의 요소를 구성하는 베이스 프레임(41)은 센서 지지 러그(104)의 베이스부(105)와 한 쌍의 직립벽(106)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오목한 부분) 내로 끼워맞춤되도록 후방으로 돌출하는 지지 돌출부(78)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 돌출부(78)는 상하측에 한 쌍의 직립벽(106)의 걸어맞춤 구멍(106a)에 걸어맞춤되는 2개의(상하) 걸어맞춤 돌기(78a)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전방 커버(14)는 직사각형 차광 시트(108)가 전방 커버(14)와 기판 모듈(13)의 전방부 사이에 유지된 상태로 기판 모듈(13)의 전방부에 장착된다. 차광 시트(108) 없이 충분한 광밀성이 확보되는 경우에는, 차광 시트(108)가 생략될 수 있다. 베이스(90)를 회로 기판(73)에 전방으로부터 덮으면서, 상하 걸어맞춤 러그(91)를 하우징(16)의 상하 걸어맞춤 오목부(29A)에 각각 걸어맞춤시키고, 상하 걸어맞춤 러그(91)의 상하 걸어맞춤 구멍(91a)을 하우징(16)의 상하 걸어맞춤 돌기(30)에 각각 걸어맞춤시키고, 상하 측부 걸어맞춤 러그(93)의 걸어맞춤 구멍(93a)을 하우징(16)의 상하 걸어맞춤 돌기(32)에 각각 걸어맞춤시킴으로써, 전방 커버(14)가 하우징(16)에 고정된다. 또한, 상하 걸어맞춤 러그(92)를 베이스 프레임(41)의 상부 플랜지(44)의 상면과 하부 플랜지(44)의 하면 상에 슬라이드시키면서, 상하 걸어맞춤 러그(93)의 걸어맞춤 구멍(93a)을 베이스 프레임(41)의 상하 걸어맞춤 돌기(46)에 걸어맞춤시킴으로써, 전방 커버(14)가 베이스 프레임(41)에 고정된다. 전방 커버(14)가 하우징(16)에 고정되었을 때, 각 압력 리프(94)의 압력 돌기(94a)가 회로 기판(73)의 전면에 접촉하게 되고, 그 때 약간 전방으로 탄성 변형된 압력 리프(94)로부터 회로 기판(73)의 전면에 후방 가압력(탄성 가압력)이 작용하여, 하우징(16)(본체 모듈(11))에 대해 회로 기판(73)(기판 모듈(13))이 전후 방향의 소정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 결정되어 유지된다. 전방 커버(14)에 형성된 촬영 개구(95)는 회로 기판(73)의 촬영 개구(81)에 대응하는 위치 및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전방 커버(14)가 기판 모듈(13)의 전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촬영 개구(95)가 촬영 개구(81)와 연통되어, 촬영 개구(81, 95)를 통해 제1 렌즈 요소(L1)가 촬상 유닛(10)의 전면측으로 노출된다.
본체 모듈(11)과 제1 렌즈 그룹 유닛(12)의 후방측에 후방 커버(15)가 장착된다. 베이스(100)를 하우징(16)에 후방으로부터 덮으면서, 각각의 상하 걸어맞춤 러그(101)와 각각의 상하 걸어맞춤 러그(102)를 하우징(16)의 상하 걸어맞춤 오목부(29B)와 상하 걸어맞춤 오목부(29C)에 각각 걸어맞춤시키고, 각각의 걸어맞춤 러그(101)의 걸어맞춤 구멍(101a)을 하우징(16)의 대응하는 상하 걸어맞춤 돌기(31)에 걸어맞춤시키고, 후방 커버(15)의 측부 걸어맞춤 러그(103)의 걸어맞춤 구멍(103a)을 하우징(16)의 우측면에 형성된 걸어맞춤 돌기(33)(도 6)에 걸어맞춤시킴으로써, 후방 커버(15)가 하우징(16)에 고정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커버(15)의 베이스(100)를 베이스 프레임(41)에 후방으로부터 덮으면서, 후방 커버(15)의 지지 러그(104)의 베이스부(105)와 한 쌍의 직립벽(106)에 의해 형성된 오목부 내에 베이스 프레임(41)의 지지 돌출부(78)을 끼워맞춤시키고, 지지 돌출부(78)의 상하 걸어맞춤 돌기(78a)를 상하 걸어맞춤 구멍(106a)에 각각 걸어맞춤시킴으로써, 후방 커버(15)가 베이스 프레임(41)에 고정된다. 그 결과, 한 쌍의 센서 지지벽(107)이 회로 기판(73)의 센서 지지 암(82, 83)의 후면에 대향하여, 센서 지지 암(82, 83)이 후방으로 변형되는 것을 규제한다. 상하 센서 지지벽(107)은 탄성 변형되어, 센서 지지 암(82, 83)을 전방으로 가볍게 가압하여, 흔들림 방지 센서(84, 85)를 흔들림 방지 센서 지지부(55, 56) 내에 각각 유지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각각의 흔들림 방지 센서(84, 85)가 소정의 위치에 정확하게 유지된다.
이상과 같이 완전히 조립된 촬상 유닛(10)이 촬상 유닛(10)의 전방에 위치한 피사체를 향하면, 피사체에 의해 반사된 빛(촬영 물체로부터 나오는 빛)은 제1 렌즈 요소(L1)를 투과한 후에 입사면(L11-a)을 통해 제1 프리즘(L11) 내로 진입하고, 제1 프리즘(L11)의 반사면(L11-c)에 의해 90도의 각도로 반사되어 출사면(L11-b) 측으로 진행한다. 그런 다음, 제1 프리즘(L11)의 출사면(L11-b)을 나온 반사광은 렌즈 요소(L2 내지 L6)를 투과한 후에 입사면(L12-a)으로부터 제2 프리즘(L12) 내부로 진입하고, 제2 프리즘(L12)의 반사면(L12-c)에 의해 90도의 각도로 반사되어 출사면(L12-b) 측으로 진행한다. 그런 다음, 출사면(L12-b)을 나온 반사광은 촬상 센서(IS)의 촬상면에 의해 촬상(수광)된다.
촬상 광학 시스템의 주밍 동작은 제1 모터(M1)와 제2 모터(M2)를 이용하여 제2 렌즈 그룹(G2)(렌즈 요소(L4, L5)) 및 제3 렌즈 그룹(G3)(렌즈 요소(L6))을 제1 로드(36) 및 제2 로드(37)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실행된다. 촬상 광학 시스템의 포커싱 동작은 제2 모터(M2)를 이용하여 제3 렌즈 그룹(G3)(렌즈 요소(L6))을 제1 로드(36) 및 제2 로드(37)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실행된다. 도 8은 와이드단, 중간 초점 거리, 텔레단에 설정된 촬상 광학 시스템의 여러 가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와이드단으로부터 텔레단으로 초점 거리를 변경시키도록 주밍 동작이 실행될 때, 제1 렌즈 그룹(G1), 제2 프리즘(L12) 및 촬상 센서(IS)의 위치는 변화하지 않고, 제1 렌즈 그룹(G1)과 제2 렌즈 그룹(G2) 사이의 거리(제2 광축(O2)을 따른 방향의 거리)가 점차 감소한다. 제2 렌즈 그룹(G2)과 제3 렌즈 그룹(G3) 사이의 거리(제2 광축(O2)을 따른 방향의 거리)는 와이드단으로부터 중간 초점 거리까지는 증가하고, 중간 초점 거리에서 텔레단까지는 감소한다.
촬상 유닛(10)에서는, 제1 렌즈 그룹(G1) 중의 제1 프리즘(L11)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 렌즈 요소(L1)를 이용하여 흔들림 방지(상흔들림 보정/상 안정화) 동작이 실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흔들림 방지 시스템은 제1 렌즈 프레임(40)이 하우징(16)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베이스 프레임(41)에 대해 제1 광축(O1)에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도록 제1 렌즈 프레임(40)을 지지하고, 전자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제1 렌즈 프레임(40)을 구동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 프레임(40)은 촬상 유닛(10)의 좌단부 부근의 전면측에 위치되어 있다. 제1 렌즈 프레임(40)의 주위에 하우징(16)의 칸막이벽(19)과 플랜지 지지 시트(50)가 배치되어 있지만, 흔들림 방지 시스템에 의해 한정된 가동 범위 내에서 제1 렌즈 프레임(40)이 이동할 때에도, 칸막이벽(19)과 플랜지 지지 시트(50)가 제1 렌즈 프레임(40)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우징(16)과 제1 렌즈 프레임(40) 사이에 소정의 스페이스(클리어런스)를 발생시키도록 하우징(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 프레임(40)의 렌즈 유지부(63)가 회로 기판(73)의 촬영 개구(81)와 전방 커버(14)의 촬영 개구(95) 내에 삽입되는 상태로, 제1 렌즈 요소(L1)의 입사면이 전방 커버(14)의 베이스(90)의 전면과 동일면으로 되고; 각각의 촬영 개구(81, 95)의 크기도, 흔들림 방지 시스템에 의해 한정된 가동 범위 내에서 제1 렌즈 프레임(40)이 이동할 때에도, 제1 렌즈 프레임(40)과 간섭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렌즈 프레임(40)은 촬상 유닛(10)의 임의의 다른 요소에 의해 간섭받는 일 없이 흔들림 방지 동작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흔들림 방지 동작 시의 제1 렌즈 요소(L1)의 이동 방향은 제1 광축(O1)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제1 렌즈 요소(L1)를 유지하는 제1 렌즈 프레임(40)은 촬상 유닛(10)의 두께 방향에 대응하는 전후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41)에 대해 제1 렌즈 프레임(40)을 이동시키기 위한 지지 기구(이동 제한 돌기(60), 볼 지지 구멍(61), 볼 접촉면(66), 가이드 볼(67), 이동 제한 구멍(70)으로 이루어짐)와 구동 장치(영구 자석(71, 72) 및 코일(74, 75)로 이루어짐)는 제1 광축(O1)을 중심으로 하여 제1 렌즈 요소(L1)를 둘러싸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 지지 기구와 구동 장치를 위한 설치 스페이스는 촬상 유닛(10)의 전후 방향에 대해 작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렌즈 요소(L1)를 흔들림 방지 광학 요소로서 선택하는 것에 의해, 촬상 유닛(10)에 흔들림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면서 촬상 유닛(10)을 박형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예컨대, 본 실시형태와 다르게, 상흔들림을 상쇄시키기 위해 제2 렌즈 그룹(G2)이나 제3 렌즈 그룹(G3)을 제2 광축(O2)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흔들림 방지 시스템을 상정하는 경우, 제2 렌즈 그룹 프레임(34)이나 제3 렌즈 그룹 프레임(35)을 위한 공간을 허용하고, 제2 렌즈 그룹 프레임(34)이나 제3 렌즈 그룹 프레임(35)용 구동 장치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전술한 실시형태보다 더 큰 하우징(16) 내의 흔들림 방지 시스템을 위한 전후 방향의 설치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고, 따라서 촬상 유닛(10)의 두께를 증가시키게 된다.
제1 렌즈 프레임(40)이 지지하는 제1 렌즈 요소(L1)는 촬상 센서(IS)와 같은 전기 부품과 달리, 회로 기판(73)에 접속될 필요가 없으므로, 제1 렌즈 프레임(40)을 위한 지지 구조가 플렉시블 배선판의 배정에 의해 복잡화되거나, 플렉시블 배선판이 흔들림 방지 동작 시에 제1 렌즈 요소(L1)에 저항을 가하거나 하지 않는다.
예컨대, 본 실시형태와 다르게, 상흔들림을 상쇄하기 위해 촬상 센서(IS)를 제3 광축(O3)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흔들림 방지 시스템을 상정하는 경우, 촬상 센서(IS)와 회로 기판(73)은 촬상 센서(IS)가 회로 기판(73)에 의해 지지된 후에, 플렉시블 배선판을 통해 서로 접속될 것이다. 이 경우, 촬상 센서(IS)의 이동에 대해 저항을 주지 않기 위해 플렉시블 배선판이 충분한 길이를 가질 필요가 있지만, 촬상 센서(IS)의 주위에는 많은 스페이스가 존재하지 않아, 플렉시블 배선판이 길어진다면, 플렉시블 배선판이 다른 부재들을 간섭하게 될 것이다. 이런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촬상 센서(IS)와 회로 기판(73)이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간되면, 이 거리가 촬상 유닛(10)의 박형화와 상충하게 된다.
흔들림 방지 광학 요소로서 제1 렌즈 요소(L1)에 상당하는 전방 렌즈 요소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상술한 문제점을 회피하고, 촬상 유닛(10)의 박형화에 기여하는 간단한 흔들림 방지 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 흔들림 방지 제어 시에 제1 렌즈 그룹(G1) 전체가 아니라 제1 프리즘(L11)의 피사체측에 위치하는 전방 렌즈 요소만이 구동되기 때문에, 흔들림 방지 시스템의 가동부가 컴팩트해질 수 있고, 구동 부하가 작아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렌즈 요소(흔들림 방지 광학 요소)(L1)만이 제1 프리즘(L11)의 피사체측에 제공되고 있지만, 흔들림 방지 광학 요소는 하나의 렌즈 요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은 흔들림 방지 제어를 실행하기 위해 제1 프리즘(L11)의 피사체측에 제공된 복수의 렌즈 요소(흔들림 방지 광학 요소들)가 구동되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 렌즈 요소(L1)만이 전방 렌즈 요소로서 예시되고 있는 구성을 설명하고 있지만, "제1 렌즈 요소(L1)"를 "전방 렌즈 요소들"로 교체하는 것에 의해 흔들림 방지 제어를 실행하기 위해 복수의 렌즈 요소들이 구동(이동)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일반적인 흔들림 방지 시스템에서는, 렌즈 그룹 중의 하나의 렌즈 요소(또는 일부)만이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동되면, 촬상 광학 시스템의 수차가 악화되어, 촬상 광학 시스템을 비실용적인 것으로 만들 수 있다. 이것에 관하여, 본 실시형태의 제1 렌즈 그룹(G1)에서는, 흔들림 방지 동작을 위해 사용되는 전방 렌즈 요소(제1 렌즈 요소(L1))와 제2 렌즈 요소(L2)(전방 렌즈 요소와 제2 렌즈 요소는 굴절력을 가짐) 사이에, 입사 광속의 반사만을 행하는 제1 프리즘(L11)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 렌즈 요소(제1 렌즈 요소(L1))와 제2 렌즈 요소(L2) 사이의 거리가 커져, 전방 렌즈 요소(제1 렌즈 요소(L1))만이 단독으로 이동되어 흔들림 방지 제어를 실행하더라도 수차 열화가 적다. 따라서, 비록 수차는 줌 렌즈 시스템의 일부로서 전방 렌즈 요소(제1 렌즈 요소(L1))로부터 제3 렌즈 요소(L3)에 이르는 제1 렌즈 그룹(G1) 전체에 걸쳐 제어되지만, 흔들림 방지에 관해서는, 제1 프리즘(L11)을 사이에 개재시킨 상태로 광축 방향으로 서로 이간되어 있는 전방 렌즈 요소(제1 렌즈 요소(L1))와 제2 렌즈 요소(L2)가 다른 렌즈 그룹처럼 취급되어도 만족스런 광학 성능이 확보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프리즘(L11)의 피사체측에 위치하는 전방 렌즈 요소만이 흔들림 방지 동작을 위해 사용되는 광학 요소로서 설정되어 있다.
주밍 동작이나 배럴 침동 동작이 실행될 때 광축 방향의 길이(상면과 피사체측에 가장 가까운 렌즈 요소 사이의 거리)가 변화하는 텔레스코픽 렌즈 배럴과 달리, 촬상 유닛(10)에서는 전방 렌즈 요소(제1 렌즈 요소(L1))의 입사면으로부터 상면(촬상 센서(IS)의 촬상면)까지의 광로 길이가 항상 일정하다. 따라서, 촬상 유닛(10)을 모바일 전자 기기에 내장하고 전방 렌즈 요소의 전방부를 보호 글라스 등으로 덮는 것이 가능하고, 촬상 유닛(10)의 광학 시스템 중에 피사체측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전방 렌즈 요소(제1 렌즈 요소(L1))가 상흔들림을 상쇄하도록 구동되더라도 어떠한 실용상의 문제점도 발생하지 않는다.
흔들림 방지 광학 요소로서 전방 렌즈 요소가 사용되는 광학 구성에 있어서는, 아래에 설명하는 광학 조건이 충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프리즘(L11)의 전방(피사체측)에 제1 렌즈 요소(L1)만이 제공되는 구성에 기초하여 광학 조건을 아래에 설명하지만, 그 광학 조건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프리즘(L11)의 전방(피사체측)에 복수의 렌즈 요소(흔들림 방지 광학 요소들/제1 렌즈 요소들(L1))이 제공되는 구성에도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먼저, 제1 렌즈 요소(L1)가 제1 광축(O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1 렌즈 요소(L1)와 제1 프리즘(L11)(또는 제1 렌즈 프레임(40)과 베이스 프레임(41))이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렌즈 요소(L1)와 제1 프리즘(L11) 사이에 충분한 거리(간격량)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제1 렌즈 요소(L1)와 제1 프리즘(L11) 사이의 거리가 과도하게 크게 되면, 촬상 유닛(10)의 두께 방향(전후 방향)의 치수가 커진다. 따라서, 제1 렌즈 요소(L1)와 제1 프리즘(L11) 사이의 거리와 촬상 유닛(10)의 크기 사이의 균형을 고려하면서, 제1 렌즈 요소(L1)와 제1 프리즘(L11)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 요소(L1)는 피사체측에 대향하는 입사면(L1-a)과 상면측에 배치되는 출사면을 구성하는 오목면(L1-b)을 구비하고 있다. 오목면(L1-b)은 제1 렌즈 요소(L1)의 상면측에 배치되는 유효 광학면이며, 제1 렌즈 요소(L1)는 오목면(L1-b) 주변에 림(L1-c)을 구비하고 있다. 림(L1-c)의 후단면(L1-d)은 제1 렌즈 요소(L1)의 제1 프리즘(L11)의 입사면(L11-a)에 가장 가까운 부분이다. 제1 렌즈 요소(L1)의 후단면(L1-d)은 제1 광축(O1)에 대략 직교하는 평면 내에 위치하는 평탄면이다. 다음의 조건 (1)이 충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D/S1<10 ... (1),
여기서, D는 후단면(L1-d)과 입사면(L11-a) 사이의 제1 광축(O1)을 따른 방향의 거리를 지시하며(도 10 참조), S1은 흔들림 보정각이 0.5도일 때의 제1 렌즈 요소(L1)의 이동량을 지시한다.
흔들림 보정각이 0.5도일 때의 제1 렌즈 요소(L1)의 이동량은 제1 렌즈 요소(L1)의 초점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제1 렌즈 요소(L1)의 초점 거리는 촬상 광학 시스템의 전체 구조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제1 렌즈 요소(L1)의 초점 거리는 제1 렌즈 요소(L1)의 초점 거리와 촬상 광학 시스템을 수납하는 촬상 유닛(10)의 전체 크기 사이의 균형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결정되게 된다. 따라서, 제1 렌즈 요소(L1)와 제1 프리즘(L11) 사이의 거리를 제1 렌즈 요소(L1)의 이동량에 대해 조건 (1)을 충족시키는 값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제1 렌즈 요소(L1)와 제1 프리즘(L11) 사이의 거리와 촬상 유닛(10)의 전체 크기 사이의 균형을 고려하면서 필요한 제1 렌즈 요소(L1)와 제1 프리즘(L11) 사이의 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조건 (1)에 있어서의 D/S1 값이 상한(=10) 이상이면, 제1 렌즈 요소(L1)와 제1 프리즘(L11) 사이의 거리가 과도하게 큰 것으로 되어, 촬상 유닛(10)의 박형화(전후 방향의 치수의 감소)에 장애가 된다. 조건 (1)에 있어서의 D/S1 값이 하한(=1) 이하이면, 제1 렌즈 요소(L1)와 제1 프리즘(L11) 사이의 거리가 과도하게 작은 것으로 되어, 흔들림 방지 동작 시에 제1 렌즈 요소(L1)와 제1 프리즘(L11) 즉 제1 렌즈 프레임(40)과 베이스 프레임(41)이 서로 간섭하게 되는 것을 야기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렌즈 요소(L1)의 후단부가 제1 광축(O1)에 대략 직교하는 평탄면인 후단면(L1-a)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조건 (1)은 제1 렌즈 요소(L1)의 후단부가 평탄면을 가지지 않는 구조에서도 유효할 수 있다.
복수의 전방 렌즈 요소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조건 (1)에 있어서의 "D"는 상측에 가장 가까이(제1 프리즘(L11)에 가장 가까이) 제공되는 전방 렌즈 요소의 후단부로부터 제1 프리즘(L11)의 입사면(L11-a)까지의 거리가 된다.
아래의 표 1은 조건 (1)을 충족하는 제1 내지 제4 실시형태의 수치값을 보여주고 있다.
S1[mm] D[mm] D/S1
실시형태 1 0.062 0.150 2.419
실시형태 2 0.075 0.236 3.147
실시형태 3 0.053 0.238 4.491
실시형태 4 0.091 0.281 3.088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조건 (1)과 관련하여, 1<D/S1<6의 조건이 충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흔들림 보정을 위한 제1 렌즈 요소(L1)의 최대 이동량이 촬상 유닛(10)의 광학 성능과 크기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다음의 조건 (2)가 충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S/Y|<0.2 ... (2),
여기서, S는 제1 광축(O1)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른 제1 렌즈 요소(L1)의 최대 이동량(2개의 이동 제한 돌기(60)와 2개의 이동 제한 구멍(70)에 의해 기계적으로 제한되는 제1 렌즈 프레임(40)의 최대 이동량)을 지시하며, Y는 촬상 센서(IS) 상에서의 대각선 방향 상 높이를 지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각선 방향 상 높이(Y)는 촬상 센서(IS)의 유효 수광 영역(IS-a)의 대각선의 절반의 길이를 나타낸다.
조건 (2)가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흔들림 방지 동작 시의 제1 렌즈 요소(L1)의 이동량이 과도하게 큰 것으로 되고, 결과적으로 광학 성능의 열화 및 이미지 필드의 에지에서의 휘도 감소가 허용될 수 있는 범위를 초과하게 된다. 또한, 조건 (2)가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렌즈 요소(L1)도 기계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1 렌즈 요소(L1)의 이동을 위한 큰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여, 촬상 유닛(10)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조건 (2)가 충족되는 경우에는, 광학 성능이 쉽게 열화되지 않으면서 촬상 유닛(10)이 대형화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아래의 표 2는 조건 (2)를 충족하는 제1 내지 제4 실시형태의 수치값을 보여주고 있다.
S[mm] Y[mm] |S/Y|
실시형태1 0.370 2.856 0.13
실시형태2 0.451 3.600 0.13
실시형태3 0.320 2.856 0.11
실시형태4 0.546 2.856 0.19
본 발명은 가동 렌즈 그룹(제2 렌즈 그룹(G2)과 제3 렌즈 그룹(G3))과 촬상 센서(IS) 사이에 프리즘과 같은 반사 소자를 구비하지 않는 도 9에 도시된 촬상 유닛(210)과 같은 타입의 촬상 광학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촬상 유닛(210)에 있어서는, 앞서의 실시형태의 촬상 유닛(10)에서 프리즘 장착용 오목부(25)가 형성되었던 위치에 상당하는 위치에 센서 지지 공간(225)이 형성되고, 이 센서 지지 공간(225) 내에 촬상 센서(IS)의 촬상면이 좌측을 향하도록 하여 촬상 센서(IS)가 설치되어 있다. 촬상 센서(IS)는 제2 광축(O2) 상에 위치하고 있고, 제3 렌즈 그룹(G3)(제6 렌즈 요소(L6))으로부터 출사된 광속이 반사되지 않고 촬상 센서(IS)의 촬상면에 입사된다. 이와 같은 L자형 광로를 구비하는 촬상 유닛(210)에 있어서도, 제1 렌즈 요소(L1)를 흔들림 방지 광학 요소로 기능하게 함으로써, 전술한 효과가 얻어진다. 특히 촬상 유닛(210)에 있어서는, 촬상 센서(IS)를 흔들림 방지 광학 요소로서 기능하게 하면, 제2 렌즈 그룹(G2)이나 제3 렌즈 그룹(G3)을 흔들림 방지 광학 요소로서 기능하게 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우징(16)의 전후 방향의 치수가 증가할 가능성이 크므로, 촬상 유닛(210)의 박형화(전후 방향의 크기의 감소)를 위해서는 본 발명이 적합하다.
도 12 내지 도 14는 또 다른 실시형태의 촬상 유닛을 보여주고 있다. 제1 렌즈 프레임(40)이 촬상 유닛(310) 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도록, 베이스 프레임(40)이 제1 렌즈 프레임(40)을 지지하게 하는 메커니즘이 각각의 앞서의 실시형태의 촬상 유닛에서 제공되는 메커니즘과 다르다. 각각의 전술한 촬상 유닛(10, 210)에서는, 제1 렌즈 프레임(40)과 베이스 프레임(41) 사이에 3개의 가이드 볼(67)이 개재되어 있지만, 촬상 유닛(310)에서는, 제1 렌즈 프레임(40)과 베이스 프레임(41) 사이에 슬라이딩 시트(86)가 개재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 프레임(40)의 3개의 플랜지(64) 각각에 슬라이딩 돌기(87)가 후방으로 즉 베이스 프레임(4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13과 도 14에는 단지 하나의 슬라이딩 돌기(87)만이 나타나 있다는 점에 유의할 것). 3개의 슬라이딩 돌기(87)의 후단부는 제1 광축(O1)에 직교하는 평면 내에 있는 표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41)은 제1 렌즈 프레임(40)의 플랜지(64)에 각각 대향하는 3개의 위치에, 제1 광축(O1)에 대향하는 평면 내에 있는 3개의 지지면(88)을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프레임(41)은 3개의 지지면(88) 중의 프리즘 장착용 오목부(42)의 수직방향 양 측부에 위치하는 2개의 지지면(88)에, 2개의 위치 결정 돌기(89)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시트(86)는 3개의 접촉부(86a)와 3개의 접촉부(86a)를 연결하는 프레임형 연결부(86b)를 구비하면서 전방에서 보았을 때 대략 U자형인 박판 부재이다. 슬라이딩 시트(86)는 낮은 표면 마찰 저항을 갖는 재료(예컨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로 되어 있다. 슬라이딩 시트(86)는 베이스 프레임(41)의 위치 결정 돌기(89)가 걸어맞춤되는 2개의 위치 결정 구멍(86c)을 구비하고 있다. 걸어맞춤 돌기(89)와 위치 결정 구멍(86c) 간의 걸어맞춤에 의해 슬라이딩 시트(86)가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각각의 접촉부(86a)는 제1 렌즈 프레임(40)의 대응하는 플랜지(64)의 슬라이딩 돌기(87)와 베이스 프레임(41)의 대응하는 지지면(88)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인장 스프링(69)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제1 렌즈 프레임(40)과 베이스 프레임(41)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촬상 유닛(310)에서는, 제1 렌즈 프레임(40)과 베이스 프레임(41) 사이에 낮은 슬라이드 저항의 슬라이딩 시트(86)를 개재시키는 것에 의해, 3개의 가이드 볼(67)을 사용하는 전술한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렌즈 프레임(40)은 상흔들림을 감소시키도록 베이스 프레임(41)에 대해 부드럽게 구동될 수 있다. 슬라이딩 시트(86)가 3개의 접촉부(86a)와 이들 3개의 접촉부(86a)를 연결하는 프레임형 연결부(86b)를 구비하는 단일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요소들의 수가 작아, 슬라이딩 시트(86)는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시트(86)는 박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는 카메라의 박형화(카메라의 전후 방향 치수의 감소)를 용이하게 해준다. 슬라이딩 시트(86)가 3개의 슬라이딩 돌기(87)와 3개의 지지면(88) 사이에 개재시키는 이 구조는 또한 제1 렌즈 프레임(40)이나 베이스 프레임(41)이 복잡한 형상을 가질 필요가 없다는 장점도 가진다.
상기 도시의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도시의 실시형태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도시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 프레임(41)이 하우징(16)과 별개의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지만, 베이스 프레임(41)과 하우징(16)을 결합시킨 것에 상당하는 단일의 지지 부재를 제공하고, 이 단일의 지지 부재가 제1 렌즈 요소(L1) 이외의 모든 광학 요소들을 지지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렌즈 그룹(G1)으로부터 상면측을 향해 배열되어 있고, 제2 프리즘을 구비하지 않는 변형된 실시형태의 광학 시스템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또 다른 변형된 실시형태의 광학 시스템도 적용 가능하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 렌즈 그룹(G2)과 제3 렌즈 그룹(G3)이 제2 광축(O2)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렌즈 그룹이지만, 본 발명은 제2 광축(O2) 상에 2개보다 많은 가동 렌즈 그룹을 구비하는 또 다른 타입의 촬상 광학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 그룹(G1)에 있어, 제1 프리즘(L11)의 전방(물체측)이나 후방(상면측)에 설치되는 렌즈의 수를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형태의 제1 렌즈 요소(L1)가 제1 프리즘(L11)의 전방에 배치되는 2개 이상의 전방 렌즈 요소로 교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프리즘(L11)의 전방의 전방 렌즈 요소들 사이의 거리가 작고, 따라서, 수차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프리즘(L11) 전방에 배열되는 복수의 전방 렌즈 요소 모두를 제1 광축(O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흔들림 방지 제어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복수의 전방 렌즈 요소들 중의 하나의 렌즈 요소가 수차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로 극도로 약한 굴절력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흔들림 방지 제어 시에 그와 같은 약한 굴절력의 렌즈 요소는 이동되지 않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전방 렌즈 요소를 유리 및 플라스틱 렌즈 재료로 형성된 하이브리드 렌즈나 접합 렌즈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프리즘(L11)의 후방에 제2 렌즈 요소(L2)와 제3 렌즈 요소(L3)가 배치되어 있지만, 제1 렌즈 그룹(G1)에 있어서의 제1 프리즘(L11)의 후방에 배치되는 렌즈의 수는 1개 또는 3개 이상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프리즘(L11)의 후방에 어떠한 렌즈 요소도 구비되지 않도록 제1 렌즈 그룹(G1)을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렌즈 요소(L1)의 입사면으로부터 촬상 유닛(10, 210, 310)의 상면까지의 광로 길이가 항상 일정하다. 이 타입의 촬상 광학 시스템에서는, 피사체측에 가장 가까운 제1 렌즈 요소(L1)는 일반적으로 부 렌즈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에서의 흔들림 방지 제어용의 렌즈(전방 렌즈 요소)는 정 렌즈가 될 수도 있다. 전방 렌즈 요소의 굴절력이 부이든지 또는 정이든지에 상관없이, 굴절력을 보유한 렌즈이라면 전방 렌즈로서 적용이 가능하다. 전방 렌즈 요소의 상면측의 면이 볼록면인 경우에는, 반사 소자(제1 프리즘(L11)의 입사면(L11-a))로부터 전방 렌즈 요소 중의 반사 소자에서 가장 가까운 림의 후단부 또는 볼록면의 정점까지의 거리가 조건 (1)의 "D"로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광축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른 제1 렌즈 요소(L1)의 이동량(조건 (2)에 있어서의 "S"에 해당)이 이동 제한 돌기(60)와 이동 제한 구멍(70)에 의해 결정되지만, 조건 (2)에 있어서의 "S"를 기계적으로 결정하는 메커니즘은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에 한하지 않고, 변형의 메커니즘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의 촬상 유닛(10, 210, 310)의 촬상 광학 시스템은 제2 렌즈 그룹(G2)과 제3 렌즈 그룹(G3)을 제2 광축(O2)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주밍 동작을 행하는 줌 렌즈 시스템(가변 굴절력 광학 시스템)이지만, 본 발명은 굴절력 변경 성능을 갖지 않는 촬상 광학 시스템을 편입한 촬상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컨대, 제2 렌즈 그룹(G2)과 제3 렌즈 그룹(G3)이 주밍 동작을 위해 이동하지 않고, 제2 렌즈 그룹(G2) 또는 제3 렌즈 그룹(G3)이 포커싱 동작을 위해서만 이동하도록 촬상 유닛(10)을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전술한 실시형태의 촬상 유닛의 촬상 광학 시스템은 광로를 굴곡시키는 반사 소자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리즘을 이용하고 있지만, 프리즘은 미러와 같은 다른 타입의 반사 소자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한, 반사 소자에 의한 광축의 굴곡 각도(반사각)는 90도 이외의 각도일 수도 있다.
각각의 전술한 실시형태의 촬상 유닛에서는, 제1 렌즈 프레임(40)을 베이스 프레임(41)에 결합시키기 위해 3개의 인장 스프링(69)을 사용하고 있지만, 인장 스프링(69)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전술한 실시형태의 촬상 유닛은 2개의 인장 스프링(69)만을 사용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 프레임(40)이 베이스 프레임(41)으로부터 전방으로 탈락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되어 있고, 제1 렌즈 프레임(40)과 전방 커버(14) 사이에 충분한 간격이 확보될 수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전술한 실시형태의 촬상 유닛은 인장 스프링(69)과 같은 어떠한 탄성 가압 수단도 갖지 않도록 변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자명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고, 이러한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있다. 본 명세서에 포함된 모든 사항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1)

  1.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의 촬상 광학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하고, 광축 방향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제공되는 전방 렌즈 그룹으로서,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적어도 1개의 전방 렌즈 요소와, 상기 전방 렌즈 요소로부터 출사된 광속을 반사시키는 반사 소자를 구비하고 있는 전방 렌즈 그룹;
    상기 촬상 광학 시스템의 또 다른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전방 렌즈 그룹보다 상면측에 더 가깝게 제공되어, 광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가동 렌즈 그룹;
    적어도 상기 전방 렌즈 그룹의 상기 반사 소자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
    상기 전방 렌즈 그룹의 상기 전방 렌즈 요소를 지지하고, 상기 전방 렌즈 요소의 광축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가동 프레임; 및
    상기 상면 상에서의 상흔들림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촬상 광학 시스템에 가해지는 흔들림에 따라 상기 평면 내에서 상기 가동 프레임을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렌즈 그룹은 상기 반사 소자에 의해 반사된 광속이 입사되는 적어도 1개의 후방 렌즈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렌즈 그룹의 상기 전방 렌즈 요소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광학 시스템은 상기 가동 렌즈 그룹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초점 거리를 변화시키는 줌 렌즈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렌즈 그룹은 부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가동 렌즈 그룹은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 렌즈 그룹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 렌즈 그룹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렌즈 그룹의 상기 반사 소자는 프리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다음의 조건 (1)이 충족되고,
    1<D/S1<10 ... (1),
    여기서, D는 상기 전방 렌즈 요소와 상기 반사 소자 사이의 광축 방향의 거리를 지시하며,
    S1은 흔들림 보정각이 0.5도일 때의 상기 전방 렌즈 요소의 이동량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가동 렌즈 그룹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방식으로 상기 가동 렌즈 그룹을 지지하는 박스 형상을 가진 프레임 보디; 및
    상기 반사 소자를 고정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프레임 보디에 고정되고, 상기 가동 프레임이 상기 전방 렌즈 요소의 광축에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방식으로 상기 가동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렌즈 그룹과 상기 상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 렌즈 그룹으로부터 출사된 광속을 상기 상면을 향해 반사시키는 제2 반사 소자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위에 위치하는 촬상 센서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다음의 조건 (2)가 충족되고,
    |S/Y|<0.2 ... (2),
    여기서, S는 상기 전방 렌즈 요소의 광축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른 최대 이동량을 지시하며,
    Y는 상기 촬상 센서의 유효 수광 영역의 대각선 방향 상 높이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KR1020130043470A 2012-04-20 2013-04-19 촬상 장치 KR201301188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96933 2012-04-20
JPJP-P-2012-096933 2012-04-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817A true KR20130118817A (ko) 2013-10-30

Family

ID=48190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3470A KR20130118817A (ko) 2012-04-20 2013-04-19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204049B2 (ko)
EP (1) EP2653901A1 (ko)
JP (1) JP2013238848A (ko)
KR (1) KR20130118817A (ko)
CN (2) CN103376613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2381A (ko) * 2012-06-29 2014-01-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80012150A (ko) * 2016-07-26 2018-02-05 자화전자(주) 줌렌즈용 자동초점 조절장치
KR20180097228A (ko) * 2017-02-23 2018-08-31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80135299A (ko) * 2017-06-12 2018-12-20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90032905A (ko) * 2017-09-20 2019-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KR20190114588A (ko) * 2018-03-30 2019-10-10 삼성전기주식회사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00058365A (ko) * 2018-03-30 2020-05-27 삼성전기주식회사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85495B2 (en) 2010-08-09 2016-11-01 Qualcomm Incorporated Autofocus for stereo images
US9438889B2 (en) 2011-09-21 2016-09-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methods of manufacturing stereoscopic image sensors
JP5985353B2 (ja) * 2011-11-08 2016-09-06 Hoya株式会社 撮像ユニット
JP2013114167A (ja) * 2011-11-30 2013-06-10 Jvc Kenwood Corp 撮像装置
JP2013238848A (ja) * 2012-04-20 2013-11-28 Hoya Corp 撮像装置
US9398264B2 (en) 2012-10-19 2016-07-19 Qualcomm Incorporated Multi-camera system using folded optics
CN116405747A (zh) 2012-11-28 2023-07-07 核心光电有限公司 多孔径成像系统以及通过多孔径成像系统获取图像的方法
CN109040553B (zh) 2013-06-13 2021-04-13 核心光电有限公司 双孔径变焦数字摄影机
EP3779564B1 (en) 2013-07-04 2024-04-10 Corephotonics Ltd. Miniature telephoto lens assembly
US9857568B2 (en) 2013-07-04 2018-01-02 Corephotonics Ltd. Miniature telephoto lens assembly
WO2015015383A2 (en) 2013-08-01 2015-02-05 Corephotonics Ltd. Thin multi-aperture imaging system with auto-focus and methods for using same
US10178373B2 (en) 2013-08-16 2019-01-08 Qualcomm Incorporated Stereo yaw correction using autofocus feedback
CN103513412B (zh) * 2013-09-16 2015-10-07 华为终端有限公司 潜望式镜头和终端设备
JP2015099361A (ja) 2013-10-17 2015-05-28 Hoya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15099360A (ja) 2013-10-17 2015-05-28 Hoya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15099359A (ja) 2013-10-17 2015-05-28 Hoya株式会社 撮像装置
US9591221B2 (en) * 2014-01-08 2017-03-07 Apple Inc. Magnetic camera component mounting in cameras
JP6198621B2 (ja) * 2014-01-30 2017-09-20 Hoya株式会社 撮像装置
JP6231416B2 (ja) * 2014-03-20 2017-11-15 Hoya株式会社 撮像装置
JP6235388B2 (ja) * 2014-03-20 2017-11-22 Hoya株式会社 撮像装置
US9338357B2 (en) 2014-01-30 2016-05-10 Hoya Corporation Imaging apparatus
US9335560B2 (en) 2014-01-30 2016-05-10 Hoya Corporation Imaging apparatus
US9383550B2 (en) * 2014-04-04 2016-07-05 Qualcomm Incorporated Auto-focus in low-profile folded optics multi-camera system
US9374516B2 (en) 2014-04-04 2016-06-21 Qualcomm Incorporated Auto-focus in low-profile folded optics multi-camera system
CN103901587B (zh) * 2014-04-15 2017-04-12 中山联合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光学系统结构
JP6258767B2 (ja) 2014-04-23 2018-01-10 Hoya株式会社 撮像光学系
CN103955049A (zh) * 2014-05-21 2014-07-30 中山联合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光学定焦系统
US10013764B2 (en) 2014-06-19 2018-07-03 Qualcomm Incorporated Local adaptive histogram equalization
US9386222B2 (en) 2014-06-20 2016-07-05 Qualcomm Incorporated Multi-camera system using folded optics free from parallax artifacts
US9294672B2 (en) 2014-06-20 2016-03-22 Qualcomm Incorporated Multi-camera system using folded optics free from parallax and tilt artifacts
US9819863B2 (en) 2014-06-20 2017-11-14 Qualcomm Incorporated Wide field of view array camera for hemispheric and spherical imaging
US9549107B2 (en) 2014-06-20 2017-01-17 Qualcomm Incorporated Autofocus for folded optic array cameras
US9541740B2 (en) 2014-06-20 2017-01-10 Qualcomm Incorporated Folded optic array camera using refractive prisms
US9392188B2 (en) 2014-08-10 2016-07-12 Corephotonics Ltd. Zoom dual-aperture camera with folded lens
CN104199234A (zh) * 2014-09-04 2014-12-10 成都凯裕电子电器有限公司 一种安装于移动终端的防抖动光学模块
CN104199240A (zh) * 2014-09-04 2014-12-10 成都凯裕电子电器有限公司 一种安装于移动终端的防抖动光学模块
CN104184931A (zh) * 2014-09-04 2014-12-03 成都凯裕电子电器有限公司 一种安装于移动终端取光角度可调的光学模块
JP2016057468A (ja) * 2014-09-10 2016-04-21 Hoya株式会社 屈曲撮像装置
JP6382066B2 (ja) * 2014-10-27 2018-08-29 Hoya株式会社 撮像装置
JP6481242B2 (ja) * 2014-10-29 2019-03-13 新シコー科技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US9832381B2 (en) 2014-10-31 2017-11-28 Qualcomm Incorporated Optical image stabilization for thin cameras
TWI537628B (zh) * 2014-11-12 2016-06-11 台灣東電化股份有限公司 薄型化鏡頭模組
JP6483417B2 (ja) * 2014-11-27 2019-03-13 Hoya株式会社 撮像装置
US9366879B1 (en) * 2014-12-02 2016-06-14 Hutchinson Technology Incorporated Camera lens suspension with polymer bearings
CN112327463B (zh) 2015-01-03 2022-10-14 核心光电有限公司 微型长焦镜头模块和使用该镜头模块的相机
CN104635404A (zh) * 2015-01-22 2015-05-2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光学变焦摄像模组及具有所述光学变焦摄像模组的移动终端
JP2016148772A (ja) * 2015-02-12 2016-08-18 Hoya株式会社 撮像装置
CN105549305B (zh) * 2015-02-13 2020-08-14 瑞芯微电子股份有限公司 便携式电子设备,及其中的摄像结构与获取影像的方法
US9454016B1 (en) 2015-03-06 2016-09-27 Hutchinson Technology Incorporated Camera lens suspension with integrated electrical leads
US9619137B2 (en) * 2015-03-26 2017-04-11 Motorola Mobility Llc Portable device touchscreen optimization
CN112305833A (zh) * 2015-04-16 2021-02-02 核心光电有限公司 紧凑型折叠式相机中的自动对焦和光学图像稳定
EP3722860B1 (en) 2015-05-28 2023-04-19 Corephotonics Ltd. Bi-directional stiffness for optical image stabilization and auto-focus in a digital camera
TWI569640B (zh) 2015-06-23 2017-02-01 台灣東電化股份有限公司 攝影模組
US10230898B2 (en) 2015-08-13 2019-03-12 Corephotonics Ltd. Dual aperture zoom camera with video support and switching / non-switching dynamic control
KR101740815B1 (ko) 2015-10-14 2017-05-26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KR102291525B1 (ko) 2015-12-29 2021-08-19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자동 조정가능 텔레 시야(fov)를 갖는 듀얼-애퍼처 줌 디지털 카메라
CN107219710B (zh) * 2016-03-21 2020-12-0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多镜头系统及具有该多镜头系统的便携式电子装置
CN116661090A (zh) * 2016-05-10 2023-08-29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镜头系统
WO2017208090A1 (en) 2016-05-30 2017-12-07 Corephotonics Ltd. Rotational ball-guided voice coil motor
KR20190015528A (ko) 2016-06-09 2019-02-13 허친슨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현가 조립체를 위한 접착제를 갖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부착 구조물
CN107925728B (zh) 2016-06-19 2020-12-08 核心光电有限公司 双孔径摄影机系统中的帧同步
WO2018007951A1 (en) 2016-07-07 2018-01-11 Corephotonics Ltd. Dual-camera system with improved video smooth transition by image blending
EP4224233A1 (en) 2016-07-07 2023-08-09 Corephotonics Ltd. Linear ball guided voice coil motor for folded optic
TWI616675B (zh) 2016-07-14 2018-03-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攝像系統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US20180041668A1 (en) * 2016-08-05 2018-02-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gital camera focus assembly
CN114051092A (zh) 2016-12-28 2022-02-15 核心光电有限公司 具有延伸光折叠元件扫描范围的致动器及含其的折叠相机
EP3789810B1 (en) 2017-01-12 2022-09-28 Corephotonics Ltd. Compact folded camera
KR102046472B1 (ko) * 2017-02-15 2019-11-19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14137791A (zh) 2017-03-15 2022-03-04 核心光电有限公司 具有全景扫瞄范围的照相装置及移动装置
CN107135344B (zh) * 2017-06-15 2022-12-16 惠州萨至德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微型光学变焦模组
KR102067069B1 (ko) * 2017-06-16 2020-01-1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WO2019048904A1 (en) 2017-09-06 2019-03-14 Corephotonics Ltd. STEREOSCOPIC DEPTH CARTOGRAPHY AND COMBINED PHASE DETECTION IN A DOUBLE-OPENING CAMERA
KR102427818B1 (ko) 2017-09-29 2022-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력을 이용하여 렌즈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마그넷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전자 장치
US10951834B2 (en) 2017-10-03 2021-03-16 Corephotonics Ltd. Synthetically enlarged camera aperture
KR102104761B1 (ko) 2017-11-23 2020-04-27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컴팩트 폴디드 카메라 구조
KR102145896B1 (ko) 2017-12-14 2020-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 프리즘 장치,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EP3848749A1 (en) 2018-02-05 2021-07-14 Corephotonics Ltd. Reduced height penalty for folded camera
CN111448793B (zh) 2018-02-12 2021-08-31 核心光电有限公司 具有光学图像稳定化的折叠摄像机
US10694168B2 (en) 2018-04-22 2020-06-23 Corephotonics Ltd. System and method for mitigating or preventing eye damage from structured light IR/NIR projector systems
EP3822588B1 (en) 2018-04-23 2022-09-07 Corephotonics Ltd. An optical-path folding-element with an extended two degree of freedom rotation range
KR102581599B1 (ko) * 2018-05-11 2023-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리즘 모듈,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및 영상표시장치
WO2019216681A1 (ko) * 2018-05-11 2019-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리즘 모듈,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및 영상표시장치
CN108521541B (zh) * 2018-06-14 2024-04-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头组件及应用该摄像头组件的电子装置
US11064098B2 (en) * 2018-06-15 2021-07-1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amera module, camera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CN111316346B (zh) 2018-08-04 2022-11-29 核心光电有限公司 摄像机上方的可切换连续显示信息系统
US11635596B2 (en) 2018-08-22 2023-04-25 Corephotonics Ltd. Two-state zoom folded camera
CN109407441B (zh) * 2018-11-22 2020-05-12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无转轴防抖反射模块及潜望式模组
CN114615401A (zh) * 2019-01-03 2022-06-10 核心光电有限公司 双重相机及其系统
KR102242437B1 (ko) 2019-01-07 2021-04-20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슬라이딩 조인트를 갖는 회전 메커니즘
CN109633854B (zh) * 2019-01-08 2020-09-29 瑞声通讯科技(常州)有限公司 一种图像采集器及移动电子设备
CN116990927A (zh) 2019-02-25 2023-11-03 核心光电有限公司 折叠式相机模块
EP4224841A1 (en) 2019-03-09 2023-08-09 Corephotonics Ltd.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stereoscopic calibration
CN113940054B (zh) * 2019-05-27 2023-02-07 华为技术有限公司 成像设备和信息终端
CN110248006B (zh) * 2019-06-28 2021-04-23 武汉当代华路光电技术有限公司 手机轻薄3d摄像头
CN110346911B (zh) * 2019-06-30 2021-09-24 瑞声光学解决方案私人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CN110933266B (zh) * 2019-07-15 2021-12-21 华为技术有限公司 摄像装置、方法及调节元件
KR102365748B1 (ko) 2019-07-31 2022-02-23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카메라 패닝 또는 모션에서 배경 블러링을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7381241B2 (ja) * 2019-08-01 2023-11-15 ニデック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光学ユニット
US11668999B2 (en) * 2019-08-14 2023-06-06 Guangzhou Luxvisions Innovation Technology Limited Optical imaging apparatus
JP7385334B2 (ja) 2019-08-16 2023-11-22 Hoya株式会社 光学素子及び光学装置
TWI707188B (zh) * 2019-09-18 2020-10-1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相機模組與電子裝置
US11659135B2 (en) 2019-10-30 2023-05-23 Corephotonics Ltd. Slow or fast motion video using depth information
US11656538B2 (en) 2019-11-25 2023-05-23 Corephotonics Ltd. Folded zoom camera module with adaptive aperture
CN110737077A (zh) * 2019-11-29 2020-01-3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光学镜头和电子装置
CN114641983A (zh) 2019-12-09 2022-06-17 核心光电有限公司 用于获得智能全景图像的系统及方法
US11949976B2 (en) 2019-12-09 2024-04-02 Corephotonics Ltd.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a smart panoramic image
JP6960983B2 (ja) * 2019-12-25 2021-11-05 エーエーシー オプティックス ソリューションズ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手振れ補正機能付き撮像装置
EP3872551A1 (en) * 2020-02-27 2021-09-01 Aptiv Technologies Limited Optical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45114B1 (ko) * 2020-03-13 2021-12-30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220003550A (ko) 2020-04-26 2022-01-10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홀 바 센서 보정을 위한 온도 제어
CN113671676B (zh) * 2020-05-13 2022-09-02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光学成像镜头、摄像模组和摄像装置
CN117372248A (zh) 2020-05-17 2024-01-09 核心光电有限公司 全视场参考图像的图像拼接
WO2021245488A1 (en) 2020-05-30 2021-12-09 Corephotonics Ltd.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a super macro image
EP4045960A4 (en) 2020-07-15 2022-12-14 Corephotonics Ltd. CORRECTING THE ABERRATION OF VIEWPOINTS IN A FOLDED SCANNING CAMERA
US11637977B2 (en) 2020-07-15 2023-04-25 Corephotonics Ltd. Image sensors and sensing methods to obtain time-of-flight and phase detection information
WO2022023914A1 (en) 2020-07-31 2022-02-03 Corephotonics Ltd. Hall sensor - magnet geometry for large stroke linear position sensing
TWI738514B (zh) 2020-09-16 2021-09-01 大陽科技股份有限公司 使用反射元件的相機模組及電子裝置
CN115151851B (zh) 2020-11-10 2024-04-0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光学成像系统、用于执行光学图像稳定的方法
EP4066036A4 (en) 2020-12-01 2023-01-25 Corephotonics Ltd. FOLDED CAMERA WITH CONTINUOUSLY ADAPTIVE ZOOM FACTOR
JP2022136419A (ja) * 2021-03-08 2022-09-21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KR20240025049A (ko) * 2021-06-08 2024-02-26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슈퍼-매크로 이미지의 초점면을 틸팅하기 위한 시스템 및 카메라
CN114466119A (zh) * 2021-12-24 2022-05-10 深圳市钒德电子有限公司 桥架式接触供电镜头遮蔽元件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0941A (ja) 1990-05-16 1992-01-24 Canon Inc 像ブレ補正手段を有した撮影装置
JP3238555B2 (ja) * 1993-12-01 2001-12-17 キヤノン株式会社 像振れ補正機能付レンズ鏡筒
US6829011B1 (en) * 1999-09-02 2004-12-07 Olympus Optical Co., Ltd. Electronic imaging device
US7465107B2 (en) 2004-09-21 2008-12-16 Canon Kabushiki Kaisha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6166202A (ja) 2004-12-09 2006-06-22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光学装置及びデジタルカメラ
JP2006259247A (ja) 2005-03-17 2006-09-28 Pentax Corp 像ぶれ補正装置
JP2006330439A (ja) 2005-05-27 2006-12-07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レンズユニットを用いた撮像装置
JP4717529B2 (ja) 2005-06-28 2011-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系のチルト駆動機構
JP2007199208A (ja) * 2006-01-24 2007-08-09 Olympus Imaging Corp カメラ
JP2007228005A (ja) 2006-02-21 2007-09-06 Casio Comput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4789655B2 (ja) 2006-03-03 2011-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振れ補正装置、レンズ鏡筒および光学機器
JP2009282051A (ja) * 2006-09-06 2009-12-03 Nikon Vision Co Ltd 防振望遠鏡
US8107004B2 (en) 2007-02-26 2012-01-31 Hoya Corporation Imaging device
JP5013078B2 (ja) * 2007-04-24 2012-08-29 コニカミノルタアドバンストレイヤー株式会社 レンズ鏡胴及び撮像装置
JP2009020509A (ja) * 2007-06-12 2009-01-29 Nikon Corp 光学装置
JP2009086319A (ja) 2007-09-28 2009-04-23 Fujinon Corp 防振ユニット、撮影ユニット、および撮影装置
JP2009216839A (ja) * 2008-03-07 2009-09-24 Fujinon Corp ズーム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WO2010038685A1 (ja) 2008-09-30 2010-04-08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像振れ補正装置、撮像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ユニット
JP5117359B2 (ja) 2008-11-28 2013-01-16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像振れ補正装置、撮像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ユニット
JP2010204341A (ja) 2009-03-03 2010-09-16 Nikon Corp カメラ
JP2012120303A (ja) * 2010-11-30 2012-06-21 Panasonic Corp アクチュエータ、ならびにこれを備える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JP2012189840A (ja) 2011-03-11 2012-10-04 Hoya Corp ズームレンズ系
JP5797570B2 (ja) 2012-01-19 2015-10-21 Hoya株式会社 光学要素の位置制御装置
JP2013238848A (ja) * 2012-04-20 2013-11-28 Hoya Corp 撮像装置
JP5797627B2 (ja) * 2012-09-25 2015-10-21 Hoya株式会社 撮像装置
JP5997992B2 (ja) * 2012-09-25 2016-09-28 Hoya株式会社 撮像装置
JP6114050B2 (ja) * 2013-02-04 2017-04-12 Hoya株式会社 撮像装置
JP6114049B2 (ja) * 2013-02-04 2017-04-12 Hoya株式会社 撮像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2381A (ko) * 2012-06-29 2014-01-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80012150A (ko) * 2016-07-26 2018-02-05 자화전자(주) 줌렌즈용 자동초점 조절장치
KR20210156254A (ko) * 2016-07-26 2021-12-24 자화전자(주) 줌렌즈용 구동장치
KR20180097228A (ko) * 2017-02-23 2018-08-31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80135299A (ko) * 2017-06-12 2018-12-20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90032905A (ko) * 2017-09-20 2019-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KR20190114588A (ko) * 2018-03-30 2019-10-10 삼성전기주식회사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00058365A (ko) * 2018-03-30 2020-05-27 삼성전기주식회사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04049B2 (en) 2015-12-01
EP2653901A1 (en) 2013-10-23
CN203350572U (zh) 2013-12-18
US20130278785A1 (en) 2013-10-24
CN103376613B (zh) 2017-10-20
CN103376613A (zh) 2013-10-30
JP2013238848A (ja) 2013-11-28
US20160062136A1 (en) 2016-03-03
US10048507B2 (en) 2018-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8817A (ko) 촬상 장치
US8837929B2 (en) Imaging apparatus
US9025945B2 (en) Imaging apparatus
US9606370B2 (en) Imaging apparatus
US9423629B2 (en) Imaging apparatus
US8213783B2 (en) Anti-shake device and optical system having the same
KR20160121298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20033277A (ko) 촬상 유닛
KR102272591B1 (ko) 카메라 모듈
JP2021103271A (ja) 手振れ補正機能付き撮像装置
CN112805621B (zh) 相机致动器和包括相机致动器的相机模块
CN116299946A (zh) 透镜驱动装置和相机模块
CN216351589U (zh) 相机模块
JP5997993B2 (ja) 撮像装置
US20230341654A1 (en) Optical system
CN113050340B (zh) 相机模块
US20230144198A1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lens driving device
JP2024035667A (ja) 撮像装置及び携帯式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