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472B1 -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472B1
KR102046472B1 KR1020170020555A KR20170020555A KR102046472B1 KR 102046472 B1 KR102046472 B1 KR 102046472B1 KR 1020170020555 A KR1020170020555 A KR 1020170020555A KR 20170020555 A KR20170020555 A KR 20170020555A KR 102046472 B1 KR102046472 B1 KR 102046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frame
module
axis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4355A (ko
Inventor
정봉원
김재경
윤영복
박현각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0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472B1/ko
Priority to US15/825,719 priority patent/US10416472B2/en
Priority to CN201810122947.8A priority patent/CN108427235B/zh
Priority to CN201820217987.6U priority patent/CN207992655U/zh
Priority to CN202011307022.4A priority patent/CN112230442B/zh
Priority to CN202011320554.1A priority patent/CN112255819A/zh
Priority to CN202110190157.5A priority patent/CN112965316B/zh
Publication of KR20180094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355A/ko
Priority to US16/535,132 priority patent/US1087728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472B1/ko
Priority to US17/108,398 priority patent/US11579462B2/en
Priority to US17/134,080 priority patent/US1157946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04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adjusting position of image plane without moving lens
    • G03B3/06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adjusting position of image plane without moving lens using movable reflectors to alter length of light pa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5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 G02B13/006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having a beam-folding prism or mirr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2Optical derotators, i.e. systems for compensating for image rotation, e.g. using rotating prisms,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7Bodies with reflectors arranged in beam forming the photographic image, e.g. for reducing dimensions of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34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alternate energisation of two coil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 H02K41/031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of the permanent magnet type
    • H04N5/2254
    • H04N5/2328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23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tilting or inclin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3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a prism with variable angle or the lik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magnetic circuits
    • H02K2201/18Machines moving with multiple degrees of freedo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udio Device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유동홀더; 상기 유동홀더에 구비되는 반사부재; 및 상기 유동홀더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대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구비되는 유동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유동프레임을 연결하고 상호 수직하는 2개의 축을 기준으로 각각 회전구동 가능한 유동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코일과 상기 짐벌에 구비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과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반사부재의 반사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대향하게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Mirror Module for OI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카메라가 기본적으로 채용되고 있으며, 모바일 단말용 카메라에는 자동 초점 기능, 손떨림 보정 기능 및 줌 기능 등이 부가되고 있다.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카메라 모듈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크기가 증가되어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의 장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손떨림 보정을 위하여 렌즈 또는 이미지 센서를 직접 움직이는 경우에는 렌즈 또는 이미지 센서 자체의 무게와, 렌즈 또는 이미지 센서가 부착되어 있는 다른 부재들의 무게를 모두 고려하여야 하므로, 일정 수준 이상의 구동력이 필요하게 되어, 전력 소모가 심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자동 초점 조정, 줌, 손떨림 보정 등의 기능을 구현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유동홀더; 상기 유동홀더에 구비되는 반사부재; 및 상기 유동홀더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대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구비되는 유동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유동프레임을 연결하고 상호 수직하는 2개의 축을 기준으로 각각 회전구동 가능한 유동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코일과 상기 짐벌에 구비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과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반사부재의 반사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대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짐벌; 상기 짐벌에 구비되는 반사부재; 및 상기 반사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대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짐벌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구비되는 제1유동프레임, 및 상기 제1유동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반사부재가 일면에 고정되는 제2유동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짐벌의 상기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에 구비되는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에 대향하게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코일과 상기 짐벌에 구비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과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반사부재의 반사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대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모듈; 및 상기 렌즈모듈의 전방에 배치되며, 내부로 입사된 광이 상기 렌즈 모듈을 향하도록 상기 광의 경로를 변화시키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은 자동 초점 조정, 줌, 손떨림 보정 등의 기능을 구현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반사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탄성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동홀더가 제1축을 기준으로 유동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동홀더가 제2축을 기준으로 유동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반사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탄성부재(짐벌)의 사시도이고,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가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가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반사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탄성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19a 내지 도 19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동홀더가 제1축 또는 제2축을 기준으로 유동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1)는 카메라 모듈(1000)이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1)에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 모듈(1000)이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1000)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렌즈의 광축(Z축)이 휴대용 전자기기(1)의 두께 방향(Y축 방향,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면(Front Surface)에서 후면(Rear Surface)을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향한다.
일 예로, 카메라 모듈(1000)에 구비된 복수의 렌즈의 광축(Z축)은 휴대용 전자기기(1)의 두께 방향이 아닌 단축 또는 장축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일예로, 도 1에서는 렌즈가 단축 방향으로 적층된 구조를 도시함).
따라서, 카메라 모듈(1000)이 자동 초점 조정(Auto Focusing, 이하 AF), 줌(Zoom) 및 손떨림 보정(Optical Image Stabilizing, 이하 OIS) 등의 기능을 구비하더라도 휴대용 전자기기(1)의 두께가 증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1)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AF, Zoom 및 OIS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AF, Zoom 및 OIS 기능 등을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1000)은 다양한 부품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에 비하여 카메라 모듈의 크기가 증가한다.
카메라 모듈(1000)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면 카메라 모듈(1000)이 장착되는 휴대용 전자기기(1)의 소형화에 문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Zoom 기능을 위하여 적층 렌즈의 수가 많아지게 되고, 다수의 적층 렌즈가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적층되는 렌즈의 수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도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 적층 렌즈의 수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없어 Zoom 성능이 약해지게 된다.
또한, AF 및 OIS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는 렌즈 군을 광축 방향 또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렌즈 군의 광축(Z축)이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렌즈군을 이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도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 방향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가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복수의 렌즈의 광축(Z축)이 휴대용 전자기기(1)의 두께 방향에 수직하도록 배치되므로, AF, Zoom 및 OIS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모듈(1000)이 장착되더라도 휴대용 전자기기(1)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I-I'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1)은 케이스(1010)에 구비되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1100, 이하, '반사모듈'이라 합니다), 렌즈모듈(1200) 및 이미지 센서모듈(1300)을 포함한다.
반사모듈(1100)은 광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카메라 모듈(1001)을 상부에서 덮어주는 덮개(1030)의 개구부(1031)를 통해 입사된 광은 반사모듈(1100)을 통해 렌즈모듈(1200)로 향하도록 진행 방향이 바뀔 수 있다. 이를 위해 반사모듈(1100)은 광을 반사하는 반사부재(1110)를 구비할 수 있다. 반사부재(1110)에 의해 반사모듈(1100)에 입사된 광의 경로가 변할 수 있다.
따라서, 개구부(1031)를 통해 입사된 광은, 반사모듈(1100)에 의해 렌즈모듈(1200)을 향하도록 경로가 바뀌게 된다. 가령, 카메라 모듈(1001)의 두께 방향(Y축 방향)으로 입사된 광은 반사모듈(1100)에 의해 광축(Z축) 방향과 일치하도록 경로가 변경된다.
렌즈모듈(1200)은 반사모듈(1100)에 의해 진행 방향이 변경된 광이 통과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며, 이미지센서모듈(1300)은 복수의 렌즈를 통과한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1310) 및 이미지센서(1310)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13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미지센서모듈(1300)은 렌즈모듈(1200)에서 입사되는 광을 필터링하는 광학필터(1340)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필터(1340)는 적외선 차단 필터일 수 있다.
케이스(1010)에서 렌즈모듈(1200)의 전방에 반사모듈(1100)이 구비되고, 렌즈모듈(1200)의 후방에 이미지센서모듈(1300)이 구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반사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탄성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1)은 케이스(1010)에 구비되는 반사모듈(1100), 렌즈모듈(1200) 및 이미지 센서모듈(1300)을 포함한다.
케이스(101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반사모듈(1100), 렌즈모듈(1200) 및 이미지센서모듈(1300)이 구비된다. 물론, 반사모듈(1100), 렌즈모듈(1200) 및 이미지센서모듈(1300)이 내삽되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한다(이미지센서모듈(1300)은 케이스(1010)의 외부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10)는 내부공간에 반사모듈(1100) 및 렌즈모듈(1200)이 모두 내삽되도록 전체적으로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10)는 반사모듈(1100)의 하우징(1150)과 일체로 구비되어 반사모듈(1100)의 나머지 부품 등이 직접 케이스(1010)에 구비될 수 있다(이 경우, 케이스(1010)과 하우징(1150)은 동일 개념임). 또한, 반사모듈(1100)과 렌즈모듈(1200)이 각각 별도로 구비되고 이들이 상호 조립되어 연결된 것이 케이스(1010)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케이스(1010)는 덮개(1030)에 의해 내부공간이 보이지 않도록 덮여진다.
덮개(1030)는 광이 입사하도록 개구부(1031)를 구비하며, 개구부(1031)를 통해 입사한 광은 반사모듈(1100)에 의해 진행 방향이 변경되어 렌즈모듈(1200)로 입사한다. 덮개(1030)는 케이스(1010)의 전체를 덮도록 일체로 구비되거나, 반사모듈(1100)과 렌즈모듈(1200)을 각각 덮는 별개의 부재로 나누어져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반사모듈(1100)은 광을 반사하는 반사부재(1110)를 구비한다. 그리고, 렌즈모듈(1200)로 입사된 광은 복수의 렌즈를 통과한 후 이미지센서(1310)에 의해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저장된다.
케이스(1010)는 내부공간에 반사모듈(1100) 및 렌즈모듈(1200)을 구비한다. 이에, 케이스(1010)의 내부공간은 반사모듈(1100)이 배치되는 공간과 렌즈모듈(1200)이 배치되는 공간이 돌출벽(1007)에 의해 상호 구별되어 있다(물론, 별도의 구별 없이 전체적으로 하나의 공간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돌출벽(1007)을 기준으로 전방측에는 반사모듈(1100)이 구비되고 후방측에는 렌즈모듈(1200)이 구비될 수 있다. 돌출벽(1007)은 케이스(1010)의 내부공간으로 양쪽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10)에는 반사모듈(1100)과 렌즈모듈(1200)을 각각 구동하기 위해 제1 구동부(1170)와 제2 구동부(1240)가 구비된다. 제1 구동부(1170)는 반사모듈(1100)의 구동을 위한 복수의 코일(1171b, 1173b, 1175b, 1177b)을 포함하고, 제2 구동부(1240)는 렌즈모듈(1200)의 구동을 위한 복수의 코일(1241b, 1243b)을 포함한다. 그리고, 복수의 코일(1171b, 1173b, 1175b, 1177b, 1247 1241b, 1243b)은 각각 기판(1160, 1260)에 실장된 상태로 하우징(1150) 및 케이스(1010)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구동부(1170)의 복수의 코일(1171b, 1173b, 1175b, 1177b)이 하우징(1150)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하우징(1150)에는 관통홀(1151)이 구비될 수 있고, 제2 구동부(1240)의 복수의 코일(1241b, 1243b)이 케이스(1010)의 구동을 위해 내부공간으로 노출되도록 복수의 관통홀(1018, 1019)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코일(1171b, 1173b, 1175b, 1177b, 1247 1241b, 1243b)이 실장되는 기판(1160, 1260)은 플랙서블 기판(FPCB) 또는 강성기판(RPCB) 등일 수 있고, 플랙서블 기판인 경우에는 강성보강을 위해 저면에 부착되는 보강판(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반사모듈(1100)은 개구부(1031)를 통해 입사되는 광의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미지 또는 동영상 촬영 시 사용자의 손떨림 등에 의해 이미지가 번지거나 동영상이 흔들릴 수 있으며, 이 경우 반사모듈(1100)은 반사부재(1110)가 장착된 유동홀더(1120)를 움직여 사용자의 손떨림 등을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떨림 등에 의해 이미지 촬영 또는 동영상 촬영 시 흔들림이 발생할 때, 흔들림에 대응하는 상대변위를 유동홀더(1120)에 부여함으로써 흔들림을 보상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렌즈 등을 포함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벼운 유동홀더(1120)의 이동에 의해 OIS 기능이 구현되므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손떨림 보정(OIS, Optical Image Stabilizer)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복수의 렌즈가 구비되는 렌즈배럴 또는 이미지센서를 이동시키지 않고, 반사부재(1110)가 구비되는 유동홀더(1120)를 이동하여 광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여, 손떨림 등이 보정된 광이 렌즈모듈(1200)에 입사되도록 한다.
반사모듈(1100)은, 반사부재(1110), 반사부재(1110)가 장착되는 유동홀더(1120), 유동홀더(1120)가 유동하도록 지지하는 탄성부재(1130), 유동홀더(1120)가 내부공간에 구비되게 탄성부재(1130)가 고정 결합되는 하우징(1150), 하우징(1150)에 결합되는 기판(1160), 기판(1160)에 구비되는 복수의 코일(1171b, 1173b, 1175b, 1177b) 및 홀센서(1171c, 1175c)와 유동홀더(1120)에 구비되는 복수의 마그네트(1171a, 1173a, 1175a, 1177a)를 포함하는 제1 구동부(117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하우징(1150)의 상부에 반사부재(1110)가 노출되는 개구부(1181)가 구비되는 커버(1180)를 구비할 수 있다.
반사부재(1110)는 광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가령, 반사부재(1110)는 광을 반사시키는 미러(Mirror) 또는 프리즘(Prism)일 수 있다(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실시예와 관련한 도면의 도시에서는 반사부재(1110)를 미러로 도시한다).
반사부재(1110)는 유동홀더(1120)에 고정된다. 유동홀더(1120)에는 반사 부재(1110)가 장착되는 장착면(1123)이 구비된다.
유동홀더(1120)의 장착면(1123)은 광의 경로가 변경되도록 경사진 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령, 장착면(1123)은 복수의 렌즈의 광축(Z축)에 대하여 45도 기울어진 경사면일 수 있다. 그리고, 유동홀더(1120)의 경사면은 광이 입사되는 덮개(1030)의 개구부(1031)를 향할 수 있다.
반사부재(1110)가 장착된 유동홀더(1120)는 하우징(1150)의 내부공간에 움직임이 가능하게 수용된다. 다시 말해, 유동홀더(1120)은 제1 구동부(1170)의 작용에 의해 하우징(1150)과의 상대 간격이 유동홀더(1120)의 각 위치에 따라 차별되도록 유동할 수 있다.
유동홀더(1120)는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탄성부재(1130)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탄성부재(1130)는 하우징(1150)에도 고정되며, 제1 구동부(1170)의 구동에 의해 유동홀더(1120)는 하우징(1150)에 상대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손떨림 보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부재(1130)는, 하우징(1150)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1131)과, 고정프레임(1131)의 내부에 구비되고 유동홀더(1120)에 고정되는 유동프레임(1135), 및 고정프레임(1131)과 유동프레임(1135)을 연결하고 2개의 축(제1축 및 제2축)으로 회전 가능한 유동스프링(1133)을 포함한다. 그리고, 고정프레임(1131), 유동스프링(1133) 및 유동프레임(1135)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고정프레임(1131)과 유동프레임(1135)은 상호 사이즈만 상이하고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다각형상 또는 둥근형상의 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유동홀더(1120)는 탄성부재(1130)에 의해서만 하우징(1150)에 고정되므로 제1 구동부(1170)에 의해 2개의 축(제1축 및 제2축)을 기준으로 하는 유동하는 경우에는 정확하게 고정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운동을 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제1 구동부(1170)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방향(당기거나 밀리는 방향)으로 유동홀더(1120) 전체가 치우치게 이동할 수 있다.
유동스프링(1133)은, 제1축(A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스프링(1133a)과, 제1축(A1)에 수직하는 제2축(A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스프링(1133b)을 일체로 구비한 구조일 수 있다(여기서, 제1축(A1)과 제2축(A2)은 유동홀더(1120)의 경사진 장착면(1123)을 따라 구비되는 축으로 상호 수직한 축일 수 있다). 또한, 제1스프링(1133a)은 제1축(A1)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프링을 적어도 하나 구비하고, 제2스프링(1133b)은 제2축(A2)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프링을 적어도 하나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스프링(1133a)과 제2스프링(1133b)의 연결부는 절곡되거나 각진 형상일 수 있다(제1스프링(1133a)과 제2스프링(1133b)의 연결부가 각진 형상인 경우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설명과 이의 도시인 도 17 및 도 18 참조). 유동스프링(1133)은 그 자체로 일체로 구비되는 구조이면서 제1축을 따라 구비되는 스프링과 제2축을 따라 구비되는 스프링을 구비하므로 제1축 및 제2축을 기준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제1 구동부(1170)는 유동홀더(1120)가 2개의 축(제1축(A1) 및 제2축(A2))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유동홀더(1120)는 각 부분에서 하우징(1150)의 바닥면과의 간격이 변동되도록 유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구동부(1170)는 복수의 마그네트(1171a, 1173a, 1175a, 1177a) 및 복수의 마그네트(1171a, 1173a, 1175a, 1177a)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코일(1171b, 1173b, 1175b, 1177b)을 포함한다.
복수의 코일(1171b, 1173b, 1175b, 1177b)에 전원을 인가하면, 복수의 마그네트(1171a, 1173a, 1175a, 1177a)와 복수의 코일(1171b, 1173b, 1175b, 1177b) 사이의 전자기적 영향력에 의하여 복수의 마그네트(1171a, 1173a, 1175a, 1177a)가 장착된 유동홀더(1120)를 제1축 및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복수의 마그네트(1171a, 1173a, 1175a, 1177a)는 유동홀더(1120)에 장착된다. 일 예로, 복수의 마그네트(1171a, 1173a, 1175a, 1177a)는 유동홀더(1120)의 하부면에 장착될 수 있다.
복수의 코일(1171b, 1173b, 1175b, 1177b)은 하우징(1150)에 장착된다. 일 예로, 복수의 코일(1171b, 1173b, 1175b, 1177b)은 기판(1160)을 매개로 하우징(1150)에 장착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코일(1171b, 1173b, 1175b, 1177b)은 기판(1160)에 구비되며, 기판(1160)은 하우징(1150)에 장착된다. 그리고, 하우징(1150)에는 하우징(1150)의 외면에 부착되는 기판(1160)에 구비되는 복수의 코일(1171b, 1173b, 1175b, 1177b)이 하우징(1150)의 내부공간으로 노출되도록 관통홀(1151)을 구비할 수 있다.
기판(1160)의 하부에는 강도 보강을 위해 보강판(미도시)이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동홀더(1120)를 회전시킬 때, 유동홀더(1120)의 위치를 감지하여 피드백하는 폐루프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폐루프 제어를 위하여 위치 센서(1171c, 1175c)가 필요하다. 위치 센서(1171c, 1175c)는 홀 센서일 수 있다.
위치 센서(1171c, 1175c)는 각 코일(1171b, 1175b)의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되며, 각 코일(1171b, 1175b)이 장착되는 기판(1160)에 위치 센서(1171c, 1175c)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기판(1160)에는 사용자의 손떨림 등과 같은 흔들림 요인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코일(1171b, 1173b, 1175b, 1177b)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구동 회로소자(Driver IC,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동홀더가 제1축을 기준으로 유동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홀더가 제2축을 기준으로 유동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제1축(A1)을 기준으로 유동하는 경우에는 제1축(A1)에 수직한 제2축(A2) 방향을 따라 정렬된 마그네트(1175a, 1177a) 및 코일(1175b, 1177b)이 상호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다. 즉, 제1축(A1)을 기준으로 상부에 있는 마그네트(1175a)와 코일(1175b) 간의 간격이 하부에 있는 마그네트(1177a) 및 코일(1177b) 간의 간격보다 크거나 작도록 유동될 수 있다.
또한,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제2축(A2)을 기준으로 유동하는 경우에는 제2축(A2)에 수직한 제1축(A1) 방향을 따라 정렬된 마그네트(1171a, 1173a) 및 코일(1171b, 1173b)이 상호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다. 즉, 제2축(A2)을 기준으로 상부에 있는 마그네트(1173a)와 코일(1173b) 간의 간격이 하부에 있는 마그네트(1171a) 및 코일(1171b) 간의 간격보다 크거나 작도록 유동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반사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탄성부재(짐벌)의 사시도이다.
도 2,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2)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1)과 비교할 때 반사모듈의 구성에만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차이가 있는 반사모듈의 구성에 대해서 상술하고 구성이 동일한 나머지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2)은 케이스(1010)에 구비되는 반사모듈(1100-2), 렌즈모듈(1200) 및 이미지 센서모듈(1300)을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사모듈(1100-2)은, 제1 실시예의 유동홀더(1120) 및 탄성부재(1130)의 구성에 대응하는 구성으로 하나의 부재로 구비되는 짐벌(1190)을 구비한다는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그러므로, 구성의 차이가 있는 짐벌(1190)을 상세히 설명하고 이에 따라 상대위치 등이 변경되는 다른 구성을 간단히 추가로 설명한다.
짐벌(1190)은, 하우징(1150)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1191)과, 고정프레임(1191)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유동프레임(1193), 및 제1유동프레임(1193)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2유동프레임(119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프레임(1191)과 제1유동프레임(1193)은 제2축(A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축부재(1194)에 의해 연결되고, 제1유동프레임(1193)과 제2유동프레임(1195)는 제2축(A2)에 수직하는 제1축 방향(A1)으로 연장되는 제1축부재(119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유동프레임(1193)은 제2축(A2)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고, 제2유동프레임(1195)은 제1축(A1) 및 제2축(A2)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다. 유의할 점은, 제1유동프레임(1193)이 유동하면 항상 제2유동프레임(1195)이 함께 움직이므로, 제1유동프레임(1193)이 제2축(A2)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제1유동프레임(1193)과 제2유동프레임(1195)는 상대운동하지 않고, 제2유동프레임(1195)이 제1축(A1)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제1유동프레임(1193)은 움직이지 않으므로 제1유동프레임(1193)과 제2유동프레임(1195)는 상대운동하게 된다.
여기서, 고정프레임(1191), 제1유동프레임(1193) 및 제2유동프레임(1195)은 상호 사이즈만 상이하고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다각형상 또는 둥근 링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사모듈(1100-2)의 하부면에는 복수의 마그네트(1171a, 1173a, 1175a, 1177a)가 구비되고, 상부면에는 반사부재(111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손떨림 보정 구동시, 제2유동프레임(1195)은 항상 구동에 관여하여 회전운동을 하게 되므로, 복수의 마그네트(1171a, 1173a, 1175a, 1177a)는 짐벌(1190)의 제2유동프레임(1195)에 모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마그네트(1171a, 1173a, 1175a, 1177a) 중 제2축(A2)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관여하는 마그네트(1171a, 1175a)는 제1유동프레임(1193)에 구비되고, 나머지 마그네트(1173a, 1177a)는 제2유동프레임(1195)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반사모듈(1100-2)의 상부면에는 반사부재(11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유동프레임(1195)은, 제1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고정프레임(1191) 및 제1유동프레임(1193)에 상대회전하고, 제2축(A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고정프레임(1191)에 상대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2유동프레임(1195)의 상면에 반사부재(1110)가 결합되므로, 반사부재(1110)가 제1축(A1)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고정프레임(1191) 및 제1유동프레임(1193)에 간섭되지 않도록 제2유동프레임(1195)의 적어도 일부는 상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195a)를 구비하여, 손떨림 보정 구동이 없는 경우에 반사부재(1110)가 고정프레임(1191) 및 제1유동프레임(1193)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도 9의 단면도 참조).
또한, 제2유동프레임(1195)의 적어도 일부는 하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195b)를 구비하여, 제2유동프레임(1195)에 고정 장착되는 마그네트(1175a, 1177a)가 손떨림 보정 구동이 없는 경우에 고정프레임(1191) 및 제1유동프레임(1193)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도 9의 단면도 참조). 이 또한, 제2유동프레임(1195)이 제1축(A1) 및 제2축(A2)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마그네트(1175a, 1177a)가 고정프레임(1191) 및 제1유동프레임(1193)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제2유동프레임(1195)에 돌출부(1195b)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마그네트(1175a, 1177a)을 형상 또는 사이즈를 최적화하여 마그네트(1175a, 1177a)가 제2유동프레임(1195)에 장착된 상태로 제2유동프레임(1195)이 회전하더라도 고정프레임(1191) 및 제1유동프레임(1193)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가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가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를 참조하면, 제1축(A1)을 기준으로 유동하는 경우에는 제1축(A1)에 수직한 제2축(A2) 방향을 따라 정렬된 마그네트(1175a, 1177a) 및 코일(1175b, 1177b)이 상호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다. 즉, 제1축(A1)을 기준으로 상부에 있는 마그네트(1175a)와 코일(1175b) 간의 간격이 하부에 있는 마그네트(1177a) 및 코일(1177b) 간의 간격보다 크거나 작도록 유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유동프레임(1195)이 단독으로 반사부재(1110)과 함께 회전하므로 제2유동프레임(1195)은 고정프레임(1191) 및 제1유동프레임(1193)에 상대회전한다.
또한, 도 14a 내지 도 14c를 참조하면, 제2축(A2)을 기준으로 유동하는 경우에는 제2축(A2)에 수직한 제1축(A1) 방향을 따라 정렬된 마그네트(1171a, 1173a) 및 코일(1171b, 1173b)이 상호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다. 즉, 제2축(A2)을 기준으로 상부에 있는 마그네트(1173a)와 코일(1173b) 간의 간격이 하부에 있는 마그네트(1171a) 및 코일(1171b) 간의 간격보다 크거나 작도록 유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유동프레임(1195)이 제1유동프레임(1193)과 함께 회전하므로 제2유동프레임(1195)과 제1유동프레임(1193)은 상대운동하지 않고, 제2유동프레임(1195) 및 제1유동프레임(1193)이 고정프레임(1191)에 상대회전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반사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탄성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1)과 비교할 때 반사모듈의 구성에만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차이가 있는 반사모듈의 구성에 대해서 상술하고 구성이 동일한 나머지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3)은 케이스(1010)에 구비되는 반사모듈(1100-3), 렌즈모듈(1200) 및 이미지 센서모듈(1300)을 포함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반사모듈(1100-3)은, 제1 실시예의 유동홀더(1120)의 구성에 대응하는 구성으로 유동홀더(1120)의 하면 대략 중심 부분에서 하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포스트(1125)를 구비하고, 하우징(1150)에는 포스트(1125)가 삽입되는 삽입홀(1153)이 구비된다는 차이가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에 따라 제1 구동부(1170)가 포스트(1125)의 외부면 및 삽입홀(1153)의 내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반사모듈(1100-3)은 유동홀더(1120)에 포스트(1125)를 구비하여 포스트(1125)를 포함하는 유동홀더(1120)의 무게중심을 아래 방향으로 낮출 수 있게 되므로, 유동홀더(1120)의 회전중심도 덩달아 아래 방향으로 낮춰지게 되어 유동홀더(1120)에 장착되는 반사부재(1110)의 회전 정밀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사모듈(1100-3)은, 반사부재(1110), 반사부재(1110)가 장착되고 하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포스트(1125)를 구비하는 유동홀더(1120), 유동홀더(1120)가 유동하도록 지지하는 탄성부재(1130), 포스트(1125)가 삽입되도록 삽입홀(1153)을 구비하고 유동홀더(1120)가 상부에 구비되게 탄성부재(1130)가 고정 결합되는 하우징(1150), 하우징(1150)의 삽입홀(1153)에 결합되는 기판(1160), 기판(1160)에 구비되는 복수의 코일(1171b, 1173b, 1175b, 1177b) 및 홀센서(1171c, 1175c)와 유동홀더(1120)의 포스트(1125)의 외부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마그네트(1171a, 1173a, 1175a, 1177a)를 포함하는 제1 구동부(117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유동홀더(1120)는 상부면에 반사부재(1110)가 장착되돌고 미러고정부재(1126)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고, 하우징(1150)의 상부면에는 탄성부재(113) 등의 부재를 커버하는 커버부재(1127, 1128)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동홀더(1120)가 과도하게 외측으로 나가는 것도 막을 수 있다.
반사부재(1110)는 광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가령, 반사부재(1110)는 광을 반사시키는 미러(Mirror) 또는 프리즘(Prism)일 수 있다(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3 실시예와 관련한 도면의 도시에서는 반사부재(1110)를 미러로 도시한다).
반사부재(1110)는 유동홀더(1120)에 고정된다. 유동홀더(1120)에는 반사부재(1110)가 장착되는 장착면(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유동홀더(1120)는 반사부재(1110)의 장착을 위해 상면에 미러고정부재(1126)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유동홀더(1120)의 상부면에는 고정홀(1124)가 구비되고 미러고정부재(1126)의 하부면에는 고정돌기(1126a)가 구비되어 상호 끼움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 및 접착제에 의한 본딩결합이 추가될 수 있다(물론, 유동홀더(1120)와 미러고정부재(1126)는 다양한 부재간 결합 방식에 의해 상호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미러고정부재(1126)의 상부면에는 경사진 장착면(1126a)이 구비될 수 있고, 장착면(1126a)에 반사부재(1110)가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유동홀더(1120)의 상부면은 광의 경로가 변경되도록 경사진 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동홀더(1120)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미러고정부재(1126)도 경사지게 장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장착면(1126a)은, 가령, 복수의 렌즈의 광축(Z축)에 대하여 45도 기울어진 경사면일 수 있다. 그리고, 장착면(1126a)의 경사면은 광이 입사되는 덮개(1030)의 개구부(1031)를 향할 수 있다.
반사부재(1110)가 장착된 유동홀더(1120)는 하우징(1150)의 내부공간에 움직임이 가능하게 수용된다. 다시 말해, 유동홀더(1120)은 제1 구동부(1170)의 작용에 의해 하우징(1150)과의 상대 간격이 유동홀더(1120)의 각 위치에 따라 차별되도록 유동할 수 있다.
유동홀더(1120)는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탄성부재(1130)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탄성부재(1130)는 하우징(1150)에도 고정되며, 제1 구동부(1170)의 구동에 의해 유동홀더(1120)는 하우징(1150)에 상대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손떨림 보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부재(1130)는, 하우징(1150)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1131)과, 고정프레임(1131)의 내부에 구비되고 유동홀더(1120)에 고정되는 유동프레임(1135), 및 고정프레임(1131)과 유동프레임(1135)을 연결하고 2개의 축(제1축 및 제2축)으로 회전 가능한 유동스프링(1133)을 포함한다. 그리고, 고정프레임(1131), 유동스프링(1133) 및 유동프레임(1135)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고정프레임(1131)과 유동프레임(1135)은 상호 사이즈만 상이하고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다각형상 또는 둥근형상의 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유동홀더(1120)는 탄성부재(1130)에 의해서만 하우징(1150)에 고정되므로 제1 구동부(1170)에 의해 2개의 축(제1축 및 제2축)을 기준으로 하는 유동하는 경우에는 정확하게 고정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운동을 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제1 구동부(1170)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방향(당기거나 밀리는 방향)으로 유동홀더(1120) 전체가 치우치게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동홀더(1120)의 구동 제어가 쉽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보완하여 유동홀더(1120)의 하부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포스트(1125)를 구비하여 유동홀더(1120)의 무게중심(회전중심)을 하부로 낮출 수 있다. 이에 의해, 유동홀더(1120)가 회전축을 기준으로 더욱 원에 가까운 회전 운동을 형성할 수 있다.
유동스프링(1133)은, 제1축(A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스프링(1133a)과, 제1축(A1)에 수직하는 제2축(A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스프링(1133b)을 일체로 구비한 구조일 수 있다(여기서, 제1축(A1)과 제2축(A2)은 유동홀더(1120)의 경사진 장착면(1126a)을 따라 구비되는 축으로 상호 수직한 축일 수 있다). 또한, 제1스프링(1133a)은 제1축(A1)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프링을 적어도 하나 구비하고, 제2스프링(1133b)은 제2축(A2)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프링을 적어도 하나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스프링(1133a)과 제2스프링(1133b)의 연결부는 절곡되거나 각진 형상일 수 있다(제1스프링(1133a)과 제2스프링(1133b)의 연결부가 둥근 형상인 경우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설명과 이의 도시인 도 5 및 도 6 참조). 유동스프링(1133)은 그 자체로 일체로 구비되는 구조이면서 제1축을 따라 구비되는 스프링과 제2축을 따라 구비되는 스프링을 구비하므로 제1축 및 제2축을 기준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제1 구동부(1170)는 유동홀더(1120)가 2개의 축(제1축(A1) 및 제2축(A2))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유동홀더(1120)는 각 부분에서 하우징(1150)의 바닥면과의 간격이 변동되도록 유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구동부(1170)는 복수의 마그네트(1171a, 1173a, 1175a, 1177a) 및 복수의 마그네트(1171a, 1173a, 1175a, 1177a)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코일(1171b, 1173b, 1175b, 1177b)을 포함한다.
복수의 코일(1171b, 1173b, 1175b, 1177b)에 전원을 인가하면, 복수의 마그네트(1171a, 1173a, 1175a, 1177a)와 복수의 코일(1171b, 1173b, 1175b, 1177b) 사이의 전자기적 영향력에 의하여 복수의 마그네트(1171a, 1173a, 1175a, 1177a)가 장착된 유동홀더(1120)를 제1축 및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복수의 마그네트(1171a, 1173a, 1175a, 1177a)는 유동홀더(1120)에 장착된다. 일 예로, 복수의 마그네트(1171a, 1173a, 1175a, 1177a)는 유동홀더(1120)의 포스트(1125)의 외부면에 장착될 수 있다.
복수의 코일(1171b, 1173b, 1175b, 1177b)은 하우징(1150)에 장착된다. 일 예로, 복수의 코일(1171b, 1173b, 1175b, 1177b)은 기판(1160)을 매개로 하우징(1150)의 삽입홀(1153)에 장착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코일(1171b, 1173b, 1175b, 1177b)은 기판(1160)에 구비되며, 기판(1160)은 삽입홀(1153)에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동홀더(1120)를 회전시킬 때, 유동홀더(1120)의 위치를 감지하여 피드백하는 폐루프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폐루프 제어를 위하여 위치 센서(1171c, 1175c)가 필요하다. 위치 센서(1171c, 1175c)는 홀 센서일 수 있다.
위치 센서(1171c, 1175c)는 각 코일(1171b, 1175b)의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되며, 각 코일(1171b, 1175b)이 장착되는 기판(1160)에 위치 센서(1171c, 1175c)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기판(1160)에는 사용자의 손떨림 등과 같은 흔들림 요인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코일(1171b, 1173b, 1175b, 1177b)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구동 회로소자(Driver IC,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9a 내지 도 19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가 제1축 또는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a 내지 도 19c를 참조하면, 유동홀더(1120)가 제1축(A1)을 기준으로 유동하는 경우에는 제1축(A1)에 수직한 제2축(A2) 방향을 따라 정렬된 마그네트(1175a, 1177a) 및 코일(1175b, 1177b)이 상호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다. 즉, 제1축(A1)을 기준으로 상부에 있는 마그네트(1175a)와 코일(1175b) 간의 간격이 하부에 있는 마그네트(1177a) 및 코일(1177b) 간의 간격보다 크거나 작도록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유동홀더(1120)가 제2축(A2)을 기준으로 유동하는 경우에는 제2축(A2)에 수직한 제1축(A1) 방향을 따라 정렬된 마그네트(1171a, 1173a) 및 코일(1171b, 1173b)이 상호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다. 즉, 제2축(A2)을 기준으로 일측에 있는 마그네트(1171a)와 코일(1171b) 간의 간격이 타측에 있는 마그네트(1173a) 및 코일(1173b) 간의 간격보다 크거나 작도록 유동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2)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500, 1000)이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일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 모듈(500, 10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카메라 모듈은, 도 2 내지 도 19c를 참조로 설명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1001, 1002, 1003)일 수 있다.
즉, 듀얼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경우, 2개의 카메라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1001, 1002, 1003)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는 자동 초점 조정, 줌, 손떨림 보정 등의 기능을 구현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2: 휴대용 전자기기
1000(1001, 1002, 1003): 카메라 모듈
1100, 1100-2, 1100-3: 반사모듈
1110: 반사부재
1120: 유동홀더
1010: 하우징
1170: 제1 구동부
1200: 렌즈모듈
1220: 렌즈홀더
1240: 제2 구동부
1300: 이미지 센서 모듈

Claims (16)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유동홀더;
    상기 유동홀더에 구비되는 반사부재; 및
    상기 유동홀더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대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구비되는 유동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유동프레임을 연결하고 상호 수직하는 2개의 축을 기준으로 각각 회전구동 가능한 유동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코일과 상기 유동홀더에 구비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과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반사부재의 반사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대향하게 구비되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스프링은,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스프링과, 상기 제1축에 수직하는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스프링을 일체로 구비하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은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프링을 적어도 하나 구비하고, 상기 제2스프링은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프링을 적어도 하나 구비하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과 상기 제2스프링의 연결부는 절곡되거나 각진 형상인 카메라용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유동프레임은 상면과 하면이 모두 동일 평면상에 구비되는 카메라용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유동프레임의 내측으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카메라용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유동프레임의 내측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홀더는 상기 유동프레임에 고정되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9.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짐벌;
    상기 짐벌에 구비되는 반사부재; 및
    상기 반사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대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짐벌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구비되는 제1유동프레임, 및 상기 제1유동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반사부재가 일면에 고정되는 제2유동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짐벌의 상기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에 구비되는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에 대향하게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코일과 상기 짐벌에 구비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과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반사부재의 반사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대향하게 구비되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제1유동프레임은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축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유동프레임과 상기 제2유동프레임은 상기 제2축에 수직하는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축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동프레임은 제1축을 기준으로 유동가능하고, 제2유동프레임은 제2축을 기준으로 유동가능한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동프레임의 상기 일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유동프레임의 일면보다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반사부재가 상기 돌출된 부분에 고정되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13. 삭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제2유동프레임에 구비되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복수개이고, 상기 마그네트 중 적어도 2개는 상기 제1유동프레임에 구비되고, 적어도 2개는 상기 제2유동프레임에 구비되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16.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모듈; 및
    상기 렌즈모듈의 전방에 배치되며, 내부로 입사된 광이 상기 렌즈 모듈을 향하도록 상기 광의 경로를 변화시키는 제1항 또는 제9항에 따른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170020555A 2017-02-15 2017-02-15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46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555A KR102046472B1 (ko) 2017-02-15 2017-02-15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5/825,719 US10416472B2 (en) 2017-02-15 2017-11-29 Reflecting module for OI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CN201820217987.6U CN207992655U (zh) 2017-02-15 2018-02-07 用于光学防抖的反射模块、相机模块及便携式电子装置
CN202011307022.4A CN112230442B (zh) 2017-02-15 2018-02-07 反射模块、相机模块、可运动保持件及壳体
CN201810122947.8A CN108427235B (zh) 2017-02-15 2018-02-07 用于光学防抖的反射模块、相机模块及便携式电子装置
CN202011320554.1A CN112255819A (zh) 2017-02-15 2018-02-07 用于光学防抖的反射模块、相机模块及便携式电子装置
CN202110190157.5A CN112965316B (zh) 2017-02-15 2018-02-07 反射模块、相机模块、可运动保持件及壳体
US16/535,132 US10877289B2 (en) 2017-02-15 2019-08-08 Reflecting module for OI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7/108,398 US11579462B2 (en) 2017-02-15 2020-12-01 Reflecting module for OI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7/134,080 US11579463B2 (en) 2017-02-15 2020-12-24 Reflecting module for OI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555A KR102046472B1 (ko) 2017-02-15 2017-02-15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302A Division KR102187734B1 (ko) 2019-11-12 2019-11-12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355A KR20180094355A (ko) 2018-08-23
KR102046472B1 true KR102046472B1 (ko) 2019-11-19

Family

ID=63105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555A KR102046472B1 (ko) 2017-02-15 2017-02-15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4) US10416472B2 (ko)
KR (1) KR102046472B1 (ko)
CN (5) CN1129653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78062B2 (en) * 2017-02-08 2020-06-0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Reflecting module for 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046472B1 (ko) * 2017-02-15 2019-11-19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46473B1 (ko) * 2017-03-08 2019-11-19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892857B1 (ko) * 2017-06-12 2018-08-28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67069B1 (ko) * 2017-06-16 2020-01-1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942743B1 (ko) 2017-10-31 2019-01-28 삼성전기 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0911667B2 (en) * 2018-05-11 2021-02-02 Tdk Taiwan Corp. Optical camera system
TWI672538B (zh) * 2018-09-12 2019-09-21 大陽科技股份有限公司 相機模組及電子裝置
CN109407441B (zh) * 2018-11-22 2020-05-12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无转轴防抖反射模块及潜望式模组
CN109413317B (zh) * 2018-12-11 2021-01-26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双向防抖反射模块及潜望式模组
CN111367036A (zh) 2018-12-26 2020-07-03 华为技术有限公司 镜头致动装置、潜望式拍摄模组及拍摄设备
KR20210114426A (ko) 2018-12-28 2021-09-23 옵토투네 아게 광학 이미징 시스템을 위한 틸팅 가능한 폴드 거울
CN111381344B (zh) * 2018-12-28 2022-07-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致动装置、潜望式摄像模组和移动终端
CN111479052B (zh) * 2019-01-23 2021-08-31 华为技术有限公司 移动马达、摄像模组及电子设备
KR20200118709A (ko) 2019-04-08 2020-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굴곡형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0243866A1 (zh) * 2019-06-01 2020-12-10 瑞声光学解决方案私人有限公司 一种应用于潜望式镜头模组的棱镜装置及潜望式镜头模组
US11245827B2 (en) * 2019-06-14 2022-02-0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amera module with rotatable reflection module
CN114303359A (zh) 2019-07-23 2022-04-08 Lg 伊诺特有限公司 相机致动器、包括该相机致动器的相机模块和相机设备
EP4007264A4 (en) * 2019-07-29 2023-08-23 LG Innotek Co., Ltd. CAMERA ACTUATOR
CN210431574U (zh) * 2019-08-20 2020-04-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光学防抖模组和电子设备
US11698525B2 (en) * 2019-09-06 2023-07-11 Tdk Taiwan Corp. Optical member driving mechanism
CN213182169U (zh) * 2019-11-01 2021-05-11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光学元件驱动机构
CN111050042A (zh) * 2019-12-24 2020-04-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1308643B (zh) * 2019-12-25 2024-04-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头模组、潜望式摄像头模组、摄像头组件及电子装置
US11693221B2 (en) * 2019-12-25 2023-07-0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amera module, camera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CN110879454A (zh) * 2019-12-25 2020-03-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头模组、潜望式摄像头模组、摄像头组件及电子装置
JP6960985B2 (ja) * 2019-12-27 2021-11-05 エーエーシー オプティックス ソリューションズ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手振れ補正機能付き撮像装置
WO2021134275A1 (zh) * 2019-12-30 2021-07-08 诚瑞光学(常州)股份有限公司 反射模组及潜望式摄像头
CN110967803A (zh) * 2019-12-31 2020-04-07 上海比路电子股份有限公司 棱镜马达及成像系统
KR102319601B1 (ko) * 2020-01-16 2021-11-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20230185161A1 (en) * 2020-04-28 2023-06-15 Lg Innotek Co., Ltd. Camera actuator and camera device comprising same
KR20210142955A (ko) * 2020-05-19 2021-11-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CN112911093A (zh) * 2020-05-28 2021-06-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摄像头模组、电子设备、拍摄处理方法及存储介质
CN213581563U (zh) * 2020-06-30 2021-06-29 诚瑞光学(常州)股份有限公司 光学装置及电子设备
CN113960742A (zh) * 2020-07-03 2022-01-21 新思考电机有限公司 光学部件驱动装置、照相装置以及电子设备
TWI743898B (zh) 2020-07-22 2021-10-21 大陽科技股份有限公司 可達成影像穩定的反射模組、相機模組與電子裝置
CN111624728B (zh) * 2020-07-29 2020-10-27 瑞声通讯科技(常州)有限公司 反射模组及潜望式摄像头
US20220066287A1 (en) * 2020-08-27 2022-03-03 Apple Inc. Folded Optics with Tilt Actuator and Spring Suspension
KR102516761B1 (ko) * 2020-09-02 2023-03-31 삼성전기주식회사 폴디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TWI738514B (zh) 2020-09-16 2021-09-01 大陽科技股份有限公司 使用反射元件的相機模組及電子裝置
JP7013628B1 (ja) * 2020-11-27 2022-02-01 エスゼット ディージェイアイ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レンズ装置、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移動体
JPWO2022181649A1 (ko) * 2021-02-24 2022-09-01
WO2022235111A1 (ko) * 2021-05-06 2022-11-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CN117908216A (zh) * 2024-03-12 2024-04-19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一种反射驱动组件以及摄像模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8005A (ja) * 2006-02-21 2007-09-06 Casio Comput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US20120154614A1 (en) * 2009-08-21 2012-06-21 Akihiro Moriya Camera-shake correction device
WO2016166730A1 (en) * 2015-04-16 2016-10-20 Corephotonics Ltd. Auto focus and optical image stabilization in a compact folded camera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8134B2 (ja) * 1994-06-20 2000-05-08 シャープ株式会社 撮像装置
KR100233050B1 (ko) 1997-10-10 1999-12-01 윤종용 비디오 카메라의 손떨림 보정장치
JPH11308174A (ja) * 1998-04-20 1999-11-05 Sony Corp ミラー保持体とこれを用いた光軸補正装置
JP4428741B2 (ja) * 1998-09-04 2010-03-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ガルバノミラーアクチュエータ
JP2002214662A (ja) * 2001-01-23 2002-07-31 Olympus Optical Co Ltd 光学装置の振れ補正装置
KR100413799B1 (ko) 2001-10-09 2004-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동 미러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프로젝터
JP2006133281A (ja) * 2004-11-02 2006-05-25 Sharp Corp 反射面揺動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カメラモジュール
JP2006330439A (ja) * 2005-05-27 2006-12-07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レンズユニットを用いた撮像装置
EP1923985A4 (en) * 2005-09-07 2016-09-21 Alps Electric Co Ltd ACTUATOR AND HOLOGRAPHIC DEVICE USING THE SAME
KR100704374B1 (ko) * 2005-10-14 2007-04-06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형 틸팅장치 및 그 작동방법
US7643196B2 (en) * 2005-12-16 2010-01-05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actuating a moveable miniature platform
US20090122406A1 (en) 2006-02-06 2009-05-14 Jarkko Rouvinen Optical Image Stabilizer Using Gimballed Prism
US7663736B2 (en) * 2007-04-10 2010-02-16 Sanyo Electric Co., Ltd. Laser radar driving apparatus
JP5188138B2 (ja) * 2007-10-15 2013-04-24 キヤノン株式会社 像ぶれ補正装置を有する光学機器
JP5039019B2 (ja) 2008-12-25 2012-10-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手振れ補正装置及び光学機器
JP2010190984A (ja) * 2009-02-16 2010-09-02 Nidec Sankyo Corp 撮影用光学装置
JP5446450B2 (ja) 2009-05-20 2014-03-19 船井電機株式会社 レーザプロジェクタ
JP2011186409A (ja) * 2010-03-11 2011-09-22 Olympus Corp 手ブレ補正機構、及び、撮像モジュール
US8213783B2 (en) * 2010-11-18 2012-07-03 Tdk Taiwan Corp. Anti-shake device and optical system having the same
JP5828660B2 (ja) 2011-04-11 2015-12-09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2013238848A (ja) 2012-04-20 2013-11-28 Hoya Corp 撮像装置
JP5797627B2 (ja) * 2012-09-25 2015-10-21 Hoya株式会社 撮像装置
JP6114049B2 (ja) 2013-02-04 2017-04-12 Hoya株式会社 撮像装置
TWI546570B (zh) * 2013-07-01 2016-08-21 台灣東電化股份有限公司 可切換光路徑之光學防震機構
US9285566B2 (en) * 2013-08-08 2016-03-15 Apple Inc. Mirror tilt actuation
JP2015148737A (ja) * 2014-02-07 2015-08-2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ブレ補正装置、レンズ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KR20160001577A (ko) * 2014-06-26 2016-01-06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JP6479354B2 (ja) 2014-06-30 2019-03-06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ミラー駆動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6382066B2 (ja) * 2014-10-27 2018-08-29 Hoya株式会社 撮像装置
JP6507628B2 (ja) 2014-12-24 2019-05-08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ー、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KR20160103437A (ko) 2015-02-24 2016-09-01 삼성전기주식회사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TWI560483B (en) * 2015-04-08 2016-12-01 Tdk Taiwan Corp Lens driving apparatus with closed-loop anti-shake structure
CN104834315B (zh) 2015-05-29 2017-09-08 桂林电子科技大学 小型晒谷场收谷机器人及其控制方法
TWI588592B (zh) * 2015-06-16 2017-06-21 台灣東電化股份有限公司 簧片式旋轉模組
CN116661090A (zh) * 2016-05-10 2023-08-29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镜头系统
KR102046472B1 (ko) * 2017-02-15 2019-11-19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355519B1 (ko) 2017-05-02 2022-0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그의 구동 방법
US10712633B2 (en) * 2017-05-12 2020-07-14 Tdk Taiwan Corp. Optical system
US11105962B2 (en) * 2018-01-25 2021-08-31 Tdk Taiwan Corp. Optica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optical system
KR20210000069A (ko) * 2019-06-24 2021-01-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8005A (ja) * 2006-02-21 2007-09-06 Casio Comput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US20120154614A1 (en) * 2009-08-21 2012-06-21 Akihiro Moriya Camera-shake correction device
WO2016166730A1 (en) * 2015-04-16 2016-10-20 Corephotonics Ltd. Auto focus and optical image stabilization in a compact folded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230442A (zh) 2021-01-15
US20210080744A1 (en) 2021-03-18
CN112965316A (zh) 2021-06-15
US11579462B2 (en) 2023-02-14
CN112255819A (zh) 2021-01-22
KR20180094355A (ko) 2018-08-23
CN112230442B (zh) 2022-10-21
US10416472B2 (en) 2019-09-17
US20190361260A1 (en) 2019-11-28
CN112965316B (zh) 2022-10-21
US20210116716A1 (en) 2021-04-22
US20180231793A1 (en) 2018-08-16
US10877289B2 (en) 2020-12-29
CN108427235A (zh) 2018-08-21
CN207992655U (zh) 2018-10-19
US11579463B2 (en) 2023-02-14
CN108427235B (zh) 202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6472B1 (ko)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46473B1 (ko)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513965B1 (ko)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473411B1 (ko) 카메라 모듈
KR102004802B1 (ko)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892857B1 (ko)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67069B1 (ko) 카메라 모듈
KR101973434B1 (ko)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230647B1 (ko)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309464B1 (ko) 카메라 모듈
KR102233934B1 (ko)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241321B1 (ko)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187734B1 (ko)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442834B1 (ko) 카메라 모듈
KR102260376B1 (ko) 폴디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2516761B1 (ko) 폴디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561616B1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