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434B1 -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434B1
KR101973434B1 KR1020170061821A KR20170061821A KR101973434B1 KR 101973434 B1 KR101973434 B1 KR 101973434B1 KR 1020170061821 A KR1020170061821 A KR 1020170061821A KR 20170061821 A KR20170061821 A KR 20170061821A KR 101973434 B1 KR101973434 B1 KR 101973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xis
holder
driv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5420A (ko
Inventor
이타경
임아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US15/842,471 priority Critical patent/US10534194B2/en
Priority to CN201820257969.0U priority patent/CN208060910U/zh
Priority to CN201810148780.2A priority patent/CN108459451B/zh
Publication of KR20180095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434B1/ko
Priority to US16/701,663 priority patent/US1126919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Abstract

본 발명은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반사모듈은 내부공간을 갖는 하우징; 반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는 구동홀더;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 상기 구동홀더의 사이에 끼워지는 구동판; 및 상기 구동홀더가 유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판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구동홀더는 상기 구동판에 대해, 각각 선택적으로 광축에 대략 수직하는 일축을 따라 직선 운동 또는 상기 일축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및 상기 구동홀더에는 각각 선택적으로 풀링마그네트 또는 풀링요크가 구비되고, 상기 풀링마그네트와 상기 풀링요크의 인력에 의해 상기 구동홀더가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 초점 조정, 줌, 손떨림 보정 등의 기능을 구현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OIS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카메라가 기본적으로 채용되고 있으며, 모바일 단말용 카메라에는 자동 초점 기능, 손떨림 보정 기능 및 줌 기능 등이 구비된다.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구조가 복잡해짐에 따라, 나날이 소형화되는 모바일 단말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의 사이즈를 줄이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그리고, 손떨림 보정을 위하여 렌즈를 포함하는 배럴, 홀더 등을 직접 움직이는 경우에는 렌즈 자체의 무게와, 렌즈 등이 부착되어 있는 다른 부재들의 무게를 모두 고려하여야 하므로, 이들의 이동을 위해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구동력이 필요하게 되어, 전력 소모가 심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자동 초점 조정, 줌, 손떨림 보정 등의 기능을 구현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은 내부공간을 갖는 하우징; 반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는 구동홀더;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 상기 구동홀더의 사이에 끼워지는 구동판; 및 상기 구동홀더가 유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판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구동홀더는 상기 구동판에 대해, 각각 선택적으로 광축에 대략 수직하는 일축을 따라 직선 운동 또는 상기 일축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및 상기 구동홀더에는 각각 선택적으로 풀링마그네트 또는 풀링요크가 구비되고, 상기 풀링마그네트와 상기 풀링요크의 인력에 의해 상기 구동홀더가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은 자동 초점 조정, 줌, 손떨림 보정 등의 기능을 구비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사이즈가 작을 수 있다. 또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6a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동판과 구동홀더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덮개를 제외한 나머지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하우징과 기판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하우징과 구동홀더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홀더가 제2축을 따라 직선운동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홀더가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기판과 이에 장착된 코일 및 부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1)는 카메라 모듈(1000)이 장착된 휴대용 전자기기, 가령, 이동 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1)에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 모듈(1000)이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1000)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렌즈의 광축(Z축)이 휴대용 전자기기(1)의 두께 방향(Y축 방향,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면(Front Surface)에서 후면(Rear Surface)을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향한다.
일 예로, 카메라 모듈(1000)에 구비된 복수의 렌즈의 광축(Z축)은 휴대용 전자기기(1)의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X축 방향 또는 Z축 방향).
따라서, 카메라 모듈(1000)이 자동 초점 조정(Auto Focusing, 이하 AF), 줌(Zoom) 및 손떨림 보정(Optical Image Stabilizing, 이하 OIS) 등의 기능을 구비하더라도 휴대용 전자기기(1)의 두께가 증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1)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AF, Zoom 및 OIS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AF, Zoom 및 OIS 기능 등을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1000)은 다양한 부품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에 비하여 카메라 모듈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면 카메라 모듈(1000)이 장착되는 휴대용 전자기기(1)의 소형화에 문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Zoom 기능을 위하여 적층 렌즈의 수가 많아지게 되고, 다수의 적층 렌즈가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적층되는 렌즈의 수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도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 적층 렌즈의 수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없어 Zoom 성능이 약해지게 된다.
또한, AF 및 OIS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는 렌즈 군을 광축 방향 또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렌즈 군의 광축(Z축)이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렌즈군을 이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도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 방향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가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복수의 렌즈의 광축(Z축)이 휴대용 전자기기(1)의 두께 방향에 수직하도록 배치되므로(즉, 휴대용 전자기기(1)의 넓은 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 AF, Zoom 및 OIS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모듈(1000)이 장착되더라도 휴대용 전자기기(1)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하우징(1010)에 구비되는 반사모듈(1100), 렌즈모듈(1200) 및 이미지 센서모듈(1300)을 포함한다.
반사모듈(1100)은 광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카메라 모듈(1000)을 상부에서 덮어주는 덮개(1030)의 개구부(1031, 도 3a 참조)를 통해 입사된 광은 반사모듈(1100)을 통해 렌즈모듈(1200)로 향하도록 진행 방향이 바뀔 수 있다. 이를 위해 반사모듈(1100)은 광을 반사하는 반사부재(1110)를 구비할 수 있다.
개구부(1031)를 통해 입사된 광은, 반사모듈(1100)에 의해 렌즈모듈(1200)을 향하도록 경로가 바뀌게 된다. 가령, 카메라 모듈(1000)의 두께 방향(Y축 방향)으로 입사된 광은 반사모듈(1100)에 의해 광축(Z축) 방향과 대략 일치하도록 경로가 변경된다.
렌즈모듈(1200)은 반사모듈(1100)에 의해 진행 방향이 변경된 광이 통과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며, 이미지센서모듈(1300)은 복수의 렌즈를 통과한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1310) 및 이미지센서(1310)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13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미지센서모듈(1300)은 렌즈모듈(1200)에서 입사되는 광을 필터링하는 광학필터(1340)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필터(1340)는 적외선 차단 필터일 수 있다.
하우징(1010)의 내부공간에서, 렌즈모듈(1200)을 중심으로 이의 전방에 반사모듈(1100)이 구비되고, 렌즈모듈(1200)의 후방에 이미지센서모듈(1300)이 구비된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하우징(1010)에 구비되는 반사모듈(1100), 렌즈모듈(1200) 및 이미지 센서모듈(1300)을 포함한다.
하우징(1010)의 내부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반사모듈(1100), 렌즈모듈(1200) 및 이미지센서모듈(1300)이 구비된다. 물론, 반사모듈(1100), 렌즈모듈(1200) 및 이미지센서모듈(1300)이 내삽되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한다(여기서, 이미지센서모듈(1300)을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1320)은 하우징(1010)의 외부에 부착될 수 있다). 가령,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10)은 내부공간에 반사모듈(1100) 및 렌즈모듈(1200)이 모두 내삽되도록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가령, 반사모듈(1100)과 렌즈모듈(1200)을 각각 내삽하는 별도의 하우징이 상호 연결된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하우징(1010)은 덮개(1030)에 의해 내부공간이 보이지 않도록 덮여질 수 있다.
덮개(1030)는 광이 입사하도록 개구부(1031)를 구비하며, 개구부(1031)를 통해 입사된 광은 반사모듈(1100)에 의해 진행 방향이 변경되어 렌즈모듈(1200)로 입사한다. 덮개(1030)는 하우징(1010)의 전체를 덮도록 일체로 구비되거나, 반사모듈(1100)과 렌즈모듈(1200)을 각각 덮는 별개의 부재로 나누어져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반사모듈(1100)은 광을 반사하는 반사부재(1110)를 구비한다. 그리고, 렌즈모듈(1200)로 입사된 광은 복수의 렌즈를 통과한 후 이미지센서(1310)에 의해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저장된다.
하우징(1010)은 내부공간에 반사모듈(1100) 및 렌즈모듈(1200)을 구비한다. 하우징(1010)의 내부공간은 반사모듈(1100)이 배치되는 공간과 렌즈모듈(1200)이 배치되는 공간이 돌출벽(1007)에 의해 상호 구별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벽(1007)을 기준으로 전방측에는 반사모듈(1100)이 구비되고 후방측에는 렌즈모듈(1200)이 구비될 수 있다. 돌출벽(1007)은 하우징(1010)의 측벽에서 내부공간으로 양쪽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X축 방향으로 돌출).
전방측에 구비되는 반사모듈(1100)에서, 하우징(1010)의 내벽면에 구비되는 풀링요크(1153)는 구동홀더(1120)에 구비되는 풀링마그네트(1151)와 인력이 형성되며, 이에 의해 구동홀더(1120)가 하우징(1010)의 내벽면에 밀착 지지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도면의 도시는 생략하지만, 하우징(1010)에 풀링마그네트가 구비되고 구동홀더(1120)에 풀링요크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구조로 설명한다.
그리고, 하우징(1010)의 내벽면과 구동홀더(1120)의 사이에는 제1 볼베어링(1131), 구동판(1130) 및 제2 볼베어링(1133)이 구비되며, 이하 상술하겠지만 제1 볼베어링(1131)과 제2 볼베어링(1133)은 안착홈(1132, 1134, 1021, 1121)에 일부가 삽입되면서 밀착되므로 구동홀더(1120) 및 구동판(1130)을 하우징(1010)의 내부공간에 삽입하는 경우에는 구동홀더(1120)와 돌출벽(1007) 사이에 약간의 공간이 필요하고, 구동홀더(1120)가 하우징(1010)에 장착되고 난 후에는 풀링요크와 풀링마그네트의 인력에 의해 구동홀더(1120)가 하우징(1010)의 내벽면에 밀착되므로 구동홀더(1120)와 돌출벽(1007) 사이에 약간의 공간이 남게 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홀더(1120)를 지지하면서 돌출벽(1007)에 끼워지는 후크 형상의 스토퍼(1050)를 구비할 수 있다(물론, 스토퍼(1050)가 없더라도 풀링마그네트(1151)와 풀링요크(1153)에 의한 인력에 의해 고정 가능하다). 스토퍼(1050)는 후크 형상으로 구비되어 후크 부분이 돌출벽(1007)의 상부에 걸림된 상태로 구동홀더(1120)를 지지할 수 있다. 물론, 스토퍼(1050)가 구동홀더(1120)를 지지한다고 설명하기는 하나, 실질적으로는 구동홀더(1120)가 움직여야 하므로 스토퍼(1050)와 구동홀더(1120)의 사이에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스토퍼(1050)를 탄성재질로 구비하여 회전홀더(1120)가 스토퍼(1050)에 지지된 상태로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스토퍼(1050)는 반사모듈(1100)이 구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구동홀더(1120)를 지지하는 브라켓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반사모듈(1100)이 구동되는 경우에는 추가로 구동홀더(1120)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스토퍼(1050) 역할을 할 수 있다. 스토퍼(1050)는 양쪽에서 돌출되는 돌출벽(1007)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10)은 반사모듈(1100)과 렌즈모듈(1200)을 각각 구동하기 위해 제1 구동부(1140)와 제2 구동부(1240)를 구비한다. 제1 구동부(1140)는 반사모듈(1100)의 구동을 위한 복수의 코일(1141b, 1143b, 1145b)을 포함하고, 제2 구동부(1240)는 렌즈모듈(1200)의 구동을 위한 복수의 코일(1241b, 1243b)을 포함한다. 그리고, 복수의 코일(1141b, 1143b, 1145b, 1241b, 1243b)은 메인기판(1070)에 실장된 상태로 하우징(1010)에 구비되므로, 하우징(1010)에는 복수의 코일(1141b, 1143b, 1145b, 1241b, 1243b)이 하우징(1010)의 내부공간으로 노출되도록 복수의 관통홀(1015, 1016, 1017, 1018, 1019)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코일(1141b, 1143b, 1145b, 1241b, 1243b)이 실장되는 메인기판(1070)은 도면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전체적으로 연결되어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단자가 1개로 구비되므로 외부전원 및 신호 연결이 용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메인기판(1070)은, 가령, 반사모듈(1100)용 코일이 실장되는 기판과 렌즈모듈(1200)용 코일이 실장되는 기판을 분리하는 등에 의해 복수 개의 기판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반사모듈(1100)은 개구부(1031)를 통해 입사되는 광의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미지 또는 동영상 촬영 시 사용자의 손떨림 등에 의해 이미지가 번지거나 동영상이 흔들릴 수 있으며, 이 경우 반사모듈(1100)은 반사부재(1110)가 장착된 구동홀더(1120)를 움직여 사용자의 손떨림 등을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떨림 등에 의해 이미지 촬영 또는 동영상 촬영 시 흔들림이 발생할 때, 흔들림에 대응하는 상대변위를 구동홀더(1120)에 부여함으로써 흔들림을 보상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렌즈 등을 포함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벼운 구동홀더(1120)의 이동에 의해 OIS 기능이 구현되므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손떨림 보정(OIS, Optical Image Stabilizer)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복수의 렌즈가 구비되는 렌즈배럴 또는 이미지센서를 이동시키지 않고, 반사부재(1110)가 구비되는 구동홀더(1120)를 이동하여 광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여, 손떨림 등이 보정된 광이 렌즈모듈(1200)에 입사되도록 할 수 있다.
반사모듈(1100)은 하우징(1010)에 지지되게 구비되는 구동홀더(1020), 구동홀더(1020)에 장착되는 반사부재(1110), 및 구동홀더(112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1140)를 포함한다.
반사부재(1110)는 광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가령, 반사부재(1110)는 광을 반사시키는 미러(Mirror) 또는 프리즘(Prism)일 수 있다(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시예와 관련한 도면의 도시에서는 반사부재(1110)를 프리즘으로 도시한다).
반사부재(1110)는 구동홀더(1120)에 고정된다. 구동홀더(1120)에는 반사 부재(1110)가 장착되는 장착면(1123)이 구비된다.
구동홀더(1120)의 장착면(1123)은 광의 경로가 변경되도록 경사진 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령, 장착면(1123)은 복수의 렌즈의 광축(Z축)에 대하여 30~60도 기울어진 경사면일 수 있다. 그리고, 구동홀더(1120)의 경사면은 광이 입사되는 덮개(1030)의 개구부(1031)를 향할 수 있다.
반사부재(1110)가 장착된 구동홀더(1120)는 하우징(1010)의 내부공간에 움직임이 가능하게 수용된다. 가령, 구동홀더(1120)는 하우징(1010) 내에서 제1축(X축) 및 제2축(Y축) 중 어느 한 축을 따라 직선운동하고, 또한, 직선운동하는 방향과 나란한 축을 기준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홀더(1120)는, 제1축(X축)을 따라 직선운동 및 제1축(X축)을 기준으로 회전운동하거나, 또는, 제2축(Y축)을 따라 직선운동 및 제2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도면에 도시된 대로, 구동홀더(1120)가 제2축(Y축)을 따라 직선운동 및 제2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제1축(X축) 및 제2축(Y축)은 광축(Z축)에 수직한 축을 의미할 수 있고, 제1축(X축)과 제2축(Y축)은 상호 수직한 축일 수 있다.
구동홀더(1120)는 제2축(Y축)을 따라 직선운동 및 제2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운동이 원활하도록 구동판(113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되고 제2축(Y축)을 따라 정렬된 제1 볼베어링(1131)과 제2축(Y축)을 따라 정렬된 제2 볼베어링(1133)에 의해 하우징(1010)에 지지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볼베어링(1131)은 제2축(Y축)을 따라 직선운동을 담당하고, 제2 볼베어링(1133)은 제2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운동을 담당한다.
도면의 도시에서는, 일 예로 제2축(Y축)을 따라 정렬되는 2개로 구성된 제1 볼베어링(1131) 2세트(1131a, 1131b)와 제2축(Y축)을 따라 정렬되는 2개의 제2 볼베어링(1133)을 개시한다. 한편, 구동판(1130)이 하우징(1010)에 지지된 상태로 제2축(Y축)을 따라 이동하므로, 안정적인 이동을 위해 제2축(Y축)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볼베어링(1131) 세트(1131a, 1131b)가 제1축(X축) 방향으로 이격하여 적어도 2개 필요하다. 이 경우, 2개의 세트(1131a, 1131b) 중 어느 하나의 세트에는 1개의 제1 볼 베어링(1131)만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홀더(1120)는 제2축(Y축)을 따라 직선운동 및 제2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운동을 하므로, 제1 볼베어링(1131) 또는 제2 볼베어링(1133)은 제2축(Y축)을 따라 연장된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라면 안착홈(1132, 1134, 1021, 1121)의 형상도 제1 및 제2 볼베어링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반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도 6b 참조). 한편, 도 6b의 도시에서는 제1 볼베어링(1131)은 2개가 제2축(Y) 방향으로 정렬된 2 세트로 개시되나, 이들을 통합하여 제1축(X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2개의 기둥형(원기둥 또는 반원기둥) 베어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볼베어링(1133)은 2개 구비되는 것을 도시했으나, 제2축(Y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1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볼베어링(1131)과 제2 볼베어링(1133)은 각각 구동판(1130)의 전면과 후면에 구비되며, 구동판(1130)은 구동홀더(1120)와 하우징(1010)의 내측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홀더(1120)에 구비되는 풀링마그네트(1151) - 또는 풀링요크 - 와 하우징(1010)에 구비되는 풀링요크(1153) - 또는 풀링마그네트 - 의 인력에 의해 구동홀더(1120)가 구동판(1130)을 매개로 하우징(1010)에 지지될 수 있다(물론, 제1 볼베어링(1131)과 제2 볼베어링(1133)도 구동홀더(1120)와 하우징(1010)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음).
한편, 본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제1 볼베어링(1131)은 제2축(Y축)을 따라 회전운동을 담당하고, 제2 볼베어링(1133)은 제2축(Y축)을 기준으로 직선운동을 담당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볼베어링(1131)과 제2 볼베어링(1133)의 배치 형상 및 이들이 배치되는 안착홈의 형상도 상호 바뀔 수 있다.
구동판(1130)의 전면과 후면에는 제1 볼베어링(1131)과 제2 볼베어링(1133)이 삽입되도록 안착홈(1132, 1134)이 구비될 수 있으며, 안착홈(1132, 1134)은 제1 볼베어링(1131)이 일부 삽입되는 제1 안착홈(1132)과 제2 볼베어링(1133)이 일부 삽입되는 제2 안착홈(113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10)에는 제1 볼베어링(1131)이 일부 삽입되도록 제3 안착홈(1021)이 구비될 수 있고, 구동홀더(1120)에는 제2 볼베어링(1133)이 일부 삽입되도록 제4 안착홈(1121)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볼베어링(1131)은 제1 안착홈(1132) 및 제3 안착홈(1021)에 삽입되며, 제1 볼베어링(1131)은 구동판(1130)과 하우징(1010)의 사이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1 볼베어링(1131)은 구동판(1130)이 제2축(Y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제1 볼베어링(1131)이 구름이동 또는 미끄럼이동이 가능해야 한다. 그러므로, 제1 안착홈(1132) 및 제3 안착홈(10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2축(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홈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구동홀더(1120)가 제2축(Y)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제1 안착홈(1132)과 제3 안착홈(1021)에 삽입되는 제1 볼베어링(1131)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호 대향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안착홈(1132) 및 제3 안착홈(1021)은 깊이가 깊어질수록 단면의 폭이 작아지는 형상(가령, 홈의 단면이 'V' 형상, 'U' 형상, 둥근 형상, 다각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볼베어링(1133)은 제2 안착홈(1133) 및 제4 안착홈(1121)에 삽입되며, 제2 볼베어링(1133)은 구동판(1130)과 구동홀더(1120)의 사이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2 볼베어링(1133)은 구동홀더(1120)가 제2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제2 안착홈(1133) 및 제4 안착홈(1121)은 제2 볼베어링(1133)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둥근 홈(반구형 등) 또는 다각(다각 기둥 또는 다각 뿔)의 홈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볼베어링(1131)과 제2 볼베어링(1133)의 이동 또는 회전 용이성을 위해 홈의 깊이는 반경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볼베어링(1131)과 제2 볼베어링(1133)이 홈의 내부로 전체가 잠기지 않고 일부는 노출되어 구동판(1130)의 이동과 구동홀더(1120)의 회전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제1 안착홈(1132), 제2 안착홈(1134), 제3 안착홈(1021), 및 제4 안착홈(1121)은 제2축(Y축)을 따라 정렬된 제1 볼베어링(1131)의 세트와 제2축(Y축)을 따라 정렬된 제2 볼베어링(1133)에 상응하는 위치 및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볼베어링(1131)과 제2 볼베어링(1133)은 제1 안착홈(1132), 제2 안착홈(1134), 제3 안착홈(1021), 및 제4 안착홈(1121)에서 구름 이동하거나 미끄럼 이동하면서 베어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볼베어링(1131)과 제2 볼베어링(1133)은 하우징(1010), 구동판(1130) 및 구동홀더(1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 구비되는 구조일 수 있다. 가령, 제1 볼베어링(1131)은 하우징(1010) 또는 구동판(1130)에 고정 구비되고, 제2 볼베어링(1133)은 구동판(1130) 또는 구동홀더(1120)에 고정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볼베어링(1131) 또는 제2 볼베어링(1133)이 고정 구비되는 부재에 대향하는 부재에만 안착홈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볼베어링의 회전이 아닌 미끄럼 이동에 의한 마찰 베어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볼베어링(1131)과 제2 볼베어링(1133)은 하우징(1010), 구동판(1130) 및 구동홀더(1120) 중 어느 하나에 고정 구비되는 구조일 경우에는 제1 볼베어링(1131)과 제2 볼베어링(1133)은 구형 또는 반구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물론, 반구형은 일 예이고, 반구보다 더 크거나 반구보다 더 작은 돌출 길이를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볼베어링(1131, 1133)이 각각 제2축(Y축)을 따라 연장된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볼베어링(1131)과 제2 볼베어링(1133)은 별도로 제조된 것을 하우징(1010), 구동판(1130) 및 구동홀더(1120) 중 어느 하나에 구비 또는 부착할 수 있다. 또는, 제1 볼베어링(1131)과 제2 볼베어링(1133)을 하우징(1010), 구동판(1130) 및 구동홀더(1120)의 제조시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1 구동부(1140)는 구동홀더(1120)가 제2축(Y축)을 따라 이동하거나 제2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일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부(1140)는 복수의 마그네트(1141a, 1143a, 1145a) 및 복수의 마그네트(1141a, 1143a, 1145a)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코일(1141b, 1143b, 1145b)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면에 도시된 복수의 코일(1141b, 1143b, 1145b)이 구비되는 하우징(1010)의 3개의 면과 풀링요크(1153)이 구비되는 면을 포함한 4개의 면에 활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동 코일을 배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마그네트의 배치도 변경할 수 있다.
복수의 코일(1141b, 1143b, 1145b)에 전원을 인가하면, 복수의 마그네트(1141a, 1143a, 1145a)와 복수의 코일(1141b, 1143b, 1145b) 사이의 전자기적 영향력에 의하여 복수의 마그네트(1141a, 1143a, 1145a)가 장착된 구동홀더(1120)를 제2축(Y축)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제2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복수의 마그네트(1141a, 1143a, 1145a)는 구동홀더(1120)에 장착된다. 일 예로, 복수의 마그네트(1141a, 1143a, 1145a) 중 일부(1141a)는 구동홀더(1120)의 하부면에 장착되고, 나머지(1143a, 1145a)는 구동홀더(1120)의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복수의 코일(1141b, 1143b, 1145b)은 하우징(1010)에 장착된다. 일 예로, 복수의 코일(1141b, 1143b, 1145b)은 메인기판(1070)을 매개로 하우징(1010)에 장착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코일(1141b, 1143b, 1145b)은 메인기판(1070)에 구비되며, 메인기판(1070)은 하우징(1010)에 장착된다. 여기서, 도면의 도시에서 메인기판(1070)은 반사모듈(1100)용 코일과 렌즈모듈(1200)용 코일이 모두 실장되도록 전체적으로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예시를 도시하나, 메인기판(1070)은 반사모듈(1100)용 코일과 렌즈모듈(1200)용 코일이 각각 실장되도록 2개 이상의 기판으로 분리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메인기판(1070)의 하부에는 강도 보강을 위해 보강판(미도시)이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구동홀더(1120)를 회전시킬 때, 구동홀더(1120)의 위치를 감지하여 피드백하는 폐루프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폐루프 제어를 위하여 위치 센서(1141c, 1143c)가 필요하다. 위치 센서(1141c, 1143c)는 홀 센서일 수 있다.
위치 센서(1141c, 1143c)는 각 코일(1141b, 1143b)의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되며, 각 코일(1141b, 1143b)이 장착되는 메인기판(1070)에 위치 센서(1141c, 1143c)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메인기판(1070)에는 사용자의 손떨림 등과 같은 흔들림 요인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코일(1141b, 1143b, 1145b)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구동 회로소자(Driver IC,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홀더가 제2축을 따라 직선운동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홀더가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면, 구동홀더(1120)가 제2축(Y축)을 따라 직선운동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2세트로 구비되고 제2축(Y축)을 따라 배열된 제1 볼베어링(1131)을 타고 구동판(1130)이 직선운동하면서 구동홀더(1120)는 덩달아 제2축(Y축)을 따라 직선운동하게 된다(이 경우 구동홀더(1120)는 구동판(1130)에 상대이동하지 않음). 또한,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하면, 구동홀더(1120)가 제2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운동하는 경우에는 제2축(Y축)을 따라 볼베어링이 배열된 제2 볼베어링(1133)을 타고 구동홀더(1120)가 회전하게 된다(이 경우 구동판(1130)은 회전하지 않으므로, 구동홀더(1120)가 구동판(1130)에 상대이동하게 됨).
즉, 구동홀더(1120)가 제2축(Y축)을 따라 직선운동하는 경우에는 제1 볼베어링(1131)이 작용하고, 구동홀더(1120)가 제2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제2 볼베어링(1133)이 작용한다. 이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축(Y축)을 기준으로 직선운동하는 경우에는 제2축(Y축)을 기준으로 정렬된 제2 볼베어링(1133)은 안착홈에 끼워진 상태로 움직일 수 없는 구조이고, 제2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운동하는 경우에는 제2축(Y축)을 기준으로 정렬된 제1 볼베어링(1131)이 제1축(X축) 방향으로 이격하여 적어도 2세트로 구비되므로 구동홀더(1120)가 구동판(1130)에 지지된 상태로 상대움직임이 발생할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렌즈모듈(1200)로 반사모듈(1100)에 의해 경로가 변경된 광이 입사된다. 그러므로 렌즈모듈(12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적층 렌즈는 광축이 반사모듈(1100)에서 광이 출사되는 방향인 Z축으로 정렬된다. 그리고, 렌즈모듈(1200)은 AF, 줌 기능 등의 구현을 위해 제2 구동부(1240)를 구비한다. 아울러, AF, 줌 기능의 구현을 위해 손떨림 보정을 위한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가벼운 렌즈모듈(1200)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렌즈모듈(1200)은 하우징(101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렌즈홀더(1220), 내부에 적층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홀더(1220), 및 렌즈홀더(1220)를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1240)를 포함한다.
렌즈홀더(1220)에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복수의 렌즈가 수용되며, 복수의 렌즈는 광축을 따라 렌즈홀더(1220)에 장착된다.
반사모듈(1100)에 의해 진행 방향이 변경된 광은 복수의 렌즈를 통과하며 굴절된다. 복수의 렌즈의 광축(Z축)은 렌즈모듈(1100)의 두께 방향(Y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된다.
렌즈홀더(1220)는 AF(오토포커스)를 위하여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렌즈홀더(1220)는 반사모듈(1100)에 의해 진행 방향이 변경된 광이 복수의 렌즈를 통과하는 방향(그 반대 방향을 포함함)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2 구동부(1240)는 렌즈홀더(1220)가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즉, 제2 구동부(1240)는 렌즈홀더(1220)와 반사모듈(1100)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도록 렌즈홀더(12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2 구동부(1240)는 복수의 마그네트(1241a, 1243a) 및 복수의 마그네트(1241a, 1243a)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코일(1241b, 1243b)을 포함한다.
복수의 코일(1241b, 1243b)에 전원을 인가하면, 복수의 마그네트(1241a, 1243a)와 복수의 코일(1241b, 1243b) 사이의 전자기적 영향력에 의하여 복수의 마그네트(1241a, 1243a)가 장착된 렌즈홀더(1220)를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복수의 마그네트(1241a, 1243a)는 렌즈홀더(1220)에 장착된다. 일 예로, 복수의 마그네트(1241a, 1243a)는 렌즈홀더(1220)의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복수의 코일(1241b, 1243b)은 하우징(1010)에 장착된다. 일 예로, 복수의 코일(1241b, 1243b)은 메인기판(1070)에 실장된 상태로, 메인기판(1070)이 하우징(1010)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의 도시에서는 메인기판(1070)에 반사모듈(1100)용 코일과 렌즈모듈(1200)용 코일이 모두 실장된 형상으로 도시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메인기판(1070)은 반사모듈(1100)용 코일과 렌즈모듈(1200)용 코일이 각각 실장된 별개의 기판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홀더(1220)를 이동시킬 때, 렌즈홀더(1220)의 위치를 감지하여 피드백하는 폐루프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폐루프 제어를 위하여 위치 센서(1243c)가 필요하다. 위치 센서(1243c)는 홀 센서일 수 있다.
위치 센서(1243c)는 코일(1243b)의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되며, 코일(1243b)이 장착되는 메인기판(1070)에 위치 센서(1243c)가 장착될 수 있다.
렌즈홀더(1220)는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우징(1010)에 구비된다. 일 예로, 렌즈홀더(1220)와 하우징(1010) 사이에는 복수의 볼 부재(1250)가 배치된다.
복수의 볼 부재(1250)는 AF 과정에서 렌즈홀더(12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베어링의 역할을 한다. 또한, 렌즈홀더(1220)와 하우징(1010)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기능도 한다.
복수의 볼 부재(1250)는 광축(Z축) 방향으로의 구동력이 발생한 경우에 광축(Z축) 방향으로 구름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볼 부재(1250)는 렌즈홀더(1220)의 광축(Z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렌즈홀더(1220)와 하우징(1010)이 서로 마주보는 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복수의 볼 부재(1250)를 수용하는 복수의 가이드홈(1221, 1231)이 형성된다.
복수의 볼 부재(1250)는 복수의 가이드홈(1221, 1231)에 수용되어 렌즈홀더(1220)와 하우징(1010) 사이에 끼워진다.
복수의 가이드홈(1221, 1231)은 광축(Z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형상일 수 있다.
복수의 볼 부재(1250)는 복수의 가이드홈(1221, 1231)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 축(X축) 및 제2 축(Y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광축(Z축) 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볼 부재(1250)는 광축(Z축) 방향으로만 구름운동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복수의 가이드홈(1221, 1231) 각각의 평면 형상은 광축(Z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일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가이드홈(1221, 1231)의 단면은 둥근 형상, 다각형상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볼 부재(1250)가 렌즈홀더(1220) 및 하우징(1010)과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렌즈홀더(1220)는 하우징(1010)을 향해 가압된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1010)에는 렌즈홀더(1220)에 장착된 복수의 마그네트(1241a, 1243a)와 마주보도록 요크(1260)가 장착될 수 있다. 요크(1260)는 자성체일 수 있다.
요크(1260)와 복수의 마그네트(1241a, 1243a)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렌즈홀더(1220)는 복수의 볼 부재(1250)와 접촉한 상태에서 제2 구동부(1240)의 구동력에 의해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기판과 이에 장착된 코일 및 부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기판(1070)에는 제1 구동부(1140)의 반사모듈(1100)의 구동을 위한 복수의 코일(1141b, 1143b, 1145b)과, 제2 구동부(1240)의 렌즈모듈(1200)의 구동을 위한 복수의 코일(1241b, 1243b)이 내면에 실장될 수 있다. 그리고, 외면에는 각종 수동소자, 능동소자 등의 부품(1078), 자이로(Gyro) 센서(1079) 등이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메인기판(1070)은 양면기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측면기판(1071)과 제2측면기판(1072), 제1측면기판(1071)과 제2측면기판(1072)을 상호 연결하는 바닥기판(1073)을 포함하고, 제1측면기판(1071), 제2측면기판(1072) 및 바닥기판(1073) 중 어느 하나에는 외부 전원 및 신호 연결을 위한 단자부(1074)가 연결될 수 있다.
제1측면기판(1071)에는 제1 구동부(1140)의 반사모듈(1100)의 구동을 위한 복수의 코일(1141b, 1143b, 1145b) 중 일부(도면의 도시에서는 1143b)와 반사모듈(1100)의 위치를 센싱하는 센서(1143c), 그리고 제2 구동부(1240)의 렌즈모듈(1200)의 구동을 위한 복수의 코일(1241b, 1243b)중 일부(도면의 도시에서는 1241b)가 실장될 수 있다.
제2측면기판(1072)에는 제1 구동부(1140)의 반사모듈(1100)의 구동을 위한 복수의 코일(1141b, 1143b, 1145b) 중 일부(도면의 도시에서는 1145b), 그리고 제2 구동부(1240)의 렌즈모듈(1200)의 구동을 위한 복수의 코일(1241b, 1243b) 중 일부(도면의 도시에서는 1243b)가 실장될 수 있다.
바닥기판(1073)에는 제1 구동부(1140)의 반사모듈(1100)의 구동을 위한 복수의 코일(1141b, 1143b, 1145b) 중 일부(도면의 도시에서는 1141b)와 반사모듈(1100)의 위치를 센싱하는 센서(1141c)가 실장될 수 있다.
도면의 도시에서는 제1측면기판(1071)에 각종 수동소자, 능동소자 등의 부품(1078), 자이로(Gyro) 센서(1079) 등이 실장되는 것으로 도시했으나, 이들은 제2측면기판(1072)에 실장되거나, 제1측면기판(1071)과 제2측면기판(1072)에 적절히 나누어서 실장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2)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500, 1000)이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전자기기(2)에 복수의 카메라 모듈(500, 1000)이 장착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 모듈(500, 10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카메라 모듈은,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일 수 있다.
즉, 듀얼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경우, 2개의 카메라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는 자동 초점 조정, 줌, 손떨림 보정 등의 기능을 구현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2: 휴대용 전자기기
1000: 카메라 모듈
1010: 하우징
1100: 반사모듈
1110: 반사부재
1120: 구동홀더
1130: 구동판
1140: 제1 구동부
1200: 렌즈모듈
1220: 렌즈홀더
1240: 제2 구동부
1300: 이미지 센서 모듈

Claims (17)

  1. 내부공간을 갖는 하우징;
    반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는 구동홀더;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 상기 구동홀더의 사이에 끼워지는 구동판; 및
    상기 구동홀더가 유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판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구동홀더는 상기 구동판에 대해, 각각 선택적으로 광축에 대략 수직하는 일축을 따라 직선 운동 또는 상기 일축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및 상기 구동홀더에는 각각 선택적으로 풀링마그네트 또는 풀링요크가 구비되고, 상기 풀링마그네트와 상기 풀링요크의 인력에 의해 상기 구동홀더가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지지되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판은 상기 일축을 기준으로 직선 또는 회전 운동하는 경우에 상기 구동홀더와 함께 움직이고,
    상기 구동홀더는 상기 일축을 기준으로 직선 또는 회전 운동하는 경우에 상기 구동판에 대해 상대 운동하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판은, 상기 하우징과 대향하는 일면과 상기 구동홀더와 대향하는 타면에 각각 상기 일축 방향으로 정렬되는 적어도 1개의 볼베어링 세트를 구비하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판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직선 운동하는 경우에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상기 일축 방향으로 정렬되게 복수 개로 구비되는 적어도 2개의 볼베어링 세트를 구비하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홀더는, 상기 구동판에 대해 회전 운동하는 경우에 상기 구동판과의 사이에 상기 일축 방향으로 정렬되게 구비되는 적어도 2개의 볼베어링을 구비하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6. 제5항에
    상기 적어도 2개의 볼베어링은, 상기 구동판에서 광축 및 상기 일축에 수직하는 다른축 방향으로 대략 중심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판과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구비되는 볼베어링 세트는, 상기 구동판 또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거나 자유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구동판과 상기 구동홀더의 사이에 구비되는 볼베어링 세트는, 상기 구동판 또는 상기 구동홀더에 고정되거나 자유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판의 양면에 구비되는 볼베어링 세트를 구성하는 볼베어링은, 구형 또는 구형이 일부 절단된 형상인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판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직선 운동하는 경우에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광축 및 상기 일축에 수직하는 다른축을 따라 길게 구비되는 적어도 1개의 원기둥 또는 반원기둥 형상의 볼베어링을 구비하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홀더는, 상기 구동판에 대해 회전 운동하는 경우에 상기 구동판과의 사이에 상기 일축을 따라 길게 구비되는 적어도 1개의 원기둥 또는 반원기둥 형상의 볼베어링을 구비하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11. 삭제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구동판의 대향면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볼베어링이 삽입되는 안착홈이 구비되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볼베어링이 정렬되는 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되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의 단면은 다각 형상 또는 둥근 형상인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15.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모듈; 및
    상기 렌즈모듈의 전방에 배치되며, 내부로 입사된 광이 상기 렌즈 모듈을 향하도록 상기 광의 경로를 변화시키는 제1항에 따른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모듈과 상기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 및 바닥면에는 상기 렌즈모듈과 상기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의 구동을 위한 코일이 실장되는 메인기판이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판은 양면기판으로 구비되고,
    상기 메인기판의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향하는 내면에는 상기 코일이 실장되고,
    상기 메인기판의 상기 내면의 반대면인 외면에는 각종 부품과 자이로 센서가 실장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170061821A 2017-02-17 2017-05-18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973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842,471 US10534194B2 (en) 2017-02-17 2017-12-14 Reflecting module for OI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CN201820257969.0U CN208060910U (zh) 2017-02-17 2018-02-13 用于光学防抖的反射模块及相机模块
CN201810148780.2A CN108459451B (zh) 2017-02-17 2018-02-13 用于光学防抖的反射模块及包括该反射模块的相机模块
US16/701,663 US11269194B2 (en) 2017-02-17 2019-12-03 Reflecting module for OI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741 2017-02-17
KR20170021741 2017-0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420A KR20180095420A (ko) 2018-08-27
KR101973434B1 true KR101973434B1 (ko) 2019-04-29

Family

ID=63455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821A KR101973434B1 (ko) 2017-02-17 2017-05-18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73434B1 (ko)
CN (1) CN208060910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6808A1 (ko) * 2020-06-04 2021-12-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112552A (ko) * 2021-02-04 2022-08-1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1914279B2 (en) 2019-07-23 2024-02-27 Lg Innotek Co., Ltd. Camera actuator, camera module, and camera device including same
US11924529B2 (en) 2019-07-23 2024-03-05 Lg Innotek Co., Ltd.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and camera device compri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34194B2 (en) 2017-02-17 2020-01-1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Reflecting module for OI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423685B1 (ko) * 2018-09-27 2022-07-21 자화전자(주) 렌즈 구동장치
KR102639191B1 (ko) * 2018-10-11 2024-02-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370583B1 (ko) * 2018-10-26 2022-03-0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1102387B2 (en) 2018-10-26 2021-08-2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including multiple lens barrels
US11609436B2 (en) * 2019-05-16 2023-03-2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Folded optics reflecting module
KR102376509B1 (ko) * 2019-05-16 2022-03-21 삼성전기주식회사 폴디드 모듈
KR102260376B1 (ko) * 2019-06-18 2021-06-03 삼성전기주식회사 폴디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JP2022543008A (ja) * 2019-07-29 2022-10-07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カメラアクチュエータ
KR102333089B1 (ko) * 2019-12-10 2021-12-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1733538B2 (en) 2019-12-10 2023-08-2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KR20210135780A (ko) * 2020-05-06 2021-11-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KR102354161B1 (ko) 2020-06-03 2022-01-24 자화전자(주)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20230296962A1 (en) * 2020-07-21 2023-09-21 Lg Innotek Co., Ltd.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US20220099947A1 (en) * 2020-09-29 2022-03-3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KR20220100431A (ko) * 2021-01-08 2022-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20350108A1 (en) * 2021-04-28 2022-11-0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Reflective module assembly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the same
KR20220169283A (ko) * 2021-06-18 2022-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WO2023018239A2 (ko) * 2021-08-11 2023-02-16 임대순 렌즈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11353A (ja) * 2013-07-01 2015-01-19 台湾東電化股▲ふん▼有限公司 光路の切り換えが可能な光学震動防止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501B1 (ko) * 2012-07-26 2019-12-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11353A (ja) * 2013-07-01 2015-01-19 台湾東電化股▲ふん▼有限公司 光路の切り換えが可能な光学震動防止機構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14279B2 (en) 2019-07-23 2024-02-27 Lg Innotek Co., Ltd. Camera actuator, camera module, and camera device including same
US11924529B2 (en) 2019-07-23 2024-03-05 Lg Innotek Co., Ltd.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and camera device comprising same
WO2021246808A1 (ko) * 2020-06-04 2021-12-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112552A (ko) * 2021-02-04 2022-08-1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527710B1 (ko) 2021-02-04 2023-05-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420A (ko) 2018-08-27
CN208060910U (zh) 201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434B1 (ko)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942743B1 (ko)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513965B1 (ko)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473411B1 (ko) 카메라 모듈
KR102067069B1 (ko) 카메라 모듈
KR102072811B1 (ko) 카메라 모듈
KR101892857B1 (ko)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547733B1 (ko) 카메라 모듈
US11269194B2 (en) Reflecting module for OI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004802B1 (ko)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230647B1 (ko)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309464B1 (ko) 카메라 모듈
KR20180102946A (ko)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370583B1 (ko) 카메라 모듈
KR20180094355A (ko)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233934B1 (ko)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436221B1 (ko) 카메라 모듈
KR102442834B1 (ko) 카메라 모듈
KR102516761B1 (ko) 폴디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260376B1 (ko) 폴디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2561616B1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