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1291A - 아일렛 재봉기용 실 절단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아일렛 재봉기용 실 절단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1291A
KR20130111291A KR1020130025530A KR20130025530A KR20130111291A KR 20130111291 A KR20130111291 A KR 20130111291A KR 1020130025530 A KR1020130025530 A KR 1020130025530A KR 20130025530 A KR20130025530 A KR 20130025530A KR 20130111291 A KR20130111291 A KR 20130111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thread
eyelet
fasteners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5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8309B1 (ko
Inventor
빌드버그 토비아스
놀트게 토마스
조르단 토마스
Original Assignee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30111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1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2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controlled by the sewing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06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sewing buttonholes
    • D05B3/08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sewing buttonholes for buttonholes with eyelet 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아일렛 재봉기용 실 절단 어셈블리는 적어도 두 쌍의 하측 재봉물 죔고정체(11a, 11b) 및 상측 재봉물 죔고정기(9a, 9b)를 가지며, 이들은 재봉물 죔고정체(11a, 11b)와 재봉물 죔고정기(9a, 9b) 사이에 재봉물을 죄어 잡는데 사용된다. 재봉물 죔고정기(9a, 9b)는 각 경우 관련된 재봉물 죔고정체(11a, 11b)에 대해 변위가능하게 구동된다. 재봉물 죔고정체(11a, 11b)는 아일렛 스팃치 개구가 형성되도록 각 경우 아일렛 스팃치 영역(30)에서 스팃치 영역 홈(31a, 31b)을 가지며, 아일렛 스팃치 개구에서 재봉 도구들이 서로 협력하여 아일렛 이음매를 재봉하게 된다. 본 어셈블리는 또한 실 절단기(33) 및 상대 실 절단기(34)를 가지며, 이 상대 실 절단기는 실 절단기(33)에 대해 변위가능하게 구동되며 또한 적어도 하나의 재봉실을 잘라내기 위해 그 실 절단기와 서로 협력하게 된다. 실 절단기(33) 및 상대 실 절단기(34)는 적어도 또한 아일렛 스팃치 영역(30)에서 서로 협력하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 실 절단의 확실성이 증가되고 또한 아일렛의 형성 후에 튀어 나온 실 끝부분을 여전히 손으로 잘라내야 할 가능성이 줄어드는 어셈블리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아일렛 재봉기용 실 절단 어셈블리{THREAD CUTTING ASSEMBLY FOR AN EYELET SEWING MACHINE}
독일 특허 출원 DE 10 2012 205 049.3 의 내용이 참조로 관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아일렛(eyelet) 재봉기용 실 절단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실 절단 어셈블리는 EP 1 722 021 A1 에 기재되어 있는 재봉기와 관련하여 종래의 공공적인 사용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종류의 실 절단 어셈블리를 갖는 아일렛 재봉기 및 이러한 종류의 재봉기로 아일렛을 만드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PS 169689 에는 아일렛 재봉기를 위한 실 절단 어셈블리의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 절단의 확실성이 증가되고 또한 아일렛의 형성 후에 튀어 나온 실 끝부분을 여전히 손으로 잘라내야 할 가능성이 줄어들도록 서두에서 언급한 종류의 실 절단 어셈블리를 발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아일렛 재봉기용 실 절단 어셈블리로 달성되는 바, 이 실 절단 어셈블리는,
적어도 두 쌍의 하측 재봉물 죔고정체 및 상측 재봉물 죔고정기(clamp) - 이들은 재봉물 죔고정체와 재봉물 죔고정기 사이에 재봉물을 죄어 잡도록 되어 있음;
실 절단기; 및
상기 실 절단기와 서로 협력하여 적어도 하나의 재봉 실을 잘라내는 상대 실 절단기를 포함하며,
상기 재봉물 죔고정기는 각 경우 관련된 재봉물 죔고정체에 대해 변위가능하게 구동되며,
상기 재봉물 죔고정체는 아일렛 스팃치(stitch) 개구가 형성되도록 각 경우 아일렛 스팃치 영역에서 스팃치 영역 홈을 가지며, 상기 아일렛 스팃치 개구에서 재봉 도구들이 서로 협력하여 아일렛 이음매를 재봉하게 되며,
상기 실 절단기 및 상대 실 절단기는 적어도 또한 상기 아일렛 스팃치 영역에서 서로 협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실 절단기는 변위가능하게 구동되며,
상기 재봉물 죔고정기 중의 적어도 하나는 실 절단기의 변위 경로에서 죔고정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재봉물 죔고정기 중의 적어도 다른 하나는 실 절단기의 변위 경로의 외부에서 죔고정 위치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 절단기와 상대 실 절단기를 갖는 실 절단 기구를 서로 협력하는 두 절단기가 실을 잘라내기 위해 아일렛 스팃치 영역에서 또한 서로 협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실 절단 어셈블리의 절단 확실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리하여, 아일렛 이음매를 재봉한 후에, 튀어나온 실 끝부분을 실 절단기로 확실하게 잡아 잘라낼 수 있다. 특히, 상기 절단 어셈블리는 재봉물 죔고정 요소와 실 절단기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방해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재봉물 죔고정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실 절단기의 변위 경로 또는 영역에서 죔고정 위치에 배치하고 또한 재봉물 죔고정기 중의 다른 하나를 실 절단기의 변위 경로 또는 영역의 외부에서 죔고정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어떤 경우에도, 상기 재봉물 죔고정기 중의 하나는 실 절단기의 변위시에 죔고정 위치에 남아 있을 수 있게 되므로 실 절단 중에 여전히 재봉물의 확실한 죔고정이 보장된다.
실 절단기가 적어도 두개의 재봉물 죔고정체 중 하나의 위쪽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대 실 절단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적어도 두개의 재봉물 죔고정체 중 다른 하나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절단기 구성 요소의 배치로 인해, 컴팩트한 어셈블리가 얻어진다. 또한 상대 실 절단기는 적어도 두개의 재봉물 죔고정체 중 하나의 홈 안에서 이 재봉물 죔고정체의 높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디.
상대 실 절단기가 아일렛 스팃치 영역의 외부 윤곽에 적합한 절단날 윤곽을 갖는 절단날 윤곽으로 인해, 상대 실 절단기가 아일렛 이음매의 구성을 방해함이 없이 그 상대 실 절단기의 절단날이 아일렛 스팃치 영역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실 절단기가 상대 실 절단기의 절단날 윤곽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절단날을 갖는 적합하게 된 실 절단기의 절단날 윤곽으로 인해 확실한 절단 과정이 일어난다. 실 절단기의 절단날 윤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대 실 절단기의 절단날 윤곽에 평행한 부분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실 절단 어셈블리를 갖는 아일렛 재봉기의 이점은 본 발명에 따른 실 절단 어셈블리와 관련하여 이미 전술한 이점들에 상당한다.
아일렛 및 단추구멍 모두를 재봉하도록 되어 있고 또한 특히 아이(eye) 단추구멍도 재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재봉기로 특히 유연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재봉기로 아일렛을 만들기 위한 방법으로서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한편으로 실이 아일렛 스팃치 영역에서 확실하게 잘려질 수 있고 또한 다른 한편으로는 실이 잘려지는 중에 재봉물이 또한 확실하게 죄여질 수 있다:
삽입된 재봉물을 하측의 각 재봉물 죔고정체와 상측의 재봉물 죔고정기로 된 쌍 사이에 죄어 고정시키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재봉 실로 아일렛 이음매를 재봉하는 단계,
실 절단기의 변위 경로에서 죔고정 위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재봉물 죔고정기를 풀고, 따라서 그 풀린 재봉물 죔고정기는 실 절단기의 변위 경로를 떠나고, 실 절단기의 변위 경로의 외부에서 죔고정 위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재봉물 죔고정기는 죔고정 위치에 남아 있는 단계,
중립 위치로부터 아일렛 스팃치 영역내의 절단 위치로 실 절단기를 상대 실 절단기에 대해 변위시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봉실을 잘라내는 단계, 및
아직 풀리지 않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봉물 죔고정기를 풀어주는 단계.
한 재봉물 죔고정기가 실 절단기의 변위 경로 또는 영역으로부터 벗어나 있음으로써, 이들 두 요소는 아일렛 형성 중에 서로를 방해하지 않는다. 적어도 하나의 재봉실이 잘려지는 중에, 죔고정 위치에서 실 절단기의 변위 경로 또는 영역에 배치되지 않는 재봉물 죔고정기는 죔고정 위치에 남아 있을 수 있으며(죔고정 압력을 재봉 중의 죔고정 압력에 비해 줄일 수 있음), 또는 절단 중에 개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아일렛 형성 방법에서는 아일렛 이음매 및 아일렛 자체의 구멍을 어떤 순서로 만들지는 중요하지 않다. 따라서, 재봉을 먼저 하고 그런 다음에 구멍을 절단할 수 있으며, 또는 아일렛을 먼저 절단하고 그런 다음에 아일렛 이음매를 재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은 아일렛(eyelet) 및 단추구멍 절단 장치를 갖는 아일렛 재봉기의 내부 상세를 부분적으로 보여주는 종방향 도를 나타낸다.
도 2 는 도 1 에 따른 아일렛 재봉기에 있는 하측의 두 재봉물 죔고정체 및 실 절단 어셈블리의 실 절단기 및 상대 실 절단기를 개별적으로 평면도로 나타낸다.
도 3 은 결합되어 있는 도 2 에 따른 실 절단 어셈블리의 구성 요소들을 나타내는 것으로, 절단기들은 중립 위치에 있다.
도 4 는 절단 위치에 있는 절단기들을 도 3 과 유사한 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 는 절단기들이 중립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실 절단 어셈블리를 다른 요소, 특히 상측의 재봉물 죔고정기와 함께 나타낸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6 은 개방 위치와 절단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 있는 절단기를 도 5 와 유사한 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 은 도 6 에 있어서 실 절단기와 상대 실 절단기의 블레이드의 단부측에 있는 절단날 윤곽의 영역의 확대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8 은 절단기들이 절단 위치에 있는 어셈블리를 도 5 와 유사한 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9 는 아이(eye) 단추구멍 절개부를 갖는 아이(eye) 단추구멍 이음매를 나타낸다.
도 10 은 아일렛을 갖는 아일렛 이음매를 나타낸다.
도 1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아일렛 및 단추구멍 재봉기는 C-형으로 되어 있는데, 즉 이 재봉기는 상부 아암(1), 하부의 하우징형 기판(2) 및 이들 상부 아암과 기판을 연결하는 대략 수직한 프레임(3)을 갖고 있다. 상기 재봉기는 아일렛과 단추구멍 모두를 재봉하도록 되어 있는데, 특히 아이(eye) 단추구멍을 재봉하도록 되어 있다. 구동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아암축(4)이 통상적인 방식으로 아암(1)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재봉기에 이러한 종류의 구동 모터를 배치하는 것은 DE 102 25 511 C1 및 DE 102 25 512 C1 에 알려져 있다. 바늘(6)을 갖는 수직 방향 변위가능한 바늘 바(5) 및 진동 구동기의 구동은 이를 위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상기 아암축(4)으로부터 주어진다.
재봉기의 구성 요소의 위치 기준을 쉽게 나타내기 위해, 카르테시안 xyz-좌표계가 도면에 그려져 있다. 도 1 에서 x-방향은 도면에 수직하게 그 도면에서 나가는 방향이다. y-방향은 도 1 에서 우측으로 향하는 방향이며, 따라서 xy-평면은 기판(2)의 면과 재봉면에 평행하다. z-축은 도 1 에서 위쪽으로, 다시 말해 수직 방향으로 향한다.
따라서 두개의 수평 좌표 방향, 즉 x-방향과 y-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크로스 슬라이드인 x-y 테이블(7)이 기판(2)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 x-y 테이블(7)은 예컨대 DE 198 07 771 C1(US 6,095,066에 대응함)에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통상적인 방식으로 구성된다. x-y 테이블(7)은 구동기(미도시), 즉 x-구동기 및 y-구동기로 구동되며, 이들 구동기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위치가능 전기 모터, 그래서 일반적으로 스텝핑 모터일 수 있고 하지만 또한 제어가능한 직류 모터일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구성은 DE 102 25 511 C1 및 DE 102 25 512 C1에 알려져 있다.
2-부분 지지판(8a, 8b)이 x-y 테이블(7) 상에 배치되어 있다. 2-부분 요소 중에서 "b"가 붙어 있는 요소는 각 경우 도 1 을 보는 사람을 향하는 것이다. 보는 사람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측(도 1 에서는 보이지 않고 다른 도에서는 부분적으로 나타나 있음)에는 "a"가 붙어 있다. 각 부분 지지판(8a 또는 8b)에는 재봉물 죔고정기(clamp; 9a 또는 9b)가 할당되어 있는데, 이 죔고정기에는 각 경우 각각의 부분 지지판(8a, 8b)에 부착되어 있는 지지 구조체(10)의 죔고정체(11a, 11b)가 할당되어 있다. 상기 재봉물 죔고정기(9a, 9b)의 구조와 구동에 대한 상세한 것은 DE 102 16 808 C2(US 6,722,299 B2에 대응함)에서 알 수 있으며, 이 특허 문헌은 이러한 정도로 참조할 수 있다.
y-방향으로 볼 때, 상기 바늘 바(5)의 뒤에는 아일렛 및 단추구멍 절단 장치(13)가 있는데, 이 장치는 기판(2)에서 수직 방향으로, 즉 z-방향으로 고정 배치되어 있는 하측 절단부(14) 및 상측 절단 블럭(15)을 갖고 있다. 이 절단 블럭(15)에는 절단 구동기(16)가 할당되어 있는데, 이 절단 구동기는 공압식으로 로딩가능한 다단 피스톤-실린더 구동기로 되어 있으며 DE 102 25 511 C1 및 DE 102 25 512 C1에 자세히 나타나 있고 설명되어 있다. 절단 구동기(16)는 상기 프레임(3)을 통과한다. 절단 구동기(16)의 일 하단부는 조인트(17)에 의해 기판(2)에 체결되어 있다. 구동기(16)의 다른 상단부는 조인트(19)에 의해 이중 아암 레버(18)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레버는 슬라이딩/회전 조인트(20)에 의해 구동 로드(21)에 관절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구동 로드는 아암(1)에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베어링(22)에서 수직 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안내된다. 상기 이중 아암 레버(18)는 대략 그의 중앙에서, 아암(1)에 설치된 수평 회전축(23)의 주위로 회전가능하다.
상기 하측 절단부(14)는 수용판(24)을 가지며, 이 수용판은 구형 베어링면(25) 및 체결 스크류(26)에 의해 기판(2)의 기부(27)에 체결된다. 이러한 종류의 체결로 수용판(24)은 특히 y-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축선 및 이 축선에 대해 횡으로 또한 수평하게 x-방향으로 미리 정해지는 축선의 주위로 배향될 수 있다.
지금까지 상기 재봉기에 대해 나타내고 설명한 바는 DE 103 04 821 B3 및 EP 1 722 021 A1에 알려져 있다.
이하, 아일렛 재봉기의 실 절단 어셈블리에 대해 도 2 내지 8 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두 쌍의 요소가 이 어셈블리에 속하는데, 각 경우 그 요소는 재봉물 죔고정체로서 하측에 있는 재봉물 죔고정 판(11a, 11b) 중의 하나 및 상대 재봉물 죔고정체로서 상측에 있는 재봉물 죔고정체(9a, 9b) 중의 하나를 포함한다. 이들 요소 쌍은 각 경우 재봉물 죔고정체(11a, 11b) 및 관련된 재봉물 죔고정기(9a, 9b) 사이에 재봉물(29)(도 1 참조)을 죄어 잡도록 되어 있다.
죔고정을 위해, 각각의 재봉물 죔고정기(9a, 9b)는 각 경우 죔고정기 구동 모터(미도시)의 도움으로 관련된 재봉물 죔고정체(11a, 11b)에 대해 변위가능하게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재봉물 죔고정체(11a, 11b)는 각 경우 아일렛 스팃치(stitch) 영역(30)(예컨대, 도 3 및 7 참조)에서 부분 원형의 스팃치 영역 홈(31a, 31b)를 갖고 있다. 이들 스팃치 영역 홈(31a, 31b)은 부분적으로 아일렛 스팃치 개구(32)의 범위를 한정하는데, 이 개구에서 재봉 도구, 다시 말해 바늘(6)과 루퍼(looper)(나타나 있지 않으며 지지판 아래에 배치됨)가 서로 협력하여 아일렛(예컨대, 도 10 참조)를 재봉할 수 있다. 아일렛 스팃치 개구(32)가 형성되며, 이 개구에서 재봉 도구들이 서로 협력하여 아일렛을 재봉할 수 있다.
대응하는 스팃치 영역 홈(32a, 32b)(예컨대, 도 5 및 7 참조)은 재봉물 죔고정기(9a, 9b)를 갖는다.
실 절단기(33) 및 상대 실 절단기(34)를 갖는 2-부분 실 절단 기구가 또한 상기 실 절단 어셈블리에 속한다. 이 실 절단 기구는 가위로 되어 있고, 실 절단기(33) 및 상대 실 절단기(34)는 절단 조인트(36)의 공통 회전축 또는 가위축(35) 주위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절단 조인트(36)는 아이(eye) 단추구멍 스팃치 영역(39)(도 9 에서 일점 쇄선으로 나타나 있음)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된다.
아일렛 스팃치 영역(30)은 아이(eye) 단추구멍 스팃치 영역(39)의 아이(eye) 부분이다. 실 절단기(33) 및 상대 실 절단기(34)의 블레이드(37, 38)는, 이들 블레이드(37, 38)가 아일렛 스팃치 영역(30)(도 7 에서 점선으로 나타나 있음)에서 또한 서로 협력하도록 길게 되어 있다.
결합된 실 절단 어셈블리에서, 실 절단기(33)는 재봉물 죔고정체(11a)의 위쪽에 배치된다. 실 절단기(33)가 예컨대 도 3 에 나타나 있는 중립 위치에서 예컨대 도 4 에 나타나 있는 절단 위치로 절단 변위하는 중에, 그 실 절단기(33)의 블레이드(37)는 재봉물 죔고정체(11a)의 상측을 지나게 된다.
상기 상대 실 절단기는 부분적으로 재봉물 죔고정체(11b)의 아래쪽에 배치되며 또한 부분적으로 재봉물 죔고정체(11b)의 죔고정체 홈(40)(스팃치 영역 측에 있는)에 끼워진다.
상대 실 절단기(34)의 블레이드(38)는 절단 윤곽을 갖고 있는데, 이 절단 윤곽은 한편으로 죔고정체(11)의 스팃치 영역 홈(31a, 31b)의 윤곽 및 다른 한편으론 죔고정기(9)의 윤곽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상대 실 절단기(34)의 블레이드(38)의 일 단부에는 부분 원형의 후퇴부(40a)(도 7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도 7 의 확대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 절단기(33)의 블레이드(37)의 절단 윤곽은 상보적인 방식으로 상대 실 절단기(34)의 블레이드(38)의 절단 윤곽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블레이드(37)의 일 단부에는 상기 후퇴부(40a)에 대해 상보적인 방식으로 되어 있는 돌출부(40b)가 형성되어 있다. 절단 과정 중에, 실 절단기(33)와 상대 실 절단기(34)는 후퇴부(40a) 및 돌출부(40b)의 영역에서 서로 평행하게 된다. 블레이드(38)의 후퇴부(40a) 및 블레이드(37)의 돌출부(40b) 둘다는 아일렛 스팃치 영역(30) 안으로 들어가 있다.
실 절단 어셈블리의 일 변형예(미도시)에서, 블레이드(37, 38)는 또한 전체 아일렛 스팃치 영역(30)을 덮도록 연장될 수 있다.
실 절단 기구가 중립 위치(도 3 및 6 참조)에서 절단 위치(도 4 및 8 참조)로 움직일 때, 상대 실 절단기(34)가 또한 절단 조인트(36) 주위로 회전하여 단추구멍 스팃치 영역(39)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가위 운동은 구동 레버(41)에 의해 일어나며, 이 레버는 구동축(42) 주위로 회전될 수 있으며, 그 구동축은 가위축(35) 및 z-축에 평행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구동 레버(41)는 그의 양 상호 반대 레버 아암으로 한편으로 실 절단기(33)의 구동 홈(43) 및 다른 한편으로는 상대 실 절단기(34)의 구동 홈(44)에 결합하게 된다. 구동축(42)은 가위축(35)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된다.
죔고정 위치에서 재봉물 죔고정기(9a)는 중립 위치와 절단 위치 사이에 있는 실 절단기(33)의 변위 영역에 배치된다. 다른 재봉물 죔고정기(9b)는 중립 위치와 절단 위치 사이에 있는 한편으로 실 절단기(33) 및 다른 한편으로는 상대 실 절단기(34)의 변위 영역의 외부에 배치된다.
도 9 및 10 은 재봉기의 재봉 결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9 및 10 에서는, 위쪽에서 재봉물을 죄어 고정시키는 재봉물 죔고정기(9a,9b)가 또한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도 9 는 눈 이음매 부분(46)과 발 이음매 부분(47) 및 아이(eye) 단추구멍 절개부(48)를 갖는 아이(eye) 단추구멍 이음매(45)를 나타내며, 이 이음매는 아이(eye) 단추구멍 스팃치 영역(39)에서 재봉된다. 이 경우, 실 절단 기구는 상기 이음매(45)의 시작 영역 또는 단부 영역(49)에 있는 실 끝부분을 잘라 낸다. 이는 블레이드(37, 38)의 블레이드부에 의해 정기적으로 일어나며, 그 블레이드부는 가위축(35)에 인접해 있다.
도 10 은 아일렛(51)을 갖는 아일렛 이음매(50)를 나타내는데, 이 이음매는 아일렛 스팃치 영역(30)에서 재봉된다. 여기서 실 절단 기구는 아일렛 이음매(50)의 시작 영역 또는 단부 영역(52)에 있는 실을 잘라 내며, 이 일은 한편으로 실 절단기(33) 및 다른 한편으로는 상대 실 절단기(34)의 블레이드(37, 38)의 단부에 의해 이루어진다.
아이(eye) 단추구멍을 만들기 위해, 먼저 아이(eye) 단추구멍 스팃치 영역(39)에서 아이(eye) 단추구멍 이음매(35)를 만들고 그런 다음에 절단 장치(13)로 아이(eye) 단추구멍(48)을 절단한다. 그런 다음, 아이(eye) 단추구멍 이음매(45)에서 튀어나온 실 끝부분을 실 절단기로 잘라 낸다. 이를 위해, 실을 잘라내기 전에, 재봉물 죔고정기(9a)를 풀어주며 (실 절단 중에 실 절단기(33)는 그 재봉물 죔고정기의 변위 영역에서 변위됨), 그래서 실 절단기를 위한 변위 영역이 재봉물 죔고정기(9a)와 재봉물 죔고정체(11b) 사이에서 자유롭게 된다. 다른 재봉물 죔고정기(9b)는 죔고정 위치에 남아 있다. 여기서 재봉물 죔고정기(9b)는 완전한 죔고정 압력(다시 말해, 재봉 중에 재봉물(29)에 또한 가해지는 죔고정 압력) 또는 감소된 죔고정 압력을 재봉물(29)에 가할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서는, 실 끝부분을 잘라내기 전에, 다른 재봉물 죔고정기(9b)가 또한 풀리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재봉기(8)는 아일렛도 만들 수 있다. 이를 위해, 아일렛 이음매(50)를 만들고 그런 다음에 절단 장치(13)를 사용하여 아일렛(51)을 뚫는다. 그런 다음, 재봉물 죔고정기(9a)를 풀고, 다른 재봉물 죔고정기(9b)는 죔고정 위치에 남겨 둔다. 처음에 중립 위치에 있던 실 절단 기구가 이제 절단 위치로 움직여, 아일렛 이음매(50)의 시작 또는 단부 영역(52)에서 그 아일렛 이음매의 실 끝부분이 잘리게 된다.
마지막으로, 아직 풀리지 않은 재봉물 죔고정기(9b)가 또한 풀려 재봉물(29)이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실 절단 외의 재봉 및 절단 과정의 상세한 점에 대해서는 EP 1 722 021 A1을 참조하면 된다.

Claims (8)

  1. 아일렛(eyelet) 재봉기용 실 절단 어셈블리로서,
    적어도 두 쌍의 하측 재봉물 죔고정체(11a, 11b) 및 상측 재봉물 죔고정기(clamp; 9a, 9b) - 이들은 재봉물 죔고정체(11a, 11b)와 재봉물 죔고정기(9a, 9b) 사이에 재봉물(29)을 죄어 잡도록 되어 있음;
    실 절단기(33); 및
    상기 실 절단기(33)와 서로 협력하여 적어도 하나의 재봉 실을 잘라내는 상대 실 절단기(34)를 포함하며,
    상기 재봉물 죔고정기(9a, 9b)는 각 경우 관련된 재봉물 죔고정체(11a, 11b)에 대해 변위가능하게 구동되며,
    상기 재봉물 죔고정체(11a, 11b)는 아일렛 스팃치 개구(32)가 형성되도록 각 경우 아일렛 스팃치 영역(30)에서 스팃치 영역 홈(31a, 31b)을 가지며, 상기 아일렛 스팃치 개구에서 재봉 도구들이 서로 협력하여 아일렛 이음매(50)를 재봉하게 되며,
    상기 실 절단기(33) 및 상대 실 절단기(34)는 적어도 또한 상기 아일렛 스팃치 영역(30)에서 서로 협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실 절단기(33)는 변위가능하게 구동되며,
    상기 재봉물 죔고정기 중의 적어도 하나(9a)는 실 절단기(33)의 변위 경로에서 죔고정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재봉물 죔고정기(9a, 9b) 중의 적어도 다른 하나(9b)는 실 절단기(33)의 변위 경로의 외부에서 죔고정 위치에 배치되는, 아일렛 재봉기용 실 절단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 절단기(33)는 적어도 두개의 재봉물 죔고정체(11a, 11b) 중 하나(11a)의 위쪽에 배치되는 실 절단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실 절단기(3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적어도 두개의 재봉물 죔고정체(11a, 11b) 중 다른 하나(11b)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실 절단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실 절단기(34)는 절단날 윤곽을 가지며, 이 절단날 윤곽은 아일렛 스팃치 영역(30)의 외부 윤곽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실 절단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 절단기(33)는 상대 실 절단기(34)의 절단날 윤곽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절단날 윤곽을 갖는 실 절단 어셈블리.
  6. 제 1 항에 따른 실 절단 어셈블리를 갖는 아일렛 재봉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아일렛 및 단추구멍 모두를 재봉하도록 되어 있는 재봉기.
  8. 제 6 항에 따른 재봉기로 아일렛을 만들기 위한 방법으로서,
    삽입된 재봉물(29)을 각 경우 하측의 각 재봉물 죔고정체(11a, 11b)와 상측의 재봉물 죔고정기(9a, 9b)로 된 쌍(11a, 9a; 11b, 9b) 사이에 죄어 고정시키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재봉 실로 아일렛 이음매(50)를 재봉하는 단계,
    실 절단기(33)의 변위 경로에서 죔고정 위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재봉물 죔고정기(9a)를 풀고, 따라서 그 풀린 재봉물 죔고정기(9a)는 실 절단기(33)의 변위 경로를 떠나고, 실 절단기(33)의 변위 경로의 외부에서 죔고정 위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재봉물 죔고정기(9b)는 죔고정 위치에 남아 있는 단계,
    중립 위치로부터 아일렛 스팃치 영역(30)내의 절단 위치로 실 절단기(33)를 상대 실 절단기(34)에 대해 변위시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봉실을 잘라내는 단계, 및
    아직 풀리지 않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봉물 죔고정기(9b)를 풀어 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30025530A 2012-03-29 2013-03-11 아일렛 재봉기용 실 절단 어셈블리 KR1019783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205049A DE102012205049A1 (de) 2012-03-29 2012-03-29 Faden-Schneid-Baugruppe für eine Schnürloch-Nähmaschine
DE102012205049.3 2012-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1291A true KR20130111291A (ko) 2013-10-10
KR101978309B1 KR101978309B1 (ko) 2019-05-14

Family

ID=48040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5530A KR101978309B1 (ko) 2012-03-29 2013-03-11 아일렛 재봉기용 실 절단 어셈블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644764B1 (ko)
JP (1) JP6027920B2 (ko)
KR (1) KR101978309B1 (ko)
CN (1) CN103361891B (ko)
DE (1) DE102012205049A1 (ko)
TW (1) TWI5912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01929A1 (de) * 2017-02-08 2018-08-09 Dürkopp Adler AG Doppelsteppstich-Nähmaschine sowie Verfahren zur Erzeugung eines Naht-Anfangsoberfadens mit einem geringen Soll-Nahtüberstand
DE102017207627A1 (de) * 2017-05-05 2018-11-08 Dürkopp Adler AG Baugruppe zum Erzeugen eines Naht-Anfangsoberfadens mit einem Soll-Nahtüberstand
DE202019102567U1 (de) * 2019-05-08 2020-08-11 Dürkopp Adler AG Nähmaschine sowie Gegenmesser-Baugruppe für eine Masch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2086A (ja) * 1999-12-16 2001-08-28 Juki Corp ミシンの糸切り装置
KR20060044975A (ko) * 2004-04-01 2006-05-16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재봉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70029A (en) * 1935-10-04 1937-02-09 Singer Mfg Co Thread-cutter for sewing machines
US2487389A (en) * 1947-11-14 1949-11-08 Singer Mfg Co Thread-trimming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US4372236A (en) * 1981-10-07 1983-02-08 Interco Incorporated Thread cutting device for sewing machine
DE19807771C1 (de) 1998-02-24 1999-04-15 Duerkopp Adler Ag Augenknopfloch-Nähmaschine
JP4782295B2 (ja) * 2000-04-12 2011-09-28 Juki株式会社 サイクルミシン
JP4799752B2 (ja) * 2001-04-13 2011-10-26 Juki株式会社 穴かがりミシン
DE10136543C1 (de) * 2001-07-26 2002-07-18 Duerkopp Adler Ag Nähmaschine, insbesondere Knopfloch-Nähmaschine, mit einer Nadelfaden-Klemm- und -Schneid-Einrichtung
EP1321555B1 (de) 2001-12-21 2006-03-29 Dürkopp Adler Aktiengesellschaft CNC-gesteuerte Knopfloch-Nähmaschine
DE10216808C2 (de) 2001-12-21 2003-11-13 Duerkopp Adler Ag CNC-gesteuerte Knopfloch-Nähmaschine
DE10225511C1 (de) 2002-06-10 2003-06-18 Duerkopp Adler Ag Knopfloch-Nähmaschine
DE10225512C1 (de) 2002-06-10 2003-07-17 Duerkopp Adler Ag Knopfloch-Nähmaschine
DE10304821B3 (de) 2003-02-06 2004-02-26 Dürkopp Adler AG Knopfloch-Nähmaschine
DE102005021768A1 (de) * 2005-05-11 2006-11-16 Dürkopp Adler AG Knopfloch-Nähmaschine
JP4760190B2 (ja) * 2005-07-28 2011-08-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鳩目穴かがりミシンの糸切り装置
DE102009004218A1 (de) * 2009-01-09 2010-07-15 Dürkopp Adler AG Fadenschneidvorrichtung für eine Nähmas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2086A (ja) * 1999-12-16 2001-08-28 Juki Corp ミシンの糸切り装置
KR20060044975A (ko) * 2004-04-01 2006-05-16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재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202411A (ja) 2013-10-07
EP2644764A1 (de) 2013-10-02
CN103361891A (zh) 2013-10-23
CN103361891B (zh) 2017-04-26
TW201341621A (zh) 2013-10-16
DE102012205049A1 (de) 2013-10-02
JP6027920B2 (ja) 2016-11-16
TWI591228B (zh) 2017-07-11
EP2644764B1 (de) 2014-11-12
KR101978309B1 (ko) 2019-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93084B (zh) Double needle sewing machine
JP5759158B2 (ja) ベルトループ付けミシン及びベルトループの折り返し方法
KR20130111291A (ko) 아일렛 재봉기용 실 절단 어셈블리
JP4734010B2 (ja) ミシン
KR100539607B1 (ko) 재봉기,그중에서도특히바늘용실의클램프와커터를가지는단추구멍용재봉기
JP4573658B2 (ja) 玉縁縫いミシン
JP4686025B2 (ja) ミシンの糸切り装置
KR200486535Y1 (ko) 재봉기용 실 당김 블레이드, 이러한 종류의 실 당김 블레이드를 갖는 실 절단 어셈블리 및 재봉기
KR20110117017A (ko) 미싱
CN113179649B (zh) 缝纫装置
JP4799946B2 (ja) 玉縁縫いミシン
US8739714B2 (en) Method for operating a chain stitch sewing machine and chain stitch sewing machine
CN115087772B (zh) 用于缝纫系统的线迹形成工具组件和具有其的缝纫系统
CN108396467A (zh) 双线锁式线迹缝纫机和制造线缝开头面线的方法
JP5547977B2 (ja) シークイン供給装置を備える多針ミシン
CN102808295A (zh) 缝纫机
BRPI0615983A2 (pt) método de operação e dispositivo para operar uma máquina de processamento de linhas de costura com mecanismo de corte de linhas
JP4337495B2 (ja) 鳩目穴かがりミシン
JPH0727469U (ja) 鳩目穴切り込み装置
JP4994697B2 (ja) 裁断機能付ミシン
TW201802320A (zh) 縫紉機
JP5416608B2 (ja) シークイン供給装置を備える多針ミシン
JP2532194Y2 (ja) 縁かがり縫ミシンの布案内装置
KR20230144465A (ko) 재봉틀
TWM644522U (zh) 繃縫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