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9607B1 - 재봉기,그중에서도특히바늘용실의클램프와커터를가지는단추구멍용재봉기 - Google Patents

재봉기,그중에서도특히바늘용실의클램프와커터를가지는단추구멍용재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9607B1
KR100539607B1 KR1019980019961A KR19980019961A KR100539607B1 KR 100539607 B1 KR100539607 B1 KR 100539607B1 KR 1019980019961 A KR1019980019961 A KR 1019980019961A KR 19980019961 A KR19980019961 A KR 19980019961A KR 100539607 B1 KR100539607 B1 KR 100539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upper half
thread
tip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9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7521A (ko
Inventor
게르트 파파에브스키
크리스티안 몰렌캄프
베른트 포팔라
Original Assignee
뒬코프 아들러 악틴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뒬코프 아들러 악틴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뒬코프 아들러 악틴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19980087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7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9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96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06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sewing buttonholes
    • D05B3/08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sewing buttonholes for buttonholes with eyelet end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06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sewing buttonhol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2Presser-contro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02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with mechanisms for needle-bar movemen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7/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litting, grooving, or cutting
    • D05B37/04Cut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4Needle-bar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2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controlled by the sewing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Abstract

재봉기 그 중에서도 특히 단추구멍용 재봉기가 첨단부분(77)에 절단부(75)가 구비된 하반부(67)를 갖는 바늘-실 누름가위(56)를 포함한다. 이것은 또한 하반부(67)에 대하여 축회전 가능하고 첨단부분(78)에 절단부(76)가 구비된 상반부(73)를 더 갖는다. 또한, 이것은 바늘실 꼬리부분을 누르고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반부(73)의 첨단부분(78)상에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클램핑조(83)를 갖는다. 이 상반부(79)는 바늘실을 의한 수용개구(84)가 가위(56)의 열린 위치에서 형성되는 방식으로 축회전될 수 있고, 반면 닫힌위치에서 바늘실은 절단되고 바늘실의 꼬리부분이 상반부(73)와 클램핑조(83) 사이에서 눌려지고 유지된다. 이 상반부는 또한 상반부(73)는 첨단부분(78)이 클램핑조(83)로부터 자유롭고 바늘실의 꼬리부분이 해방되는 제 3 위치를 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추구멍용 재봉기
본 발명은 재봉기, 특히 단추구멍용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미국특허 공보 제 4 919 061에 대응하는) 독일 특허 제 DE 38 12 092 C2에는 재봉기, 즉 리넨(linen)의 단추구멍들을 재봉하기 위한 단추구멍용 재봉기를 개시하는 데, 상기 재봉기는 이동경로를 따라 상하로 왕복운동이 가능한 바늘, 실 저장부를 구비하는 후크(hook), 그리고 재봉작업동안 바늘 아래에서 일감이 파지되고 안내하기 위한 일감누름쇠를 포함한다. 이 일감누름쇠는 봉합선이 만들어질 때 바늘이 통과하기 위한 구멍을 포함한다. 또한 이 일감누름쇠는 레이디얼 캠(cam)에 의하여 구동되며, 즉 스티치들(stitches)의 모임이 재봉되고, 여기서 봉합선의 시작과 마감은 단추구멍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서로 만난다. 이 재봉기는 또한 바늘-실-누름가위를 구비하는 바늘-실 누름쇠 및 커터를 포함한다. 이들은 첨단부분에 위치한 절단부를 갖는 하반부로 구성된다. 나아가 이들은 축회전경첩 주위에서 하반부에 대해 축회전가능하고 마찬가지로 첨단부분에 위치한 절단부가 구비된 상반부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바늘실의 꼬리 부분이 눌리고 파지되기 위해서 상기 바늘-실-누름가위는 상반부의 첨단부분에 눌리고 해당 부분을 향하는 탄력이 있는 크램핑조(clamping jaw)를 구비한다. 하반부에 대한 가위의 상반부의 두 위치들에 관계없이, 바늘-실-누름가위는, 재봉될 단추구멍의 세로확장 방향으로 작업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고정바늘에 대하여 변동하는 위치들로 이동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바늘-실-누름가위에 의해 파지된 꼬리부분이 비교적 길다(대략 10mm). 결과적으로, 그 다음 만들어질 단추구멍의 개시 스티치(stitches)에 의한 꼬리부분을 덮는 신뢰성이 있는 재봉은 달성되지 못하고, 따라서 단추구멍의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바늘-실-누름가위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시키기 위하여, 이것은 구조적으로 그리고 제조기술에 있어서 복잡한 구동 매카니즘이 요구된다.
(미국 특허 공보 제 4 502 404에 대응하는) 독일 특허공보 제 DE 33 30 251 A1에는 단추구멍용 재봉기의 또 다른 바늘실의 커터를 개시하며, 여기서도 상기한 문제점들이 역시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확실히 재봉되는 실의 꼬리부분이 짧게 만들어지는 것을 보증하는 재봉기, 특히 단추구멍용 재봉기를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 1항의 특징부에 의하여 달성된다. 제1위치에서 꼬리부분이 눌리는 제2 닫힌위치로, 눌린 꼬리부분이 해방되는 제3 위치로 동일한 축회전방향으로의 하반부에 대한 상반부의 축회전 가능성의 실현으로 인하여, 바늘-실 누름쇠 및 커터는 바늘의 이동경로에 비교적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비교적 짧은 꼬리부분이 눌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 지점에 있어서, 이 꼬리부분은 가위의 상반부의 첨단부와 클램핑조(clamping jaw) 사이에서 확실하게 파지되며, 그 다음에 만들어질 봉합선의 첫 번째 스티치의 확실한 형성이 보증된다. 일단 연속되는 봉합선에서 우선 5 내지 15개의 스티치가 만들어지면, 이 상반부는 꼬리부분이 해방되는 제 3 위치로 이동하고, 꼬리부분을 덮어서 재봉하는 지그재그 봉합선, 예컨대 단추구멍 봉합선의 경우에 실시된다. 제 2 위치에서 제 3 위치로 회전될 때, 가위의 상반부는 바늘의 이동경로를 횡단하지 않는다.
청구항 제 2항에 따르는 개량의 결과로서, 가위의 하반부 및 상반부의 첨단부들, 및 클램핑조는 바늘의 이동경로로부터 벗어나 함께 움직이며, 이는 청구항 제 3항에 따르는 개량과 마찬가지로, 예컨대 단추구멍을 만들기 위하여 커터의 절단날을 위한 공간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커터날이 아래로 이동하는 동안 바늘-실-누름가위의 첨단부들이 이 커터날의 이동경로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보증할 때 청구항 제 4항에 따르는 더욱 개량된 방법은 특히 유리하다.
청구항 제 5항에 따르는 개량은 후크실과 바늘실이 동시에 절단되는 것을 보증한다. 청구항 제 6항에 따르는 개량과 마찬가지로, 가위의 상반부는 특별한 구동에 의하여 제 3 위치로 이동한다. 이러한 구동은 일감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동 매카니즘과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더 많은 특징들, 유리한 점들 그리고 상세한 것들은 도면을 참조한 모범적인 실시예의 확실한 설명으로 명백하여 질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확실히 재봉되는 실의 꼬리부분이 짧게 만들어지는 것을 보증하는 재봉기, 특히 단추구멍용 재봉기를 구현하는 것이다.
특히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두 가닥 실이 잠기는 스티치 머신(two-thread lock-stitch machine) 형태의 스티치 그룹 재봉기(stitch-group-sewing machine), 특히 리넨(linen) 단추구멍들의 재봉을 위해 형성된 단추구멍용 재봉기는 일반적으로 아암(arm)(1)과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2)를 포함한다. 구동기(미도시)에 의하여 회전구동되는 아암샤프트(arm shaft)(3)는 아암(1)에 있는 베어링들(4,5) 에서 움직여지고, 크랭크 구동기(6)를 거쳐,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고 바늘(8)을 구비하는 바늘막대(7)를 직선 이동경로를 따라, 상하로 즉, z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시킨다. 웜구동기(9)를 거쳐, 이 아암샤프트(3)는 재봉 작업동안 재봉되는 일감(11)을 이송하는 레이디얼 캠(10)을 더 구동시킨다. 이러한 유형의 캠 구동기는 예컨대(미국 특허 공보 제 777 564에 대응하는) 독일 특허 공보 제 166 647에서 일반적으로 공지되었다.
도 1을 참조하면, 실 저장부(미도시)를 갖는 후크(12)가 축(13)을 기준으로 회전되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2) 안에 수용되어 있다. 이 후크(12)의 구동은 일반적으로 바늘막대(7)의 움직임과 동기되어 아암샤프트(3)로부터 유도된다. 이 후크(12)는 바늘(8)이 이 후크(12)의 부근을 통과하여 도달하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2)에 형성되어 있는 스로트 컷아웃(throat cutout)(14) 바로 옆에 형성된다. 후크-실 커터(16)가 상기 스로트 컷아웃(14) 옆에서 축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후크-실 커터(15)와 이하 기재될 바늘-실 누름쇠 및 커터(16)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공통의 커터구동부(17)가 베이스 플레이트(2)의 아래 면에 장착되어 있으며, 이는 공기작용으로 구동되는 피스톤-실린더 구동기이다. 실린더(18)는 조인트(19)에 의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에 연접되어 있다. 이것의 피스톤봉(20)은 레버(21)를 거쳐 피벗샤프트(pivot shaft)(22)와 연결되어 있고, 이 피벗샤프트(22)는 베이스 플레이트(2) 상의 베어링(23)들에 의해 작동된다. 이 피벗샤프트(22)는 연접된 레버시스템(24)과 연결되고, 이 레버시스템을 거쳐 피벗샤프트(22)의 축회전동작이 재봉기의 스탠다드(standard)(25)에 설치된 샤프트(26)에 전달된다. 이 스탠다드(25)는 일반적으로 아암(1)을 재봉기의 베이스 플레이트(2)에 연결시킨다. 장치(16)의 운동은 이하에서 기재되는 바와 같이 샤프트(25)로부터 유도된다. 나아가 연결봉(27)은 앵글 레버(28)와, 이에 연접하여 스로트 컷아웃(14)이 후크 실을 절단시키는 축회전동작에서 후크실 커터(15)를 이끄는 푸시풀(push-pull) 로드(29)를 거쳐 구동장치(17)의 피스톤봉(20)과 연결된다. 따라서 후크 실을 절단하는 것과 바늘실을 절단하는 것은 동시에 그리고 동기되어 이루어진다.
도 4에 따르면, 재봉기는 그 다음 직물 압착기 바(31)에 의하여 상하 이동시키기 위하여, 즉 z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베어링(32)에 의하여 아암(1)에 내장된 압착기 기부(presser foot)(30)를 더 포함한다. 이것의 구동은 통례적인 방법(미도시)으로 이루어진다. 이 직물압착기 바(31)와 바늘막대(7)는 y-z 평면에 배치된다.
도 3에 따르면, 안내부(33)는 베이스 플레이트(2)에 형성되며, 이것은 x 방향으로 움직이며, 여기에서 일감지지대(34)가 x 방향의 이동을 위해 안내된다. 이 일감지지대(34)는 바늘(8)이 관통하고 스로트 컷아웃(14)과 겹치도록 이동할 수 있는 함몰부(35)를 가진다. 일감누름쇠(36)가 이 일감지지대(34) 위에 배치되며 이 일감누름쇠에 의하여 일감(11)이 이 일감지지대(34)위에서 눌려질 수 있게 된다. 이 일감누름쇠(36)는 재봉방향 즉 x 방향으로 뻗고 바늘(8)이 관통되도록 x 방향으로 뻗어있는 함몰부(38)를 더 포함하는 스트립형의 압착기판(37)을 구비한다. 이 압착기판(37)에 의하여, 일감(11) 자체가 일감지지대(34)에서 눌려진다. 이 일감누름쇠(36)는 압착기판(37)과 일감-누름쇠 캐리어(40)에 장착되는 고정활대(39)를 더 구비한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 캐리어(40)는 레이디얼 캠(10)에 의하여 x방향, 즉, 재봉방향과 그 반대방향으로 구동된다. 또한 일감지지대(34)는 이 캐리어(40)와 결합되어 재봉작업동안 이 일감지지대(34)와 일감누름쇠(36)가 x 방향과 그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그리고 완전히 동기되어, 즉 서로에 대한 어떠한 이동도 없이 움직인다.
일감누름쇠(36)는 압력롤러(41)를 이용하는 직물 압착기 바(31)에 의해 하향으로 일감 지지대(34)에 눌려지고, 직물 압착기 바(31)가 상승되면 z 방향으로 해방된다. 압력롤러(41)는 직물 압착기 바(31)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베어링피스(42)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단추구멍 커터(43)는 아암(1)에 배치되고, 안내봉(45)에 고정되는 절단날 캐리어(44)를 가지며, 이 절단날 캐리어는 z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하여 아암(1)에 수용된다. 절단날 캐리어(44)상에 절단날(46)이 장착되며, 이것에 의하여 단추구멍 봉합선이 재봉된 후 단추구멍이 절단된다. 도 4와 도 7에 따르면, 커터(43) 즉, 절단날(46)을 구비하는 절단날 캐리어(44)의 구동은 양측에서 공기작용으로 작동되는 피스톤-실린더 구동인 절단날 구동부(47)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 구동부(47)의 실린더(48)는 아암(1)에 연접되며, 반면 이것의 피스톤봉(49)은 조인트(50)를 거쳐 구동레버(51)와 연결된다. 이 구동레버(51)는 아암(1)에 있는 베어링들(53)에서 회전축으로 운행되는 구동샤프트(52)와 단단히 연결된다. 특히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송레버(54)는 이 구동레버(51)의 반대측 구동샤프트(52)의 단부에 단단히 장착되고, 압력롤러(55)를 이용하여 위에서부터 절단날 캐리어(44)로 누른다. 피스톤봉(49)이 실린더(48)에서 뻗어나오는 방식으로 절단날 구동부(47)가 작동되는 경우, 이송레버(54)는 압력롤러(55)를 이용하여 절단날(46)을 갖는 절단날 캐리어(44)를 아래로 누르고, 단추구멍을 절단한다. z 방향으로의 절단날(46) 복귀동작은 아암(1)에 배치되어 미리 압축된 압축스프링(미도시)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안내봉(45)에 작용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따르면, 바늘-실 누름쇠 및 커터(16)는 상세히 설명될 한쌍의 바늘-실-누름가위(56)를 포함한다; 이것은 베어링피스(42)상에 놓여지고, 축 회전된 레버(57)가 서로 연결되는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58)에 대하여 축회전되도록 직물-압착기 바(31)와 연결된다. 이 레버(57)가 축회전함에 따라, 가위(56)는 y축 방향에서 작업위치(도 3)에서 양보위치(도 12)로 또는 그의 반대로 이동할 수 있다. 이 축회전된 레버(57)는 축(58)에 장착되고 저널(Journal)(60)을 지나서 코울리세(coulisse)(62)의 한 슬릿(61)과 맞물리는 레버(59)를 이용하여 축회전된다. 이 코울리세는 이것의 길이방향으로 구동샤프트(52) 상에서 이동가능하고 미리 응축된 압축스프링(64)에 의하여 y 방향으로 부하가 걸려있는 슬라이딩베어링(63)에 고정된다. 절단-날 캐리어(44)에 단단히 연결되는 조정캠(65)은 시트(sheet)로 형성된 코울리세(62)를 지지한다. 이 조정캠(65)은 코울리세(62)에 장착된 저널(66)을 지지한다. 절단-날 캐리어(44)의 하향운동시, 이 코울리세(62)와 슬라이딩 베어링(63)은 y의 역방향(도 3,5 그리고 6에서 좌측)으로 미리 압축된 압축스프링(24)의 힘에 대항하여 이동하며, 이로써 축회전된 레버(57)는 동일한 방향(도 3에서 좌측)으로 축회전되고, 이로써 가위(56)는 y의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은,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위(56)가 일감누름쇠(36)의 함몰부(38)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단추구멍 커터(43)가 작동될 때, 즉, 절단날(46)이 단추구멍을 절단하기 위해 하향으로 움직일 때 가위(56)는 기계적인 결합에 의하여 함몰부(38) 영역으로부터 동시에 나와서 움직이며, 상기 영역을 통해 단추구멍은 일감(11)에 절단되고, 즉, 상기 영역을 통해 일감(11)은 세로로 절단된 구멍을 갖는다.
가위(56)는 분기된 베어링아암(68)과 베어링볼트(69)에 의하여 축회전된 레버(57)의 축(58)의 반대측인 아래쪽 단부에 연접되는 하반부(67)를 포함하며, 축(58)과 베어링볼트(69)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z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배치된다. 이 하반부(67)는 위로 향하여 각이 지고 여기에 세트나사(71)가 조정가능하게 배치되는 작동아암(70)을 구비하며, 축회전된 레버(57)를 지지한다. 또한 미리 압축된 재조정스프링(72)은 축회전된 레버(57)와 작동아암(70) 사이에 맞물리고 이 작동아암(70)을, 고로 그 하반부(67)를, 고로 전체가위(56)를, 축회전레버(57)에 대하여 소정 지점으로 움직이고, 여기서 세트나사(71)는 이 축회전된 레버(57)를 지지한다.
가위의 상반부(73)는 상하반부들(67,73)이 서로 축회전되는 가위경첩(74)에 의하여 하반부(67)에 연접된다. 상하반부들(67,73)은 이들의 첨단부위에서 각각 절단부들(75,76)을 가지며, 이것들은 절단작업을 수행할 때 공조하여 절단작업을 수행한다. 각각의 상하반부들(67,73)은 이들의 절단부들(75,76) 부위에 비교적 가는 팁부분들(77,78)을 갖는다. 판스프링형의 클램핑스프링(79)이 상반부(73)에 배치된다; 이것은 마찬가지로 가위경첩(74)에 의하여 하반부 및 상반부(67, 73)가 연결된다. 이것은 하반부(67)에 관련된 가위경첩(74)에 대하여 축회전될 수 없다. 이를 위해, 클램핑스프링은 하반부(67)상에 장착되어서 상반부(73)에 있는 충분한 크기의 구멍(81)을 관통하여 상반부(73)의 타원형구멍(82)에 맞물린 고정핀(80)에 의하여 지지된다. 가위의 상반부(73)가 있는 구멍(81)은 상반부(73)가 하반부(67)에 대하여 필요한 만큼 축회전될 수 있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고정핀(80)에 대향하고 첨단 부분들(77,78)을 향하는 단부에서, 클램핑 스프링(79)은 클램핑조(83)를 갖는다. 클램핑조는 항상 상반부(73)의 첨단부분(78) 위에 위치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첨단부분들(77,78)이 함몰부(38)의 위에 있는 작동위치인 경우, 가위의 상반부(73)는 하반부(67)에 대한 세 개의 위치들을 모두 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상반부(72)의 제 1 위치에서, 가위(56)는 열리며, 즉 절단부들(75,76)이 이동되며, 바늘실을 위해 수용개구(84)를 그 상태로 둔다. 상반부(73)의 첨단부분(78)은 클램핑스프링(79)의 클램핑조(83)와 연동되지 않는다. 도 9에 도시된 상반부(73)의 제 2(중간) 위치에서, 수용개구(84)는 닫혀져 있으며, 즉 절단부들(75,76)은 서로 안내되고, 절단작업을 수행되고, 첨단부분(78)에 눌려지는 클램핑스프링(79)의 클램핑조(83) 아래에 상반부(73)의 첨단부분(79)이 위치한다. 도 10에 도시된 제 3 위치에서, 상반부(73)는 실의 해방 위치에 있다. 상기 위치의 중요성은 아래에 설명된다. 가위의 하반부(67)에 대한 상반부(73)의 상기한 축회전 운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반부(73)는 저널(86)을 구비하는 오프셋아암(offset arm)(85)을 포함하며, 이것에 피벗베어링(89)에 의하여 축회전된 레버(88)의 하단부에 재연접되는 제어레버(87)가 작용한다. 축회전된 레버(88)는 정치베어링(90)에 의하여 아암(1)상에 장착된다. 미리 압축된 재조정스프링(91)은 축회전된 레버(88)에 작용하여, 축회전된 레버(88), 고로 제어레버(87)도 수축위치로 이동시킨다. 샤프트(26)에 단단히 연결된 캠레버(93)를 지지하는 조정저널(92)은 축회전된 레버(88)에 장착된다. 커터구동(17)에 의한 샤프트(26)의 상술한 축회전 운동시, 축회전된 레버(88), 고로 제어 레버(87)는 x 방향으로 충분히 멀리 이동되어 상반부(73)는 도 8에 도시된 제 1 위치로부터, 즉, 가위(56)가 열려진 바늘-실-파지위치에서 가위(56)의 절단 및 클램핑위치인 도 9에 도시된 제 2 위치로 축회전되는 정도까지 움직인다.
축회전된 레버(88) 근처에서, 앵글레버형태의 작동레버(94)가 샤프트(26)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샤프트(26)에 장착된다. 이것은 레이디얼 캠(10)의 영역에 이르고 레이디얼 캠(10)에 배치된 작동저널(96)에 위치하는 아암(95)을 갖는다. 이 작동레버(94)는 작동저널(92)과 연동되어 이동될 수 있는 또 다른 아암(97)을 포함한다. 레이디얼 캠(10)의 작동저널(96)은 회전방향(10a) 즉, 도시된 실시예에서 반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 아암(95)에 이르고, 따라서 작동레버(94)를 축회전시키는 경우, 아암(97)은 캠레버(93)가 축회전되는 것보다 더 멀리 축회전된 레버(88)를 축회전시킨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반부(73)는 가위(56)가 바늘실의 해방위치를 취하는 제 3 위치로 이동된다. 제어레버(87)가 z 방향으로 베어링피스(42)에 대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x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하여 베어링 피스(42)에 안내되는 슬라이딩 베어링(99)에서 연결안내피스(98)에 의하여 안내된다.
상반부(73)를 제 1의 열린위치 즉, 바늘-실-파지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은 베어링피스(42)상에 형성되고 배치된 스톱(10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절단날(46)의 하향운동하는 동안, 상기한 방식으로 가위(56)가 함몰부(38)와의 연동에서 벗어나 이동될 때, 즉 작업위치에서 양보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저널(86)은 이 스톱(100)을 지지한다.
작동방식은 아래와 같다 :
도 9에의 도시에 따르면, 가위(56)는 작동위치에서 함몰부(38)위에 있으며, 상반부(73)와 하반부(67)는, 바늘실(102)의 꼬리부분(101)이 클램핑조(83)와 상반부(73)의 첨단부분(78) 사이에서 눌리는 중간위치, 즉 제 2 위치에서 서로 겹쳐있기 된다. 여기서 재봉작업은 수행되며, 일감 지지대(34)와 일감클램프(36) 사이에서 유지되는 일감(11)은 x 방향으로 이동하고, 지그재그 봉합선(103)이 만들어진다. 몇 번의 스티치, 즉 5 내지 15개의 스티치 후에, 작동저널(96)은 작동레버(94)의 아암(95)과 맞물리며,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즉 도 10의 도시에 따라서, 가위(56)에 의해 상반부(73)의 아암(85)을 축회전방향(73a)에 따르는 제 3 위치로, 즉 바늘실의 해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정도로 제어레버(87)가 x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축회전레버(88)는 캠아암(97)을 거쳐서 이동한다. 이때 상반부(73)의 클램핑조(83)와 첨단부분(78) 사이에서의 꼬리부분(101) 누름은 해방된다. 다음의 스티치가 이 꼬리부분(101) 위에 재봉되며, 즉 이것은 봉합선(103)에 단단하고 보이지 않게 고정된다. 이 봉합선(103)은 레이디얼 캠(10)을 경유하는 구동부에 대응하여, 즉 도 13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힌 단추구멍 봉합선인 스티치그룹 형태로 연속된다. 봉합선(103)이 이것의 시작점(104) 부근에서 마감될 때, 기계는 바늘(8)의 일감(11)으로부터 제거됨으로써 정지하여진다. 비로소 단추구멍(105)은 절단날(46)에 의하여 절단되어 진다. 앞서 기재된 바와 같이, 절단날(46)이 아래도 움직임에 따라, 가위(56)는 압착기판(37)에 있는 함몰부(38)의 겹쳐지는 지점으로부터, 즉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위치로부터 양보위치로 y의 역방향으로 축회전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가위(56)는 상기 방식으로 열려지며, 즉 상반부(73)는 수용개구(84)가 열리는 제 1 위치로 이동된다. z 방향의 절단날(46)이 위로 이동함에 따라, 가위(56)는 도 3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기판(37)의 함몰부(38) 위의 첨단부분들(77,78)이 위치하는 작동위치로 이동한다. 이 바늘-실-파지 위치(제 1위치)에 있어서, 바늘실(102)은 도 8에 도시된 위치에 있게 된다. 비로소 커터구동부(17)가 동작되며, 이로 인하여 한편으로는 후크-실 커터(15)이고 다른 한편으로 가위(56)가 작동한다. 상반부(73)는 축회전방향으로 중간(제 2) 위치로 이동되며, 바늘실(102)은 이것이 왕복되는 동안 두 절단부들(75,76) 사이에서 절단되고, 이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반부(73)의 클램핑조(83)와 첨단부분(78) 사이에서 눌려진다. 이것은 다음 재봉작업의 시작위치에 해당한다.
제1위치에서 꼬리부분이 눌리는 제2 닫힌위치로, 눌린 꼬리부분이 해방되는 제3 위치로 동일한 축회전방향으로의 하반부에 대한 상반부의 축회전 가능성의 실현으로 인하여, 바늘-실 누름쇠 및 커터는 바늘의 이동경로에 비교적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비교적 짧은 꼬리부분이 눌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2 지점에 있어서, 이 꼬리부분은 가위의 상반부의 첨단부와 클램핑조 사이에서 확실하게 파지되며, 그 다음에 만들어질 봉합선의 첫 번째 스티치의 확실한 형성이 보증된다.
도 1은 리넨(linen) 단추구멍들을 재봉하기 위한 재봉기의 후방을 부분적으로 절개한 상태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화살표 Ⅱ에 따른 재봉기의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에 관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서의 점선으로 둘러싸는 영역을 상세히 나타내고, 도 1에 비해 확대된 도1의 화살표 Ⅲ에 따르는 재봉기의 전면부분의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화살표 Ⅴ에 따르는 재봉기의 부분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5는 도 3의 화살표 Ⅴ에 따르는 조립부품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6은 도 3과 도 5에 나타난 조립부품에서, 도 5의 절단선 Ⅳ-Ⅳ에 관한 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서 좌측에 표시된 구역을 확대한 상태의 부분도이고,
도 8은 제 1의 열린위치에서 작동할 때의 한 쌍의 바늘용실 누름쇠 가위를 나타내며,
도 9는 제 2의 닫힌위치에서 작동할 때의 한 쌍의 바늘용실 누름쇠 가위를 나타내고,
도 10은 해방의 제 3위치에서 작동할 때의 한 쌍의 바늘용실 누름쇠 가위를 나타내며,
도 11은 제 1의 열린위치에서 양보될 때의 한 쌍의 바늘용실 누름쇠 가위를 나타내고,
도 12는 양보위치에서 바늘용실 누름쇠 가위의 측면도이며,
도 13은 부분적으로 재봉된 리넨 단추구멍을 구비하는 일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7)

  1. - 이동경로를 따라 상하로 왕복운동이 가능한 바늘(8);
    - 후크(12);
    - 봉합선(103)이 만들어지는 동안 상기 바늘(8)이 관통하기 위한 함몰부(38)를 구비하고, 재봉작업동안 상기 바늘(8) 아래에서 일감(11)을 파지하고 안내하기 위한 일감누름쇠(36);
    - 상기 일감누름쇠(36)를 위한 구동부(레이디얼 캠(10));
    - 바늘-실-누름가위(56)를 포함하며,
    -- 첨단부분(77)에 절단부(75)를 가지는 하반부(67),
    -- 축회전경첩(74) 주위에서 하반부(67)에 대하여 축회전하고 첨단부분(78)에 절단부(76)를 가지는 상반부(73), 및
    -- 상기 바늘실(102)의 꼬리부분(101)를 누르고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반부(73)의 첨단부분(78) 상에서 탄성적으로 가압될 수 있고 여기서 절단부들(75,76)이 상기 일감누름쇠(36)의 상기 함몰부(38) 위에 위치하도록 작업위치를 잡는 클램핑조(83)를 구비하는, 바늘-실 누름쇠 및 커터(16);
    - 상기 바늘(8)의 이동경로는 상기 절단부들(75,76) 사이에 형성된 바늘-실 (102) - 수용개구(84)를 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상반부(73)의 첨단부분(78)은 상기 클램핑조(83)로부터 해방되는 제 1의 열린위치로부터,
    첨단부분들(77,78)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고 가위에서 상반부(73)의 첨단부분(78)이 클램핑조(83)와 실누름 맞물려 있는 제 2의 닫힌위치와, 상반부(73)의 첨단부분(78)이 클램핑조(83)로부터 해방되는 제 3 위치로
    상기 하반부(67)에 대하여 하나의 그리고 동일한 축회전방향(73a)으로 상반부(73)를 축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매카니즘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구멍용 재봉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실 누름가위(56)는 작업위치에서, 상기 첨단부들(77,78)이 상기 바늘(8)의 이동경로에 구애되지 않고 양보위치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구멍용 재봉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감누름쇠(36)의 상기 함몰부(38)를 통하여 움직일 수 있는 절단날(46)을 가지고, 봉합선(103) 곁의 구멍(105)을 절단하는 커터(4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구멍용 재봉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43)를 구동시키고 동시에 작업위치로부터 양보위치로 상기 바늘-실-누름가위(56)를 축회전시키기 위하여 공통의 구동 매카니즘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구멍용 재봉기.
  5. 제 1항에 있어서,
    후크-실 커터(15)가 상기 후크(12)와 상기 바늘(8)의 이동경로 옆에 구비되고, 공통의 커터구동부(17)가 상기 후크-실 커터(15)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상반부(73)를 축회전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구멍용 재봉기.
  6. 제 5항에 있어서,
    분리된 구동 매카니즘이 제 2 위치에서 제 3위치로 상반부(73)를 축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구멍용 재봉기.
  7. 제 6항에 있어서,
    분리된 구동 매카니즘이 상기 일감누름쇠(36)용 상기 구동 매카니즘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구멍용 재봉기.
KR1019980019961A 1997-05-30 1998-05-30 재봉기,그중에서도특히바늘용실의클램프와커터를가지는단추구멍용재봉기 KR1005396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22504.7 1997-05-30
DE19722504A DE19722504C1 (de) 1997-05-30 1997-05-30 Nähmaschine, insbesondere Knopfloch-Nähmaschine, mit einer Nadelfaden-Klemm- und- Schneid-Ein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521A KR19980087521A (ko) 1998-12-05
KR100539607B1 true KR100539607B1 (ko) 2006-05-16

Family

ID=7830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9961A KR100539607B1 (ko) 1997-05-30 1998-05-30 재봉기,그중에서도특히바늘용실의클램프와커터를가지는단추구멍용재봉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31106A (ko)
JP (1) JP3352628B2 (ko)
KR (1) KR100539607B1 (ko)
CN (1) CN1063809C (ko)
DE (1) DE19722504C1 (ko)
IT (1) ITTO980412A1 (ko)
TW (1) TW44677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186B1 (ko) * 2001-04-16 2008-05-23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단추구멍 재봉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66311B4 (de) * 1999-12-16 2017-10-05 Juki Corp. Fadenschneider für eine Nähmaschine
DE10046676C1 (de) * 2000-07-07 2001-11-08 G M Pfaff Ag I I Knopflochnähmaschine mit einem Niederhalter
US6532960B1 (en) 2000-07-10 2003-03-18 Respironics, Inc. Automatic rise time adjustment for bi-level pressure support system
JP4530526B2 (ja) * 2000-12-07 2010-08-25 Juki株式会社 糸切り装置
DE10136543C1 (de) * 2001-07-26 2002-07-18 Duerkopp Adler Ag Nähmaschine, insbesondere Knopfloch-Nähmaschine, mit einer Nadelfaden-Klemm- und -Schneid-Einrichtung
JP2003093773A (ja) * 2001-09-20 2003-04-02 Juki Corp ボタン穴かがり縫いミシン
JP3940588B2 (ja) * 2001-11-26 2007-07-04 Juki株式会社 穴かがりミシンの下糸切断装置
KR100414678B1 (ko) * 2001-12-29 2004-01-07 동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정션 누설전류 측정용 테스트 구조 제조방법
US7143705B2 (en) 2002-03-06 2006-12-05 L & 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Multiple horizontal needle quilting machine and method
JP4037151B2 (ja) * 2002-04-10 2008-01-23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上糸保持装置
KR200446232Y1 (ko) * 2007-09-14 2009-10-08 치 시앙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단추구멍 재봉기의 윗실 유지장치
JP2009207820A (ja) 2008-03-06 2009-09-17 Juki Corp 穴かがりミシン
CN102418245A (zh) * 2011-09-06 2012-04-18 新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缝纫机抓线方法及抓线机构
CN104372535B (zh) * 2014-11-04 2020-06-16 际华三五零六纺织服装有限公司 一种橡皮筋缝纫送进及切断装置
CN112170064A (zh) * 2020-11-12 2021-01-05 吴江市震宇缝制设备有限公司 一种缝纫机外壳喷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66647C (ko) *
US777564A (en) * 1904-01-12 1904-12-13 Singer Mfg Co Sewing-machine for forming groups or stitches.
US4404921A (en) * 1982-06-29 1983-09-20 Durkoppwerke Gmbh Buttonhole machine with automatic thread clipping
IT1159284B (it) * 1982-10-28 1987-02-25 Necchi Spa Rasafilo superiore in macchine per cucire asole
DE3812092A1 (de) * 1988-04-12 1989-10-26 Duerkoppwerke Knopflochnaehmaschine mit einer fadentrenn- und -klemmvorrichtung
JP3670065B2 (ja) * 1995-07-24 2005-07-13 ジューキ株式会社 押え切断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186B1 (ko) * 2001-04-16 2008-05-23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단추구멍 재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521A (ko) 1998-12-05
CN1201087A (zh) 1998-12-09
TW446779B (en) 2001-07-21
DE19722504C1 (de) 1998-09-03
JPH10328443A (ja) 1998-12-15
US5931106A (en) 1999-08-03
ITTO980412A1 (it) 1999-11-15
CN1063809C (zh) 2001-03-28
JP3352628B2 (ja) 2002-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9607B1 (ko) 재봉기,그중에서도특히바늘용실의클램프와커터를가지는단추구멍용재봉기
GB2081315A (en) Trimming device for sewing machines
US3847097A (en) Device for making braid openings in cutout pieces of garments
JP3950758B2 (ja) 上糸クランプ・カッターを有するミシン
US3747545A (en) Sewing apparatus for the formation of edge-piping openings
JP4686025B2 (ja) ミシンの糸切り装置
JP4734010B2 (ja) ミシン
US5813356A (en) Sewing machine with trimming device
JP3186538U (ja) ミシン用の糸引きブレード、糸切断アセンブリ、及びこの種の糸引きブレードを備えたミシン
US6220192B1 (en) Buttonhole sewing machine
JPS59209377A (ja) 針糸の糸ばさみ装置を備えた釦穴かがりミシン
KR100915282B1 (ko) 단추구멍내기 재봉기
JP2002346265A (ja) 糸カッターを備えた二糸ロックステッチミシン
JP4669726B2 (ja) 目穴型ボタン穴ミシン
US5178082A (en) Blind stitch sewing machine
JPH019509Y2 (ko)
JPH05239758A (ja) 刺繍縫い機の裏糸もしくは下糸のための把持及び切断装置
JP2008018023A (ja) 鳩目穴かがりミシンの糸切り装置
KR100186838B1 (ko) 2중 스텝 스티치 재봉틀에서 재봉초기에 바늘의 실단부를 단축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4542707A (en) Sewing machine having auxiliary work turning needle
US1388411A (en) Trimming mechanism for sewing-machines
JPH0817865B2 (ja) ミシンの糸切装置
US765622A (en) Thread cutting and clamping mechanism for sewing-machines.
JP2005118244A (ja) 鳩目穴かがりミシン及びその布片規制具
US439087A (en) Clamp for button-hole sewing-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