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5691A -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5691A
KR20130105691A KR1020137017485A KR20137017485A KR20130105691A KR 20130105691 A KR20130105691 A KR 20130105691A KR 1020137017485 A KR1020137017485 A KR 1020137017485A KR 20137017485 A KR20137017485 A KR 20137017485A KR 20130105691 A KR20130105691 A KR 20130105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ight
shield
position switch
light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7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9888B1 (ko
Inventor
마사야 기타자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5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5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2Operation of door or gate cont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1개의 위치스위치로 도어의 전개와 전폐를 판별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2조의 투수광기가 연직방향으로 늘어서 배치된 위치스위치와, 도어가 전폐 및 전개 중 한쪽의 상태가 되었을 때에 하측의 투광기로부터 하측의 수광기로의 광을 차폐 등 하는 제1 차폐체와, 도어가 전폐 및 전개 중 다른 쪽의 상태가 되었을 때에 하측의 투광기로부터 하측의 수광기로의 광과 상측의 투광기로부터 상측의 수광기로의 광을 동시에 차폐 등 하는 제2 차폐체를 구비하고, 제2 차폐체는 도어가 전폐 및 전개 중 다른 쪽의 상태가 되었을 때에 하측의 투광기로부터 하측의 수광기로의 광을 차폐 등 하는 제1 차폐부와, 제1 차폐부가 하측의 투광기로부터 하측의 수광기로의 광을 차폐 등 하고 있을 때 상측의 투광기로부터 상측의 수광기로의 광을 차폐 등 하도록, 제1 차폐부보다도 도어의 개폐방향으로 큰 폭으로 형성된 제2 차폐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ELEVATOR DOOR DEV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가 보급되어 있다.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에서는 권상기가 승강로 내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승강로 내의 엘리베이터 기기의 공간절약화가 요구된다. 이것에 수반하여,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에서도 컴팩트하고 고기능인 것이 요구된다.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에서는 도어모터 등의 토크가 전달기구를 통하여 도어패널에 전해진다. 이것에 의해, 도어패널이 수평방향으로 자동 개폐한다. 도어패널은 전개(全開)위치 및 전폐(全閉)위치에서 정지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도어패널의 전개와 전폐를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들의 인식에는 광의 차폐(遮蔽)나 반사를 이용하는 위치스위치가 널리 이용된다. 이 위치스위치는 다른 방식의 스위치에 비해, 정밀도가 좋고, 쓰레기나 물 등에도 강하다.
광을 이용한 위치스위치를 구비한 도어장치로서, 1개의 위치스위치에 대해서 2개의 차폐판을 도어패널에 마련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도어장치에 의하면, 도어패널이 전개위치 또는 전폐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그렇지만, 도어패널이 전개위치 및 전폐위치 중 어느 한쪽에 배치되어 있어도, 위치스위치의 수광(受光) 상태는 동일하다. 이 때문에, 도어패널의 전개와 전폐를 판별할 수 없다.
이것에 대해, 복수의 위치스위치를 도어패널의 개폐방향으로 늘어놓아 배치한 도어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도어스위치에 의하면, 도어패널에 설치된 1개 이상의 차폐판이 위치스위치의 각각의 투수광기(投受光器)를 횡단하는 것에 의해, 도어패널의 전개와 전폐를 판별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소60-218282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문헌 1 기재의 것은 고가의 위치스위치를 복수 개 이용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1개의 위치스위치로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전개와 전폐를 판별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근방에 마련되고, 투광기와 수광기를 가지는 2조(組)의 투수광기가 연직(鉛直)방향으로 늘어서 배치된 위치스위치와, 상기 도어가 전폐 및 전개 중 한쪽의 상태가 되었을 때에 하측의 투광기로부터 하측의 수광기로의 광을 차폐 또는 반사하도록 상기 도어에 마련된 제1 차폐체와, 상기 도어가 전폐 및 전개 중 다른 쪽의 상태가 되었을 때에 하측의 투광기로부터 하측의 수광기로의 광과 상측의 투광기로부터 상측의 수광기로의 광을 동시에 차폐 또는 반사하도록 상기 도어에 마련된 제2 차폐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차폐체는 상기 도어가 전폐 및 전개 중 다른 쪽의 상태가 되었을 때에 상기 하측의 투광기로부터 상기 하측의 수광기로의 광을 차폐 또는 반사하도록 형성된 제1 차폐부와, 상기 제1 차폐부가 상기 하측의 투광기로부터 상기 하측의 수광기로의 광을 차폐 또는 반사하고 있을 때에 상기 상측의 투광기로부터 상기 상측의 수광기로의 광을 차폐 또는 반사하도록 상기 제1 차폐부보다도 상기 도어의 개폐방향으로 큰 폭으로 형성된 제2 차폐부를 가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1개의 위치스위치로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전개와 전폐를 판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의 도어패널이 전개하고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의 도어패널이 전폐하고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의 주요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가 전개했을 때의 위치스위치와 차폐판과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가 전폐했을 때의 위치스위치와 차폐판과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에 이용되는 위치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에 이용되는 위치스위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서의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에 이용되는 위치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첨부의 도면을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으며, 그 중복 설명은 적당하게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의 도어패널이 전개하고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의 도어패널이 전폐하고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는 엘리베이터칸(도시생략)의 출입구(도시생략)의 상부를 엘리베이터칸 외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1은 서포트 빔(support beam)이다. 서포트 빔(1)은 엘리베이터칸의 출입구의 위쪽에 마련된다. 서포트 빔(1)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칸의 출입구 상부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레일(2)이 마련된다. 레일(2)의 중앙과 일단에는 스트랩 메탈(strap metal)(3)이 마련된다. 레일(2)에는 한 쌍의 도어행거(4)가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도어행거(4)의 한쪽의 양측에는 스토퍼(5)가 마련된다. 도어행거(4)에는 각각 도어패널(6)이 매달린다.
서포트 빔(1)의 일측의 상부에는 모터(7)가 마련된다. 서포트 빔(1)의 타측의 상부에는 활차(滑車)(8)가 마련된다. 모터(7)와 활차(8)에는 무단상(無端狀)의 톱니 부착 벨트(9)가 감겨진다. 톱니 부착 벨트(9)에는 적절한 장력이 걸려진다.
상측의 톱니 부착 벨트(9)에는 벨트 그립퍼(belt gripper)(10)의 한쪽의 상부가 연결된다. 벨트 그립퍼(10)의 한쪽의 하부는 도어행거(4)의 한쪽에 연결된다. 하측의 톱니 부착 벨트(9)에는 벨트 그립퍼(10)의 다른 쪽이 연결된다. 벨트 그립퍼(10)의 다른 쪽의 하부는 도어행거(4)의 다른 쪽에 연결된다.
서포트 빔(1)의 일측 또한 도어행거(4)의 한쪽의 위쪽에는 위치스위치(11)가 마련된다. 위치스위치(11)의 출력에는 도어제어장치(도시생략)가 접속된다. 도어행거(4)의 한쪽의 도어 스톱퍼(door stopper) 측 상부에는 제1 차폐판(제1 차폐체)(12)이 마련된다. 도어행거(4)의 한쪽의 도어 포켓(door pocket) 측 상부에는 제2 차폐판(제2 차폐체)(13)이 마련된다. 제1 차폐판(12)과 제2 차폐판(13)은 도어패널(6)과 평행하게 되도록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다.
이 도어장치에서는, 모터(7)의 회전에 의해, 톱니 부착 벨트(9)가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 한 쌍의 벨트 그립퍼(10)가 수평방향 또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 한 쌍의 도어행거(4)가 수평방향 또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 한 쌍의 도어패널(6)이 수평방향 또한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개폐한다.
도어패널(6)의 전개시는, 도어 포켓 측의 스트랩 메탈(3)과 스토퍼(5)가 접촉한다. 이 때, 제1 차폐판(12)이 위치스위치(11)에 검출된다. 한편, 도어패널(6)의 전폐시는, 도어 스톱퍼 측의 스트랩 메탈(3)과 스토퍼(5)가 접촉한다. 이 때, 제2 차폐판(13)이 위치스위치(11)에 검출된다. 이들 위치스위치(11)의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도어제어장치는 도어패널(6)의 전개와 전폐를 판별한다.
다음으로, 도 3을 이용하여, 위치스위치(11), 제1 차폐판(12), 제2 차폐판(13)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의 주요부 구성도이다.
위치스위치(11)는 아래쪽을 향하여 개구한다. 구체적으로는, 위치스위치(11)는 제1 유지부(11a), 제2 유지부(11b), 연결부(11c)를 구비한다. 제1 유지부(11a)는 서포트 빔(1)에 장착된다. 제2 유지부(11b)는 제1 유지부(11a)보다도 엘리베이터칸 외측에 배치된다. 연결부(11c)는 제1 유지부(11a)의 상단과 제2 유지부(11b)의 상단을 연결한다.
제1 유지부(11a)의 내측면에는 한 쌍의 투광기(14a, 14b)가 연직방향으로 늘어서 유지된다. 투광기(14a, 14b)는 발광면을 엘리베이터칸 외측으로 향해서 배치된다. 제2 유지부(11b)의 내측면에는 한 쌍의 수광기(15a, 15b)가 연직방향으로 늘어서 유지된다. 수광기(15a, 15b)는 수광면을 엘리베이터칸 측으로 향하여 배치된다.
하측의 투광기(14a)가 발(發)한 광은 하측의 수광기(15a)로 받아들여진다. 이것에 의해, 하측의 투광기(14a)와 하측의 수광기(15a)와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한 제1 광축(16a)이 형성된다. 상측의 투광기(14b)가 발한 광은 상측의 수광기(15b)로 받아들여진다. 상측의 투광기(14b)와 상측의 수광기(15b)와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한 제2 광축(16b)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측의 투광기(14a)와 하측의 수광기(15a)는 1개의 투수광기로서 기능한다. 마찬가지로, 상측의 투광기(14b)와 상측의 수광기(15b) 모두, 1개의 투수광기로서 기능한다.
제1 차폐판(12)은 'L'자형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차폐판(12)은 수평부(12a), 수직부(12b)를 구비한다. 수평부(12a)는 도어패널(6) 상부의 도어 스톱퍼 측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수평부(12a)에는 장공(長空)(12c)이 형성된다. 장공(12c)은 길이방향을 수평방향으로 하여 형성된다. 수직부(12b)는 수평부(12a)의 도어 스톱퍼 측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수직부(12b)의 상단은 제1 광축(16a)보다도 위쪽 또한 제2 광축(16b)보다도 아래쪽에 배치된다.
제2 차폐판(13)은 갈고리 모양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차폐판(13)은 수평부(13a), 수직부(제1 차폐부)(13b)를 구비한다. 수평부(13a)는 도어패널(6) 상부의 도어 포켓 측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수평부(13a)에는 장공(13c)이 형성된다. 장공(13c)은 길이방향을 수평방향으로 하여 형성된다. 수직부(13b)는 수평부(13a)의 도어 포켓 측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수직부(13b)의 상단은 제1 광축(16a)보다도 위쪽 또한 제2 광축(16b)보다도 아래쪽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직부(13b)의 상단으로부터 도어패널(6)의 중앙 측으로 수직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돌출부(제2 차폐부)(13d)가 형성된다. 즉, 돌출부(13d)는 수직부(13b)보다도 도어패널(6)의 개폐방향으로 큰 폭으로 형성된다. 돌출부(13d)의 하부 가장자리부는 제1 광축(16a)보다도 위쪽 또한 제2 광축(16b)보다도 아래쪽에 배치된다. 돌출부(13d)의 상부 가장자리부는 제2 광축(16b)보다도 위쪽 또한 위치스위치(11)의 연결부(11c)의 하면보다도 아래쪽에 배치된다.
제1 차폐판(12)의 장공(12c)과 제2 차폐판(13)의 장공(13c)에는, 각각 한 쌍의 볼트(17)가 엘리베이터칸 외측으로부터 관통한다. 이들 볼트(17)는 도어패널(6)의 상부에 나사끼움된다. 이들 볼트(17)에 의해, 제1 차폐판(12)과 제2 차폐판(13)은 도어패널(6)의 상부에 고정된다. 이들 볼트(17)를 느슨하게 하는 것에 의해, 제1 차폐판(12)과 제2 차폐판(13)의 위치는 도어패널(6)의 개폐방향으로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이용하여, 도어패널(6)의 전개를 판별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가 전개했을 때의 위치스위치와 차폐판과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패널(6)이 전개하고 있을 때, 위치스위치(11)의 내측에 제1 차폐판(12)이 배치된다. 제1 차폐판(12)의 수직부(12b)의 상단은 제1 광축(16a)보다도 위쪽 또한 제2 광축(16b)보다도 아래쪽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제1 차폐판(12)은 제1 광축(16a)만을 차단한다. 이 경우, 하측의 수광기(15a)만이 수광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일 때, 도어제어장치는 도어패널(6)이 전개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다음으로, 도 5를 이용하여, 도어패널(6)의 전폐를 판별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가 전폐했을 때의 위치스위치와 차폐판과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패널(6)이 전폐하고 있을 때, 위치스위치(11)의 내측에 제2 차폐판(13)이 배치된다. 이 때, 제2 차폐판(13)의 수직부(13b)의 상단은 제1 광축(16a)보다도 위쪽 또한 제2 광축(16b)보다도 아래쪽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제2 차폐판(13)의 수직부(13b)는 제1 광축(16a)을 차단한다.
이것에 대해, 제2 차폐판(13)의 돌출부(13d)의 하부 가장자리부는 제1 광축(16a)보다도 위쪽 또한 제2 광축(16b)보다도 아래쪽에 배치된다. 제2 차폐판(13)의 돌출부(13d)의 상부 가장자리부는 제2 광축(16b)보다도 위쪽 또한 위치스위치(11)의 연결부(11c)의 하면보다도 아래쪽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제2 차폐판(13)의 돌출부(13d)는 제2 광축(16b)을 차단한다.
따라서, 도어패널(6)의 전폐 직전에 있어서, 제2 차폐판(13)의 돌출부(13d)는 제2 광축(16b)을 차단한다. 한편, 제2 차폐판(13)의 수직부(13b)는 제1 광축(16a)을 차단하지 않는다. 그 후, 도어패널(6)을 전폐하면, 제2 차폐판(13)의 돌출부(13d)는 제2 광축(16b)을 차단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제2 차폐판(13)의 수직부(13b)는 제1 광축(16a)을 차단한다. 이 경우, 하측의 수광기(15a)와 상측의 수광기(15b)의 쌍방이 수광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일 때, 도어제어장치는 도어패널(6)이 전폐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형태 1에 의하면, 도어패널(6)의 전개시와 전폐시는 위치스위치(11)의 수광 상태가 다르다. 이 때문에, 1개의 위치스위치(11)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전개와 전폐를 판별할 수 있다. 즉, 염가의 시스템으로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전개와 전폐를 판별할 수 있다.
게다가, 제2 차폐판(13)의 돌출부(13d)는 수직부(13b)보다도 도어패널(6)의 개폐방향으로 큰 폭으로 형성된다. 이 때문에, 제2 차폐판(13)이 다소 비스듬하게 장착되어도 수직부(13b)가 제1 광축(16a)을 차단하고 있을 때는 반드시 돌출부(13d)가 제2 광축(16b)을 차단한다. 이 때문에, 도어패널(6)의 위치의 오판정을 방지하는 신뢰성이 높은 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
또, 제2 차폐판(13)의 돌출부(13d)는 도어패널(6)의 중앙 측으로 돌출한다. 이 때문에, 제1 차폐판(12)과 제2 차폐판(13)과의 외변(外邊) 사이의 거리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도어패널(6)의 전개시에 제2 차폐판(13)이 도어장치의 도어 포켓 측으로부터 돌출하는 구성으로 해도, 그 돌출량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즉, 제2 차폐판(13)에 의한 승강로의 필요 폭 치수로의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수광기(15a, 15b)는 수광면을 엘리베이터칸 측으로 향하게 한다. 즉, 수광기(15a, 15b)의 수광면은 홀의 반대 측을 향한다. 이 때문에, 햇빛 등의 외란광(外亂光)이 수광기(15a, 15b)에 직접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도어패널(6)의 위치의 오판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차폐판(12)의 위치와 제2 차폐판(13)의 위치를 반대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도어패널(6)의 전개시는 제2 차폐판(13)이 제1 광축(16a)과 제2 광축(16b)을 차단한다. 한편, 도어패널(6)의 전폐시는 제1 차폐판(12)이 제1 광축(16a)만을 차단한다. 이와 같은 제1 차폐판(12)과 제2 차폐판(13)의 배치로 하여도 실시형태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위치스위치(11)는 광의 반사를 이용한 투수광기이어도 된다. 이 경우, 투광기와 수광기는 차폐판에 대해서 동일한 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투광기가 발한 광은 차폐판에 반사되어 수광기로 받아들여진다. 이 수광기의 수광 상태에 의해서, 도어제어장치가 도어패널(6)의 위치를 판별하면, 실시형태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에 이용되는 위치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에 이용되는 위치스위치의 횡단면도이다. 또한, 실시형태 1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2의 위치스위치(11)에 대해서는, 제1 유지부(11a)는 제2 유지부(11b)보다도 도어패널(6)의 개폐방향으로 큰 폭으로 형성된다. 적어도 제1 유지부(11a)는 외란광(18)의 반사를 억제하는 성질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1 유지부(11a)의 표면은 흑색으로 착색된다. 제2 유지부(11b)의 내측 표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된다. 오목부의 저면에 수광기(15a, 15b)가 장착된다. 이것에 의해, 수광기(15a, 15b)는 제2 유지부(11b)의 내측 표면보다도 안으로 들어가게 배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형태 2에 의하면, 수광기(15a, 15b)는 제2 유지부(11b)의 내측 표면보다도 안으로 들어가게 배치된다. 이 때문에, 햇빛 등의 외란광(18)이 수광기(15a, 15b)에 직접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외란광(18)에 의한 도어패널(6)의 배치의 오판정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위치스위치(11)의 제1 유지부(11a)는 제2 유지부(11b)보다도 도어패널(6)의 개폐방향으로 큰 폭으로 형성된다. 이 때문에, 서포트 빔(1) 등에서 반사한 외란광(18)이 수광기(15a, 15b)에 들어가는 것을 제1 유지부(11a)의 측 가장자리부에 의해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제1 유지부(11a)는 외란광(18)의 반사를 억제하는 성질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제1 유지부(11a)에서의 외란광(18)의 반사가 억제된다. 이 때문에, 도어패널(6)의 위치의 오판정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서의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에 이용되는 위치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또한, 실시형태 1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3에서는, 위치스위치(11)의 제2 유지부(11b)의 엘리베이터칸 외측 표면에 표시장치(19)가 마련된다. 표시장치(19)는 하측의 수광기(15a)의 수광 상태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표시장치(19)는 제1 광축(16a)이 차단되었을 때에 점등(點燈)하거나 점멸하거나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형태 3에 의하면, 표시장치(19)가 하측의 수광기(15a)의 수광 상태를 표시한다. 이 때문에, 도어패널(6)이 전개하고 있을 때, 위치스위치(11)와 제1 차폐판(12)과의 위치 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도어패널(6)이 전폐하고 있을 때, 위치스위치(11)와 제2 차폐판(13)과의 위치 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위치스위치(11), 제1 차폐판(12), 제2 차폐판(13)의 위치 조정시에는, 작업자는 도어패널(6)이 전개하고 있는지 전폐하고 있는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어패널(6)의 전개와 전폐를 판별하여 표시할 필요는 없다. 즉, 하측의 수광기(15a)와 상측의 수광기(15b)의 수광 상태를 판별하여 표시하는 경우에 비해, 표시 상태의 수나 표시장치(19) 자체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염가의 표시장치(19)를 이용하여, 위치스위치(11), 제1 차폐판(12), 제2 차폐판(13)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에 의하면, 도어의 전개와 전폐를 판별하는 엘리베이터에 이용할 수 있다.
1 서포트 빔 2 레일
3 스트랩 메탈 4 도어행거
5 스토퍼 6 도어패널
7 모터 8 활차
9 톱니 부착 벨트 10 벨트 그립퍼
11 위치스위치 11a 제1 유지부
11b 제2 유지부 11c 연결부
12 제1 차폐판 12a 수평부
12b 수직부 12c 장공
13 제2 차폐판 13a 수평부
13b 수직부 13c 장공
13d 돌출부 14a, 14b 투광기
15a, 15b 수광기 16a 제1 광축
16b 제2 광축 17 볼트
18 외란광 19 표시장치

Claims (6)

  1. 엘리베이터의 도어 근방에 마련되고, 투광기(投光器)와 수광기(受光器)를 가지는 2조(組)의 투수광기가 연직(鉛直)방향으로 늘어서 배치된 위치스위치와,
    상기 도어가 전폐(全閉) 및 전개(全開) 중 한쪽의 상태가 되었을 때에 하측의 투광기로부터 하측의 수광기로의 광을 차폐(遮蔽) 또는 반사하도록 상기 도어에 마련된 제1 차폐체와,
    상기 도어가 전폐 및 전개 중 다른 쪽의 상태가 되었을 때에 상기 하측의 투광기로부터 상기 하측의 수광기로의 광과 상측의 투광기로부터 상측의 수광기로의 광을 동시에 차폐 또는 반사하도록 상기 도어에 마련된 제2 차폐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차폐체는,
    상기 도어가 전폐 및 전개 중 다른 쪽의 상태가 되었을 때에 상기 하측의 투광기로부터 상기 하측의 수광기로의 광을 차폐 또는 반사하도록 형성된 제1 차폐부와,
    상기 제1 차폐부가 상기 하측의 투광기로부터 상기 하측의 수광기로의 광을 차폐 또는 반사하고 있을 때 상기 상측의 투광기로부터 상기 상측의 수광기로의 광을 차폐 또는 반사하도록 상기 제1 차폐부보다도 상기 도어의 개폐방향으로 큰 폭으로 형성된 제2 차폐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2. 상기 위치스위치는 상기 도어의 위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차폐체는 상기 도어의 도어 스톱퍼(door stopper) 측 및 도어 포켓(door pocket) 측의 한쪽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차폐체는 상기 도어의 도어 스톱퍼 측 및 도어 포켓 측의 다른 쪽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차폐부는 상기 제1 차폐부의 상부로부터 상기 도어의 중앙 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수광기는 수광면을 상기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측을 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기는 상기 위치스위치의 오목부에 배치되고, 상기 위치스위치의 표면보다도 안으로 들어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스위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외측을 향해서 광을 발(發)하는 투광기를 유지하는 제1 유지부와,
    수광면을 상기 엘리베이터칸 측으로 향하게 한 수광기를 유지하는 제2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유지부는 외란광(外亂光)의 반사를 억제하는 성질로, 상기 제2 유지부보다도 상기 도어의 개폐방향으로 큰 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스위치의 표면에 마련되고, 상기 하측의 수광기의 수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KR1020137017485A 2010-12-15 2010-12-15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KR1014498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72538 WO2012081090A1 (ja) 2010-12-15 2010-12-15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691A true KR20130105691A (ko) 2013-09-25
KR101449888B1 KR101449888B1 (ko) 2014-10-10

Family

ID=46244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7485A KR101449888B1 (ko) 2010-12-15 2010-12-15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653425B1 (ko)
JP (1) JP5494823B2 (ko)
KR (1) KR101449888B1 (ko)
CN (1) CN103261081B (ko)
WO (1) WO20120810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4006738B4 (de) * 2014-06-11 2021-03-0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ufzugtür-Steuervorrichtung
BR102016030720B1 (pt) * 2016-12-28 2022-06-21 Brascabos Componentes Elétricos E Eletrônicos Ltda Chave óptica de segurança para máquinas eletrodomésticas
JP6491370B1 (ja) * 2018-01-29 2019-03-2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ドアの検知システム
CN110697528A (zh) * 2019-09-10 2020-01-17 宁夏电通物联网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漫反射检测轿门开关状态的检测装置及电梯及检测方法
JP7296063B1 (ja) 2022-09-14 2023-06-22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8282A (ja) * 1984-04-10 1985-10-3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扉制御装置
JPH07106861B2 (ja) * 1989-12-15 1995-11-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US5881844A (en) * 1996-11-07 1999-03-16 Otis Elevator Company Secondary positioning system for elevator car doors
JP3920528B2 (ja) * 2000-04-07 2007-05-30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の位置検出装置
JP2001354379A (ja) * 2000-06-14 2001-12-2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かごの出入口開閉装置
JP4640883B2 (ja) * 2000-08-09 2011-03-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戸の制御装置
JP4392539B2 (ja) 2006-07-19 2010-01-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10137956A (ja) * 2008-12-11 2010-06-2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ドア装置
JP5287997B2 (ja) * 2009-11-18 2013-09-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ドア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61081B (zh) 2015-08-05
KR101449888B1 (ko) 2014-10-10
JPWO2012081090A1 (ja) 2014-05-22
JP5494823B2 (ja) 2014-05-21
EP2653425B1 (en) 2018-09-05
CN103261081A (zh) 2013-08-21
EP2653425A4 (en) 2017-10-11
WO2012081090A1 (ja) 2012-06-21
EP2653425A1 (en) 201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9888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KR101529804B1 (ko) 자동 도어용 센서
US6051829A (en) Safety detection system for sliding doors
KR101250697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EP2942650B1 (en) Active object detection sensor
KR101809864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JP2009096580A (ja) エレベーターの点検装置
CN102408042B (zh) 电梯停靠装置
JP2014108833A (ja) 乗客コンベヤ
JP4481091B2 (ja) スライドドア装置
CN103287955B (zh) 电梯出入口的安全装置
CN112119028B (zh) 电梯的防偷拍装置
JP2017019643A (ja) 乗客コンベアの蓋検出装置
KR20180076151A (ko) 도어 어셈블리
JP6351406B2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制御装置
JP2012148880A (ja) エレベータ駆動装置の空転検出装置
JP2010058863A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KR102606013B1 (ko) 센서 및 그 잠금 장치
JP2010006570A (ja) エレベータの点検窓装置
JPH11278778A (ja) エレベータ出入口の安全装置
JP2006160481A (ja) エレベータ用ドアセンサ装置
JP2003040564A (ja) 乗りかご及びエレベータ装置及び乗場装置
JP2013142020A (ja) フェッシャープレートを備えるエレベータ
JP2007050982A (ja) エレベータドア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