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864B1 -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9864B1
KR101809864B1 KR1020167028931A KR20167028931A KR101809864B1 KR 101809864 B1 KR101809864 B1 KR 101809864B1 KR 1020167028931 A KR1020167028931 A KR 1020167028931A KR 20167028931 A KR20167028931 A KR 20167028931A KR 101809864 B1 KR101809864 B1 KR 101809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oor
door panel
receiving state
dim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5310A (ko
Inventor
사토루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35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5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2Operation of door or gate cont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 B66B13/146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method or algorithm for controlling do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1곳에 설치된 위치 스위치에 의해, 1개의 광축을 이용하여,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및 전폐 위치 중 어느 곳에 있는지를 판별 가능하게 검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도어 패널(10)의 개폐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 거리를 검출하는 이동 거리 검출 수단과,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에 있는 것 및 전폐 위치에 있는 것의 양자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스위치(50)와, 도어 패널에 마련된 제1 차폐판(30) 및 제2 차폐판(40)을 구비한다. 위치 스위치는 투광기(51) 및 수광기(52)를 구비한다. 제1 차폐판에는 제1 치수를 가지는 차광부(31) 및 제2 치수를 가지는 슬릿부(32)가 형성된다. 제2 차폐판은 제1 치수보다 큰 제3 치수를 가진다. 그리고 검출 수단은 이동 거리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이동 거리 및 수광기의 수광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양자의 각각에 대하여 검출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ELEVATOR DOOR CONTROL DEVICE}
이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차광(遮光)에 의해 도어 패널의 전폐(全閉) 위치를 검출하는 전폐 검출 광스위치와, 차광에 의해 도어 패널의 전개(全開) 위치를 검출하는 전개 검출 광스위치와, 전폐 검출 광스위치 및 전개 검출 광스위치의 차광 검출에 의해서 계수치를 리셋하여 전폐 위치 또는 전개 위치로부터의 도어 패널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연산 카운터를 가지고, 위치 연산 카운터에 의한 도어 패널의 위치에 기초하여 도어 모터의 개폐 속도를 제어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에 있는 것 및 전폐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1개의 위치 스위치를 구비하고, 위치 스위치는 제1 광을 투광(投光)하는 제1 투광기 및 제1 광을 수광하는 제1 수광기, 및 제2 광을 투광하는 제2 투광기 및 제2 광을 수광하는 제2 수광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도 종래에 있어서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4640883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5287997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에 제시된 종래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전폐 검출 광스위치 및 전개 검출 광스위치의 2개의 광스위치를 서로 떨어진 2곳의 위치에 설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의 다른 기기와 간섭하는 경우가 있어, 설치 스페이스의 확보가 곤란하고, 레이아웃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광스위치가 2개 필요하기 때문에, 광스위치 자체의 비용 및 그것들을 배선하기 위한 비용이 늘어나 버린다.
또, 특허 문헌 2에 제시된 종래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위치 스위치를 1곳에 배치하는 것만으로 되기 때문에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과 비교하여 레이아웃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렇지만, 1개의 위치 스위치에 2개의 광축(光軸)을 설정하기 위해서 역시 위치 스위치 자체의 비용 및 그것들을 배선하기 위한 비용이 늘어나 버린다.
이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도어 패널의 개폐 방향에 따른 1곳에만 설치된 위치 스위치에 의해, 1개의 광축만을 이용하여,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및 전폐 위치 중 어느 곳에 있는지를 판별 가능하게 검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를 얻는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패널과, 상기 도어 패널을 개폐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과, 상기 도어 패널의 상기 개폐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 거리를 검출하는 이동 거리 검출 수단과, 상기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에 있는 것 및 전폐 위치에 있는 것의 양자(兩者)를 검출하기 위한 1개의 위치 스위치와, 상기 위치 스위치에 마련된 투광기와, 상기 위치 스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투광기로부터의 광을 수광 가능한 수광기와, 상기 도어 패널에 마련되고, 상기 개폐 방향에 있어서 제1 치수를 가지는 차광부 및 상기 개폐 방향에 있어서 제2 치수를 가지는 슬릿부가 형성된 제1 차폐판과, 상기 도어 패널에 마련되고, 상기 개폐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치수보다 큰 제3 치수를 가지는 제2 차폐판과, 상기 이동 거리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이동 거리 및 상기 수광기의 수광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양자의 각각에 대하여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한다.
이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도어 패널의 개폐 방향에 따른 1곳에만 설치된 위치 스위치에 의해, 1개의 광축만을 이용하여,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및 전폐 위치 중 어느 곳에 있는지를 판별 가능하게 검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가 구비하는 위치 스위치, 제1 차폐판 및 제2 차폐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가 구비하는 제어 장치 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도어 패널이 전폐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도어 패널의 위치와 위치 스위치의 수광 상태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에 있는 것의 검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도어 패널이 전폐 위치에 있는 것의 검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전원 투입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이 발명을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각 도면을 통해서 같은 부호는 동일 부분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고 있고, 그 중복 설명은 적당하게 간략화 또는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도 1 내지 도 9는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것으로, 도 1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가 구비하는 위치 스위치, 제1 차폐판 및 제2 차폐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가 구비하는 제어 장치 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도어 패널이 전폐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도어 패널의 위치와 위치 스위치의 수광 상태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에 있는 것의 검출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도어 패널이 전폐 위치에 있는 것의 검출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전원 투입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1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가 적용된 탑승 엘리베이터 칸을 정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1에 도시하는 것처럼, 엘리베이터의 탑승 엘리베이터 칸에는, 도어 패널(10)이 마련되어 있다. 도어 패널(10)은 탑승 엘리베이터 칸의 정면에 마련된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좌우 한쌍의 도어 패널(10)이 마련되어 있다. 이들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0)의 상단부에는, 도어 행거(11)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 행거(11)의 상부에는 도어 롤러(12)가 장착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의 상방에는 서포트 빔(20)이 마련되어 있다. 이 서포트 빔(20)에는 도어 레일(21)이 장착되어 있다. 도어 레일(21)은 도어 패널(10)의 개폐 방향을 따라서, 즉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어 레일(21) 상에는 도어 롤러(12)가 전동(轉動) 가능하게 계합(係合)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각각의 도어 패널(10)은 도어 행거(11) 및 도어 롤러(12)를 통해서, 도어 레일(21)에 의해 매달려 있다. 그리고 도어 롤러(12)가 도어 레일(21)에 안내되어 전동함으로써, 좌우의 도어 패널(10)이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 패널(10)의 개폐 동작은, 도어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된다. 도어 구동 장치는 서포트 빔(20)에 있어서의 도어 레일(21)의 상방의 위치에 마련된다. 도어 구동 장치는 도어 모터(22), 구동차(driving sheave, 23), 종동차(driven sheave, 24) 및 투스트 벨트(toothed belt, 25)를 구비하고 있다.
도어 모터(22)는 서포트 빔(20)에 있어서의, 도어 패널(10)의 개폐 방향의 한쪽 측으로 시프트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도어 모터(22)의 회전축에는 구동차(23)가 고정되어 있다. 또, 서포트 빔(20)에 있어서의, 도어 패널(10)의 개폐 방향의 다른 쪽 측으로 시프트된 위치에는, 종동차(24)가 장착되어 있다. 구동차(23)와 종동차(24)에는 무단(無端) 모양의 투스트 벨트(25)가 감겨 있다. 이 투스트 벨트(25)의 내측에는 등간격으로 요철(凹凸)이 부착되어 이빨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차(23) 및 종동차(24)에는 이 이빨에 맞는 요철이 부착되어 있다.
도어 모터(22)가 회전 구동하면, 구동차(23)가 회전한다. 투스트 벨트(25)의 이빨이 구동차(23) 및 종동차(24)의 요철에 계합하고 있기 때문에, 구동차(23)가 회전하면, 투스트 벨트(25)가 구동차(23)와 종동차(24)의 사이에서 순환(循環)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어 모터(22)의 회전 구동이 투스트 벨트(25)의 순환 이동으로 변환되어 전달되는 와인딩 전동 기구(winding transmission mechanism)가 형성된다. 도어 구동 장치는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와인딩 전동 기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도어 패널(10)의 도어 행거(11)의 상단에는, 걸림 부재(26)가 장착되어 있다. 좌우 한쌍 중 한쪽의 도어 패널(10)에 마련된 걸림 부재(26)는, 투스트 벨트(25)의 상하의 한쪽에 걸려 있다. 그리고 다른 쪽의 도어 패널(10)에 마련된 걸림 부재(26)는 투스트 벨트(25)의 상하의 다른 쪽에 걸려 있다.
도어 구동 장치의 도어 모터(22)의 정역(正逆) 양방향의 회전 구동은, 투스트 벨트(25)의 양방향으로의 순환 이동으로 변환된다. 이때, 투스트 벨트(25)의 상측과 하측은,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걸림 부재(26)를 통해서, 좌우 한쌍의 도어 패널(10)도 서로 좌우의 역방향으로 이동하여,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가 개폐된다.
또한, 서포트 빔(20)에는, 도어 패널(10)이 전개 위치 및 전폐 위치를 넘어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도시하지 않은 스토퍼(stopper)가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는 도어 패널(10)이 전개 위치 및 전폐 위치에 있을 때 도어 행거(11)의 단부(端部)와 맞닿아, 그 이상의 도어 패널(10)의 이동을 억제한다.
좌우 한쌍 중 한쪽의 도어 패널(10)에는, 제1 차폐판(30) 및 제2 차폐판(40)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제1 차폐판(30)은 당해 한쪽의 도어 패널(10)의 도어 행거(11)에 있어서의, 도어 닫힘 측(door close side)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차폐판(40)은 당해 한쪽의 도어 패널(10)의 도어 행거(11)에 있어서의, 도어 열림 측(door open side)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또, 서포트 빔(20)에는 위치 스위치(50)가 장착되어 있다. 이 위치 스위치(50)는 제1 차폐판(30) 및 제2 차폐판(40)이 마련된 당해 한쪽의 도어 패널(10)의 도어 행거(11)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위치 스위치(50)는 도어 패널(10)이 전개 위치에 있는 것 및 전폐 위치에 있는 것의 양쪽 모두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서, 제1 차폐판(30), 제2 차폐판(40) 및 위치 스위치(50)의 구성에 대해서, 추가로 자세하게 설명한다. 제1 차폐판(30) 및 제2 차폐판(40)은, 각각이 접합부(60)를 통해서, 도어 행거(11)의 상단부에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해서 장착된다.
접합부(60)에는 좌우 방향으로 긴 지름을 가지는 긴 구멍(6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긴 구멍(61)을 관통한 볼트(62)에 의해 제1 차폐판(30) 및 제2 차폐판(40)은 도어 행거(11)에 고정된다. 이 긴 구멍(61) 내에 있어서의 볼트(62)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제1 차폐판(30) 및 제2 차폐판(40)의 좌우 방향의 장착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위치 스위치(50)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コ자형을 나타낸다. 위치 스위치(50)는 コ자형의 개방측이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コ자형의 한쪽 돌출부에는 투광기(51)가 마련되어 있다. 투광기(51)는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LED) 등으로 이루어진다. コ자형의 다른 쪽 돌출부에는 수광기(52)가 마련되어 있다. 수광기(52)는, 예를 들면 포토 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투광기(51) 및 수광기(52)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수광기(52)는 투광기(51)로부터의 광을 수광 가능하다. 투광기(51)로부터 나온 광에 의해, 투광기(51)와 수광기(52)를 잇는 광축(53)이 형성된다. 즉, 광축(53)은 위치 스위치(50)의 コ자형의 내측에 형성된다. 위치 스위치(50)는 수광기(52)에 의한 투광기(51)로부터의 광의 수광 상태(이하, 간단하게 「수광기(52)의 수광 상태」라고 함)에 따라서,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제1 차폐판(30)에는 차광부(31)와 슬릿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차광부(31)는 위치 스위치(50)의 투광기(51)로부터의 광을 차폐하는 성질을 가진다. 한편, 슬릿부(32)는 위치 스위치(50)의 투광기(51)로부터의 광을 통과시킨다.
제1 차폐판(30)에는, 적어도 1개의 슬릿부(3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차폐판(30)에는, 당해 슬릿부(32)의 양측에 1개씩으로 적어도 합계 2개의 차광부(31)가 형성되게 된다. 여기에서는, 제1 차폐판(30)에는 복수의 차광부(31)와 복수의 슬릿부(32)가, 도어 패널(10)의 개폐 방향을 따라서 교호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차폐판(30)은 빗살 모양을 나타낸다.
각각의 차광부(31)는 도어 패널(10)의 개폐 방향에 있어서, 제1 치수 W1를 가진다. 또, 각각의 슬릿부(32)는 도어 패널(10)의 개폐 방향에 있어서, 제2 치수 W2를 가진다.
제2 차폐판(40)은 전체가 위치 스위치(50)의 투광기(51)로부터의 광을 차폐하는 성질을 가진다. 제2 차폐판(40)은 도어 패널(10)의 개폐 방향에 있어서, 제3 치수 W3를 가진다. 이 제3 치수 W3는 제1 차폐판(30)의 차광부(31)가 가지는 제1 치수 W1 보다도 크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을 계속한다. 서포트 빔(20)의 상방에는, 제어 장치 본체(70)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 장치 본체(70)는 엘리베이터 도어 즉 좌우 한쌍의 도어 패널(1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한다.
도어 모터(22)의 회전축에는, 이 회전축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여 회전각 정보 신호로서 출력하는 도시하지 않는 펄스 인코더가 마련되어 있다. 제어 장치 본체(70)는 펄스 인코더로부터의 회전각 정보 신호와, 위치 스위치(50)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도어 패널(10)의 위치를 파악하여, 도어 모터(22)의 회전을 제어하여 도어 패널(10)을 개폐시킨다.
도 3에 제어 장치 본체(70)의 구성을 나타낸다. 제어 장치 본체(70)는 이동 거리 산출부(71), 도어 위치 검출부(72) 및 도어 제어부(73)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 거리 산출부(71)는 도어 모터(22)의 펄스 인코더로부터의 회전각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도어 패널(10)의 이동 거리를 산출한다. 도어 모터(22)의 펄스 인코더 및 제어 장치 본체(70)의 이동 거리 산출부(71)는, 도어 패널(10)의 개폐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 거리를 검출하는 이동 거리 검출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이 이동 거리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도어 패널(10)의 이동 거리는 변위량(變位量)으로서, 도어 패널(10)의 위치는 아니다. 이에, 도어 패널(10)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서, 제어 장치 본체(70)에는 도어 위치 검출부(72)가 구비되어 있다. 도어 위치 검출부(72)는 이동 거리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도어 패널(10)의 이동 거리(이하, 간단하게 「도어 패널(10)의 이동 거리」라고 함) 및 수광기(52)의 수광 상태에 기초하여, 도어 패널(10)이 전개 위치에 있는 것 및 전폐 위치에 있는 것의 각각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어 패널(10)의 이동 거리」란 도어 모터(22)의 펄스 인코더로부터의 회전각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거리 산출부(71)가 산출한 이동 거리이다. 또 「수광기(52)의 수광 상태」는 위치 스위치(50)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검출 수단인 도어 위치 검출부(72)가 도어 패널(10)의 이동 거리 및 수광기(52)의 수광 상태에 기초하여, 어떻게 하여 도어 패널(10)이 전개 위치에 있는 것 및 전폐 위치에 있는 것의 각각을 검출하는지에 대해서, 다음에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하는 것처럼, 도어 패널(10)이 전폐 위치에 있을 때는, 제2 차폐판(40)이 위치 스위치(50)의 コ자형의 내측에 위치한다. 또, 도 5에 도시하는 것처럼, 도어 패널(10)이 전개 위치에 있을 때는, 제1 차폐판(30)이 위치 스위치(50)의 コ자형의 내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도어 패널(10)이 전폐 위치에서 전개 위치까지 이동했을 경우에 있어서의 위치 스위치(50)로부터의 검출 신호(수광기(52)의 수광 상태)는 도 6에 도시하는 것처럼 된다. 우선, 도어 패널(10)이 전폐 위치에 있을 때, 전술한 것처럼, 제2 차폐판(40)이 위치 스위치(50)의 コ자형의 내측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제2 차폐판(40)이 위치 스위치(50)의 광축(53)을 차단한다. 따라서 수광기(52)의 수광 상태는 차광이 된다. 위치 스위치(50)로부터, 수광기(52)의 수광 상태는 차광이 되었다는 취지의 검출 신호가 출력된다.
도어 패널(10)이 전폐 위치에서 도어 열림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2 차폐판(40)이 위치 스위치(50)의 광축(53)을 차단하지 않게 되면, 수광기(52)의 수광 상태는 수광이 된다. 그러면, 위치 스위치(50)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출력은 정지된다.
도어 패널(10)이 전폐 위치도 전개 위치도 아닐 때에는, 제1 차폐판(30) 및 제2 차폐판(40) 중 어느 것도 위치 스위치(50)의 コ자형의 내측에 위치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위치 스위치(50)의 광축(53)은 차단되지 않고,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수광인 상황이 계속된다.
그리고 도어 패널(10)이 전개 위치까지 오면, 이번은 제1 차폐판(30)이 위치 스위치(50)의 コ자형의 내측에 위치한다. 전술한 것처럼, 제1 차폐판(30)은 차광부(31)와 슬릿부(32)가 도어 패널(10)의 개폐 방향을 따라서 교호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차폐판(30)이 위치 스위치(50)의 コ자형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도어 패널(10)이 이동하면, 차광부(31)에 의해 광축(53)이 차단되는 상태와, 광축(53)이 슬릿부(32) 내에 배치되어 차단되지 않는 상태가 교호로 발생한다. 따라서 수광기(52)의 수광 상태는 차광과 수광이 교호로 반복된다. 그리고 위치 스위치(50)는 수광기(52)의 수광 상태는 차광이 되었다는 취지의 검출 신호의 출력과 정지를 교호로 반복한다.
도어 위치 검출부(72)는 이러한 도어 패널(10)의 위치와 수광기(52)의 수광 상태의 관계를 이용하여, 도어 패널(10)이 전개 위치에 있는 것 및 전폐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어 위치 검출부(72)는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차광으로 되고 나서의 도어 패널(10)의 이동 거리가 제1 치수 W1가 되었을 때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수광으로 되고, 또한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차광으로 되고 나서의 도어 패널(10)의 이동 거리가 제1 치수 W1와 제2 치수 W2의 합이 되었을 때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다시 차광으로 되었을 경우에, 도어 패널(10)이 전개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한다.
또, 도어 위치 검출부(72)는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차광으로 되고 나서의 도어 패널(10)의 이동 거리가 제1 치수 W1 이상이 되어도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차광인 채인 경우에, 도어 패널(10)이 전폐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한다.
이 도어 위치 검출부(72)에 의한 도어 패널(10)이 전개 위치에 있는 것 및 전폐 위치에 있는 것의 검출 처리에 대해서, 추가로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서, 도어 패널(10)이 전개 위치에 있는 것의 검출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이 도 7에 도시하는 것은, 제1 차폐판(30)이 위치 스위치(50)의 コ자형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도어 패널(10)이 이동하고 있는 상황이다.
우선, 도어 위치 검출부(72)는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차광으로 되고 나서의 도어 패널(10)의 이동 거리가 Δx가 되었을 때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수광으로 되었을 경우에, 전개 가플래그(temporary full-open flag)를 설정한다. 여기서, Δx=W1(제1 치수)이다.
다음에, 도어 위치 검출부(72)는 전개 가플래그가 설정된 상태에서,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차광으로 되고 나서의 도어 패널(10)의 이동 거리가 Δy가 되었을 때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차광으로 되었을 경우에, 전개 플래그(full-open flag)를 설정한다. 여기서, Δy=W1+W2(제1 치수와 제2 치수의 합)이다. 그리고 전개 플래그를 설정함으로써, 도어 위치 검출부(72)는 도어 패널(10)이 전개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한다.
이어서, 도 8을 참조하면서, 도어 패널(10)이 전폐 위치에 있는 것의 검출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이 도 8에 도시하는 것은, 제2 차폐판(40)이 위치 스위치(50)의 コ자형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도어 패널(10)이 이동하고 있는 상황이다.
도어 위치 검출부(72)는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차광으로 되고 나서의 도어 패널(10)의 이동 거리가 Δx 이상이 되어도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차광인 채인 경우에, 전폐 플래그를 설정한다. 여기서, 전술과 같이 Δx=W1(제1 치수)이다. 그리고 전폐 플래그를 설정함으로써, 도어 위치 검출부(72)는 도어 패널(10)이 전폐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한다.
또한, 이 도 8에 나타내는 상황에서는,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차광으로 되고 나서의 도어 패널(10)의 이동 거리가 Δx가 되었을 때에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수광은 되지 않기 때문에, 전개 가플래그는 설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차광으로 되고 나서의 도어 패널(10)의 이동 거리가 Δy가 되었을 때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차광인 채라도, 전개 가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전개 플래그도 설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어 패널(10)이 전폐 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어 패널(10)이 전개 위치에 있다고 잘못 검출되어 버릴 일은 없다.
여기서, 도어 위치 검출부(72)에 의한 도어 패널(10)의 위치 검출에 관해서만 보면, 이동 거리 산출부(71)에 의한 도어 패널(10)의 이동 거리의 산출은 항상 행할 필요는 없다. 이동 거리 산출부(71)는, 적어도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수광에서 차광으로 되었을 때를 기점으로 하여, 도어 패널(10)의 이동 거리의 산출을 개시하면 된다.
또, 도어 위치 검출부(72)는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수광으로 된 채로, 도어 패널(10)의 이동 거리가 Δy-Δx(=제2 치수 W2)를 넘었을 경우에, 전개 가플래그, 전개 플래그 및 전폐 플래그를 리셋한다. 전개 가플래그, 전개 플래그 및 전폐 플래그가 모두 리셋된 상태에서는, 도어 위치 검출부(72)는, 도어 패널(10)이 전개 위치에 있는 것 및 전폐 위치에 있는 것 중 어느 것도 검출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 장치 본체(70)는 도어 패널(10)이 전개 위치와 전폐 위치의 사이 위치(이하, 「중간 위치」라고 함)에 있는 것이라고 인식한다.
제어 장치 본체(70)가 구비하는 도어 제어부(73)는, 이동 거리 산출부(71)가 산출한 도어 패널(10)의 이동 거리와, 도어 위치 검출부(72)가 검출한 도어 패널(10)의 위치에 기초하여, 도어 구동 장치의 도어 모터(22)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어 구동 장치 및 제어 장치 본체(70)의 도어 제어부(73)는, 도어 패널(10)을 개폐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전원 투입시에 도어 패널(10)의 초기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동 수단인 도어 제어부(73) 및 도어 구동 장치는, 전원 투입시에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차광이면 도어 패널(10)을 한쪽의 방향으로 제1 치수 W1 만큼 이동시키는 제1 시행을 행한다. 이 제1 시행에 있어서 도어 패널(10)을 이동시키는 한쪽 방향이란, 구체적으로는 도어 닫힘 방향이다. 좀 더 정확하게 말하면, 이 도어 닫힘 방향이란, 제2 차폐판(40)이 위치 스위치(50)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다.
이것에 대해, 전원 투입시에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수광이면, 이동 수단인 도어 제어부(73) 및 도어 구동 장치는, 도어 패널(10)을 다른 쪽 방향으로 제2 치수 W2 만큼 이동시키는 제2 시행을 행한다. 이 제2 시행에 있어서 도어 패널(10)을 이동시키는 다른 쪽 방향이란, 구체적으로는 도어 열림 방향이다. 좀 더 정확하게 말하면, 이 도어 열림 방향이란, 제1 차폐판(30)이 위치 스위치(50)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다.
그리고 검출 수단인 도어 위치 검출부(72)는 제1 시행 또는 제2 시행이 완수되었는지 여부, 및 제1 시행 후 또는 제2 시행 후에 있어서의 수광기의 수광 상태에 기초하여, 도어 패널(10)의 전원 투입시의 초기 위치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시행이 완수되지 않았을 경우, 도어 패널(10)을 도어 닫힘 방향으로 이동시켰지만, 그 이동 거리가 제1 치수 W1에 이르기 전에 스토퍼에 의해 도어 패널(10)의 이동이 저지되었다고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도어 위치 검출부(72)는 도어 패널(10)의 초기 위치는 전폐 위치인 것을 검출한다.
또, 제2 시행이 완수되지 않았을 경우, 도어 패널(10)을 도어 열림 방향으로 이동시켰지만, 그 이동 거리가 제2 치수 W2에 이르기 전에 스토퍼에 의해 도어 패널(10)의 이동이 저지되었다고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도어 위치 검출부(72)는 도어 패널(10)의 초기 위치는 전개 위치인 것을 검출한다.
한편, 제1 시행이 완수되었을 경우, 도어 위치 검출부(72)는 추가로 수광기(52)의 수광 상태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1 시행의 완수 후도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차광이면,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차광인 상태에서 도어 패널(10)을 제1 치수 W1 만큼 이동시켜도, 여전히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차광이라고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것은, 제1 치수 W1 보다 큰 제3 치수 W3를 가지는 제2 차폐판(40)에 의해 광축(53)이 차단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위치 검출부(72)는 도어 패널(10)의 초기 위치는 전폐 위치인 것을 검출한다.
이것에 대해, 제1 시행의 완수 후에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수광이면,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차광인 상태에서 도어 패널(10)을 제1 치수 W1 만큼 이동시킴으로써,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수광으로 되었다고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것은, 제1 차폐판(30)의 차광부(31)로 광축(53)이 차단되고 있던 상태에서, 슬릿부(32)의 내측으로 광축(53)이 들어가 수광기(52)가 수광하게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위치 검출부(72)는 도어 패널(10)의 초기 위치는 전개 위치인 것을 검출한다.
또, 제2 시행이 완수되었을 경우도, 도어 위치 검출부(72)는 추가로 수광기(52)의 수광 상태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2 시행의 완수 후도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수광이면,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수광인 상태에서 도어 패널(10)을 제2 치수 W2 만큼 이동시켜도,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수광인 채인 것이다. 따라서 이것은, 위치 스위치(50)의 コ자형의 내측에는 제1 차폐판(30) 및 제2 차폐판(40) 중 어느 것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위치 검출부(72)는 도어 패널(10)의 초기 위치는 중간 위치인 것을 검출한다.
이것에 대해, 제2 시행의 완수 후에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차광이면,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수광인 상태에서 도어 패널(10)을 제2 치수 W2 만큼 이동시킴으로써,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차광으로 되었다고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것은, 제1 차폐판(30)의 슬릿부(32)의 내측에 광축(53)이 들어가 수광기(52)가 수광하고 있던 상태에서, 차광부(31)로 광축(53)이 차단되게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위치 검출부(72)는 도어 패널(10)의 초기 위치는 전개 위치인 것을 검출한다.
전원 투입시에 도어 패널(10)의 초기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의 동작의 흐름에 대해서, 도 9를 참조하면서 한번 더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의 전원이 투입되면, 스텝 S1에 있어서, 도어 제어부(73)는 위치 스위치(50)의 검출 신호를 확인하여,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차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차광이면, 스텝 S2로 진행한다.
스텝 S2에 있어서, 도어 제어부(73)는 도어 패널(10)을 도어 닫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스텝 S3으로 진행한다. 스텝 S3에 있어서는, 도어 제어부(73)는 도어 패널(10)을 Δx(= 제1 치수 W1)의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도어 패널(10)을 Δx의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없었으면, 스텝 S4로 진행하고, 도어 위치 검출부(72)는 도어 패널(10)이 전폐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한다.
한편, 스텝 S3에서 도어 패널(10)을 Δx의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었으면, 스텝 S5로 진행한다. 스텝 S5에 있어서는, 도어 위치 검출부(72)는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차광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차광이면, 스텝 S4로 진행하고, 도어 위치 검출부(72)는 도어 패널(10)이 전폐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한다.
한편, 스텝 S5로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차광이 아니면(즉, 수광이면), 스텝 S6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S6에 있어서는, 도어 위치 검출부(72)는 도어 패널(10)이 전개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한다.
이상에 대해, 스텝 S1에서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차광이 아니면(즉, 수광이면), 스텝 S7로 진행한다. 스텝 S7에 있어서, 도어 제어부(73)는 도어 패널(10)을 도어 열림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스텝 S8로 진행한다. 스텝 S8에 있어서는, 도어 제어부(73)는 도어 패널(10)을 Δy-Δx(=제2 치수 W2)의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도어 패널(10)을 Δy-Δx의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없으면, 스텝 S6로 진행하고, 도어 위치 검출부(72)는 도어 패널(10)이 전개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한다.
한편, 스텝 S8에서 도어 패널(10)을 Δy-Δx의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었으면, 스텝 S9로 진행한다. 스텝 S9에 있어서는, 도어 위치 검출부(72)는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차광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차광이면, 스텝 S6로 진행하고, 도어 위치 검출부(72)는 도어 패널(10)이 전개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한다.
한편, 스텝 S9에서 수광기(52)의 수광 상태가 차광이 아니면(즉, 수광이면), 스텝 S10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S10에 있어서는, 도어 위치 검출부(72)는 도어 패널(10)이 중간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한다.
이상과 같은 플로우에 의해,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는, 전원 투입시에 도어 패널(10)의 초기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 있어서는, 제1 차폐판(30)을 한쪽 도어 패널(10)의 도어 닫힘 측에, 제2 차폐판(40)을 당해 도어 패널(10)의 도어 열림 측에 각각 마련하도록 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이 차폐판의 설치 위치에 대해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차폐판(30)과 제2 차폐판(40)의 장착 위치를 반대로 해도 된다. 제1 차폐판(30)과 제2 차폐판(40)의 장착 위치를 반대로 했을 경우에는, 도어 패널(10)의 도어 열림 위치 및 도어 닫힘 위치의 검출 등에 대해서도, 이상에 설명했을 경우와는 반대가 된다.
또, 이상에 있어서는, 도어 패널(10)은 엘리베이터의 탑승 엘리베이터 칸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도어 패널(10)은 탑승 엘리베이터 칸의 출입구가 아니고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것이어도 된다. 즉, 도어 패널(10)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것이면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패널(10)과, 도어 패널(10)을 개폐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인 도어 구동 장치 및 도어 제어부(73)와, 도어 패널의 개폐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 거리를 검출하는 이동 거리 검출 수단인 도어 모터(22)의 펄스 인코더 및 이동 거리 산출부(71)와, 도어 패널(10)이 전개 위치에 있는 것 및 전폐 위치에 있는 것의 양자를 검출하기 위한 1개의 위치 스위치(50)와, 위치 스위치(50)에 마련된 투광기(51)와, 위치 스위치(50)에 마련되고, 투광기(51)로부터의 광을 수광 가능한 수광기(52)와, 도어 패널(10)에 마련되고, 개폐 방향에 있어서 제1 치수 W1를 가지는 차광부(31) 및 개폐 방향에 있어서 제2 치수 W2를 가지는 슬릿부(32)가 형성된 제1 차폐판(30)과, 도어 패널(10)에 마련되고, 개폐 방향에 있어서 제1 치수 W1 보다 큰 제3 치수 W3를 가지는 제2 차폐판(40)과, 이동 거리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이동 거리 및 수광기(52)의 수광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양자의 각각에 대하여 검출하는 검출 수단인 도어 위치 검출부(72)를 구비한 것이다.
이 때문에, 도어 패널의 개폐 방향을 따른 1곳에만 설치된 위치 스위치에 의해, 1개의 광축만을 이용하여,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및 전폐 위치 중 어느 곳에 있는지를 판별 가능하게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스위치 및 배선에 필요한 비용을 종래보다도 낮게 억누르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1 차폐판(30)에는 복수의 차광부(31)와 슬릿부(32)가 교호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차폐판(30)이 위치 스위치(50)의 위치에 있을 때에 있어서의 검출을 보다 확실히 행할 수 있다. 이것은 전원 투입시의 초기 위치의 파악에 있어서도 유리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전개 위치 및 전폐 위치를 검출하여 도어 개폐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10: 도어 패널, 11: 도어 행거,
12: 도어 롤러, 20: 서포트 빔,
21: 도어 레일, 22: 도어 모터,
23: 구동차, 24: 종동차,
25: 투스트 벨트, 26: 걸림 부재,
30: 제1 차폐판, 31: 차광부,
32: 슬릿부, 40: 제2 차폐판,
50: 위치 스위치, 51: 투광기,
52: 수광기, 53: 광축,
60: 접합부, 61: 긴 구멍,
62: 볼트, 70: 제어 장치 본체,
71: 이동 거리 산출부, 72: 도어 위치 검출부,
73: 도어 제어부.

Claims (6)

  1.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패널과,
    상기 도어 패널을 개폐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과,
    상기 도어 패널의 상기 개폐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 거리를 검출하는 이동 거리 검출 수단과,
    상기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에 있는 것 및 전폐 위치에 있는 것의 양자를 검출하기 위한 1개의 위치 스위치와,
    상기 위치 스위치에 마련된 투광기와,
    상기 위치 스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투광기로부터의 광을 수광 가능한 수광기와,
    상기 도어 패널에 마련되고, 상기 개폐 방향에 있어서 제1 치수를 가지는 차광부 및 상기 개폐 방향에 있어서 제2 치수를 가지는 슬릿부가 형성된 제1 차폐판과,
    상기 도어 패널에 마련되고, 상기 개폐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치수보다 큰 제3 치수를 가지는 제2 차폐판과,
    상기 이동 거리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이동 거리 및 상기 수광기의 수광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양자의 각각에 대하여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수광 상태가 차광으로 되고 나서의 상기 이동 거리가 상기 제1 치수로 되었을 때 상기 수광 상태가 수광으로 되고, 또한 상기 수광 상태가 차광으로 되고 나서의 상기 이동 거리가 상기 제1 치수와 상기 제2 치수의 합으로 되었을 때에 상기 수광 상태가 다시 차광으로 되었을 경우에, 상기 양자의 한쪽을 검출하고,
    상기 수광 상태가 차광으로 되고 나서의 상기 이동 거리가 상기 제1 치수 이상으로 되어도 상기 수광 상태가 차광인 채인 경우에, 상기 양자의 다른 쪽을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수광 상태가 차광으로 되고 나서의 상기 이동 거리가 상기 제1 치수로 되었을 때 상기 수광 상태가 수광으로 되었을 경우에 전개 가플래그(temporary full-open flag)를 설정하고,
    상기 전개 가플래그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수광 상태가 차광으로 되고 나서의 상기 이동 거리가 상기 제1 치수와 상기 제2 치수의 합으로 되었을 때에 상기 수광 상태가 차광으로 되었을 경우에, 전개 플래그를 설정하고,
    상기 수광 상태가 차광으로 되고 나서의 상기 이동 거리가 상기 제1 치수 이상으로 되어도 상기 수광 상태가 차광인 채인 경우에 전폐 플래그를 설정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수광 상태가 수광으로 된 채로, 상기 이동 거리가 상기 제2 치수를 넘었을 경우에, 상기 전개 가플래그, 상기 전개 플래그 및 상기 전폐 플래그를 리셋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폐판은 복수의 상기 차광부와 상기 슬릿부가 교호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전원 투입시에 상기 수광 상태가 차광이면 상기 도어 패널을 한쪽 방향으로 상기 제1 치수만큼 이동시키는 제1 시행을 행함과 아울러, 전원 투입시에 상기 수광 상태가 수광이면 상기 도어 패널을 다른 쪽 방향으로 상기 제2 치수만큼 이동시키는 제2 시행을 행하고,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제1 시행 또는 상기 제2 시행이 완수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제1 시행 후 또는 상기 제2 시행 후에 있어서의 상기 수광기의 수광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 패널의 전원 투입시의 초기 위치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KR1020167028931A 2014-06-11 2014-06-11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KR1018098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65480 WO2015189937A1 (ja) 2014-06-11 2014-06-11 エレベータードアの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310A KR20160135310A (ko) 2016-11-25
KR101809864B1 true KR101809864B1 (ko) 2017-12-15

Family

ID=54833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931A KR101809864B1 (ko) 2014-06-11 2014-06-11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187690B2 (ko)
KR (1) KR101809864B1 (ko)
CN (1) CN106458523B (ko)
DE (1) DE112014006738B4 (ko)
WO (1) WO20151899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9260B (zh) * 2017-06-12 2020-09-18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防晃动装置
CN110870177A (zh) * 2017-07-14 2020-03-06 三菱电机株式会社 旋转电机及使用该旋转电机的门装置
CN113602943B (zh) * 2021-08-06 2022-12-09 浙江昊崛电梯配件有限公司 高灵敏度的层门开关
CN116659407B (zh) * 2023-07-28 2023-10-20 天津三号线轨道交通运营有限公司 一种电客车车门关闭到位检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8282A (ja) * 1984-04-10 1985-10-3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扉制御装置
JPS61294080A (ja) * 1985-06-24 1986-12-24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自動ドアの扉移動デ−タ検出装置
JP2788361B2 (ja) * 1991-08-14 1998-08-20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かご位置修正装置
JP3237257B2 (ja) * 1993-01-19 2001-12-10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ドアの位置検出装置
JPH08143253A (ja) * 1994-11-22 1996-06-0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ドアーの制御方法
JP2001151446A (ja) * 1999-11-30 2001-06-0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ドア制御装置
JP4640883B2 (ja) * 2000-08-09 2011-03-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戸の制御装置
JP2005325652A (ja) * 2004-05-17 2005-11-24 Nabtesco Corp 自走式自動ドア
CN101107192A (zh) * 2005-12-05 2008-01-16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门控制装置
JP2010137956A (ja) * 2008-12-11 2010-06-2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ドア装置
JP2010208776A (ja) * 2009-03-09 2010-09-2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KR101250697B1 (ko) * 2009-11-18 2013-04-0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EP2653425B1 (en) * 2010-12-15 2018-09-0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do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58523A (zh) 2017-02-22
KR20160135310A (ko) 2016-11-25
DE112014006738B4 (de) 2021-03-04
JP6187690B2 (ja) 2017-08-30
DE112014006738T5 (de) 2017-05-18
WO2015189937A1 (ja) 2015-12-17
JPWO2015189937A1 (ja) 2017-04-20
CN106458523B (zh) 201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9864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JP5377837B2 (ja) 光電センサ
KR101250697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EP2942650B1 (en) Active object detection sensor
JP5764284B2 (ja) 自動ドア装置
KR101449888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JP2009096580A (ja) エレベーターの点検装置
JP5572175B2 (ja) エレベータ出入口の安全装置
JP5378479B2 (ja) 光電センサ及びその設定方法
KR102047506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US11781363B2 (en) Optoelectronic safety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a movement of a machine
DK2840217T3 (en) AUTOMATIC OVERPORT WITH AT LEAST ONE SCANNER TO DETECT THE PRESENCE OF AT LEAST ONE ARTICLE NEAR THE GATE
JP5876323B2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WO2014199517A1 (ja) エレベータードアの制御装置
JP2016199171A (ja) ホーム柵
JP6351406B2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制御装置
CN114206765B (zh) 用于在垂直和水平运行的电梯设备中解锁电梯门的装置
JP6351232B2 (ja) 開閉体装置
KR20130007391U (ko) 산업용 빅도어
JP2006160481A (ja) エレベータ用ドアセンサ装置
JP2006063728A (ja) 回転ドア
KR20110125465A (ko) 자동 회전문의 끼임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