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6044A - 수영복용 직물 및 수영복 - Google Patents

수영복용 직물 및 수영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6044A
KR20130086044A KR1020137012696A KR20137012696A KR20130086044A KR 20130086044 A KR20130086044 A KR 20130086044A KR 1020137012696 A KR1020137012696 A KR 1020137012696A KR 20137012696 A KR20137012696 A KR 20137012696A KR 20130086044 A KR20130086044 A KR 20130086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wimsuit
yarn
water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2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1587B1 (ko
Inventor
우지테루 니와
히로아키 다테
게이코 가사하라
아키라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6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6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7/00Bathing gowns; Swim-suits, drawers, or trunks; Beach s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24Reducing drag or turbulence in air or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1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ob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7/00Sport; Milita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3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stitching and discrete fastener[s], coating or bond
    • Y10T428/24041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364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with transparent or protective co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139Coating or impregnation specified as porous or permeable to a specific substance [e.g., water vapor, air,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Woven Fabric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영복용 소재에 필요한 다양한 특성(신장률, 단위 면적당 중량, 두께, 움직이기 쉬움, 사용 내구성, 기계 강도, 심미성 등)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수영복으로서 착용하고 수영할 때, 생지의 구조 설계로부터 발생하는 미소 기포의 효과에 의해 종래 이상으로 물 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한 수영복용 직물로 하기 위해, 합성 섬유 멀티필라멘트사조와 탄성 섬유로 구성되는 직물이며, 표면 및 이면에 발수 가공이 실시되고, 상기 이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이면의 요철은 고저차가 150 ㎛ 이상 650 ㎛ 이하이면서, 오목부의 폭이 100 ㎛ 이상 5000 ㎛ 이하인 수영복용 직물로 한다.

Description

수영복용 직물 및 수영복 {WOVEN FABRIC FOR SWIMSUITS, AND SWIMSUIT}
본 발명은 합성 섬유와 탄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신축성을 갖는 직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저항이 낮은 수영복용 직물과 그것으로 이루어진 수영복에 관한 것이다.
올림픽 등과 같이 1/100초를 다투는 경영(競泳) 세계에서는, 수영복과 물 사이에 발생하는 저항(이하, "물 저항"이라 함)이 큰 문제가 된다. 예를 들면, 100 m를 50초에서 47초대로 수영하는 자유형 남성 톱 스위머에 있어서는, 신체가 받는 수압은 10 kgf(≒ 98.1 N) 이상에 달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보다 물 저항이 작은 수영복용 소재가 개발된다면, 경기자의 기록 향상에 직결된다.
한편, 경영용 수영복 소재와 수영복과 관련된 오랜 개발의 역사에서, 수영 속도를 겨루는 경영용 수영복은, 수영할 때 움직이기 쉬운 것이 가장 중시되기 때문에, 신축성이 좋은 편물을 이용하여 신체에 밀착되도록 봉제되어 왔다. 또한, 수영복의 물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수영복용 편물 소재에 이용되는 합성 섬유 멀티필라멘트사조의 총 섬유 섬도를 작게 하거나, 또는 이 합성 섬유 멀티필라멘트사조의 단섬유 섬도를 작게 하면서도 필라멘트수를 보다 많게 함으로써, 짜임을 치밀화시켜, 편물 표면의 요철감을 줄인 편물로 이루어진 수영복이 만들어져 왔다.
그러나, 이들 편물에 의한 수영복은 움직이기 쉬우면서, 비교적 물 저항이 작지만, 가는 실, 또는 단섬유 섬도가 작고 필라멘트수가 많은 실로 짜여져 있기 때문에, 수영복 표면의 필링(pilling), 보풀, 또는 찢어짐 등의 손상이 발생하기 쉬워,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이 짧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필라멘트수가 보다 많으면서, 그 단섬유 섬도가 작기 때문에 발색성이 저하되는 등, 고급스러움이 떨어지기 쉽다.
또한, 섬유 표면에 고분자량의 직쇄상 유기 중합체의 수용액을 도포하여 이루어지는 수영복도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 수영복은, 톰즈 효과의 응용에 의해 물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특히 경영용으로서 바람직한 수영복이다. 그러나, 중합체 수용액이 수영복 표면에 도포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그 중합체가 수중에서 용출하여, 풀을 오염시킬 뿐 아니라 성능의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기본적인 문제를 갖기 쉽다.
또한, 물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편지(編地)의 한쪽면에 열과 압력에 의한 캘린더 가공을 실시하고, 편지의 한쪽면을 평활화시킨 수영복도 있지만, 그 성능은 아직 만족스러운 수준은 아니었다.
또한, 수영할 때 움직이기 쉬운 것은 유지하면서, 물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편물 표면에 평활화 가공을 실시하고, 발수 부분과 비발수 부분을 설치함과 함께, 신장률을 규정한 편물(특허문헌 2 참조)이나 경영 수영복(특허문헌 3 참조)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도 아직 충분히 만족스러운 수준은 아니었다.
한편, 체온이 떨어짐에 따른 불쾌감을 경감시키는 시도로서, 폴리우레탄 탄성사를 포함한 편물 또는 직물의 전체면에 발수 가공을 실시한 생지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4 참조). 이는, 풀에 포함되는 염소에 의해서 폴리우레탄 탄성사가 열화하지 않으며, 수영복 자체가 물을 너무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착용시에 저체온에 따른 불쾌감을 경감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이 기술에는, 물과 수영복 사이에 발생하는 물 저항을 보다 감소화시키는 연구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최근에는, 편물의 표면에 발수 가공을 실시함과 함께, 신체 길이 방향으로 평행한 미세한 홈을 복수 형성한 홈부를 설치함으로써, 수영할 때에 발생하는 난류를 제어하고 정류 효과를 발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경영 수영복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5 참조). 또한, 직물 소재로 이루어진 수영복의 본체부, 흉부, 대퇴부 등에 폴리우레탄 시트 재료로 이루어진 패널을 접합시킴으로써 물과 수영복 사이의 물 저항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신체를 단단히 조임으로써 신체의 요철 형상을 억제하여 형상 저항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발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경영용 수영복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6 참조). 그러나, 이들 수영복도 착탈하기 어렵고, 생산에 시간이 걸리는 등과 같은 문제가 있어, 아직 충분히 만족할만한 수준은 아니었다.
또한, 편물 소재로는 달성할 수 없는 저단위 면적당 중량이면서 고신장도의 스트레치 직물을 수영복에 사용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7 참조). 그러나, 이 기술에는, 물과 수영복 사이의 물 저항을 보다 감소화시키는 연구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한편, 수영복과는 다른 선박 분야에서는, 물과 선박 사이의 마찰 저항을 미소 기포("마이크로 버블"이라 함)에 의해 감소시키는 연구가 1990년대부터 진행되어 왔다. 구체적으로는, 수중을 전진하는 물체의 벽면을 따른, 물과 물체의 경계층 중에 미세한 기포(마이크로 버블)를 주입하여 얇은 공기층을 만듦으로써, 물체 벽면이 물로부터 받는 마찰 저항을 감소시키는 기술이다.
그의 구체적인 개발 용도 분야인 선박의 개발 기술에 있어서는, 특히 해운의 주역인 대형 탱커 등, 크고 천천히 움직이는 배는, 미소 기포의 적용에 의해 적합하다고 하여, 실제로 실용화도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대형 선박의 추진 동력을 절감시킬 뿐 아니라,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었다.
미소 기포에 의한 마찰 저항 감소의 메카니즘에 대해서는 아직 확고한 정설이 없다고 한다. 예상되는 메카니즘 중 하나는, 밀도 효과, 즉 공기의 밀도가 물의 밀도의 약 1000분의 1로 매우 작기 때문에, 기포가 물체 표면 근처로 모여 층상으로 분포되면, 물의 마찰이 그만큼 감소한다는 것이다. 또 하나의 감소 메카니즘은, 난류 억제 효과, 즉 기포가 마찰 발생의 주원인인 경계층 중의 난류를 억제한다는 것이다. 이들 두가지 메카니즘의 상승 효과에 의해, 미소 기포에 의한 물과 선박 사이의 마찰 저항 감소 효과가 얻어지고 있다고 한다.
구체적인 선박의 몰수(沒水) 부분의 구조로는, 몰수 부분의 표면에 도료로 미세한 요철 형상층을 형성시키면서, 상기 요철 형상층을 발수성 재료로 피막시킨다. 한편, 선체 내부에 설치한 압축기로부터 가는 노즐을 통과시켜 압축 공기를 선체의 외측(발수성 재료로 피막한 요철 형상층의 표면)으로 분출시킨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미소 기포에 의한 얇은 공기층이 선박 몰수 부분의 외주에 형성되는 것이다(비특허문헌 1).
그러나, 이러한 미소 기포(마이크로 버블)에 의한 물과 선박 사이의 마찰 저항 감소 기술의 사고 방식을 수영복에 응용한 사례는 아직 없다.
일본 특허 공개 (평)1-21340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8-31175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9-4910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55-2624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1401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5076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38496호 공보
나가레 20(2001)278-284, [특집] 흐름과 해양 "마이크로 버블에 의한 선박의 마찰 저항 감소"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발명으로 이루어지는 수영복용 편물 또는 직물로 이루어진 수영복에 의한 결점을 해소하고, 수영복용 소재에 필요한 다양한 특성(신장률, 단위 면적당 중량, 두께, 움직이기 쉬움, 사용 내구성, 기계 강도, 심미성 등)을 만족시킬 뿐 아니라, 수영복으로서 착용하여 수영했을 때, 생지의 구조 설계로부터 발생하는 미소 기포의 효과에 의해 종래 이상으로 물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수영복용 직물과 그것으로 이루어진 수영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1) 합성 섬유 멀티필라멘트사조와 탄성 섬유로 구성되는 직물이며, 표면 및 이면에 발수 가공이 실시되고, 상기 이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이면의 요철은 고저차가 150 ㎛ 이상 650 ㎛ 이하이면서, 오목부의 폭이 100 ㎛ 이상 5000 ㎛ 이하인 수영복용 직물.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합성 섬유 멀티필라멘트사조가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아미드계 섬유 및 폴리프로필렌계 섬유 중 적어도 1종으로부터 선택된, 수영복용 직물.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탄성 섬유를 코어사로 하고, 상기 합성 섬유 멀티필라멘트사조를 피복사로 하는 복합사를 수직사 및 수평사에 이용한 수영복용 직물.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표면에도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표면의 요철은 고저차가 0.5 ㎛ 이상 130 ㎛ 이하이며, 볼록부의 간격이 0.5 ㎛ 이상 180 ㎛ 이하인 수영복용 직물.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이면에서, 오목부가 이면 전체 면적비로 30% 이상을 차지하는, 수영복용 직물.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이면의 요철이 직물 조직 및/또는 엠보싱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수영복용 직물.
(7) 상기 (6)에 있어서, 상기 직물 조직이 이중 직물 조직인 수영복용 직물.
(8)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표면에 평활화 가공이 실시되고 있는, 수영복용 직물.
(9)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직물을 적어도 일부에 사용한 수영복이며, 상기 직물의 상기 표면이 겉면이 되어 있는 수영복.
본 발명에 따르면, 수영복용 직물에 필요한 다양한 특성(신장률, 단위 면적당 중량, 두께, 움직이기 쉬움, 사용 내구성, 기계 강도, 심미성 등)을 유지한 채로, 수영복으로서 착용하여 수영할 때, 생지의 구조 설계로부터 발생하는 미소 기포의 발생 효과에 의해 종래 이상으로 물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수영복용 직물과 그것으로 이루어진 수영복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사고 방식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 본 발명의 한 양태를 나타내는 수영복용 직물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3] 본 발명의 한 양태를 나타내는 수영복용 직물 이면의 모식 평면도이다.
[도 4] 본 발명의 한 양태를 나타내는 수영복용 직물 이면의 모식 평면도이다.
[도 5] 본 발명의 한 양태를 나타내는 수영복용 직물 이면의 모식 평면도이다.
[도 6] 본 발명의 한 양태를 나타내는 수영복용 직물 이면의 모식 평면도이다.
[도 7] 본 발명의 한 양태를 나타내는 수영복용 직물 이면의 모식 평면도이다.
[도 8] 본 발명의 한 양태를 나타내는 수영복용 직물 이면의 모식 평면도이다.
[도 9] 본 발명의 수영복용 직물에 이용되는 합성 섬유 멀티필라멘트사조를 구성하는 단섬유의 단면 형상의 예를 도시하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10] 수영복용 직물의 물 저항 측정기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직물은 합성 섬유 멀티필라멘트사조와 탄성 섬유로 구성된 표면 및 이면에 발수 가공이 실시된 직물로, 적어도 수영복으로서 착용되었을 때에 피부에 접하는 측에 상당하는 직물 이면에, 공기 체류부가 되는 요철을 갖고 있다. 상기 직물 이면의 요철은 고저차가 150 ㎛ 이상 650 ㎛ 이하이면서, 오목부의 폭이 100 ㎛ 이상 5000 ㎛ 이하이다.
이하, 구체적으로 도 1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수영복 (M)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물로 봉제된 것이고, 상기 수영복 (M)에 있어서, 수영복 소재의 표면층 (a)는 미세한 요철을 갖고, 이면층 (b)는 상기 표면층 (a)보다도 큰 요철을 갖고 있다. 또한, 직물 수영복 (M)의 표면층 (a) 및 이면층 (b)에는 발수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이 수영복 (M)은, 이면측이 인체 피부면 (S)에 밀착하도록 착용되지만, 수영복의 이면층 (b)는 요철 형상을 갖고 있어, 상기 이면층 (b)의 오목부가 공기 체류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영복 (M)을 착용하고 평영으로 수영하는 선수의 경우를 상정한다. 우선 출발대에서 뛰어들기 직전에는, 수영복의 이면층 (b)의 오목부 (c)에 공기가 체류하고 있다. 그리고 나서, 이 선수는 출발대에서 뛰어듦과 동시에 물 (E) 속을 스트림 라인(유선형)으로 직진한다. 이 때, 수영복의 표면층 (a)에는 수압 (P)이 가해지기 때문에, 수영복의 이면층 (b)의 오목부 (c)에 체류하고 있던 공기 덩어리는, 부력의 작용을 받아 수면 방향으로 향하려고 한다. 그러나, 이 공기 덩어리는, 수영복 (M)을 형성하는 합성 섬유 멀티필라멘트사조의 치밀한 공극이나 수직사와 수평사의 교착점에 형성되어 있는 미세한 공극을 통해서 압출되기 때문에, 수영복의 표면층 (a)측에 미소 기포가 되어 배출된다.
이어서, 수중에서의 스트림 라인으로부터 수면으로 신체가 떠오른다. 구체적으로는, 양손으로 물을 가르면서 동시에 신체의 약 1/3이 떠오른다. 이 때, 수영복이 공기와 닿기 때문에 수영복의 이면층 (b)의 오목부 (c)에는 다시 공기가 체류한다. 그런 다음, 양손을 뻗음과 동시에 신체가 수중 (E)에 가라앉고, 수영복의 표면층 (a)에 수압 (P)가 가해지면, 이면층 (b)의 오목부 (c)에 체류하고 있었 공기가, 앞에서와 같이 수영복 (M)의 합성 섬유 멀티필라멘트사조의 좁은 간극이나 직물을 구성하는 수직사와 수평사의 교착점에 형성되어 있는 간극을 통해서 압출되어, 표면층 (a)의 측에 미소 기포가 되어 배출된다. 그런 다음, 양손으로 물을 가르면서 동시에 신체의 약 1/3이 떠오르고, 이면층 (b)의 오목부 (c)에는 다시 공기가 체류한다.
이와 같이, 이면층 (b)의 오목부 (c)에의 공기의 취입과 배출의 반복에 의해, 표면층 (a)의 측에 미소 기포가 배출된다.
한편, 수영복의 표면층 (a)는, 합성 섬유 멀티필라멘트사조의 가는 단섬유에 의한 미세한 요철 형상을 가지며, 발수성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수영복의 이면층 (b)의 측으로부터 표면층 (a)의 측으로 배출된 미소 기포는, 수압 (P)와 미세한 요철 형상을 갖는 표면층 (a)의 발수성의 작용에 의해, 미세한 요철 형상의 오목부 중에 유지되기 쉽다. 그 결과, 수영복 표면과 물 사이에 미소 기포의 층 (B)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발명에서는 직물의 표면측에 미소 기포의 층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미소 기포의 정의는, 학설적으로 아직 명확하지 않다는 설도 있다. 넓은 의미로는 밀리미터 단위 이하이고, 마이크로 크기인 "초미세 기포"를 말하며, 좁은 의미로는 "그 발생시에 10 내지 수십 ㎛의 직경을 갖는 기포"라고 정의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수영복용 소재는 직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직물로 이루어진 수영복은 편물의 수영복에 비하여, 얇은 천으로 경량으로 만들 수 있으며, 스너그(snug) 등의 물성에 강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직물은 합성 섬유 멀티필라멘트사조와 수영복으로서의 스트레치성을 얻기 위한 탄성 섬유로 구성되는 것이다.
합성 섬유 멀티필라멘트사조로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아미드계 섬유, 폴리프로필렌계 섬유 중 적어도 1종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합성 섬유 멀티필라멘트사조로는 JISL0204-3(2009)에 해당하는 탄성 섬유(고무상 탄성을 갖고 있는 섬유)를 제외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에 제3 성분을 공중합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L-락트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대표되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나일론 6이나 나일론 66 등의 폴리아미드계 섬유, 폴리프로필렌계 섬유 등의 합성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합성 섬유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지만,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또는 폴리아미드계 섬유를 주성분으로 한 섬유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채용하는 경우, 통상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는 일반적으로 분산 염료를 이용하여 염색되지만, 분산 염료는 폴리우레탄계 섬유를 오염시키기 때문에, 최종 제품에 있어서 이염 등 견뢰도 불량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양이온 염료로 염색할 수 있는 양이온 가염형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이용되는 합성 섬유는, 통상의 플랫 얀(flat yarn) 이외에, 가연 가공사, 타슬란(Taslan) 가공사, 혼섬사 등의 필라멘트 얀일 수도 있다.
합성 섬유의 실 형태로는 모노필라멘트가 아닌, 멀티필라멘트사조를 이용한다. 모노필라멘트의 경우에는 촉감이 나쁘고, 착용감이 떨어지게 된다.
멀티필라멘트사조의 필라멘트수로는 5 내지 100 필라멘트가 바람직하고, 24 내지 72 필라멘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필라멘트수가 5 필라멘트 미만이면 거칠고 딱딱한 감촉이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100 필라멘트를 초과하면 스너그 등의 물성이 떨어지기 쉬워 바람직하지 않다.
멀티필라멘트사조의 굵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22 데시텍스 내지 110 데시텍스가 바람직하고, 특히 22 데시텍스 내지 55 데시텍스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멀티필라멘트사조를 구성하는 단섬유의 섬도로는 0.5 내지 5.5 데시텍스가 바람직하고, 0.5 내지 3.0 데시텍스가 보다 바람직하다. 단섬유 섬도가 0.5 데시텍스 미만이면 스너그 등의 물성이 떨어지기 쉬워 바람직하지 않다. 5.5 데시텍스를 초과하면 거칠고 딱딱한 감촉이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단섬유의 단면 형상은, 도 9의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둥근 단면,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삼각 단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Y형 단면, 그 밖의 이형 단면 등으로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영복의 표면층 (a)에, 합성 섬유 멀티필라멘트사조의 가는 단섬유에 의해 미세한 요철 형상을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도 9의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삼각 단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Y형 단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H형 단면,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 단면,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W형 단면,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X형 단면, 또한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중앙부에 오목부를 갖는 타원계 단면사 등의 이형 단면사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탄성 섬유로는 고무상 탄성을 갖고 있는 섬유이면 어떠한 것일 수도 있고, JIS L0204-3(2009)에 해당하는 것이면 된다. 상기 섬유에는, 예를 들면 외력에 대하여, 원길이의 5 내지 7배로 신장되며, 외력을 제거함으로써, 원길이에 가까운 길이로 복원되는 특성을 갖는 섬유가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우레탄계 탄성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탄성을 발현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탄성사,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탄성사, 폴리스티렌계 탄성사 등을 채용할 수 있다.
탄성 섬유의 굵기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22 데시텍스 내지 88 데시텍스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특히 33 데시텍스 내지 55 데시텍스를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한 합성 섬유 멀티필라멘트사조와 탄성 섬유는 조합하여 복합사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사로는, 탄성 섬유를 코어사로, 합성 섬유 멀티필라멘트사조를 피복사로 하여, 코어사에 피복사를 한 방향으로 커버링하는 싱글 커버링사나, 코어사에 피복사를 우측 방향과 좌측 방향의 2중으로 커버하는 더블 커버링사가 있다. 또한, 다른 복합사로는, 탄성 섬유를 코어측에, 합성 섬유 멀티필라멘트사조를 피복측에 보다 많이 배치한 공기 혼섬 복합사가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합연사 형태의 심초 복합사로 할 수 있다. 이는 코어사가 되는 탄성 섬유에 드래프트를 걸고, 피복사가 되는 합성 섬유 멀티필라멘트사조를 정렬시켜 합연하여 심초 복합사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복합사를 얻을 때에는, 일반적인 커버링기, 이태리식 연사기, 다운 트위스터, 업 트위스터, 더블 트위스터 등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커버링사 및 공기 혼섬 복합사, 합연사 모두 이용하는 합성 섬유 멀티필라멘트사조로는, 플랫 얀 또는 권축을 갖는 가연 가공사 중 어느 것일 수도 있다.
복합사로는 심초 복합사 형태를 취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탄성 섬유는 합성 섬유 멀티필라멘트사조와 같이 원하는 색조로 염색하거나 착색하는 것이 어려우며, 탄성 섬유와 합성 섬유를 동일한 색으로 맞추는 것이 곤란하다. 이 때문에, 직물의 품질 저하를 회피하기 위해, 탄성 섬유가 보다 코어사측에, 합성 섬유 멀티필라멘트사조가 보다 피복측에 최적 배치된 커버링사가 복합사로서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또한, 직물의 단위 면적당 중량의 증가를 회피하기 위해, 커버링사의 섬도를 가늘게 할 수 있는 싱글 커버링사를 채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싱글 커버링사 등과 같은 상기 복합사를 수직사 및 수평사에 이용함으로써,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의 스트레치성에 특히 우수한 수영복용 직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경영 등 격한 운동을 수반하는 수영시에 착용되는 수영복의 경우, 스너그가 문제가 되기 쉽다. 이 때문에, 싱글 커버링사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커버링시의 꼬임 상수(twist constant)를 높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의 꼬임 상수는 6500 내지 120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스너그 레벨을 최선으로 하기 위해서는 7500 내지 11000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꼬임 상수는 다음식으로 산출된다.
꼬임 상수 K=(SS/D+SC)1/2×R
SS: 스판덱스 섬유의 섬도(데시텍스)
SC: 피복사의 섬도(데시텍스)
D: 스판덱스 섬유의 드래프트율(배)
R: 커버링수(T/M)
또한 커버링시, 탄성 섬유에는 적절한 드래프트가 가해지지만, 고스트레치 직물로 하기 위해 그의 드래프트율은 3배 이상 4배 이하가 바람직하고, 3.5배 이상 3.8배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드래프트율이 3배 미만이면 고스트레치 직물로 하는 것이 어렵고, 반대로 4배를 초과하면 탄성 섬유의 실끊어짐 등에 의해 공정 통과성이 악화되는 경향이 된다.
본 발명에서 직물은, 수영복으로서 착용되었을 때에 피부에 접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상당하는 직물 표면에 미세한 요철 형상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물 표면의 요철 형상은, 고저차(볼록 형상의 높이)가 0.5 ㎛ 이상 13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이상 10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 이상 70 ㎛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고저차가 0.5 ㎛ 미만 또는 130 ㎛를 초과하면, 미소 기포의 수가 감소하며, 크기도 불안정한 것이 된다.
또한, 직물의 표면에 후술하는 평활화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직물 표면의 요철 형상을 보다 최적화할 수 있다.
상기 표면의 미세한 요철 형상에 있어서, 볼록부의 간격(볼록 형상끼리의 간격)은 0.5 ㎛ 이상 180 ㎛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이상 15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 이상 100 ㎛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 볼록부의 간격이 0.5 ㎛ 미만 또는 180 ㎛를 초과하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미소 기포의 수가 감소하며, 크기도 불안정한 것이 된다.
상기 표면에서의 요철 형상은, 상기하는 합성 섬유 멀티필라멘트사조를 사용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지만, 상기 도 9의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둥근 단면이 아닌, 도 9의 (2) 내지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비원형 단면 형상인 이형 단면사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바람직한 표면 형태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수영복으로서 착용되었을 때에 피부에 접하는 측에 상당하는 직물 이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 체류부가 되는 비교적 큰 요철 형상이 설치된다. 상기 요철 형상은 고저차가 150 ㎛ 이상 650 ㎛ 이하이고, 오목부의 폭이 100 ㎛ 이상 5000 ㎛ 이하이다. 요철 형상의 고저차란, 도 2에 도시한 직물의 모식 단면도에 있어서 h로 표시되는 값이다. 150 ㎛ 미만의 경우에는, 공기의 체류량이 적어지고, 미소 기포의 발생량도 적어지게 된다. 또한, 650 ㎛를 초과하면, 오목부의 깊이가 깊어지기 때문에, 공기의 체류량은 만족되지만, 직물의 전체 두께가 두꺼워지거나, 직물 표면이 얇아져 비치는 등, 수영복으로서는 적당하지 않은 것이 된다. 이 고저차는 200 ㎛ 이상 5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 ㎛ 이상 40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직물 이면의 요철 형상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도 3 내지 도 8의 수영복용 직물 이면의 모식 평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볼록부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스트라이프무늬상,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도트무늬상,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격자무늬상,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체크무늬상,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밀짚무늬상(가로 줄무늬 무늬상),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물방울무늬상, 또는 A 내지 Z와 같은 알파벳 형상(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설치되어 있는 양태를 들 수 있다. 수영복용 직물의 단위 면적당 중량, 두께, 신장률이나 직물 표면감의 품질, 모양새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직물 이면의 오목부의 폭이란, 도 2 내지 도 8에서 w로 표시되는 값이다. 이 오목부의 폭은 100 ㎛ 이상 5000 ㎛ 이하이다. 이 오목부의 폭이 100 ㎛ 미만이면, 공기의 체류량이 적어지고, 미소 기포의 발생량도 적어지게 된다. 또한, 5000 ㎛를 초과하면 이면의 볼록부의 간격이 넓어지는 것을 의미하며, 직물의 표면에 무늬벽과 같은 영향을 미쳐, 수영복으로서의 모양새도 떨어지게 된다. 이 오목부의 폭은 200 ㎛ 이상 12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8에 있어서 y로 나타내는, 직물 이면의 볼록부의 폭은 100 ㎛ 이상 50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 ㎛ 이상 30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볼록부의 폭을 100 ㎛ 이상으로 함으로써, 수영복으로서 착용했을 때의 착압에 의해서도 상기 볼록부가 변형되기 어려워, 안정적으로 공기 체류부를 형성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공기의 체류량이 많아져, 미소 기포의 발생량도 많아진다. 또한, 5000 ㎛ 이하로 함으로써, 이면의 볼록부가 직물 표면에 무늬벽과 같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수영복으로서의 모양새도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미소 기포를 보다 많이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직물 이면에서 오목부가 이면 전체 면적비로 30% 이상을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0% 이상으로 함으로써, 상기와 마찬가지로 공기의 체류량이 많아지고, 미소 기포의 발생량도 많아진다. 또한, 직물 표면에의 무늬벽의 영향이나 수영복으로서의 모양새도 고려하면, 8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면에서 오목부는, 이면 전체 면적비로 30 내지 80%를 차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0 내지 80%를 차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내지 80%를 차지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반대로 이면의 볼록부는 이면 전체 면적비로 20 내지 70%를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60%를 차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내지 50%를 차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직물 이면에서의 오목부와 볼록부의 면적비를 최적화함으로써 미소 기포의 발생량을 보다 많이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요철 형상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직물의 이면에 작은 요철 형상을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수직사와 수평사 모두 동일한 섬도의 실을 사용하여 직물로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요철 형상의 고저차가 작기 때문에, 목표로 하는 충분한 공기 체류부를 직물 이면에 형성시킬 수 없다.
다른 방법으로서, 수직사 또는 수평사 중 어느 하나의 실을 태섬도로 하고, 다른쪽의 실을 세섬도로 하여 직물을 제직함으로써, 이면에 비교적 큰 요철 형상을 형성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따르면, 직물의 표면에도 큰 요철 형상이 형성되기 쉬워, 기본적인 목적으로 하는 물 저항성을 반대로 악화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수직사·수평사 모두 동일한 섬도의 실을 사용하여, 낮은 물 저항성을 겨냥하는 경영 수영복용 소재로서의 표면 평활성이나 단위 면적당 중량, 두께를 만족하면서, 직물 이면에는 직물 조직(예를 들면 이중 직물 조직)에 의해, 미소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해 충분한 공기 체류부가 되는 큰 요철 형상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 수영복용 직물은 표면이 예를 들면 미세한 요철 형상을 갖는 편평에 가까운 조직이고, 이면이 요철 조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직물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도비 기구나 자카드 기구를 구비한 방직기를 이용하며, 이중 직물 조직인 세로 이중 조직, 가로 이중 조직, 세로가로 이중 조직 중 어느 조합에 의해, 표면을 평직 조직 등의 편평 조직으로 하는 한편, 이면을 요철 조직으로 제직할 수 있다.
제직에 이용하는 방직기의 종류는 워터제트 방직기, 에어제트 방직기, 레이피어 방직기 등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면의 요철 형상은, 엠보싱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엠보싱 가공을 위한 직물의 이면 조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약간 두꺼운 평직 조직이나, 표리 모두 평직 조직이 되는 세로가로 이중 조직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엠보싱 가공에 의해, 요철 형상의 무늬 변화의 자유도가 커진다. 엠보싱 가공에 있어서의 엠보싱 롤의 압력이나 온도는, 통상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폴리에스테르 직물이나 나일론 직물의 가공 조건에 준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종래부터 존재하는, 예를 들면 22 데시텍스 내지 110 데시텍스의 멀티필라멘트사조 둥근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피복사와 22 데시텍스 내지 88 데시텍스의 탄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코어사를 조합한 싱글 커버링사를 수직사 및 수평사에 사용한 일반적인 2 Way 스트레치 평직물의 경우, 그 직물 이면에는 사용한 실의 굵기(섬도)에 기인하는 요철이 나타난다. 그러나, 이러한 사용사의 굵기에만 기인하는 요철은, 고저차가 10 ㎛ 이상 150 ㎛ 미만으로 작으며, 오목부의 폭도 100 ㎛ 미만이 되어, 공기 체류부로서 실질적으로 기능하는 것은 아니다. 이 때문에, 수영할 때에 발생하는 미소 기포도 직물을 형성하는 사용사의 구성 단섬유끼리의 간극으로부터 발생하는 매우 적은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수영복용 직물은, 표면과 이면의 양쪽에 발수 가공이 실시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이면에 발수 가공이 실시되어 있기 때문에, 이면의 오목부에 공기가 체류하기 쉬워 공기 체류부로서 작용한다. 이면에 발수 가공이 실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항상 친수 상태가 되어, 공기가 체류할 수 없으며, 미소 기포를 실질적으로 발생할 수 없다.
또한, 표면에도 발수 가공을 실시한다는 것은, 합성 섬유 멀티필라멘트사조의 가는 단섬유에 의한 미세한 요철 형상의 전체면이 발수성을 갖게 된다. 이 때문에, 이면측으로부터 표면측에 미소 기포가 배출되면, 그 미소 기포는 수압 (P)와 미세한 요철 형상 표면의 발수성의 작용에 의해, 수영복 표면과 물 사이에 유지되어, 미소 기포의 층 (B)가 형성된다.
여기서 이용되는 발수제로는 불소계 발수제, 실리콘계 발수제 등 통상의 발수제를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발수 가공의 설비나 가공 조건도, 통상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폴리에스테르 2 Way 스트레치 직물이나 나일론 2 Way 스트레치 직물의 가공 조건에 준하여 행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발수 가공을 염색 마무리 가공 공정 중 1 공정으로서 조립할 수도 있고, 이 경우의 구체적 공정예로는, 확포 정련/릴렉스, 중간 세트, 염색, 발수 가공, 마무리 세트, 또는 액류 정련/릴렉스, 염색, 발수 가공, 마무리 세트 등의 양태가 고려된다. 목적으로 하는 직물의 스트레치율이나 표면 품질의 상태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발수 가공 이외에, 염색 단계에서의 부대 가공으로서 방오 가공, 항균 가공, 소취 가공, 방취 가공, 방균 가공, 자외선 흡수 가공, 또한 인쇄 가공 등을, 요구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병용 가공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수영복용 직물의 표면에 평활화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평활화 가공이란, 직물 표면에서 물 저항성을 열화시킨다고 생각되는 요철 형상 등을 열이나 압력 등에 의해 압궤하고, 표면을 상기 가공 처리 전보다도 순조롭게 변화시키는 가공을 말한다. 그 중에서도, 가공 안정성과 생산성 측면에서, 평활화 가공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캘린더 가공이 바람직하다. 그 가공기로는 통상의 가열 금속 롤과 페이퍼 롤, 또는 코튼 롤로 이루어지는 캘린더 가공기를 사용할 수 있고, 가열 금속 롤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경면 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판형물을 이용하여 캘린더 가공을 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캘린더 가공 조건은, 직물의 폭 100 내지 220 cm에 대하여, 선압으로 1 내지 60t으로 하고, 롤 온도는 130 내지 250℃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평활화 가공으로는 가열 금속 롤과 가죽 벨트를 갖는 전사 인쇄기를 이용하여 행할 수도 있다.
이들 평활화 가공의 조건은, 직물의 종류, 표면의 요철감, 촉감 등에 의해, 앞서 서술한 직물 표면의 미세한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높이와 간격을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특히, 마무리 세팅 후에, 직물 조직의 영향으로 직물 표면에 요철감이 현저히 발생한 경우 등에, 이 평활화 가공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평활화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직물 표면은 비교적 평평하고 매끄럽게 되어, 물 저항성의 감소 효과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영복용 직물은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의 평균 신장률이 55% 이상, 평균 신장 회복률이 7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신장률이란, 수영복용 직물의 신장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수치가 클수록 수영복으로 하여 착용했을 때 신체의 움직임에 추종하기 쉽고, 수영과 같은 격한 움직임에도 수영복이 추종하여 움직이기 쉽기 때문에, 피로감이 덜하다. 또한, 신장 회복률이란 신체의 움직임으로 신장된 수영복이, 신속히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고자 하는 회복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수치가 클수록 수영복으로 하여 착용했을 때, 보다 밀착성이 풍부하고, 움직이기 쉬운 것을 나타낸다.
신장률과 신장 회복률은, 직물의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의 각각의 수치를 평균하여 고려하는 것이 좋다. 이는 수영복으로 하여 실제 착용하여 움직이는 경우, 직물은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의 한 방향으로만 신장되는 것이 아닌, 인간의 신체 구조에 따라 삼차원적으로 직물이 신장되기 때문이다. 이 삼차원적인 신장 특성이 직물의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의 평균한 신장률인 평균 신장률, 및 평균 신장 회복률과 상관관계가 있어, 제대로 일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직물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의 평균 신장률이 5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이상이다. 평균 신장률이 55% 미만이면 수영복을 착용하여 격한 수영을 행한 경우, 수영복과 피부 사이의 여유 공간을 고려하여도 신체의 움직임에 수영복이 추종하기 어려워, 피로감이 발생하기 쉬워져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평균 신장률이 130%를 초과하면, 수영함에 따라 수영복이 늘어나버려, 수영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직물에 있어서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의 평균 신장 회복률은 7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이다. 평균 신장 회복률이 75% 미만이면 수영에 의해 신장된 수영복이 늘어난 상태가 되어, 신체에 대한 밀착감이 떨어지기 때문에 신체의 움직임에 추종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수영복으로서의 모양새도 떨어지게 된다. 또한, 평균 신장 회복률은 100%에 가까울수록 좋지만, 커버링사를 이용한 경우, 직물의 신장과 회복의 반복에서 오는 변형에 의해 95% 정도가 한계이다.
본 발명의 수영복용 직물은, 통기성이 5 내지 70 ㎤/(㎠·s)인 것이 바람직하다. 5 내지 50 ㎤/(㎠·s)가 바람직하고, 또한 5 내지 30 ㎤/(㎠·s)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직물 이면의 오목부에 체류한 공기가, 수영할 때에 받는 수중에서의 수압에 의해, 수영복의 합성 섬유 멀티필라멘트사조의 미세한 간극이나 수직사와 수평사의 교착점의 미세한 공극을 통해서 압출되고, 수영복 표면에 미소 기포가 되어 배출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통기성을 5 ㎤/(㎠·s) 이상으로 함으로써, 직물 이면의 오목부에 체류한 공기가 수중에서의 수압에 의해 압출되기 쉽고, 수영복 표면에 미소 기포가 되어 배출되는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미소 기포층을 형성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직물의 통기성을 70 ㎤/(㎠·s) 이하로 함으로써, 직물 이면측으로부터 순간적으로 압출되는 공기의 양이 너무 많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미소 기포가 형성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기성의 수치는, 수영복용 직물을 무장력인 상태로 한 경우의 통기성 수치이다. 실제로 수영복으로서 착용하는 경우에는, 착용 장력에 의해, 직물에 세로·가로·경사 방향으로 20 내지 30% 정도 신장되지만, 이러한 장력을 고려하여도, 상기 무장력하에서의 통기성이 5 내지 70 ㎤/(㎠·s) 있으면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직물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200 g/m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200 g/m2를 초과하면 경영 수영복용 직물로는 지나치게 무거워져, 수영할 때 무겁게 느끼거나, 움직임에 방해되기 때문에 신체의 피로를 증가시키고, 오히려 불쾌감을 일으키는 등, 착용성이 떨어지기 쉽다. 특히, 90 내지 190 g/m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위 면적당 중량이 90 g/m2 미만인 경우에는, 움직이기 쉽지만 직물이 너무 얇아 안감 등이 적은 경영 수영복용 직물로는 비침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 심미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파열 강력이나 인열 강력이 낮다는 등 생지 물성면에서 수영복용으로서 적당하지 않은 직물이 되기 쉽다.
직물의 두께는 0.90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0.90 mm를 초과하면 경영 수영복용 직물로는 지나치게 두꺼워져, 수영할 때 부피가 커지는 것을 느끼거나, 움직임에 방해되기 때문에 신체의 피로를 증가시키고, 오히려 불쾌감을 일으키는 등 착용성이 떨어지기 쉽다. 특히, 0.25 내지 0.80 mm가 바람직하고, 또한 움직이기 쉽다는 측면에서 0.35 내지 0.60 mm가 보다 바람직하다. 두께가 0.25 mm 미만인 경우에는, 앞서 서술한 단위 면적당 중량과 마찬가지로, 움직이기 쉽지만 직물이 너무 얇아 안감 등이 적은 경영 수영복용 직물로는 비침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 심미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파열 강력이나 인열 강력이 낮다는 등의 생지 물성면에서 수영복용으로서 적당하지 않은 직물이 되기 쉽다.
본 발명의 수영복용 직물은, 이중 직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중 직물을 채용하면,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던 일중직 물품에 비하여, 파열 강력이나 인열 강력이 강한 것이 얻어지기 쉽다. 이를 근거로, 본 발명에 따르면 파열 강력 350 kPa 이상, 또한 400 kPa 이상을 갖는 수영복용 직물을 얻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은 직물은, 상술한 직물 표면이 수영복의 겉면이 되도록 수영복에 봉제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직물 이면의 오목부에 체류한 공기를, 수영할 때에 받는 수압에 의해 수영복의 표면에 미소 기포로서 배출할 수 있어, 수영복과 물의 경계에 미소 기포의 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직물은, 수영복의 전체 부분에 사용하거나, 또는 어떤 특정한 부분의 일부분에 사용하는 등 어느 것도 가능하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착용자에 맞게 최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미소 기포의 발생과 그의 유효 이용에 의해, 물 저항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는 수영복, 특히 경영용 수영복이 얻어진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한 평가는 각각 다음 방법에 의해 행한 것이다.
(1) 직물의 단위 면적당 중량
최종 가공 마감 직물로부터 세로 100 cm×가로 100 cm의 평가 샘플을 3매씩 채취한 후, 질량을 계량하고, 3매의 평균값(g/m2)으로 나타내었다.
(2) 직물의 두께
JISL1096:2010의 제8.4항에 기재된 A법에 준하여 행하였다. 즉, 시료가 다른 5개소에 대해서 두께 측정기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및 일정 압력하에서 두께(mm)를 측정하고, 그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반올림하여 소수점 이하 2자릿수로 나타내었다. 또한, 측정시의 일정 압력은 0.7 kPa로 하였다.
(3) 직물의 신장률
JISL1096:2010의 제8.16.1항에 기재된 신장률 A법(정속 신장법)에 준하여 행하였다. 또한, 스트립법의 17.6 N(1.8 kg) 하중시를 채용하고, 시험 조건은 샘플 폭 5 cm×길이 20 cm, 클램프 간격 10 cm, 인장 속도 20 cm/분으로 하였다. 또한, 최초 하중은 JISL1096:2010의 방법에 준하여, 시료 폭 1 m 상당의 무게를 사용하였다. 시료의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의 각각 3회의 시험 결과(%)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반올림하여 소수점 이하 1자릿수로 나타내었다.
(4) 직물의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의 평균 신장률
상기 직물의 신장률의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의 각각 3회의 시험 결과(%)의 평균값으로부터,
[세로 방향의 시험 결과의 평균값(%)+가로 방향의 시험 결과의 평균값(%)]/2
를 산출하고, 직물의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의 평균 신장률(%)을 반올림하여 소수점 이하 1자릿수로 나타내었다.
(5) 직물의 신장 회복률
JISL1096:2010의 "신장 탄성률(신장 회복률) 및 잔류 변형률" 제8.16.2항에 기재된 A법(반복 정속 정신장법)에 준하여 행하였다. 또한, 스트립법의 17.6 N(1.8 kg) 하중시·반복 5회 후를 채용하고, 시험 조건은 샘플 폭 5 cm×길이 20 cm, 클램프 간격 10 cm, 인장 속도 20 cm/분으로 하였다. 최초 하중은 JIS1096:2010의 방법에 준하여, 시료 폭 1 m 상당의 무게를 사용하였다. 시료의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의 각각 3회의 시험 결과(%)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반올림하여 소수점 이하 1자릿수로 나타내었다.
(6) 직물의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의 평균 신장 회복률
상기 직물의 신장 회복률의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의 각각 3회의 시험 결과(%)의 평균값으로부터,
[세로 방향의 시험 결과의 평균값(%)+가로 방향의 시험 결과의 평균값(%)]/2
를 산출하고, 직물의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의 평균 신장 회복률(%)을 반올림하여 소수점 이하 1자릿수로 나타내었다.
(7) 직물의 통기성
JISL1096:2010의 제8.26.1항에 기재된 A법(프래질형법)에 준하여 행하였다. 즉, 시험기 원통의 일단에 시험편을 부착한 후, 가감 저항기에 의해서 경사형 기압계가 125 Pa의 압력을 나타내도록 흡입팬 및 공기 구멍을 조정하고, 그 때의 수직형 기압계가 나타내는 압력을 측정하였다. 측정한 압력과 사용한 공기 구멍의 종류로부터, 시험기 부속의 환산표에 의해서 시험편을 통과하는 공기량(㎤/(㎠·s))을 구하였다. 5회의 시험 결과의 평균값을 구하고, 반올림하여 소수점 이하 1자릿수로 나타내었다.
(8) 직물 표면의 미세한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고저차와 볼록부의 간격
주사 전자 현미경((주)히다치 하이테크놀로지 제조, S-3400N 타입)으로 직물 단면의 표면측을 배율 50 내지 80으로 촬영하였다. 이 촬영시에, 직물 표면의 미세한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고저차(볼록부의 높이)와 볼록부의 간격(인접하는 볼록부 정점간의 거리)을 각각 계측하도록 지정 조작하였다. 또한, 1 ㎛의 정도까지의 정확한 측정이 곤란하다는 점을 감안하여, 각각의 측정값에 있어서의 1 정도를 반올림하였다. 또한, 볼록부의 좌우에서 높이가 다른 경우, 높은 쪽을 선택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10회의 계측 결과의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9) 직물 이면의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오목부(또는 볼록부)의 폭과 길이
주사 전자 현미경((주)히다치 하이테크놀로지 제조, S-3400N 타입)으로 직물 단면의 이면측을 배율 50 내지 80으로 촬영하였다. 이 촬영시에, 직물 이면의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오목부(또는 볼록부)의 폭과 길이를 각각 계측하도록 지정 조작하였다. 또한, 1 ㎛의 정도까지의 정확한 측정이 곤란하다는 점을 감안하여, 각각의 측정값에 있어서의 1 정도를 반올림하였다. 또한 10회의 계측 결과의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10) 직물 이면의 요철 형상의 고저차(볼록부의 높이)
주사 전자 현미경((주)히다치 하이테크놀로지 제조, S-3400N 타입)으로 직물 단면의 이면측을 배율 50 내지 80으로 촬영한다. 이 촬영시에, 직물 이면의 요철 형상의 고저차(볼록부의 높이)를 계측하도록 지정 조작하였다. 또한, 1 ㎛의 정도까지의 정확한 측정이 곤란하다는 점을 감안하여, 각각의 측정치에 있어서의 1 정도를 반올림하였다. 또한, 좌우의 볼록부에서 높이가 다른 경우, 높은 쪽을 선택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10회의 계측 결과의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11) 직물 이면의 오목부의 면적비
직물 이면의 오목부와 볼록부의 폭과 길이를 기초로, 직물 이면의 총 면적에 대한 오목부의 총 면적의 비를 산출하고, 10회의 계측 결과의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인접하는 볼록부와의 고저차가 150 ㎛ 미만 또는 650 ㎛ 초과인 오목부, 또는 폭이 100 ㎛ 미만 또는 5000 ㎛ 초과인 오목부는, 이 면적비를 산출함에 있어서의 "오목부", 즉 분자로부터 제외하였다.
(12) 물 저항성
도 10에 도시한 측정기를 이용하여 수영복용 직물의 물 저항성을 측정하였다. 즉, 통형 플라스틱제 롤 (3)(직경 22.5 cm, 길이 24 cm)의 축심 (5)의 한쪽 단부에 고성능 토오크 모터 (4)를 장착하고, 상자형 플라스틱제 수조 (1)(폭 50 cm, 깊이 43 cm, 깊이 40 cm)의 내부에, 상기 축심 (5)가 수평 방향 그대로 회전하도록 고정시켰다. 또한, 롤 (3)에는, 설정한 시간당 회전수에 대한 토오크 모터 (4)의 저항값을 표시하는 디지털 표시기 (6)도 설치하였다.
이어서, 수조 (1) 속에 물 (2)를 넣고, 롤 (3)이 직경 방향으로 2/3 물에 잠기도록 함과 동시에, 이 롤 (3)의 회전수를 142 회전/50초(표면 속도 2 m/초)로 설정하였다. 이는 100 m 자유형 톱 스위머가 100 m를 50초로 수영하는 속도에 상당한다. 샘플을 부착하기 전의 이 조건을 이상체로 한다.
다음으로, 샘플로서 직물 표면이 외측이 되도록, 통상 평가 샘플(원주 58 cm, 폭 20 cm)을 3개 제작하였다. 이 샘플을 착용 상태를 상정하고, 세로, 가로 모두 20% 신장시켜 상기 롤 (3)에 부착하였다. 상기한 샘플을 부착하기 전의 조건을 이상체(블랭크)로 하는 것에 반해, 롤 (3)에 샘플을 부착하고, 상기 롤이 수중에서 142 회전/50초로 회전할 때의 저항값(%)을 측정하였다. 3개의 샘플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소수점 이하 2자릿수로 나타내었다.
물 저항성이 떨어지는 직물은, 이 저항값(%)이 큰 수치가 되고, 반대로 물 저항성이 우수한 직물은, 이 저항치(%)가 작은 수치가 된다.
(13) 미소 기포의 발생 상황
상기 물 저항성의 측정시에 미소 기포의 발생 상황을 시각 평가하였다. 동시에, 고속 카메라((주)포트론 제조, FASTCAM-APS RS 타입)로 촬영하여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함과 함께, 재차 미소 기포의 발생 상황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 중에 발생하는 미소 기포의 크기를 정확하게 실측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도 있어, 시각 판정으로 직경이 1 mm 정도 이하인 것을 미소 기포라 판단하였다. 또한, 시각판정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A: 미소 기포가 많이 발생한다. B: 미소 기포가 발생한다. F: 미소 기포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14) 수영복 소재로서의 종합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A: 움직이기 쉬우며, 신체가 가볍게 느끼는 등 매우 수영하기 쉬워, 경영 수영복용 소재로서 매우 적합하다.
B: 움직임에 그다지 방해받지 않고도 수영할 수 있어, 경영 수영복용 소재로서 적합하다.
F: 움직임이 어렵고, 또는 신체가 가볍게 느껴지지 않아, 경영 수영복용 소재로서 우수하지 않다.
[실시예 1]
피복사로서 양이온 염료 가염형 폴리에스테르(33 데시텍스 24 필라멘트, 단섬유: 도 9의 (2)에 도시한 삼각형 단면원사, 도레이(주) 제조 "테트론"(등록상표))의 플랫 얀을 이용하고, 코어사로서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44 데시텍스, 도레이 오페론텍스(주) 제조 "라이크라"(등록상표))를 이용하여, 싱글 커버링사(코어사의 드래프트율 3.5배, 꼬임 상수 8100)를 제작하였다. 이 싱글 커버링사를 이용하여, 도비 기구가 장착된 에어제트 방직기로, 바디 밀도 80살/촌(寸), 바디집 2개 넣고, 가로 밀도 125개/2.54 cm의 가로 이중 조직으로, 이면에 도 4에 도시한 요철 형상을 갖는 직물 생기를 제직하였다.
그 후, 이 생기를 통상의 양이온 염료 가염형 폴리에스테르 2 Way 스트레치 직물의 염색 가공에 준하여 95℃ 욕 중에서의 정련/릴렉스 투입하여, 125℃ 욕 중에서의 양이온 염료 염색을 행하고, 이어서 발수 가공을 행하여, 마무리 폭 102 cm, 가로 밀도 210개/2.54 cm의 수영복용 직물로서 마무리하였다.
이 직물에 있어서, 이면의 요철 형상은 고저차가 220 ㎛, 오목부 폭이 1000 ㎛, 오목부의 면적비가 78%였다. 또한, 표면의 요철 형상은 고저차가 61 ㎛, 볼록부의 간격이 133 ㎛였다.
한편, 이 직물의 통기성은 13.3 cc/(㎠·s), 단위 면적당 중량이 151 g/m2, 두께가 0.46 mm, 평균 신장률이 71.4%, 평균 신장 회복률이 85.7%였다.
이 직물에 대해서 물 저항성을 측정한 결과, 물 저항성은 1.2%로 매우 우수한 것이었다. 물 저항성의 측정시에 발생이 확인되는 미소 기포는 매우 많은 것이었다.
또한, 이 직물의 표면을 겉면에 100% 사용한 경영용 수영복을 시험 제작하여, 19 내지 22세 대학생 남성 5명, 여성 5명에게 평영에 의한 시착 평가를 행한 결과, 움직이기 쉬우며, 신체가 가볍게 느껴지는 등 매우 수영하기 쉬워, 경영 수영복용 소재로서 우수한 것임이 확인되었다. 이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피복사로서 나일론(24 데시텍스 7 필라멘트, 단섬유: 도 9의 (1)에 도시한 둥근형 단면 원사, 도레이(주) 제조)의 플랫 얀을, 코어사로서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44 데시텍스, 도레이 오페론텍스(주) 제조의 "라이크라"(등록상표))를 이용하여, 싱글 커버링사(코어사의 드래프트율 3.5배, 꼬임 상수 8500)를 제작하였다. 이 싱글 커버링사를 이용하여, 도비 기구가 장착된 에어제트 방직기로, 바디 밀도 90살/촌, 바디집 2개 넣고, 가로 밀도 110개/2.54 cm의 가로 이중 조직으로, 이면에 도 3에 도시한 요철 형상을 갖는 직물 생기를 제직하였다.
그 후, 이 생기를 통상의 나일론 2 Way 스트레치 직물의 염색 가공에 준하여 80℃ 욕 중에서의 정련/릴렉스 투입하여, 95℃ 욕 중에서의 산성 염료 염색을 행하고, 이어서 발수 가공을 행하여, 마무리 폭 104 cm, 가로 밀도 190개/2.54 cm의 수영복용 직물로서 마무리하였다.
이 직물에 있어서, 이면의 요철 형상은 고저차가 200 ㎛, 오목부 폭이 500 ㎛, 오목부의 면적비가 61%였다.
또한, 표면의 요철 형상은 고저차가 44 ㎛, 볼록부의 간격 101 ㎛였다.
한편, 이 직물의 통기성은 21.3 cc/(㎠·s), 단위 면적당 중량이 133 g/m2, 두께가 0.41 mm, 평균 신장률이 82.5%, 평균 신장 회복률이 83.0%였다.
이 직물에 대해서 물 저항성을 측정한 결과, 물 저항성은 2.0%로 매우 우수한 것이었다. 물 저항성의 측정시에 발생이 확인되는 미소 기포는 매우 많은 것이었다.
또한, 이 직물의 표면을 겉면에 100% 사용한 경영용 수영복을 시험 제작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피험자인 남성 5명, 여성 5명에게 평영에 의한 시착 평가를 행한 결과, 움직이기 쉬우며, 신체가 가볍게 느껴지는 등, 매우 수영하기 쉬워, 경영 수영복용 소재로서 우수한 것임이 확인되었다. 이들 평가 결과를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양이온 염료 가염형 폴리에스테르(33 데시텍스, 48 필라멘트, 단섬유: 도 9의 (1)에 도시한 둥근형 단면원사, 도레이(주) 제조 "테트론"(등록상표))의 가연 가공사와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44 데시텍스, 도레이 오페론텍스(주) 제조 "라이크라"(등록상표))를 공기 혼섬 가공기에 의해, 양이온 염료 가염형 폴리에스테르의 가연 가공사가 피복측에,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가 코어측에 배치되는 것과 같은 심초형의 공기 혼섬 복합 가공사를 제작하였다.
이 공기 혼섬 복합 가공사를 이용하여, 도비 기구가 장착된 에어제트 방직기로, 바디 밀도 80살/촌, 바디집 2개 넣고, 가로 밀도 125개/2.54 cm의 가로 이중 조직으로, 이면에 도 5에 도시한 요철 형상을 갖는 직물 생기를 제직하였다.
그 후, 이 생기를 통상의 양이온 염료 가염형 폴리에스테르 2 Way 스트레치 직물의 염색 가공에 준하여 95℃ 욕 중에서의 정련/릴렉스 투입하여, 125℃ 욕 중에서의 양이온 염료 염색을 행하고, 이어서 발수 가공을 행하여, 마무리 폭 102 cm, 가로 밀도 210개/2.54 cm의 수영복용 직물로서 마무리하였다.
또한, 이 직물의 표면에 가열 금속 롤과 페이퍼 롤로 이루어지는 캘린더 가공기로 평활 가공을 실시하였다.
이 직물에 있어서, 이면의 요철 형상은 고저차가 310 ㎛, 오목부 폭이 900 ㎛, 오목부의 면적비가 54%였다.
또한, 표면의 요철 형상은 고저차가 15 ㎛, 볼록부의 간격이 142 ㎛였다.
한편, 이 직물의 통기성은 10.0 cc/(㎠·s), 단위 면적당 중량이 157 g/m2, 두께가 0.52 mm, 평균 신장률이 66.0%, 평균 신장 회복률이 80.0%였다.
이 직물에 대해서 물 저항성을 측정한 결과, 물 저항성은 1.8%로 우수한 것이었다. 물 저항성의 측정시에 발생이 확인되는 미소 기포는 매우 많은 것이었다.
또한, 이 직물의 표면을 겉면에 100% 사용한 경영용 수영복을 시험 제작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피험자인 남성 5명, 여성 5명에게 평영에 의한 시착 평가를 행한 결과, 실시예 1과 2에 비하여 평균 신장률이 약간 낮지만, 움직이기 쉬우며, 신체가 가볍게 느껴지는 등, 매우 수영하기 쉬워, 경영 수영복용 소재로서 우수한 것임이 확인되었다. 이들 평가 결과를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싱글 커버링사를 이용하여, 도비 기구가 장착된 에어제트 방직기로 바디 밀도 80살/촌, 바디집 2개 넣고, 가로 밀도 125개/2.54 cm의 가로 이중 조직으로, 이면에 도 3에 도시한 요철 형상을 갖는 직물 생기를 제직하였다.
그 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염색, 발수 가공을 행하고, 마무리 폭 102 cm, 가로 밀도 210개/2.54 cm의 수영복용 직물로서 마무리하였다.
이 직물에 있어서, 이면의 요철 형상은 고저차가 250 ㎛, 오목부 폭이 400 ㎛, 오목부의 면적비가 22%였다.
또한, 표면의 요철 형상은 고저차가 55 ㎛, 볼록부의 간격이 120 ㎛였다.
한편, 이 직물의 통기성은 12.9 cc/(㎠·s), 단위 면적당 중량이 160 g/m2, 두께가 0.48 mm, 평균 신장률이 72.3%, 평균 신장 회복률이 88.1%였다.
이 직물에 대해서 물 저항성을 측정한 결과, 물 저항성은 3.1%였다. 이 물 저항성의 측정시에 미소 기포의 발생도 확인되었다.
또한, 이 직물의 표면을 겉면에 100% 사용한 경영용 수영복을 시험 제작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피험자인 남성 5명, 여성 5명에게 평영에 의한 시착 평가를 행한 결과, 움직임에 그다지 방해받지 않고도 수영할 수 있어, 경영 수영복용 소재로서 적합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들 평가 결과를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싱글 커버링사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도비 기구가 장착된 에어제트 방직기로, 가로 밀도 115개/2.54 cm의 통상의 평직 조직으로 이루어진 직물 생기를 제직하였다. 그 후, 이 생기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염색, 발수 가공을 행하고, 마무리 폭 110 cm, 가로 밀도 190개/2.54 cm의 직물을 제작하였다.
또한, 이 직물의 이면에 엠보싱 가공기로 도 6에 도시한 요철 무늬를 부여하여 수영복용 직물로서 마무리하였다. 엠보싱 가공에 있어서의 엠보싱 롤의 압력이나 온도는, 폴리에스테르 직물에 행해지고 있는 통상 가공 조건에 준하여 행하였다.
이 직물에 있어서, 이면의 요철 형상은 고저차가 410 ㎛, 오목부 폭이 300 ㎛, 오목부의 면적비가 50%였다.
또한, 표면의 요철 형상은, 고저차가 32 ㎛, 볼록부의 간격이 113 ㎛였다.
한편, 이 직물의 통기성은 9.5 cc/(㎠·s), 단위 면적당 중량이 165 g/m2, 두께가 0.58 mm, 평균 신장률이 74.0%, 평균 신장 회복률이 87.5%였다.
이 직물에 대해서 물 저항성을 측정한 결과, 물 저항성은 2.5%였다. 이 물 저항성의 측정시에 미소 기포의 발생도 확인되었다.
또한, 이 직물의 표면을 겉면에 100% 사용한 경영용 수영복을 시험 제작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피험자인 남성 5명, 여성 5명에게 평영에 의한 시착 평가를 행한 결과, 움직이기 쉬우며, 수영하기 쉬워, 경영 수영복용 소재로서 적합한 것임이 확인되었다. 이들 평가 결과를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싱글 커버링사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도비 기구가 장착된 에어제트 방직기로, 가로 밀도 115개/2.54 cm의 통상의 평직 조직으로 이루어진 직물 생기를 제직하였다. 그 후, 이 생기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염색, 발수 가공을 행하고, 마무리 폭 110 cm, 가로 밀도 190개/2.54 cm의 수영복용 직물로서 마무리하였다.
이 직물은 통상의 평직 조직이기 때문에, 이면에 공기 체류부가 되는 큰 요철부가 형성되지 않았다. 이면의 요철 형상은 고저차가 40 ㎛, 오목부 폭이 70 ㎛, 상기한 바와 같이 규정하는 오목부의 면적비가 0%였다.
또한, 표면의 요철 형상은 고저차가 59 ㎛, 볼록부의 간격이 121 ㎛였다.
한편, 이 직물의 통기성은 24.2 cc/(㎠·s), 단위 면적당 중량이 120 g/m2, 두께가 0.31 mm, 평균 신장률이 71.0%, 평균 신장 회복률이 88.5%였다.
이 직물에 대해서 물 저항성을 측정한 결과, 물 저항성은 3.8%로 실시예에 비하여 떨어지는 것이었다. 또한, 물 저항성의 측정시에는 미소 기포의 발생도 없었다.
또한, 이 직물의 표면을 겉면에 100% 사용한 경영용 수영복을 시험 제작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피험자인 남성 5명, 여성 5명에게 평영에 의한 시착 평가를 행한 결과, 움직임은 방해되지 않지만, 신체는 가볍게 느껴지지 않아, 경영 수영복용 소재로서 우수하지 않다고 느껴지는 것이었다. 이들 평가 결과를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싱글 커버링사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도비 기구가 장착된 에어제트 방직기로, 가로 밀도 125개/2.54 cm의 가로 이중 조직으로, 이면에 도 5에 도시한 요철 형상을 갖는 직물 생기를 제직하였다. 그 후, 이 생기를 실시예 1과 동일한 염색 가공을 실시했지만, 발수 가공을 하지 않고, 마무리 폭 103 cm, 가로 밀도 212개/2.54 cm의 수영복용 직물로서 마무리하였다.
이 직물에 있어서, 이면의 요철 형상은 고저차가 210 ㎛, 오목부의 폭이 300 ㎛, 오목부의 면적비가 25%였다.
또한, 표면의 요철 형상은 고저차가 63 ㎛, 볼록부의 간격이 110 ㎛였다.
한편, 이 직물의 통기성은 10.7 cc/(㎠·s), 단위 면적당 중량이 210 g/m2, 두께가 0.51 mm, 평균 신장률이 50.0%, 평균 신장 회복률이 86.0%였다.
이 직물에 대해서 물 저항성을 측정한 결과, 물 저항성은 6.4%로 떨어지는 것이었다. 또한, 물 저항성의 측정시에는 미소 기포의 발생도 없었다.
또한, 이 직물의 표면을 겉면에 100% 사용한 경영용 수영복을 시험 제작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피험자인 남성 5명, 여성 5명에게 평영에 의한 시착 평가를 행한 결과, 움직이기 어렵고, 수영복이 무겁고, 신체가 가볍게 느껴지지 않아, 경영 수영복용 소재로서 우수하지 않다고 느껴지는 것이었다. 이들 평가 결과를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1
본 발명에 따른 수영복용 직물은 수영복용 소재에 필요한 다양한 특성을 만족하면서, 수영복으로서 착용하고 수영했을 때, 생지의 구조 설계로부터 발생하는 미소 기포의 효과에 의해 종래 이상으로 물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일반 수영복은 물론, 특히 경영용 수영복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M: 수영복
S: 인체 피부면
E: 물
B: 미소 기포의 층
P: 수압
a: 표면층
b: 이면층
c: 오목부(공기 체류부)
f: 오목부의 길이
h: 요철 형상의 고저차(볼록부 높이)
j: 볼록부 길이
k: 두께
n: 볼록부 길이
p: 볼록부 폭
w: 오목부 폭
y: 볼록부 폭
1: 수조
2: 물
3: 롤
4: 토오크 모터
5: 축심
6: 디지털 표시기

Claims (9)

  1. 합성 섬유 멀티필라멘트사조와 탄성 섬유로 구성되는 직물이며, 표면 및 이면에 발수 가공이 실시되고, 상기 이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이면의 요철은 고저차가 150 ㎛ 이상 650 ㎛ 이하이면서, 오목부의 폭이 100 ㎛ 이상 5000 ㎛ 이하인 수영복용 직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섬유 멀티필라멘트사조가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아미드계 섬유 및 폴리프로필렌계 섬유 중 적어도 1종으로부터 선택된, 수영복용 직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섬유를 코어사로 하고, 상기 합성 섬유 멀티필라멘트사조를 피복사로 하는 복합사를 수직사 및 수평사에 이용한 수영복용 직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에도 요철이 형성되고, 이 표면의 요철은 고저차가 0.5 ㎛ 이상 130 ㎛ 이하이며, 볼록부의 간격이 0.5 ㎛ 이상 180 ㎛ 이하인 수영복용 직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에서 오목부가 이면 전체 면적비로 30% 이상을 차지하는, 수영복용 직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의 요철이 직물 조직 및/또는 엠보싱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수영복용 직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조직이 이중 직물 조직인 수영복용 직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에 평활화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수영복용 직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직물을 적어도 일부에 사용한 수영복이며, 상기 직물의 상기 표면이 겉면으로 되어 있는 수영복.
KR1020137012696A 2010-12-01 2011-11-07 수영복용 직물 및 수영복 KR1013115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68016 2010-12-01
JP2010268016 2010-12-01
PCT/JP2011/075535 WO2012073648A1 (ja) 2010-12-01 2011-11-07 水着用織物および水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044A true KR20130086044A (ko) 2013-07-30
KR101311587B1 KR101311587B1 (ko) 2013-09-26

Family

ID=46171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2696A KR101311587B1 (ko) 2010-12-01 2011-11-07 수영복용 직물 및 수영복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822013B2 (ko)
EP (1) EP2647748A4 (ko)
JP (1) JP5772824B2 (ko)
KR (1) KR101311587B1 (ko)
CN (1) CN103237934B (ko)
AU (1) AU2011338074B2 (ko)
CA (1) CA2818404C (ko)
WO (1) WO20120736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9262A (ko) * 2014-03-31 2016-10-12 미즈노 가부시키가이샤 스트레치 직물 및 이것을 포함하는 스포츠용 의류와 수영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77899B2 (ja) * 2013-11-15 2018-08-22 東レ株式会社 緯二重組織織物
CN103668672A (zh) * 2013-12-04 2014-03-26 苏州新米纺织咨询服务有限公司 一种瘦身聚丙烯纤维面料
WO2016024160A1 (en) * 2014-08-11 2016-02-18 Zhik Pty Ltd Textile garment including the textile,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textile and the garment
TWM493278U (zh) * 2014-10-21 2015-01-11 Deertex Inc 具有透氣耐磨梭織鞋面之鞋類組件
GB2537815A (en) * 2015-04-20 2016-11-02 Smart Aero Tech Ltd Low drag garment
GB2537816B (en) * 2015-04-20 2018-06-20 Endura Ltd Low drag garment
US10271580B2 (en) * 2015-09-14 2019-04-30 Nike, Inc. Apparel item configured for reduced cling perception
KR20180095924A (ko) * 2015-12-23 2018-08-28 라이니쉐 프리드리히-빌헬름스-유니베르지탯트 본 액체 하에서 안정된 기체 보유를 위한 격자 구조체
CN106381595B (zh) * 2016-11-09 2017-11-17 广东前进牛仔布有限公司 一种空气层织物及其织造方法
JP6340128B1 (ja) * 2017-10-06 2018-06-06 東洋紡Stc株式会社 複合糸及びこれを含む織編物
CN108082388B (zh) * 2017-11-30 2020-07-14 中国船舶工业系统工程研究院 一种微纳结构与疏水改质改性相复合的仿生减阻表面结构
JP2020094317A (ja) * 2018-12-07 2020-06-18 花王株式会社 繊維用防水処理製品及び繊維製物品の表面処理方法
WO2020203434A1 (ja) * 2019-04-01 2020-10-08 東レ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弾性糸を含む繊維構造物
US11306419B2 (en) * 2019-11-18 2022-04-19 Dongguan Shichang Metals Factory Ltd. Woven fabric
CN114729477B (zh) * 2019-11-21 2023-08-22 东丽株式会社 泳衣用织物及使用其而成的泳衣
WO2022213156A1 (en) * 2021-04-09 2022-10-13 Gale Pacific Limited Surface finish and fabric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6243A (en) * 1978-08-14 1980-02-25 Tore Textile Swimming suit
JP2715088B2 (ja) 1988-02-18 1998-02-16 株式会社デサント 流体抵抗軽減性の水着
JPH0841708A (ja) * 1994-07-28 1996-02-13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低摩擦抵抗女性用競泳水着
JP3489910B2 (ja) 1995-05-15 2004-01-26 東レ株式会社 水 着
JP3283404B2 (ja) 1995-07-06 2002-05-20 美津濃株式会社 競泳水着
JP2000314015A (ja) * 1999-04-27 2000-11-14 Mizuno Corp 競泳水着
WO2004001112A1 (ja) * 2002-06-21 2003-12-31 Asahi Kasei Fibers Corporation 布帛
US20060251859A1 (en) * 2005-05-05 2006-11-09 D Urso Brian R Friction drag-reducing surface
GB2444804B (en) 2006-12-15 2009-04-01 Speedo Int Ltd Elasticated sports garments
EP2316288B1 (en) * 2008-07-18 2013-09-11 Mizuno Corporation Sportswear
JP5315961B2 (ja) * 2008-12-09 2013-10-16 東レ株式会社 ストレッチ織物
US8986814B2 (en) * 2010-03-05 2015-03-24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Superhydrophobic surfa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9262A (ko) * 2014-03-31 2016-10-12 미즈노 가부시키가이샤 스트레치 직물 및 이것을 포함하는 스포츠용 의류와 수영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37934B (zh) 2015-02-18
CA2818404A1 (en) 2012-06-07
AU2011338074A1 (en) 2013-07-11
US8822013B2 (en) 2014-09-02
CA2818404C (en) 2017-03-07
EP2647748A1 (en) 2013-10-09
EP2647748A4 (en) 2017-03-29
JP5772824B2 (ja) 2015-09-02
JPWO2012073648A1 (ja) 2014-05-19
AU2011338074B2 (en) 2015-12-17
CN103237934A (zh) 2013-08-07
WO2012073648A1 (ja) 2012-06-07
US20130247268A1 (en) 2013-09-26
KR101311587B1 (ko) 201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1587B1 (ko) 수영복용 직물 및 수영복
KR100517043B1 (ko) 스트레치성 고밀도 직물
EP1640488B1 (en) Woven or knitted fabric containing two different yarns and clothing comprising the same
TWI228160B (en) Warp knitted fabric
JP5679348B2 (ja) 薄地織物
KR100246595B1 (ko) 혼섬복합 가연사와 그의 제조방법 및 그실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편직물
JP6170028B2 (ja) ボーダー織物
JP6864526B2 (ja) 局所的に輝きを有する人工皮革
KR20130047733A (ko) 내마모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직편물
JP2000178877A (ja) 水切れの良い織編地
JP2007009369A (ja) 混繊糸からなる織編物
JP6682682B1 (ja) 学生服用編地及び学生服
JP2016023372A (ja) 水着用織編物および水着
WO2021100810A1 (ja) 水着用織物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水着
JP2022038822A (ja) 繊維シート及び該繊維シートを用いた人工皮革の製造方法
JP4230986B2 (ja) 布帛およびスポーツウエア
JP5343430B2 (ja) 水着
JP7466336B2 (ja) 学生服用編地及び学生服
JP2008138345A (ja) 布帛およびスポーツ用ウエア
TWI222473B (en) Stretchable high density fabric
JP2017190548A (ja) 弾性経編地およびスポーツ用衣料
JP2010018908A (ja) 芯地用織物およびそ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