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9262A - 스트레치 직물 및 이것을 포함하는 스포츠용 의류와 수영복 - Google Patents

스트레치 직물 및 이것을 포함하는 스포츠용 의류와 수영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9262A
KR20160119262A KR1020167026960A KR20167026960A KR20160119262A KR 20160119262 A KR20160119262 A KR 20160119262A KR 1020167026960 A KR1020167026960 A KR 1020167026960A KR 20167026960 A KR20167026960 A KR 20167026960A KR 20160119262 A KR20160119262 A KR 20160119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fabric
stretch fabric
swimwear
we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6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6769B1 (ko
Inventor
히로유키 다나카
게이코 가사하라
요시히사 나카고메
Original Assignee
미즈노 가부시키가이샤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즈노 가부시키가이샤,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즈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9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9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elastic
    • D03D15/08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7/00Bathing gowns; Swim-suits, drawers, or trunks; Beach sui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24Reducing drag or turbulence in air or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Woven Fabric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트레치 직물(1)은, 탄성사(彈性絲)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사는 날실(warp threads)(4) 및 씨실(weft threads)(5, 6a, 6b)로 배치되고, 상기 스트레치 직물은 2웨이 방향으로 스트레치성이 있으며, 평직 부분(2)과 이중직 부분 (3)이 교호적으로 반복되어 있다. 이중직 부분 (3)에는 탄성사가 평직 부분(2)에 비해 많이 배치되어 보강 되므로, 스트레치성이 높아지고, 착용하기 용이하게 된다. 또한, 평직 부분이 오목부이며, 이중직 부분이 볼록부이며, 전체적으로 요철부가 일방향으로 배열하여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되는 구조로 되므로, 예를 들면, 수영복으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트라이프 형상을 신체의 신장(身長) 방향을 따른 위치에 사용하면 수류와의 표면 마찰 저항을 낮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스트레치성이 높고 착용하기 쉬우며, 또한 표면 마찰 저항이 낮은 스트레치 직물 및 이것을 포함하는 스포츠용 의류와 수영복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트레치 직물 및 이것을 포함하는 스포츠용 의류와 수영복{STRETCH WOVEN FABRIC, AND SPORTSWEAR AND SWIMWEAR EMPLOYING SAME}
본 발명은, 스트레치성이 높은 스트레치 직물 및 이것을 포함하는 스포츠용 의류와 수영복에 관한 것이다.
스포츠용 의류나 수영복은 스트레치성이 양호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영복이나 캡에 요구되는 하나의 기능은, 수영경기 시에 생기는 수영복의 수중에서의 표면 마찰 저항을 얼마나 삭감하느냐에 있다. 종래부터 다양한 스트레치 직물이 제안되고 있고, 특허 문헌 1에는 응력이 상이한 씨실(weft threads)을 사용하여, 응력이 상이한 영역을 형성한 스트레치 직물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2∼3에는 특정한 신장율을 가지는 스트레치 직물이 제안되어 있다. 수영복의 표면 마찰 저항을 삭감하는 기술은, 예를 들면, 특허 문헌 4에는 발수(撥水) 부분과 비발수 부분을 체장(體長) 방향으로 스트라이프형으로 배치한 수영복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5에는 수영복 전체면을 발수 가공하고, 체장 방향으로 미세한 홈을 복수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6에는 단면 형상이 상이한 2종 이상의 합성 섬유 멀티 필라멘트를 스트라이프형으로 배치하고, 직교하는 방향으로 볼록부를 형성하고, 전체면을 발수 가공한 수영복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13-096027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11-256483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10-138496호 공보 일본 특허 제3283404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00-314015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08-138345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스포츠용 의류나 수영복은 스트레치성이 낮고, 착용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수영복으로 만들었을 때 표면 마찰 저항이 높은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트레치성이 높고 착용하기 쉬우며, 또한 표면 마찰 저항이 낮은 스트레치 직물 및 이것을 포함하는 스포츠용 의류와 수영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트레치 직물은, 탄성사를 포함하는 스트레치 직물로서, 상기 탄성사는 날실(warp threads) 및 씨실(weft threads)로 배치되고, 상기 스트레치 직물은 2웨이 방향으로 스트레치성이 있으며, 평직(plane weave) 부분과 이중직(double weave) 부분이 교호적(交互的)으로 반복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포츠용 의류 및 수영복은, 상기 스트레치 직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트레치 직물은, 탄성사는 날실 및 씨실로 배치되고, 2웨이 방향으로 스트레치성이 있고, 평직 부분과 이중직 부분이 교호적으로 반복되고 있으므로, 스트레치성이 높아 착용하기 쉽고, 또한 표면 마찰 저항이 낮은 스트레치 직물 및 이것을 포함하는 스포츠용 의류와 수영복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평직 부분과 위이중직(緯二重織) 부분이 교호적으로 반복되고 있는 스트레치 직물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평직 부분과 경이중직(經二重織) 부분이 교호적으로 반복되고 있는 스트레치 직물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3에서 도 3의 A는 상기 스트레치 직물의 모식적 평면도, 도 3의 B는 상기 스트레치 직물의 단면도이다.
도 4에서 도 4의 A는 상기 스트레치 직물에 사용하는 커버링사의 모식적 평면도이며, 도 4의 B는 다른 실시형태의 커버링사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스트레치 직물을 사용한 수영복의 모식적 정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스트레치 직물을 사용한 수영복의 모식적 배면도이다.
도 7에서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수중의 마찰 저항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원통형 기체(基體)의 측면도이며, 도 7의 B는 도 7의 A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수중에서 원통형 기체가 낙하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장치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9는, 수중의 소정 거리를 원통형 기체가 낙하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원통형 기체가 공기 중으로부터 입수(入水)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1에서 도 1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원통형 기체를 전개했을 때의 사시도이며, 도 11의 B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스트레치 직물을 사용한 수영복의 모식적 정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수영복의 모식적 배면도이다.
도 14에서 도 14의 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의 스트레치 직물을 사용한 수영복의 모식적 정면도이며, 도 14의 B는 상기 수영복의 모식적 배면도이다.
도 15에서 도 15의 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의 스트레치 직물을 사용한 수영복의 모식적 정면도이며, 도 15의 B는 상기 수영복의 모식적 배면도이다.
본 발명은, 탄성사가 날실 및 씨실에 배치되고, 2웨이 방향으로 스트레치성을 가지는 직물이다. 여기서 2웨이란,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이다. 이 스트레치 직물은, 1장의 직물 중에 평직 부분과 이중직 부분이 교호적으로 반복되고 있다. 이로써, 스트레치성이 높아지고, 착용하기 쉬우며, 또한 표면 마찰 저항이 낮은 스트레치 직물로 만들 수 있다. 그 이유는, 이중직 부분에는 탄성사가 평직 부분에 비해 많이 배치되어 보강되므로, 스트레치성이 높아지고, 착용하기 용이하게 된다. 또한, 평직 부분이 오목부이며, 이중직 부분이 볼록부이며, 전체적으로 요철부가 일방향으로 배열되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되는 구조이므로, 예를 들면, 수영복으로 만드는 경우에는 상기 스트라이프 형상을 신체의 신장(身長) 방향을 따른 위치에 사용하면 수류와의 표면 마찰 저항을 낮게 할 수 있다.
상기 이중직 부분은 위이중직 또는 경이중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 비용면을 고려하면 위이중직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들 직물 조직을 사용하면, 필요 최소한의 탄성사를 보강하면 되므로, 두께나 강도가 스포츠용 의류로서 적합하게 된다.
상기 평직 부분의 폭과 상기 이중직 부분의 폭은, 각각 0.125∼10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5 ㎜이다. 전술한 범위이면, 스트레치성과 표면 마찰 저항을 양립할 수 있다.
상기 탄성사는 합성 섬유 필라멘트사로 피복되고 또한 꼬여진 커버링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링사는, 심사(芯絲)의 탄성사에 나일론 등의 필라멘트 가공사(울리 가공사)를 권취한 실(FTY), 싱글 커버링사(SCY), 더블 커버링사(DCY)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나일론 울리 가공사을 권취한 FTY-SCY가, 단위 면적당 중량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심사의 스판덱스 섬유의 굵기는, 22 decitex 이상 156 decitex 이하가 바람직하다. 직물의 단위 면적당 중량으로서는 경량화의 점에서, 100 g/m2 이상 250 g/m2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하는 스판덱스사는 공지의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아사히화성 섬유 가부시키가이샤의 "로이카"나 도레이·오페론덱스 가부시키가이샤의 "라이크라(LYCRA)" 등을 사용하면 된다. 스판덱스 섬유의 종류에 따라, 응력이 상이하므로, 사용 영역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수영복의 경우에는, 풀에서의 사용이 전제되므로, 바람직하게는 "로이카SP"나 "라이크라176B", "라이크라254B", "라이크라909B" 등 내염소성이 우수한 스판덱스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사(sheath yarn)에는 폴리아미드계 섬유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등의 합성 섬유가 강도나 가공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계 섬유도 다양한 것이 있지만, 강도면 및 스판덱스 혼직물의 가공성의 면에서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610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사에 사용하는 합성 섬유의 섬유 형태 및 단면 형상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높은 스트레치성 직물로 만들기 위해서는, 주지의 방법에 의해 가연(假撚) 가공을 행하고, 권축(捲縮)을 부여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고, 표면 평활한 직물로 만들기 위해서는, 스트레이트한 생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트레치 직물은, 세로 및 가로 방향 모두 JIS L1096A법 컷 스트립법(17.7 N(1.8 kg) 하중, 5 cm 폭)으로 측정한 신장율이 10∼9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70 %이다. 스트레치성이 전술한 범위이면, 적절한 신축성이 있어, 착용하기 쉽고, 수영복을 포함하는 스포츠 의류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전술한 스트레치 직물은 스포츠용 의류나 수영복 등의 일부에 사용할 수도 있고, 전부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호는 동일물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평직 부분(2)과 위이중직 부분(3)이 교호적으로 반복되고 있는 스트레치 직물(1)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평직 부분(2)은 날실(4)과 씨실(5)이 교차하여 직물을 구성하고 있다. 위이중직 부분(3)은 날실(4)과 씨실(6a, 6b)가 교차하여 직물을 구성하고 있고, 씨실(6a)이 바로 앞에 배치되고, 씨실(6b)이 안쪽에 배치되므로, 평직 부분(2)에 비해 위이중직 부분(3)의 두께는 커진다. 또한, 위이중직 부분(3)에는 탄성사가 평직 부분(2)에 비해 많이 배치되어 보강되므로, 스트레치성이 높아지고, 착용하기 용이하게 된다. 또한, 평직 부분(2)은 오목부로 되며, 위이중직 부분(3)은 볼록부로 되므로, 전체적으로 요철부가 일방향으로 배열되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수영복으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트라이프 형상을 신체의 신장 방향을 따른 위치에 사용하면 수류와의 표면 마찰 저항을 낮게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평직 부분(8)과 경이중직 부분(9)이 교호적으로 반복되고 있는 스트레치 직물(7)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평직 부분(8)은 날실(10)과 씨실(11)이 교차하여 직물을 구성하고 있다. 경이중직 부분(9)은 날실(12a, 12b)과 씨실(11)이 교차하여 직물을 구성하고 있고, 날실(12a)이 바로 앞에 배치되고, 날실(12b)이 안쪽에 배치되므로, 평직 부분(8)에 비해 경이중직 부분(9)의 두께는 커진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스트레치 직물(1)의 모식적 평면도이며, 도 3의 B는 단면도이다. 평직 부분(2)은 오목부가 되고, 위이중직 부분(3)은 볼록부가 되고, 평면도로 보면 일방향으로 요철부가 배열되어, 스트라이프형이 된다.
도 4는 상기 스트레치 직물에 사용하는 싱글 커버링사(13)의 모식적 평면도이며, 심사(14)가 폴리우레탄 등의 탄성사, 1개의 피복사(15)가 나일론 등의 가공사로 구성되어 있다. 도 4의 B는 다른 실시형태의 더블 커버링사(16)의 모식적 평면도이며, 심사(17)가 폴리우레탄 등의 탄성사, 피복사(윗실)(19)와 피복사(아랫실)(18)가 나일론 등의 가공사로 구성되어 있다.
도 5는 상기 스트레치 직물을 사용한 경기용 수영복(20)의 모식적 정면도이며, 도 6은 배면도이다. 이 경기 수영복(20)의 정면의 복부(腹部)로부터 상부까지의 스트라이프형 부분(21)은,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평직 부분과 이중직 부분이 교호적으로 반복되고 있는 직물이다. 경기 수영복(20)의 정면의 태퇴부로부터 허리 옆까지와 어깨로부터 등의 벨트 부분의 플레인(plane) 부분(22)은 평직물이다. 스트라이프형 부분(21)과 플레인 부분(22)은 봉제되어 있다. 경기 수영복(20)의 이면(裏面)은 전부 스트라이프형 부분(21)(평직 부분과 이중직 부분이 교호적으로 반복되고 있는 직물)으로 하였다.
경기 수영복은 인체보다 약 20%∼40% 작은 패턴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작성하면 인체에 딱 맞게 착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하기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신장율>
JIS L1096A법 컷 스트립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시험편의 폭 5 cm, 잡는 간격 20 cm로 하였다. 첫하중은 시험편의 폭으로 1 m의 길이에 걸리는 중력에 상당하는 하중으로 하였다. 인장 속도는 20 cm/min로 하였다. 17.7 N(1.8 kg) 하중 시의 신장율(%)을 측정하였다. 신장율은 스트레치성을 나타낸다.
<30% 신장 시의 응력>
날실와 씨실 방향의 신장율 측정 시의 30% 신장 시의 응력(N)을 측정하고, 1 cm당으로 환산하여 N/cm로 표시하였다. 30% 신장 시의 응력은, 콤프레션(착압(着壓)) 기능을 평가하는 기준이 된다.
<수중의 마찰 저항>
도 7∼도 9에 나타낸 측정 방법 및 장치를 사용하였다. 도 7의 A는 이 측정에 사용하는 원통형 기체(모델)의 측면도이며, 도 7의 B는 도 7의 A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 원통형 기체(모델)(31)의 선단(33)은 구면형이며, 후단(34)은 끝이 가느다란 형태이다. 원통부(32)에는 수영복의 천 샘플(39)을 장착한다. 장착은 원통부(32)에 천 샘플(39)을 권취하고, 원통형 지그(38a, 38b)로 누르고, 선단부(33)와 후단부(34)를 삽입한다. 원통부(32)에 장착하는 천 샘플(39)의 면적은 약 0.016 ㎜2이다. 원통부(32)의 하부에는, 추(錘)(35)를 삽입한다. 또한 원통형 기체(모델)(31)의 축부에는 중공부(파이프)(36)를 넣어 두고, 여기에 도 8∼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37)를 삽입한다. 원통형 기체(모델)(31)의 수중에서의 무게는 수영복 천을 장착한 상태에서 0.3 N, 체적은 1.2×10-3 m3로 하였다. 전체는 수지제이다. 중공부(36)는 직경 2.3 ㎜로 하였다. 모델(31)은 직경 30 ㎜, 길이 300 ㎜이며, 천을 장착하는 부분이 200 ㎜이다. 질량은, 장착한 천 샘플을 포함하여 88 g이 되도록 하고, 천 및 모델의 부력을 고려하여 기체의 내부에 추를 장착하여, 수중에서의 무게가 0.3 N이 되도록 통일했다.
도 8은 수중에서 원통형 기체가 낙하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장치(40)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아크릴 수지제 등의 투명한 수조(41)에 물(42)을 넣어 둔다. 수조(41)의 이면측에는 차폐 시트(43)를 접착하고, 후방측에는 램프(44)를 배치하고, 전면(前面)에는 하이스피드 카메라(45)를 배치한다. 수조(41)는 투명한 아크릴 수지제이며, 높이(H) 1.7 m, 폭(L)과 안길이는 각각 0.22 m로 하고, 하이스피드 카메라(45)는 수조로부터 4.25 m 이격된 위치이면서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 0.85 m의 위치에 배치하였다. 하이스피드 카메라(45)의 촬영 속도는 1900 fps로 하였다. 이 상태에서 수조의 위로부터 원통형 기체(모델)(31)를 조심스럽게 낙하시킨다. 원통형 기체(모델)(31)는 와이어(37)를 따라 낙하한다.
도 9는 수중의 소정 거리를 원통형 기체가 낙하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먼저 원통형 기체(모델)(31)의 후단이 수면에 위치하도록 배치시키고, 선단(46)으로부터 200 ㎜ 아래쪽에 레이저 점(47)과, 그 100 ㎜ 아래쪽을 제1 측정 포인트(48)로 하고, 그 100 ㎜ 아래쪽에 제2 측정 포인트(49)로 해 둔다. 레이저 점(47)은 도 8에 나타낸 차폐 시트(43)에 구멍을 뚫어 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원통형 기체(모델)(31)를 조심스럽게 낙하시키고, 그 선단(46)이 레이저 점(47)을 통과했을 때 하이스피드 카메라의 고속 촬영을 온으로 하고, 제1 측정 포인트(48)로부터 제2 측정 포인트(49)까지 낙하하는 시간을 측정한다. 1 시료당 10회 계측하여 그 평균값을 사용한다. 하기의 계산식(수식 1)으로부터 가속도를 구한다.
[수식 1]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단, k1은 도 9의 레이저 점(47)으로부터 제1 측정 포인트(48)까지의 낙하 거리(㎜)이며, t1은 도 9의 레이저 점(47)으로부터 제1 측정 포인트(48)까지의 통과시간(초)이며, k2는 제1 측정 포인트(48)로부터 제2 측정 포인트(49)까지의 낙하 거리(㎜)이며, t2는 제1 측정 포인트(48)로부터 제2 측정 포인트(49)까지의 통과시간(초)이며, 본 예의 경우 k1은 100 ㎜, k2는 200 ㎜로 하였다.)
수중에서의 수영복 천의 마찰 저항 계수 Cf는 하기 식(수식 2)(수식 3)에 의해 산출한다. 마찰 저항 계수 Cf의 계측 정밀도는 0.001의 값까지 계산할 수 있다.
[수식 2]
Figure pct00003
[수식 3]
Figure pct00004
단, W는 중력이며 W=mg(m은 원통형 기체의 질량(kg), g는 중력 가속도(m/s2)), B는 부력이며 B=ρwgV(ρw는 물의 밀도(kg/m3), V는 원통형 기체의 체적(m3)), D는 저항이며 D=Cf×(1/2)×ρu2A(ρ는 물의 밀도, u는 낙하 속도, A는 수영복 천의 표면적)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원통형 기체(모델)가 공기 중으로부터 입수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원통형 기체(모델)(31)를 공기 중으로부터 수조의 물(42)에 입수시킨다. 입수 전에는 수영복 천를 미리 물에 1분간 정도 담그어 두어도 된다. 도 10에서의 각각의 스텝의 설명은 하기와 같다.
(a) 원통형 기체(모델)(31)가 공기 중에 존재하고 있는 상태
(b) 원통형 기체(모델)(31)의 선단이 착수(着水)한 상태(t'0)
(c)∼(d) 입수해 가는 상태를 나타낸다
(e) 원통형 기체(모델)(31)가 관수(冠水)한 상태(t'1)
하이 스피드 카메라를 사용하여, 상기 t0와 t1의 시간을 측정한다. 하기 식(수식 4)을 사용하여 입수 시간(T)을 구한다. 입수 시간이 짧은 재료 시트는, 예를 들면, 뛰어들었을 때의 마찰 저항이 적다고 평가할 수 있다.
[수식 4]
입수시간 T= t'1-t'0
도 11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원통형 기체를 전개했을 때의 사시도, 도 11의 B는 평면도이다. 천 샘플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원통부(32)에 천를 권취하고, 원통형 지그(38a, 38b)로 누르고, 선단부(33)와 후단부(34)를 삽입한다.
(실시예 1)
1. 실(絲) 사용
(1) 날실
심: 폴리우레탄(섬도(纖度) 78 decitex, 도레이·오페론덱스사 제조 "라이크라" 176B)
피복사: 나일론 필라멘트 생사(섬도 33 decitex, 필라멘트 개수 10개)
싱글 커버링사(SCY)
(2) 씨실
심: 폴리우레탄(섬도 44 decitex, 도레이·오페론덱스사 제조 "라이크라" 254B)
피복사: 나일론 필라멘트 생사(섬도 33 decitex, 필라멘트 개수 10개)
싱글 커버링사(SCY)
(3) 이면(裏面) 씨실
심: 폴리우레탄(섬도 55 decitex, 도레이·오페론덱스사 제조 "라이크라" 254B)
피복사: 나일론 필라멘트 생사(섬도 33 decitex, 필라멘트 개수 10개)
싱글 커버링사(SCY)
2. 직물
도 1에 나타낸 평직 부분(2)과 위이중직 부분(3)이 교호적으로 반복되고 있는 스트레치 직물(1)을 제직(製織)했다. 래피어 직기(rapier loom)를 사용하고, 평직 부분(2)의 세로 밀도: 195개/2.54 cm, 가로 밀도: 156개/2.54 cm, 위이중직 부분(3)의 세로 밀도: 195개/2.54 cm, 가로 밀도: 230개/2.54 cm, 단위 면적당의 중량 157 g/m2, 평직 부분(2)의 폭 1.0 ㎜, 두께 0.27 ㎜, 위이중직 부분(3)의 폭 1.0 ㎜, 두께 0.44 ㎜의 직물을 제작하였다. 전체의 직물의 완성 폭은 115 cm였다.
이 직물의 신장율은 날실 방향 57.1%, 씨실 방향 41.6%, 30% 신장 시의 응력은 날실 방향이 1.56 N/cm, 씨실 방향이 1.40 N/cm였다. 또한 마찰 저항 계수 및 입수 시간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실시예 1의 직물을 사용하여 도 5∼6에 나타낸 경기용 여성 수영복을 봉제 했다. 이 수영복을 착용 시험한 바, 스트레치성이 높고 착용하기 쉬우며, 인체의 피부로의 밀착성도 양호하여, 수영 경기에 적합한 수영복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실을 사용하여, 스트레치 직물은 실시예 1과 동일하며, 평직 부분(2)의 폭 0.5 ㎜, 위이중직 부분(3)의 폭 0.5 ㎜으로 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직물을 제조하였다. 이 직물의 신장율은 날실 방향 57.1%, 씨실 방향 41.6%, 30% 신장 시의 응력은 날실 방향이 1.56 N/cm, 씨실 방향이 1.40 N/cm였다. 이 직물의 마찰 저항 계수 및 입수 시간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의 실을 사용하여, 스트레치 직물은 실시예 1과 동일하며, 천 표면에 평활 가공을 행하였다.
평활 가공은 한 쌍의 롤 사이에서 가열 가압하는 가공이며, 롤 온도 220℃, 선압 5500 kgf, 롤 속도 6∼10 m/min 정도로 하였다. 이 직물의 신장율은 날실 방향 54.2%, 씨실 방향 43.0%, 30% 신장 시의 응력은 날실 방향이 1.68 N/cm, 씨실 방향이 1.35 N/cm였다. 이 직물의 마찰 저항 계수 및 입수 시간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2 스트레치 직물은 실시예 2와 동일하며, 천 표면에 평활 가공을 행하였다. 평활 가공은 한 쌍의 롤 사이에서 가열 가압하는 가공이며, 롤 온도 220℃, 선압 5500 kgf, 롤 속도 6∼10 m/min 정도로 하였다. 이 직물의 신장율은 날실 방향 54.2%, 씨실 방향 43.0%, 30% 신장 시의 응력은 날실 방향이 1.68 N/cm, 씨실 방향이 1.35 N/cm였다. 이 직물의 마찰 저항 계수 및 입수 시간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비교예 1)
1. 실 사용
(1) 날실
심: 폴리우레탄(섬도 78 decitex, 도레이·오페론덱스사 제조 "라이크라" 176B)
피복사: 나일론 필라멘트 울리(wooly) 가공사(섬도 33 decitex, 필라멘트 개수 10개)
싱글 커버링사(SCY)
(2) 씨실
심: 폴리우레탄(섬도 55 decitex, 도레이·오페론덱스사 제조 "라이크라" 254B)
피복사: 나일론 필라멘트 울리 가공사(섬도 33 decitex, 필라멘트 개수 10개)
싱글 커버링사(SCY)
2. 직물
래피어 직기를 사용하여, 세로 밀도: 178개/2.54 cm, 가로 밀도: 180개/2.54 cm, 단위 면적당의 중량 132 g/m2, 두께 0.30 ㎜의 평직물을 제작하였다. 전체의 직물의 완성 폭은 122 cm였다.
이 직물의 신장율은 날실 방향 56.2%, 씨실 방향 46.2%, 30% 신장 시의 응력은 날실 방향이 2.02 N/cm, 씨실 방향이 2.40 N/cm였다. 또한 마찰 저항 계수 및 입수 시간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비교예 2)
1. 실 사용
(1) 날실
심: 폴리우레탄(섬도 78 decitex, 도레이·오페론덱스사 제조 "라이크라" 176B)
피복사: 나일론 필라멘트 생사(섬도 33 decitex, 필라멘트 개수 26개)
싱글 커버링사(SCY)
(2) 씨실
심: 폴리우레탄(섬도 55 decitex, 도레이·오페론덱스사 제조 "라이크라" 254B)
피복사: 나일론 필라멘트 생사(섬도 33 decitex, 필라멘트 개수 26개)
싱글 커버링사(SCY)
2. 직물
래피어 직기를 사용하고, 세로 밀도: 180개/2.54 cm, 가로 밀도: 178개/2.54 cm, 단위 면적당의 중량 135 g/m2, 두께 0.28 ㎜의 평직물을 제작하였다. 전체의 직물의 완성 폭은 117 cm였다.
이 직물의 신장율은 날실 방향 56.2%, 씨실 방향 51.9%, 30% 신장 시의 응력은 날실 방향이 2.08 N/cm, 씨실 방향이 3.02 N/cm였다. 또한 마찰 저항 계수 및 입수 시간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비교예 3)
1. 실 사용
(1) 날실
심: 폴리우레탄(섬도 78 decitex, 도레이·오페론덱스사 제조 "라이크라" 176B)
피복사: 나일론 필라멘트 울리 가공사(섬도 33 decitex, 필라멘트 개수 10개)
싱글 커버링사(SCY)
(2) 씨실
심: 폴리우레탄(섬도 55 decitex, 도레이·오페론덱스사 제조 "라이크라" 254B)
피복사: 나일론 필라멘트 울리 가공사(섬도 33 decitex, 필라멘트 개수 10개)
싱글 커버링사(SCY)
(3) 이면 씨실
심: 폴리우레탄(섬도 55 decitex, 도레이·오페론덱스사 제조 "라이크라" 254B)
피복사: 나일론 필라멘트 울리 가공사(섬도 33 decitex, 필라멘트 개수 10개)
싱글 커버링사(SCY)
2. 직물
래피어 직기를 사용하여, 위이중직의 세로 밀도: 188개/2.54 cm, 가로 밀도: 260개/2.54 cm, 단위 면적당의 중량 166 g/m2, 두께 0.42 ㎜의 직물을 제작하였다. 전체의 직물의 완성 폭은 115 cm였다. 이 직물의 신장율은 날실 방향 51.5%, 씨실 방향 57.6%, 30% 신장 시의 응력은 날실 방향이 1.92 N/cm, 씨실 방향이 2.60 N/cm였다. 또한 마찰 저항 계수 및 입수 시간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비교예 4)
(1) 프론트(front)
카티온 가염 폴리에스테르(섬도 56 decitex, 필라멘트 개수 24개)
(2) 백(back)
폴리우레탄(섬도 44 decitex, 도레이·오페론덱스사 제조 "라이크라" 254B)
32 게이지 싱글 트리코(tricot) 편기(knitting machine)로 하프 조직을 편성했다.
웰: 80개/2.54 cm, 코스: 135개/2.54 cm
단위 면적당의 중량 304 g/m2, 두께 0.55 ㎜, 전체의 편물의 완성 폭은 150 cm였다. 신장율은 날실 방향 122.9%, 씨실 방향 106.1%, 30% 신장 시의 응력은 날실 방향이 1.06 N/cm, 씨실 방향이 0.44 N/cm였다. 이 편물을 플레인 편물이라고 한다.
다음으로, 상기 플레인 직물의 천 표면에 평활 가공을 행하였다. 평활 가공은 한 쌍의 롤 사이에서 가열 가압하는 가공이며, 롤 온도 220℃, 선압 5500 kgf, 롤 속도 6∼10 m/min 정도로 하였다. 이 직물을 평활 가공품이라고 한다. 평활 가공품의 마찰 저항 계수 및 입수 시간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비교예 5)
(1) 프론트
카티온 가염 폴리에스테르(섬도 44 decitex, 필라멘트 개수 36개)
(2) 백
폴리우레탄(섬도 44 decitex, 도레이·오페론덱스사 제조 "라이크라" 254B)
32 게이지 싱글 트리코 편기로 하프 조직을 편성했다.
웰: 80개/2.54 cm, 코스: 120개/2.54 cm
단위 면적당의 중량 220 g/m2, 두께 0.53 ㎜, 전체의 편물의 완성 폭은 150 cm였다. 신장율은 날실 방향 132.8%, 씨실 방향 128.2%, 30% 신장 시의 응력은 날실 방향이 0.90 N/cm, 씨실 방향이 0.24 N/cm였다. 이 편물을 플레인 편물이라고 한다.
다음으로, 상기 플레인 직물의 천 표면에 평활 가공을 행하였다. 평활 가공은 한 쌍의 롤 사이에서 가열 가압하는 가공이며, 롤 온도 220℃, 선압 5500 kgf, 롤 속도 6∼10 m/min 정도로 하였다. 이 직물을 평활 가공품이라고 한다. 평활 가공품의 마찰 저항 계수 및 입수 시간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1]
Figure pct00005
비교예 1∼5는 기존의 수영복 천이다. 종래품(비교예 1∼5)에 비해 실시예 1∼4의 직물의 수중에서의 마찰 저항 계수는 낮으며 입수 시간도 짧았다.
(실시예 5)
도 12는 실시예 1의 스트레치 직물을 사용한 경기용 수영복(50)의 모식적 정면도, 도 13은 배면도이다. 이 경기 수영복(50)의 정면의 복부로부터 상부까지의 스트라이프형 부분(51)은, 평직 부분과 이중직 부분이 교호적으로 반복되고 있는 직물이다. 경기 수영복(50)의 정면의 태퇴부로부터 허리 옆까지와 어깨로부터 등의 벨트 부분의 플레인 부분(52)은 평직물이다. 스트라이프형 부분(51)과 플레인 부분(52)은 봉제되어 있다. 이 수영복을 착용 시험한 바, 스트레치성이 높고 착용하기 쉬우며, 인체의 피부로의 밀착성도 양호하여, 수영 경기에 적합한 수영복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도 14의 A는 실시예 1의 스트레치 직물을 사용한 경기용 수영복(53)의 모식적 정면도, 도 14의 B는 배면도이다. 이 경기 수영복(53)의 뒤쪽으로부터 대퇴부의 양 측부와 하복부의 스트라이프형 부분(54)은, 평직 부분과 이중직 부분이 교호적으로 반복되고 있는 직물이다. 정면의 태퇴부로부터 복부까지의 플레인 부분(55)은 평직물이다. 스트라이프형 부분(54)과 플레인 부분(55)은 봉제되어 있다. 이 수영복을 착용 시험한 바, 스트레치성이 높고 착용하기 쉬우며, 인체의 피부로의 밀착성도 양호하여, 수영 경기에 적합한 수영복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도 15의 A는 실시예 1의 스트레치 직물을 사용한 경기용 수영복(56)의 모식적 정면도이며, 도 15의 B는 배면도이다. 이 경기 수영복(56)의 뒤쪽으로부터 대퇴부의 양 측부와 하복부의 스트라이프형 부분(57)은, 평직 부분과 이중직 부분이 교호적으로 반복되고 있는 직물이다. 정면의 태퇴부로부터 복부까지의 플레인 부분(58)은 평직물이다. 스트라이프형 부분(57)과 플레인 부분(58)은 봉제되어 있다. 이 수영복을 착용 시험한 바, 스트레치성이 높고 착용하기 쉬우며, 인체의 피부로의 밀착성도 양호하여, 수영 경기에 적합한 수영복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스트레치 직물은, 인체에 밀착된 의류나, 콤프레션(착압)을 필요로 하는 의류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구체적으로는 수영복, 마라톤이나 트레일런(trail run)용의 타이츠, 스패츠, 셔츠, 스케이트복, 스키복, 점프슈트, 레오타드, 축구 유니폼, 야구 유니폼, 등산복 등의 각종 스포츠웨어나, 스포츠이너, 서포트 기능을 가지는 내의 등의 의류나 서포터를 바람직한 용도로서 예시할 수 있다.
1, 7: 스트레치 직물
2, 8: 평직 부분
3: 위이중직 부분
4, 10, 12a, 12b: 날실
5, 6a, 6b, 11: 씨실
9: 경이중직 부분
13: 싱글 커버링사
14, 17: 심사
15, 18, 19: 피복사
16: 더블 커버링사
20: 수영복
31: 원통형 기체(모델)
32: 수영복 천
33, 46: 모델의 선단
34: 모델의 후단
40: 마찰 저항 측정 장치
41: 수조
42: 물
43: 차폐 시트
44: 램프
45: 하이 스피드 카메라
47: 레이저 점
48: 제1 측정 포인트
49: 제2 측정 포인트

Claims (9)

  1. 탄성사(彈性絲)를 포함하는 스트레치 직물로서,
    상기 탄성사는 날실(warp threads) 및 씨실(weft threads)로 배치되고, 상기 스트레치 직물은 2웨이 방향으로 스트레치성이 있고,
    평직(plane weave) 부분과 이중직(double weave) 부분이 교호적(交互的)으로 반복되고 있는, 스트레치 직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직 부분은, 위이중직(緯二重織) 또는 경이중직(經二重織)인, 스트레치 직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치 직물은, 평직 부분이 오목부이며, 이중직 부분이 볼록부이며, 전체적으로 요철부가 일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스트레치 직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직 부분의 폭과 상기 이중직 부분의 폭은, 각각 0.125∼10 ㎜인, 스트레치 직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사는 합성 섬유 필라멘트사로 피복되고 또한 꼬여진 커버링사(covering yarn)인, 스트레치 직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치 직물은, 세로 및 가로 방향 모두 JIS L1096A법 컷 스트립법(17.7 N(1.8 kg) 하중, 5 cm 폭)으로 측정한 신장율이 10∼90 %인, 스트레치 직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트레치 직물을 포함하는, 스포츠용 의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트레치 직물을 포함하는, 수영복.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치 직물은, 평직 부분이 오목부이며, 이중직 부분이 볼록부이며, 전체적으로 요철부가 일방향으로 배열되어 스트라이프 형상을 가지고, 상기 스트라이프 형상을 신체의 신장(身長) 방향을 따른 위치에 배치한, 수영복.
KR1020167026960A 2014-03-31 2015-03-18 스트레치 직물 및 이것을 포함하는 스포츠용 의류와 수영복 KR1018867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73456 2014-03-31
JPJP-P-2014-073456 2014-03-31
PCT/JP2015/058132 WO2015151820A1 (ja) 2014-03-31 2015-03-18 ストレッチ織物及びこれを含むスポーツ用衣類と水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262A true KR20160119262A (ko) 2016-10-12
KR101886769B1 KR101886769B1 (ko) 2018-08-08

Family

ID=54240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6960A KR101886769B1 (ko) 2014-03-31 2015-03-18 스트레치 직물 및 이것을 포함하는 스포츠용 의류와 수영복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018337B2 (ko)
KR (1) KR101886769B1 (ko)
CN (1) CN106133223B (ko)
SG (1) SG11201608011VA (ko)
TW (1) TWI656254B (ko)
WO (1) WO20151518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141B1 (ko) * 2019-11-25 2020-04-09 주식회사 비상텍스 신도가 우수한 팬티용 신축성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남성용 팬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37815A (en) 2015-04-20 2016-11-02 Smart Aero Tech Ltd Low drag garment
GB2537816B (en) 2015-04-20 2018-06-20 Endura Ltd Low drag garment
GB2554007A (en) * 2015-06-02 2018-03-21 Gsm Operations Pty Ltd Clothing articles especially useful for aquatic activities
GB2555570A (en) * 2016-10-18 2018-05-09 Smart Aero Tech Limited Low drag garment
US11313056B2 (en) * 2018-05-30 2022-04-26 Nike, Inc. Woven garment with grip yarns
JP7138071B2 (ja) * 2019-04-01 2022-09-15 美津濃株式会社 水着
JP7011186B2 (ja) * 2019-10-11 2022-02-10 チーカス株式会社 吸収性パッド取付け部を有する衣類
EP4063546A4 (en) * 2019-11-21 2023-11-22 Toray Industries, Inc. WOVEN FABRIC FOR SWIMWEAR AND SWIMSUIT USING SAME
JP7467322B2 (ja) 2020-12-04 2024-04-15 興和株式会社 高ストレッチ織物
WO2024084284A1 (en) * 2022-10-18 2024-04-25 Lululemon Athletica Canada Inc. Engineered woven fabric and article of clothing including the woven fabric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4015A (ja) 1999-04-27 2000-11-14 Mizuno Corp 競泳水着
JP3283404B2 (ja) 1995-07-06 2002-05-20 美津濃株式会社 競泳水着
KR20070056320A (ko) * 2005-11-29 2007-06-04 주식회사 새날테크-텍스 보호 구조의 형성을 위한 이중 직물
JP2008138345A (ja) 2006-11-06 2008-06-19 Asahi Kasei Fibers Corp 布帛およびスポーツ用ウエア
JP2010138496A (ja) 2008-12-09 2010-06-24 Toray Ind Inc ストレッチ織物
JP2011256483A (ja) 2010-06-09 2011-12-22 Toray Ind Inc ストレッチ織物
JP2013096027A (ja) 2011-10-31 2013-05-20 Toray Ind Inc ストレッチ織物
JP2013124419A (ja) * 2011-12-13 2013-06-24 Shindo:Kk 凹凸模様装飾細幅帯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86044A (ko) * 2010-12-01 2013-07-30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수영복용 직물 및 수영복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7312U (ja) * 1983-10-12 1985-05-13 株式会社デサント 競泳水着
JPS62243847A (ja) * 1986-04-16 1987-10-24 東レ株式会社 変り織物
US5478514A (en) * 1994-11-10 1995-12-2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making elastic stretch woven fabric
JP2000170016A (ja) * 1998-09-28 2000-06-20 Toray Ind Inc 汗取りバンド
JP2003073954A (ja) * 2001-08-30 2003-03-12 Enoichi Kk ジャカード織物及びジャカード織方法
JP2004211275A (ja) * 2002-11-15 2004-07-29 Asahi Kasei Fibers Corp 伸縮性立体織物およびクッション材
US7048013B2 (en) * 2003-07-07 2006-05-23 Maidenform, Inc. Elastic material having variable modulus of elasticity
JP4383135B2 (ja) * 2003-09-09 2009-12-16 竹中繊維株式会社 硬化領域を備えた繊維製装着具
CN1616730A (zh) * 2003-11-13 2005-05-18 天津纺织集团天一有限公司 纵向条形平纹与立体加密凸条相间的三层压折布料及工艺
CN101466280B (zh) * 2006-06-09 2011-07-13 美津浓株式会社 游泳衣及其制造方法
US20110099677A1 (en) * 2009-10-02 2011-05-05 Mamiye Brothers INC. Inner panel for garment
WO2011136066A1 (ja) * 2010-04-26 2011-11-03 株式会社オンワードホールディングス ストレッチ織物および伸縮性を有するズボン
JP2013019069A (ja) * 2011-07-09 2013-01-31 Tb Kawashima Co Ltd 自動車内装用織編布帛
JP6045209B2 (ja) * 2012-06-14 2016-12-1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保護用のニット製品と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3404B2 (ja) 1995-07-06 2002-05-20 美津濃株式会社 競泳水着
JP2000314015A (ja) 1999-04-27 2000-11-14 Mizuno Corp 競泳水着
KR20070056320A (ko) * 2005-11-29 2007-06-04 주식회사 새날테크-텍스 보호 구조의 형성을 위한 이중 직물
JP2008138345A (ja) 2006-11-06 2008-06-19 Asahi Kasei Fibers Corp 布帛およびスポーツ用ウエア
JP2010138496A (ja) 2008-12-09 2010-06-24 Toray Ind Inc ストレッチ織物
JP2011256483A (ja) 2010-06-09 2011-12-22 Toray Ind Inc ストレッチ織物
KR20130086044A (ko) * 2010-12-01 2013-07-30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수영복용 직물 및 수영복
JP2013096027A (ja) 2011-10-31 2013-05-20 Toray Ind Inc ストレッチ織物
JP2013124419A (ja) * 2011-12-13 2013-06-24 Shindo:Kk 凹凸模様装飾細幅帯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141B1 (ko) * 2019-11-25 2020-04-09 주식회사 비상텍스 신도가 우수한 팬티용 신축성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남성용 팬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6769B1 (ko) 2018-08-08
JPWO2015151820A1 (ja) 2017-04-13
JP6018337B2 (ja) 2016-11-02
WO2015151820A1 (ja) 2015-10-08
TW201600665A (zh) 2016-01-01
CN106133223B (zh) 2018-11-02
TWI656254B (zh) 2019-04-11
CN106133223A (zh) 2016-11-16
SG11201608011VA (en) 201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6769B1 (ko) 스트레치 직물 및 이것을 포함하는 스포츠용 의류와 수영복
KR101838411B1 (ko) 탄성 환편지
JP5016739B2 (ja) ストレッチ織物および伸縮性を有するズボン
US11535964B2 (en) Weft knit fabric
CN104278397B (zh) 一种清凉感织物
TWI580364B (zh) Swimsuit
AU2016270294A1 (en) Clothing articles especially useful for aquatic activities
EP2208817A1 (en) Elastic fabric
JP5768329B2 (ja) ストレッチ織物
TWI669424B (zh) 彈性圓形編織物
JP6902331B2 (ja) 弾性経編地およびスポーツ用衣料
JP2008138345A (ja) 布帛およびスポーツ用ウエア
JP2005188018A (ja) 布帛およびスポーツウエア
JP6549083B2 (ja) 水着
EP3556236A1 (en) Garment with higher coefficient of friction when stretched
KR20230136117A (ko) 복합 섬유 그리고 이것을 포함하는 복합 혼섬 섬유,직편물 및 의류
JP2023166902A (ja) シャ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