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4263A - 집적 시봉 장치 - Google Patents

집적 시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4263A
KR20130084263A KR1020130004786A KR20130004786A KR20130084263A KR 20130084263 A KR20130084263 A KR 20130084263A KR 1020130004786 A KR1020130004786 A KR 1020130004786A KR 20130004786 A KR20130004786 A KR 20130004786A KR 20130084263 A KR20130084263 A KR 20130084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hand
bundle
paper sheet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9195B1 (ko
Inventor
요시타카 사코구치
마사카즈 이토야
히데타케 스즈키
겐이치 히로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30084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27/08Bundling paper sheets, envelopes, bags, newspapers, or other thin fla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4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with means for guiding the binding material around the articles prior to severing from supply
    • B65B13/10Carriers travelling completely around the articles while holding the free end of material
    • B65B13/12Carriers travelling completely around the articles while holding the free end of material attached to rotating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0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 B65H31/3036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gripping the pile
    • B65H31/3045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gripping the pile on the outermost articles of the pile for clamping the pi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40Device architecture, e.g. modular constru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3Gathering; Associating; Assembling
    • B65H2301/438Finishing
    • B65H2301/4382Binding or attaching processes
    • B65H2301/43824Binding or attaching processes involving wrapping, banding or stra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실시형태에 따르면, 집적 시봉 장치는, 집적부에 지엽류를 소정 매수씩 집적하는 집적 장치(64a, 64b)와, 집적된 지엽류 다발에 띠를 휘감아서 시봉하는 시봉 장치(68)와, 상기 집적 장치에 집적된 지엽류 다발을 수취해서 상기 시봉 장치까지 반송하는 반송 캐리어(80, 82)를 구비하고, 상기 시봉 장치는, 상기 반송 캐리어에 의해 반송된 지엽류 다발 P의 단부를 사이에 두고 파지하여, 소정의 결속 위치에 지엽류 다발을 인입하는 이동 가능한 핸드와, 이 핸드를 지엽류 다발의 집적 방향으로 개폐함과 함께, 집적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핸드 구동 기구와, 상기 결속 위치로 인입된 지엽류 다발에 결속띠를 휘감는 띠 권취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집적 시봉 장치{ACCUMULATING AND STRAPPING APPARATUS}
여기에서 서술하는 실시형태는, 지폐, 유가 증권 등의 지엽류를 적층해서 시봉하는 집적 시봉 장치(集積 施封 裝置)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은행이나 대규모 소매업 등에서는 일상적으로 대량의 지폐가 취급되며, 이들 지폐를 금종(金種)이나, 정손(지폐의 오손 정도)에 따라서 분류하여 정리하는 업무가 존재하고 있다. 통상, 지폐는 양이 많아지면, 100매마다 띠종이로 두른 상태로 관리된다. 이러한 지폐의 정리 업무를 자동화하는 장치로서 지폐류 정리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 지폐 처리 장치는, 미분류된 지폐를 적층해서 수용하는 호퍼부와, 여기에서 1매씩 지폐를 조출(繰出)해서 반송하는 반송 기구와, 반송되어 온 지폐의 종류나 정손의 정도를 감별하는 감사부와, 감별된 지폐를 금종별 등으로 분류해서 집적하는 복수의 포켓부와, 예를 들어 100매씩 집적한 지폐를 띠종이로 두르는 집적 시봉 장치 등을 구비하고 있다.
통상, 집적 시봉 장치는, 각각 지폐를 100매씩 집적하는 2개의 집적 장치와, 집적 장치의 하방에 설치된 시봉 모듈을 구비하고 있다. 2개의 집적 장치는 병렬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집적 시봉 장치는, 집적된 지폐 다발을 시봉 모듈로 반송하는 반송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반송 기구는, 각 집적 장치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집적된 지폐를 상하 방향으로 반송하는 제1 캐리어와,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캐리어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캐리어는, 각 제1 캐리어로부터 지폐 다발을 수취하고, 시봉 모듈로 반송하여, 지폐 다발을 시봉 모듈로 전달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집적 시봉 장치에서는, 2개의 집적 장치가 병렬로 나란히 설치되고, 또한 2개의 제2 캐리어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설치 스페이스가 커서, 장치 전체가 대형이 되기 쉽다. 또한, 2개의 제2 캐리어 및 제1 캐리어를 각각 독립해서 동작하기 때문에, 장치 전체의 동작이 복잡해짐과 함께, 고속화의 장해로 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상기 지폐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상기 지폐 처리 장치의 집적 시봉 모듈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4a, 도 4b는 상기 집적 시봉 모듈의 제1 집적 장치 및 제2 집적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상기 집적 시봉 모듈에 있어서의 반송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상기 반송 기구의 제1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상기 반송 기구의 제2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상기 반송 기구의 제3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상기 반송 기구의 제4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상기 반송 기구의 제5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상기 반송 기구의 제6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상기 집적 시봉 모듈의 시봉 장치 전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상기 시봉 장치의 방출대 및 띠 피더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상기 시봉 장치의 핸드가 개방되고, 상부 클램퍼가 상승한 상태의 띠 권취 장치 전체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5는 상기 시봉 장치의 핸드가 폐쇄되고, 상부 클램퍼가 압박 위치로 하강되고, 제2 띠누름부 및 히터가 압박 위치 및 열 봉착 위치로 각각 이동한 상태의 띠 권취 장치 전체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6은 핸드 및 핸드 구동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7은 상기 핸드 및 핸드 구동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8은 개방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핸드 및 핸드 구동 기구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9는 폐쇄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핸드 및 핸드 구동 기구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0은 전진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핸드 및 핸드 구동 기구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1은 인입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핸드 및 핸드 구동 기구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2는 띠 권취 장치의 원환 기어, 띠 캐처, 개폐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3은 상기 띠 권취 장치의 원환 기어, 띠 캐처, 개폐 기구, 띠 이송 기구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4는 개방한 띠 캐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5는 상기 원환 기어, 띠 캐처, 띠 이송 기구를 일부 파단해서 도시하는 정면도.
도 26은 상기 원환 기어, 띠 캐처, 개폐 기구, 띠 이송 기구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7은 상기 원환 기어, 수평 위치로 이동한 띠 캐처, 띠 이송 기구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8은 상기 띠 권취 장치의 제1 띠누름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9는 상기 제1 띠누름부 및 제1 클램퍼 구동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0은 상기 띠 권취 장치의 상부 클램퍼 및 제1 클램퍼 구동 기구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31은 상기 상부 클램퍼 및 제1 클램퍼 구동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2는 상기 띠 권취 장치의 제2 띠누름부, 히터 및 제2 클램퍼 구동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3은 대기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띠누름부, 히터 및 제2 클램퍼 구동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4는 압박 위치에 있어서의 제2 띠누름부, 열 봉착 위치로 이동한 히터 및 제2 클램퍼 구동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5는 상기 상부 클램퍼, 압박 위치에 있어서의 제2 띠누름부, 열 봉착 위치로 이동한 히터 및 지폐 다발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36a, 도 36b, 도 36c는 상기 핸드, 방출대, 배출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7은 집적 동작, 시봉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상기 집적 시봉 장치의 측면도.
도 38은 집적 동작, 시봉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상기 집적 시봉 장치의 측면도.
도 39는 집적 동작, 시봉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상기 집적 시봉 장치의 측면도.
도 40은 집적 동작, 시봉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상기 집적 시봉 장치의 측면도.
도 41은 집적 동작, 시봉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상기 집적 시봉 장치의 측면도.
도 42는 집적 동작, 시봉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상기 집적 시봉 장치의 측면도.
도 43은 핸드에 의해 지폐 다발을 수취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4는 상기 핸드에 의해 지폐 다발을 결속 위치로 인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5는 집적 동작, 시봉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상기 집적 시봉 장치의 측면도.
도 46은 집적 동작, 시봉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상기 집적 시봉 장치의 측면도.
도 47은 집적 동작, 시봉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상기 집적 시봉 장치의 측면도.
도 48은 집적 동작, 시봉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상기 집적 시봉 장치의 측면도.
도 49는 상기 상부 클램퍼, 제1 띠누름부에 의해, 지폐 다발 및 결속띠를 누른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50은 제1 띠누름부와 지지판의 접촉 상태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정면도.
도 51은 집적 동작, 시봉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상기 집적 시봉 장치의 측면도.
도 52는 집적 동작, 시봉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상기 집적 시봉 장치의 측면도.
도 53은 집적 동작, 시봉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상기 집적 시봉 장치의 측면도.
도 54는 집적 동작, 시봉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상기 집적 시봉 장치의 측면도.
도 55는 집적 동작, 시봉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상기 집적 시봉 장치의 측면도.
도 56은 집적 동작, 시봉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상기 집적 시봉 장치의 측면도.
집적 시봉 장치는, 집적부에 지엽류를 소정 매수씩 집적하는 집적 장치와, 집적된 지엽류 다발에 띠를 휘감아서 시봉하는 시봉 장치와, 상기 집적 장치에 집적된 지엽류 다발을 수취해서 상기 시봉 장치까지 반송하는 반송 캐리어를 구비하고,
상기 시봉 장치는, 상기 반송 캐리어에 의해 반송된 지엽류 다발의 단부를 사이에 두고 파지하여, 소정의 결속 위치에 지엽류 다발을 인입하는 이동 가능한 핸드와, 이 핸드를 지엽류 다발의 집적 방향으로 개폐함과 함께, 집적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핸드 구동 기구와, 상기 결속 위치로 인입된 지엽류 다발에 결속띠를 휘감는 띠 권취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 캐리어는, 상기 지엽류 다발을 상기 핸드로 파지한 후, 상기 시봉 장치에 의해 상기 지엽류 다발에 띠를 휘감는 동안, 상기 집적 장치와 대향하는 수취 위치로 이동해서 상기 집적 장치로부터 다음의 지엽류 다발을 수취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엽류로서 지폐를 처리하는 지폐 처리 장치는, 메인 모듈(10), 정렬 모듈(30), 집적 시봉 장치인 집적 시봉 모듈(60) 및 대용량 집적 모듈(174)을 구비하며, 이들 모듈은, 일렬로 나란히 배치되어, 서로 전기적이면서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메인 모듈(10)에는, 이 메인 모듈 및 장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부(12)가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제어부(12)는, 메인 모듈(10) 내의 제어 보드에 설치되어 있다. 주제어부(12)는 각 모듈의 동작을 제어함과 함께 동작 상태의 효율 등을 산출하는 CPU(12a), 여러 데이터, 제어 프로그램, 관리 정보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12b)를 구비하고 있다. 여러 데이터로서, 후술하는 오퍼레이터 ID, 일시, 시리얼 번호, 어사인 정보, 은행의 로고, 관리자 사인 이미지, 각국언어의 폰트 등의 결속띠에 인자 가능한 인자 정보, 지엽류의 복수단의 처리 속도 등이 메모리(12b)에 저장되어 있다.
주제어부(12)에는 장치에 여러 정보를 입력하는 조작부(17) 및 입력 정보 및 장치의 동작 상태, 처리 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서의 모니터(15)가 접속되어 있다. 정렬 모듈(30) 및 집적 시봉 모듈(60)은, 각각 각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부제어부(31a, 61a)를 갖고, 이들 부제어부는, 도시하지 않은 인터페이스 및 케이블을 통해 메인 모듈(10)의 주제어부(12)에 LAN 접속되어 있다. 주제어부(12)는, 도시하지 않은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되고, 호스트 컴퓨터와의 사이에서 정보의 송수신, 정보 정리가 행해진다.
주제어부(12)에 접속된 조작부(17)로부터 조작원의 조작에 의해, 입금 업무, 정리 업무 등의 거래 방법의 설정, 장전고로의 장전 처리, 장전고 내의 지폐의 감사(鑑査) 처리, 처리한 지폐 P를 수납하는 집적고의 설정, 집적 시봉 처리의 설정, 지폐의 판별 레벨인 정손 레벨 설정 등 처리 장치의 여러 동작 설정이 행해진다.
또한, 주제어부(12)는, 후술하는 감사 장치(18)로부터의 처리 정보에 따라, 단위 시간의 처리 효율, 복수일 각각의 처리 효율, 오퍼레이터 ID마다의 처리 효율, 토털 처리 매수, 토털 가동 시간을 포함한 관리 정보를 산출하고, 메모리(12b)에 저장함과 함께, 모니터(15)에 표시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모듈(10)은, 다수매의 지폐 P가 적층 상태에서 적재되는 공급부(11)와, 이 공급부(11)로부터 지폐 P를 1매씩 추출하는 추출 기구(14)와, 추출 기구(14)에 의해 추출된 지폐 P를 반송하는 반송로(16)를 갖고 있다. 반송로(16)에는, 복수조의 도시하지 않은 무단 형상의 반송 벨트가 반송로를 사이에 두도록 연장 설치되어 있다. 추출된 지폐 P는, 반송 벨트에 끼움 지지되어 반송된다.
공급부(11)는 연직 방향에 대해 임의의 각도만큼 경사져서 연장하는 지지면(11a)과, 이 지지면(11a)의 하단부로부터, 지지면(11a)에 거의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재면(11b)과, 이들 지지면(11a) 및 적재면(11b)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세워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 벽(11c)을 갖고 있다. 지지면(11a)과 적재면(11b)의 경계부에는, 지폐 P를 장치 내에 거두어들이기 위한 추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급부(11)는, 메인 모듈(10)의 장치 본체의 일단부측에 설치되고, 또한 공급부(11)의 하부, 즉 적재면(11b)은 장치 본체의 하단부 근방에 위치해 있다.
공급부(11)에는, 복수매, 예를 들어 2000매 이상의 지폐 P를 적층 상태에서 적재할 수 있다. 적층 지폐 P는, 그 최하부의 지폐가 적재면(11b) 위에 적재되고, 또한 예를 들어 지폐의 긴변측의 측부 가장자리가 지지면(11a) 위에 적재된 상태에서, 지지면을 따라 경사져서 공급부(11)에 탑재된다. 적층 지폐 P는, 추출 기구(14)에 의해, 최하부의 지폐 P로부터 순서대로, 1매씩, 추출구(11e)를 통과시켜 장치 내로 거두어들여진다.
지지면(11a)의 경사 각도는, 25 내지 75도의 범위로 설정되고, 예를 들어 30 내지 40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지지면(11a)은, 장치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고, 그 경사 각도를 조정 가능하게 해도 된다.
공급부(11)는, 적층 지폐 P를 추출측, 즉 적재면(11b)을 향해서 이동시키는 백업 플레이트(21)를 구비하고 있다. 백업 플레이트(21)는, 지지면(11a)을 수납 가능하게 또한 지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백업 플레이트(21)는, 지지면(11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통상, 예를 들어 2000매 정도의 지폐 P가 공급부(11)에 적재되어 있는 경우, 백업 플레이트(21)는, 지지면(11a)과 거의 면이 일치되는 위치에 수납되고, 비틀림 스프링 등에 의해 그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지폐 P의 추출이 진행되고, 매수가 감소 되면, 예를 들어 300매 정도로 감소 되면, 백업 플레이트(21)는 지지면(11a)으로부터 직각으로 기립하는 위치로 회전되고, 이후 적층 지폐 P의 최상단에 접촉하여, 적층 지폐 P와 함께 추출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백업 플레이트(21)는 적층 지폐 P를 추출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적층 지폐 P의 매수가 적어진 상태에서도, 지폐의 쓰러짐 등을 방지하여, 안정되게 추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공급부(11)로부터 지폐 P를 1매씩 추출하는 추출 기구(14)는, 적재면(11b) 위의 지폐 P에 접촉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픽업 롤러(추출 롤러)(24)와, 추출구측의 픽업 롤러(24)에 전접(轉接)해서 설치된 분리 롤러(25)와, 픽업 롤러(24)를 소정의 속도로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26)를 구비하고 있다.
픽업 롤러(24)가 회전함으로써, 최하단의 지폐 P가 픽업 롤러(24)에 의해 추출되고, 추출구(11e)로부터 반송로(16)로 보내진다. 이때, 분리 롤러(25)에 의해, 2매째 이후의 지폐 P가 추출되어 지폐로부터 분리된다. 이에 의해, 지폐 P가 1매씩, 공급부(11)로부터 추출되고, 반송로(16)로 보내진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로(16)에 의해 반송되는 지폐 P의 반송 피치를 보정하는 반송 피치 보정부(13)와, 반송 피치가 보정된 지폐 P를 1매씩 감사하는 감사 장치(18)와, 바코드 리더(19)가 반송로(16)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감사 장치(18)는 연직 방향에 관해서, 공급부(11)의 추출구보다도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감사 장치(18)는, 보내져 온 지폐 P의 금종, 형상, 두께, 표리, 진위, 정손, 2매 취함 등을 검출한다. 여기서, 정손 검출이란, 재유통 가능한 정권과, 오염, 파손 등이 있어 재유통 불가능한 손권(損券)을 검출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바코드 리더(19)는, 예를 들어 뱃치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감사 장치(18)를 통과한 뱃치 카드나, 카지노 티켓에 붙여져 있는 바코드를 판독하여, 그 판독 정보를 주제어부(12)로 보낸다.
반송로(16)는, 추출 기구(14) 및 추출구로부터 일단 하방으로 연장한 후, 감사 장치(18)까지, 연직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경사져서, 밑에서부터 위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반송로(16)는, 후술하는 정렬 모듈(30)에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반송로(16)는 거의 공급부(11)의 지지면(11a)을 따라, 즉 지지면(11a)과 마찬가지로 경사져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반송로(16)는, 추출구로부터 일단 내려가지 않고, 추출구로부터 즉시 경사 상방으로 연장해도 된다. 그리고, 감사 장치(18)도, 반송로(16)를 따라, 비스듬히 경사져서 설치되어 있다. 반송로(16)의 최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또한 이 배출구의 하방에, 이물질 회수 상자(27)가 설치되어 있다. 반송로(16)를 따라 낙하하는 이물질은, 배출구로부터 배출되고, 회수 상자(27)로 회수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모듈(10)에 있어서, 반송로(16)를 따라, 2개의 리젝트부(20a, 20b)가 설치되고, 또한 각각 지폐를 집적하는 복수의 집적고(22a, 22b, 22c, 22d)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감사 장치(18)를 통과한 지폐 P는, 도시하지 않은 게이트에 의해, 리젝트권과, 처리권으로 배분된다. 리젝트권이란, 감사 장치(18)에 의해, 위권으로 판별된 권(券), 또는 꺾임, 찢어짐, 스큐(skew), 2매 취함 등에 의해 판별 불능인 권으로 판별된 권을 말한다. 스큐란,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지폐 P가 비스듬히 경사진 상태를 말한다. 리젝트권은, 리젝트부(20a 혹은 20b)로 배분되어 집적된다. 리젝트부(20a 혹은 20b)에 집적된 리젝트권은, 위권을 제외하고, 공급부(11)에 다시 세트하여 다시 거두어들이거나, 수동 입력으로 계수 데이터에 산입한다. 감사 장치(18)에 의한 처리 금액, 매수 등의 감사 결과는, 주제어부(12)로 보내져 보존됨과 함께, 모니터(15)에 표시된다.
처리권이란, 감사 장치(18)에서 판별된 지폐 P가 진권이고 정권, 또는 진권이고 손권을 말한다. 처리권은 집적고(22a 내지 22d)로 보내져서 집적된다. 예를 들어, 처리권은, 금종마다 대응하는 집적고(22a 내지 22d) 중 어느 하나로 배분해서 집적되고, 또한 손권은 모아서 1개의 집적고에 집적된다.
뱃치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뱃치 카드는, 감사 장치(18) 및 바코드 리더(19)를 통과한 후, 리젝트부(20a 혹은 20b)로 보내져, 집적된다.
또한, 메인 모듈(10)은, 추출 기구(14), 감사 장치(18), 반송 기구 등을 구동하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구 및 전원, 그 외, 여러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렬 모듈(30)은, 메인 모듈(10)로부터 보내진 지폐 P를 반송하는 반송로(31)와, 반송로(31)의 상류측에 설치된 정렬 기구(32)와, 반송로(31)를 따라 정렬 기구(32)의 하류측에 설치된 반전 장치(34)와, 반송로(31)를 따라,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집적고(36a, 36b, 36c, 36d)를 구비하고 있다.
정렬 기구(32)는, 반송로(31)를 통과시켜 보내져 오는 지폐 P의 중심을 반송로(31)의 중심에 맞추고, 또한 스큐되어 있는 지폐를 그 한변이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 되도록 보정한다. 반전 장치(34)는, 반송로(31)를 통과시켜 보내져 오는 지폐 P의 방향을 반전함으로써, 지폐의 표(表), 리(裏)의 방향을 임의의 지정된 방향으로 가지런히 해서 송출한다.
정렬 기구(32)로부터 송출된 지폐 P 혹은 반전 장치(34)로부터 방향을 가지런히 해서 송출된 지폐 P는, 반송로(31)를 통과시켜 집적 시봉 모듈(60)로 보내지거나, 혹은 집적고(36a 내지 36d) 중 어느 하나로 보내져서 집적된다. 정렬 모듈(30)의 집적고(36a 내지 36d)는, 지폐를 금종마다 집적하는 집적고로서 사용할 수 있고, 혹은 메인 모듈(10)로부터 추출된 리젝트권 혹은 손권을 집적하는 리젝트고 혹은 손권고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지폐의 시봉 처리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메인 모듈(10)로부터 추출된 정권 혹은 손권, 혹은 정렬 모듈(30)로부터 추출된 정권 혹은 손권은, 정렬 모듈(30)의 반송로(31)를 통과시켜 시봉 모듈(60)로 보내져, 소정 매수씩 집적 및 시봉된다. 이때, 정렬 모듈(30)은, 반송로(31)를 통과시켜 보내져 오는 지폐의 중심을 반송로의 중심에 맞추고, 또한 스큐되어 있는 지폐를 그 한변이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 되도록 보정한다. 정렬 모듈(30)에 의해 시봉하는 지폐의 위치 관계를 정렬함으로써, 집적 시봉 모듈(60)에 의해 지폐를 깔끔하게 집적하여, 시봉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집적 시봉 장치로서의 집적 시봉 모듈(60)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봉 모듈(60)은, 정렬 모듈(30)의 반송로(31)에 연통하는 반송로(62)와, 이 반송로(62)를 통과시켜 보내져 온 지폐를 소정 매수씩 집적하는 제1 집적 장치(64a) 및 제2 집적 장치(64b)와, 이들 집적 장치에 의해 소정 매수, 예를 들어 100매, 집적된 지폐 다발을 띠에 의해 시봉하는 시봉 장치(68)와, 제1 집적 장치(64a)에 의해 집적된 지폐 다발 및 제2 집적 장치(64b)에 의해 집적된 지폐 다발을 시봉 장치(68)로 반송하는 반송 기구(7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시봉 장치(68)에 의해 시봉된 지폐 다발을 수취해서 집적하는 배출부(73)가 시봉 장치(68)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집적 장치(64a) 및 제2 집적 장치(64b)는, 상하 및 좌우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제2 집적 장치(64b)는, 제1 집적 장치(64a)에 대하여, 예를 들어 약 10 내지 80도의 각도 θ만큼, 비스듬히 아래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고, 그 일부는, 연직 방향에 있어서 제1 집적 장치(64a)와 오버랩해서 배치되어 있다. 시봉 장치(68)는, 제2 집적 장치(64b)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집적 장치(64a, 64b)의 각각은, 일시 집적부(65)와, 보내져 온 지폐 P를 1매씩 소정 매수만큼 일시 집적부(65)에 집적하는 임펠러 집적 장치(66)를 구비하고 있다. 임펠러 집적 장치(66)의 임펠러(66a)는, 복수의 날개가 회전축의 주변에 조립되고, 반송되어 온 지폐 P를 날개와 날개 사이에서 수취되도록, 지폐 P의 반송에 동기해서 회전된다. 이 임펠러(66a)를 사용함으로써, 고속으로 반송되는 지폐 P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면서, 또한 지폐 P를 위치 조정하면서 일시 집적부(65)에 집적한다.
제1 집적 장치(64a)의 일시 집적부(65)는, 예를 들어 수평 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제1 셔터(67)를 갖고, 폐색 위치에 있는 제1 셔터(67) 위에 지폐 P가 집적된다. 제2 집적 장치(64b)의 일시 집적부(65)는, 지폐 P가 집적되는 수평한 지지대(72a)와, 집적되는 지폐의 긴변에 접촉하여 지폐의 폭 방향 위치를 위치 조정하는 제2 셔터(72b)를 갖고 있다. 제2 셔터(72b)는, 지폐 P를 위치 조정하는 위치 조정 위치와, 적층된 지폐 다발의 통과를 허용하는 개방 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집적 장치(64a) 및 제2 집적 장치(64b)에는, 각각 집적 장치의 에러, 계수 상태 등의 장치의 처리 상태를 표시하는 LED 등의 표시기(71)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표시기(71)는, 예를 들어 집적 시봉 모듈(60)의 외부 커버를 개방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표시기(71)는, 집적 장치의 여러 처리 상태, 예를 들어 지폐 재공급 필요의 가부, 에러 발생의 유무, 확정 지폐인지 여부를, 오퍼레이터가 판단할 수 있도록, 점멸, 점등, 소등, 혹은 다른 색으로 표시한다.
제1 집적 장치(64a) 및 제2 집적 장치(64b)와 시봉 장치(68) 사이에서 지폐 다발을 반송하는 반송 기구(7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직 방향을 따라 세워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 로드(74)와, 각 가이드 로드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설치된 풀리(75a, 75b)와, 이들 풀리(75a, 75b)에 걸쳐져서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 벨트(76)와, 상단부의 2개의 풀리(75a)를 연결한 연결축(77)과, 상단부측의 한쪽의 풀리(75a)를 구동해서 한 쌍의 구동 벨트(76)를 상하 방향으로 주행시키는 모터(78)와, 가이드 로드(74)를 따라 승강 가능한 베이스 캐리어(80)와, 베이스 캐리어(80) 위에 수평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시트 캐리어(반송 트레이)(82)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캐리어(80) 및 시트 캐리어(82)는 반송 캐리어를 구성하고 있다.
베이스 캐리어(80)는, 거의 직사각형의 접시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가 한 쌍의 가이드 로드(74)에 지지되고, 이들 가이드 로드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가이드되어 있다. 베이스 캐리어(80)는, 거의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캐리어(80)는, 한 쌍의 브래킷(83)에 의해 구동 벨트(76)에 연결되어 있다. 모터(78)를 정회전 혹은 역회전 구동함으로써, 구동 벨트(76)가 상하 방향으로 주행하고, 이들 구동 벨트(76)에 의해 베이스 캐리어(80)가 승강된다. 베이스 캐리어(80)는, 제1 집적 장치(64a)의 제1 셔터(67)의 하방에 인접 대향해서 위치하는 제1 위치와, 제2 집적 장치(64b)의 지지대(72a)의 측방에 대향하는 제2 위치와, 후술하는 시봉 장치(68)의 방출대(84)의 측방에 대향하는 제3 위치 사이를 승강한다. 각 위치에는, 예를 들어 포토 인터럽터 등의 위치 센서(85a, 85b, 85c)가 설치되고, 이들 위치 센서에 의해 베이스 캐리어(80)를 검지함으로써, 베이스 캐리어(80)를 이들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이동 및 위치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시트 캐리어(82)는, 예를 들어 지폐 P의 치수보다도 큰 구형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집적 지폐를 적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시트 캐리어(82)는, 베이스 캐리어(80) 위에 수평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시트 캐리어(82)는, 베이스 캐리어(80) 위에 겹쳐서 위치하는 도 5에 도시하는 대기 위치와, 베이스 캐리어의 전단부로부터 거의 수평하게 연장하는 전진 위치 사이를 베이스 캐리어(80)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여기에서는, 수평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베이스 캐리어(80) 위에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캐리어(80) 위에는, 시트 캐리어(82)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터 혹은 플런저 등의 구동원(87)이 설치되어 있다.
시트 캐리어(82)에는, 지폐 다발을 시트 캐리어 위에 유지하는 복수의 지폐 클램퍼(88)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지폐 클램퍼(88)는, 시트 캐리어(82)에 지지된 회전축(89)에 장착되어 있다. 시트 캐리어(82) 위에 설치된 구동 모터(79)에 의해 회전축(89)을 회전함으로써, 도 5에 도시하는, 시트 캐리어(82)의 지지면으로부터 이격하는 개방 위치와, 지폐 다발을 위에서부터 시트 캐리어(82)에 눌러서 지폐 다발을 끼움 지지 및 유지하는 클램프 위치 사이를 회전한다.
상기 제1 및 제2 집적 장치(64a 및 64b)에 의한 지폐의 집적 및 상기 반송 기구(70)에 의한 지폐 다발의 반송은, 이하대로 행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동일 권종의 지폐를 제1 집적 장치(64a)에 의해 소정 매수, 예를 들어 100매, 제1 셔터(67) 위에 집적한다. 이 집적 시, 베이스 캐리어(80)는, 제1 위치에 대기되고, 베이스 캐리어(80) 위의 시트 캐리어(82)는, 제1 셔터(67)의 하방에 인접 대향하고 있다. 제1 셔터(67) 위에 100매의 지폐 P가 집적되면, 제1 셔터(67)가 개방 위치로 이동하고, 집적 지폐 P가 시트 캐리어(82) 위에 적재된다. 계속해서, 지폐 클램퍼(88)에 의해 집적 지폐 다발을 눌러서 집적 지폐 다발을 시트 캐리어(82) 위에 유지한 후, 베이스 캐리어(80)를 제3 위치로 하강시킨다. 그 후, 제1 셔터(67)는 원래의 집적 위치로 복귀한다.
계속해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캐리어(82)가 대기 위치로부터 전진 위치로 전진하여, 시봉 장치의 방출대(84) 위로 집적 지폐 다발을 이동시킨다. 계속해서, 후술하는 시봉 장치(68)의 파지 인입 기구의 핸드에 의해 집적 지폐 다발의 길이 방향 일단부를 파지함과 함께, 지폐 클램퍼(88)를 개방해서 유지를 해제한 후, 시트 캐리어(82)를 전진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집적 지폐 P의 다발이 시봉 장치(68)로 전달된다.
한편, 제1 집적 장치(64a)에 의해 100매의 지폐가 집적된 후, 101매째 이후의 지폐가 제2 집적 장치(64b)로 보내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2 집적 장치(64b)에 의해 지지대(72a) 위에 소정 매수, 예를 들어 100매를 집적한다. 집적 시에, 제2 셔터(72b)는 도시하는 위치 조정 위치에 있고, 집적 지폐의 폭 방향 위치를 위치 조정한다. 또한, 베이스 캐리어(80)는, 제2 위치에 대기되고, 지지대(72a)의 측방에 대향하고 있다. 지지대(72a) 위에 100매의 지폐 P가 집적되면, 시트 캐리어(82)가 대기 위치로부터 전진 위치로 전진하여, 지지대(72a)에 상자 형상으로 진입하여, 집적 지폐 다발 P 아래에 위치한다. 계속해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셔터(72b)가 개방 위치로 회전하여, 집적 지폐 다발 P의 통과를 허용한다.
이 상태에서, 지폐 클램퍼(88)에 의해 집적 지폐 P를 눌러서 집적 지폐를 시트 캐리어(82) 위에 유지한 후,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캐리어(82)를 대기 위치로 복귀시키고, 시트 캐리어 및 집적 지폐 P를 베이스 캐리어(80) 위로 이동시킨다. 계속해서, 시트 캐리어(82) 및 베이스 캐리어(80)를 제3 위치로 하강시킨다. 제2 셔터(72b)는, 원래의 위치 조정 위치로 복귀된다.
계속해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위치에 있어서, 시트 캐리어(82)가 대기 위치로부터 전진 위치로 전진하여, 시봉 장치의 방출대(84) 위로 집적 지폐 다발을 이동시킨다. 계속해서, 후술하는 시봉 장치(68)의 파지 인입 기구의 핸드에 의해 집적 지폐 다발 P의 길이 방향 일단부를 파지함과 함께, 지폐 클램퍼(88)를 개방해서 유지를 해제한 후, 시트 캐리어(82)를 전진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집적 지폐 P가 시봉 장치(68)로 전달된다.
다음으로, 시봉 장치(68)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시봉 장치(68) 전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시봉 장치의 띠 피더, 방출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 및 도 15는 시봉 장치의 결속 기구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봉 장치(68)는, 수평면에 대해 경사 하방으로 경사져서 설치된 거의 직사각 형상의 방출대(84)와, 결속띠를 송출하는 띠 피더(90)를 구비하고, 전술한 집적 지폐 다발 P는, 방출대(84)의 상방에 공급된다. 띠 피더(90)는, 집적 지폐 다발을 시봉하기 위한 결속띠(91)를 권회한 띠 릴(92)과, 띠 릴(92)로부터 결속띠(91)를 인출해서 루프 형상으로 송출하는 띠 이송 기구(94)를 구비하고 있다. 띠 이송 기구(94)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봉 장치(68)의 결속 기구(95)는, 시트 캐리어(82)(반송 캐리어)에 의해 방출대(84) 위로 반송되어 온 집적 지폐 다발 P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 중앙을 사이에 두고 파지하여, 소정의 결속 위치에 집적 지폐 다발을 인입하는 이동 가능한 핸드(96)와, 이 핸드(96)를 지엽류 다발의 집적 방향으로 개폐함과 함께, 집적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핸드 구동 기구(98)와, 결속 위치로 인입되는 집적 지폐 다발 P에 결속띠를 휘감는 띠 권취 장치(100)를 구비하고 있다.
집적 지폐 다발 P를 핸드(96)로 파지한 후, 시봉 장치(68)에 의해 집적 지폐 다발 P에 결속띠(91)를 휘감는 동안, 시트 캐리어(82)는, 제1 혹은 제2 집적 장치(64a, 64b)와 대향하는 수취 위치로 이동하여, 집적 장치로부터 다음의 집적 지폐 다발을 수취한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드(96)는 간극을 두고 서로 거의 평행하게 대향하고 있음과 함께 각각 지지 프레임(102)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 상부 핸드(96a) 및 하부 핸드(96b)를 갖고 있다. 이들 상부 핸드(96a) 및 하부 핸드(96b)는, 각각 거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거의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다. 상부 핸드(96a)의 하면에는, 상방으로 오목해지는 압박 패드(97a)가 장착되어 있다. 하부 핸드(96b)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볼록해지는 압박 패드(97b)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하부 핸드(96b)의 하면측에는, 후술하는 아이론대로서 기능하는 지지판(103)이 설치되고, 하부 핸드로부터 전방으로 거의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다. 지지판(103)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핸드 구동 기구(98)는, 지지 프레임(102)에 장착된 제1 모터(104)와, 서로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제1 모터에 의해 동일축 둘레, 여기에서는 수평축 둘레로 회전되는 대 기어(106a) 및 이 대 기어보다도 소 직경인 소 기어(106b)와, 상부 핸드(96a)에 연결되어 대 기어(106a)에 이를 맞춘 제1 랙(108a)과, 하부 핸드(96b)에 연결되어 소 기어(106b)에 이를 맞춘 제2 랙(108b)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랙(108a) 및 제2 랙(108b)은, 각각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대 기어(106a) 및 소 기어(106b)의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모터(104)에 의해 대 기어(106a) 및 소 기어(106b)를 일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부 핸드(96a)가 상승, 하부 핸드(96b)가 하강하고, 서로 이격하는 개방 위치를 향해서 이동한다. 또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모터(104)에 의해 대 기어(106a) 및 소 기어(106b)를 반대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부 핸드(96a)가 하강, 하부 핸드(96b)가 상승하여, 서로 접근하는 폐쇄 위치를 향해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상부 핸드(96a)가 대 기어(106a)에 의해, 하부 핸드(96b)가 소 기어(106b)에 의해 각각 승강 구동되기 때문에, 상부 핸드(96a)의 승강 이동량은, 하부 핸드(96b)의 승강 이동량보다도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이, 상부 핸드 동작량 > 하부 핸드 동작량으로 함으로써, 두꺼운 지폐나, 불룩해진 지폐를 수취하기 쉽고, 또한 확실하게 클램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드(96)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 프레임(102)은, 베이스 프레임(110)에 의해 수평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102)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랙(112)이 고정되어 있다. 핸드 구동 기구(98)는, 베이스 프레임(110) 위에 장착된 제2 모터(114) 및 모터의 회전축 및 랙(112)에 이를 맞춘 기어열(115) 및 모터의 회전 위치를 검지하는 센서(117)를 구비하고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모터(114)를 일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랙(112) 및 지지 프레임(102)이 구동되고, 상부 핸드(96a) 및 하부 핸드(96b)가 적층 지폐 다발 P를 파지하는 전진 위치로 이동된다. 또한,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모터(114)를 역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랙(112) 및 지지 프레임(102)이 구동되고, 상부 핸드(96a) 및 하부 핸드(96b)는, 도시한 후퇴 위치로 이동되어, 파지한 적층 지폐 다발 P를 결속 위치로 인입한다.
도 22 및 도 23은, 결속 위치로 인입된 집적 지폐 다발 P에 결속띠를 휘감는 띠 권취 장치(100)와, 띠 피더(90)의 띠 이송 기구(94)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도 14, 도 22,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띠 권취 장치(100)는, 환상(環狀)의 지지 프레임(116)에 지지된 원환(圓環) 기어(120)와, 이 원환 기어에 장착된 띠 캐처(122)와, 상기 띠 캐처에 의해 결속띠(91)의 선단을 클램프한 상태에서, 원환 기어(120)를 회전시킴과 함께 띠 피더(90)로부터 결속띠(91)를 송출하고, 원환 기어를 따른 루프 형상의 결속띠를 결속 위치에 형성하는 띠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원환 기어(120)는, 지지 프레임(116)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 예를 들어 3개의 가이드 풀리(124)에 의해, 그 외주면이 지지되고, 수평축의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즉 핸드(96)의 왕복 이동 방향과 평행한 축의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 프레임(116)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원환 기어(120)는, 전술한 핸드(96)의 외측에 간극을 두고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핸드(96)는 원환 기어(120)의 내측을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원환 기어(120)의 내주면에 기어(120a)가 형성되어 있다. 띠 구동 기구는, 지지 프레임(116)에 장착된 제3 모터(125)를 구비하고, 이 제3 모터(125)의 회전축과 기어(120a) 사이에 기어열(126)이 이를 맞추고 있다. 제3 모터(125)를 구동함으로써, 원환 기어(120)는 수평축의 둘레로, 소정 방향, 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띠 캐처(122)는, 원환 기어(120)에 장착되고, 원환 기어(120)와 함께 수평축의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띠 캐처(122)는, 한 쌍의 캐치 아암(128a, 128b)을 갖고 있다. 이들 캐치 아암(128a, 128b)은, 원환 기어(120)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수평축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서로 접촉해서 결속띠를 클램프하는 도 22, 도 23에 도시하는 폐쇄 위치와, 서로 이격해서 결속띠를 개방하는 도 24에 도시하는 개방 위치 사이를 추축(樞軸)(133)의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원환 기어(120)에 지지되어 있다. 캐치 아암(128a, 128b)은 스프링(130)에 의해 폐쇄 위치에 가압되어 있다. 캐치 아암(128a)의 기단부에는, 압박편(131)이 돌출 설치되고, 또한 캐치 아암(128b)의 기단부에는, 가이드 롤러(132)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16)에는, 띠 캐처(122)를 개방 위치에 개방하는 개방 기구(135)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개방 기구(135)는, 플런저(134), 이 플런저에 의해 회전되는 압박 아암(136) 및 압박 아암(136)의 선단에 장착되고, 캐치 아암(128a)의 압박편(131)을 압박하는 압박 롤러(137)를 갖고 있다. 결속띠(91)를 휘감을 때, 띠 캐처(122)는,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하는 클램프 위치(예를 들어, 시계 단침의 5시 위치)에 대기된다. 또한, 개방 기구(135)의 플런저(134)에 의해 압박 아암(136)을 회전시킴으로써, 띠 캐처(122)는 결속띠(91)를 삽입 관통 가능한 개방 위치에 개방한 상태에서 대기한다.
도 23 및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띠 피더(90)의 띠 이송 기구(94)는, 반송로를 따라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142), 복수의 반송 롤러(140), 반송 롤러를 구동하는 제4 모터(144)를 갖고, 결속띠(91)를 반송 롤러(140) 사이에 두고 반송하여, 띠 릴(92)로부터 결속띠를 인출하여, 초기 위치에 대기하고 있는 띠 캐처(122)까지 결속띠를 송출한다. 반송로 도중에, 프린터(146)가 설치되고, 이 프린터(146)는, 결속띠(91)에 원하는 인자 정보를 인자한다. 결속띠(91)의 반송로의 단부와 띠 캐처(122) 사이에 커터(148)가 설치되어 있다. 결속띠(91)는, 커터(148)의 이 사이를 통과시켜, 띠 캐처(122)로 보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띠 권취 장치(100) 및 띠 이송 기구(94)에서는, 도 22 및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띠 캐처(122)가 클램프 위치에 대기하고, 또한 개방 기구(135)에 의해 캐치 아암(128a, 128b)이 개방된 상태에서, 띠 이송 기구(94)에 의해 결속띠(91)를 띠 릴(92)로부터 인출하고, 결속띠의 선단을 커터(148)를 통과시켜 띠 캐처(122)의 캐치 아암 사이로 송출한다. 그 후, 개방 기구(135)에 의한 압박을 해제하여, 띠 캐처(122)에 의해 결속띠(91)의 선단을 클램프한다. 계속해서,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띠 이송 기구(94)에 의해 결속띠(91)를 송출하면서, 원환 기어(120)를 소정 각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띠 캐처(122)를 도면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대기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결속띠(91)는, 원환 기어(120)를 따라 루프 형상으로 인출되고, 결속 위치의 주위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전술한 핸드(96)에 의해 지폐 다발 P를 파지하고, 루프 형상의 결속띠(91) 내에 지폐 다발 P를 인입한다. 대기 위치에 있어서, 띠 캐처(122) 및 루프 형상의 결속띠(91)는, 집적 지폐 다발 P의 인입 경로로부터 벗어나서 위치하여, 인입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띠 권취 장치(100) 및 띠 이송 기구(94)는, 전술한 반송 캐리어에 의해 집적 지폐 다발 P를 집적 장치(64a, 64b)로부터 시봉 장치(68)로 반송하는 동안, 루프 형상의 결속띠(91)를 결속 위치에 미리 형성한다. 이와 같이, 미리 결속띠(91)를 세트함으로써, 휘감기 동작 시간의 단축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적 지폐 다발 P를 결속 위치로 인입한 후, 원환 기어(120)는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되고, 띠 캐처(122)는 클램프 위치의 근방까지 이동된다. 띠 캐처(122)의 가이드 롤러(132)가, 지지 프레임(116)에 설치된 가이드판(150)에 접촉하고, 띠 캐처(122)는 거의 수평한 수평 위치로 회전된다. 이에 의해, 띠 캐처(122)에 클램프된 결속띠(91)의 선단이, 결속 지폐 다발 P의 하방에 안으로 들어가 유지된다. 그리고, 루프 형상의 결속띠(91)는, 집적 지폐 다발 P의 결속 위치의 주위 및 핸드(96)에 설치된 지지판(103)을 덮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원환 기어(120)의 회전 구동만으로, 띠 캐처(122)의 위치를 규제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띠 이송 기구(94)에 의해 결속띠(91)를 일정량 되돌리고, 결속띠(91)의 루프를 작게 함으로써, 지폐 다발 P 및 지지판(103)의 주위에 가볍게 휘감는다.
도 14,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띠 권취 장치(100)는, 결속띠(91)를 핸드(96)의 지지판(103)에 눌러서 띠 어긋남을 방지하는 제1 띠누름부(152)와, 결속 위치에서 결속띠(91) 및 집적 지폐 다발 P를 위에서부터 압박하고, 지폐 다발을 그 길이 방향 양측부를 지지판(103)측으로 밀어 내려 지폐 다발 전체를 만곡시키는 상부 클램퍼(160)와, 상부 클램퍼(160)를 제1 띠누름부(152)에 동기해서 승강시키는 제1 클램퍼 구동 기구(162)와, 힘껏 당겨진 결속띠(91)를 집적 지폐 다발 P에 눌러서 유지하는 제2 띠누름부(170)와, 눌러진 결속띠(91)의 맞춤부를 가열해서 열 봉착하는 히터(180)와, 제2 띠누름부(170)와 히터(180)를 연동해서 결속띠(91)에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2 클램퍼 구동 기구(190)를 구비하고 있다.
도 28 및 도 29는, 제1 띠누름부(152) 및 제1 클램퍼 구동 기구(162)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띠누름부(152)는, 선단부가 굴곡진 판형상의 아암으로 형성되고, 그 기단부는, 수평한 추축(153)의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 프레임(154)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154)에는, 구동판(155)이 연직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구동판(155)은, 요동 아암(156)을 개재해서 제1 띠누름부(152)의 추축(153)에 접속되어 있다. 제1 클램퍼 구동 기구(162)에 의해 구동판(155)을 승강시킴으로써, 제1 띠누름부(152)는, 결속띠(91) 및 집적 지폐 다발 P의 이동 경로로부터 벗어나서 위치하는 대기 위치와, 핸드(96)의 지지판(103)의 하면에 접촉하여, 결속띠(91)를 지지판(아이론대)(103)에 누르는 누름 위치 사이를 회전한다.
제1 띠누름부(152)는, 예를 들어 표면이 경화 처리된 철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띠누름부(152)는, 이것이 접촉하는 지지판(103)의 표면 경도보다도 높은 표면 경도를 갖고 있다. 제1 띠누름부(152)는, 판금의 엣지로 결속띠를 누르지만, 누르는 판금의 표면 경도에 대해, 받는 지지판(103)의 표면 경도를 작게 함으로써, 지지판(103)의 하면에 흠집을 내고, 마찰력을 내서 결속띠(91)가 빠지지 않도록 그립할 수 있다.
제1 클램퍼 구동 기구(16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에 지지된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163)와, 구동 모터에 의해 기어를 개재해서 회전되는 구동 풀리(164)와, 이 구동 풀리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아암(165)을 갖고, 구동 아암(165)은, 롤러를 개재해서 구동판(155)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구동 모터(163)를 구동함으로써, 구동 아암(165)에 의해 구동판(155)이 승강되고, 이 구동판(155)에 의해 제1 띠누름부(152)가 회전된다.
도 30 및 도 31은, 상부 클램퍼(160) 및 제1 클램퍼 구동 기구(162)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클램퍼(160)는, 가늘고 긴 아암 형상으로 형성되고, 집적 지폐 다발 P의 상면측을 압박하는 압박부(160a)를 갖고 있다. 압박부(160a)는, 집적 지폐 다발 P를 상방으로부터 압박해서 지폐 다발 P 전체를 만곡시키도록, 중앙부가 높고 좌우 양단부가 낮아지도록, 좌우로 경사져 있다.
상부 클램퍼(160)의 기단부는, 추축(167)에 의해 지지 프레임(16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추축(167)의 일단부에 요동 아암(156)이 장착되어 있다. 제1 클램퍼 구동 기구(162)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종동 풀리(157a)와, 이 종동 풀리에 일체로 형성된 구동 기어(157b)와, 구동 풀리, 종동 풀리 사이에 걸쳐진 구동 벨트(158)와, 지지 프레임(166)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구동 기어(157b)와 이를 맞춘 종동 기어(159)와, 이 종동 기어에 장착되어 있음과 함께 롤러를 개재해서 요동 아암(156)의 가이드 홈에 결합한 회전판(168)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 모터(163)에 의해 구동 풀리(164)를 회전시킴으로써, 구동 벨트(158), 종동 풀리(157a), 구동 기어(157b), 종동 기어(159)가 회전한다. 종동 기어(159)와 일체로 회전판(168)이 회전하고, 롤러를 개재해서 요동 아암(156)을 회전시키고, 이에 의해, 추축(167)을 개재해서 상부 클램퍼(160)가 회전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부 클램퍼(160)는, 도 30,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적 지폐 다발 P 및 결속띠(91)의 이동 경로로부터 벗어나서 위치하는 상승 위치와, 핸드(96)에 의해 파지된 집적 지폐 다발 P 및 결속띠(91)를 상방으로부터 압박하는 하강 압박 위치 사이를 회전한다. 또한, 상부 클램퍼(160)의 내면측에는, 상부 클램퍼의 하강 압박 위치에 있어서 집적 지폐 다발 P에 휘감겨진 결속띠(91)를 지폐 다발 P에 눌러서 느슨함을 방지하는 압박 부재(161), 예를 들어 롤러, 원호 형상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1 클램퍼 구동 기구(162)의 구동 모터(163)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띠누름부(152) 및 상부 클램퍼(160)가 동기해서 구동된다. 예를 들어, 결속띠(91)를 휘감을 때, 제1 클램퍼 구동 기구(162)에 의해, 제1 띠누름부(152)가 대기 위치로부터 누름 위치로 회전되고, 이에 동기해서, 상부 클램퍼(160)가 상승 위치로부터 하강 압박 위치로 회전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띠누름부(152)로 결속띠(91)를 지지판(103)에 누르고, 또한 상부 클램퍼(160)에 의해 집적 지폐 다발 P 및 결속띠를 위에서부터 압박해서 지폐 다발 P의 양측부를 하방으로 만곡시킨 상태에서, 띠 이송 기구(94)에 의해 결속띠(91)를 더 일정량 되돌리고, 지폐 다발 P에 휘감은 결속띠를 힘껏 당긴다.
도 32, 도 33, 도 34는, 제2 띠누름부(170), 히터(180) 및 제2 클램퍼 구동 기구(190)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띠누름부(170)는, 거의 평탄한 판형상의 아암으로 형성되고, 그 기단부는, 수평한 추축(171)의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 프레임(166)에 지지되어 있다. 추축(171)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서, 제2 띠누름부(170)의 기단부에 가이드 롤러(172)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2 띠누름부(170)는, 제2 클램퍼 구동 기구(190)에 의해, 도 32 및 도 33에 도시하는, 결속띠(91) 및 집적 지폐 다발 P의 이동 경로로부터 벗어나서 위치하는 대기 위치와, 도 34에 도시하는, 집적 지폐 다발 P의 하면 코너부에 접촉하여 결속띠(91)를 지폐 다발 P에 눌러서 유지하는 누름 위치 사이를 회전한다.
도 32 내지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터(180)는 가늘고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선단부가 가열부(180a)를 구성하고 있다. 히터(180)는 지지 프레임(166)에, 직선적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히터(180)의 양측면에, 예를 들어 2개씩 가이드 롤러(182)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들 가이드 롤러는, 지지 프레임(166)에 형성된 가이드 슬릿(183)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히터(180)는, 도 32, 도 33에 도시하는, 결속띠(91) 및 집적 지폐 다발 P의 이동 경로로부터 벗어나서 위치하는 대기 위치와, 도 34에 도시하는, 결속띠(91)를 지지판(아이론대)(103)의 하면에 눌러서 결속띠를 열 봉착하는 열 봉착 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띠누름부(170)와 히터(180)를 연동해서 구동하는 제2 클램퍼 구동 기구(190)는, 히터(180)의 상면에 장착되어 제2 띠누름부(170)의 가이드 롤러(172)에 결합 가능한 가이드판(192)과, 히터(180)의 하면으로부터 거의 연직으로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가이드 슬릿을 갖는 구동 브래킷(193)과, 지지 프레임(166)에 장착된 제4 구동 모터(194)와, 일단부가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단부에 가이드 롤러(195)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 아암(196)과, 회전 아암(196)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센서(198)를 구비하고, 가이드 롤러(195)가 구동 브래킷(193)의 가이드 홈에 결합하고 있다.
제4 구동 모터(194)를 일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회전 아암(196)이 회전하고, 이 회전 아암에 의해 구동 브래킷(193)이 히터(180)와 일체로 열 봉착 위치를 향해서 이동된다. 또한, 히터(180)의 이동 개시 후, 즉시, 가이드판(192)이 제2 띠누름부(170)의 가이드 롤러(172)를 밀어 올려, 제2 띠누름부(170)를 대기 위치로부터 누름 위치로 회전시킨다.
제4 구동 모터(194)를 역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히터(180)는 열 봉착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로 이동되고, 이에 수반하여, 가이드판(192)이 제2 띠누름부(170)의 가이드 롤러(172)로부터 이격되고, 제2 띠누름부(170)는 스프링의 가압력 등에 의해 누름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로 회전된다.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클램퍼(160)가 압박 위치로 회전되고, 또한 제2 띠누름부(170)가 누름 위치로 회전된 상태에 있어서, 제2 띠누름부(170)는 결속띠(91)를 집적 지폐 다발 P의 우측 하방 코너에 눌러서 유지한다. 상부 클램퍼(160)에 설치된 압박 부재(161)는, 지폐 다발 P를 사이에 두고 제2 띠누름부와 대향하여 위치하고, 결속띠(91)를 지폐 다발 P의 상면에 눌러서 유지한다. 이에 의해, 결속띠(91)의 컷트 시의 띠의 느슨함을 방지한다. 압박 부재(161)는, 결속띠(91)를 힘껏 당길 때에는 저항력이 약하고, 결속띠를 컷트해서 자연히 띠가 느슨해지는 힘에 대해서는, 저항으로 되도록, 결속띠(91)를 위에서부터 누르는 것이다.
계속해서, 커터(148)에 의해 결속띠(91)의 종단부측을 컷트한 후, 히터(180)가 대기 위치로부터 열 봉착 위치로 이동되고, 그 때, 결속띠(91)의 종단부는 히터(180)에 의해 밀어 올려져 지지판(103)의 위치까지 밀어 올려지고, 휘감기 완료된 결속띠에 겹쳐서 지지판(103)에 눌러진다. 이 상태에서, 히터(180)에 의해 결속띠(91)의 겹침 부분을 열 봉착한다. 결속띠(91)의 열 봉착 후, 제1 띠누름부(152), 상부 클램퍼(160), 제2 띠누름부(170), 히터(180)는, 각각 대기 위치, 상승 위치로 복귀하여, 집적 지폐 다발 P로부터 이격된다.
도 36a, 도 36b, 도 3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봉 장치는, 방출대(84) 위로 방출되는 결속 완료된 집적 지폐 다발 P를 기(機)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 기구(200)를 구비하고 있다. 배출 기구(200)는, 방출대(84)의 하방에 추축(201)의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이젝트 레버(202)와, 방출대 하방에 거의 수평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판(204)과, 이 슬라이드판을 구동하는 구동원, 예를 들어 플런저(205)를 구비하고 있다. 이젝트 레버(202)는, 그 하단부에 가이드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가이드 롤러는 슬라이드판(204)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206)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젝트 레버(202)는, 도 3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출대(84)의 하방에 위치하는 대기 위치와, 도 3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출대(84) 위의 지폐 다발 P를 전방을 향해서 압출하는 압박 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플런저(205)에 의해 슬라이드판(204)을 전진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가이드 롤러를 개재해서 이젝트 레버(202)가 대기 위치로부터 압박 위치로 회전된다.
결속띠(91)에 의한 집적 지폐 다발 P의 시봉이 종료되면, 도 3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적 지폐 P를 파지하고 있는 핸드(96)는, 핸드 구동 기구(98)에 의해, 인입 위치로부터 전방, 즉 방출대(84)측으로 소정의 속도로 이동된다. 그리고, 도 3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드(96)가 소정의 위치까지 전진했을 때에, 핸드(96)를 개방하여(릴리스), 지폐 다발 P의 파지를 개방한다. 이에 의해, 지폐 다발 P는, 방출대(84) 위로 방출된다. 방출 속도는, 지폐 다발 P의 단부면이 핸드(96)에 남지 않는 속도이며, 또한 집적 시봉 장치의 커버에 충돌하지 않는 속도로 설정된다.
계속해서, 도 3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 기구(200)에 의해 이젝트 레버(202)를 대기 위치로부터 방출 위치로 회전시키고, 이 이젝트 레버(202)에 의해 방출대(84) 위의 집적 지폐 다발 P의 후단부를 압박하여, 집적 지폐 다발 P를 방출대 위에서부터 기 밖으로 배출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집적 시봉 모듈(60)의 집적 동작 및 결속띠에 의한 시봉 동작에 대해서, 도 37 내지 도 5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동일 권종의 지폐를 제1 집적 장치(64a)에 의해 소정 매수, 예를 들어 100매를 집적한다. 이 집적 시에, 반송 캐리어의 베이스 캐리어(80)는, 제1 위치에 대기되고, 베이스 캐리어(80) 위의 시트 캐리어(82)는, 제1 셔터(67)의 하방에 인접 대향하고 있다.
지폐의 집적 동안에, 시봉 장치(68)의 띠 캐처(122)는, 클램프 위치(예를 들어, 시계 단침의 5시 위치)에 대기되고, 또한 개방 기구(135)에 의해 결속띠를 삽입 관통 가능한 개방 위치에 개방한 상태에서 대기한다.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매수의 지폐가 집적되는 동안, 시봉 장치(68)는, 띠 피더의 띠 이송 기구(94)에 의해 결속띠(91)를 송출하고, 커터(148)를 통과시켜 띠 캐처(122)에 공급한다. 그리고, 띠 캐처(122)는, 공급된 결속띠(91)의 선단을 파지한다.
도 39 및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집적 장치(64a)에 100매의 지폐 P가 집적되면, 집적 지폐 P가 제1 집적 장치(64a)로부터 시트 캐리어(82) 위로 전달된다. 계속해서, 지폐 클램퍼(88)에 의해 집적 지폐 다발 P를 눌러서 집적 지폐 다발을 시트 캐리어(82) 위에 유지한 후, 베이스 캐리어(80)를 제3 위치로 하강시킨다.
집적 지폐 다발 P의 전달 및 반송 동안에, 시봉 장치(68)는, 띠 이송 기구(94)에 의해 결속띠(91)를 송출하면서, 원환 기어(120)를 소정 각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띠 캐처(122)를 클램프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결속띠(91)는 원환 기어(120)를 따라 루프 형상으로 인출되어, 결속 위치의 주위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반송 캐리어에 의해 집적 지폐 다발 P를 제1 집적 장치(64a)로부터 시봉 장치(68)로 반송하는 동안에, 루프 형상의 결속띠(91)를 결속 위치에 미리 형성해 둔다. 미리 결속띠(91)를 루프 형상으로 세트함으로써 집적 시봉 전체의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캐리어(82)가 대기 위치로부터 전진 위치로 전진하여, 시봉 장치의 방출대(84)의 상방에 집적 지폐 다발 P를 이동시킨다. 한편, 제1 집적 장치(64a)에 의해 100매의 지폐가 집적된 후, 제2 집적 장치(64b)에 의해 101매째 이후의 지폐의 집적 동작을 평행하게 행한다.
계속해서, 도 42,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봉 장치(68)의 핸드(96)의 상부 핸드(96a) 및 하부 핸드(96b)에 의해 집적 지폐 다발 P의 길이 방향 일단부를 파지하여, 반송 캐리어로부터 지폐 다발 P를 수취한다. 계속해서, 지폐 클램퍼(88)를 개방해서 유지를 해제한 후, 시트 캐리어(82)를 전진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집적 지폐 다발 P가 시봉 장치(68)로 전달된다.
그 후,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드 구동 기구(98)에 의해, 핸드(96)를 전진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고, 지폐 다발 P를 루프 형상의 결속띠(91) 안을 통과시켜 결속 위치로 인입한다. 지폐 다발 P가 결속 위치로 이동하면, 루프 형상의 결속띠(91)는, 지폐 다발 P의 소정의 결속 위치의 주위에 위치한다. 또한, 하부 핸드(96b)로부터 연장하는 지지판(103)은, 지폐 다발 P의 밀봉 위치에 겹쳐서 위치하고 있다. 지폐 다발 P의 인입 동작 동안에, 띠 캐처(122) 및 루프 형상 결속띠(91)는, 지폐 다발 P의 인입 경로로부터 벗어나서 위치하여, 인입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적 지폐 다발 P를 결속 위치로 인입한 후, 원환 기어(120)를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띠 캐처(122)를 클램프 위치의 근방까지 이동시킨다. 띠 캐처(122)는 가이드판(150)에 의해 거의 수평한 수평 위치로 회전된다. 이에 의해, 띠 캐처(122)에 클램프된 결속띠(91)의 선단이, 결속 지폐 다발 P의 하방으로 안으로 들어가 유지된다. 그리고, 루프 형상의 결속띠(91)는, 집적 지폐 다발 P의 결속 위치의 주위 및 핸드(96)에 설치된 지지판(103)을 덮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원환 기어(120)의 회전만으로, 띠 캐처(122)의 위치를 규제할 수 있다. 한편, 반송 캐리어의 베이스 캐리어(80)는, 제2 집적 장치(64b)와 대향하는 제2 위치로 이동되어 대기된다.
계속해서,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띠 이송 기구(94)에 의해 결속띠(91)를 일정량 되돌려서, 결속띠(91)의 루프를 작게 함으로써, 지폐 다발 P 및 지지판(103)의 주위에 가볍게 휘감는다.
다음으로, 도 47,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클램퍼 구동 기구에 의해 제1 띠누름부(152)를 대기 위치로부터 압박 위치로 회전시키고, 이 제1 띠누름부에 의해 결속띠(91)를 지지판(103)의 하면에 눌러 유지한다. 제1 띠누름부(152)의 표면 경도는, 지지판(103)의 표면 고도보다도 크기 때문에, 도 49, 도 5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띠누름부(152)는, 지지판(103)의 하면에 흠집을 내서(작은 오목부를 형성하여), 마찰력을 내서 결속띠(91)가 빠지지 않도록 그립할 수 있다.
또한, 도 48,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클램퍼 구동 기구(162)에 의해, 제1 띠누름부(152)에 연동하여, 상부 클램퍼(160)를 집적 지폐 다발 P 및 결속띠(91)의 이동 경로로부터 벗어나서 위치하는 상승 위치로부터, 핸드(96)에 의해 파지된 집적 지폐 다발 P 및 결속띠(91)를 상방으로부터 압박하는 하강 압박 위치로 회전시킨다. 이 상부 클램퍼(160)에 의해 집적 지폐 다발 P 및 결속띠(91)를 위에서부터 압박해서 지폐 다발 P의 양측부를 하방으로 만곡한 상태로 유지한다. 이때, 상부 클램퍼(160) 내에 설치된 압박 부재(161)가 결속띠(91)에 접촉하고, 결속띠(91)를 지폐 다발 P에 눌러서 느슨함을 방지한다. 이 상태에서, 띠 이송 기구(94)에 의해 결속띠(91)를 더 일정량 되돌려서, 지폐 다발 P에 휘감은 결속띠(91)를 힘껏 당긴다.
다음으로, 도 51, 도 5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클램퍼 구동 기구에 의해 제2 띠누름부(170)를 대기 위치로부터 누름 위치로 회전시키고, 이 제2 띠누름부(170)에 의해 결속띠(91)의 종단부를 지폐 다발 P의 우측 하방 코너부에 눌러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커터(148)에 의해 결속띠(91)의 종단부를 절단한다.
계속해서, 도 52 및 도 5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클램퍼 구동 기구에 의해, 제2 띠누름부(170)에 연동하여, 히터(180)를 대기 위치로부터 열 봉착 위치로 이동시킨다. 히터(180)는, 절단된 결속띠(91)의 종단부를 밀어 올리면서 열 봉착 위치까지 이동하고, 결속띠(91)의 종단부를 휘감기 완료된 결속띠에 겹쳐서 지지판(103)에 누른다. 이 상태에서, 히터(180)에 의해 결속띠(91)의 겹침 부분을 열 봉착한다.
결속띠(91)의 열 봉착 후, 도 5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띠누름부(152), 상부 클램퍼(160), 제2 띠누름부(170), 히터(180)는, 각각 대기 위치, 상승 위치로 복귀하여, 집적 지폐 다발 P로부터 이격된다. 상 클램프(160)에 의한 압박을 해제함으로써, 지폐 다발 P는, 만곡한 상태로부터 평탄한 상태로 되돌아간다. 그에 의해, 결속띠(91)를 보다 강하게 조이게 되어, 지폐 다발 P를 보다 강하게 시봉할 수 있다.
결속띠(91)에 의한 집적 지폐 다발 P의 시봉이 종료되면, 도 36a, 도 36b, 도 3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적 지폐 P를 파지하고 있는 핸드(96)는, 핸드 구동 기구(98)에 의해, 인입 위치로부터 전방, 즉 방출대(84)측으로 소정의 속도로 이동된다. 그리고, 핸드(96)가 소정의 위치까지 전진했을 때에, 핸드(96)를 개방하여(릴리스), 지폐 다발 P의 파지를 개방한다. 이에 의해, 지폐 다발 P를 방출대(84) 위로 방출한다. 계속해서, 배출 기구(200)에 의해 이젝트 레버(202)를 대기 위치로부터 방출 위치로 회전시키고, 이 이젝트 레버(202)에 의해 방출대(84) 위의 집적 지폐 다발 P의 후단부를 압박하여, 집적 지폐 다발 P를 방출대 위에서부터 기 밖으로 배출한다.
또한, 도 55 및 도 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 다발 P를 방출대(84) 위로 방출한 후, 띠 피더의 띠 이송 기구(94)에 의해, 다음 결속띠(91)를 송출하고, 띠 캐처(122)에 의해 결속띠의 선단을 파지한다. 그리고, 원환 기어(1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띠 캐처(122)를 클램프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루프 형상의 결속띠(91)를 형성한다. 이에 평행하게, 반송 캐리어(80, 82)에 의해, 제2 집적 장치(64b)로부터 집적 지폐 다발 P를 수취하고, 또한 시봉 장치(68)와 대향하는 위치로 지폐 다발 P를 반송한다.
그 후, 지폐 다발 P를 시봉 장치(68)로 전달하고, 이후 전술과 마찬가지의 동작에 의해 지폐 다발 P에 결속띠(91)를 휘감아 시봉한다.
이상과 같이, 집적 시봉 모듈(60)은, 메인 모듈(10) 및 정렬 모듈(30)로부터 보내진 정권, 혹은 손권을, 금종마다, 혹은 손권, 정권마다, 소정 매수씩 집적 및 시봉하고, 지폐 다발(단)을 공급한다. 시봉된 지폐 다발은, 집적 모듈의 하방에 설치된 배출부(73)로 배출되고, 순차 적층해서 수납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적 시봉 모듈(60)의 하류측에 설치된 대용량 집적 모듈(174)은, 집적 시봉 모듈(60)로부터 보내진 지폐 P를 반송하는 반송로(141)와, 각각 반송로(141)를 통과시켜 보내진 지폐를 일정량 집적 가능한 대용량의 집적고(175)를 구비하고 있다.
모든 모듈의 최하류에는, 세이프티 포켓(176)이 설치되어 있다. 각 모듈을 반송 중에 처리할 수 없었던 지폐가 있는 경우, 이 지폐는 세이프티 포켓(176)으로 배출되어, 장치로부터 대피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지폐 처리 장치에 따르면, 지엽류를 안정되게 추출해서 처리할 수 있어,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집적 시봉 장치로는, 제1 및 제2 집적 장치를 비스듬히 어긋나게 해서 배치함과 함께, 제1 및 제2 집적 장치에 의해 집적된 지폐를 공통의 반송 기구에 의해 시봉 장치로 반송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집적 시봉 장치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하고,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동시에, 집적 시봉 장치로는, 집적 시봉 처리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6초 이하의 시간에 1개의 지폐 다발을 시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반송 캐리어에 의해 지폐 다발을 반송하고 있는 동안에, 미리, 루프 형상의 결속띠를 형성해 둘 수 있어, 지폐 다발을 반송 캐리어로부터 핸드로 전달한 후, 즉시, 결속띠의 휘감기를 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반송 캐리어는 즉시, 다음의 지폐 다발을 수취하는 동작으로 들어갈 수 있어, 처리 시간의 단축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핸드는, 하부 핸드의 동작량 < 상부 핸드의 동작량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두꺼운 지폐나, 불룩해진 지폐를 수취하기 쉽게, 또한 확실하게 클램프할 수 있다. 또한, 원환 기어의 회전량을 제어함으로써, 띠 캐처의 이동 위치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고, 또한 제1 및 제2 띠누름부에 의해 결속띠를 적절한 위치에 눌러 유지할 수 있어, 비교적 좁은 영역 내에서 결속띠의 휘감기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들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소형화 및 처리 속도의 고속화가 가능한 집적 시봉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지 않고 있다. 이들 실시형태는, 그 밖의 여러가지 형태에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처리하는 지엽류는, 지폐, 뱃치 카드에 한정되지 않고, 카지노 카드, 유가 증권 등 외의 지엽류에도 적용해도 된다. 또한, 지폐 처리 장치에 있어서, 집적 시봉 모듈은, 1대에 한하지 않고, 복수대, 나란히 설치해도 된다.

Claims (13)

  1. 집적 시봉 장치로서,
    집적부에 지엽류를 소정 매수씩 집적하는 집적 장치와,
    집적된 지엽류 다발에 띠를 휘감아서 시봉하는 시봉 장치와,
    상기 집적 장치에 의해 집적된 지엽류 다발을 수취해서 상기 시봉 장치까지 반송하는 반송 캐리어를 구비하고,
    상기 시봉 장치는, 상기 반송 캐리어에 의해 반송된 지엽류 다발의 단부를 사이에 두고 파지하여, 소정의 결속 위치에 지엽류 다발을 인입하는 이동 가능한 핸드와, 이 핸드를 지엽류 다발의 집적 방향으로 개폐함과 함께, 집적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핸드 구동 기구와, 상기 결속 위치로 인입되는 지엽류 다발에 결속띠를 휘감는 띠 권취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 캐리어는, 상기 지엽류 다발을 상기 핸드로 파지한 후, 상기 시봉 장치에 의해 상기 지엽류 다발에 띠를 휘감는 동안, 상기 집적 장치와 대향하는 수취 위치로 이동해서 상기 집적 장치로부터 다음의 지엽류 다발을 수취하는, 집적 시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캐리어는, 상기 집적 장치에 집적된 지엽류 다발을 수취하는 수취 위치와 상기 시봉 장치에 대향하는 전달 위치 사이를 승강 가능하게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집적 시봉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는, 간극을 두고 서로 거의 평행하게 대향하고 있음과 함께 각각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 상부 핸드 및 하부 핸드를 갖고,
    상기 핸드 구동 기구는, 모터와, 서로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모터에 의해 동일축 둘레로 회전되는 대 기어 및 이 대 기어보다도 소 직경인 소 기어와, 상기 상부 핸드에 연결되어 상기 대 기어에 이를 맞춘 제1 랙과, 상기 하부 핸드에 연결되어 상기 소 기어에 이를 맞춘 제2 랙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랙 및 제2 랙은, 상기 대 기어 및 소 기어의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모터에 의한 상기 상부 핸드의 승강 이동량은, 상기 하부 핸드의 승강 이동량보다도 큰, 집적 시봉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봉 장치는, 상기 핸드의 왕복 이동 방향과 평행한 회전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원환(圓環) 기어와, 상기 원환 기어의 근방에 결속띠를 송출함과 함께 이 결속띠를 되돌리는 띠 피더와, 상기 원환 기어에 장착되어 원환 기어와 함께 회전 가능함과 함께 상기 띠 피더로부터 송출된 결속띠의 선단을 클램프하는 띠 캐처와, 상기 띠 캐처에 의해 결속띠의 선단을 클램프한 상태에서, 상기 원환 기어를 회전시킴과 함께 상기 띠 피더로부터 결속띠를 송출하고, 상기 원환 기어를 따른 루프 형상의 결속띠를 상기 결속 위치에 형성하는 띠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핸드는, 상기 루프 형상의 결속띠의 내측에 상기 지엽류 다발을 인입하는, 집적 시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띠 구동 기구는, 상기 반송 캐리어에 의해 상기 지엽류 다발을 상기 집적 장치로부터 시봉 장치로 반송하는 동안에, 상기 루프 형상의 결속띠를 결속 위치에 미리 형성하는, 집적 시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띠 캐처는, 상기 원환 기어의 일 방향의 회전에 의해, 상기 띠의 선단을 클램프하는 클램프 위치로부터, 상기 루프 형상의 결속띠를 형성하는 위치까지 이동한 후, 상기 지엽류 다발의 인입 경로로부터 벗어나는 대기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원환 기어가 상기 일 방향으로 더 회전함으로써, 가이드판에 접촉해서 상기 지엽류 다발의 하방으로 기어 들어가는 수평한 위치로 회전되어 유지 가능한, 집적 시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봉 장치는, 상기 하부 핸드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지엽류 다발과 상기 결속띠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엽류 다발의 인입 경로로부터 벗어나는 대기 위치와 상기 결속띠를 상기 지지판에 누르는 누름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띠누름부를 구비하고,
    상기 띠의 선단을 클램프한 상기 띠 캐처가 상기 수평한 위치에 유지되고, 또한 상기 제1 띠누름부에 의해 결속띠를 상기 지지판에 누른 상태에서, 상기 띠 피더는, 결속띠를 일정량 되돌려서 상기 지엽류 다발에 휘감는, 집적 시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띠누름부는, 상기 지지판의 표면 경도보다도 높은 표면 경도를 갖고 있는, 집적 시봉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봉 장치는, 상기 결속 위치에서 상기 결속띠 및 상기 지엽류 다발을 위에서부터 압박하고, 지엽류 다발을 그 길이 방향 양측부를 상기 지지판측으로 밀어 내려 지엽류 다발 전체를 만곡시키는 상부 클램퍼와, 상기 상부 클램퍼를 상기 제1 띠누름부에 동기해서 승강시키는 제1 클램퍼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집적 시봉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띠 피더는, 상기 상부 클램퍼에 의해 상기 지엽류 다발을 압박한 상태에서, 상기 결속띠를 일정량 되돌려서 상기 지엽류 다발을 힘껏 당기고,
    상기 시봉 장치는, 상기 힘껏 당겨진 결속띠를 상기 지엽류 다발에 눌러서 유지하는 제2 띠누름부와, 상기 눌러진 결속띠의 맞춤부를 가열해서 열 봉착하는 히터와, 상기 제2 띠누름부와 히터를 연동해서 상기 결속띠에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2 클램퍼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집적 시봉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봉 장치는, 상기 제2 띠누름부와 상기 띠 피더 사이에서 상기 결속띠를 절단하는 커터를 구비하는, 집적 시봉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클램퍼는, 상기 지엽류 다발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띠누름부와 대향해서 배치되고, 상기 결속띠를 위에서부터 상기 지엽류 다발에 눌러서 결속띠를 유지하는 압박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집적 시봉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봉 장치는, 시봉된 지엽류 다발이 방출되는 방출대와, 이 방출대에 설치되어 상기 지엽류 다발을 기(機) 밖으로 배출하는 이젝터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핸드 구동 기구는, 상기 결속띠에 의해 상기 지엽류 다발이 결속된 후, 상기 핸드 및 이에 파지된 지엽류 다발을 상기 방출대측으로 압출하고, 또한 핸드를 릴리스하여, 상기 시봉된 지엽류 다발을 상기 방출대에 방출하는, 집적 시봉 장치.
KR1020130004786A 2012-01-16 2013-01-16 집적 시봉 장치 KR1015191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06391 2012-01-16
JPJP-P-2012-006391 2012-0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263A true KR20130084263A (ko) 2013-07-24
KR101519195B1 KR101519195B1 (ko) 2015-05-11

Family

ID=47563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786A KR101519195B1 (ko) 2012-01-16 2013-01-16 집적 시봉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663258B2 (ko)
EP (1) EP2615036B1 (ko)
JP (1) JP6026291B2 (ko)
KR (1) KR101519195B1 (ko)
CN (1) CN103258370B (ko)
RU (1) RU2526748C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4956A (ko) * 2014-10-16 2016-04-26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매체보관함
KR20160044955A (ko) * 2014-10-16 2016-04-26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매체보관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89407A1 (en) * 2008-11-21 2010-05-26 Kba-Giori S.A.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printed sheets, especially sheets of printed securities, into individual documents
JP5951366B2 (ja) 2012-06-18 2016-07-13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処理装置
JP6132526B2 (ja) * 2012-11-30 2017-05-24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処理装置
JP6162524B2 (ja) 2013-07-31 2017-07-12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結束装置
CN105632021B (zh) * 2014-10-29 2018-04-17 聚龙股份有限公司 一种扎把机纵向理齐及防漏扎机构
CN104354900B (zh) * 2014-11-13 2016-09-07 湖南辰泰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处理设备
JP2016103238A (ja) * 2014-11-28 2016-06-02 株式会社東芝 紙幣処理装置
CN105333934A (zh) * 2015-11-19 2016-02-17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称重装置及其工作过程
CN107720344A (zh) * 2017-10-23 2018-02-23 常州汉威信电子科技有限公司 托盘及应用其的打印机
US11176769B2 (en) * 2019-06-12 2021-11-16 Alan Polad Currency arranging and stacking apparatus
CN114821889A (zh) * 2021-01-29 2022-07-29 光荣株式会社 纸张类码放装置
CN114261072B (zh) * 2021-11-15 2023-11-21 江苏朗迅工业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自动化培养皿生产系统
CN115180208A (zh) * 2022-08-17 2022-10-14 李添福 方便打包捆扎的纸箱生产加工用纸箱片堆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14398A (en) * 1954-02-05 1957-11-26 United States Steel Corp Apparatus for conveying magnetizable sheets
JPS526298A (en) * 1975-07-03 1977-01-18 Toshiba Seiki Kk Automatic string hanger for twofold rolled and one-fold rolled binding
JPS52130799A (en) * 1976-04-27 1977-11-02 Hitachi Electr Eng Bill roll clamper for bill roll binder
US4817804A (en) * 1982-12-22 1989-04-04 Musashi Engineering Kabushiki Kaisha Counting and half-wrapping apparatus for banknotes with the function of discriminating the banknotes of different nominal values
JPS59114697A (ja) * 1982-12-22 1984-07-02 武蔵株式会社 紙幣計数帯封装置における紙幣クランプ機構
US4744468A (en) * 1983-11-04 1988-05-17 Laurel Bank Machine Co., Ltd. Circulation-type bill receiving and dispensing machine
JPH0678147B2 (ja) * 1984-02-17 1994-10-05 日立精工株式会社 輪転印刷機の折機における折丁の排紙経路切り換え装置
JPS6223367U (ko) 1985-07-26 1987-02-12
US4845917A (en) * 1986-10-14 1989-07-11 Kabushiki Kaisha Toshiba System for processing paper sheets
JPH0766458B2 (ja) * 1986-10-27 1995-07-19 ロ−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US4720229A (en) * 1986-11-05 1988-01-19 Rima Enterprises, Incorporated Stack pusher
JPS63159994A (ja) * 1986-12-24 1988-07-02 ロ−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DE3705169A1 (de) * 1987-02-18 1988-09-01 Sesto Palamide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packen von druckerzeugnissen
JPS6464091A (en) * 1987-09-04 1989-03-09 Laurel Bank Machine Co Transaction inlet collection controller for paper money teller machine
JPH04137093A (ja) 1990-09-28 1992-05-12 Toshiba Corp 現金管理装置
BE1005069A6 (fr) * 1991-07-05 1993-04-06 Sopem N V Dispositif automatique de separation d'enveloppes a la sortie de machines les fabriquant.
JPH0616324A (ja) * 1992-07-06 1994-01-25 Fujitsu Ltd カット紙印刷装置
DE19523699A1 (de) * 1995-06-29 1997-01-09 Will E C H Gmbh & Co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Lufteinschlüssen aus Papierstapeln
JP3499411B2 (ja) * 1996-09-18 2004-02-23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JP2686068B2 (ja) 1997-01-10 1997-12-08 株式会社東芝 紙幣処理装置
DE19719239A1 (de) * 1997-05-07 1998-11-12 Giesecke & Devrient Gmbh Vorrichtung zur automatischen Bündelung von Blattgut
JP3422459B2 (ja) 1997-09-01 2003-06-30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紙葉束のチャック装置
SE9803616D0 (sv) * 1998-10-22 1998-10-22 Nybohov Dev Ab Sedelhanteringsmaskin
IT1311367B1 (it) * 1999-12-20 2002-03-12 Gd Spa Dispositivo per la fascettatura di gruppi di foglietti.
DE50104188D1 (de) * 2000-08-30 2004-11-25 Ferag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Umreifung von Stapeln von Druckereierzeugnissen
JP4791631B2 (ja) * 2000-12-26 2011-10-12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処理装置
JP4939695B2 (ja) * 2001-04-19 2012-05-30 株式会社東芝 紙幣処理装置
JP4651904B2 (ja) * 2002-04-10 2011-03-16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結束処理機
DE10225705A1 (de) 2002-06-10 2003-12-24 Giesecke & Devrient Gmbh Banderolierung von Banknoten
EP1522052A4 (en) * 2002-06-13 2007-08-15 Cummins Allison Corp SYSTEM FOR PROCESSING BANK NOTES AND METHODS USING THE SAME
DK1380506T3 (da) * 2002-07-13 2007-03-05 Helmut Schmetzer Apparat og fremgangsmåde til omsnöring af emballeringsgods med spændebånd
EP1591975B1 (en) * 2002-10-18 2010-05-26 Diebold, Incorporated Automated banking machine which dispenses, receives and stores notes and other financial instrument sheets
US7635082B2 (en) * 2003-02-07 2009-12-22 Cummins-Allison Corp. Currency dispenser
JP4347104B2 (ja) * 2004-03-24 2009-10-21 ローレル機械株式会社 紙幣結束機
KR20060051995A (ko) * 2004-10-04 2006-05-19 글로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지폐정리기
JP4624058B2 (ja) * 2004-10-04 2011-02-02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処理機
KR100673249B1 (ko) 2006-05-04 2007-01-22 (주)유일뱅킹앤시큐리티 프린트형 지폐 결속기
US7779982B2 (en) * 2006-09-07 2010-08-24 Cummins-Allison Corp. Currency processing and strapping systems and methods
FI20065711L (fi) * 2006-11-10 2008-05-11 Upm Kymmene Corp Arkkimateriaalin, kuten paperin pakkaus
KR101098069B1 (ko) * 2007-03-23 2011-12-2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 장치, 인쇄 작업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US8397895B2 (en) * 2008-02-27 2013-03-19 Glory Ltd. Banknote handling apparatus
JP5169612B2 (ja) * 2008-08-18 2013-03-2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DE102008052421A1 (de) 2008-10-21 2010-04-22 Giesecke & Devrient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drucken eines Banderolenstreifens
WO2010109616A1 (ja) * 2009-03-25 2010-09-30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分類結束処理装置及び紙幣分類搬送方法
JP5631571B2 (ja) * 2009-09-28 2014-11-26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JP5416526B2 (ja) 2009-09-29 2014-02-12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及び結束紙幣投出方法
CN102598067B (zh) * 2009-12-21 2014-11-05 株式会社东芝 纸张类处理装置及纸张类处理方法
JP5595955B2 (ja) * 2011-03-18 2014-09-24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処理装置
JP5550588B2 (ja) * 2011-03-22 2014-07-16 株式会社東芝 集積施封装置
CN102101541B (zh) 2011-03-30 2012-08-29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带状介质捆扎机构及捆扎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4956A (ko) * 2014-10-16 2016-04-26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매체보관함
KR20160044955A (ko) * 2014-10-16 2016-04-26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매체보관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58370B (zh) 2015-06-17
CN103258370A (zh) 2013-08-21
KR101519195B1 (ko) 2015-05-11
JP2013168136A (ja) 2013-08-29
US20130180218A1 (en) 2013-07-18
EP2615036A1 (en) 2013-07-17
RU2013102067A (ru) 2014-07-27
RU2526748C1 (ru) 2014-08-27
JP6026291B2 (ja) 2016-11-16
EP2615036B1 (en) 2014-11-12
US20160368632A1 (en) 2016-12-22
US9663258B2 (en) 201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26291B2 (ja) 集積施封装置
JP5951366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5550588B2 (ja) 集積施封装置
JP5595955B2 (ja) 紙葉類処理装置
EP2407386B1 (en) Banknote binding device and banknote binding method
JP2006107029A (ja) 紙幣処理機
JP2007141062A (ja) 紙葉類処理装置
JP6132526B2 (ja) 紙葉類処理装置
WO2015141162A1 (ja) 紙葉類処理装置
JP2015030467A (ja) 紙葉類結束装置
WO2016031176A1 (ja) 紙葉類処理装置
JP6230940B2 (ja) 紙葉類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