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4955A - 매체보관함 - Google Patents

매체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4955A
KR20160044955A KR1020140140091A KR20140140091A KR20160044955A KR 20160044955 A KR20160044955 A KR 20160044955A KR 1020140140091 A KR1020140140091 A KR 1020140140091A KR 20140140091 A KR20140140091 A KR 20140140091A KR 20160044955 A KR20160044955 A KR 20160044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ack gear
plate
gear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8128B1 (ko
Inventor
윤수현
이명우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0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128B1/ko
Publication of KR20160044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Abstract

매체보관함이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보관함은, 제 1 매체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대, 상기 제 1 지지대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고, 제 2 매체를 지지하는 제 2 지지대, 상기 제 2 지지대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랙기어 및 상기 랙기어의 상승 또는 하강에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 1 지지대와 연결되어 회전 시 상기 제 1 지지대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매체에 대한 작업을 위해 상기 제 2 지지대가 상승할 때, 상기 제 1 지지대는 상기 랙기어 및 상기 회전축에 의해 상방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 2 지지대의 상승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Description

매체보관함{MEDIUM CASSETTE}
본 발명은 매체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일반적으로 현금입출금기(ATM) 또는 현금지급기(CD) 등을 포함하며, 시간 및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카드나 통장을 이용하여 현금 및 수표의 입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
최근에는 은행과 같은 금융 기관뿐만 아니라 편의점, 백화점 및 공공장소 등에서도 금융자동화기기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입출금 여부에 따라 출금기, 입금기 및 입출금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금융자동화기기는 현금의 입출금은 물론 수표의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요금 납부,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금융자동화기기에는 적어도 하나의 매체보관함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현금입출금기의 경우에는 매체보관함에 지폐가 보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로부터 입금되는 지폐가 매체보관함에 보관될 수 있고, 매체보관함에 보관되어 있던 지폐가 출금될 수도 있다. 또한, 수표나 티켓 등도 매체보관함에 보관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보통 인입된 매체를 보관하는 매체보관함과 인출될 매체를 보관하는 매체보관함이 별도로 제공된다. 다시 말해, 하나의 매체보관함 내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입금된 지폐가 임시로 저장되는 매체보관함과 출금될 지폐가 저장되는 매체보관함이 별도로 제공되고, 지폐의 임시 저장 및 출금은 서로 다른 매체보관함에서 각각 수행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각각의 매체보관함에 매체 이송장치, 매체 픽업장치 등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한정되어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 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1724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서로 다른 종류의 작업을 위한 매체가 보관될 수 있는 매체보관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보관함은, 제 1 매체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대, 상기 제 1 지지대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고 제 2 매체를 지지하는 제 2 지지대, 상기 제 2 지지대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랙기어 및 상기 랙기어의 상승 또는 하강에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 1 지지대와 연결되어 회전 시 상기 제 1 지지대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매체에 대한 작업을 위해 상기 제 2 지지대가 상승할 때, 상기 제 1 지지대는 상기 랙기어 및 상기 회전축에 의해 상방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 2 지지대의 상승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회전력을 생성하는 회전유닛, 상기 회전유닛으로부터 상기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며 상기 랙기어와 맞물려 상기 랙기어의 상승 또는 하강을 유도하는 제 1 기어 및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랙기어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 2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랙기어가 상승될 때 상기 제 1 지지대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지지대는, 넓은 면이 전방을 향하는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어 넓은 면이 상방을 향하고 전방 측으로 연장되는 제 2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직교하며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하단부로부터 전방 측으로 연장되는 제 3 플레이트 및 상기 제 3 플레이트와 직교하며 상기 제 3 플레이트의 전방 측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2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제 4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3 플레이트 및 상기 제 4 플레이트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을 통해 좌우로 연장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 3 플레이트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 및 상기 제 1 지지대가 안치되고, 내부에 상기 제 1 지지대가 상방으로 회전하였을 때 상기 제 1 지지대를 수용하는 공간을 구비하며, 일측면 및 타측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장공이 형성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타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장공은,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길이보다 큰 길이를 갖는 상측부분과,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상단의 회전반경에 대응되도록 라운드진 하측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체보관함은, 제 1 매체를 지지하며, 상방으로 회전 가능한 제 1 지지대, 상기 제 1 지지대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고 제 2 매체를 지지하는 제 2 지지대, 상기 제 2 지지대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제 1 지지대가 상방으로 회전하였을 때 상기 제 1 지지대의 상승을 억제하는 상승억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승억제모듈은,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부재와 함께 회동하는 롤러 및 상기 회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부재와 함께 회동하되 상기 롤러보다 전방 측에 위치하는 간섭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력을 생성하는 회전유닛, 상기 회전유닛으로부터 상기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제 1 기어, 상기 제 1 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제 1 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랙기어,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랙기어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해 회전하는 제 2 기어 및 상기 제 1 지지대와 연결되며 상기 제 2 기어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또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제 2 기어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하고, 상기 회동부재 중 상기 제 2 기어보다 상측에 위치한 부분은 상기 랙기어가 상승할 때 회동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랙기어의 상승이 시작된 이후, 상기 랙기어의 상단은 상기 롤러를 밀어 올리고, 상기 롤러가 밀어 올려짐에 따라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간섭부재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축 위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승억제모듈은, 양단이 각각 상기 상승억제모듈과 상기 매체보관함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랙기어의 상승에 따라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 시에는 신장되다가, 상기 랙기어가 하강하여 상기 랙기어의 상단이 상기 롤러를 밀어 올리지 않으면 탄성복원력으로 상기 회동부재를 반대로 회동시키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종류의 작업을 위한 매체가 보관될 수 있는 매체보관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금융자동화기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보관함을 이용하여 제 1 매체에 대한 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매체보관함을 이용하여 제 2 매체에 대한 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매체보관함에서 제 1 지지대 및 그 주변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제 1 지지대 및 그 주변 구성들을 확대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구성들을 위에서 아래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구성들을 옆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4에서 제 1 지지대가 상방으로 회전하였을 때의 제 1 지지대 및 그 주변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서 제 1 지지대 및 그 주변 구성들을 확대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구성들을 위에서 아래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구성들을 옆에서 바라본 보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매체보관함의 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4에서 제 1 지지대가 상승하였을 때의 제 1 지지대 및 그 주변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제 1 지지대, 가이드샤프트, 가이드블록 및 그 주변 구성들을 위에서 아래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도 13에서 제 1 지지대, 가이드샤프트, 가이드블록 및 그 주변 구성들을 확대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8에서 제 1 지지대, 가이드샤프트, 가이드블록 및 그 주변 구성들을 확대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기술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기술 사상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금융자동화기기(1)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금융자동화기기(1)는 본체(10), 카드삽입부(2), 디스플레이부(3), 입력부(4) 및 입출금부(5)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카드 또는 통장을 카드삽입부(2)에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거래가 개시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3)는 해당 거래의 과정, 내역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해당 거래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입력부(4)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고 거래의 종류 등을 선택할 수 있다. 해당 거래에 의해 거래되는 지폐 등은 입출금부(5)를 통해 금융자동화기기(1)의 외부 또는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금융자동화기기(1)의 일측에는 계원호출용 전화기(6)가 설치될 수 있다. 금융자동화기기(1)에 특정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인력(人力)이 필요한 경우, 금융자동화기기(1)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계원호출용 전화기(6)를 이용하여 은행직원, 보안요원, 정비기사 등과 통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금융자동화기기(1)의 본체(10) 내부에는 매체보관함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체보관함에는 지폐, 수표, 티켓, 지로용지 등이 보관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매체보관함이 금융자동화기기(1)에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매체보관함은 지폐뿐만 아니라 모든 지엽류를 받아 보관할 수 있고, 보관되어 있던 지엽류를 외부로 반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보관함(100)을 이용하여 제 1 매체(m1)에 대한 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a)부터 (d)까지 순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a)를 참조하면, 매체보관함(100)에는 제 1 매체(m1)와 제 2 매체(m2)가 보관될 수 있다. 제 1 매체(m1)와 제 2 매체(m2)는 동종의 매체일 수도 있고, 이종의 매체일 수도 있다. 다만 제 1 매체(m1)와 제 2 매체(m2)는 서로 다른 종류의 작업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매체(m1)는 입금되어 임시로 저장되는 지폐일 수 있고, 제 2 매체(m2)는 출금을 위해 보관되는 지폐일 수 있다. 이들 제 1 매체(m1)와 제 2 매체(m2)는 서로 다른 종류의 작업을 위해 하나의 매체보관함(100) 내에서 각각 보관될 수 있고, 각각 매체보관함(100)으로 인입되거나 각각 매체보관함(100)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제 1 지지대(110)는 제 1 매체(m1)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지지대(120)는 제 1 지지대(110)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제 2 매체(m2)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제 2 매체(m2)는 제 1 지지대(110)와 제 2 지지대(120)의 사이에 보관될 수 있다.
매체보관함(100)의 상부에는 매체(m1, m2)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한 롤러부(11)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보관되고 있던 매체(m1, m2)의 외부로의 인출을 위해 상기 매체(m1, m2)를 픽업하는 픽업롤러(12)가 매체보관함(100)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b)를 참조하면, 제 2 지지대(120)는 별도의 구동유닛(미도시)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매체(m1)의 인출을 위해 제 2 지지대(120)는 상승할 수 있다. 제 2 지지대(120)가 상승하면 제 2 매체(m2)를 매개로 제 2 지지대(120)와 연결되는 제 1 지지대(110) 역시 상승할 수 있다. 제 1 지지대(110)의 상승에 따라 제 1 매체(m1)가 픽업롤러(12)에 접할 수 있고, 제 1 매체(m1)는 위에 있는 순서대로 픽업롤러(12)에 의해 픽업되어 매체보관함(100)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c)는 제 1 매체(m1)의 인출이 모두 완료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제 1 매체(m1)의 인출이 진행되면서 제 1 지지대(110) 및 제 2 지지대(120)는 지속적으로 상승할 수 있고, 제 1 매체(m1)의 인출이 모두 완료되면 제 1 지지대(110) 및 제 2 지지대(120)의 상승은 정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매체(m1)의 인출이 완료되면, 제 2 지지대(120)는 다시 구동유닛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 받아 하강할 수 있다. 제 2 매체(m2) 역시 제 2 지지대(120)에 의해 지지된 채 하강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지지대(110) 역시 제 2 매체(m2)에 의해 지지된 채 하강할 수 있다. 또한, 제 1 지지대(110)의 하강에는 제 1 지지대(110) 자체의 하중(자중)이 작용할 수 있고, 여기에 더하여 제 1 지지대(110)를 아래 방향으로 당기는 탄성력에 의해 하강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지지대(110) 및 제 2 지지대(120)가 하강한 이후에는, 제 1 매체(m1)가 매체보관함(100)으로 인입되어 제 1 지지대(110) 위에 적층될 수 있고, 또는 제 2 매체(m2)에 대한 작업(예를 들어, 출금)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매체보관함(100)을 이용하여 제 2 매체(m2)에 대한 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a)부터 (c)까지 순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a)는 도 2의 (d)와 동일한 도면이다. 상술하였듯이, 이 상태에서 제 2 매체(m2)의 인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매체(m2)의 인출이 이루어지려면 제 2 매체(m2)와 픽업롤러(12)가 접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a)와 같은 상태에서는 제 2 지지대(120)가 상승한다고 하더라도 제 1 지지대(110) 때문에 제 2 매체(m2)는 픽업롤러(12)에 접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제 1 지지대(110)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 시 상방으로 회전함으로써 퇴피할 수 있다. 이와 동시 또는 이시(異時)에, 역시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지지대(120)는 별도의 구동유닛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제공 받아 상승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2 매체(m2)도 상승할 수 있다.
(c)는 제 1 지지대(110)의 퇴피가 완료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 1 지지대(110)는 상방으로 회전하여 제 2 지지대(120) 및 제 2 매체(m2)의 상승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제 2 매체(m2)가 픽업롤러(12)에 접하게 되면, 제 2 매체(m2)는 픽업롤러(12)에 의해 매체보관함(10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 2 매체(m2)의 인출이 완료되면, 바로 제 2 매체(m2)의 인입 작업이 개시될 수 있다. 이 때에는 제 1 지지대(110)는 퇴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는, 제 2 매체(m2)의 인출이 완료되면, 제 1 매체(m1)의 인입 작업이 개시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제 1 지지대(110)의 퇴피 상태가 해제되어 제 1 지지대(110)는 하방 회전을 통해 다시 수평 상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 1 매체(m1)가 적층될 공간의 확보를 위해 제 1 지지대(110)와 제 2 지지대(120)는 하강할 수 있다. 이 때, 제 2 지지대(120)는 별도의 구동유닛에 의해 하강할 수 있으나, 제 1 지지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중 및/또는 탄성력에 의해 하강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매체보관함(100)에 있어서, 별도의 구동유닛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하며 매체를 지지하는 제 2 지지대(120)는 공지된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제 1 지지대(110)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매체보관함(100)에서 제 1 지지대(110) 및 그 주변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제 1 지지대(110) 및 그 주변 구성들을 확대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구성들을 위에서 아래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구성들을 옆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지지대(110)가 2개로 마련되어 서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으로 예시하였는데, 도 7에서는 바라보는 쪽과 가까운 제 1 지지대(110)는 명확한 이해를 위해 생략하였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은 도시를 생략하였다. 예를 들어, 모든 도면에서 매체보관함(100)의 내측면은 도시되지 않았고, 도 5 내지 도 7에서 도 4에는 도시된 브라켓(133), 베이스(128) 등의 구성은 도시되지 않았다.
또한, 이하에서 말하는 전방은 매체보관함(100)의 내부 중심부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이는 도 4에서 y 방향일 수 있다. 후방은 매체보관함(100)의 내측면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이는 도 4에서 ? 방향일 수 있다. 상방 및 하방은 도 4에서 각각 z 방향 및 ? 방향일 수 있고, 좌우는 도 4에서 각각 x 방향 및 ? 방향일 수 있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제 2 지지대(120)는 제 1 지지대(110)로부터 ? 방향으로 이격된 지점에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지지대(110)는 상방으로 회전하는 것을 통해 퇴피함으로써 제 2 지지대(120)의 상승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제 1 지지대(110)의 회전은 랙기어(127)의 상승 및 하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지지대(110)의 회전 동작을 간단하고 쉽게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랙기어(127) 자체의 형상으로 인하여 제 1 지지대(110)는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매체보관함(100)의 내측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베이스(128)의 일측에는 모터와 같은 회전유닛(115)이 제공될 수 있다. 회전유닛(115)은 외부로부터의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회전유닛(115)에서 생성되는 회전력은 복수의 기어(121, 122, 123, 124)에 의해 다른 대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기어(121, 122, 123, 124)는 순차적으로 상호 맞물려 있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기어(121, 122, 123, 124) 중 마지막 기어(124)는 x축을 따라 연장되는 축(125)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축(125)에는 제 1 기어(126) 역시 제공되어 상기 기어(124)와 상기 제 1 기어(126)는 동축 배치됨으로써 이들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랙기어(127)는 수직 방향, 즉 도 4를 기준으로 z축을 따라 배치될 수 있고, 앞서 설명한 제 1 기어(126)와 맞물려 제 1 기어(126)의 회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랙기어(127)는 다시 제 2 기어(130)와 맞물릴 수 있고, 상기 제 2 기어(130)는 제 3 기어(131)와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랙기어(127)가 상승 또는 하강하면 제 2 기어(130) 및 제 3 기어(131)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제 3 기어(131)는 회전축(132)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 3 기어(131)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축(132) 역시 회전할 수 있다.
제 1 지지대(110)는 전체적으로 L자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상기 회전축(132)에 연결되어 회전축(13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지지대(110)는 넓은 면이 전방을 향하는 제 1 플레이트(110a)와, 상기 제 1 플레이트(110a)와 수직으로 배치되어 넓은 면이 상방을 향하며 전방으로 연장 및 돌출되는 제 2 플레이트(11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플레이트(110a)와 제 2 플레이트(110b) 사이에는 제 3 플레이트(110c) 및 제 4 플레이트(110d)가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플레이트(110c)는 제 1 플레이트(110a)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고, 제 4 플레이트(110d)는 제 3 플레이트(110c)의 전방 측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제 2 플레이트(110b)와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플레이트(110d)의 수직 방향 높이는 제 1 플레이트(110a)의 수직 방향 높이 보다 작을 수 있다.
회전축(132)은 좌우 방향, 즉 도면을 기준으로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회전축(132)의 대략 중앙 지점에 제 3 기어(131)가 제공될 수 있다. 제 3 기어(131)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132) 역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132)은 제 1 지지대(110)에 결합되어 회전축(132)이 회전할 때 제 1 지지대(110) 역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회전축(132)은 제 1 플레이트(110a)와 제 3 플레이트(110c)와 제 4 플레이트(110d)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 제공될 수 있고, 회전축(132)의 하면은 제 3 플레이트(110c)에 접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132)은 제 1 플레이트(110a) 및/또는 제 4 플레이트(110d)와도 접할 수 있다. 한편, 회전축(132)은 체결부재(19)에 의해 제 1 지지대(110)의 제 3 플레이트(110c)에 체결될 수 있다. 아울러, 회전축(132)은 브라켓(133)에 안치될 수 있다. 브라켓(133)은 매체보관함(100)의 내측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회전축(132) 및 제 1 지지대(11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브라켓(133)에 대하여는 뒤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매체보관함(110)은 상승억제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승억제모듈(140)은 제 1 지지대(110)가 상방으로 회전한 상태일 때, 즉 제 1 지지대(110)가 퇴피한 상태일 때 제 1 지지대(110)의 상승을 억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반면, 제 1 지지대(110)가 퇴피되지 않은 상태,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일 때에는 제 1 매체(m1)에 대한 작업 시 필요에 따라 제 1 지지대(110)가 상승되어야 하므로 이 때에는 상승억제모듈(140)은 제 1 지지대(110)의 상승을 억제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승억제모듈(140)은 회동부재(141), 롤러(142), 간섭부재(143) 및 탄성체(144)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부재(141)는 외력에 의해 일지점을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동부재(141)는 제 2 기어(13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것으로 예시한다. 그리고 이러한 회동부재(141)에 롤러(142)와 간섭부재(143)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들 롤러(142) 및 간섭부재(143)는 회동부재(141)의 회동에 따라 함께 회동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관점에 따라서는, 롤러(142)가 직접적으로 외력을 받을 수 있고, 이에 의해 회동부재(141), 롤러(142) 및 간섭부재(143)가 모두 함께 회동하는 것이라고 이해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대(110)가 수평 배치되어 있는 상태(퇴피되지 않은 상태)에서 롤러(142)는 간섭부재(143)보다 더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랙기어(127)가 상승함에 따라 랙기어 상단(127a)이 롤러(142)를 밀어올릴 수 있고, 이에 따라 회동부재(141), 롤러(142) 및 간섭부재(143)가 회동하면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에 따라 최종적으로는 간섭부재(143)가 회전축(132) 위에 위치하여 제 1 지지대(110)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잘 도시되어 있듯이, 탄성체(144)는 그 양단이 각각 상승억제모듈(140)과 매체보관함(10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이 회동부재(141), 롤러(142) 및 간섭부재(143)가 회동하여 전방으로 돌출될 때에는 신장될 수 있고, 추후 랙기어 상단(127a)에 의한 상방 지지력이 없어진다면 신장에 따른 탄성복원력을 회동부재(141), 롤러(142) 및 간섭부재(143)에 제공하여 이들 회동부재(141), 롤러(142) 및 간섭부재(143)가 다시 반대로 회동함으로써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에서 롤러(142)는 간섭부재(143)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간섭부재(143)는 제 1 지지대(110)가 퇴피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회전축(132) 위에 위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간섭부재(143) 역시 롤러 형태로 제공된 후 회전축(132)에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회전축(132)의 상승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제 1 지지대(11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필요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지지대(110)는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그대로 상승할 경우도 있는데, 이 때 제 1 매체(m1)의 기울어짐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제 1 지지대(110)는 수평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매체보관함(100)은 회동억제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억제부재(150)는 제 1 지지대(110)의 제 1 플레이트(110a)의 후면에 접할 수 있고, 제 1 플레이트(110a)를 전방 측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플레이트(110a)는 이 상태에서 회전할 수가 없고, 결과적으로 제 1 지지대(110)는 회전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회동억제부재(150)는 랙기어(127)의 후면을 지지하며 랙기어(127)보다 상부로 더 돌출되는 지지체(129)의 상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지지체(129)는 랙기어(127)와 일체로 이동하므로 회동억제부재(150) 역시 랙기어(127)가 상승하면 함께 상승하고 랙기어(127)가 하강하면 함께 하강할 수 있다.
뒤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제 1 지지대(110)의 회전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에는 회동억제부재(150)는 제 1 지지대(110)보다 상승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더 이상 제 1 플레이트(110a)를 지지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회동억제부재(150)는 제 1 플레이트(110a)의 후면 상에서 롤링 가능한 롤러일 수 있다. 이로써, 회동억제부재(150)의 상승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 1 매체(m1)에 대한 작업을 위해 제 1 지지대(110)가 상승하는 경우, 회동억제부재(150)는 제 1 지지대(110)를 소정 거리 가이드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체보관함(100)은 가이드샤프트(160), 가이드블록(161) 및 탄성체(17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샤프트(160)는 브라켓(133)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고, 가이드블록(161)은 상기 가이드샤프트(160)에 관통된 채 상기 가이드샤프트(160)를 따라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체(170)의 상단은 회전축(132)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고, 하단은 매체보관함(11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지지대(110) 및 회전축(132)이 상승하면 탄성체(170)는 신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1 지지대(110) 및 회전축(132)에 아래 방향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결국, 제 1 지지대(110) 및 회전축(132)은 하강 시 자중 및 상기 탄성복원력에 의해 보다 신속하게 하강할 수 있다.
도 8은 도 4에서 제 1 지지대(110)가 상방으로 회전하였을 때의 제 1 지지대(110) 및 그 주변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서 제 1 지지대(110) 및 그 주변 구성들을 확대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구성들을 위에서 아래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구성들을 옆에서 바라본 보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서는 도 7에서와 마찬가지로 바라보는 쪽과 가까운 제 1 지지대(110)는 도시하지 않았고, 도 9 내지 도 11에서도 도 5 내지 도 7에서와 마찬가지로 브라켓(133), 베이스(128) 등의 구성은 도시되지 않았다. 또한, 방향 관계도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회전유닛(115)에 의해 회전력이 생성되면, 그러한 회전력은 복수의 기어(121, 122, 123, 124)를 통해 축(125)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축(125)은 전방으로 회전할 수 있고, 축(125) 상에 제공되는 제 1 기어(126) 역시 전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 1 기어(126)의 위와 같은 회전에 의해 랙기어(127)는 상승될 수 있다. 랙기어(127)의 상승에 따라 랙기어(127)와 맞물리는 제 2 기어(130)는 전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 2 기어(130)의 위와 같은 회전에 의해 제 2 기어(130)와 맞물리는 제 3 기어(131)는 후방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제 3 기어(131)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132) 역시 후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132)이 후방으로 회전함에 따라 회전축(132)에 연결된 제 1 지지대(110)는 상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브라켓(133)에는 상방으로 회전한 제 1 지지대(11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이처럼, 제 1 지지대(110)가 상방으로 회전하여 퇴피함으로써 제 2 지지대(120)와 제 2 매체(m2)는 아무런 간섭 없이 상승할 수 있다.
한편, 랙기어(127)가 상승하면서 랙기어 상단(127a)은 상승억제모듈(140)의 롤러(142)를 아래에서 위로 밀어 올릴 수 있다. 연쇄적으로, 롤러(142)가 밀어 올려지면서 회동부재(141) 및 간섭부재(143)는 롤러(142)와 함께 제 2 기어(13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 때, 회동부재(141), 롤러(142) 및 간섭부재(143)는 회동하면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승억제모듈(140)이 회동하면서 전방으로 돌출되면, 간섭부재(143)는 회전축(132)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때에는 제 1 지지대(110)는 더 이상 상승될 수 없을 수 있다.
아울러, 상승억제모듈(140)이 위와 같이 전방으로 돌출하면서 회동함에 따라 탄성체(144)는 신장될 수 있다. 추후, 랙기어(127)가 하강하여 랙기어 상단(127a)이 더 이상 롤러(142)를 밀어 올리지 않는다면, 상기 탄성체(144)가 제공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승억제모듈(140)은 다시 반대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앞서, 제 1 지지대(110)가 상방으로 회전하는 것을 통해 퇴피한다고 설명하였는데, 이러한 제 1 지지대(110)의 회전 퇴피는 회전억제부재(150)의 지지 해제가 있어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랙기어(127)가 상승하면 랙기어(127)와 일체로 이동하는 지지체(129)의 상단부에 제공되는 회전억제부재(150) 역시 상승할 수 있다. 도 11에 잘 나와 있듯이, 회전억제부재(150)는 퇴피되지 않았을 때의 제 1 지지대(110)의 제 1 플레이트(110a)보다 상방으로 이격된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플레이트(110a)는 더 이상 회전억제부재(150)로부터 전방 측으로의 지지력을 제공받지 않을 수 있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2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매체보관함(100)의 브라켓(133)을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회전축(132)은 브라켓(133)의 바닥면에 안치되어 상방 지지될 수 있다.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브라켓(133)의 중심부에는 상방으로 회전된 제 1 지지대(11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133a)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133)의 일측 및 타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장공(133b, 133c, 133d)이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133)의 일측에 마련되는 장공(133b)에는 회전축(132)이 관통할 수 있고, 제 1 지지대(110)의 상승 또는 하강 시 회전축(132)은 상기 장공(133b)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133)의 타측에 마련되는 장공(133c, 133d)에도 역시 회전축(132)이 관통될 수 있으며, 제 1 지지대(110)의 상승 또는 하강 시 회전축(132)은 상기 장공(133c, 133d)에 의해 아무런 간섭 없이 승하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장공(133c, 133d)의 상측부분(133c)은 제 1 지지대(110)의 제 2 플레이트(110b)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고, 하측부분(133d)은 제 1 플레이트(110a)의 상단의 회전반경에 대응되도록 라운드(R)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도 4에서 제 1 지지대(110)가 상승하였을 때의 제 1 지지대(110) 및 그 주변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 1 매체(m1)에 대한 작업을 위해 제 1 지지대(110)는 상승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지지대(110)는 별도의 구동유닛(미도시)에 의해 상승하는 제 2 지지대(120) 및 제 2 매체(m2)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통해 상승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지지대(110)가 상승함에 따라 회전축(132)의 양단부에 각각 그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탄성체(170a, 170b)는 신장될 수 있다.
제 1 매체(1)에 대한 소정의 작업이 완료되면, 필요 시 제 1 지지대(110)는 다시 하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제 2 지지대(120)는 별도의 구동유닛에 의해 하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지지대(110)는 자중 및 상기 탄성체(170a, 170b)가 제공하는 아래 방향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신속하게 안정적으로 하강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제 1 지지대(110)의 상승 및 하강을 안내하기 위해 매체보관함(100)은 가이드샤프트(160)와 가이드블록(161)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샤프트(160)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그 양단은 브라켓(133)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블록(161)에는 가이드블록(161)을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샤프트(160)는 상기 관통홀에 끼워질 수 있고, 가이드블록(161)은 가이드샤프트(160)에 의해 관통된 채 가이드샤프트(16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블록(161)은 회전축(132)과 연결되고, 따라서 가이드블록(161)과 회전축(132)은 함께 상승 및 하강을 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3에서 제 1 지지대(110), 가이드샤프트(160), 가이드블록(161) 및 그 주변 구성들을 위에서 아래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지지대(110)는 체결부재(19)에 의해 회전축(132)에 체결될 수 있고, 회전축(132)은 가이드블록(161)에 연결될 수 있으며, 가이드블록(161)은 관통홀(162)에 끼워진 가이드샤프트(160)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샤프트(160)는 그 단면이 원형인 원기둥 형태일 수 있고, 관통홀(162)은 장공 형태이거나 타원형일 수 있다. 관통홀(162)의 짧은 직경(d1)은 가이드샤프트(160)의 직경(D)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가이드샤프트(160)는 도 14를 기준으로 아래 또는 위로는 기울어질 수 없을 수 있다. 반면, 관통홀(162)의 긴 직경(d2)은 가이드샤프트(160)의 직경(D)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샤프트(160)는 도 14를 기준으로 좌우로 기울어질 수 있고, 이는 가이드블록(161)이 가이드샤프트(160)에 대하여 좌우로 기울어질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결국, 가이드블록(161)과 연결된 회전축(132) 및 제 1 지지대(110)는 좌우로 기울어질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도 13에서 제 1 지지대(110), 가이드샤프트(160), 가이드블록(161) 및 그 주변 구성들을 확대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상기 구성들을 전방 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16은 상기 구성들을 후방 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32)은 가이드블록(161)을 관통하는 방식으로 가이드블록(161)에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회전축(132)과 가이드블록(161)은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한편, 제 1 지지대(110)는 안정적인 회전을 위해 회전 간에 가이드블록(161)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체보관함(110)은 회전가이드(165)를 포함할 수 있고, 이 회전가이드(165)의 일단은 제 1 지지대(110)의 제 1 플레이트(110a)에 고정될 수 있으며, 타단은 가이드블록(161)의 외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가이드블록(161)의 외측면에는 회전가이드(165)의 타단의 회전반경에 대응되도록 라운드진 가이드홈(163)이 함몰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회전가이드(165)의 타단은 가이드홈(163)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제 1 지지대(110)가 회전할 때 회전가이드(165)의 타단은 가이드홈(163) 내에서만 안정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1 지지대(110)의 안정적인 회전이 보장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제 1 지지대(110)가 퇴피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회전가이드(165)의 타단은 가이드홈(163)의 일단부에 위치할 수 있고, 도 17에서 확인 가능하듯이, 제 1 지지대(110)가 상방으로 회전하여 퇴피하는 경우에는 회전가이드(165)의 타단은 가이드홈(163)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가이드홈(163)의 타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기술 사상의 일부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기술 사상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고, 그와 같은 실시는 모두 본 기술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금융자동화기기 2: 카드삽입부
3: 디스플레이부 4: 입력부
5: 입출금부 10: 본체
100: 매체보관함 110: 제 1 지지대
120: 제 2 지지대 126: 제 1 기어
127: 랙기어 130: 제 2 기어
131: 제 3 기어 132: 회전축
140: 상승억제모듈 141: 회동부재
142: 롤러 143: 간섭부재
150: 회전억제부재 160: 가이드샤프트
161: 가이드블록

Claims (11)

  1. 제 1 매체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대;
    상기 제 1 지지대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고, 제 2 매체를 지지하는 제 2 지지대;
    상기 제 2 지지대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랙기어; 및
    상기 랙기어의 상승 또는 하강에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 1 지지대와 연결되어 회전 시 상기 제 1 지지대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매체에 대한 작업을 위해 상기 제 2 지지대가 상승할 때, 상기 제 1 지지대는 상기 랙기어 및 상기 회전축에 의해 상방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 2 지지대의 상승을 방해하지 않는 매체보관함.
  2. 제 1 항에 있어서,
    회전력을 생성하는 회전유닛;
    상기 회전유닛으로부터 상기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며, 상기 랙기어와 맞물려 상기 랙기어의 상승 또는 하강을 유도하는 제 1 기어; 및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랙기어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 2 기어를 더 포함하는 매체보관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가 상승될 때 상기 제 1 지지대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방으로 회전하는 매체보관함.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대는,
    넓은 면이 전방을 향하는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어 넓은 면이 상방을 향하고, 전방 측으로 연장되는 제 2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직교하며,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하단부로부터 전방 측으로 연장되는 제 3 플레이트; 및
    상기 제 3 플레이트와 직교하며, 상기 제 3 플레이트의 전방 측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2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제 4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3 플레이트 및 상기 제 4 플레이트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을 통해 좌우로 연장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 3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매체보관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및 상기 제 1 지지대가 안치되고, 내부에 상기 제 1 지지대가 상방으로 회전하였을 때 상기 제 1 지지대를 수용하는 공간을 구비하며, 일측면 및 타측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장공이 형성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타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장공은,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길이보다 큰 길이를 갖는 상측부분과,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상단의 회전반경에 대응되도록 라운드진 하측부분을 포함하는 매체보관함.
  6. 제 1 매체를 지지하며, 상방으로 회전 가능한 제 1 지지대;
    상기 제 1 지지대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고, 제 2 매체를 지지하는 제 2 지지대;
    상기 제 2 지지대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제 1 지지대가 상방으로 회전하였을 때 상기 제 1 지지대의 상승을 억제하는 상승억제모듈을 포함하는 매체보관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억제모듈은,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부재와 함께 회동하는 롤러; 및
    상기 회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부재와 함께 회동하되, 상기 롤러보다 전방 측에 위치하는 간섭부재를 포함하는 매체보관함.
  8. 제 6 항에 있어서,
    회전력을 생성하는 회전유닛;
    상기 회전유닛으로부터 상기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제 1 기어;
    상기 제 1 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제 1 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랙기어;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랙기어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해 회전하는 제 2 기어; 및
    상기 제 1 지지대와 연결되며, 상기 제 2 기어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는 매체보관함.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제 2 기어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하고, 상기 회동부재 중 상기 제 2 기어보다 상측에 위치한 부분은 상기 랙기어가 상승할 때 회동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되는 매체보관함.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의 상승이 시작된 이후, 상기 랙기어의 상단은 상기 롤러를 밀어 올리고, 상기 롤러가 밀어 올려짐에 따라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간섭부재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축 위에 위치되는 매체보관함.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억제모듈은,
    양단이 각각 상기 상승억제모듈과 상기 매체보관함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랙기어의 상승에 따라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 시에는 신장되다가, 상기 랙기어가 하강하여 상기 랙기어의 상단이 상기 롤러를 밀어 올리지 않으면 탄성복원력으로 상기 회동부재를 반대로 회동시키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매체보관함.
KR1020140140091A 2014-10-16 2014-10-16 매체보관함 KR101638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091A KR101638128B1 (ko) 2014-10-16 2014-10-16 매체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091A KR101638128B1 (ko) 2014-10-16 2014-10-16 매체보관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955A true KR20160044955A (ko) 2016-04-26
KR101638128B1 KR101638128B1 (ko) 2016-07-08

Family

ID=55919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091A KR101638128B1 (ko) 2014-10-16 2014-10-16 매체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1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419B1 (ko) * 2020-06-15 2020-07-21 주식회사 오디너리코퍼레이션 컵 디스펜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1502B2 (ja) * 1991-07-31 1999-08-25 株式会社東芝 紙葉類の集積装置
JP2002150363A (ja) * 2000-11-14 2002-05-24 Oki Electric Ind Co Ltd 自動取引装置
KR101250693B1 (ko) * 2011-10-10 2013-04-03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KR20130051724A (ko) 2011-11-10 2013-05-21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보관함 및 금융기기
KR20130084263A (ko) * 2012-01-16 2013-07-24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집적 시봉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1502B2 (ja) * 1991-07-31 1999-08-25 株式会社東芝 紙葉類の集積装置
JP2002150363A (ja) * 2000-11-14 2002-05-24 Oki Electric Ind Co Ltd 自動取引装置
KR101250693B1 (ko) * 2011-10-10 2013-04-03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KR20130051724A (ko) 2011-11-10 2013-05-21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보관함 및 금융기기
KR20130084263A (ko) * 2012-01-16 2013-07-24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집적 시봉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419B1 (ko) * 2020-06-15 2020-07-21 주식회사 오디너리코퍼레이션 컵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8128B1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32506B1 (en) Teller cash recycler
US9633529B2 (en) Medium pick-up apparatus, medium process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JP2011145782A (ja) 紙幣収納庫および紙幣取扱装置
EP1717763B1 (en) Shutter apparatus of cash transaction machine
WO2014087826A1 (ja) 媒体処理装置
KR101638128B1 (ko) 매체보관함
KR20100080113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KR101688917B1 (ko) 매체보관함
KR20160045416A (ko) 매체보관함
KR101035189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JP5987746B2 (ja) 引出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KR20100080118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JP6221740B2 (ja)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収納カセット
KR20160077908A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JP5500146B2 (ja) 媒体取引装置
KR20160077780A (ko) 다권종 카세트장치
JP6264153B2 (ja) 媒体収納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KR20100080115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KR102094435B1 (ko) 금융 자동화기기
JP4321513B2 (ja) 紙幣収納装置および紙幣処理装置
KR101628206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KR20170132492A (ko) 매체 보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101426589B1 (ko) 매체보관함,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
KR101016494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100820345B1 (ko) 자동출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