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2159A -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2159A
KR20130072159A KR1020120149283A KR20120149283A KR20130072159A KR 20130072159 A KR20130072159 A KR 20130072159A KR 1020120149283 A KR1020120149283 A KR 1020120149283A KR 20120149283 A KR20120149283 A KR 20120149283A KR 20130072159 A KR20130072159 A KR 20130072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region
forming
gate electrode
mos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3600B1 (ko
Inventor
유키마사 미나미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72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2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8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 H01L21/823814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ource or drain structures, e.g. specific source or drain implants or silicided source or drain structures or raised source or drain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8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8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 H01L21/823828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ate conductors, e.g. particular materials, shapes
    • H01L21/82385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ate conductors, e.g. particular materials, shapes gate conductors with different shapes, lengths or dimens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8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 H01L21/823857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ate insulating layers, e.g. different gate insulating layer thicknesses, particular gate insulator materials or particular gate insulator impl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8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 H01L21/823885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vertical transistor structures, i.e. with channel vertical to the substrate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0Bipolar devices
    • H01L29/72Transistor-type devices, i.e. able to continuously respond to applied control signals
    • H01L29/73Bipolar junction transistors
    • H01L29/737Hetero-junction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03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 H01L29/0642Isolation within the component, i.e. internal isolation
    • H01L29/0649Dielectric regions, e.g. SiO2 regions, air gaps
    • H01L29/0653Dielectric regions, e.g. SiO2 regions, air gaps adjoining the input or output region of a field-effect device, e.g. the source or drain reg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674DMOS transistors, i.e. MISFETs with a channel accommodating body or base region adjoining a drain drift region
    • H01L29/66712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 H01L29/66727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with a step of recessing the source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674DMOS transistors, i.e. MISFETs with a channel accommodating body or base region adjoining a drain drift region
    • H01L29/66712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 H01L29/66734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with a step of recessing the gate electrode, e.g. to form a trench gate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01DMOS transistors, i.e. MISFETs with a channel accommodating body or base region adjoining a drain drift region
    • H01L29/7802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 H01L29/7813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with trench gate electrode, e.g. UMOS tran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과제) 동극 게이트를 가진 저내압 소자 및 고내압 소자의 횡형 M0S 트랜지스터와 종형 트렌치 MOSFET 혼재의 반도체 장치의 전기 특성의 안정화를 도모한다.
(해결 수단) 트렌치 게이트 전극 상을 제외한 영역에 마스크가 되는 포토레지스트를 형성하고, 트렌치 게이트 전극 상의 제 3 게이트 절연막을 에칭하여 제거한다. 그 후 제 2, 제 3 게이트 절연막 상 뿐만 아니라 트렌치 게이트 전극 상에도 논도프의 다결정 실리콘층을 성막하고, 이온 주입법에 의해 저내압 및 고내압의 NMOS 트랜지스터 및 PMOS 트랜지스터의 다결정 실리콘층에 각각 마스크를 사용하여 N 형 및 P 형의 고농도 불순물을 도입한다. 이어서 이방성 에칭을 실시하여, 제 2 게이트 전극을 형성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트렌치 내부의 제 1 게이트 전극과 횡형 MOS 트랜지스터에서 사용되는 제 2 게이트 전극을 적층화하고, 에칭에 의한 편차를 억제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동극 (同極) 게이트를 가진 저내압의 횡형 M0S 트랜지스터와 고내압의 횡형 MOS 트랜지스터 및 종형 트렌치 MOSFET 을 혼재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종 다양한 휴대 기기가 유통되게 되어, 그것들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에는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고, 메모리 효과가 발생하지 않는 Li 이온 전지가 다용되고 있다. 그에 수반하여, Li 이온 전지의 과충전, 과방전을 검출하는 보호용 IC 도 필수가 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 전화용 Li 이온 전지는 3.6 V 정도의 전지 전압이 되지만, 충전할 때에는 20 V 이상의 전압이 가해지는 경우도 있어, 보호용 IC 로는 고내압을 갖는 소자를 포함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보호용 IC 의 사양을 만족할 수 있는 CM0S 트랜지스터 프로세스는 저내압에 적합한 M0S 트랜지스터 및 고내압에 적합한 M0S 트랜지스터를 형성할 수 있을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고내압 소자는 그 사양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소자 사이즈를 어느 정도 크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IC 의 전체를 고내압 소자로 구성한 경우, 최종적인 칩 사이즈가 증대되고, 비용 경쟁력이 없는 IC 가 되어, 시장의 가격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키는 것은 곤란해져 버리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고전압이 인가되는 회로 부분에만 고내압 소자를 사용하고, 그 밖의 회로 영역은 저내압 소자를 사용함으로써 칩 사이즈를 억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보호용 IC 에 트렌치형의 파워 MOSFET 을 내장한 경우, 새로운 칩 사이즈 축소와 함께, 파워 MOSFET 의 온 저항 저감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요구에 의해, 보호용 IC 인 반도체 장치의 제조 프로세스로는 저내압 프로세스 및 고내압 프로세스 및 트렌치 프로세스를 혼재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이 필수이다.
이하에, 동극 게이트를 가진 저내압 및 고내압의 횡형 M0S 트랜지스터와 종형 트렌치 MOSFET 혼재의 반도체 장치의 종래의 제조 방법을 도 11(a) ∼ 도 14(b) 를 사용하여 간결하게 나타낸다. 이하에 기재한 (1) ∼ (5) 의 제조 방법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먼저 (1) ∼ (5) 와 같이 형성된다.
(1) 이온 주입법에 의해 트렌치 형성 예상 영역에 고농도 매립층을 형성한다.
(2) 에피텍셜법에 의해 P 형 반도체의 베이스 기판 상에 P 형 에피층을 형성한다.
(3) 이온 주입법에 의해 저내압 소자 및 고내압 소자의 횡형 MOS 트랜지스터 및 종형 트렌치 MOSFET 의 각 웰층을 형성한다.
(4) 소자 분리 영역 및 고내압 소자의 전계 완화 영역을 LOCOS 법 또는 쉘로우 트렌치법에 의해 형성한다.
(5) 이온 주입법에 의해 고내압 소자의 전계 완화 영역에 제 1 의 저농도 영역을 형성한다.
그 후, 도 11(a) ∼ 도 14(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성되어, 동극 게이트를 가진 저내압 소자 (102) 및 고내압 소자 (103) 의 횡형 MOS 트랜지스터와 종형 트렌치 MOSFET (l01) 혼재의 반도체 장치가 구성된다.
(a) N 형 제 1 의 웰층 (302) 상의 N 형의 종형 MOS 트랜지스터 (101) 형성 예정 영역에, P 형 반도체 기판 (203) 의 내부를 향하여 N 형의 매립층 (301) 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까지 이방성 에칭을 실시하여, 트렌치 (310) 을 형성한다.
(b) P 형 반도체 기판 (203) 상의 표면 및 트렌치의 벽면을 따라 제 1 게이트 절연막 (311) 을 열산화에 의해 형성한다.
(c) 제 1 게이트 절연막 (311) 상에 N 형의 이온 도프된 제 1 다결정 실리콘층 (312) 을 성막한다.
(d) 제 1 다결정 실리콘층 (312) 에 대하여 에칭을 실시하여, 트렌치 내에 게이트 전극 (312) 을 형성한다.
(e) P 형 반도체 기판 (203) 상 전체면에 질화막 (313) 을 성막하고, 포토리소그래피법을 사용하여 고내압 소자 이외의 영역에 포토레지스트를 형성하고, 그 포토레지스트를 마스크로 하여 고내압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되는 영역만 질화막 (313) 을 에칭하여 제거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두꺼운 제 2 게이트 절연막 (314) 를 열산화에 의해 형성한다.
(f) 질화막 (313) 을 제거한 후, P 형 반도체 기판 (203) 상 전체면에 저내압 소자용의 횡형 MOS 트랜지스터 (102) 의 제 3 게이트 절연막 (315) 을 열산화에 의해 형성한다.
(g) 제 2 및 제 3 게이트 절연막 (314 및 315) 상 및 트렌치 게이트 전극 상에도 논도프의 제 2 다결정 실리콘층 (322) 을 성막하고 이온 주입법에 의해 저내압 소자 및 고내압 소자의 NMOS 트랜지스터 및 PMOS 트랜지스터의 제 2 다결정 실리콘층 (322) 에 N 형 및 P 형의 고농도 불순물을 각각 마스크를 사용하여 도입한다.
(h) 제 2 다결정 실리콘층 (322) 에 대하여 에칭을 실시하여, 저내압 소자 및 고내압 소자의 횡형 MOS 트랜지스터의 제 2 의 N 형 게이트 전극 (316) 및 제 2 의 P 형 게이트 전극 (317) 을 형성한다.
(i) P 형 제 2 의 웰층 (304) 상의 N 형의 횡형 MOS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 (102) 의 제 2 게이트 전극 (316) 을 마스크로 자기 정합적으로 N 형 불순물을 도입하여, 제 2 저농도 N 형 불순물 영역 (318) 을 형성한다. 또, N 형 제 2 의 웰층 (305) 상의 P 형의 횡형 MOS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 (102) 의 제 2 게이트 전극 (317) 을 마스크로 자기 정합적으로 P 형 불순물을 도입하여, 제 2 저농도 P 형 불순물 영역 (319) 을 형성한다. 그 후에, CVD 법 등에 의해 산화막을 형성하고, 이방성 에칭을 실시함으로써, 제 2 게이트 전극 (316, 317) 의 측벽에 산화막 스페이서 (323) 를 형성한다.
(j) P 형 제 2 의 웰층 (304) 상의 N 형의 횡형 MOS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 (102) 의, 제 2 게이트 전극 (316) 으로부터 원하는 거리만큼 떨어진 영역, 및 N 형의 종형 MOS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의 트렌치 (310) 에 접한 표면 영역에, 이온 주입법에 의해 N 형의 고농도 불순물을 도입하여 소스·드레인 (320) 을 형성한다.
(k) N 형 제 2 의 웰층 (305) 상의 P 형의 횡형 MOS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 (102) 의 게이트 전극으로부터 원하는 거리만큼 떨어진 영역에 이온 주입법에 의해 P 형 고농도 불순물을 도입하여, 고농도 P 형 소스·드레인 (321) 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도시하지 않지만,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고, 층간 절연막에 전극 형성용 구멍을 뚫어, 알루미늄 전극을 형성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359294호
도 11(a) ∼ 도 14(b) 에 나타낸 종래의 동극 게이트를 가진 저내압 소자 및 고내압 소자의 횡형 MOS 트랜지스터와 종형 트렌치 MOSFET 이 혼재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도 12(a) 의 공정에서는 트렌치 내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기 위해서 다결정 실리콘을 성막하고, 트렌치 내부 이외의 다결정 실리콘을 전부 에칭하는 것인데, 이 때의 에칭 편차에 의해 트렌치 내의 게이트 전극의 두께가 변동한다. 이 변동에 의해 이 후에 P 기판 표면에 소스가 형성되었다고 하더라도, 게이트 전극단에 소스가 도달하지 않게 되어, 종형 트렌치 MOSFET 이 구동 능력 특성의 사양을 만족시키지 않는다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우려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동극 게이트를 갖는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저내압 소자 및 고내압 소자의 횡형 M0S 트랜지스터와 혼재되어도 전기 특성의 편차가 발생되기 어려운 안정적인 특성을 갖는 종형 트렌치 MOSFET 을 얻을 수 있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와 같은 수단을 사용한다.
먼저, 동극 게이트를 가진 저내압 및 고내압의 횡형 M0S 트랜지스터와 종형 트렌치 MOSFET 혼재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P 형 반도체의 베이스 기판 표면의 N 형의 종형 MOS 트랜지스터 형성 예정 영역에 N 형 매립층을 형성하는 N 형 매립층 형성 공정과, 베이스 기판 상에 P 형의 에피택셜 성장층을 형성하는 P 형 에피택셜 성장층 형성 공정과, 에피택셜 성장층 상의 저내압 소자용의 횡형 M0S 트랜지스터 및 고내압 소자용의 P 형의 횡형 MOS 트랜지스터 및 N 형의 종형 MOS 트랜지스터 형성 예정 영역에 N 형 제 1 의 웰층을 형성하는 N 형 제 1 의 웰층 형성 공정과, 고내압 소자용의 N 형의 횡형 MOS 트랜지스터 형성 예정 영역에 P 형 제 1 의 웰층을 형성하는 P 형 제 1 의 웰층 형성 공정과, N 형 제 1 의 웰층 상의 저내압 소자용의 N 형의 횡형 MOS 트랜지스터에 P 형 제 2 의 웰층을 형성하는 P 형 제 2 의 웰층 형성 공정과, N 형 제 1 의 웰층 상의 저내압 소자용의 P 형의 횡형 MOS 트랜지스터에 N 형 제 2 의 웰층을 형성하는 N 형 제 2 의 웰층 형성 공정과, N 형 제 1 의 웰층 상의 N 형의 종형 MOS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에 P 형의 보디 영역을 형성하는 보디 영역 형성 공정과, 소자 분리 영역 및 고내압 소자의 전계 완화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과, 고내압 소자의 전계 완화 영역에 제 1 의 저농도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과, N 형 제 1 의 웰층 상의 N 형의 종형 MOS 트랜지스터 형성 예정 영역에, P 형 반도체 기판의 내부를 향하여 N 형의 매립층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까지 이방성 에칭을 실시하여 트렌치를 형성하는 트렌치 형성 공정과, P 형 반도체 기판 상의 표면 및 트렌치의 벽면을 따라 제 1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제 1 게이트 절연막 형성 공정과, 제 1 게이트 절연막 상에 N 형의 이온 도프된 다결정 실리콘층을 성막하는 제 1 의 N 형 다결정 실리콘층 형성 공정과, 제 1 의 N 형 다결정 실리콘층에 대하여 에칭을 실시하여, 트렌치 내에 제 1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제 1 게이트 전극 형성 공정과, 고내압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할 예정 영역에 상대적으로 두꺼운 제 2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제 2 게이트 절연막 형성 공정과, P 형 반도체 기판 상 전체면에 저내압 소자용의 횡형 M0S 트랜지스터의 상대적으로 얇은 제 3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제 3 게이트 절연막 형성 공정과, 트렌치의 제 1 의 N 형 다결정 실리콘층 상의 제 3 게이트 절연막을 제거하는 에칭 공정과, 제 3 게이트 절연막 상에 논도프의 제 2 다결정 실리콘층을 성막하는 제 2 다결정 실리콘층 형성 공정과, 저내압 소자 및 고내압 소자의 NMOS 트랜지스터 및 PMOS 트랜지스터의 제 2 다결정 실리콘층에 N 형 및 P 형의 고농도 불순물을 도입하는 공정과, 제 2 다결정 실리콘층에 대하여 에칭을 실시하여 트렌치 제 1 게이트 전극 상 및 저내압 소자 및 고내압 소자의 횡형 MOS 트랜지스터의 제 2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제 2 게이트 전극 형성 공정과, P 형 제 2 의 웰층 상의 N 형의 횡형 MOS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의 제 2 게이트 전극을 마스크로 자기 정합적으로 N 형 불순물을 도입하여 제 2 저농도 N 형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저농도 N 형 영역 형성 공정과, N 형 제 2 의 웰층 상의 P 형의 횡형 MOS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의 제 2 게이트 전극을 마스크로 자기 정합적으로 P 형 불순물을 도입하여 제 2 저농도 P 형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저농도 P 형 영역 형성 공정과, P 형 제 2 의 웰층 상의 N 형의 횡형 MOS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의, 제 2 게이트 전극으로부터 원하는 거리만큼 떨어진 영역, 및 N 형의 종형 MOS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의, 트렌치에 접한 영역에, N 형 불순물을 도입하여 고농도 N 형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N 형 소스·드레인 형성 공정과, N 형 제 2 의 웰층 상의 P 형의 횡형 MOS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의 게이트 전극으로부터 원하는 거리만큼 떨어진 영역에 P 형 불순물을 도입하여 고농도 P 형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P 형 소스·드레인 형성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 한다.
또, 동극 게이트를 가진 저내압 소자 및 고내압 소자의 횡형 M0S 트랜지스터와 종형 트렌치 MOSFET 혼재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저내압 소자 및 고내압 소자의 NMOS 트랜지스터 및 PMOS 트랜지스터의 제 2 다결정 실리콘층에 N 형 및 P 형의 고농도 불순물을 도입하는 공정과, 제 2 의 웰층 상의 N 형 및 P 형의 횡형 MOS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의 제 2 게이트 전극으로부터 원하는 거리만큼 떨어진 영역, 및 N 형의 종형 MOS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의 트렌치에 접한 영역에, N 형 불순물 및 P 형 불순물을 도입하여 고농도 N 형 불순물 영역 및 고농도 P 형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소스·드레인 형성 공정을 동시에 실시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반도체 집적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공정 (f) 의 후에, 포토리소그래피법을 사용하여 트렌치 게이트 전극 상 이외의 영역에 포토레지스트를 형성하고, 그 포토레지스트를 마스크로 하여 트렌치 게이트 전극 상의 제 3 게이트 절연막을 에칭하여 제거한다. 그 후에 제 2, 제 3 게이트 절연막 상 및 트렌치 게이트 전극 상에도 논도프의 다결정 실리콘층을 성막하고, 이온 주입법에 의해 저내압 소자 및 고내압 소자의 NMOS 트랜지스터 및 PMOS 트랜지스터의 다결정 실리콘층에 N 형 및 P 형의 고농도 불순물을 각각 마스크를 사용하여 도입한다. 그 후에 이방성 에칭을 실시하여, 제 2 게이트 전극을 형성한다. 이상과 같은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트렌치 내부의 제 1 게이트 전극과 횡형 MOS 트랜지스터에서 사용되는 제 2 게이트 전극을 적층화함으로써 에칭 편차에 의해 트렌치 내의 게이트 전극의 두께가 변동되었다고 하더라도 게이트 전극단에 소스가 도달하지 않아, 특성의 사양을 만족시키지 않는 것은 해소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
도 2 는, 도 1 에 이어서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
도 3 은, 도 2 에 이어서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
도 4 는, 도 3 에 이어서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
도 5 는, 도 4 에 이어서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
도 6 은, 도 5 에 이어서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
도 8 은, 도 7 에 이어서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
도 9 는, 도 8 에 이어서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
도 10 은, 도 9 에 이어서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
도 11 은, 종래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
도 12 는, 도 9 에 이어서 종래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
도 13 은, 도 10 에 이어서 종래의 반도체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
도 14 는, 도 11 에 이어서 종래의 반도체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
이하에 이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 에 대하여 도 1(a) ∼ 도 6(b) 를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들 도면은 동극 (同極) 게이트를 가진 저내압 소자 및 고내압 소자의 횡형 M0S 트랜지스터와 종형 트렌치 MOSFET 혼재의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이다.
먼저, 도 1(a) 의 구조를 형성할 때까지의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P 형 반도체의 베이스 기판 (201) 을 준비하고, 이후에 N 형 종형 트렌치 MOSFET (101) 의 드레인이 되는 N 형 고농도 매립층 (301) 을 이온 주입법에 의해 형성한다. 불순물 농도는 N 형 종형 트렌치 MOSFET (101) 의 드레인 저항을 최대한 억제할 필요가 있어, 1 × 1021/㎤ 정도가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에피텍셜법에 의해 베이스 기판 (201) 상에 P 형 에피층 (202) 을 형성하여, P 형의 반도체 기판으로 한다. 이 P 형 에피층 (202) 의 두께 및 불순물 농도는 MOSFET 의 내압이나 구동 전류 등, 제조하는 반도체 집적 장치에 요구되는 성능으로부터 정해지는데, 대략 1 × 1015/㎤ 의 자리수 오더의 농도로 수 ㎛ ∼ 십 수 ㎛ 의 두께이다. 다음으로 이 P 형 에피층 (202) 상의 저내압 소자 영역 (102) 및 고내압 소자 영역 (103) 의 횡형 PMOS 트랜지스터 및 종형 트렌치 MOSFET 영역 (101) 에 제 1 의 N 형 웰층 (302) 을 형성한다. 이 때, 이 제 1 의 N 형 웰층 (302) 은 불순물 주입 및 고온 열처리에 의해, N 형 고농도 매립층 (301) 이 있는 영역에 있어서는 이것에 도달할 때까지 깊게 형성한다.
상기에서는 N 형 웰층 (302) 을 저내압 소자 영역 (102) 및 고내압 소자 영역 (103) 의 횡형 PMOS 트랜지스터에 있어서 동시에 형성하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다른 마스크를 준비하여, 각각 전용으로 형성해도 된다. 다른 마스크로 형성하는 경우, 종형 트렌치 MOSFET 의 특성에 맞춘 N 형 웰층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저내압 소자 영역 (102) 및 고내압 소자 영역 (103) 의 횡형 PMOS 트랜지스터 영역에 필요한 제 1 의 N 형 웰층보다 불순물 농도를 높게, 확산 깊이를 깊게 형성해도 된다. 특히 종형 트렌치 MOSFET 에 있어서, 이 제 1 의 N 형 웰층 (302) 은 저농도의 드레인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구동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농도를 진하게 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또 동일하게 하여 고내압 소자의 횡형 NMOS 트랜지스트 영역에 불순물 주입 및 고온 열처리에 의해 제 1 의 P 형 웰층 (303) 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 1 의 N 형 웰층 (302) 상의 저내압 소자 영역 (102) 의 횡형 NMOS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영역에, 마스크를 사용하여 표면 농도가 1 × 1017/㎤ 의 자리수 오더의 제 2 의 P 형 웰층 (304) 을 불순물 주입 및 고온 열처리에 의해 형성하고, 또한 횡형 PM0S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영역에, 다른 마스크를 사용하여 표면 농도가 1 × 1017/㎤ 의 자리수 오더의 제 2 의 N 형 웰층 (305) 을 불순물 주입 및 고온 열처리에 의해 형성한다.
다음으로 N 형 종형 트렌치 MOSFET (101) 의 영역에, 이 N 형 종형 트렌치 MOSFET (101) 의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P 형 보디 영역 (306) 을 불순물 주입 및 고온 열처리에 의해 형성한다. 이 조건은 이후에 형성되는 N 형 고농도의 드레인과의 접합 내압이나 구동 능력에 따라 변하지만, 표면 농도가 1 × 1O17/㎤ 의 자리수 오더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LOCOS 법 또는 쉘로우 트렌치법에 의해 필드 절연막 (309) 을 형성하여, 소자 분리 영역 및 고내압 소자 (103) 의 전계 완화 영역으로 한다. 다음으로 이온 주입법에 의해 고내압 소자 영역 (103) 의 NMOS 트랜지스터 및 PMOS 트랜지스터의 전계 완화 영역에 각각 마스크를 사용하여 N 형 및 P 형의 저농도 불순물을 도입하여, 제 1 의 N 형 저농도 영역 (307) 및 제 1 의 P 형 저농도 영역 (308) 을 형성한다.
그리고, N 형 제 1 의 웰층 (302) 상의 N 형의 종형 MOSFET (101) 형성 예정 영역에, P 형 반도체 기판 (203) 의 내부를 향하여 N 형의 매립층 (301) 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까지 이방성 에칭을 실시하여, 트렌치 (310) 를 형성한다. 이상의 공정을 거쳐 도 1(a) 의 구조가 얻어진다.
계속해서, 도 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 형 반도체 기판 (203) 상의 표면 및 트렌치의 벽면을 따라 제 1 게이트 절연막 (311) 을 열산화에 의해 형성한다. 그 두께는 10 내지 20 ㎚ 정도이다.
다음으로,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게이트 절연막 (311) 상에 N 형의 이온 도프된 다결정 실리콘을 감압 CVD 법 등에 의해 두께 0.5 ㎛ ∼ 1 ㎛ 정도로 성막한다. 혹은 다른 방법으로서 제 1 게이트 절연막 (311) 상에 논도프의 다결정 실리콘을 성막하고, N 형의 불순물을 이온 주입함으로써 제 1 다결정 실리콘층 (312) 을 형성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다결정 실리콘층 (312) 에 대하여 이방성 에칭을 실시하여, 트렌치 내에 제 1 다결정 실리콘층 (312) 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의 N 형 게이트 전극 (312) 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 형 반도체 기판 (203) 상 전체면에 질화막 (313) 을 성막하고, 포토리소그래피법을 사용하여 고내압 소자 이외의 영역에 포토레지스트를 형성하고, 그 포토레지스트를 마스크로 하여 고내압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되는 영역만, 질화막 (313) 을 에칭하여 제거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두꺼운 제 2 게이트 절연막 (314) 를 열산화에 의해 형성한다. 그 막두께는 50 내지 100 ㎚ 정도이다.
질화막 (313) 의 제거 후, P 형 반도체 기판 (203) 상 전체면에 저내압 소자용의 횡형 MOS 트랜지스터 (102) 의 상대적으로 얇은 제 3 게이트 절연막 (315) 을 열산화에 의해 형성한다 (도 3(b)). 그 막두께는 10 내지 20 ㎚ 정도이다.
다음으로,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토리소그래피법을 사용하여 트렌치 게이트 전극 상을 제외한 영역에 포토레지스트를 형성하고, 그 포토레지스트를 마스크로 하여 트렌치 게이트 전극 상에 성장시킨 제 3 게이트 절연막 (315) 을 에칭하여 제거한다.
그 후에 제 2, 제 3 게이트 절연막 (314, 315) 상, 그리고 트렌치 게이트 전극 상에도 논도프의 제 2 다결정 실리콘층 (322) 을 성막하고, N 형 종형 트렌치 MOSFET (101) 및 저내압 소자 영역 (102) 의 횡형 NMOS 트랜지스터 및 고내압 소자 영역 (103) 의 횡형 NMOS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영역에, 마스크를 사용하여 1 × 1021/㎤ 전후의 N 형 고농도 불순물을 이온 주입법에 의해 도입한다. 또한, 저내압 소자 영역 (102) 의 횡형 PMOS 트랜지스터 및 고내압 소자 영역 (103) 의 횡형 PMOS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영역에, 다른 마스크를 사용하여 P 형 고농도 불순물을 이온 주입법에 의해 도입하여, P 형의 도전형으로 한다 (도 4(b)). 이로써, N 형의 다결정 실리콘층 (322N) 과 P 형의 다결정 실리콘층 (322P) 이 형성된다.
이어서, 도 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다결정 실리콘층 (322) 에 대하여 이방성 에칭을 실시하여, 저내압 소자 및 고내압 소자의 횡형 M0S 트랜지스터의 제 2 의 N 형 게이트 전극 (316a) 및 제 2 의 P 형 게이트 전극 (317) 을 형성한다. 이 때 제 2 의 N 형 게이트 전극 (316b) 을, N 형 종형 트렌치 MOSFET 의 제 1 의 N 형 게이트 전극 (312) 상에도 적층되도록, 에칭을 실시하여 제거한다.
다음으로,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 형 제 2 의 웰층 (304) 상의 N 형의 횡형 MOS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 (102) 의 제 2 게이트 전극 (316b) 을 마스크로 자기 정합적으로 1 × 1018/㎤ 전후의 N 형 불순물을 도입하여 제 2 저농도 N 형 불순물 영역 (318) 을 형성한다. 또한, N 형 제 2 의 웰층 (305) 상의 P 형의 횡형 MOS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 (102) 의 제 2 게이트 전극 (317) 을 마스크로 자기 정합적으로 1 × 1O17/㎤ 전후의 P 형 불순물을 도입하여 제 2 저농도 P 형 불순물 영역 (319) 을 형성한다. 그 후에, CVD 법 등에 의해 산화막을 300 내지 600 ㎚ 형성하고, 이방성 에칭을 실시함으로써, 제 2 게이트 전극 (316a, 316b, 317) 의 측벽에 산화막 스페이서 (323) 를 형성한다.
계속해서, P 형 제 2 의 웰층 (304) 상의 N 형의 횡형 MOS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 (102) 의, 제 2 게이트 전극 (316b) 으로부터 원하는 거리만큼 떨어진 영역, 및 N 형의 종형 MOS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의 트렌치 (310) 에 접한 표면 영역에, 이온 주입법에 의해 N 형의 고농도 불순물을 도입하여 소스·드레인 (320) 을 형성한다 (도 6(a)).
다음으로 N 형 제 2 의 웰층 (305) 상의 P 형의 횡형 MOS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 (102) 의 게이트 전극으로부터 원하는 거리만큼 떨어진 영역에 이온 주입법에 의해 P 형 고농도 불순물을 도입하여 고농도 P 형 소스·드레인 (321) 을 형성한다 (도 6(b)). N 형의 경우, 불순물은 인 또는 비소를 사용하고, P 형의 경우, 불순물은 붕소 또는 BF2 를 사용하고, 어느 불순물 영역도 불순물 농도는 1 × 1O21/㎤ 정도로 한다.
마지막으로, 도시하지 않지만,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고, 층간 절연막에 전극 형성용 구멍을 뚫어 알루미늄 전극을 형성하면, 동극 게이트를 가진 저내압 소자 및 고내압 소자의 횡형 MOS 트랜지스터와 종형 트렌치 MOSFET 혼재의 반도체 장치가 완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종형 트렌치 MOSFET 의 게이트 전극은 N 형의 제 1 게이트 전극 (312) 과 N 형의 제 2 게이트 전극 (316) 의 적층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에칭 편차에 의해 트렌치 내의 게이트 전극의 두께가 변동되었다고 하더라도, 게이트 전극단에 소스가 도달하지 않아, 특성 사양을 만족하지 않는다는 문제는 해소된다.
[실시예 2]
다음으로, 도 7 ∼ 도 10 을 사용하여, 본원 발명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실시예 2 의 개략을 설명한다. 실시예 2 도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동극 게이트를 가진 저내압 소자 및 고내압 소자의 횡형 MOS 트랜지스터와 종형 트렌치 MOSFET 혼재의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이다. 도 7(a) ∼ 도 9(a) 에 나타내는 본 실시예의 공정은 도 1(a) ∼ 도 4(a) 에 나타낸 실시예 1 의 공정과 동일하다. 따라서 실시예 1 과의 차이가 되는 부분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실시예 1 에서는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제 3 게이트 절연막 (314, 315) 상 및 트렌치 게이트 전극 상도 논도프의 제 2 다결정 실리콘층 (322) 을 성막한 후에, 다른 마스크를 사용하여 N 형 MOS 트랜지스터 및 P 형 M0S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영역에, 고농도 불순물을 이온 주입법에 의해 도입하여, N 형의 제 2 게이트 전극 (316) 과 P 형의 제 2 게이트 전극 (317) 을 형성하고 있는데, 실시예 2 에서는 논도프의 제 2 다결정 실리콘층 (322) 을 성막하고 (도 9(b)), 제 2 다결정 실리콘층 (322) 의 불순물 도입을 하지 않고 게이트 전극의 패터닝 형성을 실시하고 (도 9(c)), 이어서 산화막 스페이서 (323) 를 형성 (도 10(a)) 한다.
그리고, 도 10(b)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P 형 제 2 의 웰층 (304) 상의 N 형의 횡형 MOS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 (102) 의, 제 2 게이트 전극 (316) 으로부터 원하는 거리만큼 떨어진 영역, 및 N 형의 종형 MOS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의 트렌치 (310) 에 접한 표면 영역에, 이온 주입법에 의해 N 형의 고농도 불순물을 도입하고, 소스·드레인 (320) 을 형성할 때에 논도프의 제 2 다결정 실리콘층 (322) 에도 N 형의 고농도 불순물을 도입하여 N 형의 제 2 의 N 형 게이트 전극 (316) 을 형성하고 있다.
또, 도 10(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 형의 MOS 트랜지스터에 관해서도 N 형과 마찬가지로, 소스·드레인의 형성과 제 2 의 P 형 게이트 전극 (317) 에 대한 고농도 불순물 도프를 동시에 실시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실시예 1 에 나타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비하여, N 형 및 P 형의 제 2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마스크를 삭감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01 종형 트렌치 MOSFET 영역
102 저내압 소자의 횡형 MOS 트랜지스터 영역
103 고내압 소자의 횡형 MOS 트랜지스터 영역
201 베이스 기판
202 P 형 에피층
203 P 형 반도체 기판
301 N 형 고농도 매립층
302 제 1 의 N 형 웰층
303 제 1 의 P 형 웰층
304 제 2 의 P 형 웰층
305 제 2 의 N 형 웰층
306 P 형 보디 영역
307 제 1 의 N 형 저불순물 농도 영역
308 제 1 의 P 형 저불순물 농도 영역
309 절연막 (소자 분리 영역)
310 트렌치
311 제 1 게이트 절연막
312 제 1 의 N 형 게이트 전극
313 질화막
314 제 2 게이트 절연막
315 제 3 게이트 절연막
316 제 2 의 N 형 게이트 전극
317 제 2 의 P 형 게이트 전극
318 제 2 의 N 형 저불순물 농도 영역
319 제 2 의 P 형 저불순물 농도 영역
320 N 형 고농도 소스·드레인 영역
321 P 형 고농도 소스·드레인 영역
322 논도프의 제 2 다결정 실리콘층
322N N 형의 다결정 실리콘층
322P P 형의 다결정 실리콘층
323 산화막 스페이서

Claims (6)

  1. P 형 반도체의 베이스 기판에 N 형 매립층을 형성하는 N 형 매립층 형성 공정과,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P 형의 에피택셜 성장층을 형성하여, 반도체 기판으로 하는 에피택셜 성장층 형성 공정과,
    저내압의 N 형의 제 1 횡형 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영역에, 제 1 의 P 형 웰층을 형성하는 제 1 의 P 형 웰층 형성 공정과,
    저내압의 P 형의 제 2 횡형 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영역에, 제 1 의 N 형 웰층을 형성하는 제 1 의 N 형 웰층 형성 공정과,
    고내압의 N 형의 제 3 횡형 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영역에, 제 2 의 P 형 웰층을 형성하는 제 2 의 P 형 웰층 형성 공정과,
    고내압의 P 형의 제 4 횡형 MOS 트랜지스터 및 N 형의 종형 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영역에, 제 2 의 N 형 웰층을 각각 형성하는 제 2 의 N 형 웰층 형성 공정과,
    상기 종형 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상기 제 2 의 N 형 웰층 내의 영역에, P 형의 보디 영역을 형성하는 보디 영역 형성 공정과,
    소자 분리 영역과 상기 제 3 및 상기 제 4 횡형 MOS 트랜지스터의 전계 완화 영역을 절연막에 의해 각각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전계 완화 영역에 제 1 의 저농도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종형 M0S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영역에, 상기 반도체 기판의 내부를 향하여 N 형의 매립층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까지 이방성 에칭을 실시하여 트렌치를 형성하는 트렌치 형성 공정과,
    상기 반도체 기판 상의 표면 및 상기 트렌치의 벽면을 따라 제 1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제 1 게이트 절연막 형성 공정과,
    상기 제 1 게이트 절연막 상에 N 형의 제 1 다결정 실리콘층을 성막하는 제 1 다결정 실리콘층 형성 공정과,
    상기 제 1 다결절 실리콘층에 대해 에칭을 실시하여, 상기 트렌치 내에 제 1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제 1 게이트 전극 형성 공정과,
    상기 제 3 및 상기 제 4 횡형 MOS 트랜지스터의 제 3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할 예정 영역에, 상대적으로 두꺼운 제 2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제 2 게이트 절연막 형성 공정과,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횡형 MOS 트랜지스터를 위한 상대적으로 얇은 제 3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제 3 게이트 절연막 형성 공정과,
    상기 트렌치의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 상의 상기 제 3 게이트 절연막을 제거하는 에칭 공정과,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논도프의 제 2 다결정 실리콘층을 성막하는 제 2 다결정 실리콘층 형성 공정과,
    상기 제 1 및 상기 제 3 횡형 MOS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 2 다결정 실리콘층에는 N 형의 고농도 불순물을 도입하고, 상기 제 2 및 상기 제 4 횡형 MOS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 2 다결정 실리콘층에는 P 형의 고농도 불순물을 도입하는 제 2 다결정 실리콘층에 대한 고농도 불순물 도입 공정과,
    상기 제 2 다결정 실리콘층에 대해 에칭을 실시하여,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 상의 제 2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제 1 내지 상기 제 4 횡형 MOS 트랜지스터의 제 2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제 2 게이트 전극 형성 공정과,
    상기 제 1 횡형 MOS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의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을 마스크로 자기 정합적으로 N 형 불순물을 도입하여, 제 2 저농도 N 형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저농도 N 형 영역 형성 공정과,
    상기 제 2 횡형 MOS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의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을 마스크로 자기 정합적으로 P 형 불순물을 도입하여, 제 2 저농도 P 형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저농도 P 형 영역 형성 공정과,
    상기 제 1 횡형 MOS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의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으로부터 떨어진 영역, 및 상기 종형 M0S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의 트렌치에 접한 영역에, N 형 불순물을 도입하여 고농도 N 형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N 형 소스·드레인 형성 공정과,
    상기 제 2 횡형 MOS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의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으로부터 떨어진 영역에 P 형 불순물을 도입하여 고농도 P 형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P 형 소스·드레인 형성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2. P 형 반도체의 베이스 기판에 N 형 매립층을 형성하는 N 형 매립층 형성 공정과,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P 형의 에피택셜 성장층을 형성하여, 반도체 기판으로 하는 에피택셜 성장층 형성 공정과,
    저내압의 N 형의 제 1 횡형 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영역에, 제 1 의 P 형 웰층을 형성하는 제 1 의 P 형 웰층 형성 공정과,
    저내압의 P 형의 제 2 횡형 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영역에, 제 1 의 N 형 웰층을 형성하는 제 1 의 N 형 웰층 형성 공정과,
    고내압의 N 형의 제 3 횡형 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영역에, 제 2 의 P 형 웰층을 형성하는 제 2 의 P 형 웰층 형성 공정과,
    N 형의 종형 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영역에, 제 2 의 N 형 웰층을 형성하는 제 2 의 N 형 웰층 형성 공정과,
    상기 종형 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상기 제 2 의 N 형 웰층 내의 영역에, P 형의 보디 영역을 형성하는 보디 영역 형성 공정과,
    소자 분리 영역과 상기 제 3 횡형 MOS 트랜지스터의 전계 완화 영역을 절연막에 의해 각각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전계 완화 영역에 제 1 의 저농도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종형 M0S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영역에, 상기 반도체 기판의 내부를 향하여 N 형의 매립층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까지 이방성 에칭을 실시하여 트렌치를 형성하는 트렌치 형성 공정과,
    상기 반도체 기판 상의 표면 및 상기 트렌치의 벽면을 따라 제 1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제 1 게이트 절연막 형성 공정과,
    상기 제 1 게이트 절연막 상에 N 형의 제 1 다결정 실리콘층을 성막하는 제 1 다결정 실리콘층 형성 공정과,
    상기 제 1 다결정 실리콘층에 대해 에칭을 실시하여, 상기 트렌치 내에 제 1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제 1 게이트 전극 형성 공정과,
    상기 제 3 횡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할 예정 영역에, 상대적으로 두꺼운 제 2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제 2 게이트 절연막 형성 공정과,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횡형 MOS 트랜지스터를 위한 상대적으로 얇은 제 3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제 3 게이트 절연막 형성 공정과,
    상기 트렌치의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 상의 상기 제 3 게이트 절연막을 제거하는 에칭 공정과,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논도프의 제 2 다결정 실리콘층을 성막하는 제 2 다결정 실리콘층 형성 공정과,
    상기 제 1 및 상기 제 3 횡형 MOS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 2 다결정 실리콘층에는 N 형의 고농도 불순물을 도입하고, 상기 제 2 횡형 MOS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 2 다결정 실리콘층에는 P 형의 고농도 불순물을 도입하는 제 2 다결정 실리콘층에 대한 고농도 불순물 도입 공정과,
    상기 제 2 다결정 실리콘층에 대해 에칭을 실시하여,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 상의 제 2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제 1 내지 상기 제 3 횡형 MOS 트랜지스터의 제 2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제 2 게이트 전극 형성 공정과,
    상기 제 1 횡형 MOS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의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을 마스크로 자기 정합적으로 N 형 불순물을 도입하여, 제 2 저농도 N 형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저농도 N 형 영역 형성 공정과,
    상기 제 2 횡형 MOS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의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을 마스크로 자기 정합적으로 P 형 불순물을 도입하여, 제 2 저농도 P 형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저농도 P 형 영역 형성 공정과,
    상기 제 1 횡형 MOS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의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으로부터 떨어진 영역, 및 상기 종형 M0S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의, 트렌치에 접한 영역에, N 형 불순물을 도입하여 고농도 N 형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N 형 소스·드레인 형성 공정과,
    상기 제 2 횡형 MOS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의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으로부터 떨어진 영역에 P 형 불순물을 도입하여 고농도 P 형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P 형 소스·드레인 형성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3. P 형 반도체의 베이스 기판에 N 형 매립층을 형성하는 N 형 매립층 형성 공정과,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P 형의 에피택셜 성장층을 형성하여, 반도체 기판으로 하는 에피택셜 성장층 형성 공정과,
    저내압의 N 형의 제 1 횡형 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영역에, 제 1 의 P 형 웰층을 형성하는 제 1 의 P 형 웰층 형성 공정과,
    저내압의 P 형의 제 2 횡형 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영역에, 제 1 의 N 형 웰층을 형성하는 제 1 의 N 형 웰층 형성 공정과,
    N 형의 종형 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영역에, 제 2 의 N 형 웰층을 형성하는 제 2 의 N 형 웰층 형성 공정과,
    상기 종형 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상기 제 2 의 N 형 웰층 내의 영역에, P 형의 보디 영역을 형성하는 보디 영역 형성 공정과,
    소자 분리 영역을 절연막에 의해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종형 M0S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영역에, 상기 반도체 기판의 내부를 향하여 N 형의 매립층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까지 이방성 에칭을 실시하여 트렌치를 형성하는 트렌치 형성 공정과,
    상기 반도체 기판 상의 표면 및 상기 트렌치의 벽면을 따라 제 1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제 1 게이트 절연막 형성 공정과,
    상기 제 1 게이트 절연막 상에 N 형의 제 1 다결정 실리콘층을 성막하는 제 1 다결정 실리콘층 형성 공정과,
    상기 제 1 다결정 실리콘층에 대해 에칭을 실시하여, 상기 트렌치 내에 제 1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제 1 게이트 전극 형성 공정과,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횡형 MOS 트랜지스터를 위한 제 3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제 3 게이트 절연막 형성 공정과,
    상기 트렌치의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 상의 상기 제 3 게이트 절연막을 제거하는 에칭 공정과,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논도프의 제 2 다결정 실리콘층을 성막하는 제 2 다결정 실리콘층 형성 공정과,
    상기 제 1 횡형 MOS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 2 다결정 실리콘층에는 N 형의 고농도 불순물을 도입하고, 상기 제 2 횡형 MOS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 2 다결정 실리콘층에는 P 형의 고농도 불순물을 도입하는 제 2 다결정 실리콘층에 대한 고농도 불순물 도입 공정과,
    상기 제 2 다결정 실리콘층에 대해 에칭을 실시하여,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 상의 제 2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횡형 MOS 트랜지스터의 제 2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제 2 게이트 전극 형성 공정과,
    상기 제 1 횡형 MOS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의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을 마스크로 자기 정합적으로 N 형 불순물을 도입하여, 제 2 저농도 N 형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저농도 N 형 영역 형성 공정과,
    상기 제 2 횡형 MOS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의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을 마스크로 자기 정합적으로 P 형 불순물을 도입하여, 제 2 저농도 P 형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저농도 P 형 영역 형성 공정과,
    상기 제 1 횡형 MOS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의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으로부터 떨어진 영역, 및 상기 종형 M0S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의, 트렌치에 접한 영역에, N 형 불순물을 도입하여 고농도 N 형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N 형 소스·드레인 형성 공정과,
    상기 제 2 횡형 MOS 트랜지스터 형성 영역의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으로부터 떨어진 영역에 P 형 불순물을 도입하여 고농도 P 형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P 형 소스·드레인 형성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다결정 실리콘층에 대한 고농도 불순물 도입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N 형의 고농도 불순물의 도입과 상기 N 형 소스·드레인 형성 공정을 동시에 실시하고, 상기 제 2 다결정 실리콘층에 대한 고농도 불순물 도입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P 형의 고농도 불순물의 도입과 상기 P 형 소스·드레인 형성 공정을 동시에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다결정 실리콘층에 대한 고농도 불순물 도입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N 형의 고농도 불순물의 도입과 상기 N 형 소스·드레인 형성 공정을 동시에 실시하고, 상기 제 2 다결정 실리콘층에 대한 고농도 불순물 도입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P 형의 고농도 불순물의 도입과 상기 P 형 소스·드레인 형성 공정을 동시에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다결정 실리콘층에 대한 고농도 불순물 도입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N 형의 고농도 불순물의 도입과 상기 N 형 소스·드레인 형성 공정을 동시에 실시하고, 상기 제 2 다결정 실리콘층에 대한 고농도 불순물 도입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P 형의 고농도 불순물의 도입과 상기 P 형 소스·드레인 형성 공정을 동시에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20149283A 2011-12-21 2012-12-20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8736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80118A JP5882046B2 (ja) 2011-12-21 2011-12-21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JPJP-P-2011-280118 2011-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159A true KR20130072159A (ko) 2013-07-01
KR101873600B1 KR101873600B1 (ko) 2018-08-02

Family

ID=48637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283A KR101873600B1 (ko) 2011-12-21 2012-12-20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74974B2 (ko)
JP (1) JP5882046B2 (ko)
KR (1) KR101873600B1 (ko)
CN (1) CN103178013B (ko)
TW (1) TWI52985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47804A1 (en) * 2015-02-25 2016-08-25 Sii Semiconductor Corporatio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291B1 (ko) 2014-11-25 2021-02-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102316160B1 (ko) 2014-12-22 2021-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10224407B2 (en) 2017-02-28 2019-03-05 Sandisk Technologies Llc High voltage field effect transistor with laterally extended gate dielectric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JP6996331B2 (ja) * 2018-02-15 2022-01-17 富士電機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の製造方法
CN113506826B (zh) * 2021-06-17 2023-07-07 重庆伟特森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沟槽型碳化硅晶体管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4627A (ja) * 1998-06-05 1999-12-24 Nissan Motor Co Ltd 半導体集積回路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359294A (ja) 2001-03-28 2002-12-13 Seiko Instruments Inc 半導体集積回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043208A (ja) * 2006-11-15 2007-02-15 Mitsubishi Electric Corp トレンチ構造を有する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115998A (ja) * 2005-10-21 2007-05-10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
JP2007150081A (ja) * 2005-11-29 2007-06-14 Rohm Co Ltd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5093A (en) * 1992-10-05 1994-02-08 Motorola, Inc. Semiconductor memory cell having a trench structure
JP3976374B2 (ja) * 1997-07-11 2007-09-19 三菱電機株式会社 トレンチmosゲート構造を有する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060072A (ja) * 2001-08-10 2003-02-28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半導体装置
US7714381B2 (en) * 2005-04-01 2010-05-11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Method of forming an integrated power device and structure
JP4591827B2 (ja) * 2005-05-24 2010-12-01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リセスチャネル構造を有するセルトランジスタを含む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384150B2 (en) * 2005-11-29 2013-02-26 Rohm Co., Ltd. Vertical double diffused MOS transistor with a trench gate structure
KR101269342B1 (ko) * 2007-07-06 2013-05-29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 및 배터리 장치
KR100902596B1 (ko) * 2007-09-28 2009-06-11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반도체 소자와 그의 제조방법 및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변압회로
US8410549B2 (en) * 2009-03-27 2013-04-02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Structure and fabrication of field-effect transistor using empty well in combination with source/drain extensions or/and halo pocke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4627A (ja) * 1998-06-05 1999-12-24 Nissan Motor Co Ltd 半導体集積回路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359294A (ja) 2001-03-28 2002-12-13 Seiko Instruments Inc 半導体集積回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115998A (ja) * 2005-10-21 2007-05-10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
JP2007150081A (ja) * 2005-11-29 2007-06-14 Rohm Co Ltd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7043208A (ja) * 2006-11-15 2007-02-15 Mitsubishi Electric Corp トレンチ構造を有する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47804A1 (en) * 2015-02-25 2016-08-25 Sii Semiconductor Corporatio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698147B2 (en) * 2015-02-25 2017-07-04 Sii Semiconductor Corporatio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low and high withstanding-voltage MOS transistors
US9972625B2 (en) 2015-02-25 2018-05-15 Sii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31632A (ja) 2013-07-04
CN103178013A (zh) 2013-06-26
TW201342533A (zh) 2013-10-16
TWI529858B (zh) 2016-04-11
US20130171782A1 (en) 2013-07-04
JP5882046B2 (ja) 2016-03-09
KR101873600B1 (ko) 2018-08-02
US8574974B2 (en) 2013-11-05
CN103178013B (zh) 201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9921B2 (en) Metal oxide semiconductor (MOS)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030705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130060B2 (en) Integrated circuit having a vertical power MOS transistor
US8928032B2 (en) Fully isolated LIGBT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9892974B2 (en) Vertical power MOSFET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8294210B2 (en) High voltage channel diode
US8143671B2 (en) Lateral trench FETs (field effect transistors)
KR101873600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JP2010087133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217828B1 (en) Transistors with field plates on fully depleted silicon-on-insulator platform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TW201924064A (zh) 半導體裝置及其製造方法
KR20090064659A (ko)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US9231101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242007B2 (en) Semiconductor device formed using single polysilicon proces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109980010B (zh) 一种半导体器件的制造方法和集成半导体器件
JP2009224495A (ja) 絶縁ゲート型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482950B1 (ko)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10034147A (ja) 絶縁ゲート型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40239385A1 (en) Field effect transis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4165697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229442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