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6555A - 에어벤트 - Google Patents

에어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6555A
KR20130066555A KR1020120144792A KR20120144792A KR20130066555A KR 20130066555 A KR20130066555 A KR 20130066555A KR 1020120144792 A KR1020120144792 A KR 1020120144792A KR 20120144792 A KR20120144792 A KR 20120144792A KR 20130066555 A KR20130066555 A KR 20130066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es
air vent
coupling member
housing
v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5082B1 (ko
Inventor
미하엘 데메라스
Original Assignee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42851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3006655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066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6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64Details of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유출 개구(A)를 포함하는 하우징(10)을 갖고, 상기 하우징(10)의 유출 개구(A)와 관련되고 선회 장착되는 복수 개의 베인(12)을 구비하고, 상기 베인(12)은 서로 연결되는 에어벤트(7)로서, 베인(12)들을 서로 연결시키고 베인(12)을 따라 서로 소정 거리에 그리고 베인(12)의 전방 에지(V)로부터 소정 거리에 배치되는 적어도 3개의 커플링 부재(18)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벤트{AIR VENT}
본 발명은 유출 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갖고, 하우징의 유출 개구와 관련되고 선회 장착되는 복수 개의 베인(vane)을 갖는 에어벤트에 관한 것으로서, 베인들은 서로 연결된다.
그러한 에어벤트는 특히 차량 내부의 기후 제어에 사용된다. 난방/공조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공기는 에어벤트를 통해 차량 내부로 유동하고, 공기의 유동 방향은 선회식 베인을 이용할 때에 조절될 수 있다. 베인이 수평으로 배치되면, 예컨대 베인의 선회는 공기 유동이 대시보드로부터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완전히 수평으로 또는 비스듬하게 하방으로 차량 내부에 진입하도록 조절을 허용한다. 하우징의 유출 개구와 관련되고 이에 따라 차량 탑승자에게 보이는 베인 외에, 대부분의 에어벤트는 하우징 내측에 제공되는 추가의 안내 부재를 구비하고, 안내 부재의 선회축은 베인의 선회축에 대해 수직이다. 추가의 안내 부재는 공기 유동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상기 예에서는 좌측, 중앙 또는 우측으로 조절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매우 가늘고 긴 유출 개구를 갖고, 즉 유출 개구의 길이, 이에 따라 베인의 길이가 유출 개구의 높이보다 훨씬 더 큰 동시에 시각적으로 흥미를 끄는 디자인이 가능하며 베인의 충분한 하중 용량이 보장되는 에어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인들을 서로 연결시키고 베인을 따라 서로 소정 거리에 그리고 베인의 전방 에지로부터 소정 거리에 배치되는 적어도 3개의 커플링 부재가 마련된다. 본 발명은 베인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 기술에서 대부분의 경우에 이용되는 바와 같이 베인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서 뿐만 아니라 베인의 길이를 따른 복수 개의 지점에서 서로 연결시키는 기본적인 개념을 기초로 한다. 이 방식에서는, 베인의 특정한 지점에 작용하는 하중을 전체적으로 담당하는 상호 연결된 베인들의 시스템이 생성된다. 예컨대, 베인들 중 단일의 베인에서 예컨대 차량 탑승자의 손가락 등에 의해 베인에 의해 규정된 평면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이 중앙에 가해질 때에, 베인의 편향을 중화시키는 하중이 걸린 베인의 휘는 강성 뿐만 아니라 또한 커플링 부재에 의해 하중이 걸린 베인과 결합되는 모든 다른 베인의 휘는 강성이 존재한다. 이는 매우 긴 베인이 사용되게 하며, 이 베인은 시각적 외양 및 공기 역학 요건의 관점에서, 상당히 높은 전체 하중 용량을 가지면서도 지금까지 공지된 베인보다 두껍게 설계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적어도 4개의 커플링 부재가 마련된다. 이는 커플링 부재들이 예컨대 베인의 2개의 단부에서 그리고 중앙의 어느 한 쪽에서 서로로부터 비교적 작은 거리에 배치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베인은 하우징의 내측의 반대쪽을 향하는 쪽에 연속적인 전방 에지를 구비한다. 베인의 연속적인 전방 에지는 특히 시각적 외양 관점에서 요망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베인은 전방 에지로부터 소정 거리에, 특히 베인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는 선회축을 갖고, 커플링 부재는 선회축에서 베인과 결합된다. 이 구성에서, 커플링 부재는 베인들이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될 때에 고정 상태로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부재는 하우징과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 구성에서, 각 커플링 부재는 하우징 고정 베어링 지점으로서 작용하므로, 특히 높은 하중 용량이 얻어진다.
변형 구성에 따르면, 베인은 전방 에지 근처에 배치되는 선회축을 갖고, 커플링 부재는 선회축으로부터 소정 거리에서 베인과 결합된다. 이 구성에서, 베인이 선회될 때에, 베인의 전방 에지는 상방 또는 하방 운동을 수행하지 않고, 다만 회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플링 부재는 베인에만 연결된다. 이 구성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구별되는데, 커플링 부재를 다른 부품과 결합하기 위해 어떠한 조치도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변형 구성에 따르면, 하우징에 선회 장착되고 커플링 부재가 결합되는 결합 부재가 마련된다. 가능한 한 비틀림에 강하게 되도록 설계된 결합 부재는 커플링 부재들을 서로 연결시키므로, 베인의 특정한 지점에 작용하는 하중이 커플링 부재에 의해 균일하게 흡수된다.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결합 부재는 복수 개의 하우징 베어링에 의해 하우징에 장착되고, 하우징 베어링은 결합 부재와 커플링 부재의 결합부 근처에 배치된다. 이 구성에서, 커플링 부재는 결합 부재에 의해 하우징 상에 지지되므로, 베인의 임의의 원치않는 편향이 중화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결합 부재는 유출 개구의 외측에 배치된다. 이 경우에, 결합 부재가 강성에 유리한 더 큰 단면을 갖게 설계될 수 있도록, 결합 부재를 구성할 때에 유동 상태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바람직하게는, 결합 부재는 베인과 동일한 평면에 배치된다. 이는 커플링 부재가 선형으로 설계되게 하므로, 커플링 부재는 인장 및 압축 하중만을 받는다. 그 결과, 커플링 부재에 매우 슬림한 설계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 부재는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는, 결합 부재를 수용하기 위해 하우징의 외측에 임의의 추가 공간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플링 부재는 유출 개구의 반대쪽을 향하는 쪽에서 결합 부재에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는 베인과 동일한 방향으로 선회하므로, 결합 부재는 추가의 베인으로서 작용한다.
변형 구성에 따르면, 커플링 부재는 유출 개구를 향하는 쪽에서 결합 부재에 연결된다. 이는 베인이 선회될 때에 베인의 반대쪽을 향하는 커플링 부재의 에지가 동일한 높이에 유지되게 하므로, 커플링 부재의 선회 운동을 수용하기 위한 구조적 공간이 필요하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결합 부재는 커플링 부재 상의 연장부에 의해 베인들 중 하나와 결합된다. 이 방식에서, 통틀어 특히 강한 구성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베인은 150 mm보다 큰, 특히 200 mm보다 큰, 특히 바람직하게는 250 mm보다 큰 길이를 갖는다. 이는 베인이 통상적으로 100 mm 미만의 길이를 갖는 종래의 에어벤트와 비교했을 때에 매우 큰 진보를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에어벤트로 구성되는 에어벤트 유닛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대시보드에 설치된 도 1의 에어벤트 유닛을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벤트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도 3의 에어벤트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벤트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6은 도 5의 에어벤트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에어벤트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8은 도 7의 에어벤트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에어벤트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0은 도 9의 에어벤트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에어벤트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2는 도 11의 에어벤트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은 똑바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에어벤트(7)로 구성되는 에어벤트 유닛(5)을 도시하고 있다. 각 에어벤트는 250 mm보다 큰 폭과 60 mm 정도의 높이를 갖는다. 이는 공지된 에어벤트와 비교하여 상기 에어벤트가 매우 가늘고 긴 형태로 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에어벤트 유닛(5)은 대시보드(9)에 설치될 수 있어(도 2 참조), 이 경우에 800 mm의 폭을 갖는 매우 넓은 공기 유출 구역이 형성된다.
각 에어벤트는 유입 개구(E)와 유출 개구(A)를 포함하는 하우징(10)을 포함한다(또한, 도 3 및 도 4 참조). 유입 개구는 차량의 난방/공조 시스템과 관련되며, 공기는 유출 개구를 통해 차량 내부로 유동한다.
하우징(10) 내에는 선회축(S)을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베인(12)이 배치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 선회축(S)은 베인의 전방 에지(V) 근처에, 즉 유출 개구(A)의 측면에 배치된 에지에 배치된다. 베인(12)의 전방 에지(V)는 차량의 내부로부터 보이는 베인의 에지이다. 화살표(P)의 방향으로 선회축(S)을 중심으로 하여 베인을 조정하기 위하여, 베인을 선회시킬 수 있는 작동 요소(14)가 제공된다. 작동 요소(14)는 또한 마찬가지로 선회 작동을 위해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안내 부재(16)와 협동한다. 안내 부재(16)의 선회축은 여기서 베인(12)의 선회축(S)에 대해 수직이다. 차량 내부로부터 본 바와 같이, 안내 부재(16)는 베인(12)의 후방에, 즉 유입 개구(E)에 가깝게 위치한다.
베인(12)은 선회 조인트(20)에 의해 각 베인(12)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커플링 부재(18)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선회 조인트(20)는 예컨대 베인(12) 상에 배치되고 커플링 부재(18)의 개구 내에 맞물리는 피봇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선회 조인트(20)는 베인(12)의 선회축(S)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예컨대 베인의 후방 1/3 지점에 또는 심지어는 후방 에지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커플링 부재(18)를 수용하는 절개부가 전방 에지까지 연장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연속적이고 중단되지 않은 전방 에지(V)가 베인의 전체 폭에 걸쳐 얻어진다.
커플링 부재(18)는 첫째는 작동 요소(14)와 결합되는 베인의 선회 운동을 다른 베인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 목적을 위해, 종래 기술의 경우처럼 하나의 단일 커플링 부재가 요구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로부터 소정 거리에 여러 개의 커플링 부재가 베인(12)을 따라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4개의 커플링 부재가 사용된다. 커플링 부재의 기능은 베인에 가해지는 횡방향 하중이 모든 베인에 의해 동시에 지탱되도록 베인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것이다.
베인의 길이를 따라 제공되는 복수 개의 커플링 부재의 효과는 이하의 예에 의해 명백해질 수 있다. 예컨대, 베인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작용하는 20 N의 힘이 중앙의 베인에 가해졌다면, 베인의 폭, 선택된 재료의 탄성 계수, 통상적인 두께 및 267 mm의 길이를 위한 통상적인 값의 경우에, 베인은 대략 7.7 mm만큼 편향된다. 이 편향을 베인 자체에 대한 설계 변경에 의해서만 감소시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데, 그 이유는 베인의 다른 치수가 설계 이유로 거의 실현될 수 없기 때문이다. 보다 넓은 베인은 선회할 때에 베인의 후방 에지의 더 큰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보다 두꺼운 베인은 프리 유출 단면의 감소를 초래한다. 또한, 사출 성형에 있어서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심지어는 종래의 베인의 경우에 매우 높은 탄성 계수를 갖는 재료, 특히 유리 섬유 보강 재료가 사용되기 때문에, 보다 높은 탄성 계수를 갖는 재료를 채용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커플링 부재로 인해, 하중을 받는 개별적인 베인의 편향은 이제 하중을 받지 않는 베인이 또한 하중의 일부를 부담하기 때문에 전체 3개의 베인으로 이루어진 패킷의 강도에 의해 중화된다. 그 결과, 동일한 파라미터의 경우, 단 2.2 mm의 편향이 일어난다. 이러한 개선은 베인(12)은 제쳐두고 다른 부품들과 협동하는 커플링 부재(18) 없이 초래된다.
도 5 및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벤트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실시예에서 기재된 구성요소의 경우,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고 이와 관련하여 상기 설명을 참조한다.
제1 및 제2 실시예 간의 차이는, 제2 실시예에서는 베인(12)이 전방 에지가 아니라 대략 중앙에서 선회 장착된다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커플링 부재는 하우징(1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하우징의 짧은 측방향 에지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연속적인 웹이다. 베인(12)이 커플링 부재(18) 상에 장착되게 하는 선회축(S)이 전방 에지(V)로부터 소정 거리에 배치되기 때문에, 베인은 제2 실시예에서 연속적인 전방 에지를 가질 뿐만 아니라 외양 관점에서 유리하다.
작동 요소(14)가 마련된 중간 베인의 선회 운동을 2개의 외측 베인에 전달하기 위하여, 그 구성과 관련하여 도 1 및 도 2로부터 공지된 커플링 부재(18)에 대응하는 추가의 커플링 부재(19)가 제공되지만, 베인의 팩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지 않거나 기껏해야 미미한 역할을 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전 실시예들로부터 알려진 부재에 대해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고, 이와 관련하여 상기 설명을 참조한다.
제3 실시예는 제1 및 제2 실시예를 기초로 하지만, 복수 개의 하우징 베어링(24)에 의한 선회 운동을 위해 하우징과 결합되는 추가의 결합 부재(22)를 이용한다. 이 경우에, 결합 부재(22)는 유출 개구(A)의 외측에, 여기서는 하우징의 상부면에 배치된다.
커플링 부재(18)는 최상측 베인을 지나서 연장되어 결합 부재(22)까지 연장되며, 이에 의해 커플링 부재들이 선회 운동을 위해 연결되는데, 각 커플링 부재(18)는 이와 관련된 하우징 베어링(24)을 갖는다. 하우징 외측에서 그리고 베인 위에서의 결합 부재(22)의 배치는 커플링 부재(18)가 본질적으로 선형 구성을 갖게 하므로, 커플링 부재는 굽힘 하중을 받지 않거나 매우 작은 정도로만 받는다.
결합 부재(22)로 인해, 전체 베인 팩의 상당한 강성이 얻어진다. 이 강성은 하우징 베어링(24)에 의한 지지와 결합 부재의 비틀림 강도의 조합을 기초로 한다. 베인(12)에 의해 획정되는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베인에 작용하는, 작동 요소(14)에서 예컨대 중간 베인의 특정 지점에 가해지는 하중이 가정될 때에, [작동 요소(14)의 양면에 배치된 커플링 부재(18) 때문에] 총 3개의 베인을 갖는 전체 베인 팩이 편향될 때에만 편향이 생성될 수 있다. 더욱이, 작동 요소(14)의 양면에 배치되는 2개의 커플링 부재(18)는 다시 하우징 베어링(24)에서 지지되는 결합 부재(22)와 결합된다. 작동 요소(14)의 양면에 배치된 커플링 부재가 하중의 작용으로 인해 이동되면, 결합 부재(22)는 하우징 베어링(24)을 중심으로 선회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 선회는 모든 커플링 부재가 동일한 방향으로 조정될 때에만 가능하다. 하지만, 이것은, 베인 팩이 중간에서 편향되더라도 외측 에지에서 외측 커플링 부재는 그 편향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거나 단지 미미하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사실이 아니다. 하우징의 베어링으로 인해, 베인(12)은 거기에서 거의 항복하지 않는다. 이로부터, 결합 부재(22)의 선회 운동은 결합 부재가 비틀리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유출 개구와 대면하는 결합 부재(22)의 전방 에지는 외측 구역이 그 높이에서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으면서 결합 부재의 중앙 구역에서 선회되어야 한다. 결합 부재(22)의 비틀림 강도로 인해, 커플링 부재(18)가 서로에 대해 지탱되어 베인 팩이 전체적으로 강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심지어 베인의 두께에 대응하는 결합 부재(22)의 두께의 경우, 비틀림 강도는 전체 베인 팩의 실질적인 강도가 얻어지도록 이미 크다. 전술한 하중의 예시적인 경우에, 결합 부재(22)의 사용은 단 0.6 mm의 편향만을 초래한다. 이 강도 효과가 충분하지 않는 경우에, 결합 부재(22)는 또한 더 두꺼워질 수 있다. 결합 부재는 유출 개구(A)의 외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결합 부재는 유동 단면에 관하여 불리한 효과를 갖지 않는다.
도 10 및 도 11은 원리 관점에서 제3 실시예를 기초로 하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3 실시예와의 차이는 결합 부재(22)가 하우징의 내측에 그리고 유출 개구로부터 보았을 때에 베인(12) 중 상부 베인 후방에 배치된다는 것이다. 커플링 부재(18)에는 베인(12)으로부터 나아가 하우징의 내부로 더 연장되고 결합 부재(22)와 결합되는 연장부(26)가 마련된다. 베인(12)과 결합 부재(22)에 대한 운동학이 동일하기 때문에, 즉 커플링 부재(18)가 유출 개구의 반대쪽을 향하도록 선회축의 측면에서 이들과 결합하기 때문에, 베인(12)과 결합 부재(22)는 동일한 방향으로 선회된다.
제4 실시예에서도, 결합 부재(22)의 비틀림 강도로 인해 전체 베인 팩의 상당한 강화가 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예시적인 경우에, 1.3 mm의 편향이 생성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전 실시예들로부터 공지된 부품들에 대해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고 이와 관련하여 상기 설명을 참조한다.
제4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5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22)는 하우징의 내측에 그리고 유출 개구로부터 보았을 때에 최상측 베인(12)의 후방에 배치된다. 그러나, 제4 실시예와 달리, 하우징 베어링(24)의 구조 및 커플링 부재(18)와의 결합 구조가 결합 부재(22)에 대해 교환된다. 제5 실시예에서, 커플링 부재(18)와의 결합은 하우징 베어링(24)보다 유출 개구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커플링 부재(18)와 결합 부재(22) 간의 결합은 커플링 부재 상의 짧은 연장부(26)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결합 부재(22)를 하우징 상에 장착하기 위해, 하우징 베어링(24)은 예컨대 하우징(10)과 결합되고 결합 부재(22) 상에 마련된 피봇이 맞물리는 재료 웹의 슬롯에 의해 여기서 슬라이딩 가이드 형태이다. 슬라이딩 장착으로 인해, 유출 개구의 반대쪽을 향하는 결합 부재(22)의 에지는 선회 이동 외에 도 11의 화살표(V)의 방향으로 변위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 베어링은 제5 실시예에서 커플링 부재(18)와 결합된다. 따라서, 결합 부재(22)의 지지는 베인들 상의 전체 하중을 결합 부재(22)에 도입시키는 커플링 부재(18) 바로 근처에서 달성된다.
제5 실시예에서도, 결합 부재(22)의 결과로서 전체 베인 팩의 상당한 강화가 얻어진다. 제5 실시예에서, 전술한 예시적인 경우에 1.8 mm의 편향이 발생한다.
7: 에어벤트 10: 하우징
12: 베인 18: 커플링 부재
22: 결합 부재 24: 하우징 베어링

Claims (17)

  1. 유출 개구(A)를 포함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유출 개구(A)와 관련되고 선회 장착되는 복수 개의 베인(12)을 구비하고, 상기 베인(12)은 서로 연결되는 에어벤트(7)로서, 베인(12)들을 서로 연결시키고 베인(12)을 따라 서로 소정 거리에 그리고 베인(12)의 전방 에지(V)로부터 소정 거리에 배치되는 적어도 3개의 커플링 부재(18)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4개의 커플링 부재(18)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12)은 하우징(10)의 내측의 반대쪽을 향하는 쪽에 연속적인 전방 에지(V)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12)은 전방 에지(V)로부터 소정 거리에, 특히 베인(12)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는 선회축(S)을 갖고, 커플링 부재(18)는 선회축(S)에서 베인(12)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18)는 하우징(10)과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12)은 전방 에지(V) 근처에 배치되는 선회축(S)을 갖고, 상기 커플링 부재(18)는 선회축(S)으로부터 소정 거리에서 베인(12)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18)는 베인(12)에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에 선회 장착되고 커플링 부재(18)가 결합되는 결합 부재(22)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22)는 복수 개의 하우징 베어링(24)에 의해 하우징(10)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 베어링(24)은 결합 부재(22)와 커플링 부재(18)의 결합부 근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22)는 유출 개구(A)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22)는 베인(12)과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22)는 하우징(10)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18)는 유출 개구(A)의 반대쪽을 향하는 쪽에서 결합 부재(2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18)는 유출 개구(A)를 향하는 쪽에서 결합 부재(2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22)는 커플링 부재(18) 상의 연장부(26)에 의해 베인들 중 하나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22)는 추가 베인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12)은 150 mm보다 큰, 특히 200 mm보다 큰, 특히 바람직하게는 250 mm보다 큰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KR1020120144792A 2011-12-12 2012-12-12 에어벤트 KR1020450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120915A DE102011120915B4 (de) 2011-12-12 2011-12-12 Luftausströmer
DE102011120915.1 2011-1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555A true KR20130066555A (ko) 2013-06-20
KR102045082B1 KR102045082B1 (ko) 2019-11-14

Family

ID=47428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792A KR102045082B1 (ko) 2011-12-12 2012-12-12 에어벤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93153B2 (ko)
EP (1) EP2604456B1 (ko)
KR (1) KR102045082B1 (ko)
CN (1) CN103162370B (ko)
DE (1) DE102011120915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60829B1 (fr) * 2010-06-04 2012-07-13 Faurecia Interieur Ind Dispositif de sortie d'air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 deflecteur
DE102014101145A1 (de) 2014-01-30 2015-07-30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Lamelle sowie Luftausströmer
DE102014219081A1 (de) 2014-07-03 2016-01-0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Luftausströmeranordnung
US9895961B2 (en) 2014-11-07 2018-02-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irflow outlet
US20160288624A1 (en) * 2015-04-01 2016-10-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ir vent for a vehicle
KR101683508B1 (ko) * 2015-06-26 2016-12-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 벤트 장치
DE102016108356A1 (de) * 2016-05-04 2017-11-09 Illinois Tool Works Inc. Luftausströmer für ein Kraftfahrzeug
JP6700592B2 (ja) * 2016-05-17 2020-05-27 豊田合成株式会社 空調用レジスタ
US10752082B1 (en) * 2016-05-26 2020-08-25 Apple Inc. Climate control system with slit-vent fluid delivery
CN107571720A (zh) * 2016-07-05 2018-01-12 天津市江源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出风口结构
EP3293026B1 (en) * 2016-09-13 2020-07-22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Air nozzle device for a vehicle
KR102274115B1 (ko) * 2017-02-01 2021-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
CN107599791A (zh) * 2017-09-11 2018-01-19 依工(宁波)电子元件紧固装置有限公司 一种单叶片导向的汽车空调出风口
KR102394798B1 (ko) * 2017-09-25 2022-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벤트의 노브 일체형 댐퍼 개폐 장치
KR102598528B1 (ko) * 2018-05-16 2023-1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전동식 에어벤트 장치
JP7119855B2 (ja) * 2018-09-28 2022-08-17 豊田合成株式会社 空調用レジスタ
FR3086889B1 (fr) * 2018-10-05 2023-04-14 Faurecia Interieur Ind Volet pour dispositif d'aeration et dispositif d'aeration correspondant
US11618300B2 (en) * 2019-05-23 2023-04-04 Nio Technology (Anhui) Co., Ltd. Active air curtain
DE102019118243A1 (de) * 2019-07-05 2021-01-07 Fischer Automotive Systems Gmbh & Co. Kg Luftausström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9092A (en) * 1998-08-31 2000-12-12 Fickenscher America, L.L.C. Air vent having two coplanar vane sets
JP2007015513A (ja) * 2005-07-06 2007-01-25 Howa Kasei Kk 空気吹出調整用レジスタ
KR20110003729U (ko) * 2009-10-09 2011-04-15 한국 티알더블류 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벤트
JP2011112313A (ja) * 2009-11-30 2011-06-09 Toyoda Gosei Co Ltd 空調用レジスタ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312237U (de) 1973-06-28 Detzer R Belüftungsgitter
US2755524A (en) * 1952-11-28 1956-07-24 Michael O Honer Window sun visor louver assembly
US3447443A (en) * 1967-10-16 1969-06-03 Modine Mfg Co Damper assembly
DE2060368C3 (de) 1970-11-30 1979-07-05 Nordluft, Geraetebau Gmbh, 2057 Wentorf Lüftungsgitter
JPS6045424A (ja) 1983-08-22 1985-03-11 Nissan Motor Co Ltd ベンチレ−タグリル構造
US5230654A (en) * 1992-06-30 1993-07-27 Siemens Automotive Limited Diffuser air outlet register
DE19728305C2 (de) 1997-07-03 2000-11-30 Trw Adv Plastic Tech Gmbh & Co Lamellensystem für Belüftungseinrichtungen zur Regelung des Luftstroms, insbesondere für Belüftungen in Kraftfahrzeugen
JP3605577B2 (ja) * 2001-05-15 2004-12-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空調用吹出口装置
DE10225811B4 (de) 2002-06-11 2005-10-20 Oleff & Holtmann Olho Tech Mit einem verstellbaren Lamellengitter versehene Lüftungsdüse
DE10335219B3 (de) 2003-08-01 2005-04-28 Opel Eisenach Gmbh Luftausströmer zur Belüftung eines Kraftfahrzeuginnenraumes
DE10346853B4 (de) * 2003-10-09 2005-12-15 Opel Eisenach Gmbh Ausströmdüse für ein Fluid
US7455581B2 (en) * 2004-09-24 2008-11-25 Johnson Controls, Inc. Air duct outlets with remotely-located joystick louver controls
CN101522450A (zh) * 2006-07-27 2009-09-02 国际汽车配件集团北美公司 提供扩散的通风口
DE102007014103B4 (de) 2007-03-21 2011-07-21 Key Plastics Löhne GmbH, 32584 Lüftungsdüse für ein Kraftfahrzeug
CN201183442Y (zh) * 2008-03-14 2009-01-21 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空调多向调节送风装置
DE202008013781U1 (de) 2008-11-17 2009-03-12 Dr. Schneider Kunststoffwerke Gmbh Verschwenkbar gelagerte Lamelle in Luftdüsen
JP5597423B2 (ja) * 2009-05-29 2014-10-01 豊田合成株式会社 空調用レジスタ
DE102010010399A1 (de) * 2010-03-05 2011-09-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n. d. Ges. d. Staates Delaware) Lüftungsdüse für den Fahrzeuginnenrau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9092A (en) * 1998-08-31 2000-12-12 Fickenscher America, L.L.C. Air vent having two coplanar vane sets
JP2007015513A (ja) * 2005-07-06 2007-01-25 Howa Kasei Kk 空気吹出調整用レジスタ
KR20110003729U (ko) * 2009-10-09 2011-04-15 한국 티알더블류 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벤트
JP2011112313A (ja) * 2009-11-30 2011-06-09 Toyoda Gosei Co Ltd 空調用レジス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62370B (zh) 2017-06-30
DE102011120915A1 (de) 2013-06-13
CN103162370A (zh) 2013-06-19
KR102045082B1 (ko) 2019-11-14
EP2604456B1 (de) 2013-12-25
EP2604456A1 (de) 2013-06-19
US10093153B2 (en) 2018-10-09
US20130149952A1 (en) 2013-06-13
DE102011120915B4 (de) 201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5082B1 (ko) 에어벤트
JP2637704B2 (ja) 車両用のスライディング・リフティングルーフ構造体に取着されたスライディングカバー用ガイドリンク
CN104228984B (zh) 用于机动车辆的扰流器
JP6411149B2 (ja) 車両のアッパーボディフレームシステム
KR101703594B1 (ko) 후방 차체 보강구조
US20120272578A1 (en) Vehicle door arrangement
CN105008210A (zh) 车辆的框架构造
CN101209719A (zh) 机动车后部中的车身结构
WO2007099440A1 (en) Vehicle body side structure
JP6660704B2 (ja) 車両用スライディングドアのモジュール構造
US9573559B2 (en) Front body structure of vehicle
KR100951783B1 (ko) 자동차 루프 지지구조
CN103153662B (zh) 车辆用遮阳挡
JP6546809B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KR101823431B1 (ko) 자동차용 멀티 루프 장치
CN110239629A (zh) 车辆后部构造
US11247586B2 (en) Seat support frame of a motor vehicle seat comprising a seat frame and an inclination-adjustable seat shell
CN110072735A (zh) 车门后视镜的安装部结构
CN213705104U (zh) 车辆调风器总成
KR102227136B1 (ko)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이너패널구조
CN201023652Y (zh) 一种飞机整体活动座舱盖骨架
EP3626493B1 (en) Air vent for a vehicle
JP5703085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開閉装置
JP5736927B2 (ja) 車両骨格構造
CN110126594B (zh) 弹起式玻璃构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