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8056A - 차체구조 - Google Patents

차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8056A
KR20130058056A KR1020137007429A KR20137007429A KR20130058056A KR 20130058056 A KR20130058056 A KR 20130058056A KR 1020137007429 A KR1020137007429 A KR 1020137007429A KR 20137007429 A KR20137007429 A KR 20137007429A KR 20130058056 A KR20130058056 A KR 20130058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ocker
reinforcement
floor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7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0672B1 (ko
Inventor
히로아키 이와모토
후미히코 기시마
가즈야 고이즈미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30058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36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side panels, sills or pi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코스트를 저감하면서, 오프셋 충돌시의 충돌 성능을 향상시킨다.
차체구조(10)는, 플로어 패널 어퍼(20)와, 플로어 패널 어퍼(20)의 차량 폭 방향 외측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며, 차량 상하 방향으로 분할된 로커 어퍼(32) 및 로커 로어(34)를 가지고 구성된 로커(30))와, 플로어 패널 어퍼(20)의 차량 폭 방향 중앙부에 형성된 터널부(22)와 로커(30)와의 사이의 중앙부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는 동시에, 프론트 사이드 멤버(12)의 차량 후측에 배치된 플로어 리인폴스먼트(40)와, 로커(30)와 플로어 리인폴스먼트(40)와의 사이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는 동시에, 플로어 패널 어퍼(20)의 차량 하측에 배치되며, 또한, 플랜지부(63)를 통하여 로커 로어(34)와 일체로 형성된 중간 리인폴스먼트 로어(54)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차체구조{VEHICLE BODY STRUCTURE}
본 발명은, 차체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플로어 패널의 차량 폭 방향 외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차량 폭 방향으로 분할된 로커를 구비한 차체구조가 알려져 있다. 또한, 이 차체구조 중에는, 플로어 패널의 차량 폭 방향 중앙측에 설치된 보강 멤버와, 이 보강 멤버와 로커와의 사이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동시에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차량 후측에 배치된 플로어 언더 리인폴스먼트(floor under reinforcement) 및 플로어 어퍼 리인폴스먼트(floor upper reinforcement)를 구비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특개 2006-264541호 공보 특허문헌 2 : 특개평 6-321137호 공보 특허문헌 3 : 실개평 6-27452호 공보 특허문헌 4 : 특개 2008-68720호 공보 특허문헌 5 : 특개 2008-279889호 공보 특허문헌 6 : 특개 2010-155403호 공보 특허문헌 7 : 특개평 6-99857호 공보 특허문헌 8 : 특개평 7-61374호 공보 특허문헌 9 : 실개평 4-35974호 공보 특허문헌 10 : 특개 2000-264256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차체구조에 있어서, 충돌체가 차량 전면의 차량 폭 방향 일방측으로 충돌하는 오프셋 충돌이 생겼을 경우,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전해지는 충돌 하중은, 로커와, 플로어 언더 리인폴스먼트 및 플로어 어퍼 리인폴스먼트에 전달되는 이외에, 이들의 차량 폭 방향 내측에 설치된 보강 멤버에 전달된다.
즉,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전해지는 충돌 하중의 일부는, 보강 멤버에 전달되는 것으로,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일단 우회하고나서 차량 후측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오프셋 충돌시에 있어서의 충돌 하중을 효율 좋게 전달하고, 오프셋 충돌시의 충돌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또, 오프셋 충돌시의 충돌 성능을 향상시키는 경우라도, 부품수의 증가를 억제하여, 코스트를 저감하는 것이 기대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코스트를 저감하면서, 오프셋 충돌시의 충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체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관련되는 차체구조는, 차실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과, 상기 플로어 패널의 차량 폭 방향 외측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는 동시에, 차량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이 폐단면 형상을 이루고, 또한, 차량 상하 방향으로 분할된 로커 어퍼 및 로커 로어를 가지고 구성된 로커와, 상기 플로어 패널의 차량 폭 방향 중앙부에 형성된 터널부와 상기 로커와의 사이의 중앙부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는 동시에, 차체 전부에 설치된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차량 후측에 배치된 플로어 리인폴스먼트와, 상기 로커와 상기 플로어 리인폴스먼트와의 사이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중간 리인폴스먼트를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플로어 패널의 차량 하측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플로어 패널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단부에 차량 하측으로부터 결합된 플랜지부를 통하여 상기 로커 로어와 일체로 형성된 중간 리인폴스먼트 로어를 구비하고 있다.
이 차체구조에 따르면, 플로어 패널의 차량 폭 방향 중앙부에 형성된 터널부와 로커와의 사이의 중앙부이며,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차량 후측에는, 플로어 리인폴스먼트가 설치되어 있다. 또, 로커와 플로어 리인폴스먼트와의 사이에는, 중간 리인폴스먼트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충돌체가 차량 전면의 차량 폭 방향 일방측으로 충돌하는 오프셋 충돌이 생겼을 경우, 플로어 사이드 멤버에 전해지는 충돌 하중은,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일단 우회하는 것이 아닌, 로커,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및 중간 리인폴스먼트의 3개의 골격을 통하여 차량 후측으로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오프셋 충돌시에 있어서의 충돌 하중을 효율 좋게 전달할 수 있으므로, 오프셋 충돌시의 충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상술한 바와 같이, 오프셋 충돌시의 충돌 하중을, 로커,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및 중간 리인폴스먼트의 3개의 골격을 통하여 차량 후측에 효율 좋게 전달할 수 있으므로, 플로어 패널 차량 폭 방향 중앙측, 즉, 터널부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던 보강 멤버를 폐지할 수 있다.
또, 새롭게 추가된 중간 리인폴스먼트를 구성하는 중간 리인폴스먼트 로어는, 플로어 패널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단부에 차량 하측으로부터 결합된 플랜지부를 통하여 로커 로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부품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관련되는 차체구조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관련되는 차체구조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로커 로어와의 접속부 및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중간 리인폴스먼트 로어와의 접속부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능선이 각각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차체구조에 따르면, 플랜지부와 로커 로어와의 접속부 및 플랜지부와 중간 리인폴스먼트 로어와의 접속부에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능선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중간 리인폴스먼트 로어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오프셋 충돌시에 있어서의 충돌 하중을 보다 한층 더 효율좋게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 관련되는 차체구조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 또는 제 2 태양에 관련되는 차체구조에 있어서, 상기 로커 어퍼가, 상기 플로어 패널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단부와 일체로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차체구조에 따르면, 로커 어퍼는, 플로어 패널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것에 의해서도, 부품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태양에 관련되는 차체구조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제 3 태양의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차체구조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리인폴스먼트가, 상기 플로어 패널에 일체로 형성된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어퍼와, 상기 플로어 패널의 차량 하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어퍼와 차량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이 폐단면 형상을 이루는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로어를 가지며, 상기 중간 리인폴스먼트 로어가, 상기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로어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차량 하측으로부터 상기 플로어 패널에 결합된 플랜지부를 통하여 상기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로어와 일체로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차체구조에 따르면, 플로어 리인폴스먼트는, 차량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이 폐단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것에 의해, 플로어 리인폴스먼트의 강성이 향상되므로, 오프셋 충돌시에 있어서의 충돌 하중을 보다 한층 더 효율 좋게 전달할 수 있다.
게다가, 이 플로어 리인폴스먼트를 구성하는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어퍼는, 플로어 패널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로어는, 중간 리인폴스먼트 로어와의 사이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통하여 중간 리인폴스먼트 로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것에 의해서도, 부품수의 증가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태양에 관련되는 차체구조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제 4 태양의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차체구조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패널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중간 리인폴스먼트 로어와 차량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이 폐단면 형상을 이루는 상기 중간 리인폴스먼트를 구성하는 중간 리인폴스먼트 어퍼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차체구조에 따르면, 중간 리인폴스먼트는, 차량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이 폐단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것에 의해, 중간 리인폴스먼트의 강성이 향상되므로, 오프셋 충돌시에 있어서의 충돌 하중을 보다 한층 더 효율 좋게 전달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중간 리인폴스먼트를 구성하는 중간 리인폴스먼트 어퍼는, 플로어 패널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것에 의해서도, 부품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태양에 관련되는 차체구조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제 5 태양의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차체구조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패널, 상기 로커, 상기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및 상기 중간 리인폴스먼트 중, 적어도 상기 로커가, 고장력 강판에 의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차체구조에 따르면, 플로어 패널, 로커,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및 중간 리인폴스먼트 중, 적어도 로커는, 고장력 강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차체를 경량화할 수 있는 동시에, 적어도 로커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태양에 관련되는 차체구조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제 6 태양의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차체구조에 있어서,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로커, 상기 중간 리인폴스먼트, 상기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및 상기 터널부의 각각의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차체구조에 따르면, 로커, 중간 리인폴스먼트,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및 터널부의 각각의 사이는,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로커, 중간 리인폴스먼트,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및 터널부의 각각의 연결 강성이 향상되므로, 오프셋 충돌시에 있어서의 충돌 하중을 보다 한층 더 효율 좋게 전달할 수 있는 동시에, 측면 충돌시에 있어서의 충돌 하중에 대해서도 보다 한층 더 효율 좋게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태양에 관련되는 차체구조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제 7 태양의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차체구조에 있어서, 상기 로커 어퍼가, 차량 폭 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에 있어서의 차량 상측의 단부를 연결하는 상벽부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상벽부와의 접속부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능선이 각각 형성된 구성으로 되며, 상기 로커의 차량 상측에,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동시에, 하부가 상기 한 쌍의 측벽부와 각각 결합되며, 또한, 상기 로커 어퍼에 형성된 상기 한 쌍의 능선의 각각과 차량 폭 방향의 위치가 일치하는 한 쌍의 능선을 가지는 필러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차체구조에 따르면, 로커 어퍼에 형성된 한 쌍의 능선의 각각과, 필러에 형성된 한 쌍의 능선과의 차량 폭 방향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으므로, 필러의 로커로의 결합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9 태양에 관련되는 차체구조는, 본 발명의 제 8 태양에 관련되는 차체구조에 있어서, 상기 필러가, 필러 로어와, 하단부가 상기 필러 로어의 상단부와 차량 상하 방향에 오버랩된 상태에서 결합된 필러 어퍼를 가지고, 상기 필러 로어와 상기 필러 어퍼와의 오버랩부에, 차량의 측부에 설치된 도어를 개폐가능하게 지지하는 도어 힌지가 고정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차체구조에 따르면, 도어 힌지는, 필러 로어와 필러 어퍼와의 오버랩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도어 힌지의 설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코스트를 저감하면서, 오프셋 충돌시의 충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차체구조가 적용된 차체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2-2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3-3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나는 차체 프론트 필러 주변부의 요점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나는 차체의 센터 필러 주변부의 요점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차체구조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2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차체구조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2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차체구조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2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참고예에 관련되는 차체구조의 도 2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나타나는 화살표 UP, 화살표 FR, 화살표 OUT은, 차량 상하 방향 상측, 차량 전후 방향 전측, 차량 폭 방향 외측(우측)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나는 차체(B)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차체구조(10)가 적용되어 있다. 이 차체(B)는, 예를 들면, 승용 자동차 등의 차량에 이용되는 것이며, 플로어 패널 어퍼(20)와, 로커(30)와, 플로어 리인폴스먼트(40)와, 중간 리인폴스먼트(50)를 구비하고 있다.
플로어 패널 어퍼(20)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플로어 패널에 상당한다. 이 플로어 패널 어퍼(20)는, 차실의 바닥부를 구성하고 있고, 차량 전후 방향 및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플로어 패널 어퍼(20)의 차량 폭 방향 중앙부에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는 터널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터널부(2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상측으로 볼록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터널부(22)의 내측에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엔진과 연결된 배기관 등이 배치된다.
로커(30)는, 플로어 패널 어퍼(20)의 차량 폭 방향 외측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로커(30)는, 차량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이 폐단면 형상을 이루고 있고, 차량 상하 방향으로 분할된 로커 어퍼(32) 및 로커 로어(34)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로커 어퍼(32)는, 차량 폭 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부(32A, 32B)와, 이 한 쌍의 측벽부(32A, 32B)에 있어서의 차량 상측의 단부를 연결하는 상벽부(32C)를 가지고 있고, 차량 상측으로 볼록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로커 로어(34)는, 차량 폭 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부(34A, 34B)와, 이 한 쌍의 측벽부(34A, 34B)에 있어서의 차량 하측의 단부를 연결하는 하벽부(34C)를 가지고 있고, 차량 하측으로 볼록 형상을 이루고 있다.
로커 어퍼(32)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단부에는,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늘어나는 플랜지부(60)가 형성되어 있고, 로커 로어(34)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단부에는, 마찬가지로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늘어나는 플랜지부(6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60)와 플랜지부(61)는, 차량 상하 방향으로 포개진 상태에서, 예를 들면, 스폿 용접 등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플로어 패널 어퍼(20)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단부에는, 로커 어퍼(32) 측으로 늘어나는 플랜지부(62)가 형성되어 있고, 로커 어퍼(32)는, 이 플랜지부(6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커 로어(34)와 후술하는 중간 리인폴스먼트 로어(54)와의 사이에는, 차량 폭 방향으로 늘어나는 플랜지부(6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플랜지부(63)는, 차량 하측으로부터 플랜지부(62)에 포개진 상태에서, 이 플랜지부(62)와 예를 들면 스폿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6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플로어 패널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단부」에 상당한다. 또한, 플랜지부(63)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플로어 패널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단부에 차량 하측으로부터 결합된 플랜지부」에 상당한다.
플로어 리인폴스먼트(40)는, 터널부(22)와 로커(30)와의 사이의 중앙부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플로어 리인폴스먼트(4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 전부에 설치된 플로어 사이드 멤버(12)의 차량 후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플로어 리인폴스먼트(4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이 폐단면 형상을 이루고 있고,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어퍼(42) 및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로어(44)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어퍼(42)는, 플로어 패널 어퍼(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어퍼(42)는, 차량 폭 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부(42A, 42B)와, 이 한 쌍의 측벽부(42A, 42B)에 있어서의 차량 상측의 단부를 연결하는 상벽부(42C)를 가지고 있고, 차량 상측으로 볼록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로어(44)는, 플로어 패널 어퍼(20)의 차량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로어(44)는, 차량 폭 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부(44A, 44B)와, 이 한 쌍의 측벽부(44A, 44B)에 있어서의 차량 하측의 단부를 연결하는 하벽부(44C)를 가지고 있고, 차량 하측으로 볼록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 상술한 한 쌍의 측벽부(42A, 42B) 중 차량 폭 방향 내측의 측벽부(42A)에 있어서의 차량 하측의 단부에는,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늘어나는 플랜지부(6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측벽부(44A, 44B) 중 차량 폭 방향 내측의 측벽부(44A)에 있어서의 차량 상측의 단부에는, 마찬가지로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늘어나는 플랜지부(65)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64)와 플랜지부(65)는, 차량 상하 방향으로 포개진 상태에서, 예를 들면, 스폿 용접 등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다.
중간 리인폴스먼트(50)는, 로커(30)와 플로어 리인폴스먼트(40)와의 사이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중간 리인폴스먼트(50)는, 차량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이 폐단면 형상을 이루고 있고, 중간 리인폴스먼트 어퍼(52) 및 중간 리인폴스먼트 로어(54)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중간 리인폴스먼트 어퍼(52)는, 플로어 패널 어퍼(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중간 리인폴스먼트 어퍼(52)는, 차량 폭 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부(52A ,52B)와, 이 한 쌍의 측벽부(52A, 52B)에 있어서의 차량 상측의 단부를 연결하는 상벽부(52C)를 가지고 있고, 차량 상측으로 볼록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중간 리인폴스먼트 로어(54)는, 플로어 패널 어퍼(20)의 차량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중간 리인폴스먼트 로어(54)는, 차량 폭 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부(54A, 54B)와, 이 한 쌍의 측벽부(54A, 54B)에 있어서의 차량 하측의 단부를 연결하는 하벽부(54C)를 가지고 있고, 차량 하측으로 볼록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중간 리인폴스먼트 로어(54)는, 상술한 플랜지부(63)를 통하여 로커 로어(34)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중간 리인폴스먼트 로어(54)는,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로어(44)와의 사이에 형성된 플랜지부(66)를 통하여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로어(44)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플로어 패널 어퍼(20)의 차량 하측에 설치된 플로어 패널 로어(24)에는, 상술한 로커 로어(34),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로어(44) 및 중간 리인폴스먼트 로어(5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술한 플랜지부(66)는, 플로어 패널 어퍼(20)에 있어서의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어퍼(42)와 중간 리인폴스먼트 어퍼(52)와의 사이에 형성된 플랜지부(67)에 차량 하측으로부터 포개진 상태에서, 이 플랜지부(67)와 예를 들면 스폿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66)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중간 리인폴스먼트 로어와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로어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차량 하측으로부터 플로어 패널에 결합된 플랜지부」에 상당한다.
또, 플랜지부(62)와 로커 어퍼(32)와의 접속부 및 플랜지부(62)와 중간 리인폴스먼트 어퍼(52)와의 접속부에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능선(70, 7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플랜지부(63)와 로커 로어(34)와의 접속부 및 플랜지부(63)와 중간 리인폴스먼트 로어(54)와의 접속부에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능선(72, 7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플랜지부(67)와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어퍼(42)와의 접속부 및 플랜지부(67)와 중간 리인폴스먼트 어퍼(52)와의 접속부에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능선(74, 7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플랜지부(66)와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로어(44)와의 접속부 및 플랜지부(66)와 중간 리인폴스먼트 로어(54)와의 접속부에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능선(76, 7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플로어 패널 어퍼(20), 로커(30), 플로어 리인폴스먼트(40) 및 중간 리인폴스먼트(50)는, 모두 고장력 강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또, 이 경우, 플로어 패널 어퍼(20), 로커(30), 플로어 리인폴스먼트(40) 및 중간 리인폴스먼트(50) 중, 적어도 로커(30)가 고장력 강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또, 플로어 패널 어퍼(20), 로커(30), 플로어 리인폴스먼트(40) 및 중간 리인폴스먼트(50)는, 서로 두께나 재질이 달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플로어 패널 어퍼(20) 및 플로어 패널 로어(24)의 형성시에, 예를 들면, 테일러드 블랭킹(tailored blanking)이 이용되면 바람직하다.
또,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로커 어퍼(32)에 있어서의 한 쌍의 측벽부(32A, 32B)와 상벽부(32C)와의 접속부에는, 능선(80, 8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능선(80, 81)은, 차량 전후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다.
또, 로커(30)의 차량 상측에는,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프론트 필러(9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프론트 필러(90)의 하부에는, 차량 폭 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결합편(91A, 91B)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한 쌍의 결합편(91A, 91B)은, 한 쌍의 측벽부(32A, 32B)의 각각에 차량 폭 방향으로 포개진 상태에서, 이 한 쌍의 측벽부(32A, 32B)의 각각과 예를 들면 스폿 용접 등에 의해 각각 결합되어 있다.
또, 이 프론트 필러(90)는, 차량 수평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이 폐단면 형상을 이루고 있고, 차량 폭 방향으로 분할된 프론트 필러 이너(92) 및 프론트 필러 아우터(93)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프론트 필러 이너(92)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전후 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부(92A, 92B)와, 이 한 쌍의 측벽부(92A, 92B)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내측의 단부를 연결하는 내벽부(92C)를 가지고 있고,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볼록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프론트 필러 아우터(93)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부(93A, 93B)와, 이 한 쌍의 측벽부(93A, 93B)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단부를 연결하는 외벽부(93C)를 가지고 있고,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볼록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한 쌍의 측벽부(92A, 92B) 중 차량 후측의 측벽부(92A)에 있어서의 하부는, 차량 하측을 향함에 따라 차량 후측을 향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한 쌍의 측벽부(93A, 93B) 중 차량 후측의 측벽부(93A)에 있어서의 하부는, 차량 하측을 향함에 따라 차량 후측을 향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또, 상술한 한 쌍의 측벽부(92A, 92B)와 내벽부(92C)의 접속부에는, 능선(10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능선(100)은, 차량 상하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한 쌍의 측벽부(93A, 93B)와 외벽부(93C)와의 접속부에는, 능선(10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능선(101)은, 차량 상하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능선(100)은, 상술한 능선(80)과 각각 차량 폭 방향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고, 한 쌍의 능선(101)은, 상술한 능선(81)과 각각 차량 폭 방향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다. 즉, 한 쌍의 능선(100) 중 차량 후측의 능선(100)은, 차량 하측을 향함에 따라 차량 후측을 향하도록 만곡되어 있어, 능선(80)과 연속하고 있다. 또, 한 쌍의 능선(100) 중 차량 전측의 능선(100)은, 차량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 능선(80)과 연속하고 있다(능선(80)과 교차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한 쌍의 능선(101) 중 차량 후측의 능선(101)은, 차량 하측을 향함에 따라 차량 후측을 향하도록 만곡되어 있어, 능선(81)과 연속하고 있다. 또, 한 쌍의 능선(101) 중 차량 전측의 능선(101)은, 차량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 능선(81)과 연속하고 있다(능선(81)과 교차하고 있다).
또, 상술한 프론트 필러 이너(92)는, 프론트 필러 이너 로어(92)는, 프론트 필러 이너 로어(94) 및 프론트 필러 이너 어퍼(95)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프론트 필러 이너 어퍼(95)의 하단부(95A)는, 프론트 필러 이너 로어(94)의 상단부(94A)와 차량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된 상태에서 예를 들면 스폿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술한 프론트 필러 아우터(93)는, 프론트 필러 아우터 로어(96) 및 프론트 필러 아우터 어퍼(97)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프론트 필러 아우터 어퍼(97)의 하단부(97A)는, 프론트 필러 아우터 로어(96)의 상단부(96A)와 차량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된 상태에서 예를 들면 스폿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프론트 필러 아우터 로어(96)와 프론트 필러 아우터 어퍼(97)와의 오버랩부(98)에는,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차량의 측부에 설치된 프론트 도어(110)(도 2 참조)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도어 힌지(112)가 볼트(114) 및 너트(11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 프론트 필러 이너 로어(94) 및 프론트 필러 아우터 로어(96)는, 프론트 필러 로어(90A)를 구성하고 있고, 프론트 필러 이너 어퍼(95) 및 프론트 필러 아우터 어퍼(97)는, 프론트 필러 어퍼(90B)를 구성하고 있다. 이 프론트 필러(90)의 차량 폭 방향 외측에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11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프론트 필러(90)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필러」에 상당한다. 또한, 프론트 필러 로어(90A)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필러 로어」에 상당하고, 프론트 필러 어퍼(90B)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필러 어퍼」에 상당한다. 또한, 프런트 도어(110)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도어」에 상당하고, 결합편(91A, 91B)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필러의 하부」에 상당한다.
또, 이 프론트 필러(90)의 차량 후측에는,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센터 필러(1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센터 필러(120)는, 로커(30)의 차량 상측에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센터 필러(120)의 하부에는, 차량 폭 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결합편(121A, 121B)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한 쌍의 결합편(121A, 121B)은, 한 쌍의 측벽부(32A, 32B)의 각각에 차량 폭 방향으로 포개진 상태에서, 이 한 쌍의 측벽부(32A, 32B)의 각각과 예를 들면 스폿 용접 등에 의해 각각 결합되어 있다.
또, 이 센터 필러(120)는, 차량 수평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이 폐단면 형상을 이루고 있고, 차량 폭 방향으로 분할된 센터 필러 이너(122) 및 센터 필러 아우터(123)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센터 필러 이너(122)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부(122A, 122B)와, 이 한 쌍의 측벽부(122A, 122B)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내측의 단부를 연결하는 내벽부(122C)를 가지고 있고,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볼록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센터 필러 아우터(123)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부(123A, 123B)와, 이 한 쌍의 측벽부(123A, 123B)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단부를 연결하는 외벽부(123C)를 가지고 있고,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볼록 형상을 이루고 있다.
측벽부(122A, 123A)의 하부는, 차량 하측을 향함에 따라 차량 전측을 향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측벽부(122B, 123B)의 하부는, 차량 하측을 향함에 따라 차량 후측을 향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또, 상술한 한 쌍의 측벽부(122A, 122B)와 내벽부(122C)와의 접속부에는, 능선(13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능선(130)은, 차량 상하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한 쌍의 측벽부(123A, 123B)와 외벽부(123C)와의 접속부에는, 능선(13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능선(131)은, 차량 상하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능선(130)은, 상술한 능선(80)과 각각 차량 폭 방향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고, 한 쌍의 능선(131)은, 상술한 능선(81)과 각각 차량 폭 방향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다. 한 쌍의 능선(130) 중 차량 후측의 능선(130)은, 차량 하측을 향함에 따라 차량 후측을 향하도록 만곡되어 있어, 능선(80)과 연속하고 있다. 또, 이 한 쌍의 능선(130) 중 차량 전측의 능선(130)은, 차량 하측을 향함에 따라 차량 전측을 향하도록 만곡되어 있어, 능선(80)과 연속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한 쌍의 능선(131) 중 차량 후측의 능선(131)은, 차량 하측을 향함에 따라 차량 후측을 향하도록 만곡되어 있어, 능선(81)과 연속하고 있다. 또, 이 한 쌍의 능선(131) 중 차량 전측의 능선(131)은, 차량 하측을 향함에 따라 차량 전측을 향하도록 만곡되어 있어, 능선(81)과 연속하고 있다.
또, 상술한 센터 필러 이너(122)는, 센터 필러 이너 로어(124) 및 센터 필러 이너 어퍼(125)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센터 필러 이너 어퍼(125)의 하단부(125A)는, 센터 필러 이너 로어(124)의 상단부(124A)와 차량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된 상태에서 예를 들면 스폿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술한 센터 필러 아우터(123)는, 센터 필러 아우터 로어(126) 및 센터 필러 아우터 어퍼(127)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센터 필러 아우터 어퍼(127)의 하단부(127A)는, 센터 필러 아우터 로어(126)의 상단부(126A)와 차량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된 상태에서 예를 들면 스폿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센터 필러 아우터 로어(126)와 센터 필러 아우터 어퍼(127)와의 오버랩부(128)에는, 차량의 측부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리어 도어(rear door)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도어 힌지(132)가 고정되어 있다.
또, 센터 필러 이너 로어(124) 및 센터 필러 아우터 로어(126)는, 센터 필러 로어(120A)를 구성하고 있고, 센터 필러 이너 어퍼(125) 및 센터 필러 로어(127)는, 센터 필러 어퍼(120B)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센터 필러(120)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필러」에 상당한다. 또, 센터 필러 로어(120A)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필러 로어」에 상당하고, 센터 필러 어퍼(120B)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필러 어퍼」에 상당한다. 또, 상술한 도시하지 않은 리어 도어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도어」에 상당하고, 결합편(121A, 121B)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필러의 하부」에 상당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이 차체구조(10)에 따르면, 플로어 패널 어퍼(20)의 차량 폭 방향 중앙부에 형성된 터널부(22)와 로커(30)와의 사이의 중앙부이며,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차량 후측에는, 플로어 리인폴스먼트(40)가 설치되어 있다. 또, 로커(30)와 플로어 리인폴스먼트(40)와의 사이에는, 중간 리인폴스먼트(5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충돌체가 차량 전면의 차량 폭 방향 일방 측으로 충돌하는 오프셋 충돌이 생겼을 경우, 프론트 사이드 멤버(12)에 전해지는 충돌 하중(F1)은,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일단 우회하지 않고, 로커(30), 플로어 리인폴스먼트(40) 및 중간 리인폴스먼트(50)의 3개의 골격을 통하여 차량 후측으로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오프셋 충돌시에 있어서의 충돌 하중을 효율좋게 전달할 수 있으므로, 오프셋 충돌시의 충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상술한 바와 같이, 오프셋 충돌시의 충돌 하중(F1)을, 로커(30), 플로어 리인폴스먼트(40) 및 중간 리인폴스먼트(50)를 통하여 차량 후측에 효율 좋게 전달할 수 있으므로, 플로어 패널 어퍼(20)의 차량 폭 방향 중앙측, 즉, 터널부(22)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던 보강 멤버를 폐지할 수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새롭게 추가된 중간 리인폴스먼트(50)를 구성하는 중간 리인폴스먼트 로어(54)는, 플랜지부(63)를 통하여 로커 로어(34)와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플랜지부(66)를 통하여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로어(44)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로어 패널 어퍼(20)에는, 중간 리인폴스먼트 어퍼(52) 및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어퍼(42)가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로커 어퍼(32)는, 플로어 패널 어퍼(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부품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 플로어 리인폴스먼트(40) 및 중간 리인폴스먼트(50)는, 차량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이 각각 폐단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것에 의해, 플로어 리인폴스먼트(40) 및 중간 리인폴스먼트(50)의 강성이 향상되므로, 오프셋 충돌시에 있어서의 충돌 하중을 보다 한층 더 효율 좋게 전달할 수 있다.
또, 플랜지부(62)와 로커 어퍼(32)와의 접속부 및 플랜지부(62)와 중간 리인폴스먼트(52)와의 접속부에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능선(70, 71)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부(67)와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어퍼(42)와의 접속부 및 플랜지부(67)와 중간 리인폴스먼트(52)와의 접속부에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능선(74, 7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플랜지부(63)와 로커 로어(34)와의 접속부 및 플랜지부(63)와 중간 리인폴스먼트 로어(54)와의 접속부에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능선(72, 73)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부(66)와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로어(44)와의 접속부 및 플랜지부(66)와 중간 리인폴스먼트 로어(54)와의 접속부에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능선(76, 7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플로어 리인폴스먼트(40) 및 중간 리인폴스먼트(5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것에 의해서도, 오프셋 충돌시에 있어서의 충돌 하중을 보다 한층 더 효율 좋게 전달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로커(30)와 플로어 리인폴스먼트(40)와의 사이에는, 중간 리인폴스먼트(5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측면 충돌시에 로커(30)에 충돌 하중(F2)이 입력된 경우라도, 로커(30), 중간 리인폴스먼트(50), 플로어 리인폴스먼트(40)의 순으로 충돌 하중(F2)을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측면 충돌시에 있어서의 충돌 하중(F2)에 대해서도 효율 좋게 전달할 수 있으므로, 측면 충돌시의 충돌 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충돌체가 오프셋 충돌의 경우보다 더 차량 폭 방향 외측에 있어서 차량 전면으로 충돌하는 미소 랩 충돌시에 있어서도, 충돌 하중을 로커(30) 및 중간 리인폴스먼트(50)를 통하여 차량 후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미소 랩 충돌시에 있어서의 충돌 하중에 대해서도 효율 좋게 전달할 수 있으므로, 미소 랩 충돌시의 충돌 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플로어 패널 어퍼(20), 로커(30), 플로어 리인폴스먼트(40) 및 중간 리인폴스먼트(50) 중 적어도 로커(30)는, 고장력 강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되어 있으면, 차체를 경량화할 수 있는 동시에, 적어도 로커(3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로커 어퍼(32)에 형성된 한 쌍의 능선(80, 81)의 각각과, 프론트 필러(90)에 형성된 한 쌍의 능선(100, 101)과의 차량 폭 방향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으므로, 프론트 필러(90)의 로커(30)로의 결합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로커 어퍼(32)에 형성된 한 쌍의 능선(80, 81)의 각각과, 센터 필러(120)에 형성된 한 쌍의 능선(130, 131)과의 차량 폭 방향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으므로, 센터 필러(120)의 로커(30)로의 결합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프론트 필러(90) 및 센터 필러(120)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부재를 삭감하거나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경량화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론트 필러(90) 및 센터 필러(120)의 로커(30)로의 결합 강성이 향상되므로, 측면 충돌, 오프셋 충돌, 미소 랩 충돌 등이 생겼을 경우에도, 실내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도어 힌지(112)는, 프론트 필러 로어(90A)와 프론트 필러 어퍼(90B)와의 오버랩부(98)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도어 힌지(112)의 설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도어 힌지(132)는, 센터 필러 로어(120A)와 센터 필러 어퍼(120B)와의 오버랩부(128)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도어 힌지(132)의 설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로커(30)는, 차량 상하 방향으로 분할된 로커 어퍼(32) 및 로커 로어(34)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로커 어퍼(32) 및 로커 로어(34)를 결합하는 플랜지부(60, 61) 또는 플랜지부(62, 63)가 차량 상측으로 돌출하지 않으므로, 로커(30)의 차량 상측으로의 돌출량을 누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로커(30)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으므로, 차량으로의 승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서는, 플로어 패널 어퍼(20)에,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어퍼(42) 및 중간 리인폴스먼트 어퍼(5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플로어 패널 어퍼(20)에 있어서의 터널부(22)와 로커(30)와의 사이의 부분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플로어 리인폴스먼트(40) 및 중간 리인폴스먼트(50)는,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로어(44) 및 중간 리인폴스먼트 로어(54) 만을 각각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로커(30), 중간 리인폴스먼트(50), 플로어 리인폴스먼트(40) 및 터널부(22)의 각각의 사이는,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연결부(140, 141, 142)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이 복수의 연결부(140, 141, 142)는, 플로어 패널 어퍼(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차량 상측으로 볼록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로커(30), 중간 리인폴스먼트(50), 플로어 리인폴스먼트(40) 및 터널부(22)의 각각의 연결 강성이 향상되므로, 오프셋 충돌시에 있어서의 충돌 하중을 보다 한층 더 효율 좋게 전달할 수 있는 동시에, 측면 충돌시에 있어서의 충돌 하중에 대해서도 보다 한층 더 효율 좋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연결부(140, 141, 142)는, 플로어 패널 어퍼(20) 및 플로어 패널 로어(24)에 형성되는 동시에, 차량 하측으로 볼록 형상을 이루고 있어도 좋다. 또, 이 복수의 연결부(140, 141, 142)는, 차량 폭 방향으로 연속하는 크로스 멤버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렇게 구성되어 있어도, 상기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이외에도, 그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형하여 실시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 이외에, 상기 실시형태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에 대하여 기재한다.
즉, 차실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과, 상기 플로어 패널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외측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는 동시에, 차량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이 폐단면 형상을 이루고, 또한, 차량 상하 방향으로 분할된 로커 어퍼 및 로커 로어를 가지고 구성된 로커와, 상기 로커 어퍼에 형성되어 차량 폭 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에 있어서의 차량 상측의 단부를 연결하는 상벽부와의 접속부에 각각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한 쌍의 능선과, 상기 로커의 차량 상측에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는 동시에, 하부가 상기 한 쌍의 측벽부와 각각 결합되며, 또한, 상기 한 쌍의 능선의 각각과 차량 폭 방향의 위치가 일치하는 한 쌍의 능선을 가지는 필러를 구비한 차체구조이다.
이 차체구조에 따르면, 로커 어퍼에 형성된 한 쌍의 능선의 각각과, 필러에 형성된 한 쌍의 능선과의 차량 폭 방향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다. 즉, 로커 어퍼에 형성된 한 쌍의 능선의 각각은, 필러에 형성된 한 쌍의 능선과 연속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필러의 로커로의 결합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참고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나는 참고예에 관련되는 차체구조(21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차체구조(10)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이 변경된 것이다.
즉, 상술한 중간 리인폴스먼트 로어(54)는, 로커 로어(34) 및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로어(44)와 별개로 구성되어 있다. 또, 로커 로어(34)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내측의 단부에는,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늘어나는 플랜지부(220)가 형성되어 있고, 중간 리인폴스먼트 로어(54)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단부에는,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늘어나는 플랜지부(221)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220)는, 플랜지부(62)에 차량 하측으로부터 포개져 있고, 플랜지부(221)는, 플랜지부(220)에 차량 하측으로부터 포개져 있다. 그리고, 이들 플랜지부(62, 220, 221)는, 예를 들면 스폿 용접 등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로어(44)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단부에는,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늘어나는 플랜지부(222)가 형성되어 있고, 중간 리인폴스먼트 로어(54)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내측의 단부에는,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늘어나는 플랜지부(223)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222)는, 플랜지부(67)에 차량 하측으로부터 포개져 있고, 플랜지부(223)는, 플랜지부(222)에 차량 하측으로부터 포개져 있다. 그리고, 이들 플랜지부(67, 222, 223)는, 예를 들면 스폿 용접 등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다.
다음에, 참고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차체구조(210)에 따르면, 플로어 패널 어퍼(20)의 차량 폭 방향 중앙부에 형성된 터널부(22)와 로커(30)와의 사이의 중앙부이며,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차량 후측에는, 플로어 리인폴스먼트(40)가 설치되어 있다. 또, 로커(30)와 플로어 리인폴스먼트(40)와의 사이에는, 중간 리인폴스먼트(5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충돌체가 차량 전면의 차량 폭 방향 일방측으로 충돌하는 오프셋 충돌이 생겼을 경우,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전해지는 충돌 하중은,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일단 우회하지 않고, 로커(30), 플로어 리인폴스먼트(40) 및 중간 리인폴스먼트(50)의 3개의 골격을 통하여 차량 후측으로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오프셋 충돌시에 있어서의 충돌 하중을 효율 좋게 전달할 수 있으므로, 오프셋 충돌시의 충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참고예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에 대하여 기재한다.
즉, 차실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과, 상기 플로어 패널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외측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는 동시에, 차량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이 폐단면 형상을 이루고, 또한, 차량 상하 방향으로 분할된 로커 어퍼 및 로커 로어를 가지고 구성된 로커와, 상기 플로어의 패널 차량 폭 방향 중앙부에 형성된 터널부와 상기 로커와의 사이의 중앙부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는 동시에, 차체 전부에 설치된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차량 후측에 배치된 플로어 리인폴스먼트와, 상기 로커와 상기 플로어 리인폴스먼트와의 사이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중간 리인폴스먼트를 구비한 차체구조이다.
이 차체구조에 따르면, 플로어 패널 차량 폭 방향 중앙부에 형성된 터널부와 로커와의 사이의 중앙부이며,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차량 후측에는, 플로어 리인폴스먼트가 설치되어 있다. 또, 로커와 플로어 리인폴스먼트와의 사이에는, 중간 리인폴스먼트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충돌체가 차량 전면의 차량 폭 방향 일방측으로 충돌하는 오프셋 충돌이 생겼을 경우,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전해지는 충돌 하중은,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일단 우회하지 않고, 로커,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및 중간 리인폴스먼트의 3개의 골격을 통하여 차량 후측으로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오프셋 충돌시에 있어서의 충돌 하중을 효율 좋게 전달할 수 있으므로, 오프셋 충돌시의 충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부호의 설명을 기록한다.
10. 차체구조 12. 프론트 사이드 멤버
20, 플로어 패널 어퍼(플로어 패널) 22. 터널부
30. 로커 32. 로커 어퍼
32A, 32B. 로커 어퍼에 있어서의 한 쌍의 측벽부
32C. 로커 어퍼에 있어서의 상벽부 34. 로커 로어
40.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42.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어퍼
44.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로어 50. 중간 리인폴스먼트
52. 중간 리인폴스먼트 어퍼 54. 중간 리인폴스먼트 로어
62. 플랜지부(플로어 패널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단부)
63. 플랜지부(플로어 패널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단부에 차량 하측으로부터 결합된 플랜지부)
66. 플랜지부(중간 리인폴스먼트 로어와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로어와의 사이에 형성된 플랜지부)
72. 능선(플랜지부와 로커 로어와의 접속부에 형성된 능선)
73. 능선(플랜지부와 중간 리인폴스먼트 로어와의 접속부에 형성된 능선)
80, 81. 능선(로커 어퍼에 있어서의 한 쌍의 측벽부와 상벽부와의 접속부에 형성된 능선)
90. 프론트 필러(필러)
90A. 프론트 필러 로어(필러 로어)
90B. 프론트 필러 어퍼(필러 어퍼) 91A, 91B. 결합편(필러의 하부)
98. 오버랩부 100, 101. 능선(필러의 능선)
110. 프론트 도어(도어) 112. 도어 힌지
120. 센터 필러(필러)
120A. 센터 필러 로어(필러 로어)
120B. 센터 필러 어퍼(필러 어퍼)
121A, 121B. 결합편(필러의 하부) 128. 오버랩부
130, 131. 능선(필러의 능선) 132. 도어 힌지
140, 141, 142. 복수의 연결부

Claims (9)

  1. 차실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과,
    상기 플로어 패널의 차량 폭 방향 외측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는 동시에, 차량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이 폐(閉) 단면 형상을 이루고, 또한, 차량 상하 방향으로 분할된 로커 어퍼(rocker upper) 및 로커 로어(rocker lower)를 가지고 구성된 로커와,
    상기 플로어 패널의 차량 폭 방향 중앙부에 형성된 터널(tunnel)부와 상기 로커와의 사이의 중앙부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는 동시에, 차체 전부에 설치된 프론트 사이드 멤버(front side member)의 차량 후측에 배치된 플로어 리인폴스먼트(reinforcement)와,
    상기 로커와 상기 플로어 리인폴스먼트와의 사이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중간 리인폴스먼트를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플로어 패널의 차량 하측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플로어 패널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단부에 차량 하측으로부터 결합된 플랜지부를 통하여 상기 로커 로어와 일체로 형성된 중간 리인폴스먼트 로어를 구비한 차체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로커 로어와의 접속부 및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중간 리인폴스먼트 로어와의 접속부에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능선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 어퍼는, 상기 플로어 패널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구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리인폴스먼트는, 상기 플로어 패널에 일체로 형성된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어퍼와, 상기 플로어 패널의 차량 하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어퍼와 차량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이 폐단면 형상을 이루는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로어를 가지며,
    상기 중간 리인폴스먼트 로어는, 상기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로어와의 사이에 형성되고 차량 하측으로부터 상기 플로어 패널에 결합된 플랜지부를 통하여 상기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로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구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패널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 리인폴스먼트 로어와 차량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이 폐단면 형상을 이루는 상기 중간 리인폴스먼트를 구성하는 중간 리인폴스먼트 어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구조.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패널, 상기 로커, 상기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및 상기 중간 리인폴스먼트 중, 적어도 상기 로커는, 고장력 강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구조.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로커, 상기 중간 리인폴스먼트, 상기 플로어 리인폴스먼트 및 상기 터널부의 각각의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구조.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 어퍼는, 차량 폭 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에 있어서의 차량 상측의 단부를 연결하는 상벽부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상벽부와의 접속부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능선이 각각 형성된 구성이고,
    상기 로커의 차량 상측에는,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동시에, 하부가 상기 한 쌍의 측벽부와 각각 결합되며, 또한, 상기 로커 어퍼에 형성된 상기 한 쌍의 능선의 각각과 차량 폭 방향의 위치가 일치하는 한 쌍의 능선을 가지는 필러(pillar)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구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는, 필러 로어와, 하단부가 상기 필러 로어의 상단부와 차량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된 상태에서 결합된 필러 어퍼를 가지며,
    상기 필러 로어와 상기 필러 어퍼와의 오버랩부에는, 차량의 측부에 설치된 도어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도어 힌지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구조.
KR1020137007429A 2011-09-01 2011-09-01 차체구조 KR1013706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69951 WO2013031008A1 (ja) 2011-09-01 2011-09-01 車体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056A true KR20130058056A (ko) 2013-06-03
KR101370672B1 KR101370672B1 (ko) 2014-03-04

Family

ID=47755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7429A KR101370672B1 (ko) 2011-09-01 2011-09-01 차체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827355B2 (ko)
EP (1) EP2647554B1 (ko)
JP (1) JP5288054B1 (ko)
KR (1) KR101370672B1 (ko)
CN (1) CN103118928B (ko)
BR (1) BR112013006678A2 (ko)
WO (1) WO20130310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58331B (zh) 2011-12-07 2016-05-04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身下部构造
US9758192B2 (en) * 2015-05-11 2017-09-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Underbody structure for absorbing energy to improve roof structure integrity during side impact
JP6337860B2 (ja) * 2015-09-15 2018-06-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骨格構造
JP2017077763A (ja) * 2015-10-19 2017-04-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床部構造
JP6597562B2 (ja) * 2016-11-08 2019-10-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下部構造
JP6627807B2 (ja) 2017-03-03 2020-01-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後部構造
CN110027622A (zh) * 2018-01-12 2019-07-1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下部构造
JP7211987B2 (ja) * 2020-01-17 2023-0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下部構造
JP7298507B2 (ja) * 2020-02-25 2023-06-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乗降口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941Y2 (ja) * 1981-04-15 1984-03-21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フロア構造
JP2844847B2 (ja) 1990-06-01 1999-01-13 グラフテック株式会社 サーマルヘッド加圧装置
JP2650468B2 (ja) * 1990-06-06 1997-09-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メンバ接合構造
JPH0435974U (ko) * 1990-07-24 1992-03-25
US5332281A (en) * 1992-04-30 1994-07-26 Ford Motor Company Space frame construction
JPH0627452A (ja) 1992-07-09 1994-02-04 Nec Corp 液晶表示装置
JPH0627452U (ja) * 1992-09-09 1994-04-1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サイドシル構造
JP3082461B2 (ja) 1992-09-18 2000-08-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下部構造
JPH06321137A (ja) 1993-05-19 1994-11-22 Nissan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フロア構造
JPH0761374A (ja) * 1993-08-26 1995-03-07 Kanto Auto Works Ltd 車両フロア構造
US5480208A (en) * 1994-05-06 1996-01-02 Aluminum Company Of America S-portion for a frame-type vehicle body construction and an associated method
JP2000264256A (ja) 1999-03-15 2000-09-26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車両のフロア構造
KR20020090411A (ko) * 2001-05-25 2002-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센터플로어패널구조
JP3964775B2 (ja) 2002-11-22 2007-08-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フロア構造
US7001097B2 (en) * 2003-04-02 2006-02-21 General Motors Corporation Tubular joint assembly
US6786534B1 (en) * 2003-05-28 2004-09-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tomotive body side impact control system
JP2006264541A (ja) 2005-03-24 2006-10-05 Toyota Motor Corp 車輌のフロア補強構造
JP4788539B2 (ja) 2006-09-13 2011-10-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パネル構造
JP2008279889A (ja) 2007-05-10 2008-11-20 Honda Motor Co Ltd 車体側部構造
JP4900095B2 (ja) * 2007-07-06 2012-03-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フロア構造
WO2009054459A1 (ja) * 2007-10-24 2009-04-3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車体側部構造
JP5104264B2 (ja) * 2007-12-07 2012-12-19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自動車のピラー構造
JP5384094B2 (ja) 2008-12-29 2014-01-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構造体及びレジントランスファモールディング成形方法
CN102216146B (zh) * 2009-03-02 2012-12-05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的骨架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31008A1 (ja) 2013-03-07
US8827355B2 (en) 2014-09-09
EP2647554B1 (en) 2014-10-22
CN103118928B (zh) 2014-12-31
BR112013006678A2 (pt) 2016-06-07
US20140159422A1 (en) 2014-06-12
EP2647554A4 (en) 2013-11-06
KR101370672B1 (ko) 2014-03-04
JP5288054B1 (ja) 2013-09-11
EP2647554A1 (en) 2013-10-09
JPWO2013031008A1 (ja) 2015-03-23
CN103118928A (zh) 201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672B1 (ko) 차체구조
EP2196382B1 (en) Vehicle body lateral side portion structure
JP6304066B2 (ja) 車両の上部車体構造
JP5352682B2 (ja) 車体フロア構造
CN103534164B (zh) 车身骨架结构
JP5506551B2 (ja) 自動車車体のピラー構造
US20130020833A1 (en) Vehicular center pillar and vehicle
CN105882759A (zh) 车辆的上部车身结构
CN111284568B (zh) 车身构造
US9663920B2 (en) Cab for work vehicl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N108454702A (zh) 车辆的侧部车体构造
US20200298915A1 (en) Vehicle lower portion structure
JP4989443B2 (ja) 車体側部構造
JP2013139169A (ja) 車両後部構造
JP2016150699A (ja) 車両の上部車体構造
JP6221164B2 (ja) 車体構造
JP7251331B2 (ja) 上部車体構造
JP5115383B2 (ja) 車体前部構造
JP5558309B2 (ja) 自動車のルーフサイドレイルとセンタピラーとの連結部構造
KR101209681B1 (ko) 테일 게이트 사이드부의 강성 보강 구조
JP5189623B2 (ja) 車体後部構造
JP4990388B2 (ja) 車体後部構造
JP2023103538A (ja) 車両下部フレーム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