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8237A - 옥시나이트라이드 발광재료, 그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조명광원 - Google Patents

옥시나이트라이드 발광재료, 그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조명광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8237A
KR20130048237A KR1020137002601A KR20137002601A KR20130048237A KR 20130048237 A KR20130048237 A KR 20130048237A KR 1020137002601 A KR1020137002601 A KR 1020137002601A KR 20137002601 A KR20137002601 A KR 20137002601A KR 20130048237 A KR20130048237 A KR 20130048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oxynitride
emitting material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2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7250B1 (ko
Inventor
샤오칭 지아
하이송 왕
펭 바오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유지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유지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유지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48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83Arsenides; Nitrides; Phosph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77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C09K11/7715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containing cerium
    • C09K11/77218Silicon Aluminium Nitrides or Silicon Aluminium Oxynit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59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64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alumin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Abstract

본 발명의 옥시나이트라이드 발광재료에 있어서, 화학식은 M1 - yA4 - xZ1 + xOxN7 -x:Ry이고, 여기서, M은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희토류금속, 전이금속 중의 하나 이상이고, A는 Si, Ge, B, Al 중의 하나 또는 Si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이며, Z는 Al, Ga, In 원소 중 하나 또는 Al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이고, R은 발광중심 원소 Eu, Ce, Tb, Yb, Sm, Pr, Dy 중의 하나 이상이며, 0≤x<0.5이고, 0<y<1.0이다. 해당 발광재료는 자외선, 근자외선 또는 청색광 등 여기광원에 의해 여기될 경우, 파장이 500~750nm인 황색광 또는 적색광을 발사할 수 있고, 자외선, 근자외선 또는 청색광 LED 그리고 녹색 형광분말과 같은 기타 발광재료와 배합하여 신형 백색광LED광원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광재료는 여기파장범위가 넓고, 고효율적이며 안정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제조방법이 간단하고 양산이 용이하며 오염이 없다.

Description

옥시나이트라이드 발광재료, 그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조명광원{OXYNITRIDE LUMINESCENT MATERIAL,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ILLUMINATION LIGHT SOURCE MADE FROM SUCH MATERIAL}
본 발명은 반도체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옥시나이트라이드 발광재료,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조명광원에 관한 것이다.
GaN계(base)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LED)는 21세기 고체조명(Solid State Lighting)으로 불리는 신형 발광장치로서, 체적이 작고 전기를 절약하며 사용수명이 길고 환경을 오염시키는 수은을 포함하지 않으며 고효율적이고 낮은 유지보수율 등의 장점을 지니고 있어, 실내 조명, 교통신호등/지시등, 자동차 미등/전조등, 옥외용 초대형 스크린,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광고 스크린 등 각종 조명설비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각종 전구 및 형광등을 대체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신형의 녹색 광원은 반드시 차세대 조명 시스템으로 부상할 것이며, 에너지 절약, 친환경, 삶의 질 향상 등 여러 면에서 광범위하고 심원한 의미를 가지게 될 것이다. 백색광LED의 제조기술은 주로 하기와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 즉, (1)3종 단색광LED(청색, 녹색, 적색)의 조합. (2)청색광LED+황색 형광분말. (3)자외선LED+적색, 녹색, 청색 등 3색 형광분말. 하지만 청색광LED에 의해 효과적으로 여기(excitation 勵起)될 수 있는 무기발광재료는 매우 적다. 현재는 주로 이트륨 알루미늄 가닛 YAG:Ce 형광재료와 청색광LED를 결합하고, 보색의 원리를 통해 백색광을 얻는다. 하지만 YAG가 발사하는 광색이 황색과 녹색에 가깝기 때문에, 색온도가 비교적 높은 쿨톤(Cool Tone)의 백색광만 얻을 수 있고, 또한 그 연색지수를 더 향상시킬 여지가 있다. 상이한 색온도의 백색광(쿨톤에서 웜톤(Warm Tone)으로) 및 더욱 높은 연색지수를 얻기 위하여, 녹색, 황색 또는 적색의 형광분말을 첨가해야 한다.
현재, 청색광(420~480nm)에 의해 여기될 수 있는 녹색 형광분말은 2가 유로피움이 섞인 황화물을 위주로 한다. 예를 들면, (Ca, Sr, Ba)GaS4:Eu2 +이다. 하지만 황화물 형광분말은 매우 낮은 화학성과 열안정성을 가지고 있어, 공기 중의 수분과 쉽게 반응하고 열을 받으면 쉽게 분해하며 또한 생산 과정에서 폐기가스가 배출되어 환경을 오염시킨다. 최근 SiN4 기본단위로 구성되는 질화물이 형광분말의 기재로서 광범위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비교적 강한 공유결합성과 비교적 큰 결정장 분열로 인해 해당 유형의 화합물은 2가 유로피움과 같은 희토류 원소를 혼합하여 황색, 주황색 및 적색과 같은 파장이 비교적 긴 광을 발사할 수 있다. 기질재료에 대한 선택 및 리간드장 또는 결정장에 대한 설계 등 발광중심원자의 주위환경을 변화시켜 발광 성능을 조절하고 신형 형광분말을 개발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외선-청색광의 여기 하에 황색광, 적색광을 발사하는 옥시나이트라이드 형광분말을 개시한다. 동시에, 본 발명은 또 옥시나이트라이드 형광분말과 청색광LED를 배합시켜 제조한 백색광 LED 전기광원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영역의 결함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화학적 성질이 안정적이고 발광 성능이 우수하며 자외선LED 또는 청색광LED에 의해 여기될 수 있는 백색광LED용 옥시나이트라이드의 황색, 적색 발광재료를 제공한다. 상기 발광재료의 여기파장은 200~500nm이고, 발광파장은 500~750nm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하고 조작이 용이하며 양산(量産)이 쉽고 오염이 없으며 원가가 낮은 상기 발광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조방법을 통하여 높은 발광강도를 가지고 과립이 균일하며 입경(粒徑)이 10μm 이하인 미세 형광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발광재료로 제조되는 백색광LED 조명광원을 제공하는 것이다.
옥시나이트라이드 발광재료에 있어서, 화학식은 M1 - yA4 - xZ1 + xOxN7 -x:Ry이고, 여기서, M은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희토류금속, 전이금속 중의 하나 이상이고, A는 Si, Ge, B, Al 중의 하나 또는 Si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이며, Z는 Al, Ga, In 원소 중의 하나 또는 Al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이고, R은 발광중심 원소 Eu, Ce, Tb, Yb, Sm, Pr, Dy 중의 하나 이상이며, 0≤x<0.5이고, 0<y<1.0이다.
M은 Li, Mg, Ca, Sr, Ba, Bi, Mn, Zn, La, Gd, Lu, Y 중의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M은 Li, Mg, Ca, Zn, Sr, Ba, Bi, Y 중의 하나 또는 적어도 Sr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Sr원소의 함량은 0.8보다 크고, A는 Si이며, Z는 Al이고, R은 Eu, Ce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0≤x≤0.15이고, 0<y≤0.1인 것이 바람직하다.
0≤x≤0.1이고, 0.05≤y≤0.1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옥시나이트라이드 발광재료의 제조방법은 M을 함유하는 산화물, 질화물, 질산염 또는 탄산염, A를 함유하는 질화물 또는 산화물, Z를 함유하는 질화물 또는 산화물 및 R원소를 함유하는 질화물, 산화물 또는 질산염을 원료로, 균일하게 연마하고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1)과, 단계(1)에서 얻은 혼합물을 불활성기체의 보호 하에 기압소결법(氣壓燒結法) 또는 고상반응법(固相反應法)으로 고온 배소(焙燒)를 진행하여 배소산물을 얻는 단계(2) 및 단계(2)에서 얻은 배소산물을 다시 분쇄, 불순물 세척, 건조, 분급(分級)을 거쳐 옥시나이트라이드 발광재료를 제조하는 단계(3)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압소결법에서 불활성기체는 질소기체로서 질소기체의 압력은 1~200대기압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고상반응법에서 불활성기체는 상압(常壓)의 질소기체와 수소기체의 혼합기체로서 질소기체와 수소기체의 체적비는 95:5 또는 90:10 또는 85:15 또는 80:20이며, 유량(流量)은 0.1~3L/분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고온배소의 온도는 1200~1800℃이고, 배소시간은 0.5~30시간이며, 배소를 복수 회 진행할 수 있다.
상기 탄소열 환원 질소화(고온배소의 일종임)의 온도는 1200~1600℃이고, 시간은 0.5~30시간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계(1)에서 반응 융제(融劑)를 더 첨가하고, 상기 융제는 M을 함유하는 할로겐화물 또는 붕산 중의 하나 이상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반응 융제의 첨가량은 원료 총 중량의 0.01~10%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불순물 세척은 산세척 또는 수세척이다.
백색광 LED 조명광원에 있어서, 자외선 또는 근자외선 LED와 상기의 옥시나이트라이드 발광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백색광 LED 조명 및 광원에 있어서, 청색광 LED와 상기의 옥시나이트라이드 발광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기술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옥시나이트라이드 발광재료는 200~500nm 광선 여기 하에 500~750nm, 특히 560nm 이상의 황색광 또는 적색광을 발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방법에 의하면, 원료는 M금속질화물을 사용할 수 있는 것 외에 또 산화물, 탄산염, 질산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런 염류는 고온배소 하에 금속산화물로 분해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상기 발광재료를 제조하는 원료로 사용할 수 있어 원료의 사용범위를 넓혔고, 동시에 합성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었다. 또한 염류의 성질이 더욱 안정적이고 합성과정에서 원료에 대하여 특별한 처리를 진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반응에 대한 제어가 용이하고 양산화를 쉽게 실현할 수 있다. M금속질화물, 산화물, 탄산염, 질산염 등과 A원소 및 Y원소의 산화물, 질화물 그리고 R원소의 질화물 또는 산화물이 고온배소 하에 본 발명의 발광재료를 합성하고, 고온배소의 과정에서 불활성 보호기체를 유입시킨다. 보호기체를 유입시키는 목적은 (1)일부 질화물 원료 및 반응산물이 고온에서 분해가 발생하는 것을 보호하고, (2)환원성 분위기의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다. 불활성기체는 일반적으로 N2를 사용하거나 N2와 H2의 혼합기체를 사용하는데, 고압을 사용하거나 상압을 사용할 수 있다. 고온배소 전에, 원료의 연마 및 혼합 시, 에탄올 또는 N-헥산 용제를 첨가하여 원료가 더욱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할 수 있고, 배소 전에 융제 M의 헬로겐화물 또는 붕산을 첨가할 수 있다. 반응의 후처리 과정에서, 여분의 반응불순물을 제거해야 한다. 상기 원료는 고온배소를 거친 후, 일반적으로 M 또는/및 A 또는/및 Y 또는/및 R원소의 산화물인 불순물이 형성되는데, 산세척 또는 수세척의 방법으로 제거할 수 있고, 나머지 불순물은 기체로 휘발된다.
본 발명에 따라 합성된 옥시나이트라이드 발광재료는 200~500nm 광선의 여기 하에 500~750nm의 황색광 또는 적색광을 발사할 수 있다. 따라서, 적색 발광재료와 같은 기타 발광재료를 혼합시켜 청색광 LED칩 상에 도포함으로써 신형의 백색광LED를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청색, 녹색 발광재료와 같은 기타 발광재료를 혼합시켜 자외선 또는 근자외선 LED칩 상에 도포함으로써 신형의 백색광LED를 제조할 수 있으며, 에너지의 전환이 높다. 또한 청색광 LED, 자외선 LED 또는 근자외선 LED와 서로 매칭하거나 기타 발광재료를 혼합시켜 채색 LED를 제조할 수 있다.
현재 백색광 LED에서 사용하는 황색 형광분말은 Ce3+를 섞은 YAG시스템을 위주로 하는데, 그 특징은 발사피크가 비교적 넓고 휘도가 높으며, 주로 높은 색온도(>5000K)의 백색광 LED 제조에 사용된다. 이 밖에, YAG시스템의 형광분말의 온도특성이 약간 부족함으로 인해 일부 조성의 광감쇠가 심각하다. 본 발명에 따라 합성된 옥시나이트라이드 발광재료는 YAG시스템과 전혀 다른 화학구조식 및 결정체 구조를 가지고 있어, 새로운 발광재료라고 할 수 있다. Ce3+를 섞은 해당 화합물은 발사파장이 YAG보다 긴 황색 발광재료를 얻을 수 있고, 이를 통해 낮은 색온도(<5000K)의 백색광LED를 제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조성의 변화를 통해 발사파장이 YAG에 가까운 황색 발광재료를 얻어 높은 색온도의 백색광LED를 제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Eu2+를 섞은 해당 화합물의 발사파장은 적색광 영역에 위치하는 적색 발광재료로서, 기타 녹색 형광분말과의 조성을 통해 고연색형의 백색광LED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질소 원소를 함유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라 합성한 화합물은 비교적 강한 공유화학결합 및 SiN4 사면체 단원으로 구성되는 3차원 네트워크구조를 가지고 있어, 온도특성이 비교적 양호하다. 질소/산소 원소의 비례를 변화시킴으로써 일정 범위의 고용체를 형성하여 발사파장을 제어하는 목적을 달성하고 응용범위가 더욱 광범위해진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공정이 간단하고, 양산의 목적을 쉽게 달성할 수 있다. 일부 치환원소의 방법을 통해, 파장을 조절하고 발광강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발광재료 합성방법은 방법이 간단하고 조작이 용이하며 양산이 쉽고 오염이 없으며 원가가 낮은 등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하기와 같다.
(1) 본 발명의 발광재료는 옥시나이트라이드로서, 성능이 매우 안정적이고 온도특성이 양호하다.
(2) 본 발명의 발광재료는 여기 스펙트럼 범위가 매우 넓고(200~500nm) 여기효과가 모두 특별히 양호하다.
(3) 본 발명이 제공하는 발광재료의 제조방법은 간단하고 실용적이며 오염이 없고 양산이 쉬우며 조작이 용이하다.
(4) 본 발명이 제조하는 백색광 LED는 연색지수가 높고 발광효율이 높으며 색온도범위가 넓다.
도 1은 실시예1의 발사 스펙트럼 및 여기 스펙트럼을, 도면의 종좌표는 발광강도를, 횡좌표는 발광파장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시예9의 발사 스펙트럼 및 여기 스펙트럼을, 도면의 종좌표는 발광강도를, 횡좌표는 발광파장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시예9에서 제작한 백색광LED를 이용한 발사 스펙트럼을, 도면의 종좌표는 광속(光束)을, 횡좌표는 발광파장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시예3에서 제작한 백색광LED를 이용한 발사 스펙트럼을, 도면의 종좌표는 광속을, 횡좌표는 발광파장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실시예24의 발사 스펙트럼 및 여기 스펙트럼을, 도면의 종좌표는 발광강도를, 횡좌표는 발광파장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실시예24와 다른 하나의 녹색 형광분말을 이용하여 제작한 백색광LED의 발사 스펙트럼을, 도면의 종좌표는 광속을, 횡좌표는 발광파장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200~500nm 광선여기 하에서 500~750nm의 황색광 또는 적색광을 발사할 수 있는 옥시나이트라이드 발광재료에 있어서, 화학식은 M1 - yA4 - xZ1 + xOxN7 -x:Ry 이고, 여기서, M은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희토류금속, 전이금속 중의 하나 이상이고, A 는 Si, Ge, B, Al 중의 하나 또는 Si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이며, Z는 Al, Ga, In 원소 중의 하나 또는 Al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이고, R은 발광중심 원소 Eu, Ce, Tb, Yb, Sm, Pr, Dy 중의 하나 이상이며, 0≤x<1.0이고, 0<y<1.0이다.
M은 Li, Mg, Ca, Sr, Ba, Bi, Mn, Zn, La, Gd, Lu, Y 중의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M은 Li, Mg, Ca, Zn, Sr, Ba, Bi, Y 중의 하나 또는 적어도 Sr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Sr원소의 함량은 0.8보다 크고, A는 Si이며, Z는 Al이고, R는 Eu, Ce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0≤x≤0.15이고, 0<y≤0.1인 것이 바람직하다.
0≤x≤0.1이고, 0.05≤y≤0.1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실시예1 : Sr 0 .90 Li 0 .05 Si 4 AlN 7 : Ce 0 .05 발광재료의 제조 구현예
상기의 조성에 따라, Sr3N2(27.0746g), Li3N(0.1803g), Si3N4(57.6933g), CeN(2.3798g) 및 AlN(12.6719g)을 아르곤가스로 채워진 글러브 박스에서 균일하게 연마 및 혼합시킨 후, 질화붕소 도가니에 넣어 기압로(氣壓爐) 내에서 배소시킨다. 0.3MPaN2를 유입시켜 1700℃에서 4시간 동안 보온시킨 후, 얻은 분말체를 연마 후 동일한 조건으로 또 한번 고온배소시켜 결정립(結晶粒)의 발육을 촉진시킨다. 이를 통해 얻은 발광재료를 분쇄, 염산 세척 불순물 제거, 건조를 거쳐 본 발명의 황색 발광재료 100g을 얻는다. 그 발사 스펙트럼과 여기 스펙트럼은 도 1을 참조한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해당 발광재료의 발사 스펙트럼은 비교적 넓고, 스펙트럼의 반값 전폭은 약 130nm이며, 발사 메인피크는 573nm의 황색 영역에 위치한다. 또한, 해당 발광재료의 여기 스페트럼은 매우 넓고, 자외선 영역에서 가시광 영역까지 줄곧 연장되며, 특히 해당 발광재료는 동시에 자외선(300~420nm) 및 청색광(420~490nm)에 의해 효과적으로 여기될 수 있다. 그 발광 강도는 표1을 참조한다. 또한 그 발광강도는 모두 비교예의 YAG:Ce와 비슷하다.
실시예9: Sr 0.90 Li 0.05 Si 3.85 Al 1.15 O 0.15 N 6.85 :Ce 0.05 발광재료의 제조 구현예
상기의 조성에 따라, Sr3N2(27.0204g), Li3N(0.1799g), Si3N4(55.4185g), Ce2O3(2.5293g), Al2O3(1.5731g) 및 AlN(13.2788g)을 아르곤가스로 채워진 글러브 박스에서 균일하게 연마 및 혼합시킨 후, 질화붕소 도가니에 넣어 기압로 내에서 배소시킨다. 0.3MPa N2를 유입시키고, 0.1g의 SrF2를 융제로 하여, 1700℃에서 4시간 동안 보온시킨 후, 얻은 분말체를 연마 후 동일한 조건으로 또 한번 고온배소시켜 결정립의 발육을 촉진시킨다. 이를 통해 얻은 발광재료를 분쇄, 염산 세척 불순물 제거, 건조를 거쳐 본 발명의 황색 발광재료 100g을 얻는다. 그 발사 스펙트럼과 여기 스펙트럼은 도 2를 참조한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해당 발광재료의 발사 스펙트럼은 비교적 넓고, 스펙트럼의 반값 전폭은 약 132nm이며, 발사 메인피크는 562nm의 황색 영역에 위치한다. 또한, 해당 발광재료의 여기 스페트럼은 매우 넓고, 자외선 영역에서 가시광 영역까지 줄곧 연장되며, 특히 해당 발광재료는 동시에 자외선(300~420nm) 및 청색광(420~490nm)에 의해 효과적으로 여기될 수 있다. 그 발광강도는 표1을 참조한다. 실시예1과 비교해 보면, 해당 발광재료의 발사파장은 현저한 청색이동(blue shift)이 발생하였는데, 이는 주로 결정 격자에 산소를 도입함으로 인해 공유결합의 약화를 초래하였고 Ce이온 5d 궤도의 최저 에너지수준을 향상시킴으로써 발사광의 에너지 역시 따라서 향상되고 발사파장이 짧아지게 된 것이다. 비록 해당 발광재료의 강도는 비교예의 YAG:Ce보다 약간 낮지만, 그 발광파장이 비교적 짧아 색온도가 비교적 높은 고휘도 백색광LED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2~8 및 10~16:
이상 실시예의 제조과정은 실시예1 또는 실시예9와 동일하다. 그 중, CeCl3과 같은 Ce의 할로겐화물 또는 Ce(NO3)3과 같은 질산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하는 반응 융제는 Sr, Ca, Ba, Li 등 염화물 또는 불화물일 수 있으며, 얻은 발광재료의 발광강도는 표1을 참조한다. 이런 발광재료의 최대 발광파장은 대부분 황색광 영역에 위치하고, 또한 청색광 및 자외선광에 의해 여기될 수 있으며, YAG형광분말을 대체하여 백색광LED를 제조할 수 있다.
표1 실시예1 ~18의 화학식 및 그 발광특성( 여기파장은 450 nm )
실시예 화학식 발사 메인피크nm 상대적 강도%
1 Sr0 .90Li0 .05Si4AlN7:Ce0 .05 573 100
2 Sr0 .80Li0 .10Si4AlN7:Ce0 .10 576 94
3 Sr0 .85Ca0 .05Li0 .05Si4AlN7:Ce0 .05 580 85
4 Sr0 .85Ba0 .05Li0 .05Si4AlN7:Ce0 .05 568 93
5 Sr0 .80Ba0 .10Li0 .05Si4AlN7:Ce0 .05 565 90
6 Sr0 .80Ca0 .05Ba0 .05Li0 .05Si4AlN7:Ce0 .05 574 95
7 Sr0 .85Zn0 .05Li0 .05Si4AlN7:Ce0 .05 573 97
8 Sr0 .90Li0 .05Si3 .90Al1 .10O0 .10N6 .90:Ce0 .05 567 101
9 Sr0 .90Li0 .05Si3 .85Al1 .15O0 .15N6 .85:Ce0 .05 562 84
10 Sr0 .90Li0 .05Si3 .95Ge0 .05AlN7:Ce0 .05 568 90
11 Sr0 .90Li0 .05Si3 .95B0.05AlN7:Ce0 .05 568 103
12 Sr0 .85Ba0 .05Li0 .05Si3 .95B0.05AlN7:Ce0 .05 566 100
13 Sr0 .90Li0 .05Si4Al0 .95Ga0 .05N7:Ce0 .05 569 83
14 Sr0 .85Mg0 .05Li0 .05Si4AlN7:Ce0 .05 574 90
15 Sr0 .80Bi0 .05Li0 .10Si4AlN7:Ce0 .05 576 98
16 Sr0 .80Y0 .05Li0 .10Si4AlN7:Ce0 .05 565 91
비교예 Y2 .95Al5O12:Ce0 .05 557 110
표2 백색광 LED 실시예의 광학변수
백색광 LED 실시예 색 좌표(x, y) 연색지수 색온도 /K 발광효율/1m/W
청색광LED+실시예9 실시예17 (0.3172, 0.3173) 75 6340 90
청색광LED+실시예3 실시예18 (0.4332, 0.3912) 64 2950 95
실시예17 백색광 LED 전기광원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9의 형광분말 일정량을 달아, 에폭시 수지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혼합 및 탈포처리를 거친 후 얻은 혼합물을 시중의 청색광LED(발광파장이 450nm)의 칩 상에 도포시킨다. 150℃의 온도로 0.5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밀봉 포장한다. 청색광LED가 발사하는 청색광과 형광분말이 발사하는 황색광 및 적색광이 혼합된 후 색 좌표가 x=0.3172, y=0.3173이고, 연색지수가 Ra=75이며, 색온도 T=6340K에 상응하는 차가운 백색광을 만들어낸다.
실시예18 백색광 LED 전기광원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3의 형광분말 일정량을 달아, 에폭시 수지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혼합 및 탈포처리를 거친 후 얻은 혼합물을 시중의 청색광LED(발광파장이 450nm)의 칩 상에 도포시킨다. 150℃의 온도로 0.5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밀봉 포장한다. 청색광LED가 발사하는 청색광과 형광분말이 발사하는 황색광 및 적색광이 혼합된 후 색 좌표가 x=0.4332, y=0.3912이고, 연색지수가 Ra=64이며, 색온도 T=2950K에 상응하는 따뜻한 백색광을 만들어낸다.
표3 실시예19 ~31의 화학식 및 그 발광특성( 여기파장은 450 nm )
실시예 화학식 발사 메인피크nm 상대적 강도%
19 Sr0.95Si4AlN7:Eu0.05 630 100
20 Sr0.9Si4AlN7:Eu0.10 638 96
21 Sr0.90Ca0.05Si4AlN7:Eu0.05 623 110
22 Sr0.90Ba0.05Si4AlN7:Eu0.05 632 103
23 Sr0.90Ba0.05Ca0.05Si4AlN7:Eu0.05 627 105
24 Sr0.90Li0.1Si4AlN7:Eu0.05 634 121
25 Sr0.90Y0.033Si4AlN7:Eu0.05 631 91
26 Sr0.90Li0.1Si3.95Al1.05O0.05N6.95:Eu0.05 630 107
27 Sr0.95Si3.95Al1.05O0.05N6.95:Eu0.05 628 97
28 Sr0.95Si3.90Al1.10O0.10N6.90:Eu0.05 625 93
29 Sr0.85Ba0.10Si3.95Al1.05O0.05N6.95:Eu0.05 621 91
30 Sr0.95Si3.95Ge0.05AlN7:Eu0.05 626 93
31 Sr0.90Mg0.05Si4AlN7:Eu0.05 627 97
실시예26 : Sr 0 .90 Li 0 .1 Si 3 .95 Al 1 .05 O 0 .05 N 6 .95 : Eu 0 .05 발광재료의 제조 구현예
상기의 조성에 따라, Sr3N2(26.9283g), Li3N(0.3586g), Si3N4(56.6642g), Eu2O3(2.7128g), Al2O3(0.5226g) 및 AlN(12.8135g)을 아르곤가스로 채워진 글러브 박스에서 균일하게 연마 및 혼합시킨 후, 질화붕소 도가니에 넣어 기압로 내에서 배소시킨다. 0.5MPa N2를 유입시키고, 0.1g의 SrF2를 융제로 하여, 1700℃에서 4시간 동안 보온시킨 후, 얻은 분말체를 연마 후 동일한 조건으로 또 한번 고온배소시켜 결정립의 발육을 촉진시킨다. 이를 통해 얻은 발광재료를 분쇄, 염산 세척 불순물 제거, 건조를 거쳐 본 발명의 적색 발광재료 100g을 얻는다. 그 발사 스펙트럼과 여기 스펙트럼은 도 2를 참조한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해당 발광재료의 발사 스펙트럼은 비교적 넓고, 스펙트럼의 반값 전폭은 약 133nm이며, 발사 메인피크는 630nm의 적색 영역에 위치한다. 또한, 해당 발광재료의 여기 스페트럼은 매우 넓고, 자외선 영역에서 가시광 영역까지 줄곧 연장되며, 특히 해당 발광재료는 동시에 자외선(300~420nm) 및 청색광(420~490nm)에 의해 효과적으로 여기될 수 있으며, 그 발광강도는 표3을 참조한다. 해당 발광재료의 발사 스펙트럼은 비교적 넓은 바, Eu2+이온의 발광이지 Eu3+이온의 선 스펙트럼 발광이 아니다. 이는 원료 중의 Eu3+이온이 고온반응에서 기압로 내의 분위기에 의해 Eu2+이온으로 환원되었음을 설명한다. 실시예19와 비교해 보면, 해당 발광재료의 발사파장은 현저한 청색이동(blue shift)이 발생하였는데, 이는 주로 결정 격자에 산소를 도입함으로 인해 공유결합의 약화를 초래하였고 Eu이온 5d궤도의 최저 에너지수준을 향상시킴으로써 발사광의 에너지 역시 따라서 향상되고 발사 파장이 짧아지게 된 것이다.
실시예19 ~25, 27~31:
상기 실시예의 제조과정은 실시예26과 유사하다. 그 중, Eu의 질화물 EuN또는 EuCl2와 같은 Eu의 할로겐화물 또는 Eu(NO3)3과 같은 Eu의 질산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하는 반응 융제는 Sr, Ca, Ba, Li 등 염화물 또는 불화물일 수 있으며, 얻은 발광재료의 발광강도는 표3을 참조한다. 이런 형광분말의 최대 발사파장은 거의 적색광 영역에 위치하고, 또한 청색광 및 자외선광에 의해 여기될 수 있으므로, 청색 또는 자외선 LED 칩과의 조합을 통해 높은 연색지수를 가지는 백색광LED를 제조할 수 있다.
표4 백색광 LED 실시예의 광학변수
백색광 LED 실시예 색 좌표(x, y) 연색지수 색온도 /K 발광효율/1m/W
청색광LED+실시예24+녹색 Sr2SiO4:Eu2+형광분말 실시예32 (0.4632, 0.4184) 86 2800 46
실시예32 고연색형 백색광 LED 전기광원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26의 적색 형광분말 및 규산염 Sr2SiO4:Eu2 + 녹색 형광분말(SrSi2O2N2:Eu2 + 또는 β-sialon:Eu2 +와 같은 기타 녹색 형광분말을 사용할 수도 있음) 일정량을 달아, 에폭시 수지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혼합 및 탈포처리를 거친 후 얻은 혼합물을 시중의 청색광LED(발광파장이 450nm)의 칩 상에 도포시킨다. 150℃의 온도로 0.5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밀봉 포장한다. 청색광LED가 발사하는 청색광과 형광분말이 발사하는 적색광 및 녹색광이 혼합된 후 색 좌표가 x=0.4632, y=0.4184이고, 연색지수가 Ra=86이며, 색온도 T=2800K에 상응하는 따뜻한 백색광을 만들어낸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에 따른 한정을 제외하고, 본 발명은 명세서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14)

  1. 화학식 M1 - yA4 - xZ1 + xOxN7 -x:Ry의 옥시나이트라이드 발광재료:
    상기 화학식에서,
    M은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희토류금속, 전이금속 중의 하나 이상이고,
    A는 Si, Ge, B, Al 중의 하나 또는 Si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이고,
    Z는 Al, Ga, In 원소 중의 하나 또는 Al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이고,
    R은 발광중심 원소 Eu, Ce, Tb, Yb, Sm, Pr, Dy 중의 하나 이상이고,
    0≤x<0.5이며,
    0<y<1.0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M은 Li, Mg, Ca, Sr, Ba, Bi, Mn, Zn, La, Gd, Lu, Y 중의 하나 이상인 옥시나이트라이드 발광재료.
  3. 제2항에 있어서,
    M은 Li, Mg, Ca, Sr, Ba, Bi, Zn, Y 중의 하나 또는 적어도 Sr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인 옥시나이트라이드 발광재료.
  4. 제3항에 있어서,
    Sr원소의 함량은 0.8보다 크고, A는 Si이며, Z는 Al이고, R은 Eu, Ce 또는 이들의 조합인 옥시나이트라이드 발광재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x≤0.15이고, 0<y≤0.1인 옥시나이트라이드 발광재료.
  6. 제5항에 있어서,
    0≤x≤0.1이고, 0.05≤y≤0.1인 옥시나이트라이드 발광재료.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을 함유하는 산화물, 질화물, 질산염 또는 탄산염, A를 함유하는 질화물 또는 산화물, Z를 함유하는 질화물 또는 산화물 및 R원소를 함유하는 질화물, 산화물 또는 질산염을 원료로, 균일하게 연마하고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1)과,
    단계(1)에서 얻은 혼합물을 불활성기체의 보호 하에 기압소결법 또는 고상반응법으로 고온 배소를 진행하여 배소산물을 얻는 단계(2) 및
    단계(2)에서 얻은 배소산물을 다시 분쇄, 불순물 세척, 건조, 분급을 거쳐 옥시나이트라이드 발광재료를 제조하는 단계(3)을 포함하는 옥시나이트라이드 발광재료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압소결법에서 불활성기체는 질소기체로서 질소기체의 압력은 1~200 대기압이고, 상기 고상반응법에서 불활성기체는 상압의 질소기체와 수소기체의 혼합기체로서 질소기체와 수소기체의 체적비는 95:5 또는 90:10 또는 85:15 또는 80:20이며, 유량은 0.1~3L/분인 옥시나이트라이드 발광재료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배소의 온도는 1200~1800℃이고, 배소시간은 0.5~30시간이며, 배소를 복수회 진행할 수 있는 옥시나이트라이드 발광재료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배소는 탄소열 환원을 이용하여 질소화하고, 온도는 1200~1600℃인 옥시나이트라이드 발광재료의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1)에서 반응 융제를 더 첨가하고, 상기 융제는 M을 함유하는 할로겐화물 또는 붕산 중의 하나 이상인 옥시나이트라이드 발광재료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융제의 첨가량은 원료 총 중량의 0.01~10%인 옥시나이트라이드 발광재료의 제조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 세척은 산세척 또는 수세척인 옥시나이트라이드 발광재료의 제조방법.
  14. 자외선 또는 근자외선 LED와 제1항 내지 제6항의 옥시나이트라이드 발광재료를 포함하거나 또는 청색광 LED와 제1항 내지 제6항의 옥시나이트라이드 발광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광 LED 조명광원.
KR1020137002601A 2010-12-28 2011-02-23 옥시나이트라이드 발광재료, 그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조명광원 KR1015072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10611621.5A CN102559177B (zh) 2010-12-28 2010-12-28 一种氮氧化合物发光材料、其制备方法以及由其制成的照明光源
CN201010611621.5 2010-12-28
PCT/CN2011/071210 WO2012088788A1 (zh) 2010-12-28 2011-02-23 一种氮氧化合物发光材料、其制备方法以及由其制成的照明光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237A true KR20130048237A (ko) 2013-05-09
KR101507250B1 KR101507250B1 (ko) 2015-03-30

Family

ID=46382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2601A KR101507250B1 (ko) 2010-12-28 2011-02-23 옥시나이트라이드 발광재료, 그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조명광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752249B2 (ko)
KR (1) KR101507250B1 (ko)
CN (1) CN102559177B (ko)
DE (1) DE112011102173T5 (ko)
WO (1) WO201208878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7539A (ko) * 2013-06-20 2014-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색 형광체, 백색 발광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조명장치
KR20190082825A (ko) * 2016-08-12 2019-07-10 오스람 옵토 세미컨덕터스 게엠베하 발광 물질, 조명 장치 및 조명 장치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70604A (zh) * 2012-12-21 2015-08-26 默克专利有限公司 发光物质
CN105567234B (zh) * 2013-04-19 2017-12-22 四川新力光源股份有限公司 氮氧化物发光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包含该氮氧化物的荧光粉以及由其制成的led光源
JP6040500B2 (ja) * 2013-04-25 2016-12-07 国立研究開発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蛍光体、その製造方法、発光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3333684A (zh) * 2013-06-27 2013-10-02 彩虹集团公司 一种氮化物红色荧光粉及其制备方法
CN103421507B (zh) * 2013-09-05 2014-11-26 中国地质大学(北京) 一种氮化镁基六铝酸镧荧光材料及其制备方法
CN103881705B (zh) * 2014-03-26 2016-01-20 吉林大学 铈、铽或铕共掺激活的硅铝酸盐蓝绿色荧光粉及其制备方法
CN104194783A (zh) * 2014-09-16 2014-12-10 中国科学院上海硅酸盐研究所 铋离子掺杂的7Al2O3·12CaO发光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458539B1 (ko) * 2014-11-14 2022-10-25 루미리즈 홀딩 비.브이. 나비넥타이 형상의 a2n6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led 인광체
CN107592881B (zh) * 2015-05-07 2021-07-02 欧司朗光电半导体有限公司 发光材料
CN105400513A (zh) * 2015-07-21 2016-03-16 杭州萤鹤光电材料有限公司 一种红色荧光粉及其制备方法
CN105018080B (zh) * 2015-07-23 2017-04-05 北京宇极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高光效荧光粉的制备方法
CN109642155B (zh) 2016-08-12 2023-04-07 欧司朗光电半导体有限公司 照明设备
US11851596B2 (en) 2016-08-12 2023-12-26 Osram Oled Gmbh Lighting device
US10644206B2 (en) 2016-08-12 2020-05-05 Osram Oled Gmbh Lighting device
US10711192B2 (en) 2016-08-12 2020-07-14 Osram Oled Gmbh Lighting device
US10519371B2 (en) 2016-11-11 2019-12-31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Phosphor, illumination device and use of an illumination device
JP7050774B2 (ja) 2016-11-11 2022-04-08 オスラム オプト セミコンダクターズ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蛍光体、照明装置および照明装置の使用
KR102365962B1 (ko) * 2017-03-20 2022-02-22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형광체, 이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및 조명 장치
DE112018004067A5 (de) * 2017-08-10 2020-04-23 Osram Oled Gmbh Dimmbare Lichtquelle
DE102018205464A1 (de) * 2017-11-10 2019-05-16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Beleuchtungsvorrichtung und verwendung einer beleuchtungsvorrichtung
WO2020262200A1 (ja) * 2019-06-26 2020-12-30 デンカ株式会社 蛍光体、蛍光体の製造方法、発光素子、発光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11218280A (zh) * 2020-01-15 2020-06-02 厦门科煜光电有限公司 一种新型硅氮化合物发光材料及其制备方法
CN113651531B (zh) * 2021-09-22 2022-11-22 烟台希尔德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第二相玻璃增强的荧光体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组合物
CN114163999B (zh) * 2021-12-10 2023-07-21 中国科学院江西稀土研究院 一种氮化物荧光粉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6694322B (zh) * 2023-04-25 2024-03-12 英特美光电(苏州)有限公司 一种红色荧光粉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2379B2 (en) * 2001-06-07 2003-10-14 National Institute For Materials Science Oxynitride phosphor activated by a rare earth element, and sialon type phosphor
DE602006018935D1 (de) * 2005-06-30 2011-01-27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Beleuchtungssystem mit einem gelbes und grünes licht emittierenden leuchtstoff
CN101273109B (zh) * 2005-09-27 2012-08-29 三菱化学株式会社 荧光体及其制造方法、以及使用该荧光体的发光装置
JP4932248B2 (ja) * 2005-12-21 2012-05-16 Necライティング株式会社 黄色発光蛍光体、それを用いた白色発光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
CN101117576B (zh) * 2006-07-31 2010-07-28 北京中村宇极科技有限公司 一种氮氧化合物发光材料及其所制成的照明或显示光源
JP4228012B2 (ja) * 2006-12-20 2009-02-25 Necライティング株式会社 赤色発光窒化物蛍光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白色発光素子
CN101631843B (zh) * 2007-02-06 2015-04-08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发红色光的发光材料
CN101755030B (zh) 2007-05-22 2014-05-14 独立行政法人物质·材料研究机构 荧光体及其制造方法和使用该荧光体的发光装置
CN101157854B (zh) * 2007-07-02 2010-10-13 北京宇极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氮氧化合物发光材料、其制备方法及其应用
CN101671562B (zh) * 2007-07-02 2013-08-14 北京宇极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氮氧化合物发光材料、其制备方法及其应用
EP2163593A1 (en) * 2008-09-15 2010-03-17 Max-Planck-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Wissenschaften e.V. Production of nitride-based phosphors
KR101565988B1 (ko) * 2009-10-23 2015-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색형광체,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발광소자 패키지, 조명장치
JP2012046625A (ja) * 2010-08-26 2012-03-08 Mitsubishi Chemicals Corp 蛍光体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7539A (ko) * 2013-06-20 2014-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색 형광체, 백색 발광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조명장치
KR20190082825A (ko) * 2016-08-12 2019-07-10 오스람 옵토 세미컨덕터스 게엠베하 발광 물질, 조명 장치 및 조명 장치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59177A (zh) 2012-07-11
JP2013539490A (ja) 2013-10-24
WO2012088788A1 (zh) 2012-07-05
KR101507250B1 (ko) 2015-03-30
CN102559177B (zh) 2014-09-03
DE112011102173T5 (de) 2013-03-28
JP5752249B2 (ja) 201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7250B1 (ko) 옥시나이트라이드 발광재료, 그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조명광원
KR101150389B1 (ko) 질소 산화물발광재료, 그 제조방법 및 응용
US8038905B2 (en) Illumination system comprising a radiation source and a fluorescent material
EP1905277B8 (en) Illumination system comprising a yellow green-emitting luminescent material
US20130127333A1 (en) Oxynitride luminescent material,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illumination light source made from such material
CN102660269B (zh) 包含辐射源和发光材料的照明系统
EP1573826A1 (en) Illumination system comprising a radiation source and a fluorescent material
US20150085472A1 (en) Silicate phosphors
CN101671562A (zh) 一种氮氧化合物发光材料、其制备方法及其应用
KR101484428B1 (ko) 질소 화합물 발광 재료, 그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조명 광원
CN103045267B (zh) 一种氮化物荧光粉、其制备方法及含该荧光粉的发光装置
CN112480924B (zh) 镓酸盐红光荧光材料及制备方法和白光led发光装置
CN104498031A (zh) 一种白光led用磷酸盐黄色荧光粉及其制备方法
KR101176212B1 (ko) 알카리 토류 포스포러스 나이트라이드계 형광체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장치
CN110205120A (zh) 一种近紫外激发的混合物红色荧光粉、制备方法及应用
Hsu et al. CaScAlSiO6: Eu2+: A novel near-ultraviolet converting blue-emitting phosphor for white light-emitting diodes
KR101153194B1 (ko) 새로운 조성의 황색 형광체와 이를 이용하는 백색 led
CN107189779A (zh) 一种白光led用光谱可调磷酸盐荧光粉及其制备方法
KR20120072547A (ko) 칼슘-보레이트-실리케이트계 녹색 발광 형광체
KR100746338B1 (ko) 백색 발광장치용 형광체, 이의 제조방법 및 형광체를이용한 백색 발광장치
KR20160078113A (ko) 혼합 형광체 및 이를 이용하는 백색 발광장치
CN117946681A (zh) 一种青绿光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Hsu et al. Materials Express
Xie et al. Ceramic Lighting
KR20150047211A (ko) 산질화물계 황색 형광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