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9662A - 동축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동축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9662A
KR20130039662A KR1020120099808A KR20120099808A KR20130039662A KR 20130039662 A KR20130039662 A KR 20130039662A KR 1020120099808 A KR1020120099808 A KR 1020120099808A KR 20120099808 A KR20120099808 A KR 20120099808A KR 20130039662 A KR20130039662 A KR 20130039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device
contact
contact member
annular
ground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5039B1 (ko
Inventor
토모히토 타카노
아키오 후나하시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39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9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01R12/718Contact members provided on the PCB without an insulating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01R13/052Resilient pins or blades co-operating with socket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5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abutting or pinching, i.e. without alloying process; mechanical auxiliary par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01R12/585Terminals having a press fit or a compliant portion and a shank passing through a hole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295Metallic connector elements partly mounted in a hole of the PCB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31Surface mounted metallic connector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356C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431Details of mounted components
    • H05K2201/1059Connections made by press-fit inser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tallu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동축 케이블에 장착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로서, 상대방 커넥터 장치와의 감합시에 있어서의 기판으로부터의 돌출 치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고, 또한 콘택트 부재와 기판의 신호 단자부와의 접촉 접속을 적정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는 것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12)에 접속되는 중심 도체 접속부(60)와 탄성 접촉 단자부(61)를 가진 콘택트 부재(20)와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21)를 구비하고,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21)의 환상 감합부(26)가 상대방 커넥터 장치(30)의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부(39)에 감합 접속되었을 때, 탄성 접촉 계합부(61)가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부(39)의 내측을 관통하여 뻗고, 회로 기판(31)에 형성된 투공(33)의 내벽면에 배치된 신호 단자부(34)에, 이를 환상 감합부(26)의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부(39)와의 감합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압압하는 상태를 가지고 접촉 계합하여 접속된다.

Description

동축 커넥터 장치{COAXIAL CONNECTOR APPARATUS}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은, 중심 도체와 이를 내부 절연체를 통해 포위하는 외측 도체가 외부 절연체에 의해 피복되어 이루어지는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 및 외측 도체가 각각 접속되는, 서로 절연된 콘택트 부재 및 그라운드 콘택트(ground contact) 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다른 커넥터 장치인 상대방 커넥터 장치에 감합 연결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전기 부품, 전기 장치 혹은 전자기기 등에 있어서의 고주파 신호의 전송에는, 외부 잡음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신호 전송로를 형성하는, 중심 도체와 이를 내부 절연체를 통해 포위하는 외부 도체가 외부 절연체에 의해 피복되어 이루어지는 동축 케이블이 이용되는 것이 많다. 예를 들면, 동축 케이블이 고주파 신호를 취급하는 회로 기판에 접속되어, 당해 회로 기판으로부터 그 외부로의 동축 케이블을 통한 고주파 신호의 전송, 혹은 당해 회로 기판에의 외부로부터의 고주파 신호의 동축 케이블을 통한 전송이 행해진다.
동축 케이블이 회로 기판에 접속될 때에는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가 접속되는 콘택트 부재와,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가 접속되는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를 구비한 동축 커넥터 장치가 동축 케이블의 일단에 장착되고, 그 동축 커넥터 장치가, 예를 들면, 회로 기판에 있어서 취급되는 고주파 신호가 공급되는 중심 콘택트와 중심 콘택트를 포위하여 배치되어 그라운드 전위가 주어지는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를 구비하여 회로 기판에 장착된 상대방 커넥터 장치에 연결되게 된다. 이러한 동축 커넥터 장치의 상대방 커넥터 장치와의 연결은, 예를 들면, 동축 커넥터 장치의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가 상대방 커넥터 장치의 환상(環狀) 그라운드 콘택트에 감합 접속되는 하에서, 동축 커넥터 장치의 콘택트 부재가 상대방 커넥터 장치의 중심 콘택트에 접촉 접속되는 상태가 취해져 행해진다.
이러한 동축 커넥터 장치의 상대방 커넥터 장치와의 연결을 하는데 즈음해서는, 회로 기판에 장착된 상대방 커넥터 장치가, 예를 들면, 그것에 있어서의 중심 콘택트와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를 회로 기판에 있어서의 부품 등 탑재면의 상방을 향하게 하게 되고, 그 상대방 커넥터 장치에 대해서, 동축 케이블의 일단에 장착된 동축 커넥터 장치가, 회로 기판에 있어서의 부품 등 탑재면의 상방으로부터 그 부품 등 탑재면을 향하는 방향을 가지고 계합시켜지게 되어, 동축 커넥터 장치의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가 상대방 커넥터 장치의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에 감합 접속됨과 아울러, 동축 커넥터 장치의 콘택트 부재가 상대방 커넥터 장치의 중심 콘택트에 접촉 접속된다. 따라서, 상대방 커넥터 장치가 장착된 회로 기판 상에 있어서, 동축 커넥터 장치는, 회로 기판에 있어서의 부품 등 탑재면으로부터 돌출하게 된다.
종래, 동축 커넥터 장치로서 여러 가지의 것이 알려져 있지만, 그 중의 하나로서, 동축 케이블의 일단에의 장착을 적정하고 또한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것이 구비하는 콘택트와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의 접속에 납땜을 필요로 하지 않게 한 동축 커넥터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러한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동축 커넥터 장치)는 환상 감합부와 그 환상 감합부로부터 뻗은 쉘 절곡부를 가진 쉘(그라운드 콘택트 부재)과, 콘택트 고정부와 그 콘택트 고정부로부터 뻗은 콘택트 절곡부 및 한 쌍의 계합부(접촉 접속부)를 가진 접속 단자(콘택트 부재)와 절연 절곡부를 가지고 접속 단자와 쉘(shell)의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부(절연 하우징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접속 단자가 절연부에 의해 지지되고, 그 절연부가 쉘에 의해 지지되어 접속 단자의 콘택트 고정부와 거기로부터 뻗은 콘택트 절곡부가, 쉘의 환상 감합부에 대해서, 접속 단자의 콘택트 고정부로부터 뻗은 계합부가 쉘의 환상 감합부에 의해 포위되게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동축 커넥터 장치가 동축 케이블의 일단에 장착될 때에는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가 접속 단자의 콘택트 고정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접속 단자의 콘택트 절곡부, 절연부의 절연 절곡부 및 쉘의 쉘 절곡부가 꺾여 겹쳐짐으로써,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가, 접속 단자의 콘택트 고정부와 콘택트 절곡부에 의해 끼워져 고정되고, 접속 단자에 접속된 상태가 유지됨과 아울러, 쉘 절곡부가 동축 케이블의 외측 도체에 접속되는 상태가 취해진다. 그 후, 동축 케이블의 일단에 장착된 동축 커넥터 장치는, 회로 기판에 장착된 상대방 커넥터 장치에, 쉘의 환상 감합부를 상대방 커넥터 장치의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에 감합시킴과 아울러, 접속 단자의 콘택트 고정부로부터 뻗은 계합부를 상대방 커넥터 장치의 중심 콘택트에 접촉 접속시켜 연결된다.
이러한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종래의 동축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동축 케이블의 일단에 장착되어 회로 기판에 장착된 상대방 커넥터 장치에 연결되었을 때, 접속 단자에 접속된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가, 접속 단자의 콘택트 고정부로부터 뻗은 계합부가 쉘의 환상 감합부에 의해 포위되게 되는 위치에 배치된 접속 단자의 콘택트 고정부와 콘택트 절곡부에 의해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접속 단자의 콘택트 고정부 및 콘택트 절곡부와 이들에 의해 끼워져 고정된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가, 쉘의 환상 감합부의 내측에 있어서, 회로 기판에 장착된 상대방 커넥터 장치의 중심 콘택트에 겹쳐지게 되는 위치에 배치되므로, 그만큼 동축 커넥터 장치의 회로 기판에 있어서의 부품 등 탑재면으로부터의 돌출 치수가 늘어나게 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동축 케이블의 일단에 장착된 동축 커넥터 장치가 연결되는 상대방 커넥터 장치를, 중심 콘택트를 구비하는 일 없이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동축 커넥터 장치의 회로 기판에 있어서의 부품 등 탑재면으로부터의 돌출 치수의 저감을 도모하도록 하는 것도 종래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이러한 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박형 동축 커넥터는 동축 케이블의 일단에 장착되는 암컷형 커넥터(동축 커넥터 장치)와 프린트 기판(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수컷형 커넥터(상대방 커넥터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암컷형 커넥터가 동축 케이블의 외측 도체에 접속되는 도전성 쉘(그라운드 콘택트 부재)과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가 접속되는 암컷형 콘택트(콘택트 부재)를, 암컷형 콘택트가 쉘의 외부로 돌출되어 뻗게 되는 것으로서 구비하고, 또한 수컷형 커넥터는 프린트 기판 상에 배치되어 암컷형 커넥터의 도전성 쉘이 감합 연결되는 원통형의 금속제 쉘(환상 그라운드 콘택트)을 구비하지만, 중심 콘택트는 구비하지 않는 것으로 된다.
이러한 하에서 동축 케이블의 일단에 장착된 암컷형 커넥터의 도전성 쉘이, 프린트 기판에 장착된 수컷형 커넥터의 금속제 쉘에 감합 연결되었을 때에는 암컷형 커넥터에 있어서의 그 외부로 돌출하는 암컷형 콘택트가, 수컷형 커넥터의 금속제 쉘이 배치된 프린트 기판에 있어서의 부품 등 탑재면에 설치된 신호용 회로 패턴(신호 단자부)에 직접 맞닿게 함으로써 접촉 접속된다. 이와 같이 하여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가 접속된 암컷 쪽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암컷형 콘택트가, 프린트 기판에 있어서의 부품 등 탑재면에 설치된 신호용 회로 패턴에 직접 맞닿는 것으로 됨으로써, 신호용 회로 패턴과 암컷형 콘택트의 사이에 양자를 연결하기 위한 부재가 불필요하게 되어, 프린트 기판 상의 수컷형 커넥터에 연결된 암컷형 커넥터의 프린트 기판에 있어서의 부품 등 탑재면으로부터의 돌출 치수의 저감이 도모되게 된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2-324636호 공보(제3~4페이지 및 도 1~도 7)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1994-5158호 공개 명세서 및 도면(제7~10페이지 및 도 6)
상술한 바와 같이 콘택트 부재와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의 접속에 납땜이 필요하게 되지 않고, 또한 회로 기판에 있어서의 부품 등 탑재면으로부터의 돌출 치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도록 된 종래 제안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그 이점의 반면에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가 접속되어 장치 밖으로 돌출하는 콘택트 부재와 회로 기판에 있어서의 부품 등 탑재면에 설치된 신호 단자부의 접촉 접속이 적정하게 행해지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고 하는 부적합을 수반하게 되어 버린다. 즉, 상술의 종래 제안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거기에 구비된 콘택트 부재가, 동축 커넥터 장치에 구비된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가, 회로 기판에 장착된 상대방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의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에 감합 접속될 때, 상대방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의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가 배치된 회로 기판에 있어서의 부품 등 탑재면에 설치된 신호 단자부에 직접 맞닿지만, 콘택트 부재의 신호 단자부에 대한 맞닿음 방향은,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의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에 대한 감합 방향인 회로 기판에 있어서의 부품 등 탑재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된다.
이 때문에 동축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의 콘택트 부재의 장치 밖으로의 돌출의 방법에 따라서는,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가 상대방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의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에 감합 접속될 때, 동축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의 콘택트 부재가, 회로 기판에 있어서의 부품 등 탑재면에 설치된 신호 단자부에 적정하게 도달하지 않고, 이에 의해 신호 단자부와의 적절한 맞닿음 상태에 놓여지지 않게 되는 사태, 혹은 회로 기판에 있어서의 부품 등 탑재면에 설치된 신호 단자부에 과잉의 압압력을 수반하여 맞닿고, 신호 단자부, 또한 회로 기판에 있어서의 부품 등 탑재면에 일그러짐이나 변형 등을 일으키게 되는 사태가 초래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사태가 초래되면 동축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의 콘택트 부재는 회로 기판에 있어서의 부품 등 탑재면에 설치된 신호 단자부에 적정하게 접촉 접속되지 않게 되어 버린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은,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가 접속되는 콘택트 부재와, 동축 케이블의 외측 도체가 접속되는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와, 콘택트 부재와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를 상호 절연 상태를 가지고 지지하는 절연 하우징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회로 기판에 장착된 상대방 커넥터 장치에 연결되어 이용되는데 즈음하여, 콘택트 부재와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의 접속에 있어서 납땜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콘택트 부재를 상대방 커넥터 장치가 배치된 회로 기판에 설치된 신호 단자부에 직접 접촉 계합하여 접속되게 됨으로써, 당해 회로 기판에 있어서의 부품 등 탑재면으로부터의 돌출 치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고, 또한 콘택트 부재의 신호 단자부와의 접촉 접속이 적정하게 행해지지 않게 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가 있는 동축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이하,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라고 함)는,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를 기계적으로 협지(挾持)함으로써 당해 중심 도체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중심 도체 접속부와 거기로부터 뻗은 탄성 접촉 계합부를 가진 콘택트 부재와, 기판에 장착된 상대방 커넥터 장치의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부에 감합 접속되는 환상 감합부와 거기로부터 굴곡 가능하게 뻗어 동축 케이블의 외측 도체와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쉘부를 가진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와, 콘택트 부재와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를 상호 절연 상태를 가지고 지지하는 절연 하우징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콘택트 부재가, 탄성 접촉 계합부가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의 환상 감합부의 내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중심 도체 접속부가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의 환상 감합부의 외측에 있어서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에 접속되게 되고,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의 환상 감합부가 상대방 커넥터 장치의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부에 감합 접속되었을 때, 탄성 접촉 계합부가, 상대방 커넥터 장치의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부의 내측을 관통하여 뻗고, 기판에 형성된 구멍부분의 내벽면에 배치된 신호 단자부에, 이를 환상 감합부의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부와의 감합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압압하는 상태를 가지고 접촉 계합하여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게 된다.
상술의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콘택트 부재와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가 절연 하우징 부재에 의해 상호 절연 상태를 가지고 지지되고, 콘택트 부재의 중심 도체 접속부가,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의 환상 감합부의 외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콘택트 부재의 중심 도체 접속부로부터 뻗은 탄성 접촉 계합부가,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의 환상 감합부의 내측에 배치된 하에서,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가 콘택트 부재의 중심 도체 접속부에 이에 의해 기계적으로 협지됨으로써 접속됨과 아울러, 동축 케이블의 외측 도체가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의 쉘부에 접속되어 동축 케이블의 일단부에 장착된다. 절연 하우징 부재는, 예를 들면,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의 환상 감합부의 내측에 있어서 콘택트 부재의 탄성 접촉 계합부를 포위하는 환상의 기부(基部)를 가지고, 탄성 접촉 계합부의 선단부가 기부의 일단으로부터 그 기부의 외부로 돌출하게 된다. 또, 콘택트 부재의 탄성 접촉 계합부는, 예를 들면, 상호 대향하게 된 한 쌍의 탄성 설편부(舌片部)에 의해 구성된다.
동축 케이블의 일단부에 장착된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는, 기판에 장착된 상대방 커넥터 장치에,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의 환상 감합부를 상대방 커넥터 장치의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부에 감합 접속함으로써 연결된다. 이 때에 콘택트 부재의 탄성 접촉 계합부는,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의 환상 감합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가 접속된 콘택트 부재의 중심 도체 접속부로부터 기판을 향해, 상대방 동축 커넥터 장치의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부의 내측을 관통하여 뻗고, 예를 들면, 그 선단부가,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의 환상 감합부의 내측에 있어서 탄성 접촉 계합부를 포위하는 절연 하우징 부재의 기부의 일단으로부터, 당해 기부의 외부로 돌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대방 동축 커넥터 장치의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부의 내측을 관통하여 뻗은 탄성 접촉 계합부는, 예를 들면, 그 선단부를 가지고, 기판에 형성된 구멍부분의 내벽면에 배치된 신호 단자부에, 당해 신호 단자부를 환상 감합부의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부와의 감합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압압하는 상태를 가지고 접촉 계합하여 접속된다. 이 때에 탄성 접촉 계합부는, 예를 들면, 그것이 가지는 상호 대향하게 된 한 쌍의 탄성 설편부가,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되어, 각각의 선단 부분이 기판에 형성된 구멍부분에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그 구멍부분에 삽입된 선단 부분을 가지고 신호 단자부에 압압 접촉 계합하게 된다.
이러한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동축 케이블의 일단에 장착되는데 즈음하여,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가 콘택트 부재의 중심 도체 접속부에 이에 의해 기계적으로 협지됨으로써 접속되므로, 콘택트 부재와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의 접속에 있어서 납땜을 불필요하게 할 수가 있다.
또,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에 의하면,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가 접속된 콘택트 부재의 중심 도체 접속부로부터 뻗은 탄성 접촉 계합부가, 상대방 커넥터 장치가 장착된 기판에 있어서의 구멍부분의 내벽면에 배치된 신호 단자부에 직접적으로 접촉 계합하여,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를 콘택트 부재를 통해 기판에 설치된 신호 단자부에 연결하므로, 콘택트 부재의 탄성 접촉 계합부와 기판에 있어서의 신호 단자부의 사이에 양자를 연결하기 위한 부재가 불필요하게 되어, 기판에 있어서의 부품 등 탑재면으로부터의 돌출 치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탄성 접촉 계합부가, 기판에 형성된 구멍부분의 내벽면에 배치된 신호 단자부에 직접적으로 접촉 계합하는데 즈음하여, 그 탄성에 의해 신호 단자부를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의 환상 감합부가 상대방 커넥터 장치의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부에 감합할 때의 감합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압압하는 상태를 취하므로, 탄성 접촉 계합부의 신호 단자부에 대한 접촉 방향이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의 환상 감합부가 상대방 커넥터 장치의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부에 감합할 때의 감합 방향을 따르는 방향이 아니라, 당해 감합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된다. 그 결과, 탄성 접촉 계합부의 동축 커넥터 장치 밖으로의 돌출 길이, 예를 들면, 탄성 접촉 계합부의 선단 부분의 절연 하우징 부재의 기부의 일단으로부터 당해 기부의 외부로의 돌출 길이가, 기판의 두께 치수 이하인 한, 그 돌출의 방법의 여하에 의하지 않고, 탄성 접촉 계합부의 신호 단자부와의 접촉 접속이 적정하게 행해지는 상태를 얻을 수 있어, 콘택트 부재의 신호 단자부와의 접촉 접속이 적정하게 행해지지 않게 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동축 케이블의 일부와 함께 나타내는 상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동축 케이블의 일부와 함께 나타내는 저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의 일례가 감합 연결되는 상대방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그것이 장착된 회로 기판의 일부와 함께 나타내는 상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의 일례가 감합 연결되는 상대방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저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의 일례가 구비하는 절연 하우징 부재를 나타내는 상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의 일례가 구비하는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를 나타내는 상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의 일례가 구비하는 콘택트 부재를 나타내는 상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상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의 일례가 동축 케이블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의 일례가 동축 케이블의 일단부에 장착된 하에서 상대방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감합 연결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의 일례가 동축 케이블의 일단부에 장착된 하에서 상대방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감합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의 일례가 동축 케이블의 일단부에 장착된 하에서 상대방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감합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있어서의 XIII-XIII선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있어서의 XIV-XIV선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원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는 이하에 진술되는 본원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가지고 설명된다.
<실시예>
도 1 및 도 2는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그것이 일단부에 장착된 동축 케이블의 일례와 함께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이루는 동축 커넥터 장치(10)는 동축 케이블(11)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있고, 동축 케이블(11)은 중심 도체(12)(도 9)와 중심 도체(12)를 밀착 포위하는 내부 절연체(13)(도 9)와, 내부 절연체(13)를 밀착 포위하는 외측 도체(14)(도 9)와, 외측 도체(14)를 밀착 포위하는 표피 절연체(15)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동축 케이블(11)의 일단부에 있어서는, 후술되는 도 9에 나타나듯이, 표피 절연체(15)가 부분적으로 절제되어 외측 도체(14)가 노출됨과 아울러, 그 외측 도체(14) 및 내부 절연체(13)의 각각이 부분적으로 절제되어 중심 도체(12)가 노출되는 상태에 놓여져 있다.
동축 커넥터 장치(10)는 주요 구성요소로서 도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동축 케이블(11)의 중심 도체(12)와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콘택트 부재(20)와, 도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동축 케이블(11)의 외측 도체(14)와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21)와, 합성 수지재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콘택트 부재(20)와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21)를 상호 절연 상태를 가지고 지지하는 절연 하우징 부재(22)를 구비하고 있다.
절연 하우징 부재(22)는 외주면(23)이 원통면상을 이루는 것으로 되고, 중앙부에 직사각형 투공(24)이 형성됨과 아울러, 직사각형 투공(24)에 이어지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기부(25)를 가지고 있고, 기부(25)는 콘택트 부재(20)를 보유하고 있다. 또,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21)가 절연 하우징 부재(22)의 기부(25)를 포위하는 환상 감합부(26)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들 절연 하우징 부재(22)의 기부(25)와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21)의 환상 감합부(26)는 동축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감합 연결부를 구성하고 있고, 동축 케이블(11)의 일단부에 장착된 동축 커넥터 장치(10)는 이러한 감합 연결부를 가지고, 상대방 커넥터 장치에 감합 연결된다.
도 3은 동축 커넥터 장치(10)가 감합 연결되는 상대방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이루는 상대방 커넥터 장치(30)와, 상대방 커넥터 장치(30)가 장착된 회로 기판(31)의 부분을 나타낸다. 상대방 커넥터 장치(30)는 회로 기판(31)에 있어서의 부품 등 탑재면(32) 상에 고정되어 있다.
상대방 커넥터 장치(30)는 합성 수지재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대방 커넥터 장치(30)가 고정되는 회로 기판(31)의 부품 등 탑재면(32) 상에 배치되는 절연 기체(35)를 구비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나듯이, 절연 기체(35)는 상대방 커넥터 장치(30)가 고정되는 회로 기판(31)의 부품 등 탑재면(32)에 대접(對接)하는 저면측 부분(36)과 거기에 대향하는 상면측 부분(37)을 가지고 있고, 그 중앙 부분에 저면측 부분(36)과 상면측 부분(37)을 연통하는 투공(38)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대방 커넥터 장치(30)는, 도전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절연 기체(35)의 상면측 부분(37)측에 있어서, 절연 기체(35)에 형성된 투공(38)의 주위에 배치되는 환상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절연 기체(35)에 조립된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부(39)를 구비하고 있다.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부(39)에는 거기로부터 절연 기체(35)를 관통하여 절연 기체(35)의 저면측 부분(36)측에 있어서 절연 기체(35)의 외부로 뻗은 그라운드 접속부(40)가 설치되어 있다.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부(39)는 상대방 커넥터 장치(30)에 감합 연결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21)의 환상 감합부(26)가 감합 접속되게 되고, 그라운드 접속부(40)는 절연 기체(35)가 배치되는 부품 등 탑재면(32)을 가지는 회로 기판(31)에 설치된 접지 단자(도시가 생략되고 있음)에, 예를 들면, 납땜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부(39)의 절연 기체(35)에의 조립은, 예를 들면, 인서트(insert) 성형에 의한 일체 조립으로 되어도 좋다.
회로 기판(31)에 있어서의 상대방 커넥터 장치(30)의 절연 기체(35)에 형성된 투공(38)의 내측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투공(38)의 직경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직경을 가진 투공(3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투공(33)의 내벽면에는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는 신호 단자부(34)가 설치되어 있다. 신호 단자부(34)는 투공(33)의 내벽면을 전면적으로 덮는 도전성 환상체를 이루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회로 기판(31)에 형성된 투공(33)에 대신하여 회로 기판(31)의 부품 등 탑재면(32)에 개구하는 바닥구멍이 형성되고, 그 바닥구멍의 내벽면에 신호 단자부(34)가 설치되어도 좋다.
동축 커넥터 장치(10)가 구비하는 절연 하우징 부재(22)는, 도 5에 나타나듯이, 기부(25)에 더하여, 기부(25)의 일단으로부터 절곡 가능하게 뻗고, 절곡되었을 때 콘택트 부재(20)에 맞닿게 되는 절곡 맞닿음부(45)를 가지고 있고, 또 기부(25)의 일부가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21)의 환상 감합부(26)에 이어지는 만곡부(27)에 그 내측으로부터 계합하여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21)를 보유하는 보유부(46)를 형성하고 있다. 절곡 맞닿음부(45)는 전체적으로 평판 모양부를 이루는 것으로 되어 있고, 또 보유부(46)에는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21)의 만곡부(27)에 설치된 절결(27a)에 삽입되는 돌기부(46a)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동축 커넥터 장치(10)가 구비하는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21)에 있어서는, 도 6에 나타나듯이, 환상 감합부(26)에 이어지는 만곡부(27)에 절연 하우징 부재(22)의 보유부(46)에 설치된 돌기부(46a)가 삽입되는 절결(27a)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21)는 환상 감합부(26) 및 만곡부(27)에 더하여, 만곡부(27)의 일단으로부터 절곡 가능하게 뻗고, 절곡될 때, 이에 동반하여 절연 하우징 부재(22)의 절곡 맞닿음부(45)를 절곡함과 아울러, 중심 도체(12)가 콘택트 부재(20)에 접속된 동축 케이블(11)의 외측 도체(14)와의 접속이 이루어지게 되는 쉘부(47)와, 만곡부(27)로부터 뻗어 중심 도체(12)가 콘택트 부재(20)에 접속된 동축 케이블(11)의 외측 도체(14)에 접촉하여 당해 동축 케이블(11)을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부(48)를 가지고 있다. 쉘부(47)는 이에 따라 절연 하우징 부재(22)에 있어서의 절곡 맞닿음부(45)가 뻗게 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쉘부(47)에는 절곡되어 케이블 지지부(48)에 계합하게 되는 한 쌍의 제1의 절곡 계합부(49), 및 절곡되어 중심 도체(12)가 콘택트 부재(20)에 접속된 동축 케이블(11)의 표피 절연체(15)에 계합하게 되는 한 쌍의 제2의 절곡 계합부(5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동축 커넥터 장치(10)가 구비하는 콘택트 부재(20)는, 도 7에 나타나듯이, 절연 하우징 부재(22)에 있어서의 기부(25)에 고정되는 평판 모양을 이루는 고정부(55)와, 고정부(55)로부터 굴곡부(56)를 통해 되돌려 꺾도록 뻗은 가동 평판 모양부(57)와, 고정부(55)로부터 상호 대향하여 뻗은 한 쌍의 탄성 설편부(58, 59)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가동 평판 모양부(57)는 굴곡부(56)를 요동 지점으로 하여 고정부(55)에 근접하는 방향 및 고정부(55)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탄성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가동 평판 모양부(57)가 고정부(55)에 근접하는 위치를 취할 때 상호 대면하게 되는 고정부(55)의 면과 가동 평판 모양부(57)의 면에는 각각 홈부(55a) 및 홈부(57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평판 모양부(57)는 고정부(55)에 형성된 홈부(55a)에 동축 케이블(11)의 중심 도체(12)가 배치된 하에서, 고정부(55)에 근접하게 될 때, 거기에 형성된 홈부(57a)와 고정부(55)의 홈부(55a)를 상호 대향시켜, 이에 의해 동축 케이블(11)의 중심 도체(12)가 고정부(55)에 형성된 홈부(55a)와 가동 평판 모양부(57)에 형성된 홈부(57a)에 의해 기계적으로 협지되는 상태를 이룬다. 이러한, 고정부(55)와 굴곡부(56)와 가동 평판 모양부(57)는 동축 케이블(11)의 중심 도체(12)를 기계적으로 협지함으로써 그 중심 도체(12)와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콘택트 부재(20)에 있어서의 중심 도체 접속부(60)를 구성하고 있다.
또, 한 쌍의 탄성 설편부(58, 59)는 고정부(55)와 굴곡부(56)와 가동 평판 모양부(57)에 의해 구성되는 중심 도체 접속부(60)로부터 뻗어, 상대방 커넥터 장치(30)가 장착된 회로 기판(31)에 설치된 신호 단자부(34)에 접촉 계합하는 역할을 하는, 콘택트 부재(20)에 있어서의 탄성 접촉 계합부(61)를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고정부(55)와 굴곡부(56)와 가동 평판 모양부(57)에 의해 구성되는 중심 도체 접속부(60), 및 한 쌍의 탄성 설편부(58, 59)에 의해 구성되어 중심 도체 접속부(60)로부터 뻗은 탄성 접촉 계합부(61)를 가진 콘택트 부재(20)는, 예를 들면 탄성 금속 판재에 타발 절곡 가공이 실시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콘택트 부재(20)가 중심 도체 접속부(60)에 동축 케이블(11)의 중심 도체(12)가 이에 의해 기계적으로 협지됨으로써 접속되어,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21)와 함께, 절연 하우징 부재(22)에 의해 지지된 상태가 취해질 때에는 중심 도체 접속부(60)를 구성하는 고정부(55)와 굴곡부(56)와 가동 평판 모양부(57) 중의 고정부(55)와 굴곡부(56)가 절연 하우징 부재(22)에 있어서의 기부(25)의 일부가 형성하는 보유부(46) 내에 배치되어, 고정부(55)가 절연 하우징 부재(22)의 기부(25)에 고정되고, 또 한 쌍의 탄성 설편부(58, 59)에 의해 구성되는 탄성 접촉 계합부(61)가 절연 하우징 부재(22)에 있어서의 기부(25)의 내부 공간 내를 뻗고, 그 선단부로 되는 한 쌍의 탄성 설편부(58, 59)의 각각의 선단 부분을, 절연 하우징 부재(22)에 있어서의 기부(25)의 중앙부에 형성된 직사각형 투공(24)을 통해, 절연 하우징 부재(22)의 외부로 돌출시키게 된다. 이에 의해 탄성 접촉 계합부(61)가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21)의 환상 감합부(26)의 내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중심 도체 접속부(60)가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21)의 환상 감합부(26)의 외측에 있어서, 동축 케이블(11)의 중심 도체(12)에 접속되게 된다.
상술의 도 7에 나타나는 콘택트 부재(20)와 도 6에 나타나는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21)가 도 5에 나타나는 절연 하우징 부재(22)에 의해 상호 절연 상태로 되어 지지됨으로써, 동축 커넥터 장치(10)가 도 8에 나타나듯이 조립된다. 이러한 도 8에 나타난 동축 커넥터 장치(10)의 조립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콘택트 부재(20)가 그 중심 도체 접속부(60)를 구성하는 고정부(55)가 절연 하우징 부재(22)의 기부(25)에 고정되는 상태를 가지고, 절연 하우징 부재(22)에 장착되고, 이에 의해 절연 하우징 부재(22)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 놓여진다. 이 때에 콘택트 부재(20)의 탄성 접촉 계합부(61)가 중심 도체 접속부(60)로부터 절연 하우징 부재(22)의 기부(25)에 있어서의 직사각형 투공(24)으로 이어지는 내부 공간 내로 뻗고, 그 선단부가 직사각형 투공(24)을 통해서 절연 하우징 부재(22) 밖으로 돌출된다. 콘택트 부재(20)의 중심 도체 접속부(60)는 절연 하우징 부재(22)의 기부(25)에 있어서의 내부 공간 밖에 배치된다. 즉, 절연 하우징 부재(22)의 기부(25)는 콘택트 부재(20)의 탄성 접촉 계합부(61)를 포위하고 있게 된다.
절연 하우징 부재(22)의 기부(25)에 있어서의 내부 공간 내를 뻗은 콘택트 부재(20)의 탄성 접촉 계합부(61)를 구성하는 한 쌍의 탄성 설편부(58, 59)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 및 서로 이격하는 방향의 탄성 변위가 가능한 상태에 놓여지고, 이 때문에 절연 하우징 부재(22)의 기부(25)와 한 쌍의 탄성 설편부(58, 59)의 각각의 사이에는 상술의 탄성 변위를 허용하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절연 하우징 부재(22)의 기부(25)에 있어서의 내부 공간 내를 뻗은 콘택트 부재(20)의 탄성 접촉 계합부(61)는 이를 구성하는 한 쌍의 탄성 설편부(58, 59)의 각각의 선단 부분이, 절연 하우징 부재(22)의 기부(25)에 설치된 직사각형 투공(24)을 통해서, 절연 하우징 부재(22)의 기부(25)의 외부로 돌출하게 된다. 또, 콘택트 부재(20)의 중심 도체 접속부(60)는 고정부(55)와 굴곡부(56)와 가동 평판 모양부(57)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그 중의 고정부(55)와 굴곡부(56)가 절연 하우징 부재(22)에 있어서의 기부(25)의 일부가 형성하는 보유부(46) 내에 배치되게 된다.
이어서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21)가 콘택트 부재(20)가 장착된 절연 하우징 부재(22)에 장착되고, 이에 의해 절연 하우징 부재(22)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 놓여진다. 이 때에는 절연 하우징 부재(22)에 있어서의 기부(25)의 일부가 형성하는 보유부(46)가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21)의 환상 감합부(26)에 그 내측으로부터 계합함과 아울러,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21)의 만곡부(27)에 형성된 절결(27a)에 보유부(46)에 설치된 돌기부(46a)가 삽입된다. 그리고, 절연 하우징 부재(22)의 기부(25)로부터 뻗은 절곡 맞닿음부(45)가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21)에 있어서의 만곡부(27)로부터 뻗은 쉘부(47)를 따라 뻗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콘택트 부재(20) 및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21)가 절연 하우징 부재(22)에 장착되어 조립된 동축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는, 콘택트 부재(20)의 탄성 접촉 계합부(61)가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21)의 환상 감합부(26)의 내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콘택트 부재(20)의 중심 도체 접속부(60)가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21)의 환상 감합부(26)의 외측에 있어서 탄성 접촉 계합부(61)에 근접하여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동축 커넥터 장치(10)가 동축 케이블(11)의 일단부에 장착될 때에는, 도 9에 나타나듯이, 동축 케이블(11)의 일단부에 있어서, 표피 절연체(15)가 부분적으로 절제되고, 또한 외측 도체(14)와 내부 절연체(13)가 부분적으로 절제되어 노출되게 된 중심 도체(12)가 동축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콘택트 부재(20)의 중심 도체 접속부(60)를 구성하는 고정부(55)에 형성된 홈부(55a)에 재치된다. 이 때에 동축 커넥터 장치(10)의 중심 도체(12)는 고정부(55)와 이와 함께 중심 도체 접속부(60)를 구성하는 가동 평판 모양부(57)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 후,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21)에 있어서의 쉘부(47)가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21)에 있어서의 케이블 지지부(48)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연 하우징 부재(22)에 있어서의 절곡 맞닿음부(45)를 수반하여 절곡되고,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21)에 있어서의 케이블 지지부(48)와 대략 평행하게 되는 위치를 취하게 된다. 그리고,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21)에 있어서의 쉘부(47)에 수반하여 절곡된 절연 하우징 부재(22)에 있어서의 절곡 맞닿음부(45)가, 콘택트 부재(20)의 중심 도체 접속부(60)를 구성하는 가동 평판 모양부(57)에 맞닿고, 가동 평판 모양부(57)를 고정부(55)를 향해 압압 변위시켜, 고정부(55)에 형성된 홈부(55a)에 재치된 동축 케이블(11)의 중심 도체(12)를 가동 평판 모양부(57)에 형성된 홈부(57a)와 고정부(55)의 홈부(55a)에 의해 기계적으로 협지된 것을 이룬다. 그 결과, 동축 케이블(11)의 중심 도체(12)가, 콘택트 부재(20)의 중심 도체 접속부(60)에, 이에 의해 기계적으로 협지됨으로써 접속된 상태가 얻어진다. 그리고, 콘택트 부재(20)의 중심 도체 접속부(60)에 동축 케이블(11)의 중심 도체(12)를 납땜하는 것은 불필요하게 된다.
이어서 절곡된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21)에 있어서의 쉘부(47)에 설치된 한 쌍의 제1의 절곡 계합부(49) 및 한 쌍의 제2의 절곡 계합부(50)가 각각 절곡되어 한 쌍의 제1의 절곡 계합부(49)가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21)에 있어서의 케이블 지지부(48)에 계합하고, 또 한 쌍의 제2의 절곡 계합부(50)가 동축 케이블(11)의 표피 절연체(15)에 계합하는 상태가 취해진다. 그 결과,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것 같은 동축 케이블(11)의 일단부에 장착된 동축 커넥터 장치(10)가 얻어진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동축 케이블(11)의 일단부에 장착된 동축 커넥터 장치(10)가 회로 기판(31)에 장착된 상대방 커넥터 장치(30)에 감합 연결될 때에는, 도 10에 나타나듯이, 회로 기판(31)에 장착된 상대방 커넥터 장치(30)에 대해서, 동축 커넥터 장치(10)가 그 절연 하우징 부재(22)의 기부(25) 및 이를 포위하는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21)의 환상 감합부(26)에, 상대방 커넥터 장치(30)의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부(39)에 대응하는 위치를 취하게 하는 것으로서 배치된다. 그 후, 동축 커넥터 장치(10)가 상대방 커넥터 장치(30)가 장착된 회로 기판(31)을 향해 이동시켜지게 되고, 이에 의해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나듯이, 회로 기판(31)에 장착된 상대방 커넥터 장치(30)에 감합 연결된 상태에 놓여진다.
동축 커넥터 장치(10)가 상대방 커넥터 장치(30)에 감합 연결된 하에 있어서는, 도 12에 있어서의 XIII-XIII선 단면을 나타내는 도 13 및 도 12에 있어서의 XIV-XIV선 단면을 나타내는 도 14에 나타나듯이, 동축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21)의 환상 감합부(26)가 상대방 커넥터 장치(30)의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부(39)에 감합 접속시켜지게 됨과 아울러, 동축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절연 하우징 부재(22)에 있어서의 기부(25)가 상대방 커넥터 장치(30)에 있어서의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부(39)에 의해 포위된 절연 기체(35)에 형성된 투공(38) 내에 배치되고, 그 기부(25)에 있어서의 직사각형 투공(24)이 개구하는 단면이 회로 기판(31)의 부품 등 탑재면(32)에 대접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절연 하우징 부재(22)에 있어서의 기부(25)에 의해 포위된 동축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콘택트 부재(20)의 탄성 접촉 계합부(61)는 상대방 커넥터 장치(30)에 있어서의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부(39)의 내측을 관통하여 뻗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하에서 동축 커넥터 장치(10)의 절연 하우징 부재(22)에 있어서의 기부(25)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기부(25)에 형성된 직사각형 투공(24)을 통해서 기부(25)의 외부로 돌출하는, 동축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콘택트 부재(20)의 탄성 접촉 계합부(61)의 선단부, 즉 탄성 접촉 계합부(61)를 구성하는 한 쌍의 탄성 설편부(58, 59)의 각각의 선단 부분이 회로 기판(31)에 형성된 투공(33)의 내벽면에 배치된 신호 단자부(34)에 직접적으로 맞닿아 접촉 계합한다. 이 때에 탄성 접촉 계합부(61)를 구성하는 한 쌍의 탄성 설편부(58, 59)는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되어 각각의 선단 부분이 투공(33)에 삽입되고, 투공(33)에 삽입된 선단 부분을 가지고 신호 단자부(34)에 압압 접촉 계합하게 된다. 이에 의해 탄성 접촉 계합부(61)를 구성하는 한 쌍의 탄성 설편부(58, 59)는 각각의 탄성에 의해, 각각의 선단 부분을 가지고, 신호 단자부(34)에,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21)의 환상 감합부(26)의 상대방 커넥터 장치(30)에 있어서의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부(39)와의 감합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압압력을 작용시킨다. 따라서, 동축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콘택트 부재(20)의 탄성 접촉 계합부(61)는 상대방 커넥터 장치(30)에 있어서의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부(39)의 내측을 관통하여 뻗고, 회로 기판(31)에 형성된 투공(33)의 내벽면에 배치된 신호 단자부(34)에, 이를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21)의 환상 감합부(26)의 상대방 커넥터 장치(30)에 있어서의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부(39)와의 감합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압압하는 상태를 가지고 접촉 계합하여 접속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동축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콘택트 부재(20)의 탄성 접촉 계합부(61)가 회로 기판(31)에 설치된 신호 단자부(34)에 접촉 계합하여 접속됨으로써, 동축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콘택트 부재(20)의 중심 도체 접속부(60)에 접속된 동축 케이블(11)의 중심 도체(12)가 콘택트 부재(20)의 탄성 접촉 계합부(61)를 통해 회로 기판(31)에 설치된 신호 단자부(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상술과 같은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이루는 동축 커넥터 장치(10)에 의하면, 동축 케이블(11)의 일단에 장착되는데 즈음하여, 동축 케이블(11)의 중심 도체(12)가 콘택트 부재(20)의 중심 도체 접속부(60)에 이에 의해 기계적으로 협지됨으로써 접속되므로, 콘택트 부재(20)와 동축 케이블(11)의 중심 도체(12)와의 접속에 있어서 납땜을 불필요하게 할 수가 있다.
또, 동축 커넥터 장치(10)에 의하면, 동축 케이블(11)의 중심 도체(12)가 접속된 콘택트 부재(20)의 중심 도체 접속부(60)로부터 뻗은 탄성 접촉 계합부(61)가 상대방 커넥터 장치(30)가 장착된 회로 기판(31)에 있어서의 투공(33)의 내벽면에 배치된 신호 단자부(34)에 직접적으로 접촉 계합하여, 동축 케이블(11)의 중심 도체(12)를 콘택트 부재(20)를 통해 회로 기판(31)에 설치된 신호 단자부(34)에 연결하므로, 콘택트 부재(20)의 탄성 접촉 계합부(61)와 회로 기판(31)에 있어서의 신호 단자부(34)와의 사이에 양자를 연결하기 위한 부재가 불필요하게 되어, 회로 기판(31)에 있어서의 부품 등 탑재면(32)으로부터의 돌출 치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콘택트 부재(20)의 탄성 접촉 계합부(61)가 회로 기판(31)에 형성된 투공(33)의 내벽면에 배치된 신호 단자부(34)에 직접적으로 접촉 계합하는데 즈음하여, 그 탄성에 의해 신호 단자부(34)를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21)의 환상 감합부(26)가 상대방 커넥터 장치(30)의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부(39)에 감합할 때의 감합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압압하는 상태를 취하므로, 탄성 접촉 계합부(61)의 신호 단자부(34)에 대한 접촉 방향이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21)의 환상 감합부(26)가 상대방 커넥터 장치(30)의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부(39)에 감합할 때의 감합 방향을 따르는 방향이 아니라, 당해 감합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된다. 그 결과, 탄성 접촉 계합부(61)의 동축 커넥터 장치(10) 밖으로의 돌출 길이, 예를 들면, 탄성 접촉 계합부(61)의 선단부의 절연 하우징 부재(22)에 있어서의 기부(25)의 일단으로부터 당해 기부(25)의 외부로의 돌출 길이가, 회로 기판(31)의 두께 치수 이하인 한, 그 돌출의 방법의 여하에 의하지 않고, 탄성 접촉 계합부(61)의 신호 단자부(34)와의 접촉 접속이 적정하게 행해지는 상태를 얻을 수 있어, 콘택트 부재(20)의 신호 단자부(34)와의 접촉 접속이 적정하게 행해지지 않게 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는,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가 접속되는 콘택트 부재와, 동축 케이블의 외측 도체가 접속되는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와, 콘택트 부재와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를 상호 절연 상태를 가지고 지지하는 절연 하우징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하에서, 콘택트 부재와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의 접속에 있어서 납땜을 불필요하게 하고, 또한 콘택트 부재를 상대방 커넥터 장치가 배치된 회로 기판에 설치된 신호 단자부에 직접 접촉 계합하여 접속되게 됨으로써, 당해 회로 기판에 있어서의 부품 등 탑재면으로부터의 돌출 치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고, 또한 콘택트 부재의 신호 단자부와의 접촉 접속이 적정하게 행해지지 않게 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가 있는 것으로서 각종의 전자기기 등에 널리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10 동축 커넥터 장치 11 동축 케이블
12 중심 도체 13 내부 절연체
14 외측 도체 15 표피 절연체
20 콘택트 부재 21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
22 절연 하우징 부재 24 직사각형 투공
25 기부 26 환상 감합부
30 상대방 커넥터 장치 31 회로 기판
33 투공 34 신호 단자부
35 절연 기체
39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부 40 그라운드 접속부
45 절곡 맞닿음부 46 보유부
47 쉘부(shell part) 48 케이블 지지부
49 제1의 절곡 계합부 50 제2의 절곡 계합부
55 고정부 55a, 57a 홈부
56 굴곡부 57 가동 평판 모양부
58, 59 탄성 설편부 60 중심 도체 접속부
61 탄성 접촉 계합부

Claims (4)

  1.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를 기계적으로 협지함으로써 이 중심 도체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중심 도체 접속부와 이 중심 도체 접속부로부터 뻗은 탄성 접촉 계합부를 가진 콘택트 부재와,
    기판에 장착된 상대방 커넥터 장치의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부에 감합 접속되는 환상 감합부와 이 환상 감합부로부터 굴곡 가능하게 뻗어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측 도체와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쉘부를 가진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와,
    상기 콘택트 부재와 상기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를 상호 절연 상태를 가지고 지지하는 절연 하우징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콘택트 부재가, 상기 탄성 접촉 계합부가 상기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의 환상 감합부의 내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중심 도체 접속부가 상기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의 환상 감합부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에 접속되게 되고, 상기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의 환상 감합부가 상기 상대방 커넥터 장치의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부에 감합 접속되었을 때, 상기 탄성 접촉 계합부가, 상기 상대방 커넥터 장치의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부의 내측을 관통하여 뻗고, 상기 기판에 형성된 구멍부분의 내벽면에 배치된 신호 단자부에, 이 신호 단자부를 상기 환상 감합부의 상기 환상 그라운드 콘택트부와의 감합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압압하는 상태를 가지고 접촉 계합하여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 계합부가, 상호 대향하게 되어 상기 신호 단자부에 압압 접촉 계합하는 한 쌍의 탄성 설편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탄성 설편부가,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되어, 각각의 선단 부분이 상기 기판에 형성된 구멍부분에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이 구멍부분에 삽입된 선단 부분을 가지고 상기 신호 단자부에 압압 접촉 계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하우징 부재가, 상기 그라운드 콘택트 부재의 환상 감합부의 내측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 계합부를 포위하는 환상 기부를 가지고, 상기 탄성 접촉 계합부의 선단부가 상기 환상 기부의 일단으로부터 이 환상 기부의 외부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장치.
KR1020120099808A 2011-10-12 2012-09-10 동축 커넥터 장치 KR1013750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24668 2011-10-12
JP2011224668A JP5522410B2 (ja) 2011-10-12 2011-10-12 同軸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662A true KR20130039662A (ko) 2013-04-22
KR101375039B1 KR101375039B1 (ko) 2014-03-14

Family

ID=47022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808A KR101375039B1 (ko) 2011-10-12 2012-09-10 동축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47153B2 (ko)
EP (1) EP2581989A3 (ko)
JP (1) JP5522410B2 (ko)
KR (1) KR101375039B1 (ko)
CN (1) CN103050793B (ko)
TW (1) TWI46093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8323A (ko) * 2018-12-21 2020-07-01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쌍의 압착편을 갖는 하우징을 구비한 동축 케이블 커넥터
KR20210149500A (ko) * 2020-06-02 2021-12-09 (주)우주일렉트로닉스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57153B2 (ja) * 2011-05-17 2015-07-29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装置
JP5763007B2 (ja) * 2012-04-19 2015-08-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943806B2 (ja) * 2012-10-17 2016-07-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TWM477077U (en) * 2013-01-18 2014-04-21 Speedtech Corp Coaxial cable end connector
TWD167751S (zh) * 2013-07-25 2015-05-11 第一精工股份有限公司 高頻用同軸連接器
JP6233574B2 (ja) * 2013-11-20 2017-11-22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型電気コネクタ
JP1528471S (ko) * 2014-11-20 2015-07-13
US9502834B2 (en) * 2015-01-28 2016-11-22 Dai-Ichi Seiko Co., Ltd. Coaxial-type electric connector
JP6065968B2 (ja) * 2015-01-28 2017-01-25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型電気コネクタ
JP6439555B2 (ja) 2015-04-06 2018-12-19 富士通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KR101788041B1 (ko) * 2016-05-04 2017-10-19 주식회사 기가레인 동축 케이블 커넥터
JP6802654B2 (ja) * 2016-07-22 2020-12-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視認窓を有する同軸コネクタ、及び、該同軸コネクタを用いた同軸コネクタ装置
JP6751940B2 (ja) * 2016-11-15 2020-09-0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圧接接続型コンタクト及び同軸コネクタ
US10320131B2 (en) * 2017-06-20 2019-06-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cessed switched test connector
WO2019019000A1 (zh) * 2017-07-25 2019-01-31 启东乾朔电子有限公司 射频同轴连接器
JP7185998B2 (ja) * 2017-08-10 2022-12-0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環状の嵌合部を有するシェルを備えた同軸コネクタ、及び、同軸コネクタ装置
JP7109280B2 (ja) 2018-07-02 2022-07-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ハーネス
JP6780689B2 (ja) * 2018-11-21 2020-11-04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JP7212536B2 (ja) * 2019-02-01 2023-01-2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WO2020189221A1 (ja) * 2019-03-18 2020-09-24 I-Pex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装置
JP6844760B1 (ja) * 2019-05-10 2021-03-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セットにおけるグランド接続構造
JP7351116B2 (ja) * 2019-07-04 2023-09-27 Smk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944450B (zh) * 2019-11-08 2021-04-06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同轴线母板、公板、连接结构及印刷线路板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0790U (ko) * 1988-03-18 1989-09-27
FR2677816B1 (fr) * 1991-06-17 1995-04-28 Radiall Sa Connecteur coaxial pour le raccordement d'un cable coaxial a une carte imprimee de circuit electronique.
DE4216809C2 (de) * 1992-05-21 2002-10-24 Elco Europ Gmbh Hochstromkontakt für elektrische Kontaktsteckvorrichtungen
JP2584689Y2 (ja) 1992-06-23 1998-11-05 本多通信工業株式会社 薄型同軸コネクタ
US6227876B1 (en) * 1998-09-08 2001-05-08 Rms Electrical contac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4148339B2 (ja) * 2001-04-26 2008-09-10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同軸コネクタ
US6837743B2 (en) * 2002-04-05 2005-01-0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end connector having good insulation function
US6607400B1 (en) * 2002-10-22 2003-08-19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Low profile RF connector assembly
JP4076157B2 (ja) * 2003-07-30 2008-04-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電気コネクタ
JP4136925B2 (ja) * 2003-12-19 2008-08-2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電気コネクタ
JP4481161B2 (ja) * 2004-12-24 2010-06-16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L型同軸ケーブル用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
US7281947B2 (en) * 2005-08-16 2007-10-16 M/A-Com, Inc. Self-locking electrical connector
DE102006010037A1 (de) * 2006-03-04 2007-09-06 Tyco Electronics Amp Gmbh Montageverfahren einer elektrischen Koaxialverbinder-Unterbaugruppe sowie elektrische Koaxialverbinder-Unterbaugruppe
TWM307242U (en) * 2006-07-14 2007-03-01 Insert Entpr Co Ltd Improved structure of microwave connector for RF communication
US7351067B2 (en) * 2006-08-09 2008-04-01 Speed Tech Corp. Coaxial cable connecting apparatus
TWM318262U (en) * 2007-03-02 2007-09-01 Speed Tech Corp Coaxial cable connector
JP4382834B2 (ja) * 2007-04-25 2009-12-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同軸電気コネクタ
JP5201153B2 (ja) * 2010-01-13 2013-06-05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12230820A (ja) * 2011-04-26 2012-11-22 Daiichi Seiko Co Ltd 同軸型電気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8323A (ko) * 2018-12-21 2020-07-01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쌍의 압착편을 갖는 하우징을 구비한 동축 케이블 커넥터
KR20210149500A (ko) * 2020-06-02 2021-12-09 (주)우주일렉트로닉스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81989A2 (en) 2013-04-17
US20130149897A1 (en) 2013-06-13
JP2013084498A (ja) 2013-05-09
TWI460939B (zh) 2014-11-11
CN103050793B (zh) 2015-07-29
JP5522410B2 (ja) 2014-06-18
EP2581989A3 (en) 2014-06-11
KR101375039B1 (ko) 2014-03-14
CN103050793A (zh) 2013-04-17
TW201330420A (zh) 2013-07-16
US8747153B2 (en) 201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039B1 (ko) 동축 커넥터 장치
KR101329404B1 (ko) 동축 커넥터 장치
KR101653437B1 (ko)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CN107809021B (zh) 电连接器
JP2008192369A (ja) コネクタ
JP2016100190A (ja) 同軸コネクタ組立て
CN113574747B (zh) 同轴连接器装置
CN215418638U (zh) 同轴连接器组的接地连接构造及同轴连接器组
WO2014024573A1 (ja) 同軸コネクタ
JP2015053188A (ja) 同軸コネクタ装置
WO2014013834A1 (ja) 同軸コネクタ
JP5433322B2 (ja) コネクタ、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及び半導体試験装置
KR101743390B1 (ko) 동축형 전기 커넥터
JP2015130266A (ja) 同軸コネクタ装置
WO2014013833A1 (ja) 同軸コネクタ
KR100780727B1 (ko) 차폐 전선과 차폐쉘의 접속 장치
JP2013089342A (ja) コネクタ装置
JP5754593B2 (ja) 同軸コネクタ装置
JP2015088400A (ja) 電線と電子機器との接続構造、及び、接続に用いるクリップ
JP6135147B2 (ja) 同軸コネクタ
JP2015125963A (ja) 同軸コネクタ装置
JP7363228B2 (ja) コネクタ装置、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構造
JP6573074B2 (ja)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装置
JP2023027599A (ja) 電気コネクタ
JP2017157291A (ja) 同軸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