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7702A -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7702A
KR20130037702A KR1020137000218A KR20137000218A KR20130037702A KR 20130037702 A KR20130037702 A KR 20130037702A KR 1020137000218 A KR1020137000218 A KR 1020137000218A KR 20137000218 A KR20137000218 A KR 20137000218A KR 20130037702 A KR20130037702 A KR 20130037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accelerator
increase
opening degree
accelerato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0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9077B1 (ko
Inventor
시게유키 사카구치
마사오 시오미
마사히로 오모리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37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38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comprising means to continuously detect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2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hand, foot, or like operator controlled initi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6/021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with means for providing feel, e.g. by changing pedal force characteristics
    • B60K2026/023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with means for providing feel, e.g. by changing pedal force characteristics with electrical means to generate counter force or torqu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28Foot operated
    • Y10T74/20534Accelerator

Abstract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답력을 베이스 답력보다도 소정의 답력의 증가분만큼 증가시키고 있을 때에,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증량 해제 임계값 이하(t2의 타이밍)로 되면, 소정의 답력의 증가분을 소정의 비율로 감소시키는 동시에, 소정의 답력의 증가분을 감소시키고 있을 때에,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소정의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보다도 커졌을 경우에는(t3의 타이밍), 베이스 답력에 대한 답력의 증가분이, 소정의 답력의 증가분보다도 커지도록,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답력을 베이스 답력에 대하여 증가시킨다.

Description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 제어 장치{ACCELERATOR PEDAL DEPRESSION FORCE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는, 고회전 고부하측의 제1 운전 방식(예를 들어 균질 연소)과 제1 운전 방식보다 연비 효율이 높은 저회전 저부하측의 제2 운전 방식(예를 들어 성층 연소)을 전환하여 실시하는 엔진에 적용되고, 엔진의 운전 영역이 제2 운전 방식이 실시되는 제2 운전 영역으로부터 제1 운전 방식이 실시되는 제1 운전 영역으로 전환될 때에, 제1 운전 영역으로 전환되기 직전의 경계 운전 영역으로 들어간 단계에서,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스텝핑 반력(답력)을 급격하게 증대시키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답력의 증가분은, 경계 운전 영역으로부터 제2 운전 영역으로 복귀되었을 때에 해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운전 영역이 제2 운전 영역으로부터 경계 운전 영역 내에 들어갔을 때에 급증시킨 답력 증가분을 원래 상태로 되돌릴 때에, 이 답력 증가분을 단숨에 복귀시키(줄이)면 그 반동에 의해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지나치게 스텝핑해 버리는 경우가 있어, 이러한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지나치게 스텝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 답력 증가분을 서서히 복귀시키는 쪽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답력 증가분을 서서히 복귀시키는 경우, 답력 증가분을 서서히 복귀시키고 있는 도중에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답력을 급격하게 증가시킬 필요가 발생한 경우에는, 답력의 증가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운전자가 답력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 바꾸어 말하면 운전자가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답입 반응으로서 소위 벽감을 느낄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120339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은,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답력을 베이스 답력보다도 증가시키고 있을 때에, 소정의 답력 증가 해제 조건이 성립하면, 베이스 답력에 대하여 부가된 소정의 답력의 증가분을 소정의 비율로 감소시키는 동시에, 이 소정의 답력의 증가분을 감소시키고 있을 때에,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상기 소정의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보다도 커졌을 경우에는, 베이스 답력에 대한 답력의 증가분이, 상기 소정의 답력의 증가분보다도 커지도록,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답력을 베이스 답력에 대하여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답력의 증가분을 감소시키고 있을 때에,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소정의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보다도 커졌을 경우에도, 운전자가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이 증가한 것을 확실하게 느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 제어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답력 변경 기구의 개략과 함께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답력 변경 기구의 일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의 특성예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4는 로크 업 클러치의 로크 업 영역과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의 상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선과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의 상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각종 파라미터의 타이밍 챠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비교예에 관한 각종 파라미터의 타이밍 챠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각종 파라미터의 타이밍 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 제어 장치는, 기본적으로는, 도시하지 않은 차량의 차체(1)에 설치된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답력(조작 반력)을 가변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량에 설치된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개방도(스텝핑량)를 검지하는 수단과,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답력을 베이스 답력으로부터 변경하는 수단을 갖고,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개방도가 소정의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보다도 큰 영역에서는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답력을 베이스 답력보다도 증가시키는 것이다.
액셀러레이터 페달(2)은,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3) 상에 설치되어서 상기 회전축(3)을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하도록 구성되고, 일단부가 차체(1)에 고정되는 동시에 타단부가 회전축(3)에 고정된 다양한 형태의 리턴 스프링(4)에 의해, 액셀러레이터 폐쇄 방향으로의 반력이 주어져 있다. 또한, 회전축(3)의 일단부가 차체(1)에 베어링(5)을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한편, 회전축(3)의 타단부 부근에,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검지 수단으로서 액셀러레이터 포지션 센서(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스텝핑량(액셀러레이터 개방도)과 내연 기관(도시생략)의 스로틀 밸브(도시 생략)의 개방도가 서로 연동하여,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스텝핑량에 따라서 내연 기관의 스로틀 밸브 개방도가 증대한다. 즉, 액셀러레이터 개방도에 따라서 연료 분사량(나아가서는 연료 소비량)이 증대한다.
그리고, 답력 변경 기구로서는, 회전축(3)의 회전에 마찰력을 부여하는 서로 대향한 한 쌍의 마찰 부재(7a, 7b)를 구비한 가변 마찰 플레이트(7)로 이루어지고, 한쪽의 마찰 부재(7a)는, 회전축(3)의 단부에 기계적으로 결합해서 설치되고, 다른 쪽의 마찰 부재(7b)는, 스플라인 등을 통하여, 고정 축(8)에, 축 방향 이동 가능 또한 비회전으로 지지되어 있다. 고정 축(8)은, 차체(1)에 고정 지지되어 있다. 또한, 마찰 부재(7b)를 마찰 부재(7a)를 향해서 가압하는 액추에이터(예를 들어 전자기 솔레노이드)(9)가 차체(1)에 고정되어 있다.
가변 마찰 플레이트(7)는, 액추에이터(9)의 작동에 의해 마찰 부재(7b)를 축 방향(도 1에 있어서의 화살표 A1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의해, 마찰 부재(7a)와 마찰 부재(7b) 사이의 마찰력을 가변적으로 제어한다. 이 액추에이터(9)의 작동은, 컨트롤 유닛(10)에 의해 제어되어 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9)의 작동을, 컨트롤 유닛(10)이 제어함으로써, 회전축(3)에 부가되는 마찰력 나아가서는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스텝핑 시의 답력을 변경할 수 있다.
컨트롤 유닛(10)에는,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개방도를 검지하는 상술한 액셀러레이터 포지션 센서(6) 외에, 엔진 회전수 Ne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 센서(11), 차속 VSP를 검출하는 차속 센서(12), 등의 각종 센서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어 있다.
도 3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의 특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고, 기본적인 답력 즉 베이스 답력은, 개방도 증가 방향과 개방도 감소 방향으로 적당한 히스테리시스를 가지면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에 대하여 대략 비례적으로 증가한다. 또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작은 영역에 있어서는, 베이스 답력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초기 영역(프리로드 영역)이 설정되어 있다.
상세하게 서술하면, 베이스 답력은,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증가 방향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미소 개방도(액셀러레이터 개방도 APSP)로부터 최대 개방도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MAX)까지 액셀러레이터 개방도를 따라서 비례적으로 증가하고,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제로로부터 상기 미소 개방도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APSP)까지의 초기 영역은, 상대적으로 대(大)로 되는 증가 비율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프리로드 영역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개방도 증가 방향으로의 조작시, 즉 스텝핑시에,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소정의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도 3 중에 있어서의 SL)보다도 커지면,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답력은 스텝핑측의 베이스 답력보다도 스텝적으로 증가하여, 그 이상의 스텝핑을 억제하려고 한다. 즉, 답력 증가분 A만큼이 스텝핑측의 베이스 답력에 추가된 형태로 된다.
또한,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의 스텝핑측의 베이스 답력에 답력 증가분 A가 부가된 상태에 있어서 액셀러레이터 페달(2)이 복귀되는(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감소하는) 경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 SL보다도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큰 영역에서는, 베이스 답력(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증가 방향의 베이스 답력에 대하여 히스테리시스를 갖는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감소 방향의 베이스 답력)에 역시 상기의 답력 증가분 A가 부가된 형태로 되고, 또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도 3 중에 있어서의 SL)보다도 소정 개방도 작은 증량 해제 임계값(도 3 중에 있어서의 SL’)까지는, 이 답력 증가분 A의 부가가 계속된다. 그리고, 증량 해제 임계값 이하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감소한 단계에서, 답력 증가분 A가 해제되어, 베이스 답력(액셀러레이터 개방도 감소 방향의 베이스 답력)으로 복귀한다.
여기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은, 연료 소비율에 관련된 값(연료 소비율이 낮은 운전 상태로부터 높은 운전 상태로 변화하는 액셀러레이터 개방도)이며, 컨트롤 유닛(10)에서 차량 내지 엔진의 운전 상태에 기초하여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이 스텝적으로 증대함으로써, 운전자에 의한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그 이상의 스텝핑이 자연히 억제되고, 또한 동시에 운전자에 대하여, 연료 소비율이 낮은(즉 연비가 좋은) 운전 상태로부터 연료 소비율이 높은(즉 연비가 나쁜) 운전 상태로 이행한 것을 확실하게 통지할 수 있다.
컨트롤 유닛(10)은, 상술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을 설정하는 동시에, 답력 증가 해제 조건으로서 상술한 증량 해제 임계값을 설정하고,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보다도 커지면,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베이스 답력에 소정의 답력 증가분을 부가하고, 또한 소정의 답력 증가분이 부가된 상태에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상술한 증량 해제 임계값 이하로 되면 답력 증가 해제 조건이 성립한 것으로 하여,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베이스 답력에 대해서 부가된 소정의 답력 증가분을 소정의 일정 비율로 감소시켜서 제거한다.
여기서, 증량 해제 임계값은, 동일한 차량의 운전 상태 또는 동일한 엔진의 운전 상태에서는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보다도 작은 액셀러레이터 개방도로서 설정되는 것이며, 예를 들어,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에 대하여 일정한 개방도차를 갖는 것으로서 설정되는 것이다.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은, 예를 들어, 토크 컨버터식 자동 변속기에 있어서의 로크 업 클러치(도시 생략)의 체결·해방에 대응해서 설정된다. 도 4를 사용해서 설명하면, 이 로크 업 클러치는, 이미 알고 있는 바와 같이, 토크 컨버터의 입력측과 출력측을 직결하기 위한 기구이며, 차속 VSP와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APS에 기초하여 체결·해방이 전환 제어되어, 저 차속측이고 또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APS가 큰 비로크 업(비L/U) 영역(도 4에 사선으로 나타낸 영역)에서는 해방 상태로 되고, 고 차속측이고 또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APS가 작은 로크 업(L/U) 영역에서는 체결 상태로 된다. 여기서, 로크 업 클러치가 해방된 상태에서는 로크 업 클러치가 체결되어 있는 상태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료 소비율이 악화된다. 그로 인해, 이 예의 경우에는, 비로크 업 영역을 연료 소비율이 높은 운전 영역, 로크 업 영역을 연료 소비율이 낮은 운전 영역으로 간주하고,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APS가 로크 업 영역으로부터 비로크 업 영역으로 증가할 때에,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의 증가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컨트롤 유닛(10)은, 도 4의 특성도에 기초하여, 입력된 차속 VSP와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APS로부터, 로크 업 클러치가 해방 상태(비L/U 영역)에 있는지 체결 상태(L/U 영역)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로크 업 클러치가 체결 상태(L/U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도 4의 영역의 경계선 L1 상에서, 차속 센서로부터 입력된 차속 VSP에 대응하는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APS의 값을, 답력 증가를 행하는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 APSa1로서 구한다. 예를 들어 차속이 VSP1이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응하는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APSa1가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답력 증가를 위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으로 된다. 또한, 컨트롤 유닛(10)은, 이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 APSa1보다도 소정 개방도 작은 액셀러레이터 개방도로서 증량 해제 임계값 APSa1’을 설정한다. 이 증량 해제 임계값 APSa1’은,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 APSa1에 있어서 일단 증가시킨 답력의 소정의 증가분을 해제 즉 감소시키기 위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의 임계값이며, 이 증량 해제 임계값 APSa1’ 이하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감소했을 때에 상술한 답력 증가분이 해제된다. 이 증량 해제 임계값 APSa1’은, 예를 들어,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 APSa1에 대하여 일정한 개방도 차를 갖는 것으로서 설정되고, 혹은,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 APSa1에 일정한 계수를 곱해서 산출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 변속기의 시프트 다운(저속단으로의 자동 변속)에 대응해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일례로서 5속 자동 변속기의 변속 선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속 VSP와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APS에 기초하여 변속 제어가 행해지지만, 일반적으로 고속단 쪽이 연료 소비율이 낮으므로, 여기에서는, 5속으로부터 4속으로의 변속선 L2를, 연료 소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높은 영역으로 전환되는 경계선으로 간주하고 있다. 따라서, 이 경계선 L2 상의 그때의 차속 VSP(예를 들어 VSP2)에 대응하는 액셀러레이터 개방도의 값이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 APSa2로 된다. 또한, 다른 변속단의 변속선 L3 내지 L5에 대해서 마찬가지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을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 APSa2에 있어서 일단 증가시킨 답력의 소정의 증가분을 해제 즉 감소시키기 위한 증량 해제 임계값은, 토크 컨버터식 자동 변속기에 있어서의 로크 업 클러치(도시 생략)의 체결·해방에 대응해서 설정한 증량 해제 임계값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또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은, 상술한 이외에도, 엔진의 고부하측에서의 연료 증가 영역에 대응하여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엔진의 연비의 특성으로부터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변속기로서는, 예를 들어 변속비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무단 변속기가 수동 변속기 등이어도 된다. 무단 변속기의 경우에는, 입력축측 및 출력축측의 회전 속도의 비로서 변속비를 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상술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보다도 커지면(도 6에 있어서의 t1 및 t3의 타이밍), 컨트롤 유닛(10)으로부터의 반력 지령값에 기초하여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답력을 증가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답력이 베이스 답력인 상태에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보다도 커지면(도 6에 있어서의 t1의 타이밍), 베이스 답력에 대한 답력의 소정의 증가분으로서, 예를 들어 8.5 [N]분 답력을 증가시킨다.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답력을 베이스 답력보다도 증가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증량 해제 임계값 이하로 되면(도 6에 있어서의 t2의 타이밍),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답력이 베이스 답력으로 되도록, 베이스 답력에 대하여 부가된 답력의 소정의 증가분을 소정의 일정 비율로 서서히 감소시킨다.
여기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은, 상술한 바와 같이 차속에 따라서 변화하기 때문에, 증량 해제 임계값도 차속에 따라서 변화된다. 구체적으로는, 차속이 증가하면,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증량 해제 임계값)은 커진다. 도 6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t2의 타이밍에 있어서의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t1의 타이밍에 있어서의 액셀러레이터 개방도보다도 작게는 되어 있지 않지만, t1의 타이밍으로부터 t2의 타이밍으로 될 때까지의 차속의 변화보다 증량 해제 임계값이 변화되어, t2의 타이밍으로부터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증량 해제 임계값 이하로 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 답력에 대한 답력의 소정의 증가분을 감소시키고 있을 때에,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다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보다도 커지면(도 6에 있어서의 t3의 타이밍), 이때의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답력에 대하여, 전회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보다도 커진 타이밍(도 6에 있어서의 t1의 타이밍)에서 부가된 답력의 증가분을 부가(가산)한다.
즉, 도 6에 있어서의 t3의 타이밍에서는, 도 6에 있어서의 t1의 타이밍에서 베이스 답력에 대하여 부가된 답력의 증가분보다도 커지도록, 베이스 답력에 대한 답력의 증가분을 증가시킨다. 바꾸어 말하면, 도 6에 있어서의 t3의 타이밍에서는, 도 6에 있어서의 t1의 타이밍에서 베이스 답력에 대하여 부가된 답력의 증가분의 잔존량과, 금회 부가하는 답력의 증가분의 합이, 도 6에 있어서의 t1의 타이밍에서 베이스 답력에 대하여 부가된 답력의 증가분보다도 커지도록,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답력을 베이스 답력에 대하여 증가시킨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차속의 변화에 따라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이 변화된 결과, t3의 타이밍으로부터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보다도 커지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비교예와 같이 ,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을 넘었을 때에 부가하는 답력의 증가량을 항상 베이스 답력에 대하여 일정량으로 하면,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이 베이스 답력인 상태에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보다도 커지는 T1의 타이밍에서 운전자가 느끼는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답입 반응에 비해, 베이스 답력에 대한 답력의 소정의 증가분을 감소시키고 있을 때에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다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보다도 커지는 T3의 타이밍에서 운전자가 느끼는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답입 반응 쪽이, 답력 증가의 변화량이 작아,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의 급격한 증가를 느끼기 어렵다. 또한, 도 7 중의 T2의 타이밍은,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답력을 베이스 답력보다도 증가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증량 해제 임계값 이하로 되는 타이밍이다.
그러나, 상술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을 넘었을 때에 부가하는 답력의 증가량을, 베이스 답력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을 넘은 시점의 답력을 기준으로 하여 증가시킴으로써,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답력의 증가분을 감소시키고 있을 때에,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소정의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보다도 커졌을 경우에도, 운전자가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답력이 증가한 것을 확실하게 느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6에 있어서의 t3의 타이밍에서 베이스 답력에 대하여 부가된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답력의 증가분의 잔존량이 미리 설정된 소정량 이상인 경우에는,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답력에 새로운 답력의 증가분을 부가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이것은, t3의 타이밍이 베이스 답력에 대하여 증가시키고 있는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답력의 증가분을 감소시키기 시작한 직후의 경우에는, 운전자가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이 증가하고 있는 것을 느낄 수 있으므로, 이 상태에서 더욱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답력을 증가시킬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또한, 액셀러레이터 페달(2)이 복귀되면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증량 해제 임계값보다도 작아졌을 경우에는, 그 시점에서 베이스 답력에 대하여 부가된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답력의 증가분을 제거하고,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답력을 베이스 답력으로 복귀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스텝적으로 답력의 증가분을 감소시켜도 반동으로 운전자가 지나치게 스텝핑해 버릴 일이 없기 때문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베이스 답력에 대한 답력이 소정의 증가분을 감소시키고 있을 때에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다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보다도 커지면(도 6에 있어서의 t3의 타이밍), 이때의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답력에 대하여, 전회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보다도 커진 타이밍(도 6에 있어서의 t1의 타이밍)에서 부가된 답력의 증가분이 부가되어 있지만, 반드시 전회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보다도 커진 타이밍(도 6에 있어서의 t1의 타이밍)에서 부가된 답력의 증가분과 동량의 답력을 부가할 필요는 없다. 즉, t3의 타이밍에서는, t1의 타이밍에서 부가된 답력의 증가분보다도 작은 답력의 증가분을, 그때의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답력에 대하여 부가하도록 해도 된다. t3의 타이밍에서 부가하는 답력의 증가분이, t1의 타이밍에서 부가하는 답력의 증가분보다도 작더라도, t3의 타이밍에서 베이스 답력에 대한 답력의 증가분이 t1의 타이밍에서 부가하는 답력의 증가분보다도 크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증량 해제 임계값 이하로 되면, 베이스 답력에 대하여 부가된 답력의 소정의 증가분을 소정의 일정 비율로 서서히 감소시키고 있지만, 비율은 일정하지 않아도 되고, 비율을 변화시키면서 서서히 감소시켜도 된다.
다음에, 도 8에 나타내는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는,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제1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보다도 커지면,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답력은 스텝핑하는 측의 베이스 답력에 제1 답력 증가분(예를 들어 8.5 [N])이 부가되고, 또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제1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보다도 소정 개방도 큰 제2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보다도 커지면,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답력은 상기 제1 답력 증가분에 대하여 또한 제2 답력 증가분(예를 들어 5 [N])을 부가한다(예를 들어, 도 5의 변속선마다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을 설정한 경우 등).
그리고,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이 스텝핑측의 베이스 답력에 제1 답력 증가분이 부가된 상태에 있어서 액셀러레이터 페달(2)이 복귀되는 경우, 제1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보다도 소정 개방도가 작은 증량 해제 임계값까지는, 제1 답력 증가분의 부가가 계속된다. 그리고, 증량 해제 임계값 이하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감소한 단계에서, 제1 답력 증가분이 해제되어, 베이스 답력으로 복귀한다.
여기서,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의 스텝핑 측의 베이스 답력에 제1 답력 증가분이 부가된 상태에 있어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증량 해제 임계값 이하로 감소하고 있지 않아도, 소정 시간이 경과, 혹은 소정 거리가 주행되면, 운전자에 대한 연료 소비율 이행의 통지의 역할이 끝나므로, 제1 답력 증가분을 소정의 일정 비율로 서서히 감소시킨다(도 8에 있어서의 t5의 타이밍). 그리고, 제1 답력 증가분을 감소시키고 있을 때에,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제2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보다도 커지면(도 8 있어서의 t6의 타이밍) 이때의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답력에 대하여, 제2 답력 증가분을 부가(가산)시킨다.
상기에 따르면,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제2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보다도 커졌을 경우에, 베이스 답력에 부가하는 답력 증가분에 대해서, 제1 답력 증가분에 대하여 제2 답력 증가분을 더 증가시키는 것보다도,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스텝핑이 하기 쉬워진다.

Claims (6)

  1. 액셀러레이터 개방도를 검지하는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검지 수단과,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답력을 변경하는 답력 변경 수단을 갖고,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소정의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보다도 커지면,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답력을 베이스 답력보다도 소정의 답력의 증가분만큼 증가시키는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 제어 장치에 있어서,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답력을 베이스 답력보다도 증가시키고 있을 때에, 소정의 답력 증가 해제 조건이 성립하면, 상기 소정의 답력의 증가분을 소정의 비율로 감소시키는 동시에, 상기 소정의 답력의 증가분을 감소시키고 있을 때에,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상기 소정의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보다도 커졌을 경우에는, 베이스 답력에 대한 답력의 증가분이, 상기 소정의 답력의 증가분보다도 커지도록,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답력을 베이스 답력에 대하여 증가시키는,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답력의 증가분을 감소시키고 있을 때에,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상기 소정의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보다도 커졌을 경우, 상기 소정의 답력의 증가분의 잔존량이 소정량 이상인 경우에는,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답력에 새로운 답력의 증가분을 부가하지 않는,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 제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복귀되면서, 상기 소정의 답력 증가 해제 조건이 성립한 경우에는, 그 시점에서 상기 소정의 답력의 증가분을 제거하고,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답력을 베이스 답력으로 복귀시키는,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 제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답력의 증가분을 감소시키고 있을 때에,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상기 소정의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보다도 커졌을 경우에는,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답력을 그 시점의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답력에 대하여 상기 소정의 답력의 증가분만큼 증가시키는,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 제어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제1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보다도 커지면,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답력을 베이스 답력보다도 제1 답력의 증가분만큼 증가시키고,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상기 제1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보다도 소정 개방도 큰 제2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보다도 커지면,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답력을 상기 제1 답력의 증가분의 증가에 대하여 다시 제2 답력의 증가분만큼 증가시키고,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답력을 베이스 답력에 대하여 상기 제1 답력의 증가분만큼 증가시키고 있을 때에, 소정의 답력 증가 해제 조건이 성립하면, 상기 제1 답력의 증가분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그 후,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상기 제2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보다도 커졌을 경우에는,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답력을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상기 제2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보다도 커진 시점의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답력에 대하여 제2 답력의 증가분만큼 증가하도록 제어하는,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 제어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은, 차속의 증가에 따라서 커지는,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 제어 장치.
KR1020137000218A 2010-06-07 2011-04-20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 제어 장치 KR1013790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29620A JP5471856B2 (ja) 2010-06-07 2010-06-07 アクセルペダル踏力制御装置及びアクセルペダル踏力制御方法
JPJP-P-2010-129620 2010-06-07
PCT/JP2011/059707 WO2011155268A1 (ja) 2010-06-07 2011-04-20 アクセルペダル踏力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702A true KR20130037702A (ko) 2013-04-16
KR101379077B1 KR101379077B1 (ko) 2014-03-28

Family

ID=45097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0218A KR101379077B1 (ko) 2010-06-07 2011-04-20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844401B2 (ko)
EP (1) EP2578433B1 (ko)
JP (1) JP5471856B2 (ko)
KR (1) KR101379077B1 (ko)
CN (1) CN102939215B (ko)
MX (1) MX2012014274A (ko)
MY (1) MY156623A (ko)
RU (1) RU2532994C2 (ko)
WO (1) WO20111552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26805B2 (ja) * 2008-07-31 2013-10-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アクセルペダル踏力制御装置
CN103635675B (zh) * 2011-06-21 2016-03-02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油门踏板反力控制装置
KR101406533B1 (ko) * 2013-04-16 2014-06-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가속페달 장치의 답력 능동 조절방법
US9358885B2 (en) * 2014-07-28 2016-06-07 Honda Motor Co., Ltd. Variable ratio throttle pedal
JP6304559B2 (ja) 2015-03-04 2018-04-04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反力出力装置
JP6702157B2 (ja) * 2016-11-25 2020-05-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アクセルペダルの反力付与装置
KR20200132430A (ko) * 2019-05-17 2020-11-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차량의 가속페달 안내 방법 및 시스템
CN114483328A (zh) * 2022-02-24 2022-05-13 普沃(天津)科技有限公司 一种高压水控制发动机油门的控制器总成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142540A1 (ru) * 1958-08-12 1960-11-30 В.К. Зорин Устройство, облегчающее управление автомобилем
SU1244653A1 (ru) * 1983-06-06 1986-07-15 Опытно-Механический Завод Главленстройматериалов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 исполнительным органом
DE60226817D1 (de) * 2001-08-23 2008-07-10 Nissan Motor Fahrassistenzsystem
JP2003120339A (ja) * 2001-10-10 2003-04-23 Toyota Motor Corp アクセル反力制御装置
JP3531640B2 (ja) * 2002-01-10 2004-05-3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
US7155341B2 (en) * 2002-06-21 2006-12-26 Nissan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informing vehicle environment
JP2004293761A (ja) * 2003-03-28 2004-10-21 Nissan Diesel Motor Co Ltd 自動変速制御装置
JP4367089B2 (ja) * 2003-10-30 2009-11-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アクセルペダル踏力制御装置
JP4079079B2 (ja) * 2003-12-03 2008-04-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および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を備えた車両
JP4532181B2 (ja) * 2004-06-24 2010-08-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および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を備えた車両
JP2007022238A (ja) * 2005-07-14 2007-02-01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および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を備えた車両
JP4788611B2 (ja) * 2006-03-10 2011-10-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間維持支援装置および車間維持支援方法
JP4434179B2 (ja) * 2006-06-28 2010-03-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および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を備えた車両
JP4306713B2 (ja) * 2006-10-20 2009-08-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制御方法、その制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で実現する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7937202B2 (en) * 2007-05-01 2011-05-03 Ronald Van Houten Seat belt/accelerator behavioral system
JP4835539B2 (ja) * 2007-08-10 2011-12-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駆動力制御装置
EP2052936B1 (en) * 2007-10-23 2012-02-29 Nissan Motor Co., Ltd. Headway distance maintenance assisting system and method
JP5439766B2 (ja) 2007-10-23 2014-03-1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間維持支援装置および車間維持支援方法
US8090517B2 (en) * 2007-12-19 2012-01-03 Nissan Motor Co., Ltd. Inter-vehicle distance maintenance supporting system and method
JP5278161B2 (ja) * 2008-07-29 2013-09-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アクセルペダル反力制御装置
JP5326805B2 (ja) 2008-07-31 2013-10-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アクセルペダル踏力制御装置
JP5278162B2 (ja) * 2008-07-31 2013-09-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アクセルペダル踏力制御装置
JP4553057B2 (ja) * 2008-07-31 2010-09-2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アクセルペダル踏力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5375557B2 (ja) * 2009-03-27 2013-12-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アクセルペダル反力付与装置及びその方法
JP5316339B2 (ja) * 2009-09-18 2013-10-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アクセルペダル踏力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78433B1 (en) 2014-12-03
WO2011155268A1 (ja) 2011-12-15
JP2011255711A (ja) 2011-12-22
MY156623A (en) 2016-03-15
US20130074644A1 (en) 2013-03-28
CN102939215B (zh) 2015-09-23
RU2012157288A (ru) 2014-07-20
EP2578433A1 (en) 2013-04-10
JP5471856B2 (ja) 2014-04-16
CN102939215A (zh) 2013-02-20
RU2532994C2 (ru) 2014-11-20
MX2012014274A (es) 2013-01-24
EP2578433A4 (en) 2013-12-25
KR101379077B1 (ko) 2014-03-28
US8844401B2 (en) 2014-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9077B1 (ko)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 제어 장치
KR101233540B1 (ko) 액셀러레이터 페달 반력 제어 장치
JP5278162B2 (ja) アクセルペダル踏力制御装置
JP5278161B2 (ja) アクセルペダル反力制御装置
JP5316339B2 (ja) アクセルペダル踏力制御装置
KR101371903B1 (ko)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 제어 장치의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 설정 방법
JP5278562B2 (ja) アクセルペダル踏力制御装置
KR101601577B1 (ko)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