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1224A -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31224A KR20130031224A KR1020120104443A KR20120104443A KR20130031224A KR 20130031224 A KR20130031224 A KR 20130031224A KR 1020120104443 A KR1020120104443 A KR 1020120104443A KR 20120104443 A KR20120104443 A KR 20120104443A KR 20130031224 A KR20130031224 A KR 201300312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cavity
- terminal fitting
- barrel
- connec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aterial, e.g. gels or resi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05—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king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onnection, coupling, or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Sealing between contact members and housing, e.g. sealing inse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커넥터보다 크게 만들지 않고서도, 방식 수단을 갖춘 단자 피팅이 삽입될 수 있으며, 단자 피팅간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고, 하우징의 성형시 수지 흐름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단자 피팅(40)은, 유밀 부재(50)가 전선 배럴(42A)과 전선(30)의 코어(31) 사이의 접촉부를 전선 배럴(42A)로부터 절연 배럴(42B)까지 덮도록 장착되는 것이다. 캐비티(11)의 둘레벽(17)에는, 캐비티(11)의 폭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며 단자 피팅(40)과 결합하여 단자 피팅(40)을 유지시키는 로킹 랜싯(19)이 형성되어 있다. 로킹 랜싯(19)이 형성된 둘레벽(17)에 있어서 절연 배럴(42B)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캐비티(11)의 폭을 확대시키는 리세스(22)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 피팅(40)의 배럴부(42)는 절연 배럴(42B)이 리세스(22)를 향해 돌출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단자 피팅(40)은, 유밀 부재(50)가 전선 배럴(42A)과 전선(30)의 코어(31) 사이의 접촉부를 전선 배럴(42A)로부터 절연 배럴(42B)까지 덮도록 장착되는 것이다. 캐비티(11)의 둘레벽(17)에는, 캐비티(11)의 폭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며 단자 피팅(40)과 결합하여 단자 피팅(40)을 유지시키는 로킹 랜싯(19)이 형성되어 있다. 로킹 랜싯(19)이 형성된 둘레벽(17)에 있어서 절연 배럴(42B)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캐비티(11)의 폭을 확대시키는 리세스(22)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 피팅(40)의 배럴부(42)는 절연 배럴(42B)이 리세스(22)를 향해 돌출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선의 단부에 고정된 단자 피팅이, 하우징 내에 형성되어 있는 캐비티에 후방으로부터 삽입됨으로써 하우징 내에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46182호 공보).
최근에는, 자동차의 무게 절감을 위해, 종래의 구리합금 코어 대신에 알루미늄 코어를 사용하는 것이 차츰 증대되고 있다. 한편, 구리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자 피팅은, 강도를 비롯한 문제로 인하여 많은 경우에 전선의 코어에 크림핑 및 접속되는 단자 피팅으로서 사용된다.
전선의 코어와 단자 피팅이 서로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진 경우, 두 금속 사이의 접속부에 습기가 존재한다면, 두 금속이 이온의 형태로 물에 용해되고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해 부식이 진행되는 전해 부식이 일어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해 부식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접속부를 수지 밀봉함으로써 전선의 코어와 단자 피팅 사이의 접속부에 습기가 존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防蝕) 수단을 갖춘 단자 피팅은, 전선에 접속되는 부분으로서 종래의 단자 피팅에 비해 한 사이즈 큰 부분을 갖는다. 따라서, 종래의 단자 피팅과 호환 가능한 커넥터에서는, 캐비티의 클리어런스가 불충분해지고 수지 밀봉된 부분이 캐비티의 둘레벽과 접촉하게 되어 단자 피팅의 삽입이 곤란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방식 수단을 갖춘 단자 피팅과 호환 가능한 커넥터의 경우, 단자 피팅의 사이즈에 맞춰 캐비티를 확장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캐비티의 확장은 커넥터의 확대를 야기한다. 차량 내에 장착 공간을 확보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커넥터를 종래의 커넥터보다 크게 만드는 것은 문제가 있다. 또한, 커넥터의 확대를 야기하지 않으면서 캐비티를 확장하는 방법으로서, 캐비티의 둘레벽을 얇게 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캐비티의 둘레벽을 얇게 하는 것은, 단자 피팅간의 단락을 초래할 수 있고 하우징의 성형시에 수지 흐름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전술한 상황을 감안하여 완성된 것으로, 종래의 커넥터보다 크게 만들지 않고서도, 방식 수단을 갖춘 단자 피팅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게 하며, 단자 피팅간의 단락을 방지하고 하우징의 성형시 수지 흐름의 악화를 방지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르면 독립 청구항의 특징부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형태는 종속 청구항의 대상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커넥터로서, 적어도 하나의 단자 피팅; 및 전선에 고정된 단자 피팅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 방향으로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 피팅은 전선에 고정되는 전선 접속부를 포함하며, 이 전선 접속부는 전선의 코어에 접속되고; 상기 전선 접속부와 상기 전선의 코어 사이의 접촉부를 덮도록 유밀(流密) 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삽입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상기 단자 피팅에 결합됨으로써 단자 피팅을 유지시키는 로킹 랜싯이 상기 캐비티의 둘레벽에 형성되고; 상기 로킹 랜싯이 형성된 상기 둘레벽에 있어서 상기 전선 접속부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캐비티의 폭을 확대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가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단자 피팅의 전선 접속부는, 전선 접속부의 일부분이 리세스를 향해 돌출되도록 만곡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단자 피팅에 있어서 유밀 부재에 의해 덮여 있는 부분 중의 전기 접속부의 일부분에 대응하며 큰 폭을 갖는 부분에 클리어런스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유밀 및/또는 방식 수단을 갖춘 단자 피팅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캐비티의 둘레벽에 리세스를 형성함으로써 캐비티의 폭이 넓어지므로, 커넥터의 확대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캐비티의 둘레벽에 있어서 단자 피팅의 전선 접속부의 상기 일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리세스가 마련되어 있는 범위가 한정된다. 따라서, 캐비티의 얇아진 둘레벽에 의해 야기되는 단자 피팅간의 단락 및 하우징 성형시의 수지 유동성의 악화가 방지될 수 있다. 즉,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종래의 커넥터보다 커넥터를 크게 만들지 않고서도, 유밀 및/또는 방식 수단을 갖춘 단자 피팅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고, 단자 피팅간의 단락 및/또는 하우징 성형시의 수지 유동성의 악화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킹 랜싯이 형성된 둘레벽에는 상기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로킹 랜싯의 옆에 변형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로킹 랜싯이 형성된 둘레벽은 이에 맞춰 보다 큰 두께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자 피팅의 전선 접속부는 그 일부분이 리세스를 향해 돌출되도록 만곡되어 있으므로, 캐비티는 이에 맞춰 둘레벽을 향해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구성은, 캐비티의 얇아진 둘레벽에 의해 야기되는 단자 피팅간의 단락 및/또는 하우징 성형시의 수지 유동성의 악화를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선 접속부는, 전선의 코어에 고정되는 전선 배럴과, 전선의 절연 피복에 고정되는 절연 배럴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유밀 부재는, 전선 배럴과 전선의 코어 사이의 접촉부를 전선 배럴로부터 절연 배럴까지 덮도록 장착된다.
또한 특히, 상기 로킹 랜싯이 형성된 상기 둘레벽에 있어서 상기 절연 배럴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캐비티의 폭을 확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가 형성된다.
또한 특히, 로킹 랜싯은 캐비티의 폭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커넥터로서, 단자 피팅; 및 전선의 단부에 고정된 단자 피팅이 후방으로부터 삽입되는 캐비티를 갖는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 피팅은 전선의 단부에 고정되는 배럴부를 포함하며, 이 배럴부는, 전선의 코어에 고정되는 전선 배럴과, 전선의 절연 피복에 고정되는 절연 배럴을 포함하고, 상기 전선 배럴과 상기 전선의 코어 사이의 접촉부를 상기 전선 배럴로부터 상기 절연 배럴까지 덮도록 방수 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캐비티의 폭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상기 단자 피팅에 결합됨으로써 단자 피팅을 유지시키는 로킹 랜싯이 상기 캐비티의 둘레벽에 형성되고; 상기 로킹 랜싯이 형성된 상기 둘레벽에 있어서 상기 절연 배럴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캐비티의 폭을 확대시키기 위한 리세스가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단자 피팅의 배럴부는, 상기 절연 배럴이 리세스를 향해 돌출되도록 만곡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단자 피팅에 있어서 방수 부재에 의해 덮여 있는 부분 중 절연 배럴에 대응하며 큰 폭을 갖는 부분에 클리어런스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방식 수단을 갖춘 단자 피팅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캐비티의 둘레벽에 리세스를 형성함으로써 캐비티의 폭이 넓어지므로, 커넥터의 확대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캐비티의 둘레벽에 있어서 단자 피팅의 절연 배럴에 대응하는 부분에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리세스가 마련되어 있는 범위가 한정된다. 따라서, 캐비티의 얇아진 둘레벽에 의해 야기되는 단자 피팅간의 단락 및 하우징 성형시의 수지 유동성의 악화가 방지될 수 있다. 즉,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종래의 커넥터보다 커넥터를 크게 만들지 않고서도, 방식 수단을 갖춘 단자 피팅이 삽입될 수 있고, 단자 피팅간의 단락 및 하우징 성형시의 수지 유동성의 악화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킹 랜싯이 형성된 둘레벽에는 상기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로킹 랜싯의 옆에 변형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로킹 랜싯이 형성된 둘레벽은 이에 맞춰 보다 큰 두께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자 피팅의 배럴부는 절연 배럴이 리세스를 향해 돌출되도록 만곡되어 있으므로, 캐비티는 이에 맞춰 둘레벽을 향해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구성은, 캐비티의 얇아진 둘레벽에 의해 야기되는 단자 피팅간의 단락 및 하우징 성형시의 수지 유동성의 악화를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로킹 랜싯은 둘레벽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도독 마련될 수 있고, 리세스는 로킹 랜싯의 후방에 로킹 랜싯보다 바깥쪽으로 움푹 들어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방수 부재는 열수축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또는 특히 열수축 튜브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자 피팅은, 상대 단자 피팅에 접속되는 접속부, 및 전선 접속부와 접속부를 연결하는 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밀 부재는 링크부의 외측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링크부는 링크부와 유밀 부재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하는 유밀부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세스는 유밀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며, 및/또는 상기 링크부는 베이스판과 한 쌍의 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유밀부는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한 쌍의 측판으로 둘러싸인 홈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로킹 랜싯의 탄성 변형 방향으로 단자 피팅이 기울어지는 것을 제한하도록 단자 피팅의 접속부의 전방 단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가, 캐비티의 전방 단부 위치에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는 특히 캐비티의 전벽(前壁) 및 캐비티의 측벽 모두에 접속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커넥터, 특히 전술한 본 발명의 양태 또는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단자 피팅의 전선 접속부를 전선의 코어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전선 접속부와 상기 전선의 코어 사이의 접촉부를 유밀 부재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단계; 전선에 고정된 단자 피팅을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에 삽입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는 단계; 및 캐비티의 둘레벽에 마련되며 상기 삽입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로킹 랜싯을 단자 피팅과 결합시킴으로써, 단자 피팅을 캐비티 내에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 랜싯이 형성된 상기 둘레벽에 있어서 상기 전선 접속부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캐비티의 폭을 확대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가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단자 피팅의 전선 접속부는, 전선 접속부의 일부분이 리세스를 향해 돌출되도록 만곡되어 있는 것이다.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제조 방법은, 전선 접속부의 전선 배럴을 전선의 코어에 고정하는 단계와, 전선 접속부의 절연 배럴을 전선의 절연 피복에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특히, 상기 유밀 부재는, 전선 배럴과 전선의 코어 사이의 접촉부를 전선 배럴로부터 절연 배럴까지 덮도록 장착된다.
또한 특히, 상기 로킹 랜싯이 형성된 상기 둘레벽에 있어서 상기 절연 배럴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캐비티의 폭을 확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가 형성된다.
이상에 따라, 종래의 커넥터보다 크게 만들지 않고서도, 유밀 수단 및/또는 방식 수단을 갖춘 단자 피팅이 삽입될 수 있으며, 단자 피팅간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고, 하우징의 성형시 수지 흐름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과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으면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형태들이 개별적으로 기술되어 있지만, 이들 실시형태의 하나의 특징이 추가적인 실시형태에 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종래의 커넥터보다 크게 만들지 않고서도, 방식 수단을 갖춘 단자 피팅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단자 피팅간의 단락을 방지하고 하우징의 성형시 수지 흐름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하우징의 부분 확대 측단면도로서, 캐비티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하우징의 부분 확대 평단면도로서, 캐비티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하우징의 부분 확대 후면도로서, 캐비티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커넥터의 부분 확대 측단면도로서, 단자 피팅이 캐비티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커넥터의 부분 확대 평단면도로서, 단자 피팅이 캐비티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A-A를 따라 취한 커넥터의 부분 확대 측단면도로서, 단자 피팅이 캐비티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B-B를 따라 취한 커넥터의 부분 확대 측단면도로서, 단자 피팅이 캐비티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하우징의 부분 확대 평단면도로서, 캐비티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하우징의 부분 확대 후면도로서, 캐비티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커넥터의 부분 확대 측단면도로서, 단자 피팅이 캐비티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커넥터의 부분 확대 평단면도로서, 단자 피팅이 캐비티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A-A를 따라 취한 커넥터의 부분 확대 측단면도로서, 단자 피팅이 캐비티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B-B를 따라 취한 커넥터의 부분 확대 측단면도로서, 단자 피팅이 캐비티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하나의 특정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커넥터(C)는, 각 전선(30)(특히 그 단부)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암형 단자 피팅(40)이 하우징(1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각 캐비티(11)에 삽입측으로부터, 특히 실질적으로 후방으로부터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암형 커넥터이다. 단자 피팅(40)은 하우징(1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된 상태에서, 이 하우징(10)에 접속되는 도시 생략된 상대 커넥터에 유지된 각 수형 단자 피팅에 전기 전도식으로 접속 가능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각 구성 부재에 관하여, 단자 피팅(40)의 하우징(10)에의 삽입 방향과 그 반대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 하고, 도 1의 상측과 하측을 상측과 하측이라 한다.
전선(30)은 특히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된 코어(31)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전선이다. 전선(30)은, 코어(31)(특히 복수의 금속 세선을 합연함으로써 형성)와, 코어(31)의 외주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으며 예컨대 합성 수지로 제조되는 절연 피복(32)을 포함한다. 전선(30)의 단부에서는, 소정(예정된 혹은 예정 가능한) 길이에 걸쳐 절연 피복(32)을 벗겨, 코어(31)의 단부를 노출시킨다(도 4 및 도 5 참조). 코어(31)는 단심 전선일 수 있음을 유의하라.
단자 피팅(40)은, 도시 생략된 상대 단자 피팅에 접속되는 접속부(41)와, 전선(30)(특히 그 단부)에 접속(특히 고정)되는 전선 접속부[특히 적어도 하나의 배럴부(42) 포함], 그리고 전선 접속부[특히 배럴부(42)]와 접속부(41)를 연결하는 링크부(43)를 포함한다. 단자 피팅(40)은 특히, 구리 또는 구리 합금 등의 도전성 재료의 판재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긴 형태로 만들어지며, 특히 금속 판재의 표면에 도시 생략된 도금층이 형성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 주석, 니켈, 또는 임의의 금속이 도금층 형성 금속으로서 채택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의 표면에 주속 도금층이 형성되어 있다. 도금층은 금속 판재의 표면에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유의하라.
접속부(41)는 전체적으로 실질상 (특히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튜브 형태이며, 상대 수형 단자 피팅의 탭이 접속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접속된다. 전선(30)의 단부가 그 표면(특히 상면)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놓이는 바닥판 또는 베이스판(44)이 접속부(41)의 후방에서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링크부(43)는 배럴부(42)(특히, 그 양측방 가장자리)로부터 기립 또는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특히 한 쌍의 측판(45)을 포함하며, 및/또는 특히 실질적으로 V자 또는 U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측판(45)의 전방 및 후방 단부는 특히 실질적으로 접속부(41) 및 전선 접속부[특히 배럴부(42)]에 연속하여 연결되어 있다.
링크부(43)에는 바닥판(44) 및 한 쌍의 측판(45)에 의해 둘러싸인 홈을 특히 실질적으로 클리어런스를 남겨두지 않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하기 위한 유밀부 또는 방수부(46)가 마련되어 있다(도 6 참조). 방수부(46)는 특히 한 쌍의 측판(45)의 단부면(45A)으로부터 상방으로 또는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 방수부(46)는, 수지 처리재를 링크부(43)에 끼워 넣고 경화 혹은 가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형성된다.
배럴부(42)는 특히, 크림핑, 폴딩, 또는 변형되어 절연 피복(32)의 단부에 접속되는 절연 배럴(42B)이, 크림핑, 폴딩, 또는 변형되어 코어(31)의 단부에 접속되는 전선 배럴(42A)의 후방에 마련되도록 되어 있다.
전선 배럴(42A)은 특히 실질적으로 오픈 배럴 형태이며, 아치형 혹은 만곡형 바닥판(44)(특히 실질적으로 그 양측방 가장자리)으로부터 기립 또는 돌출되고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적어도 한 쌍의 배럴 피스를 포함한다. 전선 배럴(42A)은 코어(31)를 외측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거나 에워싸고 있고, 특히 두 배럴 피스의 돌출 에지가 서로 맞닿게 되어 실질적으로 하트 모양으로 크림핑되어 있는 상태로, 코어(31)에 결합하게 된다(특히 파고 들어가게 된다). 적어도 하나의 (도시 생략) 톱니부가 전선 배럴(42A)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음을 유의하라.
절연 배럴(42B)도 마찬가지로 특히 실질적으로 오픈 배럴 형태이며, 전선 배럴(42A)과 마찬가지로 아치형 혹은 만곡형 바닥판(44)(특히 실질적으로 그 양측방 가장자리)으로부터 기립 또는 돌출되고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적어도 한 쌍의 배럴 피스를 포함하며, 크림핑, 폴딩 또는 변형되어 절연 피복(32)의 단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싸면서 접속된다. 절연 배럴(42B)의 바닥판(44)은 특히 상기 전선 배럴(42A)의 바닥판(44)보다 한 사이즈 더 크고, 절연 배럴(42B)의 배럴 피스는 전선 배럴(42A)의 배럴 피스보다 좁고 길다.
배럴부(42)와 전선(30)의 코어(31) 사이의 접촉부는, 열수축 튜브(유밀 또는 방수 부재)(5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 있다. 열수축 튜브(50)는, 예를 들어 열처리를 받을 때 수축하는 합성 수지 재료로 제조되고, 단자 피팅(40)의 링크부(43)로부터 전선(30)의 절연 피복(32)의 단부까지[특히 절연 배럴(42B)의 후방의 위치까지]의 범위 중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는 튜브 형상을 갖는다. 예컨대 (특히 가열을 통해 연화되거나 혹은 용융됨으로써) 접착성을 나타내는 열가소성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제층이 특히, 열수축 튜브(50)의 내주면에 마련된다.
단자 피팅(40)이 전선(30)의 단부에 고정된 후에, 열수축 튜브(50)는 미가열 상태로 전선(30)과 단자 피팅(40) 사이의 접속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도록 배치된다. 그 후에, 특히 도시 생략된 가열 장치로 조사 혹은 가열함으로써 열수축 튜브(50)가 수축되고, 특히 열수축 튜브의 내주면에 마련된 접착제층은 용융되어 단자 피팅(40)과 전선(30) 사이의 접속부의 외주면에 밀착하게 된다.
열수축 튜브(50)에 의해 덮인 상태의 단자 피팅(40)의 후방부[접속부(41) 제외]가, 방식 수단을 갖추지 않은 것보다 한 사이즈 더 크다. 유밀부 또는 방수부(46)의 위치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부(46)의 외주면과 연결부(43)의 외주면[연결부(43)의 측판(45)의 단부면(45A)] 사이의 경계에서 폭이 최대이다. 즉, 상기 폭[또는 폭방향(WD)의 치수]은 특히, 유밀부 또는 방수부(46)에서 상하 방향(VD)보다 가로 방향(LD)에서 더 크다.
단자 피팅(40)이 삽입측(특히 실질적으로 후방)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캐비티(11)가 하우징(10)에 실질적으로 나란히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캐비티(11) 사이의 배치 피치는, 방식 수단을 갖추지 않은 종래의 단자 피팅과 호환 가능한 커넥터의 캐비티 사이의 배치 피치와 동일하므로, 기존의 상대 커넥터에 대한 접속이 가능하다.
캐비티(11)의 전방부는, 단자 피팅(40)의 접속부(41)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되는 부분이다. 이 부분의 가로 방향의 폭은 접속부(41)의 가로 방향(LD)의 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치하고, 적정 클리어런스가 제공된다.
캐비티(1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단자 피팅(40)은 캐비티(11)의 전벽(12)에 의해 더 앞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지지된다(또는 이동이 정지된다)(도 4 참조). 이러한 전벽(12)에는, 상대 단자 피팅의 탭이 전방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게 하는 탭 삽입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성형시 로킹 랜싯(19)을 형성하는 전방 금형을 전방으로 탈형하는 데 사용되는 금형 탈형 구멍(14)이, 전벽(12)에 있어서 탭 삽입 구멍(13)의 아래에 있는 부분에 형성된다.
상하 방향(VD)[로킹 랜싯(19)의 탄성 변형 방향]으로 단자 피팅(40)이 기울어지는 것을 제한하도록 단자 피팅(40)의 접속부(41)의 전방 단부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15)가, 캐비티(11)의 전방 단부 위치에서의 하나의 코너 혹은 두 코너에서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지지부(15)는 캐비티(11)의 전벽(12)과 캐비티(11)의 측벽(16) 모두에 각각 연결되어, 강도를 증가시킨다. 지지부(15)와 캐비티(11)의 상벽(18) 사이의 거리가 접속부(41)의 상하 방향의 폭에 일치한다(도 4 참조).
각 캐비티(11)의 하벽(17)의 전방측 부분이 특히, 그 후방측 부분보다 약간 낮게 형성되어 있다[이하에서는, 하벽(17)의 전방측 부분을 저위부(17A)라 하고 후방측 부분을 상위부(17B)라 함]. 각 캐비티(11)의 상벽(18)의 전방 단부는 특히 하벽(17)의 저위부(17A)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중간부는 특히 후방을 향해 갈수록 캐비티(11)의 상하 방향의 폭이 넓어지도록 경사져 있으며, 후방 단부는 특히 고위부(17B)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캐비티(11)[특히 그 하벽(17)]에는 단자 피팅(40)을 로크 및 유지하기 위한 로킹 랜싯(19)이 마련되어 있다. 로킹 랜싯(19)은 캐비티(11)의 [특히 하벽(17)의] 내면(17C)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로킹 랜싯(19)은, 고위부(17B)에 일체로 혹은 단일체로 형성되며 고위부(17B)의 위에 위치하는 베이스부(19A)와, 베이스부(19A)로부터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특히 캔틸레버식으로) 연장되며 저위부(17A)의 위에 위치하는 탄성 변위부(19B)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9A)의 상하 방향(VD)의 두께[고위부(17B)의 내면(17C)으로부터의 돌출 거리]는 특히 전체적으로 실질상 일정하다. 베이스부(19A)의 후방 단부면은 특히 후방을 향해 갈수록 하방으로 점점 경사져 있음을 유의하라.
탄성 변위부(19B)는 특히 전방 단부측을 향해 갈수록 내측 또는 상방으로 점점 경사져 있으며, 즉 전체적으로 캐비티(11) 안으로 돌출되도록 상방으로 경사져 있다. 탄성 변위부(19B)는, 특히 단자 피팅(40)의 삽입 경로 안으로 돌출되어 있는 로크부(19C)가 단자 피팅(40)의 접속부(41)에 의해 눌리는 것에 의해 베이스부(19A)를 지지점으로 하여, 외측 또는 하방[단자 피팅(40)의 삽입 및 인출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이러한 탄성 변형 동안에, 탄성 변위부(19B)는 하벽(17)의 저위부(17A)와의 사이에 확보되는 변형 공간(S) 안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후퇴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랜싯(19)은 특히 실질적으로 하벽(17)의 폭방향 중앙에 마련되어 있고, 및/또는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에 인접하여, 특히 실질적으로 그 양측부에, 하나 이상의 홈부(21)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21)는 특히 로킹 랜싯(19), 하벽(17) 및 측벽(16)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단자 피팅(40)의 삽입 동작을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스태빌라이저(47)가 상기 홈부(2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캐비티(11)의 폭방향(WD) 또는 가로 방향(LD)의 폭을 확대시키는 하나 이상의 도피부 또는 리세스(23)가, 캐비티(11)의 측벽(16)에 있어서 전선 접속부, 특히 단자 피팅(40)의 배럴부(4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어, 이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 움푹 또는 우묵하게 들어가 있다(도 6 및 도 7 참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피부(23)는 특히 옆에서 보았을 때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긴 형상이며, 및/또는 특히 유밀부 또는 방수부(46)의 약간 앞의 위치로부터 캐비티(11)의 후방 단부에 이르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도피부(23)의 폭[특히 높이 혹은 상하 방향(VD)의 치수 또는 폭방향(WD) 혹은 가로 방향(LD)에 교차하는 방향의 치수]는 특히 전체적으로 실질상 일정하고, 및/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43)의 측판(45)의 단부면(45A)은 특히 실질적으로 그 높이 또는 상하 방향(VD)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도피부(23)는 특히, 실질적으로 인접 캐비티(11) 사이를 구획하는 측벽(16)의 대향 측면에 형성되어 있음을 유의하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11)의 양 측벽(16)은 특히 전방부[특히 실질적으로 전반부 또는 하벽(17)의 저위부(17A)에 연결된 부분]에서는,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후방부[특히 실질적으로 후반부 또는 하벽(17)의 고위부(17B)에 연결된 부분]에서는, 후방을 향해 갈수록 캐비티(11)의 가로 폭이 확대되도록 약간 경사져 있다. 이러한 식으로, 도피부(23)의 깊이는 특히 후방을 향해 갈수록 점차 감소된다. 도피부(23)의 전방 단부는 특히 전방을 향해 갈수록 깊이가 점차 감소되도록 경사져 있음을 유의하라.
도피부(23)는 배럴부(42)의 외형에 맞춰진 형상이다. 구체적으로, 배럴부(42)의 단면 형상은 특히 실질적으로 원형이고, 단자 피팅(40)에 장착된 열수축 튜브(50)의 외형도 또한 실질적으로 원형이다. 따라서, 단자 피팅(40)에 장착된 열수축 튜브(50)의 외형에 실질적으로 따르도록, 하나 이상의 경사면(24)이 도피부(23)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마련되어 있다(도 7 참조). 상측 및 하측의 경사면(24)은 특히, 캐비티(11)의 내측을 향해 갈수록 간격이 점차 증대되도록 경사져 있다.
로킹 랜싯(19)이 형성된 하벽(17)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전선 접속부[특히 절연 배럴(42B)]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캐비티(11)의 상하 방향의 폭을 확대시키기 위한 리세스(22)가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리세스(22)는 특히 절연 배럴(42B)의 아래 혹은 외측에 혹은 절연 배럴(42B)에 대응하게 위치하며, 절연 배럴(42B)이 특히 캐비티(11)의 상벽(18) 또는 하벽(17)과 접촉하게 됨으로써 단자 피팅(40)의 삽입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한다. 리세스(22)는 특히 로킹 랜싯(19)의 후방에 마련되며 로킹 랜싯(19)의 베이스부(19A)보다 낮게 위치하게 혹은 보다 외측에 위치하게 움푹 들어가 있는 리세스이며, 및/또는 그 움푹 들어간 치수는 특히 베이스부(19A)의 높이와 동일하다. 고위부(17B)의 내면(17C)은 특히 로킹 랜싯(19)의 베이스부(19A)를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면이며, 및/또는 어떠한 단차도 형성하지 않고 리세스(22)로부터 홈부(21)까지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배럴부(42)는, 특히 절연 배럴(42B)이 리세스(22)를 향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럴부(42)의 바닥판(44)은, 절연 배럴(42B)의 상단과 유밀부 또는 방수부(46)의 상단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정도로, 절연 배럴(42B)과 전선 배럴(42A)의 사이에서 만곡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절연 배럴(42B)의 바닥판(44)은 전선 배럴(42A)의 바닥판(44)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형성되게 된다.
이어서, 단자 피팅(40)을 하우징(10)의 캐비티(11)에 삽입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단자 피팅(40)을 삽입측으로부터(특히, 실질적으로 후방으로부터) 캐비티(1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할 때, 우선 접속부(41)를 캐비티(11)에 삽입한 후, 유밀부 또는 방수부(46)를 캐비티(11)에 삽입한다. 캐비티(11)의 (특히 양) 측벽(16)에 형성된 도피부(23)가 존재하므로, 유밀부 또는 방수부(46)는 그 실질적인 양측면이 측벽(16)에 압박되지 않고서 전방으로 원활하게 삽입된다.
그 후에, 전선 접속부를 캐비티(11)에 삽입하고, 특히 전선 배럴(42A)과 절연 배럴(42B)을 캐비티(11)에 삽입한다. 캐비티(11)는 전선 접속부[특히 전선 배럴(42A)]에 대하여 충분한 클리어런스를 가지므로, 전선 접속부[특히 전선 배럴(42A)]는 원활하게 전방으로 이동한다.
캐비티(11)의 (특히 양) 측벽(16)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도피부(23)가 존재하므로, 전선 접속부[특히 절연 배럴(42B)]는 특히 그 양측면이 측벽(16)에 압박되지 않고서 전방으로 원활하게 이동된다. 또한, 전선 접속부[특히 절연 배럴(42B)]의 하방 돌출부가 리세스(22)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전선 접속부[특히 절연 배럴(42B)]는 캐비티(11)에 원활하게 삽입되고, 그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캐비티(11)의 상벽(18) 또는 하벽(17)에 강하게 압박되지 않고서 캐비티(11)의 후방 단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될 수 있다.
그 후에, 단자 피팅(40)은 캐비티(11)에 적정 깊이로 삽입되고, 단자 피팅(40)의 접속부(41)에 의해 눌려서 변형 공간(S) 안으로 탄성 변형되어 있던 로킹 랜싯(19)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되며, 로크부(19C)는 접속부(41)의 결합부(48)와 맞물려 단자 피팅(40)을 유지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후술하는 효과가 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하우징(10)은, 전선(30)의 단부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40)이 삽입측으로부터, 특히 실질적으로 후방으로부터 삽입되는 캐비티(11)를 포함한다. 각 단자 피팅(40)은 전선(30)의 단부에 고정되는 전선 접속부[특히 배럴부(4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배럴부(42)는 전선(30)의 코어(31)에 고정되는 전선 배럴(42A)과, 전선(30)의 절연 피복(32)에 고정되는 절연 배럴(42B)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유밀 부재로서의) 열수축 튜브(50)는, 전선 배럴(42A)과 전선(30)의 코어(31) 사이의 접촉부를 특히 실질적으로 전선 배럴(42A)로부터 절연 배럴(42B)까지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도록 장착된다. 캐비티(11)의 하벽(17)에는, 단자 피팅(40)의 캐비티(11)에의 삽입 방향(ID)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예컨대 캐비티(11)의 상하 방향(폭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며, 단자 피팅(40)과 결합하여 단자 피팅(40)을 유지시키는 로킹 랜싯(19)이 형성되어 있다. 이 로킹 랜싯(19)이 형성된 하벽(17)에 있어서 전선 접속부, 특히 절연 배럴(42B)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부분에는, 캐비티(11)의 폭을 확대시키는 리세스(22)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 피팅(40)의 접속부[특히 배럴부(42)]는, 접속부의 일부분[특히 절연 배럴(42B)]이 리세스(22)를 향해 돌출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이러한 식으로, 단자 피팅(40)에 있어서 열수축 튜브(50)에 의해 덮여 있는 부분 중 접속부[특히 절연 배럴(42B)]에 대응하며 큰 폭을 갖는 부분에 클리어런스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유밀 수단 또는 방식 수단을 갖춘 단자 피팅(40)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특히 캐비티(11)의 하벽(17)에 리세스(22)를 형성함으로써 캐비티(11)의 폭이 넓어지므로, 커넥터(C)의 확대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캐비티(11)의 하벽(17)에 있어서 특히 실질적으로 단자 피팅(40)의 절연 배럴(42B)에 대응하는 부분에 리세스(2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리세스(22)가 마련되어 있는 범위가 한정된다. 따라서, 캐비티(11)의 얇아진 둘레벽에 의해 야기되는 단자 피팅(40)간의 단락 및 하우징(10) 성형시의 수지 유동성의 악화가 방지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C)에 따르면, 종래의 커넥터보다 커넥터(C)를 크게 만들지 않고서도, 유밀 수단 및/또는 방식 수단을 갖춘 단자 피팅(40)이 삽입될 수 있고, 단자 피팅(40)간의 단락 및 하우징(10) 성형시의 수지 유동성의 악화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로킹 랜싯(19)이 형성된 캐비티의 벽[특히 하벽(17)]에는 특히 상기 리세스(2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로킹 랜싯(19)의 옆에 변형 공간(S)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로킹 랜싯(19)이 형성된 벽(특히 하벽)(17)은 이에 맞춰 보다 큰 두께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자 피팅(40)의 배럴부(42)는 특히 절연 배럴(42B)이 리세스(22)를 향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되도록 만곡되어 있으므로, 이에 맞춰 캐비티(11)는 상벽(18)을 향해 확장되는 대신에, 하벽(17)을 향해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C)는, 캐비티(11)의 얇아진 둘레벽에 의해 야기되는 단자 피팅(40)간의 단락 및/또는 하우징(10) 성형시의 수지 유동성의 악화를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커넥터보다 크게 만들지 않고서도, 방식 수단을 갖춘 단자 피팅이 삽입될 수 있고, 단자 피팅간의 단락 및 하우징 성형시의 수지 유동성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해, 단자 피팅(40)은, 유밀 또는 방수 부재(50)가 전선 접속부[특히 전선 배럴(42A)]과 전선(30)의 코어(31) 사이의 접촉부를 후방의 접속부에서[특히 전선 배럴(42A)로부터 절연 배럴(42B)까지]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도록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캐비티(11)의 둘레벽(17)에는, 캐비티(11)의 폭방향(WD) 또는 가로 방향(LD)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며 단자 피팅(40)과 결합하여 단자 피팅(40)을 유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로킹 랜싯(19)이 형성되어 있다. 로킹 랜싯(19)이 형성된 둘레벽(17)에 있어서 절연 배럴(42B)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캐비티(11)의 폭을 확대시키는 리세스(22)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 피팅(40)의 배럴부(42)는 절연 배럴(42B)이 리세스(22)를 향해 돌출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하고 예시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하의 실시형태도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된다.
(1)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암형 단자 피팅(40)이 하우징(10)에 삽입되는 암형 커넥터(C)를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수형 단자 피팅이 하우징에 삽입되는 수형 커넥터에도 적용 가능하다.
(2)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전선(30)의 코어(31)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되고 단자 피팅(40)은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제조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선의 코어와 단자 피팅은 필요에 따라 임의의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전선의 코어와 단자 피팅이 동일한 금속으로 제조되더라도, 본 발명은 이들 사이의 접속부를 방수 처리함으로써 외형이 한 사이즈 더 커진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유밀부 또는 방수부(46)는 수지 처리재를 링크부(43)의 홈에 끼워 넣고 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유밀부 또는 방수부는 합성 수지 재료를 성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유밀부 또는 방수부가 반드시 마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유밀부 또는 방수부를 마련하지 않는 경우, 도피부의 형성 범위가 작아질 수 있고, 도피부는 절연 배럴에 대응하는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4)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유밀 또는 방수 부재는 특히 열수축 튜브(50)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밀 또는 방수 부재는 고무 탄성을 갖는 탄성 튜브일 수 있다. 또한, 시트형 유밀 또는 방수 테이프를 유밀부 또는 방수부로부터 절연 피복의 단부까지의 영역에 감거나, 또는 수지 몰드 등을 장착할 수 있다.
(5)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도피부(23)의 깊이는 후방을 향해 갈수록 점차 줄어들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피부의 깊이는 전체적으로 실질상 일정하거나, 또는 후방을 향해 갈수록 점차 증대될 수 있다.
(6)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캐비티(11)의 둘레벽에 있어서 양 측벽(16)에 도피부(23)가 마련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피부는 배럴부 및 유밀 또는 방수 부재의 형상 등에 따라 캐비티의 상벽에 마련되거나, 혹은 캐비티의 양 측벽 중 하나에만 마련될 수 있다.
C: 커넥터
10: 하우징
11: 캐비티
17: 하벽(둘레벽)
17C: 내면
19: 로킹 랜싯
22: 리세스
30: 전선
31: 코어
32: 절연 피복
40: 단자 피팅
42: 배럴부
42A: 전선 배럴
42B: 절연 배럴
50: 열수축 튜브(유밀 또는 방수 부재)
10: 하우징
11: 캐비티
17: 하벽(둘레벽)
17C: 내면
19: 로킹 랜싯
22: 리세스
30: 전선
31: 코어
32: 절연 피복
40: 단자 피팅
42: 배럴부
42A: 전선 배럴
42B: 절연 배럴
50: 열수축 튜브(유밀 또는 방수 부재)
Claims (15)
- 커넥터(C)로서,
적어도 하나의 단자 피팅(40); 및
전선(30)에 고정된 단자 피팅(40)이 삽입 방향(ID)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11)를 구비하는 하우징(10)
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 피팅(40)은 전선(30)에 고정되는 전선 접속부(42)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 접속부(42)는 전선(30)의 코어(31)에 접속되고, 상기 전선 접속부(42)와 상기 전선(30)의 코어(31) 사이의 접촉부를 덮도록 유밀(流密) 부재(50)가 장착되며;
상기 삽입 방향(ID)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상기 단자 피팅(40)에 결합됨으로써 단자 피팅(40)을 유지시키는 로킹 랜싯(19)이 상기 캐비티(11)의 둘레벽(17)에 형성되고;
로킹 랜싯(19)이 형성된 둘레벽(17)에 있어서 전선 접속부(42)의 일부분(42B)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캐비티(11)의 폭을 확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22)가 형성되며;
단자 피팅(40)의 전선 접속부(42)는 전선 접속부(42)의 일부분(42B)이 리세스(22)를 향해 돌출되도록 만곡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전선 접속부(42)는 전선(30)의 코어(31)에 고정되는 전선 배럴(42A)과, 전선(30)의 절연 피복(32)에 고정되는 절연 배럴(42B)을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밀 부재(50)는, 전선 배럴(42A)과 전선(30)의 코어(31) 사이의 접촉부를 전선 배럴(42A)로부터 절연 배럴(42B)까지 덮도록 장착되는 것인 커넥터.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로킹 랜싯(19)이 형성된 둘레벽(17)에 있어서 절연 배럴(42B)에 대응하는 부분에, 캐비티(11)의 폭을 확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22)가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로킹 랜싯(19)은 캐비티(11)의 폭방향(WD)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것인 커넥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로킹 랜싯(19)은 둘레벽(17)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도독 마련되고, 리세스(22)는 로킹 랜싯(19)의 후방에 로킹 랜싯(19)보다 바깥쪽으로 움푹 들어가도록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밀 부재(50)는 열수축 튜브를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피팅(40)은, 상대 단자 피팅에 접속되는 접속부(41), 및 전선 접속부(42)와 접속부(41)를 연결하는 링크부(43)를 포함하고, 상기 유밀 부재(50)는 링크부(43)의 외측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것인 커넥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43)는 링크부(43)와 유밀 부재(50)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하는 유밀부(46)를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밀부(46)에 대응하는 부분에 리세스(23)가 형성되는 구성과, 상기 링크부(43)는 베이스판(44)과 한 쌍의 측판(45)을 포함하며, 상기 유밀부(46)는 상기 베이스판(44)과 상기 한 쌍의 측판(45)으로 둘러싸인 홈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하는 구성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로킹 랜싯(19)의 탄성 변형 방향으로 단자 피팅(40)이 기울어지는 것을 제한하도록 단자 피팅(40)의 접속부(41)의 전방 단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15)가, 캐비티(11)의 전방 단부 위치에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15)는 캐비티(11)의 전벽(前壁) 및 캐비티(11)의 측벽(16) 모두에 접속되는 것인 커넥터.
- 커넥터(C)의 제조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단자 피팅(40)의 전선 접속부(42)를 전선(30)의 코어(31)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전선 접속부(42)와 상기 전선(30)의 코어(31) 사이의 접촉부를 유밀 부재(50)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단계;
전선(30)에 고정된 단자 피팅(40)을 삽입 방향(ID)으로 하우징(10)의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1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는 단계; 및
캐비티(11)의 둘레벽(17)에 마련되며 상기 삽입 방향(ID)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로킹 랜싯(19)을 단자 피팅(40)과 결합시킴으로써, 단자 피팅(40)을 캐비티(11) 내에 유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 랜싯(19)이 형성된 상기 둘레벽(17)에 있어서 상기 전선 접속부(42)의 일부분(42B)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캐비티(11)의 폭을 확대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22)가 형성되며; 그리고
단자 피팅(40)의 전선 접속부(42)는 전선 접속부(42)의 일부분(42B)이 리세스(22)를 향해 돌출되도록 만곡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제조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접속부(42)의 전선 배럴(42A)을 전선(30)의 코어(31)에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전선 접속부(42)의 절연 배럴(42B)을 전선(30)의 절연 피복(32)에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제조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밀 부재(50)는, 전선 배럴(42A)과 전선(30)의 코어(31) 사이의 접촉부를 전선 배럴(42A)로부터 절연 배럴(42B)까지 덮도록 장착되는 것인 커넥터 제조 방법.
-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로킹 랜싯(19)이 형성된 둘레벽(17)에 있어서 절연 배럴(42B)에 대응하는 부분에, 캐비티(11)의 폭을 확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22)가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1204812A JP5741344B2 (ja) | 2011-09-20 | 2011-09-20 | コネクタ |
JPJP-P-2011-204812 | 2011-09-2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1224A true KR20130031224A (ko) | 2013-03-28 |
Family
ID=46963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4443A KR20130031224A (ko) | 2011-09-20 | 2012-09-20 |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130072061A1 (ko) |
EP (1) | EP2573876A1 (ko) |
JP (1) | JP5741344B2 (ko) |
KR (1) | KR20130031224A (ko) |
CN (1) | CN103022780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741343B2 (ja) * | 2011-09-20 | 2015-07-01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2014216165A (ja) * | 2013-04-25 | 2014-11-17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6125891B2 (ja) * | 2013-05-07 | 2017-05-10 | 矢崎総業株式会社 | 端子金具の保持構造 |
JP5708705B2 (ja) * | 2013-05-20 | 2015-04-30 | 第一精工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JP5994761B2 (ja) * | 2013-10-11 | 2016-09-21 | 住友電装株式会社 | 止水構造付電線および止水構造付電線の製造方法 |
JP2015090843A (ja) * | 2013-11-07 | 2015-05-11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コネクタの止水構造 |
US9356438B2 (en) | 2014-02-27 | 2016-05-31 | Delphi Technologies, Inc. | Wire cable assembly having a terminal with an encapsulated wire end |
JP2018049682A (ja) * | 2016-09-20 | 2018-03-29 | 住友電装株式会社 | 雌端子及びコネクタ |
JP2019083641A (ja) * | 2017-10-31 | 2019-05-30 | 株式会社デンソー | 車両用回転電機 |
JP2020102338A (ja) * | 2018-12-21 | 2020-07-02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 コネクタハウジングおよびコネクタ |
JP2021035189A (ja) * | 2019-08-26 | 2021-03-01 | 矢崎総業株式会社 | 電気接続箱 |
CN111541087A (zh) * | 2020-04-20 | 2020-08-14 |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自带plr结构的连接器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99634B2 (ja) * | 1994-07-12 | 2002-07-08 | 菱星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2825445B2 (ja) * | 1994-08-31 | 1998-11-18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H09106854A (ja) * | 1995-10-13 | 1997-04-22 | Yazaki Corp | 防水コネクタ用雌端子及び樹脂充填防水コネクタ |
JP2002025647A (ja) * | 2000-07-03 | 2002-01-25 | Sumitomo Wiring Syst Ltd | 電線端末部の防水構造 |
JP2003249294A (ja) * | 2002-02-26 | 2003-09-05 | Mitsumi Electric Co Ltd | 電気コネクタ |
JP3912253B2 (ja) * | 2002-10-24 | 2007-05-09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4463665B2 (ja) * | 2004-11-17 | 2010-05-19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防水コネクタ |
JP4457917B2 (ja) * | 2005-02-23 | 2010-04-28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WO2006132358A1 (ja) * | 2005-06-09 | 2006-12-14 |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 同軸コネクタ及び同軸コネクタのコネクタハウジングへの取付け構造 |
JP2007141509A (ja) * | 2005-11-15 | 2007-06-07 | Sumitomo Wiring Syst Ltd | 端子金具 |
JP5329100B2 (ja) * | 2008-01-23 | 2013-10-30 | 矢崎総業株式会社 | 電線付きコネクタ端子が挿入されたコネクタ |
JP5391700B2 (ja) * | 2009-01-19 | 2014-01-15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端子付き電線 |
US8360803B2 (en) * | 2009-09-18 | 2013-01-29 | Delphi Technologies, Inc. | Electrical terminal connection with molded seal |
JP5428722B2 (ja) * | 2009-10-02 | 2014-02-26 | 住友電装株式会社 | 電線の止水構造および該止水構造の形成方法 |
JP5409545B2 (ja) * | 2010-08-06 | 2014-02-05 | 住友電装株式会社 | 電線接続部の防食構造 |
JP5434847B2 (ja) * | 2010-08-17 | 2014-03-05 | 住友電装株式会社 | 端子金具 |
JP5391173B2 (ja) * | 2010-09-30 | 2014-01-15 |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 電線と端子の接続構造及び接続装置、接続方法、ワイヤーハーネス |
JP5674120B2 (ja) * | 2010-12-13 | 2015-02-25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コネクタ端子の電線接続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2011
- 2011-09-20 JP JP2011204812A patent/JP5741344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
- 2012-09-11 US US13/609,851 patent/US2013007206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2-09-11 EP EP12006392A patent/EP2573876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2-09-20 CN CN2012103522678A patent/CN103022780A/zh active Pending
- 2012-09-20 KR KR1020120104443A patent/KR2013003122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3065525A (ja) | 2013-04-11 |
CN103022780A (zh) | 2013-04-03 |
EP2573876A1 (en) | 2013-03-27 |
JP5741344B2 (ja) | 2015-07-01 |
US20130072061A1 (en) | 2013-03-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31224A (ko) |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 |
US8864533B2 (en) | Connector having a fluidproof member | |
US8771010B2 (en) | Device connector and method of producing it | |
EP2500995B1 (en) | Production method for a connector | |
EP2500997B1 (en) | Connector and method of producing it | |
CN103367956B (zh) | 电端子 | |
JP5965751B2 (ja) | コネクタ端子及びコネクタ端子の止水方法 | |
US20150144396A1 (en) | Connector | |
CN204558796U (zh) | 电连接器 | |
KR20130085437A (ko) | 커넥터 단자의 전선접속구조 및 그 제조방법 | |
US20130210255A1 (en) | Terminal fitting | |
CN104471797A (zh) | 连接器 | |
US10249985B2 (en) | Waterproof connector | |
CN108140963B (zh) | 连接器 | |
US20190074605A1 (en) | Connector and wire with terminal | |
CN210744211U (zh) | Usb插座 | |
US11152720B2 (en) | Terminal-equipped wire and wire harness | |
JP6933821B2 (ja) |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 |
JP6928285B1 (ja) |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 |
US20230053771A1 (en) | Male terminal fitting and terminal fitting structure | |
JP2015210918A (ja) | コネクタ | |
CN104466541B (zh) | 电连接器 | |
JP2023107303A (ja) | 端子及びコネクタ | |
JP2012084417A (ja) | 端子付き電線 | |
JP2017188333A (ja) | 圧着端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