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0758A - 단일 b-세포 배양법 - Google Patents

단일 b-세포 배양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0758A
KR20130030758A KR1020127030603A KR20127030603A KR20130030758A KR 20130030758 A KR20130030758 A KR 20130030758A KR 1020127030603 A KR1020127030603 A KR 1020127030603A KR 20127030603 A KR20127030603 A KR 20127030603A KR 20130030758 A KR20130030758 A KR 20130030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s
cell
igg
culture
anti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0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5976B1 (ko
Inventor
요제프 엔들
나탈리 슈마허
존야 오프너
요제프 플라처
바질레 지베
이름가르트 토레이
Original Assignee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filed Critical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Publication of KR20130030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0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9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34Cells from the blood or the immune system
    • C12N5/0635B lymphocy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1Production of immunochemical test materials
    • G01N33/532Production of labelled immunochemicals
    • G01N33/533Production of labelled immunochemicals with fluorescent labe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7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involving monoclonal antibodies binding reaction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onoclonal antibodies; monoclonal antibodies per se are classified with their corresponding antige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30Organ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30Organic components
    • C12N2500/32Amino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60Buffer, e.g. pH regulation, osmotic 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70Undefined extracts
    • C12N2500/72Undefined extracts from bacteri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20Cytokines; Chemok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20Cytokines; Chemokines
    • C12N2501/23Interleukins [IL]
    • C12N2501/2301Interleukin-1 (IL-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20Cytokines; Chemokines
    • C12N2501/23Interleukins [IL]
    • C12N2501/2302Interleukin-2 (IL-2)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20Cytokines; Chemokines
    • C12N2501/23Interleukins [IL]
    • C12N2501/231Interleukin-10 (IL-10)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20Cytokines; Chemokines
    • C12N2501/23Interleukins [IL]
    • C12N2501/2321Interleukin-21 (IL-2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20Cytokines; Chemokines
    • C12N2501/24Interferons [IF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20Cytokines; Chemokines
    • C12N2501/25Tumour necrosing factors [TN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2/00Coculture with; Conditioned medium produced by
    • C12N2502/11Coculture with; Conditioned medium produced by blood or immune system cells
    • C12N2502/1114T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2/00Coculture with; Conditioned medium produced by
    • C12N2502/11Coculture with; Conditioned medium produced by blood or immune system cells
    • C12N2502/1157Monocytes, macroph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2/00Coculture with; Conditioned medium produced by
    • C12N2502/11Coculture with; Conditioned medium produced by blood or immune system cells
    • C12N2502/1185Thymus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2/00Coculture with; Conditioned medium produced by
    • C12N2502/70Non-animal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 G01N15/149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specially adapted for sorting particles, e.g. by their size or optical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1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biological cells, e.g. blood cells
    • G01N2015/016White blood c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phys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원에서는 하기 단계들: a) B-세포를 라벨링함, b) 라벨링된 B-세포를 단일 세포로서 침전시킴, c) 단일 세포로 침전된 B-세포를 공급자 세포와 공동-배양함, d) 단계 c) 에서 IgG 를 증식하고 분비하는 B-세포를 선택하고, 이로써 B-세포를 수득함을 포함하는 B-세포의 수득 방법이 보고된다. 라벨링은 IgG+CD19+-B-세포, IgG+CD38+-B-세포, IgG+CD268+-B-세포, IgG-CD138+-B-세포, CD27+CD138+-B-세포 또는 CD3-CD27+-B-세포의 것일 수 있다. 본 방법은 침전 단계 이전에 EL-4 B5 배지에서 37 ℃ 에서 1 시간 동안 상기 B-세포를 인큐베이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또한 공동-배양 전에 상기 단일 세포 침전된 B-세포를 원심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공동-배양에서, 인터류킨-1베타, 및 종양 괴사 인자 알파 및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균주 코완 세포 또는 BAFF 또는 인터류킨-2 및/또는 인터류킨-10 및/또는 인터류킨-6 및/또는 인터류킨-4 를 포함하는 공급자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단일 B-세포 배양법 {SINGLE B-CELL CULTIVATION METHOD}
본원에서는 단일 세포 침전과, 공급자 혼합물 (feeder mix) 의 존재 하 공급자 세포 (feeder cell) 와의 공동-배양으로 인한, 실험 동물로부터의 B-세포 모집단으로부터 수득되어진 단일 B-세포에서 분비된 모노클로날 항체의 적어도 가변 도메인의 아미노산 서열을 수득하는 방법이 보고된다.
모노클로날 항체를 분비하는 세포를 수득하기 위한 Koehler 와 Milstein 가 개발한 하이브리도마 기법이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이 하이브리도마 기법에서는 오로지 면역화된 실험 동물에서 수득한 B-세포의 분획만이 융합 및 증식될 수 있다. B-세포의 공급원은 비장과 같은 면역화 실험 동물의 기관이 일반적이다.
Zubler 등은 1984 년에 모노클로날 항체를 분비하는 세포 수득에 대한 상이한 접근법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예, 문헌 [Eur. J. Immunol. 14 (1984) 357-63, J. Exp. Med. 160 (1984) 1170-1183)] 참조). 이 문헌에서 B-세포를 면역화 실험 동물의 혈액에서 수득하여 쥣과 동물 EL-4 B5 공급자 세포와 함께 사이토카인 포함 공급자 혼합물의 존재 하에서 공동 배양했다. 이 방법으로, 50 ng/ml 이하의 항체를 10 ~ 12 일의 공동 배양 후에 수득할 수 있다.
Weitkamp, J-H., 등 (J. Immunol. Meth. 275 (2003) 223-237) 은, 형광 바이러스형 입자로 선택된 단일 항원-특이적 B-세포로부터, 로타바이러스에 대한 재조합 인간 모노클로날 항체의 제조를 보고한다. 복수의 관련 항원에 대한 복수의 단리된 항체의 제조 방법은 US 2006/0051348 에 보고되어 있다. WO 2008/144763 및 WO 2008/045140 에는, IL-6 에 대한 항체 및 이의 용도 및 항원-특이적 B 세포의 클로날 모집단의 수득을 위한 배양 방법이 각각 보고되어 있다. 항원-특이적 B-세포의 클로날 모집단의 수득을 위한 배양 방법은 US 2007/0269868 에 보고되어 있다. Masri 등 (Mol. Immunol. 44 (2007) 2101-2106) 은, 탄저균 독소에 대항하는 단일의 인간 림프구로부터 수득된 작용성 Fab 단편의 E.coli 에서의 클로닝 및 발현을 보고하였다. 면역글로불린 라이브러리의 제조 방법은 WO 2007/ 031550 에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개요
본원에서는, 특수 특성을 갖는 B-세포 모집단에서의 B-세포의 단리 방법을 보고한다. 먼저, 실험 동물의 제 1 면역화 후 4 주 이내에 이미 유도된 항체를 생성하는 세포를 단리할 수 있으므로, 항체의 결합 특이성을 판정할 수 있다. 둘째로, 다음 단계 중 어느 하나로써, 항체 생성 세포의 개수 및/또는 품질 (예, 항체 생산성/분비 능력) 을 증진시킬 수 있다: i) 사전-인큐베이션 단계, 및/또는 ii) 원심분리 단계, 및/또는 iii) 패닝 (panning) 단계. 셋째로, B-세포의 공동 배양에 사용된 공급자 혼합물 및 공급자 세포를, IL-21, 또는 IL-6, 또는 SAC, 또는 BAFF 의 첨가에 의해 개선할 수 있다.
즉, 본원에서는 한 양태로서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B-세포의 선택 방법을 보고한다:
a) 임의로는, B-세포의 모집단의 B-세포를 라벨링함,
b) 단일 세포로서 침전되어진 B-세포의 모집단의 각 B-세포를 공급자 세포와 개별적으로 공동 배양함,
c) 단계 b) 에서 항체를 증식 및 분비하는 B-세포 클론을 선택함.
본원에서는 추가로 한 양태로서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B-세포 클론을 수득하는 방법을 보고한다:
a) 실험 동물로부터 B-세포를 수득함,
b) B-세포를 라벨링함,
c) 라벨링된 B-세포를 단일 세포로서 침전시킴,
d) 단일 세포로 침전된 B-세포를 공급자 세포와 개별적으로 공동 배양함,
e) 단계 d) 에서 항체를 증식하고 분비하는 B-세포 클론을 선택하고, 이로써 B-세포 클론을 수득함.
본원에서, 또 다른 양태로서,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타겟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의 제조 방법을 보고한다:
a) 임의로는, 하나 이상의 형광 염료로 B-세포의 모집단의 세포들을 라벨링함,
b) 개별 용기 내 단일 세포로서 침전된 바 있는 B-세포의 모집단의 각 B-세포를 공급자 세포 및 공급자 혼합물의 존재 하에서 배양하여, 각 B-세포 클론 및 배양 상청액을 수득함,
c) 타겟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생성하는 B-세포 클론을 선택함,
d) 단계 c) 에서 선택된 B-세포 클론에 의해 제조되어진, 타겟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인코딩 (encoding) 하는 핵산을 함유하는 세포, 또는 이의 인간화 변이체를 배양하고, 이 항체를 세포 또는 배양 상청액으로부터 회수해 항체를 제조함.
한 구현예에서, 방법은 하기 단계를 하나 이상 포함한다:
단계 c) 이후: c1) 역전사 효소 PCR 에 의한, 항체의 가변 경쇄 도메인 및 가변 중쇄 도메인을 인코딩하는 핵산 서열을 측정함,
단계 c1) 이후: c2) 항체 가변 경쇄 도메인 및 가변 중쇄 도메인을 인코딩하는 핵산 서열을 포함하는 핵산으로 세포를 트랜스펙션함.
본원에서는, 한 양태로서,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항체의 제조 방법을 보고한다:
a) (실험 동물의 혈액에서 수득한) (성숙한) B-세포의 모집단을 제공함,
b) B-세포의 모집단의 세포를 하나 이상의 형광 염료 (한 구현예에서는 1 내지 3 개, 또는 2 내지 3 개의 형광 염료) 로 라벨링함,
c) 각 용기 내에 라벨링된 B-세포 모집단의 단일 세포를 침전시킴 (한 구현예에서는, 상기 용기는 멀티 웰 플레이트의 웰임),
d) 공급자 세포 및 공급자 혼합물의 존재 하에서 침전된 각 B-세포를 배양함 (한 구현예에서는, 공급자 세포는 EL-4 B5 세포이고, 한 구현예에서, 공급자 혼합물은 천연 TSN 이고, 한 구현예에서 공급자 혼합물은 합성 공급자 혼합물임),
e) 각 B-세포의 배양 배지에서 분비된 항체의 결합 특이성을 측정함,
f) 역전사효소 PCR 에 의해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의 가변 경쇄 및 중쇄 도메인의 아미노산 서열을 측정하고, 이로써 핵산을 인코딩하는 모노클로날 항체 가변 경쇄 및 중쇄 도메인을 수득함,
g) 항체 발현을 위한 발현 카세트에서 모노클로날 항체 가변 경쇄 및 중쇄 가변 도메인을 도입함,
h) 핵산을 세포에 도입함,
i) 세포를 배양하고 이 세포에서 또는 세포 배양액에서 항체를 회수하고, 이로써 항체를 제조함.
본원에서 보고된 모든 양태의 한 구현예에서, 방법은 단일 세포로의 침전 이전에 공동-배양 배지 내 B-세포의 모집단을 인큐베이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구현예에서, 인큐베이션은 약 37 ℃ 에서 실시된다. 한 구현예에서, 인큐베이션은 0.5 내지 2 시간 동안 실시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인큐베이션은 약 1 시간 동안 실시된다. 한 구현예에서, 인큐베이션은 약 37 ℃ 에서 약 1 시간 동안 실시된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양태의 한 구현예에서, 방법은 공동-배양 전 이전에 단일 세포로 침전된 B-세포를 원심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구현예에서, 원심분리는 약 1 분 내지 약 30 분 동안 실시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원심분리는 약 5 분 동안 실시된다. 한 구현예에서, 원심분리는 약 100 x g 내지 약 1,000 x g 에서 실시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원심분리는 약 300 x g 에서 실시된다. 한 구현예에서, 원심분리는 약 5 분 동안 약 300 x g 에서 실시된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양태의 한 구현예에서, 방법은 라벨링 단계 바로 직전에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B-세포를 고정화 항체로 패닝함.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양태의 한 구현예에서, B-세포의 모집단은 밀도 구배 원심분리에 의해 동물의 혈액에서 수득된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양태의 한 구현예에서, B-세포의 모집단은 면역화 후 4 일 후에 실험 동물의 혈액에서 수득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B-세포의 모집단은 면역화 후 4 일 내지 적어도 9 일 후 실험 동물의 혈액에서 수득된다. 추가 구현예에서, B-세포의 모집단은 면역화 후 4 일 내지 9 일의 실험 동물의 혈액에서 수득된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양태의 한 구현예에서, B-세포의 모집단은 밀도 구배 원심분리에 의해 단리된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양태의 한 구현예에서, B-세포는 성숙한 B-세포이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양태의 한 구현예에서, 라벨링은 1 내지 3 개의 형광 염료로 실시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라벨링은 2 또는 3 개의 형광 염료로 실시된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양태의 한 구현예에서, B-세포의 라벨링은, 전체 B-세포 모집단의 세포들의 0.1 % 내지 2.5 % 에서의 라벨링이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양태의 한 구현예에서, B-세포는 마우스 B-세포, 또는 햄스터 B-세포, 또는 토끼 B-세포이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양태의 한 구현예에서, 단일 세포 침전은 멀티 웰 플레이트의 웰에서 실시된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양태의 한 구현예에서, 공급자 세포는 쥣과 동물 EL-4 B5 세포이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양태의 한 구현예에서, 항체는 모노클로날 항체이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양태의 한 구현예에서, 라벨링은 IgG+CD19+-B-세포, IgG+CD38+-B-세포, IgG+CD268+-B-세포, IgG-CD138+-B-세포, CD27+CD138+-B-세포, 또는 CD3-CD27+-B-세포의 것이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양태의 한 구현예에서, B-세포는 마우스 기원이고, 라벨링은 IgG+CD19+-B-세포, 및/또는 IgG-CD138+-B-세포의 것이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양태의 한 구현예에서, B-세포는 햄스터 기원이고, 라벨링은 IgG+IgM--B-세포의 것이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양태의 한 구현예에서, B-세포는 토끼 기원이고, 라벨링은 IgG+-B-세포 및/또는 CD138+-B-세포, 또는 CD138+IgG+-B-세포 및/또는 IgG+IgM--B-세포의 것이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양태의 한 구현예에서, 공동 배양은, 10 % (v/v) FCS, 페니실린 및 스트렙토마이신을 포함하는 1 % (w/v) 의 200 mM 글루타민 용액, 2 % (v/v) 의 100 mM 나트륨 피루베이트 용액 및 1 % (v/v) 의 1 M 2-(4-(2-히드록시에틸)-1-피페라진)-에탄 술폰산 (HEPES) 버퍼로 보충된 RPMI 1640 에서 실시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공동-배양 배지는 추가로 0.05 mM 베타-메르캅토에탄올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양태의 한 구현예에서, B-세포의 공동-배양은 공급자 세포 및 공급자 혼합물과 함께 실시된다. 한 구현예에서, 공급자 혼합물은 천연 흉선세포 배양 상청액 (TSN) 또는 합성 공급자 혼합물이다.
한 특정 구현예에서, 공급자 혼합물은 합성 공급자 혼합물이다. 한 구현예에서, 합성 공급자 혼합물은 인터류킨-1 베타 및 종양 괴사 인자 알파를 포함한다. 한 구현예에서, 합성 공급자 혼합물은 인터류킨-2 (IL-2) 및/또는 인터류킨-10 (IL-10) 을 포함한다. 한 구현예에서, 합성 공급자 혼합물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균주 코완 세포 (Staphylococcus aureus strain Cowans cells; SAC)를 추가로 포함한다. 한 구현예에서, 합성 공급자 혼합물은 인터류킨-21 (IL-21) 을 포함한다. 한 구현예에서, 합성 공급자 혼합물은 종양 괴사 인자 패밀리 (BAFF) 의 B-세포 활성화 인자를 포함한다. 한 구현예에서, 합성 공급자 혼합물은 인터류킨-6 (IL-6) 을 포함한다. 한 구현예에서, 합성 공급자 혼합물은 인터류킨-4 (IL-4) 을 포함한다.
한 구현예에서, 공동-배양은 공급자 혼합물로서 흉선세포 배양 상청액의 존재 하에서 실시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흉선세포 배양 상청액은 어린 동물의 가슴샘의 흉선세포로부터 수득된다.
한 구현예에서, B-세포 클론의 수득 방법은 추가로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f) 역전사 PCR 및 뉴클레오티드 시퀀싱으로써, 단계 e) 의 선택된 B-세포 클론으로부터 생성된 항체의 가변 경쇄 및 중쇄 도메인의 아미노산 서열을 측정하고, 이로써 모노클로날 항체 아미노산 가변 도메인 서열을 수득함.
한 구현예에서, 실험 동물은 마우스, 햄스터, 및 토끼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원에서 보고된 방법은 각 B-세포 클론으로부터 수득된 모노클로날 항체들의 결합 특이성의 신속한 특징 분석 (characterization) 을 가능하게 하고, 즉 실험 동물의 제 1 면역화 후 4 주 이내에 유도된 항체를 생성하는 세포를 단리할 수 있어 이로부터 생성된 항체들의 결합 특이성을 측정할 수 있고, 이때 B-세포 공동-배양 상청액 중 항체 함량/농도로 인해 4 가지 이상의 상이한 실험들을 수행할 수 있다.
면역화:
마우스, 토끼, 햄스터 및 래트 등과 같은 비(非)인간 동물이 흔히 항체-기반 치료법을 평가하기 위한 동물 모델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비인간 동물 항원뿐 아니라 인간 항원에 결합하는 교차반응성 항체의 제공이 자주 요구된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방법이 교차반응성 항체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방법에서는, 예를 들어 마우스, 햄스터 및 토끼로부터 수득된 B-세포가 사용될 수 있다. 한 구현예에서, 마우스는 NMRI-마우스 또는 balb/c-마우스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햄스터는 아르메니아 햄스터 (크리세툴루스 미그라토리우스; Cricetulus migratorius), 중국 햄스터 (크리세툴루스 그리세우스; Cricetulus griseus), 및 시리아 햄스터 (메소크리세툴루스 아우라투스; Mesocricetulus auratus) 에서 선택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햄스터는 아르메니아 햄스터이다. 한 구현에에서, 토끼는 New Zealand White (NZW) 토끼, Zimmermann-토끼 (ZIKA), Alicia-돌연변이형 균주 토끼, 바실레아 (basilea) 돌연변이형 균주 토끼, 인간 면역글로불린 유전자자리를 갖는 트랜스제닉 토끼, rbIgM knock-out 토끼, 및 이의 이종교배 토끼로부터 선택된다.
한 구현예에서, 면역화를 위해 선택된 실험 동물, 예를 들어 마우스, 햄스터 및 토끼는 12 주령 이하이다.
B-세포의 공급원 및 단리:
실험 동물의 혈액은 매우 다양한 항체 생성 B-세포를 제공한다. 이로부터 수득된 B-세포는 CDR 내에 아미노산 서열이 동일 또는 중복되는 것이 거의 없는 항체를 분비하므로, 고 다양성을 보인다.
한 구현예에서, 실험 동물의 B-세포, 예를 들어 혈액으로부터의 B-세포는, 면역화 후 4 일에서 면역화 또는 최신 부스트 (boost) 이후 적어도 9 일까지에서 수득된다. 상기 시간 기간은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방법에서 높은 유연성을 허용한다. 이 시간 기간에, 가장 밀접한 인척 항체를 제공하는 B-세포가 비장에서 혈액으로 이동할 확률이 크다 (예를 들어, 문헌 [Paus, D., et al., JEM 203 (2006) 1081-1091; Smith, K.G.S., et al., The EMBO J. 16 (1997) 2996-3006; Wrammert, J., et al., Nature 453 (2008) 667-672] 참조).
실험 동물의 혈액으로부터의 B-세포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도 구배 원심분리 (Density Gradient Centrifugation; DGC) 또는 적혈구 용해 (용해) 를 사용할 수 있다. 저장성 (hypotonic) 용해와 비교시 밀도 구배 원심분리가 전반적으로 더 높은 수율을 제공하고, 다시 말해 더 많은 B-세포 클론을 제공한다. 부가적으로 밀도 구배 원심분리에 의해 수득된 세포로부터, 다수의 세포가 공동 배양 단계에서 분열 및 성장한다. 또한 분비된 항체의 농도는 상이한 방법으로 수득된 세포와 비교시 더 높다. 따라서, 한 구현예에서, B-세포의 모집단의 제공은 밀도 구배 원심분리를 통한다.
표 1: 세포를 밀도 구배 원심분리 (DGC) 또는 적혈구의 저장성 용해를 통해 수득시 IgG 생성 웰/세포 클론의 개수
Figure pct00001

공동-배양 이전 선택 단계:
항원을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생성하는 B-세포는 말초 혈액 단핵 세포 (PBMC) 에서 풍부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방법의 한 구현예에서, B-세포 모집단은 말초 혈액 단핵 세포 (PBMC) 에서 강화된다 (enrichment).
용어 "특이적으로 결합" 및 이의 문법적 동의어는 항체가 이의 타겟에 10-7 M 이하, 한 구현예에서는 10-8 M 내지 10-13 M, 추가 구현예에서는 10-9 M 내지 10-13 M 의 해리 상수 (Kd) 로 결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항체가 존재하는 다른 생체 분자와 특이적으로 결합하지 않는다는 것을, 즉 이것이 다른 생체 분자와는 10-6 M 이상, 한 구현예에서는 10-6 M 내지 1 M 의 해리 상수 (Kd) 로 결합한다는 것을 추가로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방법의 한 구현예에서, PBMC 는 대식세포가 결핍 (depletion) 되어 있다. 이는 하기에서 개괄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토끼 기원의 B-세포에 대한 한 구현예에서와 같이, 공동-배양 단계에 있어서 유리하다.
대식세포는 세포 배양 플레이트의 표면 부착에 의해 PBMC 에서 결핍될 수 있다 (사전인큐베이션 단계 참조).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방법의 한 구현예에서, 세포는 단백질-면역화 동물 유래의 것이고, 라벨링 이전에 대식세포가 결핍된 것이다.
단일 세포 침전 이전에 공동-배양 배지에서 B-세포의 모집단을 인큐베이션하는 것은, 실험 동물의 혈액 유래 B-세포 모집단의 단리 및 선택적인 강화 직후에 단일 세포로서 침전하는 것과 비교할 때, 단일 세포 침전 후에 수득된 항체 분비 세포의 총 개수를 증가시킨다는 점을 발견한 바 있다 (예, 토끼, 표 2a 및 2b 참조). 특히, 인큐베이션은 약 37 ℃ 에서 약 1 시간 동안, EL-4 B5 배지에서, 예를 들면 세포 배양 인큐베이터를 이용하여 실시된다.
표 2a: 모든 세포의 단일 세포 침전 이전에 EL-4 B5 배지에서 한 시간 인큐베이션 존재 및 부재 하에서 IgG 양성 웰/세포 클론 (rb= 토끼).
Figure pct00002
2b: B-세포의 단일 세포 침전 이전에 EL-4 B5 배지에서 1 시간 인큐베이션 존재 및 부재하 IgG 양성 웰/세포 클론.
Figure pct00003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방법의 한 구현예에서, 세포는 단백질-면역화된 동물에서 수득되고 대식세포가 결핍되어 있다.
항원 결합 항체를 생성하지 않는 세포, 또는 마찬가지로 항원 결합 항체를 생성하는 세포는 각각 패닝 접근법을 이용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거나 또는 강화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 파트너가 표면에 부착되어 제공되어, 거기에 결합하는 세포는 세포 모집단에서 선택적으로 강화되거나 (이 경우는 결합하는 세포가 추가로 프로세싱됨), 또는 세포 모집단에서 감소된다 (이 경우는 용액 중에 잔류하는 세포가 추가로 프로세싱됨).
표 3: 각 항원으로의 패닝에 의한 항원-특이적 항체를 분비하는 B-세포의 강화
Figure pct00004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방법은 한 구현예에서 단일 세포 침전 이전에 특이적 및/또는 비(非)교차반응성 항체를 생성하는 B-세포를 세포 표면 마커 및 형광 활성화된 세포 분류/게이팅 (gating) 을 기반으로 선별하는 선택 단계를 포함한다. 한 구현예에서, 성숙한 B-세포는 분류/강화/선택된다. 상이한 실험 동물 종으로부터의 B-세포의 선택을 위해, 상이한 세포 표면 마커가 사용될 수 있다. 이용가능한 세포 표면 마커 대부분은 각각 또는 조합되어서도 적절한 라벨링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점이 발견된 바 있다.
비(非)타겟 세포 모집단 및 비특이적 결합 림프구의 라벨링으로, 이들 세포를 선택적으로 결핍시킬 수 있다. 이 결핍 단계에서는, 거의 전체적인 결핍이 달성될 수 있을 지경이다. 비록 이 결핍은 정량적이지 않지만, 간섭 세포의 개수를 감소할 수 있거나 심지어는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잔류 세포의 후속 형광 라벨링에 있어서 이점을 제공한다. 하기에 개괄한 라벨링을 이용한 형광 활성화된 세포 분류에 의한 성숙한 B-세포 (메모리 B-세포. 친화도 성숙 형질모세포 및 형질세포) 의 단일 세포 침전에 의해, 더 많은 수의 IgG+-웰/세포 클론을 공동 배양 단계에서 수득할 수 있다.
용어 "라벨링"은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라벨링된 항-표면 마커 항체의 첨가에 의해 판정될 수 있는 표면 마커의 존재 또는 부재를 지칭한다. 즉, 표면 마커의 존재는 예를 들면 형광 라벨의 경우 형광 발생에 의해 판정되고, 표면 마커의 부재는 각각의 특이적 결합 및 라벨링된 항-표면 마커 항체로의 인큐베이션 후 형광의 부재에 의해 판정된다.
상이한 세포 모집단은 CD3+-세포 (T-세포), CD19+-세포 (B-세포), IgM+-세포 (성숙한 미노출 (naive) B-세포), IgG+-세포 (성숙한 B-세포), CD38+-세포 (예, 형질모세포), 및 IgG+CD38+-세포 (예비-형질 세포) 등의 상이한 표면 마커를 이용함으로써 라벨링될 수 있다.
본원에 보고된 바와 같이, 성숙한 IgG+-B-세포, 예컨대 메모리 B-세포, 형질모세포, 및 형질 세포의 선택을 위한 면역-형광 라벨링이 개발된 바 있다. B-세포의 선택 또는 강화를 위해서는, 세포는 단일 라벨링 또는 이중 라벨링 또는 삼중 라벨링된다. 또한 전체 세포 모집단 중 약 0.1 % 내지 2.5 % 의 라벨링된 세포를 도모하는 라벨링이 요구된다. 한 구현예에서, B-세포는 모집단 내 0.1 % 내지 2.5 % 의 B-세포 상에 존재하는 표면 분자,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0.3 % 내지 1.5 % 의 모집단의 B-세포 상에, 추가 구현예에서는 0.5 % 내지 1 % 의 모집단의 B-세포 상에 존재하는 표면 분자의 라벨링에 의해 선택된 단일 세포로서 침전된다.
PBMC 모집단 내 IgG+-B-세포 0.5 % - 1 % 가 IgG+CD19+-세포, IgG+CD38+-세포, 및 IgG+CD268+-세포로서 이중 라벨링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방법의 한 구현예에서는, IgG+CD19+-B-세포, IgG+CD38+-B-세포, 또는 IgG+CD268+-B-세포가 단일 세포로서 침전된다.
PBMC 모집단 내 IgG--B-세포 중, 0.5 % - 1 % 가 IgG-CD138+-세포로서 이중 라벨링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방법들의 한 구현예에서 IgG-CD138+-B-세포가 단일 세포로서 침전된다.
CD27+CD138+-세포 또는 CD3-CD27+-세포의 라벨링은 각각, 라벨링되는 세포 모집단의 세포 중 약 1.5% 이다. 따라서,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방법의 한 구현예에서, CD27+CD138+-B-세포 또는 CD3-CD27+-B-세포는 단일 세포로서 침전된다.
PBMC 모집단 내 IgG+-햄스터-B-세포 중에서,0.6 % ± 0.1 % 가 IgG+IgM--햄스터-B-세포로서 이중 라벨링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방법의 한 구현예에서, IgG+IgM--햄스터-B-세포는 단일 세포로서 침전된다.
한 구현예에서, IgG-CD138+-B-세포는 면역화 동물로부터 수득된 B-세포로부터 단일 세포로서 침전된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방법의 한 구현예에서, IgG+CD19+-B-세포는 비면역화 동물로부터 수득된 B-세포로부터 단일 세포로서 침전된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방법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IgG+IgM--B-세포는 비면역화 또는 면역화 동물로부터 수득된 B-세포로부터 단일 세포로서 침전된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방법의 한 구현예에서, IgG+CD19+-쥣과 동물-B-세포가 단일 세포로서 침전된다. 상기 선택 단계는 후속의 공동배양 단계에서 개선된 또는 심지어는 가장 높은 수율의 IgG+-웰을 도모한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방법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IgG-CD138+-쥣과 동물-B-세포는 단일 세포로서 침전된다. 이와함께, 우선 다량의 B-세포 클론을 생성하고, 둘째로는 가장 높은 농도의 IgG 를 야기하는 세포를 선택한다 (표 5 참조).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방법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IgG+CD19+-쥣과 동물-B-세포 및 IgG-CD138+-쥣과 동물-B-세포는 단일 세포로서 침전된다. 한 특정 구현예에서, 방법은 세포가 토끼 기원인 경우, 라벨링이 IgG+-B-세포 및/또는 CD138+-B-세포의 것이 아닌 조건을 갖는다.
IgG+-쥣과 동물-B-세포는 항-마우스-IgG-항체 227 (Ab 227)로 라벨링될 수 있고, IgG+-햄스터-B-세포는 항-햄스터-IgG-항체 213 (AB 213) 및/또는 항-햄스터-IgG-항체 225 (AB 225) 로 라벨링될 수 있고, 토끼 B-세포는 항-IgG-항체 184 로 라벨링될 수 있다 (표 4 참조).
표 4: B 세포의 면역형광 라벨링 - 이 표는 쥣과 동물 B-세포 (A-E), 햄스터 B-세포 (F-H) 및 토끼 B-세포 (I-J) 의 모집단의 평균 라벨링된 분획을 제시한다.
Figure pct00005
AB 120 - 염소 항-토끼 IgG-항체 Southern Biotech 4030-09
AB 184 - 염소 항-토끼 IgG Fc-항체 AbDSerotech STAR121F
AB 185 - 염소 항-마우스 IgG-항체 Caltag M35004-3
AB 200 - 염소 항-마우스 IgM-항체 Invitrogen M31504
AB 212 - 염소 항-햄스터 IgG-항체 AbDSerotech STAR79F
AB 213 - 마우스 항-햄스터 IgG-항체 Becton Dickinson 554010
AB 215 - 염소 항-마우스 IgG-항체 Sigma B 0529
AB 217 - 염소 항-마우스 IgG-항체 AbDSerotech STAR120F
AB 218 - 래트 항-마우스 CD19-항체 Abcam ab22480
AB 219 - 염소 항-마우스 IgM-항체 Rockland 710-1607
AB 222 - 염소 항-마우스 IgG-항체 Abcam ab7064
AB 223 - 마우스 항-햄스터 IgM-항체 Becton Dickinson 554035
AB 224 - 마우스 항-햄스터 IgM-항체 Becton Dickinson 554033
AB 225 - 마우스 항-햄스터 IgG-항체 Becton Dickinson 554056
AB 227 - 염소 항-마우스 IgG-항체 Sigma F 8264
PE: 피코에리트린
APC: 알로피코시아닌
FITC: 플루오레세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낮은 또는 존재하지 않는 특이성으로 인해, 반드시 시판중인 항체가 라벨링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주목해야만 한다.
쥣과 동물-B-세포는 항-IgG-항체 227 로 라벨링될 수 있고, 햄스터-B-세포는 항-IgG-항체 213 로 라벨링될 수 있다.
IgG+CD19+-쥣과 동물-B-세포는 항체 227 및 항체 218 로 라벨링될 수 있고, IgG+IgM--쥣과 동물-B-세포는 항체 227 및 항체 219 로 라벨링될 수 있고, IgG+IgM--햄스터-B-세포는 항체 213 및 항체 224 로 라벨링될 수 있고, IgG+-토끼-B-세포는 항체 184 로 라벨링될 수 있고, IgG+IgM--토끼-B-세포는 항체 184 및 항체 254 및 SA 263 로 라벨링될 수 있고, IgG+CD138+-토끼-B-세포는 항체 259 및 항체 256 로 라벨링될 수 있다.
쥣과 동물 B-세포는 항-CD27 항체 235 또는 236 (AB 235, AB 236), 항-CD38 항체 192 (AB 192), 항-CD138 항체 233 (AB 233) 및 항-CD268 항체 246 (AB 246) 로 라벨링될 수 있다.
표 5: 성숙한 마우스- (A-J), 햄스터- (K) 및 토끼 (L-N)-B-세포의 측정을 위한 면역 형광 라벨링
Figure pct00006
AB 184 - 염소 항-토끼 IgG-항체 AbD Serotec STAR121F
AB 189 - 햄스터 항-마우스 CD3-항체 Becton Dickinson 553062
AB 192 - 래트 항-마우스 CD38-항체 Becton Dickinson 553764
AB 213 - 마우스 항-햄스터 IgG-항체 Becton Dickinson 554010
AB 218 - 래트 항-마우스 CD19-항체 Abcam ab22480
AB 224 - 마우스 항-햄스터 IgM-항체 Becton Dickinson 554033
AB 227 - 염소 항-마우스 IgG-항체 Sigma F 8264
AB 233 - 래트 항-마우스 CD138-항체 Becton Dickinson 553714
AB 235 - 햄스터 항-마우스 CD27-항체 Becton Dickinson 558754
AB 236 - 햄스터 항-마우스 CD27-항체 Becton Dickinson 558753
AB 241 - 햄스터 항-마우스 CD3-항체 Becton Dickinson 553060
AB 246 - 래트 항-마우스 BAFF-R-항체 eBioscience 51-5943
AB 254 - 마우스 항-토끼 IgM-항체 Becton Dickinson 맞춤 제작
AB 256 - 염소 항-래트 IgG-항체 Southern Biotech 3030-09
AB 259 - 래트 항-토끼 CD138-항체 Roche Glycart AG
SA 263 - 스트렙타비딘 Invitrogen S866
A647: Alexa Fluor?647
FITC: 플루오레세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한 구현예에서, 방법은 B-세포 모집단의 대식 세포를 결핍하고, 타겟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분비하는 B-세포 모집단의 B-세포를 강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일 세포 침전: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방법은 단일 세포로서 B-세포 모집단의 B-세포 침전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방법의 한 구현예에서, 단일 세포로서의 침전은 형광 활성화 세포 분류 (FACS) 를 통한다. FACS 단일 세포 침전에 요구되는 라벨링은 이전 섹션에 보고된 바와 같이 실행 할 수 있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방법의 한 구현예에서, 특이적 라벨링된 B-세포가 단일 세포로서 침전된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방법의 추가 구현예에서, 라벨링은 형광 라벨링된 항체를 갖는 세포 표면 마커의 라벨링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방법은 모노클로날 항체를 제공한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방법의 한 구현예에서, 성숙한 B-세포는 단일 세포로서 침전된다.
단일 세포 침전 후 및 공동 배양 이전 추가의 원심분리 단계가 증가된 개수의 항체 분비 세포를 제공하고, 분비된 IgG 의 양을 증가시킨다 (인간 면역글로불린 유전자자리를 갖는 예의 실험 동물, 표 6 참조).
표 6: 단일 세포 침전 이후 원심분리 단계 존재 및 부재 하 IgG 양성 웰/세포 클론.
Figure pct00007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방법의 한 구현예에서, 방법은 공동-배양 이전에 단일의 침전된 세포를 원심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특정 구현예에서, 원심분리는 5 분 동안 300 x g 에서 실시된다.
공동-배양:
공급자 세포를 이용한 공동-배양 단계는 다수의 추가 단계들 이전 및 이후일 수 있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방법의 한 구현예에서, 단일의 침전된 B-세포는 공급자 세포와 공급자 혼합물의 존재 하에서 공동-배양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B-세포는 쥣과 동물 EL-4 B5 공급자 세포와 공동 배양된다. 상기에서 개괄한 바와 같은 적절한 면역 형광 라벨링에 의해 공동 배양 단계에서의 수율 증가 (IgG+-웰/세포 클론의 개수 및 IgG-농도) 및 나아가 PBMC 로부터의 성숙한 IgG+-B-세포의 강화 또는 단리가 달성될 수 있다.
갓 단리된 PBMC 로부터 IgG+CD19+- 및/또는 IgG+CD38+-B-세포의 단일 세포 침전으로, 가장 많은 수의 IgG+-웰/세포 클론이 수득될 수 있다. IgG+CD19+-, IgG+CD38+- 및/또는 IgG-CD138+-B-세포의, 대식세포 또는 KLH-특이적 세포 (키홀 림펫 헤모시아닌) 의 결핍 후의 단일 세포 침전으로, 양호한 결과가 수득될 수 있다. 항원-특이적 B-세포의 결핍 후 IgG+CD19+-, IgG+CD38+- 및/또는 IgG-CD138+-B-세포의 단일 세포 침전으로, 개선된 결과가 수득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방법의 한 구현예에서, IgG+CD19+-, IgG+CD38+- 및/또는 IgG-CD138+-B-세포가 단일의 세포로서 침전된다.
상기 개괄된 바와 같은 라벨링을 기초로 하는 단일 세포 침전은 가장 높은 분획의 IgG+-웰/세포 클론 및 상청액 내 가장 높은 IgG-농도를 갖는 웰/세포 클론을 도모한다는 점이 밝혀져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방법의 한 구현예에서, IgG+CD19+- 및/또는 IgG-CD138+-쥣과 동물-B-세포가 단일의 세포로서 침전된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방법의 한 구현예에서, IgG+IgM--햄스터-B-세포가 단일의 세포로서 침전된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방법의 한 구현예에서, IgG+-, 및/또는 IgG+CD138+-, 및/또는 CD138+- 및/또는 IgG+IgM--토끼-B-세포가 단일의 세포로서 침전된다.
표 7: 면역 형광 라벨링에 따른 공동-배양 수율
Figure pct00008
쥣과 동물 B-세포에 있어서, 각 강화 및/또는 결핍 단계 이후 IgG+CD19+-세포의 단일 세포 침전으로 공동-배양 이후 가장 많은 개수의 IgG+-웰/세포 클론이 수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IgG-CD138+-세포의 단일 세포 침전으로, 상청액 내 최고의 IgG-농도를 갖는 웰/세포 클론이 수득될 수 있다. IgG-CD138+-세포의 단일 세포 침전은 면역화 동물로부터의 B-세포에 있어서 사용될 수 있다. IgG+CD19+-세포의 단일 세포 침전은 비면역화 동물로부터의 B-세포에 있어서 사용될 수 있다. IgG+IgM--세포의 단일 세포 침전은 면역화 및 비면역화 동물의 햄스터-B-세포에 있어서 사용될 수 있다. IgG+-, 및/또는 IgG+CD138+-, 및/또는 CD138+- 및/또는 IgG+IgM--B-세포의 단일 세포 침전은 토끼-B-세포에 있어서 사용될 수 있다.
실험 동물의 혈액으로부터 수득된 B-세포에 대해 사용된 면역 형광 라벨링은 또한 마우스, 햄스터 및 토끼 등의 실험 동물의 비장 및 기타 면역 기관으로부터 수득된 B-세포의 라벨링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마우스 B-세포에 있어서, 비장 유래 IgG+-B-세포의 분획은 IgG+CD19+-세포에 대한 0.4 % 와 비교시 약 0.8 % 였다. 햄스터 B-세포에 있어서, 각각의 수는 1.9 % 및 0.5 % IgG+IgM--세포이다. 토끼-혈액 유래 B-세포에 있어서, 0.2 % 의 IgG+-세포가 대식 세포의 결핍 후 발견되었다. 토끼 유래 파이어 판 (Peyer'sche plaque) 은 0.4 % 의 IgG+-세포를 보이고, 비장은 대식세포 결핍 후 0.3 % 의 IgG+-세포를 보였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공동 배양 약 칠 (7) 일 후, 즉 5, 6, 7 또는 8 일 후, 특히 7 또는 8 일 후, 약 30 ng/ml 내지 15 ㎍/ml 이하의 항체 농도가 수득될 수 있다 (평균값 약 500 ng/ml). 이로써 제공된 양의 항체로, 항체를 더 자세히 특징 분석하기 위해, 예를 들면 결합 특이성에 관한 특징 분석하기 위해 다수의 상이한 분석들을 수행할 수 있다. 선별/선택 공정에서 상기 초기 단계에서의 항체의 개선된 특징 분석으로, 수행되어야 할 요구되는 핵산 단리 및 시퀀싱 반응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부가적으로, B-세포 클론은 모노클로날 경쇄 및 중쇄 가변 영역을 인코딩하는 mRNA 을 축퇴성 PCR 프라이머 (degenerated PCR primer) 사용을 허용해 제공하고, 고 특이적 프라이머의 필요성은 배제한다. 또한, 요구되는 PCR 사이클 수가 감소된다. 따라서, 한 구현예에서, 역전사 효소 PCR 은 경쇄 및 중쇄 가변 도메인에 대한 축퇴성 PCR 프라이머로 실시된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방법의 한 구현예에서, 공급자 혼합물은 흉선세포 배양 상청액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흉선세포 배양 상청액은 각 어린 동물의 흉선의 흉선세포로부터 수득된다. 특히 성인 동물 혈액으로부터 흉선세포의 단리와 비교시 어린 동물의 흉선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용어 "어린 동물"이란, 성적 성숙이 일어나기 전 동물을 지칭한다. 어린 햄스터는, 예를 들어 6 주령 미만, 특히 4 주령 미만이다. 어린 마우스는 예를 들어 8 주령 미만, 특히 5 주령 미만이다.
배양된 흉선세포의 상청액 (흉선세포 배양 상청액 - TSN) 으로부터 유래되는 공급자 혼합물의 기원으로 인해, 상당한 배치 (batch) 대 배치 편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변동성을 극복하기 위해, 합성 성분들로 이루어진 합성 공급자 혼합물이 개발된 바 있다. IL-1β (인터류킨-1 베타), TNFα (종양 괴사 인자 알파), IL-2 (인터류킨-2) 및 IL-10 (인터류킨-10)으로 이루어진 공급자 혼합물이 문헌 [Tuccci, A., et al., J. Immunol. 148 (1992) 2778-2784] 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여기에는, 단일 침전된 B-세포 및 공급자 세포의 공동-배양을 위한 합성 공급자 혼합물이 보고되어 있다. 또한 각 B-세포 클론에 의해 분비된 항체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한 합성 공급자 혼합물에 대한 B-세포-종-특이적 첨가제가 여기에 보고되어 있다. 부수적으로 고생성 세포는 예를 들면 과잉의 비특이적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해 결과적으로 역전사 및 인코딩 핵산의 시퀀싱을 용이하게 하는 더 많은 mRNA 를 포함한다.
SAC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균주 코완 세포, 단일의 SAC 무리를 사용하였음) 의 첨가에 의해, 항체를 분비하는 B-세포의 개수 및 공동-배양 후 상청액 내 평균 IgG-농도가 증가될 수 있다. 공동-배양에서 SAC 의 첨가에 있어서, 감소뿐 아니라 증가된 농도의 SAC 가 항체 분비량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농도 범위는 규정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8a: SAC 를 첨가하거나 또는 첨가하지 않을 때, 공급자 혼합물로서의 TSN 및 EL-4 B5 공급자 세포와 함께 공동-배양된 야생형 토끼 (NZW) 또는 인간 IgG 유전자자리를 갖는 실험 동물로부터 수득된 B-세포의 세포 배양 상청액의 huCk ELISA (huCk = 인간 C 카파) 또는 rbIgG ELISA 결과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1:20000 내지 1:150000 의 SAC 비는, IgG+-웰/세포 클론 수를 증가시키고, 1:50000 내지 1:100000 의 비가 가장 높은 수를 나타낸다는 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한 구현예에서, 배양 배지에 첨가되는 SAC 의 양은, 단계 희석물을 제공하고 첨가된 SAC 가 가장 많은 수의 IgG 양성 웰/세포 클론을 제공하는 희석물을 측정함으로써 판정된다.
놀랍게도, SAC 를 공급자-혼합물에 첨가할 때, 단일 침전된 B-세포에서만이 성장에 있어서 이로운 반면, 공동-배양을 위한 PBL (예, B 세포 및 내생성 T 세포) 혼합물을 이용하는 경우에서의 B-세포의 성장은 억제되는 방식으로, B-세포의 공동-배양에서 변화가 있다는 점이 관찰되었다.
표 8b: SAC 첨가와 함께, 공급자 혼합물로서의 TSN 및 EL-4 B5 공급자 세포와 공동-배양된 단일 침전된 B-세포 및 PBL 의 세포 배양 상청액의 huCk ELISA 또는 rbIgG ELISA 의 결과
Figure pct00011
상이한 공급자 혼합물로 수득된 추가 데이타를 하기 표 9 및 10 에 제시한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방법의 한 구현예에서, B-세포의 공동-배양을 위한 합성 공급자 혼합물은 IL-1β, TNFα, IL-2, IL-10 및 IL-21 (인터류킨-21) 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방법의 한 구현예에서, B-세포의 공동-배양을 위한 합성 공급자 혼합물은 IL-1β, TNFα, IL-2, IL-10 및 SAC 을 포함한다. 하나의 특정 구현예에서, IL-1β, TNFα, IL-2, IL-10 및 IL-21 은, 재조합 쥣과 동물 IL-1β, 쥣과 동물 TNFα, 쥣과 동물 IL-2, 쥣과 동물 IL-10, 및 쥣과 동물 IL-21 이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방법의 한 구현예에서, 쥣과 동물 B-세포의 공동-배양을 위한 합성 공급자 혼합물은 IL-1β, IL-2, IL-10, TNF-α 및 BAFF 을 포함한다. 한 특정 구현예에서, BAFF 는 5 ng/ml 농도로 첨가된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방법의 한 구현예에서, 햄스터 B-세포의 공동-배양을 위한 합성 공급자 혼합물은 IL-1β, IL-2, IL-10, TNF-α, IL-6 및 SAC 를 포함한다. 한 특정 구현예에서, IL-6 은 10 ng/ml 의 농도로 첨가된다. 한 특정 구현예에서, SAC 는 1:75,000 비로 첨가된다.
표 9: 상이한 조합으로 재조합 쥣과 동물 물질들을 포함하는 상이한 합성 공급자 혼합물 및 EL-4 B5 공급자 세포와 공동-배양된 토끼 B-세포의 세포 배양 상청액의 rbIgG ELISA 의 결과
Figure pct00012
표 10: SAC, 및 재조합 쥣과 동물 물질들을 포함하는 공급자 혼합물 또는 TSN 및 EL-4 B5 공급자 세포와 함께 공동-배양된 토끼 B-세포의 세포 배양 상청액의 IgG+-웰 (rb = 토끼, m = 마우스).
Figure pct00013
공급자 세포 및 쥣과 동물 B-세포를, IL-2 없이, IL-10 없이뿐 아니라, IL-2 및 IL-10 없이 공동 배양하면, IgG 농도는 감소하나, IgG+-웰의 수율은 증가한다. TNFα가 없으면, IgG-농도는 또한 감소된다. IL-1β 이 없는 경우에는, 어떠한 IgG 도 상청액에서 찾아볼 수 없다.
햄스터 B-세포를 각각 IL-2 없이 또는 IL-10 없이 공동배양하면, 탐지가능한 IgG-농도를 갖는 IgG+-웰이 도모된다. 이와 반대로, IL-2 및 IL-10 없이 공동 배양하는 경우, B-세포 성장은 거의 검출할 수 없을 정도이다. TNF-α 또는 IL-1β 의 부재하에서는 어떠한 IgG-분비도 측정될 수 없다.
EL-4 B5 공급자 세포의 존재하에서, 적어도 IL-1β 및 TNFα 가 마우스, 햄스터 및 토끼 B-세포의 공동 배양에 요구된다. IL-2 및 IL-10 는 쥣과 동물 세포의 공동-배양에 대해서는 생략될 수 있다. 햄스터 B-세포는 IL-2 또는 IL-10 의 부재 하에서 배양될 수 있다. 토끼 B-세포는 IL-2 또는 IL-10 또는 IL-6 의 부재 하에서 배양될 수 있다.
쥣과 동물 및 햄스터 B-세포에 있어서, IL-4 의 공급자 혼합물로의 첨가로, IgG+-웰/세포 클론의 개수뿐 아니라, 상청액 내 IgG 의 농도가 증가된다. 즉,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방법의 한 구현예에서, 쥣과 동물- 또는 햄스터-B-세포의 공동-배양을 위한 공급자 혼합물은 IL-4 를 포함한다.
쥣과 동물-B-세포 또는 햄스터-B-세포의 공동-배양을 위한 공급자 혼합물에 IL-6 의 첨가는, IgG+-웰/세포 클론 수 증가 또는 IgG-농도 증가를 각각 도모한다. 따라서,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방법의 한 구현예에서, 쥣과 동물-B-세포 또는 햄스터-B-세포의 공동-배양을 위한 공급자 혼합물은 IL-6 을 포함한다. 한 특정 구현예에서, IL-6 은 50 ng/ml 의 농도로 첨가된다. 한 특정 구현예에서, 고 IgG-농도가 요구되는 경우, IL-6 은 10 ng/ml 의 농도로 첨가된다. 한 특정 구현예에서, IL-6 의 첨가는, 선택된 B-세포 및 EL-4 B5 세포의 공동 배양 3 일 후에 실시된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한 양태는, IL-1β, TNFα, IL-10, 및 IL-21, SAC, BAFF, IL-2, IL-4, 및 IL-6 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B-세포와 공급자 세포의 공동-배양을 위한 합성 공급자 혼합물이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한 양태는, IL-1β, TNFα, IL-2, IL-10 및 SAC 를 포함하는, B-세포와 공급자 세포의 공동 배양을 위한 합성 공급자 혼합물이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한 양태는, IL-1β, TNFα 로 이루어지고, 임의로는 IL-21, 및/또는 SAC, 및/또는 BAFF, 및/또는 IL-6 을 포함하는, 쥣과 동물 B-세포와 공급자 세포의 공동-배양을 위한 합성 공급자 혼합물이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한 양태는, IL-1β, IL-2, IL-10, TNF-α 및 BAFF 을 포함하는, 쥣과 동물 B-세포와 공급자 세포의 공동-배양을 위한 합성 공급자 혼합물이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한 양태는, IL-1β, TNFα, IL-2, IL-10 및 IL-6 을 포함하는, 쥣과 동물 또는 햄스터 B-세포와 공급자 세포의 공동-배양을 위한 합성 공급자 혼합물이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한 양태는, IL-1β, TNFα, 및 IL-2 또는 IL-10 로 이루어지고, 임의로는 IL-21, 및/또는 SAC, 및/또는 BAFF 를 포함하는, 햄스터 B-세포와 공급자 세포의 공동-배양을 위한 합성 공급자 혼합물이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한 양태는, IL-1β, IL-2, IL-10, TNF-α, IL-6 및 SAC 를 포함하는, 햄스터 B-세포와 공급자 세포의 공동-배양을 위한 합성 공급자 혼합물이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한 양태는, IL-1β, TNFα, IL-10, 및 IL-6 를 포함하는, 토끼 B-세포와 공급자 세포의 공동-배양을 위한 합성 공급자 혼합물이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한 양태는, IL-1β, TNFα, IL-10, IL-6 또는 IL-2, 및 SAC 을 포함하는, 토끼 B-세포와 공급자 세포의 공동 배양을 위한 합성 공급자 혼합물이다.
한 특정 구현예에서, IL-1β, TNFα, IL-2, IL-10 및 IL-21 은, 재조합 쥣과 동물 IL-1β, 쥣과 동물 TNFα, 쥣과 동물 IL-2, 쥣과 동물 IL-10, 및 쥣과 동물 IL-21 이다.
한 특정 구현예에서, BAFF 는 5 ng/ml 의 농도로 첨가된다.
한 특정 구현예에서, IL-6 는 10 ng/ml 의 농도로 첨가된다.
한 특정 구현예에서, SAC 는 1:75,000 비로 첨가된다.
한 특정 구현예에서, 공급자 세포는 쥣과 동물 EL-4 B5 세포이다.
특정 칼륨 채널의 저해제 (= PAP-1, 5-(4-페녹시 부톡시) 프소라렌) 의 첨가는, 놀랍게도 B-세포 클론 수를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농도 의존 방식으로 B-세포의 rbIgG 분비를 증가시킨다. 통상, rbIgG 생산을 유도하는 사이토카인은 B-세포 클론의 총 개수 감소와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다. 이는 PAP-1 의 경우는 아니었다.
표 11: TSN 및 SAC (=w/o) 및 상이한 농도의 PAP-1 의 존재하 EL-4 B5 공급자 세포와 공동-배양된 B-세포의 세포 배양 상청액의 rbIgG ELISA 결과. DMSO: PAP-1 에 대한 용매 (1 μM).
Figure pct00014
7.5 % 의 TSN 농도로, 상청액 내 가장 높은 IgG 농도가 수득될 수 있다.
표 12: 공동-배양에 대한 TSN 의 영향. 7.5% 의 TSN 농도가 B-세포 성장 및 생산성을 개선시킨다.
Figure pct00015
96-웰 플레이트의 웰 당 30,000 개의 공급자 세포를 이용하는 경우, 상청액 내 IgG 농도와 조합하여 가장 높은 수의 IgG+-웰이 수득될 수 있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방법의 한 구현예에서, 단일의 침전된 B-세포 당 공급자 세포 개수는 약 30,000 이다.
표 13: 공동-배양에 대한 EL-4 B5 공급자 세포 함량의 영향
Figure pct00016
공동-배양은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방법의 한 구현예에서, 원형 바닥을 갖는 웰이 있는 폴리스티렌 멀티 웰 플레이트에서 실시된다. 웰의 작용 부피는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방법의 한 구현예에서, 50 ㎕ 내지 250 ㎕ 이다. 한 특정 구현예에서, 웰은 중합체 플라스틱 수지 및 양친매성 분자의 블렌드로부터 제조된 비(非)섬유성 기질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팅되는데, 이때 상기 양친매성 분자는 친수성 부분 및 소수성 영역을 포함하며, 이 소수성 영역은 기질 내에 안착되고, 친수성 부분은 기질 상에 노출된다. 한 특정 구현예에서, 양친매성 분자는 알킬아민 에톡실화, 폴리 (에틸렌 이민), 옥틸데카민 또는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예, EP 1 860 181 참조).
공동-배양된 세포의 특징 분석:
공동-배양 이후 분비된 IgG 의 (정성 및 정량) 측정을 위해, 일반적으로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모든 방법, 예컨대 ELISA 가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방법의 한 구현예에서, ELISA 가 사용된다. 한 특정 구현예에서, 쥣과 동물 B-세포에 의해 분비된 IgG 의 측정을 위해서, 항-IgG 항체 AB 216 (포획 항체) 및 AB 215 (추적자 항체) 를 갖는 ELISA 가 사용된다. 한 특정 구현예에서, 햄스터 B-세포에 의해 분비된 IgG 의 측정을 위해서, 모노클로날 항체 AB 220 (포획 항체) 및 AB 213 (추적자 항체) 를 갖는 ELISA 가 사용된다.
특징 분석 결과에 따라, B-세포 클론이 수득, 즉 선택될 수 있다. 용어 "클론"이란, 단일의 B-세포에서 야기된/기원된 항체 분비 B-세포 및 분열 모집단을 지칭한다. 따라서, B-세포 클론은 모노클로날 항체를 생성한다.
mRNA 의 단리, 클로닝 및 시퀀싱:
B-세포로부터 총 mRNA 는 단리 및 cDNA 에 전사될 수 있다. 특정 프라이머로, 동계 (cognate) VH- 및 VL-영역 인코딩 핵산을 증폭할 수 있다. 이로 수득된 핵산의 시퀀싱으로, 수득된 항체가 대부분의 경우 (71~ 95%) 모노클로날 항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B-세포의 시퀀싱으로부터, 어떠한 동일한 서열들도 거의 수득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방법은 동일한 항원에 결합하는 매우 다양한 항체를 제공한다.
VH-인코딩 핵산의 증폭에 사용된 프라이머는 NMRI-마우스, 아르메니아 햄스터, Balb/c-마우스뿐 아니라 시리아 햄스터 및 토끼의 세포로부터 수득된 cDNA 에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모든 방법의 한 구현예에서, 아미노산 서열은 증폭된 VH-인코딩 핵산으로부터 유도되고, 정확한 출발 및 말단 지점은 EVQL/QVQL 내지 VSS (VH-영역) 및 DIVM/DIQM 내지 KLEIK (VL-영역) 의 아미노산 서열의 위치를 찾음으로써 동정된다.
용어 "항체"는 면역글로불린 유전자로 실질적으로 인코딩된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 사슬(들)로 이루어진 단백질을 지칭한다. 인지된 면역글로불린 유전자는 상이한 불변 영역 유전자 및 무수히 많은 면역글로불린 가변 영역 유전자를 포함한다. 면역글로불린은 예를 들면 Fv, Fab, 및 F(ab)2 뿐 아니라 단일 사슬 (scFv), 디아바디, 1가, 2가, 3가 또는 4 가 형태 및 나아가 2중특이적, 3중특이적 또는 4중특이적 형태를 비롯해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 Huston, J.S.,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5 (1988) 5879-5883; Bird, R.E., et al., Science 242 (1988) 423-426; 일반적으로, Hood et al., Immunology, Benjamin N.Y., 2nd edition (1984); 및 Hunkapiller, T. 및 Hood, L., Nature 323 (1986) 15-16).
또한,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항체 제조 방법이 본원에서 보고되어 있다:
a) (실험 동물의 혈액에서 수득한) (성숙한) B-세포의 모집단을 제공함,
b) B-세포의 모집단의 세포를 하나 이상의 형광 염료 (한 구현예에서는 1 내지 3, 또는 2 내지 3 개의 형광 염료) 로 염색함,
c) 각 용기 내 B-세포의 염색된 모집단의 단일의 세포를 침전함 (한 구현예에서, 용기는 멀티 웰 플레이트의 웰임).
d) 공급자 세포 및 공급자 혼합물 (한 구현예에서, 공급자 세포는 EL-4 B5 세포이고, 한 구현예에서, 공급자 혼합물은 천연 TSN 이고, 한 구현예에서, 공급자 혼합물은 합성 공급자 혼합물임) 의 존재하에서 침전된 각 B-세포를 배양함,
e) 각 B-세포의 배양에서 분비된 항체의 결합 특이성을 측정함,
f) 역전사 PCR 및 뉴클레오티드 시퀀싱에 의해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의 가변 경쇄 및 중쇄 도메인의 아미노산 서열을 측정하고, 이로써 모노클로날 항체 가변 경쇄 및 중쇄 도메인 인코딩 핵산을 수득함,
g) 모노클로날 항체 경쇄 및 중쇄 가변 도메인 인코딩 핵산을 항체의 발현을 위한 발현 카세트에 도입함,
h) 핵산을 세포에 도입함,
i) 세포를 배양하고 이 세포 또는 세포 배양 상청액에서 항체를 회수하고 이로써 항체를 제조함.
"발현 카세트" 란, 적어도 세포 내 함유된 핵산의 발현을 위한 프로모터 및 폴리아데닐화 부위와 같은 필수 조절 요소를 포함하는 구축물을 지칭한다.
용어 "실험 동물"은, 비인간 포유동물을 지칭한다. 한 구현예에서, 실험 동물은 래트, 마우스, 햄스터, 토끼, 비인간 영장류, 양, 개, 소, 닭, 양서류 및 파충류로부터 선택된다.
하기의 실시예를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제공하는데, 이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에 제시된다.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으면 기술된 절차를 수정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실시예
실시예 1
배지 및 버퍼:
ELISA 용 블로킹 버퍼는 1X PBS 및 1% BSA 를 포함한다.
ELISA 용 코팅 버퍼는 4.29g Na2CO3* 10 H2O 및 2.93g NaHCO3 를 포함하고, 최종 1 리터 부피가 되게 물이 첨가되며, 2N HCl 로 pH 9.6 조절된다.
RNA 단리용 에탄올-용액은 70 % 에탄올 또는 80 % 에탄올을 포함한다.
면역형광염색을 위한 FACS-버퍼는 1X PBS 및 0.1 % BSA 를 포함한다.
ELISA 용 IMDM-버퍼는 1X PBS, 5 % IMDM 및 0.5 % BSA 를 포함한다.
ELISA 용 인큐베이션 버퍼 1 은 1X PBS, 0.5 % CroteinC 을 포함한다.
ELISA 용 인큐베이션 버퍼 2 는 1X PBS, 0.5 % CroteinC 및 0.02 % Tween 20 을 포함한다.
ELISA 용 인큐베이션 버퍼 3 은 1X PBS, 0.1 % BSA 을 포함한다.
ELISA 용 인큐베이션 버퍼 4 는 1X PBS, 0.5 % BSA, 0.05 % Tween, PBS (10X), 0.01 M KH2PO4, 0.1 M Na2HPO4, 1.37 M NaCl, 0.027 M KCl, pH 7.0 을 포함한다.
PCR-버퍼는 500 mM KCl, 15 mM MgCl2, 100 mM Tris/HCl, pH 9.0 을 포함한다.
ELISA 용 세정 버퍼 1 은 1X PBS, 0.05 % Tween 20 을 포함한다.
ELISA 용 세정 버퍼 2 는 1X PBS, 0.1 % Tween 20 을 포함한다.
ELISA 용 세정 버퍼 3 은 물, 0.9 % NaCl, 0.05 % Tween 20 을 포함한다.
EL-4 B5 배지는 RPMI 1640, 10 % FCS, 1 % 글루타민/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혼합물, 2 % 100 mM 나트륨 피루베이트, 1 % 1 M HEPES 버퍼를 포함한다.
실시예 2
동물 관리 및 면역화
독일 동물 보호법 (TierSCHG) 및 각 유럽 지침서에 준수하여 실험 동물을 수용하였다.
6 내지 8 주령의 마우스 및 햄스터를 입수하여, 12 주령 이전에 면역화하였다. 항원을 처음에는 프로드 완전 아주번트 (complete Freud's adjuvant; CFA) 와 함께 적용하였다. 불완전 프로드 아주번트 (IFA) 로 추가 적용하였다. 입수 실험 동물의 체중에 따라 50 내지 100 ㎍ 항원을 포함하는 항원 함유 에멀젼을 피하 적용하였다.
NZW 토끼 (Charles River Laboratories International, Inc.) 를 면역화에 사용하였다. 안정된 에멀젼 생성시까지, 항원을 1 mg/ml 의 농도의 K3PO4 버퍼 pH 7.0 에 용해하고, 프로드 완전 아주번트 (CFA) 와 (1:1) 혼합하였다. 상기 토끼에 2 ml 의 에멀젼을 피내 (i.d.) 주사 후에, 2 차 근육 내 (i.m.) 주사 및 3 차 피하 (s.c.) 주사 (각각 1 ml) 를 1 주일 간격으로 투여하였다. 1 ml 의 4 차 i.m. 주사를 2 주 후에 투여한 후, 2 회 추가의 1 ml s.c. 주사를 4 주 간격으로 투여했다.
면역화 동안, 혈청 항체 역가를 항원 특이성 검정으로 측정했다. 1:10000 의 IC50 을 가진 항체 역가에서, 면역화 동물의 혈액 또는 비장을 취했다. 항원 특이성 B-세포의 재활성화를 위해, 30 ㎍ 내지 50 ㎍ 의 항원을 실험 동물 정맥내에 혈액 또는 비장을 취하기 3 일 전에 적용하였다.
실시예 3
기관, 혈액 및 대식세포의 제거
마우스 및 햄스터의 혈액을 안구뒤 정맥을 끊어 수득하였다. 토끼의 혈액을 귀 정맥을 끊어 수득하거나, 또는 더 많은 양을 수득하기 위해서는 귀 동맥을 끊어 수득하였다. 전혈 (10 ml) 을 토끼에서 3 차, 4 차, 5 차 및 6 차 면역화 후 4-6 일 후에 수집하여 FACS 에 의한 단일 세포 분류에 사용했다.
대식세포를 수득한 혈액으로부터 세포 배양 플라스틱으로의 부착에 의해 단리하였다. 마우스 및 햄스터로부터, 약 3*105 대식세포를 각 동물로부터 상기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다량의 마우스 또는 햄스터 대식세포가 필요한 경우, 복막 대식세포를 단리리하였다. 이를 위해, 동물은 적어도 3달령이어야 한다. 복막 대식세포의 제거를 위해, 동물을 희생시키고, 37 ℃ 의 온도에서의 5 ml 의 EL-4 B5 배지를 즉시 복막강에 주입하였다. 동물의 배를 5분 니딩 (kneading) 후, 세포 함유 용액을 제거하였다.
실시예 4
EL-4 B5 세포의 배양
동결 EL-4 B5 세포를 37 ℃ 수조에서 신속하게 해동하고, 10 ml EL-4 B5 배지로 희석하였다. 300 x g 에서 10 분 원심분리 후, 상청액을 버리고, 펠릿을 배지에서 재현탁하였다. 추가 원심분리 단계 후, 상청액을 다시 버리고, 펠릿을 1 ml 배지에서 재현탁하였다.
EL-4 B5 세포를 175 ㎡ 배양 플라스크 내 3 x 104 세포/ml 의 세포 밀도로 접종하였다. 세포 밀도를 이틀 마다 측정하고, 3 x 104 cell/ml 로 조절하였다. 세포는 약 12 시간의 배가 시간을 갖고, 5 x 105 세포/ml 미만의 세포 밀도로 배양해야 하는데, 그 이유는 더 큰 세포 밀도로는 세포의 자극 특성을 잃기 때문이다.
총 세포수가 약 1.5 x 109 세포인 경우, 배지를 원심분리를 통해 제거하였다. 그 후에 세포를 50 그레이 (5000 rad) 로 조사하였다. 트립탄 블루로써 생세포수를 측정한 후, 5 x 106 내지 1 x 107 세포 염색물을 분취해 -80 ℃ 에서 동결하였다.
공동-배양을 위해, 상기 세포를 해동시키고 2 회 EL-4 B5 배지로 세정했다. 생세포수 측정을 위해, 세포 현탁액을 0.4 % (w/v) 트립탄 블루 용액으로 1:10 희석하고, 10 ㎕ 의 혼합물을 Neubauer 계측 챔버로 옮겨, 세포수를 카운팅했다.
실시예 5
밀도 구배 원심분리
말초 혈액 단핵 세포 (PBMC) 를 제작자 지침 A 에 따라 Lympholyte? 로 밀도 구배 분리로써 단리했다. (Lympholyte?-mammal, cedarlane).
채취한 혈액을 인산염완충 식염수 (PBS) 로 2:1 희석했다. 원심분리기 바이얼에, 동일 부피의 밀도 분리 배지를 제공하고, 희석한 혈액을 조심스럽게 바이얼 벽을 통해 첨가했다. 바이알을 20 분 800 x g 에서 제동 없이 원심분리하였다. 림프구를 백색 중간층에서 수득했다. 제거된 세포를 10 ml PBS 로 보충하고, 800 x g 에서 10 분 원심분리하였다. 상청액을 버리고, 펠릿을 재현탁하고, 세정하고, 원심분리하였다. 최종 펠릿을 PBS 에서 재현탁했다.
실시예 6
적혈구의 저장성 용해
적혈구의 저장성 용해에 의한 파괴를 위해서, 염화암모늄 용액 (BD LyseTM) 을 물로 1:10 희석하고, 1:16 의 비로 전혈에 첨가했다. 적혈구 용해를 위해, 혼합물을 15 분 암실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온전한 세포로부터 세포 잔사물 (cell debris) 을 분리하기 위해, 용액을 10 분 800 x g 에서 원심분리하였다. 상청액을 버리고, 펠릿을 PBS 중에 재현탁하고, 다시 세정하고, 원심분리한 다음 펠릿을 PBS 에 재현탁하였다.
실시예 7
실험 동물의 내부 기관의 세포 제조
비장 및 흉선 세포의 제조를 위해, 각 기관을 페트리 디쉬에서 절개하고, 세포를 PBS 에 녹였다. 남은 조직의 제거를 위해, 세포 현탁액을 100 μM 체를 통해 여과했다. 비장 세포로부터 림프구를 수득하기 위해, 밀도 구배 원심분리를 활용했다. 흉선 세포에 있어서, 어떠한 추가적인 강화 단계는 요구되지 않았다.
실시예 8
대식세포의 결핍
멸균 6-웰 플레이트 (세포 배양 등급) 을 이용해 대식세포 및 단핵구를 불특정 부착을 통해 결핍시키는데 사용하였다. 웰을 KLH (키홀 림펫 헤모시아닌) 또는 스트렙타비딘 및 대조군 펩티드로 코팅하였다. 각 웰을 3 ml 내지 최대 4 ml 배지와 6x106 이하의 면역화 토끼의 말초 혈액 단핵 세포로 충전하고, 60 분 내지 90 분간 37 ℃ 에서 인큐베이터에서 결합되도록 허용하였다. 그 후에, 림프구 함유 상청액을 원심분리 바이얼에 옮기고, 800 x g 에서 10 분간 원심분리하였다. 펠릿을 PBS 에 재현탁하였다.
상청액 중 50 % 의 세포를 패닝 단계에 사용했다; 나머지 50 % 의 세포는 면역 형광 염색 및 단일 세포 분류에 직접 적용하였다.
실시예 9
KLH-특이적 B-세포의 결핍
키홀 림펫 헤모시아닌 (KLH) 함유 용액 4 밀리리터를 하룻밤 실온에서 멀티 웰 플레이트의 웰에서 2 ㎍/ml 농도의 코팅 버퍼로 인큐베이션하였다. 결핍 단계 이전에, 상청액을 제거하고, 웰을 PBS 로 2 회 세정했다. 그 후에, 혈액 세포를 2 x 106 세포/ml 의 세포 밀도로 조절하고, 3 ml 를 멀티 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첨가했다. 그 후, 멀티 웰 플레이트를 60 내지 90 분 37 ℃ 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상청액을 원심분리 바이얼로 옮기고, 웰을 2 회 PBS 로 세정하고, 상청액을 원심분리 바이알에서 조합하였다. 세포를 800 x g 에서 10 분 원심분리해 펠릿화하고, 펠릿을 PBS 에서 재현탁하였다.
실시예 10
항원-특이성 B-세포의 강화
각 항원을 코팅 버퍼로 2 ㎍/ml 의 최종 부피로 희석하였다. 3 ml 의 상기 용액을 6-웰 멀티 웰 플레이트의 웰에 첨가하고, 하룻밤 실온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사용 이전에, 상청액을 제거하고, 웰을 2 회 PBS 로 세정하였다. B-세포 용액을 2 x 106 세포/ml 의 농도로 조절하고, 3 ml 을 6-웰 멀티 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첨가했다. 플레이트를 60 내지 90 분 동안 37 ℃ 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상청액을 제거하고, 웰을 2 내지 4 회 PBS 로 세정했다. 항원-특이성 B-세포의 회수를 위해, 1 ml 의 트립신/EDTA-용액을 멀티 웰 플레이트의 웰에 첨가하고, 10 내지 15 분 동안 37 ℃ 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을 배지 첨가로 중단하고 상청액을 원심분리 바이얼에 옮겼다. 웰을 2 회 PBS 로 세정하고 상청액을 다른 상청액과 조합했다. 세포를 원심분리로 10 분 800 x g 에서 펠릿화하였다. 펠릿을 PBS 에 재현탁했다.
실시예 11
B-세포 및 EL-4 B5 세포의 공동-배양
a) 공동-배양을 둥근 바닥 96-웰 멀티 웰 플레이트에서 수행했다. EL-4 B5 세포 (1.6 x 106 세포 / 15.2 ml) 및 EL-4 B5 배지 내 사이토카인을 포함하는 기본 용액을 제조했다. 200 ㎕ 의 기본 용액을 멀티 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첨가했다. 각 웰에, 단일의 B-세포를 형광 활성화 세포 분류에 의해 첨가했다. B-세포의 첨가 후, 플레이트를 5 분 300 x g 에서 원심분리했다. 플레이트를 7 일 간37 ℃ 에서 인큐베이션했다.
b) 단일 분류된 B 세포를, Pansorbin 세포 (1:20000) (Calbiochem (Merck), Darmstadt, Deutschland), 5 % 토끼 흉선세포 상청액 및 감마-조사된 EL-4-B5 쥣과 동물 흉선종 세포 (2 x 104/웰) 을 갖는 210 ㎕/웰 EL-4 B5 배지를 담은 96-웰 플레이트에서 7 일간 37 ℃ 에서 5 % CO2 의 분위기 하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했다. B 세포 배양 상청액을 스크리닝을 위해 제거하고, 세포를 가변 영역 유전자 클로닝을 위해 즉각 수집하거나 또는 - 80 ℃ 에서 100 ㎕ RLT 버퍼 중 (Qiagen, Hilden, Germany) 에서 동결하였다.
실시예 12
T-세포의 배양
T-세포를, 3-4 주령의 마우스 및 햄스터의 흉선에서, 또는 4-5 주령 토끼의 흉선에서 각각 단리하였다. 세포를 원심분리하고 즉시 배양하거나 또는 3 x 107 세포의 분취량으로 동결했다. 흉선세포를 175 ㎠ 배양 플라스크 내 EL-4 B5 배지에 5 x 105 세포/ml 의 최소 세포 밀도로 시딩하고 48 시간 동안 37 ℃ 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실시예 13
대식세포의 배양
대식세포를 3달령 이상의 마우스 및 햄스터의 복막강에서 각각 단리하였다. 마우스 또는 햄스터의 복막 대식세포, 또는 토끼의 혈액 단핵 세포를 1.5 시간 37 ℃ 에서 175 ㎠ 배양 플라스크 내 1 x 105 세포/ml 이상의 세포 밀도로 EL-4 B5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배지를 제거하고, 비부착 세포를 부착된 대식세포로부터 가온 EL-4 B5 배지로 세정함으로써 제거한 후, 48 시간 동안 35 ml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실시예 14
T-세포 및 대식세포의 공동-배양
T-세포 및 대식세포를, 별개의 플라스크에서 48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두 세포 모집단을 조합하기 이전에, T-세포를 10 분 800 x g 에서 원심분리하였다. 상청액을 버리고, 세포 펠릿을 10 ml 배지에서 재현탁하였다. T-세포를 5 x 105 세포/ml 의 최소 세포 밀도로 조절하고, 배지 1 ml 당 10 pg 포르볼-12-미리스테이트-13-아세테이트 (PMA) 및 5 ng 또는 50 ng 피토헤마글루티닌 M (PHA-M) 을 첨가했다. 배양 배지에서 대식세포를 제거하고 T-세포 현탁액을 대식세포 함유 플라스크에 첨가했다. 36 시간의 공동-배양 후, 배양 배지를 제거하고, 이를 TSN 용액으로 명명했다. 잔류 세포 제거를 위해, TSN 용액을 0.22 μm 필터를 통해 여과했다. TSN 용액을 4 ml 의 분취량으로 - 80 ℃ 에서 동결하였다.
실시예 15
면역형광 염색
염색되는 세포의 개수에 따라, 세포를 100 ㎕ 배지 (106 개 미만의 세포) 또는 200 ㎕ 배지 (106 개 초과의 세포) 에 각각 제공하였다. 형광 라벨링된 항체를, 실험 동물 5 % 혈청 및 FACS 버퍼로 각각 100 ㎕ 또는 200 ㎕ 의 최종 부피로 희석했다. 반응 혼합물을 40 분간 4 ℃ 에서 암실 내 롤러 랙 상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후, 세포를 2 회 300 x g 에서 5 분 세정하였다. 펠릿을 400 ㎕ PBS 에서 재현탁하고, 70 μm 체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된 용액을 FACS-바이알로 옮기고, FACS 실험 바로 직전에 죽은 세포를 프로피듐 요오다이드 (6.25 ㎍/ml) 의 첨가로 염색했다. 라벨링된 항체를 비오틴으로 라벨링한 경우에는, 항체를 스트렙타비딘 라벨링된 Alexa Flour(R) 647 (항체 197) 을 이용한 제 2 단계에서 검출하였다.
실시예 16
IgG 의 정량화
공동 배양을 수행한 96-웰 멀티 웰 플레이트를, 공동 배양 7 일 후에 300 x g 에서 5 분 동안 원심분리했다. 150 ㎕ 상청액을 제거하고, 제 2 의 96-웰 멀티 웰 플레이트에서 PBS 와 2:1 의 비율로 희석했다.
ELISA 를 실시예 17 에서 개괄한 바와 같이 수행했다.
항체를 50 ng/ml 의 농도에서 이용했다. OD 가 5 분의 인큐베이션 후 1 이거나 1 을 초과한 경우, 0.8 내지 108 ng/ml IgG 의 계단 희석물을 테스트하였다.
실시예 17
항원-특이성 IgG 의 검출
단일 침전되고 공동 배양된 B-세포에 의해 생성되거나 또는 면역화 실험 동물에서 수득한 B 세포로부터 생성된 항체는 특이적 항원 결합으로 특징 분석될 수 있다. ELISA 를 실온에서 수행하였고, ELISA-용액을 각 단계 사이에서 진탕기 상 20 x g 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제 1 단계에서, 항원을 96-웰 멀티 웰 플레이트의 웰에 결합시켰다. 항원이 단백질인 경우, 이를 코팅 버퍼 중에서 희석하고 직접 플레이트에 적용하였다. 펩티드 항원을 특이적 결합쌍 비오틴/스트렙타비딘을 통해 결합시켰다. 멀티 웰 플레이트의 웰은 이미 제작자가 가용성 CroteinC (CrC) 로 코팅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웰을 200 ㎕ 블로킹 버퍼로 항원의 고정 후 인큐베이션하였다. 웰 당 100 ㎕ 항원 용액으로 (사전-코팅된 멀티 웰 플레이트) 또는 200 ㎕ 블로킹 버퍼로 각각 인큐베이션 후, 비결합된 항원 또는 블로킹 버퍼를 세정 버퍼로 세정하여 제거하였다. 희석된 B-세포 상청액을 웰 당 100 ㎕ 의 부피로 첨가하고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후, 웰을 세정했다. 그 후, 탐지 항체를 웰 당 100 ㎕ 의 부피로 첨가하였다. 항체를 서양고추냉이 퍼옥시다아제에 콘쥬게이션할 수 있거나, 또는 비오틴으로 라벨링할 수 있다. 탐지 항체를 스트렙타비딘-서양고추냉이 퍼옥시다아제 콘쥬게이트로 측정하였다. 인큐베이션 후, 멀티 웰 플레이트를 세정하고, 그 후 3,3',5,5' 테트라메틸 벤지딘 (TMB)함유 기질 용액 50 ㎕ 을 웰마다 첨가하고, 인큐베이션하였다. 효소 반응을 50 ㎕ 황산 첨가로 중단하고, 광학 밀도를 450 nm 및 680 nm 에서 광도계 (Rainbow Thermo ELISA Reader) 및 Xread 플러스-소프트웨어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18
리보핵산 (RNA) 의 단리
세포 (RNA 는 단리했어야 함) 를 처음에는 원심분리에 의해 펠릿화하였다. 이 세포 펠릿을 10 ㎕/ml 베타-메르캅토에탄올을 갖는 100 ㎕ RLT-버퍼의 첨가로 용해하였다. 세포를 피펫으로 다중 혼합함으로써 재현탁하였다. 용액을 멀티 웰 플레이트의 웰로 옮겼다. 플레이트를 곧 200 x g 에서 충격을 주고 -20 ℃ 에서 동결했다.
RNA 의 단리를 RNeasy?Kit (Qiagen, Hilden, Germany) 로 제작자 지침에 따라 수행했다.
실시예 19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 반응
역전사를 20 ㎕ 부피로 수행했다. 각 반응의 대조군은 역전사효소로 및 역전사효소 없이 수행하였다. 반응에 있어서, 1 ㎕ dNTP (각, 10 mM), 0.4 ㎕ 올리고(dT)12-18 (0.2 ㎍) 및 0.6 ㎕ 랜덤 헥사머 (0.03 ㎍) 를 사전-혼합하였고, H2O 중 8.5 ㎕ RNA 에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5 분 동안 65 ℃ 에서 인큐베이션하고, 직후 얼음에 옮겼다. 그 후, 2 ㎕ RT-버퍼 (10 x), 4 ㎕ MgCl2 (25 mM), 2 ㎕ DTT (0.1 M) 및 1 ㎕ RNAse OutTM (40 단위) 를 사전-혼합하고, 빙냉 반응 혼합물에 첨가했다. 실온에서 2 분의 인큐베이션 시간 후, 0.5 ㎕ SuperscriptTM II 역전사효소 (25 단위) 를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10 분 실온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번역은 50 분 동안 42 ℃ 에서 수행했다. 번역 후, 역전사효소를 15 분 동안 70 ℃ 에서의 인큐베이션으로써 불활성화시켰다. cDNA 를 -20 ℃ 에서 보관했다.
실시예 20
중합효소 연쇄 반응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Taq PCR Core Kit (Qiagen, Hilden, Germany) 로 제작자 지침에 따라 실시했다. PCR 을 20 ㎕ 의 부피로 수행했다. 샘플을 95℃ 의 온도에서 Mastercyler? 에 옮겼다.
실시예 21
시퀀싱
모든 서열을 SequiServe (Vaterstetten, Germany) 로 측정했다.
실시예 22
항원 패닝
a) 플레이트 코팅
비오틴/스트렙타비딘: 멸균의 스트렙타비딘-코팅된 6-웰 플레이트 (세표 배양 등급) 를, 1 시간 동안 실온에서 PBS 중 비오티닐화 항원으로 0.5 - 2 ㎍/ml 의 농도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플레이트를 멸균 PBS 에서 사용하기 전 3 회 세정하였다.
공유 결합된 단백질: 세포 배양 6-웰 플레이트를 4 ℃ 에서 하룻밤에 걸쳐 탄산염 버퍼 중 (0.1 M 중탄산나트륨, 34 mM 탄산수소디나트륨, pH 9.55), 2 ㎍/ml 단백질로 코팅했다. 플레이트를 멸균 PBS 로 사용하기 전에 3 회 세정했다.
b) 펩티드 상 B-세포의 패닝
각 항원으로 코팅된 6-웰 조직 배양 플레이트를 4 ml 배지 당 6x106 이하의 세포로 시딩하고, 인큐베이터에 1 시간 동안 37 ℃ 에서 결합되게 허용하였다. 비부착 세포를 조심스럽게 웰을 1-2 회 1xPBS 로 세정하여 제거했다. 잔류하는 점착성 세포를 트립신으로 인큐베이터에 10 분간 37 ℃ 에서 떼어낸 후 배지에서 2 회 세정했다. 세포를 얼음 상에 면역 형광 염색될때까지 유지하였다.

Claims (21)

  1.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B-세포의 선택 방법:
    a) 단일 세포로서 침전되어진 B-세포 모집단의 B-세포 각각을 공급자 세포와 공동-배양함,
    b) 단계 a) 에서 항체를 증식시키고 분비하는 B-세포 클론을 선택함.
  2.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타겟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의 제조 방법:
    a) 공급자 세포 및 공급자 혼합물의 존재 하에서, 개별 용기 내 단일 세포로서 침전되어진 B-세포 모집단의 각 B-세포를 공동-배양함,
    b) 타겟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생성하는 B-세포 클론을 선택함,
    c) 단계 b) 에서 선택된 B-세포 클론에 의해 생성된 항체를 인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세포, 또는 이의 인간화 변이체를 배양하고, 세포 또는 배양 상청액에서 항체를 회수하여 이로써 항체를 제조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단일 세포 침전 이전에 공동-배양 배지에서 B-세포의 모집단을 인큐베이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인큐베이션이 약 37 ℃ 에서 약 1 시간 동안 실시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동-배양 이전에 단일 세포 침전된 B-세포를 원심분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원심분리가 약 5 분 동안 약 300 x g 에서 실시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세포의 모집단이 밀도 구배 원심분리에 의해 단리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세포가 성숙한 B-세포인 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벨링이 2 또는 3 개의 형광 염료로 실시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총 B-세포 모집단 중 0.1 % 내지 2.5 % 의 세포가 라벨링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세포가 마우스 B-세포, 또는 햄스터 B-세포, 또는 토끼 B-세포인 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급자 세포가 쥣과 동물 EL-4 B5 세포인 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동-배양이 FCS 10 % (v/v), 페니실린 및 스트렙토마이신 포함 200 mM 글루타민 용액 1 % (w/v), 100 mM 나트륨 피루베이트 용액 2 % (v/v), 및 1 M 2-(4-(2-히드록시에틸)-1-피페라진)-에탄 술폰산 (HEPES) 버퍼 1 % (v/v) 로 보충된 RPMI 1640 배지에서 실시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10 항 및 제 12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세포가 마우스 기원의 것이고, 라벨링은 IgG+CD19+-B-세포, 및/또는 IgG-CD138+-B-세포의 것인 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 항 내지 제 10 항 및 제 12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세포가 햄스터 기원의 것이고, 라벨링은 IgG+IgM--B-세포의 것인 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 항 내지 제 10 항 및 제 12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세포가 토끼 기원의 것이고, 라벨링은 IgG+-B-세포 및/또는 CD138+-B-세포, 또는 CD138+IgG+-B-세포 및/또는 IgG+IgM--B-세포의 것인 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동-배양이 인터류킨-1 베타 및 종양 괴사 인자 알파, 및 인터류킨-2 및 인터류킨-10 및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균주 코완 세포를 포함하는 합성 공급자 혼합물의 존재하에서 실시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동-배양이 인터류킨-1 베타 및 종양 괴사 인자 알파, 및 인터류킨-2 및 인터류킨-10 및 인터류킨-21 을 포함하는 합성 공급자 혼합물의 존재하에서 실시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동-배양이 인터류킨-1 베타 및 종양 괴사 인자 알파, 및 인터류킨-2 및 인터류킨-10 및 종양 괴사 인자 패밀리의 B-세포 활성화 인자 (BAFF) 를 포함하는 합성 공급자 혼합물의 존재하에서 실시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동-배양이 공급자 혼합물로서 흉선세포 배양 상청액의 존재하에서 실시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흉선세포 배양 상청액이 어린 동물의 흉선의 흉선세포에서 수득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27030603A 2010-05-28 2011-05-26 단일 b-세포 배양법 KR1014959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005602.7 2010-05-28
EP10005602.7A EP2400298B1 (en) 2010-05-28 2010-05-28 Single B-cell cultivation method and specific antibody production
PCT/EP2011/058616 WO2011147903A1 (en) 2010-05-28 2011-05-26 Single b-cell cultivation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758A true KR20130030758A (ko) 2013-03-27
KR101495976B1 KR101495976B1 (ko) 2015-02-25

Family

ID=42396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0603A KR101495976B1 (ko) 2010-05-28 2011-05-26 단일 b-세포 배양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4) US20130084637A1 (ko)
EP (4) EP2400298B1 (ko)
JP (3) JP5779239B2 (ko)
KR (1) KR101495976B1 (ko)
CN (2) CN105039252B (ko)
BR (1) BR112012025695B1 (ko)
CA (2) CA2798286C (ko)
DK (1) DK2400298T3 (ko)
ES (3) ES2434256T3 (ko)
HK (2) HK1181112A1 (ko)
MX (2) MX2012013437A (ko)
PL (2) PL2400298T3 (ko)
RU (1) RU2709531C2 (ko)
SI (1) SI2400298T1 (ko)
WO (1) WO20111479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1201403365TA (en) * 2011-12-21 2014-07-30 Hoffmann La Roche Rapid method for cloning and expression of cognate antibody variable region gene segments
US10017739B2 (en) 2012-09-06 2018-07-10 Duke University Methods of expanding and assessing B cells and using expanded B cells to treat disease
EP2727942A1 (en) 2012-11-05 2014-05-07 MAB Discovery GmbH Bispecific antibodies against human EGFR, HER2, and HER3
US20150259430A1 (en) 2012-11-05 2015-09-17 Mab Discovery Gmbh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multispecific antibodies
EP2727941A1 (en) 2012-11-05 2014-05-07 MAB Discovery GmbH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multispecific antibodies
EP2727943A1 (en) 2012-11-05 2014-05-07 MAB Discovery GmbH Trispecific antibodies against human EGFR, HER2 and HER3
PT2971039T (pt) 2013-03-14 2020-05-06 Immusoft Corp Métodos para diferenciação e transdução in vitro de células b de memória com vetores virais pseudotipados vsv-g
KR20150140679A (ko) 2013-03-15 2015-12-16 앨더 바이오파마슈티컬즈, 인코포레이티드 항원-특이적 b 세포를 확인하고 단리시키고, 원하는 항원에 대한 항체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토콜
CN104232577B (zh) * 2013-06-20 2017-12-01 中国人民解放军军事医学科学院基础医学研究所 一种获得自身反应性b细胞的方法
WO2015099534A1 (en) * 2013-12-24 2015-07-02 Aimm Therapeutics B.V. Ex vivo antibody production
WO2016207304A2 (en) 2015-06-26 2016-12-29 Mab Discovery Gmbh Monoclonal anti-il-1racp antibodies
US11649293B2 (en) 2015-11-18 2023-05-16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Method for enhancing humoral immune response
EP3436571B1 (en) 2016-03-30 2023-06-14 F. Hoffmann-La Roche AG B-cell cultivation method
EP3241845A1 (en) 2016-05-06 2017-11-08 MAB Discovery GmbH Humanized anti-il-1r3 antibodies
CN106222137A (zh) * 2016-08-24 2016-12-14 南昌大学 一种体外活化人记忆性b细胞成浆细胞的培养方法
EP3554515A4 (en) 2016-12-15 2020-08-26 Duke University B10 REGULATORY CELL DEPLETION ANTIBODIES AND METHODS AND THEIR USE IN COMBINATION WITH IMMUNITY CHECKPOINT INHIBITORS
JP6916884B2 (ja) * 2017-01-02 2021-08-11 エフ.ホフマン−ラ ロシュ アーゲーF. Hoffmann−La Roche Aktiengesellschaft B細胞培養法
EP3401332A1 (en) 2017-05-08 2018-11-14 MAB Discovery GmbH Anti-il-1r3 antibodies for use in inflammatory conditions
EP3625332B1 (en) 2017-05-19 2022-02-02 F. Hoffmann-La Roche AG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thymocyte supernatant
US20210135223A1 (en) * 2017-11-08 2021-05-06 Sharp Kabushiki Kaisha Negative electrode for batteries,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battery
WO2019105864A1 (en) 2017-11-30 2019-06-06 F. Hoffmann-La Roche Ag B-cell cultivation method
CN108588019B (zh) * 2018-05-03 2019-04-02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朝阳医院 一种体外诱导初始b细胞分化为调节性b细胞的方法及其培养条件
CN109234232A (zh) * 2018-09-30 2019-01-18 杭州华安单抗生物技术有限公司 兔外周血b细胞的培养体系及培养方法、抗体的制备方法和应用
WO2020141145A1 (en) * 2018-12-30 2020-07-09 F. Hoffmann-La Roche Ag Anti-rabbit cd19 antibodies and methods of use
WO2021211997A1 (en) * 2020-04-16 2021-10-21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B cell immunomodulatory therapy for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CN111518765B (zh) * 2020-05-12 2021-01-26 优睿赛思(武汉)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b淋巴细胞体外培养体系及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6678A (ja) * 1981-12-28 1983-07-11 Ajinomoto Co Inc 浮遊性動物細胞の培養法およびその装置
JPS58216125A (ja) * 1982-06-09 1983-12-15 Asahi Chem Ind Co Ltd ヒト抗体の産生方法
AU7767191A (en) * 1990-04-17 1991-11-11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U.S. Department of Commerce, The Feeder cells for monoclonal antibody production
US5387940A (en) * 1993-07-07 1995-02-07 Rca Thomson Licensing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caleable compressed video signal
US5811524A (en) * 1995-06-07 1998-09-22 Idec Pharmaceuticals Corporation Neutralizing high affinity human monoclonal antibodies specific to RSV F-protein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and therapeutic use thereof
US6541225B1 (en) * 2000-01-26 2003-04-01 Raven Biotechnologi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generating human monoclonal antibodies
WO2002014481A1 (fr) * 2000-08-16 2002-02-21 Takara Bio Inc. Procede de culture extensive de lymphocytes t cytotoxiques specifiques de l'antigene
US20060051348A1 (en) 2004-09-09 2006-03-09 Jorn Gorlach Method of producing a plurality of isolated antibodies to a plurality of cognate antigens
US20070031550A1 (en) 2005-08-15 2007-02-08 Samson Allan D Method for continuously processing meat substrates
WO2007031550A2 (en) * 2005-09-15 2007-03-22 Crucell Holland B.V. Method for preparing immunoglobulin libraries
CA2625619A1 (en) * 2005-10-14 2007-04-26 Medimmune, Inc. Cell display of antibody libraries
NZ600075A (en) * 2005-12-09 2013-12-20 Amc Amsterdam Means and methods for influencing the stability of antibody producing cells
NZ569816A (en) * 2005-12-16 2011-10-28 Ribovax Biotechnologies Sa Methods for obtaining immortalized antibody secreting cells
US20070269868A1 (en) * 2006-05-19 2007-11-22 Carvalho Jensen Anne E Culture method for obtaining a clonal population of antigen-specific B cells
US8642307B2 (en) 2006-05-25 2014-02-04 Nalge Nunc International Corporation Cell culture surface chemistries
NZ581596A (en) 2007-05-21 2012-02-24 Alderbio Holdings Llc Antibodies to il-6 and use thereof
US8404235B2 (en) * 2007-05-21 2013-03-26 Alderbio Holdings Llc Antagonists of IL-6 to raise albumin and/or lower CRP
US8394583B2 (en) * 2008-07-24 2013-03-12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VH4 codon signature for multiple sclerosis
CA2738566C (en) * 2008-10-01 2024-04-30 Micromet Ag Bispecific single chain antibodies with specificity for high molecular weight target antigens
MX2011003855A (es) * 2008-10-22 2011-12-16 Inst Research In Biomedicine Metodos para producir anticuerpos a partir de celulas plasmaticas.
EP2233502A1 (en) * 2009-03-27 2010-09-29 Deutsches Rheuma-Forschungszentrum Berlin Sialylated antigen-specific antibodies for treatment or prophylaxis of unwanted inflammatory immune reactions and methods of producing them
SG175305A1 (en) * 2009-04-23 2011-11-28 Theraclone Sciences Inc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gm-csf) neutralizing antibodies
WO2011046623A2 (en) * 2009-10-16 2011-04-21 Duke University Hiv-1 antibod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51621A1 (en) 2016-09-01
EP2400298A1 (en) 2011-12-28
RU2709531C2 (ru) 2019-12-18
US20180298335A1 (en) 2018-10-18
US20130084637A1 (en) 2013-04-04
EP2400298B1 (en) 2013-08-14
CA3008822C (en) 2020-08-25
BR112012025695A2 (pt) 2016-07-05
CA3008822A1 (en) 2011-12-01
CA2798286A1 (en) 2011-12-01
HK1212731A1 (zh) 2016-06-17
PL3239708T3 (pl) 2021-06-14
EP3239708A1 (en) 2017-11-01
JP5779239B2 (ja) 2015-09-16
ES2858450T3 (es) 2021-09-30
CA2798286C (en) 2019-05-28
WO2011147903A1 (en) 2011-12-01
EP3239708B1 (en) 2021-01-06
ES2434256T3 (es) 2013-12-16
CN105039252A (zh) 2015-11-11
DK2400298T3 (da) 2013-09-02
RU2015155197A (ru) 2019-01-16
EP3825690A1 (en) 2021-05-26
US20210062149A1 (en) 2021-03-04
RU2015155197A3 (ko) 2019-07-17
CN102918395B (zh) 2015-09-09
HK1181112A1 (en) 2013-11-01
MX345884B (es) 2017-02-22
EP2577304B1 (en) 2017-05-10
EP2577304A1 (en) 2013-04-10
MX2012013437A (es) 2013-01-22
PL2400298T3 (pl) 2014-01-31
KR101495976B1 (ko) 2015-02-25
BR112012025695B1 (pt) 2022-06-21
ES2632928T3 (es) 2017-09-18
RU2012153785A (ru) 2014-07-10
SI2400298T1 (sl) 2013-11-29
CN102918395A (zh) 2013-02-06
JP2017169579A (ja) 2017-09-28
JP6204415B2 (ja) 2017-09-27
JP2013526286A (ja) 2013-06-24
CN105039252B (zh) 2019-05-28
JP6353953B2 (ja) 2018-07-04
JP2015211690A (ja) 2015-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53953B2 (ja) 単一b細胞培養法
JP2013526286A5 (ko)
US20240117308A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thymocyte supernatant
US11952586B2 (en) B-cell cultivation method
JP6916884B2 (ja) B細胞培養法
JP7026634B2 (ja) B細胞培養法
RU2575569C2 (ru) Способ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одиночной в-клетки
WO2020129838A1 (ja) 特定抗原特異的抗体を産生する細胞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