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6325A -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 - Google Patents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6325A
KR20130016325A KR1020127028968A KR20127028968A KR20130016325A KR 20130016325 A KR20130016325 A KR 20130016325A KR 1020127028968 A KR1020127028968 A KR 1020127028968A KR 20127028968 A KR20127028968 A KR 20127028968A KR 20130016325 A KR20130016325 A KR 20130016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board
base member
printed
assembled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8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7563B1 (ko
Inventor
히사시 가와모토
Original Assignee
세이코 프레시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프레시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프레시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16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0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 H05K7/1405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by clips or resilient members, e.g.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에 설치된 측벽부를 포함하는 오목부를 가진 베이스 부재와, 상기 오목부 내에 보유되고 강성을 가진 프린트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프린트 기판의 제1면을 누르는 누름부를 가지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프린트 기판의 제2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지고, 상기 프린트 기판은, 상기 바닥부에 대해서 슬라이드(slide)시킴으로써 상기 지지부와 상기 누름부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오목부에 보유된다.

Description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PRINTED SUBSTRATE HOLDING DEVICE}
본 발명은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린트 기판을 보유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장치는 예를 들면 프린트 기판을 지지하는 베이스 부재와, 베이스 부재에 설치되고 프린트 기판을 베이스 부재에 꽉 누르기 위한 조부(pawl portion)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조부는 탄성 변형한다. 프린트 기판을 베이스 부재에 조립할 때에는 작업자는 프린트 기판을 베이스 부재에 대해서 꽉 누름으로써 프린트 기판의 가장자리(edge)에 조부가 맞닿아 조부가 탄성 변형하여 조립된다. 특허 문헌 1에는 이러한 장치에 관련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1996-107286호 공보
이러한 장치를 박형화하는 경우, 조부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렇지만, 조부의 길이가 짧으면 프린트 기판에 맞닿아 탄성 변형할 때에 조부가 크게 만곡한다. 이에 의해 조부는 탄성 변형의 한계를 넘어 파단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장치의 박형화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박형화가 가능한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바닥부, 상기 바닥부에 설치된 측벽부를 포함하는 오목부를 가진 베이스 부재와, 상기 오목부 내에 보유되고 강성을 가진 프린트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프린트 기판의 제1면을 누르는 누름부를 가지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프린트 기판의 제2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지고, 상기 프린트 기판은, 상기 바닥부에 대해서 슬라이드(slide)시킴으로써 상기 지지부와 상기 누름부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오목부에 보유되는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프린트 기판은 오목부에 보유된다. 이 때문에 조부에 의해 프린트 기판을 베이스 부재에 보유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박형화가 가능한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프린트 기판이 보유되어 있는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프린트 기판이 보유되어 있는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a), 4(b)는 프린트 기판을 오목부에 조립할 때의 설명도이다.
도 5는 프린트 기판이 조립된 상태의 베이스 부재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a), 6(b)는 본 실시예의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와는 다른 구조의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에 프린트 기판을 조립하는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변형예인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은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다.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1)는 베이스 부재(10, 70)를 가지고 있다. 베이스 부재(10, 70)는 베이스 부재의 일례이다. 베이스 부재(10)는 제1 베이스 부재의 일례이다. 베이스 부재(70)는 제2 베이스 부재의 일례이다. 베이스 부재(10, 70)는 합성 수지제이다. 베이스 부재(10, 70)는 각각 계합부(19), 계합조(79)가 형성되어 있다. 계합부(19), 계합조(79)가 계합함으로써 베이스 부재(10, 70)는 서로 조립된다.
베이스 부재(10)에는 프린트 기판(90)을 보유하는 오목부 R1이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 R1은 베이스 부재(10) 전체의 대략 반을 차지하고 있다. 베이스 부재(70)에는 프린트 기판(9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액츄에이터(미도시)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 R2, 액츄에이터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기어 G1, G2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 R3이 설치되어 있다. 또, 도시는 되어 있지 않지만 베이스 부재(10)측에도 액츄에이터를 수납하는 오목한 상태의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10, 70)는 협동으로 액츄에이터를 수납한다. 베이스 부재(70)에는 기어 G1, G2의 어느 쪽인가에 연결되는 출력축이 관통하는 축 구멍(75)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70)에는 베이스 부재(70)에 대해서 베이스 부재(10)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핀(pin)(76)이 설치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90)은 강성을 가지고 있다. 프린트 기판(90)에는 복수의 패턴 P가 형성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90)은 대략 직사각형 모양이다. 프린트 기판(90)은 패턴 P가 형성되어 있는 제1면(91), 제1면(91)의 이면에 상당하는 제2면(92), 단변측의 가장자리(93, 94), 장변측의 가장자리(95, 96)를 가지고 있다. 패턴 P에는 예를 들면 배선이 땜납 등에 의해 접속된다.
오목부 R1은 프린트 기판(90)을 보유한다. 오목부 R1은 바닥부(20), 측벽부(30, 40), 단부(50)를 포함한다. 측벽부(30, 40)는 서로 대향한다. 단부(50)는 측벽부(30, 40)와는 직교하여 뻗어 있다. 단부(50)의 높이는 측벽부(30, 40)의 높이보다 낮다. 바닥부(20)는 빠져나감부(21), 안내부(22), 지지부(23, 24), 배선 지지부(26) 등을 가진다.
지지부(23, 24)는 프린트 기판(90)의 제2면(92)에 맞닿아 프린트 기판(90)을 지지한다. 빠져나감부(21)는 지지부(23, 24)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23)는 프린트 기판(90)의 가장자리(95)측의 제2면(92)을 지지하고, 지지부(24)는 프린트 기판(90)의 가장자리(96)측의 제2면(92)을 지지한다. 빠져나감부(21)는 지지부(23)와 지지부(24)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빠져나감부(21)와 지지부(23)의 사이에는 안내부(22)가 설치되어 있다. 안내부(22)는 빠져나감부(21), 지지부(23)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배선 지지부(26)는 지지부(23, 24)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배선 지지부(26)에는 절결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30)에는 누름부(31), 맞닿음부(33), 슬릿(slit)(37)이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40)도 측벽부(30)와 마찬가지로 누름부(41), 맞닿음부(43), 슬릿(47)이 형성되어 있다. 누름부(31)는 반원 기둥 모양이다. 슬릿(37)은 바닥부(20)의 빠져나감부(21)를 향해 뻗어 있다. 측벽부(30, 40)는 각각 오목부 R1에 보유된 프린트 기판(90)의 가장자리(93, 94)와 대향한다.
단부(50)는 오목부 R1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단부(50)는 오목부 R1에 보유된 프린트 기판(90)의 가장자리(95)에 대향한다. 단부(50)에는 맞닿음부(55)가 형성되어 있다. 맞닿음부(55)는 반원 기둥 모양이다.
배선 지지부(26)는 오목부 R1에 보유된 프린트 기판(90)의 패턴 P에 접속된 배선을 지지한다. 베이스 부재(10)의 가장자리에는 배선 보유부(60)가 형성되어 있다. 배선 보유부(60)는 프린트 기판(90)의 패턴 P에 접속된 배선을 보유한다. 배선 보유부(60)는 오목부 R1에 보유된 프린트 기판(90)으로부터 멀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프린트 기판(90)이 보유되어 있는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프린트 기판(90)이 보유되어 있는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1)의 정면도이다. 누름부(31, 41)는 프린트 기판(90)의 제1면(91)을 누른다. 맞닿음부(33, 43, 55)는 각각 프린트 기판(90)의 가장자리(93, 94, 95)에 맞닿아 있다. 프린트 기판(90)의 제2면(92)은 지지부(23, 2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 지지부(24)와 배선 지지부(26)에 의해 획정되는 단차 부분은 프린트 기판(90)의 가장자리(96)에 맞닿아 있다. 배선 지지부(26)는 오목부 R1에 보유된 프린트 기판(90)의 제1면(91)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된다.
오목부 R1로부터 프린트 기판(90)을 떼어낼 때에는 작업자는 절결부(27)를 통해 핀셋 등에 의해 프린트 기판(90)을 끼워 프린트 기판(90)을 단부(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뽑아냄으로써 프린트 기판(90)을 오목부 R1로부터 떼어낼 수가 있다.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1)의 조립순서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우선, 베이스 부재(10)의 일방의 면측의 오목부 R1에 프린트 기판(90)을 조립한다. 다음에, 베이스 부재(10)를 도 3에 있어서 프린트 기판이 이면을 향하도록 반전시켜 미도시의 수납부에 액츄에이터와 기어 G1, G2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한다. 다음에, 베이스 부재(10)에 계합부(19)와 계합조(79)가 계합하도록 베이스 부재(10)의 타방의 면측으로부터 베이스 부재(70)를 조립한다. 이에 의해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1)가 조립된다.
도 4(a), 4(b)는 프린트 기판(90)을 오목부 R1에 조립할 때의 설명도이다. 작업자는, 도 4(a)에 나타내듯이, 바닥부(20)를 따라 프린트 기판(90)을 단부(50)측으로 슬라이드시켜 누름부(31)와 바닥부(20)의 사이에 삽입한다. 도 4(a)로부터 더 프린트 기판(90)을 슬라이드시키면 프린트 기판(90)의 가장자리(95)와 제2면(92)의 사이의 각부(角部)가 안내부(22)를 따라 슬라이드(slide)한다. 안내부(22)는 빠져나감부(21)와 지지부(23)를 연결하도록 하여 경사져 있다. 이에 의해 프린트 기판(90)의 선단부는 지지부(23)에 안내된다.
여기서, 베이스 부재(10)의 측벽부(30, 40)에는 각각 슬릿(37, 4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37, 47)이 퍼지도록 베이스 부재(10)는 탄성 변형이 용이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부재(10)의 일방의 면측인 저면부(18)의 양단부가 도 4(a)의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휘도록 베이스 부재(10)는 탄성 변형이 용이하다. 화살표 A의 방향은 베이스 부재(70)의 방향이다. 환언하면, 베이스 부재(10)는 저면부(18)의 능선이 오목한 상태로 되도록 탄성 변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 부재(10)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프린트 기판(90)은 지지부(23, 24), 누름부(31)에 의해 보유되는 상태, 즉 프린트 기판(90)이 조립된 상태로 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베이스 부재(10)는 부품 단체에 대해 프린트 기판(90)의 조립이 허용되어 있다.
도 5는 프린트 기판(90)이 조립된 상태의 베이스 부재(10)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5는 베이스 부재(70)에 조립되기 전의 베이스 부재(10)를 나타내고 있다. 제1면(91)은 누름부(31)에 눌려진다. 빠져나감부(21)는 제2면(92)로부터 이간하고 있다. 여기서, 프린트 기판(90)의 두께와 지지부(23, 24), 누름부(31)에 의해 획정되는 프린트 기판(90)의 두께 방향의 수납 스페이스는 거의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그렇지만, 베이스 부재(10)와 프린트 기판(90)의 치수의 불균일에 의해 프린트 기판(90)의 두께가 상기의 수납 스페이스(space)보다 두꺼운 경우도 얇은 경우도 생긴다. 프린트 기판(90)의 두께가 상기의 수납 스페이스보다 두꺼운 경우는, 도 5에 나타내듯이, 빠져나감부(21)가 있기 때문에, 프린트 기판(90)은 어느 정도 변형하여 탄성 복원력에 의해 덜거덕거림 없이 보유된다. 프린트 기판(90)의 두께가 상기의 수납 스페이스보다 얇은 경우는, 맞닿음부(33, 43, 55)에 의해 지장이 없는 덜거덕거림 양으로 규제되고, 프린트 기판(90)이 오목부 R1에 보유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의해 프린트 기판(90)의 오목부 R1로부터의 생각지 않은 이탈을 방지하고 있다.
또, 프린트 기판(90)이 조립된 베이스 부재(10)는 프린트 기판(9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프린트 기판(90)이 조립되기 전의 베이스 부재(10)보다 약간 휘는 일이 있다. 그렇지만, 베이스 부재(70)가 베이스 부재(10)에 조립됨으로써 베이스 부재(10)의 휨은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도록 교정된다. 이는 베이스 부재(70)에 대향하는 베이스 부재(10)의 저면부(18)와 베이스 부재(70)가 접촉함으로써 베이스 부재(10)가 조립전의 상태로 돌아가려고 하기 때문이다. 또한, 베이스 부재(10)에 베이스 부재(70)를 조립함으로써 베이스 부재(10)는 휘기 어려워진다. 즉, 베이스 부재(10)가 베이스 부재(70)에 조립됨으로써 베이스 부재(10)의 탄성 변형이 제한된다. 따라서, 베이스 부재(10)는 조립시에 생긴 것 같은 휨이 일어나지 않게 되어 프린트 기판(90)이 베이스 부재(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프린트 기판(90)이 휜 상태로 오목부 R1에 보유가 가능한 이유는 빠져나감부(21)는 프린트 기판(90)으로부터 퇴피하고 있고, 빠져나감부(21)와 프린트 기판(90)의 사이의 프린트 기판(90)의 휨을 허용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빠져나감부(21)와 프린트 기판(90)의 제1면(91)을 누르는 누름부(31)가 프린트 기판(90)의 제1면(91)의 수선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겹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환언하면 프린트 기판(90)의 제2면(92)을 지지하는 지지부(23, 24)와 프린트 기판(90)의 제1면(91)을 누르는 누름부(31)가 프린트 기판(90)의 제1면(91)의 수선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겹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프린트 기판(90)은 휜 상태에서도 오목부 R1에 조립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지지부(23, 24)의 높이 위치나 빠져나감부(21)로부터의 누름부(31)의 위치 등을 정밀도 좋게 설계하지 않아도 좋다. 또, 이들 위치에 제조상의 불균일이 생겼다고 해도 문제로는 안 된다.
또, 상술한 것처럼 빠져나감부(21)의 수선 방향에서의 빠져나감부(21)와 누름부(31)의 거리는 프린트 기판(90)의 두께보다 크다. 따라서, 도 4(a)에 나타낸 것처럼, 누름부(31)와 빠져나감부(21)의 사이에 프린트 기판(90)을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고, 이에 의해 프린트 기판(90)의 조립성이 향상되어 있다.
또, 프린트 기판(90)의 선단측은 안내부(22)에 의해 지지부(23)에 안내된다. 이에 의해서도 프린트 기판(90)의 조립성이 향상되어 있다.
또, 측벽부(30, 40)에는 각각 바닥부(20)를 향해 뻗은 슬릿(37, 47)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37, 47)에 의해 측벽부(30, 40)의 강성이 저하하고, 측벽부(30, 40)는 휘기 쉬워진다. 따라서 베이스 부재(10) 전체가 슬릿(37, 47)의 건(巾)이 변화하도록 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베이스 부재(10)가 휘기 쉽게 형성되어 있는 이유는 프린트 기판(90)을 베이스 부재(10)에 조립할 때에 베이스 부재(10)가 어느 정도 휘기 쉬운 쪽이 프린트 기판(90)을 조립하기 쉽기 때문이다. 또, 베이스 부재(10)를 베이스 부재(70)에 조립할 때에도 베이스 부재(10)가 어느 정도 휘기 쉬운 쪽이 계합부(19)와 계합조(79)의 계합도 용이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베이스 부재(10)에 대한 프린트 기판(90)의 조립성 및 베이스 부재(70)에의 베이스 부재(10)의 조립성을 고려하여 슬릿(37, 47)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1)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10)에 베이스 부재(70)를 조립한 후의 상태에서는, 베이스 부재(10)의 타방의 면측인 저면부(18)와 베이스 부재(70)가 계합부(19)와 계합조(79)의 계합을 통해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프린트 기판(90)의 조립시에 보여지는 베이스 부재(10)의 탄성 변형은 규제되어 있다. 따라서, 프린트 기판(90)이 베이스 부재(10)로부터 이탈하는 일이 없다. 즉, 도 2에 나타내는 베이스 부재(10)와 베이스 부재(70)를 조립한 상태에 있어서는 베이스 부재(10)는 프린트 기판(90)의 이탈을 규제한다.
맞닿음부(33, 43, 55)는 프린트 기판(90)이 오목부 R1에 보유되었을 때에 프린트 기판(90)이 맞닿아 약간 찌부러지는 정도의 강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해 프린트 기판(90)의 크기의 불균일이나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1)의 불균일이 있는 경우라도 프린트 기판(90)이 오목부 R1 내에서 덜거덕거리지 않게 보유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1)와는 다른 구조의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1x)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a), 6(b)는 본 실시예의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1)와는 다른 구조의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1x)에 프린트 기판(90)을 조립하는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 6(a)에 나타내듯이, 베이스 부재(10x)에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계합조(engaging pawl)(81x)가 설치되어 있다. 계합조(81x)는 베이스 부재(10x) 전체의 박형화를 고려하여 길이 Hx가 비교적 짧게 형성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90)을 베이스 부재(10x)의 바닥부(20x)에 조립하기 위해서 프린트 기판(90)을 계합조(81x)의 사이에 삽입하면 프린트 기판(90)의 가장자리(93, 94)는 각각 계합조(81x)에 맞닿아 계합조(81x)는 탄성 변형한다. 또한, 프린트 기판(90)을 베이스 부재(10x)를 향해 누르면, 도 6(b)에 나타내듯이 계합조(81x)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 이유는 계합조(81x)의 길이를 너무 짧게 했기 때문에 계합조(81x)가 탄성 변형 가능한 한도를 넘어 굽혀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1x)에 있어서는 박형화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었다.
상술한 것처럼 본 실시예의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1)에서는 프린트 기판(90)을 바닥부(20)를 따라 슬라이드(slide)시킴으로써 오목부 R1에 보유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1)에 있어서는 상술한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1x)와 같은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변형예인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1A)의 사시도이다.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1A)에는 프린트 기판(90A)이 보유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90A)은 패턴 P의 사이에 2개의 관통공 H가 형성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90A)에 관통공 H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프린트 기판(90A)은 프린트 기판(90)보다 강성이 저하하여 휘기 쉽다. 이 때문에 프린트 기판(90A)은 휜 상태로 베이스 부재(10)에 삽입된다. 삽입 후는 프린트 기판(90A)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려고 하기 때문에 프린트 기판(90A)의 베이스 부재(10)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관계되는 특정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부재(70)가 보유하는 전자 부품의 일례로서 액츄에이터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이외의 전자 부품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전자 부품은 프린트 기판, 촬상 소자 등이라도 좋다.

Claims (12)

  1. 바닥부, 상기 바닥부에 설치된 측벽부를 포함하는 오목부를 가진 베이스 부재와, 상기 오목부 내에 보유되고 강성을 가진 프린트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프린트 기판의 제1면을 누르는 누름부를 가지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프린트 기판의 제2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지고,
    상기 프린트 기판은, 상기 바닥부에 대해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상기 지지부와 상기 누름부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오목부에 보유되는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기판은, 휜 상태로 상기 오목부에 보유되는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프린트 기판의 상기 제2면으로부터 퇴피한 빠져나감부를 가지고,
    상기 빠져나감부는, 상기 프린트 기판의 상기 제1면의 수선의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상기 누름부와 겹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빠져나감부로부터 상기 지지부를 향해 뻗고 상기 프린트 기판을 상기 지지부에 안내하는 안내부를 가지고 있는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프린트 기판의 가장자리에 맞닿는 돌기부를 가지고 있는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누름부는, 상기 프린트 기판의 상기 제1면의 수선의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바닥부를 향해 뻗은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프린트 기판을 보유하는 제1 베이스 부재,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에 조립 가능한 제2 베이스 부재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부재가 조립되기 전에 있어서, 상기 슬릿에 의해 상기 제1 베이스 부재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에의 상기 프린트 기판의 조립이 허용되고,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부재가 조립된 후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의 상기 탄성 변형이 제한되어 상기 제1 베이스 부재로부터의 상기 프린트 기판의 이탈이 규제되는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에 스냅 핏(snap fit) 계합하는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의 휨은, 상기 제2 베이스 부재와 계합함으로써 교정되는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 부재는, 상기 프린트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자 부품을 보유하고 있는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기판에는, 상기 프린트 기판이 휜 상태로 상기 오목부에 보유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적어도 1개의 관통공을 가지고 있는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
KR1020127028968A 2011-03-31 2011-11-25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 KR101417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79677A JP5432202B2 (ja) 2011-03-31 2011-03-31 プリント基板保持装置
JPJP-P-2011-079677 2011-03-31
PCT/JP2011/077145 WO2012132108A1 (ja) 2011-03-31 2011-11-25 プリント基板保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325A true KR20130016325A (ko) 2013-02-14
KR101417563B1 KR101417563B1 (ko) 2014-07-08

Family

ID=46929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968A KR101417563B1 (ko) 2011-03-31 2011-11-25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27256B2 (ko)
JP (1) JP5432202B2 (ko)
KR (1) KR101417563B1 (ko)
CN (1) CN103039135B (ko)
WO (1) WO20121321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6404A (ko) * 2021-09-07 2023-03-1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84944B2 (en) * 2014-03-21 2018-09-25 DePuy Synthes Products, Inc. Card edge connector for an imaging sensor
JP7181071B2 (ja) * 2018-12-10 2022-11-30 ファナック株式会社 電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29799A (ja) * 1987-03-19 1988-09-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取付装置
JPH01171083A (ja) 1987-12-26 1989-07-06 Toshiba Corp 自動券売機
JPH01171083U (ko) * 1988-05-24 1989-12-04
JPH0244388A (ja) 1988-08-05 1990-02-1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56700Y2 (ko) * 1988-09-21 1993-02-19
JP2574093B2 (ja) * 1992-02-07 1997-01-22 富士通株式会社 電話加入者装置の筺体構造
JPH08107286A (ja) 1994-10-03 1996-04-23 Yupiteru Ind Co Ltd 電子回路機器の実装構造
JP3987606B2 (ja) 1997-08-29 2007-10-10 三菱電機株式会社 車椅子踏段付エスカレーター
DE19858159C2 (de) * 1998-12-16 2003-07-10 System 3R Internat Ab Vaelling Kupplungsvorrichtung
JP2001077561A (ja) * 1999-09-02 2001-03-23 Sony Corp 入力装置および入力装置の製造方法
JP2004055988A (ja) * 2002-07-23 2004-02-19 Fujitsu Ltd 情報処理装置
US7980773B2 (en) * 2006-11-30 2011-07-19 Hitachi Maxell, Ltd. Camera module and imaging apparatus
JP4985778B2 (ja) 2007-10-15 2012-07-25 富士通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ユニットおよび電子機器
JP2009182190A (ja) * 2008-01-31 2009-08-13 Yazaki Corp 電気接続構造
JP5776029B2 (ja) 2011-10-11 2015-09-09 スリオジャパン株式会社 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6404A (ko) * 2021-09-07 2023-03-1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32108A1 (ja) 2012-10-04
CN103039135A (zh) 2013-04-10
CN103039135B (zh) 2015-06-24
KR101417563B1 (ko) 2014-07-08
JP2012216604A (ja) 2012-11-08
US10427256B2 (en) 2019-10-01
JP5432202B2 (ja) 2014-03-05
US20130069296A1 (en) 201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2637B1 (ko) 콘택트의 비임부와 일체인 액츄에이터가 제공된 기판 커넥터
JP5660756B2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4364135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の組み立て方法
KR101036719B1 (ko)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JP5141924B2 (ja) コネクタ装置
JP2010097727A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KR101417563B1 (ko) 프린트 기판 보유 장치
JP4937429B2 (ja) 基板固定構造
JP2009104851A (ja) コネクタ
JP2008305747A (ja) コネクタ並びにその支持装置及び方法
US9755339B2 (en) Connecting structure of connector and flat circuit body
WO2014203722A1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の端末接続具
JP2011060459A (ja) コネクタ装置
JP2006059724A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6563342B2 (ja) 部品取付構造
JP2009199823A (ja) 接続用ソケット
JP3841346B2 (ja) 接続部品、及びコネクタ装置
JP2008084570A (ja) コネクタ
JP2009071072A (ja) 筐体連結機構
WO2015002144A1 (ja) フラット回路体とコネクタとの接続構造
JP5971476B2 (ja) コネクタ装置
JP2007042353A (ja) ソケット
JP2022188391A (ja) コネクタ
JP6091980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6292387B2 (ja) 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