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2969A - 안과 질환 및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아민 유도체 화합물 - Google Patents

안과 질환 및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아민 유도체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2969A
KR20130012969A KR1020127034304A KR20127034304A KR20130012969A KR 20130012969 A KR20130012969 A KR 20130012969A KR 1020127034304 A KR1020127034304 A KR 1020127034304A KR 20127034304 A KR20127034304 A KR 20127034304A KR 20130012969 A KR20130012969 A KR 20130012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hydrogen
independently selected
heterocyclyl
carbocycl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4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안 엘 스콧
블라디미르 에이 쿠크사
마크 더블유 오메
펑 홍
토마스 엘 주니어 리틀
료 구보타
Original Assignee
어큐셀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09786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3001296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어큐셀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어큐셀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12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9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8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38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six-membered rings, e.g. thioxanthe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5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 A61K31/137Arylalkylamines, e.g. amphetamine, epinephrine, salbutamol, ephedrine or metha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5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 A61K31/138Aryloxyalkylamines, e.g. propranolol, tamoxifen, phenoxybenz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55Amidines (), e.g. guanidine (H2N—C(=NH)—NH2), isourea (N=C(OH)—NH2), isothiourea (—N=C(SH)—NH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with compounds having aromatic groups, e.g. dipivefrine, ibop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8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38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five-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02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only substituted in position 2, e.g. pheniramine, bisacody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06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only substituted in position 3, e.g. zimel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1/00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11/01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11/26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unsaturated carbon skeleton containing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11/27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unsaturated carbon skeleton containing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having amino groups linked to the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saturated carbon cha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3/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or amino and est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5/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5/0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5/0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saturated
    • C07C215/2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saturated the carbon skeleton being saturated and containing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5/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5/0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5/2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unsaturated
    • C07C215/28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unsaturated and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5/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5/0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5/2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unsaturated
    • C07C215/28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unsaturated and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15/3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unsaturated and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containing hydroxy groups and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bound to the same carbon atom of th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5/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5/4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or hydroxy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7/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7/0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therified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7/0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therified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 C07C217/06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therified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having only one etherified hydroxy group and one amino group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which is not further substituted
    • C07C217/08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therified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having only one etherified hydroxy group and one amino group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which is not further substituted the oxygen atom of the etherified hydroxy group being further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 C07C217/1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therified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having only one etherified hydroxy group and one amino group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which is not further substituted the oxygen atom of the etherified hydroxy group being further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to an acyclic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7/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7/0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therified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7/0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therified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 C07C217/06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therified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having only one etherified hydroxy group and one amino group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which is not further substituted
    • C07C217/1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therified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having only one etherified hydroxy group and one amino group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which is not further substituted the oxygen atom of the etherified hydroxy group being further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17/16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therified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having only one etherified hydroxy group and one amino group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which is not further substituted the oxygen atom of the etherified hydroxy group being further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the six-membered aromatic ring or condensed ring system containing that ring not being further substitu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7/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7/0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therified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7/0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therified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 C07C217/06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therified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having only one etherified hydroxy group and one amino group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which is not further substituted
    • C07C217/1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therified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having only one etherified hydroxy group and one amino group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which is not further substituted the oxygen atom of the etherified hydroxy group being further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17/18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therified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having only one etherified hydroxy group and one amino group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which is not further substituted the oxygen atom of the etherified hydroxy group being further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the six-membered aromatic ring or condensed ring system containing that ring being further substitu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7/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7/0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therified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7/48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therified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unsaturated and containing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7/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7/5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therified hydroxy groups or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7/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7/5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7/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7/5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7/6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with amino groups linked to the six-membered aromatic ring, or to the condensed ring system containing that ring, by carbon chains further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 C07C217/66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with amino groups linked to the six-membered aromatic ring, or to the condensed ring system containing that ring, by carbon chains further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with singly-bound oxygen atoms and six-membered aromatic rings bound to the same carbon atom of the carbon chain
    • C07C217/7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with amino groups linked to the six-membered aromatic ring, or to the condensed ring system containing that ring, by carbon chains further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with singly-bound oxygen atoms and six-membered aromatic rings bound to the same carbon atom of the carbon chain linked by carbon chains having at least three carbon atoms between the amino groups and the six-membered aromatic ring or the condensed ring system containing that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7/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7/5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7/7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with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being part of th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7/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7/76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9/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st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9/0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st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sterified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9/2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st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sterified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unsaturated
    • C07C219/2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st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sterified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unsaturated and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5/00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and doub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at least one of the doubly—bound oxygen atoms not being part of a —CHO group, e.g. amino ketones
    • C07C225/02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and doub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at least one of the doubly—bound oxygen atoms not being part of a —CHO group, e.g. amino keto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25/14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and doub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at least one of the doubly—bound oxygen atoms not being part of a —CHO group, e.g. amino keto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unsaturated
    • C07C225/16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and doub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at least one of the doubly—bound oxygen atoms not being part of a —CHO group, e.g. amino keto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unsaturated and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5/00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and doub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at least one of the doubly—bound oxygen atoms not being part of a —CHO group, e.g. amino ketones
    • C07C225/02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and doub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at least one of the doubly—bound oxygen atoms not being part of a —CHO group, e.g. amino keto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25/14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and doub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at least one of the doubly—bound oxygen atoms not being part of a —CHO group, e.g. amino keto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unsaturated
    • C07C225/16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and doub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at least one of the doubly—bound oxygen atoms not being part of a —CHO group, e.g. amino keto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unsaturated and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25/18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and doub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at least one of the doubly—bound oxygen atoms not being part of a —CHO group, e.g. amino keto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unsaturated and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also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3/16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 C07C233/17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n acyclic carbon atom
    • C07C233/18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n acyclic carbon atom having the carbo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ound to a hydrogen atom or to a carbon atom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5/00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 C07C235/02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35/32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35/34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having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5/00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 C07C235/42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35/44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with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carbon atoms of the same non-condensed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35/54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with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carbon atoms of the same non-condensed six-membered aromatic ring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ring other than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7/00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 C07C237/02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37/20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7/00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 C07C237/28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non-condensed six-membered aromatic ring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37/38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non-condensed six-membered aromatic ring of the carbon skeleton having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ring other than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7/00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 C07C237/28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non-condensed six-membered aromatic ring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37/40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non-condensed six-membered aromatic ring of the carbon skeleton having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7/00Compounds containing carboxyl groups, the doubly-bound oxygen atom of a carboxyl group being replaced by a doubly-bound nitrogen atom, this nitrogen atom not being further bound to an oxygen atom, e.g. imino-ethers, amidines
    • C07C257/10Compounds containing carboxyl groups, the doubly-bound oxygen atom of a carboxyl group being replaced by a doubly-bound nitrogen atom, this nitrogen atom not being further bound to an oxygen atom, e.g. imino-ethers, amidines with replacement of the other oxygen atom of the carboxyl group by nitrogen atoms, e.g. amidines
    • C07C257/14Compounds containing carboxyl groups, the doubly-bound oxygen atom of a carboxyl group being replaced by a doubly-bound nitrogen atom, this nitrogen atom not being further bound to an oxygen atom, e.g. imino-ethers, amidines with replacement of the other oxygen atom of the carboxyl group by nitrogen atoms, e.g. amidines having carbon atoms of amid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9/00Derivatives of guanidine, i.e. compounds containing the group, the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9/04Derivatives of guanidine, i.e. compounds containing the group, the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guanidin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carbon skeleton
    • C07C279/08Derivatives of guanidine, i.e. compounds containing the group, the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guanidin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7/00Sulfones; Sulfoxides
    • C07C317/26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17/28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with sulfone or sulfox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7/00Sulfones; Sulfoxides
    • C07C317/26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17/30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with sulfone or sulfox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7/00Sulfones; Sulfoxides
    • C07C317/26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17/32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with sulfone or sulfox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3/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 C07C323/23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23/24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s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323/25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s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3/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 C07C323/23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23/24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s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323/29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s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3/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 C07C323/23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23/3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 of at least one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ring other than a six-membered aromatic ring of th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3/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 C07C323/23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23/31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 of at least one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of the carbon skeleton
    • C07C323/32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 of at least one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of the carbon skeleton having at least one of the nitrogen atoms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f th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28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or sulphur atoms
    • C07D213/30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36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bound nitrogen atoms
    • C07D213/38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bound nitrogen atoms having only hydrogen or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the substituent nitr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309/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09/06Radicals substituted by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3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 C07D33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333/14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 bound hetero atoms other than halogen
    • C07D333/16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 bound hetero atoms other than halogen by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3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 C07D33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333/14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 bound hetero atoms other than halogen
    • C07D333/20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 bound hetero atoms other than halogen by 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1/0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 C07C2601/02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three-membered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1/0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 C07C2601/04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four-membered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1/0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 C07C2601/06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five-membered ring
    • C07C2601/08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five-membered ring the ring being satur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1/0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 C07C2601/12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six-membered ring
    • C07C2601/14The ring being satur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1/0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 C07C2601/18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ring being at least seven-member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 Pyrane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Ato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아민 유도체 화합물, 이의 약학 조성물, 상기 화합물 및 조성물을 이용하여 노인성 황반 변성 및 스타가르트 질환과 같은 안과 질환 및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안과 질환 및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아민 유도체 화합물 {AMINE DERIVATIVE COMPOUNDS FOR TREATING OPHTHALMIC DISEASES AND DISORDERS}
본원은 미국 가출원 제 60/984,667 호 (2007년 11월 1일 출원)의 이점을 주장하며, 이 전문이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된다.
신경변성 질환, 예컨대 녹내장, 황반 변성 및 알츠하이머 질환은 전세계 수백만 환자에게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질환과 연관될 경우, 삶의 질이 상당히 떨어지기 때문에, 이 분야에서의 약물 연구 및 개발은 매우 중요하다.
미국에서는 노인성 (age-related) 황반 변성 (AMD)이 천만 내지 천오백만명의 환자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이는 세계 고령 인구에서 실명의 첫 번째 원인이다. AMD는 중심 시력에 영향을 주며, 황반이라 불리는 망막의 중심부에서 광수용체 세포의 손실을 야기한다. 황반 변성은 두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건성-형태 및 습성-형태. 건성 형태가 습성보다 더 흔하며, 노인성 황반 변성 (AMD) 환자의 약 90%가 건성-형태로 진단받는다. 건성 AMD의 말기 표현형인, 지도형 위축 및 질환의 습성-형태는 가장 심각한 시력 손실을 초래한다. 습성-형태 AMD가 발병된 모든 환자는 이미 장기간 동안 건성-형태 AMD가 진행되었다고 여겨진다. 노인성 황반 변성의 정확한 원인은 여전히 알려져 있지 않다. AMD의 건성-형태는 황반 망막 색소 상피에서 색소의 침착과 연관된 황반 조직의 노쇄 및 얇아짐으로부터 야기될 수 있다. 습성 AMD에서, 새로운 혈관이 망막의 바로 밑에 자라고, 흉터 조직을 형성하고, 출혈을 일으키며, 체액을 누출시킨다. 피개 (overlying) 망막이 심각하게 손상되어, 중심 시력에서 "블라인드" 영역을 생성시킬 수 있다.
AMD의 건성-형태를 갖는 대다수의 환자에게 있어서, 이용가능한 효과적 치료는 아직 없다. AMD의 습성-형태 발병에 앞서 AMD의 건성-형태가 선행되므로, 건성-형태 AMD에서의 질환 진행을 예방 또는 지연시키는 치료적 시술은 건성-형태 AMD 환자에게 유익할 것이며, 습성-형태 AMD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환자에게 감지되는 시력 저하 또는 정기적 안구 검사 동안 안과의사에게 검출되는 특유의 특징은 AMD의 첫 번째 지표일 수 있다. 황반의 망막 색소 상피 바로 아래에서의 막 조각 또는 "드루젠"의 형성은 흔히 AMD 진행의 첫 번째 물리적 징후이다. 만기 징후에는 직선의 왜곡된 인식이 포함되며, 진행된 사례에서는, 시각의 중심에서 어둡고, 흐릿한 영역 또는 보이지 않는 영역이 나타나고; 및/또는 색각 변화가 있을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유전적으로-연관된 황반 변성이 또한 어린 환자에게서 나타날 수 있다. 기타 황반병증에서, 질환에서의 인자는 유전, 영양, 외상, 감염 또는 기타 환경적 인자이다.
녹내장은, 통상 무증상적으로, 서서히 진행되는 시야 감소를 초래하는 질환의 군을 기술하는데 사용되는 광의어이다. 증상의 결여는 질환의 말기까지 녹내장 진단을 지연시킬 수 있다. 녹내장의 유병률은 미국에서 이백이십만으로 추정되며, 약 120,000 사례의 실명이 이 상태에 기인했다. 상기 질환은 특히 일본에서 일반적이어서, 4백만건의 사례가 보고되었다. 미국 및 일본을 제외한 세계 많은 곳에서 치료가 용이치 않아서, 녹내장은 세계적으로 실명의 주요 원인으로 분류된다. 녹내장을 앓고 있는 환자가 맹인이 되지 않는 경우에도 이들의 시력은 흔히 심각한 손상을 입는다.
녹내장에서 주변 시야의 진행성 손실은 망막에서의 신경절 세포의 사멸에 의해 야기된다. 신경절 세포는 안구를 뇌에 연결시키는 투사 신경세포성의 특이적 유형이다. 녹내장은 통상 안구내압의 상승에 수반된다. 현재의 치료는 안구내압을 저하시키는 약물의 사용을 포함하지만; 안구내압을 저하시키는 현대의 방법은 질환 진행을 완전히 정지시키기에는 종종 불충분하다. 신경절 세포는 압력에 민감하다고 여겨지며, 안구 내압의 저하 이전에 영구 변성을 겪을 수 있다. 정상안압 녹내장 사례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고 관찰되는데, 여기서는 안구내압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아도 신경절 세포가 퇴화된다. 현재의 녹내장 약물은 오직 안구내압만을 치료하며, 신경절 세포의 변성을 예방하거나 또는 복귀시키기에 비효과적이다.
최근의 보고는 녹내장이 망막 뉴런에 특이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뇌에서의 알츠하이머 질환 및 파킨슨 질환과 유사한 신경변성 질환이라는 것을 제안한다. 안구의 망막 뉴런은 뇌의 간뇌 뉴런에서 기원된다. 망막 뉴런은 종종 뇌의 부분이 아니라고 잘못 생각되는데, 망막 세포는 광감각 세포 (light-sensing cell)로부터의 신호를 방해하는 중추신경계의 핵심 성분이다.
알츠하이머 질환 (AD)은 노령인구 사이에서의 치매의 가장 흔한 형태이다. 치매는 일상 생활을 수행하는 인간의 능력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뇌 장애이다. 알츠하이머는 미국에서만 4백만명에게 영향을 미치는 질환이다. 이는 기억 및 기타 정신 기능에 치명적인 뇌 영역에서의 신경 세포의 손실을 특징으로 한다. 현재 이용가능한 약물은 비례적인 기간 동안 AD 증상을 개선할 수 있지만, 질환을 치료하거나 또는 정신 기능의 진행적 감퇴를 완전히 정지시킬 수 있는 약물은 없다. 최근의 연구는 뉴런 또는 신경 세포를 지지하는 아교 세포가 AD 환자에서 결함을 가질 수 있지만, AD의 원인이 밝혀지지는 않은 채로 남아있다고 제안한다. AD가 있는 개인에게서는 녹내장 및 노인성 황반 변성의 발생이 더 높은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유사한 발병기전이 상기 안구 및 뇌에서의 신경변성 질환의 기초가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Giasson 등, Free Radic. Biol. Med. 32:1264-75 (2002); Johnson 등, Proc. Natl. Acad. Sci. USA 99:11830-35 (2002); Dentchev 등, Mol. Vis. 9:184-90 (2003) 참조).
뉴런 세포사는 이들 질환의 병리학의 기초가 되고 있다. 불행히도, 망막 뉴런 세포 생존, 특히 광수용체 세포 생존을 증강시키는 조성물 및 방법이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뉴런 세포사를 이의 발병기전에서 1차 또는 관련 요소로서 갖는 수많은 망막 질환 및 장애의 치료 및 예방에 사용될 수 있는 조성물의 확인 및 개발에 대한 요구가 남아 있다.
척추동물 광수용체 세포에서는, 광자의 발광이 11-시스-레티닐리덴 발색단의 모든-트랜스-레티닐리덴으로의 이성질체화 및 시각 옵신 수용체로부터의 짝풀림을 야기한다. 이러한 광이성질체화는 옵신의 구조 변화를 야기하고, 이는 이어서 광변환이라 칭하는 반응의 생화학 사슬을 개시한다 (Filipek 등, Annu. Rev. Physiol. 65:851-79 (2003)). 시색소의 재생은, 레티노이드 (시각) 주기라 총칭되는 공정에서 발색단이 11-시스-배열로 다시 전환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McBee 등, Prog. Retin. Eye Res. 20:469-52 (2001) 참조). 우선, 발색단이 옵신으로부터 방출되고, 레티놀 탈수소효소에 의해 광수용체에서 환원된다. 생성물인 모든-트랜스-레티놀은 레티노솜이라 알려진 세포하 구조에서 불용성 지방산 에스테르의 형태로 인접한 망막 색소 상피 (RPE) 내에 트래핑된다 (Imanishi 등, J. Cell Biol. 164:373-87 (2004)).
플립파아제로서 작용하는 ABCR 전달체에서의 돌연변이와 연관된 질환인 스타가르트 질환 (Allikmets 등, Nat. Genet. 15:236-46 (1997))에서, 모든-트랜스-레티날의 축적은 망막 색소 상피 세포에 대해 독성을 가지며 진행성 망막 변성을 야기하는 리포푸신 색소, A2E의 형성의 원인이 되고, 결과적으로 시력이 손실될 수 있다 (Mata 등, Proc. Natl. Acad. Sci. USA 97:7154-59 (2000); Weng 등, Cell 98:13-23 (1999)). 레티놀 탈수소효소, 13-시스-RA (Isotretinoin, Accutane
Figure pat00001
, Roche)의 억제제로 환자를 치료하는 것은, A2E의 형성을 방지하거나 또는 지연시키고, 정상 시력을 유지하는 보호성 특성을 갖는 치료법으로서 여겨져왔다 (Radu 등, Proc. Natl. Acad. Sci. USA 100:4742-47 (2003)). 13-시스-RA는 11-시스-RDH를 억제함으로써 11-시스-레티날의 합성을 늦추는데 사용되어 왔지만 (Law 등, Biochem. Biophys. Res. Commun. 161:825-9 (1989)), 이의 사용은 또한 심각한 야맹증과 연관될 수 있다. 이 외에, 13-시스-RA는 안구에서의 이성질체화 과정에 필수적인 단백질인 RPE65를 결합시킴으로써 발색단 재생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고 제안되었다 (Gollapalli 등, Proc. Natl. Acad. Sci. USA 101:10030-35 (2004)). Gollapalli 등은 13-시스-RA가 A2E의 형성을 차단한다고 보고하였고, 이 치료는 리포푸신 축적을 억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타가르트 질환 또는 노인성 황반 변성 (이는 둘 모두 망막 색소-연관 리포푸신 축적과 연관됨)에서의 시각 상실의 시작을 지연시킬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그러나, 레티노이드 주기의 차단 및 리간드되지 않은 옵신의 형성은 더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거나, 환자의 예후를 악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Van Hooser 등, J. Biol. Chem. 277:19173-82 (2002); Woodruff 등, Nat. Genet. 35:158-164 (2003) 참조). 발색단 형성의 실패는 진행성 망막 변성을 야기할 수 있고, 출생 직후의 아기에게 영향을 미치는 매우 희귀한 유전 상태인 레베르 선천성 흑내장 (LCA)에 유사한 표현형을 생성시킬 수 있다.
발명의 요약
상기 기술된 것들을 포함하는, 안과 기능장애를 야기하는 안과 질환 및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효과적 치료가 당업계에 요구된다. 특히, 추가적인 원치않는 부작용, 예컨대 진행성 망막 변성, LCA-형 상태, 야맹증 또는 전신성 비타민 A 결핍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스타가르트 질환 및 노인성 황반 변성 (AMD)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이 절박하게 필요하다. 또한 당업계에서는 망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기타 안과 질환 및 장애를 위한 효과적 치료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레티노이드 주기의 이성질체화 단계의 억제제이면서 안과 질환 및 장애를 치료하는데 유용한 아민 유도체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이러한 화합물을 사용하는 다양한 안과 질환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한 구현예에서는, 하기 화학식 (A)의 화합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질체, 입체이성질체, 기하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매화물, 수화물, 염, N-산화물 또는 전구약물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02
[식 중,
Z 는 결합, -C(R1)(R2)-, -C(R9)(R10)-C(R1)(R2)-, -X-C(R31)(R32)-, -C(R9)(R10)-C(R1)(R2)-C(R36)(R37)- 또는 -X-C(R31)(R32)-C(R1)(R2)- 이고;
X 는 -O-, -S-, -S(=O)-, -S(=O)2-, -N(R30)-, -C(=O)-, -C(=CH2)-, -C(=N-NR35)-, 또는 -C(=N-OR35)- 이며;
G 는 -C(R41)2-C(R41)2-R40, -C(R42)2-S-R40, -C(R42)2-SO-R40, -C(R42)2-SO2-R40, -C(R42)2-O-R40, -C(R42)2-N(R42)-R40, -C(=O)-N(R42)-R40 으로부터 선택되고;
R40 은 -C(R16)(R17)(R18),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며;
각 R41 은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OR6, 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두 개의 R41 기는 함께 옥소를 형성할 수 있고;
각 R42 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로부터 선택되거나; R1 및 R2 는 함께 옥소를 형성하고;
R31 및 R3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5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36 및 R3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로부터 선택되거나; R36 및 R37 은 함께 옥소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R36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이중 결합을 제공하거나; 임의로, R36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고, R37 및 R2 는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삼중 결합을 제공하며;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플루오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카르보시클릴 또는 C-부착된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고; 또는 R3 및 R4 는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거나; R3 및 R4 는 함께 이미노를 형성하고;
R7 및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시클릴, -C(=O)R13, SO2R13, CO2R13 또는 SO2NR24R25 로부터 선택되거나; R7 및 R8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플루오로알킬, -OR19, -NR20R21 또는 카르보시클릴로부터 선택되거나; R9 및 R10 은 옥소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R9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이중 결합을 제공하거나; 임의로, R9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며, R10 및 R2 는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삼중 결합을 제공하고;
R11 및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C(=O)R23, -C(NH)NH2, SO2R23, CO2R23 또는 SO2NR28R29 로부터 선택되거나; R11 및 R12 는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각 R13, R22 및 R23 은 독립적으로 알킬, 헤테로알킬, 알케닐, 아릴, 아르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고;
R6, R19, R30, R34 및 R3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며;
R20 및 R2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시클릴, -C(=O)R22, SO2R22, CO2R22 또는 SO2NR26R27 로부터 선택되거나; R20 및 R21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각 R24, R25, R26, R27, R28 및 R29 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플루오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며;
R16 및 R1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할로,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아리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R16 및 R17 은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며;
R18 은 수소, 알킬, 알콕시, 히드록시, 할로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각 R33 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OR34,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n 은 0, 1, 2, 3, 또는 4 이고; 단, G 는 비치환 노르말 알킬이 아니고, 화학식 A 의 화합물은 하기의 것이 아니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A)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Z 는 결합, -C(R1)(R2)-, -C(R9)(R10)-C(R1)(R2)-, -X-C(R31)(R32)-, -C(R9)(R10)-C(R1)(R2)-C(R36)(R37)- 또는 -X-C(R31)(R32)-C(R1)(R2)- 이고;
X 는 -O-, -S-, -S(=O)-, -S(=O)2-, -N(R30)-, -C(=O)-, -C(=CH2)-, -C(=N-NR35)-, 또는 -C(=N-OR35)- 이며;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로부터 선택되거나; R1 및 R2 는 함께 옥소를 형성하고;
R31 및 R3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5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36 및 R3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로부터 선택되거나; R36 및 R37 은 함께 옥소를 형성하고;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플루오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카르보시클릴 또는 C-부착된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거나; R3 및 R4 는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거나; R3 및 R4 는 함께 이미노를 형성하고;
R7 및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시클릴, -C(=O)R13, SO2R13, CO2R13 또는 SO2NR24R25 로부터 선택되거나; R7 및 R8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플루오로알킬, -OR19, -NR20R21 또는 카르보시클릴로부터 선택되거나; R9 및 R10 은 옥소를 형성하고;
R11 및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C(=O)R23, SO2R23, CO2R23 또는 SO2NR28R29 로부터 선택되거나; R11 및 R12 는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각 R13, R22 및 R23 은 독립적으로 알킬, 헤테로알킬, 알케닐, 아릴, 아르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고;
R6, R19, R30, R34 및 R3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며;
R20 및 R2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시클릴, -C(=O)R22, SO2R22, CO2R22 또는 SO2NR26R27 로부터 선택되거나; R20 및 R21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각 R24, R25, R26, R27, R28 및 R29 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플루오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며;
각 R33 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OR34,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n 은 0, 1, 2, 3, 또는 4 임].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A) 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B) 의 구조를 갖는다:
Figure pat00005
[식 중,
Z 는 -C(R9)(R10)-C(R1)(R2)- 또는 -O-C(R31)(R32)- 이고;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로부터 선택되거나; R1 및 R2 는 함께 옥소를 형성하며;
R31 및 R3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5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R3 및 R4 는 함께 이미노를 형성하며;
R7 및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또는 -C(=O)R13 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7 및 R8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플루오로알킬, -OR19, -NR20R21 또는 카르보시클릴로부터 선택되거나; R9 및 R10 은 함께 옥소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R9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이중 결합을 제공하거나; 임의로, R9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고, R10 및 R2 는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삼중 결합을 제공하고;
R11 및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또는 -C(=O)R23 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11 및 R12 는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각 R13, R22 및 R23 은 독립적으로 알킬, 알케닐, 아릴, 아르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고;
R6, R19, 및 R3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며;
각 R33 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OR34,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n 은 0, 1, 2, 3, 또는 4 이며;
R20 및 R2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C(=O)R22 로부터 선택되거나; R20 및 R21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각 R24, R25, R26, R27, R28 및 R29 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플루오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됨].
다른 구현예에서는, 하기와 같은 화학식 (B)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Z 는 -C(R9)(R10)-C(R1)(R2)- 또는 -O-C(R31)(R32)- 이고;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로부터 선택되거나; R1 및 R2 는 함께 옥소를 형성하며;
R31 및 R3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5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R3 및 R4 는 함께 이미노를 형성하며;
R7 및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또는 -C(=O)R13 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7 및 R8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플루오로알킬, -OR19, -NR20R21 또는 카르보시클릴로부터 선택되거나; R9 및 R10 은 함께 옥소를 형성하며;
R11 및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또는 -C(=O)R23 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11 및 R12 는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각 R13, R22 및 R23 은 독립적으로 알킬, 알케닐, 아릴, 아르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며;
R6, R19, 및 R3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고;
각 R33 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OR34,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n 은 0, 1, 2, 3, 또는 4 이고;
R20 및 R2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C(=O)R22 로부터 선택되거나; R20 및 R21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각 R24, R25, R26, R27, R28 및 R29 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플루오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됨].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B)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G 는 -C(R41)2-C(R41)2-R40 으로부터 선택되고;
R40 은 -C(R16)(R17)(R18),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며;
각 R41 은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OR6, 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두 개의 R41 기는 함께 옥소를 형성할 수 있음].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B)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G 는 -C(R41)2-C(R41)2-R40 으로부터 선택되고;
R40 은 -C(R16)(R17)(R18),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며;
각 R41 은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OR6, 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두 개의 R41 기는 함께 옥소를 형성할 수 있음].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B) 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C) 의 구조를 갖는다:
Figure pat00006
[식 중,
Z 는 -C(R9)(R10)-C(R1)(R2)- 또는 -O-C(R31)(R32)- 이고;
R40 은 -C(R16)(R17)(R18),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며;
R16 및 R1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할로,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아리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R16 및 R17 은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고;
R18 은 수소, 알킬, 알콕시, 히드록시, 할로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로부터 선택되거나; R1 및 R2 는 함께 옥소를 형성하고;
R31 및 R3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5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R3 및 R4 는 함께 이미노를 형성하고;
R7 및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또는 -C(=O)R13 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7 및 R8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플루오로알킬, -OR19, -NR20R21 또는 카르보시클릴로부터 선택되거나; R9 및 R10 은 함께 옥소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R9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이중 결합을 제공하거나; 임의로, R9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며, R10 및 R2 는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삼중 결합을 제공하고;
R11 및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또는 -C(=O)R23 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11 및 R12 는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각 R13, R22 및 R23 은 독립적으로 알킬, 알케닐, 아릴, 아르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고;
R6, R19, 및 R3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로부터 선택되며;
각 R33 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OR34,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n 은 0, 1, 2, 3, 또는 4 이며;
R20 및 R2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C(=O)R22 로부터 선택되거나; R20 및 R21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각 R24, R25, R26, R27, R28 및 R29 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플루오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됨].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C)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플루오로알킬, -OR19, -NR20R21 또는 카르보시클릴로부터 선택되거나; R9 및 R10 은 함께 옥소를 형성함].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C) 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D) 의 구조를 가진다:
Figure pat00007
[식 중,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로부터 선택되거나; R1 및 R2 는 함께 옥소를 형성하고;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R3 및 R4 는 함께 이미노를 형성하며;
R7 및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또는 -C(=O)R13 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7 및 R8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플루오로알킬, -OR19, -NR20R21 또는 카르보시클릴로부터 선택되거나; R9 및 R10 은 함께 옥소를 형성하고;
R11 및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또는 -C(=O)R23 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11 및 R12 는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각 R13, R22 및 R23 은 독립적으로 알킬, 알케닐, 아릴, 아르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고;
R6, R19 및 R3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며;
R20 및 R2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C(=O)R22 로부터 선택되거나; R20 및 R21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각 R24, R25, R26, R27, R28 및 R29 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플루오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며;
R16 및 R1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13 알킬, 할로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R16 및 R17 은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고;
각 R33 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OR34,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n 은 0, 1, 2, 3, 또는 4 이며;
R18 은 수소, 알킬, 알콕시, 히드록시, 할로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됨].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D) 의 화합물에서 n 이 0 이고, 각 R11 및 R12 가 수소인 화합물을 제공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각 R3, R4, R14 및 R15 가 수소인 화합물을 제공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또는 -OR6 으로부터 선택되고;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또는 -OR19 로부터 선택되거나; R9 및 R10 은 함께 옥소를 형성하며;
R6 및 R19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고;
R16 및 R17 은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며;
R18 은 수소, 알콕시 또는 히드록시로부터 선택됨].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R16 및 R17 은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또는 시클로옥틸을 형성하고, R18 은 수소 또는 히드록시임].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D)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R11 은 수소이고 R12 가 -C(=O)R23 이며, R23 은 알킬인 화합물을 제공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D)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또는 -OR6 으로부터 선택되고;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또는 -OR19 로부터 선택되거나; R9 및 R10 은 함께 옥소를 형성하고;
R6 및 R19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16 및 R17 은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을 형성하고;
R18 은 수소, 히드록시 또는 알콕시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D)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n 이 0 이고;
R16 및 R17 은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또는 시클로헥실을 형성하며;
R18 은 수소 또는 히드록시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D)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또는 -OR6 으로부터 선택되고;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또는 -OR19 로부터 선택되거나; R9 및 R10 은 함께 옥소를 형성하며;
R6 및 R19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고;
R16 및 R17 은 독립적으로 C1-C13 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18 은 수소, 히드록시 또는 알콕시임].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C) 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E) 의 구조를 가진다:
Figure pat00008
[식 중,
R31 및 R3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5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R3 및 R4 는 함께 이미노를 형성하며;
R11 및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또는 -C(=O)R23 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11 및 R12 는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R23 은 알킬, 알케닐, 아릴,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며;
R14 및 R1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16 및 R1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13 알킬, 할로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R16 및 R17 은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며;
R18 은 수소, 알킬, 알콕시, 히드록시, 할로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34 는 수소 또는 알킬이며;
각 R33 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OR34,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n 은 0, 1, 2, 3, 또는 4 임].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E)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n 이 0 이고, 각 R11 및 R12 가 수소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E)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각 R3, R4, R14 및 R15 가 수소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E)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R31 및 R3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5 알킬이고;
R16 및 R17 은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을 형성하며;
R18 은 수소, 히드록시, 또는 알콕시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E)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R16 및 R17 은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또는 시클로옥틸을 형성하고, R18 은 수소 또는 히드록시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E)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R31 및 R3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5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18 가 수소, 히드록시 또는 알콕시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E)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R31 및 R3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5 알킬이고;
R6 및 R19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며;
R16 및 R17 은 독립적으로 C1-C13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18 은 수소, 히드록시 또는 알콕시임].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A)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Z 는 결합, -X-C(R31)(R32)-, 또는 -X-C(R31)(R32)-C(R1)(R2)- 이고;
X 는 -S-, -S(=O)-, -S(=O)2-, -N(R30)-, -C(=O)-, -C(=CH2)-, -C(=N-NR35)-, 또는 -C(=N-OR35)- 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A)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G 는 -C(R41)2-C(R41)2-R40 으로부터 선택되고,
R40 은 -C(R16)(R17)(R18),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며;
각 R41 은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OR6, 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두 개의 R41 기는 함께 옥소를 형성할 수 있음].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A) 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F) 의 구조를 갖는다:
Figure pat00009
[식 중,
X 는 -S-, -S(=O)-, -S(=O)2-, -N(R30)-, -C(=O)-, -C(=CH2)-, -C(=N-NR35)-, 또는 -C(=N-OR35)- 이고;
R31 및 R3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5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R3 및 R4 는 함께 이미노를 형성하고;
R11 및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또는 -C(=O)R23 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11 및 R12 는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R23 은 알킬, 알케닐, 아릴,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고;
R16 및 R1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13 알킬, 할로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R16 및 R17 은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며;
R30, R34 및 R3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고;
R18 은 수소, 알킬, 알콕시, 히드록시, 할로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각 R33 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OR34,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n 은 0, 1, 2, 3, 또는 4 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F)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n 이 0 이고, 각 R11 및 R12 는 수소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F)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각 R3, R4, R14 및 R15 가 수소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F)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R31 및 R3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5 알킬이고;
R16 및 R17 은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고;
R18 은 수소, 히드록시, 또는 알콕시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F)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R16 및 R17 은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또는 시클로옥틸을 형성하고, R18 은 수소 또는 히드록시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F)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R31 및 R3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5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16 및 R17 은 독립적으로 C1-C13 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18 은 수소, 히드록시 또는 알콕시임].
하나의 구현예에서, 하기 화학식 (I) 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호변이성질체 또는 호변이성질체의 혼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용매화물, N-산화물 또는 전구약물로서 제공한다:
Figure pat00010
[식 중,
R1 및 R2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이거나; R1 및 R2 는 옥소를 형성하고;
R3 및 R4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며;
R5 는 C5-C15 알킬, 아르알킬, 헤테로시클릴알킬, 헤테로아릴알킬 또는 카르보시클릴알킬이고;
R6 은 수소 또는 알킬이며;
R7 및 R8 은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또는 -C(=O)R13 이거나;
R7 및 R8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X 는 -C(R9)(R10)- 또는 -O- 이며;
R9 및 R10 은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NR7R8 또는 카르보시클릴이거나; R9 및 R10 은 옥소를 형성하고;
R11 및 R12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또는 -C(=O)R13 이거나;
R11 및 R12 는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R13 은 알킬, 알케닐, 아릴,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임].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 화학식 (Ia) 의 구조를 갖는 화학식 (I) 의 화합물을 이의 호변이성질체 또는 호변이성질체의 혼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용매화물, N-산화물 또는 전구약물로서 제공한다:
Figure pat00011
[식 중,
R1 및 R2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이거나; R1 및 R2 는 옥소를 형성하고;
R3 및 R4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며;
R5 은 C5-C15 알킬, 아르알킬, 헤테로시클릴알킬, 헤테로아릴알킬 또는 카르보시클릴알킬이고;
R6 은 수소 또는 알킬이며;
R7 및 R8 은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또는 -C(=O)R13 이거나;
R7 및 R8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R9 및 R10 은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또는 카르보시클릴이거나; R9 및 R10 은 옥소를 형성하고;
R11 및 R12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또는 -C(=O)R13 이거나;
R11 및 R12 는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R13 은 알킬, 알케닐, 아릴,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Ia)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각 R11 및 R12 는 수소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Ia)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각 R9 및 R10 은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또는 OR6 이고, R6 은 수소 또는 알킬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Ia)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R5 는 C5-C9 알킬, 아르알킬, 또는 카르보시클릴알킬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Ia)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각 R1, R2, R3 및 R4 는 수소이고;
각 R9 및 R10 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OR6 이고, R6 은 수소 또는 알킬이고;
R5 는 C5-C9 알킬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Ia)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R5 는 -OR6 으로 치환된 C5-C9 알킬이고, R6 은 수소 또는 알킬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Ia)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각 R1, R2, R3 및 R4 는 수소이고;
각 R9 및 R10 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OR6 이고, R6 은 수소 또는 알킬이며;
R5 는 아르알킬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Ia)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각 R1, R2, R3 및 R4 는 수소이고;
각 R9 및 R10 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OR6 이며, R6 은 수소 또는 알킬이고;
R5 는 카르보시클릴알킬임].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Ib) 의 구조를 갖는 화학식 (I) 의 화합물을 이의 호변이성질체 또는 호변이성질체의 혼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용매화물, N-산화물 또는 전구약물로서 제공한다:
Figure pat00012
[식 중,
R1 및 R2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C1-C5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이고;
R3 및 R4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며;
R5 는 C5-C15 알킬, 아르알킬, 헤테로시클릴알킬, 헤테로아릴알킬 또는 카르보시클릴알킬이고;
R11 및 R12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또는 -C(=O)R13 이며;
R11 및 R12 는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R13 은 알킬, 알케닐, 아릴,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임].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Ib)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R11 및 R12 는 수소임].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Ib)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각 R3 및 R4 는 수소임].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Ib)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각 R1, R2, R3 및 R4 는 수소이고,
R5 는 C5-C9 알킬, 카르보시클릴알킬, 헤테로아릴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알킬임].
추가 구현예에서, 화학식 (I) 의 화합물은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3-(3-펜틸페닐)프로판-1-아민;
3-(3-헥실페닐)프로판-1-아민;
3-(3-(3,3-디메틸부틸)페닐)프로판-1-아민;
3-(3-(옥탄-4-일)페닐)프로판-1-아민;
4-(3-(3-아미노프로필)페닐)부탄-1-올;
6-(3-(3-아미노프로필)페닐)헥산-1-올;
3-(3-(6-메톡시헥실)페닐)프로판-1-아민;
4-(3-(3-아미노프로필)페네틸)헵탄-4-올;
1-(3-(3-아미노프로필)페닐)-3-에틸펜탄-3-올;
4-(3-(3-아미노프로필)페닐)-2-메틸부탄-2-올;
3-(3-(3-아미노프로필)페닐)프로판-1-올;
3-(3-(3-메톡시프로필)페닐)프로판-1-아민;
1-(3-(3-아미노프로필)페닐)헥산-3-올;
4-(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네틸)헵탄-4-올;
3-(3-(2,6-디메틸페네틸)페닐)프로판-1-아민;
3-(3-페네틸페닐)프로판-1-아민;
3-(3-(3-페닐프로필)페닐)프로판-1-아민;
3-아미노-1-(3-(3-페닐프로필)페닐)프로판-1-올;
3-(3-(2-메틸페네틸)페닐)프로판-1-아민;
3-(3-(2-(바이페닐-3-일)에틸)페닐)프로판-1-아민;
3-(3-(4-페닐부틸)페닐)프로판-1-아민;
3-(3-(2-(나프탈렌-2-일)에틸)페닐)프로판-1-아민;
3-(3-(2-시클로헥실에틸)페닐)프로판-1-아민;
3-(3-(2-시클로펜틸에틸)페닐)프로판-1-아민;
3-아미노-1-(3-(2-시클로펜틸에틸)페닐)프로판-1-올;
1-(3-(3-아미노프로필)페네틸)시클로헥산올;
1-(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네틸)시클로헥산올;
1-(3-(3-아미노프로필)페네틸)시클로헵탄올;
1-(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네틸)시클로헵탄올;
4-(3-(2-아미노에톡시)페네틸)헵탄-4-올;
1-(3-(2-아미노에톡시)페네틸)시클로헥산올;
1-(3-(2-아미노에톡시)페네틸)시클로헵탄올;
4-(3-(2-아미노에톡시)페네틸)테트라히드로-2H-티오피란-4-올;
6-(3-(2-아미노에톡시)페닐)헥산-1-올;
2-(3-(3-시클로펜틸프로필)페녹시)에탄아민;
2-(3-(2-(피리딘-3-일)에틸)페녹시)에탄아민;
2-(3-(2-(피리딘-2-일)에틸)페녹시)에탄아민; 및
2-(3-(2-(티오펜-2-일)에틸)페녹시)에탄아민.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B)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G 는 -C(R42)2-S-R40, -C(R42)2-SO-R40, -C(R42)2-SO2-R40, -C(R42)2-O-R40, -C(R42)2-N(R42)-R40, -C(=O)-N(R42)-R40 으로부터 선택되고;
R40 은 -C(R16)(R17)(R18),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며;
R42 는 수소 또는 알킬로부터 선택됨].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B)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G 는 -C(R42)2-S-R40, -C(R42)2-SO-R40, -C(R42)2-SO2-R40, -C(R42)2-O-R40, -C(R42)2-N(R42)-R40, -C(=O)-N(R42)-R40 으로부터 선택되고;
R40 은 -C(R16)(R17)(R18),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며;
R42 는 수소 또는 알킬로부터 선택됨].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B)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G 는 -C(R42)2-S-R40, -C(R42)2-SO-R40, -C(R42)2-SO2-R40, -C(R42)2-O-R40 으로부터 선택됨].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B)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G 는 -C(R42)2-N(R42)-R40, -C(=O)-N(R42)-R40 으로부터 선택됨].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B)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G 는 -C(R42)2-N(R42)-R40, -C(=O)-N(R42)-R40 으로부터 선택됨].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B)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R42 는 수소 또는 C1-C3 알킬이고;
R40 은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임].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B)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R40 은 -C(R16)(R17)(R18) 로부터 선택되고;
R16 및 R1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할로,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아리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18 은 수소, 알킬, 알콕시, 히드록시, 할로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됨].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B)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R40 은 -C(R16)(R17)(R18) 로부터 선택되고;
R16 및 R1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할로,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아리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R16 및 R17 은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며;
R18 은 수소, 알킬, 알콕시, 히드록시, 할로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됨].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A)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교환불가능한 1H 원자 중 하나, 하나 초과, 또는 모두가 2H 원자로 치환됨].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학식 (A)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20
한 구현예에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하기 화학식 (A)의 화합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질체, 입체이성질체, 기하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매화물, 수화물, 염, N-산화물 또는 전구약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21
[식 중,
Z 는 결합, -C(R1)(R2)-, -C(R9)(R10)-C(R1)(R2)-, -X-C(R31)(R32)-, -C(R9)(R10)-C(R1)(R2)-C(R36)(R37)- 또는 -X-C(R31)(R32)-C(R1)(R2)- 이고;
X 는 -O-, -S-, -S(=O)-, -S(=O)2-, -N(R30)-, -C(=O)-, -C(=CH2)-, -C(=N-NR35)-, 또는 -C(=N-OR35)- 이며;
G 는 -C(R41)2-C(R41)2-R40, -C(R42)2-S-R40, -C(R42)2-SO-R40, -C(R42)2-SO2-R40, -C(R42)2-O-R40, -C(R42)2-N(R42)-R40, -C(=O)-N(R42)-R40 으로부터 선택되고;
R40 은 -C(R16)(R17)(R18),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며;
각 R41 은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OR6, 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두 개의 R41 기는 함께 옥소를 형성할 수 있고;
각 R42 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1 및 R2 는 함께 옥소를 형성하고;
R31 및 R3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5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36 및 R3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로부터 선택되거나; R36 및 R37 은 함께 옥소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R36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이중 결합을 제공하거나; 임의로, R36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고, R37 및 R2 는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삼중 결합을 제공하며;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플루오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카르보시클릴 또는 C-부착된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거나; R3 및 R4 는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거나; R3 및 R4 는 함께 이미노를 형성하고;
R7 및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시클릴, -C(=O)R13, SO2R13, CO2R13 또는 SO2NR24R25 로부터 선택되거나; R7 및 R8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플루오로알킬, -OR19, -NR20R21 또는 카르보시클릴로부터 선택되거나; R9 및 R10 은 옥소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R9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이중 결합을 제공하거나; 임의로, R9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며, R10 및 R2 는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삼중 결합을 제공하고;
R11 및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C(=O)R23, -C(NH)NH2, SO2R23, CO2R23 또는 SO2NR28R29 로부터 선택되거나; R11 및 R12 는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각 R13, R22 및 R23 은 독립적으로 알킬, 헤테로알킬, 알케닐, 아릴, 아르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고;
R6, R19, R30, R34 및 R3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며;
R20 및 R2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시클릴, -C(=O)R22, SO2R22, CO2R22 또는 SO2NR26R27 로부터 선택되거나; R20 및 R21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각 R24, R25, R26, R27, R28 및 R29 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플루오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며;
R16 및 R1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할로,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아리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R16 및 R17 은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며;
R18 은 수소, 알킬, 알콕시, 히드록시, 할로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각 R33 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OR34,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n 은 0, 1, 2, 3, 또는 4 이고; 단, G 는 비치환 노르말 알킬이 아니고, 화학식 A 의 화합물은 하기의 것이 아니다: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3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11-시스 레티놀의 생성을 일으키는 이성화효소 반응을 억제하는 비-레티노이드 화합물 (여기서, 상기 이성화효소 반응은 RPE에서 일어나고, 상기 화합물은 대상에 투여시 1 ㎎/㎏ 이하의 ED50 값을 가짐)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상기 ED50 값이 상기 화합물의 단일 용량이 약 2시간 이상 동안 상기 대상에게 투여된 후 측정되는 값인 비-레티노이드 화합물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알콕실 화합물인 비-레티노이드 화합물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본원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비-레티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본원에 기술한 바와 같은 비-레티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에서의 안과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RPE65 및 LRAT를 발현하는 세포의 추출물을 이용하는, 시험관내 검정시 약 1 μM 이하의 IC50으로 11-시스-레티놀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이다 (여기서, 추출물은 CRALBP를 추가 포함하고, 화합물은 용액 중에서 약 1주일 이상 동안 실온에서 안정함). 추가적인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약 0.1 μM 이하의 IC50으로 11-시스-레티놀 생성을 억제한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약 0.01 μM 이하의 IC50으로 11-시스-레티놀 생성을 억제한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 11-시스-레티놀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은 비-레티노이드 화합물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11-시스-레티놀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11-시스 레티놀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에서의 안과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11-시스-레티놀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대상에게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레티노이드 주기에서의 발색단 플럭스를 조정하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화학식 (G) 의 화합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질체, 입체이성질체, 기하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매화물, 수화물, 염, N-산화물 또는 전구약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에서의 안과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24
[식 중,
Z 는 결합, -C(R1)(R2)-, -C(R9)(R10)-C(R1)(R2)-, -X-C(R31)(R32)-, -C(R9)(R10)-C(R1)(R2)-C(R36)(R37)- 또는 -X-C(R31)(R32)-C(R1)(R2)- 이고;
X 는 -O-, -S-, -S(=O)-, -S(=O)2-, -N(R30)-, -C(=O)-, -C(=CH2)-, -C(=N-NR35)-, 또는 -C(=N-OR35)- 이며;
G 는 -C(R41)2-C(R41)2-R40, -C(R42)2-S-R40, -C(R42)2-SO-R40, -C(R42)2-SO2-R40, -C(R42)2-O-R40, -C(R42)2-N(R42)-R40, -C(=O)-N(R42)-R40 으로부터 선택되고;
R40 은 -C(R16)(R17)(R18),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며;
각 R41 은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OR6, 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두 개의 R41 기는 함께 옥소를 형성할 수 있고;
각 R42 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로부터 선택되거나; R1 및 R2 는 함께 옥소를 형성하고;
R31 및 R3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5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36 및 R3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로부터 선택되거나; R36 및 R37 은 함께 옥소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R36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이중 결합을 제공하거나; 임의로, R36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고, R37 및 R2 는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삼중 결합을 제공하고;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플루오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카르보시클릴 또는 C-부착된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거나; R3및 R4 는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거나; R3 및 R4 는 함께 이미노를 형성하며;
R5 는 C5-C15 알킬 또는 카르보시클릴알킬이고;
R7 및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시클릴, -C(=O)R13, SO2R13, CO2R13 또는 SO2NR24R25 로부터 선택되거나; R7 및 R8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플루오로알킬, -OR19, -NR20R21 또는 카르보시클릴로부터 선택되거나; R9 및 R10 옥소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R9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이중 결합을 제공하거나; 임의로, R9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고, R10 및 R2 는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삼중 결합을 제공하고;
R11 및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C(=O)R23, -C(NH)NH2, SO2R23, CO2R23 또는 SO2NR28R29 로부터 선택되거나; R11 및 R12 는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각 R13, R22 및 R23 은 독립적으로 알킬, 헤테로알킬, 알케닐, 아릴, 아르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고;
R6, R19, R30, R34 및 R3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며;
R20 및 R2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시클릴, -C(=O)R22, SO2R22, CO2R22 또는 SO2NR26R27 로부터 선택되거나; R20 및 R21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각 R24, R25, R26, R27, R28 및 R29 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플루오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며;
R16 및 R1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할로,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아리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R16 및 R17 은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고;
R18 은 수소, 알킬, 알콕시, 히드록시, 할로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각 R33 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OR34,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n 은 0, 1, 2, 3, 또는 4 임].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화학식 (G) 의 화합물을 대상에게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레티노이드 주기에서의 발색단 플럭스를 조정하는 방법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대상의 안구에서의 리포푸신 색소 축적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리포푸신 색소가 N-레티닐리덴-N-레티닐-에탄올아민 (A2E)인, 대상의 안구에서의 리포푸신 색소 축적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대상의 안구에서의 리포푸신 색소 축적을 감소시키는,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대상에서의 안과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리포푸신 색소가 N-레티닐리덴-N-레티닐-에탄올아민 (A2E)인, 대상의 안구에서의 리포푸신 색소 축적을 감소시키는,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대상에서의 안과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대상에서의 안과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안과 질환 또는 장애가 노인성 황반 변성 또는 스타가르트 황반 이양증인 방법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대상에서의 안과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안과 질환 또는 장애가 망막 박리, 출혈 망막병증, 색소성 망막염, 추체간체 이영양증, 소르비 안저 이상증, 시각 신경병증, 염증성 망막 질환, 당뇨 망막병증, 당뇨 황반병증, 망막 혈관 폐쇄, 미숙 망막병증, 또는 허혈 재관류 관련 망막 손상, 증식 유리체망막병증, 망막 이영양증, 선천성 시각 신경병증, 소르비 안저 이상증, 포도막염, 망막 손상, 알츠하이머 질환 관련 망막 장애, 다발성 경화증 관련 망막 장애, 파킨슨 질환 관련 망막 장애, 바이러스성 감염 관련 망막 장애, 광 과다노출 관련 망막 장애, 근시 및 AIDS 관련 망막 장애에서 선택되는 방법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대상의 안구에서의 리포푸신 색소의 축적을 감소시키는,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대상에서의 안과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대상의 안구에서의 리포푸신 색소의 축적을 감소시키는,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대상에서의 안과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여기서 리포푸신 색소가 N-레티닐리덴-N-레티닐-에탄올아민 (A2E)인 방법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화학식 (G) 의 화합물을 망막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망막의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암순응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비-레티노이드 화합물과 망막을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망막의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암순응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11-시스-레티놀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과 망막을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망막의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암순응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화학식 (G) 의 화합물을 망막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망막의 막대 광수용체 세포에서의 로돕신의 재생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비-레티노이드 화합물을 망막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망막의 막대 광수용체 세포에서의 로돕신의 재생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11-시스-레티놀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과 망막을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망막의 막대 광수용체 세포에서의 로돕신의 재생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화학식 (G) 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안구에서의 허혈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비-레티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안구에서의 허혈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11-시스-레티놀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안구에서의 허혈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약학 조성물을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암순응을 억제하기에 충분한 시간 및 조건 하에 투여함으로써 안구에서의 허혈을 감소시키는, 대상의 안구에서의 허혈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비-레티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안구의 망막에서의 신생혈관증식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11-시스-레티놀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안구의 망막에서의 신생혈관증식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약학 조성물을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암순응을 억제하기에 충분한 시간 및 조건 하에 투여함으로써 망막에서의 신생혈관증식을 억제하는, 대상의 안구의 망막에서의 신생혈관증식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화학식 (G) 의 화합물과 망막을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망막에서의 망막 세포의 변성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비-레티노이드 화합물과 망막을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망막에서의 망막 세포의 변성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11-시스-레티놀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과 망막을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망막에서의 망막 세포의 변성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망막 세포가 망막 뉴런 세포인, 망막에서의 망막 세포의 변성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망막 뉴런 세포가 광수용체 세포인, 망막에서의 망막 세포의 변성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화학식 (G) 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망막에서의 리포푸신 색소의 축적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리포푸신이 N-레티닐리덴-N-레티닐-에탄올아민 (A2E)인, 대상의 망막에서의 리포푸신 색소의 축적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비-레티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망막에서의 리포푸신 색소의 축적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11-시스-레티놀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망막에서의 리포푸신 색소의 축적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리포푸신이 N-레티닐리덴-N-레티닐-에탄올아민 (A2E)인, 대상의 망막에서의 리포푸신 색소의 축적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추가 구현예에서는, 화학식 (G) 의 화합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질체, 입체이성질체, 기하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매화물, 수화물, 염, N-산화물 또는 전구약물을 대상에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레티노이드 주기에서의 발색단 플럭스를 조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25
[식 중,
Z 는 결합, -C(R1)(R2)-, -C(R9)(R10)-C(R1)(R2)-, -X-C(R31)(R32)-, -C(R9)(R10)-C(R1)(R2)-C(R36)(R37)- 또는 -X-C(R31)(R32)-C(R1)(R2)- 이고;
X 는 -O-, -S-, -S(=O)-, -S(=O)2-, -N(R30)-, -C(=O)-, -C(=CH2)-, -C(=N-NR35)-, 또는 -C(=N-OR35)- 이며;
G 는 -C(R41)2-C(R41)2-R40, -C(R42)2-S-R40, -C(R42)2-SO-R40, -C(R42)2-SO2-R40, -C(R42)2-O-R40, -C(R42)2-N(R42)-R40, -C(=O)-N(R42)-R40 으로부터 선택되고;
R40 은 -C(R16)(R17)(R18),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며;
각 R41 은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OR6, 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두 개의 R41 기는 함께 옥소를 형성할 수 있고;
각 R42 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로부터 선택되거나; R1 및 R2 는 함께 옥소를 형성하고;
R31 및 R3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5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36 및 R3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로부터 선택되거나; R36 및 R37 은 함께 옥소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R36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이중 결합을 제공하거나; 임의로, R36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고, R37 및 R2 는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삼중 결합을 제공하고;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플루오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카르보시클릴 또는 C-부착된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거나; R3및 R4 는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거나; R3 및 R4 는 함께 이미노를 형성하며;
R5 는 C5-C15 알킬 또는 카르보시클릴알킬이고;
R7 및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시클릴, -C(=O)R13, SO2R13, CO2R13 또는 SO2NR24R25 로부터 선택되거나; R7 및 R8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플루오로알킬, -OR19, -NR20R21 또는 카르보시클릴로부터 선택되거나; R9 및 R10 옥소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R9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이중 결합을 제공하거나; 임의로, R9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고, R10 및 R2 는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삼중 결합을 제공하고;
R11 및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C(=O)R23, -C(NH)NH2, SO2R23, CO2R23 또는 SO2NR28R29 로부터 선택되거나; R11 및 R12 는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각 R13, R22 및 R23 은 독립적으로 알킬, 헤테로알킬, 알케닐, 아릴, 아르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고;
R6, R19, R30, R34 및 R3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며;
R20 및 R2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시클릴, -C(=O)R22, SO2R22, CO2R22 또는 SO2NR26R27 로부터 선택되거나; R20 및 R21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각 R24, R25, R26, R27, R28 및 R29 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플루오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며;
R16 및 R1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할로,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아리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R16 및 R17 은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고;
R18 은 수소, 알킬, 알콕시, 히드록시, 할로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각 R33 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OR34,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n 은 0, 1, 2, 3, 또는 4 임].
추가 구현예에서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학식 (G) 의 화합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에서의 안과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Figure pat00026
Figure pat00027
Figure pat00028
Figure pat00029
Figure pat00030
Figure pat00031
Figure pat00032
Figure pat00033
Figure pat00034
참고문헌
본 명세서에 언급되는 모든 발행물, 특허 및 특허 출원은, 각각의 개별 발행물, 특허 또는 특허 출원이 참고문헌으로 포함되기 위해 명확하게 및 개별적으로 명시되는 바와 동일한 정도로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레티노이드 주기의 이성질체화 단계를 억제하는 아민 유도체 화합물이 본원에 기술된다. 이들 화합물, 및 이들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망막 세포의 변성 억제 또는 망막 세포 생존 증강에 유용하다. 그러므로,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은, 망막 질환 또는 장애, 예컨대 노인성 황반 변성 및 스타가르트 질환을 포함하는 안과 질환 및 장애 치료에 유용하다.
I. 아민 유도체 화합물
특정 구현예에서, 질소-함유 부분으로 종결되는 메타-치환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아민 유도체 화합물을 제공한다. 상기 질소-함유 부분은 예를 들어, 아민, 아미드 또는 N-헤테로시클릴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둘 이상의 탄소 원자 및 하나 이하의 헤테로원자, 예컨대 황, 산소 또는 질소를 포함하는 세 개의 연결 원자를 포함한다. 이들 연결 원자는 단일, 이중 또는 삼중 탄소-탄소 결합, 탄소-질소 결합, 질소-질소 결합, 탄소-산소 결합, 탄소-황 결합 등을 포함하는, 선형으로 구조화된 안정한 화학적 결합의 조합을 형성한다.
따라서, 한 구현예에서 화학식 (A) 의 화합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질체, 입체이성질체, 기하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매화물, 수화물, 염, N-산화물 또는 전구약물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35
[식 중,
Z 는 결합, -C(R1)(R2)-, -C(R9)(R10)-C(R1)(R2)-, -X-C(R31)(R32)-, -C(R9)(R10)-C(R1)(R2)-C(R36)(R37)- 또는 -X-C(R31)(R32)-C(R1)(R2)- 이고;
X 는 -O-, -S-, -S(=O)-, -S(=O)2-, -N(R30)-, -C(=O)-, -C(=CH2)-, -C(=N-NR35)-, 또는 -C(=N-OR35)- 이며;
G 는 -C(R41)2-C(R41)2-R40, -C(R42)2-S-R40, -C(R42)2-SO-R40, -C(R42)2-SO2-R40, -C(R42)2-O-R40, -C(R42)2-N(R42)-R40, -C(=O)-N(R42)-R40 으로부터 선택되고;
R40 은 -C(R16)(R17)(R18),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며;
각 R41 은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OR6, 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두 개의 R41 기는 함께 옥소를 형성할 수 있고;
각 R42 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1 및 R2 는 함께 옥소를 형성하고;
R31 및 R3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5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36 및 R3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로부터 선택되거나; R36 및 R37 은 함께 옥소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R36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이중 결합을 제공하거나; 임의로, R36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고, R37 및 R2 는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삼중 결합을 제공하며;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플루오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카르보시클릴 또는 C-부착된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거나; R3 및 R4 는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거나; R3 및 R4 는 함께 이미노를 형성하고;
R7 및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시클릴, -C(=O)R13, SO2R13, CO2R13 또는 SO2NR24R25 로부터 선택되거나; R7 및 R8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플루오로알킬, -OR19, -NR20R21 또는 카르보시클릴로부터 선택되거나; R9 및 R10 은 옥소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R9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이중 결합을 제공하거나; 임의로, R9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며, R10 및 R2 는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삼중 결합을 제공하고;
R11 및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C(=O)R23, -C(NH)NH2, SO2R23, CO2R23 또는 SO2NR28R29 로부터 선택되거나; R11 및 R12 는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각 R13, R22 및 R23 은 독립적으로 알킬, 헤테로알킬, 알케닐, 아릴, 아르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고;
R6, R19, R30, R34 및 R3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며;
R20 및 R2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시클릴, -C(=O)R22, SO2R22, CO2R22 또는 SO2NR26R27 로부터 선택되거나; R20 및 R21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각 R24, R25, R26, R27, R28 및 R29 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플루오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며;
R16 및 R1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할로,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아리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R16 및 R17 은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며;
R18 은 수소, 알킬, 알콕시, 히드록시, 할로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각 R33 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OR34,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n 은 0, 1, 2, 3, 또는 4 이고; 단, G 는 비치환 노르말 알킬이 아니고, 화학식 A 의 화합물은 하기의 것이 아니다:
Figure pat00036
Figure pat00037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A)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Z 는 결합, -C(R1)(R2)-, -C(R9)(R10)-C(R1)(R2)-, -X-C(R31)(R32)-, -C(R9)(R10)-C(R1)(R2)-C(R36)(R37)- 또는 -X-C(R31)(R32)-C(R1)(R2)- 이고;
X 는 -O-, -S-, -S(=O)-, -S(=O)2-, -N(R30)-, -C(=O)-, -C(=CH2)-, -C(=N-NR35)-, 또는 -C(=N-OR35)- 이며;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로부터 선택되거나; R1 및 R2 는 함께 옥소를 형성하고;
R31 및 R3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5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36 및 R3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로부터 선택되거나; R36 및 R37 은 함께 옥소를 형성하고;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플루오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카르보시클릴 또는 C-부착된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거나; R3 및 R4 는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거나; R3 및 R4 는 함께 이미노를 형성하고;
R7 및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시클릴, -C(=O)R13, SO2R13, CO2R13 또는 SO2NR24R25 로부터 선택되거나; R7 및 R8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플루오로알킬, -OR19, -NR20R21 또는 카르보시클릴로부터 선택되거나; R9 및 R10 은 옥소를 형성하고;
R11 및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C(=O)R23, SO2R23, CO2R23 또는 SO2NR28R29 로부터 선택되거나; R11 및 R12 는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각 R13, R22 및 R23 은 독립적으로 알킬, 헤테로알킬, 알케닐, 아릴, 아르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고;
R6, R19, R30, R34 및 R3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며;
R20 및 R2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시클릴, -C(=O)R22, SO2R22, CO2R22 또는 SO2NR26R27 로부터 선택되거나; R20 및 R21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각 R24, R25, R26, R27, R28 및 R29 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플루오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며;
각 R33 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OR34,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n 은 0, 1, 2, 3, 또는 4 임].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A) 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B) 의 구조를 갖는다:
Figure pat00038
[식 중,
Z 는 -C(R9)(R10)-C(R1)(R2)- 또는 -O-C(R31)(R32)- 이고;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로부터 선택되거나; R1 및 R2 는 함께 옥소를 형성하며;
R31 및 R3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5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R3 및 R4 는 함께 이미노를 형성하며;
R7 및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또는 -C(=O)R13 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7 및 R8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플루오로알킬, -OR19, -NR20R21 또는 카르보시클릴로부터 선택되거나; R9 및 R10 은 함께 옥소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R9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이중 결합을 제공하거나; 임의로, R9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고, R10 및 R2 는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삼중 결합을 제공하고;
R11 및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또는 -C(=O)R23 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11 및 R12 는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각 R13, R22 및 R23 은 독립적으로 알킬, 알케닐, 아릴, 아르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고;
R6, R19, 및 R3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며;
각 R33 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OR34,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n 은 0, 1, 2, 3, 또는 4 이며;
R20 및 R2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C(=O)R22 로부터 선택되거나; R20 및 R21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각 R24, R25, R26, R27, R28 및 R29 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플루오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됨].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B)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Z 는 -C(R9)(R10)-C(R1)(R2)- 또는 -O-C(R31)(R32)- 이고;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로부터 선택되거나; R1 및 R2 는 함께 옥소를 형성하며;
R31 및 R3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5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R3 및 R4 는 함께 이미노를 형성하며;
R7 및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또는 -C(=O)R13 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7 및 R8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플루오로알킬, -OR19, -NR20R21 또는 카르보시클릴로부터 선택되거나; R9 및 R10 은 함께 옥소를 형성하며;
R11 및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또는 -C(=O)R23 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11 및 R12 는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각 R13, R22 및 R23 은 독립적으로 알킬, 알케닐, 아릴, 아르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며;
R6, R19, 및 R3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고;
각 R33 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OR34,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n 은 0, 1, 2, 3, 또는 4 이고;
R20 및 R2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C(=O)R22 로부터 선택되거나; R20 및 R21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각 R24, R25, R26, R27, R28 및 R29 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플루오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됨].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B)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G 는 -C(R41)2-C(R41)2-R40 으로부터 선택되고;
R40 은 -C(R16)(R17)(R18),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며;
각 R41 은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OR6, 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두 개의 R41 기는 함께 옥소를 형성할 수 있음].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B)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G 는 -C(R41)2-C(R41)2-R40 으로부터 선택되고;
R40 은 -C(R16)(R17)(R18),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며;
각 R41 은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OR6, 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두 개의 R41 기는 함께 옥소를 형성할 수 있음].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B) 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C) 의 구조를 갖는다:
Figure pat00039
[식 중,
Z 는 -C(R9)(R10)-C(R1)(R2)- 또는 -O-C(R31)(R32)- 이고;
R40 은 -C(R16)(R17)(R18),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며;
R16 및 R1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할로,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아리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R16 및 R17 은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고;
R18 은 수소, 알킬, 알콕시, 히드록시, 할로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로부터 선택되거나; R1 및 R2 는 함께 옥소를 형성하고;
R31 및 R3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5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R3 및 R4 는 함께 이미노를 형성하고;
R7 및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또는 -C(=O)R13 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7 및 R8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플루오로알킬, -OR19, -NR20R21 또는 카르보시클릴로부터 선택되거나; R9 및 R10 은 함께 옥소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R9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이중 결합을 제공하거나; 임의로, R9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며, R10 및 R2 는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삼중 결합을 제공하고;
R11 및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또는 -C(=O)R23 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11 및 R12 는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각 R13, R22 및 R23 은 독립적으로 알킬, 알케닐, 아릴, 아르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고;
R6, R19, 및 R3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로부터 선택되며;
각 R33 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OR34,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n 은 0, 1, 2, 3, 또는 4 이며;
R20 및 R2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C(=O)R22 로부터 선택되거나; R20 및 R21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각 R24, R25, R26, R27, R28 및 R29 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플루오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됨].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C)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플루오로알킬, -OR19, -NR20R21 또는 카르보시클릴로부터 선택되거나; R9 및 R10 은 함께 옥소를 형성함].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C) 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D) 의 구조를 가진다:
Figure pat00040
[식 중,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로부터 선택되거나; R1 및 R2 는 함께 옥소를 형성하고;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R3 및 R4 는 함께 이미노를 형성하며;
R7 및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또는 -C(=O)R13 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7 및 R8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플루오로알킬, -OR19, -NR20R21 또는 카르보시클릴로부터 선택되거나; R9 및 R10 은 함께 옥소를 형성하고;
R11 및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또는 -C(=O)R23 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11 및 R12 는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각 R13, R22 및 R23 은 독립적으로 알킬, 알케닐, 아릴, 아르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고;
R6, R19 및 R3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며;
R20 및 R2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C(=O)R22 로부터 선택되거나; R20 및 R21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각 R24, R25, R26, R27, R28 및 R29 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플루오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며;
R16 및 R1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13 알킬, 할로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R16 및 R17 은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고;
각 R33 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OR34,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n 은 0, 1, 2, 3, 또는 4 이며;
R18 은 수소, 알킬, 알콕시, 히드록시, 할로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됨].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D) 의 화합물은 n 이 0 이고, 각 R11 및 R12 가 수소인 화합물을 제공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각 R3, R4, R14 및 R15 가 수소인 화합물을 제공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R1 및 R2 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또는 -OR6 으로부터 선택되고;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또는 -OR19 로부터 선택되거나; R9 및 R10 은 함께 옥소를 형성하며;
R6 및 R19 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고;
R16 및 R17 은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며;
R18 은 수소, 알콕시 또는 히드록시로부터 선택됨].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R16 및 R17 은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또는 시클로옥틸을 형성하고, R18 은 수소 또는 히드록시임].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D)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R11 이 수소이고 R12 가 -C(=O)R23 이고, R23 은 알킬인 화합물을 제공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D)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또는 -OR6 으로부터 선택되고;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또는 -OR19 로부터 선택되거나; R9 및 R10 은 함께 옥소를 형성하고;
R6 및 R19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16 및 R17 은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을 형성하고;
R18 은 수소, 히드록시 또는 알콕시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D)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n 이 0 이고;
R16 및 R17 은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또는 시클로헥실을 형성하며;
R18 은 수소 또는 히드록시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D)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또는 -OR6 으로부터 선택되고;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또는 -OR19 로부터 선택되거나; R9 및 R10 은 함께 옥소를 형성하며;
R6 및 R19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고;
R16 및 R17 은 독립적으로 C1-C13 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18 은 수소, 히드록시 또는 알콕시임].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C) 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E) 의 구조를 가진다:
Figure pat00041
[식 중,
R31 및 R3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5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R3 및 R4 는 함께 이미노를 형성하며;
R11 및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또는 -C(=O)R23 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11 및 R12 는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R23 은 알킬, 알케닐, 아릴,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며;
R14 및 R1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16 및 R1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13 알킬, 할로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R16 및 R17 은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며;
R18 은 수소, 알킬, 알콕시, 히드록시, 할로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34 는 수소 또는 알킬이며;
각 R33 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OR34,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n 은 0, 1, 2, 3, 또는 4 임].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E)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n 이 0 이고 각 R11 및 R12 가 수소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E)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각 R3, R4, R14 및 R15 가 수소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E)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R31 및 R32 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5 알킬이고;
R16 및 R17 은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을 형성하며;
R18 은 수소, 히드록시, 또는 알콕시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E)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R16 및 R17 이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또는 시클로옥틸을 형성하고, R18 이 수소 또는 히드록시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E)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R31 및 R32 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5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18 가 수소, 히드록시 또는 알콕시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E)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R31 및 R3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5 알킬이고;
R6 및 R19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며;
R16 및 R17 은 독립적으로 C1-C13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18 은 수소, 히드록시 또는 알콕시임].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A)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Z 는 결합, -X-C(R31)(R32)-, 또는 -X-C(R31)(R32)-C(R1)(R2)- 이고;
X 는 -S-, -S(=O)-, -S(=O)2-, -N(R30)-, -C(=O)-, -C(=CH2)-, -C(=N-NR35)-, 또는 -C(=N-OR35)- 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A)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G 는 -C(R41)2-C(R41)2-R40 으로부터 선택되고,
R40 은 -C(R16)(R17)(R18),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며;
각 R41 은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OR6, 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두 개의 R41 기는 함께 옥소를 형성할 수 있음].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A) 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F) 의 구조를 갖는다:
Figure pat00042
[식 중,
X 는 -S-, -S(=O)-, -S(=O)2-, -N(R30)-, -C(=O)-, -C(=CH2)-, -C(=N-NR35)-, 또는 -C(=N-OR35)- 이고;
R31 및 R3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5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R3 및 R4 는 함께 이미노를 형성하고;
R11 및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또는 -C(=O)R23 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11 및 R12 는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R23 은 알킬, 알케닐, 아릴,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고;
R16 및 R1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13 알킬, 할로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R16 및 R17 은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며;
R30, R34 및 R3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고;
R18 은 수소, 알킬, 알콕시, 히드록시, 할로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각 R33 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OR34,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n 은 0, 1, 2, 3, 또는 4 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F)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n 이 0 이고, 각 R11 및 R12 는 수소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F)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각 R3, R4, R14 및 R15 가 수소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F)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R31 및 R3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5 알킬이고;
R16 및 R17 은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고;
R18 이 수소, 히드록시, 또는 알콕시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F)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R16 및 R17 은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또는 시클로옥틸을 형성하고, R18 은 수소 또는 히드록시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F)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R31 및 R3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5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16 및 R17 은 독립적으로 C1-C13 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18 은 수소, 히드록시 또는 알콕시임].
하나의 구현예에서, 하기 화학식 (I) 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은 이의 호변이성질체 또는 호변이성질체의 혼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용매화물, N-산화물 또는 전구약물로서 제공한다:
Figure pat00043
[식 중,
R1 및 R2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이거나; R1 및 R2 는 옥소를 형성하고;
R3 및 R4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며;
R5 는 C5-C15 알킬, 아르알킬, 헤테로시클릴알킬, 헤테로아릴알킬 또는 카르보시클릴알킬이고;
R6 은 수소 또는 알킬이며;
R7 및 R8 은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또는 -C(=O)R13 이거나;
R7 및 R8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X 는 -C(R9)(R10)- 또는 -O- 이며;
R9 및 R10 은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NR7R8 또는 카르보시클릴이거나; R9 및 R10 은 옥소를 형성하고;
R11 및 R12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또는 -C(=O)R13 이거나;
R11 및 R12 는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R13 은 알킬, 알케닐, 아릴,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임].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 화학식 (Ia) 의 구조를 갖는 화학식 (I) 의 화합물을 이의 호변이성질체 또는 호변이성질체의 혼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용매화물, N-산화물 또는 전구약물로서 제공한다:
Figure pat00044
[식 중,
R1 및 R2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이거나; R1 및 R2 는 옥소를 형성하고;
R3 및 R4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며;
R5 은 C5-C15 알킬, 아르알킬, 헤테로시클릴알킬, 헤테로아릴알킬 또는 카르보시클릴알킬이고;
R6 은 수소 또는 알킬이며;
R7 및 R8 은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또는 -C(=O)R13 이거나;
R7 및 R8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R9 및 R10 은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또는 카르보시클릴이거나; R9 및 R10 은 옥소를 형성하고;
R11 및 R12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또는 -C(=O)R13 이거나;
R11 및 R12 는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R13 은 알킬, 알케닐, 아릴,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Ia)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각 R11 및 R12 는 수소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Ia)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각 R9 및 R10 은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또는 OR6 이고, R6 은 수소 또는 알킬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Ia)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R5 는 C5-C9 알킬, 아르알킬, 또는 카르보시클릴알킬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Ia)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각 R1, R2, R3 및 R4 는 수소이고;
각 R9 및 R10 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OR6 이고, R6 은 수소 또는 알킬이고;
R5 는 C5-C9 알킬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Ia)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R5 는 -OR6 으로 치환된 C5-C9 알킬이고, R6 은 수소 또는 알킬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Ia)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각 R1, R2, R3 및 R4 는 수소이고;
각 R9 및 R10 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OR6 이고, R6 은 수소 또는 알킬이며;
R5 는 아르알킬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Ia)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각 R1, R2, R3 및 R4 는 수소이고;
각 R9 및 R10 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OR6 이며, R6 은 수소 또는 알킬이고;
R5 는 카르보시클릴알킬임].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Ib) 의 구조를 갖는 화학식 (I) 의 화합물을 이의 호변이성질체 또는 호변이성질체의 혼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용매화물, N-산화물 또는 전구약물로서 제공한다:
Figure pat00045
[식 중,
R1 및 R2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C1-C5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이고;
R3 및 R4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며;
R5 는 C5-C15 알킬, 아르알킬, 헤테로시클릴알킬, 헤테로아릴알킬 또는 카르보시클릴알킬이고;
R11 및 R12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또는 -C(=O)R13 이며;
R11 및 R12 는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R13 은 알킬, 알케닐, 아릴,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임].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Ib)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R11 및 R12 는 수소임].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Ib)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각 R3 및 R4 는 수소임].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Ib)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각 R1, R2, R3 및 R4 는 수소이고,
R5 는 C5-C9 알킬, 카르보시클릴알킬, 헤테로아릴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알킬임].
추가 구현예에서, 화학식 (I) 의 화합물은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3-(3-펜틸페닐)프로판-1-아민;
3-(3-헥실페닐)프로판-1-아민;
3-(3-(3,3-디메틸부틸)페닐)프로판-1-아민;
3-(3-(옥탄-4-일)페닐)프로판-1-아민;
4-(3-(3-아미노프로필)페닐)부탄-1-올;
6-(3-(3-아미노프로필)페닐)헥산-1-올;
3-(3-(6-메톡시헥실)페닐)프로판-1-아민;
4-(3-(3-아미노프로필)페네틸)헵탄-4-올;
1-(3-(3-아미노프로필)페닐)-3-에틸펜탄-3-올;
4-(3-(3-아미노프로필)페닐)-2-메틸부탄-2-올;
3-(3-(3-아미노프로필)페닐)프로판-1-올;
3-(3-(3-메톡시프로필)페닐)프로판-1-아민;
1-(3-(3-아미노프로필)페닐)헥산-3-올;
4-(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네틸)헵탄-4-올;
3-(3-(2,6-디메틸페네틸)페닐)프로판-1-아민;
3-(3-페네틸페닐)프로판-1-아민;
3-(3-(3-페닐프로필)페닐)프로판-1-아민;
3-아미노-1-(3-(3-페닐프로필)페닐)프로판-1-올;
3-(3-(2-메틸페네틸)페닐)프로판-1-아민;
3-(3-(2-(바이페닐-3-일)에틸)페닐)프로판-1-아민;
3-(3-(4-페닐부틸)페닐)프로판-1-아민;
3-(3-(2-(나프탈렌-2-일)에틸)페닐)프로판-1-아민;
3-(3-(2-시클로헥실에틸)페닐)프로판-1-아민;
3-(3-(2-시클로펜틸에틸)페닐)프로판-1-아민;
3-아미노-1-(3-(2-시클로펜틸에틸)페닐)프로판-1-올;
1-(3-(3-아미노프로필)페네틸)시클로헥산올;
1-(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네틸)시클로헥산올;
1-(3-(3-아미노프로필)페네틸)시클로헵탄올;
1-(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네틸)시클로헵탄올;
4-(3-(2-아미노에톡시)페네틸)헵탄-4-올;
1-(3-(2-아미노에톡시)페네틸)시클로헥산올;
1-(3-(2-아미노에톡시)페네틸)시클로헵탄올;
4-(3-(2-아미노에톡시)페네틸)테트라히드로-2H-티오피란-4-올;
6-(3-(2-아미노에톡시)페닐)헥산-1-올;
2-(3-(3-시클로펜틸프로필)페녹시)에탄아민;
2-(3-(2-(피리딘-3-일)에틸)페녹시)에탄아민;
2-(3-(2-(피리딘-2-일)에틸)페녹시)에탄아민; 및
2-(3-(2-(티오펜-2-일)에틸)페녹시)에탄아민.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B)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G 는 -C(R42)2-S-R40, -C(R42)2-SO-R40, -C(R42)2-SO2-R40, -C(R42)2-O-R40, -C(R42)2-N(R42)-R40, -C(=O)-N(R42)-R40 로부터 선택되고;
R40 은 -C(R16)(R17)(R18),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며;
R42 는 수소 또는 알킬로부터 선택됨].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B)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G 는 -C(R42)2-S-R40, -C(R42)2-SO-R40, -C(R42)2-SO2-R40, -C(R42)2-O-R40, -C(R42)2-N(R42)-R40, -C(=O)-N(R42)-R40 으로부터 선택되고;
R40 은 -C(R16)(R17)(R18),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며;
R42 는 수소 또는 알킬로부터 선택됨].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B)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G 는 -C(R42)2-S-R40, -C(R42)2-SO-R40, -C(R42)2-SO2-R40, -C(R42)2-O-R40 으로부터 선택됨].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B)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G 는 -C(R42)2-N(R42)-R40, -C(=O)-N(R42)-R40 으로부터 선택됨].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B)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G 는 -C(R42)2-N(R42)-R40, -C(=O)-N(R42)-R40 으로부터 선택됨].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B)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R42 는 수소 또는 C1-C3 알킬이고;
R40 은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임].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B)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R40 은 -C(R16)(R17)(R18) 로부터 선택되고;
R16 및 R1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할로,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아리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18 은 수소, 알킬, 알콕시, 히드록시, 할로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됨].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B)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R40 은 -C(R16)(R17)(R18) 로부터 선택되고;
R16 및 R1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할로,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아리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R16 및 R17 은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며;
R18 은 수소, 알킬, 알콕시, 히드록시, 할로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됨].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와 같은 화학식 (A)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 중, 교환불가능한 1H 원자 중 하나, 하나 초과, 또는 모두가 2H 원자로 치환됨].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학식 (A)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46
Figure pat00047
Figure pat00048
Figure pat00049
Figure pat00050
Figure pat00051
Figure pat00052
Figure pat00053
한 구현예에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하기 화학식 (A)의 화합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질체, 입체이성질체, 기하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매화물, 수화물, 염, N-산화물 또는 전구약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54
[식 중,
Z 는 결합, -C(R1)(R2)-, -C(R9)(R10)-C(R1)(R2)-, -X-C(R31)(R32)-, -C(R9)(R10)-C(R1)(R2)-C(R36)(R37)- 또는 -X-C(R31)(R32)-C(R1)(R2)- 이고;
X 는 -O-, -S-, -S(=O)-, -S(=O)2-, -N(R30)-, -C(=O)-, -C(=CH2)-, -C(=N-NR35)-, 또는 -C(=N-OR35)- 이며;
G 는 -C(R41)2-C(R41)2-R40, -C(R42)2-S-R40, -C(R42)2-SO-R40, -C(R42)2-SO2-R40, -C(R42)2-O-R40, -C(R42)2-N(R42)-R40, -C(=O)-N(R42)-R40 으로부터 선택되고;
R40 은 -C(R16)(R17)(R18),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며;
각 R41 은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OR6, 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두 개의 R41 기는 함께 옥소를 형성할 수 있고;
각 R42 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1 및 R2 는 함께 옥소를 형성하고;
R31 및 R3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5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36 및 R3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로부터 선택되거나; R36 및 R37 은 함께 옥소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R36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이중 결합을 제공하거나; 임의로, R36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고, R37 및 R2 는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삼중 결합을 제공하며;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플루오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카르보시클릴 또는 C-부착된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거나; R3 및 R4 는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거나; R3 및 R4 는 함께 이미노를 형성하고;
R7 및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시클릴, -C(=O)R13, SO2R13, CO2R13 또는 SO2NR24R25 로부터 선택되거나; R7 및 R8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플루오로알킬, -OR19, -NR20R21 또는 카르보시클릴로부터 선택되거나; R9 및 R10 은 옥소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R9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이중 결합을 제공하거나; 임의로, R9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며, R10 및 R2 는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삼중 결합을 제공하고;
R11 및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C(=O)R23, -C(NH)NH2, SO2R23, CO2R23 또는 SO2NR28R29 로부터 선택되거나; R11 및 R12 는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각 R13, R22 및 R23 은 독립적으로 알킬, 헤테로알킬, 알케닐, 아릴, 아르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고;
R6, R19, R30, R34 및 R3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며;
R20 및 R2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시클릴, -C(=O)R22, SO2R22, CO2R22 또는 SO2NR26R27 로부터 선택되거나; R20 및 R21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각 R24, R25, R26, R27, R28 및 R29 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플루오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며;
R16 및 R1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할로,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아리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R16 및 R17 은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며;
R18 은 수소, 알킬, 알콕시, 히드록시, 할로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각 R33 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OR34,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n 은 0, 1, 2, 3, 또는 4 이고; 단, G 는 비치환 노르말 알킬이 아니고, 화학식 A 의 화합물은 하기의 것이 아니다:
Figure pat00055
Figure pat00056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11-시스 레티놀의 생성을 일으키는 이성화효소 반응을 억제하는 비-레티노이드 화합물 (여기서, 상기 이성화효소 반응은 RPE에서 일어나고, 상기 화합물은 대상에 투여시 1 ㎎/㎏ 이하의 ED50 값을 가짐)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상기 ED50 값이 상기 화합물의 단일 용량이 약 2시간 이상 동안 상기 대상에게 투여된 후 측정되는 값인 비-레티노이드 화합물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알콕실 화합물인 비-레티노이드 화합물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본원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비-레티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본원에 기술한 바와 같은 비-레티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에서의 안과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RPE65 및 LRAT를 발현하는 세포의 추출물을 이용하는, 시험관내 검정시 약 1 μM 이하의 IC50으로 11-시스-레티놀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이다 (여기서, 추출물은 CRALBP를 추가 포함하고, 화합물은 용액 중에서 약 1주일 이상 동안 실온에서 안정함). 추가적인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약 0.1 μM 이하의 IC50으로 11-시스-레티놀 생성을 억제한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약 0.01 μM 이하의 IC50으로 11-시스-레티놀 생성을 억제한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 11-시스-레티놀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은 비-레티노이드 화합물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11-시스-레티놀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11-시스 레티놀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에서의 안과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11-시스-레티놀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대상에게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레티노이드 주기에서의 발색단 플럭스를 조정하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화학식 (G) 의 화합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질체, 입체이성질체, 기하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매화물, 수화물, 염, N-산화물 또는 전구약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에서의 안과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57
[식 중,
Z 는 결합, -C(R1)(R2)-, -C(R9)(R10)-C(R1)(R2)-, -X-C(R31)(R32)-, -C(R9)(R10)-C(R1)(R2)-C(R36)(R37)- 또는 -X-C(R31)(R32)-C(R1)(R2)- 이고;
X 는 -O-, -S-, -S(=O)-, -S(=O)2-, -N(R30)-, -C(=O)-, -C(=CH2)-, -C(=N-NR35)-, 또는 -C(=N-OR35)- 이며;
G 는 -C(R41)2-C(R41)2-R40, -C(R42)2-S-R40, -C(R42)2-SO-R40, -C(R42)2-SO2-R40, -C(R42)2-O-R40, -C(R42)2-N(R42)-R40, -C(=O)-N(R42)-R40 으로부터 선택되고;
R40 은 -C(R16)(R17)(R18),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며;
각 R41 은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OR6, 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두 개의 R41 기는 함께 옥소를 형성할 수 있고;
각 R42 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로부터 선택되거나; R1 및 R2 는 함께 옥소를 형성하고;
R31 및 R3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5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36 및 R3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로부터 선택되거나; R36 및 R37 은 함께 옥소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R36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이중 결합을 제공하거나; 임의로, R36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고, R37 및 R2 는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삼중 결합을 제공하고;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플루오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카르보시클릴 또는 C-부착된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거나; R3및 R4 는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거나; R3 및 R4 는 함께 이미노를 형성하며;
R5 는 C5-C15 알킬 또는 카르보시클릴알킬이고;
R7 및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시클릴, -C(=O)R13, SO2R13, CO2R13 또는 SO2NR24R25 로부터 선택되거나; R7 및 R8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플루오로알킬, -OR19, -NR20R21 또는 카르보시클릴로부터 선택되거나; R9 및 R10 옥소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R9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이중 결합을 제공하거나; 임의로, R9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고, R10 및 R2 는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삼중 결합을 제공하고;
R11 및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C(=O)R23, -C(NH)NH2, SO2R23, CO2R23 또는 SO2NR28R29 로부터 선택되거나; R11 및 R12 는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각 R13, R22 및 R23 은 독립적으로 알킬, 헤테로알킬, 알케닐, 아릴, 아르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고;
R6, R19, R30, R34 및 R3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며;
R20 및 R2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시클릴, -C(=O)R22, SO2R22, CO2R22 또는 SO2NR26R27 로부터 선택되거나; R20 및 R21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각 R24, R25, R26, R27, R28 및 R29 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플루오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며;
R16 및 R1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할로,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아리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R16 및 R17 은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고;
R18 은 수소, 알킬, 알콕시, 히드록시, 할로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각 R33 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OR34,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n 은 0, 1, 2, 3, 또는 4 임].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화학식 (G) 의 화합물을 대상에게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레티노이드 주기에서의 발색단 플럭스를 조정하는 방법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대상의 안구에서의 리포푸신 색소 축적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리포푸신 색소가 N-레티닐리덴-N-레티닐-에탄올아민 (A2E)인, 대상의 안구에서의 리포푸신 색소 축적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대상의 안구에서의 리포푸신 색소 축적을 감소시키는,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대상에서의 안과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리포푸신 색소가 N-레티닐리덴-N-레티닐-에탄올아민 (A2E)인, 대상의 안구에서의 리포푸신 색소 축적을 감소시키는,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대상에서의 안과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대상에서의 안과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안과 질환 또는 장애가 노인성 황반 변성 또는 스타가르트 황반 이양증인 방법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대상에서의 안과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안과 질환 또는 장애가 망막 박리, 출혈 망막병증, 색소성 망막염, 추체간체 이영양증, 소르비 안저 이상증, 시각 신경병증, 염증성 망막 질환, 당뇨 망막병증, 당뇨 황반병증, 망막 혈관 폐쇄, 미숙 망막병증, 또는 허혈 재관류 관련 망막 손상, 증식 유리체망막병증, 망막 이영양증, 선천성 시각 신경병증, 소르비 안저 이상증, 포도막염, 망막 손상, 알츠하이머 질환 관련 망막 장애, 다발성 경화증 관련 망막 장애, 파킨슨 질환 관련 망막 장애, 바이러스성 감염 관련 망막 장애, 광 과다노출 관련 망막 장애, 근시 및 AIDS 관련 망막 장애에서 선택되는 방법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대상의 안구에서의 리포푸신 색소의 축적을 감소시키는,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대상에서의 안과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대상의 안구에서의 리포푸신 색소의 축적을 감소시키는,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대상에서의 안과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여기서 리포푸신 색소가 N-레티닐리덴-N-레티닐-에탄올아민 (A2E)인 방법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화학식 (G) 의 화합물을 망막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망막의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암순응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비-레티노이드 화합물과 망막을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망막의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암순응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11-시스-레티놀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과 망막을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망막의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암순응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화학식 (G) 의 화합물을 망막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망막의 막대 광수용체 세포에서의 로돕신의 재생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비-레티노이드 화합물을 망막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망막의 막대 광수용체 세포에서의 로돕신의 재생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11-시스-레티놀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과 망막을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망막의 막대 광수용체 세포에서의 로돕신의 재생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화학식 (G) 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안구에서의 허혈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비-레티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안구에서의 허혈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11-시스-레티놀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안구에서의 허혈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약학 조성물을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암순응을 억제하기에 충분한 시간 및 조건 하에 투여함으로써 안구에서의 허혈을 감소시키는, 대상의 안구에서의 허혈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비-레티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안구의 망막에서의 신생혈관증식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11-시스-레티놀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안구의 망막에서의 신생혈관증식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약학 조성물을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암순응을 억제하기에 충분한 시간 및 조건 하에 투여함으로써 망막에서의 신생혈관증식을 억제하는, 대상의 안구의 망막에서의 신생혈관증식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화학식 (G) 의 화합물과 망막을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망막에서의 망막 세포의 변성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비-레티노이드 화합물과 망막을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망막에서의 망막 세포의 변성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11-시스-레티놀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과 망막을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망막에서의 망막 세포의 변성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망막 세포가 망막 뉴런 세포인, 망막에서의 망막 세포의 변성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망막 뉴런 세포가 광수용체 세포인, 망막에서의 망막 세포의 변성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화학식 (G) 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망막에서의 리포푸신 색소의 축적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리포푸신이 N-레티닐리덴-N-레티닐-에탄올아민 (A2E)인, 대상의 망막에서의 리포푸신 색소의 축적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비-레티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망막에서의 리포푸신 색소의 축적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11-시스-레티놀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망막에서의 리포푸신 색소의 축적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리포푸신이 N-레티닐리덴-N-레티닐-에탄올아민 (A2E)인, 대상의 망막에서의 리포푸신 색소의 축적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추가 구현예에서는, 화학식 (G) 의 화합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질체, 입체이성질체, 기하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매화물, 수화물, 염, N-산화물 또는 전구약물을 대상에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레티노이드 주기에서의 발색단 플럭스를 조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58
[식 중,
Z 는 결합, -C(R1)(R2)-, -C(R9)(R10)-C(R1)(R2)-, -X-C(R31)(R32)-, -C(R9)(R10)-C(R1)(R2)-C(R36)(R37)- 또는 -X-C(R31)(R32)-C(R1)(R2)- 이고;
X 는 -O-, -S-, -S(=O)-, -S(=O)2-, -N(R30)-, -C(=O)-, -C(=CH2)-, -C(=N-NR35)-, 또는 -C(=N-OR35)- 이며;
G 는 -C(R41)2-C(R41)2-R40, -C(R42)2-S-R40, -C(R42)2-SO-R40, -C(R42)2-SO2-R40, -C(R42)2-O-R40, -C(R42)2-N(R42)-R40, -C(=O)-N(R42)-R40 으로부터 선택되고;
R40 은 -C(R16)(R17)(R18),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며;
각 R41 은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OR6, 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두 개의 R41 기는 함께 옥소를 형성할 수 있고;
각 R42 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로부터 선택되거나; R1 및 R2 는 함께 옥소를 형성하고;
R31 및 R3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5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36 및 R3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로부터 선택되거나; R36 및 R37 은 함께 옥소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R36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이중 결합을 제공하거나; 임의로, R36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고, R37 및 R2 는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삼중 결합을 제공하고;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플루오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카르보시클릴 또는 C-부착된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거나; R3및 R4 는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거나; R3 및 R4 는 함께 이미노를 형성하며;
R5 는 C5-C15 알킬 또는 카르보시클릴알킬이고;
R7 및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시클릴, -C(=O)R13, SO2R13, CO2R13 또는 SO2NR24R25 로부터 선택되거나; R7 및 R8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플루오로알킬, -OR19, -NR20R21 또는 카르보시클릴로부터 선택되거나; R9 및 R10 옥소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R9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이중 결합을 제공하거나; 임의로, R9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고, R10 및 R2 는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삼중 결합을 제공하고;
R11 및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C(=O)R23, -C(NH)NH2, SO2R23, CO2R23 또는 SO2NR28R29 로부터 선택되거나; R11 및 R12 는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각 R13, R22 및 R23 은 독립적으로 알킬, 헤테로알킬, 알케닐, 아릴, 아르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고;
R6, R19, R30, R34 및 R3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며;
R20 및 R2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시클릴, -C(=O)R22, SO2R22, CO2R22 또는 SO2NR26R27 로부터 선택되거나; R20 및 R21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각 R24, R25, R26, R27, R28 및 R29 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플루오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며;
R16 및 R1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할로,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아리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R16 및 R17 은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고;
R18 은 수소, 알킬, 알콕시, 히드록시, 할로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각 R33 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OR34,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n 은 0, 1, 2, 3, 또는 4 임].
추가 구현예에서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학식 (G) 의 화합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에서의 안과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59
Figure pat00060
Figure pat00061
Figure pat00062
Figure pat00063
Figure pat00064
Figure pat00065
Figure pat00066
Figure pat00067
특정 구현예에서, 질소-함유 부분으로 종결하는 메타-치환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아민 유도체 화합물을 제공한다. 상기 질소-함유 부분은 예를 들어, 아민, 아미드 또는 N-헤테로시클릴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둘 이상의 탄소 원자 및 하나 이하의 헤테로원자, 예컨대 황, 산소 또는 질소를 포함하는 세 개의 연결 원자를 포함한다. 이들 연결 원자는 단일, 이중 또는 삼중 탄소-탄소 결합, 탄소-질소 결합, 질소-질소 결합, 탄소-산소 결합, 탄소-황 결합 등을 포함하는, 선형으로 구조화된 안정한 화학적 결합의 조합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화합물은 이의 호변이성질체 또는 호변이성질체의 혼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용매화물, N-산화물 또는 전구약물로서 하기 화학식 (I) 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68
[식 중,
R1 및 R2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이거나; R1 및 R2 는 옥소를 형성하고;
R3 및 R4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며;
R5 는 C5-C15 알킬, 아르알킬, 헤테로시클릴알킬, 헤테로아릴알킬 또는 카르보시클릴알킬이고;
R6 은 수소 또는 알킬이며;
R7 및 R8 은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또는 -C(=O)R13 이거나;
R7 및 R8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X 는 -C(R9)(R10)- 또는 -O- 이며;
R9 및 R10 은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NR7R8 또는 카르보시클릴이거나; R9 및 R10 은 옥소를 형성하고;
R11 및 R12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또는 -C(=O)R13 이거나;
R11 및 R12 는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R13 은 알킬, 알케닐, 아릴,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임].
특정 구현예에서, 각 R11 및 R12 가 수소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R11 이 수소이고, R12 가 -C(=O)R13 이고, R13 이 알킬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각 R3 및 R4 가 수소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각 R1 및 R2 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또는 -OR6 이고, R6 은 수소 또는 알킬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또는 -OR6 이고, R6 은 수소 또는 알킬이다.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각 R1, R2, R9 및 R10 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OR6 이고, R6 은 수소 또는 알킬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R9 및 R10 은 함께 옥소를 형성한다.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R5 가 C5-C9 알킬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R5 가 아르알킬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R5 가 헤테로아릴알킬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R5 가 헤테로시클릴알킬이다.
또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R5 가 카르보시클릴알킬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X 가 -C(R9)(R10)- 인 하기 화학식 (I) 의 화합물을 이의 호변이성질체 또는 호변이성질체의 혼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용매화물, N-산화물 또는 전구약물로서 하기 화학식 (Ia) 의 구조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69
[식 중,
R1 및 R2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이거나; R1 및 R2 는 옥소를 형성하고;
R3 및 R4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며;
R5 은 C5-C15 알킬, 아르알킬, 헤테로시클릴알킬, 헤테로아릴알킬 또는 카르보시클릴알킬이고;
R6 은 수소 또는 알킬이며;
R7 및 R8 은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또는 -C(=O)R13 이거나;
R7 및 R8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R9 및 R10 은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또는 카르보시클릴이거나; R9 및 R10 은 옥소를 형성하고;
R11 및 R12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또는 -C(=O)R13 이거나;
R11 및 R12 는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R13 은 알킬, 알케닐, 아릴,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임].
특정 구현예에서, 각 R11 및 R12 가 수소인 화학식 (Ia)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R11 이 수소이고, R12 가 -C(=O)R13 이고, R13 이 알킬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각 R3 및 R4 가 수소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각 R9 및 R10 은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또는 -OR6 이고, R6 은 수소 또는 알킬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R5 가 C5-C9 알킬이다.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R5 가 아르알킬이다.
또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R5 가 카르보시클릴알킬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각 R11 및 R12 가 수소이고, 각 R1, R2, R3 및 R4 는 수소이며, 각 R9 및 R10 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OR6 이고, R6 은 수소 또는 알킬이며, R5 는 C5-C9 알킬이다.
특정 특이 구현예에서, R5 는 -OR6 으로 치환된 C5-C9 알킬이고, R6 은 수소 또는 알킬이다.
본원에 개시된 특정 화합물은 하기 표 1 에 나타낸 구조를 갖는다. 실시예 번호는 제시된 구조/명칭의 화합물의 제조를 기재한 본원의 특정 실시예를 지칭한다.
Figure pat00070
Figure pat00071
Figure pat00072
Figure pat00073
Figure pat00074
Figure pat00075
Figure pat00076
Figure pat00077
Figure pat00078
추가 구현예에서, 각 R11 및 R12 가 수소이고, 각 R1 , R2, R3 및 R4 는 수소이며, 각 R9 및 R10 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OR6 이고, R6 은 수소 또는 알킬이며, R5 는 아르알킬이다.
특정 특이 구현예에서, R5 의 알킬렌 부분은 에틸렌, 프로필렌, 또는 부틸렌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R5 의 아릴 부분은 페닐, 톨릴, 자일레닐, 바이페닐, 또는 나프틸이다.
본원에 개시된 특정 화합물은 하기 표 2 에 나타낸 구조를 갖는다. 실시예 번호는 제시된 구조/명칭의 화합물의 제조를 기재한 본원의 특정 실시예를 지칭한다.
Figure pat00079
Figure pat00080
추가 구현예에서, 각 R11 및 R12 는 수소이고, 각 R1 , R2, R3 및 R4 는 수소이며, 각 R9 및 R10 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OR6 이고, R6 은 수소 또는 알킬이며, R5 는 카르보시클릴알킬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카르보시클릴알킬은 -OR6 으로 추가 치환될 수 있고, R6 은 수소 또는 알킬이다.
특정 특이 구현예에서, R5 의 알킬렌 부분은 에틸렌, 프로필렌. 또는 부틸렌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R5 의 카르보시클릴 부분은 시클로헥실, 시클로펜틸 또는 시클로헵틸이다.
본원에 개시된 특정 화합물은 하기 표 3 에 나타낸 구조를 갖는다. 실시예 번호는 제시된 구조/명칭의 화합물의 제조를 기재한 본원의 특정 실시예를 지칭한다.
Figure pat00082
Figure pat00083
Figure pat00084
Figure pat00085
Figure pat00086
다른 구현예에서, X 가 -O- 인 화학식 (I) 의 화합물은 이의 호변이성질체 또는 호변이성질체의 혼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용매화물, N-산화물 또는 전구약물로서 화학식 (Ib) 의 구조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87
[식 중,
R1 및 R2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C1-C5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이고;
R3 및 R4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며;
R5 는 C5-C15 알킬, 아르알킬, 헤테로시클릴알킬, 헤테로아릴알킬 또는 카르보시클릴알킬이고;
R11 및 R12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또는 -C(=O)R13 이며;
R11 및 R12 는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R13 은 알킬, 알케닐, 아릴,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임].
특정 구현예에서, 화학식 (Ib) 로 나타내는 구조에서 각 R11 및 R12 가 수소인 화합물을 제공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R11 은 수소이고, R12 는 -C(=O)R13 이며, R13 은 알킬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각 R3 및 R4 는 수소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R5 는 C5-C9 알킬이다.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R5 는 카르보시클릴알킬이다.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R5 는 헤테로아릴알킬이다.
또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R5 는 헤테로시클릴알킬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각 R11 및 R12 는 수소이고, 각 R1 , R2, R3 및 R4 는 수소이며, R5 는 C5-C9 알킬이다. 특정 특이 구현예에서, R5 는 -OR6 으로 치환된 C5-C9 알킬이고, R6 은 수소 또는 알킬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각 R11 및 R12 는 수소이고, 각 R1 , R2, R3 및 R4 는 수소이며, R5 는 헤테로아릴알킬이고, R5 의 알킬렌 부분이 에틸렌, 프로필렌, 또는 부틸렌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각 R11 및 R12 가 수소이고, 각 R1 , R2, R3 및 R4 는 수소이며, R5 가 헤테로시클릴알킬이고, R5 의 알킬렌 부분이 에틸렌, 프로필렌, 또는 부틸렌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각 R11 및 R12 가 수소이고, 각 R1 , R2, R3 및 R4 는 수소이고, R5 는 카르보시클릴알킬, R5 의 알킬렌 부분이 에틸렌, 프로필렌, 또는 부틸렌이다.
본원에 개시된 특정 화합물은 하기 표 4 에 나타낸 구조를 갖는다. 실시예 번호는 제시된 구조/명칭의 화합물의 제조를 기재한 본원의 특정 실시예를 지칭한다.
Figure pat00088
Figure pat00089
Figure pat00090
Figure pat00091
Figure pat00092
본원에 개시된 특정 화합물은 하기 표 5 에 나타낸 구조를 갖는다. 실시예 번호는 제시된 구조/명칭의 화합물의 제조를 기재한 본원의 특정 실시예를 지칭한다.
Figure pat00093
Figure pat00094
Figure pat00095
II. 정의
본원 및 첨부된 청구항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표현은, 달리 명백히 명시되지 않는 한, 복수의 지시대상을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화합물"이란 언급은 복수의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고, "세포"란 언급은 하나 이상의 세포 (또는 복수의 세포) 및 당업자에게 공지된 이의 동등물 등의 언급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물리적 성질, 예컨대 분자량 또는 화학적 성질, 예컨대 화학적 화학식에 대하여 범위가 사용될 경우, 범위의 모든 조합 및 하위 조합 및 이의 구체적 구현예가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수 또는 수치 범위를 나타낼 경우의 용어 "약"은 언급된 수 또는 수치 범위가 실험 변화성 이내 (또는 통계적 실험 오차 이내)의 근사치임을 의미하며, 따라서, 수 또는 수치 범위는 언급된 수 또는 수치 범위의 1% 내지 15%로 가변적일 수 있다. 용어 "포함하는" (및 관련 용어, 예컨대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다" 또는 "갖는" 또는 "포함되는")은, 기타 특정 구현예, 예를 들어, 본원에 기술되는 임의 조성의 물질, 조성물, 방법 또는 프로세스 등의 구현예에서 기술된 특징으로 "이루어지는" 또는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 일 수 있음을 배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술파닐" 은 -S- 라디칼을 지칭한다.
"술피닐" 은 -S(=O)- 라디칼을 지칭한다.
"술포닐" 은 -S(=O)2- 라디칼을 지칭한다.
"아미노" 는 -NH2 라디칼을 지칭한다.
"시아노" 는 -CN 라디칼을 지칭한다.
"니트로" 는 -NO2 라디칼을 지칭한다.
"옥사" 는 -O- 라디칼을 지칭한다.
"옥소" 는 =O 라디칼을 지칭한다.
"이미노" 는 =NH 라디칼을 지칭한다.
"티옥소" 는 =S 라디칼을 지칭한다.
"알킬"은 오직 탄소 및 수소 원자로 이루어지는 선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 사슬 라디칼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불포화를 포함하지 않고, 1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것이다 (예를 들어 C1-C15 알킬). 특정 구현예에서, 알킬은 1 내지 13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C1-C13 알킬). 특정 구현예에서, 알킬은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C1-C8 알킬). 다른 구현에에서, 알킬은 5 내지 15개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C5-C15 알킬). 다른 구현예에서, 알킬은 5 내지 8개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C5-C8 알킬). 알킬은 단일 결합에 의해 분자의 나머지에 결합되며, 예를 들어, 메틸 (Me), 에틸 (Et), n-프로필, 1-메틸에틸 (이소-프로필), n-부틸, n-펜틸, 1,1-디메틸에틸 (t-부틸), 3-메틸헥실, 2-메틸헥실 등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상세히 명시되지 않는 한, 알킬기는 하기 치환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임의 치환된다: 할로, 시아노, 니트로, 옥소, 티옥소, 트리메틸실라닐, -ORa, -SRa, -OC(O)-Ra, -N(Ra)2, -C(O)Ra, -C(O)ORa, -C(O)N(Ra)2, -N(Ra)C(O)ORa, -N(Ra)C(O)Ra, -N(Ra)S(O)tRa (여기서, t는 1 또는 2임), -S(O)tORa (여기서, t는 1 또는 2임) 및 -S(O)tN(Ra)2 (여기서, t는 1 또는 2임) (여기서, 각각의 Ra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플루오로알킬, 카르보시클릴 카르보시클릴알킬, 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시클릴알킬,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알킬임).
"알케닐"은 오직 탄소 및 수소 원자로 이루어지는 선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 사슬 라디칼기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을 포함하고, 2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것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알케닐은 2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서는, 알케닐은 2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알케닐은 단일 결합에 의해 분자의 나머지에 결합되고, 예를 들어, 에테닐 (즉, 비닐), 프로프-1-에닐 (즉, 알릴), 부트-1-에닐, 펜트-1-에닐, 펜타-1,4-디에닐 등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상세히 명시되지 않는 한, 알케닐기는 하기 치환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임의 치환된다: 할로, 시아노, 니트로, 옥소, 티옥소, 트리메틸실라닐, -ORa, -SRa, -OC(O)-Ra, -N(Ra)2, -C(O)Ra, -C(O)ORa, -C(O)N(Ra)2, -N(Ra)C(O)ORa, -N(Ra)C(O)Ra, -N(Ra)S(O)tRa (여기서, t는 1 또는 2임), -S(O)tORa (여기서, t는 1 또는 2임) 및 -S(O)tN(Ra)2 (여기서, t는 1 또는 2임) (여기서, 각각의 Ra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플루오로알킬, 카르보시클릴, 카르보시클릴알킬, 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시클릴알킬,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알킬임).
"알키닐"은 오직 탄소 및 수소 원자로 이루어지는 선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 사슬 라디칼기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삼중 결합을 포함하고, 2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것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알키닐은 2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서는, 알키닐은 2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 알키닐은 단일 결합에 의해 분자의 나머지에 결합되고, 예를 들어, 에티닐, 프로피닐, 부티닐, 펜티닐, 헥시닐 등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상세히 명시되지 않는 한, 알키닐기는 하기 치환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임의 치환된다: 할로, 시아노, 니트로, 옥소, 티옥소, 트리메틸실라닐, -ORa, -SRa, -OC(O)-Ra, -N(Ra)2, -C(O)Ra, -C(O)ORa, -C(O)N(Ra)2, -N(Ra)C(O)ORa, -N(Ra)C(O)Ra, -N(Ra)S(O)tRa (여기서, t는 1 또는 2임), -S(O)tORa (여기서, t는 1 또는 2임) 및 -S(O)tN(Ra)2 (여기서, t는 1 또는 2임) (여기서, 각각의 Ra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플루오로알킬, 카르보시클릴 카르보시클릴알킬, 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시클릴알킬,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알킬임).
"알킬렌" 또는 "알킬렌 사슬"은 오직 탄소 및 수소 원자로 이루어지는, 분자의 나머지와 라디칼기를 연결시키는 선형 또는 분지형 2가 탄화수소 사슬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불포화를 포함하지 않고,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며, 예를 들어, 메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n-부틸렌 등을 지칭한다. 알킬렌 사슬은 단일 결합을 통해 분자의 나머지에 부착되고, 단일 결합을 통해 라디칼기에 부착된다. 분자의 나머지 및 라디칼기에 대한 알킬렌 사슬의 부착 위치는 알킬렌 사슬 내 하나의 탄소를 통한 것일 수 있고 또는 사슬 내 임의의 두 탄소를 통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상세히 명시되지 않는 한, 알킬렌 사슬은 하기 치환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임의 치환된다: 할로, 시아노, 니트로, 아릴, 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아릴, 옥소, 티옥소, 트리메틸실라닐, -ORa, -SRa, -OC(O)-Ra, -N(Ra)2, -C(O)Ra, -C(O)ORa, -C(O)N(Ra)2, -N(Ra)C(O)ORa, -N(Ra)C(O)Ra, -N(Ra)S(O)tRa (여기서, t는 1 또는 2임), -S(O)tORa (여기서, t는 1 또는 2임) 및 -S(O)tN(Ra)2 (여기서, t는 1 또는 2임) (여기서, 각각의 Ra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플루오로알킬, 카르보시클릴, 카르보시클릴알킬, 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시클릴알킬,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알킬임).
"알케닐렌" 또는 "알케닐렌 사슬"은 오직 탄소 및 수소로 이루어지는, 분자의 나머지와 라디칼기를 연결시키는 선형 또는 분지형 2가 탄화수소 사슬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을 포함하고, 2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며, 예를 들어, 에테닐렌, 프로페닐렌, n-부테닐렌 등이다. 알케닐렌 사슬은 이중 결합 또는 단일 결합을 통해 분자의 나머지에 부착되고, 이중 결합 또는 단일 결합을 통해 라디칼기에 부착된다. 분자의 나머지 및 라디칼기에 대한 알케닐렌 사슬의 부착 위치는 사슬 내 하나의 탄소 또는 임의의 두 탄소를 통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상세히 명시되지 않는 한, 알케닐렌 사슬은 하기 치환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임의 치환된다: 할로, 시아노, 니트로, 아릴, 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아릴, 옥소, 티옥소, 트리메틸실라닐, -ORa, -SRa, -OC(O)-Ra, -N(Ra)2, -C(O)Ra, -C(O)ORa, -C(O)N(Ra)2, -N(Ra)C(O)ORa, -N(Ra)C(O)Ra, -N(Ra)S(O)tRa (여기서, t 는 1 또는 2임), -S(O)tORa (여기서, t 는 1 또는 2임) 및 -S(O)tN(Ra)2 (여기서, t 는 1 또는 2 임) (여기서, 각각의 Ra 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플루오로알킬,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알킬, 아릴 (하나 이상의 할로기로 임의 치환됨), 아르알킬,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시클릴알킬,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알킬이고, 여기서, 상기 치환기의 각각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비치환된 것임).
"아릴"은 고리 탄소 원자로부터 수소 원자를 제거하여 방향족 단일환형 또는 다환형 탄화수소 고리 시스템으로부터 유도한 라디칼을 지칭한다. 방향족 단일환형 또는 다환형 탄화수소 고리 시스템은 오직 수소 및 6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로부터의 탄소를 포함하며, 여기서, 고리 시스템 내 고리 중 하나 이상은 완전히 불포화이며, 즉, 이는 Huckel 이론에 따라 환형, 비편재화 (4n+2) π-전자 시스템을 포함한다. 아릴기는 비제한적으로 페닐, 플루오레닐 및 나프틸과 같은 기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상세히 명시되지 않는 한, 용어 "아릴" 또는 접두사 "아르-" (예컨대 "아르알킬" 중에서)는 하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아릴 라디칼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 플루오로알킬, 시아노, 니트로, 임의 치환된 아릴, 임의 치환된 아르알킬, 임의 치환된 아르알케닐, 임의 치환된 아르알키닐, 임의 치환된 카르보시클릴, 임의 치환된 카르보시클릴알킬, 임의 치환된 헤테로시클릴, 임의 치환된 헤테로시클릴알킬,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알킬, -Rb-ORa, -Rb-OC(O)-Ra, -Rb-N(Ra)2, -Rb-C(O)Ra, -Rb-C(O)ORa, -Rb-C(O)N(Ra)2, -Rb-O-Rc-C(O)N(Ra)2, -Rb-N(Ra)C(O)ORa, -Rb-N(Ra)C(O)Ra, -Rb-N(Ra)S(O)tRa (여기서, t는 1 또는 2임), -Rb-S(O)tORa (여기서, t는 1 또는 2임) 및 -Rb-S(O)tN(Ra)2 (여기서, t는 1 또는 2임), 여기서 각각의 Ra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플루오로알킬,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알킬, 아릴 (하나 이상의 할로기로 임의 치환됨), 아르알킬,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시클릴알킬,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알킬이고, 각각의 Rb는 독립적으로 직접 결합 또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 또는 알케닐렌 사슬이고, Rc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 또는 알케닐렌 사슬이고, 여기서, 상기 치환기의 각각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치환되지 않음.
"아르알킬"은 화학식 -Rc-아릴 (식 중, Rc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킬렌 사슬임)의 라디칼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벤질, 디페닐메틸 등이다. 아르알킬 라디칼의 알킬렌 사슬 부분은 알킬렌 사슬에 대해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임의 치환된다. 아르알킬 라디칼의 아릴 부분은 아릴기에 대해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임의 치환된다.
"아르알케닐"은 화학식 -Rd-아릴 (식 중, Rd는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알케닐렌 사슬임)의 라디칼을 지칭한다. 아르알케닐 라디칼의 아릴 부분은 아릴기에 대해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임의 치환된다. 아르알케닐 라디칼의 알케닐렌 사슬 부분은 알케닐렌기에 대해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이 임의 치환된다.
"아르알키닐"은 화학식 -Re-아릴 (식 중, Re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키닐렌 사슬임)의 라디칼을 지칭한다. 아르알키닐 라디칼의 아릴 부분은 아릴기에 대해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임의 치환된다. 아르알키닐 라디칼의 알키닐렌 사슬 부분은 알키닐렌 사슬에 대해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이 임의 치환된다.
"카르보시클릴"은 오직 탄소 및 수소 원자로 이루어지는 안정한 비-방향족 단일환형 또는 다환형 탄화수소 라디칼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융합 또는 교상 고리 시스템을 포함하고, 3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카르보시클릴은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서는, 카르보시클릴은 5 내지 7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카르보시클릴은 단일 결합에 의해 분자의 나머지에 부착된다. 카르보시클릴은 임의로 포화 (즉, 오직 단일 C-C 결합 포함) 또는 불포화 (즉,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 또는 삼중 결합 포함)될 수 있다. 완전한 포화 카르보시클릴 라디칼은 또한 "시클로알킬"이라 칭한다. 단일환형 시클로알킬의 예는, 예를 들어,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및 시클로옥틸을 포함한다. 불포화 카르보시클릴은 또한 "시클로알케닐"이라 칭한다. 단일환형 시클로알케닐의 예는, 예를 들어, 시클로펜테닐, 시클로헥세닐, 시클로헵테닐 및 시클로옥테닐을 포함한다. 다환형 카르보시클릴 라디칼은, 예를 들어, 아다만틸, 노르보르닐 (즉, 바이시클로[2.2.1]헵탄일), 노르보르넨일, 데칼리닐, 7,7-디메틸-바이시클로[2.2.1]헵탄일 등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달리 상세히 명시되지 않는 한, 용어 "카르보시클릴"은 하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카르보시클릴 라디칼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 플루오로알킬, 옥소, 티옥소, 시아노, 니트로, 임의 치환된 아릴, 임의 치환된 아르알킬, 임의 치환된 아르알케닐, 임의 치환된 아르알키닐, 임의 치환된 카르보시클릴, 임의 치환된 카르보시클릴알킬, 임의 치환된 헤테로시클릴, 임의 치환된 헤테로시클릴알킬,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알킬, -Rb-ORa, -Rb-SRa, -Rb-OC(O)-Ra, -Rb-N(Ra)2, -Rb-C(O)Ra, -Rb-C(O)ORa, -Rb-C(O)N(Ra)2, -Rb-O-Rc-C(O)N(Ra)2, -Rb-N(Ra)C(O)ORa, -Rb-N(Ra)C(O)Ra, -Rb-N(Ra)S(O)tRa (여기서, t는 1 또는 2임), -Rb-S(O)tORa (여기서, t는 1 또는 2임) 및 -Rb-S(O)tN(Ra)2 (여기서, t는 1 또는 2임), 여기서 각각의 Ra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플루오로알킬,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알킬, 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시클릴알킬,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알킬이고, 각각의 Rb는 독립적으로 직접 결합 또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 또는 알케닐렌 사슬이고, Rc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 또는 알케닐렌 사슬이고, 여기서, 상기 치환기의 각각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치환되지 않음.
"카르보시클릴알킬"은 화학식 -Rc-카르보시클릴 (식 중, Rc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킬렌 사슬임)의 라디칼을 지칭한다. 알킬렌 사슬 및 카르보시클릴 라디칼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이 임의 치환된다.
"할로" 또는 "할로겐"은 브로모, 클로로, 플루오로 또는 요오도 치환기를 지칭한다.
"플루오로알킬"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플루오로 라디칼에 의해 치환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킬 라디칼을 지칭하며, 예를 들어, 트리플루오로메틸, 디플루오로메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1-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에틸 등이다. 플루오로알킬 라디칼의 알킬 부분은 알킬기에 대해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이 임의 치환된다.
"헤테로시클릴"은 안정한 3- 내지 18-원 비-방향족 고리 라디칼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2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및 1 내지 6개의 헤테로원자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됨)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상세히 명시되지 않는 한, 헤테로시클릴 라디칼은 단일환형, 이중환형, 삼중환형 또는 사중환형 고리 시스템이며, 이는 융합 또는 가교 고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헤테로시클릴 라디칼 내 헤테로원자(들)는 임의 산화된다. 하나 이상의 질소 원자가, 존재하는 경우, 임의 4차화된다. 헤테로시클릴 라디칼은 부분 또는 완전 포화이다. 헤테로시클릴은 고리(들)의 임의의 원자를 통해 분자의 나머지에 부착된다. 이러한 헤테로시클릴 라디칼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디옥솔라닐, 티에닐[1,3]디티아닐, 데카하이드로이소퀴놀릴, 이미다졸리닐, 이미다졸리디닐, 이소티아졸리디닐, 이속사졸리디닐, 모르폴리닐, 옥타하이드로인돌릴, 옥타하이드로이소인돌릴, 2-옥소피페라지닐, 2-옥소피페리디닐, 2-옥소피롤리디닐, 옥사졸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4-피페리도닐, 피롤리디닐, 피라졸리디닐, 퀴누클리디닐, 티아졸리디닐, 테트라하이드로푸릴, 트리티아닐,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티오모르폴리닐, 티아모르폴리닐, 1-옥소-티오모르폴리닐 및 1,1-디옥소-티오모르폴리닐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상세히 명시되지 않는 한, 용어 "헤테로시클릴"은 하기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헤테로시클릴 라디칼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 플루오로알킬, 옥소, 티옥소, 시아노, 니트로, 임의 치환된 아릴, 임의 치환된 아르알킬, 임의 치환된 아르알케닐, 임의 치환된 아르알키닐, 임의 치환된 카르보시클릴, 임의 치환된 카르보시클릴알킬, 임의 치환된 헤테로시클릴, 임의 치환된 헤테로시클릴알킬,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알킬, -Rb-ORa, -Rb-SRa, -Rb-OC(O)-Ra, -Rb-N(Ra)2, -Rb-C(O)Ra, -Rb-C(O)ORa, -Rb-C(O)N(Ra)2, -Rb-O-Rc-C(O)N(Ra)2, -Rb-N(Ra)C(O)ORa, -Rb-N(Ra)C(O)Ra, -Rb-N(Ra)S(O)tRa (여기서, t는 1 또는 2임), -Rb-S(O)tORa (여기서, t는 1 또는 2임) 및 -Rb-S(O)tN(Ra)2 (여기서, t는 1 또는 2임), 여기서, 각각의 Ra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플루오로알킬,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알킬, 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시클릴알킬,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알킬이고, 각각의 Rb는 독립적으로 직접 결합 또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 또는 알케닐렌 사슬이고, Rc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 또는 알케닐렌 사슬이고, 상기 치환기 중 각각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치환되지 않음.
"N-헤테로시클릴" 또는 "N-부착된 헤테로시클릴"은 하나 이상의 질소를 포함하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헤테로시클릴 라디칼을 지칭하며, 헤테로시클릴 라디칼의 분자의 나머지에의 부착점은 헤테로시클릴 라디칼 내 질소 원자를 통한 것이다. N-헤테로시클릴 라디칼은 헤테로시클릴 라디칼에 대해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임의 치환된다. 이러한 N-헤테로시클릴 라디칼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1-모르폴리닐, 1-피페리디닐, 1-피페라지닐, 1-피롤리디닐, 피라졸리디닐, 이미다졸리닐 및 이미다졸리디닐을 포함한다.
"C-헤테로시클릴" 또는 "C-부착된 헤테로시클릴"은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헤테로시클릴 라디칼을 지칭하며, 헤테로시클릴 라디칼의 분자 나머지에의 부착점은 헤테로시클릴 라디칼 내 탄소 원자를 통한 것이다. C-헤테로시클릴 라디칼은 헤테로시클릴 라디칼에 대해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임의 치환된다. 이러한 C-헤테로시클릴 라디칼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2-모르폴리닐, 2- 또는 3- 또는 4-피페리디닐, 2-피페라지닐, 2- 또는 3-피롤리디닐 등을 포함한다.
"헤테로시클릴알킬"은 화학식 -Rc-헤테로시클릴 (식 중, Rc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킬렌 사슬임)의 라디칼을 지칭한다. 헤테로시클릴이 질소-함유 헤테로시클릴인 경우, 헤테로시클릴은 질소 원자에서 알킬 라디칼에 임의 부착된다. 헤테로시클릴알킬 라디칼의 알킬렌 사슬은 알킬렌 사슬에 대해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이 임의 치환된다. 헤테로시클릴알킬 라디칼의 헤테로시클릴 부분은 헤테로시클릴기에 대해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이 임의 치환된다.
"헤테로아릴"은 3- 내지 18-원 방향족 고리 라디칼로부터 유도된 라디칼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2 내지 17개의 탄소 원자 및 1 내지 6개의 헤테로원자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됨)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헤테로아릴 라디칼은 단일환형, 이중환형, 삼중환형 또는 사중환형 고리 시스템이며, 여기서 상기 고리 시스템 내 고리 중 하나 이상은 완전 불포화이어서, 즉, Huckel 이론에 따른 환형, 비편재화 (4n+2) π-전자 시스템을 포함한다. 헤테로아릴기는 융합 또는 가교 고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헤테로아릴 라디칼 내 헤테로원자(들)는 임의 산화된다. 하나 이상의 질소 원자가, 존재하는 경우, 임의 4차화된다. 헤테로아릴은 고리(들)의 임의의 원자에 의해 분자의 나머지에 부착된다. 헤테로아릴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아제피닐, 아크리디닐, 벤즈이미다졸릴, 벤즈인돌릴, 1,3-벤조디옥솔릴, 벤조푸라닐, 벤조옥사졸릴, 벤조[d]티아졸릴, 벤조티아디아졸릴, 벤조[b][1,4]디옥세피닐, 벤조[b][1,4]옥사지닐, 1,4-벤조디옥사닐, 벤조나프토푸라닐, 벤즈옥사졸릴, 벤조디옥솔릴, 벤조디옥시닐, 벤조피라닐, 벤조피라노닐, 벤조푸라닐, 벤조푸라노닐, 벤조티에닐 (벤조티오페닐), 벤조티에노[3,2-d]피리미디닐, 벤조트리아졸릴, 벤조[4,6]이미다조[1,2-a]피리디닐, 카르바졸릴, 신놀리닐, 시클로펜타[d]피리미디닐, 6,7-디하이드로-5H-시클로펜타[4,5]티에노[2,3-d]피리미디닐, 5,6-디하이드로벤조[h]퀴나졸리닐, 5,6-디하이드로벤조[h]신놀리닐, 6,7-디하이드로-5H-벤조[6,7]시클로헵타[1,2-c]피리다지닐, 디벤조푸라닐, 디벤조티오페닐, 푸라닐, 푸라노닐, 푸로[3,2-c]피리디닐, 5,6,7,8,9,10-헥사하이드로시클로옥타[d]피리미디닐, 5,6,7,8,9,10-헥사하이드로시클로옥타[d]피리다지닐, 5,6,7,8,9,10-헥사하이드로시클로옥타[d]피리디닐, 이소티아졸릴, 이미다졸릴, 인다졸릴, 인돌릴, 인다졸릴, 이소인돌릴, 인돌리닐, 이소인돌리닐, 이소퀴놀릴, 인돌리지닐, 이속사졸릴, 5,8-메타노-5,6,7,8-테트라하이드로퀴나졸리닐, 나프티리디닐, 1,6-나프티리디노닐, 옥사디아졸릴, 2-옥소아제피닐, 옥사졸릴, 옥시라닐, 5,6,6a,7,8,9,10,10a-옥타하이드로벤조[h]퀴나졸리닐, 1-페닐-1H-피롤릴, 페나지닐, 페노티아지닐, 페녹사지닐, 프탈라지닐, 프테리디닐, 푸리닐, 피롤릴, 피라졸릴, 피라졸로[3,4-d]피리미디닐, 피리디닐, 피리도[3,2-d]피리미디닐, 피리도[3,4-d]피리미디닐,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피리다지닐, 피롤릴, 퀴나졸리닐, 퀴녹살리닐, 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테트라하이드로퀴놀리닐, 5,6,7,8-테트라하이드로퀴나졸리닐, 5,6,7,8-테트라하이드로벤조[4,5]티에노[2,3-d]피리미디닐, 6,7,8,9-테트라하이드로-5H-시클로헵타[4,5]티에노[2,3-d]피리미디닐, 5,6,7,8-테트라하이드로피리도[4,5-c]피리다지닐, 티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트리아지닐, 티에노[2,3-d]피리미디닐, 티에노[3,2-d]피리미디닐, 티에노[2,3-c]프리디닐 및 티오페닐 (즉, 티에닐)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상세히 명시되지 않는 한, 용어 "헤테로아릴"은 하기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 치환되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헤테로아릴 라디칼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 플루오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옥소, 티옥소, 시아노, 니트로, 임의 치환된 아릴, 임의 치환된 아르알킬, 임의 치환된 아르알케닐, 임의 치환된 아르알키닐, 임의 치환된 카르보시클릴, 임의 치환된 카르보시클릴알킬, 임의 치환된 헤테로시클릴, 임의 치환된 헤테로시클릴알킬,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알킬, -Rb-ORa, -Rb-SRa, -Rb-OC(O)-Ra, -Rb-N(Ra)2, -Rb-C(O)Ra, -Rb-C(O)ORa, -Rb-C(O)N(Ra)2, -Rb-O-Rc-C(O)N(Ra)2, -Rb-N(Ra)C(O)ORa, -Rb-N(Ra)C(O)Ra, -Rb-N(Ra)S(O)tRa (여기서, t 는 1 또는 2 임), -Rb-S(O)tORa (여기서, t 는 1 또는 2 임) 및 -Rb-S(O)tN(Ra)2 (여기서, t 는 1 또는 2 임), 여기서 각각의 Ra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플루오로알킬,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알킬, 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시클릴알킬,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알킬이고, 각각의 Rb는 독립적으로 직접 결합 또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 또는 알케닐렌 사슬이고, Rc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 또는 알케닐렌 사슬이고, 여기서 상기 치환기의 각각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치환되지 않음.
"N-헤테로아릴"은 하나 이상의 질소를 포함하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헤테로아릴 라디칼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헤테로아릴 라디칼의 분자의 나머지에의 부착점은 헤테로아릴 라디칼 내 질소 원자를 통한 것이다. N-헤테로아릴 라디칼은 헤테로아릴 라디칼에 대해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임의 치환된다.
"C-헤테로아릴"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헤테로아릴 라디칼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헤테로아릴 라디칼의 분자의 나머지에의 부착점은 헤테로아릴 라디칼 내 탄소 원자를 통한 것이다. C-헤테로아릴 라디칼은 헤테로아릴 라디칼에 대해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임의 치환된다.
"헤테로아릴알킬"은 화학식 -Rc-헤테로아릴 (식 중, Rc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킬렌 사슬임)의 라디칼을 지칭한다. 헤테로아릴이 질소-함유 헤테로아릴인 경우, 헤테로아릴은 질소 원자에서 알킬 라디칼에 부착된다. 헤테로아릴알킬 라디칼의 알킬렌 사슬은 알킬렌 사슬에 대해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이 임의 치환된다. 헤테로아릴알킬 라디칼의 헤테로아릴 부분은 헤테로아릴기에 대해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이 임의 치환된다.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하나 이상의 비대칭 중심을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및 기타 입체이성질체 형태 (절대 입체화학의 관점에서, 아미노산에 대해 (R)- 또는 (S)- 로서 또는 (D)- 또는 (L)- 로서 정의될 수 있음)가 발생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이 올레핀성 이중 결합 또는 기타 기하 비대칭의 중심을 포함하고, 달리 명시되지 않은 경우, 이는 화합물이 E 및 Z 기하 이성질체 (예를 들어, 시스 또는 트랜스)의 둘 다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마찬가지로, 모든 가능한 이성질체뿐 아니라 이의 라세미체 및 임의로는 순수한 형태, 및 모든 호변이성질체 형태가 또한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입체이성질체"는, 동일한 결합에 의해 결합된 동일한 원자로 만들어졌으나 교환불가능한 상이한 3-차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그러므로, 다양한 입체이성질체 및 이의 혼합물이 예측되며, "거울상이성질체" (이는 이의 분자가 서로 포개어지지 않는 거울상을 갖는 두 입체이성질체를 지칭함)가 포함된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본원에 나타낸 구조는 또한 하나 이상의 동원원소가 풍부한 원자의 존재하에서 오직 상이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중수소 또는 삼중수소에 의한 수소의 대체, 또는 13C- 또는 14C-풍부 탄소에 의한 탄소의 대체를 제외한 본 구조를 갖는 화합물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화합물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원자에 원자 동위원소의 비정상적인 부분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합물은 예를 들어 중수소 (2H), 삼중수소 (3H), 아이오딘-125 (125I) 또는 탄소-14(14C) 와 같은 동위원소로 표지될 수 있다. 2H, 11C, 13C, 14C, 15C, 12N, 13N, 15N, 16N, 16O, 17O, 14F, 15F, 16F, 17F, 18F, 33S, 34S, 35S, 36S, 35Cl, 37Cl, 79Br, 81Br, 125I 을 이용한 동워원소 치환 모두가 고려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방사성 또는 비방사성인 모든 동위원소 변이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원에 개시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은 2H 원자로 대체된 1H 원자의 일부 또는 모두를 갖는다. 중수소-함유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합성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고, 비제한적인 예로서 하기 합성 방법을 포함한다.
i 및 산 ii 와 같은 중수소화 출발 물질은 쉽게 이용가능하고,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합성을 위한 본원에 기재된 합성 방법에 사용된다.
Figure pat00096
다른 중수소화 출발 물질은 또한 비제한적인 예로서 하기 반응식에 제시된 중수소-함유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합성에 사용된다. 많은 중수소-함유 시약 및 구성 요소는 Aldrich Chemical Co 와 같은 화학물질 판매회사로부터 입수가능하다.
Figure pat00097
환원 조건하에서 반응 기질에 중수소를 전이하기 위해 중수소화알루미늄리튬 (LiAlD4) 과 같은 중수소-전이 시약이 사용된다. LiAlD4 의 사용이 하기 반응식에 오직 예로서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98
하기 반응식에서 오직 예로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불포화 탄소-탄소 연결을 환원시키고, 아릴 탄소-할로겐 결합의 환원 치환을 수행하기 위해 중수소 기체 및 팔라듐 촉매가 사용된다.
Figure pat00099
하나의 구현예에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은 하나의 중수소 원자를 함유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은 두 개의 중수소 원자를 함유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은 세 개의 중수소 원자를 함유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은 네 개의 중수소 원자를 함유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은 다섯 개의 중수소 원자를 함유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은 여섯 개의 중수소 원자를 함유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은 완전히 중수소 원자로 치환되고, 교환불가능한 1H 수소 원자를 함유하지 않는다.
"호변이성질체"는 분자의 한 원자로부터 동일한 분자의 또 다른 원자로 양성자가 시프트된 것을 지칭한다. 본원에 제시되는 화합물은 호변이성질체로서 존재할 수 있다. 호변이성질체는 단일 결합 및 인접한 이중 결합의 전환에 수반되는 수소 원자의 이동에 의해 상호전환되는 화합물이다. 호변이성화가 가능한 용액에서, 호변이성질체의 화학적 평형이 존재할 것이다. 호변이성질체의 정확한 비율은 온도, 용매 및 pH를 포함하는 여러 인자에 좌우된다. 호변이성질체 쌍의 일부 예는 하기를 포함한다:
Figure pat00100
"임의적" 또는 "임의로는"이란 후술되는 사건 또는 상황이 일어날 수도 있고 또는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사건 또는 상황이 일어나는 경우와 일어나지 않는 경우를 다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임의 치환되는 아릴"이란 아릴 라디칼이 치환될 수도 있고 또는 치환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의미하며, 상기 기술은 치환된 아릴 라디칼 및 치환되지 않은 아릴 라디칼의 둘 다를 포함한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산 및 염기 부가 염의 둘 다를 포함한다. 본원에 기술된 아민 유도체 화합물 중 임의의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임의의 및 모든 약학적으로 적합한 염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의 바람직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산 부가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기 부가 염이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산 부가 염"은 생물학적 유효성 및 유리 염기의 특성을 보유하고, 생물학적으로 또는 달리 바람직하지 않지 않으며, 무기산, 예컨대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요오드화수소산, 불소화수소산, 아인산 등에 의해 형성되는 염을 지칭한다. 또한 유기산, 예컨대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산, 페닐-치환 알칸산, 하이드록시 알칸산, 알칸디오 산, 방향족 산,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 등 (예를 들어,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프로피온산, 글리콜산, 피루브산, 옥살산, 말레산, 말론산, 숙신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벤조산, 신남산, 만델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살리실산 등 포함)으로 형성된 염을 포함한다. 따라서, 예시적 염은 설페이트, 파이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수소포스페이트, 디수소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파이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요오다이드, 아세테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카프릴레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숙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레레이트, 만델레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말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아미노 산의 염, 예컨대 아르기네이트, 글루코네이트 및 갈락투로네이트가 예측된다 (예를 들어, Berge S.M. 등, "Pharmaceutical Salts,"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 66:1-19 (1997) 참조, 이는 그 전문이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됨). 염기성 화합물의 산 부가 염은 당업자에게 친숙한 방법 및 기술에 따라 유리 염기 형태를 충분량의 바람직한 산과 접촉시켜 염을 생성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기 부가 염"은 생물학적 유효성 및 유리 산의 특성을 보유하고, 생물학적으로 또는 달리 바람직하지 않지 않은 염을 지칭한다. 이들 염은 무기 염기 또는 유기 염기의 유리산으로의 첨가로부터 제조된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기 부가 염은 금속 또는 아민, 예컨대 알칼리 및 알칼리 토금속 또는 유기 아민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무기 염기 유래의 염은 비제한적으로 나트륨, 칼륨, 리튬, 암모늄, 칼슘, 마그네슘, 철, 아연, 구리, 망간, 알루미늄 염 등을 포함한다. 유기 염기 유래의 염은 비제한적으로 1차, 2차 및 3차 아민, 자연 발생 치환 아민을 포함하는 치환 아민, 환형 아민 및 염기성 이온 교환 수지, 예를 들어, 이소프로필아민, 트리메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2-디메틸아미노에탄올, 2-디에틸아미노에탄올, 디시클로헥실아민,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카페인, 프로카인,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클로로프로카인, 하이드라바민, 콜린, 베타인, 에틸렌디아민, 에틸렌디아닐린, N-메틸글루카민, 글루코사민, 메틸글루카민, 테오브로민, 퓨린, 피페라진, 피페리딘, N-에틸피페리딘, 폴리아민 수지 등의 염을 포함한다. 상기 Berge 등 참조.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본원에 나타낸 구조는 또한 하나 이상의 동원원소가 풍부한 원자의 존재하에서 오직 상이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중수소 또는 삼중수소에 의한 수소의 대체, 또는 13C- 또는 14C-풍부 탄소에 의한 탄소의 대체를 제외한 본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상기 화합물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원자에서 원자 동위원소의 비정상적인 부분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합물은 예를 들어 중수소 (2H), 삼중수소 (3H), 아이오딘-125 (125I) 또는 탄소-14(14C) 와 같은 동위원소로 표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방사성 또는 비방사성인 모든 동위원소 변이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비-레티노이드 화합물"은 레티노이드가 아닌 임의의 화합물을 지칭한다. 레티노이드는 극성 말단기로 종결된 폴리엔 사슬 및 트리메틸시클로헥세닐 고리를 포함하는 디테르펜 골격을 갖는 화합물이다. 레티노이드의 예는 레틴알데히드 및 유래된 이민/하이드라지드/옥심, 레티놀 및 임의 유래된 에스테르, 레티닐 아민 및 임의 유래된 아미드, 레티노산 및 임의 유래된 에스테르 또는 아미드를 포함한다. 비-레티노이드 화합물은 내부 환형기 (예를 들어, 방향족기)를 포함할 수는 있지만, 이를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비-레티노이드 화합물은 아민 유도체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를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치료" 또는 "치료함" 또는 "경감" 또는 "개선"은 본원에서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이들 용어는 치료 이득 및/또는 예방 이득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유익하거나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접근을 지칭한다. "치료 이득"이란 치료될 근원적 장애의 근절 또는 개선을 의미한다. 또한, 치료 이득, 환자가 여전히 근원적 장애를 앓고 있다 할지라도, 근원적 장애와 관련된 생리학적 증상 중 하나 이상의 개선이 환자에게 관찰되도록 하는 이의 근절 또는 개선에 의해 달성된다. 특정 질환의 진단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도, 예방 이득을 위하여, 이 질환의 발병 위험이 있는 환자에게 또는 질환의 생리학적 증상 중 하나 이상을 보고하는 환자에게 조성물이 투여될 수 있다.
"전구약물"은 생리학적 조건 하에서 또는 본원에 기술된 생물학적 활성 화합물의 용매화분해에 의해 전환될 수 있는 화합물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용어 "전구약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생물학적 활성 화합물의 전구체를 지칭한다. 전구약물은 대상에 투여될 때 비활성일 수 있지만, 생체내에서, 예를 들어, 가수분해에 의해 활성 화합물로 전환된다. 전구약물 화합물은 포유류 유기체에서 종종 용해도, 조직 친화성 또는 지연 방출의 장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Bundgard,시간, Desymptom of Prodrugs (1985), pp. 7~9, 21~24 (Elsevier, Amsterdam) 참조).
전구약물의 논의는 문헌 [Higuchi, T., 등, "Pro-drugs as Novel Delivery Systems," A.C.S. Symposium Series, Vol. 14], 및 [Bioreversible Carriers in Drug Desymptom, ed. Edward B. Roche, Americ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and Pergamon Press, 1987]에 제공되며, 이 두 가지 모두 본원에 그 전문이 참고문헌으로 포함된다.
용어 "전구약물"은 또한, 이러한 전구약물이 포유류 대상에 투여될 때 활성 화합물을 생체내에 방출시키는, 임의의 공유 결합된 담체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활성 화합물의 전구약물은, 활성 화합물에 존재하는 관능기가 통상적 조작에서 또는 생체내에서 모체 활성 화합물로 쪼개지도록 이를 개질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전구약물은 하이드록시, 아미노 또는 메르캅토기가 임의의 기에 결합되어 있는 화합물로서, 활성 화합물의 전구약물이 포유류 대상에 투여되었을 때, 쪼개져 각각 유리 하이드록시, 유리 아미노 또는 유리 메르캅토기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구약물의 예는 활성 화합물들 내 알코올의 아세테이트, 포르메이트 및 벤조에이트 유도체 또는 아민 관능기의 아세트아미드, 포름아미드 및 벤자미드 유도체 등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널리 공지된 합성 방법의 적절한 조합으로 합성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합성하는데 유용한 기술은 당업자에게 매우 명백하고 접근가능한 기술이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에서 청구되는 화합물에 접근하고, 본 발명의 화합물을 수집하는데 이용가능한 다양한 특정 방법에 대한 세부내용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논의가 하기에 제안된다. 그러나, 논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조하는데 유용한 반응 또는 반응 순서의 범주를 한정하거나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실시예 부분에 개시된 절차 및 기술뿐만 아니라 공지된 유기 합성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III.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제조
일반적으로, 본원에 기술된 반응에 사용되는 화합물은 화학 문헌에 기재된 화합물 및/또는 시판 화학물질로부터 출발하여 당업자에게 공지된 유기 합성 기술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시판되는 화학물질"은 Acros Organics (Pittsburgh PA), Aldrich Chemical (Sigma Chemical 및 Fluka를 포함하는 Milwaukee WI), Apin Chemicals Ltd. (Milton Park UK), Avocado Research (Lancashire U.K.), BDH Inc. (Toronto, Canada), Bionet (Cornwall, U.K.), Chemservice Inc. (West Chester PA), Crescent Chemical Co. (Hauppauge NY), Eastman Organic Chemicals, Eastman Kodak Company (Rochester NY), Fisher Scientific Co. (Pittsburgh PA), Fisons Chemicals (Leicestershire UK), Frontier Scientific (Logan UT), ICN Biomedicals, Inc. (Costa Mesa CA), Key Organics (Cornwall U.K.), Lancaster Synthesis (Windham NH), Maybridge Chemical Co. Ltd. (Cornwall U.K.), Parish Chemical Co. (Orem UT), Pfaltz & Bauer, Inc. (Waterbury CN), Polyorganix (Houston TX), Pierce Chemical Co. (Rockford IL), Riedel de Haen AG (Hanover, Germany), Spectrum Quality Product, Inc. (New Brunswick, NJ), TCI America (Portland OR), Trans World Chemicals, Inc. (Rockville MD), 및 Wako Chemicals USA, Inc. (Richmond VA)를 포함하는 표준 상업적 공급원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은 다양한 참고 서적 및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의 제조에 유용한 반응물의 합성을 상세히 제공하거나, 또는 그 제조를 기술하는 논문에 대한 참조를 제공하는 적절한 참고 서적 및 전문 서적은, 예를 들어, 문헌 ["Synthetic Organic Chemistry",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S. R. Sandler 등, "Organic Functional Group Preparations," 2nd Ed., Academic Press, New York, 1983;시간 O. House, "Modern Synthetic Reactions", 2nd Ed., W. A. Benjamin, Inc. Menlo Park, Calif. 1972; T. L. Gilchrist, "Heterocyclic Chemistry", 2nd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1992; J. March, "Advanced Organic Chemistry: Reactions, Mechanisms and Structure", 4th Ed., Wiley-Interscience, New York, 1992]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의 제조에 유용한 반응물의 합성을 상세히 제공하거나, 또는 그 제조를 기술하는 논문에 대한 참조를 제공하는 적절한 추가적 참고 서적 및 전문 서적은, 예를 들어, 문헌 [Fuhrhop, J. and Penzlin G. "Organic Synthesis: Concepts, Methods, Starting Materials", Second,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1994) John Wiley & Sons ISBN: 3-527-29074-5; Hoffman, R.V. "Organic Chemistry, An Intermediate Text" (1996)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509618-5; Larock, R. C. "Comprehensive Organic Transformations: A Guide to Functional Group Preparations" 2nd Edition (1999) Wiley-VCH, ISBN: 0-471-19031-4; March, J. "Advanced Organic Chemistry: Reactions, Mechanisms, and Structure" 4th Edition (1992) John Wiley & Sons, ISBN: 0-471-60180-2; Otera, J. (editor) "Modern Carbonyl Chemistry" (2000) Wiley-VCH, ISBN: 3-527-29871-1; Patai, S. "Patai's 1992 Guide to the Chemistry of Functional Groups" (1992) Interscience ISBN: 0-471-93022-9; Quin, L.D. 등 "A Guide to Organophosphorus Chemistry" (2000) Wiley-Interscience, ISBN: 0-471-31824-8; Solomons, T. W. G. "Organic Chemistry" 7th Edition (2000) John Wiley & Sons, ISBN: 0-471-19095-0; Stowell, J.C., "Intermediate Organic Chemistry" 2nd Edition (1993) Wiley-Interscience, ISBN: 0-471-57456-2; "Industrial Organic Chemicals: Starting Materials and Intermediates: An Ullmann's Encyclopedia" (1999) John Wiley & Sons, ISBN: 3-527-29645-X, in 8 volumes; "Organic Reactions" (1942-2000) John Wiley & Sons, in over 55 volumes; 및 "Chemistry of Functional Groups" John Wiley & Sons, in 73 volumes]를 포함한다.
특정 및 유사 반응물을 또한 대부분의 공공 및 대학 도서관에서 이용가능한, "Chemical Abstract Service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에 의해 제조된 공지 화합물의 색인을 통해서 뿐 아니라 온라인 데이타베이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더 자세한 사항에 관해서는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에 문의할 수 있음). 공지된 것이지만, 카탈로그를 통한 시판되지 않는 화학물은 맞춤식 화학물질 합성 하우스 (synthesis house)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데, 표준 화학물 공급 하우스 (예를 들어, 앞서 열거된 것들) 중 상당수가 맞춤식 합성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원에 기술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약학적 염의 제조 및 선별에 관한 참고문헌은 문헌 [P. H. Stahl & C. G. Wermuth "Handbook of Pharmaceutical Salts", Verlag Helvetica Chimica Acta, Zurich, 2002]이다.
용어 "보호기" 는 화합물의 일부 또는 모든 반응성 부분들을 차단하고, 보호기가 제거될 때까지 화학 반응에 참가하는 화학반응 부분을 막는 화학반응 부분, 예를 들어 [T.W. Greene, P.G.M. Wut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3rd ed. John Wiley & Sons (1999)] 에 기재되고 나열된 화학반응 부분을 지칭한다. 상이한 보호기가 이용될 때, 각 (상이한) 보호기가 상이한 수단에 의해 제거가능하다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완전히 이질적인 반응 조건하에서 잘라지는 보호기는 상기 보호기의 상이한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보호기는 산, 염기, 및 수소화분해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트리틸, 디메톡시트리틸, 아세탈 및 tert-부틸디메틸실릴과 같은 기는 산에 불안정하고, 수소화분해로 제거가능한 Cbz 기, 및 염기에 불안정한 Fmoc 기로 보호된 아미노 기의 존재하에서, 카르복시 및 히드록시 반응성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카르복실산 부분은 한정없이 메틸, 또는 에틸와 같은 염기에 불안정한 기로 차단될 수 있고, 히드록시반응성 부분은 산 및 염기 모두에 안정하지만 가수분해로 제거가능한 tert-부틸 카르바메이트 또는 카르바메이트와 같은 산에 불안정한 기로 차단된 아민의 존재하에서 아세틸과 같은 염기에 불안정한 기로 차단될 수 있다.
카르복실산 및 히드록시 반응성 부분은 또한 벤질기와 같은 가수분해로 제거가능한 보호기로 차단될 수 있고, 반면, 아민기는 Fmoc 와 같은 염기에 불안정한 기로 차단될 수 있다. 카르복실산 반응성 부분은 2,4-디메톡시벤질과 같은 산화로 제거가능한 보호기로 차단될 수 있고, 반면 공존하는 아미노기는 불소에 불안정한 실릴 카르바메이트로 차단될 수 있다.
알릴 차단기가 안정하고 이어서 금속 또는 pi-산 촉매로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산- 및 염기-보호기의 존재하에 유용하다. 예를 들어, 알릴-차단 카르복실산은 산에 불안정한 t-부틸 카르바메이트 또는 염기에 불안정한 아세테이트 아민 보호기의 존재하에서 팔라듐(0)-촉매화 반응으로 탈보호될 수 있다. 또다른 형태의 보호기는, 화합물 도는 중간체가 부착될 수 있는 수지이다. 잔기가 수지에 부착되는 한, 관능기는 블록화되고 반응할 수 없다. 수지로부터 해방되면, 관능기는 반응할 수 있다.
전형적인 차단/보호기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고, 하기 부분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Figure pat00101
일반적으로, 화학식 (I) 의 화합물은 초기 아세틸렌, 또는 페닐에 알킬 치환을 제공하기 위해 수소화에 의해 올레핀 형성을 포함하는 단계적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질소-함유 부분은 알카닐의 메타-위치에서 측쇄의 형성 및 변형을 통해 페닐에 연결될 수 있다.
1. 알카닐 형성
하기 방법 A-C 에는 페닐 고리에서의 알카닐 형성에 대해 다양하게 기재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방법 A 는 알킨의 수소화를 통한 알칸의 형성을 나타낸다. 방법 B 는 시스 또는 트랜스 올레핀의 수소화를 통한 알칸 중간체의 구조를 보여준다.
수소화 반응에 적합한 촉매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촉매의 에는 예를 들어, 목탄상의 팔라듐, 수산화팔라듐, 백금, 산화백금, 레이니 니켈, 로듐, 윌킨슨 (Wilkinson) 촉매 (클로로 트리스(트리페닐포스핀)로듐), 및 린들라(Lindlar) 촉매 (Pd-CaCO3-PbO) 를 포함한다.
수소화를 통한 알킨을 알칸으로 환원시키기에 적합한 수소 원료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수소 원료의 예는 예를 들어, 수소 기체, 포름산 암모늄, 수소화붕소나트륨, 시클로헥센, 시클로헥사디엔 및 히드라진을 포함한다.
Figure pat00102
방법 B 는 시스 또는 트랜스 올레핀의 수소화를 통한 알칸 중간체의 구조를 보여준다.
Figure pat00103
알킨 (A-1) 및 올레핀 (A-3) 은 당업계의 공지된 방법을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법 C-G 참조).
방법 C-G 는 (Ar 로 표시된) 페닐에 알킨 또는 올레핀 측쇄의 형성을 나타낸다. 더욱 구체적으로, 방법 C 는 소노가시라 (Sonogashira) 반응에 기초한 페닐과의 삼중 결합의 커플링을 보여준다. 전형적으로, 아릴 할라이드와 아세틸렌 유도체를 커플링시키기 위해 염기와 조합하여 팔라듐(0) 촉매가 사용된다. R' 는 예를 들어, 알킬, 아릴,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아릴, 카르보시클릴, 또는 이들의 유도체일 수 있고, 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추가 변형될 수 있다.
2. 알카닐 형성
Figure pat00104
방법 D 는 말단 알킨의 형성을 보여준다. 전형적으로 2-메틸-3-부틴-2-올과 같은 아세틸렌 유도체에 아릴 할라이드를 연결하는데 소노가시라 반응이 사용된다. 후속 단계에서, 염기는 말단 알킨을 드러내는데 사용된다. 상기 알킨은 후속의 소노가시라 유형 반응에서 추가로 변형될 수 있다.
Figure pat00105
방법 E 는 Heck 반응에 기초한 페닐과 올레핀과의 커플링을 보여준다. 전형적으로, 아릴 할라이드와 비닐 유도체를 커플링 시키기 위해 염기와 조합하여 팔라듐(0) 촉매가 사용된다. R' 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추가 변형될 수 있다.
Figure pat00106
방법 F 는 Wittig 반응에 기초한 올레핀 결합의 형성을 보여준다. 전형적으로, 포스포늄 염은 트리아릴포스핀 옥시드 분자가 제거되는 동안 적합한 염기의 존재하에서 알데히드와 커플링된다.
Figure pat00107
방법 G 는 산의 존재하에서 H2O 의 제거를 통해 올레핀 결합의 형성을 보여준다.
Figure pat00108
게다가, 페닐기의 직접 알킬화는 예를 들어, Pd-계 촉매의 존재하에서 알킬 보로네이트와 페닐 할라이드의 결합으로 수행될 수 있다. 페닐 고리의 직접 알킬화의 다른 방법은 예를 들어, 아르알킬 또는 알킬 Grignards 시약과 페닐 고리의 커플링을 포함한다.
질소-함유 측쇄 형성 및 변형
하기 방법 H-T 에는 측쇄 형성 및 변형에 대해 다양하게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적합하게 치환된 페닐 유도체는 화학식 (I) 의 화합물의 질소-함유 부분 및 최종 연결부를 제공하기 위해 추가 변형될 수 있는, 다양한 범위의 측쇄와 커플링될 수 있다.
방법 H 는 팔라듐(0) 촉매의 존재하에서 알릴 알코올과 커플링되는 아릴 할라이드를 설명한다. 알릴 알코올의 말단 알코올기는 동시에 알데히드기로 산화되고, 이는 환원성 아민화를 통해 아민 (-NR11R12) 으로 추가 변형될 수 있다.
Figure pat00109
방법 I 은 하나 이상의 α-수소를 포함하는 니트릴 시약을 이용한 아릴 알데히드 또는 아릴 케톤 사이의 알돌 축합을 설명한다. 생성되는 축합 중간체는 아민 (-NR11R12)으로 추가 환원될 수 있다.
Figure pat00110
방법 J 는 케톤계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한 아실화 반응을 보여준다. 당업자는 R' 기가 추가 변형될 수 있는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인지할 것이다.
Figure pat00111
방법 K 는 H2O 분자가 제거되는 축합 반응에서 산소 원자를 통해 아릴 유도체에 부착된 측쇄 전구체 (R'OH) 를 보여준다. R' 는 화학식 (I) 의 화합물의 연결부 및 질소-함유 부분을 제조하기 위해 추가 변형될 수 있는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at00112
추가로, 알킨 또는 올레핀 유도체에 기초한 측쇄는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 C-G 에 따라 우선 제조될 수 있다. 알킨 또는 올레핀 유도체는 추가로 수소화 및 변형되어 말단 질소-함유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하기 방법은 환원, 산화, 친핵성 또는 친전자성 치환, 아실화 등에 의한 측쇄 부분을 변형시키거나 조정하기 위해서 다양한 합성 경로를 설명한다. 결과적으로, 연결부의 다양한 기가 합성될 수 있다.
방법 L 은 카르복실산이 아민으로 전환될 수 있는 아민화 과정을 설명한다. 전형적으로, 카르복실산 (또는 에스테르) 는 우선 일차 알코올로 환원될 수 있고, 이어서 메실레이트, 할라이드, 아지드, 프탈이미드, 또는 미츠노부 (Mitsunobu) 반응 등을 통해 아민으로 전환될 수 있다. 적합한 환원제는 예를 들어, 수소화붕소나트륨 (NaBH4), 시아노수소화붕소나트륨 (NaBH3CN), 트리아세톡시수소화붕소나트륨 (NaBH(OCOCH3)3), 수소화알루미늄리튬 (LiAlH4) 등을 포함한다.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생성되는 아민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 추가로 관능화될 수 있다.
Figure pat00113
카르복실산이 우선 산 염화물로 전환되고, 할라이드가 적합한 아민 신톤 (synthon) 에 의해 대체되는 아민화 과정은 방법 M 에 설명되어 있다. 생성되는 아미드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 환원 및/또는 추가 관능화될 수 있다.
Figure pat00114
추가 또는 대안적인 변형은 하기 설명된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Figure pat00115
반응식 I 은 화학식 (I) 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완전한 합성 순서를 나타낸다.
반응식 I
Figure pat00116
반응식 I 에서, 측쇄 부분이 우선 구축되고, 아민이 보호된다. 그 후, 아세틸렌 부분이 방법 C 에 따라 말단 아세틸렌과의 커플링을 통해 형성된다. 그리고 나서 커플링 생성물이 탈보호되어 알킨을 생성한다. 알카닐 연결부는 알킨의 수소화를 통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방법 A 참조). 다른 질소-함유 부분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말단 아민으로부터 추가 유도될 수 있다.
상기 논의된 일반 반응식 및 방법 이외에, 다른 예시적인 반응식이 또한, 화학식 (Ia) 및 (Ib) 을 비롯하여 화학식 (I) 의 구조 또는 이의 임의의 아속 구조를 갖는 임의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다.
IV. 안과 질환 및 장애의 치료
화학식 (I) 의 구조 및 이의 하부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비롯하여, 본원에 기재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은 시각 주기에서 하나 이상의 단계를 억제함으로써 안과 질병 및 장애를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11-시스 레티놀의 생성을 일으키는 이성화효소 반응을 억제하는 비-레티노이드 화합물 (여기서, 상기 이성화효소 반응은 RPE에서 일어나고, 상기 화합물은 대상에 투여시 1 ㎎/㎏ 이하의 ED50 값을 가짐)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상기 ED50 값이 상기 화합물의 단일 용량이 약 2시간 이상 동안 상기 대상에게 투여된 후 측정되는 값인 비-레티노이드 화합물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알콕실 화합물인 비-레티노이드 화합물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본원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비-레티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본원에 기술한 바와 같은 비-레티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에서의 안과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RPE65 및 LRAT를 발현하는 세포의 추출물을 이용하는, 시험관내 검정시 약 1 μM 이하의 IC50으로 11-시스-레티놀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이다 (여기서, 추출물은 CRALBP를 추가 포함하고, 화합물은 용액 중에서 약 1주일 이상 동안 실온에서 안정함). 추가적인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약 0.1 μM 이하의 IC50으로 11-시스-레티놀 생성을 억제한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약 0.01 μM 이하의 IC50으로 11-시스-레티놀 생성을 억제한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 11-시스-레티놀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은 비-레티노이드 화합물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11-시스-레티놀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11-시스 레티놀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에서의 안과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11-시스-레티놀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대상에게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레티노이드 주기에서의 발색단 플럭스를 조정하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화학식 (G) 의 화합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질체, 입체이성질체, 기하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매화물, 수화물, 염, N-산화물 또는 전구약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에서의 안과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pat00117
[식 중,
Z 는 결합, -C(R1)(R2)-, -C(R9)(R10)-C(R1)(R2)-, -X-C(R31)(R32)-, -C(R9)(R10)-C(R1)(R2)-C(R36)(R37)- 또는 -X-C(R31)(R32)-C(R1)(R2)- 이고;
X 는 -O-, -S-, -S(=O)-, -S(=O)2-, -N(R30)-, -C(=O)-, -C(=CH2)-, -C(=N-NR35)-, 또는 -C(=N-OR35)- 이며;
G 는 -C(R41)2-C(R41)2-R40, -C(R42)2-S-R40, -C(R42)2-SO-R40, -C(R42)2-SO2-R40, -C(R42)2-O-R40, -C(R42)2-N(R42)-R40, -C(=O)-N(R42)-R40 으로부터 선택되고;
R40 은 -C(R16)(R17)(R18),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며;
각 R41 은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OR6, 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두 개의 R41 기는 함께 옥소를 형성할 수 있고;
각 R42 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로부터 선택되거나; R1 및 R2 는 함께 옥소를 형성하고;
R31 및 R3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5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36 및 R3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로부터 선택되거나; R36 및 R37 은 함께 옥소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R36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이중 결합을 제공하거나; 임의로, R36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고, R37 및 R2 는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삼중 결합을 제공하고;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플루오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카르보시클릴 또는 C-부착된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거나; R3및 R4 는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거나; R3 및 R4 는 함께 이미노를 형성하며;
R5 는 C5-C15 알킬 또는 카르보시클릴알킬이고;
R7 및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시클릴, -C(=O)R13, SO2R13, CO2R13 또는 SO2NR24R25 로부터 선택되거나; R7 및 R8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플루오로알킬, -OR19, -NR20R21 또는 카르보시클릴로부터 선택되거나; R9 및 R10 옥소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R9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이중 결합을 제공하거나; 임의로, R9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고, R10 및 R2 는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삼중 결합을 제공하고;
R11 및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C(=O)R23, -C(NH)NH2, SO2R23, CO2R23 또는 SO2NR28R29 로부터 선택되거나; R11 및 R12 는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각 R13, R22 및 R23 은 독립적으로 알킬, 헤테로알킬, 알케닐, 아릴, 아르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고;
R6, R19, R30, R34 및 R3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며;
R20 및 R2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시클릴, -C(=O)R22, SO2R22, CO2R22 또는 SO2NR26R27 로부터 선택되거나; R20 및 R21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각 R24, R25, R26, R27, R28 및 R29 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플루오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며;
R16 및 R1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할로,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아리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R16 및 R17 은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고;
R18 은 수소, 알킬, 알콕시, 히드록시, 할로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각 R33 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OR34,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n 은 0, 1, 2, 3, 또는 4 임].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화학식 (G) 의 화합물을 대상에게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레티노이드 주기에서의 발색단 플럭스를 조정하는 방법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대상의 안구에서의 리포푸신 색소 축적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리포푸신 색소가 N-레티닐리덴-N-레티닐-에탄올아민 (A2E)인, 대상의 안구에서의 리포푸신 색소 축적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대상의 안구에서의 리포푸신 색소 축적을 감소시키는,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대상에서의 안과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리포푸신 색소가 N-레티닐리덴-N-레티닐-에탄올아민 (A2E)인, 대상의 안구에서의 리포푸신 색소 축적을 감소시키는,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대상에서의 안과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대상에서의 안과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안과 질환 또는 장애가 노인성 황반 변성 또는 스타가르트 황반 이양증인 방법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대상에서의 안과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안과 질환 또는 장애가 망막 박리, 출혈 망막병증, 색소성 망막염, 추체간체 이영양증, 소르비 안저 이상증, 시각 신경병증, 염증성 망막 질환, 당뇨 망막병증, 당뇨 황반병증, 망막 혈관 폐쇄, 미숙 망막병증, 또는 허혈 재관류 관련 망막 손상, 증식 유리체망막병증, 망막 이영양증, 선천성 시각 신경병증, 소르비 안저 이상증, 포도막염, 망막 손상, 알츠하이머 질환 관련 망막 장애, 다발성 경화증 관련 망막 장애, 파킨슨 질환 관련 망막 장애, 바이러스성 감염 관련 망막 장애, 광 과다노출 관련 망막 장애, 근시 및 AIDS 관련 망막 장애에서 선택되는 방법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대상의 안구에서의 리포푸신 색소의 축적을 감소시키는,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대상에서의 안과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대상의 안구에서의 리포푸신 색소의 축적을 감소시키는,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대상에서의 안과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여기서 리포푸신 색소가 N-레티닐리덴-N-레티닐-에탄올아민 (A2E)인 방법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화학식 (G) 의 화합물을 망막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망막의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암순응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비-레티노이드 화합물과 망막을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망막의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암순응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11-시스-레티놀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과 망막을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망막의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암순응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화학식 (G) 의 화합물을 망막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망막의 막대 광수용체 세포에서의 로돕신의 재생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비-레티노이드 화합물을 망막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망막의 막대 광수용체 세포에서의 로돕신의 재생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11-시스-레티놀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과 망막을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망막의 막대 광수용체 세포에서의 로돕신의 재생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화학식 (G) 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안구에서의 허혈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비-레티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안구에서의 허혈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11-시스-레티놀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안구에서의 허혈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약학 조성물을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암순응을 억제하기에 충분한 시간 및 조건 하에 투여함으로써 안구에서의 허혈을 감소시키는, 대상의 안구에서의 허혈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비-레티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안구의 망막에서의 신생혈관증식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11-시스-레티놀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안구의 망막에서의 신생혈관증식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약학 조성물을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암순응을 억제하기에 충분한 시간 및 조건 하에 투여함으로써 망막에서의 신생혈관증식을 억제하는, 대상의 안구의 망막에서의 신생혈관증식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화학식 (G) 의 화합물과 망막을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망막에서의 망막 세포의 변성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비-레티노이드 화합물과 망막을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망막에서의 망막 세포의 변성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11-시스-레티놀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과 망막을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망막에서의 망막 세포의 변성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망막 세포가 망막 뉴런 세포인, 망막에서의 망막 세포의 변성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망막 뉴런 세포가 광수용체 세포인, 망막에서의 망막 세포의 변성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화학식 (G) 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망막에서의 리포푸신 색소의 축적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리포푸신이 N-레티닐리덴-N-레티닐-에탄올아민 (A2E)인, 대상의 망막에서의 리포푸신 색소의 축적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비-레티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망막에서의 리포푸신 색소의 축적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11-시스-레티놀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망막에서의 리포푸신 색소의 축적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는, 리포푸신이 N-레티닐리덴-N-레티닐-에탄올아민 (A2E)인, 대상의 망막에서의 리포푸신 색소의 축적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추가 구현예에서는, 화학식 (G) 의 화합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질체, 입체이성질체, 기하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매화물, 수화물, 염, N-산화물 또는 전구약물을 대상에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레티노이드 주기에서의 발색단 플럭스를 조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pat00118
[식 중,
Z 는 결합, -C(R1)(R2)-, -C(R9)(R10)-C(R1)(R2)-, -X-C(R31)(R32)-, -C(R9)(R10)-C(R1)(R2)-C(R36)(R37)- 또는 -X-C(R31)(R32)-C(R1)(R2)- 이고;
X 는 -O-, -S-, -S(=O)-, -S(=O)2-, -N(R30)-, -C(=O)-, -C(=CH2)-, -C(=N-NR35)-, 또는 -C(=N-OR35)- 이며;
G 는 -C(R41)2-C(R41)2-R40, -C(R42)2-S-R40, -C(R42)2-SO-R40, -C(R42)2-SO2-R40, -C(R42)2-O-R40, -C(R42)2-N(R42)-R40, -C(=O)-N(R42)-R40 으로부터 선택되고;
R40 은 -C(R16)(R17)(R18),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며;
각 R41 은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OR6, 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두 개의 R41 기는 함께 옥소를 형성할 수 있고;
각 R42 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로부터 선택되거나; R1 및 R2 는 함께 옥소를 형성하고;
R31 및 R3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5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36 및 R3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로부터 선택되거나; R36 및 R37 은 함께 옥소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R36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이중 결합을 제공하거나; 임의로, R36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고, R37 및 R2 는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삼중 결합을 제공하고;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플루오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카르보시클릴 또는 C-부착된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거나; R3및 R4 는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거나; R3 및 R4 는 함께 이미노를 형성하며;
R5 는 C5-C15 알킬 또는 카르보시클릴알킬이고;
R7 및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시클릴, -C(=O)R13, SO2R13, CO2R13 또는 SO2NR24R25 로부터 선택되거나; R7 및 R8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플루오로알킬, -OR19, -NR20R21 또는 카르보시클릴로부터 선택되거나; R9 및 R10 옥소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R9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이중 결합을 제공하거나; 임의로, R9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고, R10 및 R2 는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삼중 결합을 제공하고;
R11 및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C(=O)R23, -C(NH)NH2, SO2R23, CO2R23 또는 SO2NR28R29 로부터 선택되거나; R11 및 R12 는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각 R13, R22 및 R23 은 독립적으로 알킬, 헤테로알킬, 알케닐, 아릴, 아르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고;
R6, R19, R30, R34 및 R3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며;
R20 및 R2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시클릴, -C(=O)R22, SO2R22, CO2R22 또는 SO2NR26R27 로부터 선택되거나; R20 및 R21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각 R24, R25, R26, R27, R28 및 R29 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플루오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며;
R16 및 R1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할로,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아리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R16 및 R17 은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고;
R18 은 수소, 알킬, 알콕시, 히드록시, 할로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각 R33 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OR34,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n 은 0, 1, 2, 3, 또는 4 임].
추가 구현예에서,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학식 (G) 의 화합물을 대상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에서의 안과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pat00119
Figure pat00120
Figure pat00121
Figure pat00122
Figure pat00123
Figure pat00124
Figure pat00125
Figure pat00126
Figure pat00127
일부 구현예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시각 주기 트랜스-시스 이성화효소의 활성을 억제 또는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은 시각 주기에서 이성질체화 단계를 억제, 차단하거나 또는 일부 방식으로 방해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당해 화합물은 모든-트랜스-레티닐 에스테르의 이성질체화를 억제하며; 특정 구현예에서, 모든-트랜스-레티닐 에스테르는 모든-트랜스-레티놀의 지방산 에스테르이며, 당해 화합물은 모든-트랜스-레티놀의 11-시스-레티놀로의 이성질체화를 억제한다. 당해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시각 주기 이성화효소 (이는 또한 본원 및 당업계에서 망막 이성화효소 또는 아이소메로하이드롤라아제라고 칭해질 수 있음)로 결합되거나 또는 일부 방식으로 이의 이성화효소 활성과 반응 및 이를 억제할 수 있다. 당해 화합물은 모든-트랜스-레티닐 에스테르 기질의 이성화효소로의 결합을 차단 또는 억제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또는 부가적으로, 당해 화합물이 이성화효소의 촉매 부위 또는 영역에 결합되어, 모든-트랜스-레티닐 에스테르 기질의 이성질체화에 대해 촉매 작용하는 촉매의 능력을 억제시킬 수 있다. 현재까지의 과학적 데이터를 근간으로, 모든-트랜스-레티닐 에스테르의 이성질체화에 대해 촉매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이성화효소가 RPE 세포의 세포질에 위치한다고 여겨진다. 본원에서 토의된 바와 같이, 시각 주기의 각각의 단계, 효소, 기질, 중간체 및 생성물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예를 들어, Moiseyev 등, Proc . Natl . Acad . Sci . USA 102:12413-18 (2004); Chen 등, Invest . Ophthalmol. Vis . Sci . 47:1177-84 (2006); 상기 Lamb 등 참조).
이성질체화 활성에 대한 화합물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은 본원 및 당업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시험관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Stecher 등, J Biol Chem 274:8577-85 (1999); 또한 Golczak 등, Proc. Natl. Acad. Sci. USA 102:8162-67 (2005) 참조). 동물 (예컨대 소, 돼지, 인간)로부터 단리된 망막 색소 상피 (RPE) 마이크로좀 멤브레인은 이성화효소의 공급원으로서 역할할 수 있다.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이성화효소 억제 능력은 또한 생체내 생쥐 이성화효소 검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안구의 강한 빛으로의 단기 노출 (시색소의 "광표백" 또는 단순히 "표백")은 망막에서 거의 모든 11-시스-레티날을 광-이성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표백 이후의 11-시스-레티날의 회수는 이성화효소의 생체내 활성의 추정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aeda 등, J. Neurochem 85:944-956 (2003); Van Hooser 등, J Biol Chem 277:19173-82, 2002 참조). 망막 전기 측정 (ERG) 기록이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Haeseleer 등, Nat. Neurosci. 7:1079-87 (2004); Sugitomo 등, J. Toxicol. Sci. 22 Suppl 2:315-25 (1997); Keating 등, Documenta Ophthalmologica 100:77-92 (2000)). 또한 Deigner 등, Science, 244: 968-971 (1989); Gollapalli 등, Biochim Biophys Acta. 1651: 93-101 (2003); Parish, 등, Proc. Natl. Acad. Sci. USA 95:14609-13 (1998); Radu, 등, Proc Natl Acad Sci USA 101: 5928-33 (2004)을 참조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술된 안과 및 망막 질환 또는 장애 중 어느 하나를 갖거나 또는 이의 진행의 위험이 있는 대상의 치료에 유용한 화합물은, 본원에 기술되거나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이성화효소 검정에서 측정되는 바 IC50 수준 (이성화효소 활성도의 50%가 억제되는 화합물 농도)이 약 1 μM 미만이고; 다른 구현예에서는, 측정된 IC50 수준이 약 10 nM 미만이고; 다른 구현예에서는, 측정된 IC50 수준이 약 50 nM 미만이고; 특정 다른 구현예에서는, 측정된 IC50 수준이 약 100 nM 미만이고;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는, 측정된 IC50 수준이 약 10 μM 미만이고; 다른 구현예에서는, 측정된 IC50 수준이 약 50 μM 미만이고;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는, 측정된 IC50 수준이 약 100 μM 또는 약 500 μM 미만이고; 다른 구현예에서는, 측정된 IC50 수준이 약 1 μM 내지 10 μM이고; 다른 구현예에서는, 측정된 IC50 수준이 약 1 nM 내지 10 nM이다. 대상으로의 투여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화합물은 11-시스 레티놀의 생성을 일으키는 이성화효소 반응의 억제에 의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약 5 ㎎/㎏, 5 ㎎/㎏ 이하의 ED50 값을 나타낸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대상에 투여시 약 1 ㎎/㎏의 ED50 값을 갖는다. 다른 구현예에서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대상에 투여시 약 0.1 ㎎/㎏의 ED50 값을 갖는다. ED50 값은 당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의 약 2시간, 4시간, 6시간, 8시간 이상 이후 측정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은 안과 질환 또는 장애 특히 망막 질환 또는 장애 예컨대 노인성 황반 변성 또는 스타가르트 황반 이양증을 갖는 대상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한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은 리포푸신 색소 및 안구에서의 리포푸신-관련 및/또는 관련 분자의 축적을 억제 (즉 방지, 감소, 지연, 폐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안구에서의 N-레티닐리덴-N-레티닐에탄올아민 (A2E) 축적을 억제 (즉 방지, 감소, 지연, 폐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안과 질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안구에서의 리포푸신 색소 축적 및/또는 A2E의 축적에 기인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구현예에서는, 대상의 안구에서의 리포푸신 색소 및/또는 A2E의 축적을 억제 또는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법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또는 적합한 부형제 (즉,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또는 적합한 담체) 및 본원에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은 아민 유도체 화합물 (화학식 (I) 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구조 및 이의 하위 구조를 갖는 화합물 및 본원에 기술된 특정 아민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대상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망막 색소 상피 (RPE) 세포에서의 리포푸신 색소의 축적은 노인성 황반 변성을 포함하는, 실명을 초래하는 망막 질환의 진행과 연관되어왔다 (De Laey 등, Retina 15:399-406 (1995)). 리포푸신 과립은 자가형광 라이소좀 잔류체 (또한 노화 색소라 칭함)이다. 리포푸신의 주요 형광종은 A2E (오랜지색-방출 플루오로포어)이며, 이는 모든-트랜스 레틴알데히드와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2:1 비율)에 의해 형성된, 양으로 하전된 쉬프-베이스 축합-생성물이다 (예를 들어, Eldred 등, Nature 361:724-6 (1993) 참조; 또한, Sparrow, Proc. Natl. Acad. Sci. USA 100:4353-54 (2003) 참조). 소화되지 않는 리포푸신 색소 중 다수가 광수용체 세포에 기인하며; RPE에서의 침착은 RPE가 광수용체 세포에 의해 매일 배출되는 멤브레인 조각을 흡수하기 때문에 일어난다고 여겨진다. 이 화합물의 형성은 임의의 효소에 의한 촉매작용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라 여겨지지 않으며, 오히려 A2E는 자발적 환형화 반응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A2E는 피리디늄 비스레티노이드 구조를 갖는데, 이는 일단 형성되면, 효소적으로 분해될 수 없다. 리포푸신, 및 이에 따라 A2E는 인간 안구의 노화에 따라 축적되며, 또한 스타가르트 질환이라 칭하는 황반 변성의 소아 형태로, 및 몇몇 기타 선천 망막 이영양증으로 축적된다.
A2E는 몇몇 상이한 메카니즘을 통해 망막에 손상을 유도할 수 있다. 저 농도에서, A2E는 라이소좀에서 정상 단백질 분해를 억제한다 (Holz 등, Invest. Ophthalmol. Vis. Sci. 40:737-43 (1999)). 더 높은, 충분한 농도에서는, A2E가 양으로 하전된 라이소좀 세제 (lysosomotropic detergent)로서 작용하여, 세포성 멤브레인을 용해시킬 수 있고, 라이소좀 기능을 대체하여, 미토콘드리아로부터 전구 세포자멸사 단백질을 방출시킬 수 있고, 궁극적으로 RPE 세포를 죽인다 (예를 들어, 상기 Eldred 등; Sparrow 등, Invest. Ophthalmol. Vis. Sci. 40:2988-95 (1999); 상기 Holz 등; Finneman 등, Proc. Natl. Acad. Sci. USA 99:3842-347 (2002); Suter 등, J. Biol. Chem. 275:39625-30 (2000) 참조). A2E는 광독성이며, RPE 세포에서 청색광-유도 세포자멸사를 개시한다 (예를 들어, Sparrow 등, Invest. Ophthalmol. Vis. Sci. 43:1222-27 (2002) 참조). 청색광에 노출시, A2E의 광산화성 생성물이 형성되며 (예를 들어, 에폭사이드), 이는 DNA를 포함하는 세포 거대분자를 손상시킨다 (Sparrow 등, J. Biol. Chem. 278(20):18207-13 (2003)). A2E는 A2E와 반응하는 단일항 산소를 자가-생성시켜, 탄소-탄소 이중 결합에서 에폭사이드를 생성시킨다 (상기 Sparrow 등). A2E의 광여기 (photoexcitation) 시 산소 반응성 종의 생성은 세포에 산화적 손상을 야기하고, 종종 세포사를 일으킨다. A2E의 직접적 전구체인, 모든-트랜스-레티날의 생합성을 억제함으로써, A2E의 형성을 차단하는 간접적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2003/0032078 참조). 그러나, 거기에 기술된 방법의 유용성은 제한적인데, 이는 모든-트랜스 레티날의 생성이 시각 주기의 중요한 성분이기 때문이다. 기술된 기타 치료법에는 슈퍼옥사이드-디스뮤타아제 유사성을 이용하여 산화 라디칼 종에 의해 야기되는 손상을 중성화시키는 것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2004/0116403 참조) 및 음으로 하전된 인지질로 망막 세포 내 A2E-유도 시토크롬 C 옥시다아제를 억제시키는 것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2003/0050283 참조)이 포함된다.
본원에 기술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은 RPE 내 A2E 및 A2E-관련 및/또는 유래 분자의 축적을 방지, 감소, 억제 또는 저하시키는데 유용할 수 있다. 이론에 구애됨 없이, RPE는 광수용체 세포의 완전성의 유지에 중요하기 때문에, RPE에 대한 손상을 방지, 감소 또는 억제시키는 것은 망막 뉴런 세포, 특히, 광수용체 세포의 변성 (즉, 생존을 증강시키거나 또는 세포 생존성을 증가시킴)을 억제시킬 수 있다. A2E, A2E-관련 및/또는 유래 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거나 또는 반응하거나, 또는 A2E 형성 또는 축적에 영향을 주는 화합물은 또한 망막 뉴런 세포 (광수용체 세포 포함)에 손상, 손실 또는 신경변성을 초래하는 A2E 또는 A2E-관련 및/또는 유래 분자의 하나 이상의 독성 효과를 감소, 억제, 방지 또는 저하시키거나, 또는 일부 방식으로 망막 뉴런 세포 생존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독성 효과는 세포자멸사의 유도, 단일항 산소의 자가-생성 및 산소 반응성 종의 생성; DNA 병변을 유도하는 A2E-에폭사이드를 형성시키는 단일항 산소의 자가-생성, 이에 따른 세포성 DNA의 손상 및 세포성 손상의 유도; 세포성 멤브레인의 용해; 라이소좀 기능의 변경; 및 미토콘드리아로부터 전구 세포자멸사 단백질 방출의 초래를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은 기타 안과 질환 또는 장애, 예를 들어, 녹내장, 추체간체 이영양증, 망막 박리, 출혈 또는 고혈압 망막병증, 색소성 망막염, 시각 신경병증, 염증성 망막 질환, 증식 유리체망막병증, 유전 망막 이영양증, 시신경에 대한 외관 손상 (예컨대 물리적 손상, 과량의 빛 노출 또는 레이저 광원에 의함), 선천성 시각 신경병증, 독성 제제에 기인하거나 또는 약물 역반응 또는 비타민 결핍에 의해 야기되는 신경병증, 소르비 안저 이상증, 포도막염, 알츠하이머 질환 관련 망막 장애, 다발성 경화증 관련 망막 장애; 바이러스성 감염 (거대세포바이러스 또는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관련 망막 장애, 파킨슨 질환 관련 망막 장애, AIDS 관련 망막 장애 또는 임의 형태의 진행성 망막 위축증 또는 변성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는, 질환 또는 장애가 기계적 손상, 화학적 또는 약물-유도 손상, 열적 손상, 복사 손상, 빛 손상, 레이저 손상에서 야기된다. 당해 화합물은 선천성 및 비-선천성 망막 이영양증의 둘 다의 치료에 유용하다. 이러한 방법은 또한 환경적 인자, 예컨대 광원-유도 산화적 망막 손상, 레이저-유도 망막 손상, "플래시 폭탄 손상," 또는 "빛 다즐 (dazzle)" 굴절 이상 (비제한적으로, 근시 포함)으로부터의 안과 손상의 방지에 유용하다 (예를 들어, Quinn GE 등, Nature 1999;399:113-114; Zadnik K 등, Nature 2000;404:143-144; Gwiazda J 등, Nature 2000;404: 144 참조).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I) 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구조 및 이의 하위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본원에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은 임의 하나 이상의 아민 유도체 화합물 및 본원에 기술된 특정 아민 유도체 화합물을 사용하여 망막에서의 신생혈관증 (비제한적으로, 신생혈관 녹내장 포함)을 억제하는 방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는,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을 사용하여 망막에서 저산소증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법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또는 적합한 부형제 (즉,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또는 적합한 담체) 및 본원에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은 아민 유도체 화합물 (화학식 (I) 에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 및 이의 하위 구조를 갖는 화합물, 및 본원에 기술된 특정 아민 유도체 화합물 포함)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지 설명으로써, 이론에 구애됨 없이, 또한 본원에 상세히 토의되는 바와 같이, 암순응된 막대 광수용체는 매우 높은 대사 수요 (즉, 에너지 낭비 (ATP 소비) 및 산소의 소비)를 발생시킨다. 결과적인 저산소증은 망막 변성을 야기 및/또는 악화시킬 수 있는데, 이는 망막 혈관계가 이미 절충되는 상태 (이러한 상태에는 당뇨 망막병증, 황반 부종, 당뇨 황반병증, 망막 혈관 폐쇄 (이는 망막 정맥 폐쇄 및 망막 동맥 폐쇄 포함), 미숙 망막병증, 허혈 재관류 관련 망막 손상 뿐 아니라 노인성 황반 변성 (AMD)의 습성 형태가 비제한적으로 포함됨) 하에서 악화될 수 있다. 더욱이, 망막 변성 및 저산소증은 신생혈관증식을 야기할 수 있고, 이는 결과적으로 망막 변성의 정도를 악화시킬 수 있다. 시각 주기를 조정하는 본원에 기술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은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암순응을 방지, 억제 및/또는 지연시키기 위해 투여될 수 있고, 그러므로 대사 수요를 저하시켜, 저산소증을 약화시키고, 신생혈관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
근거로서, 산소는 포유류에서 망막 기능의 보존을 위한 중요 분자이고, 망막 저산소증은 허혈을 요소로서 갖는 많은 망막 질환 및 장애에서의 요인일 수 있다. 망막으로의 이중 혈관 공급을 갖는 대부분의 포유류 (인간 포함)에서 내부 망막의 산소화는 RPE 및 광수용체에 산소를 공급하는 맥락막모세혈관층과 비교시 희박한, 망막내 미세혈관계를 통해 획득된다. 상이한 혈관 공급 네트워크는 망막의 두께를 따라 고르지 못한 산소 분압을 야기한다 (Cringle 등, Invest. Ophthalmol. Vis. Sci. 43:1922-27 (2002)). 망막 층을 가로지르는 산소 변동은, 다양한 망막 뉴런 및 아교세포에 의한 산소 소비에서의 불균형 및 모세관 밀도의 상이함 둘 다와 관련된다.
국소 산소 분압은, 예를 들어, 혈관 내피 성장 인자 (VEGF)를 포함하는, 혈관 작용제 정렬의 제어에 의해 망막 및 이의 미세혈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Werdich 등, Exp. Eye Res. 79:623 (2004); Arden 등, Br. J. Ophthalmol. 89:764 (2005) 참조). 막대 광수용체는 체내 임의 세포 중 최고 대사율을 갖는 것으로 여겨진다 (예를 들어, 상기 Arden 등 참조). 암순응 동안, 막대 광수용체는 cGMP-게이트화 칼슘 채널을 통해 이들의 높은 세포질 칼슘 수준을 회수하고, 동시에 나트륨 이온 및 물을 압출한다. 세포로부터의 나트륨의 유출은, 명순응 (즉, 명환경 순응) 조건과 비교시, 암순응 (즉, 암환경 순응) 하에서 약 5배가 넘는 산소를 소비시키도록 하는 ATP-의존성 과정이다. 따라서, 광수용체의 특징적 암순응 동안, 높은 대사 수요가 암순응된 망막에서 산소 수준의 유의한 국소적 감소를 야기한다 (Ahmed 등, Invest. Ophthalmol. Vis. Sci. 34:516 (1993)).
어떠한 이론에도 구애됨 없이, 망막 저산소증은, 예를 들어, 망막 혈관계가 이미 절충된 망막 중심 정맥 폐쇄와 같은 질환 또는 상태를 갖는 대상의 망막에서 더 증가될 수 있다. 저산소증의 증가는 시력-위협적, 망막 신생혈관증식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신생혈관증식은 적혈구 관류가 있는 새로운 기능적 미세혈관 네트워크의 형성이며, 당뇨 망막병증, 미숙 망막병증, 습성 AMD 및 망막 중심 정맥 폐쇄를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망막 변성 장애의 특징이다.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암순응을 방지 또는 억제하여, 에너지의 낭비 및 산소의 소비를 감소시키는 것 (즉, 대사 수요 저하)은 망막 변성을 억제 또는 지연시킬 수 있고/있거나, 막대 광수용체 세포 및 망막 색소 상피 (RPE) 세포를 포함하는 망막 세포의 재생을 촉진할 수 있고, 저산소증을 감소시킬 수 있고, 신생혈관증식을 억제시킬 수 있다.
망막 세포 (본원에 기술된 망막 뉴런 세포 및 RPE 세포 포함)의 변성을 억제 (즉, 생물학적으로 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방식으로 감소, 방지, 저속화 또는 지연)시키고/시키거나, 망막 허혈을 감소 (즉, 생물학적으로 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방식으로 방지 또는 저속화, 억제, 제거)시키기 위한 방법이 본원에 기술된다. 안구에서, 특히 망막에서 신생혈관증식을 억제 (즉, 생물학적으로 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방식으로 감소, 방지, 저속화 또는 지연)시키기 위한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이러한 방법은, 망막에서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암순응을 방지, 억제 또는 지체시킬 수 있는 시점 및 조건 하에, 하나 이상의 시각 주기 트랜스-시스 이성화효소를 억제 (이는 모든-트랜스-레티닐 에스테르의 이성질체화의 억제를 포함할 수 있음)하는 본원에 기술된 아민 유도체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망막과 접촉시키는 것, 이에 따라, 망막 세포 (망막 뉴런 세포 예컨대 막대 광수용체 세포 및 RPE 세포 포함)와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원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특정 구현예에서, 망막과 접촉한 화합물은 망막 내 RPE 세포에서 이성화효소 효소 또는 효소성 복합체와 상호작용하고, 이성화효소의 촉매적 활성을 억제, 차단 또는, 일부 방식으로 방해한다. 따라서, 모든-트랜스-레티닐 에스테르의 이성질체화가 억제 또는 감소된다. 본원에 기재된 아민 유도체 화합물 또는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발병 및 소견된 안과 질환 또는 장애를 갖거나 또는 안과 질환 또는 장애의 발병의 위험이 있는 대상 또는 망막 신생혈관증식 또는 망막 허혈과 같은 상태를 나타내거나 또는 나타낼 위험이 있는 대상에 투여될 수 있다.
배경지식으로서, 시각 주기 (또한 레티노이드 주기라 칭함)는 안구의 망막 색소 상피 (RPE) 세포 및 광수용체에서 일어나는 레티놀/레티날의 11-시스 및 모든-트랜스 형태 사이의 일련의 효소 및 광원-매개 전환을 칭한다. 척추동물 광수용체 세포에서, 광자는 시각 옵신 수용체에 커플링되는 모든-트랜스-레티닐리덴으로의 11-시스-레티닐리덴 발색단의 이성질체화를 야기한다. 이러한 광이성질체화는 옵신의 구조 변화를 유발하고, 이는, 차례로, 광변환이라 칭하는 반응의 생화학적 사슬을 개시한다 (Filipek 등, Annu. Rev. Physiol. 65 851-79 (2003)). 빛의 흡수 및 모든-트랜스 레티날로의 11-시스-레티날의 광이성질체화 이후, 시각 발색단의 재생은 이의 암순응 상태에 대한 광수용체의 회복에서 중요 단계이다. 시색소의 재생은 발색단이 다시 11-시스-배열로 전환될 것을 요구한다 (McBee 등, Prog. Retin Eye Res. 20:469-52 (2001)에서 검토됨). 발색단은 옵신으로부터 방출되며, 레티놀 탈수소효소에 의해 광수용체에서 환원된다. 생성물인 모든-트랜스-레티놀은 레티노솜으로 알려진 세포하 구조에서 불용성 지방산 에스테르의 형태로 인접 망막 색소 상피 (RPE)에서 트래핑된다 (Imanishi 등, J. Cell Biol. 164:373-78 (2004)).
막대 수용체 세포의 시각 주기 동안, 로돕신이라 칭하는, 시색소 분자 내 11-시스 레티날 발색단은 빛의 광자를 흡수하고, 모든-트랜스 배열로 이성질체화되어, 광변환 캐스캐이드를 활성화시킨다. 로돕신은 세포외 및 세포질 루프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7개의 멤브레인-스패닝 헬릭스로 이루어지는 G-단백질 커플링된 수용체 (GPCR)이다. 레티노이드의 모든-트랜스 형태가 여전히 색소 분자에 공유 결합된 경우, 색소는 상이한 형태 (예를 들어, 메타로돕신 I 및 메타로돕신 II)로 존재하는 메타로돕신을 지칭한다. 이후, 모든-트랜스 레티노이드는 가수분해되고, 시색소는 아포단백질, 옵신 (이는 또한 당업계 및 본원에서 아포-로돕신이라 칭함)의 형태이다. 이러한 모든-트랜스 레티노이드는 광수용체 세포 외부로 전달 또는 샤프롱 (chaperoned)되고, RPE 세포로의 세포외 공간을 가로지르고, 여기서, 레티노이드는 11-시스 이성질체로 전환된다. RPE 및 광수용체 세포 사이의 레티노이드의 이동은 각각의 세포 유형에서 상이한 샤프롱 폴리펩티드에 의해 달성된다고 여겨진다. Lamb 등, Progress in Retinal and Eye Research 23:307-80 (2004)를 참조한다.
빛 조건 하에서, 로돕신은 세 가지 형태, 로돕신, 메타로돕신 및 아포-로돕신을 통해 연속적으로 전이된다. 대부분의 시색소가 로돕신 형태 (즉, 11-시스 레티날과 결합)인 경우, 막대 광수용체 세포는 "암순응" 상태에 있다. 시색소가 주로 메타로돕신 형태 (즉, 모든-트랜스-레티날과 결합)인 경우, 광수용체 세포의 상태를 "명순응"이라 칭하고, 시색소가 아포-로돕신 (또는 옵신)이면서 더 이상 결합된 발색단을 갖지 않는 경우, 광수용체 세포의 상태를 "로돕신-제거된"이라 칭한다. 광수용체 세포의 세 가지 상태의 각각은 상이한 에너지 요건을 가지며, 상이한 수준의 ATP 및 산소가 소비된다. 암순응 상태에서, 로돕신은 열려 있는, 양이온 (Na+ / K+ 및 Ca2 +)의 유입을 야기하는 양이온 채널에 대해 조절 효과를 갖지 않는다. 어두운 상태 동안 세포에서 이들 양이온의 적정한 수준을 유지시키기 위해, 광수용체 세포는 ATP-의존성 펌프를 통해 세포 외로 양이온을 활발히 운반한다. 따라서, 이러한 "암전류"의 유지는 다량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며, 높은 대사 수요를 초래한다. 명순응 상태에서, 메타로돕신은 효소 캐스케이드 과정을 유발하여, GMP의 가수분해를 일으키고, 이어서, 광수용체 세포 멤브레인에서 양이온-특이적 채널을 닫는다. 로돕신-제거 상태에서, 발색단은 메타로돕신으로부터 가수분해되어, 아포단백질, 옵신 (아포-로돕신)을 형성하고, 이는 막대 광수용체 세포가 암순응 상태에서 광수용체와 비교시 약화된 전류를 나타내어 중간 수준의 대사 수요를 초래하도록 양이온 채널을 부분적으로 제어한다.
정상광 조건 하에서, 암순응 상태에서의 막대 광수용체의 발생율이 작고 (일반적으로, 2% 이하), 세포는 우선 명순응 또는 로돕신-제거 상태이고, 이는 전반적으로, 암순응 상태에서의 세포와 비교시 상대적으로 낮은 대사 수요를 초래한다. 그러나, 밤에는 암순응 광수용체 상태의 상대적 발생율이 매우 증가하는데, 이는 명순응의 부재 및 RPE 세포에서의 "암" 시각 주기의 연속 작업에 기인하며, 이는 막대 광수용체 세포에 11-시스-레티날을 보충시킨다. 막대 광수용체의 암순응에 대한 이러한 이동은 대사 수요의 증가 (즉, 증가된 ATP 및 산소 소비)를 야기하고, 궁극적으로 망막 저산소증 및 이어서 혈관신생의 개시를 일으킨다. 대부분의 허혈성은 망막에 손상을 주므로, 어두운 상태, 예를 들어, 밤에 수면 동안 일어난다.
어떠한 이론에도 구애됨 없이, "암" 시각 주기 동안의 치료적 시술은, 암순응 막대 광수용체 세포에서 높은 대사 활성도에 의해 야기되는 망막 저산소증 및 신생혈관증식을 방지할 수 있다. 단지 하나의 예로서, 이성화효소 억제제, 로돕신 (즉, 결합된 11-시스 레티날)인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 중 임의의 하나를 투여함으로써, "암" 시각 주기를 변경시키는 것은 막대 광수용체의 암순응을 감소 또는 제거, 방지 또는 억제시킬 수 있다. 이는 결국 망막 대사 수요를 감소시킬 수 있고, 야간의 망막 허혈 및 신생혈관증식의 위험을 약화시킴으로써, 망막 변성을 억제 또는 저속화시킬 수 있다.
한 구현예에서는, 예를 들어, 시각 주기 이성화효소의 촉매적 활성을 통계적으로 또는 생물학적으로 유의한 방식으로 차단, 감소, 억제 또는 일부 방식으로 약화시키는, 본원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 (즉, 본원에 기재된 화학식 (I) 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구조 및 이의 하위 구조를 갖는 화합물)은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암순응을 방지, 억제 또는 지체시켜, 안구의 망막의 망막 세포의 변성을 억제 (즉, 망막 세포의 변성의 진행을 저하, 제거, 방지, 저속화시키거나, 또는 통계적으로 또는 생물학적으로 유의한 방식으로 감소) (또는 망막 세포의 생존을 증강)시킬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이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암순응을 방지 또는 억제하여, 허혈을 저하 (즉, 통계적으로 또는 생물학적으로 유의한 방식으로 허혈의 진행을 감소, 방지, 억제, 저속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술된 아민 유도체 화합물 중 임의 하나는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암순응을 방지하여, 안구의 망막에서 신생혈관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는 망막 세포 변성의 억제, 대상의 안구의 망막에서의 신생혈관증식의 억제, 대상의 안구 내 허혈의 저하를 위한 방법으로서,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암순응을 방지, 억제 또는 지체시키는 데 충분한 시간 및 조건 하에서 본원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아민 유도체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그러므로, 이 방법 및 조성물은, 당뇨 망막병증, 당뇨 황반병증, 망막 혈관 폐쇄, 미숙 망막병증 또는 허혈 재관류 관련 망막 손상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안과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유용하다.
본원에 기술된 아민 유도체 화합물 (즉, 화학식 (I) 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구조 및 이의 하위 구조를 갖는 화합물 및 본원에 기술된 특정 아민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본원에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은 아민 유도체 화합물)은 시색소 발색단의 회수를 방지 (즉, 지체, 저속화, 억제 또는 감소)시킬 수 있고, 이는 레티날의 형성을 방지 또는 억제 또는 지연시킬 수 있고, 레티닐 에스테르의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고, 시각 주기를 교란시키고, 로돕신의 재생을 억제하고,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암순응을 방지, 저속화, 지체 또는 억제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암순응이 화합물의 존재 하에 방지되는 경우, 암순응이 실질적으로 방지되고, 로돕신-제거되거나 또는 명순응된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수 또는 백분율이, 화합물의 부재 하에 로돕신-제거되거나 또는 명순응된 세포의 수 또는 백분율과 비교시, 증가한다. 따라서, 특정 구현예에서,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암순응이 방지되는 경우 (즉, 실질적으로 방지), 정상광 조건 동안 암순응 상태에 있는 세포의 백분율 또는 수와 유사하게,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오직 2% 이상이 암순응된다. 기타 구현예에서,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적어도 5~10%, 10~20%, 20~30%, 30~40%, 40~50%, 50~60% 또는 60~70%가 제제의 투여 후 암순응된다. 다른 구현예에서는, 화합물이 암순응을 지체시키는 작용을 하고,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의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암순응은, 화합물의 부재 하에서의 막대 광수용체의 암순응과 비교시,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또는 4시간 지체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이 명순응 조건 동안 기질의 이성질체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도록 투여되는 경우, 화합물은 암순응되는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백분율이 최소화되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막대 광수용체의 오직 2%, 5%, 10%, 20% 또는 25%가 암순응되도록, 투여된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2006/0069078; 특허 출원 번호 PCT/US2007/002330 참조).
하나 이상의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존재 하 망막에서, 레티날의 형성의 방지, 레티날의 수준의 저하, 및/또는 레티닐 에스테르의 수준의 증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막대 광수용체 세포 내 로돕신의 재생은 억제될 수 있고, 또는 재생율이 저하 (즉, 통계적으로 또는 생물학적으로 유의한 방식으로 억제, 저하 또는 감소)될 수 있다. 막대 광수용체 세포 내 로돕신의 재생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로돕신의 재생의 수준 (이는 제 1 수준이라 칭할 수 있음)은 망막 및 화합물 사이의 접촉을 허용하기 전에 측정될 수 있다 (즉, 작용제의 투여 전). 화합물 및 망막 및 망막의 세포가 상호 작용하기에 충분한 시간 이후 (즉, 화합물의 투여 후), 로돕신의 재생의 수준 (이는 제 2 수준이라 칭할 수 있음)이 측정될 수 있다. 제 1 수준과 비교시 제 2 수준의 감소는 화합물이 로돕신의 재생을 억제했음을 나타낸다. 로돕신 생성의 수준은 각각의 용량 후, 또는 임의 수의 용량 후 측정될 수 있고, 로돕신의 재생에 대한 작용제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치료 요법 내내 진행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술된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은 망막에서 로돕신을 재생하는 막대 광수용체의 능력의 결함을 일으키거나 또는 유발하는 질환 또는 장애를 가질 수 있다. 예로서, 로돕신 재생의 억제 (또는 로돕신 재생율의 저하)는 당뇨병 환자에서의 증상일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투여 이전 및 이후 당뇨병을 갖는 대상에서의 로돕신의 재생의 수준을 측정하는 것에 더하여, 화합물의 효과는 또한, 작용제를 받지 못한 당뇨병 환자인 제 2 대상 (또는 제 2 군 또는 복수의 대상)에 대하여, 화합물이 투여된 제 1 대상 (또는 제 1 군 또는 복수의 대상)에서의 로돕신 재생의 억제를 비교함으로써 분석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망막에서 막대 광수용체 세포 (또는 복수의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암순응을 방지 또는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본원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아민 유도체 화합물 (즉, 화학식 (I) 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구조 및 이의 하위 구조를 갖는 화합물 및 본원에 기술된 특정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본원에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은 화합물)을, 망막 세포 (예컨대 RPE 세포)에 존재하는 이성화효소 및 작용제 사이의 상호작용을 허용하기에 충분한 시간 및 조건 하에 망막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의 막대 광수용체 세포 내 11-시스-레티날의 제 1 수준이 측정될 수 있고, 화합물의 부재 하에서의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11-시스-레티날의 제 2 수준과 비교될 수 있다. 11-시스-레티날의 제 1 수준이 11-시스-레티날의 제 2 수준보다 적을 경우,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암순응의 방지 또는 억제가 나타난다.
로돕신의 재생의 억제는 또한, 화합물의 부재 하에서의 (즉, 작용제의 투여 이전) RPE 세포에 존재하는 11-시스-레티닐 에스테르의 수준과 비교시,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의 RPE 세포에 존재하는 11-시스-레티닐 에스테르의 수준의 증가를 포함할 수 있다. 2-광자 이미지화 기술은 RPE에서의 레티노솜 구조를 보고, 구조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구조는 레티닐 에스테르를 저장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예를 들어, Imanishi 등, J. Cell Biol. 164:373-83 (2004), Epub 2004 January 26 참조). 레티닐 에스테르의 제 1 수준은 화합물의 투여 전 측정될 수 있고, 레티닐 에스테르의 제 2 수준은 제 1 용량 또는 임의의 후속 용량 후 측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 1 수준과 비교시 제 2 수준의 증가는 화합물이 로돕신의 재생을 억제함을 나타낸다.
레티닐 에스테르는 당업계에서 수행되는 방법에 따라 구배 HPLC에 의해 분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ata 등, Neuron 36:69-80 (2002); Trevino 등 J. Exp. Biol. 208:4151-57 (2005) 참조). 11-시스 및 모든-트랜스 레티날의 측정을 위해, 레티노이드는 포름알데히드 방법에 의하거나 (예를 들어, Suzuki 등, Vis. Res. 28:1061-70 (1988); Okajima 및 Pepperberg, Exp. Eye Res. 65:331-40 (1997) 참조) 또는 하이드록실아민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Groenendijk 등, Biochim. Biophys. Acta. 617:430-38 (1980) 참조) 추출된 후, 정조성 HPLC에서 분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Trevino 등, 참조). 레티노이드는 분광광도법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aeda 등, J. Neurochem. 85:944-956 (2003); Van Hooser 등, J. Biol. Chem. 277:19173-82 (2002) 참조).
안과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 망막 세포 변성의 억제 (또는 망막 세포 생존의 증강), 신생혈관증식의 억제, 및 망막에서의 허혈의 저하를 위한 본원에 기술된 방법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망막 내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암순응의 방지 또는 억제는 광수용체 세포 내 아포-로돕신 (또한 옵신이라 칭함)의 수준의 증가를 포함한다. 시색소의 총 수준은 로돕신 및 아포-로돕신의 합과 비슷하고, 총 수준은 일정하게 남는다. 그러므로,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암순응의 방지, 지체 또는 억제는 로돕신에 대한 아포-로돕신의 비율을 변경시킬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술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투여에 의해 암순응을 방지, 지체 또는 억제하면, 작용제의 부재 하에서의 (예를 들어, 작용제의 투여 이전) 비율에 비하여, 로돕신의 수준에 대한 아포-로돕신의 수준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로돕신에 대한 아포-로돕신의 비율의 증가 (즉, 통계적으로 또는 생물학적으로 유의한 증가)는 로돕신-제거된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백분율 또는 수가 증가하고, 암순응된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백분율 또는 수가 감소함을 나타낸다. 로돕신에 대한 아포-로돕신의 비율이 작용제의 효과에 대한 모니터링을 위해 치료법 내내 측정될 수 있다.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암순응을 방지, 지체 또는 억제하는 화합물의 능력을 측정 또는 분석하는 것은 동물 모델 연구에서 측정될 수 있다. 로돕신의 수준 및 로돕신에 대한 아포-로돕신의 비율은 작용제의 투여 이전 (이는 각각 제 1 수준 또는 제 1 비율이라 칭할 수 있음) 및 이후 작용제의 제 1 또는 임의의 후속 용량의 투여 이후 (이는 각각 제 2 수준 또는 제 2 비율이라 칭할 수 있음) 측정되어, 아포-로돕신의 수준이, 작용제를 받지 못한 동물의 망막 내 아포-로돕신의 수준보다 더 크다는 것이 측정 및 증명될 수 있다. 막대 광수용체 세포 내 로돕신의 수준은 당업계에서 수행되고 본원에 제공된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Yan 등 J. Biol . Chem . 279:48189-96 (2004) 참조).
이러한 치료가 필요한 대상은, 안과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이 발병되었거나 또는 안과 질환 또는 장애 발병의 위험이 있는 인간, 또는 비-인간 영장류 또는 기타 동물 (즉 수의학 용도)일 수 있다. 비-인간 영장류 및 기타 동물의 예에는 비제한적으로 농장 동물, 애완 동물 및 동물원 동물 (예를 들어, 말, 소, 버팔로, 라마, 염소, 래빗, 고양이, 개, 침팬지, 오랑우탄, 고릴라, 원숭이, 코끼리, 곰, 대형 고양이류 등)이 포함된다.
또한, 본원에서는, 망막 뉴런 세포 생존의 증강 (또는 연장된 세포 생존성) 및 변성의 억제 (저하, 저속화, 방지)를 위한 방법으로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본원에 상세히 기술된 아민 유도체 화합물 (화학식 (I) 에서 설명된 구조 및 이의 하위 구조 중 임의 하나를 갖는 화합물 및 본원에 기술된 특정 아민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망막 뉴런 세포는 광수용체 세포, 이극성 세포, 수평 세포, 신경절 세포 및 무축삭 세포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성숙 망막 세포 예컨대 RPE 세포 또는 뮬러 아교 세포의 변성을 억제하거나 이의 생존을 증강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대상의 안구에서 광수용체 변성을 방지 또는 억제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광수용체 변성을 방지 또는 억제하는 방법에는 대상의 안구의 광수용체 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한 방법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아민 유도체 화합물 및 약학적으로 또는 허용 가능한 담체 (즉, 부형제 또는 비히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대상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방법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및 본원에 기술된 아민 유도체 화합물 (본원에 기술된, 화학식 (I) 에서 설명된 구조 및 이의 하위 구조 중 임의 하나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을 대상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론에 구애됨 없이,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은 레티노이드 주기 (즉, 시각 주기)의 이성질체화 단계를 억제할 수 있고/있거나, 안구 내 레티노이드 주기에서의 발색단 플럭스를 저속화시킬 수 있다.
안과 질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안구에서의 N-레티닐리덴-N-레티닐에탄올아민 (A2E)의 축적으로부터 및/또는 리포푸신 색소(들) 축적으로부터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구현예에서는, 대상의 안구에서 리포푸신 색소(들) 및/또는 A2E의 축적을 억제 또는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법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본원에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은 아민 화합물 (화학식 (I) 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구조 또는 이의 하위 구조를 갖는 화합물 포함)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대상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아민 유도체 화합물은 안구 내 과량의 레티노이드 (예를 들어, 과량의 11-시스-레티놀 또는 11-시스-레티날), 모든-트랜스-레티날의 리사이클링에서의 과량의 레티노이드 폐기물 또는 중간체 등을 갖는 대상에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되며 당업계에서 실행되는 방법은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 중 임의의 하나의 투여 동안 또는 이후 대상에서의 하나 이상의 내인성 레티노이드의 수준의 변화 (통계적으로 유의한 또는 생물학적으로 유의한 방식으로 증가 또는 감소) 여부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단백질 옵신 및 레티날 (비타민 A 형태)로 이루어지는 로돕신은 안구의 망막 내 광수용체 세포의 멤브레인에 위치하며, 시력에서 오직 감광 단계에 촉매작용한다. 11-시스-레티날 발색단은 단백질의 포켓에 위치하고, 빛이 흡수될 경우, 모든-트랜스 레티날로 이성질체화된다. 레티날의 이성질체화는 로돕신의 형상의 변화를 일으키고, 이는 시신경에 의해 뇌로 전달되는 신경 자극을 인도하는 반응의 캐스캐이드를 유발한다.
척추동물 안구 내 내인성 레티노이드 수준, 및 이러한 레티노이드의 과량 또는 결핍의 측정 방법이,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2005/0159662 (이의 내용은 그 전문이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됨)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레티노이드의 수준이 정상 범위를 넘는지의 여부를 측정하는데 유용한, 대상에서의 내인성 레티노이드 수준의 기타 측정 방법에는, 예를 들어, 대상으로부터의 생물학적 샘플 내 레티노이드의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에 의한 분석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레티노이드 수준은 대상으로부터의 혈액 샘플 (이는 혈청 또는 혈장을 포함)인 생물학적 샘플에서 측정될 수 있다. 생물학적 샘플은 또한 초자체액, 눈방수, 안구내액, 망막하액 또는 눈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액 샘플은 대상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고, 상이한 레티노이드 화합물 및 샘플 내 레티노이드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의 수준이 정상상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 (예를 들어, HP1100 HPLC 및 Beckman, Ultrasphere-Si, 4.6 mm x 250 mm 컬럼, 1.4 ml/분의 유속의 10% 에틸 아세테이트/90% 헥산 이용)에 의해 분리 및 분석될 수 있다. 레티노이드는, 예를 들어, 다이오드-정렬 검출기 및 HP Chemstation A.03.03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325 nm에서 검출할 수 있다. 과량의 레티노이드는, 예를 들어, 정상 대상으로부터의 샘플을 이용하여 샘플 내 레티노이드의 프로필을 비교함으로써 (즉, 정성적, 예를 들어, 특정 화합물의 정체, 및 정량적, 예를 들어, 각 특정 화합물의 수준), 측정될 수 있다. 당업자는 이러한 분석 및 기술에 익숙하고, 적절한 조정이 포함된다는 것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내인성 레티노이드, 예컨대 11-시스-레티놀 또는 11-시스-레티날의 증가된 또는 과량의 수준이란, 동일한 종의 어린 척추 동물의 건강한 안구에서 발견되는 것보다 더 높은 내인성 레티노이드의 수준을 지칭한다. 아민 유도체 화합물을 투여하면, 내인성 레티노이드에 대한 필요성이 저하되거나 또는 제거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는, 내인성 레티노이드의 수준이, 아민 화합물의 임의 1회 이상의 용량이 대상에게 투여되기 전 및 후에 비교되어, 대상에서의 내인성 레티노이드의 수준에 대한 상기 화합물의 효과가 측정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안과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 신생혈관증식의 억제, 및 망막에서의 허혈의 저하를 위한 본원에 기술된 방법은 본원에 기술된 아민 유도체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투여하여 대사 수요를 감소시키는 것 (이는 막대 광수용체 세포에서의 ATP 소비 및 산소 소비를 저하시키는 것을 포함)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암순응된 막대 광수용체 세포에서의 ATP 및 산소의 소비는 명순응 또는 로돕신-제거된 막대 광수용체 세포에서보다 더 크다; 따라서, 본원에 기술된 방법으로 화합물을 사용하면, 암순응된 막대 광수용체 세포 (예컨대 화합물에 결코 노출되지 않은 세포 또는 화합물과 접촉하거나 또는 투여되기 전 세포)와 비교시, 암순응으로부터 방지, 억제 또는 지체된 막대 광수용체 세포에서의 ATP의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암순응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는 본원에 기술된 방법은 망막에서 저산소증을 저하시킬 수 있다 (즉, 통계적으로 또는 생물학적으로 유의한 방식으로 저하). 예를 들어, 저산소증의 수준 (제 1 수준)이 치료 요법의 개시 전, 즉, 화합물 (또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조성물)의 제 1 용량 이전에 측정될 수 있다. 저산소증의 수준 (예를 들어, 제 2 수준)은 제 1 용량 이후, 및/또는 임의의 제 2의 또는 후속 용량 이후, 측정되어, 치료 요법 내내 저산소증이 모니터링 및 분석될 수 있다. 초기 투여 이전의 저산소증의 수준과 비교시 제 2의 (또는 임의의 후속) 저산소증의 수준의 감소 (저하)는 화합물 및 치료 요법이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암순응을 방지하고, 안과 질환 및 장애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산소의 소비, 망막의 산소화, 및/또는 망막에서의 저산소증은 당업계에서 수행되는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망막의 산소화는 망막 내 플라빈단백질의 형광을 측정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번호 4,569,354 참조). 또 다른 예시적 방법은 시각 신경 유두 근처의 망막의 대혈관 내 혈액 산소 포화를 측정하는 망막 산소측정기이다. 상기 방법은 망막 혈관 구조의 변화가 검출될 수 있기 전 망막 저산소증의 정도를 확인 및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생물학적 샘플은 혈액 샘플 (제조될 수 있는 혈청 또는 혈장으로부터의), 생검 표본, 체액 (예를 들어, 초자체액, 눈방수, 안구내액, 망막하액 또는 눈물), 조직 이식체, 기관 배양물, 또는 대상 또는 생물학적 공급원으로부터의 임의 기타 조직 또는 세포 제조물일 수 있다. 샘플은 또한 형태학적 무결성 또는 물리적 상태가, 예를 들어 해부, 해리, 가용화, 분획화, 균질화, 생화학적 또는 화학적 추출, 분말화, 동결건조, 고주파 분해, 또는 대상 또는 생물학적 공급원 유래의 샘플을 가공하기 위한 임의 기타 수단에 의해 붕괴된 조직 또는 세포 제조물을 지칭할 수 있다. 대상 또는 생물학적 공급원은 인간 또는 비-인간 동물, 1차 세포 배양물 (예를 들어 망막 세포 배양물), 또는 배양 적합화된 세포주 (비제한적으로, 염색체적으로 통합된 또는 에피솜 재조합 핵산 서열을 함유할 수 있는 유전학적으로 가공된 세포주, 무한증식화 또는 무한증식가능 세포주, 체세포 하이브리드 세포주, 분화된 또는 분화가능 세포주, 형질전환된 세포주 등을 포함)일 수 있다. 망막 뉴런 세포, RPE 세포 및 뮬러 아교 세포를 포함하는 성숙 망막 세포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생물학적 샘플로부터 단리되거나 이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성숙 망막 세포는 1차 또는 장기간 세포 배양물로부터 수득할 수 있거나, 또는 대상 (인간 또는 비-인간 동물)에서 수득한 생물학적 샘플로부터 단리되거나 또는 이에 존재할 수 있다.
3. 망막 세포
안구의 망막은 안구의 맥락막과 유리체 사이에 위치한 신경 조직의 얇은 층이다. 망막의 주요 기준점은 중심와 (fovea), 황반 및 시신경 원판이다. 망막은 뒷쪽 구역 근처에서 가장 두껍고, 주변부 근처에서 더 얇게 된다. 황반은 뒷쪽 망막에 위치하고, 오목 (fovea) 및 속오목 (foveola)을 포함한다. 속오목은 최대 원뿔 밀도의 영역을 포함하고, 따라서, 망막에서 최고 시력을 부여한다. 속오목은 오목 내에 포함되고, 이는 황반 내에 포함된다.
망막의 말초 부분은 시야를 증가시킨다. 말초 망막은 모양체에 대해 앞쪽으로 연장되고, 네 부위로 나뉜다: 근처 주변부 (가장 뒷쪽), 중간-주변부, 먼 주변부, 및 톱니 둘레 (가장 앞쪽). 톱니 둘레는 망막의 말단을 의미한다.
당업계에서 이해되며,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뉴런 (또는 신경 세포)은 신경상피 세포 전구체로부터 유래되는 세포를 의미한다. 성숙 뉴런 (즉, 완전 분화된 세포)은 몇몇 특이적 항원 마커를 표시한다. 뉴런은 기능적으로 네 가지 군으로 분류될 수 있다: (1) 의식 인식 및 운동 협음을 위해 뇌로 정보를 전달하는 들 (afferent) 뉴런 (또는 감각 뉴런); (2) 근육 및 샘으로 명령을 전달하는 운동 뉴런; (3) 국소 회로를 책임지는 중간뉴런; 및 (4) 뇌의 한 부위로부터 또 다른 부위로 정보를 중계하고, 따라서 긴 엑손을 갖는 투사 중간뉴런. 중간뉴런은 뇌의 특정 하위부위 내에서 정보를 처리하고, 상대적으로 짧은 엑손을 갖는다. 뉴런은 전형적으로 네 가지 한정된 부위를 갖는다: 세포 바디 (또는 세포체); 엑손; 가지돌기; 및 연접전 말단. 가지돌기는 다른 신경 세포로부터의 정보의 1차 입력으로서 역할한다. 엑손은 세포 바디에서 시작되는 전기적 신호를 기타 뉴런 또는 효과 기관으로 운반한다. 연접전 말단에서, 뉴런은 또 다른 뉴런일 수 있는 또 다른 세포 (연접후 세포), 근육 세포 또는 분비 세포로 정보를 전달한다.
망막은 여러 유형의 뉴런 세포로 이루어진다.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이 방법에 의해 시험관내 배양될 수 있는 망막 뉴런 세포의 유형은 광수용체 세포, 신경절 세포, 및 중간뉴런 예컨대 이극성 세포, 수평 세포, 및 무축삭 세포를 포함한다. 광수용체는 특수화된 광-반응성 신경 세포이며, 두 가지 주요 부류, 막대 및 원뿔을 포함한다. 막대는 암순응 또는 어둑한 빛 시력에 관계되고, 반면 명순응 또는 밝은 빛 시력은 원뿔에서 비롯된다. 실명을 초래하는 많은 신경변성 질환, 예컨대 AMD는 광수용체에 영향을 준다.
이의 세포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광수용체는 형태학적으로 구별된 두 가지 부위, 내부 및 외부 분절을 갖는다. 외부 분절은 광수용체 세포 바디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하고, 들어오는 빛 에너지를 전기 임펄스로 변환시키는 (광변환) 원판을 포함한다. 외부 분절은 매우 작고 연약한 속눈썹을 갖는 내부 분절에 부착된다. 외부 분절의 크기 및 형상은 막대 및 원뿔 사이에서 다양하고, 망막 내 위치에 의존한다. Hogan, "Retina" in Histology of the Human Eye: Atlas and Text Book (Hogan 등 (eds). WB Saunders; Philadelphia, PA (1971)); Eye and Orbit, 8th Ed., Bron 등 (Chapman and Hall, 1997)을 참조한다.
신경절 세포는 망막 중간뉴런 (수평 세포, 이극성 세포, 무축삭 세포 포함)으로부터 뇌로 정보를 이송하는 출력 뉴런이다. 이극성 세포는 이의 형태에 따라 명명되고, 광수용체로부터 입력을 받고, 무축삭 세포와 연결되어, 신경절 세포로 방사상으로 출력을 보낸다. 무축삭 세포는 망막의 평면에 평행한 프로세스를 갖고, 신경절 세포에 대해 전형적으로 억제성 출력을 갖는다. 무축삭 세포는 종종 신경전달물질 또는 신경조절물질 또는 펩티드 (예컨대 칼레티닌 또는 칼빈딘)로 하위분류되고, 서로, 이극성 세포와, 및 광수용체와 상호작용한다. 이극성 세포는 이의 형태에 따라 명명되는 망막 중간뉴런이며; 이극성 세포는 광수용체로부터 입력을 받아 입력을 신경절 세포로 보낸다. 수평 세포는 다수의 광수용체로부터의 시각 정보를 조정 및 변환시키고, 수평 통합을 갖는다 (한편, 이극성 세포는 망막을 통해 방사상으로 정보를 중계함).
본원에 기술되는 망막 세포 배양액에 존재할 수 있는 기타 망막 세포는 아교 세포, 예컨대 뮬러 아교 세포 및 망막 색소 상피 세포 (RPE)를 포함한다. 아교 세포는 신경 세포 바디 및 엑손을 둘러싼다. 아교 세포는 전기 임펄스를 운반하지 않지만, 정상 뇌 기능의 유지에 기여한다. 망막 내 아교 세포의 주요 유형인 뮬러 아교는 망막의 구조적 지지체를 제공하고, 망막의 대사에 관여된다 (예를 들어, 이온 농도의 제어, 신경전달물질의 분해 및 특정 대사물의 제거에 기여함 (예를 들어, Kljavin 등, J. Neurosci. 11:2985 (1991) 참조)). 뮬러의 섬유 (또한, 망막의 버팀 섬유라 알려짐)는 망막의 버팀 신경아교 세포로서, 이는 내부 경계 멤브레인으로부터, 한줄의 연접복합체를 형성하는 막대 및 원뿔의 기저로 망막의 두께를 관통한다.
망막 색소 상피 (RPE) 세포는 브루크 멤브레인에 의해 혈관-풍부 맥락막으로부터 분리된, 망막의 최외부층을 형성한다. RPE 세포는 일종의 식세포성 상피 세포이며, 포식세포-형 일부 기능을 갖고, 망막 광수용체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RPE 세포의 등쪽면이 막대의 말단에 근접하게 나란히 놓아지고, 원판이 막대 외부 분절로부터 방출됨에 따라, 이는 RPE 세포에 의해 흡수 및 소화된다. 유사한 과정이 원뿔의 원판으로도 발생한다. RPE 세포는 또한 광수용체의 생존 및 정상 기능에 기여하는 다양한 인자를 생성, 저장 및 이송한다. RPE 세포의 또다른 기능은, 시각 주기라고 알려진 과정에서 명순응 및 암순응 동안 광수용체와 RPE 사이를 움직이면서 비타민 A를 재순환시키는 것이다.
본원에서는 예시적 장기간 시험관내 세포 배양 시스템이 성숙 망막 세포 (망막 뉴런 포함)의 배양에서의 생존을 적어도 2~4주, 2개월에 걸쳐 또는 6개월 정도 동안 허용 및 촉진한다는 것이 기술된다. 세포 배양 시스템을 사용하여, 안과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 및/또는 방지하거나, 또는 리포푸신(들) 및/또는 A2E의 안구에서의 축적을 방지 또는 억제하기 위해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서 유용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을 확인 및 분석할 수 있다. 망막 세포는 비-배아, 비-종양형성 조직으로부터 단리되고, 임의의 방법, 예를 들어, 암유발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또는 변형에 의해 무한증식되지 않는다. 세포 배양 시스템은 모든 주요 망막 뉴런 세포 유형 (광수용체, 이극성 세포, 수평 세포, 무축삭 세포, 및 신경절 세포)을 포함하고, 또한 기타 성숙 망막 세포 예컨대 망막 색소 상피 세포 및 뮬러 아교 세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액 샘플은 대상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고, 상이한 레티노이드 화합물 및 샘플 내 레티노이드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의 수준이 정상상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 (예를 들어, HP1100 HPLC 및 Beckman, Ultrasphere-Si, 4.6 mm x 250 mm 컬럼, 1.4 ml/분의 유속의 10% 에틸 아세테이트/90% 헥산 이용)에 의해 분리 및 분석될 수 있다. 레티노이드는, 예를 들어, 다이오드-정렬 검출기 및 HP Chemstation A.03.03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325 nm에서의 검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상 대상으로부터의 샘플과, 상기 샘플 내 레티노이드의 프로필 (즉, 정성적, 예를 들어, 특정 화합물의 정체, 및 정량적, 예를 들어, 각 특정 화합물의 수준)을 비교함으로써 과량의 레티노이드를 측정할 수 있다. 당업자는 상기 검정 및 기술에 친숙하고, 적절한 조정이 포함됨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내인성 레티노이드, 예컨대 11-시스-레티놀 또는 11-시스-레티날의 증가된 또는 과도한 수준은, 동일한 종의 젊은 척추동물의 건강한 안구에서 발견되는 것보다 더 높은 내인성 레티노이드의 수준을 나타낸다. 아민 유도체 화합물이 투여되면, 내인성 레티노이드에 대한 필요성이 저하되거나 또는 없어진다.
4.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성을 측정하기 위한 생체내 시험관내 방법
한 구현예에서는, 망막 뉴런 세포 생존 및 RPE 세포 생존을 포함하는 망막 세포 생존을 증강 또는 연장시키기 위해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을 이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원에서는,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을 이용하여, 망막 뉴런 세포 (예를 들어, 광수용체 세포, 무축삭 세포, 수평 세포, 이극성 세포, 및 신경절 세포) 및 기타 성숙 망막 세포 예컨대 망막 색소 상피 세포 및 뮬러 아교 세포를 포함하는 망막 세포의 변성을 억제 또는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특정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투여를 포함한다. 이러한 화합물은 광수용체 세포 생존 및 망막 색소 상피 생존을 포함하는 망막 세포 생존을 증강시키고, 망막 세포의 변성을 억제 또는 저속화시켜, 망막 세포 생존성을 증가시키는 것에 유용하며, 본원에 기술된, 안과 질환 또는 장애 또는 망막 손상의 진행을 저속화 또는 중지시킬 수 있다.
망막 세포 생존 (및/또는 망막 세포 변성)에 대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효과는 세포 배양 모델,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고, 본원에 기술되고 당업자에게 수행되는 기타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방법 및 검정에는 비제한적으로 Oglivie 등, Exp. Neurol. 161:675-856 (2000); 미국 특허 번호 6,406,840; WO 01/81551; WO 98/12303; 미국 특허 출원 번호 2002/0009713; WO 00/40699; 미국 특허 번호 6,117,675; 미국 특허 번호 5,736,516; WO 99/29279; WO 01/83714; WO 01/42784; 미국 특허 번호 6,183,735; 미국 특허 번호 6,090,624; WO 01/09327; 미국 특허 번호 5,641,750;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2004/0147019; 및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2005/0059148 에 기술된 것들이 포함된다.
안과 질환 또는 장애 (망막 질환 또는 장애를 포함)를 치료하는데 유용할 수 있는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은 시각 주기 (또한 본원 및 당업계에서 레티노이드 주기로 칭함)에서 하나 이상의 단계를 억제, 차단, 또는 일부 방식으로 방해할 수 있다. 특정 이론에 구애됨 없이, 아민 유도체 화합물은, 예를 들어 시각 주기 트랜스-시스 이성화효소의 관능적 활성을 억제 또는 차단함으로써 시각 주기에서의 이성질체화 단계를 억제 또는 차단할 수 있다. 본원 기술된 화합물은 모든-트랜스-레티놀의 11-시스-레티놀로의 이성질체화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망막 세포에서의 하나 이상의 이성화효소에 결합, 또는 일부 방식으로 이와 반응하고, 이성화효소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 중 임의 하나는 또한, 시각 주기에 관여하는 이성화효소의 활성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억제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기질 (비제한적으로, 모든-트랜스-레티닐 에스테르 기질 또는 모든-트랜스-레티놀을 포함)에 이성화효소가 결합하는 능력을 차단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화합물은 이성화효소의 촉매 부위 또는 영역에 결합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기질의 이성질체화에 대해 촉매 작용하는 효소의 능력을 억제할 수 있다. 현재까지의 과학적 데이터를 근간으로, 시각 주기 동안 기질의 이성질체화에 대해 촉매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이성화효소가 RPE 세포의 세포질에 위치한다고 여겨진다. 본원에서 토의된 바와 같이, 시각 주기의 각각의 단계, 효소, 기질, 중간체 및 생성물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RPE 세포에서 결합된 멤브레인 및 세포질에서 발견된, RPE65로 지칭되는 폴리펩티드가 이성화효소 활성을 갖는 (및 아이소메로하이드롤라아제 활성을 갖는 것으로서 당업계에서 또한 지칭됨) 것으로 가정되지만 (예를 들어 Moiseyev 등, Proc . Natl . Acad . Sci . USA 102:12413-18 (2004); Chen 등, Invest . Ophthalmol . Vis . Sci . 47:1177-84 (2006) 참조), 다른 당업자들은 RPE65가 모든-트랜스-레티날 에스테르에 대한 샤프롱으로서 주로 작용한다고 여긴다 (예를 들어 상기 Lamb 등 참조).
본원에 예시적 방법이 기술되며,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 중 임의의 하나의 존재 하에 시각 주기 이성화효소의 효소적 활성의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당업자에 의해 수행된다. 이성화효소 활성을 감소시키는 화합물은 안과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성화효소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샘플을 본원에 기술된 아민 유도체 화합물과 접촉 (즉, 화합물 및 이성화효소가 상호작용하도록 혼합, 조합 또는 일부 면에서 허용)시킨 후, 이성화효소의 효소적 활성 수준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성화효소 활성도의 억제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당업자는, 대조군으로서, 이성화효소의 효소적 활성을 변화시키지 않는 것으로 알려진 화합물의 존재 하 또는 화합물의 부재 하에서의 이성화효소 활성 수준을 측정하여,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의 활성 수준과 비교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화합물의 부재 하에서의 이성화효소 활성 수준과 비교시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의 이성화효소 활성 수준의 감소는 화합물이 안과 질환 또는 장애, 예컨대 노인성 황반 변성 또는 스타가르트 질환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화합물의 부재 하에서의 이성화효소 활성 수준과 비교시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의 이성화효소 활성 수준의 감소는 화합물이 또한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서 암순응의 억제 또는 방지, 신생혈관증식의 억제 및 저산소증의 저하를 위해 유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안과 질환 또는 장애, 예를 들어, 당뇨 망막병증, 당뇨 황반병증, 망막 혈관 폐쇄, 미숙 망막병증 또는 허혈 재관류 관련 망막 손상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로돕신의 재생의 억제에 의해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암순응을 억제 또는 방지하는, 본원에 기술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능력은 시험관내 검정 및/또는 생체내 동물 모델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예로서, 재생의 억제는 당뇨병-형 상태가 화학적으로 유도된 마우스 모델 또는 당뇨병 마우스 모델에서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hipps 등, Invest. Ophthalmol. Vis. Sci. 47:3187-94 (2006); Ramsey 등, Invest. Ophthalmol. Vis. Sci. 47:5116-24 (2006) 참조). 로돕신의 수준 (제 1 수준)은 작용제의 투여 전에 동물의 망막에서 (예를 들어, 분광학적으로) 측정될 수 있고, 작용제의 투여 이후의 동물의 망막에서 측정된 로돕신의 수준 (제 2 수준)과 비교된다. 로돕신의 제 1 수준과 비교시 로돕신의 제 2 수준의 감소는 제제가 로돕신의 재생을 억제함을 시사한다. 로돕신의 재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또는 생물학적으로 유의한 방식으로 억제되는지의 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적절한 대조군 및 연구 계획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되고 수행될 수 있다.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에서 막대 광수용체 세포 내 로돕신 재생 및 암순응에 대한,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 중 임의의 하나의 효과를 측정 또는 분석하기 위한 방법 및 기술은 본원에 기술되고 당업계에서 수행되는 절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흑에서의 시간 대 빛에 대한 노출 (즉, 광표백) 후 시각 자극의 검출은 화합물의 제 1 용량의 투여 이전 및 제 1 용량 및/또는 임의의 후속 용량 이후의 시점에 측정될 수 있다. 막대 광수용체 세포에 의한 암순응의 방지 또는 억제를 측정하기 위한 제 2의 방법은 하나 이상의, 적어도 둘, 적어도 셋 이상의 망막전도 성분의 진폭의 측정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a-파 및 b-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Lamb 등; Asi 등, Documenta Ophthalmologica 79:125-39 (1992)를 참조한다.
본원에 기술된 아민 유도체 화합물에 의한 로돕신의 재생의 억제는 RPE 세포에서 생성되어 존재하는 발색단, 11-시스-레티날의 수준을 저하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결과적으로 광수용체 세포에 존재하는 11-시스-레티날의 수준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막대 광수용체 세포에서 로돕신의 재생을 억제하고,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암순응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시간에서 및 적절한 조건 하에서 화합물이 망막과 접촉될 경우, 막대 광수용체 세포에서 11-시스-레티날의 수준이 저하된다 (즉, 통계적으로 유의한 또는 생물학적으로 유의한 감소). 즉, 화합물의 투여 이전의 막대 광수용체 세포 내 11-시스 레티날의 수준은, 화합물의 제 1 및/또는 임의의 후속 투여 이후의 광수용체 세포 내 11-시스-레티날의 수준과 비교시, 더 크다. 11-시스-레티날의 제 1 수준은 화합물의 투여 이전 측정될 수 있고, 11-시스-레티날의 제 2 수준은 제 1 용량 또는 임의의 후속 용량의 투여 이후 측정되어, 화합물의 효과가 모니터링될 수 있다. 제 1 수준과 비교시 제 2 수준의 감소는 화합물이 로돕신의 재생을 억제하고, 이에 따라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암순응을 억제 또는 방지함을 시사한다.
망막 저산소증을 저하시키는 아민 화합물의 능력을 측정 또는 분석하기 위한 예시적 방법은, 예를 들어, 자기 공명 영상 (MRI)에 의해 산소압의 변화를 측정하여, 망막 산소화의 수준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Luan 등, Invest. Ophthalmol. Vis. Sci. 47:320-28 (2006) 참조). 망막 세포의 재생을 억제하기 위한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의 능력을 측정 또는 분석하기 위한 방법이 또한 활용가능하고 당업계에서 일상적으로 실행된다 (예를 들어 Wenzel 등, Prog . Retin . Eye Res. 24:275-306 (2005) 참조).
동물 모델을 사용하여, 망막 질환 및 장애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을 분석 및 확인할 수 있다. 최근 개발된 동물 모델은 황반 변성에 대한 치료의 평가에 유용할 수 있고, Ambati 등 (Nat. Med. 9:1390-97 (2003); Epub 2003 Oct 19)에 기재되어 있다. 이 동물 모델은, 망막 질환 또는 장애의 진행 또는 발병을 치료 (방지 포함)하는데 사용되는 화합물 또는 임의의 분자의 평가에 현재 사용가능한 오직 소수의 예시적 동물 모델 중 하나이다. ATP-결합 카세트 전달체를 인코딩하는 ABCR 유전자가 광수용체 외부 분절 디스크의 가장자리 부근에 위치하는 동물 모델이 화합물의 효과 평가에 사용될 수 있다. ABCR 유전자에서의 돌연변이는 스타가르트 질환과 관련되며, ABCR에서의 이형접합체 돌연변이는 AMD 와 관련된다. 따라서, ABCR 기능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손실된 동물이 생성되었고, 본원에 기술된 아민 화합물의 분석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ata 등, Invest. Ophthalmol. Sci. 42:1685-90 (2001); Weng 등, Cell 98:13-23 (1999); Mata 등, Proc. Natl. Acad. Sci. USA 97:7154-49 (2000); US 2003/0032078; 미국 특허 번호 6,713,300 참조). 기타 동물 모델에는, 리포푸신 축적, 전기생리, 및 광수용체 변성, 또는 이의 방지 또는 억제를 측정하기 위한 돌연변이 ELOVL4 유전자이식 마우스의 사용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Karan 등, Proc. Natl . Acad . Sci . USA 102:4164-69 (2005) 참조).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 중 임의의 하나의 효과는 당뇨 망막병증 동물 모델 (예컨대 Luan 등에 기술됨)로 측정될 수 있거나, 또는 동물이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 중 임의의 하나의 존재 및 부재 하에서 명순응 또는 암순응되는 정상 동물 모델에서 측정될 수 있다. 망막 저산소증을 저하시키는 작용제의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또 다른 예시적 방법은 하이드록시프로브의 침착에 의한 망막 저산소증을 측정한다 (예를 들어, de Gooyer 등 (Invest. Ophthalmol. Vis. Sci. 47:5553-60 (2006) 참조). 이 기술은, 본원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하나 이상의 화합물의 존재 및 부재 하에서 동물의 군(들)에 투여되는 Rho-/Rho- 녹아웃 (knockout) 마우스 (상기 de Gooyer 등, 참조)를 이용하는 동물 모델에서 수행될 수 있고, 또는 본원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하나 이상의 화합물의 존재 및 부재 하에서 동물의 군(들)에 투여되는 정상, 야생형 동물에서 수행될 수 있다. 기타 동물 모델은, 망막 전기 측정 (ERG) 진동 전위를 측정하는 랫트 모델과 같은 광수용체 기능 측정용 모델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Liu 등, Invest. Ophthalmol. Vis. Sci. 47:5447-52 (2006); Akula 등, Invest. Ophthalmol. Vis. Sci. 48:4351-59 (2007); Liu 등, Invest. Ophthalmol. Vis. Sci. 47:2639-47 (2006); Dembinska 등, Invest. Ophthalmol. Vis. Sci. 43:2481-90 (2002); Penn 등, Invest. Ophthalmol. Vis. Sci. 35:3429-35 (1994); Hancock 등, Invest. Ophthalmol. Vis. Sci. 45:1002-1008 (2004) 참조).
이성화효소 활성에 대한 화합물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은, 본원 및 당업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시험관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Stecher 등, J. Biol . Chem. 274:8577-85 (1999); 또한 Golczak 등, Proc . Natl . Acad . Sci . USA 102:8162-67 (2005) 참조). 동물 (예컨대 소, 돼지, 인간)에서 단리된 망막 색소 상피 (RPE) 마이크로좀 멤브레인은 이성화효소의 공급원으로서 역할할 수 있다. 이성화효소를 억제하는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능력은 또한 생체내 생쥐 이성화효소 검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강렬한 빛에 대한 눈의 단시간 노출 (시색소의 "광표백" 또는 단순히 "표백")은 망막 내 거의 모든 11-시스-레티날을 광-이성질체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표백 후 11-시스-레티날의 회수는 생체내 이성화쇼소의 활성을 추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aeda 등, J. Neurochem. 85:944-956 (2003); Van Hooser 등, J. Biol . Chem . 277:19173-82, 2002 참조). 망막전위도 (ERG) 기록이 또한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Haeseleer 등, Nat . Neurosci . 7:1079-87 (2004); Sugitomo 등, J. Toxicol . Sci. 22 Suppl 2:315-25 (1997); Keating 등, Documenta Ophthalmologica 100:77-92 (2000)). 또한, [Deigner 등, Science, 244: 968-971 (1989); Gollapalli 등, Biochim . Biophys . Acta 1651: 93-101 (2003); Parish, 등, Proc . Natl . Acad . Sci. USA 95:14609-13 (1998); Radu 등, Proc Natl Acad Sci USA 101: 5928-33 (2004)]을 참조한다.
세포 배양 방법, 예컨대 본원에 기술된 방법은 또한 망막 뉴런 세포 생존에 대한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의 효과를 측정하는데 유용하다. 예시적 세포 배양 모델이 본원에 기술되며,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US 2005-0059148 및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US2004-0147019 (이는 그 전문이 참고문헌으로 포함됨)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는데, 이는 뉴런 세포, 특히 망막 뉴런 세포, 및 망막 색소 상피 세포의 생존을 증강 또는 연장시키고, 안구 또는 망막 또는 이의 망막 세포 또는 RPE의 변성을 억제, 방지, 저속솨 또는 지연시키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능력을 측정하는데 유용하며, 이 화합물은 안과 질환 및 장애의 치료에 유용하다.
세포 배양 모델은 망막 뉴런 세포 (예를 들어, 광수용체 세포, 무축삭 세포, 신경절 세포, 수평 세포 및 이극성 세포)를 포함하는 성숙 망막 세포의 장기간 또는 연장된 배양을 포함한다. 세포 배양 시스템, 및 세포 배양 시스템의 제조를 위한 방법은 광수용체 세포의 연장된 배양을 제공한다. 세포 배양 시스템은 또한 망막 색소 상피 (RPE) 세포 및 뮬러 아교 세포를 포함할 수 있다.
망막 세포 배양 시스템은 또한 세포 스트레스인자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레스인자의 적용 또는 존재는 망막 뉴런 세포를 포함하는 성숙 망막 세포에, 시험관내에서, 망막 질환 또는 장애에서 관찰되는 질환 병리학의 연구에 유용한 방식으로, 영향을 준다. 세포 배양 모델은, 일반적으로 신경계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적합하고, 특히, 안구 및 뇌의 퇴행 질환의 치료에 적합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확인 및 생물학적 시험에 유용할 시험관내 뉴런 세포 배양 시스템을 제공한다. 망막 뉴런을 포함하는 성숙 망막 조직으로부터의 1차, 시험관내-배양된 세포를 스트레스인자의 존재 하에서 연장된 기간에 걸쳐 유지시키는 능력은 세포-대-세포 상호작용의 시험, 신경활성 화합물 및 물질의 선별 및 분석, 안과 시험 및 시험관내 CNS를 위한 제어되는 세포 배양 시스템의 용도, 및 일관된 망막 세포 모집단으로부터의 단일 세포에 대한 효과의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세포 배양 시스템 및 망막 세포 스트레스 모델은 배양된 성숙 망막 세포, 망막 뉴런 및 망막 세포 스트레스인자를 포함하고, 이는 질환에 의해 손상된 CNS 조직의 재생을 유도 또는 자극할 수 있는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스크리닝 및 분석에 사용될 수 있다. 세포 배양 시스템은 성숙 망막 뉴런 세포 및 비-뉴런 망막 세포의 혼합물인 성숙 망막 세포 배양액을 제공한다. 세포 배양 시스템은 모든 주요 망막 뉴런 세포 유형 (광수용체, 이극성 세포, 수평 세포, 무축삭 세포 및 신경절 세포)을 포함하고, 또한 기타 성숙 망막 세포 예컨대 RPE 및 뮬러 아교 세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이한 유형의 세포를 시험관내 배양 시스템에 혼입시킴으로써, 시스템은 망막의 천연 생체내 상태에 더 유사한 "인공 장기"를 본질적으로 닮는다.
망막 조직으로부터 단리 (수확)되어 조직 배양을 위해 플레이팅된 성숙 망막 세포 유형 중 하나 이상의 생존성은 연장된 기간 동안, 예를 들어, 2주 내지 6개월 동안 유지될 수 있다. 망막 세포의 생존성은 본원에 기술되며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뉴런 세포와 유사한 망막 뉴런 세포는 생체내에서 세포를 활발하게 분할시키지 않으므로, 망막 뉴런 세포의 세포 분열이 반드시 생존성의 지표가 되지는 않는다. 세포 배양 시스템의 장점은 연장된 기간 동안 무축삭 세포, 광수용체, 및 관련된 신경절 투사 뉴런 및 기타 성숙 망막 세포를 배양시킴으로써, 망막 질환의 치료를 위한 본원에 기술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유효성을 측정할 기회를 제공하는 능력이다.
망막 세포 또는 망막 조직의 생물학적 공급원은 포유류 (예를 들어, 인간, 비-인간 영장류, 유제동물, 설치류, 개, 돼지, 소 또는 기타 포유류 공급원), 조류 또는 기타 속(屬)일 수 있다. 출산후 비-인간 영장류, 출산후 돼지 또는 출산후 닭으로부터의 망막 뉴런을 포함하는 망막 세포가 사용될 수 있지만, 임의의 성인 또는 출산후 망막 조직이 상기 망막 세포 배양 시스템에서의 용도에 적절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세포 배양 시스템은 비-망막 조직으로부터 유래 또는 단리 또는 정제된 세포의 산입 (inclusion) 없이, 망막 세포의 건강한 장기 생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세포 배양 시스템은 오직 안구의 망막으로부터 단리된 세포를 포함하며, 따라서, 실질적으로 망막과 별도의 안구의 기타 부분 또는 부위, 예컨대 섬모체, 홍채, 맥락막 및 유리체로부터의 세포 유형을 포함하지 않는다. 기타 세포 배양 방법은 비-망막 세포, 예컨대 섬모체 세포 및/또는 줄기 세포 (이는 망막 줄기 세포이거나 또는 아닐 수 있음) 및/또는 추가적 정제 아교 세포의 첨가를 포함한다.
본원에 기술된 시험관내 망막 세포 배양 시스템은 망막의 생리학적 면의 분석에 사용될 수 있는 생리학적 망막 모델로서 역할할 수 있다. 이 생리학적 망막 모델은 또한 더 넓고 일반적인 신경생물학 모델로서 사용될 수 있다. 세포 스트레스인자가 모델 세포 배양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망막 세포 스트레스인자인 세포 스트레스인자는 세포 배양 시스템 내에서 망막 뉴런 세포의 유형을 포함하는 여러 망막 세포 유형 중 하나 이상의 생존성을 저하시키거나 또는 생존성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감소된 생존성을 나타내는 망막 세포는, 적절한 대조군 세포 시스템 (예를 들어, 세포 스트레스인자의 부재 하에서의 본원에 기술된 세포 배양 시스템) 내에서 배양된 망막 세포와 비교시, 망막 세포가 세포 배양 시스템에서 생존하는 시간의 길이가 줄거나 또는 감소되고 (감소된 존속기간) 및/또는 망막 세포가 생물학적 또는 생화학적 기능의 감소, 억제 또는 부작용 (예를 들어, 감소된 또는 비정상 대사; 세포자멸사의 개시; 등)을 나타냄을 의미한다는 것을 당업자는 쉽게 이해하고 인정할 것이다. 망막 세포의 감소된 생존성은 세포사; 세포 구조 또는 형태의 변화 또는 변경; 세포자멸사의 유도 및/또는 진행; 망막 뉴런 세포 신경변성 (또는 뉴런 세포 손상)의 개시, 증강 및/또는 가속화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다.
세포 생존성의 측정 방법 및 기술은 본원에 상세히 기술되며, 이는 당업자에게 친숙한 것이다. 이러한 세포 생존성 측정 방법 및 기술은 세포 배양 시스템 내 망막 세포의 상태 및 건강을 모니터링하고, 망막 세포 또는 망막 색소 상피 세포 생존성 또는 망막 세포 생존을 변경 (바람직하게는 증가, 연장, 증강, 개선)시키는 본원에 기술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세포 배양 시스템에 대한 세포 스트레스인자의 첨가는 스트레스인자의 효과를 폐지, 억제, 제거, 약화시키는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능력의 측정에 유용하다. 망막 세포 배양 시스템은 세포 스트레스인자, 즉 화학적 세포 스트레스인자 (예를 들어, A2E, 담배 연기 농축물); 생물학적 세포 스트레스인자 (예를 들어, 독소 노출; 베타-아밀로이드; 리포폴리사카라이드); 또는 비-화학적, 예컨대 물리적 스트레스인자, 환경적 스트레스인자 또는 기계적 힘 (예를 들어, 증가된 압력 또는 빛 노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S 2005-0059148 참조).
망막 세포 스트레스인자 모델 시스템은 또한 세포 스트레스인자 예컨대, 그러나 비제한적으로, 질환 또는 장애에서 위험 인자일 수 있고 또는 질환 또는 장애의 발병 또는 진행에 기여할 수 있는 스트레스 인자 (비제한적으로 하기를 포함함: 다양한 파장 및 강도의 빛; A2E; 담배 연기 농축물 노출; 산화적 스트레스 (예를 들어, 과산화 수소, 니트로프루스사이드, Zn++ 또는 Fe++에 대한 노출 또는 이의 존재와 관련된 스트레스); 가압 (예를 들어, 대기압 또는 정수압), 글루타메이트 또는 글루타메이트 아고니스트 (예를 들어, N-메틸-D-아스파르테이트 (NMDA); 알파-아미노-3-하이드록시-5-메틸이소옥사졸-4-프로피오네이트 (AMPA); 카인산; 퀴스쿠알산; 이보텐산; 퀴놀린산; 아스파르테이트; 트랜스-1-아미노시클로펜틸-1,3-디카르복실레이트 (ACPD)); 아미노산 (예를 들어, 아스파르테이트, L-시스테인; 베타-N-메틸아민-L-알라닌); 중금속 (예컨대 납); 다양한 독소 (예를 들어, 미토콘드리아 독소 (예를 들어, 말로네이트, 3-니트로프로프리온산; 로테논, 시아나이드); MPTP (1-메틸-4-페닐-1,2,3,6,-테트라하이드로피리딘), 이는 이의 활성, 독성 대사물 MPP+(1-메틸-4-페닐프리딘))으로 신진대사됨; 6-하이드록시도파민; 알파-시누클레인; 단백질 키나아제 C 활성화제 (예를 들어, 포르볼 미리스테이트 아세테이트); 생체 아미노 자극제 (예를 들어, 메트암페타민, MDMA (3-4 메틸렌디옥시메트암페타민)); 또는 하나 이상의 스트레스인자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유용한 망막 세포 스트레스인자는 본원에 기술된 성숙 망막 세포 중 임의의 하나 이상에 영향을 주는 신경변성 질환을 모방하는 것들을 포함한다. 만성적 질환 모델이 특히 중요한데, 이는 대부분의 신경변성 질환이 만성적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험관내 세포 배양 시스템의 이용을 통해, 장기간 질환 발병 과정에서의 최초 사건이 확인될 수 있는데, 이는 세포성 분석을 위한 기간의 연장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망막 세포 스트레스인자는, 예를 들어, 망막 뉴런 세포 및 RPE 세포를 포함하는 망막 세포의 생존을 변경시킴으로서, 또는 망막 뉴런 세포 및/또는 RPE 세포의 신경변성을 변경시킴으로써, 망막 세포의 생존성을 변경 (즉, 통계적으로 유의한 방식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망막 뉴런 세포 또는 RPE 세포의 생존이 감소 또는 악영항을 받거나 (즉, 세포가 생존가능한 시간의 길이가 스트레스인자의 존재 하에서 감소됨) 또는 세포의 신경변성 (또는 뉴런 세포 손상)이 증가되거나 또는 증강되도록 망막 세포 스트레스인자가 망막 뉴런 세포 또는 RPE 세포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 스트레스인자는 망막 세포 배양 내에서 오직 하나의 망막 세포 유형에 영항을 줄 수 있거나, 또는 스트레스인자가 둘, 셋, 넷 이상의 상이한 세포 유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레스인자는 광수용체 세포의 생존 및 생존성을 변경시킬 수 있지만, 모든 기타 주요 세포 유형 (예를 들어, 신경절 세포, 무축삭 세포, 수평 세포, 이극성 세포, RPE 및 뮬러 아교세포)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다. 스트레스인자는 망막 세포의 생존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생체내 또는 시험관내), 망막 세포의 신경 변성의 신속성 및 정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또는 일부 다른 면으로는 망막 세포의 생존성, 형태, 성숙도 또는 존속기간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세포 배양 시스템에서 망막 세포의 생존성에 대한 세포 스트레스인자의 효과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존재 및 부재 하)는 상이한 망막 세포 유형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측정될 수 있다. 세포 생존성의 측정은 망막 세포 배양액이 제조된 후 특정 시점에서 또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속적으로 간격을 두어 망막 세포의 기능 및/또는 구조를 평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상이한 망막 세포 유형 또는 하나 이상의 상이한 망막 뉴런 세포 유형의 장기 생존 또는 생존성은, 형태학적 또는 구조적 변경이 관찰되기에 앞서, 저하된 생존성, 예컨대 세포자멸사 또는 대사 기능의 감소의 지표인 하나 이상의 생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매개변수에 따라 시험될 수 있다.
화학적, 생물학적 또는 물리적 세포 스트레스인자는, 장기 세포 배양액의 유지를 위한 본원에 기술된 조건 하에서, 세포 배양에 첨가되는 경우 세포 배양 시스템에 존재하는 망막 세포 유형 중 하나 이상의 생존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망막 세포 상에서의 스트레스인자의 효과가 더욱 쉽게 관찰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배양 조건이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포가 특정 세포 스트레스인자에 노출될 경우, 소 태아 혈청의 농도 또는 백분율을 세포 배양액으로부터 줄이거나 또는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S 2005-0059148 참조). 대안적으로는, 세포의 유지를 위해 특정 농도로 혈청을 포함하는 배지 내에서 배양된 망막 세포가 임의 수준의 혈정을 포함하지 않는 배지에 갑자기 노출될 수 있다.
망막 세포 배양액은 세포 스트레스인자에 노출될 수 있고, 이 기간 동안 망막 세포 배양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망막 세포 유형의 생존성의 저하가 측정될 수 있다. 세포는 망막 조직으로부터의 단리 후 망막 세포의 플레이팅시 즉시 세포 스트레스인자에 노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망막 세포 배양액이 확립된 후 또는 이후의 임의의 시점에 스트레스인자에 노출될 수 있다. 둘 이상의 세포 스트레스인자가 망막 세포 배양 시스템에 포함되는 경우, 각 스트레스인자가 세포 배양 시스템에 동시에 동일한 시간 동안 첨가될 수 있고, 또는 별도로 망막 세포 시스템의 배양 동안 상이한 시점에 동일한 시간 동안, 또는 상이한 시간 동안 첨가될 수 있다. 아민 유도체 화합물은 망막 세포 배양액이 세포 스트레스인자에 노출되기 이전 첨가될 수 있고, 세포 스트레스인자와 동시에 첨가될 수 있고, 또는 망막 세포 배양액의 스트레스인자로의 노출 후 첨가될 수 있다.
광수용체는 옵신, 페리페린, 등과 같은 광수용체-특이적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사용하여 확인될 수 있다. 세포 배양액 내 광수용체는 또한 판(pan)-뉴런 마커의 사용에 의해 면역세포화학적으로 표지된 세포의 형태학적 부분집합으로서 확인될 수 있고, 또는 살아 있는 배양액의 증강된 콘트라스트 이미지에서 형태학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 외부 분절은 광수용체에 대한 부착물로서 형태학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광수용체를 포함하는 망막 세포는 또한 기능적 분석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빛에 대한 광수용체의 반응을 측정하기 위해 전기생리학 방법 및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광수용체는 빛에 대해 등급화된 반응으로 특이적 동역학을 나타낸다. 칼슘-민감성 염료는 또한 활성 광수용체를 포함하는 배양액 내에서 빛에 대해 등급화된 반응을 검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스트레스-유도 화합물 또는 전위 신경치료의 분석을 위해, 망막 세포 배양액이 면역세포화학에 대해 가공될 수 있고, 광수용체 및/또는 기타 망막 세포가 수동으로 또는 사진용현미경 및 영상화 기술을 이용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해 계수될 수 있다. 당업계에 공지된 기타 면역검정 (예를 들어, ELISA, 면역블로팅, 흐름세포측정)이 또한 본원에 기술된 세포 배양 모델 시스템의 망막 세포 및 망막 뉴런 세포의 확인 및 분석에 유용할 수 있다.
망막 세포 배양 스트레스 모델은 또한 관심의 생물활성제, 예컨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아민 유도체 화합물에 의한 직접 및 간접적 약리작용제 효과의 둘 다의 확인에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망막 세포 스트레스인자의 존재 하에서 세포 배양 시스템에 첨가되는 생물활성제는 기타 세포 유형의 생존을 증강 또는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하나의 세포 유형을 자극할 수 있다. 세포/세포 상호작용 및 세포/세포외 성분 상호작용은 질환의 메카니즘 및 약물 기능의 이해에서 중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뉴런 세포 유형은 또 다른 뉴런 세포 유형의 생존 또는 성장에 영향을 주는 영양 인자를 분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O 99/29279 참조).
또 다른 구현예에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은 본원에 기술된 망막 세포 배양 스트레스 모델 시스템을 포함하는 스크리닝 검정에 혼입되어, 화합물이 복수의 망막 세포의 생존성을 증가 또는 연장 (즉, 통계적으로 유의한 또는 생물학적으로 유의한 방식으로의 증가)시키는지의 여부 및/또는 그 수준 또는 정도를 측정한다. 당업자는 하기를 쉽게 이해하고 인식할 것이다: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증가된 생존성을 나타내는 망막 세포는, 적당한 대조군 세포 시스템 (예를 들어, 화합물의 부재 하에서의 본원에 기술된 세포 배양 시스템)에서 배양된 망막 세포와 비교시, 망막 세포가 세포 배양 시스템에서 생존하는 시간의 길이가 증가하고 (증가된 존속기간) 및/또는 망막 세포가 생물학적 또는 생화학적 기능 (정상 대사 및 소기관 기능; 세포자멸사의 부족; 등)을 유지함을 의미한다. 망막 세포의 증가된 생존성은 지체되는 세포사 또는 죽은 세포 또는 죽어가는 세포의 수 저하; 구조 및/또는 형태의 유지; 세포자멸사의 개시 지체 또는 결여; 망막 뉴런 세포 신경변성의 지체 억제, 저속화된 진행 및/또는 폐기, 또는 뉴런 세포 손상의 효과의 지체 또는 폐기 또는 방지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망막 세포의 생존성을 측정하고, 이에 따라 망막 세포가 증가된 생존성을 나타내는지의 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기술이 본원에 더욱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며,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는, 아민 유도체 화합물이 광수용체 세포의 생존을 증강시키는지의 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한 방법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망막 세포 배양 시스템과 아민 화합물을, 망막 뉴런 세포 및 화합물이 상호작용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및 조건 하에서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증가된 생존 (연장된 생존)이 본원에 기술되고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 (로돕신의 발현 검출을 포함)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망막 세포 생존성을 증가시키고 및/또는 세포 생존을 증강, 촉진 또는 연장 (즉, 망막 뉴런 세포를 포함하는 망막 세포가 생존가능한 기간을 연장)시키고, 및/또는 본원에 기술된 스트레스의 직접 또는 간접적 결과로서의 변성을 약화, 억제 또는 훼방하는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능력이 당업자에게 공지된 여러 방법 중 임의의 하나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합물의 부재 또는 존재 하에서의 세포 형태의 변화는 시각적 검사, 예컨대 당업계에 공지된 광 현미경검사, 공초점 (confocal) 현미경검사 또는 기타 현미경검사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세포의 생존은 또한, 예를 들어, 생존가능한 세포 및/또는 생존불가능한 세포의 계수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면역화학적 또는 면역조직학적 기술 (예컨대 고정 세포 염색 또는 흐름세포측정)은 세포골격 구조의 확인 및 평가 (예를 들어, 세포골격 단백질, 예컨대 아교세포 원섬유 산성 단백질, 피브로넥틴, 액틴, 비멘틴, 튜불린 등에 특이적인 항체의 사용에 의해) 또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세포 마커의 발현의 평가에 사용될 수 있다. 세포 무결성, 형태 및/또는 생존에 대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효과는 또한 뉴런 세포 폴리펩티드, 예를 들어, 세포골격 폴리펩티드의 인산화반응 상태의 측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harma 등, J. Biol. Chem. 274:9600-06 (1999); Li 등, J. Neurosci. 20:6055-62 (2000) 참조). 세포 생존 또는, 대안적으로는 세포사는 또한 세포자멸사 측정을 위해 당업계에 공지되고 본원에 기술된 방법 (예를 들어, 아넥신 V 결합, DNA 분절 검정, 카스파아제 (caspase) 활성화, 마커 분석, 예를 들어, 폴리(ADP-리보오스) 폴리머라아제 (PARP) 등)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척추동물 안구, 예를 들어, 포유류 안구에서, A2E의 형성은 광-의존성 과정이며, 이의 축적은 안구에서 수많은 부정적 효과를 야기한다. 이는 망막 색소 상피 (RPE) 멤브레인의 불안정화, 청색-빛 손상에 대한 세포의 민감화 및 인지질의 부전분해를 포함한다. 분자 산소 (옥시란)에 의한 A2E (및 A2E 관련 분자)의 산화 생성물은 배양된 RPE 세포에서 DNA 손상을 유도하는 것으로 보여졌다. 이들 인자 모두는 점차적인 시력 감소를 초래하고, 결과적으로 시력 손실을 초래한다. 시력 프로세스 동안 망막 형성의 감소가 가능하면, 이러한 감소는 안구에서 A2E의 양을 감소시킬 것이다. 이론에 구애됨 없이, A2E의 감소된 축적은 RPE 및 망막에서 퇴행 과정을 감소 또는 지체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건성 AMD 및 스타가르트 질환에서 시력 손실을 저속화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신경변성 망막 질환 및 안과 질환, 및 망막 질환 및 장애를 포함하는 퇴행 질환 및 장애를 치료 및/또는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치료가 필요한 대상은, 퇴행 망막 질환의 진행된 증상을 갖거나 또는 퇴행 망막 질환의 진행의 위험이 있는 인간 또는 비-인간 영장류 또는 기타 동물일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아민 유도체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학식 (I) 의 구조 및 이의 하위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대상에 투여함으로써 안과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 (이는 방지 또는 예방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아민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본원에 기술된 약학 조성물을 투여함으로써 뉴런 세포 예컨대 광수용체 세포를 포함하는 망막 뉴런 세포의 생존을 증강시키고, 및/또는 망막 뉴런 세포의 변성을 억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의 하나 이상의 망막 세포 유형의 증강된 생존 (또는 연장된 또는 확대된 생존)은, 화합물이 퇴행 질환, 특히 망막 질환 또는 장애 (신경변성 망막 질환 또는 장애 포함)의 치료용으로 효과적인 작용제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세포 생존 및 증강된 세포 생존은, 생존성 검정 및 망막 세포 마커 단백질의 발현 검출용 검정을 포함하는 당업계에 공지되고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광수용체 세포의 증강된 생존의 측정을 위해, 예를 들어, 막대에 의해 발현되는 단백질 로돕신을 포함하는 옵신을 검출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대상은 스타가르트 질환 또는 스타르가르트 황반 변성에 대해 치료된다. ABCA4 (또한 ABCR이라 칭함) 전달체에서의 돌연변이와 관련된 스타가르트 질환에서는, 모든-트랜스-레티날의 축적이 망막 세포에 대하여 독성인 리포푸신 색소, A2E의 형성에 기여하고, 망막 변성을 일으켜, 시력 손실을 야기한다고 제안되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대상은 노인성 황반 변성 (AMD)에 대하여 치료된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AMD는 습성 또는 건성 형태일 수 있다. AMD에서, 시력 손실은 상기 질환에서 만기 합병증이 신규 혈관을 황반 또는 황반 위축 하에서 성장시킬 경우 우선적으로 발생한다. 어떠한 특정 이론에도 구애됨 없이, 모든-트랜스-레티날의 축적은, RPE 및 망막 세포에 대하여 독성이며, 망막 변성을 일으켜, 시력 손실을 야기하는 리포푸신 색소, N-레티닐리덴-N-레티닐에탄올아민 (A2E) 및 A2E 관련 분자의 형성에 기여한다고 제안되어 왔다.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 및 방법이 증상의 치료, 고침, 방지, 약화에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진행의 저속화, 억제 또는 정지에 사용될 수 있는 신경변성 망막 질환 또는 장애는, 시각 결함의 원인인, 망막 뉴런 세포 손실로 특징지어지거나 또는 이를 야기하는 질환 또는 장애이다. 이러한 질환 또는 장애는 비제한적으로 노인성 황반 변성 (황반 변성의 건성-형태 및 습성-형태 포함) 및 스타가르트 황반 이양증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노인성 황반 변성은 황반 (망막의 중앙 부위)에 영향을 주는 장애이며, 중심 시력의 손실 및 감퇴를 야기한다. 노인성 황반 변성은 전형적으로 55세를 넘는 개인에서 나타난다. 노인성 황반 변성의 병인론은 환경적 영향 및 유전 요소의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yengar 등, Am. J. Hum. Genet. 74:20-39 (2004) (Epub 2003 December 19); Kenealy 등, Mol. Vis. 10:57-61 (2004); Gorin 등, Mol. Vis. 5:29 (1999) 참조). 보다 드물게는, 황반 변성이 어린이 및 유아를 포함하는 젊은 개인에서 발생되는데, 이 장애는 일반적으로 유전 돌연변이로부터 야기된다. 소아 황반 변성의 유형은 스타가르트 질환 (예를 들어, Glazer 등, Ophthalmol. Clin. North Am. 15:93-100, viii (2002); Weng 등, Cell 98:13-23 (1999) 참조); 도인 (Doyne) 벌집 망막 이영양증 (예를 들어, Kermani 등, Hum. Genet. 104:77-82 (1999) 참조); 소르비 안저 이상증, 말라티아 레빈티네즈 (Malattia Levintinese), 노란점안저 및 보통염색체 우성 출혈 황반 퇴행위축 (또한 Seddon 등, Ophthalmology 108:2060-67 (2001); Yates 등, J. Med. Genet. 37:83-7 (2000); Jaakson 등, Hum. Mutat. 22:395-403 (2003) 참조)을 포함한다. RPE의 지도형 위축은 비-신생혈관 건성-유형 노인성 황반 변성의 진행된 형태이며, 맥락막모세혈관층, RPE, 및 망막의 위축증과 연관된다.
스타르가르트 황반 변성 (열성 유전된 질환)은 어린이의 유전된 맹 (blinding) 질환이다. 스타가르트 질환에서 1차적 병적 결손이 또한 망막 색소 상피 (RPE)의 세포 내 독성 리포푸신 색소 예컨대 A2E의 축적이다. 이 축적은 스타르가르트 환자에서 발견되는 광수용체 사멸 및 심각한 시각 상실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은 시각 주기에서 이성화효소를 억제함으로써 11-시스-레틴알데히드 (11cRAL 또는 망막)의 합성 및 로돕신의 재생을 저속화시킬 수 있다. 로돕신의 광 활성화는 이의 모든-트랜스-레티날의 방출을 초래하는데, 이는 A2E 생합성에서 제 1 반응물을 구성하는 것이다. 아민 유도체 화합물을 이용한 치료는 리포푸신 축적을 억제하여, 스타르가르트 및 AMD 환자에서 시각 상실의 발생을 지체시킬 수 있으며, 이는 아민 유도체 화합물을 이용한 치료를 배제시킬 독성 효과를 갖지 않는다.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은 리포푸신 축적과 연관된 망막 또는 황반 변성의 기타 형태의 효과적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대상으로의 투여는, 리포푸신 색소, A2E (및 A2E 관련 분자) (이는 망막 세포에 대하여 독성을 가지며 망막 변성을 야기함)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투여는 폐생성물, 예를 들어, 리포푸신 색소, A2E (및 A2E 관련 분자)의 생성을 줄이고, AMD (예를 들어, 건성-형태) 및 스타가르트 질환의 진행을 개선하고, 시력 손실 (예를 들어, 맥락막 신생혈관증식 및/또는 맥락망막 위축증)을 저하 또는 저속화시킬 수 있다. 이전의 연구에서는, 13-시스-레티노산 (Accutane
Figure pat00128
또는 이소트레티노인 (Isotretinoin))과, 여드름 치료에 통상 사용되는 약물 및 11-시스-레티놀 탈수소효소 억제제가 환자에게 투여되어 RPE에서 A2E 축적을 방지했다. 그러나, 상기 제안된 치료의 주요 단점은 13-시스-레티노산이 모든-트랜스-레티노산으로 쉽게 이성질체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모든-트랜스-레티노산은 매우 잠재적인 기형유발 화합물로서, 세포 증식 및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 레티노산은 또한 간에서 축적되어, 간 질환의 기여 요인일 수 있다.
기타 구현예에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은 대상, 예컨대 안구 내 ABCA4 전달체에 돌연변이를 갖는 인간에게 투여된다. 아민 유도체 화합물은 또한 노화 대상에게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 노화 인간 대상은 전형적으로 45세 이상 또는 50세 이상 또는 60세 이상 또는 65세 이상이다. ABCA4 전달체에서의 돌연변이와 관련되는 스타가르트 질환에서, 모든-트랜스-레티날의 축적은, 망막 세포에 대하여 독성을 가지며 망막 변성을 야기하여 시력을 손실시키는 리포푸신 색소, A2E (및 A2E 관련 분자)의 형성에 기여한다고 제안되어 왔다. 이론에 구애됨 없이, 본원에 기술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은 시각 주기에 관여되는 이성화효소의 강력한 억제제일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아민 유도체 화합물을 이용한 환자의 치료는 A2E (및 A2E 관련 분자)의 형성을 방지 또는 저속화시킬 수 있고, 정상 시력을 보호하는 성질을 가질 수 있다.
기타 특정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은 기타 안과 질환 또는 장애, 예를 들어, 녹내장, 망막 박리, 출혈 망막병증, 색소성 망막염, 염증성 망막 질환, 증식 유리체망막병증, 망막 이영양증, 선천성 시각 신경병증, 소르비 안저 이상증, 포도막염, 망막 손상, 눈 신경병증, 기타 신경변성 질환 예컨대 알츠하이머 질환, 다발성 경화증, 파킨슨 질환 또는 뇌세포에 영향을 주는 기타 신경변성 질환, 바이러스성 감염 관련 망막 장애 또는 AIDS와 같은 기타 상태 관련 망막 장애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망막 장애는 또한 하기와 같은 증가된 빛 노출 (즉, 빛에 대한 과다노출)에 관련되는, 망막에 대한 빛 손상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수술 중 사고성 (accidental)의 강하거나 또는 강렬한 빛 노출; 강하거나, 강렬하거나 또는 장기간의 태양광 노출, 예컨대 사막 또는 눈 덮인 지대에서; 전쟁 도중, 예를 들어, 레이저 장치 등으로부터의 또는 폭발 또는 플레어 관찰 시. 망막 질환은 퇴행 또는 비-퇴행 성질을 가질 수 있다. 퇴행 망막 질환의 비제한적 예는 노인성 황반 변성 및 스타가르트 황반 이양증을 포함한다. 비-퇴행 망막 질환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출혈 망막병증, 색소성 망막염, 시각 신경병증, 염증성 망막 질환, 당뇨 망막병증, 당뇨 황반병증, 망막 혈관 폐쇄, 미숙 망막병증 또는 허혈 재관류 관련 망막 손상, 증식 유리체망막병증, 망막 이영양증, 선천성 시각 신경병증, 소르비 안저 이상증, 포도막염, 망막 손상, 알츠하이머 질환 관련 망막 장애, 다발성 경화증 관련 망막 장애, 파킨슨 질환 관련 망막 장애, 바이러스성 감염 관련 망막 장애, 광 과다노출 관련 망막 장애 및 AIDS 관련 망막 장애를 포함한다.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은, 비제한적으로 당뇨 망막병증, 당뇨 황반병증, 당뇨 황반 부종, 망막 허혈, 허혈-재관류 관련 망막 손상 및 망막 혈관 폐쇄 (정맥 폐쇄 및 동맥 폐쇄 포함)를 포함하는 특정 안과 질환 및 장애의 증상의 치료, 고침, 방지, 개선을 위해 또는 이의 진행의 저속화, 억제 또는 정지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당뇨 망막병증은 인간에서 실명의 주요 원인이며, 당뇨병의 합병증이다. 당뇨 망막병증은 당뇨병이 망막 내 혈관을 손상시키는 경우 발생한다. 비-증식성 망막병증은 흔하고, 통상, 일반적으로 시각에 지장을 주지 않는 경미한 형태이다. 이상은 망막에만 제한되며, 시각은 황반이 관여되는 경우에만 악화된다. 치료되지 않은 채 방치되는 경우, 망막병증은 당뇨 망막병증의 보다 심각한 형태인 증식성 망막병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증식성 망막병증은 신규 혈관이 망막 내 및 주위로 증식하는 경우 일어난다. 결과적으로, 실명을 야기하는 유리체로의 출혈, 망막의 부기 및/또는 망막 박리가 일어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 및 조성물을 사용하여 치료할 수 있는 기타 안과 질환 및 장애는 망막에서의 허혈에 의해 가속화되거나 또는 야기되거나 또는 이와 연관된 질환, 장애 및 상태를 포함한다. 망막 허혈은 내부 망막 및 외부 망막의 허혈을 포함한다. 망막 허혈은 맥락막 또는 망막 혈관 질환, 예컨대 중심 또는 분지 망막 시력 폐쇄, 콜라겐 혈관 질환 및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에서 일어날 수 있다. 망막 혈관염 및 폐쇄는 일스 질환 및 전신 홍반 루푸스로 나타난다.
망막 허혈은 망막 혈관 폐쇄와 연관될 수 있다. 미국에서는, 분지 및 망막 중심 정맥 폐쇄의 두 가지가 당뇨 망막병증 이후 두 번째로 흔한 망막 혈관 질환이다. 한 안구에 망막 정맥 폐쇄 질환을 갖는 환자의 약 7% 내지 10%가 결국 양측성 질환을 갖는다. 시야 감소는 통상 황반 부종, 허혈 또는 유리체 속발출혈로부터 혈관 내피 성장 인자의 방출에 의해 유도되는 원판 또는 망막 신생혈관증식으로 일어난다.
망막 동정맥 교차 부위 (동맥 및 정맥이 공통의 외막집 (adventitial sheath)을 공유하는 영역)에서의 세동맥경화증은 교차 동맥에 의해 망막 정맥의 벽의 협착을 야기한다. 협착은 혈전 형성 및 이에 후속되는 정맥 폐쇄를 야기한다. 차단된 정맥은, 정맥에 의해 배출되는 영역에서 혈액-망막 차단벽을 파괴하는 속발 출혈 및 황반 부종, 정맥 흐름에서의 와류로 인한 순환 파괴, 내피 손상 및 허혈을 야기할 수 있다. 임상적으로, 허혈 망막의 영역은 면화반이라 불리는 털이 있는 백색 패치로서 나타난다.
심한 허혈을 갖는 분지 망막 정맥 폐쇄는 관련된 망막 사분역의 위치에 해당하는 급성 중심 및 중심주위 시야 감소를 야기한다. 허혈로 인한 망막 신생혈관증식은 유리체 출혈 및 아급성 또는 급성 시력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망막 중심 정맥 폐쇄, 허혈 및 비허혈 중 두 유형이 일반적 망막 허혈이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의존하여 일어날 수 있다. 비허혈 유형에서 조차, 황반은 여전히 허혈일 수 있다. 대략 25%의 망막 중심 정맥 폐쇄가 허혈이다. 망막 중심 정맥 폐쇄의 진단은 통상, 모든 사분역에서의 망막 출혈, 확장 및 사행 정맥, 및 면화반을 포함하는 특징적 검안경 발견을 근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황반 부종 및 중심와 허혈은 시력 손실을 일으킬 수 있다. 세포외 유체는 간질 압력을 증가시키고, 망막 모세관 닫힘 (즉, 반점형 허혈 망막 백화) 또는 모양체망막 동맥의 폐쇄의 영역을 야기할 수 있다.
허혈 망막 중심 정맥 폐쇄를 갖는 환자는 갑작스런 시력 손실을 갖기가 더욱 쉽고, 20/200 미만의 시력, (반대편 눈의) 구심성 동공 이상, 풍부한 망막내 출혈, 및 형광안저조영술 상에서의 광범위 비관류를 갖는다. 허혈 망막 중심 정맥 폐쇄의 자연적 이력은 불량한 결과와 연관된다: 결국, 허혈 망막 중심 정맥 폐쇄를 갖는 환자의 대략 2/3이 안구 신생혈관증식을 가질 것이고, 1/3이 신생혈관 녹내장을 가질 것이다. 후자의 상태는 급속한 시야 및 시력 손실, 이차성 상피 미란 및 세균각막염에 대한 소인을 갖는 각막의 상피 부종, 심각한 통증, 구역 및 구토, 및, 결국, 안구위축 (빛 인식이 없는 안구 위축증)을 야기할 수 있는 녹내장의 심각한 유형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환자 (또는 대상)는 안과 질환 또는 장애를 포함하는 신경변성 질환 또는 상태로 인해 고통받거나 또는 이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검출가능한 질환을 갖지 않을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하는 임의의 포유류일 수 있다. 따라서, 치료는 이미 질환을 갖고 있는 대상에게 투여될 수 있고, 또는 질환 또는 상태의 진행 위험이 있는 대상에게 예방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치료함 또는 치료란 임의의 목적 또는 자각적 매개변수를 포함하는 손상, 병리학 또는 상태의 치료 또는 개선에서의 성공의 임의의 지표, 예컨대 증상감소; 완화; 증상의 감소 또는 환자에게 손상, 병리 또는 상태가 더욱 참아질 수 있도록 만드는 것; 변성 또는 감퇴 속도의 저속화; 변성의 최종점이 덜 쇠약해지도록 만드는 것; 또는 대상의 물리적 또는 정신적 웰빙 (well-being)을 향상시키는 것을 지칭한다.
증상의 치료 또는 개선은 물리적 시험의 결과를 포함하여, 목적 또는 자각적 매개변수에 근거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용어 "치료함"은 통증, 통각 과민, 이질통 또는 침해 사건을 치료하고, 통증, 통각 과민, 이질통, 침해 사건 또는 기타 장애를 방지 또는 지연하고, 완화시키거나, 또는 이와 관련된 증상 또는 상태의 발병을 저지 또는 억제하기 위한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 또는 작용제의 투여를 포함한다. 용어 "치료 효과"는 대상에서의 질환, 질환의 증상 또는 질환의 후유증의 저하, 제거 또는 예방을 지칭한다. 치료는 또한 척추동물 시각 시스템에서의 망막 뉴런 세포 기능 (광수용체 기능 포함), 예를 들어, 시간에 걸쳐 측정되는 (예를 들어, 주 또는 개월로 측정됨) 시력 및 시야 시험 등에서의 회복 또는 향상을 포함한다. 치료는 또한 질환 진행의 안정화 (즉, 안과 질환 및 관련 증상의 진행을 저속화, 최소화 또는 정지시킴) 및 척추동물 시각 시스템의 추가적 변성의 최소화를 포함한다. 치료는 또한 예방을 포함하고, 대상의 척추동물 시각 시스템의 변성 또는 추가적 변성 또는 악화 또는 추가적 악화를 방지하고, 질환 및/또는 관련 증상 및 후유증의 진행을 방지 또는 억제하기 위해 대상에게 아민 유도체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말한다.
질환 상태의 측정 및 평가, 및/또는 치료 요법의 모니터링 및 평가를 위해, 의학계 및 안과계에서 당업자에게 실행되는 다양한 방법 및 기술은, 예를 들어, 형광안저조영술, 안저촬영, 맥락막 순환계의 인도싸이아닌 그린 염료 추적, 검안경측정, 안과광학단층촬영기 (OCT) 및 시력 시험을 포함한다.
형광안저조영술은 형광물질 염료를 정맥내 주입한 후, 염료가 안구를 통해 순환할 때 이의 임의의 누출을 관찰하는 것을 포함한다. 인도싸이아닌 그린 염료의 정맥내 주입은 또한 안구 내 맥락이 특히 망막의 바로 뒤에 있는 맥락막 순환계에서 손상되었는지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안저촬영은 시신경, 황반, 혈관, 망막 및 유리체의 측정에 사용될 수 있다. 미세동맥류는 질환 초기 디지털 안저 영상에서 검출될 수 있는 당뇨 망막병증의 가시적 병변이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2007/0002275 참조). 검안경이 망막 및 유리체의 측정에 사용될 수 있다. 안구의 내부를 가장 잘 보기 위해서 통상 확장형 동공을 이용해 검안경측정을 수행한다. 두 가지 유형의 검안경이 사용될 수 있다: 직상 및 도상. 직상검안경이 일반적으로 시신경 및 중심 망막의 관찰에 사용된다. 주변부 또는 전체 망막이 도상검안경에 의해 관찰될 수 있다. 안과광학단층촬영기 (OCT)는 신체 조직의 고해상도, 고속도, 비-침습적, 단면 이미지를 생성한다. OCT는 비침습적이며, 조직 붕괘의 현미경적 초기 징후의 검출을 제공한다.
대상 또는 환자란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이 투여될 수 있는 임의의 척추동물 또는 포유류 환자 또는 대상을 지칭한다. 용어 "척추동물" 또는 "포유류"는 인간 및 비-인간 영장류 뿐 아니라 실험 동물 예컨대 래빗, 랫트 및 마우스, 및 기타 동물, 예컨대 가내 애완동물 (예컨대 고양이, 개, 말), 농장 동물 및 동물원 동물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을 이용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은 대상에 존재하는 안과 질환 또는 병상의 상태 측정을 위해, 또는 본원에 기술된 안과 질환 또는 병상에 관련한 위험 인자 또는 증상의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의료계에서 허용되는 스크리닝 방법에 따라 확인될 수 있다. 임상의는 본원에 기술된 방법 및 제형을 이용하는 치료법을 필요로 하는 환자의 선별에 상기 및 기타 일상적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V. 약학 조성물
특정 구현예에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은 순수한 화합물로서 투여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은, 예를 들어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Gennaro, 21st Ed. Mack Pub. Co., Easton, PA (2005))] (이는 그 전문이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됨)에 기술된 표준 약학 관례 및 선택된 투여 경로를 근거로 하여 선별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즉, 활성 성분의 활성을 방해하지 않은 비독성, 비활성 물질인, 약학적으로 적합하고 허용 가능한 담체, 희석제 등) 와 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의 아민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이성질체, 호변이성질체, 전구약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용매화물, 산 염 수화물, N-산화물 또는 등정형의 결정성 형태를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임의로는, 기타 치료 및/또는 예방 성분과 함께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 본원에 제공된다. 담체(들) (또는 부형제(들))는 조성물의 기타 성분과 상용화가 가능하고, 조성물의 수용자 (즉, 대상)에게 해롭지 않은 경우, 허용 가능하거나 또는 적합하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또는 적합한 조성물은 안과적으로 적합한 또는 허용 가능한 조성물을 포함한다.
한 구현예에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하기 화학식 (A)의 화합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질체, 입체이성질체, 기하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매화물, 수화물, 염, N-산화물 또는 전구약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pat00129
[식 중,
Z 는 결합, -C(R1)(R2)-, -C(R9)(R10)-C(R1)(R2)-, -X-C(R31)(R32)-, -C(R9)(R10)-C(R1)(R2)-C(R36)(R37)- 또는 -X-C(R31)(R32)-C(R1)(R2)- 이고;
X 는 -O-, -S-, -S(=O)-, -S(=O)2-, -N(R30)-, -C(=O)-, -C(=CH2)-, -C(=N-NR35)-, 또는 -C(=N-OR35)- 이며;
G 는 -C(R41)2-C(R41)2-R40, -C(R42)2-S-R40, -C(R42)2-SO-R40, -C(R42)2-SO2-R40, -C(R42)2-O-R40, -C(R42)2-N(R42)-R40, -C(=O)-N(R42)-R40 으로부터 선택되고;
R40 은 -C(R16)(R17)(R18),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며;
각 R41 은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OR6, 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두 개의 R41 기는 함께 옥소를 형성할 수 있고;
각 R42 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1 및 R2 는 함께 옥소를 형성하고;
R31 및 R3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5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36 및 R3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로부터 선택되거나; R36 및 R37 은 함께 옥소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R36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이중 결합을 제공하거나; 임의로, R36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고, R37 및 R2 는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삼중 결합을 제공하며;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플루오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카르보시클릴 또는 C-부착된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거나; R3 및 R4 는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거나; R3 및 R4 는 함께 이미노를 형성하고;
R7 및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시클릴, -C(=O)R13, SO2R13, CO2R13 또는 SO2NR24R25 로부터 선택되거나; R7 및 R8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플루오로알킬, -OR19, -NR20R21 또는 카르보시클릴로부터 선택되거나; R9 및 R10 은 옥소를 형성하거나; 임의로, R9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이중 결합을 제공하거나; 임의로, R9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며, R10 및 R2 는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삼중 결합을 제공하고;
R11 및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C(=O)R23, -C(NH)NH2, SO2R23, CO2R23 또는 SO2NR28R29 로부터 선택되거나; R11 및 R12 는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각 R13, R22 및 R23 은 독립적으로 알킬, 헤테로알킬, 알케닐, 아릴, 아르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고;
R6, R19, R30, R34 및 R3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며;
R20 및 R2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시클릴, -C(=O)R22, SO2R22, CO2R22 또는 SO2NR26R27 로부터 선택되거나; R20 및 R21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각 R24, R25, R26, R27, R28 및 R29 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플루오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며;
R16 및 R1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할로,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아리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R16 및 R17 은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며;
R18 은 수소, 알킬, 알콕시, 히드록시, 할로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각 R33 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OR34,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n 은 0, 1, 2, 3, 또는 4 이고; 단, G 는 비치환 노르말 알킬이 아니고, 화학식 A 의 화합물은 하기의 것이 아니다:
Figure pat00130
Figure pat00131
다양한 구현예는 추가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및 하기 화학식 (I) 의 화합물을 이의 호변이성질체 또는 호변이성질체의 혼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용매화물, N-산화물 또는 전구약물로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pat00132
[식 중,
R1 및 R2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이거나; R1 및 R2 는 옥소를 형성하고;
R3 및 R4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며;
R5 는 C5-C15 알킬, 아르알킬, 헤테로시클릴알킬, 헤테로아릴알킬 또는 카르보시클릴알킬이고;
R6 은 수소 또는 알킬이며;
R7 및 R8 은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또는 -C(=O)R13 이거나;
R7 및 R8 은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X 는 -C(R9)(R10)- 또는 -O- 이며;
R9 및 R10 은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NR7R8 또는 카르보시클릴이거나; R9 및 R10 은 옥소를 형성하고;
R11 및 R12 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또는 -C(=O)R13 이거나;
R11 및 R12 는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R13 은 알킬, 알케닐, 아릴,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임].
약학 조성물 (예를 들어, 경구 투여 또는 주사 전달 또는 조합 장치용 또는 점안액으로서의 적용용)은 액체 또는 고체의 형태일 수 있다. 액체 약학 조성물은, 예를 들어, 하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멸균 희석제, 예컨대 주사용수, 식염수, 바람직하게는 생리학적 식염수, 링거 용액, 등장성 염화나트륨,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기능할 수 있는 고정유,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기타 용매; 항미생물제; 항산화제; 킬레이트제; 완충액 및 등장성 조정제, 예컨대 염화나트륨 또는 덱스트로오스. 비경구 제제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앰풀, 일회용 실린지 또는 다중 용량 바이알에 담겨있을 수 있다. 생리학적 식염수가 부형제로서 흔히 사용되며, 주사가능한 약학 조성물 또는 안구로 전달되는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살균상태이다.
하나 이상의 아민 유도체 화합물은 인간 또는 기타 비인간 척추동물에게 투여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실질적으로 순수하여, 예를 들어, 합성 방법의 단계 중 하나 이상에서 생성된 부산물 또는 오염성 중간체와 같은 기타 유기 소형 분자를 약 5% 미만, 또는 약 1% 미만, 또는 약 0.1% 미만으로 함유한다. 다른 구현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조합물이 투여될 수 있다.
아민 유도체 화합물은, 예를 들어, 경구, 비경구, 안내, 정맥내, 복강내, 비내 (또는 예를 들어, 코, 인후 및 기관지 관의 점막 멤브레인으로의 기타 전달 방법)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또는 안구로의 국부 투여에 의해, 또는 안내 또는 안구주위 장치에 의해 대상에 전달될 수 있다. 국부 투여 양태는, 예를 들어, 점안액, 안내 주입 또는 안구주위 주입을 포함할 수 있다. 안구주위 주입은 전형적으로 합성 이성질체화 억제제, 즉, 본원에 기재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결막 하 또는 텐논 (Tennon)의 공간 (안구를 덮는 섬유성 조직의 바로 아래)으로의 주입을 포함한다. 안내 주입은 전형적으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유리체로의 주입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투여는, 예컨대 점안액 또는 경구 투약 형태에 의해 또는 조합된 장치로서, 비-침습적이다.
아민 유도체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적합한) 담체 또는 비히클 뿐 아니라 당업계에서 통상 사용되는 기술을 이용하여 투여용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또는 적합한 담체는 안과적으로 적합한 또는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한다. 담체는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용해도에 따라 선택된다. 적합한 안과적 조성물은, 예컨대 점안액, 주입 등에 의해 안구에 국부적으로 투여가능한 것들을 포함한다. 점안액의 경우, 제형은 또한, 예를 들어, 안과적 상용화제, 예컨대 등장화제, 예컨대 염화나트륨, 농축 글리세린 등; 완충제, 예컨대 나트륨 포스페이트, 나트륨 아세테이트 등; 계면활성제,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또한 폴리소르베이트 80이라 칭함), 폴리옥실 스테아레이트 40,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피마자유 등; 안정화제, 예컨대 나트륨 시트레이트, 나트륨 에덴테이트 등; 보존제, 예컨대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파라벤 등; 및 기타 성분을 임의 포함할 수 있다. 보존제는, 예를 들어 약 0.001 내지 약 1.0% 중량/부피의 수준으로 이용될 수 있다. 제형의 pH는 통상 안과적 제형으로 허용 가능한 범위 내, 예컨대 약 pH 4 내지 8, 또는 pH 5 내지 7, 또는 pH 6 내지 7, 또는 pH 4 내지 7, 또는 pH 5 내지 8, 또는 pH 6 내지 8, 또는 pH 4 내지 6, 또는 pH 5 내지 6, 또는 pH 7 내지 8의 범위 내에 있다.
부가적인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은 추가로 시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한다. 시클로덱스트린은 각각 α-시클로덱스트린, β-시클로덱스트린 또는 γ-시클로덱스트린으로 칭하는, 6, 7 또는 8 개의 글루코피라노스 단위를 함유하는 시클릭 올리고당이다. 시클로덱스트린은 약학 제형에서 특히 유용하다고 발견되어 왔다. 시클로덱스트린은 수용성을 향상시키는 친수성 외피, 및 공동을 형성하는 소수성 내피를 가진다. 수성 환경에서, 기타의 분자의 소수성 부분은 종종 시클로덱스트린의 소수성 공동으로 들어가 내포 화합물을 형성한다. 추가로, 시클로덱스트린은 또한 소수성 공동 내부에 존재하지 않는 분자와 기타 유형의 비결합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 시클로덱스트린은 각 글루코피라노스 단위에 대해 3 개의 유리 히드록실기, 또는 α-시클로덱스트린 상에 18 개의 히드록실기, β-시클로덱스트린 상에 21 개의 히드록실기, 및 γ-시클로덱스트린 상에 24 개의 히드록실기를 가진다. 이러한 히드록실기 중 하나 이상은 임의의 다수의 시약과 반응하여 매우 다양한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통상적인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 중 일부는 히드록시프로필 에테르, 술포네이트 및 술포알킬에테르이다. β-시클로덱스트린 및 히드록시프로필-β-시클로덱스트린 (HPβCD) 의 구조를 하기에 나타낸다.
Figure pat00133
시클로덱스트린 및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가 종종 약물의 용해도를 향상시키는데 사용되기 때문에, 약학 조성물에서의 시클로덱스트린의 용도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내포 화합물은 용해도가 향상된 다수의 경우에 포함되나; 시클로덱스트린과 불용성 화합물 간의 기타 상호작용은 또한 용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히드록시프로필-β-시클로덱스트린 (HPβCD) 은 피로겐이 없는 제품으로서 시판된다. 이는 물에 용이하게 용해되는 비흡습성 백색 분말이다. HPβCD 는 열적으로 안정하고, 중성 pH 에서 분해되지 않는다.
시클로덱스트린을 이용하는 안과적 제형이 개시되어 왔다. 예를 들어, US 5,227,372 에는 안구 조직에서 안과적 작용제를 유지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출원 공개공보 2007/0149480 에는 불량한 수용해도를 갖는 소형 분자 키나아제 억제제의 안과적 제형을 제조하기 위한 시클로덱스트린의 용도가 교시되어 있다.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 및 방법에서 사용되는 시클로덱스트린의 농도는 생리적 특성, 약동학적 특성, 부작용 또는 역효과, 제형화 요건, 또는 치료적 활성제 또는 이의 염 또는 전구약물과 관련된 기타 인자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조성물 중 기타 부형제의 특성이 또한 중요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 및 방법에 따라 사용되는 시클로덱스트린의 농도 또는 양은 변할 수 있다. 특정 조성물에서, 시클로덱스트린의 농도는 10% 내지 25% 이다.
주사용으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은 주사가능 리포좀 용액, 완효성 (slow-release) 중합체 시스템 등의 형태로 주입 등급 식염수 용액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안내 및 안구주위 주입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Spaeth, Ed., Ophthalmic Surgery: Principles of Practice, W. B. Sanders Co., Philadelphia, Pa., 85-87, 1990]을 포함하는 수많은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비로 (nasal passage), 인후 및 기도로의 전달을 포함하는 점막 경로를 통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전달을 위하여, 조성물은 에어로졸의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 화합물은 점막내 전달을 위한 분말 형태 또는 액체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성물은 적합한 추진제, 예컨대 탄화수소 추진제 (예를 들어, 프로판, 부탄, 이소부텐)를 갖는 가압 에어로졸 용기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조성물은 비-가압 전달 시스템 예컨대 네뷸라이저 또는 분무기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적합한 경구 투약 형태는, 예를 들어, 정제, 알약, 향낭, 또는 경질 또는 연질 젤라틴 메틸셀룰로오스의 또는 소화관에서 쉽게 용해되는 또 다른 적합한 물질의 캡슐을 포함한다. 적합한 비독성 고체 담체가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약품 등급의 만니톨, 락토오스, 전분,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나트륨 사카린, 탈쿰, 셀룰로오스, 글루코오스, 수크로오스, 마그네슘 카르보네이트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Gennaro, 21st Ed. Mack Pub. Co., Easton, PA (2005) 참조).
본원에 기재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은 지효성 또는 완효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기술을 이용해 제조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경구, 안구주위, 안내, 직장내 또는 피하 이식에 의하거나 또는 원하는 표적 부위에서의 이식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지효성 제형은 담체 매트릭스에 분산되어 있고/있거나, 속도 조절 멤브레인에 의해 둘러싸여진 저장소 내에 담겨있는 작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형 내에서의 사용을 위한 부형제는 생체적합성을 가지며, 또한 생분해성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형이 비교적 일정한 수준의 활성 성분 방출을 제공한다. 지효성 제형 내에 담기는 활성 화합물의 양은 이식 부위, 방출의 속도 및 예상 기간, 및 치료 또는 예방될 상태의 특성에 의존한다.
안구 경로를 통해 투여되는 약물 또는 조성물의 전신 약물 흡수는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Lee 등, Int. J. Pharm. 233:1-18 (2002) 참조). 한 구현예에서는, 아민 유도체 화합물은 국소적 안구 전달 방법에 의해 전달된다 (예를 들어, Curr. Drug Metab. 4:213-22 (2003) 참조). 조성물은 점안액, 고약 또는 연고 등, 예컨대, 수성 점안액, 수성 안과 현탁액, 비-수성 점안액, 및 비-수성 안과 현탁액, 겔, 안과 연고 등의 형태일 수 있다. 겔의 제조를 위해, 예를 들어,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알기네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에틸렌 말레산 무수물 중합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아민 유도체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량은 환자 (예를 들어, 인간)의 상태, 즉, 질환의 단계, 일반적 건강 상태, 연령 및 의료계의 숙련자가 용량 결정에 이용할 기타 인자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조성물이 점안액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예를 들어, 단위 용량 당 1 내지 수 개의 점적,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 점적 (1 점적 당 약 50 ㎕)이 매일 약 1 내지 약 6회 적용될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의료계의 숙련자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치료 (또는 예방)될 질환에 적절한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다. 적절한 용량 및 적합한 기간 및 투여 빈도는 환자의 상태, 환자의 질환의 유형 및 중증도, 특정 형태의 활성 성분, 및 투여 방법과 같은 인자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절한 용량 및 치료 요법은 조성물(들)을 치료적 및/또는 예방적 이득 (예를 들어, 개선된 임상 결과, 예컨대 더욱 빈번한 완전한 또는 부분적 완화, 또는 더욱 오랜 기간의 질환-부재 및/또는 전반적 생존 또는 증상 중증도의 경감)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제공한다. 예방 용도를 위해, 용량은 망막 뉴런 세포의 신경 변성 및/또는 기타 성숙 망막 세포 예컨대 RPE 세포의 변성과 연관된 질환의 발병을 방지, 지체시키거나 또는 중증도를 경감시키기에 충분해야 한다. 최적 용량은 일반적으로 실험 모델 및/또는 임상 시험을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최적 용량은 환자의 체질량, 중량 또는 혈액 부피에 의존할 수 있다.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용량은 임상 현황, 대상의 상태 및 연령, 투약 형태 등에 따라 적합하게 선택될 수 있다. 점안액의 경우, 아민 유도체 화합물은 단일 용량 당, 예를 들어, 약 0.01 ㎎, 약 0.1 mg 또는 약 1 mg으로부터 약 25 mg까지, 약 50 mg까지, 약 90 mg까지 투여될 수 있다. 점안액은, 필요에 따라, 1일 당 1회 이상 투여될 수 있다. 주사의 경우, 적합한 용량은, 예를 들어, 1주일 당, 약 0.0001 ㎎, 약 0.001 ㎎, 약 0.01 mg 또는 약 0.1 mg 내지 약 10 ㎎, 내지 약 25 ㎎, 내지 약 50 mg 또는 내지 약 90 mg 의 아민 유도체 화합물 1 내지 7회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는, 약 1.0 내지 약 30 mg의 아민 유도체 화합물이 1주일 당 1 내지 7회 투여될 수 있다.
경구 복용량은 전형적으로 1.0 내지 1000 mg의 범위로, 1일 당 1 내지 4회 이상의 범위일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예시적 용량 범위는 1일 당 10 내지 250 mg 1 내지 3회이다. 조성물이 액체 제형인 경우, 조성물은 담체의 단위 부피 당 특정 질량 또는 중량 (예를 들어, 1.0 내지 1000 mg)에서 0.1% 이상, 예를 들어, 약 2% 내지 약 60%의 활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아민 유도체 화합물은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암순응을 억제 또는 방지하는 시점에서 및 조건 하에서 투여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수면 시작 적어도 30분 (1/2시간) 이전, 60분 (1시간) 이전, 90분 (1.5시간) 이전 또는 120분 (2시간) 이전에 대상에 투여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밤에 대상의 수면 이전에 투여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는, 낮 동안이나 또는 정상광 조건 하에서도, 대상을 빛이 제거된 환경에 둠으로써, 예컨대 대상을 암실에 두거나 또는 대상의 안구 위에 안구 마스크를 적용시킴으로써, 빛 자극을 차단 또는 제거할 수 있다. 빛 자극이 상기 방식으로 또는 당업계에서 고려되는 기타 방식으로 제거될 때, 작용제가 수면 전에 투여될 수 있다.
막대 광수용체 세포의 암순응의 방지 또는 억제를 위해 투여될 수 있는 화합물의 용량은 임상 현황, 대상의 상태 및 연령, 투약 형태 등에 따라 적합하게 선택될 수 있다. 점안액의 경우, 화합물 (또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단일 용량 당, 예를 들어, 약 0.01 ㎎, 약 0.1 mg 또는 약 1 mg으로부터 약 25 mg까지, 약 50 mg까지, 약 90 mg까지 투여될 수 있다. 주사의 경우, 적합한 용량은, 수면에 앞서 또는 모든 빛 공급원으로부터 대상을 격리시키에 앞서, 1주일 당 1 내지 7일 사이의 임의의 일수에 투여되는, 예를 들어, 약 0.0001 ㎎, 약 0.001 ㎎, 약 0.01 mg 또는 약 0.1 mg 내지 약 10 ㎎, 내지 약 25 ㎎, 내지 약 50 mg 또는 내지 약 90 mg의 화합물일 수 있다. 특정 다른 구현예에서는, 점안액 또는 주사에 의한 화합물의 투여를 위해, 용량이 1~10 mg(화합물)/kg(대상의 체중)이다 (즉, 예를 들어, 체중 80 kg의 대상을 위한 용량 당 총 80~800 mg). 다른 구현예에서는, 약 1.0 내지 약 30 mg의 화합물이 1주일 당 1 내지 7회 투여될 수 있다. 경구 복용량은 전형적으로 1주일 당 1 내지 7일 중 임의의 일수에 투여되는, 약 1.0 내지 약 1000 mg의 범위일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예시적 용량 범위는 수면 전 1일 당 약 10 내지 약 800 mg 1회이다. 다른 구현예에서는, 조성물이 유리체내 투여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및 약학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또는 담체 및 본원에 기재된 아민 유도체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본원에 기재되거나 또는 당업계에서 수행되는 방법 중 어느 하나에 따라 화합물을 합성한 후, 상기 화합물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제형화하는 것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조성물의 제형은 적절할 것이며, 여러 인자 (비제한적으로, 전달 경로, 용량 및 화합물의 안정성 포함)에 의존할 것이다.
본 발명 개시의 견지에서 기타 구현예 및 용도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하기 실시예는 단지 다양한 구현예에 대한 예시로서 제공되며, 본 발명을 어떠한 방식으로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가 본원에 나타내고 기재되어 있지만, 이러한 구현예가 단지 예로서 제공된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제 당업자는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수많은 변화, 변경 및 치환을 일으킬 것이다. 본원에 기재된 본 발명의 구현예에 대한 다양한 대체안이 본 발명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하기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범주를 정의하고, 이러한 청구범위 및 이의 동등물의 범주 내의 방법 및 구조가 이로써 포함된다고 의도된다.
본 발명은 레티노이드 주기의 이성질체화 단계의 억제제이면서 안과 질환 및 장애를 치료하는데 유용한 아민 유도체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이러한 화합물을 사용하는 다양한 안과 질환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은 첨부된 청구항에서 명확히 개시된다. 본 발명의 원리가 이용되는 예시적 구현예를 개시하는 상기 상세한 설명 및 하기의 첨부 도면을 참고함으로써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이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 은 실시예 3 의 화합물 (화합물 3) 의 이성화효소 억제 활성을 설명한다. 동물에 경구 위관으로 1 ㎎/㎏ 화합물을 공급하고, 투여 후 4, 24 및 48 시간에 "광 표백"(10 분 동안 5000 럭스의 백색광) 시키고, 암실로 복귀시켜 눈의 11-시스-레티날 함량을 회복시켰다. 표백된 2 시간 후 마우스를 희생시켜 눈을 적출하고, 레티노이드 함량을 HPLC 로 분석하였다.
도 2 는 실시예 19 의 화합물 (화합물 19) 로 이성화효소 활성의 농도-의존적 억제를 설명한다. 도 2A 는 11-시스 레티날 (옥심) 회복의 농도-의존적 억제를 보여준다. 도 2B 는, 데이타를 정규화하여 이성화효소 활성의 억제를 백분율화 시킨 용량 반응 (log 용량, ㎎/㎖) 을 보여준다. 회복 억제는 0.651 ㎎/㎏ 에서 추정되는 ED50 (11-시스 레티날 (옥심) 회복의 50 % 억제를 제공하는 화합물의 용량) 과 함께 용량과 관련되었다. 각 처리군은 5 마리 동물을 포함하였다. 오차 바 (bar) 는 표준 오차에 상응한다.
실시예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시약 및 용매를 시중의 공급자로부터 입수하여 사용하였다. 수분 및/또는 산소에 민감한 합성 변형에 대해 무수 용매 및 오븐-건조된 유리제품을 사용하였다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TLC) 를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실리카 겔 상에서 수행하였다. 명시된 바와 같이 양성자에 대하여는 400 MHz에서, 그리고 탄소에 대하여는 100 MHz 에서 Varian VnmrS 400, 및 양성자에 대하여는 500 또는 300 MHz에서, 그리고 탄소에 대하여는 125 또는 75 MHz 에서 Bruker AMX 500 또는 300 분광계를 이용하여 양성자 및 탄소 핵 자기 공명 스펙트럼을 수득하였다. 스펙트럼은 ppm (δ)으로 제공되며, 커플링 상수, J는 헤르츠 (Hertz)로 보고된다. 양성자 스펙트럼에 대해서 테트라메틸실란을 내부 표준으로 사용하고, 용매 피크를 참고 피크로 사용하였다. 탄소 스펙트럼에 대해서 용매 피크를 참고로 사용하였다. 다이오드 배열 검출을 갖는 Chiralpak IA 컬럼 (4.6 ㎜ x 250 ㎜, 5 μ) 을 사용하여 키랄 HPLC 분석을 수행하였다. 유속은 1 ㎖/분이었다.
분석용 HPLC 방법
표준 용매 구배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254 ㎚ 에서의 검출을 갖는 Hypersil BDS C18 컬럼 (250 x 4.6 ㎜, Phenomenex) 을 사용하여 HPLC 분석을 수득하였다 (방법 1).
분석용 HPLC 방법 1:
Figure pat00134
A = 0.0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과 물
B = 0.0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과 아세토니트릴
분석용 HPLC 방법 2:
Figure pat00135
A = 0.0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과 물
B = 0.0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과 아세토니트릴
컬럼 = Gemini C18, 4.6x150 ㎜, 5μ
분취용 HPLC 방법
5 ㎖ 의 주입 부피와 표준 용매 구배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220 ㎚ 에서의 검출을 갖는, 주위 온도에서 YMC ODA-A 컬럼 (500 ㎜ x 30 ㎜ x 10 μ) 을 사용하여 분취용 HPLC 를 수행하였다 (방법 1P 또는 2P).
분취용 HPLC 방법 1P:
Figure pat00136
A = 0.0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과 물
B = 0.0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과 아세토니트릴
분취용 HPLC 방법 2P:
Figure pat00137
A = 물
B = 아세토니트릴
분취용 HPLC 방법 3P:
Figure pat00138
A = 0.0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과 물
B = 0.0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과 아세토니트릴
시료 제조용 용매: 메탄올, 아세토니트릴, 아세토니트릴:메탄올(1:1)
분취용 HPLC 방법 3P:
Figure pat00139
A = 물
B = 아세토니트릴
시료 제조용 용매: 메탄올, 아세토니트릴, 아세토니트릴:메탄올(1:1)
실시예 1
3-(3-(2,6-디메틸페네틸)페닐)프로판-1-아민의 제조
Figure pat00140
3-(3-(2,6-디메틸페네틸)페닐)프로판-1-아민을 하기 반응식 1 에 나타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1
Figure pat00141
단계 1: 0 ℃ 에서 THF (100 ㎖) 중 2,6-디메틸벤조산 (1) (10.0 g, 66.6 mmol) 의 교반 용액에 보란-THF 착물 (THF 중 1M 용액 80 ㎖, 80.0 mmol) 을 20 분에 걸쳐 적가한 다음,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였다. 64 시간 후, MeOH (70 ㎖) 을 서서히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켄칭시키고, 생성된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EtOAc (300 ㎖) 에 현탁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Na2SO4 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알코올 2 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9.10 g, >99%): 1H NMR (500 MHz, CDCl3) δ 7.03-7.13 (m, 3H), 4.74 (d, J = 5.1 Hz, 2H), 2.43 (s, 6H), 1.28 (t, J = 5.2 Hz, 1H); ESI MS m/z 119 [M + H - H2O]+.
단계 2: MeOH (80 ㎖) 중 트리페닐포스핀 히드로브로마이드 (22.0 g, 64.0 mmol) 의 교반 용액에 MeOH (70 ㎖) 중 알코올 2 (8.72 g, 64.0 mmol) 의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아세톤 (20 ㎖) 과 디에틸 에테르 (50 ㎖) 의 혼합물로 분쇄하였다. 침전물을 진공 여과로 수집하고, 디에틸 에테르 (30 ㎖) 및 헥산 (30 ㎖) 으로 세정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트리페닐포스핀 염 3 을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23.0 g, 78%): 융점 240-246 ℃. 1H NMR (300 MHz, DMSO-d6) δ 7.51-7.95 (m, 15H), 7.15 (dt, J = 7.7, 2.6 Hz, 1H), 6.96 (d, J = 7.7 Hz, 2H), 4.94 (d, J = 14.6 Hz, 2H), 1.76 (s, 6H); ESI MS m/z 381 [M - Br]+; HPLC (방법 1) 97.0% (AUC), tR = 13.78 분.
단계 3: -78 ℃ 에서 THF (60 ㎖) 중 트리페닐포스핀 염 3 (8.76 g, 19.0 mmol) 의 교반 현탁액에 n-부틸 리튬 (7.8 ㎖, 헥산 중 2.5M 용액, 19.5 mmol) 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였다. 30 분 후, 반응 혼합물을 -78 ℃로 재냉각시키고, THF (15 ㎖) 중 3-요오도벤즈알데히드 (4.41 g, 19.0 mmol) 의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였다. 1 시간 후, 반응을 포화 수성 NH4Cl (50 ㎖) 로 켄칭시키고, EtOAc 로 추출하였다. 수합된 유기층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생성된 잔류물을 MeOH (70 ㎖) 에 용해시켰다. 헥산 및 물을 첨가하여 MeOH 용액을 분액하였다. 수합된 유기물을 70% MeOH-물 (100 ㎖) 로 세정하고, Na2SO4 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0% 헥산) 로 정제시켜 트랜스-알켄 4 (2.12 g, 33%) 을 백색 고체로서 그리고 시스-알켄 5 (1.15 g, 18%)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4: 1H NMR (500 MHz, CDCl3) δ 7.84 (s, 1H), 7.59 (d, J = 7.7 Hz, 1H), 7.44 (d, J = 7.7 Hz, 1H), 7.06-7.10 (m, 5H), 6.49 (d, J = 16.6 Hz, 1H), 2.35 (s, 6H). 5: 1H NMR (500 MHz, CDCl3) δ 7.44 (d, J = 7.8 Hz, 1H), 7.37 (s, 1H), 7.13 (t, J = 7.5 Hz, 1H), 7.04 (d, J = 7.6 Hz, 2H), 6.88 (d, J = 7.9 Hz, 1H), 6.81 (t, J = 7.8 Hz, 1H), 6.59 (d, J = 12.2 Hz, 1H), 6.53 (d, J = 12.2 Hz, 1H), 2.14 (s, 6H).
단계 4: DMF (5 ㎖) 중 트랜스-알켄 4 (1.86 g, 5.60 mmol) 의 교반 용액에 NaHCO3 (1.49 g, 17.7 mmol), 테트라부틸암모늄 클로라이드 (1.58 g, 5.70 mmol), 및 알릴 알코올 (0.683 g, 11.8 mmol) 을 첨가하였다. 반응 플라스크를 10 분 동안 질소로 퍼징시킨 다음, Pd(OAc)2 (0.029 g, 0.130 mmol) 을 첨가하였다. 추가 10 분 동안 질소로 퍼징시킨 후, 용액을 질소 하에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18 시간 후, 용액을 EtOAc (50 ㎖) 로 희석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물, 5% LiCl 수용액 및 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물을 MgSO4 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어두운 오일을 산출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 20% EtOAc-헥산 구배) 로 정제시켜, 알데히드 6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05 g (71%): 1H NMR (500 MHz, CDCl3) δ 9.85 (t, J = 1.1 Hz, 1H), 7.39 (d, J = 7.8 Hz, 1H), 7.29-7.32 (m, 2H), 7.07-7.12 (m, 5H), 6.57 (d, J = 16.6 Hz, 1H), 2.99 (t, J = 7.6 Hz, 2H), 2.38-2.84 (m, 2H), 2.37 (s, 6H).
단계 5: Parr 플라스크에서 질소 하에 EtOH (15 ㎖) 중 알데히드 6 (0.200 g, 0.76 mmol) 의 용액에 10% Pd/C (50% 습식, 0.020 g) 을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수소 기체를 이용해 30 PSI 로 가압시키고, 혼합물을 1.5 시간 동안 진탕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규조토에서 여과시키고, 여과 케이크를 EtOH (50 ㎖) 로 세정하고, 여과액을 황색 잔류물로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20% EtOAc-헥산) 로 정제시켜 알데히드 7 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00 g, 50%): 1H NMR (500 MHz, CDCl3) δ 9.82 (t, J = 1.4 Hz, 1H), 7.23 (d, J = 7.5 Hz, 1H), 7.09 (d, J = 7.6 Hz, 1H), 7.00-7.06 (m, 5H), 2.88-2.95 (m, 4H), 2.71-2.78 (m, 4H), 2.32 (s, 6H).
단계 6: MeOH (5 ㎖) 중 알데히드 7 (0.100 g, 0.38 mmol) 의 교반 용액에 MeOH (1 ㎖) 중 7M NH3 및 분말화된 분자체 한 숟갈을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막고, 1.5 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때 NaBH4 (0.022 g, 0.58 mmol) 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추가 3 시간 동안 교반하고, 규조토에서 여과시키고, 여과 케이크를 MeOH (50 ㎖) 로 헹구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5% MeOH-CH2Cl2 중 7 M NH3) 로 정제시켜 3-(3-(2,6-디메틸페네틸)페닐)프로판-1-아민을 유리 염기로 산출하였다. 수율 (0.050 g, 50%). 유리 염기를 하기 절차에 의해 HCl 염으로 전환시켰다: 디에틸 에테르 (2 ㎖) 중 3-(3-(2,6-디메틸페네틸)페닐)프로판-1-아민 (0.050 g, 0.17 mmol) 의 교반 용액에 에테르 중 1N HCl (0.2 ㎖, 0.2 mmol) 을 첨가하였다.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고체를 여과로 수집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실시예 1 히드로클로라이드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22 g, 42%): 융점 106-108 ℃; 1H NMR (500 MHz, CD3OD) δ 7.22 (d, J = 7.5 Hz, 1H), 7.06 (d, J = 7.4 Hz, 2H), 6.99-6.96 (m, 4H), 2.89-2.92 (m, 4H), 2.72-2.75 (m, 2H), 2.67 (t, J = 7.5 Hz, 2H), 2.26 (s, 6H), 1.93 (t, J = 7.7 Hz, 2H); 13C NMR (75 MHz, CD3OD) δ 143.8, 141.7, 139.3, 127.1, 129.7, 129.6, 129.1, 127.6, 127.0, 126.9; ESI MS m/z 268 [M + H]+; HPLC (방법 1) 98.9% (AUC), tR = 11.77 분. C19H25N 에 대한 HRMS 계산치 [M + H]: 268.2065, 측정치: 268.2064.
실시예 2
1-(3-(3-아미노프로필)페닐)-3-에틸펜탄-3-올의 제조
Figure pat00142
1-(3-(3-아미노프로필)페닐)-3-에틸펜탄-3-올을 하기 반응식 2 에 나타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2
Figure pat00143
단계 1: CH2Cl2 (150 ㎖) 중 3-(3-브로모페닐)프로판산 (8) (25.0 g, 109.1 mmol) 의 교반 용액에 옥살릴 클로라이드 (27.7 g, 218.3 mmol), 그 다음 DMF (2 방울) 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미정제 산 클로라이드를 산출하고, 이를 다음 반응에 바로 사용하였다.
단계 2: 미정제 산 클로라이드를 무수 THF (150 ㎖) 에 용해시키고, 빙조에서 냉각시켰다. 암모니아 기체를 3-4 분 동안 용액에 버블링시키고,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포화 수성 NaHCO3 및 EtOAc 를 첨가하여 잔류물을 분액하였다. 수합된 유기물을 Na2SO4 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아미드 9 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23.9 g, 96%): 1H NMR (400 MHz, DMSO-d6) δ 7.40 (s, 1H), 7.35 (dt, J = 6.4, 2.4 Hz, 1H), 7.26 (br s, 1H), 7.18-7.24 (m, 2H), 6.75 (br s, 1H), 2.78 (t, J = 7.6 Hz, 2H), 2.34 (t, J = 7.6 Hz, 2H).
단계 3: THF (250 ㎖) 중 아미드 9 (23.85 g, 104.6 mmol) 의 빙냉된 교반 용액에 BH3-THF (THF 중 1.0 M 용액 209 ㎖, 209 mmol) 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pH 가 1 이 될 때까지 6N HCl 을 서서히 첨가하여 반응을 켄칭시켰다. 용액을 실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50% 수성 NaOH 의 첨가로 pH 를 >10 으로 조정하였다. 용액을 EtOAc 로 추출하고, 수합된 유기층을 염수로 세정하고, Na2SO4 로 건조시키며 감압 하에 농축시켜 미정제 3-(3-브로모페닐)프로판-1-아민을 산출하고, 이를 다음 반응에 바로 사용하였다.
단계 4: 미정제 3-(3-브로모페닐)프로판-1-아민 (약 104.6 mmol) 을 에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30 ㎖) 와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20% EtOAc-헥산) 로 정제시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10 을 산출하였다. 수율 (21.1 g, 62%): 1H NMR (400 MHz, DMSO-d6) δ 9.40 (br s, 1H), 7.43 (s, 1H), 7.36 (dt, J = 7.2, 2.0 Hz, 1H), 7.19-7.25 (m, 2H), 3.16 (q, J = 6.8 Hz, 2H), 2.57 (t, J = 7.6 Hz, 2H), 1.77 (5중항, J = 7.2 Hz, 2H).
단계 5: 트리에틸아민 (4 ㎖) 과 DMF (12 ㎖) 중 N-(3-(3-브로모페닐)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10) (0.930 g, 3 mmol) 와 3-에틸펜트-1-인-3-올 (11) (0.670 g, 6 mmol) 의 탈기된 용액에 PdCl2(PPh3)2 (0.053 g, 0.075 mmol), P(o-Tol)3 (0.046 g, 0.15 mmol), 및 CuI (0.014 g, 0.075 mmol) 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탈기시키고, 아르곤 하에 90 ℃ 에서 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EtOAc (100 ㎖) 및 물 (70 ㎖) 로 희석시켰다. 격렬한 진탕 후, 층을 분리시켰다. 유기층을 목탄으로 처리하고, MgSO4 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며,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7 → 60% EtOAc-헥산 구배) 로 정제시켜 N-(3-(3-(3-에틸-3-히드록시펜틸)페닐)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12) 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3 g, 65%): 1H NMR (400 MHz, DMSO-d6) δ 9.40 (s, 1H), 7.17-7.28 (m, 4H), 3.16 (q, J = 7.2 Hz, 2H), 2.56 (t, J = 7.2 Hz, 2H), 1.76 (5중항, J = 7.2 Hz, 2H), 1.53-1.67 (m, 4H), 0.97 (t, J = 7.2 Hz, 6H).
단계 6: N-(3-(3-(3-에틸-3-히드록시펜틸)페닐)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12) (㎖0 g, 1.93 mmol) 를 MeOH (15 ㎖) 에 용해시키고, K2CO3 수용액 (0.42 g/3 ㎖) 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45 ℃ 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킨 다음, EtOAc (50 ㎖) 및 물 (50 ㎖) 을 첨가하여 분액하였다. 수합된 유기물을 Na2SO4 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80 내지 100% (9:1 EtOAc: MeOH 중 7M NH3):헥산 구배) 로 정제시켜 1-(3-(3-아미노프로필)페닐)-3-에틸펜트-1-인-3-올 (13) 을 연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421 g, 89%): 1H NMR (400 MHz, DMSO-d6) δ 7.15-7.26 (m, 4H), 5.11 (s, 1H), 2.56 (t, J = 7.6 Hz, 2H), 2.47 (t, J = 5.2 Hz, 2H), 1.55-1.65 (m, 6H), 1.39 (br s, 2H), 0.97 (t, J = 7.6 Hz, 6H).
단계 7: EtOH 중 1-(3-(3-아미노프로필)페닐)-3-에틸펜트-1-인-3-올 (13, 0.130 g, 0.53 mmol) 의 탈기된 용액을 수소 분위기 (대기압) 하에 16 시간 동안 촉매량의 10% Pd/C 와 교반하였다. 0.45 ㎛ 막 여과기로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실시예 2 를 투명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20 g, 91%): 1H NMR (400 MHz, DMSO-d6) δ 7.13 (t, J = 7.6 Hz, 1H), 6.93-6.99 (m, 3H), 3.91 (br s, 1H), 2.45-2.56 (m, 6H), 1.50-1.62 (m, 4H), 1.40 (br s, 2H), 1.38 (q, J = 7.6 Hz, 4H), 0.79 (t, J = 7.6 Hz, 6H).
실시예 3
4-(3-(3-아미노프로필)페네틸)헵탄-4-올의 제조
Figure pat00144
4-(3-(3-아미노프로필)페네틸)헵탄-4-올을 실시예 2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트리에틸아민 (2 ㎖) 과 DMF (18 ㎖) 중 N-(3-(3-브로모페닐)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10) (2.29 g, 7.4 mmol) 와 4-에티닐헵탄-4-올 (2.4 g, 18.5 mmol) 의 탈기된 용액에 PdCl2(PPh3)2 (0.130 g, 0.185 mmol), P(o-Tol)3 (0.113 g, 0.37 mmol), 및 CuI (0.070 g, 0.37 mmol) 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탈기시키고, 아르곤 하에 90 ℃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셀라이트 (Celite) 를 통해 여과시킴으로써 고체를 제거하였다. 디에틸 에테르 및 물을 첨가하여 여과액을 분액하고, 수합된 유기물을 염수로 세정하고, Na2SO4 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6 → 50% EtOAc-헥산 구배) 로 정제시켜 N-(3-(3-(3-에틸-3-히드록시펜틸)페닐)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12) 를 호박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2.6 g, 95%): 1H NMR (400 MHz, DMSO-d6) δ 9.40 (s, 1H), 7.18-7.29 (m, 4H), 3.16 (q, J = 7.2 Hz, 2H), 2.56 (t, J = 7.2 Hz, 2H), 1.76 (5중항, J = 7.2 Hz, 2H), 1.53-1.67 (m, 8H), 0.97 (t, J = 7.2 Hz, 6H).
단계 2: MeOH (50 ㎖) 중 2,2,2-트리플루오로-N-(3-(3-(3-히드록시-3-프로필헥스-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 (2.6 g, 7.0 mmol) 의 용액에 농축된 수성 NH4OH (약 25 ㎖) 을 첨가하고,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더욱 농축된 수성 NH4OH (5 ㎖)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감압 하에 농축시켜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고, 잔류물을 EtOAc 로 2 회 추출하였다. 유기 용액을 물 및 염수로 세정하고, Na2SO4 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 20% (20% MeOH-EtOAc 중 7M NH3)-EtOAc 구배) 로 정제시켜 4-((3-(3-아미노프로필)페닐)에티닐)헵탄-4-올을 투명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58 g, 83%): 1H NMR (400 MHz, DMSO-d6) δ 7.14-7.26 (m, 4H), 5.12 (s, 1H), 2.56 (t, J = 7.2 Hz, 2H), 2.47 (t obs, J = 7.2 Hz, 2H), 1.42-1.63 (m, 12H), 0.90 (t, J = 7.2 Hz, 6H).
단계 3: 반응을 2 시간에 걸쳐 진행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4-(3-(3-아미노프로필)스티릴)헵탄-4-올을 수소화시켜 실시예 3 을 투명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516 g, 50%): 1H NMR (400 MHz, CD3OD) δ 7.15 (t, J = 7.2 Hz, 1H), 6.98-7.02 (m, 3H), 2.55-2.67 (m, 6H), 1.77 (5중항, J = 7.6 Hz, 2H), 1.67 (dt, J = 8.0, 4.4 Hz, 2H), 1.43-1.49 (m, 4H), 1.31-1.42 (m, 4H), 0.93 (t, J = 7.2, 6H).
실시예 4
4-(3-(3-아미노프로필)페닐)-2-메틸부탄-2-올의 제조
Figure pat00145
4-(3-(3-아미노프로필)페닐)-2-메틸부탄-2-올을 실시예 2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트리-o-톨릴포스핀을 사용하지 않고 THF 중에 70 ℃ 에서의 2-메틸부트-3-인-2-올과 브로마이드 10 의 커플링으로 2,2,2-트리플루오로-N-(3-(3-(3-히드록시-3-메틸부트-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산출하였다. 수율 (0.5 g, 81%): 1H NMR (400 MHz, DMSO-d6) δ 9.40 (br s, 1H), 7.17-7.28 (m, 4H), 3.16 (q, J = 7.2 Hz, 2H), 2.56 (t, J = 7.2 Hz, 2H), 1.76 (5중항, J = 7.6 Hz, 2H), 1.44 (s, 3H), 1.35 (s, 3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3-(3-(3-히드록시-3-메틸부트-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로 4-(3-(3-아미노프로필)페닐)-2-메틸부트-3-인-2-올을 산출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80% → 100% (10% EtOAc 중 7 N NH3-MeOH)-헥산 구배) 로 생성물을 정제시켜 연황색 오일을 산출하였다. 수율 (0.212 g, 62%): 1H NMR (400 MHz, DMSO-d6) δ 7.14-7.26 (m, 4H), 5.41 (br s, 1H), 2.56 (t, J = 7.2 Hz, 2H), 2.47-2.50 (m, 2H), 1.55-1.63 (m, 2H), 1.44 (s, 6H), 1.36 (br s, 2H).
단계 3: 반응을 3.5 시간 동안 진행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 에 사용된 방법에 따른 4-(3-(3-아미노프로필)페닐)-2-메틸부트-3-인-2-올의 수소화로 실시예 4 를 산출하였다. 수율 (0.0488 g, 80%): 1H NMR (400 MHz, DMSO-d6) δ 7.13 (t, J = 7.6 Hz, 1H), 6.96-6.99 (m, 3H), 4.19 (br s, 1H), 2.45-2.57 (m, 6H), 1.55-1.62 (m, 4H), 1.48 (br s, 2H), 1.12 (s, 6 H).
실시예 5
3-(3-(3-메톡시프로필)페닐)프로판-1-아민의 제조
Figure pat00146
3-(3-(3-메톡시프로필)페닐)프로판-1-아민을 실시예 4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3-메톡시프로프-1-인과 브로마이드 10 의 커플링으로 2,2,2-트리플루오로-N-(3-(3-(3-메톡시프로프-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연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93 g, 32%): 1H NMR (400 MHz, DMSO-d6) δ 9.40 (br s, 1H), 7.21-7.31 (m, 4 H), 4.30 (s, 2 H), 3.31 (s, 3H), 3.16 (q, J = 7.2 Hz, 2 H), 2.56 (t, J = 7.6 Hz, 2 H), 1.77 (5중항, J = 7.2 Hz, 2 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3-(3-(3-메톡시프로프-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로 3-(3-(3-메톡시프로프-1-이닐)페닐)프로판-1-아민을 투명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69 g, 54%): 1H NMR (400 MHz, DMSO-d6) δ 7.19-7.28 (m, 4 H), 4.29 (s, 2 H), 3.31 (s, 3H), 2.57 (t, J = 7.6 Hz, 2 H), 2.48-2.51 (m, 2H), 1.56-1.63 (m, 2 H), 1.36 (br s, 2 H).
단계 3: 실시예 4 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방법에 따른 3-(3-(4-메톡시부트-1-이닐)페닐)프로판-1-아민의 수소화로 실시예 5 를 산출하였다. 수율 (0.018 g): 1H NMR (400 MHz, DMSO-d6) δ 7.15 (t, J = 7.6 Hz, 1H), 6.94-6.99 (m, 3H), 3.28 (t, J = 6.4 Hz, 2H), 3.21 (s, 3H), 2.45-2.57 (m, 6H), 1.71-1.78 (m, 2H), 1.59 (5중항, J = 7.2 Hz, 2H), 1.50 (br s, 2H).
실시예 6
3-(3-(3-아미노프로필)페닐)프로판-1-올의 제조
Figure pat00147
3-(3-(3-아미노프로필)페닐)프로판-1-올을 실시예 4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프로프-2-인-1-올과 브로마이드 10 의 커플링으로 2,2,2-트리플루오로-N-(3-(3-(3-히드록시프로프-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연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48 g, 26%): 1H NMR (400 MHz, DMSO-d6) δ 9.41 (br s, 1H), 7.19-7.29 (m, 4H), 5.28 (t, J = 5.6 Hz, 1H), 4.27 (d, J = 6.4 Hz, 2H), 3.16 (t, J = 7.2 Hz, 2H), 2.56 (t , J = 7.6 Hz, 2H), 1.76 (q, J = 7.6 Hz, 2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3-(3-(3-히드록시프로프-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로 3-(3-(3-아미노프로필)페닐)프로프-2-인-1-올을 투명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73 g, 76%): 1H NMR (400 MHz, DMSO-d6) δ 7.17-7.27 (m, 4H), 5.28 (br s, 1H), 4.27 (d, J = 3.6 Hz, 2H), 2.59 (t, J = 7.6 Hz, 2H), 2.47-2.49 (m, 2H), 1.52-1.63 (m, 4H).
단계 3: 실시예 4 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방법에 따른 3-(3-(3-아미노프로필)페닐)프로프-2-인-1-올의 수소화로 실시예 6 을 투명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18 g): 1H NMR (400 MHz, DMSO-d6) δ 7.14 (t, J = 7.6 Hz, 1H), 6.94-6.99 (m, 3H), 4.41 (br s, 1H), 3.38 (t, J = 6.4 Hz, 2H), 2.45-2.56 (m, 6H), 1.55-1.70 (m, 6H).
실시예 7
1-(3-(3-아미노프로필)페네틸)시클로헥산올의 제조
Figure pat00148
아민의 탈보호 전에 수소화를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1-(3-(3-아미노프로필)페네틸)시클로헥산올을 제조하였다.
단계 1: 트리에틸아민 (40 ㎖) 중 브로마이드 10 (2.0 g, 6.45 mmol) 과 1-에티닐시클로헥산올 (1.2 g, 9.67 mmol) 의 용액에 CuI (0.0246 g, 0.129 mmol) 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3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시킨 다음, PdCl2(PPh3)2 (0.0905 g, 0.129 mmol) 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아르곤으로 다시 탈기시킨 다음, 70 ℃ 에서 밤새 아르곤 하에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EtOAc-헥산 (50%, 50 ㎖) 에 현탁시켰다. 고체를 여과로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시켜 2,2,2-트리플루오로-N-(3-(3-((1-히드록시시클로헥실)에티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투명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74 g, 76%): 1H NMR (400 MHz, DMSO-d6) δ 9.40 (br s, 1H), 7.26 (t, J = 7.6 Hz, 1H), 7.17-7.24 (m, 3H), 5.37 (s, 1H), 3.16 (q, J = 6.8 Hz, 2H), 2.56 (t, J = 7.2 Hz, 2H), 1.15-1.83 (m, 12H).
단계 2: MeOH (15 ㎖) 중 2,2,2-트리플루오로-N-(3-(3-((1-히드록시시클로헥실)에티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 (0.51 g, 1.44 mmol) 의 용액을 2 분 동안 아르곤으로 탈기시켰다. 이 용액에 10% Pd/C (0.075 g)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Parr 진탕기 중에 H2 하에 40 PSI 에서 밤새 두었다. 고체를 여과로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미정제 생성물을 투명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이 화합물을 정제 없이 다음 합성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수율 (0.509 g, 99%): 1H NMR (400 MHz, DMSO-d6) δ 9.40 (br s, 1H), 7.14 (t, J = 7.6 Hz, 1H), 6.95-7.00 (m, 3H), 3.96 (s, 1H), 3.18 (q, J = 6.8 Hz, 2H), 2.51-2.57 (m, 4H), 1.72-1.79 (m, 2H), 1.15-1.59 (m, 12H).
단계 3: 5 당량의 K2CO3 를 사용하고 반응 혼합물을 55 ℃ 에서 3 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을 제외하고 2,2,2-트리플루오로-N-(3-(3-((1-히드록시시클로헥실)에티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실시예 2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탈보호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MeOH-CH2Cl2 중 7M NH3) 로 정제시켜 실시예 7 을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840 g, 96%): 1H NMR (400 MHz, DMSO-d6) δ 7.13 (t, J = 7.2 Hz, 1H), 6.93-6.99 (m, 3H), 3.96 (br s, 1H), 2.49-2.57 (m, 4H), 1.16-1.63 (m, 18H).
실시예 8
1-(3-(3-아미노프로필)페닐)헥산-3-올의 제조
Figure pat00149
1-(3-(3-아미노프로필)페닐)헥산-3-올을 실시예 4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헥스-1-인-3-올과 브로마이드 10 의 커플링으로 2,2,2-트리플루오로-N-(3-(3-(3-히드록시헥스-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71 g, 41%).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3-(3-(3-히드록시헥스-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로 1-(3-(3-아미노프로필)페닐)헥스-1-인-3-올을 산출하였다. 수율 (0.086 g, 45%): 1H NMR (400 MHz, DMSO-d6) δ 7.16-7.26 (m, 4H), 5.36 (t, J = 5.2 Hz, 1H), 4.41 (dt, J = 6.4, 5.2 Hz, 1H), 2.56 (t, J = 7.2 Hz, 2H), 2.47-2.49 (m, 2H), 1.38-1.64 (m, 8H), 0.90 (t, J = 7.2 Hz, 3H).
단계 3: 실시예 4 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방법에 따른 1-(3-(3-아미노프로필)페닐)헥스-1-인-3-올의 수소화로 실시예 8 을 산출하였다. 수율 (0.0296 g): 1H NMR (400 MHz, DMSO-d6) δ 7.13 (t, J = 7.6 Hz, 1 H), 6.92-6.99 (m, 3H), 4.33 (d, J = 5.2 Hz, 1H), 3.89 (m, 1H), 2.45-2.67 (m, 6H), 1.23-1.62 (m, 10H), 0.83 (t, J = 7.2 Hz, 3H).
실시예 9
4-(3-(2-아미노에톡시)페네틸)헵탄-4-올의 제조
Figure pat00150
4-(3-(2-아미노에톡시)페네틸)헵탄-4-올을 하기 반응식 3 에 나타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3
Figure pat00151
단계 1: 아세톤 (175 ㎖) 중 3-브로모페놀 (14) (36.38 g, 210.3 mmol) 의 용액에 K2CO3 (0.033 g, 237 mmol) 및 2-브로모에탄올 (20 ㎖, 283.3 mmol) 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환류에서 아르곤 하에 4 일 동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 (150 ㎖) 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물, 10% 수성 NaOH, 5% 수성 NaOH, 물 및 염수로 연속적으로 세정하였다. 용액을 MgSO4 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2-(3-브로모페녹시)에탄올 (15) 을 연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21.07 g, 46%): 1H NMR (400 MHz, CDCl3) δ 7.14 (t, J = 7.8 Hz, 1H), 7.07-7.12 (m, 2H), 6.85 (ddd, J = 7.8, 2.4, 1.3 Hz, 1H), 4.06 (m, 2H), 3.95 (m, 2H), 2.11 (t, J = 12.3 Hz. 1H).
단계 2: 아르곤 하에 무수 CH2Cl2 (120 ㎖) 중 2-(3-브로모페녹시)에탄올 (15) (16.06 g, 74.0 mmol) 과 트리에틸아민 (9.12 g, 90.13 ㎖) 의 빙냉 혼합물에 순수한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6 ㎖, 77.2 mmol) 를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 에서 15 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EtOAc 및 물을 첨가하여 잔류물을 분액하였다. 수합된 유기물을 물 및 염수로 세정하고, MgSO4 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2-(3-브로모페녹시)에틸 메탄술포네이트 (16) 를 약간 갈색의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이 생성물을 다음 단계에 추가의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수율 (21.32 g, 98 %): 1H NMR (400 MHz, CDCl3) δ 7.16 (t, J = 7.8 Hz, 1H), 7.11-7.14 (m, 1H), 7.07 (m, 1H), 6.39 (ddd, J = 7.6, 2.5, 1.8 Hz, 1H), 4.56 (m, 2H), 4.22 (m, 2H), 3.08 (s, 3H).
단계 3: 무수 DMF (160 ㎖) 중 메실레이트 16 (24.05 g, 81.5 mmol) 의 용액에 칼륨 프탈이미드 (15.53 g, 83.8 mmol) 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60 ℃ 에서 1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헥산-EtOAc (7:1) 및 물을 첨가하여 잔류물을 분액하였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로 수집하고, 과량의 물 및 헥산으로 세정한 다음, 진공에서 건조시켜 N-(2-(3-브로모페녹시)에틸)프탈이미드 (17) 를 백색의 솜털같은 결정으로서 산출하였다 (22.05 g). 2 번째의 결정 무리를 수집하기 위해, 여과액의 유기층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10% EtOAc-헥산에 현탁시켰다. 용액을 물로 세정하고, 침전물을 여과로 수집하고, 과량의 물 및 헥산으로 세정하고, 진공에서 건조시켜 프탈이미드 17 (5.65 g) 를 산출하였다. 수합 수율 (21.18 g, 98%). 1H NMR (400 MHz, CDCl3) δ 7.86 (m, 2H), 7.73 (m, 2H), 7.03-7.12 (m, 3H), 6.80 (ddd, J = 8.0, 2.5, 1.4 Hz, 1H), 4.21 (t, J = 6.9 Hz, 2H), 4.10 (t, J = 6.0 Hz, 2H).
단계 4: 무수 EtOH (200 ㎖) 중 프탈이미드 17 (22.82 g, 65.9 mmol) 의 현탁액에 히드라진 수화물 (6 ㎖, 123.7 mmol) 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환류에서 아르곤 하에 1.5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헥산 (100 ㎖) 에 재현탁시키고, 고체를 여과로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이어서, 잔류물을 EtOH 에서 취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이 절차를 톨루엔으로 반복하여, 아민 18 을 진한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0.63 g, 75%): 1H NMR (400 MHz, CDCl3) δ 7.06-7.15 (m, 3H), 6.84 (ddd, J = 8.0, 2.5, 1.2 Hz, 1H), 3.96 (t, J = 5.3 Hz, 2H), 3.07 (t, J = 5.09 Hz, 2H), 1.43 (s, 2H).
단계 5: 무수 THF (80 ㎖) 중 아민 18 (10.63 g, 49.2 mmol) 의 용액에 에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12 ㎖, 100.6 mmol) 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50% EtOAc-헥산에 용해시켰다. 실리카 겔 층을 통해 용액을 여과시키고, 50% EtOAc-헥산으로 용출시켰다. 감압 하에 농축시켜 브로마이드 19 를 담황색 오일로서 수득하고, 이를 방치하여 담황색 고체로 결정화시켰다. 수율 (13.69 g, 89%): 1H NMR (400 MHz, CDCl3) δ 7.16 (t, J = 8.0 Hz, 1H), 7.12-7.14 (m, 1H), 7.05-7.07 (m, 1H), 6.83 (ddd, J = 7.6, 2.5, 1.8 Hz, 1H), 6.75 (br s, 1H), 4.09 (t, J = 4.9 Hz, 2H), 3.78 (dt, J = 5.5 Hz , 2H).
단계 6: 반응을 20 시간 동안 진행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 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브로마이드 19 를 알킨올 20 과 커플링시켜, 알킨 21 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89 g, 73%): 1H NMR (400 MHz, CDCl3) δ 7.22 (t, J = 8.0 Hz, 1H), 7.06 (dt, J = 7.6, 1.0 Hz, 1H), 6.93 (dd, J = 2.5, 1.4 Hz, 1H), 6.85 (ddd, J = 8.4, 2.7, 1.0 Hz, 1H), 6.77 (br s, 1H), 4.09 (t, J = 5.1 Hz, 2H), 3.78 (dt, J = 5.5 Hz, 2H), 2.00 (s, 1H), 1.67-1.73 (m, 4H), 1.57-1.61 (m, 4H), 0.98 (t, J = 7.4 Hz, 6H).
단계 7: 5 당량의 K2CO3 와 반응을 실온에서 7 시간 동안 진행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 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알킨 21 을 탈보호시킨 다음,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용출액 90% EtOAc: (MeOH 중 7M NH3)) 로 정제시켜 아민 22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크림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5 g, 76%). 1H NMR (400 MHz, DMSO-d6) δ 7.23 (t, J = 7.8 Hz, 1H), 6.92-6.93 (m, 1H), 6.90-6.91 (m, 1H), 6.85-6.86 (m, 1H), 5.13 (br s, 1H), 3.89 (t, J = 5.9 Hz, 2H), 2.83 (t, J = 5.7 Hz, 2H), 1.42-1.60 (m, 10H), 0.89 (t, J = 7.2 Hz, 6H); 13C NMR (100 MHz, DMSO-d6) δ 159.28, 130.47, 124.49, 124.26, 117.34, 115.80, 94.78, 83.15, 71.03, 70.26, 44.86, 41.60, 17.96, 15.01. ESI MS m/z 276.39 [M + H]+, 258.38 [M + H - H2O]+.
단계 8: 실시예 2 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방법에 따라 아민 22 의 수소화를 수행하였다. 10% MeOH-CH2Cl2 (5 ㎖) 중 미정제 생성물의 용액을 셀라이트/실리카/모래를 통해 여과하였다. 깔때기 내 고체를 더욱 많은 10% MeOH-CH2Cl2 로 헹군 다음,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실시예 9 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01 g, 80%): 1H NMR (400 MHz, CDCl3) δ 7.18 (t, J = 8.0 Hz, 1H), 6.72-6.80 (m, 3H), 3.98 (t, J = 5.2 Hz, 2H), 3.07 (t, J = 5.2 Hz, 2H), 2.58-2.62 (m, 2H), 1.70-1.75 (m, 2H), 1.45-1.50 (m, 7H), 1.32-1.37 (m, 4H), 0.94 (t, J = 6.8 Hz, 6H).
실시예 10
1-(3-(2-아미노에톡시)페네틸)시클로헵탄올의 제조
Figure pat00152
1-(3-(2-아미노에톡시)페네틸)시클로헵탄올을 실시예 9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1.5 당량의 알킨 및 트리에틸아민을 사용하고, 반응물을 2 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 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브로마이드 19 를 1-에티닐시클로헵탄올과 커플링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EtOAc 및 물을 첨가하여 이를 분액한 다음, 수합된 유기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시켰다. 여과액을 Na2SO4 로 건조시키고, 활성탄으로 처리하였다. 여과한 후,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 50% EtOAc-헥산 구배) 로 정제시켜 2,2,2-트리플루오로-N-(2-(3-((1-히드록시시클로헵틸)에티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를 오렌지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078 g, 60%): 1H NMR (400 MHz, CDCl3) δ 7.2 (br s, 1H), 7.18 (t, J = 8.0 Hz, 1H), 7.02 (dt, J = 7.2, 0.8 Hz, 1H), 6.90 (dd, J = 2.4, 1.6 Hz, 1H), 6.81 (ddd, J = 8.4, 2.4, 0.8 Hz, 1H), 4.05 (t, J = 5.2 Hz, 2H), 3.72 (q, J = 5.3 Hz, 2H), 2.43 (br s, 1H), 2.05-2.11 (m, 2H), 1.84-1.91 (m, 2H), 1.53-1.70 (m, 8H).
단계 2: MeOH (20 ㎖) 중 2,2,2-트리플루오로-N-(2-(3-((1-히드록시시클로헵틸)에티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 (1.07 g, 2.9 mmol) 의 용액에 포화 수성 K2CO3 (약 10 ㎖) 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격렬히 교반하고, 50 ℃ 에서 2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감압 하에 농축시켜 휘발성 물질을 제거한 후, EtOAc 및 물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분액하였다. 유기층을 Na2SO4 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MeOH-EtOAc 중 7M NH3) 로 정제시켜 1-((3-(2-아미노에톡시)페닐)에티닐)시클로헵탄올을 담황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70 g, 88%): 1H NMR (400 MHz, CDCl3) δ 7.19 (t, J = 8.0 Hz, 1H), 7.01 (dt, J = 8.0, 0.8 Hz, 1H), 6.95 (dd, J = 2.8, 1.6 Hz, 1H), 6.85 (ddd, J = 8.4, 2.4, 1.2 Hz, 1H), 3.97 (t, J = 4.8 Hz, 2H), 3.07 (br s, 2H), 2.08-2.13 (m, 2H), 1.87-1.94 (m, 2H), 1.59-1.74 (m, 11H).
단계 3: 실시예 2 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방법에 따른 1-((3-(2-아미노에톡시)페닐)에티닐)시클로헵탄올의 수소화로 실시예 10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86 g, 52%): 1H NMR (400 MHz, CDCl3) δ 7.16 (t, J = 8.0 Hz, 1H), 6.75-6.79 (m, 2H), 6.70 (dd, J = 8.0, 2.0 Hz, 1H), 3.96 (t, J = 5.2 Hz, 2H), 3.04 (t, J = 4.8 Hz, 2H), 2.63-2.67 (m, 2H), 2.10 (br s, 2H), 1.72-1.76 (m, 2H), 1.67-1.69 (m, 4H), 1.36-1.65 (m, 8H).
실시예 11
4-(3-(2-아미노에톡시)페네틸)테트라히드로-2H-티오피란-4-올의 제조
Figure pat00153
4-(3-(2-아미노에톡시)페네틸)테트라히드로-2H-티오피란-4-올을 실시예 29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반응을 THF 중에 60 ℃ 에서 밤새 진행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4-에티닐테트라히드로-2H-티오피란-4-올과 브로마이드 19 의 커플링을 수행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2 EtOAc:헵탄) 로 정제시켜 2,2,2-트리플루오로-N-(3-(3-((4-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2H-티오피란-4-일)에티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822 g, 72%): 1H NMR (400 MHz, CDCl3) δ 7.26 (t, J = 4.5 Hz, 1H), 7.07 (dt, J =7.6, 1.2 Hz, 1H), 6.95 (dd, J = 2.5, 1.4 Hz, 1H), 6.87 (ddd, J = 8.2, 2.5, 0.8 Hz, 1H), 4.10 (m, 2H), 3.79 (q, J = 5.5 Hz, 2H), 2.73-2.92 (m, 4H), 2.26-2.31 (m, 2H), 2.01-2.04 (m, 2H).
단계 2: 2 당량의 K2CO3 을 사용하고, 반응물을 50 ℃ 에서 2 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9 의 제조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2,2,2-트리플루오로-N-(3-(3-((4-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2H-티오피란-4-일)에티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를 수행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EtOAc 및 물을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분액하였다. 수합된 유기물을 물 및 염수로 세정하고, Na2SO4 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CH2Cl2/EtOH/NH4OH 85:14:1) 로 정제시켜 4-((3-(2-아미노에톡시)페닐)에티닐)테트라히드로-2H-티오피란-4-올을 백색 비정질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41 g, 68%): 1H NMR (400 MHz, DMSO-d6) δ 7.23-7.28 (m, 1H), 6.93-6.98 (m, 3H), 5.69 (br s, 1H), 3.90 (t, J = 5.8 Hz, 2H), 2.83 (t, J = 5.8 Hz, 2H), 2.69 (t, J = 5.6 Hz, 4H), 2.09 (dt, J = 13.0, 4.6 Hz, 2H), 1.80 (5중항, J = 6.6 Hz, 2H), 1.60 (br s, 2H).
단계 3: EtOAc-MeOH (90%) 를 반응 용매로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 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방법에 따라 4-((3-(2-아미노에톡시)페닐)에티닐)테트라히드로-2H-티오피란-4-올의 수소화를 수행하였다. 실시예 11 을 무색 오일로서 단리시켰다. 수율 (0.179 g, 98%): 1H NMR (400 MHz, DMSO-d6) δ 7.13 (t, J = 8 Hz, 1H), 6.34-6.88 (m, 3H), 4.26 (br s, 1H), 3.86 (t, J = 6.0 Hz, 2H), 2.57-2.88 (m, 4H), 2.53-2.56 (m, 2H), 2.32-2.37 (m, 2H), 1.73-1.78 (m, 2H), 1.42-1.62 (m, 6H).
실시예 12
1-(3-(2-아미노에톡시)페네틸)시클로헥산올의 제조
Figure pat00154
1-(3-(2-아미노에톡시)페네틸)시클로헥산올을 하기 반응식 4 에 나타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4
Figure pat00155
단계 1: 무수 THF (25 ㎖) 중 3-브로모페놀 (14) (2.0 g, 11.56 mmol), N-(2-히드록시에틸)프탈이미드 (2.21 g, 11.6 mmol) 와 트리페닐 포스핀 (3.03 g, 11.6 mmol) 의 빙냉 용액에 디에틸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2.57 g, 12.7 mmol) 를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감압 하에 농축시킨 후, 50% EtOAc-헥산 (100 ㎖)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60 ℃ 로 가온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고체를 여과로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EtOAc-헥산) 로 정제시켜 브로마이드 17 을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92 g, 48%): 1H NMR (400 MHz, DMSO-d6) δ 7.82-7.88 (m, 4H), 7.19 (t, J = 8.4 Hz, 1H), 7.06-7.09 (m, 2H), 6.87-6.90 (m, 1H), 4.22 (t, J = 5.6 Hz, 2H), 3.93 (t, J = 5.6 Hz, 2H).
단계 2: 실시예 7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브로마이드 17 과 1-에티닐시클로헥산올을 커플링시킨 다음,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20% EtOAc-헥산) 로 화합물 24 를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22 g, 57%): 1H NMR (400 MHz, DMSO-d6) δ 7.82-7.88 (m, 4H), 7.21 (t, J =8.0 Hz, 1H), 6.92 (dt, J = 8.0, 0.8 Hz, 1H), 6.84-6.88 (m, 2H), 5.38 (br s, 1H), 4.20 (t, J = 5.6 Hz, 2H), 3.95 (t, J = 5.6 Hz, 2H), 1.78-1.82 (m, 2H), 1.59-1.62 (m, 2H), 1.41-1.53 (m, 4H), 1.22-1.94 (m,1H).
단계 3: 실시예 7 에 사용된 방법에 따른 화합물 24 의 수소화로 알코올 25 를 산출하였다. 수율 (0.512 g, 정량): 1H NMR (400 MHz, DMSO-d6) δ 7.81-7.88 (m, 4H), 7.10 (t, J = 7.6 Hz, 1H), 6.64-6.71 (m, 3H), 4.16 (t, J = 5.6 Hz, 2H), 3.93 (t, J = 6.8 Hz, 2H), 3.30 (s, 1H), 2.47-2.53 (m, 4H), 1.15-1.56 (m, 10H).
단계 4: 5 당량의 히드라진 수화물을 사용하고 반응물을 70 ℃ 에서 4 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9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알코올 25 의 탈보호를 수행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고체를 여과로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MeOH-CH2Cl2 중 7M NH3) 로 정제시켜 실시예 12 를 산출하였다. 수율 (0.341, 68%): 1H NMR (400 MHz, DMSO-d6) δ 7.13 (t, J = 8.0 Hz, 1H), 6.73-6.75 (m, 3H), 3.96 (br s, 1H), 3.86 (t, J = 5.6 Hz, 2H), 2.83 (t, J = 6.0 Hz, 2H), 2.52-2.56 (m, 2H), 1.16-1.60 (m, 12H).
실시예 13
6-(3-(2-아미노에톡시)페닐)헥산-1-올의 제조
Figure pat00156
6-(3-(2-아미노에톡시)페닐)헥산-1-올을 하기 반응식 5 에 나타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5
Figure pat00157
단계 1: THF (100 ㎖) 중 3-브로모페놀 (14) (5.0 g, 28.9 mmol) 의 용액에 tert-부틸 2-히드록시에틸카르바메이트 (9.3 g, 161 mmol) 및 PPh3 (30 g, 115 mmol) 을 첨가하였다. THF (40 ㎖) 중 디이소프로필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22.6 ㎖, 115.6 mmol) 의 용액을 실온에서 적가하였다. 반응을 50 ℃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EtOAc 에 용해시키고, 염수로 세정하고, Na2SO4 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6% EtOAc-헥산) 로 정제시켜 브로마이드 26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8.34 g, 91%): 1H NMR (400 MHz, CDCl3) δ 7.14 (t, J = 8.0 Hz, 1H), 7.05-7.11 (m, 2H), 6.81-6.84 (m, 1H), 4.96 (br s, 1H), 4.00 (t, J = 5.2 Hz, 2H), 3.52 (q, J = 4.8 Hz, 2H), 1.45 (s, 9H).
단계 2: Et3N (20 ㎖) 중 브로마이드 26 (0.600 g, 1.89 mmol) 과 알코올 27 (0.241 ㎖, 2.27 mmol) 의 탈기된 용액 (N2 로 버블링됨) 에 PdCl2(PPh3)2 (0.040 g, 0.056 mmol) 및 CuI (0.011 g, 0.056 mmol) 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0 ℃ 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EtOAc 에 용해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물 및 염수로 세정하고, Na2SO4 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20% EtOAc-헥산) 로 정제시켜 알킨 28 을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500 g, 79%): 1H NMR (400 MHz, CDCl3) δ 7.17 (t, J = 7.6 Hz, 1H), 6.99 (d, J = 7.6 Hz, 1H), 6.91 (s, 1H), 6.81 (d, J = 8.4 Hz, 1H), 4.72 (br s, 1H), 4.00 (t, J = 4.8 Hz, 2H), 3.72 (m, 2H), 3.48-3.55 (m, 2H), 2.46 (d, J = 6.8 Hz, 2H), 1.66-1.79 (m, 4H), 1.58 (s, 1H), 1.45 (s, 9H).
단계 3: 알킨 28 (500 ㎎, 1.52 mmol) 을 HCl-디옥산 (포화 용액 12 ㎖) 에 용해시키고,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킨 다음, 방법 2P 를 사용하여 분취용 HPLC 로 정제시켜, 아민 29 히드로클로라이드를 갈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61 g, 40%): 1H NMR (400 MHz, DMSO-d6) δ 8.15 (br s, 3H), 7.22-7.27 (m, 1H), 6.92-6.97 (m, 3H), 4.14 (t, J = 5.0 Hz, 2H), 3.40 (t, J = 5.8 Hz, 2H), 3.14-3.15 (m, 2H), 2.39 (t, J = 6.6 Hz, 2H), 1.51-1.53 (m, 4H).
단계 4: MeOH 중 아민 29 히드로클로라이드 (0.100 g, 0.42 mmol) 의 교반 용액에 5% Pd/C (30 % w/w, 0.023 g) 를 질소 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수소로 버블링시킨 다음, 50 ℃ 에서 2 시간 동안 수소 하에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시켜 고체를 제거하였다. 여과 케이크를 추가의 MeOH 로 헹구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실시예 13 히드로클로라이드를 크림색 고체로서 단리시켰다. 수율 (0.048 g, 47%): 1H NMR (400 MHz, CD3OD) δ 7.18 (t, J = 8.0 Hz, 1H), 6.78-6.83 (m, 3H), 4.19 (t, J = 5.2 Hz, 2H), 3.52 (t, J = 6.6 Hz, 2H), 3.34 (t, J = 5.2 Hz, 2H), 2.59 (t, J = 7.6 Hz, 2H), 1.58-1.63 (m, 2H), 1.43-1.52 (m, 2H), 1.24-1.42 (m, 4H).
실시예 14
2-(3-(3-시클로펜틸프로필)페녹시)에탄아민의 제조
Figure pat00158
2-(3-(3-시클로펜틸프로필)페녹시)에탄아민을 실시예 13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프로프-2-이닐시클로펜탄과 브로마이드 26 을 커플링시키고,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5% EtOAc-헥산) 로 정제시켜 tert-부틸 2-(3-(3-시클로펜틸프로프-1-이닐)페녹시)에틸카르바메이트를 백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수율 (0.500 g, 77%): 1H NMR (400 MHz, CDCl3) δ 6.91-7.21 (m, 3H), 6.80-6.84 (m, 1H), 4.97 (br s, 1H), 4.00 (t, J = 4.8 Hz, 2H), 3.52 (q, J = 4.4 Hz, 2H), 2.40 (d, J = 6.8 Hz, 2H), 2.07-2.17 (m, 1H), 1.80-1.87 (m, 2H), 1.48-1.70 (m, 4H), 1.45 (s, 9H), 1.29-1.40 (m, 2H).
단계 2: 디옥산 중 HCl 로 tert-부틸 2-(3-(3-시클로펜틸프로프-1-이닐)페녹시)에틸카르바메이트를 탈보호시켜 2-(3-(3-시클로펜틸프로프-1-이닐)페녹시)에탄아민을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60 g, 45%): 1H NMR (400 MHz, DMSO-d6) δ 7.20-7.24 (m, 1H), 6.89-6.94 (m, 3H), 4.00 (t, J = 5.0 Hz, 2H), 3.00 (br s, 2H), 3.81 (d, J = 6.8 Hz, 2H), 2.04 (5중항, J = 7.2, 1H), 1.71-1.78 (m, 2H), 1.44-1.62 (m, 4H), 1.20-1.31 (m, 2H).
단계 3: 실시예 13 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방법에 따른 2-(3-(3-시클로펜틸프로프-1-이닐)페녹시)에탄아민의 수소화로 실시예 14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63 g, 68%): 1H NMR (400 MHz, DMSO-d6) δ 7.89 (br s, 3H), 7.18 (t, J = 8.0 Hz, 1H), 6.74-6.79 (m, 3H), 4.09 (t, J = 5.2 Hz, 2H), 3.18 (m, 2H), 2.42-2.53 (m, 2H), 1.62-1.73 (m, 3H), 1.38-1.58 (m, 6H), 1.22-1.28 (m, 2H), 0.92-1.04 (m, 2H).
실시예 15
1-(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네틸)시클로헥산올의 제조
Figure pat00159
1-(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네틸)시클로헥산올을 하기 반응식 6 에 나타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6
Figure pat00160
단계 1: 반응물을 2 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7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3-브로모벤즈알데히드를 알킨올 23 과 커플링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EtOAc 및 물을 첨가하여 분액하였다. 유기물을 Na2SO4 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30% EtOAc-헥산) 로 정제시켜 알킨 31 을 산출하였다. 수율 (3.52 g, 53%): 1H NMR (400 MHz, DMSO-d6) δ 9.99 (s, 1H), 7.84-7.90 (m, 2H), 7.68-7.71 (m, 1H), 7.58 (t, J = 7.6 Hz, 1H), 5.50 (s, 1H), 1.19-1.87 (m, 10H).
단계 2: EtOAc 를 용매로 사용하고 반응을 3 시간 동안 진행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알킨올 31 을 수소화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20% EtOAc-헥산) 로 정제시켜 알데히드 32 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2.82 g, 79%): 1H NMR (400 MHz, DMSO-d6) δ 9.97 (s, 1H), 7.68-7.71 (m, 2H), 7.52-7.54 (m, 1H), 7.48 (t, J = 7.6 Hz, 1H), 4.03 (s, 1H), 2.68-2.72 (m, 2H), 1.19-1.63 (m, 12H).
단계 3: 무수 THF (50 ㎖) 중 LDA 의 -78 ℃ 용액 (헵탄/THF/에틸벤젠 중 2M 용액 13.3 ㎖, 26.51 mmol) 에 아세토니트릴 (1.33 ㎖, 25.31 mmol) 을 서서히 첨가하고, 혼합물을 15 분 동안 교반하였다. THF (30 ㎖) 중 알데히드 32 (2.8 g, 12.05 mmol) 의 용액을 시린지를 통해 첨가하였다. 실온으로 서서히 가온한 후,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NH4Cl (30 ㎖) 로 켄칭시켰다. EtOAc 및 물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분액하고, 유기물을 Na2SO4 로 건조시키고,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40% EtOAc-헥산) 로 정제시켜 시아노히드린 33 을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2.21 g, 67%): 1H NMR (400 MHz, DMSO-d6) δ 7.07-7.24 (m, 4H), 5.86 (d, J = 4.0 Hz, 1H), 4.83 (q, J = 6.0 Hz, 1H), 3.99 (br s, 1H), 2.74-2.88 (m, 2H), 2.57-2.62 (m, 2H), 1.14-1.61 (m, 12H).
단계 4: 무수 THF (50 ㎖) 중 시아노히드린 33 (2.2 g, 8.05 mmol) 의 빙냉 용액에 LiAlH4 (THF 중 2M 용액 10.0 ㎖, 20 mmol) 을 시린지를 통해 서서히 첨가하였다. 첨가 동안, 침전물이 형성되고, 추가의 THF (100 ㎖) 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서서히 2 시간에 걸쳐 가온한 다음, 기체 발생이 중단될 때까지 고체 Na2SO4ㆍ10H2O 를 서서히 첨가하였다. 고체를 여과로 제거한 다음, 여과액을 Na2SO4 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MeOH-CH2Cl2 중 7M NH3) 로 정제시켜 실시예 15 를 오일로서 수득하고, 방치하여 응고시켰다. 수율 (1.15 g, 52%): 1H NMR (400 MHz, DMSO-d6) δ 7.16 (d, J = 7.6 Hz, 1H), 6.99-7.12 (m, 3H), 4.59-4.62 (m, 1H), 3.98 (br s, 1H), 2.49-2.67 (m, 4H), 1.16-1.63 (m, 17H).
실시예 16
1-(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네틸)시클로헵탄올의 제조
Figure pat00161
1-(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네틸)시클로헵탄올을 하기 반응식 7 에 나타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7
Figure pat00162
단계 1: 칼륨 t-부톡시드 (THF 중 1.0 M 용액 703 ㎖, 703 mmol) 의 -50 ℃ 용액에 아세토니트릴 (27.73 g, 675.6 mmol) 을 시린지를 통해 5 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0 ℃ 에서 30 분 동안 교반한 다음, THF (50 ㎖) 중 3-브로모벤즈알데히드 (22) (100 g, 540.5 mmol) 의 용액을 5 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30 분 동안 교반한 다음, 0 ℃ 로 가온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NH4Cl (250 ㎖) 로 켄칭시키고, 층을 분리하였다. 유기물을 염수로 세정하고, Na2SO4 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3-(3-브로모페닐)-3-히드록시프로판니트릴 (34) 을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이 물질을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합성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수율 (117.6 g, 96%): 1H NMR (400 MHz, DMSO-d6) δ 7.60 (t, J = 1.6 Hz, 1H), 7.46 (ddd, J = 7.6, 2.0, 1.2 Hz, 1H), 7.40 (dd, J = 7.6, 2.0 Hz, 1H), 7.31 (t, J = 7.6 Hz, 1H), 6.05 (d, J = 4.8 Hz, 1H), 2.80-2.94 (m, 2H).
단계 2: 디이소프로필아민 (6 ㎖) 과 디옥산 (30 ㎖) 중 니트릴 34 (2.15 g, 9.5 mmol), 1-에티닐시클로헵탄올 (35) (2.62 g, 19 mmol) 과 P(t-Bu)3 (디옥산 중 1M 용액 0.95 ㎖, 0.95 mmol) 의 용액에 PdCl2(PPh3)2 (0.33 g, 0.47 mmol) 및 CuI (0.090 g, 0.47 mmol) 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탈기 (아르곤/진공) 한 다음, 45 ℃ 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2 내지 1:1 EtOAc-헥산) 로 2 회 정제시켜 알킨 36 을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2.35 g, 87%): 1H NMR (400 MHz, CDCl3) δ 7.33-7.46 (m, 4H), 4.99-5.04 (m, 1H), 3.66-3.74 (m, 1H), 2.72-2.78 (m, 2H), 1.56-2.13 (m, 12H).
단계 3: EtOAc 를 용매로 사용하고 반응을 1.5 시간 동안 교반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알킨 36 을 수소화시켰다. 생성물인 디올 37 을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수율 (1.26 g, 97%): 1H NMR (400 MHz, CDCl3) δ 7.11-7.26 (m, 4H), 4.95 (t, J = 6.4 Hz, 1H), 3.55-3.60 (m, 2H), 2.63-2.71 (m, 4H), 1.32-1.72 (m, 12H).
단계 4: 실시예 15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디올 37 을 환원시켰다. NaOH (50% w/w 용액 0.3 ㎖) 로 반응을 켄칭시킨 다음,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MeOH-CH2Cl2, 그 다음 10 내지 20% MeOH/CH2Cl2 중 7M NH3) 로 정제시켜 실시예 16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고, 이를 방치하여 백색 고체로 응고시켰다. 수율 (약 0.149 g, 67%): 1H NMR (400 MHz, DMSO-d6) δ 7.16 (t, J = 7.6 Hz, 1H), 7.12 (s, 1H), 7.07 (d, J = 7.6 Hz, 1H), 6.99 (t, J = 7.6 Hz, 1H), 4.60 (dd, J = 7.6, 5.6 Hz, 1H), 3.97 (br s, 1H), 3.25 (br s, 2H), 2.56-2.66 (m, 4H), 1.26-1.64 (m, 16H).
실시예 17
3-아미노-1-(3-(2-시클로펜틸에틸)페닐)프로판-1-올의 제조
Figure pat00163
3-아미노-1-(3-(2-시클로펜틸에틸)페닐)프로판-1-올을 하기 반응식 8 에 나타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8
Figure pat00164
단계 1: 아르곤 하에서 THF (300 ㎖) 중 3-(3-브로모페닐)-3-히드록시프로판니트릴 (34) (117.5 g, 519.8 mmol) 의 용액에 보란-디메틸술피드 착물 (68 ㎖; BH3 중 10.0 M, 675.7 mmol) 을 적가 깔때기를 통해 30 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환류에서 2.5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HCl-MeOH (1.25 M 용액 350 ㎖) 를 30 분에 걸쳐 첨가하여 반응을 켄칭시켰다.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킨 다음, 물을 첨가하고, 50% NaOH 수용액으로 혼합물을 pH ~12 로 조정하였다. 수성 혼합물을 CH2Cl2 로 추출하고, 수합된 유기물을 Na2SO4 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10% MeOH-CH2Cl2 에 용해시키고, 10% MeOH-CH2Cl2, 그 다음 10% MeOH/CH2Cl2 중 7 M NH3 으로 실리카 패드를 통해 용출시켜 아민 38 을 산출하였다. 이 물질을 추가의 정제 없이 후속 합성 단계에 사용하였다. 수율 (106 g, 87%): 1H NMR (400 MHz, DMSO-d6) δ 7.49 (m, 1H), 7.37 (dt, J = 7.2, 1.6 Hz, 1H), 7.23-7.31 (m, 2H), 4.66 (t, J = 6.8 Hz, 1H), 2.61 (m, 2H), 1.61 (q, J = 6.8 Hz, 2H).
단계 2: CH2Cl2 (20 ㎖) 중 아민 38 (5.628 g, 26.0 mmol) 의 용액에 Et3N (5.43 ㎖, 39.0 mmol) 및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 (8.52 g, 39.0 mmol) 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EtOAc 에 용해시키고, 염수로 세정하고, Na2SO4 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3% EtOAc-헥산) 로 정제시켜 tert-부틸 3-(3-브로모페닐)-3-히드록시프로필카르바메이트 (39) 를 진한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4.0 g, 48%): 1H NMR (400 MHz, CDCl3) δ 7.53 (s, 1H), 7.39 (d, J = 8.0 Hz, 1H), 7.29 (d, J = 7.6 Hz, 1H), 7.20 (t, J = 7.6 Hz, 1H), 4.87 (br s, 1H), 4.71 (d, J = 6.4 Hz, 1H), 3.64 (br s, 1H), 3.50-3.59 (m, 1H), 3.12-3.19 (m, 1H), 1.77-1.87 (m, 2H), 1.46 (s, 9H).
단계 3: 실시예 13 의 합성에 사용된 방법에 따른 에티닐시클로펜탄 (40) 과 tert-부틸 3-(3-브로모페닐)-3-히드록시프로필카르바메이트 (39) 의 커플링으로 tert-부틸 3-(3-(시클로펜틸에티닐)페닐)-3-히드록시프로필카르바메이트 (41) 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86 g, 92%).
단계 4: 실시예 13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tert-부틸 3-(3-(시클로펜틸에티닐)페닐)-3-히드록시프로필카르바메이트 (41) 를 탈보호시키고, 분취용 HPLC (방법 1P) 로 정제시켜, 화합물 42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5 g, 74%): 1H NMR (400 MHz, CDCl3) δ 7.17-7.31 (m, 4H), 4.85 (dd, J = 7.6, 4.0 Hz, 1H), 3.11-3.17 (m, 2H), 2.69 (5중항, J = 7.2 Hz, 1H), 1.56-2.02 (m, 10H).
단계 5: 반응을 실온에서 밤새 진행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3 에 사용된 방법에 의해 화합물 42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수소화시켰다. 실시예 17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백색의 점성 고체로서 단리시켰다. 수율 (0.094 g, 84%): 1H NMR (400 MHz, DMSO-d6) δ 7.64 (br s, 3H), 7.20 (t, J = 7.6 Hz, 1H), 7.03-7.11 (m, 3H), 5.48 (br s, 1H), 4.61 (t, J = 5.6 Hz, 1H), 2.76-2.87 (m, 2H), 2.54 (t, J = 8.0 Hz, 2H), 1.63-1.84 (m, 5H), 1.38-1.58 (m, 6H), 1.02-1.14 (m, 2H).
실시예 18
3-아미노-1-(3-(3-페닐프로필)페닐)프로판-1-올의 제조
Figure pat00165
3-아미노-1-(3-(3-페닐프로필)페닐)프로판-1-올을 실시예 17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프로프-2-이닐벤젠과 브로마이드 39 의 커플링으로 tert-부틸 3-히드록시-3-(3-(3-페닐프로프-1-이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404 g, 91%): 1H NMR (400 MHz, CDCl3) δ 7.40-7.45 (m, 3H), 7.32-7.36 (m, 3H), 7.20-7.29 (m, 3H), 4.87 (br s, 1H), 4.72 (br s, 1H), 3.83 (s, 2H), 3.51-3.54 (m, 1H), 3.35 (br s, 1H), 3.12-3.19 (m, 1H), 1.81-1.84 (m, 2H), 1.45 (s, 9H).
단계 2: tert-부틸 3-히드록시-3-(3-(3-페닐프로프-1-이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탈보호시킨 다음, 분취용 HPLC (방법 1P) 로 정제시켜, 3-아미노-1-(3-(3-페닐프로프-1-이닐)페닐)프로판-1-올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14 g, 27%): 1H NMR (400 MHz, CDCl3) δ 7.92 (br s, 2H), 7.26-7.37 (m, 5H), 7.16-7.23 (m, 4H), 4.79 (dd, J = 8.4, 3.6 Hz, 1H), 3.75 (s, 2H), 3.02-3.16 (m, 2H), 1.93-1.98 (m, 2H).
단계 3: 반응을 50 ℃ 에서 1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3 에 사용된 방법에 의해 3-아미노-1-(3-(3-페닐프로프-1-이닐)페닐)프로판-1-올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수소화시켜 실시예 18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33 %): 1H NMR (400 MHz, DMSO-d6) δ 7.76 (br s, 3H), 7.24-7.31 (m, 3H), 7.09-7.21 (m, 6H), 5.52 (br s, 1H), 4.65 (t, J = 5.6 Hz, 1H), 2.67-2.89 (m, 2H), 2.52-2.64 (m, 4H), 1.78-1.91 (m, 4H).
실시예 19
4-(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네틸)헵탄-4-올의 제조
Figure pat00166
4-(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네틸)헵탄-4-올을 하기 반응식 9 에 나타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9
Figure pat00167
단계 1: EtOH (10 ㎖) 중 아민 38 (1.70 g, 7.39 mmol) 의 용액에 에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10 ㎖) 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4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20% EtOAc-헥산) 로 정제시켜 아릴 브로마이드 43 을 투명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820 g, 34%): 1H NMR (400 MHz, DMSO-d6) δ 9.33 (s, 1H), 7.51 (t, J = 2.0 Hz, 1H), 7.41 (dt, J = 7.6, 2.0 Hz, 1H), 7.25-7.32 (m, 2H), 5.46 (d, J = 6.4 Hz, 1H), 4.55-4.60 (m, 1H), 3.20-3.23 (m, 2H), 1.75-1.82 (m, 2H).
단계 2: 실시예 7 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방법에 따라 4-에티닐헵탄-4-올 (44) 과 브로마이드 43 의 커플링을 수행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40% EtOAc-헥산) 로 정제시켜 알킨 45 를 투명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520 g, 54%): 1H NMR (400 MHz, DMSO-d6) δ 9.35 (m, 1H), 7.29-7.34 (m, 3H), 7.22-7.26 (m, 1H), 5.39 (d, J = 4.4 Hz, 1H), 5.12 (s, 1H), 4.59 (dt, J = 8.4, 4.8 Hz, 1H), 3.25 (5중항, J = 7.6 Hz, 2H), 1.80 (5중항, J = 8.0 Hz, 2H), 1.44-1.63 (m, 8H), 0.92 (t, J = 7.2 Hz, 6H).
단계 3: 사용된 반응 용매가 EtOAc 이고 반응 시간이 2 시간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알킨 45 의 수소화를 수행하였다. 알코올 46 을 오일로서 단리시키고,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수율 (0.519 g, 정량): 1H NMR (400 MHz, CDCl3) δ 9.29 (t, J = 5.2 Hz, 1H), 7.16 (t, J = 7.2 Hz, 1H), 7.05-7.09 (m, 2H), 6.99 (d, J = 7.2 Hz, 1H), 5.23 (br s, 1H), 4.50 (t, J = 6.0 Hz, 1H), 3.93 (br s, 1H), 3.20 (q, J = 6.8 Hz, 2H), 2.44-2.50 (m, 2H), 1.72-1.77 (m, 2H), 1.19-1.33 (m, 10H), 0.82 (t, J = 6.8 Hz, 6H).
단계 4: 10% H2O-MeOH (20 ㎖) 중 알코올 46 (0.510 g, 1.31 mmol) 의 용액에 K2CO3 (0.905 g, 6.55 mmo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킨 다음, EtOAc 및 물을 첨가하여 분액하였다. 수합된 유기물을 Na2SO4 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MeOH/CH2Cl2 중 7 M NH3) 로 정제시켜 실시예 19 를 투명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02 g, 53%): 1H NMR (400 MHz, CDCl3) δ 7.17 (t, J = 7.2 Hz, 1H), 7.12 (m, 1H), 7.07-7.09 (m, 1H), 6.98-7.00 (m, 1H), 4.59-4.62 (m, 1H), 3.96 (br s, 1H), 2.57-2.66 (m, 2H), 2.48-2.53 (m, 2H),1.53-1.65 (m, 4H), 1.22-1.36 (m, 10H), 0.84-0.86 (m, 6H).
실시예 20
1-(3-(3-아미노프로필)페네틸)시클로헵탄올의 제조
Figure pat00168
1-(3-(3-아미노프로필)페네틸)시클로헵탄올을 실시예 7 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실시예 7 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방법에 따라 1-에티닐시클로헵탄올과 브로마이드 10 을 커플링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20% EtOAc-헥산) 로 정제시켜 2,2,2-트리플루오로-N-(3-(3-((1-히드록시시클로헵틸)에티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78 g, 60%): 1H NMR (400 MHz, DMSO-d6) δ 9.40 (s, 1H), 7.26 (t, J =7.6 Hz, 1H), 7.17-7.22 (m, 3H), 5.26 (s, 1H), 3.16 (q, J = 6.0 Hz, 2H), 2.56 (t, J = 7.2 Hz, 2H), 1.91-1.97 (m, 2H), 1.73-1.79 (m, 4H), 1.45-1.63 (m, 8H).
단계 2: 5 당량의 K2CO3 를 사용하고 반응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 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방법에 따라 2,2,2-트리플루오로-N-(3-(3-((1-히드록시시클로헵틸)에티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를 수행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MeOH/CH2Cl2 중 7M NH3) 로 정제시켜 2,2,2-트리플루오로-N-(3-(3-(2-(1-히드록시시클로헵틸)에틸)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투명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635 g, 86%): 1H NMR (400 MHz, DMSO-d6) δ 7.16-7.32 (m, 4H), 5.13 (s, 1H), 4.65 (t, J = 6.0 Hz, 1H), 2.56-2.64 (m, 2H), 1.44-1.63 (m, 12H), 0.90 (t, J = 7.6 Hz, 6H).
단계 3: 실시예 7 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방법에 따라 2,2,2-트리플루오로-N-(3-(3-(2-(1-히드록시시클로헵틸)에틸)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수소화시켜 실시예 19 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05 g, 100%): 1H NMR (400 MHz, DMSO-d6) δ 7.13 (t, J = 7.2 Hz, 1H), 6.94-6.98 (m, 3H), 4.01 (br s, 1H), 2.47-2.58 (m, 4H), 1.32-1.62 (m, 20H).
실시예 21
3-(3-(2-(나프탈렌-2-일)에틸)페닐)프로판-1-아민의 제조
Figure pat00169
3-(3-(2-(나프탈렌-2-일)에틸)페닐)프로판-1-아민을 하기 반응식 10 에 나타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10
Figure pat00170
단계 1: 트리에틸아민 (25 ㎖) 중 3-(3-브로모페닐)프로판-1-올 (47) (0.95 g, 4.5 mmol) 과 2-메틸-3-부틴-2-올 (48) (1.6 ㎖, 16 mmol) 의 탈기된 용액에 PdCl2(PPh3)3 (0.095 g, 0.14 mmol) 및 CuI (0.027 g, 0.14 mmol) 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탈기시키고, 아르곤 하에 70 ℃ 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EtOAc (50 ㎖) 로 희석시켰다. 여과로 미량의 고체를 제거한 다음, 여과액을 물 및 염수로 세정하고, Na2SO4 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 100% EtOAc-헥산 구배) 로 정제시켜 4-(3-(3-히드록시프로필)페닐)-2-메틸부트-3-인-2-올 (49) 을 연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78 g, 80%): 1H NMR (400 MHz, DMSO-d6) δ 7.18-7.29 (m, 4H), 5.46 (s, 1H), 4.48 (t, J = 4.0 Hz, 1H), 3.38 (q, J = 4.0 Hz, 2H), 2.59 (t, J = 6.0 Hz, 2H), 2.46 (m, 2H), 1.46 (s, 6H).
단계 2: 톨루엔 (50 ㎖) 중 4-(3-(3-히드록시프로필)페닐)-2-메틸부트-3-인-2-올 (49) (0.750 g, 3.4 mmol) 의 용액에 분말화된 KOH (0.390 g, 7 mmol) 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환류에서 45 분 동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10-15 ㎖ 부피로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EtOAc 및 물을 첨가하여 분액하였다. 수합된 유기물을 물 및 염수로 세정하고, MgSO4 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5% EtOAc-헥산) 로 정제시켜 3-(3-에티닐페닐)프로판-1-올 (50) 을 연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72 g, 49%).
단계 3: Et3N (13 ㎖) 중 알코올 50 (0.5 g, 3.12 mmol) 과 2-브로모나프탈렌 (51) (0.54 g, 2.60 mmol) 의 탈기된 용액에 PdCl2(PPh3)2 (0.055 g, 0.078 mmol) 및 CuI (0.015 g, 0.078 mmol) 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0 ℃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EtOAc 에 용해시키고, 고체를 여과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물 및 염수로 세정하고, Na2SO4 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8% EtOAc-헥산) 로 정제시켜 알코올 52 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40 g, 45%): 1H NMR (400 MHz, CDCl3) δ 8.06 (br s, 1H), 7.80-7.83 (m, 2H), 7.58 (dd, J =8.8, 2.0 Hz, 1H), 7.47-7.51 (m, 2H), 7.41-7.43 (m, 2H), 7.26-7.31 (m, 2H), 7.18 (d, J = 7.6 Hz, 1H), 4.77 (br s, 1H), 4.11 (t, J = 6.4 Hz, 2H), 2.71 (t, J = 7.6 Hz, 2H), 1.99 (5중항, J = 6.8 Hz, 2H).
단계 4: THF (20 ㎖) 중 알코올 52 (0.35 g, 1.22 mmol) 의 용액에 프탈이미드 (0.18 g, 1.28 mmol) 및 PPh3 (0.40 g, 1.52 mmol) 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 로 냉각시키고, THF (5 ㎖) 중 디이소프로필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0.32 g, 1.61 mmol) 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반응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20% EtOAc-헵탄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 분 동안 초음파 처리한 다음, 침전물을 여과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EtOAc-헥산) 로 정제시켜 알킨 53 을 황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40 g, 80%): 1H NMR (400 MHz, CDCl3) δ 8.44 (d, J = 8.0 Hz, 1H), 7.82-7.88 (m, 4H), 7.76 (dd, J = 7.2, 1.2 Hz, 1H), 7.70 (dd, J = 5.2, 3.2 Hz, 2H), 7.59-7.64 (m, 1H), 7.52-7.56 (m, 1H), 7.42-7.49 (m, 3H), 7.29 (d, J = 7.6 Hz, 1H), 7.22 (d, J = 8.0 Hz, 1H), 3.79 (t, J = 7.2 Hz, 2H), 2.73 (t, J = 7.2 Hz, 2H), 2.09 (5중항, J = 7.2 Hz, 2H).
단계 5: EtOH (4 ㎖) 중 알킨 53 (0.40 g, 0.96 mmol) 의 용액에 히드라진 수화물 (0.17 ㎖, 2.89 mmol) 을 첨가하였다. 반응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디에틸 에테르를 첨가하고, 고체를 여과로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방법 2P 를 사용하는 분취용 HPLC 로 정제시켜 아민 54 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2 g, 44%): 1H NMR (400 MHz, DMSO-d6) δ 8.18 (s, 1H), 7.80-7.95 (m, 3H), 7.69 (br s, 2H), 7.57-7.62 (m, 3H), 7.45-7.49 (m, 2H), 7.40 (t, J = 7.6 Hz, 1H), 7.30 (d, J = 7.6 Hz, 1H), 2.80 (t, J = 7.2 Hz, 2H), 2.69 (t, J = 7.6 Hz, 2H), 1.87 (5중항, J = 7.6 Hz, 2H).
단계 6: 실시예 13 에 사용된 방법에 따른 알킨 54 의 수소화로 실시예 21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19 g, 23%): 1H NMR (400 MHz, DMSO-d6) δ 7.81-7.88 (m, 3H), 7.71 (s, 1H), 7.68 (br s, 2H), 7.42-7.50 (m, 3H), 7.22 (t, J = 7.4 Hz, 1H), 7.10-7.12 (m, 2H), 7.03 (d, J = 7.6 Hz, 1H), 3.02-3.06 (m, 2H), 2.94-2.98 (m, 2H), 2.78 (t, J = 7.4 Hz, 2H), 2.61 (t, J = 7.6, 2H), 1.81 (5중항, J = 7.6 Hz, 2H).
실시예 22
3-(3-페네틸페닐)프로판-1-아민의 제조
Figure pat00171
3-(3-페네틸페닐)프로판-1-아민을 하기 반응식 11 에 나타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11
Figure pat00172
단계 1: 반응을 실온에서 진행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3 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알코올 47 과 프탈이미드의 커플링을 수행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6% EtOAc-헥산) 로 정제시켜 프탈이미드 55 를 크림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8.6 g, 92%). 1H NMR (400 MHz, DMSO-d6) δ 7.81-7.87 (m, 4H), 7.44 (s, 1H), 7.31-7.33 (m, 1H), 7.19-7.24 (m, 2H), 3.60 (t, J = 6.8 Hz, 2H), 2.63 (t, J = 7.6 Hz, 2H), 1.87-1.94 (m, 2H).
단계 2: 반응 혼합물을 환류에서 1.5 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1 에 사용된 방법에 따른 프탈이미드 55 의 탈보호로 아민 56 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이 화합물을 정제 없이 다음 합성 단계에 취하였다. 수율 (5.4 g, 98%).
단계 3: 실시예 17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아민 56 을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로 보호시켜 카르바메이트 57 을 연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카르바메이트 57 를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합성 단계에 사용하였다. 수율 (6.97 g, 86%): 1H NMR (400 MHz, DMSO-d6) δ 7.33 (s, 1H), 7.26-7.34 (m, 1H), 7.08-7.20 (m, 2H), 4.55 (br s, 1H), 3.15 (q, J = 6 Hz, 2H), 2.61 (t, J = 8.0 Hz, 2H), 1.79 (5중항, J = 7.6 Hz, 2H), 1.44 (s, 9H).
단계 4: 실시예 13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페닐아세틸렌 (58) 과 브로마이드 57 의 커플링을 수행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5% EtOAc-헥산) 로 정제시켜 tert-부틸 3-(3-(페닐에티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 (59) 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2 g, 50%): 1H NMR (400 MHz, CDCl3) δ 7.53 (dd, J = 7.2, 2 Hz, 2H), 7.42-7.47 (m, 1H), 7.36-7.38 (m, 1H), 7.20-7.26 (m, 2H), 7.11 (d, J = 8.0 Hz, 1H), 6.98 (t , J = 7.6 Hz, 1H), 6.86 (m, 1H), 4.54 (br s, 1H), 3.14-3.17 (m, 2H), 2.63 (5중항, J = 7.6 Hz, 2H), 1.76-1.86 (m, 2H), 1.38 (s, 9H).
단계 5: 실시예 13 의 제조에 사용된 절차에 따라 tert-부틸 3-(3-(페닐에티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 (59) 의 탈보호를 수행하였다. 디에틸 에테르로부터 분쇄하여 3-(3-(페닐에티닐)페닐)프로판-1-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60) 를 회색을 띤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9 g, 73%): 1H NMR (400 MHz, DMSO-d6) δ 8.08 (br s, 2H), 7.55-7.57 (m, 1H), 7.21-7.46 (m, 6H), 7.21-7.30 (m, 2H), 2.77 (q, J = 7.6 Hz, 2H), 2.66 (q, J = 7.6 Hz, 2H), 1.82-1.93 (m, 2H).
단계 6: 실시예 18 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방법에 따라 3-(3-(페닐에티닐)페닐)프로판-1-아민의 수소화를 수행하였다. 방법 1P 를 사용하는 분취용 HPLC 로 이 화합물을 정제시켜 실시예 23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크림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80 g, 36%): 1H NMR (400 MHz, CDCl3) δ 7.87 (br s, 2H), 7.24-7.28 (3H), 7.16-7.20 (m, 3H), 6.93-7.03 (m, 3H), 2.85-2.87 (m, 5H (명백한 낮은 통합)), 2.61 (t, J = 7.6 Hz, 2H), 1.94 (5중항, J = 7.6 Hz, 2H); 13C NMR (300 MHz, CDCl3) δ 142.20, 141.71, 139.72, 128.62, 128.46, 128.44, 128.30, 126.55, 125.88, 125.77, 39.35, 37.84, 37.79, 32.28, 28.90.
실시예 23
4-(3-(3-아미노프로필)페닐)부탄-1-올의 제조
Figure pat00173
4-(3-(3-아미노프로필)페닐)부탄-1-올을 실시예 2 의 제조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부트-3-인-1-올과 브로마이드 10 의 커플링으로 2,2,2-트리플루오로-N-(3-(3-(4-히드록시부트-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9 g, 62%): 1H NMR (400 MHz, DMSO-d6) δ 9.40 (br s, 1H), 7.15-7.26 (m, 4H), 4.86 (br s, 1H), 3.56 (app t, J = 6.8 Hz, 2H), 3.16 (q, J = 6.8 Hz, 2H), 2.47-2.56 (m, 4H), 1.76 (5중항, J = 7.6 Hz, 2H).
단계 2: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CH2Cl2/EtOH/NH4OH 85:14:1) 로 정제시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 에 사용된 방법에 따른 2,2,2-트리플루오로-N-(3-(3-(4-히드록시부트-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로 4-(3-(3-아미노프로필)페닐)부트-3-인-1-올을 투명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36 g, 65%): 1H NMR (400 MHz, DMSO-d6) δ 7.12-7.24 (m, 4H), 3.56 (t, J = 6.9 Hz, 2H), 2.47-2.57 (m, 6H), 1.59 (5중항, J = 6.9 Hz, 2H).
단계 3: 실시예 18 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방법에 따른 4-(3-(3-아미노프로필)페닐)부트-3-인-1-올의 수소화로 실시예 23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40 g, 56%): 1H NMR (400 MHz, DMSO-d6) δ 7.74 (br s, 3H), 7.20 (t, J = 8.0 Hz, 1H), 7.00-7.06 (m, 3H), 4.37 (m, 1H), 3.27-3.41 (m, 2H), 2.76 (t, J = 7.6 Hz, 2H), 2.45-2.62 (m, 4H), 1.78-1.86 (m, 2H), 1.54-1.61 (m, 2H), 1.39-1.46 (m, 2H).
실시예 24
3-(3-(2-시클로펜틸에틸)페닐)프로판-1-아민의 제조
Figure pat00174
3-(3-(2-시클로펜틸에틸)페닐)프로판-1-아민을 실시예 22 의 제조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실시예 22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에티닐시클로펜탄과 브로마이드 57 의 커플링을 수행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6% EtOAc-헥산) 로 정제시켜 tert-부틸 3-(3-(시클로펜틸에티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70 g, 84%): 1H NMR (400 MHz, DMSO-d6) δ 7.06-7.33 (m, 4H), 2.85 (5중항, J = 7.4 Hz, 1H), 2.57-2.66 (m, 2H), 2.62 (t, J = 8.0 Hz, 2H), 1.93-2.01 (m, 2H), 1.82 (5중항, J = 7.6 Hz, 2H), 1.66-1.75 (m, 2H), 1.55-1.64 (m, 4H), 1.45 (m, 9H).
단계 2: 분취용 HPLC (방법 1P) 에 의한 정제에 따른 tert-부틸 3-(3-(시클로펜틸에티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의 탈보호로 3-(3-(시클로펜틸에티닐)페닐)프로판-1-아민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2 g, 30%): 1H NMR (400 MHz, DMSO-d6) δ 7.68 (br s, 2H), 7.27 (t, J = 7.6 Hz, 1H), 7.16-7.24 (m, 3H), 2.85 (5중항, J = 7.6 Hz, 1H), 2.75 (br s, 2H), 2.62 (t, J = 7.2 Hz, 2H), 1.93-2.01 (m, 2H), 1.82 (5중항, J = 7.6 Hz, 2H), 1.67-1.71 (m, 2H), 1.56-1.66 (m, 4H).
단계 3: 실시예 18 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방법에 따른 3-(3-(시클로펜틸에티닐)페닐)프로판-1-아민을 수소화시켜 실시예 24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80 ㎎, 79%): 1H NMR (400 MHz, DMSO-d6) δ 7.67 (br s, 3H), 7.20 (t, J = 8.0 Hz, 1H), 7.00-7.15 (m, 3H), 2.78 (t, J = 8.4 Hz, 2H), 2.54-2.62 (m, 4H), 1.66-1.85 (m, 4H), 1.42-1.64 (m, 7H), 1.18-1.15 (m, 2H).
실시예 25
3-(3-(2-시클로헥실에틸)페닐)프로판-1-아민의 제조
Figure pat00175
3-(3-(2-시클로헥실에틸)페닐)프로판-1-아민을 실시예 22 의 제조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실시예 22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에티닐시클로헥산과 브로마이드 57 의 커플링을 수행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5% EtOAc-헥산) 로 정제시켜 tert-부틸 3-(3-(시클로헥실에티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50 g, 57%).
단계 2: tert-부틸 3-(3-(시클로헥실에티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탈보호시킨 다음, 분취용 HPLC (방법 1P) 로 정제시켜 3-(3-(시클로헥실에티닐)페닐)프로판-1-아민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크림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1 g, 40%): 1H NMR (400 MHz, DMSO-d6) δ 7.67 (br s, 2H), 7.28 (t, J = 7.6 Hz, 1H), 7.17-7.24 (m, 3H), 2.74-2.79 (m, 1H), 2.64 (t, J = 7.6 Hz, 4H), 1.82 (5중항, J = 7.2 Hz, 4H), 1.67-1.68 (m, 2H), 1.32-1.52 (m, 6H).
단계 3: 실시예 18 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방법에 따라 3-(3-(시클로헥실에티닐)페닐)프로판-1-아민의 수소화를 수행하였다. 방법 1P 를 사용하는 분취용 HPLC 로 정제시켜 실시예 24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50 g, 33 %): 1H NMR (400 MHz, CDCl3) δ 7.87 (br s, 3H), 7.16 (t, J = 7.6 Hz, 1H), 7.01 (d, J = 7.6 Hz, 1H), 6.92-6.94 (m, 2H), 2.87 (m, 2H), 2.53-2.62 (m, 4H), 1.63-1.76 (m, 5H), 1.43-1.49 (m, 2H), 1.13-1.29 (m, 6H), 0.87-0.96 (m, 2H).
실시예 26
3-(3-(3-페닐프로필)페닐)프로판-1-아민의 제조
Figure pat00176
3-(3-(3-페닐프로필)페닐)프로판-1-아민을 실시예 22 의 제조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실시예 22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프로프-2-이닐벤젠과 브로마이드 57 의 커플링을 수행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6% EtOAc-헥산) 로 정제시켜 tert-부틸 3-(3-(3-페닐프로프-1-이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85 g, 73%): 1H NMR (400 MHz, CDCl3) δ 7.41-7.43 (m, 2H), 7.35 (t, J = 8.0 Hz, 2H), 7.10-7.28 (m, 5H), 4.52 (br s, 1H), 3.84 (s, 2H), 3.14-3.16 (m, 2H), 2.61 (t, J = 7.6 Hz, 2H), 1.80 (5중항, J = 7.6 Hz, 2H), 1.48 (s, 9H).
단계 2: tert-부틸 3-(3-(3-페닐프로프-1-이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탈보호시킨 다음 분취용 HPLC (방법 -001P) 로 정제시켜 3-(3-(3-페닐프로프-1-이닐)페닐)프로판-1-아민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45 g, 51%): 1H NMR (400 MHz, DMSO-d6) δ 7.69 (br s, 2H), 7.35-7.42 (m, 4H), 7.25-7.31 (m, 4H), 7.20-7.22 (m, 1H), 3.89 (s, 2H), 2.76 (t, J = 7.2 Hz, 2H), 2.63 (t, J = 7.6 Hz, 2H), 1.82 (5중항, J = 7.6 Hz, 2H).
단계 3: 실시예 18 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방법에 따라 3-(3-(3-페닐프로프-1-이닐)페닐)프로판-1-아민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수소화시켜 실시예 26 을 산출하고, 이를 방법 1P 를 사용하여 HPLC 정제시켜 실시예 26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80 g, 88%): 1H NMR (400 MHz, DMSO-d6) δ 7.69 (br s, 3H), 7.29 (t, J = 7.2 Hz, 2H), 7.16-7.24 (m, 4H), 7.01-7.05 (m, 3H), 2.88 (t, J = 8.0 Hz, 2H), 2.56-2.62 (m, 6H), 1.88-1.91 (m, 4H).
실시예 27
3-(3-펜틸페닐)프로판-1-아민의 제조
Figure pat00177
3-(3-펜틸페닐)프로판-1-아민을 실시예 22 의 제조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실시예 22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1-펜트-1-인과 브로마이드 57 의 커플링을 수행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5% EtOAc-헥산) 로 정제시켜 tert-부틸 3-(3-(펜트-1-이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5 g, 58%): 1H NMR (400 MHz, CDCl3) δ 7.07-7.33 (m, 4H), 4.52 (br s, 1H), 3.14-3.15 (m, 2H), 2.58-2.66 (m, 2H), 2.38 (t, J = 7.2 Hz, 2H), 1.79 (5중항, J = 7.6 Hz, 2H), 1.64 (q, J = 7.2 Hz, 2H), 1.45 (s, 9H), 1.05 (t, J = 6.8 Hz, 3H).
단계 2: tert-부틸 3-(3-(펜트-1-이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탈보호시킨 다음, 분취용 HPLC (방법 1P) 로 정제시켜 3-(3-(펜트-1-이닐)페닐)프로판-1-아민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7 g, 32%): 1H NMR (400 MHz, DMSO-d6) δ 7.71 (br s, 2H), 7.28 (t, J = 7.6 Hz, 1H), 7.17-7.25 (m, 3H), 2.76 (t, J = 7.2 Hz, 2H), 2.62 (t, J = 7.2 Hz, 2H), 2.39 (t, J = 6.8 Hz, 2H), 1.82 (5중항, J = 7.6 Hz, 2H), 1.51-1.60 (m, 2H), 1.00 (t, J = 7.6 Hz, 3H).
단계 3: 실시예 18 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방법에 따른 3-(3-(펜트-1-이닐)페닐)프로판-1-아민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의 수소화로 실시예 27 을 산출하고, 이를 HPLC 정제시켜 실시예 27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크림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50 g, 20%): 1H NMR (400 MHz, DMSO-d6) δ 7.72 (br s, 3H), 7.20 (t, J = 7.6 Hz, 1H), 7.00-7.03 (m, 3H), 2.88 (m, 2H), 2.60 (t, J = 7.6 Hz, 2H), 2.46-2.56 (m, 2H), 1.78-1.85 (m, 2H), 1.52-1.59 (m, 2H), 1.22-1.34 (m, 4H), 0.86 (t, J = 7.2 Hz, 3H).
실시예 28
3-(3-헥실페닐)프로판-1-아민의 제조
Figure pat00178
3-(3-헥실페닐)프로판-1-아민을 실시예 22 의 제조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실시예 22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헥스-1-인과 브로마이드 57 의 커플링을 수행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5% EtOAc-헥산) 로 정제시켜 tert-부틸 3-(3-(헥스-1-이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64 g, 64%).
단계 2: tert-부틸 3-(3-(헥스-1-이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탈보호시킨 다음, 분취용 HPLC (방법 4P) 로 정제시켜 3-(3-(헥스-1-이닐)페닐)프로판-1-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7 g, 33%): 1H NMR (400 MHz, DMSO-d6) δ 7.71 (br s, 2H), 7.28 (t, J = 7.2 Hz, 1H), 7.17-7.25 (m, 3H), 2.76 (t, J = 7.6 Hz, 2H), 2.62 (t, J = 7.2 Hz, 2H), 2.42 (t, J = 7.0 Hz, 2H), 1.82 (5중항, J = 7.6 Hz, 2H), 1.52 (5중항, J = 7.0 Hz, 2H), 1.44 (5중항, J = 7.0 Hz, 2H), 0.92 (t, J = 7.6 Hz, 3H).
단계 3: 실시예 18 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방법에 따른 3-(3-(헥스-1-이닐)페닐)프로판-1-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의 수소화로 실시예 28 히드로클로라이드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85 g, 98%): 1H NMR (400 MHz, DMSO-d6) δ 7.76 (br s, 3H), 7.20 (t, J = 7.6 Hz, 1H), 7.00-7.03 (m, 3H), 2.78 (t, J = 7.6 Hz, 2H), 2.60 (t, J = 7.6 Hz, 2H), 2.46-2.56 (m, 2H), 1.82 (5중항, J = 7.6 Hz, 2H), 1.51-1.56 (m, 2H), 1.20-1.30 (m, 6H), 0.85 (t, J = 7.2 Hz, 3H).
실시예 29
3-(3-(3,3-디메틸부틸)페닐)프로판-1-아민의 제조
Figure pat00179
3-(3-(3,3-디메틸부틸)페닐)프로판-1-아민을 실시예 22 의 제조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실시예 22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3,3-디메틸부트-1-인과 브로마이드 57 의 커플링을 수행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6% EtOAc-헥산) 로 정제시켜 tert-부틸 3-(3-(3,3-디메틸부트-1-이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43 g, 54%).
단계 2: tert-부틸 3-(3-(3,3-디메틸부트-1-이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탈보호시킨 다음 분취용 HPLC (방법 1P) 로 정제시켜 3-(3-(3,3-디메틸부트-1-이닐)페닐)프로판-1-아민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담황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8 g, 18%): 1H NMR (400 MHz, DMSO-d6) δ 7.79 (br s, 2H), 7.27 (t, J = 7.6 Hz, 1H), 7.16-7.22 (m, 3H), 2.75-2.77 (m, 2H), 2.61 (t, J = 7.6 Hz, 2H), 1.82 (5중항, J = 7.2 Hz, 2H), 1.29 (s, 9H).
단계 3: 실시예 18 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방법에 따른 3-(3-(헥스-1-이닐)페닐)프로판-1-아민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의 수소화로 실시예 29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크림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40 g, 50%): 1H NMR (400 MHz, DMSO-d6) δ 7.69 (br s, 3H), 7.18-7.22 (m, 1H), 6.99-7.28 (m, 3H), 2.78 (t, J = 5.2 Hz, 2H), 2.61 (t, J = 5.2 Hz, 2H), 2.50-2.55 (m, 2H), 1.79-1.84 (m, 2H), 1.41-1.46 (m, 2H), 0.95 (s, 9H).
실시예 30
6-(3-(3-아미노프로필)페닐)헥산-1-올의 제조
Figure pat00180
6-(3-(3-아미노프로필)페닐)헥산-1-올을 실시예 22 의 제조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실시예 22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헥스-5-인-1-올과 브로마이드 57 의 커플링을 수행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30% EtOAc-헥산) 로 정제시켜 tert-부틸 3-(3-(6-히드록시헥스-1-이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50 g, 66%): 1H NMR (400 MHz, CDCl3) δ 7.17-7.23 (m, 3H), 7.07-7.10 (m, 1H), 6.81-6.84 (m, 1H), 4.53 (br s, 1H), 3.72 (q, J = 6.0 Hz, 2H), 3.10-3.18 (m, 2H), 2.60 (t, J = 8.0 Hz, 2H), 2.46 (t, J = 6.8 Hz, 2H), 1.63-1.83 (m, 6H), 1.44 (s, 9H).
단계 2: tert-부틸 3-(3-(6-히드록시헥스-1-이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탈보호시킨 다음, 방법 1P 를 사용하는 분취용 HPLC 로 정제시켜 3-(3-(3,3-디메틸부트-1-이닐)페닐)프로판-1-아민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40 g, 34%): 1H NMR (400 MHz, CDCl3) δ 7.21 (d, J = 7.6 Hz, 2H), 7.17 (t, J = 7.6 Hz, 1H), 7.07 (dm, J = 7.2 Hz, 1H), 3.68 (t, J = 6.4 Hz, 2H), 2.95 (t, J = 7.6 Hz, 2H), 2.67 (t, J = 7.6, 2H), 2.43 (t, J = 6.4, 2H), 2.06 (5중항, J = 7.6 Hz, 2H), 1.71-1.79 (m, 2H), 1.61-1.68 (m, 2H).
단계 3: 6-(3-(3-아미노프로필)페닐)헥스-5-인-1-올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실시예 18 에 사용된 절차에 따라 수소화시켜 실시예 30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33%): 1H NMR (400 MHz, DMSO-d6) δ 7.88 (br s, 3H), 7.20 (t, J = 7.6 Hz, 1H), 6.95-7.20 (m, 3H), 4.38 (br s, 1H), 3.37 (t, J = 6.0 Hz, 2H), 2.76 (t, J = 7.6 Hz, 2H), 2.59 (t, J = 7.6 Hz, 2H), 2.54 (t, J = 7.2 Hz, 2H), 1.80-1.87 (m, 2H), 1.53-1.58 (m, 2H), 1.38-1.42 (m, 2H), 1.24-1.32 (m, 4H).
실시예 31
3-(3-(2-메틸페네틸)페닐)프로판-1-아민의 제조
Figure pat00181
3-(3-(2-메틸페네틸)페닐)프로판-1-아민을 하기 반응식 12 에 나타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12
Figure pat00182
단계 1: 실시예 21 에 기재된 절차에 따른 알코올 50 과 프탈이미드의 커플링으로 알킨 61 을 황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6.0 g, 76%): 1H NMR (400 MHz, CDCl3) δ 7.83 (dd, J = 5.2, 2.8 Hz, 2H), 7.70 (dd, J = 5.6, 3.2 Hz, 2H), 7.33 (s, 1H), 7.29-7.24 (m, 1H), 7.16-7.22 (m, 2H), 3.74 (t, J = 7.2 Hz, 2H), 3.04 (s, 1H), 2.66 (t, J = 8.0 Hz, 2H), 2.02 (5중항, J= 7.2 Hz, 2H).
단계 2: 트리에틸 아민 (25 ㎖) 중 알킨 61 (0.6 g, 2.07 mmol) 과 2-요오도 톨루엔 (0.543 g, 2.49 mmol) 의 탈기된 용액에 PdCl2(PPh3)2 (0.0435 g, 0.062 mmol) 및 CuI (0.0117 g, 0.062 mmol) 를 첨가하였다. 반응을 70 ℃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EtOAc 에 용해시키고, 고체를 여과로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물 및 염수로 세정하고, Na2SO4 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5% EtOAc-헥산) 로 정제시켜 알킨 62 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48 g, 61%): 1H NMR (400 MHz, CDCl3) δ 7.83 (dd, J = 5.6, 3.2 Hz, 2H), 7.76 (dd, J = 5.6, 3.2 Hz, 2H), 7.48 (d, J = 7.2 Hz, 1H), 7.37 (m, 1H), 7.31-7.32 (m, 1H), 7.15-7.24 (m, 5H), 3.77 (t, J = 7.2 Hz, 2H), 2.70 (t, J = 7.2 Hz, 2H), 2.50 (s, 3H), 2.02-2.09 (m, 2H).
단계 3: EtOH (25 ㎖) 중 알킨 62 (0.48 g, 1.26 mmol) 에 히드라진 수화물 (0.23 ㎖, 3.79 mmol) 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디에틸 에테르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형성된 고체를 여과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분취용 HPLC (방법 2P) 로 정제시켜 아민 63 을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80 ㎎, 25%): 1H NMR (400 MHz, DMSO-d6) δ 7.24-7.53 (m, 8H), 2.65 (t, J = 8.0 Hz, 2H), 2.57 (t, J = 6.8 Hz, 2H), 2.49 (s, 3H), 1.65-1.72 (m, 2H).
단계 4: 실시예 17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3-(3-(o-톨릴에티닐)페닐)프로판-1-아민을 수소화시켜 실시예 31 을 산출하고, 이를 HPLC 정제시켜 실시예 3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백색 반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21 g, 30%): 1H NMR (400 MHz, DMSO-d6) δ 7.66 (br s, 3H), 7.19 (t, J = 7.6 Hz, 1H), 6.99-7.13 (m, 7H), 2.72-2.83 (m, 6H), 2.57 (t, J = 7.6 Hz, 2H), 2.22 (s, 3H), 1.74-1.81 (m, 2H).
실시예 32
3-(3-(2-(바이페닐-3-일)에틸)페닐)프로판-1-아민의 제조
Figure pat00183
3-(3-(2-(바이페닐-3-일)에틸)페닐)프로판-1-아민을 실시예 21 의 제조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실시예 21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알코올 50 과 3-브로모바이페닐의 커플링을 수행하여, 3-(3-(바이페닐-3-일에티닐)페닐)프로판-1-올을 산출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5% EtOAc-헥산) 로 정제시켜 갈색 오일을 산출하였다. 수율 (0.560 g, 67%): 1H NMR (400 MHz, CDCl3) δ 7.78 (br s, 1H), 7.61 (d, J = 7.2 Hz, 2H), 7.56 (d, J = 7.6 Hz, 1H), 7.51 (d, J = 8.0 Hz, 1H), 7.37-7.48 (m, 6H), 7.29 (d, J = 7.6 Hz, 1H), 7.19 (d, J = 7.6 Hz, 1H), 3.70 (dt, J = 6.2, 5.2 Hz, 2H), 2.73 (t, J = 7.6 Hz, 2H), 1.92 (5중항, J = 6.8 Hz, 2H), 1.27 (t, J = 5.2 Hz, 1H).
단계 2: 실시예 21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3-(3-(바이페닐-3-일에티닐)페닐)프로판-1-올과 프탈이미드의 커플링을 수행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6% EtOAc-헥산) 로 정제시켜 2-(3-(3-(바이페닐-3-일에티닐)페닐)프로필)이소인돌린-1,3-디온을 산출하였다. 수율 (0.320 g, 42%): 1H NMR (400 MHz, CDCl3) δ 7.84 (dd, J = 5.6, 3.2 Hz, 2H), 7.77 (m, 1H), 7.71 (dd, J = 5.6, 3.2 Hz, 2H), 7.61-7.63 (m, 2H), 7.32-7.57 (m, 8H), 7.18-7.25 (m, 2H), 3.77 (t, J = 7.2 Hz, 2H), 2.70 (t, J = 7.2 Hz, 2H), 2.02-2.09 (m, 2H).
단계 3: 실시예 21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2-(3-(3-(바이페닐-3-일에티닐)페닐)프로필)이소인돌린-1,3-디온을 탈보호시킨 다음 분취용 HPLC (방법 1P) 로 정제시켜 3-(3-(바이페닐-3-일에티닐)페닐)프로판-1-아민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백색의 점성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6 g, 52%): 1H NMR (400 MHz, DMSO-d6) δ 7.83 (br s, 1H), 7.71-7.15 (m, 3H), 7.67 (br s, 2H), 7.38-7.55 (m, 8H), 7.28-7.30 (m, 1H), 2.77-2.82 (m, 2H), 2.68 (t, J = 7.2 Hz, 2H), 1.86 (5중항, J = 7.6 Hz, 2H).
단계 4: 3-(3-(바이페닐-3-일에티닐)페닐)프로판-1-아민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실시예 13 의 방법을 사용하여 수소화시켜 실시예 32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19 g, 23%): 1H NMR (400 MHz, DMSO-d6) δ 7.58-7.60 (m, 2H), 7.40-7.45 (m, 4H), 7.30-7.34 (m, 4H), 7.12-7.20 (m, 2H), 6.96-7.04 (m, 3H), 2.84-2.93 (m, 6H), 2.48-2.53 (m, 2H), 1.52-1.11 (m, 2H).
실시예 33
3-(3-(6-메톡시헥실)페닐)프로판-1-아민의 제조
Figure pat00184
3-(3-(6-메톡시헥실)페닐)프로판-1-아민을 실시예 22 의 제조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실시예 13 의 제조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아릴 브로마이드 57 을 6-메톡시헥스-1-인과 커플링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EtOAc-헥산) 로 정제시켜 tert-부틸 3-(3-(6-메톡시헥스-1-이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0 g, 36%).
단계 2: CH2Cl2 를 반응에 공용매 (HCl-디옥산 용액:CH2Cl2 7:5) 로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3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tert-부틸 3-(3-(6-메톡시헥스-1-이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탈보호시켰다. 분취용 HPLC (방법 2P) 로 정제시켜 3-(3-(6-메톡시헥스-1-이닐)페닐)프로판-1-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를 회색을 띤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50 g, 30%): 1H NMR (400 MHz, CDCl3) δ 8.37 (br s, 3H), 7.10-7.24 (m, 4H), 4.02 (t, J = 6.4 Hz, 2H), 3.78 (s, 3H), 2.98 (t, J = 7.6 Hz, 2H), 2.69 (t, J = 7.6 Hz, 2H), 2.44 (t, J = 7.6 Hz, 2H), 2.04-2.12 (m, 2H), 1.82-1.89 (m, 2H), 1.63-1.73 (m, 2H).
단계 3: 실시예 17 의 방법을 사용하여 3-(3-(6-메톡시헥실)페닐)프로판-1-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수소화시켜 실시예 33 히드로클로라이드를 백색 반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25 g, 82 %): 1H NMR (400 MHz, DMSO-d6) δ 7.89 (br s, 3H), 7.16 (t, J = 7.6 Hz, 1H), 6.96-7.01 (m, 3H), 4.02 (t, J = 6.8 Hz, 2H), 3.64 (s, 3H), 2.72 (t, J = 7.6 Hz, 2H), 2.57 (t, J = 7.6 Hz, 2H), 2.50 (t, J = 7.6 Hz, 2H), 1.76-1.83 (m, 2H), 1.48-1.57 (m, 4H), 1.25-1.33 (m, 4H).
실시예 34
3-(3-(옥탄-4-일)페닐)프로판-1-아민의 제조
Figure pat00185
3-(3-(옥탄-4-일)페닐)프로판-1-아민을 하기 반응식 13 에 나타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13
Figure pat00186
단계 1: 무수 THF (20 ㎖) 중 화합물 57 (0.650 g, 2.07 mmol, 미정제) 의 -78 ℃ 용액에 MeLi (디에틸 에테르 중 1.6 M 용액 1.36 ㎖, 2.17 mmo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0 분 동안 교반하였다. tert-부틸 리튬 (펜탄 중 1.7 M 용액 2.5 ㎖, 4.24 mmol) 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78 ℃ 에서 45 분 동안 교반하였다. 5-노나논 (0.324 g, 2.28 mmol) 을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한 후, 포화 수성 NH4Cl (15 ㎖) 을 첨가하여 반응을 켄칭시키고, 1M HCl 로 pH 를 5 로 조정하였다. 혼합물을 EtOAc 로 추출하고, 수합된 유기물을 Na2SO4 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알코올 64 를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90 g, 12%): 1H NMR (400 MHz, DMSO-d6) δ 7.14-7.19 (m, 3H), 6.97 (d, J = 8.0 Hz, 1H), 6.87 (t, J = 4.0 Hz, 1H), 4.48 (s, 1H), 2.92 (q, J = 8.0 Hz, 2H), 2.53 (t, J = 8.0 Hz, 2H), 1.59-1.74 (m, 6H), 1.37 (s, 9H), 1.15-1.23 (m, 6H), 0.84-0.91 (m, 2H), 0.77 (t, J = 8.0 Hz. 6H).
단계 2: HCl (EtOAc 중 4.2 M 용액 2 ㎖, 8.4 mmol) 중 알코올 64 (0.081 g, 0.215 mmol) 의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감압 하에 농축시킨 후, 알켄 65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오일로서 수득하고,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수율 0.066 g, 정량): 1H NMR (400 MHz, DMSO-d6) δ 7.94 (br s, 3H), 7.11-7.37 (m, 3H), 7.07 (d, J = 8.0 Hz, 1H), 5.63 (t, J = 8.0 Hz, 1H), 2.77-2.80 (m, 2H), 2.64 (t, J = 8.0 Hz, 2H), 2.47 (t, J = 8.0 Hz, 2H), 2.15 (q, J = 8.0 Hz, 2H), 1.81-1.91 (m, 2H), 1.44 (q, J = 8.0 Hz, 2H), 1.17-1.27 (m, 4H), 0.93 (t, J = 8.0 Hz, 3H), 0.83 (t, J = 8.0 Hz, 3H).
단계 3: EtOAc 를 용매로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화합물 65 의 수소화를 수행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MeOH-CH2Cl2 중 7M NH3) 로 정제시켜 실시예 34 를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13 g, 30%): 1H NMR (400 MHz, CDCl3) δ 7.21 (t, J = 8.0 Hz, 1H), 6.96-7.03 (m, 3H), 2.75 (t, J = 8.0 Hz, 2H), 2.65 (t, J = 8.0 Hz, 2H), 2.41-2.48 (m, 1H), 1.75-1.84 (m, 2H), 1.48-1.67 (m, 4H), 1.44 (br s, 2H), 1.05-1.34 (m, 8H), 0.84 (t, J = 8.0 Hz, 6H).
실시예 35
3-(3-(4-페닐부틸)페닐)프로판-1-아민의 제조
Figure pat00187
3-(3-(4-페닐부틸)페닐)프로판-1-아민을 실시예 22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실시예 22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아릴 브로마이드 57 를 부트-3-이닐벤젠과 커플링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EtOAc-헥산) 로 정제시켜 tert-부틸 3-(3-(4-페닐부트-1-이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40 g, 82%).
단계 2: 실시예 22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tert-부틸 3-(3-(4-페닐부트-1-이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탈보호시켜 3-(3-(4-페닐부트-1-이닐)페닐)프로판-1-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74 (br s, 3H), 7.14-7.28 (m, 9H), 2.82 (t, J = 7.2 Hz, 2H), 2.71 (t, J = 7.6 Hz, 2H), 2.67 (t, J = 7.2 Hz, 2H), 2.58 (t, J = 7.6 Hz, 2H), 1.78 (5중항, J = 7.6 Hz, 2H).
단계 3: 반응 시간이 2 시간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7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3-(3-(4-페닐부트-1-이닐)페닐)프로판-1-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수소화시켜, 실시예 35 히드로클로라이드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40 g, 49%): 1H NMR (400 MHz, DMSO-d6) δ 7.91 (br s, 3H), 7.24 (t, J = 7.6 Hz, 2H), 7.12-7.19 (m, 4H), 6.98-6.99 (m, 3H), 2.73 (t, J = 7.6, 2H), 2.56-2.59 (m, 6H), 1.77-1.84 (m, 2H), 1.54-1.55 (m, 4H).
실시예 36
2-(3-(2-(피리딘-3-일)에틸)페녹시)에탄아민의 제조
Figure pat00188
2-(3-(2-(피리딘-3-일)에틸)페녹시)에탄아민을 하기 반응식 14 에 나타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14
Figure pat00189
단계 1: 실시예 13 에 사용된 방법에 따른 브로마이드 26 과 2-메틸부트-3-인-2-올 (48) 의 커플링으로 알킨 66 을 누런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90 g, 90%): 1H NMR (400 MHz, CDCl3): δ 7.21 (t, J = 8.0 Hz, 1H), 7.02 (d, J = 7.6 Hz, 1H), 6.93-6.95 (m, 1H), 6.85 (ddd, J = 8.4, 2.8, 0.8 Hz, 1 H), 4.97 (br s, 1H), 4.01 (t, J = 5.2 Hz, 2H), 3.51-3.52 (m, 2H), 1.62 (s, 6H), 1.56 (s, 9H).
단계 2: 실시예 21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알킨 66 을 KOH 로 처리하여 알킨 67 을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0 g, 80%): 1H NMR (400 MHz, CDCl3) δ 7.23 (d, J = 8.0 Hz, 1H), 7.10 (dt, J = 7.6, 1.2 Hz, 1H), 7.00-7.02 (m, 1H), 6.90 (ddd, J = 8.4, 2.8, 0.8 Hz, 1H), 4.97 (br s, 1H), 4.01 (t, J = 5.2 Hz, 2H), 3.49-3.54 (m, 2H), 3.06 (s, 1H), 1.45 (s, 9H).
단계 3: 실시예 13 에 사용된 방법에 따른 알킨 67 과 3-브로모피리딘의 커플링으로 알킨 68 을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40 g, 44%). 1H NMR (400 MHz, CDCl3) δ 8.76 (d, J = 1.4 Hz, 1H), 8.55 (dd, J = 4.8, 1.2 Hz, 1H), 7.81 (dt, J = 8.0, 1.6 Hz, 1H), 7.29 (t, J = 4.4 Hz, 1H), 7.28 (s, 1H), 7.16 (d, J = 8.0 Hz, 1H), 7.06 (br s, 1H), 6.92 (dd, J = 8.4, 2.8 Hz, 1H), 4.05 (t, J = 5.2 Hz, 2H), 3.54 (q, J = 5.2 Hz, 2H), 1.46 (s, 9H)
단계 4: 실시예 13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알킨 68 을 HCl-디옥산으로 탈보호시켜 아민 69 히드로클로라이드를 회색을 띤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30 g, 83%): 1H NMR (400 MHz, DMSO-d6) δ 8.78 (br s, 1H), 8.60 (dd, J = 4.8, 1.6 Hz, 1H), 8.11 (br s, 3H), 8.02-8.04 (m, 1H), 7.51 (dd, J = 8.0, 5.2 Hz, 1H), 7.37 (t, J = 8.0 Hz, 1H), 7.20 (d, J = 8.0 Hz, 1H), 7.18 (d, J = 1.6 Hz, 1H), 7.06 (dd, J = 8.4, 2.4 Hz, 1H), 4.20 (t, J = 4.8 Hz, 2H), 3.19 (dd, J = 10.4, 5.6 Hz, 2H).
단계 5: 실시예 35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아민 69 히드로클로라이드의 수소화를 수행하였다.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고체를 여과로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농축 수산화암모늄에 용해시켰다. 수용액을 CH2Cl2 로 추출하였다. 수합된 유기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실시예 36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80 g, 39%): 1H NMR (400 MHz, DMSO-d6) δ 8.39 (s, 1H), 8.36 (d, J = 4.4 Hz, 1H), 7.61 (d, J = 7.6 Hz, 1H), 7.26 (dd, J = 7.6, 4.8, 1H), 7.14 (t, J = 8.0, 1H), 6.71-6.77 (m, 3H), 3.85 (t, J = 5.6, 2H), 2.82-2.84 (m, 6H).
실시예 37
2-(3-(2-(피리딘-2-일)에틸)페녹시)에탄아민의 제조
Figure pat00190
2-(3-(2-(피리딘-2-일)에틸)페녹시)에탄아민을 실시예 36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실시예 13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알킨 67 과 2-브로모피리딘의 커플링을 수행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20% EtOAc-헥산) 로 정제시켜 tert-부틸 2-(3-(피리딘-2-일에티닐)페녹시)에틸카르바메이트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50 g, 64%). 1H NMR (400 MHz, CDCl3): δ 8.63 (d, J = 4.0 Hz, 1H), 7.69 (dt, J = 7.6, 1.6 Hz, 1H), 7.53 (d, J = 7.6 Hz, 1H), 7.24-7.26 (m, 2H), 7.21 (dt, J = 8.0, 1.2 Hz, 1H), 7.12-7.13 (m, 1H), 6.93 (ddd, J = 8.0, 2.4, 1.2 Hz, 1H), 4.98 (br s, 1H), 4.03 (t, J = 5.2, 2H), 3.54-3.56 (m, 2H), 1.46 (s, 9H).
단계 2: 실시예 13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tert-부틸 2-(3-(피리딘-2-일에티닐)페녹시)에틸카르바메이트를 HCl-디옥산으로 탈보호시켜 2-(3-(피리딘-2-일에티닐)페녹시)에탄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61 (dt, J = 5.2, 0.8 Hz, 1H), 8.20 (br s, 3H), 7.92 (dt, J = 8.0, 2.0 Hz, 1H), 7.69 (d, J = 8.0 Hz, 1H), 7.47 (ddd, J = 7.6, 5.2, 1.2 Hz, 1H), 7.39 (t, J = 8.0 Hz, 1H), 7.22 (d, J = 7.6 Hz, 1H), 7.19-7.20 (m, 1H), 7.08 (ddd, J = 8.0, 2.4, 0.8 Hz, 1H), 4.21 (t, J = 5.2 Hz, 2H), 3.18 (dt, J = 5.6, 5.2 Hz, 2H).
단계 3: 반응 시간이 3 시간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7 에 사용된 방법에 따른 2-(3-(피리딘-2-일에티닐)페녹시)에탄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의 수소화로 실시예 37 히드로클로라이드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50 g, 73%): 1H NMR (400 MHz, DMSO-d6) δ 8.69 (d, J = 5.2 Hz, 1H), 8.26 (br s, 4H), 7.75 (d, J = 7.6 Hz, 1H), 7.69 (t, J = 6.4 Hz, 1H), 7.20 (t, J = 8.0 Hz, 1H), 6.91 (s, 1H), 6.84 (d, J = 7.6, 1H), 6.80 (dd, J = 8.0, 2.0 Hz, 1H), 4.15 (t, J = 4.8 Hz, 2H), 3.27 (t, J = 8.0 Hz, 2H), 3.17 (d, J = 4.4 Hz, 1H), 3.15 (d, J = 4.4 Hz, 1H), 3.03 (t, J = 8.0 Hz, 2H).
실시예 38
2-(3-(2-(티오펜-2-일)에틸)페녹시)에탄아민의 제조
Figure pat00191
2-(3-(2-(티오펜-2-일)에틸)페녹시)에탄아민을 실시예 36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실시예 13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알킨 67 과 2-브로모티오펜의 커플링을 수행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5% EtOAc-헥산) 로 정제시켜 tert-부틸 2-(3-(티오펜-2-일에티닐)페녹시)에틸카르바메이트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605 g, 57%). 1H NMR (400 MHz, CDCl3) δ 7.30 (dd, J = 5.2, 1.2 Hz, 1H), 7.28-7.29 (m, 1H), 7.25 (d, J = 8.4 Hz, 1H), 7.12 (dt, J = 7.6, 1.2 Hz, 1H), 7.03-7.04 (m, 1H), 7.02 (dd, J = 5.2, 3.6 Hz, 1H), 6.89 (ddd, J = 8.0, 2.4, 0.8 Hz, 1H), 4.99 (br s, 1H), 4.04 (t, J = 4.8 Hz, 2H), 3.55 (dd, J = 10.0, 5.2 Hz, 2H), 1.46 (s, 9H).
단계 2: 실시예 13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tert-부틸 2-(3-(티오펜-2-일에티닐)페녹시)에틸카르바메이트를 HCl-디옥산으로 탈보호시켜 2-(3-(티오펜-2-일에티닐)페녹시)에탄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14 (br s, 3H), 7.66 (dd, J = 5.2, 1.2 Hz, 1H), 7.40 (dd, J = 3.6, 1.2 Hz, 1H), 7.14 (dd, J = 7.6, 1.2 Hz, 1H), 7.10-7.12 (m, 2H), 7.03 (ddd, J = 8.4, 2.4, 1.2 Hz, 1H), 4.19 (t, J = 5.2 Hz, 2H), 3.17 (t, J = 5.2, 2H).
단계 3: 실시예 13 에 사용된 방법에 따른 2-(3-(티오펜-2-일에티닐)페녹시)에탄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의 수소화로 실시예 38 히드로클로라이드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5 g, 95%): 1H NMR (400 MHz, DMSO-d6) δ 8.02 (br s, 3H), 7.27 (dd, J = 5.2, 1.2 Hz, 1H), 7.18 (t, J = 8.0 Hz, 1H), 6.89 (dd, J = 5.2, 3.2 Hz, 1H), 6.81-6.84 (m, 3H), 6.77 (dd, J = 8.4, 1.6 Hz, 1H), 4.11 (t, J = 5.2 Hz, 2H), 3.16 (t, J = 5.2 Hz, 2 H), 3.07 (t, J = 7.6 Hz, 2H), 2.87 (t, J = 7.6 Hz, 2H).
실시예 39
5-(3-(3-아미노프로필)페네틸)노난-5-올의 제조
Figure pat00192
5-(3-(3-아미노프로필)페네틸)노난-5-올을 실시예 2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3-에티닐노난-5-올과 브로마이드 10 의 커플링으로 N-(3-(3-(3-부틸-3-히드록시헵트-1-이닐)페닐)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46 g, 22%): 1H NMR (400 MHz, DMSO-d6) δ 9.40 (br s, 1H), 7.14-7.26 (m, 4H), 5.11 (s, 1H), 2.56 (t, J = 7.6 Hz, 2H), 2.47 (m, 2H), 1.43-1.62 (m, 14H), 0.88 (t, J = 7.2 Hz, 6H).
단계 2: N-(3-(3-(3-부틸-3-히드록시헵트-1-이닐)페닐)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로 5-((3-(3-아미노프로필)페닐)에티닐)노난-5-올을 연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19 g, 84%): 1H NMR (400 MHz, DMSO-d6) δ 7.22-7.26 (m, 1H), 7.14-7.17 (m, 3H), 5.11 (s, 1H), 2.56 (t, J = 7.6 Hz, 2H), 2.49 (t, J = 6.8 Hz, 2H), 1.25-1.62 (m, 14H), 0.88 (t, J = 7.2 Hz, 6H).
단계 3: 5-((3-(3-아미노프로필)페닐)에티닐)노난-5-올의 수소화로 실시예 39 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33 g, 69%): 1H NMR (400 MHz, CDCl3) δ 7.18 (t, J = 8.0 Hz, 1H), 6.97-7.03 (m, 3H), 2.72 (t, J = 5.2 Hz, 2H), 2.56-2.65 (m, 4H), 1.68-1.80 (m, 4H), 1.45-1.52 (m, 4H), 1.24-1.38 (m, 11H), 0.91 (t, J = 6.8 Hz, 6H). ESI MS m/z 306.7 [M + H]+, 288.6 [M + H - H2O]+.
실시예 40
3-(3-(3-메톡시-3-프로필헥실)페닐)프로판-1-아민의 제조
Figure pat00193
3-(3-(3-메톡시-3-프로필헥실)페닐)프로판-1-아민을 실시예 2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4-에티닐-4-메톡시헵탄과 브로마이드 10 의 커플링으로 2,2,2-트리플루오로-N-(3-(3-(3-메톡시-3-프로필헥스-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연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596 g, 93%): 1H NMR (400 MHz, DMSO-d6) δ 9.40 (br s, 1H), 7.18-7.29 (m, 4H), 3.25 (s, 3H), 3.14-3.20 (m, 2H), 2.56 (t, J = 7.6 Hz, 2H), 1.73-1.80 (m, 2H), 1.64 (t, J = 8.4 Hz, 4H), 1.34-1.44 (m, 4H), 0.88 (t, J = 7.2 Hz, 6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3-(3-(3-메톡시-3-프로필헥스-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로 3-(3-(3-메톡시-3-프로필헥스-1-이닐)페닐)프로판-1-아민을 투명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41 g, 93%): 1H NMR (400 MHz, DMSO-d6) δ 7.27-7.18 (m, 4H), 3.25 (s, 3H), 2.56 (t, J = 7.6 Hz, 2H), 2.47 (t, J = 6.8 Hz, 2H), 1.56-1.66 (m, 6H), 1.32-1.44 (m, 6H), 0.88 (t, J = 7.2 Hz, 6H).
단계 3: 3-(3-(3-메톡시-3-프로필헥스-1-이닐)페닐)프로판-1-아민의 수소화로 실시예 40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88 g, 71%): 1H NMR (400 MHz, CDCl3) δ 7.18 (t, J = 8.0 Hz, 1H), 6.95-7.04 (m, 3H), 3.16 (s, 3H), 2.72 (t, J = 7.2 Hz, 2H), 2.62 (t, J = 8.0 Hz, 2H), 2.48-2.55 (m, 2H), 1.64-1.80 (m, 4H), 1.41-1.48 (m, 4H), 1.24-1.35 (m, 4H), 1.20 (br s, 2H), 0.92 (t, J = 7.2 Hz, 6H). ESI MS m/z 292.5 [M + H]+.
실시예 41
1-(3-(3-아미노프로필)페닐)-3-메틸헥산-3-올의 제조
Figure pat00194
1-(3-(3-아미노프로필)페닐)-3-메틸헥산-3-올을 실시예 2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3-메틸헥스-1-인-3-올과 브로마이드 10 의 커플링으로 알킨 이량체로 오염된 2,2,2-트리플루오로-N-(3-(3-(3-히드록시-3-메틸헥스-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산출하였다. 수율 (0.699 g, >100%): 1H NMR (400 MHz, DMSO-d6) δ 9.40 (br s, 1H), 7.25 (dd, J = 8.8, 7.2 Hz, 1H), 7.17-7.21 (m, 3H), 5.29 (s, 1H), 3.17 (q, J = 6.8 Hz, 2H), 2.56 (t, J = 7.6 Hz, 2H), 1.76 (5중항, J = 7.2 Hz, 2 H), 1.48-1.61 (m, 4H), 1.39 (s, 3H), 0.90 (t, J = 7.6 Hz, 3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3-(3-(3-히드록시-3-메틸헥스-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탈보호시킨 다음,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72:8:20 내지 90:10:0 EtOAc / MeOH 중 7 M NH3 / 헥산) 로 정제시켜 1-(3-(3-아미노프로필)페닐)-3-메틸헥스-1-인-3-올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71 g, 76%, 두 단계): 1H NMR (400 MHz, DMSO-d6) δ 7.24 (t, J = 8 Hz, 1H), 7.14-7.18 (m, 3H), 5.29 (br s, 1H), 2.56 (t, J = 7.6 Hz, 2H), 2.47 (t, J = 7.2 Hz, 2 H), 1.41-1.62 (m, 6H), 1.39 (s, 3H), 1.34 (br s, 2H), 0.90 (t, J = 7.6 Hz, 3H).
단계 3: 1-(3-(3-아미노프로필)페닐)-3-메틸헥스-1-인-3-올의 수소화로 실시예 41 을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60 g, 77%): 1H NMR (400 MHz, CDCl3) δ 7.18 (t, J = 8 Hz, 1H), 6.97-7.02 (m, 3H), 2.71 (t, J = 7.2 Hz, 2H), 2.58-2.66 (m, 4H), 1.70-1.80 (m, 4H), 1.44-1.52 (m, 2H), 1.35-1.44 (m, 2H), 1.26-1.35 (br s, 3H), 1.21 (s, 3H), 0.93 (t, J = 7.2 Hz, 3H). ESI MS m/z 250.5 [M + H]+, 232.4 [M + H - H2O]+.
실시예 42
1-(3-(3-아미노프로필)페닐)-3,5-디메틸헥산-3-올의 제조
Figure pat00195
1-(3-(3-아미노프로필)페닐)-3,5-디메틸헥산-3-올을 실시예 23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실시예 3 에 기재된 방법 (알킨올을 탈기 후 첨가하는 것을 제외) 에 따른 3,5-디메틸헥스-1-인-3-올과 브로마이드 10 의 커플링으로 2,2,2-트리플루오로-N-(3-(3-(3-히드록시-3,5-디메틸헥스-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87 g, 40%): 1H NMR (400 MHz, DMSO-d6) δ 9.41 (br s, 1H), 7.26 (t, J = 7.6 Hz, 1H), 7.16-7.20 (m, 3H), 5.25 (s, 1H), 3.16 (q, J = 6.8 Hz, 2H), 2.56 (t, J = 7.2 Hz, 2H), 1.90-1.96 (m, 1H), 1.76 (5중항, J = 7.6 Hz, 2H), 1.53 (m, 2H), 1.42 (s, 3H), 0.96 (d, J = 6.8 Hz, 6H).
단계 2: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 의 방법에 따른 2,2,2-트리플루오로-N-(3-(3-(3-히드록시-3,5-디메틸헥스-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로 1-(3-(3-아미노프로필)페닐)-3,5-디메틸헥스-1-인-3-올을 투명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41 g, 72%): 1H NMR (400 MHz, DMSO-d6) δ 7.14-7.27 (m, 4H), 5.25 (s, 1H), 2.56 (t, J = 7.2 Hz, 2H), 2.47 (t, J = 6.0 Hz, 2H), 1.93 (5중항, J = 6.4 Hz, 1H), 1.60 (q, J = 6.8 Hz, 2H), 1.54 (t, J = 6.0 Hz, 2H), 1.42 (s, 3H), 1.35 (br s, 2H), 0.97 (d, J = 6.4 Hz, 6H).
단계 3: 실시예 2 의 방법에 따라 1-(3-(3-아미노프로필)페닐)-3,5-디메틸헥스-1-인-3-올을 수소화시킨 다음,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5% (7N NH3/MeOH)/디클로로메탄) 로 정제시켜, 실시예 42 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48 g, 41%): 1H NMR (400 MHz, CDCl3) δ 7.18 (t, J = 8.0 Hz, 1H), 6.97-7.03 (m, 3H), 2.71 (t, J = 7.2 Hz, 2H), 2.57-2.68 (m, 4H), 1.70-1.88 (m, 5H), 1.36-1.52 (m, 5H), 1.24 (s, 3H), 0.97 (dd, J = 6.4, 2.8 Hz, 6H). ESI MS m/z 264.5 [M + H]+, 246.5 [M + H - H2O]+.
실시예 43
1-(3-(3-아미노프로필)페네틸)-2,2,6,6-테트라메틸시클로헥산올의 제조
Figure pat00196
1-(3-(3-아미노프로필)페네틸)-2,2,6,6-테트라메틸시클로헥산올을 실시예 24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실시예 4 에 사용된 방법에 따른 1-에티닐-2,2,6,6-테트라메틸시클로헥산올과 브로마이드 10 의 커플링으로 2,2,2-트리플루오로-N-(3-(3-((1-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시클로헥실)에티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연갈색 포말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92 g, 84%): 1H NMR (400 MHz, DMSO-d6) δ 9.40 (br s, 1H), 7.27 (t, J = 7.6 Hz, 1H), 7.18-7.23 (m, 3H), 4.92 (s, 1H), 3.18 (q, J = 6.8 Hz, 2H), 2.57 (t, J = 7.2 Hz, 2H), 1.76 (5중항, J = 7.6 Hz, 2H), 1.22-1.50 (m, 6H), 1.14 (s, 6 H), 1.04 (s, 6H).
단계 2: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MeOH-EtOAc 중 7 M NH3) 로 정제시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2,2,2-트리플루오로-N-(3-(3-((1-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시클로헥실)에티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를 수행하여, 1-((3-(3-아미노프로필)-페닐)에티닐)-2,2,6,6-테트라메틸시클로헥산올을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16 g, 73%): 1H NMR (400 MHz, DMSO-d6) δ 7.15-7.27 (m, 4H), 4.92 (s, 1H), 2.57 (t, J = 7.2 Hz, 2H), 2.47 (t, J = 7.2 Hz, 2H), 1.26-1.66 (m, 10H), 1.14 (s, 6H), 1.04 (s, 6H).
단계 3: 실시예 2 에 사용된 방법에 따른 1-((3-(3-아미노프로필)페닐)에티닐)-2,2,6,6-테트라메틸시클로헥산올의 수소화로 실시예 43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75 g, 79%): 1H NMR (400 MHz, CDCl3) δ 7.20 (t, J = 8.0 Hz, 1H), 6.97-7.06 (m, 3H), 2.60-2.77 (m, 6H), 1.86-1.92 (m, 2H), 1.73-1.82 (m, 2H), 1.54-1.69 (m, 3H), 1.49 (br s, 3H), 1.36-1.44 (m, 1H), 1.11-1.22 (m, 2H), 1.05 (s, 6H), 1.01 (s, 6H). ESI MS m/z 318.7 [M + H]+, 300.7 [M + H - H2O]+.
실시예 44
4-(3-(3-아미노-2,2-디메틸프로필)페네틸)헵탄-4-올의 제조
Figure pat00197
4-(3-(3-아미노-2,2-디메틸프로필)페네틸)헵탄-4-올을 하기 반응식 15 에 나타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15
Figure pat00198
단계 1: 아르곤 하에 오븐-건조된 플라스크에 이소부티로니트릴 (2.15 ㎖, 24.0 mmol) 및 무수 THF (60 ㎖) 를 충전하고, -78 ℃ 로 냉각시켰다.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 (헵탄/THF/에틸벤젠 중 2.0 M 용액 12 ㎖, 24 mmol) 의 용액을 20 분에 걸쳐 분취량으로 첨가한 다음, 반응을 25 분 동안 교반하였다. 3-브로모벤질 브로마이드 (70) (3.98 g, 15.92 mmol) 를 첨가하고, 빙조를 제거하였다. 추가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물을 서서히 첨가하여 반응을 켄칭시킨 다음, EtOAc 를 첨가하였다. 수성층을 염화나트륨으로 부분 포화시켰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EtOAc 로 2 회 추출하였다. 수합된 유기물을 물 및 염수로 세정하고, Na2SO4 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니트릴 71 을 오렌지색 오일로서 산출한 후, 응고시켰다 (4.16 g, 정량 수율). 이 물질을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합성 단계에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40-7.45 (m, 2H), 7.20-7.25 (m, 2H), 2.78 (s, 2H), 1.36 (s, 6H).
단계 2: 무수 THF (20 ㎖) 중 미정제 3-(3-브로모페닐)-2,2-디메틸프로판니트릴 (71) (3.0 g, 12.6 mmol) 의 빙냉 혼합물에 BH3-THF (THF 중 1M 용액 20 ㎖, 20 mmol) 를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서서히 가온하고, 19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6 M HCl 을 적가하여 반응을 켄칭시킨 다음,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수성층을 디에틸 에테르로 2 회 추출한 다음, EtOAc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5 M 수성 KOH 로 염기성화시켰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EtOAc 로 2 회 추출하였다. 수합된 유기물을 염수로 세정하고, Na2SO4 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3-(3-브로모페닐)-2,2-디메틸프로판-1-아민을 연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2.3 g). 이 물질을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취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32-7.35 (m, 1H), 7.30 (t, J = 1.7 Hz, 1H), 7.13 (t, J = 7.7 Hz, 1H), 7.06 (dd, J = 7.6, 1.2 Hz, 1H), 2.50 (s, 2H), 2.47 (s, 2H), 0.84 (s, 6H).
단계 3: 미정제 3-(3-브로모페닐)-2,2-디메틸프로판-1-아민 (2.3 g) 을 THF (40 ㎖) 에 용해시켰다.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 (2.3 g, 10.5 mmol), 그 다음 트리에틸아민 (2.8 ㎖, 20.1 mmo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35% EtOAc-헥산 구배) 로 정제시켜 아릴 브로마이드 72 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3.3 g, 77%): 1H NMR (400 MHz, CDCl3) δ 7.34 (d, J = 7.6 Hz, 1H), 7.27 (t, J = 1.6 Hz, 1H), 7.14 (t, J = 7.7 Hz, 1H), 7.05 (d, J = 7.8 Hz, 1H), 4.58 (br s, 1H), 2.98 (d, J = 6.5 Hz, 2H), 2.48 (s, 2H), 1.45 (s, 9H), 0.85 (s, 6H).
단계 4: tert-부틸 3-(3-브로모페닐)-2,2-디메틸프로필카르바메이트 (72) (3.2 g, 9.35 mmol) 를 EtOAc (55 ㎖) 에 용해시키고, HCl-EtOAc 용액 (~4.2 M, 20 ㎖, 84 mmol) 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바늘로 통풍시키고, 실온에서 2.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헥산으로 희석시키고, 백색 고체를 프릿 유리 깔때기 상에 수집하였다. 모 분취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5-10 % EtOAc-헥산에 현탁시키고, 백색 고체를 수집하고, 1 번째 무리와 수합하였다. 고체를 실온의 진공 오븐에서 밤새 건조시켜 순수한 3-(3-브로모페닐)-2,2-디메틸프로판-1-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52 g): 1H NMR (400 MHz, CDCl3) δ 8.53 (br s, 2H), 7.37 (dq, J = 1.2 및 8.0 Hz, 1H), 7.31 (t, J = 1.6 Hz, 1H), 7.13 (t, J = 7.7 Hz, 1H), 7.08 (dt, J = 8.0, 1.6 Hz, 1H), 2.83-2.84 (m, 2H), 2.67 (s, 2H), 1.09 (s, 6H).
단계 5: 3-(3-브로모페닐)-2,2-디메틸프로판-1-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1.52 g, 5.45 mmol) 를 무수 THF (50 ㎖) 에 용해시켰다. Et3N (1.5 ㎖, 10.76 mmol) 을 서서히 첨가하여 백색 슬러리를 생성하였다. 에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2 ㎖, 16.8 mmol)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5.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의 에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0.75 ㎖, 6.2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75 ㎖, 5.4 mmo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물을 EtOAc 에 취하고, 용액을 포화 수성 NaHCO3 (2X) 및 염수로 세정하고, Na2SO4 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N-(3-(3-브로모페닐)-2,2-디메틸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73) 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두 단계에 대한 수율 1.84 g, 58%): 1H NMR (400 MHz, CDCl3) δ 7.39 (ddd, J = 8.0, 2.0, 0.8 Hz, 1H), 7.29 (t, J = 1.6 Hz, 1H), 7.17 (t, J = 7.6 Hz, 1H), 7.05 (dt, J = 7.6, 1.6 Hz, 1H), 6.16 (br s, 1H), 3.24 (d, J = 6.8 Hz, 2H), 2.53 (s, 2H), 0.93 (s, 6H).
단계 6: 실시예 16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N-(3-(3-브로모페닐)-2,2-디메틸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73) (0.489 g, 1.45 mmol) 를 4-에티닐헵탄-4-올 (44) (0.28 g, 2.0 mmol) 과 커플링시키고,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 50% EtOAc-헥산 구배) 로 정제시켜 2,2,2-트리플루오로-N-(3-(3-(3-히드록시-3-프로필헥스-1-이닐)페닐)-2,2-디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74) 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50 g, 61%): 1H NMR (400 MHz, CD3OD) δ 7.20-7.25 (m, 3H), 7.12-7.15 (m, 1H), 3.19 (s, 2H), 2.54 (s, 2H), 1.58-1.71 (m, 8H), 0.98 (t, J = 7.2 Hz, 6H), 0.85 (s, 6H).
단계 7: 실시예 2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2,2,2-트리플루오로-N-(3-(3-(3-히드록시-3-프로필헥스-1-이닐)페닐)-2,2-디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74) (0.345 g, 0.87 mmol) 의 탈보호를 수행하고,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90 내지 100% EtOAc-헥산, 그 다음 10% MeOH-EtOAc 중 3.5 M NH3) 로 정제시켜 알킨 75 를 회수된 출발 물질과 함께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847 g, 32% 수율): 1H NMR (400 MHz, CD3OD) δ 7.19-7.24 (m, 3H), 7.11-7.13 (m, 1H), 2.53 (s, 2H), 2.44 (s, 2H), 1.56-1.72 (m, 8H), 0.98 (t, J = 7.2 Hz, 6H), 0.85 (s, 6H).
단계 8: 실시예 2 에 사용된 방법에 따른 알킨 75 의 수소화로 실시예 44 를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77 g, 99%): 1H NMR (400 MHz, DMSO-d6) δ 7.11 (t, J = 7.6 Hz, 1H), 6.95 (d, J = 7.8 Hz, 1H), 6.88-6.90 (m, 2H), 3.93 (s, 1H), 2.40 (s, 2H), 2.26 (s, 2H), 1.50-1.55 (m, 2H), 1.43 (br s, 2H), 1.21-1.34 (m, 8H), 0.83 (t, J = 7.0 Hz, 6H), 0.71 (s, 6H). ESI MS m/z 306.4 [M + H]+.
실시예 45
1-(3-(3-아미노프로필)페닐)-3,4-디메틸펜탄-3-올의 제조
Figure pat00199
1-(3-(3-아미노프로필)페닐)-3,4-디메틸펜탄-3-올을 실시예 2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3,4-디메틸펜트-1-인-3-올과 브로마이드 10 의 커플링으로 2,2,2-트리플루오로-N-(3-(3-(3-히드록시-3,4-디메틸펜트-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호박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98 g, 89%): 1H NMR (400 MHz, CD3OD) δ 7.15-7.25 (m, 4H), 3.27-3.31 (m, 2H), 2.62 (t, J = 7.6 Hz, 2H), 1.82-1.90 (m, 3H), 1.50 (s, 3H), 1.09 (d, J = 6.4 Hz, 3H), 1.05 (d, J = 6.8 Hz, 3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3-(3-(3-히드록시-3,4-디메틸펜트-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로 1-(3-(3-아미노프로필)페닐)-3,4-디메틸펜트-1-인-3-올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456 g, 65%): 1H NMR (400 MHz, CD3OD) δ 7.15-7.25 (m, 4H), 2.60-2.65 (m, 4H), 1.85 (5중항, J = 6.8 Hz, 1H), 1.72-1.79 (m, 2H), 1.47 (s, 3H), 1.09 (d, J = 6.8 Hz, 3H), 1.05 (d, J = 6.8 Hz, 3H).
단계 3: 1-(3-(3-아미노프로필)페닐)-3,4-디메틸펜트-1-인-3-올의 수소화로 실시예 45 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84 g, 84%): 1H NMR (400 MHz, CDCl3) δ 7.18 (t, J = 8.0 Hz, 1H), 6.97-7.03 (m, 3H), 2.71 (t, J = 7.2 Hz, 2H), 2.58-2.69 (m, 4H), 1.70-1.82 (m, 5H), 1.50 (br s, 3H), 1.14 (s, 3H), 0.93 (dd, J = 12.4, 6.8 Hz, 6H). ESI MS m/z 250.5 [M + H]+, 232.5 [M + H - H2O]+.
실시예 46
4-(3-(3-아미노프로필)페닐)-2-페닐부탄-2-올의 제조
Figure pat00200
4-(3-(3-아미노프로필)페닐)-2-페닐부탄-2-올을 실시예 24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2-페닐부트-3-인-2-올과 브로마이드 10 의 커플링으로 2,2,2-트리플루오로-N-(3-(3-(3-히드록시-3-페닐부트-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9.41 (br s, 1H), 7.62 (m, 2H), 7.51 (m, 1H), 7.36 (m, 2H), 7.26 (m, 4H), 6.15 (s, 1H), 3.16 (m, 2H), 2.57 (m, 2H), 1.78 (m, 2H), 1.69 (s, 3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3-(3-(3-히드록시-3-페닐부트-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로 4-(3-(3-아미노프로필)페닐)-2-페닐부트-3-인-2-올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두 단계에 대해 0.122 g, 27%): 1H NMR (400 MHz, DMSO-d6) δ 7.60-7.63 (m, 1H), 7.33-7.38 (m, 1H), 7.18-7.28 (m, 7H), 6.16 (br s, 1H), 2.57 (m, 2H), 2.51 (m, 2H), 1.69 (s, 3H), 1.56-1.63 (m, 2H), 1.34 (br s, 2H).
단계 3: 4-(3-(3-아미노프로필)페닐)-2-페닐부트-3-인-2-올의 수소화로 실시예 46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73 g, 71%): 1H NMR (400 MHz, CDCl3) δ 7.37-7.42 (m, 2H), 7.25-7.31 (m, 2H), 7.14-7.29 (m, 1H), 7.04-7.10 (m, 1H), 6.84-6.91 (m, 3H), 2.60 (t, J = 7.2 Hz, 2H), 2.46-2.57 (m, 3H), 2.29-2.38 (m, 1H), 1.96-2.10 (m, 2H), 1.60-1.80 (m, 5H), 1.51 (s, 3H). ESI MS m/z 284.5 [M + H]+, 266.5 [M + H - H2O]+.
실시예 47
1-(3-(3-아미노프로필)페닐)-4-메틸펜탄-3-올의 제조
Figure pat00201
1-(3-(3-아미노프로필)페닐)-4-메틸펜탄-3-올을 실시예 24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4-메틸펜트-1-인-3-올과 브로마이드 10 의 커플링으로 2,2,2-트리플루오로-N-(3-(3-(3-히드록시-4-메틸펜트-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알킨 이량체로 오염된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고, 이를 다음 단계에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9.40 (br s, 1H), 7.18-7.29 (m, 4H), 5.37 (d, J = 5.6 Hz, 1H), 4.20 (t, J = 5.6 Hz, 1H), 3.16 (dt, J = 6.8, 6.0 Hz, 2H), 2.56 (t, J = 7.6 Hz, 2H), 1.70-1.81 (m, 3H), 0.96 (d, J = 6.8 Hz, 3H), 0.94 (d, J = 6.8 Hz, 3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3-(3-(3-히드록시-4-메틸펜트-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로 1-(3-(3-아미노프로필)페닐)-4-메틸펜트-1-인-3-올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두 단계에 대해 10.174 g, 47%): 1H NMR (400 MHz, DMSO-d6) δ 7.15-7.27 (m, 4H), 4.29 (d, J = 5.6 Hz, 1H), 2.63 (m, 4H), 1.88 (m, 1H), 1.76 (m, 2H), 0.96 (d, J = 6.8 Hz, 3H), 0.94 (d, J = 6.4 Hz, 3H).
단계 3: 1-(3-(3-아미노프로필)페닐)-4-메틸펜트-1-인-3-올의 수소화로 실시예 47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91 g, 58%): 1H NMR (400 MHz, CDCl3) δ 7.18 (t, J = 8.0 Hz, 1H), 6.97-7.04 (m, 3H), 3.37 (ddd, J = 8.8, 4.8, 3.2 Hz, 1H), 2.75-2.85 (m, 1H), 2.71 (t, J = 7.2 Hz, 2H), 2.55-2.65 (m, 3H), 1.71-1.82 (m, 3H), 1.61-1.71 (m, 2H), 1.52 (br s, 3H), 0.90 (dd, J = 1.2, 6.8 Hz, 6H). ESI MS m/z 236.4 [M + H]+.
실시예 48
1-(3-(3-아미노프로필)페네틸)시클로펜탄올의 제조
Figure pat00202
1-(3-(3-아미노프로필)페네틸)시클로펜탄올을 실시예 24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1-에티닐시클로펜탄올과 브로마이드 10 의 커플링으로 2,2,2-트리플루오로-N-(3-(3-((1-히드록시시클로펜틸)에티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고, 이를 다음 단계에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7.15-7.25 (m, 4H), 3.28 (t, J = 7.2 Hz, 2H), 2.62 (t, J = 7.2 Hz, 2H), 1.97-2.00 (m, 2H), 1.73-1.91 (m, 8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3-(3-((1-히드록시시클로펜틸)-에티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로 1-((3-(3-아미노프로필)페닐)에티닐)시클로펜탄올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두 단계에 대해 0.478 g, 62%): 1H NMR (400 MHz, DMSO-d6) δ 7.14-7.34 (m, 4H), 2.59-2.64 (m, 4H), 1.97-2.00 (m, 4H), 1.71-1.87 (m, 6H).
단계 3: 1-((3-(3-아미노프로필)페닐)에티닐)시클로펜탄올의 수소화로 실시예 48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61 g, 75%): 1H NMR (400 MHz, CDCl3) δ 7.19 (t, J = 8.0 Hz, 1H), 6.98-7.05 (m, 3H), 2.69-2.76 (m, 4H), 2.62 (t, J = 7.6 Hz, 2H), 1.85-1.92 (m, 2H), 1.79-1.85 (m, 2H), 1.72-1.79 (m, 2H), 1.56-1.72 (m, 6H), 1.37 (br s, 3H). ESI MS m/z 248.5 [M + H]+, 230.4 [M + H - H2O]+.
실시예 49
1-(3-(3-아미노프로필)페닐)-3,4,4-트리메틸펜탄-3-올의 제조
Figure pat00203
1-(3-(3-아미노프로필)페닐)-3,4,4-트리메틸펜탄-3-올을 실시예 2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DMF 와 트리에틸아민의 1:1 혼합물 중에서의 3,4,4-트리메틸펜트-1-인-3-올과 브로마이드 10 의 커플링으로 2,2,2-트리플루오로-N-(3-(3-(3-히드록시-3,4,4-트리메틸펜트-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오렌지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84 g, 73%): 1H NMR (400 MHz, CD3OD) δ 7.15-7.25 (m, 4H), 3.29 (t, J = 7.2 Hz, 2H), 2.61 (t, J = 8.0 Hz, 2H), 1.86 (5중항, J = 7.6 Hz, 2H), 1.49 (s, 3H), 1.09 (br s, 9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3-(3-(3-히드록시-3,4,4-트리메틸펜트-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로 1-(3-(3-아미노프로필)페닐)-3,4,4-트리메틸펜트-1-인-3-올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493 g, 83%): 1H NMR (400 MHz, DMSO-d6) δ 7.15-7.24 (m, 4H), 2.60-2.65 (m, 4H), 1.72-1.79 (m, 2H), 1.49 (s, 3H), 1.09 (s, 9H).
단계 3: 1-(3-(3-아미노프로필)페닐)-3,4,4-트리메틸펜트-1-인-3-올의 수소화로 실시예 49 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88 g, 82%): 1H NMR (400 MHz, CDCl3) δ 7.19 (t, J = 8.0 Hz, 1H), 6.98-7.05 (m, 3H), 2.70-2.79 (m, 3H), 2.58-2.68 (m, 3H), 1.67-1.87 (m, 4H), 1.31 (br s, 3H), 1.21 (s, 3H), 0.94 (s, 9H). ESI MS m/z 264.6 [M + H]+, 246.5 [M + H - H2O]+.
실시예 50
1-(3-(2-아미노에톡시)페닐)-3-에틸펜탄-3-올의 제조
Figure pat00204
수소화를 아민의 탈보호 전에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9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1-(3-(2-아미노에톡시)페닐)-3-에틸펜탄-3-올을 제조하였다.
단계 1: 3-에틸펜트-1-인-3-올과 브로마이드 19 를 소노가시라 (Sonogashira) 커플링시킨 다음,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5-50% EtOAc/헥산 구배) 하여 N-(2-(3-(3-에틸-3-히드록시펜트-1-이닐)페녹시)에틸)-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호박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2.1 g, 75%). 1H NMR (400 MHz, DMSO-d6) δ 9.58 (m, 1H), 7.24 (t, J = 8.0 Hz, 1H), 6.88 - 6.96 (m, 3H), 5.12 (s, 1H), 4.08 (t, J = 5.6 Hz, 2H), 3.53 (q, J = 6.4 Hz, 2H), 1.54 - 1.65 (m, 4H), 0.96 (t, J = 7.6 Hz, 6H).
단계 2: N-(2-(3-(3-에틸-3-히드록시펜트-1-이닐)페녹시)에틸)-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수소화시킨 다음,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5 → 20% EtoAc/헥산 구배) 하여 N-(2-(3-(3-에틸-3-히드록시펜틸)페녹시)에틸)-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담황색의 왁스같은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2.06 g, 97%). 1H NMR (400 MHz, DMSO-d6) δ 9.59 (m, 1H), 7.14 (t, J = 7.6 Hz, 1H), 6.68 - 6.76 (m, 3H), 4.04 (t, J = 5.6 Hz, 2H), 3.91 (s, 1H), 3.53 (q, J = 5.6 Hz, 2H), 2.45 - 2.50 (m, 2H), 1.49 - 1.55 (m, 2H), 1.36 (q, J = 7.6 Hz, 4H), 0.78 (t, J = 7.6 Hz, 6H).
단계 3: N-(2-(3-(3-에틸-3-히드록시펜틸)페녹시)-에틸)-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탈보호시킨 다음,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7N NH3/MeOH)/디클로로메탄) 하여 실시예 50 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557 g, 38%). 1H NMR (400 MHz, CDCl3) δ 7.13 (t, J = 7.6 Hz, 1H), 6.64 - 6.73 (m, 3H), 3.91 (brs, 1H), 3.85 (t, J = 4.8 Hz, 2H), 2.45 - 2.49 (m, 2H), 1.50 - 1.56 (m, 2H), 1.43 (brs, 2H), 1.36 (q, J = 7.6 Hz, 4H), 0.78 (t, J = 7.6 Hz, 6H).
실시예 51
1-(3-(2-아미노에톡시)페닐)-3-이소프로필-4-메틸펜탄-3-올의 제조
Figure pat00205
1-(3-(2-아미노에톡시)페닐)-3-이소프로필-4-메틸펜탄-3-올을 실시예 9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반응을 20 시간 동안 진행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9 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3-이소프로필-4-메틸펜트-1-인-3-올과 브로마이드 19 의 커플링으로 2,2,2-트리플루오로-N-(2-(3-(3-히드록시-3-이소프로필-4-메틸펜트-1-이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를 오일로서 산출하고, 이를 방치하여 응고시켰다. 수율 (0.94 g, 46%): 1H NMR (400 MHz, CDCl3) δ 7.23 (t, J = 8.0 Hz, 1H), 7.07 (dt, J = 7.6, 1.0 Hz, 1H), 6.95 (dd, J = 2.5, 1.4 Hz, 1H), 6.85 (ddd, J = 8.4, 2.7, 1.0 Hz, 1H), 6.70 (br s, 1H), 4.10 (t, J = 5.1 Hz, 2H), 3.79 (dt, J = 5.1 Hz, 2H), 2.04 (m, 2H), 1.80 (s, 1H), 1.09 (d, J = 6.7 Hz, 6H), 1.05 (d, J = 6.7 Hz, 6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2-(3-(3-히드록시-3-이소프로필-4-메틸펜트-1-이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로 1-(3-(2-아미노에톡시)페닐)-3-이소프로필-4-메틸펜트-1-인-3-올을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529 g, 76%): 1H NMR (400 MHz, DMSO-d6) δ 7.24 (t, J = 7.8 Hz, 1H), 6.90-6.95 (m, 2H), 6.87-6.88 (m, 1H), 4.83 (br s, 1H), 3.89 (t, J = 5.7 Hz, 2H), 2.83 (t, J = 5.7 Hz, 2H), 1.86 (m, 2H), 1.47 (br s, 2H), 0.98 (d, J = 6.8 Hz, 6H), 0.93 (d, J = 6.7 Hz, 6H). 13C NMR (100 MHz, DMSO-d6) δ 159.29, 130.48, 124.58, 124.32, 117.46, 115.72, 92.60, 84.54, 76.74, 71.04, 41.62, 34.95, 18.98, 17.21. ESI MS m/z 276.39 [M + H]+, 258.37 [M + H - H2O]+.
단계 3: 1-(3-(2-아미노에톡시)페닐)-3-이소프로필-4-메틸펜트-1-인-3-올의 수소화로 실시예 51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38 g, 79%): 1H NMR (400 MHz, CDCl3) δ 7.17 (t, J = 8.0 Hz, 1H), 6.69-6.80 (m, 3H), 3.96 (t, J = 5.2 Hz, 2H), 3.06 (t, J = 5.2 Hz, 2H), 2.58-2.64 (m, 2H), 1.90-2.02 (m, 2H), 1.74-1.80 (m, 2H), 1.43 (br s, 3H), 0.98 (t, J = 7.2 Hz, 12H). ESI MS m/z 280.6 [M + H]+, 262.5 [M + H - H2O]+.
실시예 52
5-(3-(2-아미노에톡시)페네틸)노난-5-올의 제조
Figure pat00206
5-(3-(2-아미노에톡시)페네틸)노난-5-올을 실시예 9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5-에티닐노난-5-올과 브로마이드 19 의 커플링으로 N-(2-(3-(3-부틸-3-히드록시헵트-1-이닐)페녹시)에틸)-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산출하였다. 수율 (1.06 g, 75%): 1H NMR (400 MHz, CDCl3) δ 7.23 (t, J = 8.0 Hz, 1H), 7.06 (dt, J = 7.6 및 1.2 Hz, 1H), 6.94 (dd, J = 2.5, 1.4 Hz, 1H), 6.86 (ddd, J = 8.4, 2.7, 1.0 Hz, 1H), 6.72 (br s, 1H), 4.10 (t, J = 5.3 Hz, 2H), 3.79 (dt, J = 5.3 Hz, 2H), 1.96 (s, 1H), 1.70-1.75 (m, 4H), 1.50-1.58 (m, 4H), 1.34-1.43 (m, 4H), 0.94 (t, J = 7.2 Hz, 6H).
단계 2: N-(2-(3-(3-부틸-3-히드록시헵트-1-이닐)-페녹시)에틸)-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로 5-((3-(2-아미노에톡시)페닐)-에티닐)노난-5-올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고, 이를 방치하여 응고시켰다. 수율 (0.695 g, 92%): 1H NMR (400 MHz, DMSO-d6) δ 7.24 (t, J = 7.8 Hz, 1H), 6.92-6.93 (m, 1H), 6.90-6.91 (m, 1H), 6.85-6.86 (m, 1H), 5.13 (br s, 1H), 3.89 (t, J = 5.7 Hz, 2H), 2.83 (t, J = 5.7 Hz, 2H), 1.52-1.60 (m, 6H), 1.40-1.49 (m, 4H), 1.25-1.34 (m, 4H), 0.88 (t, J = 7.2 Hz, 6H). 13C NMR (100 MHz, DMSO-d6) δ 159.28, 130.49, 124.50, 124.26, 117.35, 115.76, 94.87, 83.08, 71.03, 70.27, 42.19, 41.60, 26.85, 23.15, 14.74. ESI MS m/z 304.42 [M + H]+, 286.42 [M + H - H2O]+.
단계 3: 5-((3-(2-아미노에톡시)페닐)에티닐)노난-5-올의 수소화로 실시예 52 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54 g, 73%): 1H NMR (400 MHz, CDCl3) δ 7.18 (t, J = 8.0 Hz, 1H), 6.69-6.81 (m, 3H), 3.97 (t, J = 5.2 Hz, 2H), 3.06 (t, J = 5.2 Hz, 2H), 2.56-2.63 (m, 2H), 1.68-1.75 (m, 2H), 1.44-1.52 (m, 4H), 1.36-1.42 (br s, 3H), 1.24-1.36 (m, 8H), 0.91 (t, J = 6.8 Hz, 6H). ESI MS m/z 308.6 [M + H]+, 290.6 [M + H - H2O]+.
실시예 53
4-(3-(2-아미노에톡시)페닐)-2-메틸부탄-2-올의 제조
Figure pat00207
4-(3-(2-아미노에톡시)페닐)-2-메틸부탄-2-올을 실시예 9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반응을 19 시간 동안 진행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9 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2-메틸부트-3-인-2-올과 브로마이드 10 의 커플링으로 2,2,2-트리플루오로-N-(2-(3-(3-히드록시-3-메틸부트-1-이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를 산출하였다. 수율 (㎖7 g, 70%): 1H NMR (400 MHz, CDCl3) δ 7.23 (t, J = 7.8 Hz, 1H), 7.06 (dt, J = 7.6 및 1.2 Hz, 1H), 6.94 (dd, J = 2.5, 1.4 Hz, 1H), 6.86 (ddd, J = 8.2, 2.5, 1.0 Hz, 1H), 6.74 (br s, 1H), 4.09 (t, J = 4.9 Hz, 2H), 3.80 (dt, J = 5.5 Hz, 2H), 2.04 (s, 1H), 1.61 (s, 6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2-(3-(3-히드록시-3-메틸부트-1-이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로 4-(3-(2-아미노에톡시)페닐)-2-메틸부트-3-인-2-올을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40 g, 52%): 1H NMR (400 MHz, DMSO-d6) δ 7.23 (t, J = 8.0 Hz, 1H), 6.89-6.93 (m, 2H), 6.86-6.88 (m, 1H), 5.43 (br s, 1H), 3.89 (t, J = 5.9 Hz, 2H), 2.83 (t, J = 5.9 Hz, 2H), 1.45 (br s, 2H), 1.44 (s, 6H). 13C NMR (100 MHz, DMSO-d6) δ 159.27, 130.45, 124.38, 124.20, 117.21, 116.00, 96.57, 80.99, 71.03, 64.27, 41.59, 32.28. ESI MS m/z 220.31 [M + H]+, 202.28 [M + H - H2O]+; HPLC (방법 A) tR = 2.79 분.
단계 3: 4-(3-(2-아미노에톡시)페닐)-2-메틸부트-3-인-2-올의 수소화로 실시예 53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43 g, 73%): 1H NMR (400 MHz, CDCl3) δ 7.18 (t, J = 8.0 Hz, 1H), 6.70-6.82 (m, 3H), 3.97 (t, J = 5.2 Hz, 2H), 3.07 (t, J = 5.2 Hz, 2H), 2.63-2.70 (m, 2H), 1.74-1.81 (m, 2H), 1.47 (s, 3H), 1.27 (s, 6H). ESI MS m/z 224.4 [M + H]+, 206.3 [M + H - H2O]+.
실시예 54
1-(3-(2-아미노에톡시)페네틸)시클로펜탄올의 제조
Figure pat00208
1-(3-(2-아미노에톡시)페네틸)시클로펜탄올을 실시예 9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반응을 19.5 시간 동안 진행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9 에서 기재된 방법에 따른 1-에티닐시클로펜탄올과 브로마이드 19 의 커플링으로 2,2,2-트리플루오로-N-(2-(3-((1-히드록시시클로펜틸)에티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055 g, 92%): 1H NMR (400 MHz, CDCl3) δ 7.23 (t, J = 8.0 Hz, 1H), 7.06 (dt, J = 7.6, 1.2 Hz, 1H), 6.95 (dd, J = 2.5, 1.4 Hz, 1H), 6.85 (ddd, J = 8.4, 2.7, 1.0 Hz, 1H), 6.72 (br s, 1H), 4.09 (t, J = 5.3 Hz, 2H), 3.78 (dt, J = 5.1 Hz, 2H), 2.00-2.09 (m, 4H), 1.76-1.93 (m, 5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2-(3-((1-히드록시시클로펜틸)에티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로 1-((3-(2-아미노에톡시)페닐)에티닐)시클로펜탄올을 오일로서 산출하고, 이를 방치하여 응고시켰다. 수율 (0.502 g, 66%): 1H NMR (400 MHz, DMSO-d6) δ 7.23 (t, J = 8.0 Hz, 1H), 6.88-6.94 (m, 3H), 5.28 (br s, 1H), 3.89 (t, J = 5.7 Hz, 2H), 2.83 (t, J = 5.7 Hz, 2H), 1.82-1.89 (m, 4H), 1.63-1.74 (m, 4H), 1.48 (br s, 2H). 13C NMR (100 MHz, DMSO-d6) δ 159.27, 130.45, 124.50, 124.18, 117.20, 115.93, 95.65, 81.97, 73.44, 71.01, 42.66, 41.58, 23.75. ESI MS m/z 246.33 [M + H]+, 228.30 [M + H - H2O]+; HPLC (방법 A) tR = 4.19 분.
단계 3: 1-((3-(2-아미노에톡시)페닐)에티닐)시클로펜탄올의 수소화로 실시예 54 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53 g, 76%): 1H NMR (400 MHz, CDCl3) δ 7.16 (t, J = 8.0 Hz, 1H), 6.68-6.81 (m, 3H), 3.95 (t, J = 5.2 Hz, 2H), 3.04 (t, J = 5.2 Hz, 2H), 2.72 (m, 2H), 1.86 (m , 2H), 1.72-1.82 (m, 2H), 1.40-1.72 (m, 9H). ESI MS m/z 250.4 [M + H]+, 232.4 [M + H - H2O]+.
실시예 55
1-(3-(3-아미노프로필)페닐)-3-이소프로필-4-메틸펜탄-3-올의 제조
Figure pat00209
1-(3-(3-아미노프로필)페닐)-3-이소프로필-4-메틸펜탄-3-올을 실시예 213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실시예 13 에 사용된 방법에 따른 3-이소프로필-4-메틸펜트-1-인-3-올과 브로마이드 10 의 커플링으로 2,2,2-트리플루오로-N-(3-(3-(3-히드록시-3-이소프로필-4-메틸펜트-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375 g, 66%): 1H NMR (400 MHz, DMSO-d6) δ 9.40 (br s, 1H), 7.26 (t, J = 7.6 Hz, 1H), 7.17-7.22 (m, 3H), 4.81 (s, 1H), 3.17 (q, J = 6.8 Hz, 2H), 2.56 (t, J = 8.0 Hz, 2H), 1.86 (5중항, J = 6.8 Hz, 2H), 1.76 (5중항, J = 7.6 Hz, 2H), 0.99 (d, J = 6.8 Hz, 6H), 0.94 (d, J = 6.8 Hz, 6H).
단계 2: 실시예 2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2,2,2-트리플루오로-N-(3-(3-(3-히드록시-3-이소프로필-4-메틸펜트-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탈보호시킨 다음,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9:1 CH2Cl2: MeOH 중 7 M NH3) 하여 1-(3-(3-아미노프로필)페닐)-3-이소프로필-4-메틸펜트-1-인-3-올을 투명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835 g, 82%): 1H NMR (400 MHz, DMSO-d6) δ 7.15-7.26 (m, 4H), 4.82 (br s, 1H), 2.56 (t, J = 7.6 Hz, 2H), 2.47-2.52 (m, 2H), 1.86 (5중항, J = 6.8 Hz, 2H), 1.59 (5중항, J = 6.8 Hz, 2H), 1.56 (br.s, 2H), 1.05 (d, J = 6.8 Hz, 6H), 1.03 (d, J = 6.8 Hz, 6H).
단계 3: 실시예 2 에 사용된 방법에 따른 1-(3-(3-아미노프로필)페닐)-3-이소프로필-4-메틸펜트-1-인-3-올의 수소화로 실시예 55 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538 g, 68%): 1H NMR (400 MHz, CDCl3) δ 7.19 (t, J = 8.0 Hz, 1H), 6.97-7.60 (m, 3H), 2.73 (t, J = 7.2 Hz, 2H), 2.58-2.65 (m, 4H), 1.92-2.04 (m, 2H), 1.72-1.82 (m, 4H), 1.30-1.40 (br s, 3H), 0.99 (t, J = 7.2 Hz, 12H). ESI MS m/z 278.6 [M + H]+, 260.5 [M + H - H2O]+.
실시예 56
4-(3-(3-아미노프로필)페네틸)-2,6-디메틸헵탄-4-올의 제조
Figure pat00210
4-(3-(3-아미노프로필)페네틸)-2,6-디메틸헵탄-4-올을 실시예 55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4-에티닐-2,6-디메틸헵탄-4-올과 브로마이드 10 의 커플링으로 2,2,2-트리플루오로-N-(3-(3-(3-히드록시-3-이소부틸-5-메틸헥스-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25 g, 63%): 1H NMR (400 MHz, DMSO-d6) δ 9.40 (br s, 1H), 7.14-7.28 (m, 4H), 5.02 (s, 1H), 3.17 (q, J = 6.8 Hz, 2H), 2.56 (t, J = 7.6 Hz, 2H), 1.93-1.99 (m, 2H), 1.75 (5중항, J = 7.6 Hz, 2H), 1.47-1.56 (m, 4H), 0.86-0.98 (m, 12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3-(3-(3-히드록시-3-이소부틸-5-메틸헥스-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로 4-((3-(3-아미노프로필)페닐)에티닐)-2,6-디메틸헵탄-4-올을 투명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73 g, 77%): 1H NMR (400 MHz, DMSO-d6) δ 7.22-7.26 (m, 1H), 7.12-7.18 (m, 3H), 5.04 (br s, 1H), 2.56 (t, J = 7.2 Hz, 2H), 2.50 (t, J = 6.8 Hz, 2H), 1.91-2.01 (m, 2H), 1.47-1.62 (m, 6H), 0.98 (m, 6H), 0.96 (m, 6H).
단계 3: 4-((3-(3-아미노프로필)페닐)에티닐)-2,6-디메틸헵탄-4-올의 수소화로 실시예 56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559 g, 77%): 1H NMR (400 MHz, CDCl3) δ 7.18 (t, J = 8.0 Hz, 1H), 6.97-7.03 (m, 3H), 2.73 (t, J = 7.2 Hz, 2H), 2.56-2.65 (m, 4H), 1.72-1.88 (m, 6H), 1.40-1.48 (m, 7H), 0.98 (dd, J = 6.8, 4.8 Hz, 12H). ESI MS m/z 306.7 [M + H]+, 288.6 [M + H - H2O]+.
실시예 57
5-(3-(3-아미노프로필)페닐)펜탄-2-올의 제조
Figure pat00211
5-(3-(3-아미노프로필)페닐)펜탄-2-올을 실시예 2, 1323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반응을 실온에서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3 에 사용된 방법에 따른 펜트-4-인-2-올과 브로마이드 10 의 커플링으로 2,2,2-트리플루오로-N-(3-(3-(4-히드록시펜트-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95 g, 63%): 1H NMR (400 MHz, DMSO-d6) δ 9.40 (br s, 1H), 7.14-7.26 (m, 4H), 4.80 (s, 1H), 3.81 (q, J = 5.6 Hz, 1H), 3.16 (q, J = 6.8 Hz, 2H), 2.54 (t, J = 5.6 Hz, 2H), 2.39 (dd, J = 16.8, 6.8 Hz, 2H), 1.76 (5중항, J = 7.2 Hz, 2H), 1.17 (d, J = 5.6 Hz, 3H).
단계 2: 실시예 23 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2,2,2-트리플루오로-N-(3-(3-(4-히드록시펜트-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로 5-(3-(3-아미노프로필)페닐)펜트-4-인-2-올을 투명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4 g, 94%): 1H NMR (400 MHz, CDCl3) δ 7.24-7.25 (m, 1H), 7.23 (t, J = 1.6 Hz, 1H), 7.20 (ddd, J = 7.4, 7.4, 0.6 Hz, 1H), 7.11 (dt, J = 7.2, 1.6 Hz, 1H), 4.04 (dq, J = 12.5, 6.3 Hz, 1H), 2.72 (t, J = 6.9 Hz, 2H), 2.51-2.64 (m, 4H), 1.72-1.79 (m, 2H), 1.65 (br s, 3H), 1.32 (d, J = 6.3 Hz, 3H).
단계 3: 실시예 2 에 사용된 방법에 따른 5-(3-(3-아미노프로필)페닐)펜트-4-인-2-올의 수소화로 실시예 57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73 g, 64%): 1H NMR (400 MHz, CDCl3) δ 7.15-7.22 (m, 1H), 6.97-7.04 (m, 3H), 3.80 (5중항., J = 6.4 Hz, 1H), 2.72 (t, J = 7.2 Hz, 2H), 2.55-2.65 (m, 4H), 1.57-1.82 (m, 4H), 1.52 (br s, 3H), 1.40-1.54 (m, 2H), 1.17 (d, J = 6.0 Hz, 3H). ESI MS m/z 222.5 [M + H]+.
실시예 58
3-(3-(2-메톡시페네틸)페닐)프로판-1-아민의 제조
Figure pat00212
아민의 탈보호 전에 수소화를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2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3-(3-(2-메톡시페네틸)페닐)프로판-1-아민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디이소프로필아민을 트리에틸아민 대신에 사용하고 반응 혼합물을 환류에서 가열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2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브로마이드 57 과 2-에티닐아니솔의 소노가시라 반응을 수행하였다. tert-부틸 3-(3-((2-메톡시페닐)에티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42 g, 72%): MS: 366 [M+1]+.
단계 2: tert-부틸 3-(3-((2-메톡시페닐)에티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의 환원으로 tert-부틸 3-(3-(2-메톡시페네틸)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회색을 띤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42 g, 85%): MS: 370 [M+1]+.
단계 3: tert-부틸 3-(3-(2-메톡시페네틸)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의 탈보호로 실시예 58 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92 g, 78%): 1H NMR (400 MHz, DMSO-d6) δ 7.17-7.23 (m, 2H), 7.11 (d, J = 7.6 Hz, 1H), 7.0-7.07 (m, 3H), 6.96 (d, J = 8.4 Hz, 1H), 6.82-6.86 (m, 1H), 3.79 (s, 3H), 2.74-2.84 (m, 6H), 2.62 (t, J = 7.6 Hz, 2H), 1.77-1.86 (m, 2H). 13C NMR (100 MHz, DMSO-d6): δ 157.5, 142.4, 141.2, 130.0, 129.8, 128.8, 128.7, 127.8, 126.5, 126.2, 120.6, 111.1, 55.8, 38.8, 35.9, 32.3, 32.2, 29.2. MS: 270 [M+1]+.
실시예 59
6-(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닐)헥산-1-올의 제조
Figure pat00213
6-(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닐)헥산-1-올을 실시예 17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헥스-5-인-1-올과 브로마이드 39 의 커플링으로 tert-부틸 3-히드록시-3-(3-(6-히드록시헥스-1-이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405 g, 77%).
단계 2: tert-부틸 3-히드록시-3-(3-(6-히드록시헥스-1-이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탈보호시킨 다음, 분취용 HPLC (방법 2P) 로 정제시켜 6-(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닐)헥스-5-인-1-올 히드로클로라이드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2 g, 32%): 1H NMR (400 MHz, DMSO-d6) δ 7.87 (br s, 2H), 7.25-7.35 (m, 4H), 5.51 (br s , 1H), 4.68 (dd, J = 7.8, 4.4 Hz, 1H), 4.46 (t, J = 6.4 Hz, 1H), 3.40-3.44 (m, 2H), 2.77-2.88 (m, 2H), 2.41-2.44 (m, 2H), 1.80-1.93 (m, 2H), 1.56-1.62 (m, 4H).
단계 3: 실시예 13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6-(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닐)헥스-5-인-1-올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수소화시킨 다음, 분취용 HPLC (방법 1P) 로 정제시켜 실시예 59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21 ㎎, 14%): 1H NMR (400 MHz, DMSO-d6) δ 7.63 (br s, 3H), 7.23 (t, J = 7.5 Hz, 1H), 7.12 (s, 1 H), 7.11 (d, J = 7.5 Hz, 1 H), 7.06 (d, J = 7.5 Hz, 1H), 5.49 (br s, 1 H), 4.63 (t, J = 6.3 Hz, 1H), 4.31 (t, J = 4.9 Hz, 1H), 3.35 (dd, J = 11.1, 6.1 Hz, 2H), 2.78-2.90 (m, 2 H), 2.54 (t, J = 7.7, 2H), 1.78-1.84 (m, 2H), 1.50-1.58 (m, 2H), 1.27-1.40 (m, 6 H).
실시예 60
4-(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닐)부탄-1-올의 제조
Figure pat00214
아민 탈보호를 수소화 전에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9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4-(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닐)부탄-1-올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19 와 부트-3-인-1-올의 소노가시라 반응으로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4-히드록시부트-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908 g, 90%): 1H NMR (400 MHz, CDCl3) δ 7.41 (s, 1H), 7.23-7.36 (m, 3H), 4.84-4.87 (m, 1H), 3.81 (t, J = 6.4 Hz, 2H), 3.66-3.69 (m, 1H), 3.39-3.42 (m, 1H), 2.69 (t, J = 6.4 Hz, 2H), 1.93-1.99 (m, 2H).
단계 2: MeOH (15 ㎖) 중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4-히드록시부트-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 탄산칼륨 (1.6 g, 11.5 mmol) 과 물 (3 ㎖) 의 혼합물을 4 시간 동안 환류 하에 가열하였다. 반응 물질을 감압 하에 건조 농축시켜 15% MeOH-NH3 (9.5:0.5)-DCM 를 이용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시킨 후, 4-(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닐)부트-3-인-1-올을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8 g, 60 %). 이 화합물을 다음 변형에 그 자체로 사용하였다.
단계 3: 2-PrOH (10 ㎖) 중 4-(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닐)부트-3-인-1-올 (5) 의 용액을 탈기시키고, 질소로 퍼징시켰다. 이에 Pd/C (0.08 g, 10%) 를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비우고, 수소로 충전하였다. 이 절차를 3 회 반복한 후, 반응 혼합물을 H2 풍선 하에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약 72 시간 후, 이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황색 오일을 산출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15% MeOH-NH3 (9.5:0.5)-DCM 구배) 로 정제시켜 실시예 60 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0.14 g, 37%): 1H NMR (400 MHz, DMSO-d6) δ 7.19 (t, J = 7.6, 1H), 7.13 (s, 1H), 7.11 (d, J = 7.6 Hz, 1H), 7.03 (d, J = 7.6 Hz, 1H), 4.60-4.63 (m, 1H), 4.36 (bs, 1H), 3.39 (t, J = 7.6 Hz, 2H), 2.58-2.68 (m, 2H), 2.55 (t, J = 7.6 Hz, 2H), 1.55-1.68 (m, 4H), 1.44-1.46 (m, 2H). 13C NMR (100 MHz, DMSO-d6) δ 146.0, 141.8, 127.7, 126.4, 125.6, 123.0, 71.4, 60.5, 42.4, 38.9, 35.1, 32.1, 27.5. MS: 224 [M+1]+.
실시예 61
3-아미노-1-(3-(2-메톡시페네틸)페닐)프로판-1-올의 제조
Figure pat00215
3-아미노-1-(3-(2-메톡시페네틸)페닐)프로판-1-올을 실시예 19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43 과 1-에티닐-2-메톡시벤젠의 소노가시라 반응으로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2-메톡시페닐)에티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12 g, 96%): 1H NMR (400 MHz, CDCl3) δ 7.55 (s, 1H), 7.50 (d, J = 5.6 Hz, 2H), 7.28-7.37 (m, 3H), 6.90-6.96 (m, 2H), 4.84-4.87 (m, 1H), 3.92 (s, 3H), 3.66-3.69 (m, 1H), 3.39-3.42 (m, 1H), 2.32 (bs, 1H), 1.93-1.99 (m, 2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2-메톡시페닐)에티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환원으로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2-메톡시페네틸)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1 g, 미정제): 1H NMR (400 MHz, CDCl3) δ 7.36 (bs, 1H), 7.24-7.30 (m, 1H), 7.13-7.20 (m, 3H), 7.08 (s, 1H), 7.04 (d, J = 1.6 Hz, 7.2 Hz, 1H), 6.82-6.87 (m, 2H), 4.83-4.86 (m,1H), 3.81 (s, 3H), 3.61-3.66 (m, 1H), 3.36-3.42 (m, 1H), 2.17 (bs, 1H), 1.93-1.99 (m, 2H). 이 화합물을 다음 변형에 그 자체로 사용하였다.
단계 3: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2-메톡시페네틸)-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로 어두운 오일을 산출하고,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10% MeOH-NH3 (9.5:0.5)-DCM 구배) 에 의한 정제 시 실시예 61 을 담녹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616 g, 75%): 1H NMR (400 MHz, DMSO-d6) δ 7.04-7.23 (m, 6H), 6.94 (d, J = 8.0 Hz, 1H), 6.82 (t, J = 7.2 Hz, 1H), 4.59 (t, J = 6.4 Hz, 1H), 3.75 (s, 3H), 2.78 (s, 4H), 2.66-2.73 (m, 2H), 1.70-1.75 (m, 2H). 13C NMR (100 MHz, DMSO-d6) δ 157.1, 145.7, 141.6, 129.6, 129.3, 128.0, 127.3, 126.7, 125.5, 123.1, 120.2, 110.6, 70.5, 55.3, 37.6, 35.6, 31.8. MS: 286 [M+1]+.
실시예 62
3-(3-(2-(티오펜-2-일)에틸)페닐)프로판-1-아민의 제조
Figure pat00216
3-(3-(2-(티오펜-2-일)에틸)페닐)프로판-1-아민을 실시예 31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알킨 61 을 2-브로모티오펜과 커플링시키고,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5% EtOAc-헥산) 로 정제시켜 2-(3-(3-(티오펜-2-일에티닐)페닐)프로필)이소인돌린-1,3-디온을 황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490 g, 50%): 1H NMR (400 MHz, CDCl3) δ 7.84 (dd, J = 5.6, 3.2 Hz, 2H), 7.71 (dd, J = 5.2, 3.2 Hz, 2H), 7.35 (s, 1H), 7.26-7.30 (m, 3H), 7.23 (t, J = 7.6 Hz, 1H), 7.18 (d, J = 7.6 Hz, 1H), 7.01 (dd, J = 5.2, 3.6 Hz, 1H), 3.76 (t, J = 7.2 Hz, 2H), 2.69 (t, J = 7.6 Hz, 2H), 2.05 (5중항, J = 7.6 Hz, 2H).
단계 2: 2-(3-(3-(티오펜-2-일에티닐)페닐)프로필)이소인돌린-1,3-디온을 탈보호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희석시키고, 침전물을 여과로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디에틸 에테르 침전 단계를 반복하였다. 분취용 HPLC (방법 1P) 로 정제시켜 3-(3-(티오펜-3-일에티닐)페닐)프로판-1-아민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크림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10 g, 65%): 1H NMR (400 MHz, CDCl3) δ 7.94 (br s, 3H), 7.33 (d, J = 7.6 Hz, 1H), 7.25-7.28 (m, 2H), 7.22 (d, J = 7.6 Hz, 1H), 7.09 (d, J = 7.6 Hz, 1H), 6.99 (dd, J = 5.2, 3.6 Hz, 1H), 2.89 (t, J = 7.2 Hz, 2H), 2.63 (t, J = 7.6 Hz, 2H), 1.92-1.99 (m, 2H).
단계 3: 수소화시킨 다음, 분취용 HPLC (방법 1P) 로 정제시켜 실시예 62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회색을 띤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70 ㎎, 29%): 1H NMR (400 MHz, DMSO-d6) δ 7.66 (br s, 3H), 7.28 (d, J = 5.0 Hz, 1H), 7.20 (t, J = 7.5 Hz, 1H), 7.07 (d, J = 7.7 Hz, 1H), 7.06 (s, 1H), 7.01 (d, J = 7.6 Hz, 1H), 6.90 (dd, J = 5.0, 3.4 Hz, 1H), 6.82 (d, J = 3.4 Hz, 1H), 3.08 (t, J = 7.8 Hz, 2H), 2.88 (t, J = 7.8 Hz, 2H), 2.71-2.79 (m, 2H), 2.58 (t, J = 7.7 Hz, 2H), 1.79 (5중항, J = 7.7 Hz, 2H).
실시예 63
3-아미노-1-(3-(4-페닐부틸)페닐)프로판-1-올의 제조
Figure pat00217
아민 탈보호를 수소화 전에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9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3-아미노-1-(3-(4-페닐부틸)페닐)프로판-1-올을 제조하였다.
단계 1: 실시예 19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아릴 브로마이드 43 과 부트-3-이닐벤젠을 커플링시키고,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20% EtOAc-헥산) 로 정제시켜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4-페닐부트-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40 g, 52%): 1H NMR (400 MHz, CDCl3) δ 7.28-7.36 (m, 7H), 7.24-7.27 (m, 2H), 4.84-4.88 (m, 1H), 3.66-3.74 (m, 1H), 3.41 (ddd, J = 17.6, 8.0, 4.4 Hz, 1H), 2.93 (t, J = 7.6 Hz, 2H), 2.70 (t, J = 7.6 Hz, 2H), 2.27 (d, J = 1.6 Hz, 1H), 1.90-2.03 (m, 2H).
단계 2: 반응물을 밤새 가열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9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4-페닐부트-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를 수행하였다. 분취용 HPLC (방법 004P) 로 정제시켜 3-아미노-1-(3-(4-페닐부트-1-이닐)페닐)프로판-1-올을 갈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85 g, 33%): 1H NMR (400 MHz, DMSO-d6) δ 7.21-7.34 (m, 9H), 4.67 (t, J = 6.0 Hz, 1H), 2.88 (t, J = 7.2 Hz, 2H), 2.68-2.74 (m, 4H), 1.68 (q, J = 6.4 Hz, 2H), 0.86-0.92 (m, 1H).
단계 3: 2-PrOH 중에 실온에서 14 시간 동안 3-아미노-1-(3-(4-페닐부틸)페닐)프로판-1-올 (6) 의 환원으로 워크업 후 황색 오일을 산출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15% MeOH-NH3 (9.5:0.5)-DCM 구배) 로 정제시켰다. 이어서, 이를 2-PrOH (10 ㎖) 에 용해시키고, 디옥산 중 HCl (1 ㎖, 4M) 과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하에 건조 농축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15% MeOH-DCM 구배) 로 정제시켜 실시예 63 을 백색 반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3 g, 19%): 1H NMR (400 MHz, DMSO-d6) δ 7.20-7.26 (m, 3H), 7.09-7.15 (m, 5H), 7.05 (d, J = 7.2 Hz, 1H), 4.60 (t, J = 7.2 Hz, 1H), 2.78-2.88 (m, 2H), 2.55 (m, 4H), 1.78-1.84 (m, 2H), 1.53-1.55 (m, 4H). 13C NMR (100 MHz, DMSO-d6) δ 145.3, 142.2, 142.0, 128.3, 128.1, 126.9, 125.6, 125.5, 123.0, 69.7, 36.7, 36.4, 35.0, 34.9, 30.7. MS: 284 [M+1]+.
실시예 64
2-(3-(4-메틸펜틸)페녹시)에탄아민의 제조
Figure pat00218
수소화를 아민의 탈보호 전에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9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2-(3-(4-메틸펜틸)페녹시)에탄아민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19 와 4-메틸-1-펜틴의 소노가시라 반응으로 2,2,2-트리플루오로-N-(2-(3-(4-메틸펜트-1-이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955 g, 63%): 1H NMR (400 MHz, DMSO-d6) δ 7.22-7.27 (m, 1H), 6.97 (d, J = 7.6 Hz, 1H), 6.90-6.94 (m, 2H), 4.10 (t, J = 5.6 Hz, 2H), 3.53-3.57 (m, 2H), 2.31 (d, J = 6.4 Hz, 2H), 1.80-1.90 (m, 1H), 1.0 (d, J = 6.8 Hz, 6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2-(3-(4-메틸펜트-1-이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의 환원으로 2,2,2-트리플루오로-N-(2-(3-(4-메틸펜틸)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815 g, 85%): 1H NMR (400 MHz, DMSO-d6) δ 7.21-7.25 (m, 1H), 6.83 (d, J = 7.6 Hz, 1H), 6.70-6.73 (m, 2H), 4.10 (t, J = 5.0 Hz, 2H), 3.76-3.80 (m, 2H), 2.56 (t, J = 7.8 Hz, 2H), 1.53-1.64 (m, 2H), 1.30-1.38 (m, 3H), 0.87 (d, J = 6.4 Hz, 6H).
단계 3: 5-(3-(2-(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에톡시)페닐)펜탄아미드의 탈보호로 실시예 64 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415 g, 73%): 1H NMR (400 MHz, DMSO-d6) δ 7.19-7.23 (m, 1H), 6.77-6.82 (m, 3H), 4.11 (t, J = 5.2 Hz, 2H), 3.16 (t, J = 5.2 Hz, 2H), 2.53 (t, J = 7.6 Hz, 2H), 1.50-1.60 (m, 3H), 1.14-1.20 (m, 2H), 0.85 (d, J = 6.8 Hz, 6H). 13C NMR (100 MHz, DMSO-d6) δ 157.9, 144.1, 129.3, 121.2, 114.6, 111.8, 64.6, 38.5, 38.0, 35.4, 28.7, 27.3, 22.5. MS: 222 [M+1]+.
실시예 65
2-(3-(3-페닐프로프-1-이닐)페녹시)에탄아민의 제조
Figure pat00219
2-(3-(3-페닐프로필)페녹시)에탄아민을 실시예 9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19 와 3-페닐-1-프로핀의 소노가시라 반응으로 2,2,2-트리플루오로-N-(2-(3-(3-페닐프로프-1-이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1 g, 미정제). 미정제 물질을 추가 탈보호 반응에 직접 사용하였다.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2-(3-(3-페닐프로프-1-이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로 2-(3-(3-페닐프로프-1-이닐)페녹시)에탄아민을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74 g, 94%). 미정제 물질을 추가 환원 반응에 직접 사용하였다.
단계 3: 2-(3-(3-페닐프로프-1-이닐)페녹시)에탄아민의 환원으로 실시예 65 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78 g, 23%): 1H NMR (400 MHz, DMSO-d6) δ 7.26-7.30 (m, 2H), 7.17-7.25 (m, 4H), 6.77-6.83 (m, 3H), 4.09 (t, J = 5.2 Hz, 2H), 3.15 (t, J = 5.2 Hz, 2H), 2.56-2.60 (m, 4H), 1.82-1.90 (m, 2H). 13C NMR (100 MHz, DMSO-d6) δ 158.5, 144.1, 142.3, 129.8, 128.8, 128.7, 126.2, 121.7, 115.1, 112.4, 65.2, 39.1, 35.2, 33.0. MS: 256 [M+1]+.
실시예 66
4-(3-(2-아미노에톡시)페닐)부탄-1-올의 제조
Figure pat00220
4-(3-(2-아미노에톡시)페닐)부탄-1-올을 실시예 64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19 와 부트-3-인-1-올의 소노가시라 반응으로 2,2,2-트리플루오로-N-(2-(3-(4-히드록시부트-1-이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9 g, 93%): 1H NMR (400 MHz, DMSO-d6) δ 7.21-7.25 (m, 1H), 7.06 (d, J = 7.6 Hz, 1H), 6.94 (bs, 1H), 6.85 (dd, J = 8.4, 2.4 Hz, 1H), 4.09 (t, J = 5.0 Hz, 2H), 3.76-3.85 (m, 4H), 2.70 (t, J = 6.4 Hz, 2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2-(3-(4-히드록시부트-1-이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의 환원으로 2,2,2-트리플루오로-N-(2-(3-(4-히드록시부틸)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42 g, 63%). MS: 304 [M-1].
단계 3: 2,2,2-트리플루오로-N-(2-(3-(4-히드록시부틸)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로 실시예 66 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21 g, 44%): 1H NMR (400 MHz, DMSO-d6) δ 7.14-7.18 (m, 1H), 6.71-6.76 (m, 3H), 3.88 (t, J = 5.8 Hz, 2H), 3.39 (t, J = 6.6 Hz, 2H), 2.85 (t, J = 5.8 Hz, 2H), 2.53 (t, J = 6.8 Hz, 2H), 1.53-1.60 (m, 2H), 1.38-1.45 (m, 2H). 13C NMR (100 MHz, DMSO-d6) δ 159.1, 144.4, 129.6, 121.0, 115.0, 112.0, 70.4, 61.0, 41.4, 35.5, 32.6, 27.8. MS: 210 [M+1]+.
실시예 67
2-(3-페네틸페녹시)에탄아민올의 제조
Figure pat00221
2-(3-페네틸페녹시)에탄아민을 실시예 64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19 와 에티닐벤젠의 소노가시라 반응으로 2,2,2-트리플루오로-N-(2-(3-(페닐에티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755 g, 70%): 1H NMR (400 MHz, DMSO-d6) δ 9.65 (bs, 1H), 7.53-7.57 (m, 2H), 7.41-7.47 (m, 3H), 7.34-7.36 (m, 1H), 7.15 (d, J = 7.6 Hz, 1H), 7.12 (s, 1H), 7.0 (dd, J = 7.6, 2.0 Hz, 1H), 4.14 (t, J = 5.4 Hz, 2H), 3.55-3.60 (m, 2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2-(3-(페닐에티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의 환원으로 2,2,2-트리플루오로-N-(2-(3-페네틸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61 g, 80%): 1H NMR (400 MHz, DMSO-d6) δ 9.66 (bs, 1H), 7.15-7.21 (m, 4H), 7.15-7.20 (m, 2H), 6.80-6.83 (m, 2H), 6.75 (d, J = 7.6 Hz, 1H), 4.06 (t, J = 5.6 Hz, 2H), 3.54-3.60 (m, 2H), 2.81-2.90 (m, 4H).
단계 3: 2,2,2-트리플루오로-N-(2-(3-페네틸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로 실시예 67 을 회색을 띤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05 g, 41%): 1H NMR (400 MHz, DMSO-d6) δ 7.14-7.28 (m, 6H), 6.83-6.85 (m, 2H), 6.79 (d, J = 8.4 Hz, 1H), 4.11 (t, J = 5.0 Hz, 2H), 3.18 (t, J = 5.0 Hz, 2H), 2.83-2.87 (m, 4H). 13C NMR (100 MHz, DMSO-d6) δ 157.8, 143.2, 141.4, 129.3, 128.3, 128.2, 125.8, 121.3, 114.7, 112.1, 64.6, 38.2, 37.0, 36.9. MS: 242 [M+1]+.
실시예 68
2-(3-(4-페닐부틸)페녹시)에탄아민의 제조
Figure pat00222
2-(3-(4-페닐부틸)페녹시)에탄아민을 실시예 9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19 와 부트-3-이닐-벤젠의 소노가시라 반응으로 2,2,2-트리플루오로-N-(2-(3-(4-페닐부트-1-이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를 투명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2.8 g, 미정제). 미정제 물질을 추가 탈보호 반응에 직접 사용하였다.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2-(3-(4-페닐부트-1-이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로 2-(3-(4-페닐부트-1-이닐)페녹시)에탄아민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700 g, 35%): 1H NMR (400 MHz, DMSO-d6) δ 7.29-7.33 (m, 4H), 7.20-7.26 (m, 2H), 6.88-6.93 (m, 2H), 6.84-6.87 (m, 1H), 3.89 (t, J = 5.6, 2H), 2.80-2.88 (m, 4H), 2.69 (t, J = 7.2, 2H). 13C NMR (100 MHz, DMSO-d6) δ 158.5, 140.5, 129.7, 128.6, 128.2, 126.2, 124.2, 123.5, 116.6, 114.9, 90.0, 81.1, 70.3, 40.9, 34.3, 20.9. MS: 266 [M+1]+.
단계 3: 2-(3-(4-페닐부트-1-이닐)페녹시)에탄아민의 환원으로 실시예 68 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78 g, 89%): 1H NMR (400 MHz, DMSO-d6) δ 7.12-7.27 (m, 6H), 6.76-6.80 (m, 3H), 4.09 (t, J = 5.0 Hz, 2H), 3.15 (t, J = 5.0 Hz, 2H), 2.49-2.57 (m, 4H), 1.53-1.58 (m, 4H). 13C NMR (100 MHz, DMSO-d6) δ 157.9, 143.9, 142.1, 129.3, 128.3, 128.2, 125.6, 121.2, 114.6, 111.8, 64.5, 38.5, 34.9, 30.6, 30.5. MS: 270 [M+1]+.
실시예 69
2-(3-(2-메톡시페네틸)페녹시)에탄아민의 제조
Figure pat00223
2-(3-(2-메톡시페네틸)페녹시)에탄아민 아민을 실시예 64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19 와 2-에티닐-아니솔의 소노가시라 반응으로 2,2,2-트리플루오로-N-(2-(3-((2-메톡시페닐)에티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4 g, 62%): 1H NMR (400 MHz, DMSO-d6) δ 7.48 (dd, J = 7.6, 1.6 Hz, 1H), 7.37-7.42 (m, 1H), 7.31-7.36 (m, 1H), 7.09-7.12 (m, 2H), 7.08 (s, 1H), 6.95-7.01 (m, 2H), 4.13 (t, J = 5.6 Hz, 2H), 3.86 (s, 3H), 3.55-3.60 (m, 2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2-(3-((2-메톡시페닐)에티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의 환원으로 2,2,2-트리플루오로-N-(2-(3-(2-메톡시페네틸)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53 g, 63%): 1H NMR (400 MHz, DMSO-d6) δ 7.15-7.20 (m, 2H), 7.12 (d, J = 7.2 Hz, 1H), 6.95 (d, J = 8.4 Hz, 1H), 6.73-6.86 (m, 4H), 4.06 (t, J = 5.6 Hz, 2H), 3.79 (s, 3H), 3.56 (t, J = 5.4 Hz, 2H), 2.75-2.83 (m, 4H).
단계 3: 2,2,2-트리플루오로-N-(2-(3-(2-메톡시페네틸)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로 실시예 69 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22 g, 66%): 1H NMR (400 MHz, DMSO-d6) δ 7.16-7.20 (m, 2H), 7.12 (d, J = 7.2 Hz, 1H), 6.95 (d, J = 8.0 Hz, 1H), 6.82-6.86 (m, 1H), 6.74-6.79 (m, 3H), 3.92 (t, J = 5.6 Hz, 2H), 3.79 (s, 3H), 2.92 (t, J = 5.6 Hz, 2H), 2.76-2.84 (m, 4H). 13C NMR (100 MHz, DMSO-d6) δ 158.8. 157.5, 144.0, 130.0, 129.7, 129.6, 127.7, 121.3, 120.6, 115.0, 112.3, 111.1, 68.1, 55.8, 40.6, 35.9, 32.0. MS: 272 [M+1]+.
실시예 70
(S)-4-(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네틸)헵탄-4-올의 제조
Figure pat00224
(S)-4-(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네틸)헵탄-4-올을 하기 반응식 16 에 나타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16
Figure pat00225
단계 1: CH2Cl2 (250 ㎖) 중 히드록시아민 38 (37.61 g, 163.4 mmol) 의 용액에 에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28 ㎖, 209.6 mmol) 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셀라이트 (70 g), 그 다음 피리디늄 클로로크로메이트 (75.65 g, 350.9 mmol) 및 CH2Cl2 (200 ㎖) 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여 갈색 고체를 산출하고, 이를 유리 여과기로 이송시키고, 대규모의 MTBE:헥산 (1:1) 으로 세정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헥산:EtOAc (95:5) 로부터 결정화시켜 케톤 76 을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26.52 g, 50%). 1H NMR (400 MHz, DMSO-d6) δ 9.41 (br. t, 1H), 8.06 (t, J = 1.8 Hz, 1H), 7.91-7.95 (m, 1H), 7.80-7.85 (m, 1H), 7.48 (t, J = 8.0 Hz, 1H), 3.50 (q, J = 6.5 Hz, 2H), 3.30 (t, J = 6.5 Hz, 2H).
단계 2: 반응을 +80 ℃ 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 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방법에 따라 4-에티닐헵탄-4-올 (44) 과 브로마이드 76 의 커플링을 수행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 70% EtOAc-헥산 구배) 로 정제시켜 알킨 77 을 암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3.15 g, 정량). 1H NMR (400 MHz, DMSO-d6) δ 9.40 (br. t, 1H), 7.84-7.92 (m, 2H), 7.58-7.63 (m, 1H), 7.50 (t, J = 7.6 Hz, 1H), 5.19 (s, 1H), 3.51 (q, J = 5.7 Hz, 2H), 3.30 (t, J = 6.7 Hz, 2H), 1.40-1.64 (m, 8H), 0.90 (t, J = 7.2 Hz, 6H).
단계 3: (+)-디이소피노캄페일클로로보란 ((+)-Ipc2B-Cl) 용액의 제조: 아르곤 하에 헥산 (18 ㎖) 중 (+)-α-피넨 (26.38 g, 193.6 mmol) 의 빙냉 용액에 모노클로로보란-메틸 술파이드 착물 (9.5 ㎖, 91.12 mmol) 을 5 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 분 동안 교반한 다음, 실온으로 가온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0 ℃ 에서 3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생성된 용액은 약 1.67 M 이었다.
아르곤 하에 무수 THF (60 ㎖) 중 케톤 77 (14.34 g, 37.4 mmol) 과 디이소프로필 에틸아민 (6.5 ㎖, 37.31 mmol) 의 0 ℃ 용액에 (+)-Ipc2B-Cl 용액 (상기 제조된 1.67 M 용액 55 ㎖, 91.12 mmol) 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 에서 5 분 동안, 그 다음 실온에서 3.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 로 재냉각시키고, 포화 수성 NaHCO3 (80 ㎖) 를 조심스럽게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20 ℃ 에서 밤새 두었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MTBE 로 추출하고, 수합된 유기층을 NaHCO3, 그 다음 염수로 세정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 100% EtOAc-헥산 구배) 로 정제시켜 (S)-알킨 78 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0.55 g, 70%). 1H NMR (400 MHz, DMSO-d6) δ 9.32 (br. s, 1H), 7.30-7.33 (m, 1H), 7.26-7.29 (m, 2H), 7.19-7.23 (m, 1H), 5.36 (br. s, 1H), 5.12 (s, 1H), 4.56 (dd, J = 4.7, 7.6 Hz, 1H), 3.15-3.27 (m, 2H), 1.70-1.82 (m, 2H), 1.40-1.61 (m, 8H), 0.91 (t, J = 7.2 Hz, 6H).
단계 4. 반응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진행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3 에 사용된 방법에 의해 (S)-알킨 78 을 수소화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20% → 80% EtOAc-헥산 구배) 로 정제시켜 알칸 79 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5.13 g, 98%). 1H NMR (400 MHz, DMSO-d6) δ 9.32 (br. s, 1H), 7.18 (t, J = 7.4 Hz, 1H), 7.06-7.12 (m, 2H), 6.99-7.03 (m, 1H), 5.25 (d, J = 4.3 Hz, 1H), 4.52 (q, J = 4.7 Hz, 1H), 3.95 (s, 1H), 3.23 (q, J = 7.0 Hz, 2H), 2.48-2.53 (m, 2H), 1.72-1.80 (m, 2H), 1.50-1.56 (m, 2H), 1.20-1.36 (m, 8H), 0.84 (t, J = 6.9 Hz, 6H).
단계 5. 3 당량의 K2CO3 을 사용하고 반응을 +40 ℃ 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9 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방법에 따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79 의 탈보호를 수행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50% → 100% 의 20% MeOH/EtOAc 중 7M NH3-헥산 구배) 로 정제시켜 실시예 70 을 연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3.18 g, 82%). 1H NMR (400 MHz, DMSO-d6) δ 7.16 (t, J = 7.6 Hz, 1H), 7.04-7.12 (m, 2H), 6.96-7.00 (m, 1H), 4.59 (dd, J = 5.3, 7.4 Hz, 1H), 3.95 (s, 1H), 2.54-2.66 (m, 2H), 2.48-2.52 (m, 2H), 1.50-1.64 (m, 4H), 1.20-1.35 (m, 8H), 0.84 (t, J = 7.0 Hz, 6H). 키랄 HPLC 95.3% (AUC), tR = 22.2 분.
실시예 71
(R)-4-(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네틸)헵탄-4-올의 제조
Figure pat00226
(R)-4-(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네틸)헵탄-4-올을 실시예 70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케톤 77 을 (-)-Ipc2B-Cl 로 환원시켜 (R)-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3-히드록시-3-프로필헥스-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9.53 g, 69%); 1H NMR (400 MHz, DMSO-d6) δ 9.32 (br. s, 1H), 7.30-7.33 (m, 1H), 7.26-7.29 (m, 2H), 7.19-7.23 (m, 1H), 5.36 (br. s, 1H), 5.12 (s, 1H), 4.56 (dd, J = 4.7, 7.6 Hz, 1H), 3.15-3.27 (m, 2H), 1.70-1.82 (m, 2H), 1.40-1.61 (m, 8H), 0.91 (t, J = 7.2 Hz, 6H).
단계 2. (R)-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3-히드록시-3-프로필헥스-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수소화로 (R)-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연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4.81 g, 94%). 1H NMR (400 MHz, DMSO-d6) δ 9.32 (br. s, 1H), 7.18 (t, J = 7.4 Hz, 1H), 7.06-7.12 (m, 2H), 6.99-7.03 (m, 1H), 5.25 (d, J = 4.3 Hz, 1H), 4.52 (q, J = 4.7 Hz, 1H), 3.95 (s, 1H), 3.23 (q, J = 7.0 Hz, 2H), 2.48-2.53 (m, 2H), 1.72-1.80 (m, 2H), 1.50-1.56 (m, 2H), 1.20-1.36 (m, 8H), 0.84 (t, J = 6.9 Hz, 6H).
단계 3. (R)-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로 실시예 71 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2.87 g, 79%). 1H NMR (400 MHz, DMSO-d6) δ 7.16 (t, J = 7.6 Hz, 1H), 7.04-7.12 (m, 2H), 6.96-7.00 (m, 1H), 4.59 (dd, J = 5.3, 7.4 Hz, 1H), 3.95 (s, 1H), 2.54-2.66 (m, 2H), 2.44-2.66 (m, 2H), 1.50-1.64 (m, 4H), 1.20-1.35 (m, 8H), 0.84 (t, J = 7.0 Hz, 6H). RP-HPLC (방법 2) tR = 6.21 분, 96.5% (AUC); ESI MS m/z 294.51 [M+H+]+. 키랄 HPLC 95.1% (AUC), tR = 16.6 분.
실시예 72
3-아미노-1-(3-(3-메톡시프로필)페닐)프로판-1-올의 제조
Figure pat00227
3-아미노-1-(3-(3-메톡시프로필)페닐)프로판-1-올을 실시예 19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43 과 메틸 프로파르길 에테르의 소노가시라 반응으로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3-메톡시프로프-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401 g, 82%): 1H NMR (400 MHz, CDCl3) δ 7.51 (s, 1H), 7.38-7.44 (m, 1H), 7.31-7.35 (m, 2H), 4.84-4.88 (m, 1H), 4.32 (s, 2H), 3.66-3.69 (m, 1H), 3.44 (s, 3H), 3.39-3.42 (m, 1H), 2.37 (bs, 1H), 1.94-1.99 (m, 2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3-메톡시프로프-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환원으로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3-메톡시프로필)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98 g, 73%). 1H NMR (400 MHz, CDCl3) δ 7.31 (s, 1H), 7.13-7.24 (m, 3H), 4.84-4.88 (m, 1H), 3.66-3.70 (m, 1H), 3.49 (m, 1H), 3.38 (t, J = 6.4 Hz, 2H), 3.34 (s, 3H), 2.69 (t, J = 7.6 Hz, 2H), 1.90-1.95 (m, 2H), 1.86-1.89 (m, 2H).
단계 3: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3-메톡시프로필)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로 황색 겔을 산출하고,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10% MeOH-NH3 (9.5:0.5)-DCM 구배) 에 의한 정제 시 실시예 72 를 황색 반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597 g, 82%): 1H NMR (400 MHz, DMSO-d6) δ 7.22 (t, J = 7.6 Hz, 1H), 7.13 (s, 1H), 7.11 (d, J = 7.6 Hz, 1H), 7.04 (d, J = 7.6 Hz, 1H), 4.61 (t, J = 6.4 Hz, 1H), 3.29 (t, J = 6.4 Hz, 2H), 3.21 (s, 3H), 2.72-2.77 (m, 2H), 2.58 (t, J = 7.2 Hz, 2H), 1.66-1.79 (m, 4H). 13C NMR (100 MHz, DMSO-d6) δ 146.1, 142.0, 128.5, 127.3, 126.0, 123.5, 71.6, 70.8, 58.3, 38.7, 37.7, 32.2, 31.4. MS: 224 [M+1].
실시예 73
3-아미노-1-(3-헥실페닐)프로판-1-올의 제조
Figure pat00228
3-아미노-1-(3-헥실페닐)프로판-1-올을 실시예 19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43 과 1-헥신의 소노가시라 반응으로 2,2,2-트리플루오로-N-(3-(3-(헥스-1-이닐)페닐)-3-히드록시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53 g, 76%): 1H NMR (400 MHz, CDCl3) δ 7.38 (s, 1H), 7.25-7.34 (m, 3H), 4.88 (m, 1H), 3.65-3.73 (m, 1H), 3.38-3.42 (m, 1H), 2.40 (t, J = 7.2 Hz, 2H), 2.25 (d, J = 2.0, 1H), 1.93-1.99 (m, 2H), 1.45-1.61 (m, 4H), 0.94 (t, J = 7.2 Hz, 3H).
단계 2: EtOAc (20 ㎖) 중 2,2,2-트리플루오로-N-(3-(3-(헥스-1-이닐)페닐)-3-히드록시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용액을 탈기시키고, 질소로 퍼징시켰다. 이에 Pd/C (0.2 g, 10%) 를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비우고, 수소로 채웠다. 이 절차를 3 회 반복한 후, 반응 혼합물을 14 시간 동안 H2 풍선 하에 교반한 후, 이 혼합물을 셀라이트 층을 통해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2,2,2-트리플루오로-N-(3-(3-헥실페닐)-3-히드록시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93 g, 75%): 1H NMR (400 MHz, CDCl3) δ 7.40 (bs, 1H), 7.28-7.31 (m, 2H), 7.12-7.16 (m, 2H), 4.86-4.88 (m, 1H), 3.66-3.71 (m, 1H), 3.40-3.43 (m, 1H), 2.58 (t, J = 7.6 Hz, 2H), 1.96-1.99 (m, 2H), 1.56-1.60 (m. 4H), 1.30-1.35 (m, 4H), 0.88 (t, J = 6.8 Hz, 3H).
단계 3: 2-PrOH (20 ㎖) 중 2,2,2-트리플루오로-N-(3-(3-헥실페닐)-3-히드록시프로필)아세트아미드, 탄산칼륨 (1.55 g, 11.2 mmol) 과 물 (4 ㎖) 의 혼합물을 밤새 환류 하에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감압 하에 건조 농축시켜 황색 오일을 산출하였다. 이 미정제 생성물을 메탄올 (5 ㎖) 에 용해시키고, 이에 디옥산 중 HCl (1 ㎖, 4M) 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약 30 분 동안 교반하고, 이 후 감압 하에 건조 농축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10% MeOH-DCM 구배) 로 정제시켜 실시예 73 히드로클로라이드를 담황색 반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74 g, 21%): 1H NMR (400 MHz, DMSO-d6) δ 7.67 (bs, 3H), 7.23 (t, J = 7.2 Hz, 1H), 7.11 (m, 2H), 7.07 (d, J = 7.2 Hz, 1H), 4.62-4.65 (m, 1H), 2.78-2.87 (m, 2H), 2.49 (m, 2H), 1.80-1.84 (m, 2H), 1.54 (m, 2H), 1.27 (m, 6H), 0.85 (t, J = 6.8, 3H). 13C NMR (100 MHz, DMSO-d6) δ 145.3, 142.2, 128.1, 126.9, 125.5, 122.9, 69.7, 36.7, 36.4, 35.3, 31.1, 31.0, 28.4, 22.1. MS: 236 [M+1]+.
실시예 74
2-(3-(2-시클로프로필에틸)페녹시)에탄아민의 제조
Figure pat00229
2-(3-(2-시클로프로필에틸)페녹시)에탄아민을 실시예 64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19 와 시클로프로필 아세틸렌의 소노가시라 반응으로 N-(2-(3-(2-시클로프로필에티닐)페녹시)에틸)-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투명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2.0 g, 71%): 미정제 물질을 직접 수소화시켰다.
단계 2: N-(2-(3-(시클로프로필에티닐)페녹시)에틸)-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의 환원으로 N-(2-(3-(2-시클로프로필에틸)페녹시)에틸)-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05 g, 45%): 1H NMR (400 MHz, DMSO-d6) δ 9.70 (bs, 1H), 7.14-7.19 (m, 1H), 6.72-6.80 (m, 3H), 4.06 (t, J = 5.6 Hz, 2H), 3.53-3.58 (m, 2H), 2.62 (t, J = 7.8 Hz, 2H), 1.42-1.48 (m, 2H), 0.62-0.70 (m, 1H), 0.37-0.40 (m, 2H), 0.02-0.10 (m, 2H). MS: 300 [M-1].
단계 3: N-(2-(3-(2-시클로프로필에틸)페녹시)에틸)-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로 실시예 74 를 녹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21 g, 87%): 1H NMR (400 MHz, DMSO-d6) δ 7.13-7.19 (m, 1H), 6.71-6.77 (m, 3H), 3.88 (t, J = 5.8 Hz, 2H), 2.85 (t, J = 5.8 Hz, 2H), 2.61 (t, J = 7.8 Hz, 2H), 1.43-1.50 (m, 2H), 0.64-0.72 (m, 1H), 0.47-0.50 (m, 2H), 0.02-0.06 (m, 2H). 13C NMR (100 MHz, DMSO-d6) δ 158.6, 143.7, 129.1, 120.5, 114.5, 111.6, 69.8, 40.9, 36.0, 35.4, 10.6, 4.4. MS: 206 [M+1]+.
실시예 75
5-(3-(2-아미노에톡시)페닐)펜탄-1-올의 제조
Figure pat00230
5-(3-(2-아미노에톡시)페닐)펜탄-1-올을 실시예 64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트리에틸아민 (6 ㎖, 60 mmol) 과 DMF (18 ㎖) 중 브로마이드 19 (2.5 g, 8 mmol), 펜틴-1-올 (1.34 g, 16 mmol) 의 혼합물을 10 분 동안 질소로 퍼징시켰다. 이 후 PdCl2(PPh3)2 (0.28 g, 0.4 mmol), P(o-Tol)3 (0.122 g, 0.4 mmol) 및 CuI (0.076 g, 0.4 mmol) 를 첨가하고, 플라스크를 질소로 1 회 다시 퍼징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90 ℃ 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이어서, 이를 물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정하고, 무수 Na2SO4 로 건조시키며,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 30% EtOAc-헥산 구배) 로 정제시켜 2,2,2-트리플루오로-N-(2-(3-(5-히드록시펜트-1-이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61 g, 63%): 1H NMR (400 MHz, CDCl3) δ 7.18-7.24 (m, 1H), 7.03 (d, J = 7.6 Hz, 1H), 6.91 (dd, J = 0.8, 1.2 Hz, 1H), 6.83 (dd, J = 5.6, 2.0 Hz, 1H), 6.76 (bs, 1H), 4.06-4.10 (m, 2H), 3.76-3.84 (m, 4H), 2.53 (t, J = 7.2 Hz, 2H), 1.82-1.90 (m, 2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2-(3-(5-히드록시펜트-1-이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의 환원으로 2,2,2-트리플루오로-N-(2-(3-(5-히드록시펜틸)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513 g, 72%): 1H NMR (400 MHz, DMSO-d6) δ 7.15-7.20 (m, 1H), 6.72-6.78 (m, 3H), 4.34 (t, J = 5.0 Hz, 2H), 4.06 (t, J = 5.6 Hz, 2H), 3.52-3.59 (m, 2H), 3.37 (t, J = 6.4 Hz, 2H), 1.51-1.60 (m, 2H), 1.40-1.47 (m, 2H), 1.24-1.32 (m, 2H). MS: 318 [M-1].
단계 3: 2,2,2-트리플루오로-N-(2-(3-(5-히드록시펜틸)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로 실시예 75 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75 g, 49%): 1H NMR (400 MHz, DMSO-d6) δ 7.14-7.19 (m, 1H), 6.71-6.76 (m, 3H), 3.94 (t, J = 5.6 Hz, 2H), 3.34 (t, J = 6.6 Hz, 2H), 2.90 (t, J = 5.6 Hz, 2H), 2.50 (t, J = 8.0 Hz, 2H), 1.48-1.56 (m, 2H), 1.36-1.46 (m, 2H), 1.22-1.30 (m, 2H). 13C NMR (100 MHz, DMSO-d6) δ 158.5, 144.0, 129.2, 120.7, 114.6, 111.6, 68.4, 60.7, 40.3, 35.3, 32.4, 30.8, 25.2. MS: 224 [M+1]+.
실시예 76
3-(3-(2-시클로프로필에틸)페닐-프로판-1-아민의 제조
Figure pat00231
수소화를 아민의 탈보호 전에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322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3-(3-(2-시클로프로필에틸)페닐-프로판-1-아민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디이소프로필아민 (4 ㎖) 중 tert-부틸 3-(3-브로모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 (57) (1.0 g, 3.1 mmol) 및 시클로프로필 아세틸렌 (2.9 ㎖, 3.4 mmol, 톨루엔 중 70% 용액) 의 탈기된 용액에 PdCl2(PPh3)2 (0.120 g, 0.17 mmol), 트리-o-톨릴포스핀 (0.048 g, 0.16 mmol) 및 CuI (0.026 g, 0.16 mmol) 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탈기시키고, 90 ℃ 에서 밤새 동안 질소 하에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물 및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잔류물을 분액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 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4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구배) 로 정제시켜 tert-부틸 3-(3-(시클로프로필에티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산출하였다. 수율 (0.756 g, 79%). 이 알킨을 추가의 정제 없이 탈보호에 사용하였다.
단계 2: 실시예 22 에 사용된 방법에 따른 tert-부틸 3-(3-(시클로프로필에티닐)페닐)프로필 카르바메이트의 환원으로 tert-부틸 3-(3-(2-시클로프로필에틸)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404 g, 98%): MS: 304 [M+1]+.
단계 3: 실시예 13 에 사용된 방법에 따른 tert-부틸 3-(3-(2-시클로프로필에틸)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의 BOC 탈보호로 실시예 76 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9 g, 90%): 1H NMR (400 MHz, DMSO-d6) δ 7.17-7.21 (m, 1H), 6.99-7.04 (m, 3H), 2.72 (t, J = 7.2 Hz, 2H), 2.58-2.66 (m, 4H), 1.75-1.83 (m, 2H), 1.42-1.48 (m, 2H), 0.64-0.71 (m, 1H), 0.36-0.41 (m, 2H), 0.01-0.06 (m, 2H). 13C NMR (100 MHz, DMSO-d6): 142.7, 141.1, 128.8, 128.7, 126.5, 126.0, 38.8, 36.6, 35.8, 32.3, 29.3, 11.1, 4.9. MS: 204 [M+1]+.
실시예 77
2-(3-헥실페녹시)에탄아민의 제조
Figure pat00232
2-(3-헥실페녹시)에탄아민을 실시예 9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19 와 1-헥신의 소노가시라 반응으로 2,2,2-트리플루오로-N-(2-(3-(헥스-1-이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를 투명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8 g, 72%): 1H NMR (400 MHz, CDCl3) δ 7.19-7.23 (m, 1H), 7.05 (d, J = 7.6 Hz, 1H), 6.84 (s, 1H), 6.80 (dd, J = 8.0, 2.4 Hz, 1H), 4.10 (t, J = 5.2 Hz, 2H), 3.77-3.80 (m, 2H), 2.40 (t, J = 7.2 Hz, 2H), 1.53-1.61 (m, 2H), 1.43-1.50 (m, 2H), 0.95 (t, J = 7.2 Hz, 3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2-(3-(헥스-1-이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로 2-(3-(헥스-1-이닐)페녹시)에탄아민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620 g, 90%): 1H NMR (400 MHz, DMSO-d6) δ 7.20-7.25 (m, 1H), 6.87-6.93 (m, 3H), 3.91 (t, J = 5.2 Hz, 2H), 2.79-2.87 (m, 2H), 2.38 (t, J = 6.4 Hz, 2H), 1.42-1.53 (m, 2H), 1.30-1.40 (m, 2H), 0.88 (t, J = 7.2 Hz, 3H). 13C NMR (100 MHz, DMSO-d6) δ 158.9, 130.1, 124.8, 124.1, 117.2, 115.3, 90.9, 80.9, 70.3, 41.1, 30.7, 21.9, 18.7, 13.9. ESI MS m/z 218 [M+1]+.
단계 3: 2-(3-헥스-1-이닐-페녹시)-에탄아민의 환원으로 실시예 77 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54 g, 57%): 1H NMR (400 MHz, DMSO-d6) δ 7.13-7.18 (m, 1H), 6.70-6.75 (m, 3H), 3.91 (t, J = 5.6 Hz, 2H), 2.86 (t, J = 5.6 Hz, 2H), 1.20-1.28 (m, 6H), 1.52 (t, J = 7 Hz, 2H), 0.82 (t, J = 6.6 Hz, 3H). 13C NMR (100 MHz, DMSO-d6) δ 159.1, 144.4, 129.6, 121.0, 114.9, 112.0, 69.9, 35.7, 31.6, 31.3, 28.8, 22.5, 14.6. MS: 222 [M+1]+.
실시예 78
2-(3-(3-메톡시프로필)페녹시)에탄아민의 제조
Figure pat00233
2-(3-(3-메톡시프로필)페녹시)에탄아민을 실시예 64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19 와 3-메톡시-프로핀의 소노가시라 반응으로 2,2,2-트리플루오로-N-(2-(3-(3-메톡시프로프-1-이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를 투명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51 g, 21%): 1H NMR (400 MHz, CDCl3) δ 7.22-7.27 (m, 1H), 7.10 (d, J = 7.6 Hz, 1H), 6.98 (s, 1H), 6.88 (dd, J = 6.8, 1.6 Hz, 1H), 6.71 (bs, 1H), 4.32 (s, 2H), 4.10 (t, J = 5.2 Hz, 2H), 3.77-3.82 (m, 2H), 3.45 (s, 3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2-(3-(3-메톡시프로프-1-이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의 환원으로 2,2,2-트리플루오로-N-(2-(3-(3-메톡시프로필)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55 g, 76%). 1H NMR (400 MHz, DMSO-d6) δ 7.16-7.22 (m, 1H), 6.74-6.79 (m, 3H), 4.07 (t, J = 5.6 Hz, 2H), 3.54-3.58 (m, 2H), 3.33 (s, 3H), 3.28 (t, J = 6.2 Hz, 2H), 2.57 (t, J = 7.8 Hz, 2H), 1.73-1.81 (m, 2H).
단계 3: 2,2,2-트리플루오로-N-(2-(3-(3-메톡시프로필)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의 환원으로 실시예 78 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25 g, 52%): 1H NMR (400 MHz, DMSO-d6) δ 8.03 (bs, 2H), 7.20-7.24 (m, 1H), 6.78-6.83 (m, 3H), 4.14 (t, J = 5.6 Hz, 2H), 2.94 (t, J = 5.6 Hz, 2H), 2.53 (t, J = 7.2 Hz, 2H), 2.05 (t, J = 7.2 Hz, 2H), 1.44-1.54 (m, 4H). 13C NMR (100 MHz, DMSO-d6) δ 158.4, 144.0, 129.8, 121.7, 115.1, 112.4, 71.6, 64.6, 58.3, 38.8, 32.2, 31.2. MS: 210 [M+1]+.
실시예 79
3-아미노-1-(3-(3-히드록시프로필)페닐)프로판-1-올의 제조
Figure pat00234
수소화를 아민의 탈보호 전에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7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3-아미노-1-(3-(3-히드록시프로필)페닐)프로판-1-올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39 와 프로파르길 알코올의 소노가시라 반응으로 tert-부틸 3-히드록시-3-(3-(3-히드록시프로프-1-이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880 g, 94%): 1H NMR (400 MHz, CDCl3) δ 7.45 (s, 1H), 7.28-7.36 (m, 3H), 4.85-4.87 (bs, 1H), 4.70-4.72 (m, 1H), 4.49 (d, J = 5.2 Hz, 2H), 3.47-3.50 (m, 1H), 3.44 (bs, 1H), 3.12-3.17 (m, 1H), 1.93-1.99 (m, 2H), 1.45 (s, 9H).
단계 2: tert-부틸 3-히드록시-3-(3-(3-히드록시프로프-1-이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의 환원 반응으로 tert-부틸 3-히드록시-3-(3-(3-히드록시프로필)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731 g, 82%): 1H NMR (400 MHz, DMSO-d6) δ 7.20 (t, J = 7.6 Hz, 1H), 7.13 (s, 1H), 7.11 (d, J = 7.6 Hz, 1H), 7.04 (d, J = 7.6 Hz, 1H), 6.77 (t, J = 5.2 Hz, 1H) 5.15 (d, J = 4.4 Hz, 1H), 4.51 (m, 1H), 4.46 (t, J = 4.4 Hz, 1H), 3.32-3.44 (m, 2H), 2.94-2.98 (m, 2H), 2.58 (t, J = 7.6 Hz, 2H), 1.64-1.73 (m, 4H), 1.45 (s, 9H).
단계 3: tert-부틸 3-히드록시-3-(3-(3-히드록시프로필)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의 탈보호로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을 생성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15% MeOH-NH3 (9.5:0.5)-DCM 구배) 로 정제시켜 실시예 79 를 담황색 반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64 g, 61%): 1H NMR (400 MHz, DMSO-d6) δ 7.20 (t, J = 7.6 Hz, 1H), 7.10 (s, 1H), 7.07 (d, J = 7.6 Hz, 1H), 7.02 (d, J = 7.6 Hz, 1H), 4.56 (t, J = 6.8 Hz, 1H), 3.38 (t, J = 6.4 Hz, 2H), 2.62-2.64 (m, 2H), 2.54-2.56 (m, 2H), 1.53-1.72 (m, 4H). 13C NMR (100 MHz, DMSO-d6) δ 145.7, 142.5, 128.5, 127.4, 126.0, 123.4, 70.1, 60.5, 37.1, 36.8, 34.8, 32.2. MS: 210 [M+1]+.
실시예 80
1-(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닐)헥산-3-올의 제조
Figure pat00235
1-(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닐)헥산-3-올을 실시예 19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43 (3 g, 9.2 mmol) 과 헥스-1-인-3-올의 소노가시라 반응으로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3-히드록시헥스-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2.31 g, 73%): 1H NMR (400 MHz, CDCl3) δ 7.42 (s, 1H), 7.26-7.38 (m, 3H), 4.86 (m, 1H), 4.61 (dd, J = 2.0, 5.6 Hz, 1H), 3.67-3.71 (m, 1H), 3.37-3.46 (m, 1H), 2.38 (d, J = 2.0 Hz, 1H), 1.95-1.99 (m, 2H), 1.75-1.88 (m, 2H), 1.53-1.57 (m, 2H), 0.97 (t, J = 7.2 Hz, 3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3-히드록시헥스-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환원 반응으로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3-히드록시헥실)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911 g, 83%). 이 화합물을 다음 변형에 그 자체로 사용하였다.
단계 3: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3-히드록시헥실)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탈보호시키고,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10% MeOH-NH3 (9.5:0.5)-DCM 구배) 로 정제시켜 실시예 80 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HCl 염은 이 경우에 제조되지 않았음). 수율 (0.325 g, 49%): 1H NMR (400 MHz, DMSO-d6) δ 7.23 (t, J = 7.2 Hz, 1H), 7.17 (s, 1H), 7.10 (d, J = 7.6 Hz, 1H), 7.01 (d, J = 7.2 Hz, 1H), 4.61 (t, J = 6.0 Hz, 1H), 4.39 (bs, 1H), 2.55-2.70 (m, 4H), 1.53-1.65 (m, 4H), 1.26-1.39 (m, 4H), 0.85 (t, J = 6.4 Hz, 3H). 13C NMR (100 MHz, DMSO-d6) δ 146.4, 142.1, 127.8, 126.4, 125.6, 122.9, 71.3, 68.7, 42.3, 38.9, 31.6, 18.4, 14.1. MS: 252 [M+1]+.
실시예 81
1-(3-(2-아미노에톡시)페닐)헥산-3-올의 제조
Figure pat00236
1-(3-(2-아미노에톡시)페닐)헥산-3-올을 실시예 9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19 와 4-메틸-펜트-1-인-3-올의 소노가시라 반응으로 2,2,2-트리플루오로-N-(2-(3-(3-히드록시헥스-1-이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를 투명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3 g, 미정제): 미정제 물질을 추가의 탈보호 반응에 직접 사용하였다.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2-(3-(3-히드록시헥스-1-이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로 1-(3-(2-아미노에톡시)페닐)헥스-1-인-3-올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858 g, 88%): 1H NMR (400 MHz, DMSO-d6) δ 7.23-7.29 (m, 1H), 6.90-6.98 (m, 3H), 4.42 (t, J = 6.4 Hz, 2H), 3.92 (t, J = 4.8 Hz, 2H), 2.86 (bs, 2H), 1.56-1.68 (m, 2H), 1.40-1.49 (m, 2H), 0.91 (t, J = 7.6 Hz, 3H). 13C NMR (100 MHz, DMSO-d6) δ 159.0, 130.3, 124.0, 117.1, 115.8, 92.8, 83.3, 70.4, 61.0, 41.2, 40.1, 18.6, 14.2. ESI MS m/z 234 [M+1]+.
단계 3: 1-(3-(2-아미노에톡시)페닐)헥스-1-인-3-올의 환원으로 실시예 81 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55 g, 68%): 1H NMR (400 MHz, DMSO-d6) δ 7.13-7.18 (m, 1H), 6.71-6.76 (m, 3H), 4.36-4.42 (m, 1H), 3.91 (t, J = 5.6 Hz, 2H), 2.87 (t, J = 5.6 Hz, 2H), 2.62-2.70 (m, 2H), 1.50-1.64 (m, 2H), 1.24-1.40 (m, 4H), 0.85 (s, 3H). 13C NMR (100 MHz, DMSO-d6) δ 158.6, 144.2, 129.2, 120.5, 114.5, 111.5, 69.5, 68.7, 40.8, 39.3, 39.0, 31.6, 18.4, 14.1. MS: 238 [M+1]+.
실시예 82
3-아미노-1-(3-(4-메톡시부틸)페닐)프로판-1-올의 제조
Figure pat00237
3-아미노-1-(3-(4-메톡시부틸)페닐)프로판-1-올을 실시예 19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43 과 4-메톡시부트-1-인의 소노가시라 반응으로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4-메톡시부트-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51 g, 81%): 1H NMR (400 MHz, CDCl3) δ 7.40 (s, 1H), 7.27-7.37 (m, 3H), 4.83-4.85 (m, 1H), 3.68-3.71 (m, 1H), 3.63 (t, J = 6.8 Hz, 2H), 3.39 (s, 3H), 3.34-3.38 (m, 1H), 2.69 (t, J = 6.8 Hz, 2H), 2.38 (bs, 1H), 1.91-2.02 (m, 2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4-메톡시부트-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환원으로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4-메톡시부틸)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32 g, 94%). 이 화합물을 다음 변형에 그 자체로 사용하였다. MS: 334 [M+1]+.
단계 3: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4-메톡시부틸)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탈보호시키고,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10% (MeOH-NH3 (9.5:0.5))-DCM) 로 후속 정제시켜 실시예 82 를 담녹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56 g, 61%): 1H NMR (400 MHz, DMSO-d6) δ 7.20 (t, J = 7.6 Hz, 1H), 7.11 (s, 1H), 7.09 (d, J = 7.6 Hz, 1H), 7.04 (d, J = 7.6 Hz, 1H), 4.58-4.61 (m, 1H), 3.30 (t, J = 6.4 Hz, 2H), 3.18 (s, 3H), 2.61 (t, J = 6.8 Hz, 2H), 2.58 (t, J = 7.2 Hz, 2H), 1.63-1.69 (m, 2H), 1.45-1.56 (m, 4H). 13C NMR (100 MHz, DMSO-d6) δ 146.6, 142.2, 128.3, 127.0, 126.0, 123.5, 72.2, 71.4, 58.3, 41.4, 38.7, 35.5, 29.1, 28.1. MS: 238 [M+1]+.
실시예 83
(S)-1-(3-(1-아미노프로판-2-일옥시)페네틸)시클로헥산올의 제조
Figure pat00238
(S)-1-(3-(1-아미노프로판-2-일옥시)페네틸)시클로헥산올을 하기 반응식 17 에 나타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17
Figure pat00239
단계 1: 디에틸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17.4 g, 100 mmol) 를 0 ℃ 에서 아르곤 하에 THF (200 ㎖) 중 3-요오도페놀 (18.5 g, 84 mmol), 알코올 80 (14.73 g, 84 mmol) 과 트리페닐 포스핀 (26.2 g, 100 mmol) 의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가온하고,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고, 80 ℃ 로 6 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분쇄하고, 생성된 백색 고체를 여과로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및 1 N NaOH 를 첨가하여 잔류물을 분액하였다. 유기물을 수합하고, 염수로 세정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5 → 20% 에틸 아세테이트 / 헥산 구배) 로 정제시켜, 카르바메이트 81 을 불순한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고, 이를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수행하였다. 수율 (17.3 g, 54%).
단계 2: HCl (iPrOH 중 4.8 M 용액 12 ㎖, 56 mmol) 을 에틸 아세테이트 (25 ㎖) 중 카르바메이트 81 (10 g, 28 mmol) 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고체를 감압 하에 건조시켜, 히드로클로라이드 염 82 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고, 이를 정제 또는 분석 없이 다음 단계에서 수행하였다. 수율 (2.9 g, 30%).
단계 3: 1 당량의 TEA 를 사용하고 반응을 디클로로메탄에서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9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82 를 에틸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로 보호하여, 트리플루오로아미드 83 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3.4 g, 정량). 1H NMR (400 MHz, CDCl3) δ 7.29 - 7.33 (m, 1H), 7.24 - 7.26 (m, 1H), 6.99 (t, J = 8.0 Hz, 1H), 6.83 - 6.87 (m, 1H), 6.75 (brs, 1H), 4.45 - 4.55 (m, 1H), 3.52 - 3.53 (m, 1H), 3.40 - 3.50 (m, 1H), 1.29 (d, J = 6.4 Hz, 3H).
단계 4: DMF (13 ㎖) 중 트리플루오로아미드 83 (500 ㎎, 1.34 mmol), 1-에티닐시클로헥산올 (250 ㎎, 2.01 mmol), 요오드화구리 (25 ㎎, 0.13 mmol), 트리-o-톨릴포스핀 (40 ㎎, 0.13 mmol), TEA (0.279 ㎖, 2.01 ㎖) 와 비스-클로로-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 (91 ㎎, 0.13 mmol) 의 혼합물을 탈기시키고, 아르곤 분위기 하에 두고, 90 ℃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EtOAc / 물을 첨가하여 여과액을 분액하였다. 유기층을 수합하고, 염수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 30% EtOAc/헥산 구배) 로 정제시켜 알킨 84 를 황색의 유리같은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22 g, 65%). 1H NMR (400 MHz, CDCl3) δ 7.21 (t, J = 8.0 Hz, 1H), 7.04 - 7.08 (m, 1H), 6.94 - 6.96 (m, 1H), 6.83 - 6.87 (m, 1H), 6.81 (brs, 1H), 4.48 - 4.57 (m, 1H), 3.72 - 3.80 (m, 1H), 3.39 - 3.49 (m, 1H), 1.85 - 2.04 (m, 3H), 1.50 - 1.80 (m, 8H), 1.29 (d, J = 6.4 Hz, 3H).
단계 5: 실시예 2 에 사용된 방법에 따른 알킨 84 의 탈보호로 아민 85 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00 g, 85%). 1H NMR (400 MHz, CDCl3) δ 7.18 (t, J = 8.0 Hz, 1H), 6.96 - 7.02 (m, 2H), 6.84 - 6.88 (m, 1H), 4.30 - 4.38 (m, 1H), 2.87 (d, J = 5.2 Hz, 2H), 1.85 - 2.02 (m, 2H), 1.50 - 1.80 (m, 11H), 1.25 (d, J = 6.4 Hz, 3H). ESI MS m/z 274.3 [m + H]+.
단계 6: 실시예 2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아민 85 를 수소화시킨 다음,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2% (7N NH3/CH3OH)/CH2Cl2) 하여 실시예 83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45 g, 51%). 1H NMR (400 MHz, CDCl3) δ 7.10 (t, J = 8.0 Hz, 1H), 6.64 - 7.73 (m, 3H), 4.27 (dddd, J = 6.0 Hz, 1H), 2.81 (d, J = 2.8 Hz, 2H), 2.59 (m, 2H), 1.67 (m, 2H), 1.30 - 1.60 (m, 12H), 1.15 - 1.30 (m, 4H). ESI MS m/z 278.4 [m + H]+, 260.3 [m + H - OH]+.
실시예 84
1-(3-(2-아미노에톡시)페닐)-4-메틸펜탄-3-올의 제조
Figure pat00240
1-(3-(2-아미노에톡시)페닐)-4-메틸펜탄-3-올을 실시예 9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19 와 4-메틸-펜트-1-인-3-올의 소노가시라 반응으로 2,2,2-트리플루오로-N-(2-(3-(3-히드록시-4-메틸펜트-1-이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51 g, 21%): 1H NMR (400 MHz, CDCl3) δ 7.22-7.27 (m, 1H), 7.08-7.12 (d, J = 7.6 Hz, 1H), 6.98 (s, 1H), 6.88 (dd, 1H, J = 6.8 Hz, 1.6, 1H), 6.71 (bs, 1H), 4.32 (s, 2H), 4.09 (t, J = 5.2 Hz, 2H), 3.77-3.82 (m, 2H), 1.77-1.83 (m, 1H), 0.94-0.99 (m, 6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2-(3-(3-히드록시-4-메틸펜트-1-이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로 1-(3-(2-아미노에톡시)페닐)-4-메틸펜트-1-인-3-올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60 g, 47%): 1H NMR (400 MHz, DMSO-d6) δ 7.22-7.30 (m, 1H), 6.90-7.00 (m, 3H), 4.21 (d, J = 5.6 Hz, 1H), 3.93 (t, J = 5.2 Hz, 2H), 2.87 (bs, 2H), 1.77-1.83 (m, 1H), 0.94-0.99 (m, 6H). 13C NMR (100 MHz, DMSO-d6) δ 158.5, 129.8, 123.7, 116.7, 115.2, 91.0, 83.6, 69.9, 66.3, 40.7, 34.3, 18.3, 17.7. ESI MS m/z 234 [M+1]+.
단계 3: EtOH (30 ㎖) 중 1-(3-(2-아미노에톡시)페닐)-4-메틸펜트-1-인-3-올 (0.56 g, 2.4 mmol) 의 용액을 탈기시키고, 질소로 퍼징시켰다. 이에 Pd/C (0.05 g, 10%) 를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비우고, 수소로 3 회로 퍼징시켰다. 이어서, 상기 현탁액을 실온에서 밤새 수소 풍선 하에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시키고, 여과 케이크를 에탄올로 세정하였다. 여과액을 농축시켜 실시예 84 를 산출하였다. 수율 (0.38, 66%): 1H NMR (400 MHz, DMSO-d6) δ 7.14-7.18 (m, 1H), 6.71-6.76 (m, 3H), 3.91 (t, J = 5.6 Hz, 2H), 3.12-3.17 (m, 1H), 2.89 (t, J = 5.6 Hz, 2H), 2.65-2.73 (m, 1H), 2.46-2.50 (m, 1H), 1.46-1.64 (m, 3H), 0.8 (t, J = 5.6 Hz, 2H). 13C NMR (100 MHz, DMSO-d6) δ 159.0, 144.8, 129.7, 121.1, 115.0, 112.0, 74.2, 69.6, 41.1, 36.2, 33.7, 32.4, 19.4, 18.0. MS: 238 [M+1]+.
실시예 85
3-아미노-1-(3-페네틸페닐)프로판-1-올의 제조
Figure pat00241
3-아미노-1-(3-페네틸페닐)프로판-1-올을 실시예 79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39 와 에티닐벤젠의 소노가시라 반응으로 tert-부틸 3-히드록시-3-(3-(페닐에티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911 g, 85%): 1H NMR (400 MHz, CDCl3) δ 7.51-7.55 (m, 3H), 7.42-7.44 (m, 1H), 7.30-7.37 (m, 5H), 4.87 (bs, 1H), 4.74-4.76 (m, 1H), 3.46-3.51 (m, 1H), 3.41 (bs, 1H), 3.13-3.19 (m, 1H), 1.79-1.88 (m, 2H), 1.44 (s, 9H).
단계 2: tert-부틸 3-히드록시-3-(3-(페닐에티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의 환원으로 tert-부틸 3-히드록시-3-(3-페네틸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824 g, 91%): 1H NMR (400 MHz, CDCl3) δ 7.24-7.29 (m, 3H), 7.16-7.21 (m, 5H), 7.10 (d, J = 7.2 Hz, 1H), 4.86 (bs, 1H), 4.69-4.73 (m, 1H), 3.46-3.49 (m, 1H), 3.13-3.19 (m, 1H), 3.10 (bs, 1H), 2.91 (s, 4H), 1.80-1.88 (m, 2H), 1.46 (s, 9H).
단계 3: tert-부틸 3-히드록시-3-(3-페네틸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의 탈보호로 실시예 85 를 회색을 띤 백색 반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91 g, 59%): 1H NMR (400 MHz, DMSO-d6) δ 7.11-7.29 (m, 9H), 4.64 (t, J = 7.2 Hz, 1H), 2.79-2.86 (m, 6H), 1.79-1.84 (m, 2H). 13C NMR (100 MHz, DMSO-d6) δ 145.7, 142.0, 141.8, 128.8, 128.7, 128.5, 127.5, 126.3, 126.0, 123.6, 70.2, 37.7, 37.6, 37.1, 36.8. MS: 256 [M+1]+.
실시예 86
5-(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닐)-N,N-디메틸펜탄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242
5-(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닐)-N,N-디메틸펜탄아미드를 실시예 19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43 과 펜트-4-인산 디메틸아미드의 소노가시라 반응으로 5-(3-(1-히드록시-3-(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프로필)페닐)-N,N-디메틸펜트-4-인아미드를 암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3 g, 48%). 이 화합물은 미량의 출발 물질을 갖고, 추가의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단계 2: EtOH 중에서의 5-(3-(1-히드록시-3-(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프로필)페닐)-N,N-디메틸펜트-4-인아미드의 환원 반응으로 5-(3-(1-히드록시-3-(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프로필)페닐)-N,N-디메틸펜탄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63 g, 99%) : 1H NMR (400 MHz, CDCl3) δ 7.62 (bs, 1H), 7.24-7.28 (m, 1H), 7.19 (s, 1H), 7.12 (m, 2H), 4.85 (t, J = 6.8 Hz, 1H), 3.57-3.65 (m, 1H), 3.35-3.44 (m, 1H), 2.99 (s, 3H), 2.92 (s, 3H), 2.65 (t, J = 6.8 Hz, 2H), 2.29 (t, J = 6.8 Hz, 2H), 1.98-2.03 (m, 2H), 1.62-1.68 (m, 4H).
단계 3: MeOH-H2O 계에서 5-(3-(1-히드록시-3-(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프로필)페닐)-N,N-디메틸펜탄아미드의 탈보호 반응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수행하여 황색 오일을 수득하고,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10% MeOH-NH3 (9.5:0.5)-DCM 구배) 에 의한 정제 시 실시예 86 을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4 g, 54%): 1H NMR (400 MHz, DMSO-d6) δ 7.19 (t, J = 7.6 Hz, 1H), 7.11 (s, 1H), 7.08 (d, J = 7.6 Hz, 1H), 7.04 (d, J = 7.6 Hz, 1H), 4.55-4.59 (m, 1H), 2.91 (s, 3H), 2.76 (s, 3H), 2.52-2.59 (m, 4H), 2.26 (t, J = 7.6 Hz, 2H), 1.61-1.71 (m, 2H), 1.44-1.56 (m, 4H). 13C NMR (100 MHz, DMSO-d6) δ 171.8, 146.4, 141.7, 127.8, 126.4, 125.5, 123.0, 71.3, 42.1, 36.7, 35.1, 34.7, 32.2, 30.6, 24.3. MS: 279 [M+1]+.
실시예 87
5-(3-(3-아미노프로필)페닐)펜탄-1-올의 제조
Figure pat00243
5-(3-(3-아미노프로필)페닐)펜탄-1-올을 실시예 76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57 과 4-펜틴-1-올의 소노가시라 반응으로 tert-부틸 3-(3-(5-히드록시펜트-1-이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653 g, 59%): 1H NMR (400 MHz, CDCl3) δ 7.17-7.23 (m, 3H), 7.08 (d, J = 7.2 Hz, 1H), 4.53 (bs, 1H), 3.83 (t, J = 6.0 Hz, 2H), 3.10-3.18 (m, 2H), 2.60 (t, J = 7.8 Hz, 2H), 2.54 (t, J = 7.0 Hz, 2H), 1.83-1.90 (m, 2H), 1.74-1.82 (m, 2H), 1.44 (s, 9H).
단계 2: tert-부틸 3-(3-(5-히드록시펜트-1-이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의 환원으로 tert-부틸 3-(3-(5-히드록시펜틸)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628 g, 95%): 1H NMR (400 MHz, CDCl3) δ 7.16-7.21 (m, 1H), 6.97-7.02 (m, 3H), 4.54 (bs, 1H), 3.71 (t, J = 7.0 Hz, 2H), 3.12-3.17 (m, 2H), 2.58-2.64 (m, 4H), 1.77-1.84 (m, 2H), 1.56-1.67 (m, 4H), 1.44 (s, 9H), 1.37-1.42 (m, 2H).
단계 3: tert-부틸 3-(3-(5-히드록시펜틸)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의 BOC-탈보호로 실시예 87 을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9 g, 43%): 1H NMR (400 MHz, DMSO-d6) δ 7.12-7.17 (m, 1H), 6.94-6.98 (m, 3H), 3.37 (t, J = 6.4 Hz, 2H), 2.49-2.57 (m, 6H), 1.58-1.65 (m, 2H), 1.50-1.57 (m, 2H), 1.40-1.47 (m, 2H), 1.27-1.33 (m, 2H). 13C NMR (100 MHz, DMSO-d6): δ 142.6, 142.5, 128.8, 128.5, 126.0, 61.1, 41.4, 35.7, 35.2, 33.0, 32.8, 31.4, 25.7. MS: 222 [M+1]+.
실시예 88
2-(3-(4-메톡시부틸)페녹시)에탄아민의 제조
Figure pat00244
2-(3-(4-메톡시부틸)페녹시)에탄아민을 실시예 64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19 와 4-메톡시부트-1-인의 소노가시라 반응으로 2,2,2-트리플루오로-N-(2-(3-(4-메톡시부트-1-이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45 g, 45%): 이 물질을 탈보호 반응에 직접 사용하였다.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2-(3-(4-메톡시부트-1-이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의 환원으로 2,2,2-트리플루오로-N-(2-(3-(4-메톡시부틸)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4 g, 75%): 1H NMR (400 MHz, DMSO-d6) δ 7.15-7.20 (m, 1H), 6.71-6.78 (m, 3H), 4.06 (t, J = 5.6 Hz, 2H), 3.53-3.58 (m, 2H), 3.31 (t, J = 6.8 Hz, 2H), 3.20 (s, 3H), 2.54 (t, J = 7.6 Hz, 2H), 1.54-1.62 (m, 2H), 1.44-1.52 (m, 2H). MS: 318 [M-1].
단계 3: 2,2,2-트리플루오로-N-(2-(3-(4-메톡시부틸)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로 실시예 88 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8 g, 76%): 1H NMR (400 MHz, DMSO-d6) δ 7.15-7.20 (m, 1H), 6.71-6.78 (m, 3H), 3.93 (t, J = 5.6 Hz, 2H), 3.31 (t, J = 6.2 Hz, 2H), 3.20 (s, 3H), 2.93 (t, J = 5.6 Hz, 2H), 2.54 (t, J = 7.4 Hz, 2H), 1.52-1.60 (m, 2H), 1.43-1.50 (m, 2H). 13C NMR (100 MHz, DMSO-d6) δ 159.0, 144.2, 129.7, 121.1, 115.0, 112.1, 72.1, 69.1, 58.3, 40.9, 35.4, 29.1, 27.9. MS: 224 [M+1]+
실시예 89
1-(3-(2-아미노에톡시)페네틸)시클로옥탄올의 제조
Figure pat00245
1-(3-(2-아미노에톡시)페네틸)시클로옥탄올을 실시예 64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19 와 1-에티닐시클로옥탄올의 소노가시라 반응으로 2,2,2-트리플루오로-N-(2-(3-(2-(1-히드록시시클로옥틸)에티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를 투명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3 g, 72%): 1H NMR (400 MHz, DMSO-d6) δ 7.22 (d, J = 8.0 Hz, 1H), 7.07 (d, J = 7.6 Hz, 1H), 6.91-6.96 (m, 2H), 4.09-4.13 (m, 2H), 2.00-2.06 (m, 6H), 1.48-1.72 (m, 11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2-(3-((1-히드록시시클로옥틸)에티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의 환원으로 2,2,2-트리플루오로-N-(2-(3-(2-(1-히드록시시클로옥틸)에틸)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6 g, 78%): 1H NMR (400 MHz, DMSO-d6) δ 7.14-7.18 (m, 1H), 6.72-6.78 (m, 3H), 4.06 (t, J = 6.0 Hz, 2H), 3.42-3.45 (m, 2H), 2.55-2.59 (m, 2H), 1.30-1.71 (m, 16H). MS: 386 [M-1].
단계 3: 2,2,2-트리플루오로-N-(2-(3-(2-(1-히드록시시클로옥틸)에틸)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로 실시예 89 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97 g, 37%): 1H NMR (400 MHz, DMSO-d6) δ 7.14-7.18 (m, 1H), 6.70-6.76 (m, 3H), 3.93 (t, J = 5.6 Hz, 2H), 2.92 (t, J = 5.6 Hz, 2H), 2.54-2.59 (m, 2H), 1.31-1.70 (m, 16H). 13C NMR (100 MHz, DMSO-d6) δ 158.5, 144.9, 129.2, 120.6, 114.5, 111.4, 72.6, 68.6, 43.5, 40.4, 35.6, 29.3, 27.9, 24.6, 22.0. MS: 292 [M+1]+.
실시예 90
3-아미노-1-(3-(4-메틸펜틸)페닐)프로판-1-올의 제조
Figure pat00246
3-아미노-1-(3-(4-메틸펜틸)페닐)프로판-1-올을 실시예 63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43 과 4-메틸-펜트-1-인의 소노가시라 반응으로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4-메틸펜트-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암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94 g, 94%): 1H NMR (400 MHz, CDCl3) δ 7.38 (s, 1H), 7.25-7.35 (m, 3H), 4.86 (m, 1H), 3.67-3.72 (m, 1H), 3.38-3.44 (m, 1H), 2.30 (d, J = 6.4 Hz, 2H), 2.28 (bs, 1H), 1.87 - 1.99 (m, 3H), 1.05 (d, J = 6.8 Hz, 6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4-메틸펜트-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로 3-(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닐)프로프-2-인-1-올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508 g, 76 %): 1H NMR (400 MHz, DMSO-d6) δ 7.33 (s, 1H), 7.23-7.29 (m, 3H), 5.12 (bs, 2H), 4.66 (t, J = 6.4 Hz, 1H), 2.68 (t, J = 6.8 Hz, 2H), 2.32 (d, J = 6.4 Hz, 2H), 1.82-1.86 (m, 1H), 1.67-1.72 (m, 2H), 0.95 (d, J = 6.8 Hz, 6H). 13C NMR (100 MHz, DMSO-d6) δ 146.8, 130.0, 128.9, 128.8, 125.7, 123.4, 89.6, 82.1, 70.7, 40.6, 38.3, 28.1, 28.0, 22.3. ESI MS m/z 232 [M+1]+.
단계 3: 2-PrOH 중 3-아미노-1-(3-(4-메틸펜트-1-이닐)페닐)프로판-1-올 (0.3 g, 1.3 mmol) 과 디옥산 중 HCl (1 ㎖, 4M) 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이와 같이 수득된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을 EtOH (10 ㎖) 에 용해시켰다. 질소로 플라스크를 퍼징시킨 후, Pd/C (0.040 g, 10%) 를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비우고, 수소로 재충전시킨 후, 이를 약 14 시간 동안 H2 풍선 하에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 건조 증발시켰다. 수득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10% MeOH-DCM 구배) 로 정제시켜 실시예 90 히드로클로라이드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31 g, 65%): 1H NMR (400 MHz, DMSO-d6) δ 7.23 (t, J = 7.2 Hz, 1H), 7.12 (s, 1H), 7.10 (d, J = 7.6 Hz, 1H), 7.05 (d, J = 7.6 Hz, 1H), 4.62 (t, J = 7.6 Hz, 1H), 2.77-2.89 (m, 2H), 2.50-2.54 (m, 2H), 1.78-1.84 (m, 2H), 1.48-1.57 (m, 3H), 1.13 (m, 2H), 0.83 (d, J = 6.8 Hz, 6H). 13C NMR (100 MHz, DMSO-d6) δ 145.7, 142.6, 128.5, 127.3, 125.9, 123.4, 70.2, 38.5, 37.1, 36.8, 36.0, 29.4, 27.7, 23.0. MS: 236 [M+1]+.
실시예 91
5-(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닐)펜탄-1-올의 제조
Figure pat00247
5-(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닐)펜탄-1-올을 실시예 63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43 과 펜트-4-인-1-올의 소노가시라 반응으로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5-히드록시펜트-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46 g, 69%): 1H NMR (400 MHz, CDCl3) δ 7.38 (s, 1H), 7.22-7.34 (m, 3H), 4.86 (d, J = 8.0 Hz, 1H), 3.83 (t, J = 5.2 Hz, 2H), 3.65-3.69 (m, 1H), 3.38-3.42 (m, 1H), 2.56 (t, J = 7.2 Hz, 2H), 2.38 (bs, 1H), 1.93-1.99 (m, 2H), 1.83-1.88 (m, 2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5-히드록시펜트-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로 5-(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닐)펜트-4-인-1-올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64 g, 65 %): 1H NMR (400 MHz, DMSO-d6) δ 7.32 (s, 1H), 7.25-7.28 (m, 2H), 7.20-7.22 (m, 1H), 4.66 (t, J = 6.4 Hz, 1H), 4.55 (bs, 1H), 3.52 (t, J = 6.4 Hz, 2H), 2.57-2.66 (m, 2H), 2.44 (t, J = 7.2 Hz, 2H), 1.60-1.70 (m, 4H). 13C NMR (100 MHz, DMSO-d6) δ 147.2, 129.8, 129.0, 128.7, 125.7, 123.3, 90.6, 81.1, 71.1, 59.9, 41.8, 38.9, 32.0, 15.7; ESI MS m/z 234 [M+1]+.
단계 3: IPA (20 ㎖) 중 5-(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닐)펜트-4-인-1-올의 용액을 탈기시키고, 질소로 퍼징시켰다. 이에 Pd/C (0.2 g, 10%) 를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비우고, 수소로 충전시켰다. 이 절차를 3 회 반복한 후, 반응 혼합물을 약 14 시간 동안 H2 풍선 하에 교반한 다음, 셀라이트 를 통해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10% MeOH-NH3 (9.5:0.5)-DCM 구배) 에 의한 정제 시 실시예 91 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08 g, 85%): 1H NMR (400 MHz, DMSO-d6) δ 7.23 (t, J = 7.6 Hz, 1H), 7.10-7.13 (m, 2H), 7.05 (d, J = 7.6 Hz, 1H), 4.63 (t, J = 6.4 Hz, 1H), 3.36 (t, J = 6.8 Hz, 2H), 2.72 (t, J = 6.8 Hz, 2H), 2.55 (t, J = 7.6 Hz, 2H), 1.73 (m, 2H), 1.59 (m, 2H), 1.45 (m, 2H), 1.39 (m, 2H). 13C NMR (100 MHz, DMSO-d6) δ 145.8, 142.0, 127.9, 126.7, 125.5, 122.9, 70.6, 60.6, 37.7, 35.3, 32.3, 31.0, 25.2. MS: 238 [M+1]+.
실시예 92
3-(3-(4-메틸펜틸)페닐-프로판-1-아민의 제조
Figure pat00248
3-(3-(4-메틸펜틸)페닐-프로판-1-아민을 실시예 76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57 (0.5 g, 1.5 mmol) 과 4-메틸-1-펜틴 (0.2 ㎖, 2.4 mmol) 의 소노가시라 커플링으로 tert-부틸 3-(4-메틸펜트-1-이닐)페닐카르바메이트를 산출하였다. 수율 (0.35 g, 69%). 1H NMR (400 MHz, CDCl3) δ 7.16-7.28 (m, 3H), 7.07 (d, J = 7.2 Hz, 1H), 4.50 (bs, 1H), 3.12-3.15 (m, 2H), 2.60 (d, J = 7.6 Hz, 2H), 2.29 (d, J = 6.8 Hz, 2H), 1.84-1.94 (m, 2H), 1.74-1.82 (m, 1H), 1.44 (s, 9H), 1.04 (d, J = 6.8 Hz, 6H).
단계 2: tert-부틸 3-(3-(4-메틸펜트-1-이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의 환원으로 tert-부틸 3-(3-(4-메틸펜틸)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09 g, 88%): 1H NMR (400 MHz, CDCl3) δ 7.17-7.21 (m, 1H), 6.98-7.02 (m, 3H), 3.12-3.18 (m, 2H), 2.61 (t, J = 7.8 Hz, 2H), 2.55 (t, J = 7.8 Hz, 2H), 1.74-1.83 (m, 2H), 1.51-1.62 (m, 2H), 1.44 (s, 9H), 1.18-1.26 (m, 3H), 0.87 (d, J = 6.8 Hz, 6H).
단계 3: tert-부틸 3-(3-(4-메틸펜틸)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의 BOC-탈보호로 실시예 92 히드로클로라이드를 회색을 띤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 g, 53%): 1H NMR (400 MHz, DMSO-d6) δ 7.18-7.22 (m, 1H), 7.0-7.03 (m, 3H), 2.76 (t, J = 7.6 Hz, 2H), 2.61 (t, J = 7.8 Hz, 2H), 2.52 (t, J = 7.6 Hz, 2H), 1.79-1.87 (m, 2H), 1.50-1.59 (m, 3H), 1.14-1.20 (m, 2H), 0.85 (d, J = 6.8 Hz, 6H). 13C NMR (100 MHz, DMSO-d6): 142.4, 140.7, 128.3, 128.2, 125.9, 125.5, 38.3, 38.1, 35.4, 31.8, 28.8, 28.7, 27.2, 22.5. MS: 220 [M+1]+.
실시예 93
5-(3-(2-아미노에톡시)페닐)-N-메틸펜탄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249
5-(3-(2-아미노에톡시)페닐)-N-메틸펜탄아미드를 실시예 64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19 와 펜트-4-인산 N-메틸 아미드의 소노가시라 반응으로 N-메틸-5-(3-(2-(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에톡시)페닐)펜트-4-인아미드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45 g, 58%): 1H NMR (400 MHz, DMSO-d6) δ 8.02 (bs, 1H), 7.18-7.24 (m, 1H), 7.02 (d, J = 8.0 Hz, 1H), 6.91 (s, 1H), 6.83 (dd, J = 8.0, 2.4 Hz, 1H), 6.76 (bs, 1H), 4.09 (t, J = 5.2 Hz, 2H), 3.76-3.81 (m, 2H), 2.85 (d, J = 4.8 Hz, 3H), 2.76 (t, J = 7.4 Hz, 2H), 2.47 (t, J = 7.4 Hz, 2H).
단계 2: N-메틸-5-(3-(2-(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에톡시)페닐)펜트-4-인아미드의 환원으로 N-메틸-5-(3-(2-(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에톡시)페닐)펜탄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2 g, 47%): MS: 345 [M-1]. 이 생성물을 다음 변형에 그 자체로 사용하였다.
단계 3: N-메틸-5-(3-(2-(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에톡시)페닐)펜탄아미드의 탈보호로 5-(3-(2-아미노에톡시)페닐)-N-메틸펜탄아미드를 산출하였다. 5-(3-(2-아미노에톡시)페닐)-N-메틸펜탄아미드를 디옥산 중 HCl (4 M) 로 처리하여 실시예 93 히드로클로라이드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8 g, 44%): 1H NMR (400 MHz, DMSO-d6) δ 7.18-7.23 (m, 1H), 6.77-6.81 (m, 3H ), 4.12 (t, J = 4.8 Hz, 2H), 3.19 (t, J = 4.8 Hz, 2H), 2.50-2.53 (m, 5H), 2.05 (t, J = 6.8 Hz, 2H), 1.43-1.52 (m, 4H). 13C NMR (100 MHz, DMSO-d6) δ 172.4, 157.8, 143.8, 129.3, 121.2, 114.7, 111.8, 64.0, 38.2, 35.1, 34.8, 30.5, 25.4, 24.9. MS: 251 [M+1]+.
실시예 94
5-(3-(2-아미노에톡시)페닐)-N,N-디메틸펜탄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250
5-(3-(2-아미노에톡시)페닐)-N,N-디메틸펜탄아미드를 실시예 64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19 와 펜트-4-인산 N,N-디메틸 아미드의 소노가시라 반응으로 N,N-디메틸-5-(3-(2-(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에톡시)페닐)펜트-4-인아미드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9 g, 50%): 1H NMR (400 MHz, DMSO-d6) δ 7.18-7.23 (m, 1H), 7.03 (d, J = 7.2 Hz, 1H), 6.92 (s, 1H), 6.83 (dd, J = 8.4, 2.4 Hz, 1H), 4.09 (t, J = 5.0 Hz, 2H), 3.76-3.80 (m, 2H), 2.98 (s, 3H), 2.96 (s, 3H), 2.76 (t, J = 7.6 Hz, 2H), 2.64 (t, J = 7.6 Hz, 2H).
단계 2: N,N-디메틸-5-(3-(2-(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에톡시)페닐)펜트-4-인아미드의 환원으로 N,N-디메틸-5-(3-(2-(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에톡시)페닐)펜탄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4 g, 88%): MS: 361 [M+1]+. 이 생성물은 다음 변형에 그 자체로 사용하기에 충분히 순수하였다.
단계 3: N,N-디메틸-5-(3-(2-(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에톡시)페닐)펜탄아미드의 탈보호로 실시예 94 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8 g, 61%): 1H NMR (400 MHz, DMSO-d6) δ 7.16-7.21 (m, 1H), 6.74-6.79 (m, 3H), 4.0 (t, J = 5.4 Hz, 2H), 3.02 (t, J = 5.4 Hz, 2H), 2.93 (s, 3H), 2.79 (s, 3H), 2.54 (t, J = 7.2 Hz, 2H), 2.28 (t, J = 7.4 Hz, 2H), 1.51-1.60 (m, 2H), 1.44-1.50 (m, 2H). 13C NMR (100 MHz, DMSO-d6) δ 172.3, 158.7, 144.3, 129.7, 121.4, 115.1, 112.1, 67.6, 37.2, 35.4, 35.2, 32.6, 30.9, 24.7. MS: 265 [M+1]+.
실시예 95
1-(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네틸)시클로옥탄올의 제조
Figure pat00251
1-(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네틸)시클로옥탄올을 실시예 19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43 과 3-메틸헥스-1-인-3-올의 소노가시라 반응으로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3-히드록시-3-메틸헥스-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908 g, 90%): 1H NMR (400 MHz, CDCl3) δ 7.37 (s, 1H), 7.30-7.35 (m, 1H), 7.26-7.28 (m, 2H), 4.83-4.86 (m, 1H), 3.66-3.69 (m, 1H), 3.39-3.42 (m, 1H), 2.60 (bs, 1H), 2.11 (bs, 1H), 1.94-1.99 (m, 2H), 1.69-1.74 (m, 2H), 1.65 (s, 3H), 1.54-1.57 (m, 2H), 0.97 (t, J = 7.2 Hz, 3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3-히드록시-3-메틸헥스-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환원으로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3-히드록시-3-메틸헥실)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99 g, 90%). 이 화합물을 다음 변형에 그 자체로 사용하였다.
단계 3: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3-히드록시-3-메틸헥실)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로 황색 오일을 산출하고,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10% MeOH-NH3 (9.5:0.5)-DCM 구배) 에 의한 정제 시 실시예 95 를 투명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597 g, 82%): 1H NMR (400 MHz, DMSO-d6) δ 7.22 (t, J = 7.2 Hz, 1H), 7.12 (s, 1H), 7.08 (d, J = 7.2 Hz, 1H), 7.04 (d, J = 7.2 Hz, 1H), 4.60 (t, J = 6.4 Hz, 1H), 2.70-2.73 (m, 2H), 2.55-2.58 (m, 2H), 1.69-1.74 (dd, J = 6.4 Hz, 12.8 Hz, 2H), 1.55-1.58 (m, 2H), 1.17-1.37 (m, 4H), 1.07 (s, 3H), 0.86 (t, J = 7.2 Hz, 3H). 13C NMR (100 MHz, DMSO-d6) δ 146.0, 142.8, 128.0, 126.7, 125.4, 122.8, 70.6, 70.5, 44.1, 43.9, 37.7, 30.0, 26.8, 16.8, 14.8. MS: 266 [M+1].
실시예 96
5-(3-(2-아미노에톡시)페닐)펜탄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252
5-(3-(2-아미노에톡시)페닐)펜탄아미드를 실시예 64 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19 와 펜트-4-인산 아미드의 소노가시라 반응으로 5-(3-(2-(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에톡시)페닐)펜트-4-인아미드를 투명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8 g, 50%): 이 화합물을 다음 단계에 추가의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단계 2: 5-(3-(2-(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에톡시)페닐)펜트-4-인아미드의 환원으로 5-(3-(2-(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에톡시)페닐)펜탄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6 g, 54%): MS: 331 [M-1].
단계 3: 5-(3-(2-(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에톡시)페닐)펜탄아미드의 탈보호로 실시예 96 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 g, 47%): 1H NMR (400 MHz, DMSO-d6) δ 7.15-7.20 (m, 1H), 6.73-6.77 (m, 3H), 3.96 (t, J = 5.6 Hz, 2H), 2.94 (t, J = 5.6 Hz, 2H), 2.53 (t, J = 7.2 Hz, 2H), 2.05 (t, J = 7.2 Hz, 2H), 1.44-1.54 (m, 4H). 13C NMR (100 MHz, DMSO-d6) δ 174.7, 158.5, 144.3, 129.7, 121.6, 115.1, 112.2, 65.5, 39.2, 35.4, 31.0, 25.2. MS: 237 [M+1]+.
실시예 97
5-(3-(3-아미노프로필)페닐)-N,N-디메틸펜탄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253
5-(3-(3-아미노프로필)페닐)-N,N-디메틸펜탄아미드를 실시예 19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43 N-메틸펜트-4-인아미드와의 소노가시라 반응에 의해, 5-(3-(1-히드록시-3-(2,2,2-트리플루오로아세타미도)프로필)페닐)-N-메틸펜트-4-인아미드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661 g, 60%): 1H NMR (400 MHz, CDCl3) δ 8.0 (bs, 1H), 7.43-7.48 (m, 1H), 7.37 (s, 1H), 7.30 (d, J = 6.8 Hz, 2H), 5.66 (bs, 1H), 4.83-4.85 (m, 1H), 3.63-3.69 (m, 1H), 3.37-3.44 (m, 1H), 2.84 (d, J = 4.8 Hz, 3H), 2.72 (t, J = 7.6 Hz, 2H), 2.46 (t, J = 7.6 Hz, 2H), 1.92-2.02 (m, 2H).
단계 2: 용매로서 EtOH 를 사용하는 5-(3-(1-히드록시-3-(2,2,2-트리플루오로 아세타미도)프로필)페닐)-N-메틸펜트-4-인아미드의 환원에 의해, 5-(3-(1-히드록시-3-(2,2,2-트리플루오로 아세타미도)프로필)페닐)-N-메틸 펜탄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911 mg, 83%). 1H NMR (400 MHz, CDCl3) δ 8.0 (bs, 1H), 7.27 (t, J = 7.2 Hz, 1H), 7.16 (s, 1H), 7.14 (d, J = 7.6 Hz, 1H), 7.10 (d, J = 7.6 Hz, 1H), 5.56 (bs, 1H), 4.83-4.86 (m, 1H), 3.54-3.60 (m, 1H), 3.37-3.44 (m, 1H), 2.76 (d, J = 4.8 Hz, 3H), 2.63 (t, J = 7.6 Hz, 2H), 2.12 (t, J = 7.6 Hz, 2H), 1.96-2.0 (m, 2H), 1.58-1.67 (m, 4H).
단계 3: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MeOH-H2O 계에서의 5-(3-(1-히드록시-3-(2,2,2-트리플루오로 아세타미도)프로필)페닐)-N-메틸 펜탄아미드의 탈보호에 의해, 황색 오일을 산출하였고, 이를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10% MeOH-NH3 (9.5:0.5)-DCM 구배) 에 의한 정제에 의해, 실시예 97 를 황색 반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25 g, 49%): 1H NMR (400 MHz, DMSO-d 6) δ 7.19 (t, J = 7.2 Hz, 1H), 7.13 (s, 1H), 7.08 (d, J = 7.2 Hz, 1H), 7.00 (d, J = 7.2 Hz, 1H), 4.57 (t, J = 6.4 Hz, 1H), 2.57 (t, J = 7.2 Hz, 2H), 2.53 (d, J = 4.8 Hz, 3H), 2.35 (m, 2H), 2.07 (m, 2H), 1.70 (m, 2H), 1.48-1.55 (m, 4H). 13C NMR (100 MHz, DMSO-d 6) δ 172.9, 146.9, 142.1, 128.3, 126.9, 126.2, 123.6, 71.8, 42.7, 35.6, 35.5, 31.2, 25.9, 25.5. MS: 265 [M+1]+.
실시예 98
1-(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네틸)시클로부탄올의 제조
Figure pat00254
1-(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네틸)시클로부탄올을 실시예 79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39 와 1-에티닐-시클로부탄올과의 소노가시라 반응에 의해, tert-부틸 3-히드록시-3-(3-(2-(1-히드록시시클로부틸)에티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5 g, 70%): 1H NMR (400 MHz, DMSO-d 6) δ 7.45 (s, 1H), 7.27-7.34 (m, 3H), 4.85 (bs, 1H), 4.71 (m, 1H), 3.48-3.51 (m, 2H), 3.14-3.16 (m, 1H), 2.50-2.52 (m, 2H), 2.30-2.49 (m, 3H), 1.80-1.90 (m, 4H), 1.45 (s, 9H).
단계 2: 72 시간 동안 EtOH 중의 tert-부틸 3-히드록시-3-(3-((1-히드록시시클로부틸)에티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의 환원에 의해, tert-부틸 3-히드록시-3-(3-(2-(1-히드록시시클로부틸)에틸)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694 g, 92%): 1H NMR (400 MHz, CDCl3) δ 7.24-7.26 (m, 2H), 7.12-7.18 (m, 2H), 4.73 (bs, 1H), 4.68-4.75 (m, 1H), 3.46-3.51 (m, 1H), 3.13-3.20 (m, 1H), 2.69-2.72 (m, 2H), 2.06-2.11 (m, 2H), 1.96-1.99 (m, 2H), 1.56-1.93 (m. 4H), 1.45 (s, 9H).
단계 3: 에틸 아세테이트 중 디옥산 (2 ㎖, 4M) 중의 tert-부틸 3-히드록시-3-(3-(2-(1-히드록시시클로부틸)에틸)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와 HCl 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20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건조 상태로 농축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10% MeOH-DCM 구배) 에 의한 정제에 의해, 실시예 98 히드로클로라이드를 담황색 반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35 g, 47%): 1H NMR (400 MHz, DMSO-d 6) δ 7.67-7.71 (bs, 3H), 7.23 (t, J = 7.6, 1H), 7.18 (s, 1H), 7.10 (d, J = 7.6 Hz, 1H), 7.08 (d, J = 7.6 Hz, 1H), 4.93 (bs, 1H), 4.63-4.66 (m, 1H), 2.80-2.85 (m, 2H), 2.50-2.59 (m, 2H), 1.93-1.97 (m, 4H), 1.81-1.85 (m, 2H), 1.71-1.76 (m, 2H), 1.62-1.64 (m, 1H), 1.44-1.49 (m, 1H). 13C NMR (100 MHz, DMSO-d 6) δ 145.7, 143.2, 128.5, 127.4, 125.9, 123.2, 73.7, 70.2, 42.0, 37.2, 36.9, 36.1, 30.1, 12.3. MS: 250 [M+1]+.
실시예 99
2-(3-(2-아미노에톡시)페네틸)시클로헥산올의 제조
Figure pat00255
2-(3-(2-아미노에톡시)페네틸)시클로헥산올을 실시예 9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19 와 2-에티닐시클로헥산올과의 소노가시라 커플링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5→50% EtOAc/헥산 구배) 에 의해, 2,2,2-트리플루오로-N-(2-(3-((2-히드록시시클로헥실)에티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88 g, 31%): 1H NMR (400 MHz, CDCl3) δ 7.18 (t, J = 8.0 Hz, 1H), 7.01-7.04 (m, 1H), 6.90-6.98 (brs, 1H), 6.91-6.92 (m, 1H), 6.79-6.83 (m, 1H), 4.05-4.07 (m, 2H), 3.74 (app q, J = 5.2 Hz, 2H), 3.48-3.56 (m, 1H), 2.35-2.46 (m, 2H), 2.00-2.08 (m, 1H), 1.64-1.80 (m, 2H), 1.40-1.52 (m, 1H), 1.14-1.40 (m, 4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2-(3-((2-히드록시시클로헥실)-에티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7N NH3/MeOH)/디클로로메탄) 에 의한 정제에 의해, 2-((3-(2-아미노에톡시)페닐)에티닐)시클로헥산올을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9 g, 45%): 1H NMR (400 MHz, CDCl3) δ 7.18 (t, J = 7.6 Hz, 1H), 6.98-7.03 (m, 1H), 6.93-6.95 (m, 1H), 6.83-6.86 (m, 1H), 3.96 (t, J = 5.2 Hz, 2H), 3.49-3.57 (m, 1H), 3.08 (brs, 2H), 2.38-2.46 (m, 1H), 2.01-2.10 (m, 2H), 1.55-2.00 (brs, 1H), 1.74-1.82 (m, 2H), 1.65-1.74 (m, 2H), 1.40-1.52 (m, 1H), 1.16-1.40 (m, 3H).
단계 3: 2-((3-(2-아미노에톡시)페닐)에티닐)시클로헥산올의 수소화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7N NH3/MeOH)/디클로로메탄) 에 의해, 실시예 99 를 황녹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99 g, 67%): 1H NMR (400 MHz, CDCl3) δ 7.17 (t J = 8.0 Hz, 1H), 6.75-6.80 (m, 2H), 6.69-6.73 (m, 1H), 3.70 (t, J = 5.2 Hz, 2H), 3.19-3.27 (m, 1H), 3.06 (t, J = 5.2 Hz, 2H), 2.66-2.79 (m, 1H), 2.47-2.56 (m, 1H), 2.05-2.14 (m, 1H), 1.87-1.97 (m, 2H), 1.69-1.77 (m, 1H), 1.61-1.69 (m, 1H), 1.53 (brs, 3H), 1.36-1.46 (m, 1H), 1.11-1.34 (m, 4H), 0.91-1.03 (m, 1H).
실시예 100
2-(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네틸)시클로헥산올의 제조
Figure pat00256
2-(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네틸)시클로헥산올을 실시예 63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43 과 2-에티닐시클로헥산올과의 소노가시라 커플링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5→50% EtOAc/헥산 구배) 에 의해,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2-히드록시시클로헥실)에티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9 g, 63%): 1H NMR (400 MHz, CDCl3) δ 7.39-7.41 (m, 1H), 7.23-7.36 (m, 4H), 4.84 (q, J = 4.0 Hz, 1H), 3.62-3.72 (m, 1H), 3.50-3.57 (m, 1H), 3.34-3.44 (m, 1H), 2.38-2.46 (m 1H), 2.18 (brs, 2H), 1.90-2.10 (m, 4H), 1.66-1.84 (m, 2H), 1.40-1.53 (m, 1H), 1.16-1.40 (m, 3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2-히드록시시클로헥실)에티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7N NH3/MeOH)/디클로로메탄) 에 의해, 2-((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닐)에티닐)시클로헥산올을 연황색 유리같은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402 g, 29%): 1H NMR (400 MHz, CDCl3) δ 7.44-7.46 (m, 1H), 7.21-7.31 (m, 3H), 4.92 (dd, J = 8.8, 3.2 Hz, 1H), 3.47-3.56 (m, 1H), 3.05-3.12 (m, 1H), 3.01 (brs, 4H), 2.90-2.99 (m, 1H), 2.37-2.44 (m, 1H), 2.00-2.09 (m, 2H), 1.81-1.90 (m, 1H), 1.64-1.81 (m, 3H), 1.40-1.52 (m, 1H), 1.14-1.40 (m, 3H).
단계 3: 2-((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닐)에티닐)시클로헥산올의 수소화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7N NH3/MeOH)/디클로로메탄) 에 의해, 실시예 100 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53 g, 67%): 1H NMR (400 MHz, CDCl3) δ 7.19-7.26 (m, 2H), 7.13-7.17 (m, 1H), 7.05-7.08 (m, 1H), 4.88-4.93 (dd, J = 3.2, 8.8 Hz, 1H), 3.17-3.25 (m, 1H), 3.01-3.10 (m, 1H), 2.88-2.97 (m, 1H), 2.60-2.88 (m, 5H), 2.49-2.58 (m, 1H), 2.05-2.15 (m, 1H), 1.54-1.96 (m, 6H), 1.35-1.47 (m, 1H), 1.10-1.33 (m, 4H), 0.91-1.02 (m, 1H).
실시예 101
1-(3-(2-아미노에톡시)페네틸)시클로부탄올의 제조
Figure pat00257
1-(3-(2-아미노에톡시)페네틸)시클로부탄올을 실시예 64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19 와 1-에티닐-시클로부탄올과의 소노가시라 반응에 의해, 2,2,2-트리플루오로-N-(2-(3-(2-(1-히드록시시클로부틸)에티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85 g, 39%): 1H NMR (400 MHz, DMSO-d 6 ) δ 7.27-7.30 (m, 1H), 6.92-7.03 (m, 3H), 4.09-4.13 (m, 4H), 3.54-3.58 (m, 2H), 2.33-2.37 (m, 2H), 2.16-2.24 (m, 2H), 1.74-1.81 (m, 2H).
단계 2: EtOH (20 ㎖) 중의 2,2,2-트리플루오로-N-(2-(3-(2-(1-히드록시 시클로부틸)에티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 (0.45 g, 1.9 mmol) 의 용액을 탈기시키고 질소로 퍼지하였다. 여기에 C 상의 Pd (0.09 g, 10%) 를 첨가하고, 플라스크를 비우고 수소로 채웠다. 수득되는 반응 혼합물을 수소 기구 (balloon) 하의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 후 이것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 케이크를 에탄올로 세정하고, 여과액을 농축하여 2,2,2-트리플루오로-N-(2-(3-(2-(1-히드록시시클로부틸)에틸)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 g, 66%): 1H NMR (400 MHz, DMSO-d 6 ) δ 7.20-7.25 (m, 1H), 6.87 (d, J = 7.6 Hz, 1H), 6.78 (s, 1H), 6.72 (dd, J = 8.0, 2.4 Hz, 1H), 4.11 (t, J = 5.0 Hz, 2H), 3.76-3.81 (m, 2H), 2.67-2.72 (m, 2H), 2.01-2.14 (m, 4H), 1.92-1.96 (m, 2H), 1.22-1.26 (m, 2H).
단계 3: MeOH-물 (6:0.5) ㎖ 중의 2,2,2-트리플루오로-N-(2-(3-(2-(1-히드록시 시클로부틸)에틸)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 (0.3 g, 0.9 mmol) 의 교반 용액에 K2CO3 (0.187 g, 1.4 mmol) 를 첨가하였다. 수득되는 혼합물을 밤새 교반한 후,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에 DCM 과 물을 첨가하여 분액하고, 수합된 유기상을 물로 세정한 후 Na2SO4 로 건조시켰다. 여과액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실시예 101 을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2 g, 56%): 1H NMR (400 MHz, DMSO-d 6 ) δ 7.17-7.22 (m, 1H), 6.81-6.85 (m, 2H ), 6.77 (dd, J = 7.6, 2.0 Hz, 2H), 4.12 (t, J = 5.2 Hz, 2H), 3.18 (t, J = 5.2 Hz, 2H), 2.52-2.60 (m, 2H), 1.91-1.97 (m, 4H), 1.70-1.76 (m, 2H), 1.58-1.66 (m, 1H), 1.40-1.50 (m, 1H). 13C NMR (100 MHz, DMSO-d 6 ) δ 158.4, 145.1, 129.8, 121.7, 115.1, 112.2, 73.7, 64.6, 41.8, 38.8, 36.1, 30.1, 12.3. MS: 236 [M+1]+.
실시예 102
1-(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닐)-4-메틸펜탄-3-올의 제조
Figure pat00258
1-(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닐)-4-메틸펜탄-3-올을 실시예 79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39 와 4-메틸-펜트-1-인-3-올과의 소노가시라 반응에 의해, tert-부틸 3-히드록시-3-(3-(3-히드록시-4-메틸펜트-1-이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암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73 g, 81%): 1H NMR (400 MHz, CDCl3) δ 7.44 (s, 1H), 7.28-7.34 (m, 3H), 4.86 (bs, 1H), 4.72 (bs, 1H), 4.39 (t, J = 6.0 Hz, 1H), 3.46-3.51 (m, 2H), 3.11-3.19 (m, 1H), 1.78-2.04 (m, 4H), 1.45 (s, 9H), 1.02 (d, J =7.2 Hz, 3H), 1.06 (d, J = 7.2 Hz, 3H).
단계 2: tert-부틸 3-히드록시-3-(3-(3-히드록시-4-메틸펜트-1-이닐)페닐) 프로필카르바메이트의 환원에 의해, tert-부틸 3-히드록시-3-(3-(3-히드록시-4-메틸펜틸)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847 g, 91%): 1H NMR (400 MHz, CDCl3) δ 7.24-7.28 (m, 1H), 7.22 (s, 1H), 7.18 (d, J = 7.2 Hz, 1H), 7.12 (d, J = 7.2 Hz, 1H), 4.89 (bs, 1H), 4.70-4.72 (m, 1H), 3.46-3.51 (m, 1H), 3.35-3.40 (bs, 1H), 3.15-3.18 (m, 2H), 2.81-2.84 (m, 1H), 2.64-2.67 (m, 1H), 1.80-1.87 (m, 2H), 1.64-1.79 (m, 3H), 1.45 (s, 9H), 0.92 (d, J = 6.8, 6H).
단계 3: tert-부틸 3-히드록시-3-(3-(3-히드록시-4-메틸펜틸)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의 탈보호에 의해, 실시예 102 히드로클로라이드를 담황색 반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05 g, 30%): 1H NMR (400 MHz, DMSO-d 6) δ 7.22 (t, J = 7.6 Hz, 1H), 7.13 (s, 1H), 7.18 (d, J = 7.6 Hz, 1H), 7.12 (d, J = 7.6 Hz, 1H), 4.61 (t, J = 6.8 Hz, 1H), 3.81 (m, 1H) 3.14-3.18 (m, 1H), 2.83-2.90 (m, 2H), 2.77-2.80 (m, 1H), 1.81-1.85 (m, 2H), 1.48-1.61 (m, 3H), 0.92 (d, J = 6.8 Hz, 6H). 13C NMR (100 MHz, DMSO-d 6) δ 145.7, 143.0, 128.5, 127.4, 126.0, 125.9, 123.3, 74.3, 70.2, 36.8, 36.4, 33.7, 32.5, 19.4, 18.0. MS: 252 [M+1]+.
실시예 103
1-(3-(3-아미노프로필)페네틸)시클로옥탄올의 제조
Figure pat00259
아민의 탈보호 전에 수소화를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7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1-(3-(3-아미노프로필)페네틸)시클로옥탄올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10 과 1-에티닐-시클로옥탄올과의 소노가시라 커플링에 의해, 2,2,2-트리플루오로-N-(3-(3-(2-(1-히드록시시클로옥틸)에티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산출하였다. 수율 (0.344 g, 47%). 1H NMR (400 MHz, CDCl3) δ 7.22-7.29 (m, 2H), 7.15-7.19 (m, 1H), 7.11-7.13 (m, 1H), 6.23 (bs, 1H), 3.36-3.42 (m, 2H), 1.48-2.07 (m, 18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3-(3-((1-히드록시시클로옥틸)에티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환원에 의해, 2,2,2-트리플루오로-N-(3-(3-(2-(1-히드록시시클로옥틸)에틸)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895 g, 98%): 1H NMR (400 MHz, CDCl3) δ 7.19-7.24 (m, 1H), 7.06 (d, J = 7.2 Hz, 1H ), 7.02 (s, 1H), 6.99 (d, J = 7.2 Hz, 1H ), 3.36-3.42 (m, 2H), 2.64-2.70 (m, 4H), 1.89-1.96 (m, 2H), 1.32-1.87 (m, 16H).
단계 3: 2,2,2-트리플루오로-N-(3-(3-(2-(1-히드록시시클로옥틸)에틸)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에 의해, 실시예 103 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77 g, 42%): 1H NMR (400 MHz, DMSO-d 6 ) δ 7.12-7.16 (m, 1H), 6.94-6.98 (m, 3H), 2.50-2.56 (m, 6H), 1.32-1.70 (m, 18H). 13C NMR (100 MHz, DMSO-d 6 ): 143.3, 142.1, 128.2, 128.1, 125.6, 125.4, 72.6, 43.7, 40.9, 35.7, 34.5, 32.5, 29.3, 28.0, 24.7, 22.0. MS: 290 [M+1] +.
실시예 104
5-(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닐)펜탄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260
5-(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닐)펜탄아미드를 실시예 19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43 과 펜트-4-인아미드와의 소노가시라 반응에 의해, 5-(3-(1-히드록시-3-(2,2,2-트리플루오로아세타미도)프로필)페닐)펜트-4-인아미드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6 g, 57%). 이 화합물을 다음 변형에 그 자체로 사용하였다. MS: 343 [M+1]+.
단계 2: 5-(3-(1-히드록시-3-(2,2,2-트리플루오로 아세타미도)프로필)페닐)펜트-4-인아미드의 환원에 의해, 5-(3-(1-히드록시-3-(2,2,2-트리플루오로 아세타미도)프로필)페닐)펜탄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51 g, 83%). 이 화합물을 다음 변형에 그 자체로 사용하였다. MS: 347 [M+1]+.
단계 3: 5-(3-(1-히드록시-3-(2,2,2-트리플루오로아세타미도)프로필)페닐)펜탄아미드의 탈보호 및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10% (MeOH-NH3 (9.5:0.5))-DCM 구배) 에 의한 후속 정제에 의해, 실시예 104 를 맑은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25 g, 35%): 1H NMR (400 MHz, DMSO-d 6) δ 7.23 (t, J = 7.6 Hz, 1H), 7.12 (s, 1H), 7.10 (d, J = 7.6 Hz, 1H), 7.04 (d, J = 7.6 Hz, 1H), 4.60 (t, J = 6.4 Hz, 1H), 2.77-2.89 (m, 2H), 2.56 (t, J = 6.8 Hz, 2H), 2.05 (t, J = 6.8 Hz, 2H), 1.79-1.85 (m, 2H), 1.48-1.52 (m, 4H). 13C NMR (100 MHz, DMSO-d 6) δ 174.7, 145.7, 142.5, 128.5, 127.4, 125.9, 123.4, 70.3, 37.1, 37.0, 35.5, 35.4, 31.2, 25.2. MS: 251 [M+1]+.
실시예 105
3-아미노-1-(3-(2-시클로옥틸에틸)페닐)프로판-1-올의 제조
Figure pat00261
3-아미노-1-(3-(2-시클로옥틸에틸)페닐)프로판-1-올을 실시예 79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39 와 에티닐 시클로옥탄과의 소노가시라 반응에 의해, tert-부틸 3-(3-(2-시클로옥틸에티닐)페닐)-3-히드록시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연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470 mg, 91%): 1H NMR (400 MHz, CDCl3) δ 7.39 (s, 1H), 7.22-7.29 (m, 3H), 4.86 (bs, 1H), 4.72 (m, 1H), 3.23 (bs, 1H), 3.11-3.19 (m, 1H), 2.76-2.79 (m, 2H), 1.92-1.96 (m, 2H), 1.74-1.81 (m, 6H), 1.53-1.60 (m, 6H), 1.45 (s, 9H), 1.27 (m, 2H).
단계 2: tert-부틸 3-(3-(시클로옥틸에티닐)페닐)-3-히드록시프로필카르바메이트의 환원에 의해, tert-부틸 3-(3-(2-시클로옥틸에틸)페닐)-3-히드록시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32 g, 89%). 1H NMR (400 MHz, CDCl3) δ 7.22 (t, J = 7.6 Hz, 1H), 7.18 (s, 1H), 7.16 (d, J = 7.6 Hz, 1H), 7.09 (d, J = 7.6 Hz, 1H), 4.89 (bs, 1H), 4.72 (m, 1H), 3.49-3.54 (m, 1H), 3.13-3.21 (m, 1H), 3.07 (bs, 1H), 2.58-2.62 (m, 2H), 1.82-1.87 (m, 2H), 1.63-1.68 (m, 4H), 1.49-1.57 (m, 5H), 1.46-1.48 (m, 3H), 1.45 (s, 9H), 1.28-1.33 (m, 2H).
단계 3: tert-부틸 3-히드록시-3-(3-(2-(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에틸)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의 탈보호에 의해 반고체 생성물을 산출하고, 이것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10% MeOH-DCM 구배) 에 의해 정제하여, 실시예 105 히드로클로라이드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0.194 g, 40%): 1H NMR (400 MHz, DMSO-d 6) δ 7.60 (bs, 1H), 7.23 (t, J = 7.6 Hz, 1H), 7.14 (s, 1H), 7.11 (d, J = 7.6 Hz, 1H), 7.08 (d, J = 7.6 Hz, 1H), 4.64 (m, 1H), 2.81-2.86 (m, 2H), 2.56-2.58 (m, 2H), 1.79-1.83 (m, 2H), 1.54-1.65 (m, 7H), 1.40-1.47 (m, 9H), 1.28-1.33 (m, 2H). 13C NMR (100 MHz, DMSO-d 6) δ 145.7, 142.9, 128.5, 127.3, 125.9, 123.3, 70.2, 37.2, 36.9, 36.8, 33.7, 32.2, 27.3, 26.3, 25.4. MS: 290 [M+1]+.
실시예 106
3-아미노-1-(3-(5-메톡시펜틸)페닐)프로판-1-올의 제조
Figure pat00262
3-아미노-1-(3-(5-메톡시펜틸)페닐)프로판-1-올을 실시예 79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39 와 5-메톡시펜트-1-인과의 소노가시라 반응에 의해, tert-부틸 3-히드록시-3-(3-(5-메톡시펜트-1-이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47 g, 66%): 1H NMR (400 MHz, CDCl3) δ 7.39 (s, 1H), 7.27-7.37 (m, 3H), 4.83-4.85 (bs, 1H), 4.69-4.71 (m, 1H), 3.66-3.71 (m, 1H), 3.52 (t, J = 6.4 Hz, 2H), 3.48 (m, 1H), 3.36 (s, 3H), 3.29 (bs, 1H), 2.49 (t, J = 6.4 Hz, 2H), 1.80-2.02 (m, 4H), 1.45 (s, 9H).
단계 2: tert-부틸 3-히드록시-3-(3-(5-메톡시펜트-1-이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의 환원에 의해, tert-부틸 3-히드록시-3-(3-(5-메톡시펜틸)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99 g, 88%). 1H NMR (400 MHz, DMSO-d 6) δ 7.19 (t, J = 7.6 Hz, 1H), 7.09 (s, 1H), 7.07 (d, J = 7.6 Hz, 1H), 7.02 (d, J = 7.6 Hz, 1H), 4.48 (t, J = 6.4 Hz, 1H), 3.27 (t, J = 6.4 Hz, 2H), 3.16 (s, 3H), 2.91-2.94 (m, 2H), 2.50-2.54 (m, 2H), 1.62-1.67 (m, 2H), 1.47-1.56 (m, 4H), 1.33 (s, 9H), 1.23-1.28 (m, 2H).
단계 3: tert-부틸 3-히드록시-3-(3-(5-메톡시펜틸)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의 탈보호 및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10% MeOH-NH3 (9.5:0.5)-DCM) 에 의한 후속 정제에 의해, 실시예 106 을 맑은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78 g, 72%): 1H NMR (400 MHz, DMSO-d 6) δ 7.20 (t, J = 7.6 Hz, 1H), 7.11 (s, 1H), 7.09 (d, J = 7.6 Hz, 1H), 7.04 (d, J = 7.6 Hz, 1H), 4.58-4.61 (m, 1H), 3.30 (t, J = 6.4 Hz, 2H), 3.18 (s, 3H), 2.78-2.87 (m, 2H), 2.53-2.55 (m, 2H), 1.79-1.84 (m, 2H), 1.47-1.57 (m, 4H), 1.23-1.28 (m, 2H). 13C NMR (100 MHz, DMSO-d 6) δ 146.4, 141.7, 127.7, 126.4, 125.6, 123.0, 71.8, 71.4, 57.7, 42.5, 38.9, 35.2, 30.8, 28.8, 25.4. MS: 252 [M+1]+.
실시예 107
2-(3-(5-메톡시펜틸)페녹시)에탄아민의 제조
Figure pat00263
2-(3-(5-메톡시펜틸)페녹시)에탄아민을 실시예 64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19 와 5-메톡시펜트-1-인과의 소노가시라 반응에 의해 2,2,2-트리플루오로-N-(2-(3-(5-메톡시펜트-1-이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05 g, 29%): 1H NMR (400 MHz, DMSO-d 6 ) δ 7.22-7.27 (m, 1H), 6.97 (d, J = 7.6 Hz, 1H), 6.90-6.94 (m, 2H), 4.10 (t, J = 5.6 Hz, 2H), 3.53-3.58 (m, 2H), 3.43 (t, J = 6.4 Hz, 2H), 3.25 (s, 3H), 2.45 (t, J = 7.2 Hz, 2H), 1.72-1.79 (m, 2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2-(3-(5-메톡시펜트-1-이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의 환원에 의해 2,2,2-트리플루오로-N-(2-(3-(5-메톡시펜틸)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65 g, 87%): 1H NMR (400 MHz, DMSO-d 6 ) δ 7.15-7.20 (m, 1H), 6.72-6.78 (m, 3H), 4.06 (t, J = 5.6 Hz, 2H), 3.53-3.58 (m, 2H), 3.30 (t, J = 6.4 Hz, 2H), 3.19 (s, 3H), 2.53 (t, J = 7.2 Hz, 2H), 1.48-1.60 (m, 4H), 1.26-1.32 (m, 2H).
단계 3: 2,2,2-트리플루오로-N-(2-(3-(5-메톡시펜틸)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이 탈보호에 의해 실시예 107 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15 g, 62%): 1H NMR (400 MHz, DMSO-d 6 ) δ 7.14-7.18 (m, 1H), 6.71-6.75 (m, 3H), 3.89 (t, J = 5.8 Hz, 2H), 3.28 (t, J = 6.4 Hz, 2H), 3.20 (s, 3H), 2.87 (t, J = 5.8 Hz, 2H), 2.52 (t, J = 7.2 Hz, 2H), 1.47-1.60 (m, 4H), 1.26-1.32 (m, 2H). 13C NMR (100 MHz, DMSO-d 6 ) δ 158.3, 144.4, 129.7, 121.7, 115.1, 112.2, 72.3, 64.5, 58.2, 38.7, 35.6, 31.1, 29.3, 25.8. MS: 238 [M+1]+
실시예 108
2-(3-(2-시클로옥틸에틸)페녹시)에탄아민의 제조
Figure pat00264
2-(3-(2-시클로옥틸에틸)페녹시)에탄아민을 실시예 64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19 와 에티닐시클로옥탄과의 소노가시라 반응에 의해 N-(2-(3-(시클로옥틸에티닐)페녹시)에틸)-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505 g, 50%): 1H NMR (400 MHz, DMSO-d 6 ) δ 7.21-7.27 (m, 1H), 6.94 (d, J = 7.2 Hz, 1H), 6.88-6.92 (m, 2H), 4.09 (t, J = 5.4 Hz, 2H), 3.52-3.57 (m, 2H), 2.79-2.84 (m, 1H), 1.86-1.92 (m, 2H), 1.67-1.76 (m, 4H), 1.47-1.58 (m, 8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2-(3-((1-히드록시시클로옥틸)에티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의 환원에 의해 2,2,2-트리플루오로-N-(2-(3-(2-(1-히드록시시클로옥틸)에틸)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15 g, 70%): 1H NMR (400 MHz, DMSO-d 6 ) δ 7.14-7.19 (m, 1H), 6.74-6.78 (m, 3H), 4.05 (t, J = 5.6 Hz, 2H), 3.53-3.58 (m, 2H), 2.50-2.55 (m, 2H), 1.22-1.68 (m, 17H). MS: 372 [M+1]+.
단계 3: 2,2,2-트리플루오로-N-(2-(3-(2-(1-히드록시시클로옥틸)에틸)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에 의해 실시예 108 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7 g, 45%): 1H NMR (400 MHz, DMSO-d 6 ) δ 7.13-7.18 (m, 1H), 6.70-6.75 (m, 3H), 3.91 (t, J = 5.6 Hz, 2H), 2.87 (t, J = 5.6 Hz, 2H), 2.50-2.54 (m, 2H), 1.22-1.66 (m, 17H). 13C NMR (100 MHz, DMSO-d 6 ) δ 158.3, 144.8, 129.8, 121.7, 115.1, 112.3, 64.6, 40.6, 38.8, 36.7, 33.6, 32.2, 27.3, 26.3, 25.4. MS: 276 [M+1]+
실시예 109
1-(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닐)-3-메틸헥산-3-올의 제조
Figure pat00265
1-(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닐)-3-메틸헥산-3-올을 실시예 19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43 과 3-메틸헥스-1-인-3-올과의 소노가시라 반응에 의해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3-히드록시-3-메틸헥스-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908 g, 90%): 1H NMR (400 MHz, CDCl3) δ 7.37 (s, 1H), 7.30-7.35 (m, 1H), 7.26-7.28 (m, 2H), 4.83-4.86 (m, 1H), 3.66-3.69 (m, 1H), 3.39-3.42 (m, 1H), 2.60 (bs, 1H), 2.11 (bs, 1H), 1.94-1.99 (m, 2H), 1.69-1.74 (m, 2H), 1.65 (s, 3H), 1.54-1.57 (m, 2H), 0.97 (t, J = 7.2 Hz, 3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3-히드록시-3-메틸헥스-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환원에 의해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3-히드록시-3-메틸헥실)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99 g, 90%). 이 화합물을 다음 변형에 그 자체로 사용하였다.
단계 3: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3-히드록시-3-메틸헥실)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에 의해 황색 오일을 산출하였고, 이를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10% MeOH-NH3 (9.5:0.5)-DCM 구배) 에 의해 정제시 실시예 109 를 맑은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597 g, 82%): 1H NMR (400 MHz, DMSO-d 6) δ 7.22 (t, J = 7.2 Hz, 1H), 7.12 (s, 1H), 7.08 (d, J = 7.2 Hz, 1H), 7.04 (d, J = 7.2 Hz, 1H), 4.60 (t, J = 6.4 Hz, 1H), 2.70-2.73 (m, 2H), 2.55-2.58 (m, 2H), 1.69-1.74 (dd, J = 6.4 Hz, 12.8 Hz, 2H), 1.55-1.58 (m, 2H), 1.17-1.37 (m, 4H), 1.07 (s, 3H), 0.86 (t, J = 7.2 Hz, 3H). 13C NMR (100 MHz, DMSO-d 6) δ 146.0, 142.8, 128.0, 126.7, 125.4, 122.8, 70.6, 70.5, 44.1, 43.9, 37.7, 30.0, 26.8, 16.8, 14.8. MS: 266 [M+1].
실시예 110
3-아미노-1-(3-(2-(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에틸)페닐)프로판-1-올의 제조
Figure pat00266
3-아미노-1-(3-(2-(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에틸)페닐)프로판-1-올을 반응식 18 에 제시되고 실시예 3, 13, 1617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18
Figure pat00267
단계 1: 실시예 16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3-요오도벤즈알데히드 (86) 에 아세토니트릴을 첨가하여 3-히드록시-3-(3-요오도페닐)프로판니트릴 (87) 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2.58 g, 55%): 1H NMR (400 MHz, CDCl3) δ 7.82 (s, 1H), 7.70 (d, J = 8.0 Hz, 1H), 7.38 (d, J = 8.0 Hz, 1H), 7.14 (t, J = 8.0 Hz, 1H), 5.01 (m, 1H), 2.80 (d, J = 6.4, 2H), 2.40 (bs, 1H).
단계 2: 실시예 17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87 의 니트릴 환원에 의해 3-아미노-1-(3-요오도페닐)프로판-1-올 (88) 을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2.63 g, 정량적 수율). 이 화합물을 다음 변형에 그 자체로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76 (s, 1H), 7.58 (d, J = 7.6, 1H), 7.33 (d, J = 7.6, 1H), 7.06 (t, J = 8.0, 1H), 4.92 (dd, J = 8.8,2.8 Hz, 1H), 3.09-3.14 (m, 1H), 2.93-2.99 (m, 1H), 1.81-1.85 (m, 1H), 1.64-1.73 (m, 1H).
단계 3: 실시예 17 에서와 같은 아민 88 의 BOC 보호에 의해 tert-부틸 3-히드록시-3-(3-요오도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 (89) 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39 g, 40%). 이 화합물을 다음 변형에 그 자체로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73 (s, 1H), 7.58 (d, J = 7.6, 1H), 7.33 (d, J = 7.6, 1H), 7.07 (t, J = 8.0, 1H), 4.86 (bs, 1H), 4.67 (m, 1H), 3.45-3.51 (m, 2H), 3.11-3.18 (m, 1H), 1.76-1.83 (m, 2H), 1.51 (s, 9H).
단계 4: 실시예 3 에서의 방법에 따른 89 와 2-에티닐테트라히드로-2H-피란의 소노가시라 반응에 의해 tert-부틸 3-히드록시-3-(3-((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에티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 (90) 을 암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21 g, 83%): 1H NMR (400 MHz, CDCl3) δ 7.45 (s, 1H), 7.27-7.35 (m, 3H), 4.87 (bs, 1H), 4.69-4.71 (m, 1H), 4.49-4.51 (m, 1H), 4.02-4.07 (m, 1H), 3.50-3.52 (m, 1H), 3.56-3.61 (m, 1H), 3.13-3.18 (m, 1H), 1.91-1.93 (m, 2H), 1.74-1.86 (m, 4H), 1.51 (m, 2H), 1.43 (s, 9H).
단계 5: 실시예 13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tert-부틸 3-히드록시-3-(3-((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에티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의 환원에 의해 tert-부틸 3-히드록시-3-(3-(2-(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에틸)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 (91) 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592 g, 미정제). 1H NMR (400 MHz, CDCl3) δ 7.23 (t, J = 7.2 Hz, 1H), 7.19 (s, 1H), 7.10 (d, J = 7.2 Hz, 1H), 7.02 (d, J = 7.2 Hz, 1H), 4.89 (bs, 1H), 4.64 (t, J = 7.6 Hz, 1H), 3.98-4.0 (m, 1H), 3.38-3.43 (m, 2H), 3.14-3.32 (m, 3H), 2.60-2.76 (m, 2H), 1.80-1.85 (m, 4H), 1.59-1.61 (m, 1H), 1.50-1.53 (m, 2H), 1.45 (s, 9H), 1.20-1.33 (m, 3H).
단계 6: 실시예 13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91 의 탈보호에 의해 미정제 생성물을 산출하고, 이를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10% MeOH-DCM 구배) 에 의해 정제하여 실시예 110 히드로클로라이드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0.194 g, 40%): 1H NMR (400 MHz, DMSO-d 6) δ 7.24 (t, J = 7.2 Hz, 1H), 7.14 (s, 1H), 7.10 (d, J = 7.2 Hz, 1H), 7.07 (d, J = 7.2 Hz, 1H), 4.64 (t, J = 7.6 Hz, 1H), 3.82-3.87 (m, 2H), 3.17-3.21 (m, 2H), 2.76-2.84 (m, 2H), 2.58-2.63 (m, 1H), 1.80-1.84 (m, 2H), 1.54-1.67 (m, 3H), 1.43-1.51 (m, 3H), 1.16 (m, 1H). 13C NMR (100 MHz, DMSO-d 6) δ 145.8, 142.4, 128.5, 127.3, 125.9, 123.4, 76.6, 70.1, 67.9, 38.4, 37.1, 36.8, 31.9, 31.7, 26.2, 23.5. MS: 264 [M+1]+.
실시예 111
5-(3-(3-아미노프로필) 페닐 )- N - 메틸펜탄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268
5-(3-(3-아미노프로필)페닐)-N-메틸펜탄아미드를 실시예 76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57N-메틸펜트-4-인아미드와의 소노가시라 커플링에 의해 tert-부틸 3-(3-(5-(메틸아미노)-5-옥소펜트-1-이닐)페닐)프로필 카르바메이트를 산출하였다. 수율 (1.03 g, 미정제). 1H NMR (400 MHz, CDCl3) δ 7.64-7.70 (m, 1H), 7.48 (d, J = 6.6 Hz, 1H), 7.21 (s, 1H), 7.10 (d, J = 6.4 Hz, 1H), 5.68 (bs, 1H), 4.52 (bs, 1H), 3.10-3.18 (m, 2H), 2.85 (d, J = 6.8 Hz, 3H), 2.75 (t, J = 7.2 Hz, 2H), 2.60 (t, J = 7.6 Hz, 2H), 2.47 (t, J = 7.2 Hz, 2H), 1.75-1.82 (m, 2H), 1.44 (s, 9H).
단계 2: 5-(3-(3-아미노프로필)페닐)-N-메틸펜트-4-인아미드의 환원에 의해 tert-부틸 3-(3-(5-(메틸아미노)-5-옥소펜틸)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55 g, 88%): MS: 349 [M+1] +.
단계 3: tert-부틸 3-(3-(5-(메틸아미노)-5-옥소펜틸)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의 BOC 탈보호에 의해 5-(3-(3-아미노프로필)페닐)-N-메틸펜탄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산출하였다. 농축 암모니아를 사용해 pH 를 조정함으로써 생성물을 단리하고 DCM 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정하고, 무수 Na2SO4 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9.5-0.5) MeOH-NH3)-DCM 구배) 에 의한 정제에 의해 실시예 111 을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07 g, 27%): 1H NMR (400 MHz, DMSO-d 6 ) δ 7.13-7.18 (m, 1H), 6.94-6.99 (m, 3H), 2.48-2.56 (m, 9H), 2.05 (t, J = 6.8 Hz, 2H), 1.60-1.68 (m, 2H), 1.42-1.50 (m, 4H). 13C NMR (100 MHz, DMSO-d 6 ): 172.8, 142.5, 142.4, 128.8, 128.6, 126.1, 41.2, 35.6, 34.6, 32.9, 31.2, 25.8, 25.4. MS: 249 [M+1] +.
실시예 112
5-(3-(3-아미노프로필)페닐)펜탄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269
5-(3-(3-아미노프로필)페닐)펜탄아미드를 실시예 111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57 과 펜트-4-인아미드와의 소노가시라 커플링에 의해 tert-부틸 3-(3-(5-아미노-5-옥소펜트-1-이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산출하였다. 수율 (0.967 g, 미정제). 1H NMR (400 MHz, CDCl3) δ 7.64-7.70 (m, 1H), 7.47 (d, J = 6.4 Hz, 1H), 7.18 (s, 1H), 7.10 (d, J = 6.4 Hz, 1H), 5.60-5.80 (m, 2H), 4.53 (bs, 1H), 3.10-3.18 (m, 2H), 2.75 (d, J = 7.2 Hz, 2H), 2.60 (t, J = 7.6 Hz, 2H), 2.54 (t, J = 7.2 Hz, 2H), 1.76-1.80 (m, 2H), 1.44 (s, 9H).
단계 2: 5-(3-(3-아미노프로필)페닐)펜트-4-인아미드의 환원에 의해 tert-부틸 3-(3-(5-아미노-5-옥소펜틸)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10 g, 83%): MS: 335 [M+1]+. 화합물은 다음 변형에 이용하기에 충분히 순수하였다.
단계 3: tert-부틸 3-(3-(5-아미노-5-옥소펜틸)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의 BOC 탈보호에 의해 실시예 112 를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8 g, 38%): 1H NMR (400 MHz, DMSO-d 6 ) δ 7.14-7.19 (m, 1H), 6.97-7.0 (m, 3H), 2.50-2.60 (m, 6H), 2.05 (t, J = 6.8 Hz, 2H), 1.60-1.70 (m, 2H), 1.43-1.55 (m, 4H). 13C NMR (100 MHz, DMSO-d 6 ): 174.2, 142.0, 141.9, 128.3, 128.1, 125.6, 40.7, 34.9, 34.0, 32.4, 30.7, 24.8. MS: 235 [M+1] +.
실시예 113
1-(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닐)-3-에틸펜탄-3-올의 제조
Figure pat00270
1-(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닐)-3-에틸펜탄-3-올을 실시예 63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43 과 3-에틸펜트-1-인-3-올과의 소노가시라 커플링에 의해 N-(3-(3-(3-에틸-3-히드록시펜트-1-이닐)페닐)-3-히드록시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산출하였다. 수율 (0.825 g, 77%). 1H NMR (400 MHz, CDCl3) δ 7.41 (s, 1H), 7.28-7.39 (m, 3H), 4.83-4.87 (m, 1H), 3.66-3.73 (m, 1H), 3.37-3.44 (m, 1H), 1.90-2.02 (m, 2H), 1.70-1.81 (m, 4H), 1.10 (t, J = 7.4 Hz, 6H).
단계 2: N-(3-(3-(3-에틸-3-히드록시펜트-1-이닐)페닐)-3-히드록시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에 의해 1-(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닐)헥스-1-인-3-올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52 g, 91%): 1H NMR (400 MHz, DMSO-d 6 ) δ 7.36 (s, 1H), 7.29-7.33 (m, 2H), 7.26 (d, J = 6.4 Hz, 1H), 4.68 (t, J = 4.8 Hz, 1H), 2.74-2.82 (m, 2H), 1.76-1.82 (m, 2H), 1.60-1.69 (m, 4H), 0.99 (t, J = 7.4 Hz, 6H). 13C NMR (100 MHz, DMSO-d 6 ): 146.5, 130.1, 128.9, 126.0, 125.0, 123.0, 100.0, 94.0, 83.3, 75.0, 71.0, 70.2, 34.5, 9.2. ESI MS m/z 262 [M+1] +.
단계 3: 1-(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닐)-3-에틸펜트-1-인-3-올의 환원에 의해 실시예 113 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5 g, 49%). 1H NMR (400 MHz, DMSO-d 6) δ 7.17-7.21 (m, 1H), 7.14 (s, 1H), 7.07 (d, J = 8.4 Hz, 1H), 7.02 (d, J = 7.2 Hz, 1H), 4.60-4.64 (m, 1H), 2.58 (t, J = 7.2 Hz, 2H), 2.42-2.50 (m, 2H), 1.60-1.68 (m, 2H), 1.50-1.56 (m, 2H), 1.37 (q, J = 7.6 Hz, 4H), 0.81 (t, J = 7.6 Hz, 6H). 13C NMR (100 MHz, DMSO-d 6 ): 146.5, 142.7, 127.9, 126.4, 125.4, 122.9, 72.4, 71.3, 42.0, 40.1, 38.8, 30.4, 29.6, 7.9. MS: 266 [M+1] +
실시예 114
2-(3-(2-(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에틸)페녹시)에탄아민의 제조
Figure pat00271
2-(3-(2-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에틸)페녹시)에탄아민을 실시예 64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19 와 2-에티닐테트라히드로-2H-피란의 소노가시라 반응에 의해 2,2,2-트리플루오로-N-(2-(3-((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에티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753 g, 79%): 1H NMR (400 MHz, DMSO-d 6 ) δ 7.26-7.32 (m, 1H), 7.05 (d, J = 7.6 Hz, 1H), 6.95-6.98 (m, 2H), 4.50-4.53 (m, 1H), 4.11 (t, J = 5.4 Hz, 2H), 3.83-3.90 (m, 1H), 3.54-3.58 (m, 2H), 3.46-3.53 (m, 1H), 1.78-1.86 (m, 2H). 1.46-1.66 (m, 4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2-(3-((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에티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의 환원에 의해 2,2,2-트리플루오로-N-(2-(3-(2-(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에틸)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15 g, 77%): 1H NMR (400 MHz, DMSO-d 6 ) δ 7.15-7.20 (m, 1H), 6.72-6.78 (m, 3H), 4.07 (t, J = 5.6 Hz, 2H), 3.86-3.90 (m, 1H), 3.52-3.58 (m, 2H), 3.26-3.30 (m, 1H), 3.12-3.18 (m, 1H), 2.51-2.68 (m, 2H), 1.52-1.78 (m, 4H), 1.38-1.48 (m, 4H),
단계 3: 2,2,2-트리플루오로-N-(2-(3-(2-(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에틸)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에 의해 실시예 114 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41 g, 63%): 1H NMR (400 MHz, DMSO-d 6 ) δ 7.19-7.23 (m, 1H), 6.77-6.82 (m, 3H), 4.10 (t, J = 5.2 Hz, 2H), 3.83-3.86 (m, 1H), 3.24-3.30 (m, 1H), 3.12-3.20 (m, 3H), 2.50-2.70 (m, 2H), 1.50-1.74 (m, 4H), 1.36-1.46 (m, 3H), 1.10-1.20 (m, 1H). 13C NMR (100 MHz, DMSO-d 6 ) δ 158.4, 144.3, 129.3, 121.6, 115.0, 112.4, 76.6, 67.9, 64.5, 38.7, 38.2, 31.9, 31.6, 26.2, 23.5. MS: 250 [M+1]+.
실시예 115
1-(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네틸)시클로펜탄올의 제조
Figure pat00272
1-(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네틸)시클로펜탄올을 실시예 19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43 과 1-에티닐시클로펜탄올과의 소노가시라 반응에 의해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1-히드록시시클로펜틸)에티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55 g, 55%): 1H NMR (400 MHz, CDCl3) δ 7.41 (s, 1H), 7.28-7.35 (m, 3H), 4.85-4.87 (m, 1H), 3.66-3.70 (m, 1H), 3.38-3.44 (m, 1H), 2.41 (bs, 1H), 1.76-2.08 (m, 10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1-히드록시시클로펜틸)에티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환원에 의해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2-(1-히드록시시클로펜틸)에틸)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48 g, 62%). 1H NMR (400 MHz, CDCl3) δ 7.27-7.31 (m, 1H), 7.20 (s, 1H), 7.14-7.18 (m, 2H), 4.86-4.90 (m, 1H), 3.68-3.73 (m, 1H), 3.38-3.46 (m, 1H), 2.76-2.80 (m, 2H), 2.25 (s, 1H), 1.96-2.02 (m, 3H), 1.80-1.90 (m, 4H), 1.60-1.72 (m, 5H).
단계 3: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2-(1-히드록시시클로펜틸)에틸)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에 의해 실시예 115 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2 g, 68%). 1H NMR (400 MHz, CDCl3) δ 7.20-7.24 (m, 1H), 7.13 (s, 1H), 7.06-7.11 (m, 2H), 4.61 (t, J = 6.4 Hz, 1H), 2.78-2.92 (m, 2H), 2.60-2.65 (m, 2H), 1.80-1.87 (m, 2H), 1.64-1.74 (m, 4H), 1.40-1.60 (m, 6H). 13C NMR (100 MHz, DMSO-d 6 ) δ 145.9, 143.4, 128.5, 127.3, 125.8, 123.2, 80.6, 70.6, 44.1, 38.6, 37.4, 31.3, 24.0. MS: 264 [M+1]+
실시예 116
3-(3-(3-아미노프로필)페닐)-1-페닐프로판-1-올의 제조
Figure pat00273
3-(3-(3-아미노프로필)페닐)-1-페닐프로판-1-올을 실시예 103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10 과 1-페닐프로프-2-인-1-올과의 소노가시라 반응에 의해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3-히드록시-3-페닐프로프-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408 g, 80%). 이 화합물을 다음 변형에 그 자체로 사용하였다.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3-히드록시-3-페닐프로프-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환원에 의해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3-히드록시-3-페닐프로필)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65 g, 91%). 이 화합물을 다음 변형에 그 자체로 사용하였다.
단계 3: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3-히드록시-3-페닐프로필)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 및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10% MeOH-NH3 (9.5:0.5)-DCM 구배) 에 의한 후속 정제에 의해 실시예 116 을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0 g, 74%): 1H NMR (400 MHz, DMSO-d 6) δ 7.30-7.33 (m, 4H), 7.20-7.25 (m, 2H), 7.13 (s, 1H), 7.13 (d, J = 8.0 Hz, 1H), 7.08 (d, J = 8.0 Hz, 1H), 5.28 (d, J = 4.4 Hz, 1H), 4.62 (t, J = 7.2 Hz, 1H), 4.52-4.63 (m, 1H), 2.79-2.87 (m, 2H), 2.50-2.59 (m, 2H), 1.79-1.89 (m, 4H). 13C NMR (100 MHz, DMSO-d 6) δ 146.6, 145.7, 142.4, 128.6, 128.5, 127.4, 127.1, 126.2, 125.9, 123.4, 72.2, 70.3, 41.6, 37.1, 32.1. MS: 286 [M+1]+.
실시예 117
3-(3-(3-아미노프로필)페닐)-2,2-디메틸프로필 아세테이트의 제조
Figure pat00274
3-(3-(3-아미노프로필)페닐)-2,2-디메틸프로필 아세테이트를 반응식 19 에 제시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19
Figure pat00275
단계 1: 실시예 44 (반응을 켄칭시키기 위해 물 대신 포화 수성 염화암모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에서 사용된 방법방법에 따른 에틸 이소부티레이트 (93) 로의 3-브로모벤질브로마이드 (92) 의 알킬화 후 플래시 크로마토 크로마토그래피 (0→20% EtOAc/헥산 구배) 에 의해 에스테르 94 를 연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2.9 g, 87%): 1H NMR (400 MHz, CDCl3) δ 7.31 - 7.35 (m, 1H), 7.27 (t, J = 2.0 Hz, 1H), 7.11 (t, J = 7.6 Hz, 1H), 7.01-7.05 (m, 1H), 4.11 (q, J = 7.2 Hz, 2H), 2.80 (s, 2H), 1.23 (t, J = 7.2 Hz, 3H), 1.67 (s, 6H).
단계 2: DIBALH (THF 중 1.0 M 용액으로 8.8 ㎖, 8.8 mmol) 를 아르곤하에 0℃ 에서 톨루엔 중의 에스테르 94 (2.1 g, 7.36 mmol) 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1 시간 후, DIBALH (4.2 ㎖, 4.2 mmol) 의 제 2 분취액을 첨가하였다. 밤새 교반 후, 1M HCl 로 희석된 포화 수성 염화암모늄으로 반응을 켄칭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수합된 유기층을 1M HCl, 물, 포화 수성 중탄산나트륨 및 염수로 좀더 세정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알코올 95 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84 g, 정량): 1H NMR (400 MHz, CDCl3) δ 7.30-7.35 (m, 2H), 7.13 (t, J = 7.6 Hz, 1H), 7.06-7.10 (m, 1H), 3.29 (d, J = 4.8 Hz, 2H), 2.54 (s, 2H), 1.38-1.40 m, 1H), 0.87 (s, 6H).
단계 3: 트리-t-부틸 포스핀 (디옥산 중의 1M 용액으로 0.13 ㎖, 0.13 mmol) 의 용액을 무수 디옥산 (20 ㎖) 중의 비스-클로로-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 (49 mg, 0.07 mmol), 요오드화구리 (4.9 mg, 0.026 mmol), 디-이소프로필아민 (0.31 ㎖, 2.2 mmol), 알코올 95 (0.422 g, 1.73 mmol), 및 tert-부틸 프로프-2-이닐카르바메이트 (0.4 g, 2.6 mmol) 의 탈기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을 50℃ 로 밤새 가열하고, 여과하고,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4→60% EtOAc/헥산 구배) 에 의해 정제하여, 알킨 96 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62 g, 29%): 1H NMR (400 MHz, CDCl3) δ 7.23-7.27 (m, 1H), 7.17-7.23 (m, 2H), 7.09-7.13 (m, 1H), 4.74 (brs, 1H), 4.10-4.15 (m, 2H), 3.29 (s, 2H), 2.54 (s, 2H), 1.45 (s, 10H), 0.88 (s, 6H).
단계 4: 용매로서 n-부탄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알킨 96 의 환원 후 플래시 크로마토 크로마토그래피 (10→6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구배) 에 의해 알칸 97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 g, 63%): 1H NMR (400 MHz, CDCl3) δ 7.17 (t, J = 7.6 Hz, 1H), 6.95-7.02 (m, 3H), 4.53 (m, 1H), 3.27 (s, 2H), 3.05-3.15 (m, 2H), 2.60 (t, J = 7.2 Hz, 2H), 2.54 (s, 2H), 2.08 (s, 1H), 1.57-1.82 (m, 2H), 1.44 (s, 9H), 0.87 (s, 6H).
단계 5: HCl (에탄올 중의 6.95 M 용액으로 0.25 ㎖, 1.74 mmol) 을 에틸 아세테이트 (2 ㎖) 중의 알코올 97 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을 밤새 교반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포화 수성 중탄산나트륨으로부터 잔류물을 추출하였다. 수합된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5% (7 N 암모니아/메탄올)/ 에틸 아세테이트) 에 의해 정제하고, 실시예 117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35 g, %): 1H NMR (400 MHz, CDCl3) δ 7.16 (t, J = 8.0 Hz, 1H), 6.99-7.04 (m, 1H), 6.89-6.93 (m, 2H), 3.74 (s, 2H), 2.70 (t, J = 7.2 Hz, 2H), 2.61 (t, J = 8.0 Hz, 2H), 2.54 (s, 2H), 2.09 (s, 3H), 1.69-1.78 (m, 2H), 1.27 (brs, 2H), 0.89 (s, 6H). ESI MS m/z 264.3 [m + H]+
실시예 118
3-(3-(3-아미노프로필)페닐)-2,2-디메틸프로판-1-올의 제조
Figure pat00276
3-(3-(3-아미노프로필)페닐)-2,2-디메틸프로판-1-올을 반응식 20 에 제시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20
Figure pat00277
단계 1: 아세토니트릴 (5 ㎖) 중의 아릴 브로마이드 98 (0.63 g, 2.6 mmol) 의 용액에 알릴 프탈이미드 (0.58 g, 3.1 mmol), 트리-o-톨릴 포스핀 (0.079 g, 0.26 mmol), 및 팔라듐 아세테이트 (0.036 g, 0.16 mmol) 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배출시키고 아르곤으로 3 회 퍼지한 다음, 트리에틸아민 (0.51 ㎖, 3.65 mmol) 을 첨가하고, 배출-퍼지 과정을 3 회 반복하였다. 반응을 밤새 환류 가열한 다음, 수성 NH4OAc 로 희석하고 EtOAc 로 추출하였다. 수합된 유기층을 물, 수성 NH4OAc, 포화 수성 NaHCO3 및 염수로 세정한 다음, MgSO4 로 건조시키고, 여과 및 농축하였다. 잔류물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5→60% EtOAc/헥산 구배) 에 의해 알코올 99 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58 g, 64 %). 1H NMR (400 MHz, CDCl3) δ 7.80-7.88 (m, 2H), 7.66-7.72 (m, 2H), 7.10-7.22 (m, 3H), 7.0-7.04 (m, 1H), 6.62 (d, J = 16 Hz, 1H), 6.18-6.26 (m, 1H), 4.42 (dd, J = 1.6, 6.8 Hz, 2H), 3.27 (s, 2H), 2.52 (s, 2H), 1.59 (brs, 1H), 0.85 (s, 6H).
단계 2: 실시예 117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알켄 99 의 환원 후 플래시 크로마토 크로마토그래피 (20→5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구배) 에 의해, 알칸 100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79-7.85 (m, 2H), 7.66-7.72 (m, 2H), 7.15 (t, J = 7.6 Hz, 1H), 7.0-7.05 (m, 2H), 6.92-6.96 (m, 1H), 3.72 (t, J = 7.2 Hz, 2H), 3.29 (s, 2H), 2.66 (t, J = 7.2 Hz, 2H), 2.53 (s, 2H), 1.59-2.05 (m, 2H), 1.54 (s, 1H), 0.87 (s, 6H).
단계 3: 실시예 9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알칸 100 의 탈보호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10% (7N NH3/MeOH)/에틸 아세테이트) 구배) 에 의해, 실시예 118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68 g, 33%): 7.13-7.18 (m, 1H), 6.94-7.02 (m, 3H), 3.25 (s, 2H), 2.69 (t, J = 6.8 Hz, 2H), 2.61 (t, 7.6 Hz, 2H), 2.53 (s, 2H), 1.89 (brs, 3H), 1.75 (5 중항, J = 7.2 Hz, 2H), 0.85 (s, 6H).  ESI MS m/z 222.2 [m + H]+.
실시예 119
2-(3-(3-아미노프로필)페닐)데칸-2-올의 제조
Figure pat00278
2-(3-(3-아미노프로필)페닐)데칸-2-올을 반응식 21 에 제시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21
Figure pat00279
단계 1: 아르곤하에 -78℃ 에서 무수 THF (10 ㎖) 중의 1-(3-브로모페닐)에타논 (101) (2.0 ㎖, 15 mmol) 의 용액에 옥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를 첨가하였다. 반응을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두고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포화 수성 염화암모늄 내로 따르고, 2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수합된 유기층을 물, 포화 수성 중탄산나트륨 및 염수로 세정하고, MgSO4 로 건조시키고,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수산화벤질 102 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2.7 g, 57%): 1H NMR (400 MHz, CDCl3) δ 7.59 (t, 2.0 Hz, 1H), 7.30-7.37 (m, 2H), 7.19 (t, J = 8.0 Hz, 1H), 1.68-1.82 (m, 2H), 1.64 (brs, 1H), 1.52 (s, 3H), 1.18-1.30 (m, 11H), 1.0-1.16 (m, 1H), 0.85 (t, J = 7.2 Hz, 3H).
단계 2: 실시예 118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브로마이드 102 와 알릴 프탈이미드와의 헥 커플링 (Heck coupling) 후 크로마토그래피 (5→4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구배) 에 의해, 알켄 103 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67 g, 84%): 1H NMR (400 MHz, CDCl3) δ 7.80-7.88 (m, 2H), 7.66-7.74 (m, 2H), 7.39-7.42 (m, 1H), 7.20-7.28 (m, 3H), 6.63-6.69 (m, 1H), 6.26 (dt, J = 6.4, 15.6 Hz, 1H), 4.44 (dd, 1.2, 6.0 Hz, 2H), 1.70-1.80 (m, 2H), 1.62 (brs, 1H), 1.51 (s, 3H), 1.30-1.60 (m, 12 H), 0.84 (t, J = 3.2 Hz, 3H).
단계 3: 실시예 117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알켄 103 의 환원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4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구배) 에 의해, 알칸 104 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43 g, 65%): 1H NMR (400 MHz, CDCl3) δ 7.79-7.85 (m, 2H), 7.68-7.72 (m, 2H), 7.16-7.28 (m, 3H), 7.04-7.07 (m, 1H), 3.73 (t, J = 7.2 Hz, 2H), 2.69 (t, J = 8.0 Hz, 2H), 1.99-2.10 (m, 2H), 1.65-1.70 (m, 3H), 1.52 (s, 3H), 1.05-1.30 (m, 12), 0.83 (t, J = 7.2 Hz, 3H).
단계 4: 실시예 9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알칸 104 의 탈보호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10% (7N NH3/MeOH)/에틸 아세테이트) 구배에 의해, 실시예 119 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68 g, 25%): 1H NMR (400 MHz, CDCl3) δ 7.21-7.27 (m, 3H), 7.03-7.07 (m, 1H), 2.74 (t, J = 6.8 Hz, 2H), 2.66 (t, 8.0 Hz, 2H), 1.72-1.83 (m, 4H), 1.53 m, 6H), 1.06-1.30 (m, 12 H), 0.85 (t, J = 7.2 Hz, 3H). ESI MS m/z 292.4 [m + H]+, 274.4 [m + H - H2O].
실시예 120
2-(3-(3-아미노프로필)페닐)헥산-2-올의 제조
Figure pat00280
2-(3-(3-아미노프로필)페닐)헥산-2-올을 실시예 119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염화부틸마그네슘과 1-(3-브로모페닐)에타논과의 그리냐르 커플링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25%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구배) 에 의해, 2-(3-브로모페닐)헥산-2-올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99 g, 51%): 1H NMR (400 MHz, CDCl3) δ 7.59 (t, J = 2.0 Hz, 1H), 7.30-7.37 (m, 2H), 7.19 (t, J = 8.0 Hz, 1H), 1.70-1.84 (m, 2H), 1.52 (s, 3H), 1.64 (brs, 1H), 1.18 - 1.30 (m, 3H), 1.02-1.14 (m, 1H), 0.84 (t, J = 7.2 Hz, 3H).
단계 2: 2-(3-브로모페닐)헥산-2-올과 알릴 프탈이미드와의 헥 커플링 후, 크로마토그래피 (5→3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구배) 에 의해, (E)-2-(3-(3-(2-히드록시헥산-2-일)페닐)알릴)이소인돌린-1,3-디온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46 g, 47%): 1H NMR (400 MHz, CDCl3) δ 7.78-7.86 (m, 2H), 7.66-7.72 (m, 2H), 7.40 (s, 1H), 7.18-7.28 (m, 3H), 6.61-6.68 (m, 1H), 6.24 (dt, J = 6.4, 15.6 Hz, 1H), 4.42 (dd, J = 1.2, 6.4 Hz, 2H), 1.85 (brs, 1H), 1.54-1.56 (m, 2H), 1.50 (s, 3H), 1.15-1.30 (m, 3H), 1.00-1.10 (m, 1H), 0.75-0.85 (m, 3H).
단계 3: (E)-2-(3-(3-(2-히드록시헥산-2-일)페닐)알릴)이소인돌린-1,3-디온의 환원 후 플래시 크로마토 크로마토그래피 (0→4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구배) 에 의해, 2-(3-(3-(2-히드록시헥산-2-일)페닐)프로필)이소인돌린-1,3-디온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43 g, 65%): 1H NMR (400 MHz, CDCl3) δ 7.80-7.84 (m, 2H), 7.68-7.72 (m, 2h), 7.27 (brs, 1H), 7.16-7.23 (m, 2H), 7.04-7.08 (m, 1H), 3.73 (t, J = 7.2 Hz, 2H), 2.69 (t, J = 8.0 Hz, 2H), 2.03 (5 중항, J = 7.6 Hz, 2H), 1.54-1.56 (m, 2H), 1.65 (brs, 1H), 1.52 (s, 3H), 1.15-1.30 (m, 3H), 1.10-1.30 (m, 1H), 0.83 (t, J = 7.2 Hz, 3H).
단계 4: 2-(3-(3-(2-히드록시헥산-2-일)페닐)프로필)이소인돌린-1,3-디온의 탈보호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10% (7N NH3/MeOH)/에틸 아세테이트 구배) 에 의해, 실시예 120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57 g, 90%): 1H NMR (400 MHz, CDCl3) δ 7.20-7.27 (m, 3H), 7.03-7.07 (m, 1H), 2.73 (t, J = 7.2 Hz, 2H), 2.66 (t, J = 8.0 Hz, 2H), 1.70-1.84 (m, 4H), 1.53 (s, 3H), 1.42 (brs, 3H), 1.18-1.30 (m, 3H), 1.06-1.16 (m, 1H), 0.84 (t, J = 7.2 Hz, 3H). ESI MS m/z 236.2 [m + H]+, 218.2 [m + H - H2O].
실시예 121
1-(3-(3-아미노프로필)페닐)-2-메틸헥산-2-올의 제조
Figure pat00281
1-(3-(3-아미노프로필)페닐)-2-메틸헥산-2-올을 실시예 119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염화 n-부틸마그네슘과 1-(3-브로모페닐)프로판-2-온과의 그리냐르 커플링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25%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구배) 에 의해, 1-(3-브로모페닐)-2-메틸헥산-2-올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99 g, 51%): 1H NMR (400 MHz, CDCl3) δ 7.35-7.38 (m, 2H), 7.11-7.19 (m, 2H), 2.70 (dd, J = 13.4, 28.8 Hz, 2H), 1.24-1.48 (m, 7H), 1.13 (s, 3H), 0.91 (t, J = 7.2 Hz, 3H).
단계 2: 1-(3-브로모페닐)-2-메틸헥산-2-올과 알릴 프탈이미드와의 헥 커플링 후 크로마토그래피 (5→3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구배) 에 의해, (E)-2-(3-(3-(2-히드록시-2-메틸헥실)페닐)알릴)이소인돌린-1,3-디온을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55 g, 50%): 1H NMR (400 MHz, CDCl3) δ 7.80-7.88 (m, 2H), 7.68-7.74 (m, 2H), 7.16-7.26 (m, 3H), 7.04-7.08 (m, 1H), 6.60-6.66 (m, 1H), 6.24 (dt, J = 6.4, 16 Hz, 1H), 4.43 (dd, J = 1.2, 6.4 Hz, 2H), 2.69 (dd, J = 13.2, 28 Hz, 2H), 1.30-1.50 (m, 7H), 1.10 (s, 3H), 0.89 (t, J = 7.2 Hz, 3H).
단계 3: (E)-2-(3-(3-(2-히드록시-2-메틸헥실)페닐)알릴)이소인돌린-1,3-디온의 환원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4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구배) 에 의해, 2-(3-(3-(2-히드록시-2-메틸헥실)페닐)프로필)이소인돌린-1,3-디온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43 g, 65%): 1H NMR (400 MHz, CDCl3) δ 7.78-7.84 (m, 2H), 7.66-7.72 (m, 2H), 7.16 (t, J = 8.0 Hz, 1H), 7.04-7.08 (m, 2H), 6.95-6.99 (m, 1H), 3.72 (t, J = 7.2 Hz, 2H), 2.62-2.76 (m, 4H), 2.03 (5 중항, J = 7.6 Hz, 2H), 1.25-1.50 (m, 7H), 1.12 (s, 3H), 0.91 (t, J = 7.2 Hz, 3H).
단계 4: 2-(3-(3-(2-히드록시-2-메틸헥실)페닐)프로필)이소인돌린-1,3-디온의 탈보호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10% (7N NH3/MeOH)/에틸 아세테이트) 구배에 의해, 실시예 121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44 g, 85%): 1H NMR (400 MHz, CDCl3) δ 7.18-7.24 (m, 1H), 7.00-7.08 (m, 3H), 2.68-2.78 (m, 4H), 2.60-2.68 (m, 2H), 1.71-1.80 (m, 2H), 1.24-1.50 (m, 9H), 1.12 (s, 3H), 0.91 (t, J = 7.2 Hz, 3H). ESI MS m/z 250.3 [m + H]+, 232.3 [m + H - H2O]
실시예 122
3-(3-(4-메톡시부틸)페닐)프로판-1-아민의 제조
Figure pat00282
3-(3-(4-메톡시부틸)페닐)프로판-1-아민을 실시예 76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57 과 4-메톡시부트-1-인과의 소노가시라 반응에 의해, tert-부틸 3-(3-(4-메톡시부트-1-이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83 g, 77%): 1H NMR (400 MHz, CDCl3) δ 7.22-7.25 (m, 2H), 7.16-7.21 (m, 1H), 7.09 (d, J = 7.6 Hz, 1H), 4.51 (bs, 1H), 3.60 (t, J = 7.8 Hz, 2H), 3.41(s, 3H), 3.10-3.16 (m, 2H), 2.69 (t, J = 7.0 Hz, 2H), 2.59 (t, J = 7.6 Hz, 2H), 1.76-1.84 (m, 2H), 1.44 (s, 9H).
단계 2: tert-부틸 3-(3-(4-메톡시부트-1-이닐)페닐)프로필 카르바메이트의 환원에 의해, tert-부틸 3-(3-(4-메톡시부틸)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81 g, 83%): 1H NMR (400 MHz, CDCl3) δ 7.16-7.20 (m, 1H), 6.97-7.02 (m, 3H), 4.53 (bs, 1H), 3.39 (t, J = 6.4 Hz, 2H), 3.32 (s, 3H), 3.10-3.17 (m, 2H), 2.58-2.64 (m, 4H), 1.76-1.84 (m, 2H), 1.59-1.70 (m, 4H), 1.44 (s, 9H).
단계 3: tert-부틸 3-(3-(4-메톡시부틸)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의 BOC 탈보호에 의해, 실시예 122 히드로클로라이드를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615 g, 96%): 1H NMR (400 MHz, DMSO-d 6) δ 7.16-7.19 (m, 1H), 6.99-7.02 (m, 3H), 3.29 (t, J = 6.2 Hz, 2H), 3.18 (s, 3H), 2.76 (t, J = 7.6 Hz, 2H), 2.58 (t, J = 7.6 Hz, 2H), 2.54 (t, J = 7.4 Hz, 2H), 1.77-1.83 (m, 2H), 1.50-1.59 (m, 2H), 1.44-1.49 (m, 2H). 13C NMR (100 MHz, DMSO-d 6 ) δ 142.7, 141.3, 128.8, 128.7, 126.4, 126.1, 72.1, 58.3, 38.8, 35.3, 32.3, 29.2, 29.1, 28.1. MS: 222 [M+1] +.
실시예 123
3-(3-(2-아미노에톡시)페닐)-1-페닐프로판-1-올의 제조
Figure pat00283
3-(3-(2-아미노에톡시)페닐)-1-페닐프로판-1-올을 실시예 64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19 와 1-페닐프로프-2-인-1-올과의 소노가시라 반응에 의해, 2,2,2-트리플루오로-N-(2-(3-(3-히드록시-3-페닐프로프-1-이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55 g, 47%): 1H NMR (400 MHz, DMSO-d 6 ) δ 7.61 (d, J = 7.2 Hz, 1H), 7.30-7.41 (m, 5H), 7.13-7.16 (m, 1H), 7.06 (s, 1H), 6.89 (dd, J = 8.4, 2.4 Hz, 1H), 5.69 (d, J = 6.0 Hz, 1H ), 4.10 (t, J = 5.2 Hz, 2H), 3.77-3.81 (m, 2H), 2.26 (d, J = 6.0 Hz, 1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2-(3-(3-히드록시-3-페닐프로프-1-이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의 환원에 의해, 2,2,2-트리플루오로-N-(2-(3-(3-히드록시-3-페닐프로필)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0.45 g, 80%). MS: 366 [M-1].
단계 3: 2,2,2-트리플루오로-N-(2-(3-(3-히드록시-3-페닐프로필)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에 의해, 실시예 123 을 회백색 반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33 g, 73%): 1H NMR (400 MHz, DMSO-d 6 ) δ 7.31-7.35 (m, 4H), 7.20-7.27 (m, 1H), 7.14-7.19 (m, 1H), 6.71-6.75 (m, 3H ), 5.25 (d, J = 4.4 Hz, 1H), 4.49-4.54 (m, 1H), 3.87 (t, J = 5.8 Hz, 2H), 2.84 (t, J = 5.8 Hz, 2H), 2.50-2.66 (m, 2H), 1.820-1.90 (m, 2H), 1.52-1.60 (m, 2H). 13C NMR (100 MHz, DMSO- d 6 ) δ 159.2, 146.6, 144.1, 129.7, 128.5, 127.1, 126.3, 120.9, 114.9, 112.1, 72.1, 70.4, 41.5, 41.4, 40.6, 32.1. MS: 272 [M+1]+
실시예 124
3-아미노-1-(3-(3-히드록시-3-페닐프로필)페닐)프로판-1-올의 제조
Figure pat00284
3-아미노-1-(3-(3-히드록시-3-페닐프로필)페닐)프로판-1-올을 실시예 19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43 과 1-페닐프로프-2-인-1-올과의 소노가시라 반응에 의해,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3-히드록시-3-페닐프로프-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408 g, 80%). 이 화합물을 다음 변형에 그 자체로 사용하였다.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3-히드록시-3-페닐프로프-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환원에 의해,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3-히드록시-3-페닐프로필)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65 g, 91%). 이 화합물을 다음 변형에 그 자체로 사용하였다.
단계 3: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3-히드록시-3-페닐프로필)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 및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10% MeOH-NH3 (9.5:0.5)-DCM 구배) 에 의한 후속 정제에 의해, 실시예 124 를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0 g, 74%): 1H NMR (400 MHz, DMSO-d 6) δ 7.30-7.33 (m, 4H), 7.20-7.25 (m, 2H), 7.13 (s, 1H), 7.13 (d, J = 8.0 Hz, 1H), 7.08 (d, J = 8.0 Hz, 1H), 5.28 (d, J = 4.4 Hz, 1H), 4.62 (t, J = 7.2 Hz, 1H), 4.52-4.63 (m, 1H), 2.79-2.87 (m, 2H), 2.50-2.59 (m, 2H), 1.79-1.89 (m, 4H). 13C NMR (100 MHz, DMSO-d 6) δ 146.6, 145.7, 142.4, 128.6, 128.5, 127.4, 127.1, 126.2, 125.9, 123.4, 72.2, 70.3, 41.6, 37.1, 32.1. MS: 286 [M+1]+.
실시예 125
3-(3-(2-아미노에톡시)페닐)프로판-1-올의 제조
Figure pat00285
3-(3-(2-아미노에톡시)페닐)프로판-1-올을 실시예 64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19 와 프로파르길 알코올과의 소노가시라 반응에 의해, 2,2,2-트리플루오로-N-(2-(3-(3-히드록시프로프-1-이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를 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0 g, 43%). 미정제 물질을 다음 단계에서 직접적으로 이용하였다.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2-(3-(3-히드록시프로프-1-이닐)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의 환원에 의해, 2,2,2-트리플루오로-N-(2-(3-(3-히드록시프로필) 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563 g, 91%). MS: 290 [M-1].
단계 3: 2,2,2-트리플루오로-N-(2-(3-(3-히드록시프로필)페녹시)에틸)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에 의해, 실시예 125 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1 g, 56%): 1H NMR (400 MHz, DMSO-d 6 ) δ 7.14-7.19 (m, 1H), 6.72-6.77 (m, 3H), 3.94 (t, J = 5.6 Hz, 2H), 3.38 (t, J = 6.4 Hz, 2H), 2.91 (t, J = 5.6 Hz, 2H), 2.55 (t, J = 7.8 Hz, 2H), 1.64-1.72 (m, 2H). 13C NMR (100 MHz, DMSO-d 6 ) δ 158.5, 143.8, 129.2, 120.7, 114.6, 111.6, 68.3, 60.1, 40.1, 34.2, 31.7. MS: 210 [M+1]+.
실시예 126
5-(3-(3-아미노프로필)페닐)-N,N-디메틸펜탄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286
5-(3-(3-아미노프로필)페닐)-N,N-디메틸펜탄아미드를 실시예 76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57N,N-디메틸펜트-4-인아미드와의 소노가시라 커플링에 의해, tert-부틸 3-(3-(5-(메틸아미노)-5-옥소펜트-1-이닐)페닐)프로필 카르바메이트를 산출하였다. 수율 (1.10 g, 미정제).
단계 2: tert-부틸 3-(3-(5-(디메틸아미노)-5-옥소펜트-1-이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의 환원에 의해, tert-부틸 3-(3-(5-(디메틸아미노)-5-옥소펜틸)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 g, 96%): 1H NMR (400 MHz, CDCl3) δ 7.15-7.20 (m, 1H), 6.97-7.01 (m, 3H), 4.59 (bs, 1H), 3.10-3.17 (m, 2H), 2.98 (s, 3H), 2.88 (s, 3H), 2.58-2.64 (m, 4H), 2.32 (t, J = 6.6 Hz, 2H), 1.52-1.78 (m, 6H), 1.44 (s, 9H).
단계 3: tert-부틸 3-(3-(5-(디메틸아미노)-5-옥소펜틸)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의 BOC 탈보호에 의해, 5-(3-(3-아미노프로필)페닐)-N,N-디메틸 펜탄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산출하였다. 농축 암모니아로의 중화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10%) MeOH:DCM 구배) 에 의한 정제에 의해, 실시예 126 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9 g, 66%): 1H NMR (400 MHz, DMSO-d 6) δ 7.13-7.17 (m, 1H), 6.96-6.99 (m, 3H), 2.91 (s, 3H), 2.77 (s, 3H), 2.50-2.56 (m, 6H), 2.26 (t, J = 7.2 Hz, 2H), 1.60-1.66 (m, 6H), 1.43-1.59 (m, 4H). 13C NMR (100 MHz, DMSO-d 6 ) δ 172.7, 142.5, 128.7, 128.6, 126.0, 37.2, 35.4, 35.2, 33.0, 32.6, 31.1, 24.8. MS: 263 [M+1] +.
실시예 127
4-(3-(4-아미노부틸)페네틸)헵탄-4-올의 제조
Figure pat00287
4-(3-(4-아미노부틸)페네틸)헵탄-4-올을 반응식 22 에 제시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22
Figure pat00288
단계 1: 반응 혼합물을 90℃ 에서 18 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3-테트라히드로피라닐브로모페놀과 3-부틴-1-올의 소노가시라 커플링을 수행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정제 (30% → 100% EtOAc-헥산 구배) 에 의해, 알코올 105 를 오렌지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2.46 g, 85%); 1H NMR (400 MHz, DMSO-d 6) δ 7.22 (t, J = 8.0 Hz, 1H), 6.93-7.01 (m, 3H), 5.45 (t, J = 3.2 Hz, 1H), 4.86 (t, J = 5.6 Hz, 1H), 3.66-3.75 (m, 1H), 3.48-3.58 (m, 3H), 2.51 (t, J = 6.4 Hz, 2H), 1.64-1.90 (m, 3H), 1.44-1.64 (m, 3H).
단계 2: 디에틸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1.195 g, 6.86 mmol) 를 아르곤 하에서 무수 THF 중의 알코올 105 (39 g, 5.64 mmol), 프탈이미드 (0.90 g, 6.12 mmol) 및 트리페닐포스핀 (1.64 g, 6.25 mmol) 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0 분 동안 교반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 4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구배) 에 의한 정제에 의해, 프탈이미드 106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77 g, 84%); 1H NMR (400 MHz, CDCl3) δ 7.82-7.88 (m, 2H), 7.68-7.73 (m, 2H), 7.14 (t, J = 8.0 Hz, 1H), 7.02-7.04 (m, 1H), 6.92-6.97 (m, 2H), 5.36 (t, J = 3.1 Hz, 1H), 3.95 (t, J = 7.2 Hz, 2H), 3.87 (ddd, J = 3.13, 9.6, 14.5 Hz, 1H), 3.58 (dtd, J = 1.2, 4.1, 11.2 Hz, 1H), 2.80 (t, J = 7.2Hz, 2H), 1.92-2.05 (m, 1H), 1.78-1.85 (m, 2H), 1.52-1.73 (m, 3H)
단계 3. EtOH (abs, 50 ㎖) 중의 부티닐프탈이미드 106 (1.00 g, 2.66 mmol) 의 용액을, 아르곤을 3 분 동안 버블링시켜 탈기시켰다. 카본 상의 팔라듐 (10%, 0.102 g) 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이것을 아르곤을 3 초 동안 버블링시킨 다음, 진공/H2 를 3 회 적용시켜 탈기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수소 분위기하에서 45 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다음 단계에 직접 사용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16 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로의 탈보호에 의해, 4-(3-(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옥시)페닐)부트-3-인-1-아민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고, 이것을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반응을 THF 에서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9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4-(3-(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옥시)페닐)부트-3-인-1-아민을 에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로 보호하여, 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107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72 g, 3 단계 후 78%); 1H NMR (400 MHz, DMSO-d 6) δ 9.37 (br.t, 1H), 7.12-7.18 (m, 1H), 6.75-6.83 (m 3H), 5.40 (t, J = 3.2 Hz, 1H), 3.69-3.77 (m, 1H), 3.47-3.54 (m, 1H), 3.17 (q, J = 6.4 Hz, 2H), 2.52 (t, J = 7.2 Hz, 2H), 1.63 -1.90 (m, 3H), 1.40-1.62 (m, 7H).
단계 4. THF:H2O (3:1, 20 ㎖) 중의 107 (0.72 g, 2.08 mmol) 과 p-톨루엔술폰산 모노히드레이트 (0.366 g) 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3.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NaHCO3-염수 수용액과 EtOAc 을 첨가하여 분액하였다. 수성층을 EtOAc 로 추출하였다. 수합된 유기층을 염수로 세정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 50% EtOAc-헥산 구배) 에 의한 정제에 의해, 2,2,2-트리플루오로-N-(4-(3-히드록시페닐)부틸)아세트아미드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438 g, 96%).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무수물 (0.32 ㎖, 1.90 mmol) 의 용액을 무수 CH2Cl2 중의 0℃, 아르곤하에서 2,2,2-트리플루오로-N-(4-(3-히드록시페닐)부틸)아세트아미드 (0.438 g, 1.68 mmol) 와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5 ㎖, 2.87 mmol) 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15 분 동안 교반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EtOAc 를 잔류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MgSO4 로 건조시키고, 여과액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미정제 트리플레이트 108 을 연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고, 이것을 부가적인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수율 (0.683 g, 정량); 1H NMR (400 MHz, DMSO-d 6) δ 9.38 (brt, 1H), 7.45 (t, J = 8.0 Hz, 1H), 7.24-7.34 (m, 3H), 3.17 (q, 6.4 Hz, 2H), 2.64 (t, J = 7.2 Hz, 2H), 1.40-1.60 (m, 4H).
단계 5. 반응을 15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트리플레이트 108 과 4-에티닐헵탄-4-올과의 소노가시라 커플링 후 플래시 크로마토 크로마토그래피 정제 (5% → 40% EtOAc-헥산 구배) 에 의해, 알킨올 109 를 연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27 g, 51%); 1H NMR (400 MHz, DMSO-d 6) δ 9.38 (brt, 1H), 7.20-7.34 (m, 1H), 7.13-7.18 (m, 2H), 5.10 (s, 1H), 3.17 (q, J = 6.4 Hz, 1H), 2.54 (t, J = 7.2 Hz, 2H), 1.38-1.62 (m, 12H), 0.88 (t, J = 7.6 Hz, 6H).
단계 6. 반응 혼합물을 50℃ 에서 3.5 시간 동안 교반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9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109 의 탈보호 후 플래시 크로마토 크로마토그래피 (10% - 100% 7N NH3/MeOH/CH2Cl2 -CH2Cl2) 에 의한 정제에 의해, 아민 110 을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75 g, 71%); 1H NMR (400 MHz, CD3OD) δ 7.12-7.24 (m, 4H), 2.46-2.66 (m, 4H), 1.42-1.73 (m, 10H), 1.43-1.42 (m, 2H), 0.97 (t, J = 7.2 Hz, 6H); 13C NMR (100 MHZ, CD3OD), δ 142.8, 131.3, 128.8, 128.3, 128.2, 123.6, 91.9, 83.9, 70.9, 44.5, 41.2, 35.2, 32.2, 28.6, 17.6, 13.6; RP-HPLC tR = 7.06 분, 92.5% (AUC); LC-MS m/z = 288.25 [M+H]+.
단계 7. EtOAc (5 ㎖) 중의 알킨 110 (0.0446 g, 0.155 mmol) 의 용액을 진공/아르곤을 2x 적용하여 탈기시켰다. 그 다음 Pd/C (10%, 0.0166 g) 를 진공/H2 를 2x 적용함으로써 탈기된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여과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정제 (10% → 50% 의, 20% 7N NH3/MeOH/CH2Cl2 -CH2Cl2 의 구배) 에 의해, 실시예 127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321 g, 71%); 1H NMR (400 MHz, CD3OD) δ 7.13 (t, J = 7.6 Hz, 1H), 6.95-7.01 (m, 3H), 2.52-2.67 (m, 6H), 1.58-1.69 (m, 4H), 1.41-1.53 (m, 6H), 1.30-1.40 (m, 4H), 0.93 (t, J = 7.2 Hz, 6H); RP-HPLC (방법 2) tR = 7.06 분, 87.4% (AUC) ; LC-MS m/z = 288.25 [M+H]+.
실시예 128
(1S,2S)-3-아미노-1-(3-(2-(1-히드록시시클로헥실)에틸)페닐)프로판-1,2-디올의 제조
Figure pat00289
(1S,2S)-3-아미노-1-(3-(2-(1-히드록시시클로헥실)에틸)페닐)프로판-1,2-디올을 반응식 23 에 제시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23
Figure pat00290
단계 1: 무수 디클로로메탄 (100 ㎖) 중의 3-브로모벤즈알데하이드 (30) (3.9 ㎖, 33.30 mmol) 의 빙냉 용액에 (카르브에톡시메틸렌)트리페닐포스포란 (11.65 g, 33.44 mmol) 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5 분 동안 교반한 다음, 실온에서 30 분 이상 가온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5% EtOAc/헥산에 재현탁하고, 10 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다음 여과하였다. 여과 케이크를 헥산으로 세정하고, 여과액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헥산 → 10% EtOAc/헥산 구배) 에 의한 잔류물의 정제에 의해, 알릴 에스테르 111 을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7.63 g, 90%). 1H NMR (400 MHz, DMSO-d 6) δ 7.95 (t, J = 1.8 Hz, 1H), 7.70-7.72 (m, 1H), 7.59 (d, J = 16.4 Hz, 1H), 7.58 (ddd, J = 1.0, 2.0, 8.0 Hz, 1H), 7.35 (t, J = 7.8 Hz, 1H), 6.69 (d, J = 16.0 Hz, 1H), 4.17 (q, J = 7.2 Hz, 2H), 1.23 (t, J = 7.0 Hz, 3H).
단계 2. 디이소부틸 알루미늄 히드라이드 (DIBAL-H, CH2Cl2 1.0 M 용액으로 60 ㎖, 60.0 mmol) 의 용액을 디에틸 에테르 (100 ㎖) 중의 에스테르 111 (0.63 g, 29.9 mmol) 의 빙냉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고, 이 후 NaHSO4 의 수용액 (2M, 42 ㎖) 을 첨가하고, 수득된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키면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된 반응 혼합물에 무수 MgSO4 를 첨가하고, 30 분 후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 케이크를 EtOAc 로 충분히 세정하였다. 여과액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알코올 112 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6.42 g, 정량). 1H NMR (400 MHz, DMSO-d 6) δ 7.60 (t, J = 1.8 Hz, 1H), 7.40 (dt, J = 1.2, 7.6 Hz, 1H), 7.38 (ddd, J = 1.0, 2.0, 8.0 Hz, 1H), 7.25 (t, J = 7.6 Hz, 1H), 6.48-6.54 (m, 1H), 6.43 (dt, J = 4.3, 16.0 Hz, 1H), 4.88 (t, J = 5.5 Hz, 1H), 4.08-4.12 (m, 2H).
단계 3. 아세트산 무수물 (1.2 ㎖, 12.7 mmol) 을 무수 CH2Cl2 중의 알코올 112 (2.535 g, 11.90 mmol), Et3N (2.0 ㎖, 14.3 mmol) 및 DMAP (0.141 g, 1.15 mmol) 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5% → 20% EtOAc/헥산 구배) 에 의한 정제에 의해, 아세테이트 113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2.71 g, 89%). 1H NMR (400 MHz, DMSO-d 6) δ 7.66 (t, J = 1.8 Hz, 1H), 7.40-7.46 (m, 2H), 7.27 (t, J = 7.8 Hz, 1H), 6.58-6.65 (m, 1H), 6.42 (dt, J = 5.9, 16.0 Hz, 1H), 4.66 (dd, J = 1.4, 5.9 Hz, 1H), 2.04 (s, 3H).
단계 4. 알릴 아세테이트 113 (0.71 g, 10.6 mmol), 나트륨 아지드 (0.787 g, 12.1 mmol), 물 (20 ㎖) 및 THF (50 ㎖) 의 혼합물을, 아르곤을 3 분 동안 버블링시켜 탈기시켰다.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토닐-비스-팔라듐-클로로포름 부가생성물 (0.158 g, 0.17 mmol) 및 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0.1773 g, 0.32 mmol) 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진공/아르곤을 3x 적용하여 공기를 배출시킨 다음, 반응 혼합물을 아르곤하에 60℃ 에서 4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물을 잔류물에 첨가하고, 생성물을 헥산으로 2 회 추출하였다. 수합된 헥산층을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MgSO4 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5% → 30% EtOAc/헥산 구배) 에 의한 잔류물의 정제에 의해, 알릴 아지드 114 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90 g, 75%). 1H NMR (400 MHz, DMSO-d 6) δ 7.69 (t, J = 1.8 Hz, 1H), 7.42-7.48 (m, 2H), 7.28 (t, J = 7.8 Hz, 1H), 6.62-6.68 (m, 1H), 6.45 (dt, J = 6.3, 15.8 Hz, 1H), 4.02 (dd, J = 1.2, 6.3 Hz, 1H).
단계 5. 100 ㎖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H2O (19 ㎖) 및 tert-BuOH (19 ㎖), 이어서 AD-믹스-β (5.61 g) 를 넣었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0 분 동안 교반하고, 이 후 MeSO2NH2 (0.36 g, 3.79 mmol) 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로 냉각하고, 알릴 아지드 114 (0.90 g, 3.78 mmol) 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Na2S2O3 (6.30 g)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추가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 후 EtOAc (50 ㎖) 및 이어서 NaCl (50 ㎖) 을 첨가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EtOAc (3x25 ㎖) 로 추출하였다. 수합된 유기층을 염수 (50 ㎖) 로 세정하고, 무수 MgSO4 로 건조키시고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10% → 90% EtOAc/헥산 구배) 에 의해, 정제하여 아지도 디올 115 를 걸쭉한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02 g, 99%). 1H NMR (400 MHz, DMSO-d 6) δ 7.50 (t, J = 1.6 Hz, 1H), 7.40 (ddd, J = 1.2, 2.0, 7.6 Hz, 1H), 7.29-7.33 (m, 1H), 7.25 (t, J = 7.6 Hz, 1H), 5.52 (d, J = 5.1 Hz, 1H), 5.26 (d, J = 5.9 Hz, 1H), 4.51 (t, J = 4.7 Hz, 1H), 3.15 (dd, J = 3.3, 12.5 Hz, 1H), 3.02 (dd, J = 8.0, 12.7 Hz, 1H).
단계 6. 아지도 디올 115 (0.826 g, 3.037 mmol), 트리페닐포스핀 (0.84 g, 3.20 mmol), THF (10 ㎖), 물 (0.2 ㎖) 및 에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1 ㎖) 의 혼합물을 50℃ 에서 5 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20% → 90% EtOAc/헥산 구배) 에 의한 잔류물의 정제에 의해, 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116 을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73 g, 70%). 1H NMR (400 MHz, DMSO-d 6) δ 9.21 (t, J = 5.3 Hz, 1H), 7.52 (t, J = 1.6 Hz, 1H), 7.40 (ddd, J = 1.2, 2.0, 7.8 Hz, 1H), 7.30-7.33 (m, 1H), 7.25 (t, J = 7.6 Hz, 1H), 5.48 (d, J = 5.1 Hz, 1H), 5.00 (d, J = 5.9 Hz, 1H), 4.51 (t, J = 4.7 Hz, 1H), 3.70-3.76 (m, 1H), 3.24 (dt, J = 4.9, 13.3 Hz, 1H), 2.98 (ddd, J = 5.7, 8.8, 13.3 Hz, 1H).
단계 7. 알켄 116 (0.116 g, 0.922 mmol), 브로마이드 117 (0.242 g, 0.708 mmol), 테트라부틸암모늄 아세테이트 (1.19 g) 및 Pd(OAc)2 (0.029 g, 0.127 mmol) 의 혼합물을 아르곤하에 90℃ 에서 5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물 및 염수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이것을 EtOAc 로 3 회 추출하였다. 수합된 유기층을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MgSO4 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20% → 70% EtOAc/헥산 구배) 에 의한 정제에 의해, 알켄 118 을 백색 포말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128 g, 78%). 1H NMR (400 MHz, DMSO-d 6) δ 9.19 (t, J = 5.3 Hz, 1H), 7.35-7.37 (m, 1H), 7.20-7.26 (m, 2H), 7.13-7.18 (m, 1H), 6.51 (d, J = 16.2 Hz, 1H), 6.33 (d, J = 16.0 Hz, 1H), 5.33 (d, J = 4.9 Hz, 1H), 4.94 (d, J = 5.7 Hz, 1H), 4.46 (t, J = 4.8 Hz, 1H), 4.41 (s, 1H), 3.70-3.76 (m, 1H), 3.18 (dt, J = 4.5, 13.3 Hz, 1H), 2.99 (ddd, J = 6.1, 8.8, 14.3 Hz, 1H), 1.54-1.66 (m, 2H), 1.36-1.54 (m, 7H), 1.18-1.26 (m, 1H).
단계 8. N-((2S,3S)-2,3-디히드록시-3-(3-((E)-2-(1-히드록시시클로헥실)비닐)페닐)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118) 을, 3 당량의 K2CO3 을 MeOH:H2O (2:1) 혼합물에 사용하고 반응 혼합물을 50℃ 에서 5 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9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탈보호하였다. 반응 후,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EtOAc/EtOH 에 재현탁하고 EtOAc/헥산 중의 50% 7N NH3/MeOH 의 구배를 사용하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알켄 119 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18 g, 74%). 1H NMR (400 MHz, MeOH-d 4) δ 7.42-7.44 (m, 1H), 7.30 (dt, J = 1.6, 7.6 Hz, 1H), 7.27 (t, J = 7.4 Hz, 1H), 7.21 (dt, J = 1.6, 7.2 Hz, 1H), 6.60 (d, J = 16.0 Hz, 1H), 6.36 (d, J = 16.0 Hz, 1H), 4.50 (d, J = 5.9 Hz, 1H), 3.62-2.70 (m, 1H), 2.51-2.58 (m, 2H), 1.66-1.77 (m, 2H), 1.48-1.66 (m, 7H), 1.28-1.40 (m, 1H); 13C NMR (100 MHz, MeOH-d 4 ) δ 142.3, 137.9, 137.7, 128.3, 126.7, 125.7, 125.6, 124.6, 76.0, 75.8, 71.2, 43.6, 37.5, 25.5, 21.9, 20.9; RP-HPLC (방법 1) t R = 4.73 분, 97% (AUC); ESI MS m/z 292.3 [M+H]+.
단계 9. EtOH (abs, 8 ㎖) 중의 알켄 119 (0.0612 g, 0.21 mmol) 의 용액을, 진공/아르곤을 2x 적용하여 탈기시켰다. 그 다음 Pd/C (10%, 0.0139 g) 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진공/H2 2x 를 적용하여 탈기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실시예 128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454 g, 74%); 1H NMR (400 MHz, CD3OD) δ 7.20-7.25 (m, 2H), 7.13-7.17 (m, 1H), 7.09-7.12 (m, 1H), 4.45 (d, J = 6.3 Hz, 1H), 3.64 (q, J = 6.1 Hz, 1H), 2.64-2.69 (m, 2H), 2.52 (d, J = 5.9 Hz, 2H), 1.40-1.73 (m, 12H), 1.26-1.38 (m, 2H); RP-HPLC (방법 2) t R = 5.13 분, 92.2% (AUC); ESI MS m/z = 294.46 [M+H]+.
실시예 129
(1R,2R)-3-아미노-1-(3-(2-(1-히드록시시클로헥실)에틸)페닐)프로판-1,2-디올의 제조
Figure pat00291
(1R,2R)-3-아미노-1-(3-(2-(1-히드록시시클로헥실)에틸)페닐)프로판-1,2-디올을 실시예 128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AD-믹스-α 를 사용하여 알릴 아지드 114 의 디히드록실화를 수행하여 (1R,2R)-3-아지도-1-(3-브로모페닐)프로판-1,2-디올을 산출하였다. 수율 (0.966 g, 96%). 1H NMR (400 MHz, DMSO-d 6) δ 7.50 (t, J = 1.6 Hz, 1H), 7.40 (ddd, J = 1.2, 2.0, 7.6 Hz, 1H), 7.29-7.33 (m, 1H), 7.25 (t, J = 7.6 Hz, 1H), 5.52 (d, J = 5.1 Hz, 1H), 5.26 (d, J = 5.9 Hz, 1H), 4.51 (t, J = 4.7 Hz, 1H), 3.15 (dd, J = 3.3, 12.5 Hz, 1H), 3.02 (dd, J = 8.0, 12.7 Hz, 1H).
단계 2. (1R,2R)-3-아지도-1-(3-브로모페닐)프로판-1,2-디올의 환원 및 보호에 의해, N-((2R,3R)-3-(3-브로모페닐)-2,3-디히드록시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66 g, 69%). 1H NMR (400 MHz, DMSO-d 6) δ 9.21 (t, J = 5.3 Hz, 1H), 7.52 (t, J = 1.6 Hz, 1H), 7.40 (ddd, J = 1.2, 2.0, 7.8 Hz, 1H), 7.30-7.33 (m, 1H), 7.25 (t, J = 7.6 Hz, 1H), 5.48 (d, J = 5.1 Hz, 1H), 5.00 (d, J = 5.9 Hz, 1H), 4.51 (t, J = 4.7 Hz, 1H), 3.70-3.76 (m, 1H), 3.24 (dt, J = 4.9, 13.3 Hz, 1H), 2.98 (ddd, J = 5.7, 8.8, 13.3 Hz, 1H).
단계 3. N-((2R,3R)-3-(3-브로모페닐)-2,3-디히드록시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와 올레핀 117 과의 커플링에 의해, N-((2R,3R)-2,3-디히드록시-3-(3-((E)-2-(1-히드록시시클로헥실)비닐)페닐)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갈색빛 포말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958 g, 82%). 1H NMR (400 MHz, DMSO-d 6) δ 9.19 (t, J = 5.3 Hz, 1H), 7.35-7.37 (m, 1H), 7.20-7.26 (m, 2H), 7.13-7.18 (m, 1H), 6.51 (d, J = 16.2 Hz, 1H), 6.33 (d, J = 16.0 Hz, 1H), 5.33 (d, J = 4.9 Hz, 1H), 4.94 (d, J = 5.7 Hz, 1H), 4.46 (t, J = 4.8 Hz, 1H), 4.41 (s, 1H), 3.70-3.76 (m, 1H), 3.18 (dt, J = 4.5, 13.3 Hz, 1H), 2.99 (ddd, J = 6.1, 8.8, 14.3 Hz, 1H), 1.54-1.66 (m, 2H), 1.36-1.54 (m, 7H), 1.18-1.26 (m, 1H).
단계 4. N-((2R,3R)-2,3-디히드록시-3-(3-((E)-2-(1-히드록시시클로헥실)비닐)페닐)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에 의해, (1R,2R)-3-아미노-1-(3-((E)-2-(1-히드록시시클로헥실)비닐)페닐)프로판-1,2-디올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6 g, 정량). 1H NMR (400 MHz, MeOH-d 4) δ 7.42-7.44 (m, 1H), 7.30 (dt, J = 1.6, 7.6 Hz, 1H), 7.27 (t, J = 7.4 Hz, 1H), 7.21 (dt, J = 1.6, 7.2 Hz, 1H), 6.60 (d, J = 16.0 Hz, 1H), 6.36 (d, J = 16.0 Hz, 1H), 4.50 (d, J = 5.9 Hz, 1H), 3.62-2.70 (m, 1H), 2.51-2.58 (m, 2H), 1.66-1.77 (m, 2H), 1.48-1.66 (m, 7H), 1.28-1.40 (m, 1H). 13C NMR (100 MHz, MeOH-d 4 ) δ 142.3, 137.9, 137.7, 128.3, 126.7, 125.7, 125.6, 124.6, 76.0, 75.8, 71.2, 43.6, 37.5, 25.5, 21.9, 20.9. ESI MS m/z 292.3 [M+H]+; HPLC (방법 1) 96% (AUC), t R = 4.73 분.
단계 5. (1R,2R)-3-아미노-1-(3-((E)-2-(1-히드록시시클로헥실)비닐)페닐)프로판-1,2-디올의 수소화에 의해, 실시예 129 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380 g, 77%); 1H NMR (400 MHz, CD3OD) δ 7.20-7.25 (m, 2H), 7.13-7.17 (m, 1H), 7.09-7.12 (m, 1H), 4.45 (d, J = 6.3 Hz, 1H), 3.64 (q, J = 6.1 Hz, 1H), 2.64-2.69 (m, 2H), 2.52 (d, J = 5.9 Hz, 2H), 1.40-1.73 (m, 12H), 1.26-1.38 (m, 2H); RP-HPLC (방법 2) t R = 5.17 분, 94.4% (AUC); ESI MS m/z = 294.46 [M+H]+.
실시예 130
(1S,2R)-3-아미노-1-(3-(2-(1-히드록시시클로헥실)에틸)페닐)프로판-1,2-디올의 제조
Figure pat00292
(1S,2R)-3-아미노-1-(3-(2-(1-히드록시시클로헥실)에틸)페닐)프로판-1,2-디올을 반응식 24 에 제시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24
Figure pat00293
단계 1: 비닐 마그네슘 브로마이드 (THF 중의 1.0 M 용액으로 30.0 ㎖, 30 mmol) 의 신선한 용액을 아르곤하에서 무수 디에틸 에테르 (50 ㎖) 중의 3-브로모벤즈알데하이드 (30) (3.2 ㎖, 27.3 mmol) 의 빙냉 용액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20 분 동안 교반하고, 이 후 NH4Cl (25%, 50 ㎖) 의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헥산으로 추출하였다. 수합된 유기층을 염수로 세정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5% → 300% EtOAc/헥산 구배) 에 의한 정제에 의해, 알릴 알코올 120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4.22 g, 73%). 1H NMR (400 MHz, DMSO-d 6) δ 7.47-7.49 (m, 1H), 7.40 (dt, J = 1.8, 7.4 Hz, 1H), 7.24-7.32 (m, 2H), 5.85-5.94 (m, 1H), 5.61 (d, J = 4.5 Hz, 1H), 5.24 (dt, J = 1.8, 17.0 Hz, 1H), 5.00-5.07 (m, 2H).
단계 2. 무수 CH2Cl2 (110 ㎖) 중의 분말화 4Å 분자 체 (6.4g) 및 티탄 테트라이소프로폭시드 (5.5 ㎖, 18.8 mmol) 의 냉각 (-23℃) 혼합물에 비활성 분위기하에서 L-(+)-디이소프로필 타르트레이트 (DIPT, 4.7 ㎖, 22.49 mmol) 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 에서 교반하고, 무수 CH2Cl2 (80 ㎖) 중의 알릴 알코올 120 (4.0 g, 18.8 mmol) 의 용액을 5 분 이상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 에서 30 분 동안 교반한 후, tert-부틸 히드로퍼옥시드 용액 (노난 중 5.0-6.0 M, 2 ㎖, ca 10.0 mmol) 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 에서 7.5 시간 동안 교반하고, -20℃ 에서 밤새 유지하고, -20℃ 에서 추가 7 시간 동안 교반하고 -20℃ 에서 방치한 다음, -20℃ 에서 43 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L-타르타르산 (10%, 110 ㎖) 의 수용액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10 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다음, Na2SO4 의 포화 수용액 (20 ㎖) 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강하게 교반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층을 디에틸 에테르로, 이어서 EtOAc 로 추출하였다. 수합된 유기층을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NaSO4 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30% → 70% EtOAc/헥산 구배) 에 의해, 정제하여 에폭시드 121, DIPT (1:1 몰 비) 및 미반응 120 의 혼합물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5% → 10% EtOAc/CH2Cl2 구배) 에 의한 재-정제에 의해, 에폭시드 121 및 DIPT (1:0.85 몰 비) 의 혼합물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고, 이것을 부가적인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수율 (3.44 g, 85.6%); 1H NMR (400 MHz, DMSO-d 6) δ 7.54 (t, J = 1.6 Hz, 1H), 7.45 (ddd, J = 1.2, 2.0, 7.8 Hz, 1H), 7.34-7.38 (m, 1H), 7.29 (t, J = 7.6 Hz, 1H), 5.68 (d, J = 4.5 Hz, 1H), 4.41 (t, J = 4.7 Hz, 1H), 2.99-3.03 (m, 1H), 2.69 (ABd, J = 5.5, 3.9 Hz, 1H), 2.63 (ABd, J = 5.3, 2.7 Hz, 1H).
단계 3. 미정제 에폭시드 121 (0.47 g, 0.803 mmol), 수산화암모늄 (25%, 5 ㎖) 및 NH3/MeOH (7N, 5 ㎖) 의 용액을 실온에서 20 시간 동안 압력병에서 교반한 다음,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MTBE:MeOH (1:1, 10 ㎖) 에 용해하고, 에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3.0 ㎖) 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30% → 60% EtOAc/헥산 구배) 에 의해, 정제하여 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122 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48 g, 66%); 1H NMR (400 MHz, DMSO-d 6) δ 9.17 (br. t, 1H), 7.51 (t, J = 1.8 Hz, 1H), 7.40 (ddd, J = 1.2, 2.0, 7.9 Hz, 1H), 7.30-7.33 (m, 1H), 7.25 (t, J = 7.8 Hz, 1H), 5.57 (d, J = 4.7 Hz, 1H), 4.96 (d, J = 6.06 Hz, 1H), 4.39 (t, J = 5.5 Hz, 1H), 3.62-3.69 (m, 1H), 3.38 (dt, J = 4.1, 13.7 Hz, 1H), 3.05-3.13 (m, 1H).
단계 4. 무수 탈기된 DMF (1 ㎖) 를 반응 용매로서 사용하고, 반응을 90℃ 에서 3 시간 동안, 이어서 60℃ 에서 밤새 가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8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브로마이드 122 와 올레핀 117 과의 커플링을 수행하였다. 물을 첨가한 후, 생성물을 EtOAc (3x) 로 추출하여 올레핀 123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94 g, 70%); 1H NMR (400 MHz, DMSO-d 6) δ 9.14 (t, J = 5.7 Hz, 1H), 7.35-7.39 (m, 1H), 7.19-7.25 (m, 2H), 7.13-7.18 (m, 1H), 6.51 (d, J = 16.0 Hz, 1H), 6.34 (d, J = 16.0 Hz, 1H), 5.41 (d, J = 4.5 Hz, 1H), 4.86 (d, J = 6.3 Hz, 1H), 4.39-4.43 (m, 2H), 3.66-3.73 (m, 1H), 3.37 (ddd, J = 3.3, 4.7, 13.3 Hz, 1H), 3.08-3.16 (m, 1H), 1.55-1.67 (m, 2H), 1.37-1.54 (m, 7H), 1.18-1.25 (m, 1H).
단계 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123 (0.189 g, 0.488 mmol), NH3/MeOH (7N, 3.0 ㎖) 및 수산화암모늄 (10.0 ㎖) 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68 시간 동안 교반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EtOAc/헥산 중의 50% → 100% 7N NH3/MeOH 의 구배를 사용하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미정제 아민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아민을 CH2Cl2 중의 20% 7N NH3/MeOH 를 사용하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재-정제하여 알켄 124 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65 g, 46%); 1H NMR (400 MHz, MeOH-d 4) δ 7.42-7.45 (m, 1H), 7.22-7.32 (m, 3H), 6.61 (d, J = 16.2 Hz, 1H), 6.36 (d, J = 16.0 Hz, 1H), 4.58 (d, J = 6.1 Hz, 1H), 3.71-3.76 (m, 1H), 2.92 (dd, J = 3.5, 13.1 Hz, 1H), 2.77 (dd, J = 8.0, 13.1 Hz, 1H), 1.47-1.76 (m, 9H), 1.25-1.40 (m, 1H); 13C NMR (100 MHz, MeOH-d 4 ) δ 142.7, 137.8, 137.5, 128.1, 126.9, 125.8, 125.4, 124.8, 76.1, 75.7, 71.2, 43.3, 37.5, 25.5, 21.9; RP-HPLC (방법 2) 97% (AUC), t R = 5.44 분; ESI MS m/z 292.5 [M+H]+.
단계 6. 실시예 128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알켄 124 의 수소화에 의해, 실시예 130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513 g, 정량); 1H NMR (400 MHz, CD3OD) δ 7.19-7.25 (m, 2H), 7.15-7.19 (m, 1H), 7.07-7.11 (m, 1H), 4.52 (d, J = 6.3 Hz, 1H), 3.65 (ddd, J = 3.3, 6.1, 9.6 Hz, 1H), 2.82 (dd, J = 3.5, 13.1 Hz, 1H), 2.63-2.70 (m, 3H), 1.42-1.74 (m, 12H), 1.26-1.37 (m, 2H); 13C NMR (100 MHz, MeOH-d 4 ) δ 143.1, 142.3, 128.0, 127.3, 126.8, 124.1, 76.2, 75.5, 70.9, 44.5, 43.2, 37.0, 29.4, 25.9, 22.1, 17.2; RP-HPLC (방법 2) t R = 5.30 분, 92.7% (AUC); ESI MS m/z = 294.46 [M+H]+
실시예 131
(1R,2S)-3-아미노-1-(3-(2-(1-히드록시시클로헥실)에틸)페닐)프로판-1,2-디올의 제조
Figure pat00294
(1R,2S)-3-아미노-1-(3-(2-(1-히드록시시클로헥실)에틸)페닐)프로판-1,2-디올을 실시예 130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D-(-)-디이소프로필 타르트레이트를 사용하는 알릴 알코올 120 의 에폭시화에 의해, 미정제 (R)-(3-브로모페닐)((S)-옥시란-2-일)메탄올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4.12 g, 정량); 1H NMR (400 MHz, DMSO-d 6) δ 7.54 (t, J = 1.6 Hz, 1H), 7.45 (ddd, J = 1.2, 2.0, 7.8 Hz, 1H), 7.34-7.38 (m, 1H), 7.29 (t, J = 7.6 Hz, 1H), 5.68 (d, J = 4.5 Hz, 1H), 4.41 (t, J = 4.7 Hz, 1H), 2.99-3.03 (m, 1H), 2.69 (ABd, J = 5.5, 3.9 Hz, 1H), 2.63 (ABd, J = 5.3, 2.7 Hz, 1H).
단계 3. 트리플루오로아세틸기로의 아민의 에폭시드 고리 개방 및 보호에 의해, N-((2S,3R)-3-(3-브로모페닐)-2,3-디히드록시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22 g, 42%); 1H NMR (400 MHz, DMSO-d 6) δ 9.14 (t, J = 5.7 Hz, 1H), 7.35-7.39 (m, 1H), 7.19-7.25 (m, 2H), 7.13-7.18 (m, 1H), 6.51 (d, J = 16.0 Hz, 1H), 6.34 (d, J = 16.0 Hz, 1H), 5.41 (d, J = 4.5 Hz, 1H), 4.86 (d, J = 6.3 Hz, 1H), 4.39-4.43 (m, 2H), 3.66-3.73 (m, 1H), 3.37 (ddd, J = 3.3, 4.7, 13.3 Hz, 1H), 3.08-3.16 (m, 1H), 1.55-1.67 (m, 2H), 1.37-1.54 (m, 7H), 1.18-1.25 (m, 1H).
단계 4. N-((2S,3R)-3-(3-브로모페닐)-2,3-디히드록시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와 올레핀 105 와의 헥 커플링에 의해, N-((2S,3R)-2,3-디히드록시-3-(3-((E)-2-(1-히드록시시클로헥실)비닐)페닐)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66 g, 76%); 1H NMR (400 MHz, DMSO-d 6) δ 9.14 (t, J = 5.7 Hz, 1H), 7.35-7.39 (m, 1H), 7.19-7.25 (m, 2H), 7.13-7.18 (m, 1H), 6.51 (d, J = 16.0 Hz, 1H), 6.34 (d, J = 16.0 Hz, 1H), 5.41 (d, J = 4.5 Hz, 1H), 4.86 (d, J = 6.3 Hz, 1H), 4.39-4.43 (m, 2H), 3.66-3.73 (m, 1H), 3.37 (ddd, J = 3.3, 4.7, 13.3 Hz, 1H), 3.08-3.16 (m, 1H), 1.55-1.67 (m, 2H), 1.37-1.54 (m, 7H), 1.18-1.25 (m, 1H).
단계 5. N-((2S,3R)-2,3-디히드록시-3-(3-((E)-2-(1-히드록시시클로헥실)비닐)페닐)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에 의해, (1R,2S)-3-아미노-1-(3-((E)-2-(1-히드록시시클로헥실)비닐)페닐)프로판-1,2-디올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04 g, 52%); 1H NMR (400 MHz, MeOH-d 4) δ 7.42-7.45 (m, 1H), 7.22-7.32 (m, 3H), 6.61 (d, J = 16.2 Hz, 1H), 6.36 (d, J = 16.0 Hz, 1H), 4.58 (d, J = 6.1 Hz, 1H), 3.71-3.76 (m, 1H), 2.92 (dd, J = 3.5, 13.1 Hz, 1H), 2.77 (dd, J = 8.0, 13.1 Hz, 1H), 1.47-1.76 (m, 9H), 1.25-1.40 (m, 1H).
단계 6. (1R,2S)-3-아미노-1-(3-((E)-2-(1-히드록시시클로헥실)비닐)페닐)프로판-1,2-디올의 수소화에 의해, 실시예 131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834 g, 96%); 1H NMR (400 MHz, CD3OD) δ 7.19-7.25 (m, 2H), 7.15-7.19 (m, 1H), 7.07-7.11 (m, 1H), 4.52 (d, J = 6.3 Hz, 1H), 3.65 (ddd, J = 3.3, 6.1, 9.6 Hz, 1H), 2.82 (dd, J = 3.5, 13.1 Hz, 1H), 2.63-2.70 (m, 3H), 1.42-1.74 (m, 12H), 1.26-1.37 (m, 2H); RP-HPLC (방법 2) t R = 5.31 분, 88.0% (AUC); ESI MS m/z = 294.48 [M+H]+
실시예 132
(R)-3-(3-(3-아미노프로필)페닐)-1-페닐프로판-1-올의 제조
Figure pat00295
(R)-3-(3-(3-아미노프로필)페닐)-1-페닐프로판-1-올을 실시예 2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R)-1-페닐프로프-2-인-1-올과 N-(3-(3-브로모페닐)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와의 소노가시라 커플링에 의해, (S)-2,2,2-트리플루오로-N-(3-(3-(3-히드록시-3-페닐프로프-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호박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73 g, 62%): 1H NMR (400 MHz, DMSO-d 6) δ 7.57-7.59 (m, 2H), 7.17-7.40 (m, 7H), 5.60 (s, 1H), 3.26-3.29 (m, 2H), 2.62 (t, J = 7.6 Hz, 2H), 1.86 (5 중항, J = 6.8 Hz, 2H)
단계 2: (S)-2,2,2-트리플루오로-N-(3-(3-(3-히드록시-3-페닐프로프-1-이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에 의해, (S)-3-(3-(3-아미노프로필)페닐)-1-페닐프로프-2-인-1-올을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39 g, 30%): 1H NMR (400 MHz, CD3OD) δ 7.56-7.59 (m, 1H), 7.16-7.39 (m, 8H), 5.60 (s, 1H), 2.58-2.62 (m, 4H), 1.69-1.77 (m, 2H).
단계 3: 실시예 2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S)-3-(3-(3-아미노프로필)페닐)-1-페닐프로프-2-인-1-올의 환원 후 플래시 크로마토 크로마토그래피 (10-100% (7N NH3/MeOH)/DCM 구배) 에 의해, 실시예 132 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03 g, 81%). 1H NMR (400 MHz, CDCl3) δ 7.31-7.36 (m, 4H), 7.24-7.30 (m, 1H), 7.15-7.21 (m, 1H), 6.97-7.03 (m, 3H), 4.66 (dd, J = 5.2, 8.0 Hz, 1H), 2.56-2.76 (m, 6H), 1.96-2.16 (m, 2H), 1.69-1.79 (m, 2H), 1.50-1.70 (brs, 3H). ESI MS m/z 270.21 [m + H]+, 252.17 [m + H-OH]+.
실시예 133
3-(3-(2-시클로헵틸에틸)페닐)프로판-1-아민의 제조
Figure pat00296
3-(3-(2-시클로헵틸에틸)페닐)프로판-1-아민을 반응식 25 에 제시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25
Figure pat00297
단계 1: 아르곤하에 5℃ 에서 LAH (1M 용액으로 180 ㎖, 176 mmol) 을 무수 THF (500 ㎖) 중의 산 125 (25 g, 176 mmol) 의 용액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반응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5℃ 로 다시 냉각시킨 다음, 포화 수성 Na2SO4 를 천천히 첨가하여 켄칭시켰다. 수득된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제거한 다음, 여과액을 EtOAc 로 추출하고, 물 및 염수로 세정하고, Na2SO4 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알코올 126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21 g, 98%). 1H NMR (400 MHz, CDCl3) δ 3.38 (d, J = 6.4 Hz, 2H), 1.38-1.80 (m, 12H), 1.10-1.20 (m, 2H).
단계 2: 디클로로메탄 (10 ㎖) 중의 알코올 126 (4.5 g, 35 mmol) 의 용액을 디클로로메탄 (100 ㎖) 중의 피리디늄 클로로크로메이트 (9.4 g, 43.8 mmol) 및 셀라이트 (10 g) 의 교반 혼합물에 첨가하고, 반응을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실리카 겔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패드를 디에틸 에테르로 헹구었다. 수합된 여과액을 농축하여, 불순한 알데히드 127 을 녹색 오일로서 산출하고, 이것을 정제 없이 다음 단계로 넘겼다. 수율 (4.1 g, 93%). 1H NMR (400 MHz, CDCl3) δ 9.58 (d, J = 0.8 Hz, 1H), 2.28-2.36 (m, 1H), 1.88-1.95 (m, 2H), 1.40-1.70 (m, 10H).
단계 3: 나트륨 트리클로로아세테이트를 10 분에 걸쳐 DMF (150 ㎖) 중의 알데히드 127 (14.9 g, 118 mmole) 및 트리클로로아세트산 (19.3 g, 177 mmol) 의 교반 용액에 3 개의 분취액으로 첨가하였다. 반응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고, 빙수조에서 냉각시킨 다음, 켄칭하고 물로 희석하였다. 용액을 헥산으로 추출하고, 포화 수성 NH4Cl, 물, 및 염수로 세정하였다. 수합된 유기층을 Na2SO4 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불순한 알코올 128 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고, 이것을 정제 없이 다음 단계로 넘겼다. 수율 (23.4 g, 80%). 1H NMR (400 MHz, CDCl3) δ 3.95 (d, J = 2.0 Hz, 1H), 2.85 (br s, 1H), 2.20-2.30 (m, 1H), 1.88-2.08 (m, 1H), 1.36-1.84 (m, 11H).
단계 4: 염화 p-톨루엔술포닐 (3.34 g, 17.5 mmol) 을 40 ㎖ 디클로로메탄 중의 알코올 128 (4.3 g, 17.5 mmol), 트리에틸아민 (3.6 ㎖, 26.3 mmol), 및 디아자비시클로옥탄 (0.586 g, 5.2 mmol) 의 용액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9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물 (40 ㎖), 및 5N HCl (40 ㎖) 로 세정하였다. 수합된 수성층을 디클로로메탄 (40 ㎖) 으로 추출하고 수합된 유기층을 2N HCl, 물, 및 염수로 추가로 세정한 다음, Na2SO4 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10% EtOAc/헥산 구배) 에 의한 정제에 의해, 술포네이트 129 를 담황색 결정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2.65 g, 38%): 1H NMR (400 MHz, CDCl3) δ 7.81 (d, J = 8.8 Hz, 2H), 7.32 (d, J = 8 Hz, 2H), 2.43 (s, 3H), 2.24-2.32 (m, 1H), 1.98-2.06 (s, 1H), 1.78-1.88 (m, 1H), 1.60-1.73 (m, 3H), 1.28-1.60 (m, 8H).
단계 5: 메틸리튬 (디에틸 에테르 중의 1.6 M 용액으로 7.0 ㎖, 11.25 mmol) 을 아르곤하 5℃ 에서 무수 THF (15 ㎖) 중의 술포네이트 129 (1 g, 2.5 mmol) 의 교반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16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포화 수성 NH4Cl 을 천천히 첨가하여 켄칭하였다. 혼합물을 헥산으로 추출하고, 수합된 유기층을 염수로 세정하고, Na2SO4 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에티닐시클로헵탄 (130) 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70 g, 88%) 1H NMR (400 MHz, CDCl3) δ 2.51 (s, 1H), 1.99 (d, J = 2.8 Hz, 1H), 1.73-1.83 (m, 2H), 1.55-1.70 (m, 4H), 1.35-1.55 (m, 6H).
단계 6: 실시예 2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에티닐시클로헵탄 (130)N-(3-(3-브로모페닐)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의 소노가시라 커플링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25% EtOAc/헥산 구배) 에 의해, 알킨 131 을 호박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556 g, 59%): 1H NMR (400 MHz, CDCl3) δ 7.16-7.26 (m, 3H), 7.03-7.08 (m, 1H), 6.28 (br s, 1H), 3.36 (dt, J = 6.8, 6.8 Hz, 2H), 2.75-2.83 (m, 1H), 2.63 (t, J = 7.2 Hz, 2H), 1.85-1.95 (m, 4H), 1.69-1.80 (m, 4H), 1.48-1.65 (m, 6H).
단계 7: 실시예 2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알킨 131 의 탈보호 후 플래시 크로마토 크로마토그래피 (5% (7N NH3/MeOH)/디클로로메탄) 에 의해, 알킨 132 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26 g, 56%): 1H NMR (400 MHz, CDCl3) δ 7.13-7.25 (m, 3H), 7.03-7.08 (m, 1H), 2.74-2.82 (m, 1H), 2.69 (t, J = 7.2 Hz, 2H), 2.59 (t, J = 7.2 Hz, 2H), 1.84-1.94 (m, 2H), 1.68-1.80 (m, 6H), 1.46-1.64 (m, 6H), 1.30 (br s, 2H).
단계 8: 실시예 2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알킨 132 의 환원 후 플래시 크로마토 크로마토그래피 (10→100% (7N NH3/MeOH)/DCM 구배) 에 의해, 실시예 133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81 g, 80%): 1H NMR (400 MHz, CD3OD) δ 7.13 (t, J = 7.2 Hz, 1H), 6.92-7.00 (m, 3H), 2.52-2.65 (m, 6H), 1.70-1.80 (m, 4H), 1.60-1.70 (m, 2H), 1.36-1.60 (m, 9H), 1.18-1.28 (m, 2H). ESI MS m/z 260.25 [m + H]+.
실시예 134
4-(3-(2-아미노에틸티오)페네틸)헵탄-4-올의 제조
Figure pat00298
4-(3-(2-아미노에틸티오)페네틸)헵탄-4-올을 반응식 26 에 제시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26
Figure pat00299
단계 1: 3-브로모벤젠티올 (133) (3 g, 15.9 mmol), 2-브로모에탄올 (2.4 g, 19.1 mmol), 및 K2CO3 (4.4 g, 32 mmol) 을 아세톤 (20 ㎖) 중에서 수합하고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아세톤을 감압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물로부터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을 염수로 세정하고, MgSO4 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알코올 134 를 정제 없이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3.6 g, 97%): 1H NMR (400 MHz, CDCl3) δ 7.49 (t, J = 2.0 Hz, 1H), 7.31 (ddd, J = 0.8, 1.6, 8.0 Hz, 1H), 7.27 (ddd, J = 0.8, 1.6, 8.0 Hz, 1H), 7.13 (t, J = 7.6 Hz, 1H), 3.75 (t, J = 6.4 Hz, 2H), 3.10 (t, J = 6.4 Hz, 2H), 2.18 (brs, 1H).
단계 2: 실시예 21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134 와 프탈이미드와의 미쯔노부 커플링 후 플래시 크로마토 크로마토그래피 (5→2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구배) 에 의해, 브로마이드 135 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4.04 g, 72 %): 1H NMR (400 MHz, CDCl3) δ 7.77-7.84 (m, 2H), 7.66-7.72 (m, 2H), 7.50 (t, J = 2.0 Hz, 1H), 7.30 (ddd, J = 0.8, 1.6, 7.6 Hz, 1H), 7.19 (ddd, J = 0.8, 1.6, 7.6 Hz, 1H), 7.07 (t, J = 7.6Hz, 1H), 3.93 (t, J = 7.2 Hz, 2H), 3.22 (J = 7.2 Hz, 2H).
단계 3: 실시예 9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브로마이드 135 의 탈보호에 의해, 아민 136 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56 g, 98 %): 1H NMR (400 MHz, CDCl3) δ 7.44 (t, J = 2.0 Hz, 1H), 7.26 (ddd, J = 0.8, 1.6, 7.6 Hz, 1H), 7.21 (ddd, J = 0.8, 1.6, 7.6 Hz, 1H), 7.09 (t, J = 8.0 Hz, 1H), 2.87-3.0 (m, 2H), 2.82-2.86 (m, 2H), 1.7-2.4 (brs, 2H).
단계 4: 실시예 2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아민 136 의 아미드화 후 플래시 크로마토 크로마토그래피 (5→2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구배) 에 의해, 트리플루오로아미드 137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75 g, 80%): 1H NMR (400 MHz, CDCl3) δ 7.50 (t, J = 2.0 Hz, 1H), 7.35 (ddd, J = 0.8, 1.6, 7.6 Hz, 1H), 7.29 (ddd, J = 0.8, 1.6, 7.6 Hz, 1H), 7.16 (t, J = 8.0 Hz, 1H), 6.81 (brs, 1H), 3.55 (app q, J = 6.4 Hz, 2H), 3.10 (t, J = 6.4 Hz, 2H).
단계 5: 실시예 2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4-에티닐헵탄-4-올과 N-(2-(3-브로모페닐티오)에틸)-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137) 과의 소노가시라 커플링 후 플래시 크로마토 크로마토그래피 (5→5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구배) 에 의해, 알킨올 138 을 색상을 띤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2 g, 52 %): 1H NMR (400 MHz, DMSO) δ 9.52-9.60 (m, 1H), 7.26-7.36 (m, 3H), 7.16-7.20 (m, 1H), 5.11 (s, 1H), 3.60 (ddd, J = 6.4 Hz, 2H), 3.11 (t, J = 7.2 Hz, 2H), 1.52-1.62 (m, 4H), 1.38-1.52 (m, 4H), 0.89 (t, J = 7.2 Hz, 6H).
단계 6: 실시예 2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알킨올 138 의 탈보호 후 플래시 크로마토 크로마토그래피 (0→10% (7N NH3/MeOH)/디클로로메탄 구배) 에 의해, 아민 139 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89 g, 68%): 1H NMR (400 MHz, MeOD) δ 7.36-7.38 (m, 1H), 7.32 (dt, J = 1.6, 7.6 Hz, 1H), 7.25 (t, J = 7.6 Hz, 1H), 7.20 (dt, J = 1.6, 7.6 Hz, 1H), 3.01 (t, J = 6.4 Hz, 2H), 2.78 (brs, 2H), 1.62-1.74 (m, 4H), 1.50-1.62 (m, 4H), 0.97 (t, J = 7.2 Hz, 6H).
단계 7: 실시예 1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아민 139 의 환원 후 플래시 크로마토 크로마토그래피 (10→100% (7N NH3/MeOH)/DCM 구배) 에 의해, 실시예 134 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42 g, 75%): 1H NMR (400 MHz, CDCl3) δ 7.16-7.21 (m, 3H), 6.99-7.03 (m, 1H), 2.99 (t, J = 5.6 Hz, 2H), 2.91 (brs, 2H), 2.56-2.62 (m, 2H), 1.66-1.73 (m, 2H), 1.40-1.60 (m, 7H), 1.28-1.40 (m, 4H), 0.924 (t, J = 7.2 Hz, 6H). ESI MS m/z 296.29 [m + H]+, 278.25 [m + H-OH]+.
실시예 135
4-(3-(2-아미노에틸술포닐)페네틸)헵탄-4-올의 제조
Figure pat00300
4-(3-(2-아미노에틸술포닐)페네틸)헵탄-4-올을 반응식 27 에 제시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27
Figure pat00301
단계 1: 실온에서 에탄올 (10 ㎖) 중의 브로마이드 137 (0.6 g, 1.83 mmol) 의 용액에 암모늄 몰리브데이트 테트라히드레이트 (0.68 g, 0.55 mmol (30%)), 및 과산화수소 (30% 수용액 1.9 ㎖, 18.3 mmol) 를 첨가하였다. 반응을 밤새 교반한 다음, 포화 수성 Na2S2O3 (4 ㎖) 으로 켄칭하였다. 에탄올을 진공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물로부터 추출하였다. 수합된 유기층을 염수로 세정하고, MgSO4 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농축하고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5→5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구배) 에 의해, 정제하여, 술폰 139 를 백색 왁스성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615 g, 93%): 1H NMR (400 MHz, CDCl3) δ 8.05 (t, J = 2.0 Hz, 1H), 7.81-7.87 (m, 2H), 7.49 (t, J = 8.0 Hz, 1H), 7.25 (brs, 1H), 3.81-3.88 (m, 2H), 3.33-3.38 (m, 2H).
단계 2: 실시예 2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139 와 4-에티닐헵탄-4-올과의 소노가시라 커플링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5→5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구배) 에 의해, 알킨올 140 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515 g, 72 %): 1H NMR (400 MHz, DMSO) δ 7.93 (m, 1H), 7.80-7.84 (m, 1H), 7.69-7.73 (m, 1H), 7.55 (t, J = 8.0 Hz, 1H), 7.27 (brs, 1H), 3.79-3.86 (m, 2H), 3.31-3.36 (m, 2H), 1.93 (brs, 1H), 1.64-1.78 (m, 4H), 1.51-1.64 (m, 4H), 0.98 (t, J = 7.2 Hz, 6H).
단계 3: 실시예 2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트리플루오로아미드 140 의 탈보호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10% (7N NH3/MeOH)/디클로로메탄 구배) 에 의해, 알킨 141 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1 g, 52%): 1H NMR (400 MHz, MeOD) δ 7.90-7.92 (m, 1H), 7.78-7.82 (m, 1H), 7.62-7.64 (m, 1H), 7.48 (t, J = 8.0 Hz, 1H), 3.20-3.25 (m, 2H), 3.07-3.15 (m, 2H), 1.81 (brs, 3H), 1.62-1.75 (m, 4H), 1.50-1.62 (m, 4H), 0.96 (t, J = 7.2 Hz, 6H).
단계 4: 실시예 2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알킨 141 의 환원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100% (7N NH3/MeOH)/DCM 구배) 에 의해, 실시예 135 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81 g, 80%): 1H NMR (400 MHz, CDCl3) δ 7.69-7.74 (m, 2H), 7.44-7.49 (m, 2H), 3.20-3.24 (m, 2H), 3.08-3.13 (m, 2H), 2.69-2.75 (m, 2H), 1.68-1.74 (m, 2H), 1.43-1.52 (m, 7H), 1.26-1.40 (m, 4H), 0.92 (t, 8.0 Hz, 6H). ESI MS m/z 328.31 [m + H]+, 310.27 [m + H-OH]+.
실시예 136
4-(3-(2-아미노에틸아미노)페네틸)헵탄-4-올의 제조
Figure pat00302
4-(3-(2-아미노에틸아미노)페네틸)헵탄-4-올을 반응식 28 에 제시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28
Figure pat00303
단계 1: CH2Cl2 (1000 ㎖) 중의 2-(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아세트알데히드 (142, 3.0 g, 15.9 mmol) 의 교반 용액에 3-브로모아닐린 (143, 2.2 g, 13.0 mmol), 나트륨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리드 (4.2 g, 20 mmol) 및 아세트산 (1.2 g, 20 mmol) 을 첨가하였다. 반응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다음, 포화 염화암모늄, 물, 및 염수로 세정하였다. 수합된 유기층을 MgSO4 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4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구배) 에 의한 정제에 의해, 벤질 브로마이드 144 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7 g, 38%). 1H NMR (400 MHz, CDCl3) δ 7.80-7.88 (m, 2H), 7.68-7.78 (m, 2H), 6.93-6.99 (m, 1H), 6.72-6.77 (m, 2H), 6.49-6.54 (m, 1H), 4.23 (brs, 1H), 3.95 (t, J = 6.0 Hz, 2H), 3.39 (t, J = 6.0 Hz, 2H).
단계 2: 실시예 9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벤질 브로마이드 144 의 탈보호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10% (7N NH3/MeOH)/디클로로메탄) 구배) 에 의해, 디아민 145 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86 g, 57%). 1H NMR (400 MHz, CDCl3) δ 6.99 (t, J = 8.0 Hz, 1H), 6.76-6.81 (m, 1H), 6.74 (t, J = 2.0 Hz, 1H), 6.49-6.54 (m, 1H), 4.19 (brs, 1H), 3.13 (t, J = 6.0 Hz, 2H), 2.92 (t, J = 6.0 Hz, 2H), 1.20 (brs, 2H).
단계 3: 실시예 2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디아민 145 의 아미드화에 의해, 트리플루오로아미드 146 을 황색의, 왁스성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462 g, 정량). 1H NMR (400 MHz, CDCl3) δ 7.01 (t, J = 8.0 Hz, 1H), 6.99 (brs, 1H), 6.82-6.86 (m, 1H), 6.74 (t, J = 2.4 Hz, 1H), 6.50-6.55 (m, 1H), 4.03 (brs, 1H), 3.55 (q, J = 6.0, Hz, 2H), 3.33 (t, J = 6.0 Hz, 2H).
단계 4: 실시예 2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146 4-에티닐헵탄-4-올과의 소노가시라 커플링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5→3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구배) 에 의해, 알킨올 147 을 오렌지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0 g, 60%). 1H NMR (400 MHz, CDCl3) δ 7.54 (brs, 1H), 7.07 (t, J = 8.0 Hz, 1H), 6.75-6.78 (m, 1H), 6.61-6.64 (m, 1H), 6.52-6.56 (m, 1H), 3.51 (q, J = 5.6 Hz, 2H), 3.32 (t, J = 6.0 Hz, 2H), 1.63-1.71 (m, 4H), 1.50-1.63 (m, 4H), 0.95 (t, J = 7.2 Hz, 6H).
단계 5: 실시예 2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알킨올 147 의 탈보호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10% (7N NH3/MeOH)/디클로로메탄) 구배) 에 의해, 아민 148 을 황색의, 왁스성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4 g, 63%). 1H NMR (400 MHz, DMSO) δ 6.97-7.03 (m, 1H), 6.46-6.54 (m, 3H), 5.66 (t, J = 5.2 Hz, 1H), 5.07 (s, 1H), 2.94 (q, J = 6.4 Hz, 2H), 2.66 (t, J = 6.4 Hz, 2H), 1.38-1.62 (m, 10 H), 0.88 (t, J = 7,8 Hz, 6H).
단계 6: 실시예 2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아민 148 의 환원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100% (7N NH3/MeOH)/DCM 구배) 에 의해, 실시예 136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47 g, 84%): 1H NMR (400 MHz, CDCl3) δ 7.08 (t, J = 7.6 Hz, 1H), 6.53-6.57 (m, 1H), 6.44-6.49 (m, 2H), 3.18 (t, J = 6.0 Hz, 2H), 2.94 (t, J = 6.0 Hz, 2H), 2.51-2.57 (m, 2H), 1.68-1.74 (m, 2H), 1.42-1.50 (m, 6H), 1.28-1.40 (m, 6H), 0.93 (t, J = 7.2 Hz, 6H). ESI MS m/z 279.3 [m + H]+, 261.26 [m + H-OH]+.
실시예 137
3-아미노-1-(3-(2-시클로헵틸에틸)페닐)프로판-1-올의 제조
Figure pat00304
3-아미노-1-(3-(2-시클로헵틸에틸)페닐)프로판-1-올을 실시예 2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N-(3-(3-브로모페닐)-3-히드록시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43) 과 에티닐시클로헵탄과의 소노가시라 커플링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5→40% EtOAc/헥산 구배) 에 의해, N-(3-(3-(시클로헵틸에티닐)페닐)-3-히드록시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호박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507 g, 51%): 1H NMR (400 MHz, CDCl3) δ 7.42 (br s, 1H), 7.34-7.36 (m, 1H), 7.19-7.33 (m, 3H), 4.81 (q, J = 4.0 Hz, 1H), 3.48-3.68 (m, 1H), 3.32-3.42 (m, 1H), 2.74-2.82 (m, 1H), 2.48 (br s, 1H), 1.85-2.00 (m, 4H), 1.70-1.80 (m, 4H), 2.46-1.64 (m, 6H).
단계 2: N-(3-(3-(시클로헵틸에티닐)페닐)-3-히드록시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5% (7N NH3/MeOH)/디클로로메탄) 에 의해, 3-아미노-1-(3-(2-시클로헵틸에티닐)페닐)프로판-1-올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73 g, 46%): 1H NMR (400 MHz, CDCl3) δ 7.40 (s, 1H), 7.18-7.30 (m, 3H), 4.91 (d, J = 6.8 Hz, 1H), 3.00 (br s, 5H), 2.74-2.82 (m, 1H), 1.80-1.94 (m, 3H), 1.68-1.80 (m, 5H), 1.44-1.64 (m, 6H).
단계 3: 실시예 2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3-아미노-1-(3-(2-시클로헵틸에티닐)페닐)프로판-1-올의 환원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100% (7N NH3/MeOH)/DCM 구배) 에 의해, 실시예 137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76 g, 69%): 1H NMR (400 MHz, CDCl3) δ 7.13-7.26 (m, 3H), 7.03-7.07 (m, 1H), 4.88-4.94 (m, 1H), 3.03-3.10 (m, 1H), 2.88-2.98 (m, 1H), 2.77 (brs, 3H), 2.55-2.63 (m, 2H), 1.80-1.90 (m, 1H), 1.68-1.80 (m, 3H), 1.58-1.68 (m, 2H), 1.34-1.58 (m, 9H), 1.16-1.27 (m, 2H). ESI MS m/z 276.29 [m + H]+, 258.25 [m + H-OH]+.
실시예 138
(R)-3-아미노-1-(3-(4-페닐부틸)페닐)프로판-1-올의 제조
Figure pat00305
(R)-3-아미노-1-(3-(4-페닐부틸)페닐)프로판-1-올을 반응식 29 에 제시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29
Figure pat00306
단계 1: 실시예 70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케톤 76 과 (-)-Ipc2BCl 과의 키랄 환원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정제 (구배) 에 의해, (R)-알코올 149 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50 (t, J = 1.6 Hz, 1H), 7.43 (dt, J = 7.2, 2.0 Hz, 1H), 7.21-7.27 (m, 2H), 4.84 (dt, J = 8.8, 3.2 Hz, 1H), 3.65-3.73 (m, 1H), 3.36-3.43 (m, 1H), 2.47 (dd, J = 2.9, 1.0 Hz, 1H), 1.80-2.00 (m, 2H).
단계 2. 반응 혼합물을 70℃ 에서 4 시간 동안, 이어서 60℃ 에서 17 시간 동안 교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0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R)-히드록시아릴 브로마이드 149 와 4-페닐부틴 사이의 소노가시라 커플링에 의해, 미정제 알킨 150 을 연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고, 이것을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수율 (0.49 g, 77 %).
단계 3. 실시예 100 에서 사용된 방법 (절대 입체화학의 측정) 에 따른 150 의 탈보호에 의해, 아민 151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95 g, 60%); 1H NMR (400 MHz, CD3OD) δ 7.31-7.33 (m, 1H), 7.15-7.29 (m, 8H), 4.67 (dd, J = 8.0, 5.3Hz, 1H), 2.87 (t, J = 7.2 Hz, 2H), 2.64-2.74 (m, 4H), 1.72-1.85 (m, 2H); 13C NMR (100 MHz, CD3OD) δ 145.6, 140.9, 130.1, 128.8, 128.7, 128.4, 128.2, 126.1, 125.1, 124.1, 89.0, 81.1, 72.0, 71.9, 41.5, 38.4, 35.0, 21.2; RP-HPLC, 96.4% (AUC); LC-MS m/z = 280.2 [M+H]+.
단계 4. 반응을 16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0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알킨 151 의 수소화를 수행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액에 HCl/EtOH (7.4 M, 1 ㎖) 를 첨가하였다. 여과액을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EtOAc 에 용해하고 0℃ 로 냉각시켰다. 형성된 침전을 여과에 의해, 수합하고, 진공하에서 건조시켜 실시예 138 히드로클로라이드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69 g, 75%); 1H NMR (400 MHz, CD3OD) δ 7.06-7.26 (m, 9H), 4.78 (dd, J = ; 5.3, 7.4 Hz, 1H), 2.97-3.12 (m, 2H), 2.58-2.66 (m, 2H), 1.92-2.01 (m, 2H), 1.58-1.67 (m, 2H); LC-MS (ESI+) 284.42 [M+H]+; RP-HPLC (방법 2): 97.6%, t R = 7.00 분.
실시예 139
(S)-4-(3-(2-아미노-1-히드록시에틸)페네틸)헵탄-4-올의 제조
Figure pat00307
(S)-4-(3-(2-아미노-1-히드록시에틸)페네틸)헵탄-4-올을 반응식 30 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30
Figure pat00308
단계 1. 실시예 70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케톤 152 를 환원시켜 히드록시브로마이드 153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818 g, 80%): 1H NMR (400 MHz, DMSO-d 6) δ 7.57 (t, J = 1.8 Hz, 1H), 7.44 (ddd, J = 1.0, 2.0, 7.8 Hz, 1H), 7.35-7.39 (m, 1H), 7.28 (t, J = 7.8 Hz, 1H), 5.90 (d, J = 4.9 Hz, 1H), 4.80 (dd, J = 4.7, 6.5 Hz, 1H), 3.66 (ABd, J = 4.5, 6.5 Hz, 1H), 3.57 (ABd, J = 4.5, 6.5 Hz, 1H).
단계 2. 무수 THF (10 ㎖) 중의 브로마이드 153 (0.818 g, 2.92 mmol) 의 용액에 칼륨 tert-부톡시드 (1M, 3.5 ㎖) 의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5 분 동안 교반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물로 처리하였다. 생성물을 EtOAc 로 2 회 추출하고, 유기층을 모으고, 염수, NH4Cl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MgSO4 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S)-2-(3-브로모페닐)옥시란 (0.486 g) 을 산출하고, 이것을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S)-2-(3-브로모페닐)옥시란을 7N NH3/MeOH 용액 (5 ㎖) 에 용해하고 수성 NH4OH (25%, 5 ㎖) 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이것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S)-2-아미노-1-(3-브로모페닐)에탄올 (0.801 g) 을 산출하고, 이것을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S)-2-아미노-1-(3-브로모페닐)에탄올을 무수 THF (5 ㎖) 에 용해하고 에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1 ㎖) 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0 분 동안 교반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154 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608 g, 67%, 3 단계에 대해): 1H NMR (400 MHz, DMSO-d 6) δ 9.45 (br. t, 1H), 7.46-7.49 (m, 1H), 7.40-7.45 (m, 1H), 7.25-7.30 (m, 2H), 5.73 (d, J = 4.7 Hz, 1H), 4.68 (dd, J = 6.7, 11.3 Hz, 1H), 3.47-3.52 (m, 2H).
단계 3. P(o-tol)3 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0 에 제시된 방법에 따른 브로마이드 154 와 4-에티닐헵탄-4-올과의 소노가시라 커플링에 의해, 알킨올 155 를 황갈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59 g, 82%): 1H NMR (400 MHz, DMSO-d 6) δ 9.44 (br t, J = 5.5 Hz, 1H), 7.22-7.32 (m, 4H), 5.65 (d, J = 4.7 Hz, 1H), 4.67 (dd, J = 11.7, 6.8 Hz, 1H), 3.25-3. 31 (m, 2H), 1.40-1.62 (m, 8H), 0.89 (t, J = 7.0 Hz, 6H).
단계 4. NH3/MeOH (7N, 10 ㎖) 및 수성 NH4OH (25%, 10 ㎖) 중의 알킨올 155 (0.59 g, 1.59 mmol) 의 용액을 실온에서 70 시간 동안 교반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 100% 의, CH2Cl2 중의 10% 7N NH3/MeOH/CH2Cl2) 에 의한 정제에 의해, 아민 156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5 g, 80%); 1H NMR (400 MHz, CD3OD) δ 7.39-7.41 (m, 1H), 7.26-7.32 (m, 3H), 4.58 (dd, J = 4.7, 7.6 Hz, 1H), 2.65-2.81 (m, 2H), 1.51-1.73 9m, 8H), 0.97 (t, J = 7.0 Hz, 6H); 143.7, 130.3, 128.9, 128.3, 125.8, 123.4, 92.4, 83.7, 74.5, 70.9, 49.0, 44.5, 17.6, 13.6; LC-MS: 276.38 [M+H]+; RP-HPLC tR = 6.21 분, 98% AUC.
단계 5: 알킨 156 의 수소화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정제 (10% → 50% 의, 20% 7N NH3/MeOH/CH2Cl2 -CH2Cl2 의 구배) 에 의해, 실시예 139 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42 g, 57%); 1H NMR (400 MHz, CD3OD) δ 7.23 (t, J = 7.6 Hz, 1H), 7.07-7.21 (m, 3H), 4.58 (dd, J = 5.1, 7.2 Hz, 1H), 2.72-2.82 (m, 2H), 2.61 (ddd, J = 4.9, 8.6, 12.7 Hz, 2H), 1.68 (ddd, J = 4.7, 8.4, 12.5 Hz, 2H), 1.26-1.50 (m, 8H), 0.93 (t, J = 7.2 Hz, 6H); LC-MS (ESI+) 280.41 [M+H]+; RP-HPLC (방법 2): 85.1% (AUC), t R = 6.17 분.
실시예 140
4-(5-(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2-플루오로페네틸)헵탄-4-올의 제조
Figure pat00309
4-(5-(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2-플루오로페네틸)헵탄-4-올을 실시예 1, 7, 9, 1617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실시예 16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3-브로모-4-플루오로벤즈알데하이드에 아세토니트릴을 첨가하여 3-(3-브로모-4-플루오로페닐)-3-히드록시프로판니트릴을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4.2 g, 70%): 1H NMR (400 MHz, DMSO-d 6) δ 7.71 (dd, J = 6.8, 2.0 Hz, 1H), 7.44 (ddd, J =8.4, 5.2, 2.4 Hz, 1H), 7.35 (t, J = 8.8 Hz, 1H), 6.08 (bs, 1H), 4.90 (s, 1H), 2.90 (ABd, J = 16.8, 5.2 Hz, 1H), 2.83 (ABd, J = 16.8, 6.4 Hz, 1H).
단계 2: 실시예 17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BH3-THF 로의 3-(3-브로모-4-플루오로페닐)-3-히드록시프로판니트릴의 환원 후, 실시예 9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에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로의 아민의 보호에 의해, N-(3-(3-브로모-4-플루오로페닐)-3-히드록시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맑은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4.3 g, 73%): 1H NMR (400 MHz, DMSO-d 6) δ 9.31 (bs, 1H), 7.62 (dd, J = 6.8, 2.0 Hz, 1H), 7.37-7.33 (m, 1H), 7.30 (t, J = 8.8 Hz, 1H), 5.48 (d, J = 4.4 Hz, 1H), 4.60-4.56 (m, 1H), 3.28-3.15 (m, 2H), 1.84-1.71 (m, 2H).
단계 3: N-(3-(3-브로모-4-플루오로페닐)-3-히드록시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실시예 7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4-에티닐헵탄-4-올과 커플링시켜 2,2,2-트리플루오로-N-(3-(4-플루오로-3-(3-히드록시-3-프로필헥스-1-이닐)페닐)-3-히드록시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37 g, 78%): 1H NMR (400 MHz, DMSO-d 6) δ 9.31 (t, J = 5.0 Hz, 1H), 7.37 (dd, J = 6.8, 2.0 Hz, 1H), 7.34-7.30 (m, 1H), 7.18 (t, J = 9.0 Hz, 1H), 5.41 (d, J = 4.8 Hz, 1H), 5.19 (s, 1H), 4.58-4.54 (m, 1H), 3.28-3.16 (m, 2H), 1.82-1.69 (m, 2H), 1.63-1.41 (m, 8H), 0.89 (t, J = 7.2 Hz, 6H).
단계 4: 2,2,2-트리플루오로-N-(3-(4-플루오로-3-(3-히드록시-3-프로필헥스-1-이닐)페닐)-3-히드록시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실시예 9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탈보호화하여 4-((5-(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2-플루오로페닐)에티닐)헵탄-4-올을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85 g, 82%):1H NMR (400 MHz, DMSO-d 6) δ 7.35 (dd, J = 6.8, 2.0 Hz, 1H), 7.31-7.27 (m, 1H), 7.16 (t, J = 9.0 Hz, 1H), 5.19 (bs, 1H), 4.64 (t, J = 6.4 Hz, 1H), 2.64-2.52 (m, 2H), 1.63-1.42 (m, 10H), 0.89 (t, J = 7.2 Hz, 6H).
단계 5: 4-((5-(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2-플루오로페닐)에티닐)헵탄-4-올 (0.107 g, 0.348 mmole) 을 EtOAc (5 ㎖) 에 용해하고 아르곤 스트림으로 탈기시켰다. 10% Pd/C (10 mg) 를 첨가하고 진공을 1 분 동안 뽑아냈다. H2 기구를 첨가하고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촉매의 여과 후 건조 상태로 증발시켜 실시예 140 을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1 g,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7.17 (dd, J = 7.6, 2.0 Hz, 1H), 7.13-7.09 (m, 1H), 7.00 (dd, J = 10.0, 8.4 Hz, 1H), 4.61 (m, 1H), 3.98 (bs, 1H), 2.63-2.56 (m, 2H), 2.54-2.50 (m, 2H), 1.63-1.58 (m, 2H), 1.53-1.49 (m, 2H), 1.35-1.20 (m, 8H), 0.84 (t, J = 7.0 Hz, 6H).
실시예 141
(R)-N-(3-히드록시-3-(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310
(R)-N-(3-히드록시-3-(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하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71 (0.35 g, 1.19 mmol) 및 아세트산 무수물 (0.13 g, 1.25 mmole) 을 CH2Cl2 중에서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CH2Cl2 와 포화 NaHCO3 을 첨가하여 분액하였다. 유기층을 Na2SO4 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실시예 141 을 맑은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40 g,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7.62 (t, = 5.0 Hz, 1H), 7.17 (t, J = 7.4 Hz, 1H), 7.11 (s, 1H), 7.07 (d, J = 8.0 Hz, 1H), 7.00 (d, J = 7.6 Hz, 1H). 5.14 (d, J = 4.4 Hz, 1H), 4.51-4.47 (m, 1H), 3.95 (s, 1H), 3.07-3.02 (m, 2H), 2.52-2.47 (m, 2H), 1.76 (s, 3H), 1.65 (q, J = 6.8 Hz, 2H), 1.56-1.51 (m, 2H), 1.35-1.21 (m, 8H), 0.84 (t, J = 7.0 Hz, 6H).
실시예 142
(R)-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311
(R)-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하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CH2Cl2 중의 실시예 71 (0.29 g, 0.98 mmole) 및 CF3CO2Et (2 ㎖) 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실시예 142 를 맑은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9 g,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9.32 (t, = 5.2 Hz, 1H), 7.18 (t, J = 7.6 Hz, 1H), 7.11 (s, 1H), 7.08 (d, J = 7.6 Hz, 1H), 7.01 (d, J = 7.6 Hz, 1H), 5.25 (bs, 1H), 4.52 (t, J = 6.4 Hz, 1H), 3.94 (bs, 1H), 3.22 (q, J = 6.8 Hz, 2H), 2.52-2.47 (m, 2H), 1.79-1.73 (m, 2H), 1.56-1.51 (m, 2H), 1.35-1.21 (m, 8H), 0.84 (t, J = 7.0 Hz, 6H).
실시예 143
4-(3-(3-아미노-2-히드록시프로필)페네틸)헵탄-4-올의 제조
Figure pat00312
4-(3-(3-아미노-2-히드록시프로필)페네틸)헵탄-4-올을 반응식 31 에 제시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31
Figure pat00313
단계 1: N2 하에서 무수 DMF (100 ㎖) 중의 1-(3-브로모페닐)-3-클로로프로판-2-올 (157) (8.49 g, 34.0 mmol) 의 용액에 NaN3 (11.05 g, 170.0 mmol) 및 NaI (촉매량, 0.75 g, 5.0 mmol) 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5℃ 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한 후, 혼합물을 에테르로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세정하였다. 용액을 Na2SO4 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생성물을 40℃ 에서 2 시간 동안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켜 아지드 158 을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고, 이것을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수율 (8.6 g, 98% 미정제).
단계 2: N2 하에서 THF (60 ㎖) 중의 아지드 158 (8.59 g, 33.28 mmol) 의 용액에 PPh3 (8.73 g, 33.28 mmol) 및 물 (20 ㎖) 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0℃ 에서 24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한 후, 혼합물을 염수로 희석하고 EtOAc 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Na2SO4 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미정제 아민을 THF (20 ㎖) 및 에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20 ㎖) 에 용해하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의 증발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5% EtOAc/CH2Cl2) 에 의한 정제에 의해, 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159 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3.72 g, 35%): 1H NMR (400 MHz, DMSO-d 6) δ 9.33 (t, J = 5.2 Hz, 1H), 7.42 (d, J = 1.2 Hz, 1H), 7.38-7.35 (m, 1H), 7.24-7.20 (m, 2H), 5.00 (d, J = 6.0 Hz, 1H), 3.83-3.75 (m, 1H), 3.21-3.07 (m, 2H), 2.70 (dd, J = 13.6 Hz, 4.8, 1H), 2.55 (dd, J = 14.0, 6.0 Hz, 1H).
단계 3: 실시예 7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브로마이드 159 와 4-에티닐헵탄-4-올과의 커플링에 의해, 알킨 160 을 맑은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455 g, 59%): 1H NMR (400 MHz, DMSO-d 6) δ 9.32 (t, J = 5.4 Hz, 1H), 7.25-7.22 (m, 2H), 7.18-7.16 (m, 2H), 5.11 (s, 1H), 4.96 (d, J = 5.6 Hz, 1H), 3.81-3.74 (m, 1H), 3.21-3.07 (m, 2H), 2.68 (dd, J = 14.0, 4.6 Hz, 1H), 2.54 (dd, J = 14.0, 7.8 Hz, 1H), 1.61- 1.40 (m, 8H), 0.89 (t, J = 7.2 Hz, 6H).
단계 4: 실시예 9 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160 의 탈보호에 의해, 아민 161 을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73 g, 82%): 1H NMR (400 MHz, DMSO-d 6) δ 7.24-7.20 (m, 2H), 7.17-7.13 (m, 2H), 5.11 (bs, 1H), 4.55 (bs, 1H), 3.51-3.46 (m, 1H), 2.67 (dd, J = 13.6, 5.2 Hz, 1H), 2.50 (dd, J = 13.6, 7.6 Hz, 1H), 2.45 (dd, obs., 1H), 2.37 (dd, J = 12.8, 6.8 Hz, 1H), 1.61-1.40 (m, 8H), 0.89 (t, J = 7.6 Hz, 6H).
단계 5: 실시예 140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아민 161 의 수소화에 의해, 실시예 143 을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0 g,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7.12 (t, J = 7.4 Hz, 1H), 6.98-6.94 (m, 3H), 3.94 (bs, 1H), 3.53-3.47 (m, 1H), 2.62 (dd, J = 13.6, 5.6 Hz, 1H), 2.51 (dd, J = 13.2, 7.2 Hz, 1H), 2.49-2.45 (m, obs., 3H), 2.37 (dd, J = 12.8, 7.2 Hz, 1H), 1.55-1.51 (m, 2H), 1.35-1.21 (m, 8H), 0.84 (t, J = 7.0 Hz, 6H).
실시예 144
4-(5-(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2-메톡시페네틸)헵탄-4-올의 제조
Figure pat00314
4-(5-(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2-메톡시페네틸)헵탄-4-올을 실시예 140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3-브로모-4-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에 아세토니트릴을 첨가하여 3-(3-브로모-4-메톡시페닐)-3-히드록시프로판니트릴을 옅은 오렌지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0.32 g, 96%): 1H NMR (400 MHz, DMSO-d 6) δ 7.58 (d, J = 2.0 Hz, 1H), 7.35 (dd, J = 8.8, 2.0 Hz, 1H), 7.07 (d, J = 8.8 Hz, 1H), 5.93 (d, J = 4.4 Hz, 1H), 4.85-4.81 (m, 1H). 3.81 (s, 3H), 2.86 (ABd, J =16.4, 4.8 Hz, 1H), 2.79 (ABd, J = 16.8, 6.8 Hz, 1H).
단계 2: BH3-THF 로의 3-(3-브로모-4-메톡시페닐)-3-히드록시프로판니트릴의 환원 후 아민의 보호에 의해, N-(3-(3-브로모-4-메톡시페닐)-3-히드록시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오렌지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5.76 g, 40%): 1H NMR (400 MHz, DMSO-d 6) δ 9.31 (bs, 1H), 7.49 (d, J = 2.0 Hz, 1H), 7.26 (dd, J = 8.8, 2.0 Hz, 1H), 7.03 (d, J = 8.8 Hz, 1H), 5.32 (d, J = 4.8 Hz, 1H), 4.53-4.49 (m, 1H), 3.80 (s, 3H), 3.24-3.15 (m, 2H), 1.79-1.72 (m, 2H).
단계 3: N-(3-(3-브로모-4-메톡시페닐)-3-히드록시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4-에티닐헵탄-4-올과 커플링시켜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3-히드록시-3-프로필헥스-1-이닐)-4-메톡시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92 g, 55%): 1H NMR (400 MHz, DMSO-d 6) δ 9.31 (t, J = 5.0 Hz, 1H), 7.24-7.21 (m, 2H), 6.95 (d, J = 9.2 Hz, 1H), 5.25 (d, J = 4.8 Hz, 1H), 5.05 (s, 1H), 4.51-4.47 (m, 1H), 3.75 (s, 3H), 3.24-3.17 (m, 2H), 1.77-1.72 (m, 2H), 1.61-1.42 (m, 8H), 0.89 (t, J = 7.0 Hz, 6H).
단계 4: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3-히드록시-3-프로필헥스-1-이닐)-4-메톡시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탈보호화하여 4-((5-(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2-메톡시페닐)에티닐)헵탄-4-올을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53 g, 76%): 1H NMR (400 MHz, DMSO-d 6) δ 7.22-7.19 (m, 2H), 6.92 (d, J = 8.4 Hz, 1H), 5.06 (bs, 1H), 4.58-4.55 (m, 1H), 3.74 (s, 3H), 2.63-2.51 (m, 2H), 1.64-1.42 (m, 10H), 0.89 (t, J = 7.0 Hz, 6H).
단계 5. 실시예 140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4-((5-(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2-메톡시페닐)에티닐)헵탄-4-올의 수소화에 의해, 실시예 144 를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1 g,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7.05-7.02 (m, 2H), 6.81 (d, J = 8.0 Hz, 1H), 4.55-4.52 (m, 1H), 3.84 (bs, 1H), 3.71 (s, 3H), 2.64-2.61 (m, 2H), 2.47-2.43 (m, 2H), 1.65-1.53 (m, 2H), 1.50-1.45 (m, 2H), 1.39-1.21 (m, 8H), 0.85 (t, J = 6.8 Hz, 6H).
실시예 145
4-(5-(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2-메틸페네틸)헵탄-4-올의 제조
Figure pat00315
4-(5-(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2-메틸페네틸)헵탄-4-올을 실시예 140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아세토니트릴로의 3-브로모-4-메틸벤즈알데하이드의 알킬화에 의해, 3-(3-브로모-4-메틸페닐)-3-히드록시프로판니트릴을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5.1 g, 94%): 1H NMR (400 MHz, DMSO-d 6) δ 7.59 (d, J = 1.2 Hz, 1H), 7.31 (d, J = 8.0 Hz, 1H), 7.28 (dd, J = 8.0 Hz, 1.2, 1H), 5.99 (d, J = 4.8 Hz, 1H), 4.87-4.84 (m, 1H), 2.88 ( ABd, J = 16.8, 4.8 Hz, 1H), 2.80 (ABd, J = 16.8, 6.8 Hz, 1H), 2.30 (s, 3H).
단계 2: BH3-THF 로의 3-(3-브로모-4-메틸페닐)-3-히드록시프로판니트릴의 환원 후 아민의 보호에 의해, N-(3-(3-브로모-4-메틸페닐)-3-히드록시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맑은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4.12 g, 57%): 1H NMR (400 MHz, DMSO-d 6) δ 9.31 (bs, 1H), 7.50 (d, J = 1.6 Hz, 1H), 7.27 (d, J = 8.4 Hz, 1H), 7.20 (dd, J = 8.4, 1.6 Hz, 1H), 5.38 (d, J = 4.4 Hz, 1H), 4.56-4.52 (m, 1H), 3.28-3.14 (m, 2H), 2.25 (s, 3H), 1.83-1.75 (m, 2H).
단계 3: N-(3-(3-브로모-4-메틸페닐)-3-히드록시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4-에티닐헵탄-4-올과 커플링시켜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3-히드록시-3-프로필헥스-1-이닐)-4-메틸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86 g, 28%): 1H NMR (400 MHz, DMSO-d 6) δ 9.31 (t, J = 5.2 Hz, 1H), 7.27 (s, 1H), 7.18 (d, J = 7.6 Hz, 1H), 7.16 (dd, J = 7.6, 1.8 Hz, 1H), 5.30 (d, J = 4.8 Hz, 1H), 5.10 (s, 1H), 4.54-4.50 (m, 1H), 3.25-3.14 (m, 2H), 2.30 (s, 3H), 1.78-1.72 (m, 2H), 1.63-1.36 (m, 8H), 0.89 (t, J = 7.2 Hz, 6H).
단계 4: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3-히드록시-3-프로필헥스-1-이닐)-4-메틸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탈보호화하여 4-((5-(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2-메틸페닐)에티닐)헵탄-4-올을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61 g, 76%):1H NMR (400 MHz, DMSO-d 6) δ 7.25 (s, 1H), 7.17-7.12 (m, 2H), 5.11 (bs, 1H), 4.59 (t, J = 6.4 Hz, 1H), 2.64-2.52 (m, 2H), 2.30 (s, 3H), 1.73-1.42 (m, 10H), 0.89 (t, J = 7.2 Hz, 6H)
단계 5: 4-((5-(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2-메틸페닐)에티닐)헵탄-4-올의 수소화에 의해, 실시예 145 를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1 g,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7.02-6.99 (m, 2H), 6.96 (dd, J = 8.0, 1.6 Hz, 1H), 4.57-4.54 (m, 1H), 3.96 (bs, 1H), 2.65-2.54 (m, 2H), 2.50-2.47 (m, obs., 2H), 2.19 (s, 3H), 1.63-1.53 (m, 2H), 1.47-1.43 (m, 2H), 1.37-1.22 (m, 8H), 0.86 (t, J = 7.2 Hz, 6H).
실시예 146
4-(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5-메톡시페네틸)헵탄-4-올의 제조
Figure pat00316
4-(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5-메톡시페네틸)헵탄-4-올을 실시예 140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아세토니트릴로의 3-브로모-5-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의 알킬화에 의해, 3-(3-브로모-5-메톡시페닐)-3-히드록시프로판니트릴을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4.1 g, 70%): 1H NMR (400 MHz, DMSO-d 6) δ 7.16-7.15 (m, 1H), 7.04-7.03 (m, 1H), 6.97-6.96 (m, 1H), 6.04 (d, J = 4.8 Hz, 1H), 4.87-4.83 (m, 1H), 3.74 (s, 3H), 2.89 (ABd, J = 16.4, 5.2 Hz, 1H), 2.81 (ABd, J = 16.8, 6.8 Hz, 1H).
단계 2: BH3-THF 로의 3-(3-브로모-5-메톡시페닐)-3-히드록시프로판니트릴의 환원 후 아민의 보호에 의해, N-(3-(3-브로모-5-메톡시페닐)-3-히드록시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맑은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3.9 g, 68%): 1H NMR (400 MHz, DMSO-d 6) δ 9.30 (bs, 1H), 7.07 (t, J = 1.2 Hz, 1H), 6.98-6.97 (m, 1H), 6.88-6.87 (m, 1H), 5.44 (d, J = 4.8 Hz, 1H), 4.56-4.51 (m, 1H), 3.74 (m, 3H), 3.27-3.15 (m, 2H), 1.96-1.70 (m,2H).
단계 3: N-(3-(3-브로모-5-메톡시페닐)-3-히드록시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알킨올 20 과 커플링시켜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3-히드록시-3-프로필헥스-1-이닐)-5-메톡시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96 g, 66%): 1H NMR (400 MHz, DMSO-d 6) δ 9.31 (t, J = 4.8 Hz, 1H), 6.91 (s, 1H), 6.86-6.85 (m, 1H), 6.73-6.72 (m, 1H), 5.36 (d, J = 4.8 Hz, 1H), 5.11 (s, 1H), 4.55-4.50 (m, 1H), 3.73 (s, 3H), 3.27-3.16 (m, 2H), 1.81-1.69 (m, 2H), 1.61-1.39 (m, 8H), 0.89 (t, J = 7.2 Hz, 6H).
단계 4: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3-(3-히드록시-3-프로필헥스-1-이닐)-5-메톡시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탈보호화하여 4-((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5-메톡시페닐)에티닐)헵탄-4-올을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63 g, 86%: 1H NMR (400 MHz, DMSO-d 6) δ 6.89 (s, 1H), 6.84-6.83 (m, 1H), 6.70-6.69 (m, 1H), 5.12 (bs, 1H), 4.60 (t, J = 6.2 Hz, 1H), 3.72 (s, 3H), 2.60-2.53 (m, 2H), 1.61-1.39 (m, 10H), 0.89 (t, J = 7.2 Hz, 6H).
단계 5: 4-((5-(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2-메틸페닐)에티닐)헵탄-4-올의 수소화에 의해, 실시예 146 을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0 g,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6.81 (s, 1H), 6.65 (s, 1H), 6.54 (s, 1H), 4.56 (t, J = 6.4 Hz, 1H), 3.94 (bs, 1H), 3.69 (s, 3H), 2.66-2.58 (m, 2H), 2.48-2.44 (m, obs., 2H), 1.60 (q, J = 6.8 Hz, 2H), 1.55-1.51 (m, 2H), 1.34-1.22 (m, 8H), 0.84 (t, J = 7.2 Hz, 6H).
실시예 147
4-(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4-클로로페네틸)헵탄-4-올의 제조
Figure pat00317
4-(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4-클로로페네틸)헵탄-4-올을 실시예 140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아세토니트릴로의 5-브로모-2-클로로벤즈알데하이드의 알킬화에 의해, 3-(5-브로모-2-클로로페닐)-3-히드록시프로판니트릴을 담황색 액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4.42 g, 75%): 1H NMR (400 MHz, DMSO-d 6) δ 7.74 (d, J = 2.8 Hz, 1H), 7.53 (dd, J = 8.8, 2.8 Hz, 1H), 7.39 (d, J = 8.8 Hz, 1H), 6.30 (d, J = 4.8 Hz, 1H), 5.13-5.09 (m, 1H), 2.96 (ABd, J =16.8, 4.8 Hz, 1H), 2.83 (ABd, J = 17.0, 6.0 Hz, 1H).
단계 2: BH3-THF 로의 3-(5-브로모-2-클로로페닐)-3-히드록시프로판니트릴의 환원 후 아민의 보호에 의해, N-(3-(5-브로모-2-클로로페닐)-3-히드록시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오렌지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2.6 g, 43%): 1H NMR (400 MHz, DMSO-d 6) δ 9.42 (bs, 1H), 7.67 (d, J = 2.4 Hz, 1H), 7.45 (dd, J = 8.8, 2.4 Hz, 1H), 7.33 (d, J = 8.8 Hz, 1H), 5.64 (d, J = 4.4 Hz, 1H), 3.33-3.29 (m, 2H), 1.96-1.80 (m, 1H), 1.68-1.59 (m, 1H).
단계 3: N-(3-(5-브로모-2-클로로페닐)-3-히드록시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4-에티닐헵탄-4-올과 커플링시켜 N-(3-(2-클로로-5-(3-히드록시-3-프로필헥스-1-이닐)페닐)-3-히드록시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03 g, 68%): 1H NMR (400 MHz, DMSO-d 6) δ 9.42 (t, J = 5.6 Hz, 1H), 7.53 (d, J = 2.0 Hz, 1H), 7.34 (d, J = 8.0 Hz, 1H), 7.23 (dd, J = 8.0 Hz, 2.0, 1H), 5.57 (d, J = 4.0 Hz, 1H), 5.17 (s, 1H), 4.87-4.82 (m, 1H), 3.33-3.28 (m, 2H), 1.87-1.79 (m, 1H), 1.66-1.39 (m, 9H), 0.89 (t, J = 7.2 Hz, 6H).
단계 4: N-(3-(2-클로로-5-(3-히드록시-3-프로필헥스-1-이닐)페닐)-3-히드록시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탈보호화하여 4-((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4-클로로페닐)에티닐)헵탄-4-올을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77 g, 98%): 1H NMR (400 MHz, DMSO-d 6) δ 7.53 (d, J = 2.4 Hz, 1H), 7.34 (d, J = 8.0 Hz, 1H), 7.23 (dd, J J = 8.0, 2.4 Hz, 1H), 5.17 (bs, 1H), 4.93 (dd, J = 8.8, 2.4 Hz, 1H), 2.72-2.63 (m, 2H), 1.70-1.62 (m, 1H), 1.59-1.39 (m, 9H), 0.89 (t, J = 7.2 Hz, 6H).
단계 5: 실시예 140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4-((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4-클로로페닐)에티닐)헵탄-4-올의 수소화에 의해, 실시예 147 을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1 g,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7.37 (d, J = 2.4 Hz, 1H), 7.21 (d, J = 8.0 Hz, 1H), 7.03 (dd, J = 8.0, 2.4 Hz, 1H), 4.94-4.91 (m, 1H), 3.99 (bs, 1H), 2.72 (t, J = 7.0 Hz, 2H), 2.53-2.49 (m, 2H), 1.74-1.66 (m, 1H), 1.58-1.49 (m, 3H), 1.35-1.20 (m, 8H), 0.84 (t, J = 6.8 Hz, 6H).
실시예 148
4-(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4-메틸페네틸)헵탄-4-올의 제조
Figure pat00318
4-(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4-메틸페네틸)헵탄-4-올을 실시예 140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아세토니트릴에 5-브로모-2-메틸벤즈알데하이드를 첨가하여 3-(5-브로모-2-메틸페닐)-3-히드록시프로판니트릴을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3.33 g, 86%): 1H NMR (400 MHz, DMSO-d 6) δ 7.61 (d, J = 2.0 Hz, 1H), 7.35 (dd, J = 8.0, 2.0 Hz, 1H), 7.09 (d, J = 8.0 Hz, 1H), 5.96 (d, J = 4.4 Hz, 1H), 5.04-5.00 (m, 1H), 2.88 (ABd, J = 16.8, 4.4 Hz, 1H), 2.77 (ABd, J = 16.8, 6.4 Hz, 1H), 2.23 (s, 3H).
단계 2: BH3-THF 로의 3-(3-브로모-2-메틸페닐)-3-히드록시프로판니트릴의 환원 후 아민의 보호에 의해, N-(3-(3-브로모-2-메틸페닐)-3-히드록시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3.25 g, 69%): 1H NMR (400 MHz, DMSO-d 6) δ 9.38 (bs, 1H), 7.53 (d, J = 2.4 Hz, 1H), 7.28 (dd, J = 8.0, 2.4 Hz, 1H), 7.05 (d, J = 8.0 Hz, 1H), 4.73-4.70 (m, 1H), 3.36-3.26 (m, 2H), 2.17 (s, 3H), 1.79-1.71 (m, 1H), 1.68-1.59 (m, 1H).
단계 3: N-(3-(3-브로모-2-메틸페닐)-3-히드록시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4-에티닐헵탄-4-올과 커플링시켜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5-(3-히드록시-3-프로필헥스-1-이닐)-2-메틸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11 g, 62%): 1H NMR (400 MHz, DMSO-d 6) δ 9.38 (t, J = 5.2 Hz, 1H), 7.41 (d, J = 1.6 Hz, 1H), 7.11 (dd, J = 8.0, 1.6 Hz, 1H), 7.07 (d, J = 8.0 Hz, 1H), 5.26 (d, J = 4.4 Hz, 1H), 5.08 (s, 1H), 4.74-4.70 (m, 1H), 3.35-3.25 (m, 2H), 2.21 (s, 3H), 1.78-1.70 (m, 2H), 1.68-1.40 (m, 8H), 0.89 (t, J = 7.2 Hz, 6H).
단계 4: 2,2,2-트리플루오로-N-(3-히드록시-3-(5-(3-히드록시-3-프로필헥스-1-이닐)-2-메틸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탈보호화하여 4-((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4-메틸페닐)에티닐)헵탄-4-올을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71 g, 85%):1H NMR (400 MHz, DMSO-d 6) δ 7.41 (d, J = 1.6 Hz, 1H), 7.08 (dd, J = 7.6, 1.4 Hz, 1H), 7.05 (d, J = 7.6 Hz, 1H), 5.09 (bs, 1H), 4.83-4.80 (m, 1H), 2.72-2.61 (m, 2H), 2.23 (s, 3H), 1.61-1.41 (m, 10H), 0.89 (t, J = 7.0 Hz, 6H).
단계 5: 실시예 140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4-((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4-메틸페닐)에티닐)헵탄-4-올의 수소화에 의해, 실시예 148 을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1 g,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7.22 (d, J = 1.6 Hz, 1H), 6.94 (d, J = 7.6 Hz, 1H), 6.87 (dd, J = 7.6, 1.6 Hz, 1H), 4.82-4.78 (m, 1H), 3.94 (bs, 1H), 2.74-2.64 (m, 2H), 2.47-2.43 (m, obs., 2H), 2.18 (s, 3H), 1.59-1.49 (m, 4H), 1.34-1.22 (m, 8H), 0.84 (t, J = 7.0 Hz, 6H).
실시예 149
1-(3-(3-아미노-2-히드록시프로필)페닐)-3-에틸펜탄-3-올의 제조
Figure pat00319
1-(3-(3-아미노-2-히드록시프로필)페닐)-3-에틸펜탄-3-올을 실시예 143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159 와 3-에틸펜트-1-인-3-올과의 커플링에 의해, N-(3-(3-(3-에틸-3-히드록시펜트-1-이닐)페닐)-2-히드록시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맑은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472 g, 66%): 1H NMR (400 MHz, DMSO-d 6) δ 9.32 (t, J = 5.6 Hz, 1H), 7.26-7.22 (m, 2H), 7.20-7.16 (m, 2H), 5.11 (s, 1H), 4.96 (d, J = 5.6 Hz, 1H), 3.80-3.74 (m, 1H), 3.21-3.07 (m, 2H), 2.68 (dd, J = 14.0, 4.8 Hz, 1H), 2.53 (dd, J = 13.6, 7.6 Hz, 1H), 1.66-1.52 (m, 4H), 0.96 (t, J = 7.2 Hz, 6H).
단계 2: N-(3-(3-(3-에틸-3-히드록시펜트-1-이닐)페닐)-2-히드록시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에 의해, N-(3-(3-(3-에틸-3-히드록시펜트-1-이닐)페닐)-2-히드록시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32 g, 69%): 1H NMR (400 MHz, DMSO-d 6) δ 7.24-7.20 (m, 2H), 7.17-7.15 (m, 2H), 5.11 (bs, 1H), 4.55 (bs, 1H), 3.51-3.45 (m, 1H), 2.67 (dd, J = 13.6, 5.2 Hz, 1H), 2.51 (dd, J = 13.6, 7.6 Hz, 1H), 2.45 (obs dm, J = 4 4 Hz, 1H), 2.37 (dd, J = 12.8, 6.8 Hz, 1H), 1.66-1.52 (m, 4H), 0.96 (t, J = 7.2 Hz, 6H).
단계 3: 실시예 140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N-(3-(3-(3-에틸-3-히드록시펜트-1-이닐)페닐)-2-히드록시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의 수소화에 의해, 실시예 149 를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83 g,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7.12 (t, J = 7.6 Hz, 1H), 6.99 (s, 1H), 6.97-6.95 (m, 2H), 3.91 (bs, 1H), 3.54-3.47 (m, 1H), 2.62 (dd, J = 13.6, 5.6 Hz, 1H), 2.53 (dd, obs., 1H), 2.48-2.45 (m, obs., 3H), 2.37 (dd, J = 12.8, 7.2 Hz, 1H), 1.54-1.50 (m, 2H), 1.37 (q, J = 7.6 Hz, 4H), 0.79 (t, J = 7.6 Hz, 6H).
실시예 150
1-(3-(3-아미노-2-히드록시프로필)페네틸)시클로펜탄올의 제조
Figure pat00320
1-(3-(3-아미노-2-히드록시프로필)페네틸)시클로펜탄올을 실시예 149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159 와 1-에티닐시클로펜탄올과의 커플링에 의해, 2,2,2-트리플루오로-N-(2-히드록시-3-(3-((1-히드록시시클로펜틸)에티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맑은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441 g, 62%): 1H NMR (400 MHz, DMSO-d 6) δ 9.32 (t, J = 5.6 Hz, 1H), 7.26-7.22 (m, 2H), 7.19-7.16 (m, 2H), 5.26 (bs, 1H), 4.97 (bs, 1H), 3.78 (bs, 1H), 3.20-3.06 (m, 2H), 2.67 (dd, J = 14.0, 4.8 Hz, 1H), 2.53 (dd, J = 13.6, 7.6 Hz, 1H), 1.91-1.79 (m, 4H), 1.76-1.60 (m, 4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2-히드록시-3-(3-((1-히드록시시클로펜틸)에티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에 의해, 1-((3-(3-아미노-2-히드록시프로필)페닐)에티닐)시클로펜탄올을 담황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17 g, 69%): 1H NMR (400 MHz, DMSO-d 6) δ 7.24-7.20 (m, 2H), 7.17-7.15 (m, 2H), 5.26 (bs, 1H), 4.55 (bs, 1H), 3.51-3.45 (m, 1H), 2.66 (dd, J = 13.6, 5.2 Hz, 1H), 2.51 (dd, J = 13.6, 8.0 Hz, 1H), 2.45 (obs dm, J = 4 4 Hz, 1H), 2.36 (dd, J = 12.8, 6.8 Hz, 1H), 1.91-1.80 (m, 4H), 1.76-1.60 (m, 4H).
단계 3: 1-((3-(3-아미노-2-히드록시프로필)페닐)에티닐)시클로펜탄올의 수소화에 의해, 실시예 150 을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1 g,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7.12 (t, J = 7.4 Hz, 1H), 7.00 (s, 1H), 6.97-6.95 (m, 2H), 4.07 (bs, 1H), 3.57-3.45 (m, 1H), 2.62-2.58 (m, 3H), 2.52 (dd, J = 13.2, 7.2 Hz, 1H), 2.49 (dd, obs., 1H), 2.36 (dd, J = 12.8, 6.8 Hz, 1H), 1.72-1.67 (m, 4H), 1.57-1.40 (m, 6H).
실시예 151
1-(3-(3-아미노프로필)페닐)-2-시클로헥실에타논의 제조
Figure pat00321
1-(3-(3-아미노프로필)페닐)-2-시클로헥실에타논을 반응식 32 에 제시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32
Figure pat00322
단계 1: 브로모메틸시클로헥산 (5.26 g, 29.7 mmoles) 을 아르곤하에서 I2 의 결정을 함유하는 무수 THF 중의 Mg 터닝스 (0.72 g, 29.7 mmoles) 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3 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0℃ 로 냉각된 무수 THF 중의 3-브로모벤즈알데하이드 (30) (5.0 g, 27.0 mmoles) 의 교반 용액에 주사기를 통해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포화 NH4Cl 과 EtOAc 을 첨가하여 분액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 로 건조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EtOAc/헥산) 에 의한 정제에 의해, 알코올 162 를 맑은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2.72 g, 36%): 1H NMR (400 MHz, DMSO-d 6) δ 7.47 (t, J = 1.6 Hz, 1H), 7.37 (dt, J = 7.2, 2.0 Hz, 1H), 7.28-7.21 (m, 2H), 5.17 (d, J = 5.2 Hz, 1H), 4.59- 4.54 (m, 1H), 1.76 (d, J = 12.8 Hz, 1H), 1.64-1.56 (m, 4H), 1.49-1.27 (m, 3H), 1.21-1.06 (m, 3H), 0.93-0.80 (m, 2H).
단계 2: 실시예 154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브로마이드 162tert-부틸 프로프-2-이닐카르바메이트의 헥 커플링에 의해, (E)-알켄 163 을 맑은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07 g, 48%): 1H NMR (400 MHz, DMSO-d 6) δ 7.29 (s, 1H), 7.24-7.19 (m, 2H), 7.14-7.12 (m, 1H), 7.14 (t, J = 5.6 Hz, 1H), 6.41 (d, J = 16.0 Hz, 1H), 6.16 (dt, J = 16.0, 5.6 Hz, 1H), 5.01 (d, J = 4.4 Hz, 1H), 4.57-4.53 ( m, 1H), 3.69 (t, J = 5.2 Hz, 2H), 1.74 (d, J = 12.8 Hz, 1H), 1.66-1.42 (m, 5H), 1.40-1.28 (m, 11H), 1.21-1.04 (m, 3H), 0.92-0.84 (m, 2H).
단계 3: 반응을 EtOAc 에서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E)-알켄 163 의 수소화에 의해, 알칸 164 를 맑은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97 g,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7.17 (t, = 7.2 Hz, 1H), 7.11-7.06 (m, 2H), 6.99 (d, J = 7.6 Hz, 1H), 6.82 (t, J = 5.2 Hz, 1H), 4.96 (d, J = 4.4 Hz, 1H), 4.55-4.51 (m, 1H), 2.90 (m, 2H), 2.52-2.46 (m, obs., 2H), 1.74 (d, J = 12.4 Hz, 1H), 1.66-1.51 (m, 6H), 1.50-1.43 (m,1H), 1.40-1.27 (m, 11H), 1.21-1.06 (m, 3H), 0.91-0.82 (m, 2H).
단계 4: 실시예 70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알코올 164 의 PCC 산화에 의해, 케톤 165 를 맑은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34 g, 74%): 1H NMR (400 MHz, DMSO-d 6) δ 7.75-7.72 (m, 2H), 7.43 (dt, J = 8.0, 1.6 Hz, 1H), 7.39 (t, J = 7.6 Hz, 1H), 6.84 (t, J = 5.2 Hz, 1H), 2.93-2.88 (m, 2H), 2.84 (d, J = 6.4 Hz, 2H), 2.60 (t, J = 7.6 Hz, 2H), 1.86-1.77 (m, 1H), 1.70-1.56 (m, 7H), 1.35 (s, 9H), 1.24-1.07 (m, 3H), 1.00-0.91 (m, 2H).
단계 5: tert-부틸 3-(3-(2-시클로헥실아세틸)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 (165) (0.124 g, 0.345 mmole) 를 EtOAc 에 용해하고 빙수조에서 냉각시켰다. HCl 기체를 용액 내에 2 분 동안 버블링시키고 0℃ 에서 2 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백색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EtOAc 로 세정하고, 진공하에서 건조시켜 실시예 153 히드로클로라이드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7 g, 69%): 1H NMR (400 MHz, DMSO-d 6) δ 7.95 (br.s, 3H), 7.80-7.77 (m, 2H), 7.48-7.41 (m, 2H), 2.84 (d, J = 6.8 Hz, 2H), 2.77-2.68 (m, 4H), 1.89-1.77 (m, 3H), 1.66-1.56 (m, 5H), 1.25-1.05 (m, 3H), 1.01-0.91 (m, 2H).
실시예 152
1-(3-(3-아미노-2-히드록시프로필)페네틸)시클로헥산올의 제조
Figure pat00323
1-(3-(3-아미노-2-히드록시프로필)페네틸)시클로헥산올을 실시예 149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159 와 1-에티닐시클로헥산올과의 커플링에 의해, 2,2,2-트리플루오로-N-(2-히드록시-3-(3-((1-히드록시시클로헥실)에티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맑은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48 g, 65%): 1H NMR (400 MHz, DMSO-d 6) δ 9.32 (t, J = 5.6 Hz, 1H), 7.26-7.22 (m, 2H), 7.20-7.16 (m, 2H), 5.37 (s, 1H), 4.97 (d, J = 5.6 Hz, 1H), 3.82-3.75 (m, 1H), 3.21-3.07 (m, 2H), 2.66 (dd, J = 14.0, 4.8 Hz, 1H), 2.55 (dd, J = 13.6, 7.8 Hz, 1H), 1.83-1.79 (m, 2H), 1.63-1.60 (m, 2H), 1.54-1.44 (m, 5H), 1.23-1.18 (m, 1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2-히드록시-3-(3-((1-히드록시시클로헥실)에티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에 의해, 1-((3-(3-아미노-2-히드록시프로필)페닐)에티닐)시클로헥산올을 담황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27 g, 65%): 1H NMR (400 MHz, DMSO-d 6) δ 7.25-7.21 (m, 2H), 7.18-7.15 (m, 2H), 5.37 (bs, 1H), 4.59 (bs, 1H), 3.53-3.47 (m, 1H), 2.67 (dd, J = 13.6, 5.2 Hz, 1H), 2.51 (dd, J = 13.6, 7.6 Hz, 1H), 2.48 (obs m, 1H), 2.38 (dd, J = 12.8, 6.8 Hz, 1H), 1.83-1.77 (m, 2H), 1.63-1.60 (m, 2H), 1.54-1.45 (m, 5H), 1.23-1.18 (m, 1H).
단계 3: 1-((3-(3-아미노-2-히드록시프로필)페닐)에티닐)시클로헥산올의 수소화에 의해, 실시예 152 를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2 g,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7.12 (t, J = 7.2 Hz, 1H), 6.99-6.94 (m, 3H), 3.96 (bs, 1H), 3.53-3.47 (m, 1H), 2.61 (dd, J = 13.2, 5.6 Hz, 1H), 2.61-2.46 (m, obs., 4H), 2.37 (dd, J = 12.8, 7.2 Hz, 1H), 1.59-1.51 (m, 4H), 1.48-1.40 (m, 3H), 1.37-1.27 (m, 4H), 1.23-1.15 (m, 1H).
실시예 153
2-(3-(3-아미노프로필)페닐)-1-시클로헥실에타논의 제조
Figure pat00324
2-(3-(3-아미노프로필)페닐)-1-시클로헥실에타논을 실시예 151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시클로헥산카르브알데히드와 3-브로모벤질 마그네슘 브로마이드 (에테르 중 0.25 M) 사이의 그리냐르 반응에 의해, 2-(3-브로모페닐)-1-시클로헥실에탄올을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62 g, 23%): 1H NMR (400 MHz, DMSO-d 6) δ 7.39 (d, J = 0.8 Hz, 1H), 7.34-7.31 (m, 1H), 7.20-7.17 (m, 2H), 4.37 (d, J = 6.0 Hz, 1H), 3.38-3.32 (m, 1H), 2.69 (dd, J = 13.6, 3.6 Hz, 1H), 2.51-2.45 (dd, obs., 1H), 1.78-1.60 (m, 5H), 1.24-0.94 (m, 6H).
단계 2: 2-(3-브로모페닐)-1-시클로헥실에탄올과 tert-부틸 프로프-2-이닐카르바메이트와의 헥 커플링에 의해, (E)-tert-부틸 3-(3-(2-시클로헥실-2-히드록시에틸)페닐)알릴카르바메이트를 맑은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62 g, 45%): 1H NMR (400 MHz, DMSO-d 6) δ 7.20 (s, 1H), 7.18-7.14 (m, 2H), 7.05-7.03 (m, 2H), 6.38 (d, J = 16.0 Hz, 1H), 6.14 (dt, J = 16.0, 5.8 Hz, 1H), 4.29 (d, J = 6.0 Hz, 1H), 3.68 (t, J = 6.2 Hz, 2H), 2.67 (dd, J = 13.6, 4.4 Hz, 1H), 2.50 (dd, obs., 1H), 1.78-1.57 (m, 5H), 1.37 (s, 9H), 1.21-0.99 (m, 6H).
단계 3: (E)-tert-부틸 3-(3-(2-시클로헥실-2-히드록시에틸)페닐)알릴카르바메이트의 수소화에 의해, tert-부틸 3-(3-(2-시클로헥실-2-히드록시에틸)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맑은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56 g,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7.12 (t, J = 7.4, 1H), 6.99-6.94 (m, 3H), 6.82 (t, J = 5.2 Hz, 1H), 4.26 (d, J = 5.6 Hz, 1H), 3.40-3.34 (m, 1H), 2.89 (q, J = 6.6 Hz, 2H), 2.64 (dd, J = 13.6, 4.4 Hz, 1H), 2.50 (m, obs., 3H), 1.78-1.58 (m, 7H), 1.35 (s, 9H), 1.19-0.96 (m, 6H).
단계 4: tert-부틸 3-(3-(2-시클로헥실-2-히드록시에틸)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의 PCC 산화에 의해, tert-부틸 3-(3-(2-시클로헥실-2-옥소에틸)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맑은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54 g, 73%): 1H NMR (400 MHz, DMSO-d 6) δ 7.17 (t, J = 7.6 Hz, 1H), 7.02 (d, J = 8.0 Hz, 1H), 6.93-6.93 (m, 2H), 6.82 (t, J = 5.2 Hz, 1H), 3.73 (s, 2H), 2.89 (q, J = 6.4 Hz, 2H), 2.51-2.42 (m, obs., 3H), 1.77-1.74 (m, 2H), 1.67-1.56 (m, 5H), 1.35 (s, 9H), 1.20-1.08 (m, 5H).
단계 5: tert-부틸 3-(3-(2-시클로헥실-2-옥소에틸)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의 탈보호에 의해, 실시예 153 히드로클로라이드를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62 g, 80%): 1H NMR (400 MHz, DMSO-d 6) δ 8.04 (br.s, 3H), 7.20 (t, J = 7.6 Hz, 1H), 7.05 (d, J = 8.0 Hz, 1H), 6.98-6.96 (m, 2H), 3.75 (s, 2H), 2.76-2.69 (m, 2H), 2.59 (t, J = 7.8 Hz, 2H), 2.49-2.43 (m, obs, 1H), 1.85-1.75 (m, 4H), 1.69-1.65 (m, 2H), 1.59-1.56 (m, 1H), 1.27-1.08 (m, 5H).
실시예 154
1-(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5-플루오로페네틸)시클로헥산올의 제조
Figure pat00325
1-(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5-플루오로페네틸)시클로헥산올을 실시예 2, 16, 17, 19118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실시예 16 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3-브로모-5-플루오로벤즈알데하이드와 아세토니트릴과의 반응에 의해, 3-브로모-5-플루오로벤즈알데하이드를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2.5 g, 86%): 1H NMR (400 MHz, CDCl3) δ 7.34 (t, J = 1.6 Hz, 1H), 7.23 (dt, J = 8.0, 1.6 Hz, 1H), 7.08-7.11 (m, 1H), 5.03 (t, J = 6.4 Hz, 1H), 2.75 (d, J = 6.0 Hz, 2H).
단계 2: 실시예 17 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보란-디메틸 술피드 착물을 사용하는 3-브로모-5-플루오로벤즈알데하이드의 환원 후 실시예 19 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에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로의 보호에 의해, N-(3-(3-브로모-5-플루오로페닐)-3-히드록시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연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0 g, 30%): 1H NMR (400 MHz, DMSO-d 6) δ 9.30 (t, J = 5.6 Hz, 1H), 7.34-7.38 (m, 2H), 7.17 (dt, J = 9.6, 1.6 Hz, 1H), 5.57 (d, J = 4.4 Hz, 1H), 4.57-4.62 (m, 1H), 3.14-3.30 (m, 2H), 1.70-1.86 (m, 2H).
단계 3: 테트라부틸 암모늄 아세테이트 (1.0 g) 및 DMF (1 ㎖) 중의 N-(3-(3-브로모-5-플루오로페닐)-3-히드록시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0.58 g, 1.57 mmol), 1-비닐시클로헥산올 (0.3 g, 2.38 mmol) 및 팔라듐 아세테이트 (0.03 g, 0.12 mmol) 의 혼합물을 90℃ 에서 1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한 후, 반응 혼합물에 물 (40 ㎖) 과 에틸 아세테이트 (60 ㎖) 를 첨가하여 분액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을 Na2SO4 로 건조시켰다. 크로마토그래피 (40 → 60% EtOAc-헥산 구배) 에 의한 정제에 의해, (E)-2,2,2-트리플루오로-N-(3-(3-플루오로-5-(2-(1-히드록시시클로헥실)비닐)페닐)-3-히드록시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5 g, 54%): H NMR (400 MHz, DMSO-d 6) δ 9.32 (t, J = 5.6 Hz, 1H), 6.94-7.18 (m, 3H), 6.41-6.53 (m, 2H), 5.42 (d, J = 4.4 Hz, 1H), 4.54-4.60 (m, 1H), 3.18-3.26 (m, 2H), 1.72-1.86 (m, 2H), 1.38-1.66 (m, 10H).
단계 4: 실시예 2 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E)-2,2,2-트리플루오로-N-(3-(3-플루오로-5-(2-(1-히드록시시클로헥실)비닐)페닐)-3-히드록시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에 의해, (E)-1-(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5-플루오로스티릴)시클로헥산올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65 g, 43%): 1H NMR (400 MHz, MeOD) δ 7.19 (s, 1H), 7.00 (dt, J = 9.6, 2.0 Hz, 1H), 6.94 (dt, J = 9.6, 1.6 Hz, 1H), 6.58 (d, J = 16.4 Hz, 1H), 6.39 (d, J = 16.4 Hz, 1H), 4.72 (t, J = 6.0 Hz, 1H), 2.70-2.80 (m, 2H), 1.50-1.88 (m, 10H).
단계 5: 실시예 2 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E)-1-(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5-플루오로스티릴)시클로헥산올의 수소화에 의해, 실시예 154 를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고, 이것을 MeOH 에 용해하고 HCl/EtOH 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EtOAc 에 재현탁하고,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여 실시예 154 히드로클로라이드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5 g, 90%): 1H NMR (400 MHz, DMSO-d 6) δ 7.88 (bs, 3H), 6.98 (s, 1H), 6.86-6.93 (m, 2H), 5.60 (d, J = 4.0 Hz, 1H), 4.66 (t, J = 4.0 Hz, 1H), 2.74-2.84 (m, 2H), 2.58-2.62 (m, 2H), 1.72-1.90 (m, 2H), 1.10-1.58 (m, 13H).
실시예 155
1-(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2-플루오로페네틸)시클로헥산올의 제조
Figure pat00326
1-(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2-플루오로페네틸)시클로헥산올을 실시예 154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3-브로모-2-플루오로벤즈알데하이드와 아세토니트릴과의 반응에 의해, 3-(3-브로모-2-플루오로페닐)-3-히드록시프로판니트릴을 연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54 (t, J = 7.2 Hz, 2H), 7.11 (td, J = 7.6, 0.4 Hz, 1H), 5.37 (dd, J = 6.8, 4.4 Hz, 1H), 2.73-2.91 (m, 2H).
단계 2: 보란-디메틸술피드 착물을 사용하는 3-(3-브로모-2-플루오로페닐)-3-히드록시프로판니트릴의 환원에 의해, N-(3-(3-브로모-2-플루오로페닐)-3-히드록시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연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 g, 44%): 1H NMR (400 MHz, DMSO-d 6) δ 7.54-7.58 (m, 1H), 7.45-7.49 (m, 1H), 7.12-7.17 (m, 1H), 4.86 (dd, J = 6.8, 4.4 Hz, 1H), 3.27 (t, J = 7.2 Hz, 2H), 1.73-1.86 (m, 2H).
단계 3: N-(3-(3-브로모-2-플루오로페닐)-3-히드록시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와 1-비닐시클로헥산올과의 커플링에 의해, (E)-2,2,2-트리플루오로-N-(3-(2-플루오로-3-(2-(1-히드록시시클로헥실)비닐)페닐)-3-히드록시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3 g, 54%): 1H NMR (400 MHz, CD3OD) δ 7.42 (td, J = 7.6, 1.2 Hz, 1H), 7.36 (td, J = 7.2, 1.2 Hz, 1H), 7.11 (t, J = 8.0 Hz, 1H), 6.76 (d, J = 16 Hz, 1H), 6.42 (d, J = 16 Hz, 1H), 5.02 (dd, J = 6.8, 4.4 Hz, 1H), 3.41 (t, J = 7.2 Hz, 2H), 1.73-2.00 (m, 2H), 1.50-1.78 (m, 9H), 1.30-1.40 (m, 1H).
단계 4: (E)-2,2,2-트리플루오로-N-(3-(2-플루오로-3-(2-(1-히드록시시클로헥실)비닐)페닐)-3-히드록시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에 의해, (E)-1-(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2-플루오로스티릴)시클로헥산올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5 g, 56%). 1H NMR (400 MHz, DMSO-d 6) δ 7.39 (t, J = 6.8 Hz, 1H), 7.29 (t, J = 6.4 Hz, 1H), 7.09 (t, J = 7.6 Hz, 1H), 6.62 (d, J = 16 Hz, 1H), 6.42 (d, J = 16 Hz, 1H), 4.88 (t, J = 6.0 Hz, 1H), 2.57 (t, J = 7.2 Hz, 2H), 1.10-1.68 (m, 12H).
단계 5: (E)-1-(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2-플루오로스티릴)시클로헥산올의 수소화에 의해, 실시예 155 히드로클로라이드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45 g, 85%): 1H NMR (400 MHz, DMSO-d 6) δ 7.88 (br.s, 3H), 7.06-7.30 (m, 3H), 5.5 (br.s, 1H), 4.89-4.92 (m, 2H), 2.78-2.88 (m, 2H), 2.59-2.63 (m, 2H), 1.76-1.96 (m, 2H), 1.12-1.62 (m, 13H).
실시예 156
3-(3-(시클로헥실티오메틸)페닐)프로프-2-인-1-아민의 제조
Figure pat00327
3-(3-(시클로헥실티오메틸)페닐)프로프-2-인-1-아민을 하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아세톤 중의 시클로헥실메르캅탄 (1.09 ㎖, 8.89 mmol), 3-브로모벤질 브로마이드 (2.22 g, 8.882 mmol) 및 K2CO3 (2.54 g, 18.38 mmol) 의 혼합물을 아르곤하에 실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 20% EtOAc-헥산 구배) 에 의한 정제에 의해, (3-브로모벤질)(시클로헥실)술판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2.02 g, 80%); 1H NMR (400 MHz, CDCl3) δ 7.48 (t, J = 1.8 Hz, 1H), 7.33-7.37 (m, 1H), 7.22-7.26 (m, 1H), 7.16 (t, J = 7.8 Hz, 1H), 3.68 (s, 2H), tt, J = 3.33, 10.0 Hz, 1H), 1.87-1.96 (m, 2H), 1.69-1.77 (m, 2H), 1.53-1.61 (m, 1H), 1.18-1.38 (m, 5H).
단계 2. 실시예 139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3-브로모벤질)(시클로헥실)술판과 2,2,2-트리플루오로-N-(프로프-2-이닐)아세트아미드 사이의 소노가시라 커플링에 의해, N-(3-(3-(시클로헥실티오메틸)페닐)프로프-2-이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70 g, 35%); 1H NMR (400 MHz, DMSO-d 6) δ 10.0 (br t, 1H), 7.24-7.37 (m, 4H), 4.25 (d, J = 5.5 Hz, 2H), 3.72 (s, 2H), 2.48-2.53 (m, 1H), 1.79-1.87 (m, 2H), 1.58-1.65 (m, 2H), 1.45-1.52 (m, 1H), 1.12-1.27 (m, 5H).
단계 3. 실시예 138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N-(3-(3-(시클로헥실티오메틸)페닐)프로프-2-이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정제 (50% → 100% 의, 10% 7N NH3/MeOH/CH2Cl2 -CH2Cl2 구배) 에 의해, 실시예 156 을 연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57 g, 85%); 1H NMR (400 MHz, CD3OD) δ 7.35-7.37 (m, 1H), 7.20-7.29 (m, 3H), 3.70 (s, 2H), 3.58 (s, 2H), 2.46-2.54 (m, 1H), 1.86-1.92 (m, 2H), 1.67-1.75 (m, 2H), 1.53-1.60 (m, 1H), 1.20-1.34 (m, 5H); RP-HPLC (방법 2): 94.7% (AUC), t R = 7.08 분.
실시예 157
3-(3-(시클로헥실술포닐메틸)페닐)프로프-2-인-1-아민의 제조
Figure pat00328
3-(3-(시클로헥실술포닐메틸)페닐)프로프-2-인-1-아민을 실시예 135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실시예 135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N-(3-(3-(시클로헥실티오메틸)페닐)프로프-2-이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의 산화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정제 (20% → 70% EtOAc-헥산 구배) 에 의해, N-(3-(3-(시클로헥실술포닐메틸)페닐)프로프-2-이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56 g, 86%); 1H NMR (400 MHz, DMSO-d 6) δ 10.06 (br. t, J = 5.1 Hz, 1H), 7.35-7.45 (m, 4H), 4.42 (s, 2H), 4.26 (d, J = 5.5 Hz, 2H), 2.94 (tt, J = 3.3, 15.3 Hz, 1H), 2.02-2.08 (m, 2H), 1.74-1.82 (m, 2H), 1.56-1.63 (m, 1H), 1.30-1.42 (m, 2H), 1.07-1.30 (m, 3H).
단계 2. 실시예 138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N-(3-(3-(시클로헥실술포닐메틸)페닐)프로프-2-이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정제 (10% → 100% 의, 10% 7N NH3/MeOH/CH2Cl2 -CH2Cl2 구배) 에 의해, 실시예 157 을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66 g, 91%); 1H NMR (400 MHz, CD3OD) δ 7.45-7.48 (m, 1H), 7.40 (dt, J = 1.8, 7.2 Hz, 1H), 7.37 (dt, J = 1.8, 7.6 Hz, 1H), 7.33 (t, J = 7.4 Hz, 1H), 4.33 (s, 2H), 3.59 (s, 2H), 2.93 (tt, J = 3.3, 11.9 Hz, 1H), 2.10-2.20 (m, 2H), 1.85-1.93 (m, 2H), 1.66-1.73 (m, 1H), 1.45-1.57 (m, 2H), 1.16-1.37 (m, 3H); RP-HPLC (방법 2): 99.7% (AUC), t R = 5.56 분.
실시예 158
3-(3-(시클로헥실티오메틸)페닐)프로판-1-아민의 제조
Figure pat00329
3-(3-(시클로헥실티오메틸)페닐)프로판-1-아민을 실시예 135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실시예 2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실시예 157 의 수소화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정제 (10% → 100% 의, 10% 7N NH3/MeOH/CH2Cl2 -CH2Cl2 구배) 에 의해, 실시예 158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844 g, 91%); 1H NMR (400 MHz, CD3OD) δ 7.14-7.20 (m, 2H), 7.09-7.13 (m, 1H), 7.01-7.07 (m, 1H), 3.70 (s, 2H), 2.58-2.66 (m, 4H), 2.45-2.57 (m, 1H), 1.86-1.94 (m, 2H), 1.67-1.80 (m, 4H), 1.54-1.60 (m, 1H), 1.20-1.33 (m, 5H); RP-HPLC (방법 2): 92.8% (AUC), t R = 7.09 분; LC-MS (ESI+) 264.221 [M+H]+.
실시예 159
3-(3-(시클로헥실술포닐메틸)페닐)프로판-1-아민의 제조
Figure pat00330
3-(3-(시클로헥실술포닐메틸)페닐)프로판-1-아민을 하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실시예 2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N-(3-(3-(시클로헥실티오메틸)페닐)프로프-2-이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의 수소화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정제 (5% → 20% EtOAc-헥산 구배) 에 의해, N-(3-(3-(시클로헥실티오메틸)페닐)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21 g, 72%); 1H NMR (400 MHz, CDCl3) δ 7.20-7.26 (m, 1H), 7.12-7.17 (m, 2H), 7.01-7.06 (m, 1H), 6.17 (br.s, 1H), 3.71 (s, 2H), 3.38 (q, J = 6.9 Hz, 2H), 2.66 (t, J = 7.4 Hz, 2H), 2.56 (tt, J = 3.5, 10.4 Hz, 1H), 1.87-1.97 (m, 4H), 1.68-1.77 (m, 2H), 1.54-1.61 (m, 1H), 1.19-1.38 (m, 5H).
단계 2. 실시예 135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N-(3-(3-(시클로헥실티오메틸)페닐)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의 산화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정제 (10% → 40% EtOAc-헥산 구배) 에 의해, N-(3-(3-(시클로헥실술포닐메틸)페닐)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고, 이것을 백색 고체로 고화시켰다. 수율 (0.112 g, 85%); 1H NMR (400 MHz, CDCl3) δ 7.32 (t, J = 7.4 Hz, 1H), 7.17-7.26 (m, 3H), 6.37 (br.s, 1H), 4.15 (s, 2H), 3.33 (q, J = 6.7 Hz, 2H), 2.76 (tt, J = 3.5, 12.1 Hz, 1H), 2.69 (t, J = 7.6 Hz, 2H), 2.10-2.18 (m, 2H), 1.87-1.97 (m, 4H), 1.66-1.73 (m, 1H), 1.51-1.63 (m, 2H), 1.18-1.30 (m, 3H).
실시예 138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N-(3-(3-(시클로헥실술포닐메틸)페닐)프로필)-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정제 (10% → 100% 의, 10% 7N NH3/MeOH/CH2Cl2 -CH2Cl2 구배) 에 의해, 실시예 159 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62 g, 73%); 1H NMR (400 MHz, CD3OD) δ 7.21-7.318 (m, 4H), 4.31 (s, 2H), 2.91 (tt, J = 3.5, 11.9 Hz, 1H), 2.61-2.69 (m, 4H), 2.10-2.18 (m, 2H), 1.85-1.93 (m, 2H), 1.73-1.81 (m, 2H), 1.66-1.73 (m, 1H), 1.44-1.56 (m, 2H), 1.17-1.36 (m, 3H); 13C NMR (100 MHz, CD3OD) δ 142.8, 131.1, 128.65, 128.54, 128.50, 128.08, 59.8, 55.5, 40.8, 34.3, 32.8, 25.2, 25.0, 24.9; RP-HPLC (방법 2): 96.8% (AUC), t R = 5.60 분; LC-MS (ESI+) 296.55 [M+H]+.
실시예 160
(E)-3-(3-(시클로헥실옥시메틸)페닐)프로프-2-엔-1-아민의 제조
Figure pat00331
(E)-3-(3-(시클로헥실옥시메틸)페닐)프로프-2-엔-1-아민을 실시예 2, 9118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90℃ 에서 18 시간 동안, 그리고 탄산세슘을 염기로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9 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1-브로모-3-(브로모메틸)벤젠과 시클로헥실아민과의 반응에 의해, N-(3-브로모벤질)시클로헥실아민을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70 g, 65%): 1H NMR (400 MHz, CD3OD) δ 7.53 (t, J = 1.6 Hz, 1H), 7.38-7.41 (m, 1H), 7.29 (d, J = 7.6 Hz, 1H), 7.23 (t, J = 8.0 Hz, 1H), 3.73 (s, 2H), 2.38-2.46 (m, 1H), 1.92-1.95 (m, 2H), 1.70-1.78 (m, 2H), 1.58-1.66 (m, 1H), 1.06-1.30 (m, 5H).
단계 2: 실시예 118 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N-(3-브로모벤질)시클로헥산아민과 N-알릴-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와의 헥 커플링에 의해, (E)-N-(3-(3-((시클로헥실아미노)메틸)페닐)알릴)-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0 g, 22%): 1H NMR (400 MHz, CD3OD) δ 7.55 (s, 1H), 7.48-7.50 (m, 1H), 7.42 (t, J = 7.6 Hz, 1H), 7.35-7.37 (m, 1H), 6.61 (d, J = 16.0 Hz, 1H), 6.32 (dt, J = 16.0, 6.4 Hz, 1H), 4.19 (s, 2H), 4.05 (d, J = 6.4 Hz, 2H), 3.07-3.16 (m, 1H), 2.14-2.22 (m, 2H), 1.66-1.82 (m, 2H), 1.68-1.76 (m, 1H), 1.16-1.50 (m, 5H).
단계 3: 실시예 2 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E)-N-(3-(3-((시클로헥실아미노)메틸)페닐)알릴)-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에 의해, 실시예 160 을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4 g, 23%): 1H NMR (400 MHz, CD3OD) δ 7.69 (s, 1H), 7.53-7.56 (m, 1H), 7.42-7.48 (m, 2H), 6.84 (d, J = 16.0 Hz, 1H), 6.40 (dt, J = 16.0, 6.8 Hz, 1H), 4.23 (s, 2H), 4.73 (d, J = 6.4 Hz, 2H), 3.08-3.16 (m, 1H), 2.16-2.24 (m, 2H), 1.86-1.94 (m, 2H), 1.68-1.76 (m, 1H), 1.30-1.50 (m, 5H).
실시예 161
4-(3-(아미노메틸)페네틸)헵탄-4-올의 제조
Figure pat00332
4-(3-(아미노메틸)페네틸)헵탄-4-올을 하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실시예 140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N-(3-브로모벤질)-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4-에티닐헵탄-4-올과 커플링시켜 2,2,2-트리플루오로-N-(3-(3-히드록시-3-프로필헥스-1-이닐)벤질)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462 g, 38%): 1H NMR (400 MHz, DMSO-d 6) δ 9.97 (t, J = 5.6 Hz, 1H), 7.32 (t, J = 7.8 Hz, 1H), 7.27-7.22 (m, 3H), 5.15 (bs, 1H), 4.35 (d, J = 6.0 Hz, 2H), 1.60-1.41 (m, 8H), 0.89 (t, J = 7.2 Hz, 6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3-(3-히드록시-3-프로필헥스-1-이닐)벤질)아세트아미드를 실시예 140 의 절차에 따라 탈보호화시켜 4-((3-(아미노메틸)페닐)에티닐)헵탄-4-올을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54 g, 78%): 1H NMR (400 MHz, DMSO-d 6) δ 7.33 (s, 1H), 7.27-7.22 (m, 2H), 7.18-7.16 (m, 1H), 5.11 (bs, 1H), 3.66 (s, 2H), 1.97 (bs, 2H), 1.60-1.42 (m, 8H), 0.89 (t, J = 7.0 Hz, 6H).
단계 3. 4-((3-(아미노메틸)페닐)에티닐)헵탄-4-올의 수소화에 의해, 실시예 161 을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0 g,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7.15 (t, J = 7.6 Hz, 1H), 7.11 (s, 1H), 7.07 (d, J = 8.0 Hz, 1H), 6.97 (d, J = 7.2 Hz, 1H), 3.94 (bs, 1H), 3.64 (s, 2H), 2.51-2.47 (m, obs., 2H), 1.92 (bs, 2H), 1.35-1.21 (m, 8H), 0.85 (t, J = 7.0 Hz, 6H).
실시예 162
4-(3-(2-아미노에틸)페네틸)헵탄-4-올의 제조
Figure pat00333
4-(3-(2-아미노에틸)페네틸)헵탄-4-올을 실시예 161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N-(3-브로모페네틸)-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와 4-에티닐헵탄-4-올과의 커플링에 의해, 2,2,2-트리플루오로-N-(3-(3-히드록시-3-프로필헥스-1-이닐)페네틸)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902 g, 65%): 1H NMR (400 MHz, DMSO-d 6) δ 9.43 (t, J = 5.2 Hz, 1H), 7.25 (t, J = 7.8 Hz, 1H), 7.20-7.15 (m, 3H), 5.11 (s, 1H), 3.41-3.36 (m, 2H), 2.76 (t, J = 7.0 Hz, 2H), 1.61-1.40 (m, 8H), 0.89 (t, J = 7.2 Hz, 6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3-(3-히드록시-3-프로필헥스-1-이닐)페네틸)아세트아미드를 탈보호화하여 4-((3-(2-아미노에틸)페닐)에티닐)헵탄-4-올을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504 g, 78%): 1H NMR (400 MHz, DMSO-d 6) δ 7.25-7.21 (m, 1H), 7.17-7.14 (m, 3H), 5.12 (bs, 1H), 2.74-2.70 (m, 2H), 2.58 (t, J = 7.2 Hz, 2H), 1.60-1.41 (m, 8H), 1.34 (bs, 2H), 0.89 (t, J = 7.2 Hz, 6H).
단계 3. 4-((3-(2-아미노에틸)페닐)에티닐)헵탄-4-올의 수소화에 의해, 실시예 162 를 담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1 g,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7.13 (t, J = 7.6 Hz, 1H), 6.96-6.94 (m, 3H), 3.93 (bs, 1H), 2.73-2.69 (m, 2H), 2.56 (t, J = 7.4 Hz, 2H), 2.50-2.46 (m, obs., 2H), 1.55-1.51 (m, 2H), 1.34-1.20 (m, 8H), 0.84 (t, J = 7.0 Hz, 6H).
실시예 163
3-(3-아미노프로필)-o-시클로헥실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334
3-(3-아미노프로필)-o-시클로헥실벤즈아미드를 실시예 2, 19118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CH2Cl2 중의 염화 3-브로모벤조일 (2.0 g, 9.1 mmol) 의 용액을 CH2Cl2 중의 용액 트리에틸아민 (1.9 ㎖, 13.7 mmol) 및 시클로헥실아민 (1.15 ㎖, 10.0 mmol) 에,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2 시간 후, 혼합물을 HCl (4N), 염수로 세정하고, Na2SO4 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3-브로모-N-시클로헥실벤즈아미드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2.43 g, 95%): 1H NMR (400 MHz, CD3OD) δ 8.29 (br s, 1H), 7.95 (t, J = 2.0 Hz, 1H), 7.42-7.77 (m, 1H), 7.64-7.67 (m, 1H), 7.36(t, J = 8.0 Hz, 1H), 3.78-3.84 (m, 1H), 1.92-1.94 (m, 2H), 1.78-1.81 (m, 2H), 1.65-1.69 (m, 1H), 1.16-1.46 (m, 5H).
단계 2: 실시예 118 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3-브로모-N-시클로헥실벤즈아미드와 N-알릴-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와의 헥 커플링에 의해, (E)-N-시클로헥실-3-(3-(2,2,2-트리플루오로아세타미도)프로프-1-에닐)벤즈아미드를 연황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50 g, 71%): 1H NMR (400 MHz, CD3OD) δ 8.18-8.26 (m, 1H), 7.83 (t, J = 1.6 Hz, 1H), 7.65-7.68 (m, 1H), 7.54-7.56 (m, 1H), 7.39(t, J = 7.6 Hz, 1H), 6.62 (d, J = 16.0 Hz, 1H), 6.32 (dt, J = 16.0, 6.4 Hz, 1H), 4.06 (d, J = 5.6 Hz, 2H), 3.80-3.90 (m, 1H), 1.93-1.95 (m, 2H), 1.79-1.82 (m, 2H), 1.66-1.70 (m, 1H), 1.18-1.48 (m, 5H).
단계 3: 실시예 154 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E)-N-시클로헥실-3-(3-(2,2,2-트리플루오로아세타미도)프로프-1-에닐)벤즈아미드의 수소화에 의해, N-시클로헥실-3-(3-(2,2,2-트리플루오로아세타미도)프로필)벤즈아미드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5 g, 87%). 1H NMR (400 MHz, CD3OD) δ 8.08-8.14 (m, 1H), 7.58-7.64 (m, 2H), 7.34-7.38 (m, 2H), 7.39 (t, J = 7 .6Hz, 1H), 3.80-3.90 (m, 1H), 2.70 (t, J = 8.0 Hz, 2H), 1.86-1.95 (m, 4H), 1.79-1.82 (m, 2H), 1.66-1.70 (m, 1H), 1.16-1.42 (m, 5H).
단계 4: 실시예 154 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N-시클로헥실-3-(3-(2,2,2-트리플루오로아세타미도)프로필)벤즈아미드의 탈보호에 의해, 실시예 163 히드로클로라이드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7 g, 25%): 1H NMR (400 MHz, CD3OD) δ 7.58-7.66 (m, 2H), 7.30-7.38 (m, 2H), 3.78-3.88 (m, 1H), 2.65-2.80 (m, 4H), 1.75-1.95 (m, 6H), 1.66-1.69 (m, 1H), 1.15-1.45 (m, 5H).
실시예 164
3-(2-아미노에톡시)-N-시클로헥실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335
3-(2-아미노에톡시)-N-시클로헥실벤즈아미드를 실시예 913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실시예 9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메틸 3-히드록시벤조에이트와 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 메탄술포네이트와의 커플링에 의해, 메틸 3-(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톡시)벤조에이트를 연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65 g, 84%): 1H NMR (400 MHz, CD3OD) δ 7.36 (t, J = 8.0 Hz, 1H), 7.26 (t, J = 8.0 Hz, 1H), 7.16 (ddd, J = 8.4, 2.4, 0.8 Hz, 1H), 6.99 (ddd, J = 8.0, 2.4, 0.8 Hz, 1H), 4.03 (t, J = 5.6 Hz, 2H), 3.78 (s, 3H), 1.43 (s, 9H).
단계 2: LiOH 및 THF 를 K2CO3 및 MeOH 대신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9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메틸 3-(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톡시)벤조에이트의 가수분해에 의해, 3-(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톡시)벤조산을 산출하였고, 이것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직접 사용하였다.
단계 3: DMF 중의 3-(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톡시)벤조산 (0.73 g, 2.98 mmol), 시클로헥실아민 (0.34 ㎖, 2.98 mmol), EDCI (0.7 g, 3.58 mmol) 및 HOBT (0.49 g, 3.58 mmol) 의 용액에 DIPEA (1.0 ㎖, 5.57 mmol) 를 첨가하였다. 수득되는 혼합물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하고, 에틸 아세테이트와 물 사이를 첨가하여 분액하였다. 유기층을 Na2SO4 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30 → 65% EtOAc-헥산 구배) 에 의한 정제에 의해, tert-부틸 2-(3-(시클로헥실카르바모일)페녹시)에틸카르바메이트를 오렌지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0 g, 20%): 1H NMR (400 MHz, CD3OD) δ 7.31-7.38 (m, 3H), 7.06-7.09 (m, 1H), 4.04 (t, J = 5.6 Hz, 2H), 3.78-3.87 (m, 1H), 3.41-3.45 (m, 2H), 1.90-1.98 (m, 2H), 1.78-1.84 (m, 2H), 1.63-1.71 (m, 1H), 1.43 (s, 9H), 1.18-1.38 (m, 5H).
단계 4: 실시예 151 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tert-부틸 2-(3-(시클로헥실카르바모일)페녹시)에틸카르바메이트의 탈보호에 의해, 실시예 164 히드로클로라이드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1 g, 60%): 1H NMR (400 MHz, CD3OD) δ 7.36-7.44 (m, 3H), 7.14-7.17 (m, 1H), 4.27 (t, J = 5.2 Hz, 2H), 3.80-3.90 (m, 1H), 3.37 (t, J = 5.2 Hz, 2H), 1.92-1.98 (m, 2H), 1.78-1.86 (m, 2H), 1.65-1.72 (m, 1H), 1.15-1.48 (m, 5H).
실시예 165
3-(3-아미노프로필)-N-(헵탄-4-일)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336
3-(3-아미노프로필)-N-(헵탄-4-일)벤즈아미드를 실시예 163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염화 3-브로모벤조일과 헵탄-4-아민과의 반응에 의해, 3-브로모-N-(헵탄-4-일)벤즈아미드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고, 이것을 부가적인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수율 (2.43 g, 90%).
단계 2: 3-브로모-N-(헵탄-4-일)벤즈아미드와 N-알릴-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와의 커플링에 의해, (E)-N-(헵탄-4-일)-3-(3-(2,2,2-트리플루오로아세타미도)프로프-1-에닐)벤즈아미드를 연황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65 g, 80%): 1H NMR (400 MHz, CD3OD) δ 8.09-8.11 (m, 1H), 7.81-7.84 (m, 1H), 7.65-7.68 (m, 1H), 7.54-7.56 (m, 1H), 7.40 (t, J = 1.6 Hz, 1H), 6.63 (d, J = 16.0 Hz, 1H), 6.33 (dt, J = 16.0, 6.4 Hz, 1H), 4.06 (d, J = 6.0 Hz, 2H), 1.50-1.56 (m, 4H), 1.32-1.46 (m, 5H), 0.93 (t, J = 7.2 Hz, 6H).
단계 3: (E)-N-(헵탄-4-일)-3-(3-(2,2,2-트리플루오로아세타미도)프로프-1-에닐)벤즈아미드의 수소화에 의해, N-(헵탄-4-일)-3-(3-(2,2,2-트리플루오로아세타미도)프로필)벤즈아미드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0 g, 99%): 1H NMR (400 MHz, DMSO-d 6) δ 9.43 (t, J = 5.6 Hz, 1H), 7.92 (d, J = 8.80 Hz, 1H), 7.60-7.66 (m, 2H), 7.30-7.36 (m, 2H), 3.90-4.0 (m, 1H), 3.16-3.22 (m, 2H), 2.61 (t, J = 8.4 Hz, 2H), 1.76-1.83 (m, 1H), 1.20-1.48 (m, 8H), 0.84 (t, J = 7.2 Hz, 6H).
단계 4: N-(헵탄-4-일)-3-(3-(2,2,2-트리플루오로아세타미도)프로필)벤즈아미드의 탈보호에 의해, 실시예 165 히드로클로라이드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18 g, 67%): 1H NMR (400 MHz, CD3OD) δ 7.62-7.68 (m, 2H), 7.30-7.40 (m, 2H), 4.05-4.12 (m, 1H), 2.93 (t, J = 8.0 Hz, 2H), 2.78 (t, J = 7.6 Hz, 2H), 1.95-2.05 (m, 2H), 1.50-1.56 (m, 4H), 1.30-1.46 (m, 4H), 0.93 (t, J = 7.6 Hz, 6H).
실시예 166
3-(3-아미노프로필)-N-(2,6-디메틸페닐)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337
3-(3-아미노프로필)-N-(2,6-디메틸페닐)벤즈아미드를 반응식 33 에 제시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33
Figure pat00338
단계 1: 무수 피리딘 중의 2,6-디메틸 아닐린 (0.5 ㎖, 4.0 mmol) 및 3-요오도벤조산 (1.0 g, 4.0 mmol) 의 용액에 BOP-Cl (2.05 g, 8 mmol) 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로 1 N HCl 로부터 추출하였다. 수합된 유기층을 HCl (1N), 물, 및 염수로 세정하고, Na2SO4 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소된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 2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구배) 에 의한 정제에 의해, 아미드 166 을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5 g, 25%): 1H NMR (400 MHz, DMSO-d6) δ 8.3 (s, 1H), 7.87-7.92 (m, 2H), 7.10-7.29 (m, 5H), 2.30 (s, 6H).
단계 2: 트리페닐포스핀을 트리-톨릴-o-포스핀 대신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요오다이드 166tert-부틸 프로프-2-이닐카르바메이트와의 소노가시라 커플링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5-4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구배) 에 의해, 알킨 167 을 연황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321 g, 83%): 1H NMR (400 MHz, DMSO-d 6) δ 7.96-7.99 (m, 1H), 7.88-7.92 (m, 1H), 7.60-7.65 (m, 1H), 7.48 (t, J = 8.0 Hz, 1H), 7.33 (brs, 1H), 7.13-7.21 (m, 3H), 4.58 (brs, 1H), 4.10-4.30 (m, 2H), 2.31 (s, 6H), 1.50 (s, 9H).
단계 3: 실시예 2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알킨 167 의 수소화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35% EtOAc/헥산 구배) 에 의해, 알칸 168 을 무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83 g, 69%): 1H NMR (400 MHz, DMSO-d6) δ 8.01 (br.s, 1H), 7.78-7.86 (m, 2H), 7.37-7.47 (m, 2H), 7.10-7.28 (m, 3H), 4.65 (brs, 1H), 3.16-3.23 (m, 2H), 2.76 (t, J = 8.0 Hz, 2H), 2.31 (s, 6H), 1.87 (5 중항, J = 8.0 Hz, 2H), 1.38 (s, 9H).
단계 4: 실시예 34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카르바메이트 168 의 탈보호에 의해, 실시예 166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연한 황갈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018 g, 43%): 1H NMR (400 MHz, DMSO-d6) δ 9.80 (s, 1H), 7.85-8.0 (m, 5H), 7.42-7.50 (m, 2H), 7.13 (s, 3H), 2.78-2.87 (m, 2H), 2.75 (t, J = 8.0 Hz, 2H), 2.19 (s, 6H), 1.91 (5 중항, J = 8.0 Hz, 2H). ESI MS m/z 283.3 [m + H]+
실시예 167
4-(3-(1-히드록시-3-(메틸아미노)프로필)페네틸)헵탄-4-올의 제조
Figure pat00339
4-(3-(1-히드록시-3-(메틸아미노)프로필)페네틸)헵탄-4-올을 실시예 17 및 반응식 34 에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34
Figure pat00340
단계 1: 실시예 17 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Boc)2O 를 사용하는 4-(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네틸)헵탄-4-올의 보호에 의해, tert -부틸 3-히드록시-3-(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산출하였다.
단계 2: BH3-THF 를 사용하는 tert -부틸 3-히드록시-3-(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의 환원에 의해, 실시예 167 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168
1-(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벤질)구아니딘의 제조
Figure pat00341
1-(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벤질)구아니딘을 반응식 35 에 기재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35
Figure pat00342
단계 1: 실시예 12 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4-에티닐헵탄-4-올과 3-브로모벤조니트릴과의 커플링에 의해, 3-(3-히드록시-3-프로필헥스-1-이닐)벤조니트릴을 산출하였다.
단계 2: 실시예 12 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3-(3-히드록시-3-프로필헥스-1-이닐)벤조니트릴의 수소화에 의해, 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벤조니트릴을 산출하였다.
단계 3: 실시예 15 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벤조니트릴의 환원에 의해, 4-(3-(아미노메틸)페네틸)헵탄-4-올을 산출하였다.
단계 4: CH3CN 중의 4-(3-(아미노메틸)페네틸)헵탄-4-올과 tert-부틸 (1H-피라졸-1-일)메틸렌디카르바메이트의 반응에 의해, tert-부틸 (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벤질아미노)메틸렌카르바메이트를 산출하였다.
단계 5: 실시예 13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tert-부틸 (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벤질아미노)메틸렌카르바메이트의 탈보호에 의해, 실시예 168 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169
1-(3-(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페닐)프로필)구아니딘의 제조
Figure pat00343
1-(3-(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페닐)프로필)구아니딘을 실시예 12, 118168 및 반응식 35 에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35
Figure pat00344
단계 1: 실시예 12 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E)-4-(3-(3-아미노프로프-1-에닐)페네틸)헵탄-4-올의 수소화에 의해, 4-(3-(3-아미노프로필)페네틸)헵탄-4-올을 산출하였다.
단계 2: 실시예 168 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4-(3-(3-아미노프로필)페네틸)헵탄-4-올과 tert-부틸 (1H-피라졸-1-일)메틸렌디카르바메이트와의 반응에 의해, tert-부틸 (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페닐)프로필아미노)메틸렌카르바메이트를 산출하였다.
단계 3: 실시예 13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tert-부틸 (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페닐)프로필아미노)메틸렌카르바메이트의 탈보호에 의해, 실시예 169 를 산출하였다.
실시예 170
3-히드록시-3-(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페닐)프로판이미드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345
3-히드록시-3-(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페닐)프로판이미드아미드를 반응식 36 에 기재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36
Figure pat00346
단계 1: 실시예 12 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4-에티닐헵탄-4-올과 3-(3-브로모페닐)-3-히드록시프로판니트릴과의 커플링에 의해, 3-히드록시-3-(3-(3-히드록시-3-프로필헥스-1-이닐)페닐)프로판니트릴을 연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단계 2: 실시예 12 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3-히드록시-3-(3-(3-히드록시-3-프로필헥스-1-이닐)페닐)프로판니트릴의 수소화에 의해, 3-히드록시-3-(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페닐)프로판니트릴을 산출하였다.
단계 3: 순 EtOH 중의 3-히드록시-3-(3-(3-히드록시-3-프로필헥스-1-이닐)페닐) 의 빙냉 용액 내에 HCl 기체를 4 내지 5 분 동안 버블링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였다. 빙수조에서 냉각시키면서 잔류물에 순 EtOH 를 첨가하고, NH3 기체를 용액 내에 2 내지 3 분 동안 버블링시켰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빙수조에서 냉각시키면서 잔류물에 순 EtOH 를 첨가하였다. HCl 기체를 용액 내에 1 분 동안 버블링시키고,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H2O 에 용해하고, EtOAc 로 추출하였다. 수성층을 건조 상태로 증발시키고, 고진공하에서 밤새 건조시켜 실시예 170 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171
1-아미노-3-(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페닐)프로판-2-온의 제조
Figure pat00347
1-아미노-3-(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페닐)프로판-2-온을 실시예 19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실시예 17 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Boc)2O 을 사용하는 4-(3-(3-아미노-2-히드록시프로필)페네틸)헵탄-4-올 (실시예 143) 의 보호에 의해, tert-부틸 2-히드록시-3-(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산출하였다.
단계 2: 실시예 151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tert-부틸 2-히드록시-3-(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의 산화에 의해, tert -부틸 3-(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페닐)-2-옥소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산출하였다.
단계 3: 실시예 13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tert -부틸 3-(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페닐)-2-옥소프로필카르바메이트의 탈보호에 의해, 실시예 171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172
4-(3-(3-아미노-2-플루오로프로필)페네틸)헵탄-4-올의 제조
Figure pat00348
4-(3-(3-아미노-2-플루오로프로필)페네틸)헵탄-4-올을 실시예 143 을 알코올 39 대신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74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173
3-아미노-1-(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페닐)프로판-1-온의 제조
Figure pat00349
3-아미노-1-(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페닐)프로판-1-온을 실시예 19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실시예 17 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Boc)2O 를 사용하는 4-(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페네틸)헵탄-4-올의 보호에 의해, tert-부틸 3-히드록시-3-(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산출하였다.
단계 2: 실시예 151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tert-부틸 3-히드록시-3-(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의 산화에 의해, tert-부틸 3-히드록시-3-(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산출하였다.
단계 3: 실시예 13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tert-부틸 3-히드록시-3-(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의 탈보호에 의해, 실시예 173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174
4-(3-(3-아미노-1-플루오로프로필)페네틸)헵탄-4-올의 제조
Figure pat00350
4-(3-(3-아미노-1-플루오로프로필)페네틸)헵탄-4-올을 하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디에틸아미노황 트리플루오라이드 (DAST) 를 비활성 분위기하에서 알코올 39 의 냉각 (-78℃) 용액에 첨가하였다. TLC 에 의해, 출발 물질이 보이지 않을 때까지 반응 혼합물을 -78℃ 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과 EtOAc 을 첨가하여 분액하고, 수성층을 EtOAc 로 추출하였다. 수합된 유기층을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MgSO4 로 건조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에 의해, tert-부틸 3-(3-브로모페닐)-3-플루오로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산출하였다.
단계 2: 실시예 12 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tert-부틸 3-(3-브로모페닐)-3-플루오로프로필카르바메이트와 4-에티닐헵탄-4-올과의 소노가시라 커플링에 의해, tert-부틸 3-플루오로-3-(3-(3-히드록시-3-프로필헥스-1-이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산출하였다.
단계 3: 실시예 12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tert-부틸 3-플루오로-3-(3-(3-히드록시-3-프로필헥스-1-이닐)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의 수소화에 의해, tert-부틸 3-플루오로-3-(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산출하였다.
단계 4. 실시예 13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tert-부틸 3-플루오로-3-(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의 탈보호에 의해, 실시예 174 를 산출하였다.
실시예 175
4-(3-(4-아미노부탄-2-일)페네틸)헵탄-4-올의 제조
Figure pat00351
4-(3-(4-아미노부탄-2-일)페네틸)헵탄-4-올을 반응식 37 에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37
단계 1: THF 중의 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의 현탁액에 KOBu-t (THF 중 1 M, 6.1 mmol) 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30 분 동안 교반한 후, tert-부틸 3-(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페닐)-3-옥소프로필카르바메이트를 첨가하였다. 수득되는 혼합물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AcOH 를 첨가하여 반응을 켄칭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5 → 50% EtOAc-헥산 구배) 에 의한 정제에 의해, tert-부틸 3-(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페닐)부트-3-에닐카르바메이트를 산출하였다.
단계 2: 실시예 12 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tert-부틸 3-(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페닐)부트-3-에닐카르바메이트의 수소화에 의해, tert-부틸 3-(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페닐)부틸카르바메이트를 산출하였다.
단계 3: 실시예 13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tert-부틸 3-(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페닐)부틸카르바메이트의 탈보호에 의해, 실시예 175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176
4-(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5-클로로페네틸)헵탄-4-올의 제조
Figure pat00353
4-(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5-클로로페네틸)헵탄-4-올을 3-브로모-5-클로로벤즈알데하이드를 3-브로모벤즈알데하이드 대신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6, 1719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177
(R)-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N-(헵탄-4-일)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354
출발 물질로서 3-포르밀벤조산을 사용하는 실시예 71163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R)-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N-(헵탄-4-일)벤즈아미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78
4-(3-(3-아미노부틸)페네틸)헵탄-4-올의 제조
Figure pat00355
알릴 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대신 비닐 메틸 케톤을 사용하는 실시예 12180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4-(3-(3-아미노부틸)페네틸)헵탄-4-올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79
(R)-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N-시클로헥실-N-메틸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356
실시예 177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R)-3-(3-아미노-1-히드록시프로필)-N-시클로헥실-N-메틸벤즈아미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80
1-(3-((1R,2R)-3-아미노-1-히드록시-2-메틸프로필)페네틸)시클로펜탄올의 제조
Figure pat00357
1-(3-((1R,2R)-3-아미노-1-히드록시-2-메틸프로필)페네틸)시클로펜탄올을 반응식 38 에 제시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38
Figure pat00358
단계 1: EtOAc 중의 (S)-4-벤질-3-프로피오닐옥사졸리딘-2-온, 무수 MgCl2 (0.104 g, 1.09 mmol) 및 3-브로모벤즈알데하이드의 혼합물에 Et3N, 이어서 클로로트리메틸실란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아르곤하에 실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실리카 겔 층을 통해 여과하고, EtOAc 로 세정하였다. 수합된 여과액을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 → 30% EtOAc/헥산 구배) 에 의해, 정제하여 (S)-4-벤질-3-((2R,3S)-3-(3-브로모페닐)-2-메틸-3-(트리메틸실릴옥시)프로파노일)옥사졸리딘-2-온을 산출하였다.
단계 2: 무수 THF 중의 (S)-4-벤질-3-((2R,3S)-3-(3-브로모페닐)-2-메틸-3-(트리메틸실릴옥시)프로파노일)옥사졸리딘-2-온의 용액에 THF 중의 LiBH4 의 용액을 아르곤하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8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고, NH4Cl 의 포화 수용액을, 이어서 MTBE 를 천천히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 분 동안 교반하고, 층을 분리하고, 유기층을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MgSO4 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5 → 40% EtOAc/헥산 구배) 에 의해, 정제하여 (2S,3S)-3-(3-브로모페닐)-2-메틸-3-(트리메틸실릴옥시)프로판-1-올을 산출하였다.
단계 3: 무수 THF 중의 (2S,3S)-3-(3-브로모페닐)-2-메틸-3-(트리메틸실릴옥시)프로판-1-올, 프탈이미드 및 Ph3P 의 냉각 (0℃) 용액에, 아르곤하에서 무수 THF 중의 디에틸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키면서 1 시간 동안 아르곤하에서 교반한 다음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헥산에 용해하고,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5 → 30% EtOAc/헥산 구배) 에 의해, 2-((2S,3S)-3-(3-브로모페닐)-2-메틸-3-(트리메틸실릴옥시)프로필)이소인돌린-1,3-디온으로 정제하였다.
단계 4: 실시예 12 에서의 방법에 따른 2-((2S,3S)-3-(3-브로모페닐)-2-메틸-3-(트리메틸실릴옥시)프로필)이소인돌린-1,3-디온과 4-에티닐헵탄-4-올와의 커플링에 의해, 2-((2S,3S)-3-(3-(3-히드록시-3-프로필헥스-1-이닐)페닐)-2-메틸-3-(트리메틸실릴옥시)프로필)이소인돌린-1,3-디온을 산출하였다.
단계 5: 실시예 12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2-((2S,3S)-3-(3-(3-히드록시-3-프로필헥스-1-이닐)페닐)-2-메틸-3-(트리메틸실릴옥시)프로필)이소인돌린-1,3-디온의 수소화에 의해, 2-((2S,3S)-3-(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페닐)-2-메틸-3-(트리메틸실릴옥시)프로필)이소인돌린-1,3-디온을 산출하였다.
단계 6: EtOH 중의 2-((2S,3S)-3-(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페닐)-2-메틸-3-(트리메틸실릴옥시)프로필)이소인돌린-1,3-디온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한 다음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EtOAc, 이어서 헥산으로 재증발시켜 2-((2S,3S)-3-히드록시-3-(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페닐)-2-메틸프로필)이소인돌린-1,3-디온을 산출하였다.
단계 7: 2-((2S,3S)-3-히드록시-3-(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페닐)-2-메틸프로필)이소인돌린-1,3-디온의 프탈이미드 분해를 실시예 9 에서 기재된 방법에 따라 수행하여 실시예 180 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181
1-(3-(3-아미노프로필)-5-메틸페네틸)시클로헥산올의 제조
Figure pat00359
1-(3-(3-아미노프로필)-5-메틸페네틸)시클로헥산올을 반응식 39 에 제시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39
Figure pat00360
단계 1 내지 4: (E)-1-(3-(3-아미노프로프-1-에닐)-5-메틸페네틸)시클로헥산올의 합성 절차는, 1-브로모-3-요오도-5-메틸벤젠 및 1-에티닐시클로헥산올을 1-브로모-3-요오도벤젠 및 4-에티닐헵탄-4-올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83 의 합성 방법과 동일하다.
단계 5: 실시예 12 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E)-1-(3-(3-아미노프로프-1-에닐)-5-메틸페네틸)시클로헥산올의 수소화에 의해, 실시예 181 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182
1-(3-(3-아미노프로필)-4-플루오로페네틸)시클로헥산올의 제조
Figure pat00361
1-(3-(3-아미노프로필)-4-플루오로페네틸)시클로헥산올을 실시예 181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내지 4: (E)-1-(3-(3-아미노프로프-1-에닐)-4-플루오로페네틸)시클로헥산올의 합성 절차는, 2-브로모-1-플루오로-4-요오도벤젠을 1-브로모-3-요오도벤젠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83 의 합성 방법과 동일하다.
단계 5: 실시예 12 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E)-1-(3-(3-아미노프로프-1-에닐)-4-플루오로페네틸)시클로헥산올의 수소화에 의해, 실시예 182 를 산출하였다.
실시예 183
(E)-1-(3-(3-아미노프로프-1-에닐)페네틸)시클로헥산올의 제조
Figure pat00362
(E)-1-(3-(3-아미노프로프-1-에닐)페네틸)시클로헥산올을 반응식 40 에 제시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40
Figure pat00363
단계 1: 실시예 12 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시클로헥실메탄올과 1-브로모-3-요오도벤젠과의 커플링에 의해, 1-((3-브로모페닐)에티닐)시클로헥산올을 연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단계 2: 실시예 12 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1-((3-브로모페닐)에티닐)시클로헥산올의 수소화에 의해, 1-(3-브로모페네틸)시클로헥산올을 산출하였다.
단계 3: 실시예 118 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1-(3-브로모페네틸)시클로헥산올과 N-알릴-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와의 커플링에 의해, (E)-2,2,2-트리플루오로-N-(3-(3-(2-(1-히드록시시클로헥실)에틸)페닐)알릴)아세트아미드를 산출하였다.
단계 4: 실시예 2 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E)-2,2,2-트리플루오로-N-(3-(3-(2-(1-히드록시시클로헥실)에틸)페닐)알릴)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에 의해, 실시예 183 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184
1-(3-(3-아미노프로프-1-이닐)페네틸)시클로헥산올의 제조
Figure pat00364
1-(3-(3-아미노프로프-1-이닐)페네틸)시클로헥산올을 실시예 12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실시예 12 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1-(3-브로모페네틸)시클로헥산올과 2-(프로프-2-이닐)이소인돌린-1,3-디온과의 커플링에 의해, 2-(3-(3-(2-(1-히드록시시클로헥실)에틸)페닐)프로프-2-이닐)이소인돌린-1,3-디온을 산출하였다.
단계 2: 실시예 12 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2-(3-(3-(2-(1-히드록시시클로헥실)에틸)페닐)프로프-2-이닐)이소인돌린-1,3-디온의 탈보호에 의해, 실시예 184 를 산출하였다.
실시예 185
4-(3-(3-아미노프로폭시)페네틸)헵탄-4-올의 제조
Figure pat00365
4-(3-(3-아미노프로폭시)페네틸)헵탄-4-올을 실시예 9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186
4-(3-((2-아미노에톡시)메틸)페네틸)헵탄-4-올의 제조
Figure pat00366
4-(3-((2-아미노에톡시)메틸)페네틸)헵탄-4-올을 반응식 41 에 제시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41
Figure pat00367
단계 1: 헵탄 중의 DIBAL-H 의 용액을 비활성 분위기하에서 헥산 중의 2-(3-브로모페닐)-1,3-디옥솔란의 냉각 (-78℃) 용액에 첨가하였다. TLC 에 의해, 출발 물질이 보이지 않을 때까지 반응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수성 HCl (1N) 을 실온으로 가온시키면서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생성물을 EtOAc 로 추출하였다. 수합된 유기층을 무수 MgSO4 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2-(3-브로모벤질옥시)에탄올을 산출하였다.
단계 2: 실시예 134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2-(3-브로모벤질옥시)에탄올과 프탈이미드와의 미쯔노부 반응에 의해, 2-(2-(3-브로모벤질옥시)에틸)이소인돌린-1,3-디온을 산출하였다.
단계 3: 실시예 12 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2-(2-(3-브로모벤질옥시)에틸)이소인돌린-1,3-디온과 4-에티닐헵탄-4-올과의 소노가시라 커플링에 의해, 2-(2-(3-(3-히드록시-3-프로필헥스-1-이닐)벤질옥시)에틸)이소인돌린-1,3-디온을 산출하였다.
단계 4: 실시예 12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2-(2-(3-(3-히드록시-3-프로필헥스-1-이닐)벤질옥시)에틸)이소인돌린-1,3-디온의 수소화에 의해, 2-(2-(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벤질옥시)에틸)이소인돌린-1,3-디온을 산출하였다.
단계 5: 실시예 21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른 2-(2-(3-(3-히드록시-3-프로필헥실)벤질옥시)에틸)이소인돌린-1,3-디온의 탈보호에 의해, 실시예 186 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187
2-(3-(3-아미노프로필)페네틸)시클로헥산올의 제조
Figure pat00368
2-(3-(3-아미노프로필)페네틸)시클로헥산올을 실시예 2 에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브로마이드 (10) 과 2-에티닐시클로헥산올과의 소노가시라 커플링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5→50% EtOAc/헥산 구배) 에 의해, 2,2,2-트리플루오로-N-(3-(3-((2-히드록시시클로헥실)에티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를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1.2 g, 43%): 1H NMR (400 MHz, CDCl3) δ 7.18-7.28 (m, 3H), 7.06-7.11 (m, 1H), 6.33 (brs, 1H), 3.48-3.57 (m, 1H), 3.36 (ddd, J = 6.8 Hz, 2H), 2.63 (t, J = 7.2 Hz, 2H), 2.38-2.46 (m, 1H), 2.32 (brs, 1H), 2.02-2.10 (m, 2H), 1.91 (dddd, J = 7.2 Hz, 2H), 1.74-1.82 (m, 1H), 1.66-1.74 (m, 1H), 1.40-1.52 (m, 1H), 1.16-1.40 (m, 3H).
단계 2: 2,2,2-트리플루오로-N-(3-(3-((2-히드록시시클로헥실)에티닐)페닐)프로필)아세트아미드의 탈보호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7N NH3/MeOH)/디클로로메탄) 에 의해, 2-((3-(3-아미노프로필)페닐)에티닐)시클로헥산올을 오렌지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606 g, 69%): 1H NMR (400 MHz, CDCl3) δ 7.16-7.26 (m, 3H), 7.08-7.12 (m, 1H), 3.48-3.56 (m, 1H), 2.71 (t, J = 7.2 Hz, 2H), 2.61 (t, J = 7.2 Hz, 2H), 2.38-2.46 (m, 1H), 2.01-2.10 (m, 2H), 1.64-1.82 (m, 7H), 1.40-1.52 (m, 1H), 1.16-1.40 (m, 3H).
단계 3: 2-((3-(3-아미노프로필)페닐)에티닐)시클로헥산올의 수소화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7N NH3/MeOH)/디클로로메탄) 에 의해, 실시예 187 을 담황색 고체로서 산출하였다. 수율 (0.265 g, 69%): 1H NMR (400 MHz, CDCl3) δ 7.17 (t J = 7.6 Hz, 1H), 6.96-7.04 (m, 3H), 3.18 (m, 1H), 2.66-2.76 (m, 3H), 2.62 (t, J = 7.8 Hz, 2H), 2.46-2.56 (m, 1H), 2.05-2.15 (m, 1H), 1.88-1.98 (m, 2H), 1.69-1.80 (m, 3H), 1.61-1.69 (m, 1H), 1.34-1.46 (m, 4H), 1.10-1.34 (m, 4H), 0.91-1.03 (m, 1H).
실시예 188
시험관내 이성화효소 억제 검정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시각 주기 이성화효소 활성 억제 능력을 측정하였다.
이성화효소 억제 반응은 본질적으로 [Stecher 등, J. Biol. Chem. 274:8577-85 (1999); 또한 Golczak 등, Proc. Natl. Acad. Sci. USA 102:8162-67 (2005) 참조] 에 기술된 바에 따라 수행하였다. 소 망막 색소 상피 (RPE) 마이크로좀 멤브레인이 시각 주기 이성화효소의 공급원이었다.
RPE 마이크로좀 멤브레인 제조
소 RPE 마이크로좀 멤브레인 추출물을 (Golczak 등, Proc. Natl. Acad. Sci. USA 102:8162-67 (2005)) 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고, -80℃ 에서 저장하였다. 미정제 RPE 마이크로좀 추출물을 37℃ 수조에서 해동시킨 후, 즉시 얼음 상에 두었다. 50 ㎖ 미정제 RPE 마이크로좀을 얼음 상의 50 ㎖ 테플론-유리 균질화기 (Fisher Scientific, 카탈로그 번호 0841416M) 에 두고, 손으로 들 수 있는 데와르트 드릴 (DeWalt drill) 로 동력을 공급하고, 얼음 상에서 최대 속도로 위 아래로 10회 균질화시켰다. 미정제 RPE 마이크로좀 용액이 균질화될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하였다. 이후, 호모제네이트를 15 분 동안 4℃ 에서 원심분리시켰다 (50.2 Ti 로터 (Beckman, Fullerton, CA), 13,000 RPM; 15360 Rcf). 상청액을 수집하고, 1 시간 동안 4℃ 에서 42,000 RPM (160,000 Rcf; 50.2 Ti 로터) 으로 원심분리시켰다. 상청액을 제거하고, 펠릿을 12 ㎖ (최종 부피) 의 차가운 10 mM MOPS 완충액, pH 7.0 에 현탁시켰다. 5 ㎖ 분취액 중의 재현탁된 RPE 멤브레인을 유리-대-유리 균질화기 (Fisher Scientific, 카탈로그 번호 K885500-0021) 에서 높은 균질도로 균질화시켰다. 제조자의 프로토콜 (Pierce, Rockford, IL) 에 따라 BCA 단백질 검정을 이용하여 단백질 농도를 정량화하였다. 균질화된 RPE 제제를 -80℃ 에서 저장하였다.
인간 Apo 세포성 레틴알데히드 -결합 단백질 ( CRALBP ) 의 단리
재조합 인간 apo 세포성 레틴알데히드-결합 단백질 (CRALBP) 을 클로닝하고, 표준 분자 생물학 방법에 따라 발현시켰다 (Crabb 등, Protein Science 7:746-57 (1998); Crabb 등, J. Biol. Chem. 263:18688-92 (1988) 참조). 간단히 말하면, 총 RNA 를 융합성 ARPE19 세포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s, VA) 로부터 제조하였고, cDNA를 올리고(dT)12 -18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합성한 후, DNA 인코딩 CRALBP 를 일련의 두 폴리머라아제 연쇄 반응으로 증폭시켰다 (Crabb 등, J. Biol. Chem. 263:18688-92 (1988); Intres, 등, J. Biol. Chem. 269:25411-18 (1994); GenBank 기탁 번호 L34219.1 참조). PCR 생성물을 제조자의 프로토콜 (Invitrogen Inc., Carlsbad, CA; 카탈로그 번호 K4400-01) 에 따라 pTrcHis2-TOPO TA 벡터로 서브-클로닝한 후, 서열을 표준 뉴클레오타이드 서열화 기술에 따라 확인하였다. 재조합 6xHis-태깅된 인간 CRALBP 를 원 샷 탑 10 (One Shot TOP 10) 화학적 반응성 (chemically competent) E. coli 세포 (Invitrogen) 에서 발현시키고, 재조합 폴리펩티드를 HPLC용 니켈 (Ni) 세파로오스 XK16-20 컬럼 (Amersham Bioscience, Pittsburgh, PA; 카탈로그 번호 17-5268-02) 을 사용하여 니켈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E. coli 세포 용해질로부터 단리시켰다. 정제된 6xHis-태깅된 인간 CRALBP를 10 mM 비스-트리스-프로판 (BTP) 에 대하여 투석하고, SDS-PAGE 로 분석하였다. 재조합 인간 CRALBP의 분자량은 약 39 kDal 이었다.
이성화효소 검정
아민 유도체 화합물 및 대조군 화합물을 에탄올 중에서 0.1 M 로 재구성시켰다. 이성화효소 검정에서의 분석을 위해 각각의 화합물의 에탄올 중 10 배 연속 희석물 (10-2, 10-3, 10-4, 10-5, 10-6 M) 을 제조하였다.
이성화효소 검정을 10 mM 비스-트리스-프로판 (BTP) 완충액, pH 7.5, 0.5% BSA (BTP 완충액에 희석됨), 1 mM 나트륨 피로포스페이트, 20 μM 모든-트랜스 레티놀 (에탄올 중), 및 6 μM 아포-CRALBP 내에서 수행하였다. 시험 화합물 (2 ㎕) (연속 희석 저장액의 최종 1/15 희석)을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여기에 RPE 마이크로좀을 첨가하였다. 동일한 부피의 에탄올을 대조군 반응 (시험 화합물이 부재함)에 첨가하였다. 이후, 소 RPE 마이크로좀 (9 ㎕) (상기 참조)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37℃ 로 전이시켜, 반응을 개시하였다 (총 부피 = 150 ㎕). 30분 후, 메탄올 (300 ㎕) 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헵탄을 첨가하고 (300 ㎕), 피펫팅으로 반응 혼합물 내로 혼합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휘저은 후, 마이크로원심분리기에서 원심분리시켜, 레티노이드를 추출하였다. 상부 유기상을 HPLC 바이알로 옮긴 후, 정상상 컬럼:SILICA 를 갖는 Agilent 1100 HPLC 시스템을 이용하여 (Agilent Technologies, dp 5μ, 4.6 mmX, 25 CM; 실행 방법은 1.5 ㎖/분의 유속을 가짐; 주입 부피 100 ㎕) 을 이용하여 HPLC 로 분석하였다. 용매 성분은 20% 의, EtOAc 중 2% 이소프로판올 및 80% 의, 100% 헥산이었다.
A318 nm 곡선 하 영역은 11-시스 레티놀 피크를 나타내었고, 이를 Agilent Chemstation 소프트웨어로 계산하였고 수동으로 기록하였다. IC50 값 (시험관내에서 11-시스 레티놀 형성의 50% 억제를 제공하는 화합물의 농도) 을 GraphPad Prism? 4 소프트웨어 (Irvine, CA) 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각 실험은 2 회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레티놀 이성질체화 반응에 대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의 농도 의존 효과를 또한 재조합 인간 효소 시스템으로 분석할 수 있다. 특히, 인간 시험관내 이성화효소 검정은 본질적으로 [Golczak 등 2005, PNAS 102: 8162-8167, ref. 3] 에서와 같이 수행하였다. 재조합 인간 RPE65 및 LRAT 를 발현하는 HEK293 세포 클론의 호모제네이트는 시각 효소의 공급원이었고, 외인성 모든-트랜스-레티놀 (약 20 μM)을 기질로서 사용하였다. 재조합 인간 CRALBP (약 80 ug/㎖) 를 첨가하여, 11-시스-레티날의 형성을 증강시켰다. 200 ㎕ 비스-트리스 포스페이트 완충액 (10 mM, pH 7.2) 기재 반응 혼합물은 또한 0.5% BSA 및 1 mM NaPPi 를 함유하였다. 이 검정에서는, 반응을 37℃ 에서 2회 반복으로 1 시간 동안 수행하였고, 300 ㎕ 메탄올을 첨가하여 종료시켰다. 반응 생성물, 11-시스-레티놀의 양은 반응 혼합물의 헵탄 추출 후 HPLC 분석으로 측정되었다. HPLC 크로마토그램에서 11-시스-레티놀에 상응하는 피크 영역 단위 (PAU) 를 기록하였고, 농도 의존 곡선을 IC50 값에 대해 GraphPad Prism 으로 분석하였다. 본 발명의 많은 화합물의, 이성질체화 반응 억제 능력을 정량화하였고, 각각의 IC50 값을 측정하였다. 하기 표는 상기 두 방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측정된 본 발명의 다양한 화합물의 IC50 값을 요약한다. 인간 및 소에 대한 IC50 시험관내 데이터는 하기 표 6A 및 6B 에 제시되어 있다.
표 6A 인간 시험관내 억제 데이터
Figure pat00369
표 6B 소 시험관내 억제 데이터
Figure pat00370
실시예 189
생체내 생쥐 이성화효소 검정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이성화효소 억제 능력을 생체내 생쥐 이성화효소 검정에 의해 측정하였다. 안구를 강한 빛에 잠시 노출시키는 것 (시색소의 "광표백" 또는 단순히 "표백") 은 망막에서 거의 모든 11-시스-레티날을 광-이성질체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표백 이후 11-시스-레티날을 회수하여, 이성화효소의 생체내 활성 평가에 사용할 수 있다. 낮은 11-시스-레티날 옥심 수준에 의해 나타나는 바와 같이, 지연된 회복은 이성질체화 반응의 억제를 나타낸다. 절차는 본질적으로 [Golczak 등, Proc. Natl. Acad. Sci. USA 102:8162-67 (2005)] 에 기술된 바와 같이 수행하였다. 또한 [Deigner 등, Science, 244: 968-71 (1989); Gollapalli 등, Biochim Biophys Acta. 1651: 93-101 (2003); Parish, 등, Proc. Natl. Acad. Sci. USA, 14609-13 (1998); Radu, 등, Proc Natl Acad Sci USA 101: 5928-33 (2004)] 를 참조한다.
6주령 암순응 CD-1 (알비노) 수컷 마우스에 10% 에탄올을 포함하는 100 ㎕ 옥수수유 중에 용해시킨 화합물 (0.03 ~ 3 mg/kg) 을 경구 섭식시켰다 (군 당 5 ~ 8 마리의 동물). 마우스를 본원에 기재된 여러 아민 유도체 화합물로 섭식시켰다. 암실에서 1 ~ 48 시간 후, 마우스를 10 분 동안 5,000 럭스의 백색광의 광표백에 노출시켰다. 마우스를 암실에서 2 시간 동안 회복시켰다. 이후 동물을 이산화탄소 흡입에 의해 희생시켰다. 레티노이드를 안구로부터 추출하고, 11-시스-레티날의 재생을 다양한 시간 간격에서 평가하였다.
안구 레티노이드 추출
모든 단계를 최소의 적색광 조명 (저 광 (low light) 암실등 및 필요에 따라 스팟 조명을 위한 적색여과된 플래시광) 으로 어두움 속에서 수행하였다 (예를 들어, Maeda 등, J. Neurochem 85:944-956, 2003; Van Hooser 등, J Biol Chem 277:19173-82, 2002 참조). 마우스를 희생시킨 후, 안구를 즉시 제거하고 저장을 위해 액체 질소에 두었다.
안구를 500 ㎕의 비스-트리스 프로판 완충액 (10 mM, pH 약 7.3) 및 20 ㎕의 0.8M 히드록실아민 (pH 약 7.3) 에 두었다. 안구를 작은 안과 가위 (iris scissors) 로 작은 조각으로 자른 후, 눈에 보이는 조직이 남아있지 않을 때까지 튜브 중에서 기계적 균질화기 (Polytron PT 1300 D)를 사용하여 30000 rpm 에서 완전히 균질화시켰다. 500 ㎕ 의 메탄올 및 500 ㎕ 의 헵탄을 각각의 튜브에 첨가하였다. 튜브를 볼텍서에 부착시켜 내용물이 실온에서 15분 동안 완전히 혼합되게 하였다. 13K rpm, 4℃ 에서 10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유기상을 수성상으로부터 분리시켰다. 상층 (유기상) 으로부터의 240 ㎕의 용액을 제거하고, 유리 피펫을 사용하여 HPLC 바이알에서의 깨끗한 300 ㎕ 유리 삽입구에 옮기고, 바이알을 구부려 단단히 닫았다.
정상상 컬럼을 갖는 Agilent 1100 HPLC 시스템 상에서 샘플을 분석하였다: SILICA (Beckman Coutlier, dp 5 μm, 4.6 mM x 250 mM). 실행 방법은 1.5 ㎖/분의 유속을 가졌고; 용매 성분은 15% 용매 1 (에틸 아세테이트 중 1% 이소프로판올), 및 85% 용매 2 (100% 헥산) 였다. 각각의 샘플에 대한 로딩 부피는 100 ㎕ 이었고; 검출 파장은 360 nm 였다. Agilent Chemstation 소프트웨어로 11-시스 레티날 옥심에 대한 곡선하 영역을 계산하였고, 수동으로 기록하였다. Priz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였다.
완전히 암순응된 양성 대조군 마우스 (화합물 비투여) 를 희생시키고, 안구 레티노이드를 분석하였다. 광 (표백된) 대조군 마우스 (화합물 비투여) 를 희생시키고, 레티노이드를 단리하고, 광 처리 직후 분석하였다. 예를 들어, 실시예 3 의 화합물 (화합물 3) 의 이성화효소 억제 활성을 도 1 에 나타내었다. 동물에게 1 mg/kg 화합물을 경구 섭식시킨 다음, 투여 후 4, 24 및 48 시간에 "광표백" (10분 동안의 5000 럭스 백색광) 시키고, 안구의 11-시스-레티날 함량이 회복되도록 암환경으로 복귀시켰다. 표백 2 시간 후 마우스를 희생시켜, 안구를 적출하고, HPLC로 레티노이드 함량을 분석하였다.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본원에 기재된 여러 가지 아민 유도체 화합물로 생체내 용량 반응 이성화효소 억제 연구를 수행하였다. 6주령 암순응 CD-1 (알비노) 수컷 마우스에 용액으로서 멸균수 중 0.03, 0.1, 0.3, 1 및 3 mg/kg 화합물을 경구 투여하고, 투여 후 4시간에 광표백시켰다. 마우스를 어두운 곳에서 2시간 동안 회복시켰다. 이후 동물을 이산화탄소 흡입에 의해 희생시켰다. 레티노이드를 안구로부터 추출하고, 11-시스-레티날의 재생을 다양한 시간 간격에서 평가하였다. 레티노이드 분석을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수행하였다. 암 대조군 마우스에게 비히클만을 처리하고, 광 처리 없이 완전히 암순응시켜 희생시키고, 분석하였다. 예를 들어, 실시예 19 의 화합물 (화합물 19) 의 투여 후 4 시간에 11-시스 레티날 (옥심) 의 회복의 용량-의존적 억제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A 는 용량-의존적 이성화효소 활성 억제를 보여주고, 도 2B 는 용량 반응 (로그 용량, mg/kg) 을 보여주며, 이때 데이터는 이성화효소 활성 억제% 에 대해 표준화된다. 각각의 처리군에 4 마리의 동물을 포함시켰다. 오차 범위는 표준 오차에 상응한다.
회복 억제는 0.651 mg/kg 에서 추정된 ED50 (11-시스 레티날 (옥심) 회복을 50%로 억제시키는 화합물의 용량)으로 용량과 연관되었다. 실시예 3, 29, 15 및 19 의 화합물 (화합물 3, 29, 15 및 19) 의 추정 ED50 을 표 7A 에 나타내었다.
표 7A
Figure pat00371
본원에 기재된 여러 가지 화합물의, 1 mg/kg, 그리고 일부 경우에서 또한 5 mg/kg 경구 투여에서, 투여 후 4 및 24 시간에 광표백으로의 단일 용량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실험을 CD1 수컷 마우스에서 수행하였다. 결과를 HPLC 에 의해 분석하였다. 억제 % 결과를 표 7B 에 나타내었다.
표 7B
Figure pat00372
실시예 190
망막 뉴런 세포 배양 시스템의 제조
상기 실시예는 망막 뉴런 세포의 장기간 배양액의 제조를 위한 방법을 기술한다. 모든 화합물 및 시약은 Sigma Aldrich Chemical Corporation (St. Louis, MO) 또는 기타 적합한 판매자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망막 뉴런 세포 배양
돼지 안구를 Kapowsin Meats, Inc. (Graham, WA) 로부터 입수하였다. 안구를 적출하고, 근육 및 조직을 눈확으로부터 세정해내었다. 당업계에 공지된 표준 방법에 따라, 완충된 식염수 용액에서 안구를 이의 적도를 따라 반으로 절단하고, 신경 망막을 안구의 앞쪽 부분으로부터 절제하였다. 간단히, 망막, 섬모체, 및 유리체를 안구의 앞쪽 반구로부터 하나의 조각으로 절제하였고, 망막을 맑은 유리체로부터 부드럽게 떼어냈다. 각 망막을 파파인 (Worthington Biochemical Corporation, Lakewood, NJ) 으로 해리시킨 후, 소태아 혈청 (FBS) 으로 비활성화시키고, 134 쿠니츠 (Kunitz) 단위/㎖ 의 DNaseI 를 첨가하였다. 효소적으로 해리된 세포를 분쇄하고, 원심 분리로 수집하고, 약 25 ㎍/㎖ 의 인슐린, 약 100 ㎍/㎖ 의 트랜스페린, 약 60 μM 퓨트레신, 약 30 nM 셀레늄, 약 20 nM 프로게스테론, 약 100 U/㎖ 의 페니실린, 약 100 ㎍/㎖ 의 스트렙토마이신, 약 0.05 M 헤페스 및 약 10% FBS 를 함유하는 둘베코 개질된 이글 배지 (DMEM)/F12 배지 (Gibco BRL, Invitrogen Life Technologies, Carlsbad, CA) 에 재현탁시켰다. 해리된 1차 망막 세포를 24-웰 조직 배양 플레이트 (Falcon Tissue Culture Plates, Fisher Scientific, Pittsburgh, PA) 에 위치한 폴리-D-라이신- (Poly-D-lysine-) 및 매트리젤- (Matrigel-) (BD, Franklin Lakes, NJ) 코팅된 유리 커버슬립에 플레이팅하였다. 세포를 37℃ 및 5% CO2 에서 0.5 ㎖ 의 배지 (상기와 같음, 단, 오직 1% FBS 사용) 중에서 5일 내지 1개월 동안 배양 중에 유지시켰다.
면역세포화학 분석
망막 뉴런 세포를 1, 3, 6 및 8주 동안 배양하고, 세포를 각 시점에서 면역조직화학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면역세포화학 분석은 당업계의 표준 기술에 따라 수행하였다. 막대 광수용체는 로돕신-특이적 항체 (마우스 단클론, 약 1:500 희석; Chemicon, Temecula, CA)로 표지함으로써 확인하였다. 중간 (mid)-중량 신경미세섬유에 대한 항체 (NFM 래빗 다클론, 약 1:10,000 희석, Chemicon)를 신경절 세포의 확인에 사용하였고; β3-튜불린에 대한 항체 (G7121 마우스 단클론, 약 1:1000 희석, Promega, Madison, WI)를 중간뉴런 및 신경절 세포의 확인에 일반적으로 사용하였고, 칼빈딘에 대한 항체 (AB1778 래빗 다클론, 약 1:250 희석, Chemicon) 및 칼레티닌 (AB5054 래빗 다클론, 약 1:5000 희석, Chemicon)를 내부 핵층 내 칼빈딘- 및 칼레티닌-발현 중간뉴런의 부분모집단 확인에 사용하였다. 간단히, 망막 세포 배양액을 4% 파라포름알데히드 (Polysciences, Inc, Warrington, PA) 및/또는 에탄올로 고정시키고, 둘베코 포스페이트 완충 식염수 (DPBS) 내에서 헹구고, 1차 항체로 약 1시간 동안 37℃에서 인큐베이션시켰다. 이후, 세포를 DPBS로 헹구고, 2차 항체 (Alexa 488- 또는 Alexa 568-컨쥬게이션된 2차 항체 (Molecular Probes, Eugene, OR))로 인큐베이션시키고, DPBS로 헹구었다. 핵을 4',6-디아미디노-2-페닐인돌 (DAPI, Molecular Probes)로 염색하고, 배양액을 DPBS로 헹군 후, 유리 커버슬립을 제거하고, 이를 관찰 및 분석을 위해 플루오로마운트-G (Fluoromount-G) (Southern Biotech, Birmingham, AL)로 유리 슬라이드 상에 표본화시켰다.
배양 시간을 변화시킨 후 성숙 망막 뉴런의 생존이 조직화학 분석에 의해 표시되었다. 광수용체 세포는 로돕신 항체를 사용하여 확인되었고; 신경절 세포는 NFM 항체를 사용하여 확인되었고; 무축삭 및 수평 세포는 칼레티닌에 대해 특이적인 항체를 사용한 염색에 의해 확인되었다.
배양액은 Olympus IX81 또는 CZX41 현미경 (Olympus, Tokyo, Japan)을 사용하여 로돕신-표지된 광수용체 및 NFM-표지된 신경절 세포를 계수함으로써 분석되었다. 20x 대물 렌즈로 커버슬립 당 20군데의 시야를 계수하였다. 각 실험에서 각 조건에 대해 상기 방법으로 5 개 이상의 커버슬립을 분석하였다. 임의의 스트레스인자에 노출되지 않은 세포를 계수하고, 스트레스인자에 노출된 세포를 대조군 내 세포수에 대해 표준화하였다. 본 개시물에 제시된 화합물이 성숙 망막 뉴런의 용량-의존적 및 시간-의존적 생존을 촉진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실시예 191
망막 세포 생존에 대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효과
본 실시예는 망막 세포의 생존성에 대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세포 스트레스인자를 포함하는 성숙 망막 세포 배양 시스템의 용도를 기술한다.
망막 세포 배양액은 실시예 190 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A2E 가 망막 세포 스트레스인자로서 첨가되었다. 약 1 주일 동안의 세포 배양 후, 화학적 스트레스, A2E 를 적용하였다. A2E 를 에탄올에 희석시키고, 약 0, 10 μM, 20 μM 및 40 μM 의 농도로 망막 세포 배양액에 첨가하였다. 배양액을 약 24 시간 및 48 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A2E 는 Koji Nakanishi 박사 (Columbia University, New York City, NY) 로부터 입수하거나, 또는 Parish 등 (Proc. Natl. Acad. Sci. USA 95:14602-13 (1998)) 의 방법에 따라 합성하였다. 이후, 아민 유도체 화합물을 배양액에 첨가하였다. 기타 망막 세포 배양액에, 아민 유도체 화합물을 첨가한 후 스트레스인자를 적용하거나, 또는 A2E 의 망막 세포 배양액으로의 첨가와 동시에 화합물을 첨가하였다. 배양액을 스트레스 기간 동안 조직 배양 인큐베이터 내에서 37℃ 및 5% CO2 에서 유지시켰다. 이후, 실시예 190 에 기술된 바와 같이 면역세포화학에 의해 세포를 분석하였다.
세포자멸사 분석
망막 세포 배양액을 실시예 190 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하고, 약 2주 동안 배양한 후, 약 6000 럭스에서의 백색광 스트레스에 약 24 시간 동안 노출시킨 후, 약 13 시간의 휴식 기간을 주었다. 24 웰 플레이트의 특정 웰에 특정 파장의 빛을 균일하게 전달하도록 장치를 만들었다. 장치는 AC 전원공급기로 배선된 형광등 (GE P/N FC12T9/CW) 을 포함하였다. 전구를 표준 조직 배양 인큐베이터의 내부에 탑재시켰다. 형광등 바로 아래에 세포의 플레이트를 둠으로써 백색광 스트레스를 가하였다. CO2 수준을 약 5% 로 유지하였고, 세포 플레이트에서의 온도를 37℃로 유지하였다. 얇은 열전쌍을 사용하여 온도를 모니터링하였다. Extech Instruments Corporation (P/N 401025; Waltham, MA) 사의 광도계를 사용하여 모든 장치의 빛 세기를 측정하고 조정하였다. 세포를 백색광에 노출시키기 전 임의의 아민 유도체 화합물을 배양 플레이트의 웰에 첨가하였고, 백색광에 노출시킨 후 배양액의 다른 웰에 첨가하였다. 세포자멸사를 평가하기 위해,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TUNEL 을 수행하였다.
또한, 세포자멸사 분석을 망막 세포를 청색광에 노출시킨 후 수행하였다. 망막 세포 배양액을 실시예 190 에 기술된 바와 같이 배양하였다. 약 1 주 동안 세포를 배양한 후, 청색광 스트레스를 적용시켰다. 청색광을 주문 제작 광원 (각각의 LED가 24 웰 일회용 플레이트의 단일 웰에 대해 맞도록 설계된, 두 정렬의 24 (4X6) 청색광 방출 다이오드 (Sunbrite LED P/N SSP-01TWB7UWB12) 로 구성됨)에 의해 전달시켰다. 첫 번째 정렬을 세포로 채워진 24웰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시킨 반면, 두 번째 정렬을 세포의 플레이트 바로 밑에 위치시켜 두 정렬이 세포의 플레이트에 광 스트레스를 동시에 제공하도록 하였다. 전체 장치를 표준 조직 배양 인큐베이터 내에 두었다. CO2 수준은 약 5% 로 유지시키고, 세포 플레이트에서의 온도는 약 37℃ 로 유지시켰다. 얇은 열전쌍으로 온도를 모니터링하였다. 분리된 전위차계로 각각의 LED 에 대한 전류를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모든 LED에 대해 균일하게 광 출력이 가해지도록 하였다. 세포 플레이트를 약 2000 럭스의 청색광에 약 2 시간 또는 48 시간 노출시킨 후, 약 14 시간 휴지 기간을 두었다. 세포를 청색광에 노출시키기 전에, 아민 유도체 화합물을 배양 플레이트의 웰에 첨가하고, 청색광에 노출시킨 후 배양액의 다른 웰에 첨가하였다. 세포자멸사를 평가하기 위해,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TUNEL 을 수행하였다.
세포자멸사를 평가하기 위해, 당업계에서 수행되는 표준 기술 및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TUNEL 을 수행하였다. 간단히, 망막 세포 배양액을 먼저 4% 파라포름알데히드 및 이후 에탄올로 고정시킨 후, DPBS 로 헹구었다. 고정된 세포를 Chroma-Tide Alexa568-5-dUTP (0.1 μM 최종 농도) (Molecular Probes) 와 조합된 반응 완충액 (Fermentas, Hanover, MD) 내에서 TdT 효소 (0.2 단위/㎕ 최종 농도)와 함께 약 1 시간 동안 37℃ 에서 인큐베이션시켰다. 배양액을 DPBS로 헹구고, 1 차 항체와 4℃ 에서 하룻밤 동안 또는 37℃ 에서 약 1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이후, 세포를 DPBS 로 헹구고, Alexa 488-컨쥬게이션된 2 차 항체와 인큐베이션시키고, DPBS 로 헹구었다. 핵을 DAPI 로 염색하고, 배양액을 DPBS 로 헹군 후, 유리 커버슬립을 제거하고, 이를 관찰 및 분석을 위해 플루오로마운트-G 로 유리 슬라이드 상에 표본화시켰다.
Olympus IX81 또는 CZX41 현미경 (Olympus, Tokyo, Japan) 을 사용하여, TUNEL-표지된 핵을 계수함으로써 배양액을 분석하였다. 20x 대물 렌즈로 커버슬립 당 20군데의 시야를 계수하였다. 각 조건에 대해 상기 방법으로 6개의 커버슬립을 분석하였다. 아민 유도체 화합물에 노출되지 않은 세포를 계수하고, 항체에 노출된 세포를 대조군 내 세포수에 대해 표준화하였다. 데이타는 쌍을 이루지 않는 스튜던트 t-검정 (unpaired Student's t test) 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아민 유도체 화합물이 용량-의존적 및 시간-의존적 방식으로 망막 세포 배양액 중 A2E-유도된 세포자멸사 및 세포 사멸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예상된다.
실시예 192
생체내 광 (light) 마우스 모델
본 실시예는 생체내 광 손상 마우스 모델에서의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효과를 기술한다.
강한 백색광에 대한 안구의 노출은 망막에 광-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광 처리 후 손상의 정도는 안구 내 세포질 히스톤-결합-DNA-절편 (모노- 및 올리고뉴클레오좀) 함량을 측정함으로써 평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enzel 등, Prog . Retin. Eye Res . 24:275-306 (2005) 참조).
암순응된 마우스 (예를 들어, 수컷 Balb/c (알비노, 군 당 10 마리) 를 다양한 용량 (약 0.01-25 mg/kg)의 본 개시물의 아민 유도체 화합물로 섭식시키거나 또는 오직 비히클만 투여하였다. 투여 약 6시간 후, 동물을 광 처리하였다 (약 1시간 동안 약 8,000 럭스 백색광). 암환경으로의 회복 약 40시간 후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망막을 해부하였다. 제조자의 사용 설명서 (Roche Applied Science, 세포 사멸 검출 ELISA 플러스 키트 (Cell Death Detection ELISA plus Kit)) 에 따라 세포 사멸 검출 ELISA 검정을 수행하였다. 망막 내 절편화된 DNA의 함량을 측정하여 화합물의 망막-보호 활성을 추정하였다. 본 개시물의 화합물은 망막의 광-손상을 완화 또는 억제시키는 것으로 예상되었다.
실시예 193
망막전위도 (ERG) 연구
본 실시예에, 동물에게 화합물을 경구 투여한 후 마우스의 눈에서 ERG 반응의 광도에 대한 시각 주기 조절제인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효과를 측정하는 것을 기재하였다.  눈에서의 ERG 반응 수준은 동물에게 화합물을 투여한 후 (예를 들어 투여 후 약 18 및 66 시간에) 측정한다.
모든 성별의, 약 9 주령 마우스 (약 19-25 그램) 3 그룹 (균주 C5 7BL/6, Charles River Laboratories, Wilmington, MA) 을 실온, 72 + 4℉, 및 대략 25% 의 상대습도에서 생육시켰다. 12 시간의 명/암 주기 환경에서 동물을 생육시키고, 먹이와 식수에 자유롭게 접근하도록 하였으며, 사용전 및 시험동안 일반적인 건강 상태와 생활만족도 (well-being) 에 대해 검사하였다. 투여 시작 전에 마우스의 각 샘플에 대해 체중을 측정하였다. 상기 샘플링으로부터 측정된 평균 중량을 실험시 모든 마우스에 대한 용량을 확립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각각의 시험 화합물을 대조 용매 (EtOH) 에 용해하고, 적합한 오일 (예를 들어 옥수수유 (Crisco Pure Corn Oil, J.M. Smucker Company, Orrville, OH)) 내에 약 1:10 (90 ㎖/900 ㎖) 으로, 바람직한 부피 (약 0.1 ㎖/동물) 중의 바람직한 용량 (mg/kg) 이 되도록 희석하였다. 대조 비히클은 에탄올:오일 (약 1:10 (0.9 ㎖/9 ㎖)) 이다. 처리 명칭 및 동물 배분의 예는 표 8 에 기재되어 있다.
표 8
Figure pat00373
동물에게 광 주기 동안 비히클 대조군 또는 시험 화합물 (광 주기 시작 후 약 30분 내지 약 3 시간 30분) 을 배분하여, 1 회 경구 섭식 투여하였다. 투여된 용량 부피는 통상적으로 약 10 ㎖/kg 을 초과하지 않았다.
암순응 및, 이어서 (동일한 실험 과정 동안), 명순응 상태에서 ERG 기록을 하였다. 암순응 반응을 위해, 광주기 시작 후 약 30 분 이상을 두도록 기록 약 1 시간 전 동안 동물을 암순응 환경에서 생육시킨다.
투여 후 약 18 및 약 66 시간에, 마우스를 케타민 (Ketamine) 및 자일라진 (Xylazine) (각각 100 mg/kg 및 20 mg/kg) 의 혼합물로 마취시키고, 실험 과정 동안 일정한 중심 체온을 유지시키기 위해 가열 패드 상에 두었다. 기록된 눈에 산동액 (트로픽아미드 0.5%) 약 5 마이크로리터 점안액을 떨어뜨려 눈동자를 확장시켰다. 마우스 각막 단극자극 (monopolar) 콘택트 렌즈 전극 (Mayo Corporation, Inazawa, Aichi, Japan) 을 각막에 위치시키고, 피하 참조 저 프로파일 바늘 12 mm 전극 (Grass Telefactor, W Warwick, RI) 을 눈의 내측에 위치시켰다. 지면 바늘 전극을 꼬리 내에 위치시켰다. Color Dome Ganzfeld 자극기가 있는 Espion E2 (Diagnosys LLC, Littleton, MA) ERG 기록 시스템을 사용하여 데이터 수집을 수득하였다. 완전한 암순응 강도-반응 함수를 약 0.0001 cd.s/m2 내지 약 333 cd.s/m2 범위의 약 14 강도의 짧은 백색 섬광 자극 후 측정하였다. 이어서, 완전한 명순응 강도-반응 함수를 약 0.33 cd.s/m2 내지 약 333 cd.s/m2 범위의 약 9 강도의 짧은 백색 섬광 자극 후 측정하였다. 수득된 반응의 분석은 오프라인으로 수행하였다. 강도-반응 함수 측정은 데이터에 시그모이드 함수를 적합화시킴으로써 수행하였다 (Naka KI, Rushton WA, 1966; Naka KI, Rushton WA, 1967). 본 발명의 아민 유도체 화합물이 대조 화합물과 비교하였을 때 광, 명순응 Vmax 값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암순응 ERG 반응을 하락 또는 억제시킬 것으로 (약 0.01 cd.s/m2 에서 측정됨) 예상된다.
실시예 194
리포푸신 플루오로포어의 감소에 대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효과
본 실시예는 마우스의 망막에 존재하는 비스-레티노이드인 N-레티닐리덴-N-레티닐에탄올아민 (A2E) 및 리포푸신 플루오로포어의 수준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A2E 및 리포푸신 플루오로포어의 형성을 방지하는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능력을 시험하는 것을 기술한다. A2E 는 눈 조직 내의 독성 리포푸신의 주요 플루오로포어이다.
abca4-null (abca4 -/-) 돌연변이 마우스 (예를 들어, Weng 등, Cell 98:13-23 (1999) 참조) 의 눈에는 리포푸신 플루오로포어, 예컨대 A2E 의 축적이 증가되어 있다 (예를 들어, Karan 등, Proc . Natl . Acad . Sci . USA 102:4164-69 (2005) 참조). 화합물 (약 1 mg/kg) 또는 비히클을 약 3개월 동안 매일 경구 섭식으로 약 2 개월령인 abca4-/- 마우스에 투여하였다. 처리 약 3개월 후 마우스를 희생시켰다. A2E 분석을 위해 망막 및 RPE 를 추출하였다.
노령의 balb/c 마우스 (약 10 개월령)를 사용하여 유사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마우스를 약 3 개월 동안 1 일당 약 1 mg/kg 의 화합물로 처리하고, 대조군 마우스를 비히클로 처리하였다.
간략하게는, 어두운 적색광하에서, 각 쌍의 안구를 수확하고, PBS 완충액 및 메탄올의 혼합물 내에 균질화하고 A2E 를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샘플의 물기를 제거하고, HPLC 분석을 위해 물/아세토니트릴 믹스 내에서 재구성하였다.   존재하는 A2E 의 양을 440 nm 에서 측정된 A2E 참조 표준에 대한 A2E 농도/AUC 곡선과 샘플 중의 A2E 피크의 곡선하 면적 (AUC) 을 비교하여 측정한다.
본원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아민 유도체 화합물을 처리하였을 때 A2E의 수준이 감소되는 것으로 예상된다.
실시예 195
레티노이드 핵 수용체 활성에 대한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효과
레티노이드 핵 수용체 활성은, 조직 및 기관 성장, 발생, 분화 및 항상성에 영향을 주는 비-시각 생리적, 약리학적 및 독물학적 레티노이드 신호의 변환과 연관된다.
본원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효과 및 레티노산 수용체 (RAR) 아고니스트 (E-4-[2-(5,6,7,8-테트라히드로-5,5,8,8-테트라메틸-2-나프틸레닐)-1-프로페닐]벤조산) (TTNPB)의 효과, 및 모든-트랜스-레티노산 (at-RA) (이는 RAR 및 레티노이드 X 수용체 (RXR) 아고니스트임)의 효과를, [Achkar 등 (Proc . Natl. Acad . Sci . USA 93:4879-84 (1996))] 에 의해 기술된 바와 같이 본질적으로 RAR 및 RXR 수용체에 대해 연구하였다. 시험된 본 발명의 예상되는 여러 가지 화합물 (실시예 7, 12, 20, 및 16 의 화합물) 은 레티노이드 핵 수용체 (RAR 및 RXR) 에 대해 어떠한 유의한 효과도 보여주지 않았다. 반대로, TTNPB 및 at-RA는 예측한 바와 같이 RXRα, RARα, RARβ RARγ 수용체를 활성화시켰다 (표 9). 데이터는 Graph Pad Prism Software 에 계산되는 바와 같은 7 개 지점 용량-반응 곡선으로부터 계산된 EC50 값 (nM) ± 95% 신뢰 구간 CI (접두사 약어) 를 나타낸다. 각 데이터 지점은 3 중으로 측정되었다.
표 9
Figure pat00374
본원에서 물리적 성질, 예컨대 분자량 또는 화학적 성질, 예컨대 화학적 화학식에 대하여 범위가 사용되는 경우, 범위의 모든 조합 및 하위조합 및 이의 특정 구현예가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구현예가 조합되어 추가의 구현예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언급되고/되거나 적용 데이터 시트에 열거된 모든 미국 특허, 미국 특허 출원 공보, 미국 특허 출원, 외국 특허, 외국 특허 출원 및 비-특허 간행물은 그 전문이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된다.
예시의 목적을 위해 구체적인 구현예가 본원에 기술되었지만, 다양한 변경이 만들어질 수 있음이 상기된 바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당업자는, 더 이상의 통례적 실험을 사용하지 않아도, 본원에 기술된 특정 구현예에 대한 많은 동등물을 인지하거나 또는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동등물은 하기 청구항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일반적으로, 하기 청구항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명세서 및 청구항에 개시된 특정 구현예에 대한 청구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이러한 청구항에 권리가 부여되는 전체 범주의 동등물과 함께 모든 가능한 구현예를 포함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청구항은 본 개시물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가 본원에 나타내어지고 기술되었지만, 그러한 구현예는 단지 예로서 제공된 것임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당업자는 이제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는 수많은 변형, 변경 및 대체를 만들 수 있다.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구현예에 대한 다양한 대안이 본 발명의 실시에서 이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하기 청구항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정의하며, 이를 통해 이들 청구항 및 이의 동등물의 범주 내의 방법 및 구조가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

  1. 하기 화학식 (A) 의 화합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질체, 입체이성질체, 기하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N-산화물:
    Figure pat00375

    [식 중,
    Z 는 -C(R9)(R10)-C(R1)(R2)-, 또는 -C(R9)(R10)-C(R1)(R2)-C(R36)(R37)- 이고;
    G 는 -C(R41)2-C(R41)2-R40, -C(R42)2-S-R40, -C(R42)2-SO-R40, -C(R42)2-SO2-R40, -C(R42)2-O-R40, -C(R42)2-N(R42)-R40, 또는 -C(=O)-N(R42)-R40 으로부터 선택되고;
    R40 은 -C(R16)(R17)(R18), 또는 아릴로부터 선택되며;
    각 R41 은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OR6, 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두 개의 R41 기는 함께 옥소를 형성할 수 있고;
    각 R42 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로부터 선택되거나; R1 및 R2 는 함께 옥소를 형성하고;
    R36 및 R3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플루오로알킬, -OR6 또는 -NR7R8 로부터 선택되거나; R36 및 R37 은 함께 옥소를 형성하거나; R36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이중 결합을 제공하거나; R36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고, R37 및 R2 는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삼중 결합을 제공하며;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플루오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카르보시클릴 또는 C-부착된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거나; R3 및 R4 는 이들에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거나; R3 및 R4 는 함께 이미노를 형성하고;
    R7 및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시클릴, -C(=O)R13, SO2R13, CO2R13 또는 SO2NR24R25 로부터 선택되거나; R7 및 R8 은 이들에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며;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플루오로알킬, -OR19, -NR20R21 또는 카르보시클릴로부터 선택되거나; R9 및 R10 은 옥소를 형성하거나; R9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이중 결합을 제공하거나; R9 및 R1 은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며, R10 및 R2 는 함께 직접 결합을 형성하여 삼중 결합을 제공하고;
    R11 및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O)R23, -C(NH)NH2, 또는 CO2R23 로부터 선택되며;
    각 R13, R22 및 R23 은 독립적으로 -CH3, -CH2CH3, -CH2CH2CH3, -C(H)(CH3)CH3, -CH2CH2CH2CH3, C5-C8 알킬, 헤테로알킬, 알케닐, 아릴, 아르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고;
    R6, R19, 및 R3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며;
    R20 및 R2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카르보시클릴, 헤테로시클릴, -C(=O)R22, SO2R22, CO2R22 또는 SO2NR26R27 로부터 선택되거나; R20 및 R21 은 이들에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N-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각 R24, R25, R26, 및 R27 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플루오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며;
    R16 및 R1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할로,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아리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R16 및 R17 은 이들에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카르보시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며;
    R18 은 수소, 알킬, 알콕시, 히드록시, 할로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각 R33 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히드록시,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n 은 0, 1, 2, 3, 또는 4 이고; 단, G 는 비치환 노르말 알킬이 아니고, 화학식 (A) 의 화합물은 하기의 것이 아니다]:
    Figure pat00376
    , 또는
    Figure pat00377
    .
KR1020127034304A 2007-11-01 2008-10-22 안과 질환 및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아민 유도체 화합물 KR201300129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8466707P 2007-11-01 2007-11-01
US60/984,667 2007-11-01
PCT/US2008/012060 WO2009058216A1 (en) 2007-11-01 2008-10-22 Amine derivative compounds for treating ophthalmic diseases and disorder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2034A Division KR101270122B1 (ko) 2007-11-01 2008-10-22 안과 질환 및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아민 유도체 화합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969A true KR20130012969A (ko) 2013-02-05

Family

ID=4009786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2034A KR101270122B1 (ko) 2007-11-01 2008-10-22 안과 질환 및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아민 유도체 화합물
KR1020127034304A KR20130012969A (ko) 2007-11-01 2008-10-22 안과 질환 및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아민 유도체 화합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2034A KR101270122B1 (ko) 2007-11-01 2008-10-22 안과 질환 및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아민 유도체 화합물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5) US8076516B2 (ko)
EP (1) EP2111223A4 (ko)
JP (3) JP5592265B2 (ko)
KR (2) KR101270122B1 (ko)
CN (1) CN101917980B (ko)
AR (1) AR070950A1 (ko)
AU (1) AU2008319397B2 (ko)
BR (1) BRPI0819241A2 (ko)
CA (1) CA2704199C (ko)
CL (1) CL2008003120A1 (ko)
CO (1) CO6501155A2 (ko)
EC (1) ECSP10010226A (ko)
GB (1) GB2455176A (ko)
HK (1) HK1151736A1 (ko)
IL (1) IL205112A0 (ko)
MX (1) MX2010004718A (ko)
MY (2) MY167602A (ko)
PH (2) PH12015501207A1 (ko)
RU (1) RU2536040C2 (ko)
SG (1) SG185939A1 (ko)
TW (1) TWI446904B (ko)
WO (1) WO20090582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84188B (zh) 2007-06-29 2014-02-12 奥克塞拉有限公司 用于治疗眼科疾病和紊乱的炔基苯基衍生化合物
AR070950A1 (es) * 2007-11-01 2010-05-19 Acucela Inc Compuestos derivados de amina, composiciones farmaceuticas de ellos, compuestos inhibidores de produccion de 11-cis-retinol y metodos para tratar enfermedades y trastornos oftalmicos
NZ592057A (en) * 2008-09-05 2013-01-25 Acucela Inc Sulfur-linked compounds for treating opthalmic diseases and disorders
IN2012DN00352A (ko) * 2009-06-16 2015-08-21 Bikam Pharmaceuticals Inc
JP5786713B2 (ja) * 2009-09-09 2015-09-30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環状化合物、その製造方法、感放射線性組成物およびレジストパターン形成方法
CN103347517B (zh) 2010-08-11 2018-10-02 德雷克塞尔大学 治疗帕金森病中运动障碍的d3多巴胺受体激动剂
US8835472B2 (en) * 2010-09-02 2014-09-16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Compound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CA2838974A1 (en) 2011-06-14 2012-12-20 Bikam Pharmaceuticals, Inc. Opsin-binding ligand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CA2856703A1 (en) 2011-10-19 2013-04-25 Bikam Pharmaceuticals, Inc. Opsin-binding ligand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WO2013082000A1 (en) * 2011-11-30 2013-06-06 Bikam Pharmaceuticals, Inc. Opsin-binding ligand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EP2785178B1 (en) * 2011-12-01 2019-05-01 Bikam Pharmaceuticals, Inc. Opsin-binding ligand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WO2013109991A1 (en) 2012-01-20 2013-07-25 Acucela Inc. Substituted heterocyclic compounds for disease treatment
GB201201138D0 (en) * 2012-01-20 2012-03-07 Ist Superiore Sanita Neurological therapies
TW201406707A (zh) 2012-05-04 2014-02-16 Acucela Inc 用以治療糖尿病性視網膜病變及其他眼部疾病之方法
EP2740720A1 (de) 2012-12-05 2014-06-11 Bayer CropScience AG Substituierte bicyclische- und tricyclische Pent-2-en-4-insäure -Derivate und ihre Verwendung zur Steigerung der Stresstoleranz in Pflanzen
EP2740356A1 (de) 2012-12-05 2014-06-11 Bayer CropScience AG Substituierte (2Z)-5(1-Hydroxycyclohexyl)pent-2-en-4-insäure-Derivate
JP2016500368A (ja) 2012-12-05 2016-01-12 バイエル・クロップサイエンス・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置換された1−(アリールエチニル)−、1−(ヘテロアリールエチニル)−、1−(複素環エチニル)−および1−(シクロアルケニルエチニル)−シクロヘキサノールの非生物的植物ストレスに対する活性薬剤としての使用
US9745291B2 (en) 2012-12-21 2017-08-29 Epizyme, Inc. PRMT5 inhibitors containing a dihydro- or tetrahydroisoquinoline and uses thereof
JP6678455B2 (ja) 2012-12-21 2020-04-08 エピザイム,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Prmt5阻害剤およびその使用
EP2935241A1 (en) 2012-12-21 2015-10-28 Epizyme, Inc. Prmt5 inhibitors and uses thereof
CA2894157A1 (en) 2012-12-21 2014-06-26 Epizyme, Inc. Prmt5 inhibitors and uses thereof
US9908887B2 (en) 2012-12-21 2018-03-06 Epizyme, Inc. PRMT5 inhibitors and uses thereof
CA2903483A1 (en) * 2013-03-12 2014-10-09 Acucela Inc. Substituted 3-phenylpropylamin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ophthalmic diseases and disorders
US20160151410A1 (en) * 2013-07-02 2016-06-02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Clearance of bioactive lipids from membrane structures by cyclodextrins
TW201945337A (zh) 2013-09-20 2019-12-01 美商拜奧馬林製藥公司 用於治療疾病之葡萄糖苷基腦醯胺(glucosylceramide)合成酶抑制劑
CA2928429C (en) 2013-10-28 2022-08-30 Drexel University Aminoalkyl phenyl derivatives useful in the treatment of adhd and other cognitive disorders
CA2953572A1 (en) 2014-08-04 2016-02-11 Epizyme, Inc. Prmt5 inhibitors and uses thereof
US11253489B2 (en) 2017-02-27 2022-02-22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Visual cycle modulators
CN115073273A (zh) * 2021-03-15 2022-09-20 中国医学科学院药物研究所 二苯烷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药物组合物和用途
WO2023091779A1 (en) * 2021-11-22 2023-05-25 Purdue Research Foundation A fast and efficient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n-retinylidene-n-retinylethanolamine (a2e)

Family Cites Families (10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0416A (en) * 1950-12-21 1956-06-12 Rohm & Haas Aminomethylphenols and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CH396941A (de) 1959-08-10 1965-08-15 Ciba Geigy Verfahren zur Herstellung neuer sekundärer Amine
GB884663A (en) 1958-11-06 1961-12-13 Ciba Ltd New amines and processes for their manufacture
US3911151A (en) 1973-10-10 1975-10-07 Us Agriculture Method for coloring fruits and vegetables
US4013633A (en) * 1975-06-27 1977-03-22 Eastman Kodak Company Yellow azopyrazoline dye releasing redox compounds for photographic color transfer
JPS5313597A (en) 1976-07-22 1978-02-07 Grumman Aerospace Corp Supply water control system for fire extinguishing hose
DE2710997C3 (de) 1977-03-14 1980-08-14 Dr. Karl Thomae Gmbh, 7950 Biberach 4-Alkoxy carbonylamino-phenyläthanolamine,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als Arzneimittel
US4118584A (en) * 1977-04-11 1978-10-03 The Upjohn Company 9-Deoxy-9-methylene-16-phenyl-PGF compounds
IE46886B1 (en) * 1977-05-17 1983-10-19 Allen & Hanburys Ltd Aminoalkyl-benzene derivatives
DD150456A5 (de) * 1979-03-01 1981-09-02 Ciba Geigy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erivaten des 3-amino-1,2-propandiols
US4412856A (en) 1980-05-31 1983-11-01 Ciba-Geigy Corporation Herbicidal heterocyclic and substituted phenyl phenylacetylene amines
JPS60130561A (ja) * 1983-12-16 1985-07-12 Torii Yakuhin Kk アミジン誘導体およびそれを含む強心剤
JO1410B1 (en) * 1984-11-03 1986-11-30 سميث كلاين اند فرينش لابوراتوريز ليمتد Vehicles
GB8503425D0 (en) * 1985-02-11 1985-03-13 Ici Plc Alkanolamine derivatives
JPS625969A (ja) * 1985-07-03 1987-01-12 Hokuriku Seiyaku Co Ltd キナゾリン誘導体
ATE45724T1 (de) 1985-12-24 1989-09-15 Merck & Co Inc Okuloselektive betablocker.
IT1197348B (it) * 1986-09-30 1988-11-30 Boehringer Biochemia Srl Cinnamilammine, processo per la loro preparazione e composizioni farmaceutiche che le contengono
US5217999A (en) 1987-12-24 1993-06-08 Yissum Research Development Company Of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Styryl compounds which inhibit EGF receptor protein tyrosine kinase
JPH0228112A (ja) 1988-04-21 1990-01-30 Kaken Pharmaceut Co Ltd 点眼用眼圧調整剤
US5227372A (en) 1990-03-07 1993-07-13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Method for retaining ophthalmological agents in ocular tissues
DE4041780A1 (de) * 1990-12-24 1992-06-25 Boehringer Mannheim Gmbh Neue amin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diese verbindungen enthaltende arzneimittel
EP0525360B1 (en) 1991-07-30 1998-03-25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Novel phenylacetamide derivatives and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JPH05222073A (ja) * 1992-02-13 1993-08-31 Sumitomo Pharmaceut Co Ltd 骨選択性エストロゲン
ES2126658T3 (es) * 1992-10-21 1999-04-01 Yoshitomi Pharmaceutical Compuesto de 2-amino-1,3-propanodiol e inmunosupresor.
US6071970A (en) 1993-02-08 2000-06-06 Nps Pharmaceuticals, Inc. Compounds active at a novel site on receptor-operated calcium channels useful for treatment of neurological disorders and diseases
GB2276161A (en) * 1993-03-17 1994-09-21 Glaxo Group Ltd Aniline and benzanilide derivatives
GB2276163A (en) * 1993-03-17 1994-09-21 Glaxo Group Ltd Pyridine compounds.
GB2276165A (en) * 1993-03-17 1994-09-21 Glaxo Group Ltd Aniline and benzanilide compounds.
GB2276164A (en) * 1993-03-17 1994-09-21 Glaxo Group Ltd Aniline and benzanilide derivatives
US5523302A (en) * 1993-11-24 1996-06-04 The Du Pont Merck Pharmaceutical Company Aromatic compounds containing basic and acidic termini useful as fibrinogen receptor antagonists
JPH09507846A (ja) * 1993-12-30 1997-08-12 スミスクライン・ビーチャム・コーポレイション フェニルメチルヘキサンアミドおよびその使用
BR9506549A (pt) 1994-01-19 1997-10-14 Byk Nederland Bv Derivados de benzilamina contendo grupos nitróxi e sua aplicação para o tratamento de enfermidades cardiovasculares bem como de pressão interna dos olhos elevada
JPH07247274A (ja) * 1994-03-10 1995-09-26 Wakamoto Pharmaceut Co Ltd ピバル酸 テトラゾリルフェニルエステル誘導体、それら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エラスターゼ阻害剤及び肺障害治療剤
WO1996006068A1 (fr) 1994-08-22 1996-02-29 Yoshitomi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Compose benzenique et son utilisation medicale
EP0758653A4 (en) * 1995-03-01 1998-06-10 Kyowa Hakko Kogyo Kk IMIDAZOQUINAZOLINE DERIVATIVES
US5631280A (en) * 1995-03-29 1997-05-20 Merck & Co., Inc. Inhibitors of farnesyl-protein transferase
GB9519077D0 (en) 1995-09-18 1995-11-15 Fujisawa Pharmaceutical Co New heterocyclic compounds
AU1794697A (en) * 1996-03-06 1997-09-22 Novartis Ag 7-alkyl-pyrrolo{2,3-d}pyrimidines
DE19609827A1 (de) 1996-03-13 1997-09-18 Hoechst Ag Aminoalkyl- und Acylaminoalkylether,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Bradykinin-Rezeptorantagonisten
JP3663732B2 (ja) * 1996-04-19 2005-06-22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ハロゲン化銀カラー写真感光材料
EP1361210B1 (en) 1996-08-12 2008-12-24 Celgene Corporation Novel immunotherapeutic agents and their use in the reduction of cytokine levels
DE19643592A1 (de) 1996-10-22 1998-04-23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lpha-Alkoxy-alpha-trifluormethyl-arylessigsäureestern und -arylessigsäuren
TW542822B (en) * 1997-01-17 2003-07-21 Ajinomoto Kk Benzamidine derivatives
KR100510794B1 (ko) * 1997-02-04 2005-08-31 더 보드 오브 트러스티스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아칸소 살진균 카르복스아미드
AU6422098A (en) * 1997-03-24 1998-10-20 Kyowa Hakko Kogyo Co. Ltd. Benzene derivatives
TW593331B (en) 1997-07-25 2004-06-21 Inspire Pharmaceuticals Inc Method for large-scale production of di(uridine 5')-tetraphosphate and salts thereof
US6051605A (en) 1997-08-08 2000-04-18 Warner-Lambert Company Method of treating psychosis and schizophrenia
US6171837B1 (en) 1997-09-29 2001-01-09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Mouse and human 9-cis-retinol dehydrogenase
GB9725883D0 (en) * 1997-12-05 1998-02-04 Ciba Geigy Ag Organic compounds
EP0957073A1 (en) * 1998-05-12 1999-11-17 Schwarz Pharma Ag Novel derivatives of 3,3-diphenylpropylamines
US6331537B1 (en) 1998-06-03 2001-12-18 Gpi Nil Holdings, Inc. Carboxylic acids and carboxylic acid isosteres of N-heterocyclic compounds
WO2000016761A2 (en) 1998-09-18 2000-03-30 Alcon Laboratories, Inc. Serotonergic 5ht2 agonists for treating glaucoma
FR2783518B1 (fr) * 1998-09-21 2001-08-03 Bioprojet Soc Civ Inhibiteurs de lta4 hydrolase
US6372463B1 (en) 1999-05-06 2002-04-16 The President & Fellows Of Harvard College Mutations in nucleic acid molecules encoding 11-CIS retinol dehydrogenase, the mutated proteins, and uses thereof
SE9904044D0 (sv) * 1999-11-09 1999-11-09 Astra Ab Compounds
ATE319712T1 (de) 1999-12-21 2006-03-15 Mgi Gp Inc Hydantoin derivate,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en und verfahren zu ihrer verwendung
WO2001058487A1 (fr) * 2000-02-09 2001-08-16 Mitsubishi Pharma Corporation Agent therapeutique et/ou prophylactique contre les affections de la retine et du nerf optique
FR2805815B1 (fr) * 2000-03-01 2002-05-17 Sanofi Synthelabo Derives de polyfluoroalkylimidazole, leur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en therapeutique
AU2001248365A1 (en) * 2000-03-23 2001-10-03 Mitsubishi Pharma Corporation 2-(arylalkylamino)pyrimidone derivatives and 2-(heteroarylalkylamino)pyrimidone derivatives
US20030032078A1 (en) 2001-01-23 2003-02-13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macular and retinal degenerations
JP2002322054A (ja) * 2001-04-26 2002-11-08 Dai Ichi Seiyaku Co Ltd 薬剤排出ポンプ阻害薬
PA8557501A1 (es) 2001-11-12 2003-06-30 Pfizer Prod Inc Benzamida, heteroarilamida y amidas inversas
KR20030042401A (ko) 2001-11-22 2003-05-28 주식회사 어드밴스파워 휴대용 전자기기 자동 밧데리 충전장치 휴대용 전자기기수동 밧데리 충전장치
AU2002364260A1 (en) 2001-12-31 2003-07-30 Bayer Pharmaceuticals Corporation Avb3 and avb5 integrin antagonists and methods of treating diseases or conditions associated with avb3 and avb5 integrins
DE60330126D1 (de) * 2002-02-14 2009-12-31 Pharmacia Corp Substituierte pyridinone als modulatoren für p38 map kinase
CN1309703C (zh) 2002-06-19 2007-04-11 纽若泰克有限公司 四氟苄基衍生物及含有其成分的用于治疗和预防中枢神经系统的急慢性神经变性疾病的药物组合物
JPWO2004007472A1 (ja) * 2002-07-10 2005-11-17 小野薬品工業株式会社 Ccr4アンタゴニストおよびその医薬用途
DE10235312A1 (de) 2002-08-01 2004-02-12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minoalkoxybenzylaminen und Aminoalkoxybenzonitrilen als Zwischenprodukte
EP1525200B1 (en) * 2002-08-02 2007-10-10 AB Science 2-(3-aminoaryl)amino-4-aryl-thiazoles and their use as c-kit inhibitors
EP1539674A1 (en) 2002-09-13 2005-06-15 Novartis AG Amino-propanol derivatives
WO2004030671A2 (en) 2002-10-02 2004-04-15 Merck Patent Gmbh Use of 4-amino-quinazolines as anti cancer agents
US20060281821A1 (en) * 2003-03-14 2006-12-14 Krzysztof Palczewski Retinoid replacements and opsin agonists and methods for the use thereof
MXPA05011509A (es) 2003-04-25 2005-12-15 Pharmacia & Upjohn Co Llc 3,3-difenilpropilaminas (tolterodina) sustituidas con halogenos que presentan actividad antimuscarinica.
DE602004022153D1 (de) 2003-05-14 2009-09-03 High Point Pharmaceuticals Llc Verbindungen zur behandlung von obesitas
JP4922615B2 (ja) * 2003-11-26 2012-04-25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受容体機能調節剤
JP2007525496A (ja) * 2004-02-17 2007-09-06 プレジデント・アンド・フェロウズ・オブ・ハーバード・カレッジ 黄班変性症を含む眼科疾患の管理
US7566808B2 (en) * 2004-02-17 2009-07-28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Management of ophthalmologic disorders, including macular degeneration
TWI465437B (zh) * 2004-03-30 2014-12-21 Vertex Pharma 適合作為jak及其它蛋白質激酶抑制劑之氮雜吲哚
JP4848286B2 (ja) * 2004-04-30 2011-12-28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複素環アミド化合物及びmmp−13阻害剤としてのその用途
WO2006037117A1 (en) 2004-09-27 2006-04-06 Amgen Inc. Substituted heterocyclic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CA2583342A1 (en) * 2004-10-13 2006-04-27 Merck And Co., Inc. Spiropiperidine compounds useful as beta-secretase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alzhermer's disease
DE102004057595A1 (de) 2004-11-29 2006-06-08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Substituierte Pteridine zur Behandlung von entzündlichen Erkrankungen
EA010827B1 (ru) * 2004-12-08 2008-12-30 Сирион Терапьютикс, Инк.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лечения ретинол-ассоциирован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JP2006176443A (ja) * 2004-12-22 2006-07-06 Shionogi & Co Ltd メラニン凝集ホルモン受容体アンタゴニスト
US20080306041A1 (en) 2005-01-21 2008-12-11 Garvey David S Cardiovascular Compounds Comprising Heterocyclic Nitric Oxide Donor Group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WO2006091796A2 (en) * 2005-02-22 2006-08-31 Acucela,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iagnosing and treating retinal diseases
EP1883620A1 (en) * 2005-05-06 2008-02-06 Pfizer Limited ß-AMINO ACID DERIVATIVES
TW200744567A (en) * 2005-09-23 2007-12-16 Alcon Inc Phenylethylamine analogs and their use for treating glaucoma
BRPI0617548A2 (pt) * 2005-10-13 2017-10-03 Devgen Nv Inibidores da quinase
JP5201817B2 (ja) * 2005-10-28 2013-06-05 大塚製薬株式会社 医薬組成物
WO2007076448A2 (en) 2005-12-23 2007-07-05 Alcon,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delivery of receptor tyrosine kinase inhibiting (rtki) compounds to the eye
JP2009523134A (ja) 2006-01-13 2009-06-18 マクギル ユニバーシティー 抗うつ作用ならびに睡眠誘発性を有する新規なメラトニンリガンド
WO2008005794A2 (en) 2006-06-30 2008-01-10 Symbol Technologies, Inc. Techniques for peer wireless switch discovery within a mobility domain
KR100817538B1 (ko) * 2006-07-05 2008-03-27 한국화학연구원 신규 치환된―1h―퀴나졸린―2,4―디온 유도체,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US20090203708A1 (en) * 2006-07-05 2009-08-13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Novel substituted-1-h-quinazoline-2,4-dione derivatives,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WO2008011560A2 (en) 2006-07-20 2008-01-24 Mehmet Kahraman Benzothiophene inhibitors of rho kinase
PE20080906A1 (es) * 2006-08-17 2008-07-05 Kemia Inc Derivados heteroarilo como inhibidores de citocina
TW200821276A (en) * 2006-08-18 2008-05-16 Leo Pharma As Substituted acetylenic compounds useful for the treatment of diseases
MX2009003981A (es) * 2006-10-26 2009-04-27 Amgen Inc Agentes moduladores del receptor de calcio.
US8044041B2 (en) * 2006-11-15 2011-10-25 Forest Laboratories Holdings Limited Phthalazine derivatives as inhibitors of protein kinase
JP2010512366A (ja) * 2006-12-11 2010-04-22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Mch拮抗活性を有する新規ピリダジン誘導体及びこれらの化合物を含む薬物
US8071779B2 (en) * 2006-12-18 2011-12-06 Inspire Pharmaceuticals, Inc. Cytoskeletal active rho kinase inhibitor compounds, composition and use
RU2494089C2 (ru) * 2007-04-20 2013-09-27 Акьюсела Инк. Соединения, представляющие собой стиролильные производные, для лечения офтальмических заболеваний и расстройств
CN101784188B (zh) 2007-06-29 2014-02-12 奥克塞拉有限公司 用于治疗眼科疾病和紊乱的炔基苯基衍生化合物
CN102172330B (zh) 2007-07-10 2013-03-27 株式会社东芝 X射线摄影装置以及图像处理显示装置
AR070950A1 (es) * 2007-11-01 2010-05-19 Acucela Inc Compuestos derivados de amina, composiciones farmaceuticas de ellos, compuestos inhibidores de produccion de 11-cis-retinol y metodos para tratar enfermedades y trastornos oftalmico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070950A1 (es) 2010-05-19
US20160193181A1 (en) 2016-07-07
CO6501155A2 (es) 2012-08-15
AU2008319397B2 (en) 2013-01-31
WO2009058216A1 (en) 2009-05-07
MY167602A (en) 2018-09-20
TWI446904B (zh) 2014-08-01
CA2704199A1 (en) 2009-05-07
MX2010004718A (es) 2010-07-28
US8076516B2 (en) 2011-12-13
AU2008319397A1 (en) 2009-05-07
US9452153B2 (en) 2016-09-27
US20140323530A1 (en) 2014-10-30
TW200924736A (en) 2009-06-16
ECSP10010226A (es) 2010-07-30
JP2015091842A (ja) 2015-05-14
GB2455176A (en) 2009-06-03
US20120041039A1 (en) 2012-02-16
PH12015501207A1 (en) 2016-06-06
HK1151736A1 (en) 2012-02-10
US8450527B2 (en) 2013-05-28
EP2111223A1 (en) 2009-10-28
JP2011502983A (ja) 2011-01-27
JP2013216665A (ja) 2013-10-24
JP5592265B2 (ja) 2014-09-17
US9056849B2 (en) 2015-06-16
CN101917980B (zh) 2013-12-11
IL205112A0 (en) 2010-11-30
KR20100100844A (ko) 2010-09-15
GB0819399D0 (en) 2008-11-26
RU2536040C2 (ru) 2014-12-20
CL2008003120A1 (es) 2009-10-09
SG185939A1 (en) 2012-12-28
JP5676687B2 (ja) 2015-02-25
RU2010122261A (ru) 2011-12-10
CN101917980A (zh) 2010-12-15
KR101270122B1 (ko) 2013-05-31
US20090281149A1 (en) 2009-11-12
US20120041038A1 (en) 2012-02-16
EP2111223A4 (en) 2012-08-15
CA2704199C (en) 2016-01-19
PH12015501208A1 (en) 2016-06-06
MY156662A (en) 2016-03-15
US8716529B2 (en) 2014-05-06
BRPI0819241A2 (pt) 2015-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122B1 (ko) 안과 질환 및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아민 유도체 화합물
KR101196680B1 (ko) 안과 질환 및 장애 치료용 알키닐 페닐 유도체 화합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